KR20170104250A - 방화문 힌지 - Google Patents

방화문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250A
KR20170104250A KR1020160027030A KR20160027030A KR20170104250A KR 20170104250 A KR20170104250 A KR 20170104250A KR 1020160027030 A KR1020160027030 A KR 1020160027030A KR 20160027030 A KR20160027030 A KR 20160027030A KR 20170104250 A KR20170104250 A KR 20170104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ole
plate
door
gear
fir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5774B1 (ko
Inventor
임동호
이종택
Original Assignee
임동호
이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호, 이종택 filed Critical 임동호
Priority to KR1020160027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774B1/ko
Publication of KR20170104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05D7/0423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3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by means of dowel attachments
    • E05D2007/0438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by means of dowel attachments with bolts fixedly mounted on the hinge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6Positioning, e.g. re-positioning, or pre-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32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내부로 입출할 수 있도록 뚫린 문장착구에 규격화된 문틀이 고정되고, 상기 문틀에 방화문을 설치할 때, 방화문을 문틀의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방화문 힌지에 있어서, 일측에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축공이 형성되어, 상기 축공이 문틀에 형성된 힌지축에 끼워져 회전하는 회동판; 상기 방화문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면에는 상기 볼트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볼트공이 형성되며, 상면의 다른 일측에는 렌치통과공이 형성되고, 양측에 측벽이 형성되어 그 측벽에 의해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에는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되고, 체결볼트가 상기 볼트공과 장볼트공에 끼워져 상기 회동판과 결합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의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방화문에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판의 장볼트공에 대응되는 장슬릿이 형성된 가이드판; 상기 이동판과 가이드판 사이의 수용공간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랙기어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회동판의 볼트공에 대응되는 탭볼트공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회동판과 일체화되는 고정부재; 상기 이동판과 가이드판 사이의 수용공간에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이동판의 스토퍼에 맞물리는 스토퍼홈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랙기어에 대향되는 위치에 기어안착홈이 형성된 가변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랙기어와 상기 가변부재의 기어안착홈 사이에 조립되고 일측에는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기어안착홈에 맞대어지며 중앙에 렌치공이 형성되어 있어, 렌치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이 전달되어 가변부재를 이동시키는 회전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힌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화문 힌지{Fire door hinge}
본 발명은 방화문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방화문이 문틀에 설치된 후에도 방화문 힌지를 문틀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간격 조정이 가능한 방화문 힌지에 관한 것이다.
방화문은 방화문에 의해 폐쇄되는 공간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하여 대부분 구조적 강성이 우수한 철제로 이루어진다. 주택의 방문과 같이 간단히 열고 닫는 용도로 사용되는 도어는 경첩을 사용해서 문틀에 고정해도 되지만, 무거운 철제 방화문을 문틀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경첩만으로는 하중을 견디기 어려우므로 문틀의 상하에 돌출된 힌지축을 갖는 힌지브라켓을 형성하고, 힌지축에 방화문힌지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하중을 견디면서도 부드러운 회전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과 같이, 문틀은 방화문이 장착될 수 있도록 문장착구에 형성되는 금속이나 합성수지재의 틀인데, 방화문이 설치되고 나서 외주와 문틀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방화문의 크기에 맞게 규격화 되어 있다.
방화문과 문틀 사이에 틈이 발생하면 그 틈 사이로 내부가 보이는 문제가 있고, 단열문제도 있으며, 오염물질도 유입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문틀과 방화문 사이에는 틈의 발생이 최소화 되어야 한다.
방화문이 문틀에 설치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문틀을 문장착구에 고정한 상태에서 방화문의 상단이나 하단에 방화문힌지를 결합한 후, 방화문 힌지를 힌지축에 끼워서 회전가능하도록 조립한다.
현재 방화문 시공에 있어서, 가공 오차 등을 고려해서 방화문이 간섭없이 회동하기 위하여 방화문과 문틀 사이의 유격(틈)은 2mm 정도가 요구되고 있다.
방화문은 양측단이 문틀과 만나므로 방화문과 문틀 사이의 유격이 2mm 라는 의미는 문틀의 폭과 방화문 폭의 차이가 4mm 라는 의미이다.
그런데, 방화문을 문틀에 설치하는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화문의 상단에 방화문힌지를 볼팅하여 결합하고, 다시 방화문힌지를 힌지축에 조립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방화문의 크기를 정확하게 제작하더라도 폭이 1 ~ 2m 나 되므로 제작상의 오차로 인해 1mm 정도의 오차는 발생할 수 있고, 방화문 힌지를 결합하기 위해 방화문 상단에 미리 볼트구멍을 형성하더라도 형성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여 1mm 정도의 오차는 발생할 개연성이 높다.
다시 말해 방화문힌지를 방화문에 결합한 후 다시 방화문 힌지를 문틀의 힌지축에 결합하면, 방화문이 문틀의 정중앙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 된다. 방화문이 설치되었을 때 문틀의 정중앙에서 좌측으로 1mm 편심되어 설치되었다면, 좌측의 문틀과 방화문 사이의 간격은 1mm 이고, 우측의 문틀과 방화문 사이의 간격은 3mm 가 된다. 문틀의 우측에 형성되는 3mm 틈새는 규정보다 커서 미관에도 좋지 않지만 내부가 보이거나 틈새 사이로 이물질이 쉽게 유입될 수 있고, 그 보다 더 큰 문제는 문틀의 좌측에 형성되는 1mm 틈새는 규정된 2mm 틈새 보다 작아져서 미관상으로는 좋지만, 방화문이 회전될때 문틀과 간섭이 발생해서 작동 불능상태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작동불능상태가 되면 방화문을 다시 설치해야 한다. 1mm 의 편심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방화문 힌지를 방화문에서 분리하고, 방화문에 볼트구멍을 다시 형성한 후 방화문 힌지를 다시 결합해야 한다.
따라서 한번 설치된 방화문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방화문 힌지를 방화문에서 분리하고 다시 볼트구멍의 형성한 후 다시 방화문 힌지를 결합하는 과정이 필요했고, 이러한 과정은 실제 작업현장에서 이루어질 때 작업과정도 복잡하고 작업시간도 많이 걸려서 방화문 설치의 생산성 향상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였다. 방화문 비용은 방화문 제작비용과 설치비용이 모두 합한 것을 의미하는데, 편심 조정을 한 번에 끝내지 못하고 두세 번 반복되는 경우도 있어, 방화문의 편심조정 작업이 방화문 제작 비용보다 더 많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게다가 사용중에 철제 방화문의 변형으로 인해 편심을 조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 문틀에 설치된 방화문의 편심을 조정하는게 힘들어 방화문 관리를 어렵게 만들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59373호(2012.03.14) 2.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53337호(2015.05.18)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화문 힌지를 방화문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일부만 분리한 상태에서 간단하게 편심을 조정하여 방화문 편심조정을 용이하게 하여 방화문의 편심조정을 정밀하게 할 수 있고, 방화문 설치비용을 크게 감소시키고자 하는 방화문 힌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물의 내부로 입출할 수 있도록 뚫린 문장착구에 규격화된 문틀이 고정되고, 상기 문틀에 방화문을 설치할 때, 방화문을 문틀의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방화문 힌지에 있어서, 일측에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축공이 형성되어, 상기 축공이 문틀에 형성된 힌지축에 끼워져 회전하는 회동판; 상기 방화문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면에는 상기 볼트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볼트공이 형성되며, 상면의 다른 일측에는 렌치통과공이 형성되고, 양측에 측벽이 형성되어 그 측벽에 의해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에는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되고, 체결볼트가 상기 볼트공과 장볼트공에 끼워져 상기 회동판과 결합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의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방화문에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판의 장볼트공에 대응되는 장슬릿이 형성된 가이드판; 상기 이동판과 가이드판 사이의 수용공간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랙기어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회동판의 볼트공에 대응되는 탭볼트공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회동판과 일체화되는 고정부재; 상기 이동판과 가이드판 사이의 수용공간에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이동판의 스토퍼에 맞물리는 스토퍼홈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랙기어에 대향되는 위치에 기어안착홈이 형성된 가변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랙기어와 상기 가변부재의 기어안착홈 사이에 조립되고 일측에는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기어안착홈에 맞대어지며 중앙에 렌치공이 형성되어 있어, 렌치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이 전달되어 가변부재를 이동시키는 회전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힌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에는 이동판의 렌치통과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태와 크기의 렌치통과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이드판에는 이동판의 장볼트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태와 크기의 장슬릿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동판에 형성되는 장볼트공의 장축길이는 더 짧거나 길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문 힌지를 방화문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방화문을 좌우로 이동시켜 편심된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문틀에 방화문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편심조정이 가능하고, 편심 조정작업이 용이하며 조정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방화문과 일체로 고정된 이동판이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장볼트공내에서 연속적으로 조정이 가능하므로 미세한 편심도 조정할 수 있고, 미세한 편심조정이 가능하므로 간섭거리를 좁힐 수 있어 방화문과 문틀 사이의 틈새도 방화문을 설계시부터 상대적으로 더 좁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방화문이 문틀에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힌지에 의해서 방화문이 문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힌지과 결합된 상태를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힌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힌지에서 이동판을 제거한 상태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힌지의 고정부재와 가변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힌지가 문틀에 설치된 상태에서 편심이 조정되기 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힌지가 문틀에 설치된 상태에서 편심이 조정된 후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에는 건물의 내부로 입출할 수 있는 문장착구가 형성된다. 문장착구에는 규격화된 방화문에 맞춰 제작된 문틀을 결합한다. 문틀은 벽체에 매립할 수도 있고, 벽체를 사각형으로 뚫어 내고 여기에 철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형강을 끼워 맞추기도 한다. 문틀의 좌측이나 우측의 상하단에는 힌지브라켓(10)이 일체로 형성되고, 힌지브라켓에는 돌출된 힌지축(12)이 형성되어 있다.
방화문 힌지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회동판(110), 이동판(210), 가이드판(310), 고정부재(410), 가변부재(510), 회전기어(610)로 이루어진다.
회동판(110)은 힌지브라켓(10)의 힌지축(12)에 끼워져 회전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힌지축(12)에 끼워지는 축공(120)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수개의 볼트공(130)이 회동판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회동판(110)의 하부에는 이동판(210)이 결합된다. 이동판(210)은 방화문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된 후 회동판(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이 (ㄱ) 형태로 꺽여져 있고, 이 꺽여진 부분이 방화문의 상단 측면의 모서리에 밀착되며, 꺽여진 부분에 수개의 나사공을 형성하고 대응되는 방화문에 수개의 나사공을 형성하여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이동판(210)과 방화문(D)을 일체로 결합시킨다. 결합을 단단하게 하기 위해서 꺽여지지 않는 다른 일측에도 수개의 나사공을 형성하고 대응되는 방화문 상단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고정나사로 조여 이동판(210)과 방화문(D)을 단단히 결합시킨다.
이동판(210)에는 회동판(110) 하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이동판(210)의 각각의 볼트공(130)에 대응되는 지점에 장볼트공(230)이 형성된다. 장볼트공은 좌우폭이 앞뒤폭 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으로, 앞뒤폭은 이동판의 볼트공(130)직경과 동일하지만 좌우폭은 앞뒤폭 보다 4mm 정도 더 길다. 이는 볼트공(130)에 체결나사(140)가 삽입되어 회동판(110)과 이동판(210)이 결합되더라도 이동판(210)은 앞뒤로는 이동하지 못하지만 좌우로는 4mm 범위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좌우폭의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할 수도 있지만, 방화문 설치시 문틀의 중앙에서 좌우로 2mm 이상의 오차는 거의 나지 않기 때문에 2mm 정도 이동이면 방화문을 조정하여 정중앙에 위치시키는 것이 충분하다.
이동판(210)은 양측의 모서리에 하향되는 측판(220)이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측판에 의해 그 가운데 부분에는 수용공간(222)이 형성된다. 또한, 측판(220)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스토퍼(240)가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스토퍼홈(520)에 맞물린다. 이동판(210)에는 회동판(110)과 결합된 후 남는 일측 상면에 렌치통과공(RH)이 형성된다. 렌치통과공(RH)은 육각렌치가 통과하는 것으로 사용할 육각렌치의 직경보다 크면 된다.
이동판(210)의 아래에는 가이드판(310)이 방화문(D)의 상단에 결합 된다. 가이드판(310)은 방화문의 상단에 매립되어 결합 된다. 방화문의 상단에 매립되지 않아도 가이드판(310)의 기능성에 문제는 없지만 미관을 위해서 가이드판(310)의 상면이 방화문의 상면과 동일평면이 되도록 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판(310)에는 이동판의 장볼트공(23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와 형태의 장슬릿(320)이 형성된다. 가이드판(310)에도 이동판(210)의 렌치통과공(RH)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와 형태의 렌치통과공(RH)이 형성된다.
이동판(210)은 가이드판(310)과 폭과 길이가 동일해서 이동판(210)이 가이드판(310) 위에 올려진 상태가 되는데, 측판(220)에 의해 이동판(210)과 가이드판(310) 사이에 수용공간(222)이 형성된다. 이 수용공간(222)에 고정부재(410)와 가변부재(510)가 형성된다.
고정부재(410)는 수용공간(222)을 폭방향으로 양분했을 때, 가변부재(510)와 서로 대향측에 형성된다. 고정부재(410)에는 회동판(110)의 각각의 볼트공(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산이 형성된 탭볼트공(420)이 형성되고, 볼트공(130)과 탭볼트공(420)의 직경은 동일하여 볼트공(130)과 탭볼트공(420)에 체결나사(140)를 조이면 볼트공(130)이 형성된 회동판(110)과 탭볼트공(420)이 형성된 고정부재(410)가 체결나사(14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고, 회동판(110)과 고정부재(410)가 서로 밀착되면서 가압시킬 수 있다. 반대로 체결나사(140)를 풀면 회동판(110)과 고정부재(410) 사이의 밀착된 거리가 이격 된다. 고정부재(410)의 일측에는 톱니형태의 랙기어(430)가 형성된다.
가변부재(510)는 수용공간(222)을 폭방향으로 양분했을 때, 고정부재(410)의 대향측에 형성된다. 가변부재(510)의 측면에는 스토퍼홈(520)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동판(210)이 올려지면 스토퍼(240)가 스토퍼홈(520)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져 맞물림으로써 이동판(210)과 가변부재(510)는 일체화 되어 길이방향(좌우)으로 일정량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이동판(210)과 가변부재(510)는 함께 움직인다.
가변부재(510)의 일측에는 랙기어(430)에 대향되는 기어안착홈(530)이 형성된다. 기어안착홈(530)은 반원형의 홈으로써 후술하는 회전기어가 안착 되어 기어안착홈내에서 정역으로 회전될 때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랙기어(430)와 기어안착홈(530) 사이는 이격되어 있는데, 그 이격된 공간에 회전기어(610)가 조립된다. 회전기어(610)는 일측에 피니언기어(620)가 형성된 것으로, 피니언기어(620)는 랙기어(430)와 치합되고, 대향측은 기어안착홈(530)에 안착된다. 회전기어(610)의 중심에는 렌치공(630)이 형성된다. 렌치공(630)은 육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렌치공(630)에 육각렌치를 끼워서 돌리면 피니언기어(620)를 통해 고정부재(410)와 가변부재(510)에 외력이 전달되는데, 고정부재(410)는 체결나사(140)를 통해 회동판(1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동하지 못하고 가변부재(510)가 회전기어(610)의 회전거리 만큼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힌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도 5와 같이, 가이드판(310) 위에 고정부재(410)와 가변부재(510)를 올려놓고, 회전기어(610)를 랙기어(430)와 기어안착홈(530) 사이에 조립한다.
가이드판(310) 위에 이동판(210)을 올려놓으면, 이동판(210)의 스토퍼(240)가 가변부재(510)의 스토퍼홈(520)에 끼워져 맞물리게 되고, 이동판의 측판(220)과 가이드판(310)을 용접하여 이동판(210)과 가이드판(310)을 일체화 시킨다. 이동판(210)과 가이드판(310)을 용접하여 일체화된 상태에서 이동판(210)을 방화문의 상단에 결합한다.
이동판(210) 위에 회동판(110)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볼트공(130)을 통해 체결나사(140)를 조이면, 체결나사(140)가 이동판의 볼트공(130)을 통과하면서 고정부재(410)의 탭볼트공(420)에 결합되어 회동판(110)과 고정부재(410)를 서로 밀착되게 가압하면서 이동판(210)도 회동판(110)과 고정부재(410) 사이에 가압된 상태가 된다.
이동판(210)은 방화문(D)에 단단히 고정된 상태이므로, 이동판(210)이 회동판(110)에 가압된 상태는 방화문(D)이 회동판(110)에 결합된 상태이고, 방화문이 회동판(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판(110)의 축공(120)을 문틀에 형성된 힌지축(12)에 끼운다.
회동판(110)의 축공(120)이 문틀의 힌지축(12)에 끼워지면 방화문 힌지에 의해서 방화문이 문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회동판(110)이 힌지축(12)에 결합 된 상태에서 방화문이 문틀의 정중앙에서 좌측이나 우측으로 얼마나 편심되었는지 그 편심 거리를 알 수 있다.
방화문 힌지에 의해 방화문이 문틀에 결합된 후에야, 방화문이 문틀의 정중앙에 위치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방화문 힌지와 방화문을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결합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방화문의 양측단과 문틀 사이의 간격(틈)이 이미 설명한 데로 2mm 가 되어야 하지만 제작 과정에서 허용오차가 생겨 한쪽으로 약간 편심 되어 결합 된다.
편심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체결나사를 조금 풀어 이동판(210)을 회동판(110)과 가변부재(510) 사이의 가압상태에서 해제한다. 실제로 체결나사(140)를 풀어서 1mm 정도만 상향시켜도 이동판(210)은 가압상태에서 풀리게 된다.
이동판(210)이 가압 상태에서 풀리면, 육각렌치를 렌치통과공(RH)에 집어넣어 회전기어(610)의 렌치공(630)에 끼운 후 육각렌치를 돌리면 회전기어가 회전되고, 가변부재(510)가 회전기어(610)의 회전거리 만큼 이동된다. 실제로 편심거리는 2mm 이하이므로 회전기어(610)를 조금만 돌려도 편심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410)는 체결나사(140)에 의하여 회동판(110)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회동판(110)은 축공(120)이 힌지축(12)에 끼워지 상태이므로 이동이 없다. 따라서 육각렌치를 돌리면 외력이 회전기어(610)를 통해 가변부재(510)에 전달되고, 회전기어(610)의 회전거리 만틈 가변부재(510)는 이동하게 된다. 가변부재(510)는 스토퍼(240)와 스토퍼홈(520)의 맞물림으로 이동판(210)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가변부재(510)의 이동이 이동판(210)을 이동시킨다. 이동판이 이동하면 도 7과 도 8과 같이 장볼트공(230) 내에서 이동판(210)이 체결나사(140)를 기준으로 왼쪽으로 이동하여 간격이 D1에서 D2가 된다. 또한, 이동판(210)은 방화문(D)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방화문(D)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방화문과 문틀 사이의 간격이 도 7과 도 8과 같이, 방화문의 이동으로 T1에서 T2가 된다.
이동판(210)은 체결나사(140)가 장볼트공(230)을 관통하고 있더라도, 장볼트공(230)이 체결나사(140)의 직경보다 좌우로 2mm 정도의 여유 거리가 있으므로, 그 여유 거리 이내에서 좌우로 이동되면서 편심이 조정된다.
편심이 조정되면 조금 풀었던 체결나사(140)를 다시 조여 고정부재(410)와 회동판(110) 사이에 끼인 이동판(210)을 단단히 가압함으로써 이동판(210)에 고정된 방화문(D)이 편심 조정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된다.
이와 같이, 방화문이 문틀의 정중앙에 있도록 제작되었지만 제작 과정에서의 허용오차나, 설치 과정에서의 오차 때문에 방화문 힌지를 이용하여 설치하면 편심이 생기지만, 방화문이 문틀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체결나사를 조금만 풀어 이동판을 편심된 거리 만큼 간단하게 이동시켜 그 편심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방화문 힌지에 의해 문틀에 설치되었을 때 체결나사를 완전히 분리하고 방화문 상단에 나사공을 다시 뚫어 조정하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이 편심조정작업이 용이하다.
110 : 회동판 120 : 축공
130 : 볼트공 140 : 체결나사
210 : 이동판 220 : 측벽
230 : 장볼트공 240 : 스토퍼
310 : 가이드판 320 : 장슬릿
410 : 고정부재 420 : 탭볼트공
430 : 랙기어
510 : 가변부재 520 : 스토퍼홈
530 : 기어안착홈
610 : 회전기어 620 : 피니언기어
630 : 렌치공
RH : 렌치통과공

Claims (4)

  1. 건물의 내부로 입출할 수 있도록 뚫린 문장착구에 규격화된 문틀이 고정되고, 상기 문틀에 방화문을 설치할 때, 방화문을 문틀의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방화문 힌지에 있어서,
    일측에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축공이 형성되어, 상기 축공이 문틀에 형성된 힌지축에 끼워져 회전하는 회동판(110);
    상기 방화문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면에는 상기 볼트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볼트공이 형성되며, 상면의 다른 일측에는 렌치통과공이 형성되고, 양측에 측벽이 형성되어 그 측벽에 의해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에는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되고, 체결볼트가 상기 볼트공과 장볼트공에 끼워져 상기 회동판과 결합되는 이동판(210);
    상기 이동판의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방화문에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판의 장볼트공에 대응되는 장슬릿이 형성된 가이드판(310);
    상기 이동판과 가이드판 사이의 수용공간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랙기어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회동판의 볼트공에 대응되는 탭볼트공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회동판과 일체화되는 고정부재(410);
    상기 이동판과 가이드판 사이의 수용공간에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이동판의 스토퍼에 맞물리는 스토퍼홈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랙기어에 대향되는 위치에 기어안착홈이 형성된 가변부재(510); 및
    상기 고정부재의 랙기어와 상기 가변부재의 기어안착홈 사이에 조립되고 일측에는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기어안착홈에 맞대어지며 중앙에 렌치공이 형성되어 있어, 렌치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이 전달되어 가변부재를 이동시키는 회전기어(6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에는 이동판의 렌치통과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태와 크기의 렌치통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힌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에는 이동판의 장볼트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태와 크기의 장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힌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에 형성되는 장볼트공의 장축길이는 더 짧거나 길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힌지.
KR1020160027030A 2016-03-07 2016-03-07 방화문 힌지 KR101845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030A KR101845774B1 (ko) 2016-03-07 2016-03-07 방화문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030A KR101845774B1 (ko) 2016-03-07 2016-03-07 방화문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250A true KR20170104250A (ko) 2017-09-15
KR101845774B1 KR101845774B1 (ko) 2018-04-05

Family

ID=5992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030A KR101845774B1 (ko) 2016-03-07 2016-03-07 방화문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0729A (zh) * 2019-07-11 2019-09-20 杭州晁松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携带的香水散发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267B1 (ko) 2020-10-27 2021-10-26 장금숙 피봇식과 플래그식 조합형 방화문용 힌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8031A (ja) 2001-11-09 2003-05-21 Best Oume:Kk 歯車調整ヒンジ
KR100882472B1 (ko) 2008-07-16 2009-02-06 표진호 기어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가구힌지
KR101268912B1 (ko) * 2012-11-06 2013-05-29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0729A (zh) * 2019-07-11 2019-09-20 杭州晁松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携带的香水散发装置
CN110250729B (zh) * 2019-07-11 2023-06-27 广州市嘉美化妆品有限公司 一种便于携带的香水散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774B1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3299B2 (en) Hinge for door or window
US9670707B2 (en) Door hinge
EP3075940B1 (en) Corner connection device of shower door track,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US20210180392A1 (en) Frame structure and sliding door
US8733026B1 (en) Door assembly
EP0992647B1 (en) Adjustable hinge for door frames
KR101845774B1 (ko) 방화문 힌지
WO2016182852A1 (en) System and methods for securing a hinge to a frame
KR102072149B1 (ko) 3중 슬라이딩 연동 도어의 하부롤러 어셈블리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EP1722057A2 (en) Adjustable Support Device for Door and Window Hinges
JP5210623B2 (ja) 非常用扉の閉鎖装置
KR20110007986U (ko) 도어용 힌지
KR200387445Y1 (ko)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KR200188830Y1 (ko)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조립체
WO2021251353A1 (ja) ヒンジ及び扉機構
KR101202574B1 (ko) 도어용 경첩
KR102430088B1 (ko) 중문용 슬라이딩레일장치
JP4847285B2 (ja) 落し錠の緩み止め構造
KR20180021496A (ko) 도어 힌지 구조체
KR20110049174A (ko) 도어용 하부 힌지 조립체
JP2002081258A (ja) 吊り車型ランナ装置
JP3742987B2 (ja) ヒンジ装置
WO2012168808A1 (en) Adjustable spacer
IT201900009069A1 (it) Giunto di connessione girevole per elementi pieghevoli, in particolare biciclet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