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986U - 도어용 힌지 - Google Patents

도어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986U
KR20110007986U KR2020100001335U KR20100001335U KR20110007986U KR 20110007986 U KR20110007986 U KR 20110007986U KR 2020100001335 U KR2020100001335 U KR 2020100001335U KR 20100001335 U KR20100001335 U KR 20100001335U KR 20110007986 U KR20110007986 U KR 201100079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oor
hole
door frame
suppor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3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416Y1 (ko
Inventor
이병규
Original Assignee
이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규 filed Critical 이병규
Priority to KR20201000013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41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9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9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4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05D7/0423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05D7/083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with a fixed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2007/0469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in an ax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즉 문짝측 고정판부(11)와 축결합부(12)로 이루어지는 문짝측 브라켓(10)과; 문틀측 고정판부(21)와, 상기 축결합부(21)의 높이보다 더 큰 높이로 이격시켜 상기 문틀측 고정판부(21)의 상부와 하부의 판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이들 상하부 이격된 간극 사이에는 상기 축결합부(12)의 축홀(120)이 위치되도록 하는 지지돌부(22)를 형성한 문틀측 브라켓(20)과; 상기 문틀측 브라켓(20)의 저부로부터 하부측 상기 지지돌부(22)의 관통홀(220)과 상기 축결합부(12)의 축홀(120) 및 상부측 상기 지지돌부(22)의 관통홀(220)에 걸쳐 축고정되며, 하부측 상기 지지돌부(22)의 관통홀(220)에는 체결부(21)가 나사결합되고, 상부측 상기 지지돌부(22)의 관통홀(220)에는 가이드축부(32)가 삽입되며, 상호 수직의 동심원상에 구비되는 상기 체결부(31)와 가이드축부(32)간에는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한 지지부(33)가 상기 축결합부(12)의 축홀(120)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한 조정축(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문짝(40)의 미세한 높이 조절과 함께 측방 및 전후방으로의 수평 이동에 의한 간극 조절을 정확하게 할 수가 있도록 하므로서 시공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도어용 힌지{Hinge for door}
본 고안은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짝측 브라켓과 문틀측 브라켓을 연결하는 조정축부의 체결 상태에 따라서 문틀에 대해서 문짝을 미세하게 승강 및 수평 이동시켜 정확하고 안정된 문짝 조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용 힌지는 이용자가 작은 힘으로도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건물 내외부의 출입문 뿐만 아니라, 차량, 기계·전자 제품등의 다양한 종류의 도어에 채용되는 도어 회전 수단이다.
도어용 힌지는 그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갖는데 크게 도어의 외면상에 부착되는 도어 힌지 및 도어가 안착되는 도어 프레임 상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도어 프레임용 힌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이렇게 도어용 힌지는 도어에 부착되는 구성과 도어 프레임에 부착되는 구성이 한 조를 이루면서 이들의 결합에 의해서 도어가 회전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용 힌지를 건물에 적용 시에는 도어는 문짝이 되고, 도어 프레임은 문틀이 된다.
한편 종전의 도어용 힌지는 단순히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도어가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 개선에만 초점을 맞추어 개발이 되고 있다.
특히 도어는 도어 프레임과의 맞춤 결합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로 제작되나, 이러한 도어와 도어 프레임간 조립 시 이들 도어와 도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도어용 힌지의 결합 위치에 따라서 조립 편차가 발생된다.
이러한 조립 편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초 도어용 힌지가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어야 하나 사실상 이는 거의 불가능하며, 따라서 현재는 육안 확인에 의해서만 대충 맞추는 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도어가 도어 프레임에 정확히 조립되지 못하면 조립 이후에 조립 편차가 더욱 커지면서 급기야는 도어의 개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도 하며, 이로 인해 발생되는 하자 보수가 빈번해지면서 시공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문틀에 대해서 문짝의 미세한 높이 조절 및 수평의 간극 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하므로써 도어 시공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도어용 힌지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문틀과 문짝에의 체결과 문틀에의 문짝 조립이 보다 간소하게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도어용 힌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도어용 힌지는, 문짝에 면밀착되는 평판의 판면에 복수의 체결홀을 형성한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시켜 타단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축홀이 형성되도록 한 축결합부로 이루어지는 문짝측 브라켓과; 문틀에 일면이 밀착되는 평판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체결홀을 형성한 문틀측 고정판부와, 상기 축결합부의 높이보다 더 큰 높이로 이격시켜 상기 문틀측 고정판부의 상부와 하부의 판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이들 상하부 이격된 간극 사이에는 상기 축결합부의 축홀이 위치되도록 하는 지지돌부를 형성한 문틀측 브라켓과; 상기 문틀측 브라켓의 저부로부터 하부측 상기 지지돌부의 관통홀과 상기 축결합부의 축홀 및 상부측 상기 지지돌부의 관통홀에 걸쳐 축고정되며, 하부측 상기 지지돌부의 관통홀에는 체결부가 나사결합되고, 상부측 상기 지지돌부의 관통홀에는 가이드축부가 삽입되며, 상호 수직의 동심원상에 구비되는 상기 체결부와 가이드축부간에는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한 지지부가 상기 축결합부의 축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한 조정축;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특징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서 본 고안의 도어용 힌지에 의해서는 문틀에 대해서 문짝의 미세한 높이 조절과 함께 측방 및 전후방으로의 수평 이동에 의한 간극 조절을 정확하게 할 수가 있도록 하므로서 정확한 조립 시공에 따른 시공의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도어용 힌지는 조립 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손쉽게 할 수가 있으므로 시공의 편의를 제공하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힌지의 분해된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힌지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도어용 힌지를 적용한 구성을 예시한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도어용 힌지에 의해 문짝을 상승시키기 전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도어용 힌지에 의해 문짝을 일정한 높이로 상승시킨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도어용 힌지에 의해 문짝을 일정한 폭으로 수평 이동시킨 구조를 도시한 평면 구조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힌지의 분해된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힌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어용 힌지는 크게 한 쌍의 문짝측 브라켓(10)과 문틀측 브라켓(20) 및 조정축(3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문짝측 브라켓(10)은 다시 일측의 문짝측 고정판부(11)와 타측의 축결합부(12)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문짝측 고정판부(11)는 문짝에 일면이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일정한 면적을 갖는 평판의 구성으로서, 판면에는 복수 개의 체결홀(110)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축결합부(12)는 문짝측 고정판부(1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하고, 연장단부에는 수직으로 일정한 직경으로 관통되도록 한 축홀(120)이 형성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때 축결합부(12)는 문짝측 고정판부(11)의 일단으로부터 축홀(120)을 형성한 타단측으로 문짝측과는 반대 방향으로 점차 돌출되게 경사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축결합부(12)의 축홀(120)에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부싱(13)이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문짝측 브라켓(10)을 축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문틀측 브라켓(20)은 문틀측으로 고정 결합되는 문틀측 고정판부(21)와 이 문틀측 고정판부(21)의 판면으로부터 정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부(22)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문틀측 고정판부(21)는 문짝 프레임(10)의 문짝측 고정판부(11)와는 대응되게 문틀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평판의 판면에 체결홀(210)이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문틀측 고정판부(21)의 판면으로부터는 문짝측 축결합부(12)의 높이보다는 더 높은 간격으로 이격시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지지돌부(22)가 전방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하면서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문틀측 고정판부(21)는 평판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 문짝측 브라켓(10)이 결합되는 문짝에 가까이 인접하는 문틀에서 문짝측 브라켓(10)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긴밀하게 면밀착되도록 하여 스크류 등의 체결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문틀측 고정판부(21)의 상단부와 하단부측 판면에는 문틀에 스크류 등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홀(210)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돌부(22)는 문틀측 고정판부(21)의 상부와 하부측 판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한 길이가 돌출되도록 하면서 각각의 돌출된 판면에는 동일한 수직의 중심선상에 관통홀(220)을 형성하며, 이들 중 하부의 지지돌부(22)에 형성되는 관통홀(220)에는 내경부에 나사산(221)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부와 하부의 지지돌부(22)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홀(220)은 서로 다른 내경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축결합부(12)의 축홀(120)의 내경을 기준으로 하부의 지지돌부(22)에 형성되는 관통홀(220)은 축홀(120)의 내경보다는 큰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부의 지지돌부(22)에 형성되는 관통홀(220)은 축홀(120)의 내경보다는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문틀측 고정판부(21)에서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돌부(22)에는 관통홀(220)과 연통되도록 측방으로부터 나선홀(222)을 형성하고, 나선홀(222)에는 고정볼트(223)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문짝측 브라켓(10)과 문틀측 브라켓(20)을 연결하는 조정축(30)은 외경이 다른 2단으로 단차지게 형성한 구성으로서, 즉 가장 외경이 큰 하단부의 체결부(31)와 가장 작은 외경을 갖는 상단부의 가이드축부(32)와 이들 사이에서 체결부(31)보다는 작고 가이드축부(32)보다는 큰 외경을 갖도록 하는 지지부(33)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형상이다.
다만 상기의 구성에서 하단부의 체결부(31)와 상단부의 가이드축부(32)는 동일한 중심의 수직선상에 형성되나 이 사이의 지지부(33)는 이들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한다.
특히 지지부(33)는 상하부 지지돌부(22)간 간극보다는 짧은 길이로 형성되도록 하고, 지지부(33)의 외경은 축결합부(12)의 축홀(120)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축홀(12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압착 끼워지는 부싱(13)은 내경이 조정축(30)의 지지부(33)와 미세하게 이격되도록 하므로서 지지부(33)를 축으로 문짝측 브라켓(10)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한다.
다만 축홀(120)의 내경은 조정축(30)의 체결부(31)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되게 하므로써 문짝측 브라켓(10)의 축결합부(12)는 하단부가 조정축(30)의 단차진 체결부(31) 상단면에 안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4는 멈춤링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도어용 힌지를 이용한 사용 양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도어용 힌지를 적용한 구성을 예시한 사용 상태도, 도 4와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도어용 힌지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어용 힌지는 문짝(40)과 문틀(50)에 각각 스크류 체결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문짝(40)에는 문짝측 브라켓(10)의 문짝측 고정판부(11)가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판면에 복수 개로 형성한 체결홀(110)을 통해 스크류(6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 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문틀(50)에는 문틀측 브라켓(20)의 문틀측 고정판부(21)가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이 문틀측 고정판부(2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형성한 체결홀(210)을 통해 스크류를 이용해서 견고하게 체결 고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문짝(40)과 문틀(50)에 각각 체결된 문짝측 브라켓(10)과 문틀측 브라켓(20)은 축결합부(12)의 축홀(120)을 형성한 단부가 상하부 지지돌부(22)의 사이에서 조정축(30)에 의하여 축지지되도록 하면서 상호 연결도록 한다.
이때 축결합부(12)의 단부를 상하부 지지돌부(22)의 사이에서 축홀(120)이 관통홀(220)과 수직의 동심원상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하부측 지지돌부(22)의 관통홀(220)을 통해 조정축(30)이 상향으로 끼워지도록 한다.
조정축(30)은 하부측 지지돌부(22)의 관통홀(220)을 통과해서 축결합부(12)의 축홀(120)을 관통하여 상부측 지지돌부(22)의 관통홀(220)에 걸쳐서 결합되며, 이때 조정축(30)은 하단부의 체결부(31)가 하부측 지지돌부(22)의 관통홀(220)에 형성한 나사산(221)과 나사결합되므로써 지지돌부(22)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가 된다.
조정축(30)을 회전시키는 방향과 정도에 의해서 조정축(30)의 높이가 조정되며, 조정축(30)의 높이에 따라 조정축(30)의 지지부(33)에 축지지되는 문짝측 브라켓(10)의 축결합부(12)가 이동하게 되므로 결국 문짝측 브라켓트(10)의 높이가 조정되는 것이다.
다만 조정축(30)의 회전수에 따라 높이는 미세하게 달라지게 되므로 조정축(30)의 조작에 의해서는 문짝 높이의 미세 조정에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정축(30)의 상승 높이는 문틀(50)에 대한 문짝(40)의 조립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적절히 회전 조작한다.
한편 조정축(30)을 회전 조작 시 지지돌부(22)에 축지지되는 체결부(31)와 가이드축부(32)에 대해 그 사이의 지지부(33)는 도 6에서와 같이 측방으로 편심된 상태이므로 지지부(33)는 체결부(31)와 가이드축부(32)에 대해 편심 거리만큼을 보다 크게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조정축(30)를 일회전시킬 때마다 문짝측 브라켓(10)은 체결부(31)와 가이드축부(32)의 중심으로부터 측방과 전후방으로 지지부(33)의 편심 거리만큼 수평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문짝(40)의 문틀(50)로부터 이격되는 간극을 확인하면서 조정축(30)을 회전시키게 되면 그 간극을 최적화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조정 작업 시 조정축(30)의 조작에 의한 높이 조절을 조정축(30)의 회전수 조절에 의해서 수행하고, 적정한 높이에서 조정축(30)을 최대 한 바퀴 내에서 회전되게 하므로써 문짝(40)의 측방 내지는 전후방으로 수평 이동은 조정축부(23)를 최대한 한 바퀴 회전시키는 그 안에서 이동 범위가 결정되므로 결국 문짝(30)의 상하 및 양측방과 전후방의 수평 방향으로의 미세 조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정확한 도어 조립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문짝(30)의 높이와 수평 조정이 정확히 이루어지면 상부측 지지돌부(22b)에서 측방으로 형성한 나선홀(222)을 통해 고정볼트(223)를 결합시키면서 고정볼트(223)의 삽입단부가 관통홀(220)에 삽입된 조정축(30)의 가이드축부(32)의 측면에 견고하게 압착되게 하므로써 조정축(30)을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이렇게 고정볼트(223)를 이용해서 조정축(30)를 고정시키게 되면 높이와 수평의 간극 조정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되며, 장기적으로는 사용 중 문짝(40)의 위치 변경 시 고정볼트(223)의 조작에 의해 조정축(3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킨 후 조정축(30)을 간단히 회전 조작함에 의해서 재차 정확한 조립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10 : 문짝측 브라켓
11 : 문짝측 고정판부
110 : 체결홀
12 : 축결합부
120 : 축홀
13 : 부싱
14 : 멈춤링
20 : 문틀측 브라켓
21 : 문틀측 고정판부
210 : 체결홀
22 : 지지돌부
220 : 관통홀
221 : 나사선
222 : 나선홀
223 : 고정볼트
30 : 조정축
31 : 체결부
32 : 가이드축부
33 : 지지부

Claims (4)

  1. 문짝(40)에 면밀착되는 평판의 판면에 복수의 체결홀(110)을 형성한 고정판부(11)와, 상기 고정판부(1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시켜 타단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축홀(120)이 형성되도록 한 축결합부(12)로 이루어지는 문짝측 브라켓(10)과;
    문틀(50)에 일면이 밀착되는 평판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체결홀(210)을 형성한 문틀측 고정판부(21)와, 상기 축결합부(21)의 높이보다 더 큰 높이로 이격시켜 상기 문틀측 고정판부(21)의 상부와 하부의 판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이들 상하부 이격된 간극 사이에는 상기 축결합부(12)의 축홀(120)이 위치되도록 하는 지지돌부(22)를 형성한 문틀측 브라켓(20)과;
    상기 문틀측 브라켓(20)의 저부로부터 하부측 상기 지지돌부(22)의 관통홀(220)과 상기 축결합부(12)의 축홀(120) 및 상부측 상기 지지돌부(22)의 관통홀(220)에 걸쳐 축고정되며, 하부측 상기 지지돌부(22)의 관통홀(220)에는 체결부(21)가 나사결합되고, 상부측 상기 지지돌부(22)의 관통홀(220)에는 가이드축부(32)가 삽입되며, 상호 수직의 동심원상에 구비되는 상기 체결부(31)와 가이드축부(32)간에는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한 지지부(33)가 상기 축결합부(12)의 축홀(120)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한 조정축(30);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도어용 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결합부(12)의 축홀(120)에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부싱(13)이 끼워지는 도어용 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측 고정판부(21)에서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돌부(22)에는 관통홀(220)과 연통되도록 측방으로부터 나선홀(222)을 형성하고, 나선홀(222)에는 고정볼트(223)가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관통홀(220)에 삽입된 조정축(30)의 상단부의 유동이 방지되게 고정하는 도어용 힌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축(30)은 상기 체결부(31)의 외경이 가장 크고, 상기 체결부(31)의 상부에는 상기 체결부(31)의 외경과 상기 축결합부(12)의 축홀(12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지지부(33)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33)의 상부에는 상부의 지지돌부(22)에 형성한 관통홀(22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가이드축부(32)가 형성되는 도어용 힌지.
KR2020100001335U 2010-02-05 2010-02-05 도어용 힌지 KR200464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335U KR200464416Y1 (ko) 2010-02-05 2010-02-05 도어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335U KR200464416Y1 (ko) 2010-02-05 2010-02-05 도어용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986U true KR20110007986U (ko) 2011-08-11
KR200464416Y1 KR200464416Y1 (ko) 2013-01-02

Family

ID=4559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335U KR200464416Y1 (ko) 2010-02-05 2010-02-05 도어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4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831B1 (ko) * 2011-06-03 2013-04-22 (주)대성스텐 뒤틀림 방지를 위한 정밀한 교정 작업이 가능한 경첩 및 상기 경첩을 이용한 장착방법
CN104420748A (zh) * 2013-08-22 2015-03-18 江苏卡威汽车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车门铰链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749Y1 (ko) 2014-05-29 2016-03-04 성 운 윤 높이 조절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용 경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852A (ja) * 1998-05-11 2000-02-02 Eiwa Kogyo Kk 蝶 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831B1 (ko) * 2011-06-03 2013-04-22 (주)대성스텐 뒤틀림 방지를 위한 정밀한 교정 작업이 가능한 경첩 및 상기 경첩을 이용한 장착방법
CN104420748A (zh) * 2013-08-22 2015-03-18 江苏卡威汽车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车门铰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416Y1 (ko)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0017B2 (ja) 隠蔽型ドアのヒンジ
US8490246B2 (en) Adjustable hinge
US9670707B2 (en) Door hinge
US8413299B2 (en) Hinge for door or window
EP0992647B1 (en) Adjustable hinge for door frames
US7694388B2 (en) Adjustable hinge
KR200464416Y1 (ko) 도어용 힌지
US8863358B2 (en) Adjustable hinge
KR102176888B1 (ko) 도어 수직바의 위치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도어
KR101640993B1 (ko) 도어용 힌지 장치
KR101952261B1 (ko) 여닫이문의 피봇힌지
GB0620606D0 (en) Door hinge structure
JP4101259B2 (ja) ガラス製扉用の蝶番機構
JP5358042B2 (ja) 隠し丁番
KR20080050137A (ko) 냉장고 도어의 하부 힌지
KR102532350B1 (ko) 여닫이용 하부 힌지장치
KR200387445Y1 (ko)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EP3508673A1 (en) Self-balancing sliding wheel
JP5219085B2 (ja) 扉用ヒンジ
KR102517192B1 (ko)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
CN219344408U (zh) 一种冰箱及其铰链组件
KR200413272Y1 (ko) 싱크대용 경첩
KR200454836Y1 (ko) 출입문용 힌지 및 이를 구비한 출입문 조립체
KR100262397B1 (ko) 냉장고의 도어높이 조절장치
KR102397243B1 (ko) 결합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