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308A -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 - Google Patents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308A
KR20170103308A KR1020160025920A KR20160025920A KR20170103308A KR 20170103308 A KR20170103308 A KR 20170103308A KR 1020160025920 A KR1020160025920 A KR 1020160025920A KR 20160025920 A KR20160025920 A KR 20160025920A KR 20170103308 A KR20170103308 A KR 20170103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table
wire
rod
holder
w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2766B1 (ko
Inventor
박봉서
Original Assignee
박봉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서 filed Critical 박봉서
Priority to KR1020160025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766B1/ko
Publication of KR2017010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3/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substantially two- dimensionally for carving, engraving, or guilloching shallow ornamenting or markings
    • B44B3/06Accessories, e.g. tool or work holders
    • B44B3/065Work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1/00Tables with tops revolvable on vertical spi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36Table tops pivotable around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각작업시 작업대상물을 고정 지지하고 필요에 따라 손쉽게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서작작업용 회전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서각을 지지하며 하부 중심측에 베어링이 장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테이블과; 상기 회전테이블의 하부 중심측에 장착된 베어링이 중심측 함몰홈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테이블을 회전지지하는 지지어셈블리와; 상기 지지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회전테이블의 회전을 제동 또는 제동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제동부; 및 상기 회전테이블의 양측에 각각 탄력적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테이블 상에 안착되는 서각을 고정하는 서각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ROTATION TABLE}
본 발명은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각작업시 작업대상물을 고정 지지하고 필요에 따라 손쉽게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서작작업용 회전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인류가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한 역사는 대략 6000년 정도로 추정된다. 문자로써 지금까지 발굴된 유물 가운데 최초의 것은 중국 은상(殷商) 시대의 갑골문이다. 그러나 서각의 뿌리를 찾아 거슬러 올라가면 선사시대에 이미 새김질의 문화는 시작되었다(대한민국서각인 연감, 2004).
이 시대에는 문자가 발달되기 이전이므로 새기는 대상이 주로 생활 및 주술적 행위를 나타내는 그림이나 기호 등이었는데, 이것이 발전되어 문자의 원류로 이어진다. 이때는 새김질의 재료가 대부분 돌이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경상남도 울주군 언양면 대곡리와 천전리 강가에서 발견된 반구대 암각화이다. 이 반구대 암각화를 살펴보면, 이때도 이미 음각, 양각 기법을 동시에 사용하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후 청동기 및 철기시대를 거쳐 오면서 다뉴세문경 및 농경문청동기와 같이 종교의식에 쓰이는 도구에다 새김질을 하였다. 이후,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는 불교문화의 유입으로 이전과는 달리 문자의 사용이 점차 보편화됨에 따라 문자와 결합한 형태로 변화하여 주로 돌에다 비문을 새기거나 불상, 탑, 종, 사리용구 등에 새김질을 하였다. 이시대의 대표적인 서각작품으로 광개토대왕비와 남한산성비를 꼽을 수 있다.
고려시대의 서각을 살펴보면, 이전의 금석문뿐만이 아니라 불교경전 및 문집의 출판 등으로까지 이어지는 새김질 문화가 확산되어갔음을 알 수 있다. 이 시대의 대표적 서각작품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는 해인사고려대장경판을 들 수 있다.
조선시대로 넘어가서는 숭유 억물 정책으로 인하여 불교에 관련된 새김질 문화는 쇠퇴하고 주로 유교와 관련된 문집용 목판과 궁궐, 향교, 서원, 누대, 정자 등의 현판, 주련을 제작하는 새김질 문화가 발달되었다. 이시대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5대문(경복궁, 창경궁, 덕수궁, 경희궁, 창덕궁)의 현판을 들 수 있다.
근대에 와서 새김질 문화는 금속 활자의 목활자 발명의 영향을 입어 주로 문집 출판용으로 발전되어 갔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훈민정음 목판본과 대동여지도, 수선전도 등의 목판본이 있다.
그런데 현대에 와서는 새김질 문화에 사용되는 서각용 재료는 돌과 나무에 국한되지 않고 나무, 돌, 쇠, 폴리코트, 테라코타, 지점토, 석고, 우드락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작품의 다양성과 특색있는 도흔(刀痕)의 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목적도 있지만, 작품제작이 용이한 나무재료의 구입이 쉽지 않고, 특히 광폭의 재료는 더더욱 얻기가 어려워진 탓도 있다.
이외에도 하나의 작품제작을 위해 다양한 각도로 조각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난이도가 높아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서각작업을 할 대상이 안치되는 테이블 상에 이곳 저곳을 옮겨 다니며 목적하는 위치에 서각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 불편과 작업 시간이 증대되어 작업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정된 위치에 서서 서각작업을 할 대상을 원하는 위치로 고정시켜 서각작업을 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며 서각판재의 크기에 상관없이 고정지지가능하며 서각판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서각을 지지하며 하부 중심측에 베어링이 장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테이블과; 상기 회전테이블의 하부 중심측에 장착된 베어링이 중심측 함몰홈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테이블을 회전지지하는 지지어셈블리와; 상기 지지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회전테이블의 회전을 제동 또는 제동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제동부; 및 상기 회전테이블의 양측에 각각 탄력적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테이블 상에 안착되는 서각을 고정하는 서각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어셈블리는 상기 회전테이블의 하부 중심측에 장착된 베어링이 압입되어 수용하는 회전지지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봉체로 이루어지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봉체를 수용하되 봉체가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제1지지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수용봉체와, 상기 수용봉체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수용봉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로 이루어지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제동부는 상기 베이스부 상에 탄력적으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지는 페달부와, 상기 페달부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페달부의 접힘에 따라 하강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하부측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지지부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테이블의 저면측에 원호상으로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는 제동홈에 최상단이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어 회전테이블의 제동 및 제동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동체는 최상단에 형성되는 제동돌기와, 상기 제동돌기 하부측에 연결되는 플렌지부와, 상기 플렌지부 하부측으로 형성되며 플렌지부 보다 직경이 작은 수용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수용관부의 하부측과 연결되어 와이어의 하강에 따라 동반 하강되되, 상기 회전지지부 상에 제동체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의 상부측은 플렌지부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플렌지부의 하부측으로 수용관부 외연을 따라 관통공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재가 더 포함됨에 따라 와이어의 하강시 스프링부재의 복원력이 상부측으로 작용한다.
아울러 상기 서각고정부는 상기 회전테이블의 양측 각각에서 2개소로 타측방향을 향해 수평하게 천공된 홀더수용홈에 일정부분 삽입되는 'ㄴ'형상의 홀더브라켓과, 상기 양측에 2개소로 구성되는 홀더브라켓 중 일측 2개소의 홀더브라켓 간을 결합하는 결합봉과, 상기 회전테이블의 저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탄성지지봉과, 상기 홀더브라켓의 저면 일측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홀더지지봉과 상기 탄성지지봉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이들 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서각고정부는 결합봉을 외측으로 푸싱하여 홀더브라켓 간의 간격을 조절가능한 간격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격조정부는 봉체의 일정 위치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한쌍의 링체를 관통하여 일측 단부가 결합봉에 접하도록 이루어지는 푸싱체와, 상기 푸싱체의 타측 단부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홀더브라켓 간 간격을 조절하는 가압나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각을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서각의 폭에 다양하게 호환가능하도록 서각고정부가 구성되며, 지지어셈블리가 높이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서각의 높이 또한 조절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의 분해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테이블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제동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각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각고정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C-C'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의 분해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테이블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아울러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제동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각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각고정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은 서각을 지지하며 하부 중심측에 베어링(B)이 장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테이블(10)과, 상기 회전테이블(10)의 하부 중심측에 장착된 베어링(B)이 중심측 함몰홈(21aa)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테이블(10)을 회전지지하는 지지어셈블리(20)와, 상기 지지어셈블리(20)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와이어(32)가 당겨짐에 따라 회전테이블(10)의 회전을 제동 또는 제동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제동부(30) 및 상기 회전테이블(10)의 양측에 각각 탄력적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테이블(10) 상에 안착되는 서각을 고정하는 서각고정부(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테이블(10)은 서각작업시 서각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회전테이블(10)은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특정 회전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테이블(10)은 서각작업시 서각을 고정시킴은 물론 다양한 방향에서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가 해당 방향으로 계속하여 위치 이동을 하여야 하는 불편을 없애기 위해 필요한 위치로 서각을 돌려 고정시킨 후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회전테이블(10)에 서각을 고정시키되 다양한 크기의 서각을 고정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간격 이동이 가능한 서각고정부(40)를 구비하여 사용가능한 서각의 호환성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테이블(10)은 상기 지지어셈블리(20) 및 회전제동부(30)에 의해 회전가능함과 동시에 특정 회전위치로 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지지어셈블리(20)는 상기 회전테이블(10)의 하부 중심측에 장착된 베어링(B)이 압입되어 수용하는 회전지지부(21a)와, 상기 회전지지부(21a)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봉체(21b)로 이루어지는 제1지지부(21)와, 상기 제1지지부(21)의 봉체(21b)를 수용하되 봉체(21b)가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제1지지부(21)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수용봉체(22a)와, 상기 수용봉체(22a)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수용봉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부(22b)로 이루어지는 제2지지부(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21)는 회전지지부(21a)와 봉체(21b)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제1지지부(21)와 후술할 제2지지부(22)는 슬라이딩 결합하여 회전테이블(10)의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별도의 높이 고정수단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슬라이딩을 통해 위치이동한 후 볼트부재 등을 통해 해당 높이로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부(21a)의 상부측에는 회전테이블(10)의 저면측에 장착되는 베어링(B)이 압입되는 함몰홈(21aa)이 형성되어 회전테이블(10)과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제2지지부(22)는 수용봉체(22a)와 베이스부(22b)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용봉체(22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부(21)의 봉체(21b)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수용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22b)는 상기 수용봉체(22a)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베이스부(22b)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제동부(30)는 회전테이블(10)을 원하는 위치로 회전 후 위치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회전제동부(30)는 상기 베이스부(22b) 상에 탄력적으로 복원되록 이루어지는 페달부(31)와, 상기 페달부(31)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페달부(31)의 접힘에 따라 하강하는 와이어(32)와, 상기 와이어(32)의 타단이 하부측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지지부(21a)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테이블(10)의 저면측에 원호상으로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는 제동홈(10a)에 최상단이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어 회전테이블(10)의 제동 및 제동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동체(33)로 구성된다.
상기 페달부(31)는 일측에 힌지결합방식으로 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스프링복원수단을 통해 폴딩을 위한 가압 후 가압력이 해제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페달부(31)의 단부에 결합된 와이어(32)가 페달부(31)의 폴딩에 따라 하부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러한 와이어(32)의 당김력은 상기 제동체(33)를 하부측으로 위치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동체(33)가 하부측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동체(33)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동돌기(33a)가 회전테이블(10)의 제동홈(10a)에서 이탈하여 자유롭게 회전테이블(10)이 회전가능해지고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킨 후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대로 페달부(31)의 가압력을 해제하여 제동체(33)를 상부측으로 위치이동시켜 상기 제동돌기(33a)가 제동홈(10a)에 끼워지도록 한다.
따라서 회전 위치 고정을 위한 제동체(33)는 최상단에 형성되는 제동돌기(33a)와, 상기 제동돌기(33a) 하부측에 연결되는 플렌지부(33b)와, 상기 플렌지부(33b) 하부측으로 형성되며 플렌지부(33b) 보다 직경이 작은 수용관부(33c)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32)는 상기 수용관부(33c)의 하부측과 연결되어 와이어(32)의 하강에 따라 동반 하강되되, 상기 회전지지부(21a) 상에 제동체(33)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21ab)의 상부측은 플렌지부(33b)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플렌지부(33b)의 하부측으로 수용관부(33c) 외연을 따라 관통공(21ab)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재(21c)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부재(21c)의 복원력에 의해 와이어(32)의 상승시 제동체(33)가 상부측으로 위치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각고정부(40)는 상기 회전테이블(10)에 위치되는 서각을 양측에서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서각고정부(40)는 상기 회전테이블(10)의 양측 각각에서 2개소로 타측방향을 향해 수평하게 천공된 홀더수용홈(10b)에 일정부분 삽입되는 'ㄴ'형상의 홀더브라켓(51)과, 상기 양측에 2개소로 구성되는 홀더브라켓(51) 중 일측 2개소의 홀더브라켓(51) 간을 결합하는 결합봉(52)과, 상기 회전테이블(10)의 저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탄성지지봉(54)과, 상기 홀더브라켓(51)의 저면 일측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홀더지지봉(51a)과 상기 탄성지지봉(54)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이들 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5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서각고정부(40)는 결합봉(52)을 외측으로 푸싱하여 홀더브라켓(51) 간의 간격을 조절가능한 간격조정부(40a)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정부(40a)는 봉체(21b)의 일정 위치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한쌍의 링체(21ba)를 관통하여 일측 단부가 결합봉(52)에 접하도록 이루어지는 푸싱체(56)와, 상기 푸싱체(56)의 타측 단부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홀더브라켓(51) 간 간격을 조절하는 가압나사체(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C-C'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테이블(10)은 봉체(21b)에 각도조절부(60)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작업하기 용이한 각도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도조절부(60)는 봉체(21b)의 어느 일정 지점에 서로 분리되되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상부봉체(21ba) 및 하부봉체(21bb)와, 상기 상부봉체(21ba)의 힌지결합공(21bc) 하부측에 형성되는 고정결합공(21bd)과 핀 결합되어 고정가능하도록 핀결합공(21be)을 가지며 상기 하부봉체(21bb)의 외측에 연장형성되는 연장판부(21bf)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봉체(21ba)를 목적하는 위치로 회전한 후 핀(P)을 상기 연장판부(21bf)의 핀결합공(21be) 및 이에 위치적으로 대응되는 고정결합공(21bd) 모두 관통하여 상기 상부봉체(21ba)와 하부봉체(21bb) 간 힌지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연장판부(21bf)의 핀결합공(21be)은 상부봉체(21ba)의 회동에 따라 고정결합공(21bd)이 회동하는 경로상에 위치하여야 하며 복수개의 고정결합공(21bd) 개수가 많을수록 보다 세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서각작업을 앉은 상태에서 할 수 있게 되며, 가장 편한 상태로 회전테이블(10)을 설정하여 작업함에 따라 작업피로도가 감소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 회전테이블 20 : 지지어셈블리
30 : 회전제동부 40 : 서각고정부

Claims (6)

  1. 서각을 지지하며 하부 중심측에 베어링(B)이 장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테이블(10)과;
    상기 회전테이블(10)의 하부 중심측에 장착된 베어링(B)이 중심측 함몰홈(21aa)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테이블(10)을 회전지지하는 지지어셈블리(20)와;
    상기 지지어셈블리(20)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와이어(32)가 당겨짐에 따라 회전테이블(10)의 회전을 제동 또는 제동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제동부(30); 및
    상기 회전테이블(10)의 양측에 각각 탄력적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테이블(10) 상에 안착되는 서각을 고정하는 서각고정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어셈블리(20)는
    상기 회전테이블(10)의 하부 중심측에 장착된 베어링(B)이 압입되어 수용하는 회전지지부(21a)와 상기 회전지지부(21a)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봉체(21b)로 이루어지는 제1지지부(21)와,
    상기 제1지지부(21)의 봉체(21b)를 수용하되 봉체(21b)가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제1지지부(21)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수용봉체(22a)와, 상기 수용봉체(22a)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수용봉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부(22b)로 이루어지는 제2지지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동부(30)는
    상기 베이스부(22b) 상에 탄력적으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지는 페달부(31)와, 상기 페달부(31)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페달부(31)의 접힘에 따라 하강하는 와이어(32)와, 상기 와이어(32)의 타단이 하부측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지지부(21a)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테이블(10)의 저면측에 원호상으로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는 제동홈(10a)에 최상단이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어 회전테이블(10)의 제동 및 제동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동체(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체(33)는
    최상단에 형성되는 제동돌기(33a)와, 상기 제동돌기(33a) 하부측에 연결되는 플렌지부(33b)와, 상기 플렌지부(33b) 하부측으로 형성되며 플렌지부(33b) 보다 직경이 작은 수용관부(33c)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32)는 상기 수용관부(33c)의 하부측과 연결되어 와이어(32)의 하강에 따라 동반 하강되되,
    상기 회전지지부(21a) 상에 제동체(33)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21ab)의 상부측은 플렌지부(33b)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플렌지부(33b)의 하부측으로 수용관부(33c) 외연을 따라 관통공(21ab)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재(21c)가 더 포함됨에 따라 와이어(32)의 하강시 스프링부재(21c)의 복원력이 상부측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각고정부(40)는
    상기 회전테이블(10)의 양측 각각에서 2개소로 타측방향을 향해 수평하게 천공된 홀더수용홈(10b)에 일정부분 삽입되는 'ㄴ'형상의 홀더브라켓(51)과, 상기 양측에 2개소로 구성되는 홀더브라켓(51) 중 일측 2개소의 홀더브라켓(51) 간을 결합하는 결합봉(52)과, 상기 회전테이블(10)의 저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탄성지지봉(54)과, 상기 홀더브라켓(51)의 저면 일측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홀더지지봉(51a)과 상기 탄성지지봉(54)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이들 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각고정부(40)는
    결합봉(52)을 외측으로 푸싱하여 홀더브라켓(51) 간의 간격을 조절가능한 간격조정부(40a)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격조정부(40a)는
    봉체(21b)의 일정 위치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한쌍의 링체(21ba)를 관통하여 일측 단부가 결합봉(52)에 접하도록 이루어지는 푸싱체(56)와, 상기 푸싱체(56)의 타측 단부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홀더브라켓(51) 간 간격을 조절하는 가압나사체(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







KR1020160025920A 2016-03-03 2016-03-03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 KR101812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920A KR101812766B1 (ko) 2016-03-03 2016-03-03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920A KR101812766B1 (ko) 2016-03-03 2016-03-03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308A true KR20170103308A (ko) 2017-09-13
KR101812766B1 KR101812766B1 (ko) 2017-12-28

Family

ID=5996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920A KR101812766B1 (ko) 2016-03-03 2016-03-03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7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230A (ko) 2020-08-20 2022-03-02 (주)파버나인 턴 테이블 장치
KR102534588B1 (ko) * 2022-04-01 2023-05-26 김천도 돔 구조물용 작업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230A (ko) 2020-08-20 2022-03-02 (주)파버나인 턴 테이블 장치
KR102534588B1 (ko) * 2022-04-01 2023-05-26 김천도 돔 구조물용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766B1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766B1 (ko)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
JP2006198868A5 (ko)
ATE293910T1 (de) Stuhl
JPS5850816B2 (ja) 締付装置
CN105415451A (zh) 一种用于木板钻孔的定位固定机构
KR100743935B1 (ko) 의자의 팔걸이 조절장치
DE60130796D1 (de) Höheneinstellmechanismus
US2888759A (en) Ironing board with built-in midget board
JP2007181614A (ja) 椅子の足掛け
US6017089A (en) Arrangement in a chair, especially for regulating the level of the seat, etc.
JP2009126059A (ja) バイス装置及び切断機
KR101400683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TWD200722S (zh) 可調整的支座
US1128240A (en) Arbor-press.
KR100954505B1 (ko) 자유로운 배치가 가능한 테이블
US1357825A (en) Adjustable stool or chair
KR20080003591A (ko)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JP2001104514A (ja) サドル高さ調節装置
JP4584644B2 (ja) シャワーフック
JP3214656U (ja) 介護用歩行器の背当て支持機構部
JP2007282858A (ja) マネキン人形とマネキン人形用スタンド
JP3169122U (ja) ドアストッパ
KR101676540B1 (ko) 테이블 및 책상가변형 의자
CN201375947Y (zh) 可调淋浴头支架
KR200395675Y1 (ko) 높이조절수단이 강구된 강대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