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072A -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072A
KR20170103072A KR1020160025172A KR20160025172A KR20170103072A KR 20170103072 A KR20170103072 A KR 20170103072A KR 1020160025172 A KR1020160025172 A KR 1020160025172A KR 20160025172 A KR20160025172 A KR 20160025172A KR 20170103072 A KR20170103072 A KR 20170103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deck panel
coupling
extend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Priority to KR1020160025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3072A/ko
Publication of KR2017010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coffered or ribbed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27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s composed of a prefabricated reinforcing mat combined with reinforcing elements protruding out of the plane of the mat
    • E04C5/0631Reinforcing mats combined with separate prefabricated reinforcement cages or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45Shear reinforcements, e.g. shearheads for floor 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데크 패널은 일측과 타측에서 서로 다른 데크 패널의 타측과 일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일측 결합단과 타측 결합단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일측 결합단은 상기 타측 결합단의 상면에 체결되는 끝단에서 내측으로 만곡되도록 접혀져서 탄성력을 갖는 일측 끝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측 결합단은 상향된 벽면을 이루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절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일측 끝단부가 체결되는 타측 연결부를 포함하여 콘크리트 타설 전과 후에서 데크 패널간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DECK PANNEL CONNECTING DEVICE FOR STRIPPING DECK}
본 발명은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형 데크에서 데크 패널간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이나 사무용 건축물, 다중이용시설에 건축물의 지상이나 지하층의 바닥공사에서 메탈형 데크(METAL FORM DECK)를 사용함에 있어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구조나 사용 균열이나 유지관리를 목적으로 강재나 합판의 데크 패널을 탈형 하여 바닥판 공사를 진행하도록 탈형 데크를 사용하고 있다.
탈형 데크는 상현재와 하현재로 이루어진 트러스거더와, 트러스거더를 지지하고, 트러스거더의 피복두께를 유지하기 위하여 스페이서와 트러스거더 및 스페이서를 지지하는 데크 패널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탈형 데크는 데크 패널에 스페이서를 고정시키고, 트러스거더를 스페이서에 용접으로 접착시킨다. 이때, 데크 패널은 시공현장의 면적에 따라서 다 수개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탈형 데크는 다 수개의 데크 패널을 연결 시킨 뒤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데크 패널간 연결부위에 들뜸이나 좌굴, 변형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다 수 제안되었다.
즉, 종래의 특허문헌(예를 들면, 등록특허공보 제10-1518682호, 2015.04.30)은 데크 패널에서 각각 서로 다른 타 데크 패널에 열결되는 일측과 타측에서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일측 단부는 상향된 수직면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타측 연결부(32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타측 연결부(321)의 수평면과 수직면 사이로 체결되도록 끝단이 절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하중이 가해지면 타측 연결부(321)가 하중에 의하여 하측으로 밀착되면서 타측 단부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가할 수 있어 들뜸이나 좌굴, 변형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데크 패널간 결합구조는 타측 단부의 끝단이 절첩된 상태에서 타측 연결부(321)로 체결됨에 따라 콘크리트의 하중이 가해지기 전에 상호간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력이 없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콘크리트 타설 이전의 공정(예를 들면, 데크 패널간 연결 작업과정)에서 주변의 진동이나 흔들림, 또는 작업자의 이동중 흔들림등에 양측 단부간의 결합이 쉽게 해제되었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시로 모니터링 하여 다시 연결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8682호(2015.04.30. 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2940호(2014.10.14. 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0444호(2016.01.26.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크 패널간의 결합 강도를 높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하중에 의한 변형, 좌굴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트러스거더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조립체 및 상기 스페이서 조립체가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데크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데크 패널은 일측과 타측에서 서로 다른 데크 패널의 타측과 일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일측 결합단과 타측 결합단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일측 결합단은 상기 타측 결합단의 상면에 체결되는 끝단에서 내측으로 만곡되도록 접혀져서 탄성력을 갖는 일측 끝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측 결합단은 상향된 벽면을 이루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절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일측 끝단부가 체결되는 타측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 조립체는 상기 데크 패널에 고정되는 받침 블록의 하단에서 상기 타측 연결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데크 패널에서 서로 다른 데크 패널을 탄성력에 의하여 연결할 수 있어 결합강도가 강화됨에 따라 주변의 진동이나 흔들림등에 의한 데크 패널간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아 작업자의 수시 모니터링이 불필요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탈형 데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에서 스페이서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에서 데크 패널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데크 패널의 일측 결합단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데크 패널의 타측 결합단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일측 결합단과 타측 결합단간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지만, 특정된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탈형 데크, 도 2는 스페이서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탈형 데크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트러스거더(20)와, 트러스거더(20)를 지지하는 스페이서 조립체(10)와, 스페이서 조립체(10)와 트러스거더(20)를 지지하는 데크 패널(30)을 포함한다.
트러스거더(20)는 슬래브의 주 인장 철근으로 적용되는 하현재(21)와, 압축 철근으로 적용되는 상현재(22)와, 상현재(22)와 하현재(21)를 일체로 고정하면서 전단 스트럿의 역할을 수행하는 래티스(23)를 포함한다. 여기서 래티스(23)는 상현재(22)와 하현재(21)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스페이서 조립체(1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100)와, 지지바(100)를 지지하는 받침블록(200)과, 데크 패널(30)의 하측에서 연통 삽입되어 받침블록(200)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300)을 포함한다.
지지바(100)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직립된 벽면으로 형성되어 트러스거더(20)의 하현재(21)와 용접으로 접착된다. 여기서, 지지바(100)는 받침블록(200)과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된다. 여기서, 지지바(100)는 직립된 벽면 또는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바(100)는 중공 형성된 파이프를 압착하여 2겹으로 성형제작될 수 있다.
받침블록(200)은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받침몸체(210)와, 받침몸체(210) 사이로 연장되는 연장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받침몸체(210)와 연장부(220)는 사출공정에 의하여 일체형으로서 제작된다.
또한, 받침몸체(210)는 일측면의 하단에서 내향되도록 절곡되어 데크 패널(30)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211)를 구비한다. 수용부(211)는 직립된 수직면과, 수직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천정면으로서 이루어져 수직면과 천정면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받침몸체(210)는 고정수단(300)이 데크 패널(30)을 연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된다.
데크 패널(30)은 다 수개가 정렬되어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서로 다른 데크 패널(30)에 결합된다. 보다 상세한 구성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데크 패널(30)은 스페이서 조립체(10)가 설치되는 상단연장부(330)와, 상단연장부(330)와 하향된 단차를 이루는 하단연장부(340)와, 일측에서 다른 데크 패널(30)과 연결되는 일측 결합단(310)과, 타측에서 다른 데크 패널(30)과 연결되는 타측 결합단(320)을 포함한다.
상단연장부(330)는 하단연장부(340)에 의하여 상호 이격되는 복 수개로서 하단연장부(340)와 단차 형성되어 상면에서 복 수개의 스페이서 조립체(10)의 받침블록(200)이 설치되는 수평면으로 연장 형성된다.
하단연장부(340)는 기준면으로서 상단연장부(330)와 상단연장부(330) 사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하단연장부(340)는 상단연장부(330) 보다 낮은 위치에서 수평면을 이루도록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상단연장부(330)와 하단연장부(340)는 상호간에 경사면(331)으로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측 결합단(310)은 하단연장부(340)와 단차 형성되어 끝단에서 내측으로 만곡되도록 접혀지는 일측 끝단부(311)와, 일측 끝단부(311)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일측 수평부(312)와, 하단연장부(340)에서 상향된 경사면을 이루는 일측 경사부(315)와, 일측 경사부(315)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일측 수평부(314)와, 제1일측 수평부(312)와 제2일측 수평부(314) 사이에서 볼록형으로서 상향 돌출된 곡면을 이루는 일측 변위부(313)를 포함한다.
일측 끝단부(311)는 타측 결합단(320)에 수용될 수 있도록 제1일측 수평부(312)에서 상향되어 내측으로 만곡되도록 접혀지는 만곡면(311a)과, 만곡면(311a)에서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경사면(311b)과, 단부 경사면(311b)의 하측으로 접혀지는 절첩면(311c)으로 이루어진다.
만곡면(311a)은 제1일측 수평부(312)에서 내측으로 만곡되도록 접혀져서 단부 경사면(311b)의 시작점으로 연결된다. 만곡면(311a)은 타측 결합단(320)에 체결될 시에 수직면(321a)과 절곡면(321b)에 밀착됨에 따라 탄성력을 발생시켜 결합강도를 강화시킨다.
단부 경사면(311b)은 타측 결합단(320)에 체결시에 걸림될 수 있도록 만곡면(311a)의 상측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고, 콘크리트 타설이나 작업자에 의한 상방 또는 측방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만곡면(311a)으로 전달한다.
절첩면(311c)은 단부 경사면(311b)의 하면으로 절첩 되고, 절접된 부분이 제1일측 수평부(312)의 상면에 밀착되거나 근접한 위치로 형성된다.
제1일측 수평부(312)와 제2일측 수평부(314)는 상방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하향되면서 그 힘을 일측 변위부(313)와 일측 끝단부(311)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1일측 수평부(312)와 제2일측 수평부(314)는 각각 하단연장부(340)와 단차 형성된다.
일측 변위부(313)는 제1일측 수평부(312)와 제2일측 수평부(314) 사이에서 볼록형으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일측 변위부(313)는 제1일측 수평부(312)가 하중에 의하여 기준면(h, 도 6 참조)으로 하향 될시에 당겨지게 되어 볼록형의 곡면이 경사면으로서 변형된다.
타측 결합단(320)은 하단연장부(340)와 단차를 이루는 상향에서 상향 절곡되는 타측 연결부(321)와, 타측 연결부(321)의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타측 수평부(322)와, 제1타측 수평부(322)에서 볼록형으로 상향되는 타측 변위부(323)와, 타측 변위부(323)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타측 수평부(324)와, 제2타측 수평부(324)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타측 경사부(325)와, 타측 경사부(325) 끝단에서 하면으로 접혀지는 타측 끝단부(326)를 포함한다.
타측 연결부(321)는 받침블록(200)의 하면을 지지하는 상단연장부(330)가 절첩되어 직립된 벽면으로 이루는 수직면(321a)과, 수직면(321a)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받침블록(200)의 수용부(211)의 천정면에 밀착되는 절곡면(321b)를 포함한다.
수직면(321a)과 절곡면(321b)은 상단연장부(330)를 이루는 데크 패널(30)이 2겹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수직 및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수직면(321a)은 수용부(211)의 수직면에 밀착되고, 절곡면(321b)는 수용부(211)의 천정면에 밀착되어 수직면(321a)와 절곡면(321b) 사이에서 일측 결합단(310)의 일측 끝단부(311)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타측 수평부(322)는 수직면(321a)의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제1타측 수평부(322)는 상단연장부(330)와 동일한 높이로서 수평으로 연장된다.
타측 변위부(323)는 볼록형으로서 상향 돌출되어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타측 변위부(323)는 일측 결합단(310)의 일측 변위부(313)의 하측에 체결된다. 즉, 타측 변위부(323)와 일측 변위부(313)는 상호 동일한 형상과 높이로 형성된다.
제2타측 수평부(324)는 타측 변위부(323)와 타측 경사부(325)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되, 하단연장부(340)와 단차를 이룬다. 따라서, 제2타측 수평부(324)는 일측 결합단(310)의 제2일측 수평부(314)의 하측에 체결된다. 즉, 제2타측 수평부(324)와 제2일측 수평부(314)는 동일한 길이로서 형성된다.
타측 경사부(325)는 제2타측 수평부(324)에서 타측 끝단부(326)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타측 경사부(325)는 일측 경사부(315)의 하측에서 체결된다. 즉, 타측 경사부(325)와 일측 경사부(315)는 상호 동일한 경사도 및 길이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타측 끝단부(326)는 데크 패널(30)의 타측 끝단으로서 끝단 일부가 하면으로 밀착되도록 절첩된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타측 끝단부(326)는 하단연장부(34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일측 결합단(310)과 타측 결합단(320)의 결합구조 및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측 결합단과 타측 결합단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일측의 데크 패널(30)의 타측 결합단(320)과, 타측에 위치된 다른 데크 패널(30)의 일측 결합단(310)을 상호 겹치도록 정렬시킨다.
즉, 일측 결합단(310)의 일측 끝단부(311)는 타측 결합단(320)의 타측 연결부(321)로 체결된다. 아울러 제1일측 수평부(312)는 제1타측 수평부(322)의 상면, 일측 변위부(313)는 타측 변위부(323), 제2일측 수평부(314)는 제2타측 수평부(324), 일측 경사부(315)는 타측 경사부(325)의 상면에 각각 위치된다. 여기서 타측 끝단부(326)는 일측 경사부(315)에 연결되는 하단연장부(340)의 하면에서 밀착된다.
특히, 일측 끝단부(311)의 만곡면(311a)은 타측 연결부(321)의 수직면(321a)과 절곡면(321b)에 걸쳐 접촉되고, 단부 경사면(311b)은 받침블록(20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체결된다. 여기서, 만곡면(311a)은 타측 연결부(321)의 수직면(321a)과 절곡면(321b)에 각각 접촉되는 과정에서 압력을 받아 압축된 상태로 체결된다. 따라서, 일측 끝단부(311)와 타측 연결부(321)는 만곡면(311a)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강도가 강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일측 결합단(310)과 타측 결합단(320)은 콘크리트 타설 이전이라 할지라도 작업자의 이동 또는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수시로 결합 상태를 확인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경우에, 도 6b를 참조하면, 일측 변위부(313)와 타측 변위부(323)에서 볼록형에서 경사면으로 변위가 발생되면서 제1일측 수평부(312)와 제1타측 수평부(322)가 기준면으로 하향된다.
이때, 타측 연결부(321)는 받침블록(200)의 수용부(211)의 수직면과 천정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지지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 수용부(211)의 수직면과 천정면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일측 끝단부(311)는 단부 경사면(311b)을 통하여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 만곡면(311a)이 상방으로 확장되는 힘을 받음에 따라 타측 연결부(321)에 더욱 밀착된다. 이때, 타측 연결부(3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블록(200)의 수용부(211)의 천정면과 수직면에 의하여 지지됨에 따라 변형이 방지되어 일측 끝단부(311)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데크 패널(30)간의 연결부위가 콘크리트 타설 전과 후에서 변형에 의한 연결부위가 해제가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이전이라도 일측 데크 패널(30)과 타측의 데크 패널(30)간을 탄성력에 의하여 상호 간의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고, 일측 결합단(310)과 타측 결합단(320)을 중첩 연결하므로 콘크리트 타설 후 들뜸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실시예외에 다른 실시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일측 결합단(310)에서 일측 끝단부(31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타측 결합단(32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일측 끝단부(311)의 다른 실시예를 만곡된 곡면으로 이루어진 만곡면(311d)과, 만곡면(311d)에서 연장되어 끝단이 절첩된 이격단(311e)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격단(311e)은 만곡면(311d)에서 제1일측 수평부(312)의 상면에 이격되도록 연장된다.
즉, 일측 끝단부(311)의 다른 실시예는 데크 패널(30)의 일측 끝단을 탄성력을 갖는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하되, 그 높이(C1)가 수용부(211) 또는 타측 연결부(321)의 높이(C2)에 비하여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측 연결부(321)의 다른 실시예는, 도 7b를 참조하면, 절곡면(321b)의 끝단에서 하향 절곡된 하향절곡단(321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타측 연결부(321)의 높이(C2)는 만곡면(311d)의 높이(C1)에 비하여 적은 높이로 설정된다.
따라서, 일측 결합단(310)의 다른 실시예와 타측 결합단(320)의 다른 실시예가 결합될 경우에 만곡면(311d)은 타측 연결부(321)의 높이 차에 따라서 수축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일측 결합단(310)은 만곡면(311d)의 탄성력에 의하여 타측 연결부(321)의 수직면(321a)와 절곡면(321b)에 더욱 밀착되면서 결합강도가 강화된다.
이때, 타측 연결부(321)의 하향 절곡단(321c)은 일측 결합단(310)의 이격단(311e)을 하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일측 결합단(310)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받침블록(200)의 수용부(211)에서 천정면을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하고, 타측 연결부(321)의 절곡면(321b) 역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타측 연결부(321)와 수용부(211)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측 끝단부(311)의 단부 경사면(311b)과 절곡면(321b)간의 접촉 면적 역시 증가시킬 수 있어 상술한 일시예에 비하여 보다 강화된 결합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데크 패널(30)간 연결 부위의 결합강도를 보강함에 따라 작업고정에서 데크 패널(30)간 연결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진동 및 충격으로 부터 연결부위의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10 : 스페이서 조립체 20 : 트러스거더
30 : 데크 패널 100 : 지지바
200 : 받침블록 210 : 받침몸체
211, 211' : 수용부 310 : 일측 결합단
311 : 일측 끝단부 311a, 311d : 만곡면
311b : 단부 경사면 311c : 절첩면
311e : 이격단 312 : 제1일측 수평부
313 : 일측 변위부 314 : 제2일측 수평부
315 : 일측 경사부 320 : 타측 결합단
321 : 타측 연결부 321a : 수직면
321b, 321d : 절곡면 321c : 하향 절곡단
322 : 제1타측 수평부 323 : 타측 변위부
324 : 제2타측 수평부 325 : 타측 경사부
326 : 타측 끝단부 330 : 상단연장부
340 : 하단연장부

Claims (7)

  1. 트러스거더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조립체; 및
    상기 스페이서 조립체가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데크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데크 패널은 일측과 타측에서 서로 다른 데크 패널의 타측과 일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일측 결합단과 타측 결합단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일측 결합단은 상기 타측 결합단의 상면에 체결되는 끝단에서 내측으로 만곡되도록 접혀져서 탄성력을 갖는 일측 끝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측 결합단은 상향된 벽면을 이루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절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일측 끝단부가 체결되는 타측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 조립체는 상기 데크 패널에 고정되는 받침 블록의 하단에서 상기 타측 연결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결합단은
    상기 타측 연결부의 하측 끝단에서 수평연장되는 제1타측 수평부와, 상기 제1타측 수평부에서 볼록형으로 상향 돌출되는 타측 변위부와, 상기 타측 변위부에서 수평연장되는 제2타측 수평부를 포함하는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결합단은
    상기 일측 끝단부에서 수평 연장된 제1일측 수평부와, 상기 제1일측 수평부에서 볼록형으로 상향 돌출되는 일측 변위부와, 상기 일측변위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일측 수평부를 포함하는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끝단부는
    상기 만곡면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단부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패널은
    다 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일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하단연장부; 및
    다 수개가 상기 하단연장부 사이에서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 조립체가 고정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면을 이루는 상단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결합단과 타측 결합단은 상기 하단연장부에서 단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끝단부는
    상기 만곡면에서 연장되되, 상기 데크 패널의 상면과 이격된 끝단을 형성하는 이격단을 더 포함하는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끝단부는
    상기 절곡면의 끝단에서 하향 절곡되는 하향 절곡단을 더 포함하는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


KR1020160025172A 2016-03-02 2016-03-02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 KR20170103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172A KR20170103072A (ko) 2016-03-02 2016-03-02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172A KR20170103072A (ko) 2016-03-02 2016-03-02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072A true KR20170103072A (ko) 2017-09-13

Family

ID=5996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172A KR20170103072A (ko) 2016-03-02 2016-03-02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307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211B1 (ko) * 2018-01-08 2018-10-18 (주)디앤에프 슬래브용 일체형 데크
KR101959044B1 (ko) 2018-10-05 2019-03-18 (주)디앤에프 슬래브용 일체형 데크
CN112088236A (zh) * 2018-01-02 2020-12-15 帕特考有限公司 金属铺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8236A (zh) * 2018-01-02 2020-12-15 帕特考有限公司 金属铺板
KR101909211B1 (ko) * 2018-01-08 2018-10-18 (주)디앤에프 슬래브용 일체형 데크
KR101959044B1 (ko) 2018-10-05 2019-03-18 (주)디앤에프 슬래브용 일체형 데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18581A (zh) 一种预应力混凝土f板及框架结构体系
KR101766806B1 (ko) Pc기둥에 설치된 임시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KR20170103072A (ko) 탈형 데크용 데크 패널 결합장치
KR101683196B1 (ko)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KR101844344B1 (ko) 강접합 구현을 위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조인트 후타설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강접합 결합구조의 시공방법
KR101678999B1 (ko)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
KR101859494B1 (ko) 선형 부재와 플레이트를 이용한 기둥 내진 성능 보강 공법
KR101791062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재 거더 및 그 제작 방법
JP2017179997A (ja) 柱梁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107191B1 (ko) 거더결합용 케이싱을 이용한 라멘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86045B1 (ko) 선조립형 철근 기둥 구조물과 철근 보 구조물의 결합구조
JP5428363B2 (ja) 柱梁接合構造、柱梁接合方法
CN104018521B (zh) 地铁双柱高架车站型钢混凝土转换结构钢骨及其施工方法
CN105735099A (zh) 施工期采用体外预应力的先简支后连续梁桥及其施工方法
KR102170355B1 (ko)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
KR20170089239A (ko) 스페이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JP4957418B2 (ja) 橋脚とフーチングとの接合構造及び方法
CN110158829B (zh) 一种装配式叠合楼板
KR102222019B1 (ko) 절곡 거더의 솟음 연결을 위한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JP6554316B2 (ja) 屋根架構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858972B1 (ko) 상부기둥플레이트 및 하부기둥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상하 pc기둥 간 콘크리트 무타설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와 기둥플레이트 및 보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CN203924115U (zh) 一种地铁双柱高架车站型钢混凝土转换结构钢骨
KR101872274B1 (ko)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와 고정식 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CN212801992U (zh) 一种装配式厂房用钢筋混凝土框排架连接节点
KR101747002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