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578A - 골이식재 배합용 항균젤 - Google Patents

골이식재 배합용 항균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578A
KR20170099578A KR1020160021835A KR20160021835A KR20170099578A KR 20170099578 A KR20170099578 A KR 20170099578A KR 1020160021835 A KR1020160021835 A KR 1020160021835A KR 20160021835 A KR20160021835 A KR 20160021835A KR 20170099578 A KR20170099578 A KR 20170099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graft
gel
bone
present
graf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웅
유동균
진승찬
Original Assignee
티비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비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비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1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9578A/ko
Publication of KR20170099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61L27/3839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in the body
    • A61L27/3843Connective tissue
    • A61L27/3847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ell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이식재 배합용 항균젤에 관한 것으로서, 파우더 타입 골이식재를 젤화시켜 골결속부에 쉽게 골이식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시술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항균 기능을 시술 후 감염에 의한 염증을 예방하여 시술의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골이식재와 배합 믹싱하여 일정 체적의 형상을 형성하게 하는 배합용 항균젤을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골이식재와 배합 믹싱하여 일정 체적의 형상을 형성하게 하는 배합용 항균젤를 조성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골이식재를 골이식부분의 형상에 따라 자유로인 변형하여서 이식할 수 있으며 항균성을 갖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골이식재 배합용 항균젤{Antibacterial gel for bone graft compounding}
본 발명은 골이식재 배합용 항균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이식재와 배합 믹싱하여 일정 체적의 형상을 형성하게 하는 배합용 항균젤를 제공하여서, 파우더 타입 골이식재를 젤화시켜 골결속부에 쉽게 골이식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시술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항균 기능을 시술 후 감염에 의한 염증을 예방하여 시술의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 이식재는 손상된 치조골을 복원하거나 구강악 안면 경조직 결손 수복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블록 또는 젤 및 파우더형태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골 이식재는 자가골을 사용하거나, 동종골 또는 이종골, 수산화회인석(hydroxyapatite), 제3칼슘인산염(Tricalcium Phosphate), 바이오글라스(Bioglass) 등과 같은 골 대체 물질 들이 개발되어 임상에 사용되어 왔으며, 지금까지 수많은 실험적 연구와 임상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골 형성, 골 유도 및 골 전도 현상을 다 보유한 자가 골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성형 목적의 골 증강 술, 두개골 결손부 재건술 등과 같이 이식 후 상당한 기간 동안 흡수되지 않고 정 위치에 일정한 형태로 유지되는 재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면역억제 처리를 완료한 동종골이나 다른 골대체 물질이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골이식재는 그 사용에 있어 블록형태로 사용할 경우 이식부위의 형상에 따라 가공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골이식재는 젤형태로 사용할 경우 항균이 이루어지지 않아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파우더 형태의 골이식재는 시술시 손실이 많고, 환부에 맞게 모양을 만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061333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골이식재는 그 사용에 있어 블록형태로 사용할 경우 이식부위의 형상에 따라 가공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과 종래의 골이식재를 젤형태로 사용할 경우 항균이 이루어지지 않아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점 및 종래의 골이식재를 파우더로 사용할 경우 골이식재가 형태를 이루지 못하고 피부로 흡수되어 골형성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골이식재와 배합 믹싱하여 일정 체적의 형상을 형성하게 하는 배합용 항균젤을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골이식재와 배합 믹싱하여 일정 체적의 형상을 형성하게 하는 배합용 항균젤를 조성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골이식재를 골이식부분의 형상에 따라 자유로인 변형하여서 이식할 수 있으며 항균성을 갖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시술 예시 사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골이식재를 항균성을 갖는 젤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골이식재와 배합 믹싱하여 일정 체적의 형상을 형성하게 하는 배합용 항균젤을 조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항균젤은 젤소재와 식물유래 향균제로 배합조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젤소재는 천연셀롤로우스와, 하이셀, 쟁탕검,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보머, 카보폴프리젠, 카라기난 및 글루카메이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천연 셀룰로오스는 고점도의 성분으로 필름 형성능이 좋으며, 수용액에 소량 첨가하면 점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 하이셀은 식물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를 주원려로 한 분말형태의 천연성분 점증제로 친수성이므로 물에 첨가하여 사용가능한 것이다.
상기 쟁탄검(Xanthan gum)은 식품첨가물로서 증점작용과 겔화, 피막성 등의 특성이 있는 천연 점증제이며, 물에 5% 이내로 첨가하면 적한 것으로서,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것과 전분이나 포도당 등 탄수화물을 배양액으로 하여 양배후 엽소병의 원인균인 Xanthomonas camperstris(박테리아)가 생산하는 수용성 다당질을 정제 건조하여 제조된 것 등이 있다.
상기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CMC; Carboxymethyl cellulose)은 수분을 흡수하여 팽대되며, 수분 흡수량 에 따라 죽처럼 되기도 하고, 젤처럼 되기도 함. 식품 첨가물로도 사용되는 안전성이 입증된 물질. 젤리타입의 화장수, 샴푸, 샤워젤 등의 점도를 높일 때 사용하는 성분인 것이다.
상기 카보머(Carbomer)는 산성 고분자화합물로 주로 아크릴산이 중합된 합성검으로 일반 화장품에서 사용되고 있는 점증제로 피부자극이 거의 없고, 매우 쉽게 젤화가 형성됨(0.1~2% 농도로 사용하면 최적)/ 또한 전체적인 조성물의 부피와 농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투명한 상태로 점증이 되는 장점이 있으며, 물질 위험도는 제로인 것이다.
상기 카보폴프리젠은 카보머를 두꺼운 젤리상태로 제조한 것으로 용량 조절이 용이하며, 분말타입보다 사용이 간편하고, 총량의 1~50%로 세밀한 점도 조절 가능하 것이다.
상기 카라기난(Carrageenan)은 홍조류에서 추출한 천연 점증제로 아이스크림의 안정제, 젤리용 겔화제, 잼이나 소스의 점증제, 치약이나 연고의 보형 유지제, 화장품의 점증제로 사용되고 있음. 80~85에서 완전 용해되며, 50~55에서 겔화가 시작됨. 열가역 특성이 있어 가열하면 다시 용액상태로 전환되며, 1~100%의 농도로 다양하게 사용가능한 것이다.
상기 글루카메이드(Glucamate)은 옥수수에서 추출한 천연 점증제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식물유래 항균제는 바바신(Bavachin)과 베버린(Berberine), 로스마리닉 액시드(rosmarinid acid), 카테신(catechin)중 어느 하나로 선택 조성한 것이다.
상기 바바신(Bavachin)은 생약초 파고지 유래 천연성분으로 세포독성도가 없고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생존율, 인체 구강암세포(KB cell) 증식억제력을 가지며 생체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상세포(PDL)에 농도별(2.5~20uM) 로 처리한 결과, 모든 농도군에서 대조군보다 높은 생존율(120~180%)을 나타내어 인체세포에 대한 독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상기 베버린(Berberine)은 황련, 매발톱나무 뿌리 유래 천연물질로서 인체 구강정상세포(keratinocyte: NHOKs) 에 대하여 세포독성도가 없는 것이다.
상기 로스마리닉 액시드(Rosmarinic acid)는 국내 자생 배초향(Agastache rugosa)과 로즈마리 유래 천연성분인 것이다.
상기 카테킨(catechin)은 충치예방, 항산화능, 발암억제, 항바이러스능, 항균, 해독, 소염작용을 가지며, 녹차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3종의 구강균에 대하여 각각 처리한 결과, 농도 1mg/mL에서 는 S. mutans와 S. sobrinus가 약 1.8mm의 투명억제대를 보였으며, C. albicans의 경우엔 3mm 이상 의 투명대를 나타냈다. 또한, 10mg/mL에서는 S. mutans와 S. sobrinus, C. albicans 모두에서 10mm 이상의 투명대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3)

  1. 골이식재와 배합 믹싱하여 일정 체적의 형상을 형성하게 하는 배합용 항균젤을 조성하되,
    상기 항균젤은 젤소재와 식물유래 향균제로 배합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 배합용 항균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젤소재는 천연셀롤로우스와, 하이셀, 쟁탕검,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보머, 카보폴프리젠, 카라기난 및 글루카메이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 배합용 항균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유래 항균제는 바바신(Bavachin)과 베버린(Berberine), 로스마리닉 액시드(rosmarinid acid), 카테신(catechin)중 어느 하나로 선택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 배합용 항균젤.
KR1020160021835A 2016-02-24 2016-02-24 골이식재 배합용 항균젤 KR20170099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835A KR20170099578A (ko) 2016-02-24 2016-02-24 골이식재 배합용 항균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835A KR20170099578A (ko) 2016-02-24 2016-02-24 골이식재 배합용 항균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578A true KR20170099578A (ko) 2017-09-01

Family

ID=59923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835A KR20170099578A (ko) 2016-02-24 2016-02-24 골이식재 배합용 항균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957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1218A (zh) * 2018-12-05 2019-02-15 浙江理工大学 一种含抗菌成分小檗碱的止血微球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90074437A (ko) 2017-12-20 2019-06-28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형 이성분 인산칼슘계 다공성 골 이식재의 제조방법
CN110559258A (zh) * 2019-09-20 2019-12-13 广东药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四氢小檗碱凝胶及其制备方法和透皮率检测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437A (ko) 2017-12-20 2019-06-28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형 이성분 인산칼슘계 다공성 골 이식재의 제조방법
CN109331218A (zh) * 2018-12-05 2019-02-15 浙江理工大学 一种含抗菌成分小檗碱的止血微球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331218B (zh) * 2018-12-05 2021-08-10 浙江理工大学 一种含抗菌成分小檗碱的止血微球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559258A (zh) * 2019-09-20 2019-12-13 广东药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四氢小檗碱凝胶及其制备方法和透皮率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36027A (zh) 用于活性成分的基于凡士林的递送系统
EP2937101A1 (en) Semi-fluidic composition for lubricating, moisture retaining, disinfecting, sterilizing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582660B1 (ko) 방사선을 이용한 콜라겐 함유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조
CN105267234A (zh) 一种缓解口干症状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6016315A1 (en) Film-forming complex,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it and their use as peel off film mask
KR101144493B1 (ko) 저분자의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또는 은-알지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
CN105582036A (zh) 含有蒲公英提取物的透明质酸生成促进用组合物及其应用
KR102143829B1 (ko) 가교결합된 히알루론산 및 루페올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9578A (ko) 골이식재 배합용 항균젤
KR20220111928A (ko) 화장료 조성물
RU245424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редства для устранения дефектов кожи и лечения ран в виде геля на основе водорастворимых полисахаридов раститель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KR101913392B1 (ko) 키토산 용해용 솔루션 및 키토산 수용액의 제조방법
KR20180115070A (ko) 화장료 조성물용 동결건조 콜라겐 솔루션의 제조방법
CN105616296A (zh) 一种杨枸花止痒护肤泥
RU2428174C1 (ru) Смазка для интимной гигиены женщин
KR102215559B1 (ko) 건조 히알루론산계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건조 히알루론산계 조성물
KR102129355B1 (ko) 팩 조성물
KR101575603B1 (ko)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1936288B1 (ko) 동결건조 콜라겐 솔루션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
JP2012041275A (ja) 皮膚収斂用組成物
JP6512560B2 (ja) 水溶性ヒアルロン酸ゲル及びその製造方法
Haria et al. Plant Mucilages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A Review
TW202003007A (zh) 含有芸香科植物萃取物的組成物
KR20140120648A (ko) 당나귀 우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128110A (ko)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