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288B1 - 동결건조 콜라겐 솔루션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동결건조 콜라겐 솔루션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288B1
KR101936288B1 KR1020170047241A KR20170047241A KR101936288B1 KR 101936288 B1 KR101936288 B1 KR 101936288B1 KR 1020170047241 A KR1020170047241 A KR 1020170047241A KR 20170047241 A KR20170047241 A KR 20170047241A KR 101936288 B1 KR101936288 B1 KR 101936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mask sheet
solution
functional
dissol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071A (ko
Inventor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이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우 filed Critical 이영우
Priority to KR1020170047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288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결건조 콜라겐 솔루션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정제수에 콜라겐을 용해시켜 콜라겐 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b) 정제수에 점증제를 용해시켜 점증제 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c) 정제수에 피부상태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을 용해시켜 기능성 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d) 상기 (a) 단계의 콜라겐 용해액과 상기 (b) 단계의 점증제 용해액을 혼합하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의 혼합액에 상기 (c) 단계의 기능성 용해액을 혼합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의 혼합액을 마스크 시트 지지체에 함침시키는 단계와, (g) 상기 (f) 단계의 함침된 마스크 시트를 동결건조시키는 단계와, (h) 상기 (g) 단계의 동결건조 마스크 시트를 패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 시트가 동결건조된 상태로 유통되어 별도의 방부처리가 불필요하며, 콜라겐의 젤라틴화를 방지하여 콜라겐 본래의 물성이 그대로 유지되어 마스크 시트의 기능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동결건조 콜라겐 솔루션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mask sheet using freeze-drying collagen solution}
본 발명은 동결건조 콜라겐 솔루션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료 조성물용 콜라겐 솔루션을 마스크 시트 지지체에 함침시키고, 이를 동결건조함으로써, 콜라겐의 젤라틴화를 방지하고, 콜라겐 본래의 물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결건조 콜라겐 솔루션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collagen)은 경단백질로 무척추, 척추동물 등의 다세포동물에 널리 분포하며 양적으로도 가장 많이 발견되며, 프롤린, 옥시 프롤린, 글리신, 글루타민산등으로 구성된 섬유성 단백질의 일종으로 천여 개의 아미노산이 모여 가늘고 긴 띠의 형상을 지닌 단백질이다.
포유류에서는 전체 단백질의 약 1/4을 차지하며 뼈와 피부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으로 된 단백질로서 특히, 사람의 몸에서 장기를 감싸는 막, 관절 연골, 눈의 각막, 뼈와 피부 등에 주로 존재하고, 특히 피부 속 진피 층의 구성 성분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콜라겐은 현재 20여 가지의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콜라겐 1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형태적으로는 섬유상 고체로 존재하고, 3가닥의 폴리펩타이드가 수소결합으로 꼬인 구조를 가지며, 분자량은 약 300 kDa 이다.
콜라겐은 묽은 산이나 묽은 알칼리에 용해되어 액상으로 제조할 수 있고, 농도가 높아질수록 점도가 높아진다. 콜라겐은 생체 조직에 적합하고, 생분해 물질이어서 조직수복재, 피부이식재, 뼈이식재, 세포배양 등 의료용 재료나 화장료 조성물용 첨가제 및 건강식품의 원료 등으로 널리 이용된다.
한편, 다양한 원료로부터 추출된 콜라겐은 액상으로 제조되는바, 상기 액상으로 제조된 콜라겐을 이물질과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과의 방법을 이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고분자 단백질인 콜라겐을 여과하기 위해서는 저농도의 액상으로 제조하여야 하며, 특히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균여과의 경우 0.2~0.45 마이크로미터의 작은 공극을 가진 여과막을 투과시키기 위하여 약 5mg/mL 이하의 농도로 제조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 화장료 조성물용 콜라겐은 저농도의 상태로 저장, 유통되거나, 저농도의 콜라겐을 고농도로 농축하여 보관, 유통되어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액상의 상태로 저장, 유통되는 경우 그 저장 및 유통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젤라틴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콜라겐 본래의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으며, 액상 상태로의 보관시 세균감염 등을 이유로 별도의 방부제를 혼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저농도의 콜라겐 용액은 진공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도 유통되어 왔는바, 분말 상의 콜라겐 역시 세균감염 등을 이유로 별도의 방부제가 혼합되었다.
한편, 마스크 시트는 피부에 유용한 영양성분을 다양한 종류의 시트 매개체를 통해 피부에 전달함으로써 단순히 한번 발라주는 일반 에센스, 크림, 로션류에 비해 장시간 피부를 관리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품으로써, 에센스, 크림, 로션류에 비해 강력하고도 지속적인 피부관리를 할 수 있어서 그 수요가 점점 증가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러한 마스크 시트는 시트 지지체에 액상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상태로 유통, 보관되기 때문에 세균에 쉽게 노출됨으로써, 다량의 방부제가 사용될 수밖에 없었는바, 방부제로 인해 피부에 좋지 못한 영향이 있었다.
KR 10-2014-0129509 A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액상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어 제조되는 마스크시트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피부상태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이 혼합된 콜라겐 솔루션을 마스크 시트 지지체에 함침하고, 이를 동결건조함으로써, 세균감염으로부터 안전하여 별도의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콜라겐의 젤라틴화를 방지하여 본래의 물성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그 기능성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결건조 콜라겐 솔루션의 제조방법은, (a) 정제수에 콜라겐을 용해시켜 콜라겐 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b) 정제수에 점증제를 용해시켜 점증제 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c) 정제수에 피부상태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을 용해시켜 기능성 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d) 상기 (a) 단계의 콜라겐 용해액과 상기 (b) 단계의 점증제 용해액을 혼합하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의 혼합액에 상기 (c) 단계의 기능성 용해액을 혼합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의 혼합액을 마스크 시트 지지체에 함침시키는 단계와, (g) 상기 (f) 단계의 함침된 마스크 시트를 동결건조시키는 단계와, (h) 상기 (g) 단계의 동결건조 마스크 시트를 패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피부상태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은 비타민, 히알루론산, 펩타이드, 알부틴, 말뼈 추출물, 말태반 추출물 및 홍시 분말 중 1종 이상의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콜라겐은 소, 돼지 및 마린 콜라겐 중 1종 이상의 것이고, 상기 점증제는 알긴산, 글리세린, 셀룰로오즈, 잔탄검, 아가검 중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콜라겐, 점증제 및 기능성 조성물은 1 : 0.001~0.1 : 0.1~0.5 중량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부상태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은 비타민, 히알루론산, 펩타이드, 알부틴, 말뼈 추출물, 말태반 추출물 및 홍시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 단계에서, 죽순 추출물 및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 시트가 동결건조된 상태로 유통되어 별도의 방부처리가 불필요하며, 콜라겐의 젤라틴화를 방지하여 콜라겐 본래의 물성이 그대로 유지되어 마스크 시트의 기능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결건조 콜라겐 솔루션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의 제조 순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결건조 콜라겐 솔루션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은, (a) 정제수에 콜라겐을 용해시켜 콜라겐 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b) 정제수에 점증제를 용해시켜 점증제 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c) 정제수에 피부상태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을 용해시켜 기능성 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d) 상기 (a) 단계의 콜라겐 용해액과 상기 (b) 단계의 점증제 용해액을 혼합하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의 혼합액에 상기 (c) 단계의 기능성 용해액을 혼합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의 혼합액을 마스크 시트 지지체에 함침시키는 단계와, (g) 상기 (f) 단계의 함침된 마스크 시트를 동결건조시키는 단계와, (h) 상기 (g) 단계의 동결건조 마스크 시트를 패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피부상태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솔루션을 마스크 시트에 함침시키고, 그대로 동결건조함으로써, 마스크 시트의 세균 감염을 방지하여 저장기간을 연장하고, 콜라겐의 젤라틴화 및 변질을 방지하여 그 기능성을 한층 높이는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a) 정제수에 콜라겐을 용해시켜 콜라겐 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
먼저, 정제수에 콜라겐을 넣고 고속혼합기를 이용하여 5,000~10,000rpm으로 10~60분간 용해시켜 콜라겐 용해액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콜라겐 용해액의 농도는 0.1~10%정도가 바람직한데, 그 농도가 너무 높으면 과량으로 인해 용해 및 기타 원료와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콜라겐으로는 소, 돼지 및 마린으로부터 추출된 콜라겐 중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콜라겐은 추출, 여과된 저농도의 액상 상태일 수도 있고, 고농도로 농축된 상태일 수도 있으며, 진공건조 또는 동결건조된 분말 상일 수도 있는 것으로,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콜라겐은 별도의 방부제가 혼합되지 않은 것을 사용해야 한다.
(b) 정제수에 점증제를 용해시켜 점증제 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a) 단계와는 별도로, 정제수에 점증제를 넣고 고속혼합기를 이용하여 5,000~10,000rpm으로 30~90분간 용해시켜 점증제 용해액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점증제 용해액의 농도는 0.1~10%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점증제로는 알긴산, 글리세린, 셀룰로오즈, 잔탄검, 아가검 중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바, 이는 상기한 점증제가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물질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점증제를 사용하는 이유는, 상기 점증제를 통해 상기 콜라겐 용해액 및 후술될 기능성 조성물의 용해액의 점도를 높여 마스크 시트에의 함침량을 높이기 위함이다.
(c) 정제수에 피부상태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을 용해시켜 기능성 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정제수에 피부상태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을 넣고 고속혼합기를 이용하여 5,000~10,000rpm으로 10~60분간 용해시켜 기능성 용해액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기능성 용해액의 농도는 0.1~10%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상태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이란, 피부상태의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의미하는바,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히알루론산, 펩타이드, 알부틴, 말뼈 추출물, 말태반 추출물 및 홍시 분말 중 1종 이상의 것을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히알루론산, 펩타이드, 알부틴, 말뼈 추출물, 말태반 추출물 및 홍시 분말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콜라겐과 함께 상기 피부상태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을 마스크 시트에 함침시키고, 이를 동결 건조함으로써, 각종 기능성을 부여하여 피부상태를 개선해주며, 기능성 조성물 역시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콜라겐과 기능성 조성물의 상호작용을 통해 피부상태를 현저히 개선해 주며, 항염 및 항균 기능을 갖는 기능성 조성물로 인해 마스크 시트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상기 기능성 조성물 중 하나인 비타민으로는 비타민 C와 비타민 E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비타민 C는 항산화 물질로 신체를 활성산소로부터 보호하고 콜라겐의 변질을 막아주며, 비타민 E는 피부 노화를 방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비타민 E가 비타민 C의 피부 흡수를 도와주므로, 비타민 C와 비타민 E를 1 : 0.5~1 중량비 정도로 함께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히알루론산은 피부에 수분을 유지시켜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 성분으로, 콜라겐과 함께 사용시 콜라겐에 영양을 주고 수분을 공급해 줘 피부 탄력을 현저히 개선해준다.
상기 펩타이드는 탄력을 높이고 피부에 생기와 활력을 넣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1 등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알부틴은 기능성의 미백 성분으로, 멜라닌 색소 생성 단계에서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과다한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말뼈 추출물은 피부에 영양을 부여하고, 피부 결을 정돈해주는 효과가 있고, 말태반 추출물은 기미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말 뼈 또는 말태반을 5~10cm 크기로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말뼈 또는 말태반을 10~20℃의 정제수에 2~3시간 침지시켜 핏물을 제거한 후, 이를 정제수로 세척한다. 그리고 추출기에 세척된 말뼈 또는 말태반을 정제수(상기 투입된 말뼈 또는 말태반의 총중량에 대해 2~20배만큼)와 함께 투입한 후, 상기 추출기를 밀폐하고, 120~150℃의 온도 및 2~3kgf/㎠의 압력에서 48~55시간 동안 가열하고, 상기 추출기를 3~4kgf/㎠의 압력에서 5~8시간 동안 추가로 가열하면서 20~40분 단위로 상기 추출기에 연결된 증기 배출구를 개방하여 외부로 증기를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되는 증기를 액화 및 포집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액화 및 포집된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한다.
상기 홍시 분말은 피부 주름 및 탄력을 개선해주는 것으로, 상기 홍시 분말은 홍시를 동결건조하여 분쇄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조성물로서 상기 비타민 10~15중량%, 히알루론산 10~15중량%, 펩타이드 10~15중량%, 알부틴 10~15중량%, 말뼈 추출물 10~15중량%, 말태반 추출물 10~15중량% 및 홍시 분말 10~15중량%을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피부 상태의 개선을 위해 이러한 조성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사용된 분말 재료들의 입도는 제한하지 않는바, 정제수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면 족하다. 예시적으로 100~300mesh 정도일 수 있다.
(d) 상기 (a) 단계의 콜라겐 용해액과 상기 (b) 단계의 점증제 용해액을 혼합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a) 단계의 콜라겐 용해액에 상기 (b) 단계의 점증제 용해액을 넣고, 고속혼합기를 이용하여 5,000~10,000rpm으로 10~60분간 충분히 혼합한다.
(e) 상기 (d) 단계의 혼합액에 상기 (c) 단계의 기능성 용해액을 혼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d) 단계의 혼합액에 다시 상기 (c) 단계의 기능성 용해액을 넣고, 고속혼합기를 이용하여 5,000~10,000rpm으로 10~60분간 충분히 혼합한다.
(f) 상기 (e) 단계의 혼합액을 마스크 시트 지지체에 함침시키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e) 단계의 혼합액을 마스크 시트 지지체에 함침시킨다. 상기 함침방법은 마스크 시트 지지체를 상기 (e) 단계의 혼합액에 침지시키거나, 상기 (e) 단계의 혼합액을 마스크 시트 지지체에 분사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여기서, 그 함침량은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시트 지지체로는 면셀룰로오스로 구성된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시트 지지체를 사용가능하다.
(g) 상기 (f) 단계의 함침된 마스크 시트를 동결건조시키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f) 단계의 함침된 마스크 시트를 -80~-50℃에서 10~24시간 동안 동결하고, 동결건조기에서 진공상태로 72~90시간 건조한다. 여기서, 상기 진공상태란 완전진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닌바, 통상 동결건조의 압력하에서 건조하는 것이면 족하다.
(h) 상기 (f) 단계의 동결건조 마스크 시트를 패킹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h) 단계의 동결건조 마스크 시트를 빠르게 패킹(packing)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차단해줌으로써, 동결건조된 마스크 시트의 제조를 완료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콜라겐, 점증제 및 기능성 조성물은 1 : 0.001~0.1 : 0.1~0.5 중량비로 사용됨이 바람직한바, 이러한 배합비로서 사용되어야만, 마스크 시트로서 우수한 효과가 발휘될 수 있으며, 동결건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마스크 시트는 건조상태이므로 사용시 정제수를 적당량 분무하여 마스크 시트를 습윤 상태로 만들고, 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스크 시트는 콜라겐의 기능성과,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의 기능성이 우수하면서도 세균 감염 및 방부제로부터 안전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e) 단계에서, 죽순 추출물 및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이때, 그 혼합량은 상기 기능성 조성물과 죽순 추출물 및 며느리배꼽 추출물이 0.1~0.5 : 0.01~0.05 : 0.01~0.05 중량비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죽순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부여하여 마스크 시트의 저장성을 개선함은 물론, 피부 주름 개선 등의 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상기 며느리배꼽 추출물 역시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갖는 것으로, 마스크 시트의 저장성을 개선하고, 피부 상재균 및 기타 세균에 의한 피부질환의 발생을 감소시켜 피부를 보호한다.
상기 죽순 추출물 또는 며느리배꼽 추출물은 물 또는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냉침 또는 가온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얻어진 액상의 추출물로부터 용매를 증발 또는 동결건조하여 얻어진 분말 상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정제수에 소 콜라겐을 용해시켜 10% 농도의 콜라겐 용해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정제수에 글리세린을 용해시켜 5% 농도의 점증제 용해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정제수에 비타민 C 5중량%, 비타민 E 5중량%, 히알루론산 15중량%,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1 15중량%, 알부틴 15중량%, 말뼈 추출물 15중량%, 말태반 추출물 15중량%, 홍시 분말 15중량%로 되는 기능성 조성물을 용해시켜 10% 농도의 기능성 용해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콜라겐 용해액과 상기 점증제 용해액을 혼합한 후, 이에 다시 기능성 용해액을 혼합하였다. 그리고 면셀룰로오스 부직포로 되는 지지체(22㎝×29㎝)를 상기 혼합액에 침지시켜 상기 혼합액 10ml를 상기 지지체에 함침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액이 함침된 지지체를 -50℃에서 24시간 동결하고, 동결건조기에서 72시간 건조시키고, 이를 바로 패킹하였다.
이때, 말뼈 추출물과 말태반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말 뼈 또는 말태반을 5cm 크기로 절단하고, 절단된 말뼈 또는 말태반을 15℃의 정제수에 2시간 침지시켜 핏물을 제거한 후, 이를 정제수로 세척하였다. 그리고 추출기에 세척된 말뼈 또는 말태반을 10중량배의 정제수와 함께 투입하고, 추출기를 밀폐한 후, 130℃의 온도 및 2kgf/㎠의 압력에서 50시간 동안 가열하고, 상기 추출기를 3kgf/㎠의 압력에서 5시간 동안 추가로 가열하면서 30분 단위로 상기 추출기에 연결된 증기 배출구를 개방하여 외부로 증기를 배출시켰다. 그리고 상기 배출되는 증기를 액화 및 포집하고, 이를 동결건조하여 200mesh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그리고 홍시 분말은 홍시를 동결건조하고, 200mesh로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소 콜라겐, 점증제 및 기능성 조성물은 1 : 0.1 : 0.5 중량비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기능성 용해액을 혼합할 시 죽순 추출물 및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더 혼합하였다. 이때, 그 혼합비는 기능성 조성물, 죽순 추출물, 며느리배꼽 추출물이 0.5 : 0.05 : 0.05 중량비였다.
여기서, 상기 죽순 추출물 또는 며느리배꼽 추출물은 죽순 또는 며느리배꼽을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재료를 10~50mesh 정도로 파쇄한 후, 이에 10중량배의 물을 투입하고, 50~70℃에서 10시간 추출하고, 이를 여과 및 동결건조하여 200mesh로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안전성 시험
등 쪽 피부의 털을 제거한 수컷 백색종 토끼 40마리(그룹당 20마리)의 피부에 상기 제조예 1, 2의 마스크 시트를 1cm×1cm의 크기로 1일 1회, 1시간 동안 주 5회, 첩포하였다. 상기 첩포는 2주간 수행하였으며, 털의 제거는 매주 최종 첩포일에 수행하였다. 판정은 적용후 24, 48, 72시간에 일차 자극성 평정법으로 홍반 및 부종을 지표로 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 군에서 홍반 및 부종이 나타나지 않아 음성으로 판정되었다.
(시험예 2)
피부노화가 진행 중인 성인 여드름을 갖는 30대 여성 60명(그룹당 20명)을 대상으로, 상기한 실시예 1 및 2을 얼굴의 왼쪽에만 12주간 사용토록 한 후, 보습, 항염(여드름 완화), 탄력, 미백, 주름개선, 전체적인 만족도를 오른쪽과 비교하여 9점 척도로 평가토록 하였다.(오른쪽 얼굴의 보습, 항염(여드름 완화), 탄력, 미백, 주름개선, 전체적인 만족도를 기준(4.5점)으로 하여 1점은 매우 악화됨, 9점은 매우 개선됨으로 평가) 이때, 실시예 1, 2의 마스크 시트는, 사용 직전 정제수 10ml를 분무한 후 사용토록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의 시험결과치는 각 군의 평균치이다.
시험예 2의 결과.
구분 보습 항염 탄력 미백 주름 개선 전체적인 만족도
실시예 1 7.2 7.2 7.3 6.5 7.5 7.5
실시예 2 7.9 7.5 7.7 6.9 7.6 7.8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 모두 대조군인 오른쪽 얼굴(기준 4.5)에 비해 보습, 항염(여드름 완화), 탄력, 미백, 주름 개선 및 전체적인 만족도가 현저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a) 정제수에 콜라겐을 용해시켜 콜라겐 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b) 정제수에 점증제를 용해시켜 점증제 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c) 정제수에 피부상태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을 용해시켜 기능성 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d) 상기 (a) 단계의 콜라겐 용해액과 상기 (b) 단계의 점증제 용해액을 혼합하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의 혼합액에 상기 (c) 단계의 기능성 용해액을 혼합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의 혼합액을 마스크 시트 지지체에 함침시키는 단계와,
    (g) 상기 (f) 단계의 함침된 마스크 시트를 동결건조시키는 단계와,
    (h) 상기 (g) 단계의 동결건조 마스크 시트를 패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피부상태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은 비타민, 히알루론산, 펩타이드, 알부틴, 말뼈 추출물, 말태반 추출물 및 홍시 분말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콜라겐은 소, 돼지 및 마린 콜라겐 중 1종 이상의 것이며,
    상기 점증제는 알긴산, 글리세린, 셀룰로오즈, 잔탄검, 아가검 중 1종 이상의 것이고,
    상기 콜라겐, 점증제 및 기능성 조성물은 1 : 0.001~0.1 : 0.1~0.5 중량비로 사용되며,
    상기 (e) 단계에서,
    죽순 추출물 및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건조 콜라겐 솔루션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47241A 2017-04-12 2017-04-12 동결건조 콜라겐 솔루션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 KR101936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241A KR101936288B1 (ko) 2017-04-12 2017-04-12 동결건조 콜라겐 솔루션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241A KR101936288B1 (ko) 2017-04-12 2017-04-12 동결건조 콜라겐 솔루션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071A KR20180115071A (ko) 2018-10-22
KR101936288B1 true KR101936288B1 (ko) 2019-01-08

Family

ID=6410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241A KR101936288B1 (ko) 2017-04-12 2017-04-12 동결건조 콜라겐 솔루션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2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370A1 (ko) * 2022-05-25 2023-11-30 정수현 홍시추출물이 함유된 친환경 세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071A (ko) 201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eerasubramanian et al. An investigation of konjac glucomannan-keratin hydrogel scaffold loaded with Avena sativa extracts for diabetic wound healing
KR101582660B1 (ko) 방사선을 이용한 콜라겐 함유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조
KR20060124927A (ko) 피부미용 및 상처치료용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936287B1 (ko) 화장료 조성물용 동결건조 콜라겐 솔루션의 제조방법
KR101709702B1 (ko) 화장품 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686255A (zh) 一种预防疤痕形成的生物敷料及其制备方法
CN111569137B (zh) γ-聚谷氨酸生物敷料及其制备方法
CN110721117A (zh) 一种美容护肤化妆品冻干粉制剂及其在溶液剂上的应用
KR20150128481A (ko) 세포외기질 및 온도감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생체 피부용 조성물
CN109549861B (zh) 一种含寡肽的皮肤修护冻干粉
CN100546565C (zh) 一种蜂王浆面膜及其制备方法
KR102014979B1 (ko) 생분해성 고분자와 황토가 결합되어 탄력성이 증진된 기능성 마스크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36288B1 (ko) 동결건조 콜라겐 솔루션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
KR101649450B1 (ko) 피부 상처 치료조성물
KR101913392B1 (ko) 키토산 용해용 솔루션 및 키토산 수용액의 제조방법
DE60007973T2 (de) Matrixprotein zusammensetzungen für pfropfung in nicht mineralisierten geweben
CN104083590B (zh) 库拉索芦荟组合物凝胶冻干粉外用贴剂及其制作方法
KR20160126793A (ko) 화장품 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87302B1 (ko) 말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112827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797376A (zh) 改性胶原蛋白膜的制备方法
KR20170099578A (ko) 골이식재 배합용 항균젤
Jose et al. Herbal extracts based scaffolds for wound healing therapy
CN105662998A (zh) 一种具有防护紫外线的牦牛皮胶原面膜及制备方法
KR101918524B1 (ko) 산자나무 종자 오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복합 분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