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493B1 - 저분자의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또는 은-알지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분자의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또는 은-알지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493B1
KR101144493B1 KR1020090116111A KR20090116111A KR101144493B1 KR 101144493 B1 KR101144493 B1 KR 101144493B1 KR 1020090116111 A KR1020090116111 A KR 1020090116111A KR 20090116111 A KR20090116111 A KR 20090116111A KR 101144493 B1 KR101144493 B1 KR 101144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ginate
low molecular
molecular weight
fucoidan
sil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9394A (ko
Inventor
조병욱
최수경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16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4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8Silver;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분자량이 150,000 Da 이하인 저분자 알지네이트, 분자량이 35,000 Da 이하인 저분자 후코이단 및 입자의 크기가 0.1~3.4㎛인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1~1.0%(w/v)로 포함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화장료 조성물은 과산화수소와 전자빔 조사를 이용한 저분자화 기술로 제조된 저분자의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또는 은-알지네이트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피부 및 모공 깊숙한 곳에 서식하는 피부 유해 균주들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하고, 라디칼을 제거하는 항산화 활성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세포에 대한 독성도 없어 피부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여드름 및 아토피와 같은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기 위한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저분자,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은-알지네이트, 항균, 라디칼, 세포 독성, 화장품

Description

저분자의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또는 은-알지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Antibiotic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lginate, fucoidan or silver-alginate having low molecular weight}
본 발명은 항균활성이 우수하고 세포 독성이 없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후코이단 또는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알긴산염은 항균성 및 독특한 생리 기능성 효과가 발견되어 의료용 재료 등 여러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수요가 큰 폭으로 상승되고 있다.
알긴산염(Alginate)은 해조 다당류의 일종으로 α-L-글루론네이트[G]와 β-D-만루론네이트[M]로 구성되어 있으며, MM 블럭(block), GG 블럭의 호모폴리머 블럭(homopolymer block) 혹은 MG 블럭과 같은 헤테로폴리머 블럭(heteropolymer block)이 번갈아가면서 α-1,4 또는 β-1,4 결합으로 구성된 다당 류(polysaccharide)이다.
이러한 알긴산염(alginate)은 금속이온과 반응하면 겔(gel)을 형성하게 되는 성질이 있는데 이러한 겔은 금속이온을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알긴산염이 금속이온과 결합하는 반응기구는 알긴산염의 구성 성분인 우론산(uronic acid)의 카르복시기(carboxyl group) 사이를 금속이온이 결합하여 3차원 망상구조의 겔(gel)을 형성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알긴산염의 폴리글루론산(polyguluronic acid segment(G))과 폴리만누론산(polymannuronic acid segment(M)) 사이의 금속이온이 가교결합을 형성함으로서 망상구조를 형성하고, 우론산(uronic acid)의 배열종류가 금속이온 결합능에 관계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M/G의 비율이 낮을수록 중금속의 제거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알긴산염은 항종양제, 창상치유제, 창상피복재와 같은 의약 및 생리활성물질로 이용 가능한데 특히, 창상피복재로 사용 가능한 이유는 첫째, 알긴산이 친수성 겔을 형성하여 체액을 신속히 흡수되고 둘째, 창상부와 점착하여도 피복재에 식염수를 첨가하면 불용성의 칼슘염이 가용성의 나트륨 염(sodium alginate)으로 전환되어 박리가 용이하며, 셋째, 창상에 남은 섬유는 생분해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알긴산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장점 등을 이용하여 여러 분야에 화학적으로 응용되고 있으며, 알긴산염을 겔(gel)로 제조하여 효소고정화제로 이용하거나 필름 제제 및 캡슐 제조용으로 이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알긴산염의 식이섬유로의 기능이 알려지고 알긴산염이 유해금속과 결합함으로 써 유해금속을 체외 배출하는 특성이 있음을 응용하여 다이어트 보조식품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후코이단은 라미나란(laminaran), 알긴산염과 함께 갈조류를 형성하는 주요 다당류로서, 다시마와 미역에 3~5% 함유되어 있다. 후코이단은 함황(sulfated) 헤테로 다당으로 주로 L-fucose가 α-1,2 또는 α-1,3 결합으로 된 골격을 갖으면서, 갈락토오스, 만노스, 자일로스, 글루쿠론 산 등을 함유한다. 또한, 후코이단은 음이온 전하를 띄는 고분자(polyanionic charge)에서 나타나는 약물학적 효능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예를 들어 항혈액응고성(anticoagulant), 자살세포(apoptosis) 유도에 의한 항암, 항바이러스(항-HIV 포함), 항종양성, 면역기능 개선, 항산화 효능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기름진 음식 및 패스트 푸드가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음식문화로 정착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식생활의 서구화에 의한 과도한 피지 분비 및 피부 세균들의 활성으로 여드름을 포함한 피부 질환의 환자수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국내 여드름 치료제 시장의 경우는 현재를 기준으로 지난 5년간 113억원에서 175억원으로 약 50% 이상이 성장했으며, 여드름 등의 치료용 화장품인 트러블 케어 화장품 시장도 점차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 추세에 맞춰 항균 활성을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의 기술 개발도 연구가 활성화 되고 있다.
여드름은 피지분비 과잉, 피부각질화 과잉 및 혐기성 피부상재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균의 리파아제(lipase)에 의해 생성된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과 각종 저분자 물질들의 자극에 의한 염증 반응이 그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 며, 이러한 여드름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피지생성을 억제하는 항안드로겐제, 항염제로 작용하는 비스테로이드 소염제, 레소치놀, 유황, 살리실산, 벤조일퍼옥사이드, 이소트레티노인과 같은 항균제 및 각질박리제,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메크로사이클린 등의 항생물질을 피부에 처리하는 것에 의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균의 활성억제 방법 등이 있다.
또한, 피부상재균에 의해 발생되는 피부질환은 여드름이 외에도 무좀 및 비듬 등의 피부질환들이 있는데 이들 질환의 치료 방법 또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항균 및 항진균제 의한 피부상재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항균 및 항생제를 이용한 화장료와 피부 외용제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피부 자극이 쉽게 유발되고, 광독성과 같은 부작용의 유발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 사용에 의한 내성균 유발 가능성과 함께 자극성 피부염이나 2차 세균 감염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여드름의 치료 방법으로는 면포 제거와 같은 수술적 치료가 있으나 수술적 치료는 시술 후 지속적으로 피부 관리를 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여드름을 비롯한 각종 세균들에 의한 피부 질환의 발병을 예방 또는 억제하기 위하여 피부를 포함한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 등을 개발하기 위해 항균활성이 높은 천연물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들을 살펴보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9-0105491호에는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내용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9-0084118호에 는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항산화 및 미백, 항균효과를 지닌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9-0055261호에는 소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의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상기 천연물들을 이용한 항균 화장품의 경우, 천연 성분들이 합성 성분들보다 더 오염되기 쉬운 특성 때문에 미생물의 번식 및 불쾌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따라서 많은 양의 방부제나 항생물제와 같은 항균성 화학물질의 첨가에 따라 다수의 방부제로 인해 피부 자극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항균활성이 우수한 새로운 천연 성분들을 이용한 기능성 항균 화장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고 항균 활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후코이단 또는 저분자의 은-알지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분자량이 150,000 Da 이하인 저분자 알지네이트, 분자량이 35,000 Da 이하인 저분자 후코이단 및 입자의 크기가 0.1~3.4㎛인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1~1.0%(w/v)로 포함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알지네이트 또는 저분자 후코이단은 알지네이트 또는 후코이단이 0.1~2.0 중량%로 함유된 수용액에 과산화수소를 1.5 중량% 내지 4.5중량%의 양으로 첨가한 후, 상기 과산화수소가 첨가된 혼합액에 1.0~3.0 MeV의 전자빔을 조사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는 알지네이트가 0.1~2.0 중량%로 함유된 수용액에 과산화수소를 1.5중량% 내지 4.5중량%의 양으로 첨가한 후, 상기 과산화수소가 첨가된 혼합액에 1.0~3.0 MeV의 전자빔을 조사하고, 여기에 질산은(AgNO3)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시킨 다음, 침전물을 회수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균 화장료 조성물은 대장균, 포도상 구균, 여드름균 및 탄저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 및 라디칼 소거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후코이단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의 균주에 대한 최소 생육 저지 농도(MIC)는 각각 400~10,000ppm, 5,000~10,000ppm 및 300~400pp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화장료 조성물은 과산화수소와 전자빔 조사를 이용한 저분자화 기술로 제조된 저분자의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또는 은-알지네이트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피부 및 모공 깊숙한 곳에 서식하는 피부 유해 균주들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하고, 라디칼을 제거하는 항산화 활성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세포에 대한 독성도 없어 피부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여드름 및 아토피와 같은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기 위한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분자량이 150,000 Da 이하인 저분자 알지네이트, 분자량이 35,000 Da 이하인 저분자 후코이단 및 입자 크기가 0.1~3.4㎛인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1~1.0 %(w/v)로 포함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항균 활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저분자화된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또는 은-알지네이트를 사용하였는데, 알지네이트 및 후코이단은 다시마 및 미역과 같은 해조류에 함유된 성분으로서 특히 해조류 추출물은 피부를 보호하고 수분을 공급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독성이 없고 피부와 눈에 자극이 없어 피부용 화장품의 원료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해조류에 함유되어 있는 이러한 다당류 성분인 알지네이트 및 후코이단은 입자 크기가 비교적 큰 편에 속하기 때문에 이를 저분자하여 나노입자로 제조할 경우, 피부 모공(크기;약 20~50㎛)으로 흡수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성분들에 의한 항균 효과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저분화시킨 알지네이트 또는 후코이단을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였으며, 또한, 상기 저분자의 알지네이트에 은(Ag)을 함유시켜 제조한 저분자의 은-알지네이트를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함으로써 은의 항균특성이 더 부가된 매우 우수한 항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알긴산염은 분자량이 크고, 점도가 높으며, 용매 특성이 좋지 않아 의료용, 화장품용 및 식품용 등 각종 용도로 사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목적에 적합하게 분자량을 제어하고 고효율로 대량 생산하는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작업성에도 어려움이 있다.
Figure 112009073340820-pat00001
<알긴산염의 구조식>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분자화 알지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알지네이트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알긴산염의 1 가 염, 예를 들어 나트륨 및 칼륨 알긴산염 뿐만 아니라 알긴산염의 에스터화된 형태,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알긴산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알긴산염의 추가적인 예로는 마그네슘 알긴산염 및 3-에탄올 아민 알긴산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저분자 알지네이트는 전자빔 조사에 의해 저분자화된 분자량이 150,000 Da 이하인 저분자 알지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지네이트가 0.1~2.0 중량%로 함유된 수용액에 1.0 ~ 3.0 MeV의 전자빔을 조사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 분자량이 150,000 Da 이하인 저분자 알지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후코이단은 일반적으로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중량 평균분자량이 30,000-2,000,000 Da의 점성이 있는 고분자 형태의 당류로서, 미역이나 다시마와 같은 갈조류에 주로 포함되어 있고, 특히 미역 포자엽에서 추출된 후코이단은 중량 평균분자량이 약 170,000 Da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갈조류 유래의 후코이단 의 기능성에 대해서는 면역증강, 항종양 작용, 혈당상승 억제 및 혈액응고 저지작용,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등의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Scand. J. Urol. Nephrol., 40, 1, 2006;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6, 2, 2002).
Figure 112009073340820-pat00002
<후코이단의 구조식>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분자 후코이단은 분자량이 35,000 Da 이하인 저분자 후코이단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후코이단을 0.5~2.0 중량%로 함유된 수용액에 1.0~3.0 MeV의 전자빔을 조사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 분자량이 35,000 Da 이하인 저분자 후코이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는 분자량 15,000 Da 이하이면서 은(Ag)의 함유량은 35% 이상인 입자 크기가 0.1~3.4㎛인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는 알지네이트가 0.1~2.0중량%로 함유된 수용액에 과산화수소를 1.5중량% 내지 4.5중량%의 양으로 첨가한 후, 상기 과산화수소가 첨가된 혼합액에 1.0~3.0 MeV의 전자빔을 조사하여 분자량이 5,000 Da 이하인 저분자 알지네이트에 질산은(AgNO3)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시킨 다음, 침전물을 회수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저분자 은-알지네이트의 구조 모형은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09073340820-pat00003
<저분자 은-알지네이트의 구조식>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따른 상기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는 본 발명자들이 이전에 특허출원한 바 있는 특허출원번호 제2008-0065856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2008-0065856호의 전문을 본원에서는 인용문헌으로 참조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상기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푸코이단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는 피부 질환을 유발하는 유해 균주들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갖는 특징이 있으며, 상기 피부 질환을 유발시키는 유해 균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대장균, 포도상 구균, 여드름 구균 및 탄저균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한 저 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푸코이단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에 대해 대장균, 포도상 구균, 여드름 구균 및 탄저균의 균주를 대상으로 항균 활성 및 최소 생육 저지 농도(MIC)를 조사한 결과,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푸코이단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 모두가 상기 균주들의 생육을 저해하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저분자 알지네이트의 경우에는 400ppm의 저농도에서도 대장균 및 포도상 구균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표 6 참조), 저분자 후코이단의 경우에는 5000ppm에서 포도상 구균의 억제활성 및 10000ppm에서는 대장균과 여드름균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도 1 내지 도 3 참조), 저분자 은-알지네이트의 경우에는 350ppm의 저농도에서 대장균, 포도상 구균 및 여드름 균을 모두 억제하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3 및 도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저농도의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푸코이단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를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피부 유해 균주들의 생육을 저해하는 활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푸코이단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의 항균 활성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푸코이단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의 최소 생육 저지 농도(MIC)는 저분자 알지네이트가 400~10000ppm이고, 저분자 푸코이단이 5000~10000ppm이며, 저분자 은-알지네이트가 300~400ppm일 수 있다.
상기 “최소 생육 저지 농도(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란 균 또는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거나 또는 저해할 수 잇는 최소의 농도를 말하는 것으로 서, 상기 농도가 낮을수록 균의 억제 활성은 우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균(antimicrobial)"이란 용어는 세균(bacteria), 진균(fungi) 등의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의 생존을 저해하여 살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푸코이단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를 최소 생육 저지 농도로 처리한 후 시간에 따라 유해 균들의 세포 농도 측정을 통해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 처리 시간이 증가 할수록 각 균주들의 생육 증가율을 점점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7 내지 표 12 참조).
나아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상기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푸코이단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는 라디칼을 소거하는 항산화 활성이 있으면서 동시에 세포에 대한 독성은 없는 특징이 있다.
세포 내에서 생성되는 라디칼은 세포를 파괴하거나 피부 진피층의 결합조직을 절단 또는 교차 결합을 일으키는 작용을 통해 주름형성, 피부암, 세포살상, 류마티스성 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여드름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라디칼의 제거 효과는 유해 세균으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피부질환을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되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항균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상기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푸코이단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에 대하여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푸코이단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 모두 라디칼을 제거하는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표 14 및 표 15 참조), 또한 각 성분들의 처리 양에 비례하여 라디칼 제거 효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도 6 및 도 7 참조), 특히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는 라디칼의 소거 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8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항균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상기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푸코이단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에 대하여 세포 독성이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6 참조).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푸코이단 또는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를 화장품의 제조 과정에 사용할 경우, 항균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어 안전성이 우수한 항균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분자량이 150,000 이하인 저분자 알지네이트, 분자량이 35,000이하인 저분자 후코이단 및 입자 크기가 0.1~3.4㎛ 범위인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상기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후코이단 또는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를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1.0 %(w/v)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각 성분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w/v)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항균활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1.0%(w/v)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첨가량만 많아질 뿐 항균활성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의 필수 성분들 이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된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친수성 또는 소수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소수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어떠한 경우라도 보조제 및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부 도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클로로플루오르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라일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드,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푸코이단 또는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를 단독 도는 혼합하여 상기 성분들이 함유된 에센스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본 발명의 에센스 화장품에 대한 항균 활성을 분석한 결과,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푸코이단 또는 저분자 은-알지네이트가 함유된 에 센스의 경우 상기 성분들이 함유되지 않은 에센스에 비해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푸코이단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가 모두 함유된 에센스의 경우에는 항균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9 참조).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항균 화장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항균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저분자 알지네이트 및 후코이단의 제조와 특성 조사
본 발명자들은 은-알지네이트 및 후코이단을 이용한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저분자의 알지네이트 및 후코이단을 제조하고, 제조된 저분자 알지네이트 및 후코이단에 대한 분자량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저분자 알지네이트의 제조는 알지네이트(sodium alginate, Junsei)를 2%(w/v)의 수용액 상태에서 전자빔 조사(1.0 MeV 또는 2.5 MeV)와 30%의 과산화수소(H2O2, 국산)를 사용하여 저분자 알지네이트를 제조하였고, 후코이단(fucoidan, (주)해원바이오테크)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저분자화 후코이단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저분자화 알지네이트 및 후코이단은 제조시 사용한 과산화수소의 함량 및 전자빔의 세기에 따라 분자량 및 점도를 측정하였고 하기 표 1 및 표 2에는 1.0 MeV 또는 2.5 MeV의 전자빔 조사에 의해 제조된 저분자 알지네이트에 대한 분자량 및 점도 결과를 기재하였으며, 하기 표 3 및 표4에는 1.0 MeV 또는 2.5 MeV의 전자빔 조사에 의해 제조된 저분자 후코이단에 대한 분자량 및 점도 결과를 기재하였다.
[표 1]
전자빔 조사(2.5 MeV)에 의해 제조된 저분자 알지네이트의 분자량 및 점도
제조예 과산화수소 함량 % 전자빔 세기(kGy) Mw Mn PDI
(Mw/Mn)
ηinh pH
Native Alginate - 446,467 226,167 1.974 6.44 7.63
1 A-2.5-HP0-2.5 0 2.5 92,187 46,768 1.971 1.88 6.13
2 A-2.5-HP0-5.0 0 5.0 51,786 26,310 1.968 1.36 6.13
3 A-2.5-HP0-10 0 10.0 30,809 15,688 1.964 1.09 5.83
4 A-2.5-HP0-15 0 15.0 20,709 10,573 1.959 0.96 4.84
5 A-2.5-HP0-20 0 20.0 13,717 7,033 1.950 0.87 5.32
6 A-2.5-HP1.5-2.5 1.5 2.5 55,671 28,277 1.969 1.41 5.53
7 A-2.5-HP1.5-5 1.5 5.0 23,817 12,147 1.961 1.00 5.19
8 A-2.5-HP1.5-10 1.5 10.0 9,055 4,672 1.938 0.81 5.01
9 A-2.5-HP1.5-15 1.5 15.0 5,948 3,098 1.920 0.77 4.82
10 A-2.5-HP1.5-20 1.5 20.0 3,617 1,918 1.886 0.74 4.67
11 A-2.5-HP3.0-2.5 3.0 2.5 68,102 34,572 1.970 1.57 5.39
12 A-2.5-HP3.0-5 3.0 5.0 33,917 17,261 1.965 1.13 5.15
13 A-2.5-HP3.0-10 3.0 10.0 9,832 5,065 1.941 0.82 4.94
14 A-2.5-HP3.0-15 3.0 15.0 7,501 3,885 1.931 0.79 4.83
15 A-2.5-HP3.0-20 3.0 20.0 4,394 2,312 1.901 0.75 4.80
16 A-2.5-HP4.5-2.5 4.5 2.5 80,533 40,867 1.971 1.73 5.57
17 A-2.5-HP4.5-5 4.5 5.0 44,794 22,769 1.967 1.27 5.40
18 A-2.5-HP4.5-10 4.5 10.0 30,032 15,294 1.964 1.08 5.16
19 A-2.5-HP4.5-15 4.5 15.0 8,278 4,279 1.935 0.80 4.82
20 A-2.5-HP4.5-20 4.5 20.0 5,171 2,705 1.912 0.76 4.94
[표 2]
전자빔 조사(1.0 MeV)에 의해 제조된 저분자 알지네이트의 분자량 및 점도
제조예 과산화수소 함량 % 전자빔 세기(kGy) Mw Mn PDI
(Mw/Mn)
ηinh
21 A-1-HP0-2.5 0 2.5 148,126 75,094 1.973 2.60
22 A-1-HP0-5.0 0 5.0 93,741 47,555 1.971 1.90
23 A-1-HP0-10 0 10.0 122,487 62,111 1.972 2.27
24 A-1-HP0-15 0 15.0 89,079 45,194 1.971 1.84
25 A-1-HP0-20 0 20.0 58,002 29,457 1.969 1.44
26 A-1-HP1.5-2.5 1.5 2.5 81,310 41,260 1.971 1.74
27 A-1-HP1.5-5 1.5 5.0 84,418 42,834 1.971 1.78
28 A-1-HP1.5-10 1.5 10.0 71,987 36,539 1.970 1.62
29 A-1-HP1.5-15 1.5 15.0 40,133 20,409 1.966 1.21
30 A-1-HP1.5-20 1.5 20.0 40,909 20,802 1.967 1.22
31 A-1-HP3.0-2.5 3.0 2.5 99,956 50,702 1.971 1.98
32 A-1-HP3.0-5 3.0 5.0 52,563 26,704 1.968 1.37
33 A-1-HP3.0-10 3.0 10.0 57,225 29,064 1.969 1.43
34 A-1-HP3.0-15 3.0 15.0 65,771 33,392 1.970 1.54
35 A-1-HP3.0-20 3.0 20.0 55,671 28,277 1.969 1.41
36 A-1-HP4.5-2.5 4.5 2.5 143,464 72,734 1.972 2.54
37 A-1-HP4.5-5 4.5 5.0 48,679 24,736 1.968 1.32
38 A-1-HP4.5-10 4.5 10.0 68,102 34,572 1.970 1.57
39 A-1-HP4.5-15 4.5 15.0 64,994 32,998 1.970 1.53
40 A-1-HP4.5-20 4.5 20.0 35,471 18,048 1.965 1.15
[표 3]
전자빔 조사(2.5 MeV)에 의해 제조된 저분자 후코이단의 분자량 및 점도
제조예 과산화수소 함량 % 전자빔 세기(kGy) Mn Mw PDI
(Mw/Mn)
ηinh
Native fucoidan - 0 50,702 99,956 1.971 1.98
41 F-1-HP0-2.5 0 2.5 33,392 65,771 1.970 1.54
42 F-1-HP0-5.0 0 5.0 25,523 50,233 1.968 1.34
43 F-1-HP0-10 0 10.0 19,622 38,579 1.966 1.19
44 F-1-HP0-15 0 15.0 15,688 30,809 1.964 1.09
45 F-1-HP0-20 0 20.0 12,147 23,817 1.961 1.00
46 F-1-HP1.5-2.5 1.5 2.5 32,211 63,440 1.970 1.51
47 F-1-HP1.5-5 1.5 5.0 22,376 44,017 1.967 1.26
48 F-1-HP1.5-10 1.5 10.0 17,655 34,694 1.965 1.14
49 F-1-HP1.5-15 1.5 15.0 11,754 23,040 1.960 0.99
50 F-1-HP1.5-20 1.5 20.0 9,000 17,602 1.956 0.92
51 F-1-HP3.0-2.5 3.0 2.5 30,244 59,556 1.969 1.46
52 F-1-HP3.0-5 3.0 5.0 26,310 51,786 1.968 1.36
53 F-1-HP3.0-10 3.0 10.0 19,229 37,802 1.966 1.18
54 F-1-HP3.0-15 3.0 15.0 13,327 26,148 1.962 1.03
55 F-1-HP3.0-20 3.0 20.0 12,147 23,817 1.961 1.00
56 F-1-HP4.5-2.5 4.5 2.5 3,885 7,501 1.931 0.79
57 F-1-HP4.5-5 4.5 5.0 23,950 47,125 1.968 1.30
58 F-1-HP4.5-10 4.5 10.0 7,819 15,271 1.953 0.89
59 F-1-HP4.5-15 4.5 15.0 18,835 37,025 1.966 1.17
60 F-1-HP4.5-20 4.5 20.0 15,294 30,032 1.964 1.08
[표 4]
전자빔 조사(1.0 MeV)에 의해 제조된 저분자 후코이단의 분자량 및 점도
제조예 과산화수소 함량 % 전자빔 세기(kGy) Mn Mw PDI
(Mw/Mn)
ηinh
Native fucoidan - 0 50,702 99,956 1.971 1.98
61 F-2.5-HP0-2.5 0 2.5 46,768 92,187 1.971 1.88
62 F-2.5-HP0-5.0 0 5.0 26,310 51,786 1.968 1.36
63 F-2.5-HP0-10 0 10.0 15,688 30,809 1.964 1.09
64 F-2.5-HP0-15 0 15.0 10,573 20,709 1.959 0.96
65 F-2.5-HP0-20 0 20.0 7,033 13,717 1.950 0.87
66 F-2.5-HP1.5-2.5 1.5 2.5 28,277 55,671 1.969 1.41
67 F-2.5-HP1.5-5 1.5 5.0 12,147 23,817 1.961 1.00
68 F-2.5-HP1.5-10 1.5 10.0 4,672 9,055 1.938 0.81
69 F-2.5-HP1.5-15 1.5 15.0 3,098 5,948 1.920 0.77
70 F-2.5-HP1.5-20 1.5 20.0 1,918 3,617 1.886 0.74
71 F-2.5-HP3.0-2.5 3.0 2.5 34,572 68,102 1.970 1.57
72 F-2.5-HP3.0-5 3.0 5.0 17,261 33,917 1.965 1.13
73 F-2.5-HP3.0-10 3.0 10.0 5,065 9,832 1.941 0.82
74 F-2.5-HP3.0-15 3.0 15.0 3,885 7,501 1.931 0.79
75 F-2.5-HP3.0-20 3.0 20.0 2,312 4,394 1.901 0.75
76 F-2.5-HP4.5-2.5 4.5 2.5 40,867 80,533 1.971 1.73
77 F-2.5-HP4.5-5 4.5 5.0 22,769 44,794 1.967 1.27
78 F-2.5-HP4.5-10 4.5 10.0 15,294 30,032 1.964 1.08
79 F-2.5-HP4.5-15 4.5 15.0 4,279 8,278 1.935 0.80
80 F-2.5-HP4.5-20 4.5 20.0 2,705 5,171 1.912 0.76
<실시예 2>
은 알지네이트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될 은-알지네이트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저분저화 알지네이트를 은과 함께 사용하여 은-알지네이트를 제조하였으며, 제조 방법은 본 발명자들이 이전에 출원한 바 있는 특허출원 제2008-0065856호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는데, 즉, 저분자 알긴산의 제조를 위해 잘 건조된 알긴산염을 과산화수소에 녹인 후 초음파 분위기 하에서 이를 50 ℃에서 3시간 동안 반응 시킨 다음 준비된 질산은 용액(silver nitrate/distilled water)을 적하깔대기(dropping funnel)를 사용하여 천천히 떨어뜨린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에탄올에 다시 떨어뜨려 수득된 침전물을 증류수와 에탄올로 세척 한 후 감압 건조시키는 과정을 통해 은-알지네이트를 제조하였으며, 이때 사용한 저분자화 알지네이트는 5000 Da 이하의 분자량의 시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후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및 항균활성 실험에는 제조된 은-알지네이트에서 은이 35% 이상으로 함유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항균성 테스트
<3-1> 저분자화 알지네이트 및 후코이단에 대한 항균성 조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저분자 알지네이트 및 저분자 후코이단의 제조예 각각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유해 균주인 대장균(E. coli),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 subsp. a) 및 여드름 구균(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해 각각 항균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기 각각의 균주들에 대한 배양 조건(Conditions) 및 방법은 하기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5]
균주들의 배양 조건 및 방법
균 주 명 배양 조건 액체 배지 배양기
대장균 37℃, 호기성 배양1) LB medium3) 호기성 챔버
포도상 구균 37℃, 호기성 배양1) BHI4) 호기성 챔버
여드름 구균 37℃, 혐기성 배양2) TSB5) 혐기성 챔버
탄저균 37℃, 혐기성 배양2) LB/TSB 혐기성 챔버
상기 표 5에서 호기성 배양은 200㎖의 플라스크에 액체 배지 100㎖를 넣고 고온고압 멸균장치를 이용하여 121℃에서 15분 동안 멸균 처리한 후, 클린 벤치(Clean bench)에서 상온의 온도가 될 때까지 방치 한 후 최적 배양된 균(Cell Optical Density가 2.0 이상으로 2.0× 103~4CFU/㎖)을 50배 희석하여 100㎕를 상기 액체 배지에 접종한 다음 4주마다 계대 배양하여 균의 활성을 계속적으로 유지시켜 주었다. 항균성 테스트는 15㎖ 멸균된 테스트 튜브에 4ml의 액체 배지를 넣고 적당 하게 희석(원액을 10배, 20배, 100배 이상으로 단계적으로 희석)된 항균제, 즉,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각 저분자화 알지네이트 및 저분자화 후코이단을 1㎖ 또는 0.001g ~ 0.200g을 취하여 배지에 녹인 후 Clean bench에서 1시간 동안 UV 처리하여 멸균 처리한 다음 10,000ppm에서부터 희석하여 활성된 균을 각각 50㎕씩 접종하여 항균성을 측정하였고, 또한 각 시료의 항균성을 갖는 최소 농도(MIC)에서 시간에 따른 세포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24시간 배양 된 Seed Culture(종배양)를 고체 배지(액체 배지에 Agar 20g/L를 첨가한 배지)에 20㎕씩 도말하여 24시간 배양 한 후 집락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표 5에서 혐기성 배양은 호기성 배양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다만 혼합 가스(80% N2, 10% CO2, 10% H2)를 공급할 수 혐기성 챔버에서 혼합 가스를 주입하여 균을 접종하였고, Gas pack anaerobic system(Difco 사)를 이용하여 배양한 것을 제외하고는 호기성 배양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3) LB 배지는 이스트 추출물 5g/L, 트립톤 10g/L 및 염화나트륨 10g/L이 포함된 배지를 나타낸 것이고, 4) BHI는 Brain Heart Infusion(BD 237500) 30g/L을 나타낸 것이며, 5) TSB는 Tryptic Soy medium(BD 236950) 35g/L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방법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저분자 알지네이트의 제조예 1 내지 40에 대한 항균성 테스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고, 저분자 후코티단의 제조예들 중에서 제조예 71 내지 75에 대한 항균성 테스트 결과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6]
저분자화 알지네이트의 항균활성을 갖는 최소 농도(MIC) 측정 결과
Figure 112009073340820-pat00004
*시료 10,000ppm의 농도에서 측정
그 결과,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각 조건을 달리하여 제조된 저분자 알지네이트의 경우, 제조예 1 내지 7을 제외하고는 대장균, 포도상 구균 및 여드름균에 대해 모두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제조예 19의 경우는 400ppm의 매우 저농도에서도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분자 후코이단의 경우에는 제조예 71 내지 75에 대해 항균활성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이 또한 대장균, 포도상 구균 및 여드름 균에 대해 모두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대장균 및 여드름균에 대한 최소 생육 저지 농도(MIC)는 10,000ppm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포도상 구균의 MIC는 5,000ppm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저분자의 알지네이트 및 저분자 후코이단을 피부 유해 균주인 대장균, 포도상 구균 및 여드름균에 대해 항균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저농도에서도 상기 균주들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2> 저분자화 알지네이트 및 후코이단의 처리시간에 따른 항균성 조사
나아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저분자화 알지네이트 및 저분자화 후코이단의 제조예들(시료)에 대하여 항균특성을 시간에 따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시료 처리시 대장균(Escherichia coli), 여드름구균(Propionibacterium acnes) 및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의 세포 농도를 측정하기 UV파장(λ=600nm)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의 농도는 MIC에서 실시하였으며, 비교를 위한 시료들 은 일정 농도에서 실시하였다. 제조된 각 저분자화 알지네이트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7 내지 9에 기재하였고, 저분자화 후코이단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0 내지 12에 기재하였다.
[표 7]
저분자 알지네이트의 대장균(E. coli)에 대한 세포 농도 (λ=600nm, 2,000ppm)
제조예

시간
2 7 12 17 4 9 14 19
A-2.5-HP0-5 A-2.5-HP1.5-5 A-2.5-HP3.0-5 A-2.5-HP4.5-5 A-2.5-HP0-15 A-2.5-HP1.5-15 A-2.5-HP3.0-15 A-2.5-HP4.5-15
0 0 0 0 0 0 0 0 0
12 1.245 1.312 0.124 0.098 0.098 0.121 0.045 0.078
24 1.878 1.789 0.408 0.289 1.012 0.149 0.123 0.134
36 2.645 2.435 0.577 0.319 2.112 0.432 0.213 0.204
48 2.876 2.765 0.832 0.397 2.478 0.645 0.312 0.289
60 2.967 2.845 1.478 0.509 2.735 0.897 0.402 0.315
제조예

시간
22 27 32 37 24 29 34 39
A-1-HP
0-5
A-1-HP
1.5-5
A-1-HP
3.0-5
A-1-HP
4.5-5
A-1-HP
0-15
A-1-HP
1.5-15
A-1-HP
3.0-15
A-1-HP
4.5-15
0 0 0 0 0 0 0 0 0
12 1.245 1.312 0.187 0.107 1.145 1.012 0.274 0.102
24 1.878 1.789 0.432 0.324 1.658 1.789 0.412 0.313
36 2.645 2.435 0.623 0.389 2.325 2.135 0.598 0.375
48 2.876 2.765 0.823 0.423 2.678 2.123 0.845 0.412
60 2.967 2.845 1.545 0.612 2.660 2.345 1.412 0.524
[표 8]
저분자 알지네이트의 포도상 구균에 대한 세포 농도(λ=600nm, 2,000ppm)
제조예

시간
2 7 12 17 4 9 14 19
A-2.5-HP0-5 A-2.5-HP1.5-5 A-2.5-HP3.0-5 A-2.5-HP4.5-5 A-2.5-HP0-15 A-2.5-HP1.5-15 A-2.5-HP
3.0-15
A-2.5-HP
4.5-15
0 0 0 0 0 0 0 0 0
12 1.323 1.423 0.224 0.125 0.145 0.215 0.095 0.068
24 1.745 1.896 0.452 0.345 1.432 0.292 0.189 0.145
36 2.443 2.532 0.598 0.423 2.145 0.539 0.256 0.223
48 2.745 2.813 0.924 0.455 2.678 0.748 0.378 0.295
60 2.967 2.987 1.512 0.612 2.871 0.989 0.443 0.367
제조예

시간
22 27 32 37 24 29 34 39
A-1-HP
0-5
A-1-HP
1.5-5
A-1-HP
3.0-5
A-1-HP
4.5-5
A-1-HP0-15 A-1-HP
1.5-15
A-1-HP
3.0-15
A-1-HP
4.5-15
0 0 0 0 0 0 0 0 0
12 1.245 1.467 0.235 0.145 1.323 1.117 0.302 0.102
24 1.878 1.845 0.412 0.333 1.756 1.867 0.444 0.313
36 2.645 2.512 0.608 0.404 2.432 2.354 0.623 0.375
48 2.876 2.866 0.945 0.545 2.756 2.645 0.887 0.412
60 3.167 2.845 1.545 0.687 2.867 2.798 1.412 0.524
[표 9]
저분자 알지네이트의 여드름균(P. acnes)에 대한 세포 농도 (λ=600nm, 2,000ppm)
제조예

시간
2 7 12 17 4 9 14 19
A-2.5-HP
0-5.0
A-2.5-HP
1.5-5
A-2.5-HP
3.0-5
A-2.5-HP
4.5-5
A-2.5-HP
0-15
A-2.5-HP
1.5-15
A-2.5-HP
3.0-15
A-2.5-HP
4.5-15
0 0 0 0 0 0 0 0 0
12 0.745 0.345 0 0 0.645 0.624 0 0
24 1.145 0.761 0.125 0 1.080 1.064 0 0
36 2.565 1.251 0.287 0 2.345 1.345 0.112 0
48 2.745 1.675 0.425 0.085 2.765 1.745 0.213 0
60 3.002 1.864 1.669 0.120 2.954 2.045 0.304 0.089
제조예

시간
22 27 32 37 24 29 34 39
A-1-HP
0-5
A-1-HP
1.5-5
A-1-HP
3.0-5
A-1-HP
4.5-5
A-1-HP
0-15
A-1-HP
1.5-15
A-1-HP
3.0-15
A-1-HP
4.5-15
0 0 0 0 0 0 0 0 0
12 0.423 0.346 0 0 0.214 0 0 0
24 0.605 0.523 0.231 0 0.470 0 0 0
36 1.245 0.897 0.438 0.234 1.034 0 0 0
48 2.345 1.243 0.756 0.453 1.546 0 0 0.087
60 3.081 1.622 1.318 1.051 2.816 0.097 0.076 0.103
[표 10]
후코이단의 대장균(E. coli)에 대한 세포 농도(λ=600nm, 10,000ppm)
제조예

시간
71 72 73 74 75
Native fucoidan F-1-HP3.0-2.5 F-1-HP3.0-5.0 F-1-HP3.0-10.0 F-1-HP3.0-15.0 F-1-HP3.0-20.0
0 0 0 0 0 0 0
12 1.648 0.012 0.045 0.035 0.028 0.085
24 1.950 0.856 0.695 0.100 0.098 0.098
36 2.455 1.845 0.745 0.145 0.124 0.115
48 2.645 2.125 1.475 0.478 0.198 0.175
60 2.745 2.675 2.025 1.012 0.412 0.397
[표 11]
후코이단의 포도상 구균(S. Aureus )에 대한 세포 농도(λ=600nm, 5,000ppm)
제조예

시간
71 72 73 74 75
Native fucoidan F-1-HP3.0-2.5 F-1-HP3.0-5.0 F-1-HP3.0-10.0 F-1-HP3.0-15.0 F-1-HP3.0-20.0
0 0 0 0 0 0 0
12 1.545 0.087 0.025 0.045 0.075 0.075
24 1.798 1.565 0.160 0.105 0.087 0.081
36 2.345 2.785 0.245 0.178 0.135 0.125
48 3.085 3.145 0.375 0.295 0.187 0.172
60 2.875 2.975 0.815 0.545 0.387 0.342
[표 12]
푸코이단의 여드름 구균(P. acnes )에 대한 세포 농도(λ=600nm, 10,000ppm)
제조예

시간
71 72 73 74 75
Native fucoidan F-1-HP3.0-2.5 F-1-HP3.0-5.0 F-1-HP3.0-10.0 F-1-HP3.0-15.0 F-1-HP3.0-20.0
0 0 0 0 0 0 0
12 0.678 0.045 0.012 0.045 0.058 0.067
24 1.343 0.098 0.075 0.068 0.061 0.062
36 1.623 0.185 0.154 0.148 0.132 0.098
48 2.735 0.865 0.287 0.265 0.232 0.105
60 2.545 1.875 0.745 0.623 0.585 0.304
그 결과, 상기 표 7 내지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분자 알지네이트 및 저분자 후코이단은 처리 시간이 길면 길수록 증식되는 세포의 증가율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저분자 알지네이트 및 저분자 후코이단을 최소 생육 저지 농도(MIC)로 처리할 경우, 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항균 활성 또한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3-3> 저분자화 은-알지네이트의 항균성 조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저분자화 은-알지네이트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는데, 상기 조사는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때 저분자화 알긴산의 분자량 범위는 5,000 Da 이하이고, 은(Ag) 함유량은 35% 이상이며, 은 알지네이트 입자의 크기는 0.1~3.4㎛ 범위의 시료를 사용하여 MIC를 측정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1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표 13]
저분자 은-알지네이트의 항균성 조사 결과
균주명 저분자 알긴산은 용액(ppm) MIC(ppm)
700 350 175
대장균 증식하지 않음 증식하지 않음 증식함 350
포도상 구균 증식하지 않음 증식하지 않음 증식함 350
여드름 구균 증식하지 않음 증식하지 않음 증식함 350
항균성 조사 결과, 상기 표 1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는 대장균, 포도상 구균 및 여드름 구균에 대해 모두 MIC 350ppm 농도 이상부터는 상기 균주들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700ppm 농도에서는 상기 3가지 종류의 균주가 모두 증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75ppm 농도에서는 상기 균주들이 다소 증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는 항균 활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대장균, 포도상 구균 및 여드름 구균에 대한 MIC는 350ppm 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저분자화 알지네이트 및 후코이단의 라티칼 소거활성 및 세포독성 활성 분석
<4-1> 라디칼 소거활성
히드록실 라디칼의 분석은 N. Smirnoff 및 Q.J. Cumbes에 의해 공지된 방법
(Phytochemistry, 28(4), 1057, 1989)에 따라 수행하였는데, 즉 , 각 시료에 25mM FeSO4, 2mM sodium salicylate, 6mM hydrogen peroxide을 넣고 37 ℃에서 1시간 동안 볼택싱 한 뒤 5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시료에 대한 라디칼의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라디칼의 억제율을 다음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또한, 상기 시료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저분자 알지네이트, 은-알지네이트, 고분자 알지네이트 및 후코이단을 각각 농도별로 사용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14, 15 및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었다.
억제율(%)=(A-B)/A× 100
(A는 대조군, B는 실험군)
[표 14]
은-알지네이트, 고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알지네이트의 흡광도(510nm)
첨가량
(mg)
BK 은-알지네이트
(SA)
저분자 알지네이트
(LMWA)
고분자 알지네이트
(HMWA)
1.0 0.419 0.412 0.298 0.385
2.0 0.419 0.410 0.231 0.309
4.0 0.419 0.389 0.170 0.230
6.0 0.419 0.351 0.155 0.170
8.0 0.419 0.285 0.139 0.149
첨가량
(mg)
BK LMWA 1
(A-2.5-HP4.5-5)
LMWA 2
(A-2.5-HP1.5-5)
LMWA 3
(A-2.5-HP0-20)
1.0 0.432 0.298 0.291 0.301
2.0 0.432 0.231 0.228 0.258
4.0 0.432 0.170 0.163 0.185
6.0 0.432 0.155 0.149 0.166
8.0 0.432 0.139 0.134 0.128
[표 15]
은-알지네이트, 저분자 알지네이트, 고분자 알지네이트 및 후코이단의 흡광도
첨가량(mg) BK 저분자 알지네이트 고분자 알지네이트 은-알지네이트 후코이단
1.0 2.160 1.490 1.925 2.125 2.100
2.0 2.160 1.155 1.545 2.000 1.975
4.0 2.160 0.850 1.150 1.800 1.855
6.0 2.160 0.775 0.850 1.655 1.820
8.0 2.160 0.695 0.745 1.435 1.750
그 결과, 상기 표 14 및 15와 도 5 내지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디칼 소거활성은 알지네이트 및 후코이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은-알지네이트의 경우에는 라디칼의 소거활성이 알지네이트 및 후코이단에 비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은-알지네이트 역시 라디칼을 소거하는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2> 세포독성 분석
<4-2-1> 세포배양 방법
각질형성 세포주(HaCaT)를 37℃, 5% CO2와 습윤화된 배양기(Sanyo) 내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배양액은 56℃에서 30분간 열처리된 소태아 혈청(FBS, GibcoBRL) 10%와 항생제(antibiotic-antimycotic, GibcoBRL)를 함유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Invitrogrn)배지를 사용하였다.
<4-2-2> 세포 독성테스트
세포 독성 테스트는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숙신산 디하이드로게나제(succinic dehydrogenase)라는 효소가 MTT[3-(4,5-dimethyl-2-yl)-2, 5-diphenyl tetrazolium bromide]를 환원시켜 포르마잔(formazan)을 형성시킬 수 있음을 근거로 하여 형성된 포르마잔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생존한 세포수를 측정하는 MTT 방법을 이용하였다(Pieters 등 1988). 대사과정이 정상적인 암세포는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 효소작용에 의하여 노란색 수용성 MTT 테크라졸리움(tetrazolium)을 자주색을 띄는 비수용성의 MTT 포르마잔으로 환원시킨다. MTT 포르마잔의 흡광도는 540 nm의 파장에서 최대가 되며, 이 파장에서 측정된 흡광도는 살아있고 대사적으로 왕성한 세포의 농도를 반영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본 실시예에서는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3 일간 약물 없이 배양한 내성 세포주를 적절한 농도로 희석시키고 세포 부유 액 90 ㎕씩을 각각 넣었다. 그리고 18 시간 후에 측정하고자 하는 약물을 10 ㎕씩 넣고 이때 약물대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를 넣어 세포의 대조군으로 삼고, 세포 대신 배양액만을 넣어 블랭크로 삼 았다. 이후 잘 흔든어 섞은 다음, 3 일간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모든 웰이 MTT 용액(5 mg/ml PBS, Sigma) 10 ㎕를 가해주고 다시 37℃, 5% CO2에서 4-5 시간 더 배양하여 MTT가 환원되도록 하였다. 5 시간 후 각 웰에서 80 ㎕씩 버린 다음, 150 ㎕ DMSO를 넣고 10분 동안 교반하면서 생성된 포르마잔 결정을 잘 녹여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Bio-Tek,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6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표 16]
저분자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및 은-알지네이트의 세포 독성 측정 결과
시료 A-2.5-HP4.5-20
(과산화수소 4.5%)
저분자 은-알지네이트 고분자 후코이단
농도 (ug/ml) 흡광도 흡광도 흡광도
1000 0.039 0.044 0.026 0.249 0.288 0.3 0.07 0.033 0.017
200 0.257 0.166 0.095 0.277 0.423 0.53 0.174 0.19 0.199
40 0.4 0.363 0.397 0.555 0.51 0.604 0.408 0.38 0.468
8 0.596 0.63 0.519 0.587 0.617 0.482 0.593 0.668 0.696
1.6 0.633 0.507 0.572 0.705 0.638 0.545 0.556 0.523 0.65
0.32 0.525 0.667 0.598 0.652 0.624 0.597 0.608 0.681 0.625
0.064 0.607 0.445 0.498 0.515 0.563 0.601 0.532 0.556 0.536
Control 0.557 0.367 0 0.416 0.573 0.544 0.565 0.538 0.523
시료 F-2.5-HP0-20
(과산화수소 무첨가)
A-2.5-HP0-20
(과산화수소 무첨가)
A-2.5-HP3.0-20
(과산화수소 3.0%)
농도 (ug/ml) 흡광도 흡광도 흡광도
1000 0.325 0.392 0.318 0.249 0.288 0.3 0.07 0.033 0.017
200 0.266 0.5 0.394 0.277 0.423 0.53 0.174 0.19 0.199
40 0.522 0.434 0.423 0.555 0.51 0.604 0.408 0.38 0.468
8 0.42 0.366 0.557 0.587 0.617 0.482 0.593 0.668 0.696
1.6 0.285 0.383 0.365 0.705 0.638 0.545 0.556 0.523 0.65
0.32 0.531 0.363 0.426 0.652 0.624 0.597 0.608 0.681 0.625
0.064 0.384 0.3 0.409 0.515 0.563 0.601 0.532 0.556 0.536
Control 0.486 0.378 0.532 0.416 0.573 0.544 0.565 0.538 0.523
그 결과, 상기 표 16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액농도 1000ppm에서 고분자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는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과산화수소가 무첨가된 저분자 알지네이트와 후코이단 역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도 9에서 색이 진할수록 독성이 없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색의 농도가 점차 옅어져서 흰색 또는 투명한 색을 띄는 것은 독성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을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후코이단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는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기 때문에 이를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할 경우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항균활성이 우수한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5>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활성을 갖는 화장품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이 우수한 화장품의 제조는 본 발명의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후코이단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조하였으며, 하기 표 17에 기재된 각 성분의 조성비에 따라 각각의 에센스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모든 재료와 용기는 소독하여 사용하였고 제조 공정은 클린 벤치에서 실시하였다. 먼저 용기 1에 오일층(A)을 계량하여 넣고 70 ℃에서 끓인 후, 다른 용기 2에 수상층(B)을 계량하여 첨가 후 녹이고, 첨가물(C)에 알란토닌(allantonin), 트리클로산(triclosan) 및 아스크로빅산( ascrobic acid)을 넣고, 녹은 것이 확인되면 첨가물(E)를 넣어 녹였다. 이때 첨가물이 녹을 수 있을 정도만의 온도 및 시간으로 가열하고 가급적 많은 시간 동안 가열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후 용기 2의 수상층(B)에 오일층(A)를 저으면서 첨가시켰고 핸더블랜더로 섞어주면서 유화상태를 만들었다. 이후 온도가 40℃로 내려가면 첨가물(C)의 나머지 재료들을 섞어주면서 빠르게 혼합한 후 소독된 용기에 넣었다.
[표 17]
본 발명에서 제조된 에센스 화장품의 조성 및 비율(단위 %)
성분 적용예 1 적용예 2 적용예 3 적용예 4 적용예 5 적용예 6 적용예 7 적용예 8 적용예 9
1 Avocado oil 오 일층
(A)
5 5 5 5 5 5 5 5 5
2 Emulsifying wax 3 3 3 3 3 3 3 3 3
4 Rose water 수상층
(B)
40 40 40 40 40 40 40 40 40
5 Tea tree floral water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6 Aloevera gel 12 12 12 12 12 12 12 12 12
7 Vegetable glycerin 첨가물
(C)
2 2 2 2 2 2 2 2 2
8 Vitamin E 1 1 1 1 1 1 1 1 1
9 Olive liquid 1 1 1 1 1 1 1 1 1
10 Polysorbate 1 1 1 1 1 1 1 1 1
11 Hyaluronic acid 1 1 1 1 1 1 1 1 1
12 Allantonin 0.1 0.1 0.1 0.1 0.1 0.1 0.1 0.1 0.1
13 Triclosan 0.2 0.2 0.2 0.2 0.2 0.2 0.2 0.2 0.2
14 Phenoxyethanol 1 1 1 1 1 1 1 1 1
15 Ascorbic acid 1 1 1 - - 1 - - -
16 Ethanol - - - - 1.5 - - - -
17 Chamomile E/O (D) 1 1 1 1 1 1 1 1 1
18 Rose geranium E/O 2 2 2 2 2 2 2 2 2
19 고분자알지네이트 0.5 0.5 0.5 0.5 0.5 0.5 0.5 0.5 0.5
(E)
20 저분자알지네이트 - 0.5 - - - 0.5 0.5 - 0.5
21 고분자 후코이단 - - 0.5 - - 0.5 - 0.5 0.5
22 저분자 후코이단 0.5 0.5 - 0.5 0.5 - 0.5 - -
23 저분자 은-알지네이트 - - - 0.035 0.035 - 0.035 0.035 0.035
< 실시예 6>
제조된 화장품의 항균활성 조사
상기 실시예 5에서 각 성분들의 함량 및 조성을 달리하여 제조된 적용예 1 내지 9의 에센스 화장품에 대하여 대장균, 포도상 구균, 여드름균 및 탄저균에 대한 항균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항균 테스트는 상기 제조한 화장품의 시료를 대상으로 20,000ppm 농도에서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고, 결과는 도 10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후코이단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를 함유하여 제조된 화장품의 경우, 대장군, 포도성 구균, 여드름균 및 탄저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를 MIC 농도인 350ppm으로 함유한 화장품의 경우에는 탄저균을 비롯한 여드름균의 항균 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 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분자 후코이단을 각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경우 대장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분자 후코이단을 각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경우 포도상 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분자 후코이단을 각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경우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분자 은-알지네이트 용액에 대한 각 농도별에서의 대장균, 포도상 구균 및 여드름 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분자 알지네이트의 라디칼 소거 활성을 히드록시 라디칼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분석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저분자 은-알지네이트, 고분자 은-알지네이트 및 은-알지네이트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저분자 알지네이트(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조한 제조예 17, 7 및 5)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분자 은-알지네이트, 고분자 은-알지네이트, 은-알지네이트 및 후코이단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저분자 은-알지네이트, 고분자 은-알지네이트, 은-알지네이트 및 후코이단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을 MTT 분석을 통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저분자 알지네이트, 저분자 후코이단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제조한 에센스 화장품을 대상으로 대장균, 포도상 구균, 여드름균 및 탄저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Claims (6)

  1. 분자량이 150,000 Da 이하인 저분자 알지네이트, 분자량이 35,000 Da 이하인 저분자 후코이단 및 입자 크기가 0.1~3.4㎛인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4~1중량%, 0.5~1중량% 및 0.035~0.04중량% 포함하고;
    상기 저분자 알지네이트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는 알지네이트에 과산화수소를 첨가한 후 전자빔을 조사하여 제조된 것이며;
    상기 저분자 후코이단은 후코이단에 과산화수소를 첨가한 후 전자빔을 조사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알지네이트 및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는 알지네이트가 0.1~2.0중량%로 함유된 수용액에 과산화수소를 1.5~4.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한 후 1.0~3.0 MeV의 전자빔을 조사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저분자 후코이단은 후코이단이 0.1~2.0중량%로 함유된 수용액에 과산화수소를 1.5~4.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한 후 1.0~3.0 MeV의 전자빔을 조사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
  3. 알지네이트가 0.1~2.0 중량%로 함유된 수용액에 과산화수소를 1.5~4.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단계;
    상기 과산화수소가 첨가된 혼합액에 1.0~3.0MeV의 전자빔을 조사하고 질산은(AgNO3)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에서 발생된 침전물을 회수하여 입자 크기가 0.1~3.4㎛인 저분자 은-알지네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알지네이트가 0.1~2.0중량%로 함유된 수용액에 과산화수소를 1.5~4.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한 후 1.0~3.0 MeV의 전자빔을 조사하여 분자량이 150,000 Da 이하인 저분자 알지네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후코이단이 0.1~2.0중량%로 함유된 수용액에 과산화수소를 1.5~4.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한 후 1.0~3.0 MeV의 전자빔을 조사하여 분자량이 35,000 Da 이하인 저분자 후코이단을 제조하는 단계; 및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저분자 은-알지네이트 0.035~0.04중량%, 저분자 알지네이트 0.04~1중량% 및 저분자 후코이단 0.5~1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항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장균, 포도상 구균, 여드름균 및 탄저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 및 라디칼 소거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KR1020090116111A 2009-11-27 2009-11-27 저분자의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또는 은-알지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 KR101144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111A KR101144493B1 (ko) 2009-11-27 2009-11-27 저분자의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또는 은-알지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111A KR101144493B1 (ko) 2009-11-27 2009-11-27 저분자의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또는 은-알지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394A KR20110059394A (ko) 2011-06-02
KR101144493B1 true KR101144493B1 (ko) 2012-05-11

Family

ID=4439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111A KR101144493B1 (ko) 2009-11-27 2009-11-27 저분자의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또는 은-알지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49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701A (ko) 2014-12-15 2016-06-23 (주) 아이투비 후코이단 나노섬유를 이용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6018A (ko) 2015-07-07 2017-01-17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후코이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rsa의 항균을 위한 조성물
KR20180099271A (ko) 2017-02-28 2018-09-05 차정단 푸코이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염증억제 조성물
KR20180099256A (ko) 2017-02-28 2018-09-05 차정단 푸코이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90120651A (ko) * 2018-04-16 2019-10-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후코이단 카테콜 접합체를 포함하는 표면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 코팅 방법
KR102271980B1 (ko) * 2020-11-30 2021-07-02 주식회사 피엘마이크로메드 콜라겐-알지네이트 창상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9351B (zh) * 2016-08-23 2020-03-10 广州洁康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杀菌修护清洗剂、制备方法及其应用
FR3064473B1 (fr) * 2017-04-03 2021-02-12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Ingredient protecteur de l'equilibre de la flore microbienne cutanee et/ou mucosal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 조선대학교 *
논문1 : 조선대학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701A (ko) 2014-12-15 2016-06-23 (주) 아이투비 후코이단 나노섬유를 이용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6018A (ko) 2015-07-07 2017-01-17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후코이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rsa의 항균을 위한 조성물
KR20180099271A (ko) 2017-02-28 2018-09-05 차정단 푸코이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염증억제 조성물
KR20180099256A (ko) 2017-02-28 2018-09-05 차정단 푸코이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90120651A (ko) * 2018-04-16 2019-10-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후코이단 카테콜 접합체를 포함하는 표면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 코팅 방법
KR102113247B1 (ko) 2018-04-16 2020-05-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후코이단 카테콜 접합체를 포함하는 표면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 코팅 방법
KR102271980B1 (ko) * 2020-11-30 2021-07-02 주식회사 피엘마이크로메드 콜라겐-알지네이트 창상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114348A1 (ko) * 2020-11-30 2022-06-02 주식회사 피엘마이크로메드 콜라겐-알지네이트 창상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394A (ko)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493B1 (ko) 저분자의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또는 은-알지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
Rao et al. Hemostatic, biocompatible, and antibacterial non-animal fungal mushroom-based carboxymethyl chitosan-ZnO nanocomposite for wound-healing applications
CN103356738B (zh) 一种皮肤消毒凝胶及其应用
US20080226740A1 (en) Marine algal extracts comprising marine algal polysaccharides of low degree polymerizaton, and the preparation processes and uses thereof
KR101816792B1 (ko) 바이오셀룰로오스 미세섬유 수분산체 네트워크 조성물
EP2739276B1 (fr) Composition antiseptique
CN106727324B (zh) 纳米银脂质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Dumbrava et al.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s of a new composite material obtained by green synthesis, through deposition of zinc oxide onto calcium carbonate precipitated in green seaweeds extract
WO2004078155A1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total de flavonoide d&#39;une feuille de bambou dans des compositions cosmetiques comme facteur anti-vieillissement
CN105168017A (zh) 一种有效保湿、祛痘和抗衰老的植物多糖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60117875A (ko) 항균 세정제 조성물
KR20170099578A (ko) 골이식재 배합용 항균젤
US20210402369A1 (en) Surface-treated inorganic particles,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dispersion solution of the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JP2019055926A (ja) 美白化粧料組成物
Shanmugam et al. Preparation of a Herbal Mouthwash With Lemongrass and Mint-Mediated Zinc Oxide Nanoparticles and Evaluation of Its Antimicrobial and Cytotoxic Properties
JP4716497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20220117942A (ko) 신규한 석류-산화아연 나노복합입자 및 이의 용도
Mathew et al. Fucoidans: a marine antioxidant
KR20110133982A (ko) 은-알긴산 나노복합체가 함유된 항균성 조성물
Akbar et al. Sodium alginate: an overview
JP4707214B2 (ja) 皮膚外用剤
KR20200060890A (ko) 천연 미생물 발효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KR20150116504A (ko) 티트리 추출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88162B1 (ko) 수용성 키토산을 함유한 구강제제 및 그 제조방법
Ameena et al. A thiocolchicoside-lauric acid formulation demonstrates antimicrobial activity and cytotoxic eff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