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606A -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606A
KR20170098606A KR1020160020730A KR20160020730A KR20170098606A KR 20170098606 A KR20170098606 A KR 20170098606A KR 1020160020730 A KR1020160020730 A KR 1020160020730A KR 20160020730 A KR20160020730 A KR 20160020730A KR 20170098606 A KR20170098606 A KR 20170098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drying
duct
scree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5055B1 (ko
Inventor
김애영
Original Assignee
김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애영 filed Critical 김애영
Priority to KR1020160020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055B1/ko
Publication of KR20170098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01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the material moving down superimposed 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01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the material moving down superimposed floors
    • F26B17/0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the material moving down superimposed floors the movement being imparted by oscillation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01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the material moving down superimposed floors
    • F26B17/007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the material moving down superimposed floors having a sieve, e.g. classifying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마사토나 폐석분 및 토사 등을 건조시켜 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골재를 공급하는 골재 공급부와, 상기 골재 공급부로부터 상기 골재를 공급받아 이송하면서 상기 골재를 건조 시킬 수 있도록, 선단이 상기 골재 공급부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골재를 건조시키는 골재 건조 공간이 형성되는 골재 건조부와, 상기 골재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골재 건조부의 적어도 선단, 후단 및 양단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골재 건조 공간에 열풍을 인가하는 열풍 공급부와, 상기 골재 건조부에서 상기 골재가 흘러 내려갈 수 있도록, 상기 골재 건조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골재 건조부를 진동시키는 진동부 및 상기 골재 건조부에서 건조된 상기 골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골재 건조부의 후단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골재를 수용하는 골재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Aggregate or mineral sealed drying screen apparatus}
본 발명은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마사토나 폐석분 및 토사 등을 건조시켜 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콘크리트로 사용되는 모래나 자갈 등의 골재는 대부분 강이나 하천 또는 바다에서 채취하여 물로 세척하고, 이를 규격별로 선별하여 생산하거나, 또는 석산이나 폐콘크리트의 재활용 파쇄장에서 크러싱(crushing) 작업으로 골재를 생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근래 강이나 하천에서의 골재 채취는 자연환경의 파괴와 자원고갈을 초래하여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석산이나 폐콘크리트 재활용 파쇄장에서의 골재 생산 또한 석분과 미세입자를 슬러지 응고제가 함유된 물로 세척하여 생산하므로 강이나 토양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세척과정에서 발생한 폐기물의 처리가 어렵다. 또한, 석산이나 폐콘크리트 재활용 파쇄장에서의 골재 생산은 석분과 미세입자의 과다한 포함으로 모래와 잔골재의 생산이 불합리하였을 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골재를 생산하지 못하고 있어 골재의 생산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폐콘크리트의 재활용으로 생산되는 골재는 규격별 입자가 골고루 분포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토사 미분과 비닐 조각, 목재 조각, 나무뿌리 등 잡쓰레기와 이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골재를 콘크리트 재료로 사용할 경우 강도가 떨어지고 흡수율이 높아 골재로서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골재의 품질과 생산량을 높이고자 마사토나 폐석분 및 토사 등에서 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골재 제조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마사토나 폐석분 및 토사 등에서 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골재 제조기술들은 수세식으로 골재를 세척하여 슬러지 응고제 사용으로 식수오염, 강오염 및 지하수오염 등이 생길 수 있으며, 세척과정에서 오염된 슬러지 발생으로 인하여 별도로 폐기물을 처리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마사토나 폐석분 및 토사 등의 골재원료에 수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골재를 규격별로 선별하기 위한 선별공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즉, 마사토나 폐석분 및 토사 등의 골재원료에 수분이 다량 함유되어, 이러한 수분이 골재원료에서 골재와 미분 및 이물질들을 서로 엉겨 뭉치게 하고, 또한, 선별공정에서 선별기의 망체에 달라붙게 되므로 선별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골재와 미분 및 이물질들이 각기 선별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마사토나 폐석분 및 토사 등을 건조시켜 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는, 골재를 공급하는 골재 공급부; 상기 골재 공급부로부터 상기 골재를 공급받아 이송하면서 상기 골재를 건조 시킬 수 있도록, 선단이 상기 골재 공급부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골재를 건조시키는 골재 건조 공간이 형성되는 골재 건조부; 상기 골재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골재 건조부의 적어도 선단, 후단 및 양단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골재 건조 공간에 열풍을 인가하는 열풍 공급부; 상기 골재 건조부에서 상기 골재가 흘러 내려갈 수 있도록, 상기 골재 건조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골재 건조부를 진동시키는 진동부; 및 상기 골재 건조부에서 건조된 상기 골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골재 건조부의 후단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골재를 수용하는 골재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재 및 광물 건조 장치에서, 상기 골재 건조부는, 상기 골재를 흘려보낼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골재 덕트; 상기 골재를 크기별로 선별하고 상기 골재 건조부의 후단으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상기 골재 덕트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층의 골재 스크린; 복수층의 상기 골재 스크린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적층되어 상기 골재 스크린 사이에 상기 골재 건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층의 상기 골재 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골재 스크린 지지 부재; 상기 골재가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골재 덕트의 상측에 형성되는 배기관; 상기 골재 덕트를 단열할 수 있도록 상기 골재 덕트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골재 덕트를 둘러싸는 덕트 단열 부재; 및 상기 골재 덕트의 경사를 조절하고 상기 골재 덕트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일측에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골재 덕트를 지지하는 골재 덕트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에서, 상기 골재 스크린은, 망의 간격이 제 1 간격을 가지는 제 1 골재 스크린; 망의 간격이 상기 제 1 간격보다 좁은 제 2 간격을 가지는 제 2 골재 스크린; 및 망의 간격이 상기 제 2 간격보다 좁은 제 3 간격을 가지는 제 3 골재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에서, 상기 골재 덕트는, 상기 골재가 복수개의 상기 골재 스크린에서 크기별로 선별된 후 발생된 미분을 별도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골재 스크린과 상기 골재 덕트의 하면 사이에 미분 배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에서, 상기 골재 덕트는, 상기 골재 덕트의 상면을 개폐하여 상기 골재 스크린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골재 덕트의 개방된 상면과 대응하게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에서, 상기 골재 수용부는, 건조된 상기 골재를 수용할 수 있는 골재 저장조; 및 상기 골재 건조부에서 건조된 상기 골재가 상기 골재 저장조로 안내되어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골재 건조부에 설치되는 안내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에서, 상기 진동부는,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는 편심 부재; 상기 편심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편심 부재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골재의 건조 작업 시 상기 골재 건조부를 고정하고, 이동 시 이동이 편리하도록, 상기 골재 건조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골재 건조부와 분리가 가능한 골재 건조부 받침대; 및 상기 골재 스크린의 교체 작업 시 상기 골재 스크린을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골재 건조부 받침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골재 스크린을 승하강 시키는 호이스트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골재를 밀폐하여 건조 시킬 수 있도록 골재 건조 공간이 형성되는 골재 건조부가 설치되고, 상기 골재를 가열하도록 상기 골재 건조 공간에 열풍을 인가하는 열풍 공급부가 상기 골재 건조부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가 상기 골재 건조부를 따라 이송되면서 건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재 건조부는 상기 골재의 건조 효율을 증가 시키고 건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골재 스크린이 복수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골재 스크린이 상기 골재를 크기별로 분류하여 이송하면서 건조시키므로, 상기 골재의 건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크기별로 분류되어 건조된 상기 골재를 크기에 상관없이 한번에 수집할 수도 있고, 크기별로 분류된 상태로 수집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골재를 건조 후에 별도로 상기 골재를 크기별로 분류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골재 생산 공정을 간략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제조 방법은 물을 사용하지 않아 강오염이나 지하수오염이 발생하지 않고, 밀폐식이므로 집진기로 미세먼지를 흡수하여 공기오염이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건조 시 밀폐 내 온도는 250도에서 350도를 유지하고 각층마다 온도계가 있어 건조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건조가 덜 되었을 때는 자동으로 온도가 상승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골재가 완전히 건조된 후 분쇄기에 넣어 크리닝하여 미분이나 불순물을 분쇄 선별할 수 있으며, 수세식에 비해 건조비가 절반가량으로 절감되어 골재의 생산원가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골재 건조부의 상면이 개폐가 가능하도록 커버로 구성되어있고, 별도의 호이스트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골재 건조부의 상면을 개방하고 상기 호이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골재 스크린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정비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의 골재 건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5의 골재 건조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5의 골재 건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1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1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100)는, 골재 공급부(10)와, 골재 건조부(20)와, 열풍 공급부(30)와 진동부(40) 및 골재 수용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100)의 골재 공급부(10)는, 골재(A)를 수용하고 골재(A)를 골재 건조부(20)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골재 공급부(10)는, 호퍼이고, 골재(A)를 수용할 수 있는 적절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구조체일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골재 공급부(10)는, 스틸,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아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을 선택하여 구성되는 구조체일 수 있다. 그러나, 골재 공급부(10)는, 도 1 내지 도 4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골재(A)를 수용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부재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골재 공급부(10)는, 골재 건조부(20)로 공급하는 골재(A)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골재 공급부(10)의 하측에 설치되고 열림량이 조절되는 골재 공급 조절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100)의 골재 공급부(10)는, 일정량의 골재(A)를 저장하고 골재 건조부(20)로 골재(A)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재 공급 조절 밸브의 열림량을 조절하여 골재 건조부(20)로 공급되는 골재(A)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골재 공급부(10)는, 상기 골재 공급 조절 밸브의 열림량 조절이 가능하여, 골재 건조부(20)로 공급되는 골재(A)의 양을 골재 건조부(20)의 건조 용량에 맞게 적절히 조절하여, 골재(A)의 건조 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재 건조부(20)는, 골재 공급부(10)로부터 골재(A)를 공급받아 이송하면서 골재(A)를 건조 시킬 수 있도록, 선단이 골재 공급부(10)의 하방에 설치되고 골재(A)를 건조시키는 골재 건조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 공급부(30)는, 골재(A)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골재 건조부(20)의 적어도 선단, 후단 및 양단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골재 건조 공간에 열풍을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열풍 공급부(30)는, 가스 열풍기일 수 있다. 그러나, 열풍 공급부(30)는 반드시 상기 가스 열풍기에 국한되지 않고 전기 열풍기 또는 석유 열풍기 등 골재 건조부(20)에 열풍을 인가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100)의 열풍 공급부(30)는, 가스, 화석연료 또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히터를 구비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송풍팬을 이용하여 열풍을 발생시켜 골재 건조부(20)로 상기 열풍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골재(A)를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부(40)는, 골재 건조부(20)에서 골재(A)가 흘러 내려갈 수 있도록, 골재 건조부(20)의 일측에 설치되고 골재 건조부(2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진동부(40)는,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는 편심 부재(41)와, 편심 부재(4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42) 및 모터(42)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편심 부재(41)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력 전달 장치(43)는, 기어 조합, 벨트 및 풀리 조합, 체인 및 스프로킷휠 조합, 와이어 및 도르래 조합, 캠 조합, 링크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골재 건조부(20)의 일측에 설치된 진동부(40)의 모터(42)가 회전하면 동력 전달 장치(43)를 통하여 구동력을 전달하여 편심 부재(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편심 부재(4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어서, 편심 부재(41)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진동이 진동부(40)와 연결된 골재 건조부(20)에 전달되어 골재 건조부(20)도 같이 진동할 수 있다. 이때, 골재 건조부(20) 내부의 골재(A)가 진동에 의해서 경사면을 따라 골재 건조부(20) 상측에서 하측으로 흘러 내려갈 수 있다.
또한, 모터(42)의 회전수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모터(42)의 회전수 조절에 따라 골재 건조부(20)의 진동폭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골재 건조부(20)에 공급되는 골재(A)의 양에 따라 모터(42)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골재(A)의 양이 많을 때는 골재 건조부(20)의 진동폭을 크게 하여 골재(A)의 흐름 속도를 빠르게 하고, 골재(A)의 양이 적을 때는 골재 건조부(20)의 진동폭을 작게 조절하여 골재(A)의 흐름 속도를 느리게 하여 골재(A)의 흐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100)의 진동부(40)는, 골재 건조부(20)에 전달되는 진동의 폭 및 방향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골재 건조부(20)에 투입되는 골재(A)의 종류 및 양에 따라 각각의 특성에 맞게 진동의 폭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골재 건조부(20) 내에서 골재(A)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골재(A)의 건조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재 수용부(50)는, 골재 건조부(20)에서 건조된 골재(A)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골재 건조부(20)의 후단의 하방에 설치되어 골재(A)를 수용할 수 있다.
예컨대, 골재 수용부(50)는, 건조된 골재(A)를 수용할 수 있는 골재 저장조(51) 및 골재 건조부(20)에서 건조된 골재(A)가 골재 저장조(51)로 안내되어 낙하할 수 있도록 골재 건조부(20)에 설치되는 안내 덕트(52)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골재 수용부(50)의 안내 덕트(52)는, 골재 건조부(20)와 골재 저장조(51)를 연결하여 골재 건조부(20)에서 건조된 골재(A)가 낙하 시 골재 저장조(51)로 낙하될 수 있도록 낙하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된 골재(A)가 골재 저장조(51)의 바깥으로 낙하하지 않고, 골재 저장조(51)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안내 덕트(52)가 골재 건조부(20)에 복수층으로 형성된 골재 건조 공간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층으로 형성되어, 후술될 골재 스크린(22)에 의해 크기별로 분류되어 각각의 층에서 건조된 골재(A)를 분류된 상태로 각각 수집할 수 있다. 이때, 골재 저장조(51)는 크기별로 분류된 각각의 골재(A)를 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골재 수용부(50)는 송풍기(미도시)를 구비하여 안내 덕트(52) 내측으로 바람을 불어 넣을 수 있다. 예컨대, 골재 건조부(20)에서 열풍에 의해 골재(A)가 건조되면서 골재(A)의 온도가 상승하게 될 수 있다. 이때, 건조된 골재(A)가 안내 덕트(52)를 따라 낙하하면서 상기 송풍기에서 발생된 바람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100)의 골재 수용부(50)는, 골재 건조부(20)에서 건조된 골재(A)가 골재 수용부(50)로 낙하 시 안내 덕트(52)에 의해 낙하 방향을 안내받아 골재 저장조(51)로 안정적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골재(A)가 골재 저장조(51)로 낙하 시 상기 송풍기에서 발생한 바람에 의해 냉각되면서 낙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100)는, 골재 건조부(20)가 열풍 공급부(30) 및 진동부(40)를 구비하여 골재(A)를 이송과 동시에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부(40)에 의해 골재 건조부(20)가 진동하게 되어, 골재 건조부(20)를 따라 이송되는 골재(A)가 이송 중에 계속 섞이게 되어 더욱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 또한, 골재 수용부(50)는, 상기 송풍기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골재 건조부(20)에서 건조된 골재(A)가 골재 저장조(51)로 낙하하는 동안 냉각되어 별도로 골재(A)를 냉각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100)의 골재 건조부(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5의 골재 건조부(2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5의 골재 건조부(2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재 건조부(20)는, 골재(A)를 흘려보낼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골재 덕트(21)와, 골재(A)를 크기별로 선별하고 골재 건조부(20)의 후단으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골재 덕트(21)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층의 골재 스크린(22)과, 복수층의 골재 스크린(22)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적층되어 골재 스크린(22) 사이에 상기 골재 건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층의 골재 스크린(22) 사이에 설치되는 골재 스크린 지지 부재(23)와, 골재(A)가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골재 덕트(21)의 상측에 형성되는 배기관(24)과, 골재 덕트(21)를 단열할 수 있도록 골재 덕트(21)의 외측에 형성되고 골재 덕트(21)를 둘러싸는 덕트 단열 부재(25) 및 골재 덕트(21)의 경사를 조절하고 골재 덕트(21)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일측에 탄성 부재(26a)를 포함하고 골재 덕트(21)를 지지하는 골재 덕트 지지대(26)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재 덕트(21)는, 골재(A)가 복수층의 골재 스크린(22)에서 크기별로 선별된 후 발생된 미분(P)을 별도로 배출할 수 있도록, 골재 스크린(22)과 상기 골재 덕트(21)의 하면 사이에 미분 배출 통로(21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골재 덕트(21)는, 골재 덕트(21)의 상면을 개폐하여 골재 스크린(22)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골재 덕트(21)의 개방된 상면과 대응하게 형성되는 커버(C)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골재 스크린(22)과 상기 골재 덕트(21)의 하면 사이에 미분 배출 통로(21a)가 형성되어, 골재 스크린(22)의 복수층으로 형성된 거름망을 통과하여 낙하한 미분을 별도로 수집하여 미분 저장조(B)에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골재 덕트(21)의 상면이 개폐 가능한 커버(C)로 형성되어 골재 스크린(22)의 교체 시 골재 덕트(21)의 상면을 개방하여 골재 스크린(22)을 용이하게 분리 또는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재 건조부(20)의 골재 덕트(21)는, 골재 스크린(22)과 상기 골재 덕트(21)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미분 배출 통로(21a)를 이용하여 미분을 별도로 수집하므로, 골재 건조부(20)에서 건조되는 골재(A)의 건조 효율을 증가시키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골재 덕트(21)의 상면이 커버(C)로 이루어져 있어 용이하게 개폐가 가능하므로, 골재 스크린(22)의 교체 시간을 단축하고 교체 작업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어서 작업의 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재 스크린(22)은, 망의 간격이 제 1 간격을 가지는 제 1 골재 스크린(22-1)과, 망의 간격이 상기 제 1 간격보다 좁은 제 2 간격을 가지는 제 2 골재 스크린(22-2) 및 망의 간격이 상기 제 2 간격보다 좁은 제 3 간격을 가지는 제 3 골재 스크린(2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골재 스크린(22)은 각기 다른 망의 간격을 가진 각각의 골재 스크린(22-1, 22-2, 22-3)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골재 건조부(20)로 투입되는 골재(A)를 크기별로 나누어 건조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골재 스크린(22)의 상부부터 하부까지 망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도록 각각의 골재 스크린(22-1, 22-2, 22-3)을 적층하여 골재(A)의 크기 순서대로 골재(A)를 선별하여 건조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골재 스크린(22-1, 22-2, 22-3) 사이에 골재 스크린 지지 부재(23)가 설치되어 각각의 골재 스크린(22-1, 22-2, 22-3)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층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재 건조부(20)의 골재 스크린(22)은, 골재 스크린(22)의 상부부터 하부까지 망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도록 복수층으로 각각의 골재 스크린(22-1, 22-2, 22-3)이 형성되어, 골재(A)를 크기별로 나누는 동시에 건조를 진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슷한 크기의 골재(A)끼리 건조를 하여 골재(A)의 건조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재 덕트(21)의 상측에 배기관(24)이 형성되어, 골재 건조부(20)내의 골재(A)가 열풍 공급부(30)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으로 인하여 건조될 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배기관(24)은 배기 밸브(V)가 형성되어 골재(A)가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양에 따라 배기관(24)의 열림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재 건조부(20)의 배기관(24)은, 배기관(24)을 통해서 골재(A)가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용이하게 배출되어 골재 건조부(20)내의 습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골재(A)가 더욱 빠르게 건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배기관(24)은, 배기 밸브(V)가 형성되어 골재(A)가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양에 따라 배기관(24)의 열림 정도를 조절하여 배기관(24)을 통하여 열풍이 지나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재 덕트 지지대(26)는, 상술된 골재 덕트(21)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적절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일종의 프레임 구조체일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골재 덕트 지지대(26)는 일체형 사출 구조물이나, 주물이나, 다양한 형상의 판재, 선재, 파이프재, 수직 부재, 수평 부재 및 경사 부재들을 서로 용접하거나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 구조체일 수 있다. 그러나 골재 덕트 지지대(26)는 도 5 내지 도 7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골재 덕트(21)를 지지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형상의 부재들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재 건조부(20)의 골재 덕트 지지대(26)는, 일측에 탄성 부재(26a)를 포함하여, 골재 덕트(21)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지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골재 덕트 지지대(26)는 골재 덕트(21)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골재 덕트(21)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골재 덕트 지지대(26)에 의해 골재 덕트(21)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골재(A)의 입자가 작을 때는 골재 덕트(21)의 경사 각도를 크게 조절하고, 골재(A)의 입자가 클 때는 골재 덕트(21)의 경사 각도를 작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골재(A)의 입자 크기에 맞게 골재 덕트(21)의 경사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골재(A)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재 덕트(21)에 설치된 복수개의 골재 스크린(22)마다 온도계(S)가 설치되어 골재(A)의 건조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골재(A)의 건조가 덜 되었을 때는 자동으로 건조 온도를 상승하도록 하여, 골재(A)가 완전히 건조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100)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100)는, 골재(A)의 건조 작업 시 골재 건조부(20)를 고정하고, 이동 시 이동이 편리하도록, 골재 건조부(20)의 하측에 형성되고 골재 건조부(20)와 분리가 가능한 골재 건조부 받침대(60) 및 골재 스크린(22)의 교체 작업 시 골재 스크린(22)을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골재 건조부 받침대(60)의 일측에 설치되고 골재 스크린(22)을 승하강 시키는 호이스트 장치(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100)는, 골재 건조부 받침대(60)를 구비하여, 골재(A)의 건조 작업 시에는 골재 건조부(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이송 시에는 골재 건조부 받침대(50)를 분리가 가능하므로,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100)을 차량으로 이송 시 높은 높이로 인하여 교각이나 터널 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이송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호이스트 장치(70)를 구비하여, 골재 스크린(22)을 용이하게 승하강 시킬 수 있으므로, 골재 건조부(20)의 골재 스크린(22) 교체 작업을 원활하게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골재 공급부
20: 골재 건조부
30: 열풍 공급부
40: 진동부
50: 골재 수용부
60: 골재 건조부 받침대
70: 호이스트 장치
A: 골재
100: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

Claims (7)

  1. 골재를 공급하는 골재 공급부;
    상기 골재 공급부로부터 상기 골재를 공급받아 이송하면서 상기 골재를 건조 시킬 수 있도록, 선단이 상기 골재 공급부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골재를 건조시키는 골재 건조 공간이 형성되는 골재 건조부;
    상기 골재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골재 건조부의 적어도 선단, 후단 및 양단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골재 건조 공간에 열풍을 인가하는 열풍 공급부;
    상기 골재 건조부에서 상기 골재가 흘러 내려갈 수 있도록, 상기 골재 건조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골재 건조부를 진동시키는 진동부; 및
    상기 골재 건조부에서 건조된 상기 골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골재 건조부의 후단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골재를 수용하는 골재 수용부;
    를 포함하는,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 건조부는,
    상기 골재를 흘려보낼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골재 덕트;
    상기 골재를 크기별로 선별하고 상기 골재 건조부의 후단으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상기 골재 덕트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층의 골재 스크린;
    복수층의 상기 골재 스크린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적층되어 상기 골재 스크린 사이에 상기 골재 건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층의 상기 골재 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골재 스크린 지지 부재;
    상기 골재가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골재 덕트의 상측에 형성되는 배기관;
    상기 골재 덕트를 단열할 수 있도록 상기 골재 덕트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골재 덕트를 둘러싸는 덕트 단열 부재; 및
    상기 골재 덕트의 경사를 조절하고 상기 골재 덕트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일측에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골재 덕트를 지지하는 골재 덕트 지지대;
    를 포함하는,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 스크린은,
    망의 간격이 제 1 간격을 가지는 제 1 골재 스크린;
    망의 간격이 상기 제 1 간격보다 좁은 제 2 간격을 가지는 제 2 골재 스크린; 및
    망의 간격이 상기 제 2 간격보다 좁은 제 3 간격을 가지는 제 3 골재 스크린;
    을 포함하는,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 덕트는,
    상기 골재가 복수층의 상기 골재 스크린에서 크기별로 선별된 후 발생된 미분을 별도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골재 스크린과 상기 골재 덕트의 하면 사이에 미분 배출 통로가 형성되는,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 덕트는,
    상기 골재 덕트의 상면을 개폐하여 상기 골재 스크린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골재 덕트의 개방된 상면과 대응하게 형성되는 커버;
    를 포함하는,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 수용부는,
    건조된 상기 골재를 수용할 수 있는 골재 저장조; 및
    상기 골재 건조부에서 건조된 상기 골재가 상기 골재 저장조로 안내되어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골재 건조부에 설치되는 안내 덕트;
    를 포함하는,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는 편심 부재;
    상기 편심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편심 부재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골재의 건조 작업 시 상기 골재 건조부를 고정하고, 이동 시 이동이 편리하도록, 상기 골재 건조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골재 건조부와 분리가 가능한 골재 건조부 받침대; 및
    상기 골재 스크린의 교체 작업 시 상기 골재 스크린을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골재 건조부 받침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골재 스크린을 승하강 시키는 호이스트 장치;
    를 더 포함하는,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
KR1020160020730A 2016-02-22 2016-02-22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 KR101825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730A KR101825055B1 (ko) 2016-02-22 2016-02-22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730A KR101825055B1 (ko) 2016-02-22 2016-02-22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606A true KR20170098606A (ko) 2017-08-30
KR101825055B1 KR101825055B1 (ko) 2018-02-02

Family

ID=5976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730A KR101825055B1 (ko) 2016-02-22 2016-02-22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05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3731A (zh) * 2017-12-28 2018-05-18 郑州格瑞塔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建筑用高效的砂石分级筛分设备
KR101899287B1 (ko) * 2018-04-12 2018-09-14 실리카네오텍주식회사 주물모래의 냉각, 선별 및 미분제거를 위한 장치
CN109351585A (zh) * 2018-11-19 2019-02-19 湖南图强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农业种子筛分装置
CN109675783A (zh) * 2018-12-24 2019-04-26 合肥麦稻之星机械有限公司 一种循环式谷物干燥机
CN109731762A (zh) * 2018-12-18 2019-05-10 合肥麦稻之星机械有限公司 一种循环式谷物干燥机
CN110394292A (zh) * 2019-08-02 2019-11-01 南京江宁区上峰国银标准件厂 一种用于城市建设的节能环保型智能机械设备
CN111001554A (zh) * 2019-12-30 2020-04-14 石文仙 一种中草药切片后筛选加工装置
CN111829330A (zh) * 2020-07-28 2020-10-27 张侠 一种递进升温式茶叶烘干设备
CN112691878A (zh) * 2020-12-14 2021-04-23 唐山学院 一种铁矿尾矿资源化综合利用处理装置
KR102460098B1 (ko) * 2022-02-14 2022-10-28 주식회사 성운테크 플라스틱 압출생산공정에 플라스틱 입자를 신속하게 공급하기 위해서 듀얼스크린을 이용하는 플라스틱 입자 배출시스템
CN115597359A (zh) * 2022-09-16 2023-01-13 安徽亳泰中药科技有限公司(Cn) 一种中药饮片的加工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7896B (zh) * 2018-08-22 2020-04-24 安徽森米诺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机械用小麦除杂烘干设备的工作方法
CN109107897B (zh) * 2018-08-22 2020-04-24 安徽森米诺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机械用小麦除杂烘干设备
KR102045174B1 (ko) * 2019-01-18 2019-11-14 이승엽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169B1 (en) 2003-04-30 2003-10-30 Nae Sung Park Direct contact-type drier, making use of vibration
JP4445818B2 (ja) 2004-08-03 2010-04-07 富山県 再生アスファルト骨材の加熱乾燥用ドライヤ
KR100872744B1 (ko) * 2008-07-24 2008-12-09 (주)상원엔텍 다단형 골재 밀도 선별장치
KR101084624B1 (ko) 2011-06-02 2011-11-17 김상양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제조 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3731A (zh) * 2017-12-28 2018-05-18 郑州格瑞塔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建筑用高效的砂石分级筛分设备
KR101899287B1 (ko) * 2018-04-12 2018-09-14 실리카네오텍주식회사 주물모래의 냉각, 선별 및 미분제거를 위한 장치
CN109351585A (zh) * 2018-11-19 2019-02-19 湖南图强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农业种子筛分装置
CN109731762A (zh) * 2018-12-18 2019-05-10 合肥麦稻之星机械有限公司 一种循环式谷物干燥机
CN109675783A (zh) * 2018-12-24 2019-04-26 合肥麦稻之星机械有限公司 一种循环式谷物干燥机
CN110394292B (zh) * 2019-08-02 2021-07-23 南京江宁区上峰国银标准件厂 一种用于城市建设的节能环保型智能机械设备
CN110394292A (zh) * 2019-08-02 2019-11-01 南京江宁区上峰国银标准件厂 一种用于城市建设的节能环保型智能机械设备
CN111001554A (zh) * 2019-12-30 2020-04-14 石文仙 一种中草药切片后筛选加工装置
CN111829330A (zh) * 2020-07-28 2020-10-27 张侠 一种递进升温式茶叶烘干设备
CN112691878A (zh) * 2020-12-14 2021-04-23 唐山学院 一种铁矿尾矿资源化综合利用处理装置
CN112691878B (zh) * 2020-12-14 2022-05-03 防灾科技学院 一种铁矿尾矿资源化综合利用处理装置
KR102460098B1 (ko) * 2022-02-14 2022-10-28 주식회사 성운테크 플라스틱 압출생산공정에 플라스틱 입자를 신속하게 공급하기 위해서 듀얼스크린을 이용하는 플라스틱 입자 배출시스템
CN115597359A (zh) * 2022-09-16 2023-01-13 安徽亳泰中药科技有限公司(Cn) 一种中药饮片的加工设备
CN115597359B (zh) * 2022-09-16 2024-05-31 安徽亳泰中药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饮片的加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055B1 (ko) 201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055B1 (ko)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
KR100872744B1 (ko) 다단형 골재 밀도 선별장치
CN207127212U (zh) 一种铸造废砂再生装置
KR101785217B1 (ko) 매립된 가연성 쓰레기와 생활쓰레기를 연료화하기 위한 선별방법 및 선별시스템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ES2715764T3 (es) Sistema y método de recuperación de metal
KR100750465B1 (ko) 건식 모래 생산장치
KR100643654B1 (ko) 건식 이중 회전드럼식 골재재생기를 이용한 순환골재의생산방법 및 장치
KR101434571B1 (ko) 쓰레기 재활용 자원선별시스템
CN109701703B (zh) 建筑废料粉碎筛选装置及其筛选方法
JP2006231125A (ja) 貝殻粉末の製造システム
KR101136047B1 (ko)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KR20200102624A (ko) 가연성쓰레기를 연료화 하기 위한 압축 절단파쇄 선별방법 및 선별시스템
CN107309072B (zh) 碎石沥青废料精细分选再利用方法
KR101043069B1 (ko) 순환골재 제조방법
KR100643655B1 (ko) 습식 이중 회전드럼식 골재재생기를 이용한 순환골재의생산방법 및 장치
KR101833424B1 (ko) 건식 분리 장치
KR101716709B1 (ko) 밀도차 분리를 이용한 순환 토사 내 이물질 분리장치
KR101943380B1 (ko) 일체형 복합 선별 장치와 그 방법
JP6763575B2 (ja) 処理対象物の発酵乾燥による燃料化装置および燃料化方法
KR102094862B1 (ko) 타격-진동-송풍-흡입 연속공정에 의한 건설폐토석 내 이물질 선별 장치
CN203356179U (zh) 一种建筑垃圾分拣机及其分类系统
CN105709892B (zh) Lid换填土工程物料粉碎输送混合配比装置
KR101005281B1 (ko) 건설폐기물 내의 가연성이물질 선별 및 고순도 제조를 위한 하이브리드형 선별·건조장치
KR101661302B1 (ko)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