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174B1 -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174B1
KR102045174B1 KR1020190006762A KR20190006762A KR102045174B1 KR 102045174 B1 KR102045174 B1 KR 102045174B1 KR 1020190006762 A KR1020190006762 A KR 1020190006762A KR 20190006762 A KR20190006762 A KR 20190006762A KR 102045174 B1 KR102045174 B1 KR 102045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collecting
unit
semi
collec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엽
Original Assignee
이승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엽 filed Critical 이승엽
Priority to KR1020190006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Abstract

본 발명은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굴진 작업시 지상으로 배출되는 이수토사물을 이수와 토사물로 분리하여 이수토사물에 대한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SEPARATION APPARATUS OF WATER SOIL MATERIAL FOR SEMI-SHIELD TUNNELING METHOD}
본 발명은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굴진 작업시 지상으로 배출되는 이수토사물을 이수와 토사물로 분리하여 이수토사물에 대한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기반시설인 상하수도, 전기 및 통신선로 등의 각종 관로를 지중에 매설함에는 개착공법(open cut method)에 의한 시공이 보통이었으나, 시공할 현장조건에 따라 개착공법으로의 시공이 어렵고 특수한 공법을 채택해야 하는 경우 즉, 지중에 지하수가 많거나 장애물이 있는 곳, 혹은 도심에서 교통량이 많은 도로나 주택가의 공사에서는 건설공해(소음, 분진 등) 및 교통장애 등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농식공법 및 이수식공법, 이토압식공법과 같은 세미쉴드 공법을 사용하여 시공한다.
이러한, 세미쉴드 공법은 기계식 장비를 통해 비개착식으로 터널을 굴착하는 공법으로써, 계도 심도까지 지반을 수직 굴착한 후에 수평의 관로를 형성하기 위한 작업구간 내의 전방에 굴진기를 배치하고 후방에 배치된 원압장치의 신장운동으로 굴진기를 전방 이송시키되 굴진기의 전면 헤드부에 설치된 커터가 회전하면서 지중을 굴착한다.
그러나, 종래의 세미쉴드 공법에 의한 관로 시공은 굴착시 이수를 공급하여 관로의 붕괴를 방지하면서 굴토된 토사를 이수와 함께 지상으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는 이수와 함께 혼합된 토사 즉, 이수토사물의 함수비가 80~90% 이상인 산업폐기물로써 전량 장외로 배출하여 처리하고 있으며, 현재 국가적으로 환경문제를 신중히 관리하는 상황에서 이수토사물의 처리가 심각할 정도로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시공시 배출되는 이수토사물은 항시 차량에 의해 매일 운반하는 반출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수토사물 처리장과의 거리는 점점 도심지에서 멀어지고, 이는 바지선에 적재한 후 상당히 먼 해상까지 운반하여 이수토사물을 처리해야만 하는 현실이므로 추가적인 경비가 막대하게 소요되며, 이수토사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해결하지 못하는 시공상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7587호(2011.01.14.) '이농형 추진 및 실드 조인트리 공법과 이에 이용되는 굴진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진 작업시 지상으로 배출되는 이수토사물을 이수와 토사물로 분리하여 이수토사물에 대한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이수토사물을 이수와 토사물로 분리하는 분리부(110); 상기 분리부(110)에서 분리되는 토사물이 포집되는 포집부(120); 및 상기 분리부(110)에서 분리되는 이수가 저장되는 저장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리부(110)는, 이수가 통과하는 한편, 토사물이 걸러지도록 다수의 중공이 형성되며,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2,3망체(111,112,113)를 포함하고, 상기 제1,2,3망체(111,112,113)에 형성되는 중공은 제1망체(111)로부터 제3망체(113)로 갈수록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1망체(111)로부터 상기 제3망체(113)로 갈수록 걸러지는 토사물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부(110)를 지지하는 몸체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40)는, 상기 제1,2,3망체(111,112,113)가 수용되는 몸체(141); 및 상기 몸체(141)의 상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이수토사물이 투입되면서 상기 제1망체(111)로 전달되도록 하는 호퍼(142)를 포함하되, 상기 제1,2,3망체(111,112,113)는 일측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고, 상기 몸체(141)는 타측에 상기 제1,2,3망체(111,112,113)에서 걸러지는 토사물이 상기 포집부(120)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14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리부(110)는, 상기 제1,2,3망체(111,112,113)에 각각 구비되는 진동발생기(1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몸체부(140)는, 내부 양측면에 상기 제1,2,3망체(111,112,113)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돌기(145)가 형성되고, 상기 각 지지돌기(145)에는, 스프링(146)이 구비되면서 상기 망체(111,112,113)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포집부(120)는, 상기 배출구(141a)를 통해 배출되는 토사물이 포집되는 포집통(121); 상기 몸체(141)의 타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배출구(141a)와 상기 포집통(121)이 연통되도록 하는 연결로(122); 및 상기 연결로(122)에 구비되면서 상기 배출구(141a)에서 배출되는 토사물이 건조되며 상기 포집통(12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열풍기(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포집부(120)는, 상기 연결로(122)와 상기 포집통(121)을 연결하면서 상기 열풍기(123)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상기 포집통(12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연결관(124); 및 상기 연결관(124)에 구비되면서 상기 연결로(122)를 통과하며 식은 공기가 가열되면서 상기 포집통(12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열선(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몸체(141)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3망체(113)를 통과하는 이수가 저장되는 저장통(131); 및 저장통(131)에 저장되는 이수가 상기 제3망체(113)를 재통과하도록 하는 재순환수단(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저장통(131)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13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위감지수단(135)은, 상기 저장통(131)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바(136); 상기 지지바(136)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수에 부상하는 부유체(137); 상기 지지바(136)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위감지센서(138);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138)의 감지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기(1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굴진 작업시 지상으로 배출되는 이수토사물을 이수와 토사물로 분리함으로써 이수토사물에 대한 처리와 함께 토사물에 대한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분리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에서 수위감지수단을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이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라 한다)(1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이수토사물을 이수와 토사물로 분리하는 분리부(110), 분리부(110)에서 분리되는 토사물이 포집되는 포집부(120) 및 분리부(110)에서 분리되는 이수가 저장되는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세미쉴드 공법은 굴진기 등의 기계식 장비를 통해 터널을 굴착하는 공법으로써, 굴착 과정에서 이수와 함께 토사물이 혼합된 이수토사물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이수토사물은 함수율이 높기 때문에 차량 등에 의한 반출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수토사물 분리장치는 이수토사물을 이수와 토사물로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 인해 이수토사물에 대한 처리와 함께 토사물에 대한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분리부(110)는 이수토사물을 이수와 토사물로 분리하는 제1,2,3망체(111,112,113)를 포함한다.
제1,2,3망체(111,112,113)는 이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토사물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하여 이수토사물이 이수와 토사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제1,2,3망체(111,112,113)는 다수의 중공이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2망체(112)에 형성되는 중공은 제1망체(111)에 형성되는 중공보다 작고, 제3망체(113)에 형성되는 중공은 제2망체(112)에 형성되는 중공보다 작다.
중공은 제1망체(111)로부터 제3망체(113)로 갈수록 중공이 작게 형성되면서 제1망체(111)로부터 제3망체(113)로 갈수록 걸러지는 토사물의 크기가 작다.
이에 따라, 분리부(100)는 중공이 제1망체(111)로부터 제3망체(113)로 갈수록 작게 형성되면서 토사물에 대한 분리가 제1망체(111)에서 제3망체(113)로 갈수록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수토사물 분리장치(100)는 분리부(110)를 지지하는 몸체부(140)를 더 포함한다.
몸체부(140)는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어 제1,2,3망체(111,112,113)가 수용되는 몸체(141), 몸체(141)의 상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이수토사물이 투입되면서 제1망체(111)로 전달되도록 하는 호퍼(142)를 포함한다.
호퍼(142)는 몸체(141)와 연통되도록 하부가 몸체(141)의 상부에 고정되면서 투입되는 이수토사물이 제1망체(111)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이수토사물은 세미쉴드 공법을 통해 발생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호퍼(142)는 몸체(141)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면서 공급되는 이수토사물이 망체(111,112,113)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40)는 몸체(141)를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리(143)는 몸체(141)의 하부에 구비되면서 지면 등으로부터 몸체(141)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다리(143)에는 바퀴(144)가 구비되면서 이동성이 확보될 수도 있다.
제1,2,3망체(111)는 수평을 이루어도 무방하나 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제1,2,3망체(111,112,113)는 일측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룬다.
몸체(141)는 타측에 제1,2,3망체(111,112,113)에서 걸러지는 토사물이 포집부(120)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141a)가 형성된다.
배출구(141a)는 3개로 이루어져 각 제1,2,3망체(111,112,113)의 타측에 위치된다.
제1,2,3망체(111,112,113)는 타측이 배출구(141a)를 통해 몸체(141)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토사물에 대한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분리부(110)는 제1,2,3망체(111,112,113)에 각각 구비되는 진동발생기(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발생기(114)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이 진동을 발생하는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며, 제1,2,3망체(111,112,113)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발생기(114)는 구동에 따라 제1,2,3망체(111,112,113)로 진동을 전달하여 제1,2,3망체(111,112,113)에서 걸러지는 토사사물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배출구(141a)로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몸체부(140)는 내부 양측면에 제1,2,3망체(111,112,113)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돌기(145)가 형성되며, 각 지지돌기(145)에는 스프링(146)이 구비되면서 망체(111,112,114)를 지지할 수 있다.
스프링(146)은 하부가 지지돌기(145)에 고정되고, 상부가 망체(111,112,113)에 고정되면서 망체(111,112,114)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146)은 제1,2,3망체(111,112,113)로 낙하하는 이수토사물이나, 진동발생장치(114)의 구동 등에 의해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한편, 제1,2,3망체(111,112,113)로 걸러지는 토사물이 배출구(141a) 방향으로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포집부(120)는 배출구(141a)를 통해 배출되는 토사물이 포집되는 포집통(121), 배출구(141a)와 포집통(121)이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로(122)를 포함한다.
포집통(121)은 몸체(141)의 하부 타측에 구비되면서 연결로(122)를 통해 배출되는 토사물이 유입되도록 한다.
연결로(122)는 일측이 개방되면서 복수의 배출구(141a)를 덮을 수 있도록 몸체(141)의 타측에 고정되는 한편, 하부가 개방되면서 포집통(121)과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포집통(121)에는 내부를 확인하기 위한 가시창(121a)이 구비될 수 있다.
가시창(121a)을 통한 포집통(121)의 내부 확인을 통해 포집되는 토사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포집부(120)는 연결로(122)에 구비되는 열풍기(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풍기(123)는 연결로(122)의 하부 타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면서 제1,2,3망체(111,112,113) 즉, 배출구(141a)에서 낙하하는 토사물이 건조되며 포집통(12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포집부(120)는 연결로(122)와 포집통(121)을 연결하는 연결관(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124)은 열풍기(123)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공기 즉, 열풍이 연결로(122)를 통과하여 포집통(121)으로 유입되면서 포집통(121)에 포집된 토사물에 대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포집부(120)는 연결관(124)에 구비되는 열선(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선(125)은 연결관(124)에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로(122)를 통과하며 식은 공기가 가열되면서 포집통(121)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열풍기(123)에 의해 건조된 토사물을 포집통(121)에서 재건조함으로써 토사물에 대한 건조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집통(121)에는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센서 및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포집통(121)으로 포집되는 토사물은 외부로 반출되면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집통(121)으로는 토사물 처리를 위한 도어(미도시) 등이 구비되면서 토사물이 외부로 반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몸체(141)의 하부에 구비되면서 제3망체(113)를 통과하는 이수가 저장되는 저장통(131)을 포함한다.
저장통(131)은 상부가 개방되면서 제3망체(113)를 통과하는 이수가 수용되며, 몸체(141)의 하부를 이룰 수 있다. 즉, 저장통(131)은 별도의 통이 몸체(141)에 수용됨이 없이 몸체(141)의 바닥면과 제3망체(113) 간에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141)의 하부를 이룰 수 있다.
저장통(131)에는 밸브(미도시) 등이 구비되면서 내부에 저장되는 이수에 대한 외부로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저장통(131)에 저장되는 이수는 별도의 정화작업 등을 통해 정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통(131)에 저장되는 이수는 필터(미도시) 등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저장통(131)에 저장되는 이수가 제3망체(113)를 재통과하면서 토사물이 보다 정밀하게 걸러질 수 있도록 하는 재순환수단(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재순환수단(132)은 일단부가 저장통(13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3망체(113)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몸체(141))에 연결되는 순환관(133) 및 순환관(133)에 연결되는 펌프(134)를 포함한다.
펌프(134)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면서 저장통(131)에 저장된 이수가 제3망체(113)를 재통과하도록 하여 이수에 포함된 토사물이 제3망체(113)에서 걸러질 수 있도록 한다.
저장통(131)에는 내부를 확인하기 위한 가시창(131a)이 구비될 수 있다.
가시창(131a)을 통한 저장통(131)의 내부 확인을 통해 저장되는 이수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저장통(131)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위감지수단(135)은 도 4에 독시된 바와 같이 저장통(131)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바(136), 지지바(136)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수에 부상하는 부유체(137), 지지바(136)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위감지센서(138) 및 수위감지센서(138)의 감지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기(139)를 포함한다.
지지바(136)는 하부가 저장통(131)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부유체(137)는 이수에 부상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보강판(137a)이 구비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138)는 저장통(131)의 수위 상승에 따라 승강하는 부유체(137)와 접하면서 저장통(131)의 최대 수위를 감지하는 한편, 경고음발생기(139)가 작동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수위감지센서(138)는 리미터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경고음발생기(139)로 전원이 인가되며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경고음발생기(139)는 수위감지센서(138)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경고음을 출력하여 작업자나 관리자 등이 저장통(131)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작업자나 관리자 등은 경고음발생기(139)의 경고음 출력에 따라 포집통(121)에 대한 확인을 함께 진행하면서 이수 및 토사물에 대한 반출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호퍼(142)로의 이수토사물에 대한 공급이 정지되도록 하는 한편, 진동발생기(114), 열풍기(123), 열선(125) 및 펌프(134)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수토사물 분리장치(100)는 진동발생기(114), 열풍기(123), 열선(125), 펌프(134) 및 경고음발생기(139)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진동발생기(114), 열풍기(123), 열선(125) 및 펌프(134)의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수위감지센서(138)의 감지신호에 따라 경고음발생기(139)가 작동되도록 한다.
제어부는 수위감지센서(138)의 감지신호에 따라 진동발생기(114), 열풍기(123), 열선(125) 및 펌프(134)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수토사물 분리장치(100)는 이수토사물을 이수와 토사물로 분리하여 이수토사물에 대한 처리와 함께 토사물에 대한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이수토사물 분리장치 110 : 분리부
111 : 제1망체 112 : 제2망체
113 : 제3망체 114 : 진동발생기
120 : 포집부 121 : 포집통
122 : 연결로 123 : 열풍기
124 : 연결관 125 : 열선
130 : 저장부 131 : 저장통
132 : 재순환수단 135 : 수위감지수단
140 : 몸체부 141 : 몸체
142 : 호퍼 145 : 지지돌기
146 : 스프링

Claims (9)

  1.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이수토사물을 이수와 토사물로 분리하는 분리부(110);
    상기 분리부(110)에서 분리되는 토사물이 포집되는 포집부(120);
    상기 분리부(110)에서 분리되는 이수가 저장되는 저장부(130); 및
    상기 분리부(110)에서 걸러지는 토사물이 상기 포집부(120)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141a)가 형성되는 몸체(141)를 구비하는 몸체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120)는,
    상기 배출구(141a)를 통해 배출되는 토사물이 포집되는 포집통(121);
    상기 몸체(141)에 구비되면서 상기 배출구(141a)와 상기 포집통(121)이 연통되도록 하는 연결로(122);
    상기 연결로(122)에 구비되면서 상기 배출구(141a)에서 배출되는 토사물이 건조되며 상기 포집통(12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열풍기(123);
    상기 연결로(122)와 상기 포집통(121)을 연결하면서 상기 열풍기(123)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상기 포집통(12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연결관(124); 및
    상기 연결관(124)에 구비되면서 상기 연결로(122)를 통과하며 식은 공기가 가열되면서 상기 포집통(12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열선(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110)는,
    상기 몸체(141)의 내측으로 수용되며, 이수가 통과하는 한편, 토사물이 걸러지도록 다수의 중공이 형성되고,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2,3망체(111,112,113)를 포함하며,
    상기 제1,2,3망체(111,112,113)는 일측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고,
    상기 배출구(141a)는 상기 몸체(141)의 타측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1,2,3망체(111,112,113)에서 걸러지는 토사물이 상기 포집부(120)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06762A 2019-01-18 2019-01-18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 KR102045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762A KR102045174B1 (ko) 2019-01-18 2019-01-18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762A KR102045174B1 (ko) 2019-01-18 2019-01-18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174B1 true KR102045174B1 (ko) 2019-11-14

Family

ID=6857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762A KR102045174B1 (ko) 2019-01-18 2019-01-18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352B1 (ko) 2023-08-08 2024-03-11 주식회사 그린개발 이수 토사물 처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3510B2 (ja) * 2002-10-25 2008-07-23 株式会社大林組 汚染土壌の処理システム
KR101007587B1 (ko) 2010-06-28 2011-01-14 가부시키가이샤 다니에르 소고켄큐쇼 이농형 추진 및 실드 조인트리 공법과 이에 이용되는 굴진기
KR101451779B1 (ko) * 2014-05-08 2014-10-16 이창학 자동수위계측 및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다중 차단기능을 구비한 유체저장소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공급시스템
JP5985200B2 (ja) * 2012-02-17 2016-09-06 富士鋼業株式会社 篩装置
KR101825055B1 (ko) * 2016-02-22 2018-02-02 김애영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3510B2 (ja) * 2002-10-25 2008-07-23 株式会社大林組 汚染土壌の処理システム
KR101007587B1 (ko) 2010-06-28 2011-01-14 가부시키가이샤 다니에르 소고켄큐쇼 이농형 추진 및 실드 조인트리 공법과 이에 이용되는 굴진기
JP5985200B2 (ja) * 2012-02-17 2016-09-06 富士鋼業株式会社 篩装置
KR101451779B1 (ko) * 2014-05-08 2014-10-16 이창학 자동수위계측 및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다중 차단기능을 구비한 유체저장소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공급시스템
KR101825055B1 (ko) * 2016-02-22 2018-02-02 김애영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352B1 (ko) 2023-08-08 2024-03-11 주식회사 그린개발 이수 토사물 처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82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leachate containment system
US3498674A (en) Min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290288B1 (ko) 잠수역류조를 이용한 침출수차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045174B1 (ko) 세미쉴드 공법의 이수토사물 분리장치
CN211342842U (zh) 一种钻探施工过程中的泥浆循环系统
CN109296376B (zh) 管道铺设掘进机
WO2004106639A1 (en) Method and assembly for withdrawing or supplying substances from/to a soil body
JP4510922B1 (ja) 下水用埋設管の清掃方法
CN211052140U (zh) 一种高含水率生活垃圾填埋场渗滤液原地异位置处理装置
CN106944467A (zh) 一种组合式多相抽提系统及其抽提方法
CN205035816U (zh) 一种基于轻型井点降水工艺的简易多相抽提装置
JP6233791B1 (ja) 埋設物探査における掘削方法および掘削装置
CN113914302B (zh) 一种钻孔灌注桩泥浆砂石分离设备
KR101072567B1 (ko) 지중매설 관로 굴착에 의한 이토의 연속분리용 순환장치
KR100457905B1 (ko) 대구경 강관 압입추진공법 및 그 장치
CN110374124A (zh) 地铁施工排水系统
CN209924948U (zh) 铀矿绿色勘查钻井液随钻处理装备
CN212167766U (zh) 移动式洗砂站
CN206779143U (zh) 一种组合式多相抽提系统
KR102115148B1 (ko) 관로 굴진용 이수 연속 처리시스템
CN106948395A (zh) 一种负压输送式清淤机器人
KR100538400B1 (ko) 중구경 강관 압입추진공법 및 그 장치
KR100457906B1 (ko) 중소구경 강관압입 추진 공법 및 그 장치
RU2074924C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дренажа
RU2336206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грунтовых вод от загрязн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