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212A - 광반사 필름 및 이것을 갖는 적층체 - Google Patents

광반사 필름 및 이것을 갖는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212A
KR20170098212A KR1020177012108A KR20177012108A KR20170098212A KR 20170098212 A KR20170098212 A KR 20170098212A KR 1020177012108 A KR1020177012108 A KR 1020177012108A KR 20177012108 A KR20177012108 A KR 20177012108A KR 20170098212 A KR20170098212 A KR 20170098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quid crystal
light
light reflection
cholesteric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유키 하야사키
히토시 아사미
요시유키 야하기
고우이치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8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8Filters employing polarising elements, e.g. Lyot or Solc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16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 G02B5/0825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dielectric materials only
    • G02B5/0841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dielectric materials only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5Neutral density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헤이즈값이 낮고, 나아가서는 50 % 를 상회하는 반사율을 비교적 넓은 파장대역에서 나타내는 광반사 필름 및 이것을 갖는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원편광 반사능을 갖는 우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이 고정화된 적어도 1 층의 광반사층 (RPRL) 과, 좌원편광 반사능을 갖는 좌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이 고정화된 적어도 1 층의 광반사층 (LPRL) 을 포함하고, 상기 광반사층 (RPRL) 과 상기 광반사층 (LPRL) 을 합계로 3 층 이상 적층하고, 적층된 상기 광반사층 (RPRL) 및 상기 광반사층 (LPRL) 은,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광반사층 사이에서 모두 10 ㎚ 이상 160 ㎚ 이하의 간격만큼 어긋난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는 광반사 필름.

Description

광반사 필름 및 이것을 갖는 적층체{LIGHT-REFLECTIVE FILM AND LAMINATE HAVING SAME}
본 발명은 헤이즈값이 낮고, 반사대역폭이 넓은 콜레스테릭 액정을 갖는 광반사 필름 및 이것을 갖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이 광반사 필름은, 주로 건재나 차재용 등의 차열 필름, 휘도 향상 필름이나 컬러 필터 등의 광학 부재, 아이웨어 (선글라스나 고글, 헬멧용 바이저 등) 에 이용되는 광학 필름에 적용된다.
원편광 분리 기능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은, 액정의 나선의 회전 방향과 원편광 방향이 일치하고, 파장이 액정의 나선 피치인 것과 같은 원편광의 광만을 반사하는 선택 반사 특성을 갖는다. 이 선택 반사 특성에 의해, 콜레스테릭 액정은, 예를 들어 휘도 향상 필름이나 컬러 필터 등의 광학 부재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콜레스테릭 액정의 선택 반사 특성은 특정한 파장대역에만 한정되어, 보다 넓은 파장대역에서 선택 반사 특성을 나타내는 광학 부재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의 선택 반사 파장 영역 폭 (△λ) 은,
△λ = 2λ·(ne - no)/(ne + no)
no : 콜레스테릭 액정 분자의 정상광에 대한 굴절률
ne : 콜레스테릭 액정 분자의 이상광에 대한 굴절률
λ :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
으로 나타내고, 콜레스테릭 액정 그 자체의 분자 구조에 의존한다.
상기 식으로부터, ne - no 를 크게 하면 선택 반사 파장 영역 폭 (△λ) 은 넓힐 수 있지만, ne - no 는 통상적으로 0.3 이하이다. 이 값을 크게 하면 액정으로서의 다른 기능 (배향 특성, 액정 온도 등) 이 불충분해져 실용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현실적으로는 선택 반사 파장 영역 폭 (△λ) 은 최대 150 ㎚ 정도가 된다. 콜레스테릭 액정으로서 실용 가능한 것의 대부분은, 현상, 30 ∼ 80 ㎚ 정도이다.
또, 선택 반사 중심 파장 (λ) 은,
λ = (ne + no)P/2
P : 콜레스테릭 액정 일 회전 비틀림에 필요로 하는 나선 피치 길이
로 나타내고, 피치가 일정하면 액정 분자의 평균 굴절률과 피치 길이에 의존한다. 그래서, 반사대역을 광대역화하기 위해, 특수한 조건하에서 자외선 중합을 실시함으로써 피치 길이를 두께 방향에서 연속 변화시켜 선택 반사 중심 파장 그 자체의 존재 분포를 형성하는 방법 (특허문헌 1, 2) 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2 에 기재되어 있는 특수한 조건하에서 자외선 중합함으로써 피치 길이를 두께 방향에서 연속 변화시켜 선택 반사 중심 파장 그 자체의 존재 분포를 형성하는 방법은, 콜레스테릭 액정 조성물을 자외선 노광에 의해 경화시킬 때, 콜레스테릭 액정 조성물의, 노광면측 부분과 출사면측 부분의 노광 강도에 차이를 두고, 중합 속도에 차이를 둠으로써, 반응 속도가 상이한 액정 조성물의 조성비 변화를 두께 방향에서 형성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장시간의 자외선 조사를 필요로 하거나, 반경화 상태에서 광대역화한 후에 고강도의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는 본경화 공정을 필요로 하거나, 자외선 조사에 의한 경화시에 있어서의 가열을 추가로 필요로 하는 등, 제조 공정이 복잡화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자외선 조사에 의해, 얻어지는 필름에 황변이 일어나, 외관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방법에서는 입사광에 대해 40 % 이상의 반사 성능을 광대역에 걸쳐 발휘하려면, 콜레스테릭 액정을 사용한 광반사층의 두께를 10 ㎛ 정도로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광반사층의 두께를 지나치게 두껍게 하면, 콜레스테릭 액정의 배향 불량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얻어지는 광반사 필름의 헤이즈값의 상승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광반사 필름은, 저헤이즈값이 요구되는 광학 부재로의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 나선의 회전 방향이 우향과 좌향 중 어느 일방인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층만으로는, 이론상 입사광에 대해 50 % 를 상회하는 반사 성능을 나타내는 광반사 필름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고, 그러므로, 이와 같은 광반사 필름은, 낮은 헤이즈값에 더하여, 입사광에 대해 50 % 를 상회하는 반사 성능이 요구되는 광학 부재로의 사용에 적합하지 않다.
일본 특허 제413383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64890호
본 발명의 목적은, 헤이즈값이 낮고, 나아가서는 50 % 를 상회하는 반사율을 비교적 넓은 파장대역에서 나타내는 광반사 필름 및 이것을 갖는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은 이하와 같다.
(1) 우원편광 반사능을 갖는 우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이 고정화된 적어도 1 층의 광반사층 (RPRL) 과, 좌원편광 반사능을 갖는 좌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이 고정화된 적어도 1 층의 광반사층 (LPRL) 을 포함하고,
상기 광반사층 (RPRL) 과 상기 광반사층 (LPRL) 을 합계로 3 층 이상 적층하고, 적층된 상기 광반사층 (RPRL) 및 상기 광반사층 (LPRL) 은,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광반사층 사이에서 모두 10 ㎚ 이상 160 ㎚ 이하의 간격만큼 어긋난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 필름.
(2) 입사광에 대해 50 % 초과 95 % 이하의 광을 반사하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광반사 필름.
(3) 헤이즈값 (Hz) 이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광반사 필름.
(4) 각 광반사층의 두께가 0.5 ㎛ 이상 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반사 필름.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반사 필름과 기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PRL 은, Polarized light Reflection Layer 의 약기로서, 광반사층을 의미하는 알파벳 표기이며, 광반사층 (RPRL) 은, 우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갖는 광반사층을 나타내고, 광반사층 (LPRL) 은, 좌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갖는 광반사층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해, 헤이즈값이 낮고, 나아가서는 50 % 를 상회하는 반사율을 비교적 넓은 파장대역에서 나타내는 광반사 필름 및 이것을 갖는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광반사 필름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광반사 필름 및 적층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실시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 이하에 있어서, 「∼」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또, 콜레스테릭 액정은, 일 방향으로 가지런히 배향된 분자가 층을 이루고, 이웃하는 분자층마다, 분자의 배열 방향이 나선축을 따라 조금씩 비틀어진 나선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나선 구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분자층의 적층 상태에 있는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시킨 층을, 이하에 있어서 콜레스테릭 액정층이라 부르고, 당해 콜레스테릭 액정층은 본 발명의 광반사층에 상당한다. 콜레스테릭 액정상이 고정화된 광반사층의 굴절률 이방성 Δn 은, 선택 반사 특성을 나타내는 파장 (구체적으로는, 파장 500 ㎚ 근방) 에서의 Δn 을 의미한다. 이 굴절률 이방성 Δn 을 산출하기 위해, 구체적으로는, 먼저, 샘플로서, 광반사층을, 배향 처리한 혹은 배향막을 부여한 기판 (유리, 필름) 상에 형성한다. 당해 광반사층의 선택 반사를 측정하고, 그 피크폭 Hw 를 구한다. 또, 샘플의 나선 피치 p 를 별도로 측정한다. 나선 피치 p 는, 단면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 (TEM) 을 사용하여 관찰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이들 값을 이하의 식에 대입함으로써, 샘플의 굴절률 이방성 Δn 을 구할 수 있다.
Δn = Hw/p
도 1 에 나타내는 광반사 필름 (1) 은, 콜레스테릭 액정상이 고정화된 광반사층 (2, 3, 4) 및 이들 광반사층 (2, 3, 4) 사이에 형성된 접착제 혹은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층 (5, 6) 을 갖는 경우의 구성예이다. 또한, 광반사층 (2, 3, 4) 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적층할 수 있는 경우에는, 광반사 필름 (1) 은, 광반사층 (2, 3, 4) 을, 접착층 (5, 6) 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광반사층 (3) 에는, 반사대역을 넓게 하기 위해, 광반사층 (2)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비교하여,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이 장파장측에 있고, 또한 나선의 회전 방향이 반대인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광반사층 (4) 에는, 광반사층 (3)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비교하여,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이 장파장측에 있고, 또한 나선의 회전 방향이 반대인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광반사층 (2) 으로서, 우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층 (RCLC-2) 을 사용한 경우, 광반사층 (3) 에는, 콜레스테릭 액정층 (RCLC-2) 과 비교하여 중심 파장이 장파장측에 있고, 또한 좌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층 (LCLC-3) 이 사용되고, 광반사층 (4) 에는, 콜레스테릭 액정층 (LCLC-3) 과 비교하여 중심 파장이 장파장측에 있고, 또한 우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층 (RCLC-4) 이 사용된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광반사층 (2, 3 및 4) 을 사용한 도 1 에 나타내는 광반사 필름 (1) 의 층 구성은, RPRL-2/접착층 (5)/LPRL-3/접착층 (6)/RPRL-4 가 된다. 또, 상기 층 구성에 관하여, 대응하는 각 광반사층 대신에, 나선의 회전 방향이 반대 방향인 광반사층을 사용한 경우 즉, 광반사 필름 (1) 의 층 구성이, LPRL-2/접착층 (5)/RPRL-3/접착층 (6)/LPRL-4 로 한 경우여도 된다. 또한, 상기 RCLC (LCLC) 는, Right (Left) Cholesteric Liquid Crystal 의 약기로, 우향 권회 나선 구조 또는 좌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의미하는 알파벳 표기이며, 또, 상기 RCLC (LCLC) 또는 RPRL (LPRL) 에 이어지는 숫자는, 도 1 의 광반사층 (2, 3, 4) 으로서 부여한 숫자를 의미한다. 이하, 동일하게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로서, 광반사층 (3) 에는, 광반사층 (2)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비교하여,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이 단파장측에 있고, 또한 나선의 회전 방향이 반대인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사용되고, 한편으로, 광반사층 (4) 에는, 광반사층 (2) 에서 사용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비교하여,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이 장파장측에 있고, 또한 나선의 회전 방향이 동일한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사용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광반사층 (2) 으로서, 우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층 (RCLC-2) 을 사용한 경우, 광반사층 (3) 에는, 콜레스테릭 액정층 (RCLC-2) 과 비교하여 중심 파장이 단파장측에 있고, 또한 좌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층 (LCLC-3) 이 사용되고, 광반사층 (4) 에는, 콜레스테릭 액정층 (RCLC-2) 과 비교하여 중심 파장이 장파장측에 있고, 또한 우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층 (RCLC-4) 이 사용된다. 또, 상기 층 구성에 관하여, 대응하는 각 광반사층 대신에, 나선의 회전 방향이 반대 방향인 광반사층을 사용한 층 구성이어도, 광의 반사 특성으로서 동일한 작용을 나타내는 광반사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로서, 광반사층 (3) 에는, 광반사층 (2) 에서 사용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비교하여,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이 장파장측에 있고, 또한 나선의 회전 방향이 반대인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사용되고, 한편으로, 광반사층 (4) 에는, 광반사층 (2) 에서 사용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비교하여,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이 단파장측에 있고, 또한 나선의 회전 방향이 동일한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사용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광반사층 (2) 으로서, 우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층 (RCLC-2) 을 사용한 경우, 광반사층 (3) 에는, 콜레스테릭 액정층 (RCLC-2) 과 비교하여 중심 파장이 장파장측에 있고, 또한 좌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층 (LCLC-3) 이 사용되고, 광반사층 (4) 에는, 콜레스테릭 액정층 (RCLC-2) 과 비교하여 중심 파장이 단파장측에 있고, 또한 우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층 (RCLC-4) 이 사용된다. 또, 상기 층 구성에 관하여, 대응하는 각 광반사층 대신에, 나선의 회전 방향이 반대 방향인 광반사층을 사용한 층 구성이어도, 광의 반사 특성으로서 동일한 작용을 나타내는 광반사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광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각 광반사층 (2, 3, 4) 의 적층 순서는,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이 긴 측 또는 짧은 순으로 적층된 층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층 구성을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반사 필름에 있어서, 우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이 고정화된 광반사층 (RPRL) 과, 좌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이 고정화된 광반사층 (LPRL) 이 적층되는 순서는, 적어도 1 층의 광반사층 (RPRL) 과 적어도 1 층의 광반사층 (LPRL) 이 합계로 3 층 이상 적층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 에 있어서, 광반사층 (2) 으로서 RPRL-2, 광반사층 (3) 으로서 LPRL-3, 광반사층 (4) 으로서 RPRL-4 가 적층되어 있어도 되고, 한편, 광반사층 (2) 으로서 LPRL-2, 광반사층 (3) 으로서 LPRL-3, 광반사층 (4) 으로서 RPRL-4 가 적층되어 있어도 되고, 또, 광반사층 (2) 으로서 RPRL-2, 광반사층 (3) 으로서 RPRL-3, 광반사층 (4) 으로서 LPRL-4 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광반사층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 광반사층의 반사대역이 각각 중첩되는 반사대역을 가짐으로써, 가시광 영역 또는 근적외광 영역에서 넓은 파장대역에 걸쳐 선택 반사 특성을 나타내는 광반사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가시광 영역에서의 각 광반사층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은 400 ∼ 7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450 ∼ 65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한편, 근적외광 영역에서의 각 광반사층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은 800 ∼ 15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850 ∼ 125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반사 필름에 적층되는 광반사층 (RPRL) 과 광반사층 (LPRL) 은, 서로 10 ㎚ ∼ 160 ㎚ 의 간격만큼 어긋난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20 ㎚ ∼ 120 ㎚ 의 간격만큼 어긋난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고 있다. 이 간격이 10 ㎚ 보다 작으면, 적층된 광반사층끼리의 반사대역의 중첩이 매우 커지고, 그 결과, 광대역의 반사능을 갖는 광반사 필름을 얻을 수 없게 된다. 한편, 이 간격이 160 ㎚ 보다 크면, 적층된 광반사층끼리의 반사대역의 중첩이 없어지고, 마찬가지로 광대역의 반사 성능을 갖는 광반사 필름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또, 합계로 3 층 이상 적층된 광반사층 (RPRL) 과 광반사층 (LPRL) 중에서 선택되는 2 층의 광반사층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끼리의 어긋남의 간격은, 모두 동일해도 되고, 혹은 상이해도 된다. 또, 중심 파장끼리의 어긋남의 간격은 작을수록 최대 반사율은 높아지지만, 한편으로 반사율이 50 % 를 상회하는 반사대역이 좁아진다. 반대로, 중심 파장끼리의 어긋남의 간격이 클수록 반사율이 50 % 를 상회하는 반사대역은 넓어지지만, 한편으로 최대 반사율은 낮아진다. 그 때문에, 원하는 최대 반사율과 반사대역은 목적으로 하는 용도에 맞춰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반사층 (RPRL) 과 광반사층 (LPRL) 을 합계로 3 층 이상 적층시킨 본 발명의 광반사 필름은, 당해 광반사 필름을 높은 반사 성능이 요구되는 광학 부재에 적용시키는 관점에서, 입사광에 대한 최대 반사율은 50 %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 이상이다. 단, 이 최대 반사율의 상한은, 사용하는 부재가 조금 광을 흡수하는 것으로부터, 95 % 정도이다. 또, 입사광에 대해 50 % 를 상회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대역의 폭은,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는 8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한편, 근적외광 영역에 있어서는, 15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7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입사광에 대해 50 % 를 상회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대역의 폭이, 가시광 영역의 경우에는 80 ㎚ 미만, 근적외광 영역의 경우에는 150 ㎚ 미만이면,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과 나선 피치가 서로 동일한 광반사층 (RPRL) 과 광반사층 (LPRL) 을, 단순히 2 층 적층시킨 경우와 큰 차가 없고, 동등한 반사대역의 폭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는 약 76 ㎚, 근적외광 영역에 있어서는 약 147 ㎚) 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반사층을 3 층 이상 적층시킨 효과, 즉, 50 % 를 상회하는 반사율을 비교적 넓은 파장대역에서 나타내는 광반사 필름을 얻을 수 없다.
각 광반사층의 두께는 0.5 ㎛ ∼ 5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 4 ㎛ 이다. 각 광반사층의 두께가 0.5 ㎛ 미만인 경우, 얻어지는 광반사 필름의 반사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한편, 광반사층의 두께가 5 ㎛ 이상인 경우에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배향 불량이 발생하고, 이로써 얻어지는 광반사 필름의 헤이즈값이 상승할 우려가 있다.
광반사층을 3 층 이상 적층시킨 광반사 필름의 헤이즈값은 1.0 % 이하가 바람직하고, 0.8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헤이즈값이 1.0 % 보다 크면 광반사 필름의 불투명성이 커, 투명성이 중요한 광학 부재로의 사용에 적합하지 않다.
상기 광반사층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는, 후술하는 도포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반사층은,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경화성 액정 조성물을, 기판, 배향층 등의 표면에 도포하고, 당해 조성물을 콜레스테릭 액정상으로 한 후, 경화 반응 (예를 들어, 중합 반응이나 가교 반응 등) 을 진행시킴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적층체 (8) 는, 기재인 기판 (7) 상에, 본 발명의 광반사 필름 (1) 이 형성된 본 발명의 구성예이다. 기판 (7) 의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머 필름이고, 그 광학 특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적층체 (8) 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는, 후술하는 광반사층과 기재를 첩합 (貼合) 함으로써 형성하는 방법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기판 또는 광반사층의 표면에 도포하고, 표면으로부터 다른 광반사층을 첩합한 후, 경화 반응 (예를 들어, 중합 반응이나 가교 반응 등) 을 진행시킴으로써 경화시켜, 이 공정을 복수 회 반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반사 필름 (1) 및 적층체 (8) 의 양태는,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반사 필름에는, 광반사층이 3 층 이상 적층되어 있으면 되고, 광반사층이 4 층 이상 적층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각 광반사층 (2, 3, 4, …) 이 형성되는 순서는, 도 1, 2 에서는, 광반사층 (2), 광반사층 (3), 광반사층 (4), … 순으로 적층된 구성이지만, 이 적층 순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시켜 형성되는 광반사층은, 자외광 조사에 의해 열화되는 경향이 있고, 특히, 380 ㎚ 이하의 파장의 자외광에 대한 열화가 현저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당해 파장역의 광을 흡수하는 재료 (자외선 흡수제) 를, 기판 혹은 적어도 하나의 광반사층에 첨가함으로써, 또는 당해 재료를 함유하는 층, 예를 들어 광흡수층을 별도로 적층함으로써, 광반사층의 열화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광반사 필름 및 적층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 및 이 재료의 제조 방법의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광반사층 형성용 재료
본 발명의 광반사층에서는, 각 광반사층의 형성에, 경화성의 액정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액정 조성물은, 봉상 액정 화합물, 광학 활성 화합물 (키랄 화합물), 및 중합 개시제의 각 성분을 적어도 함유하고 있고, 각 성분은 2 종 이상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중합성의 액정 화합물과 비중합성의 액정 화합물의 병용이 가능하다. 또, 저분자 액정 화합물과 고분자 액정 화합물의 병용도 가능하다. 또한, 배향의 균일성이나 도포 적성 (適性), 막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수평 배향성, 얼룩 방지제, 크레이터링 방지제, 및 중합성 모노머 등의 여러 가지 첨가제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액정 조성물 중에는, 필요에 따라, 추가로 중합 금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색재, 금속 산화물 미립자 등을, 광학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다.
(1) 봉상 액정 화합물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봉상 액정 화합물의 예는, 봉상 네마틱 액정 화합물이다. 상기 봉상 네마틱 액정 화합물의 예에는, 아조메틴류, 아족시류, 시아노비페닐류, 시아노페닐에스테르류, 벤조산에스테르류,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페닐에스테르류, 시아노페닐시클로헥산류, 시아노 치환 페닐피리미딘류, 페닐디옥산류, 톨란류 및 알케닐시클로헥실벤조니트릴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저분자 액정 화합물뿐만 아니라, 고분자 액정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봉상 액정 화합물은, 중합성이어도 되고 비중합성이어도 된다. 중합성기를 갖지 않는 봉상 액정 화합물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문헌 (예를 들어, Y. Goto et.al., Mol. Cryst. Liq. Cryst. 1995, Vol. 260, pp. 23-28) 에 기재가 있다. 중합성 봉상 액정 화합물은, 중합성기를 봉상 액정 화합물에 도입함으로써 얻어진다. 중합성기의 예에는, 불포화 중합성기, 에폭시기, 및 아지리디닐기가 포함되고, 불포화 중합성기가 바람직하며,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성기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봉상 액정 화합물의 분자 중에 도입할 수 있다. 중합성 봉상 액정 화합물이 갖는 중합성기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1 ∼ 6 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3 개이다. 중합성 봉상 액정 화합물의 예는, Makromol.Chem., 190권, 2255페이지 (1989년), Advanced Materials 5권, 107페이지 (1993년), 미국 특허 제4683327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5622648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5770107호 명세서, 국제 공개 제95/22586호, 국제 공개 제95/24455호, 국제 공개 제97/00600호, 국제 공개 제98/23580호, 국제 공개 제98/5290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27255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66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1046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80081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28973호 등에 기재된 화합물이 포함된다. 봉상 액정 화합물로서, 2 종류 이상의 중합성 봉상 액정 화합물이 병용되어 있어도 된다. 2 종류 이상의 중합성 봉상 액정 화합물을 병용하면, 배향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2) 광학 활성 화합물 (키랄제)
상기 액정 조성물은,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러기 위해서는, 광학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봉상 액정 화합물이 부제 탄소 원자를 갖는 분자인 경우에는, 광학 활성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아도,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도 있다. 상기 광학 활성 화합물은, 공지된 여러 가지 키랄제 (예를 들어, 액정 디바이스 핸드북, 제3장 4-3 항, TN, STN 용 카이럴제, 199페이지, 일본 학술 진흥회 제142 위원회편, 1989 에 기재) 에서 선택할 수 있다. 광학 활성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부제 탄소 원자를 함유하지만, 부제 탄소 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축성 부제 화합물 혹은 면성 부제 화합물도 카이럴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축성 부제 화합물 또는 면성 부제 화합물의 예에는, 비나프틸, 헤리센, 파라시클로판 및 이것들의 유도체가 포함된다. 광학 활성 화합물 (키랄제) 은, 중합성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광학 활성 화합물이 중합성기를 가짐과 함께, 병용하는 봉상 액정 화합물도 중합성기를 갖는 경우에는, 중합성 광학 활성 화합물과 중합성 봉상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에 의해, 봉상 액정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와, 광학 활성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머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양태에서는, 중합성 광학 활성 화합물이 갖는 중합성기는, 중합성 봉상 액정 화합물이 갖는 중합성기와 동종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광학 활성 화합물의 중합성기도, 불포화 중합성기, 에폭시기 또는 아지리디닐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불포화 중합성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광학 활성 화합물은 액정 화합물이어도 된다.
상기 액정 조성물 중의 광학 활성 화합물은, 병용되는 액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이다. 광학 활성 화합물의 사용량은, 보다 적게 한 편이 액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키랄제로서 사용되는 광학 활성 화합물은, 소량이어도 원하는 나선 피치의 비틀림 배향이 달성 가능하도록, 강한 비틀림력이 있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강한 비틀림력을 나타내는 키랄제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87623호에 기재된 키랄제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다.
(3) 중합 개시제
상기 광반사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액정 조성물은, 중합성 액정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 반응을 진행시키기 때문에,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중합 반응을 개시 가능한 광중합 개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치바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907」),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치바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184」), 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프로필)케톤 (치바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2959」), 1-(4-도데실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머크사 제조 「다로큐어 953」),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머크사 제조 「다로큐어 1116」),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치바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1173」), 디에톡시아세토페논 등의 아세토페논 화합물,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치바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651」) 등의 벤조인 화합물, 벤조일벤조산, 벤조일벤조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하이드록시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술파이드,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닛폰 카야쿠사 제조 「카야큐어 MBP」) 등의 벤조페논 화합물, 티오크산톤, 2-클로르티오크산톤 (닛폰 카야쿠사 제조 「카야큐어 CTX」), 2-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닛폰 카야쿠사 제조 「카야큐어 RTX」),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클로오티오크산톤 (닛폰 카야쿠사 제조 「카야큐어 CTX」), 2,4-디에틸티오크산톤 (닛폰 카야쿠사 제조 「카야큐어 DETX」),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닛폰 카야쿠사 제조 「카야큐어 DITX 」) 등의 티오크산톤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조성물 중의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중량부 이상 8 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 상기 벤조페논 화합물이나 상기 티오크산톤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중합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반응 보조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 보조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트리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n-부틸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미힐러케톤, 4,4'-디에틸아미노페논,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n-부톡시)에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이소아밀 등의 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성 액정 조성물 중의 상기 반응 보조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중합성 액정 조성물의 액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자외선 경화형의 중합성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부 이상 8 중량부 이하이다. 또, 상기 반응 보조제의 함유량은,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에 대해 0.5 ∼ 2 배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4) 용제
상기 액정 조성물에는 추가로 용제가 함유된다. 이와 같은 용제는 사용하는 액정 화합물이나 키랄제 등을 용해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아세톤, 아니솔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용해성이 양호한 시클로펜타논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용제는 임의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고, 1 종류만을 첨가해도 되고, 복수의 용제를 병용해도 된다. 이들 용제는, 오븐이나 필름 코터 라인의 건조 존에서 건조 제거된다.
(5) 첨가제
또한, 상기 액정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레벨링제, 소포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산화 방지제, 중합 금지제, 가교제, 가소제, 무기 미립자, 필러 등의 첨가제를 임의의 비율로 첨가하여, 상기 액정 조성물에 각각의 첨가제가 갖는 기능을 부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레벨링제로는 불소계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 아크릴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광안정화제로는 힌더드아민계 화합물, 벤조에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산화 방지제로는 페놀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금지제로는, 메토퀴논, 메틸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 등을 들 수 있고, 가교제로는,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멜라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로는, 디메틸프탈레이트나 디에틸프탈레이트와 같은 프탈산에스테르, 트리스(2-에틸헥실)트리멜리테이트와 같은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 디메틸아디페이트나 디부틸아디페이트와 같은 지방족 이염기산에스테르, 트리부틸포스페이트나 트리페닐포스페이트와 같은 정 (正) 인산에스테르, 글리세르트리아세테이트나 2-에틸헥실아세테이트와 같은 아세트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2. 접착층 형성용 재료
본 발명의 광반사 필름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각 광반사층을, 접착층을 개재하여 적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반사 필름의 광학 부재로의 용도를 고려하면, 이와 같은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 형성용 재료에 사용 가능한 투명 수지의 예로서, 아크릴계 수지나 에폭시계 수지를 들 수 있다.
(1)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주성분으로 하고, 아니온 중합이나 라디칼 중합, 레독스 중합에 의해 경화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아크릴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2-시아노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니온 중합형의 순간 접착제나,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레독스 중합형의 아크릴계 접착제, 다관능 아크릴산에스테르나 다관능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라디칼 중합형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다.
아크릴계 수지로서 사용되는 예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와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글리세롤트리글리시딜에테르와 (메트)아크릴산의 반응 생성물, 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와 (메트)아크릴산의 반응 생성물, 트리그리세롤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와 (메트)아크릴산의 반응 생성물,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와 (메트)아크릴산의 반응 생성물,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와 (메트)아크릴산의 반응 생성물, 디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와 (메트)아크릴산의 반응 생성물, 비스(아크릴옥시에틸)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비스(메타아크릴옥시에틸)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비스페놀A디글리시딜에테르와 (메트)아크릴산의 반응 생성물,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테트라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시아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글리시딜에테르와 (메트)아크릴산의 반응 생성물, 부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2) 에폭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는,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 바람직하게는 아민계 화합물이나 산무수물과 금속 촉매를 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에폭시 수지로는,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 형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복소고리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에스테르계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아민계 에폭시 수지, 함브롬에폭시 수지,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프로필렌글리콜글리시딜에테르나 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지방족계 에폭시 수지,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에폭시 수지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필요에 따라, 점도 저하를 위해 부틸글리시딜에테르, 페닐글리시딜에테르, 크레실글리시딜에테르, 지방족 알코올의 글리시딜에테르 등과 같은 모노에폭시 화합물을 배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점착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점착제로는 고무계,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3)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로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그 밖의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성분을 공중합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사용한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란,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펜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n-옥틸, (메트)아크릴산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데실, (메트)아크릴산라우릴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옥시프로필렌(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질소 함유 모노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의 도공액에는, 점도 조정이나 도공성 개선을 위해 용제를 첨가해도 된다. 용제로는,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메틸과 같은 아세트산에스테르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벤질알코올과 같은 알코올류, 2-부타논, 아세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류, 벤질아민, 트리에틸아민, 피리딘과 같은 염기계 용매, 시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자일렌, 아니솔, 헥산, 헵탄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임의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으며, 1 종류만 첨가해도 되고, 복수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들 용제는 오븐이나 필름 코터 라인의 건조 존에서 건조 제거된다.
3. 기판
본 발명의 적층체는, 광반사 필름의 일방 또는 쌍방의 최외층으로서 기판을 갖고 있다. 기판은 자기 지지성이 있는 것이면, 재료 및 광학적 특성에 대해 전혀 한정은 없다. 용도에 따라서는 자외광에 대한 높은 투명성이 요구된다. 또,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광반사 필름과 기판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해도 된다. 기판의 형상은, 필름상이어도 되고 곡면상 등의 입체 구조물이어도 되고, 당해 기판은, 소정의 광학 특성을 만족하도록, 기판의 생산 공정을 관리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사용되는 기판에는, 가시광에 대한 투과성이 높은 폴리머 필름의 사용이 바람직하고,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의 부재로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광학 필름용 폴리머 필름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기판으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 폴리카보네이트 (PC)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또, 폴리머 필름 이외의 기판으로서 유리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상 중의 액정 화합물의 배향 방향을 보다 정밀하게 규정하기 위해, 기판의 표면을 배향시켜도 된다. 기판의 표면을 배향시키기 위해서는 기판의 표면을 러빙 처리하여 배향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이하에 예를 든 바와 같이 기판의 표면에 배향층을 형성해도 된다.
4. 배향층
본 발명의 적층체는, 광반사 필름 중에 적층되어 있는 콜레스테릭 액정상의 광반사층과 기판 사이에 배향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배향층은 콜레스테릭 액정상 중의 액정 화합물의 배향 방향을 보다 정밀하게 규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배향층은 유기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의 러빙 처리, 무기 화합물의 사방 (斜方) 증착, 마이크로 그루브를 갖는 층의 형성 등의 수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전기장의 부여, 자기장의 부여, 혹은 광 조사에 의해 배향 기능이 발생하는 배향층도 알려져 있다. 배향층은 폴리머의 막의 표면에, 러빙 처리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층은, 인접하는, 광반사층 및 기판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밀착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고정화된 광반사층을 3 층 갖는 적층체에 배향층을 개재 삽입하는 경우, 먼저 광반사층과 기판 사이에 배향층을 갖는 2 개의 적층체를 준비하고, 적층체 [1] (광반사층 [1]/배향층 [1]/기판 [1]) 와, 적층체 [2] (광반사층 [2]/배향층 [2]/기판 [2]) 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첩합하고, 기판 [1]/배향층 [1]/광반사층 [1]/접착제/광반사층 [2]/배향층 [2]/기판 [2] 의 층 구성을 이루는 적층체 [A] 를 제조한다. 이어서, 편방의 배향층 [2]/기판 [2] (적층체 [2] 측) 을 박리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미리 준비한 광반사층과 기판 사이에 배향층을 갖는 적층체 [3] (광반사층 [3]/배향층 [3]/기판 [3]) 와 상기와 같이 제조한 적층체 [A] 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시켜, 기판 [1]/배향층 [1]/광반사층 [1]/접착제/광반사층 [2]/접착제/광반사층 [3]/배향층 [3]/기판 [3] 의 적층체를 제조한다. 그 때문에, 배향층은 콜레스테릭 액정상이 고정화된 광반사층과 배향층의 계면 또는 기판과 배향층의 계면 중 어느 계면에서, 박리할 수 있을 정도의 약한 박리력으로 개재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향층을 박리하는 계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후공정에서 적층체 [3] 를 제조하는 것을 고려하면, 광반사층과 배향층의 계면에서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층으로서 사용되는 재료로는, 유기 화합물의 폴리머가 바람직하고, 그 자체가 가교 가능한 폴리머이거나, 혹은 가교제에 의해 가교되는 폴리머가 잘 사용된다. 당연히 쌍방의 기능을 갖는 폴리머도 사용된다. 폴리머의 예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인이미드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및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폴리(N-메틸올아크릴아미드), 스티렌/비닐톨루엔 공중합체, 클로로술폰화폴리에틸렌,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염화비닐, 염소화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폴리머 및 실란커플링제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머의 예로는, 폴리(N-메틸올아크릴아미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폴리비닐알코올 및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수용성 폴리머이고, 또한 젤라틴, 폴리비닐알코올 및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들 수 있다. 상기 배향층의 두께는 0.1 ∼ 2.0 ㎛ 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포액 (액정 조성물) 의 조제
하기 표 1 및 표 2 에 나타내는 조성의 도포액 (R) 및 도포액 (L) 을 각각 조제하였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화학식 1]
키랄제 : 화합물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79668호에 기재된 화합물)
Figure pct00003
접착제의 조제
하기 표 3 에 나타내는 조성의 접착제를 조제하였다.
Figure pct00004
광반사층의 제조
조제한 12 종류의 도포액 (R1 ∼ R10), (L1 ∼ L4) 을 사용하여, 하기의 순서로 각각 콜레스테릭 액정의 도막 (광반사층) 을 제조하고,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평가하였다. 기판으로는, 러빙 처리가 실시된 하도층이 없는 토요 방적사 제조 PET 필름 (상품명 A4100, 두께 50 ㎛) 을 사용하였다.
(1) 각 도포액을,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건조 후의 막의 두께가 3 ㎛ 가 되도록, PET 필름 위에 실온에서 도포하였다.
(2) 150 ℃ 에서 5 분간 가열하여 용제의 제거와 함께 콜레스테릭 액정상으로 하였다. 이어서, 고압 수은 램프 (해리슨 토시바 라이팅사 제조 : HX4000L) 를 120 W 출력, 5 ∼ 10 초간 UV 조사하고,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시켜, 콜레스테릭 액정 도막 (광반사층) 을 제조하였다.
(3)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의 분광 광도계 MPC-3100 을 사용하여, 제조한 콜레스테릭 액정 도막 (R1 ∼ R10, L1 ∼ L4) 의 반사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구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 5 에 기재하였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광반사 필름의 제조
[실시예 1]
조제한 접착제 (S1) 를,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건조 후의 막의 두께가 10 ㎛ 가 되도록 상기 (1) ∼ (2) 에서 제조한 R1 의 콜레스테릭 액정 도막면에 도포하였다. 40 ℃ 에서 1 분간 가열하여 용제의 제거 후, L2 의 콜레스테릭 액정 도막면과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합하여, 고압 수은 램프 (해리슨 토시바 라이팅사 제조 HX4000L) 를 120 W 출력, 5 ∼ 10 초간 UV 조사하여 경화시켜, R1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1) 과, L2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L2) 의 2 층을 적층하였다. 그 후, 광반사층 (L2) 측의 PET 필름을 박리하고, 당해 PET 필름을 박리한 측의 L2 의 콜레스테릭 액정 도막면에 접착제 (S1) 를,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건조 후의 막의 두께가 10 ㎛ 가 되도록 도포하고, 2 개의 광반사층을 적층한 순서와 동일하게 R5 의 콜레스테릭 액정 도막을 적층하고, 이어서, 광반사층 (R1) 측의 PET 필름과 광반사층 (R5) 측의 PET 필름을 각각 박리하고, R1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1) 과, L2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L2) 과, R5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5) 의 3 층이 적층된 광반사 필름 (광반사층 (R1)/광반사층 (L2)/광반사층 (R5)) 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도포하는 액정 도포액 (R2), (L2), (R4)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R2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2) 과, L2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L2) 과, R4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4) 의 3 층이 적층된 광반사 필름 (광반사층 (R2)/광반사층 (L2)/광반사층 (R4)) 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도포하는 액정 도포액 (L2), (R2), (R4) 을 사용하여, 광반사층 (L2) 과 광반사층 (R2) 의 적층 구성을 반대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순서에 의해, L2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L2) 과, R2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2) 과, R4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4) 의 3 층이 적층된 광반사 필름 (광반사층 (L2)/광반사층 (R2)/광반사층 (R4)) 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도포하는 액정 도포액 (L1), (R3), (L3)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L1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L1) 과, R3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3) 과, L3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L3) 의 3 층이 적층된 광반사 필름 (광반사층 (L1)/광반사층 (R3)/광반사층 (L3)) 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도포하는 액정 도포액 (R2), (L2), (R5)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R2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2) 과, L2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L2) 과, R5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5) 의 3 층이 적층된 광반사 필름 (광반사층 (R2)/광반사층 (L2)/광반사층 (R5)) 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도포하는 액정 도포액 (R6), (L4), (R10)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R6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6) 과, L4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L4) 과, R10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10) 의 3 층이 적층된 광반사 필름 (광반사층 (R6)/광반사층 (L4)/광반사층 (R10)) 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도포하는 액정 도포액 (R7), (L4), (R9)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R7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7) 과, L4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L4) 과, R9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9) 의 3 층이 적층된 광반사 필름 (광반사층 (R7)/광반사층 (L4)/광반사층 (R9)) 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도포하는 액정 도포액 (R3), (L2), (R3)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R3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3) 과, L2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L2) 과, R3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3) 의 3 층이 적층된 광반사 필름 (광반사층 (R3)/광반사층 (L2)/광반사층 (R3)) 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도포하는 액정 도포액 (R1), (R3), (R5)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R1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1) 과, R3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3) 과, R5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5) 의 3 층이 적층된 광반사 필름 (광반사층 (R1)/광반사층 (R3)/광반사층 (R5)) 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도포하는 액정 도포액 (R1), (R3), (R5) 을 사용하여, 광반사층 1 층당의 두께를 1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R1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과 (R1), R3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3) 과, R5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5) 의 3 층이 적층된 광반사 필름 (광반사층 (R1)/광반사층 (R3)/광반사층 (R5)) 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도포하는 액정 도포액 (R8), (L4), (R8)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R8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8) 과, L4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L4) 과, R8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8) 의 3 층이 적층된 광반사 필름 (광반사층 (R8)/광반사층 (L4)/광반사층 (R8)) 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도포하는 액정 도포액 (R6), (R8), (R10)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R6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6) 과, R8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 (R8) 과, R10 의 콜레스테릭 액정층 (R10) 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의 3 층이 적층된 광반사 필름 (광반사층 (R6)/광반사층 (R8)/광반사층 (R10)) 을 제조하였다.
[분광 성능 평가]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의 분광 광도계 MPC-3100 을 사용하여, 실시예 1, 2, 3, 4, 5, 6, 7 및 비교예 1, 2, 3, 4, 5 에서 제조한 광반사 필름의 반사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 최대 반사율 및 50 % 를 상회하는 반사율을 갖는 반사대역의 폭을 구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6 에 기재하였다.
[헤이즈 (㎐) 평가]
또, 실시예 1, 2, 3, 4, 5, 6, 7 및 비교예 1, 2, 3, 4, 5 에서 제조한 광반사 필름을 일본 전색사 제조의 헤이즈미터를 사용하여, 헤이즈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6 에 기재하였다.
Figure pct00007
상기 표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이 고정화된 광반사층, 좌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이 고정화된 광반사층, 우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이 고정화된 광반사층의 순으로 각 광반사층을 적층하고, 가시광 영역에서 인접하는 2 개의 광반사층에 있어서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각각 70 ㎚ 의 간격만큼 어긋나게 한 실시예 1 의 광반사 필름은, 반사율이 50 % 를 상회하는 반사대역은 183 ㎚ 이고, 인접하는 2 개의 광반사층에 있어서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각각 30 ㎚ 의 간격만큼 어긋나게 한 실시예 2 의 광반사 필름은, 반사율이 50 % 를 상회하는 반사대역은 110 ㎚ 인 데에 반해,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이 모두 동일한 광반사층을 적층한 비교예 1 의 광반사 필름은, 반사율이 50 % 를 상회하는 반사대역은 76 ㎚ 이고, 이것은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과 나선 피치가 서로 동일한 광반사층 (RPRL) 과 광반사층 (LPRL) 을, 단순히 2 층 적층시킨 경우와 동등한 반사대역의 폭 (약 76 ㎚) 이다. 따라서, 실시예 1 의 광반사 필름과 실시예 2 의 광반사 필름은,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반사율이 50 % 를 상회하는 반사대역이 80 ㎚ 이상이고, 50 % 를 상회하는 반사율을 넓은 파장대역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부터, 실시예 1 의 광반사 필름과 실시예 2 의 광반사 필름은, 비교예 1 의 광반사 필름과 비교하여, 높은 반사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 모두 우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이 고정화된 광반사층만으로 적층한 비교예 2 의 광반사 필름에서는, 최대 반사율은 48.8 % 로 50 % 이하인 데에 반해, 실시예 1 의 광반사 필름은, 65.8 % 의 최대 반사율, 실시예 2 의 광반사 필름은 91.8 % 의 최대 반사율을 나타내고, 모두 50 % 를 상회하는 최대 반사율인 것으로부터, 실시예 1 의 광반사 필름과 실시예 2 의 광반사 필름은, 모두 비교예 2 의 광반사 필름과 비교하여, 높은 반사 성능을 나타내었다. 한편, 모두 우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이 고정화된 광반사층만으로 적층하고, 또한 광반사층 1 층당의 두께를 10 ㎛ 로 한 비교예 3 의 광반사 필름에서는, 최대 반사율은 46.7 % 로 50 % 이하이고, 게다가, 광반사층을 두껍게 한 것에 의한 콜레스테릭 액정의 배향 불량이 발생하고, 그 결과, 헤이즈값이 16.6 % 로 현저하게 크고, 비교예 3 의 광반사 필름은, 광학 부재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2 의 광반사 필름과 비교예 3 의 광반사 필름은, 모두 반사율이 50 % 를 상회하는 반사대역이 0 ㎚ 로, 실용성이 부족하였다.
실시예 2 의 광반사 필름과 적층 구성만이 상이한 실시예 3 의 광반사 필름은, 실시예 2 의 광반사 필름과 동일한 높은 반사 성능을 나타내고 있고, 또, 실시예 2 의 광반사 필름과 대응하는 각 광반사층에 있어서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의 나선 구조만이 상이한 실시예 4 도, 실시예 2 와 동일한 높은 반사 성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각 광반사층의 적층 구성이나 각 광반사층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의 나선 구조가 상이해도, 동일한 반사 성능을 나타내는 광반사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 인접하는 2 개의 광반사층에 있어서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각각 30 ㎚ 의 간격과 70 ㎚ 의 간격만큼 어긋나게 한 실시예 5 의 광반사 필름은, 반사율이 50 % 를 상회하는 반사대역은 153 ㎚ 이고, 또한 최대 반사율이 84.6 % 를 나타내는 것으로부터, 실시예 5 의 광반사 필름도, 실시예 1 ∼ 4 의 광반사 필름과 마찬가지로 높은 반사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 실시예 1 ∼ 실시예 5 의 각 광반사 필름은, 헤이즈값이 0.8 % 로 1.0 % 이하의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부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 1 ∼ 5 의 각 광반사 필름은, 광학 부재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실시예 1 의 광반사 필름은, 반사율이 50 % 를 상회하는 반사대역이 보다 넓을 것이 요구되는 광학 부재에 적합하다. 또, 실시예 2 ∼ 4 의 각 광반사 필름은, 실시예 1 의 광반사 필름, 실시예 5 의 광반사 필름과 비교하여, 반사율이 50 % 를 상회하는 반사대역은 좁지만, 최대 반사율이 90 % 이상으로 매우 높기 때문에, 실시예 2 ∼ 4 의 각 광반사 필름은, 특히, 보다 높은 반사율이 요구되는 광학 부재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근적외광 영역에서 인접하는 2 개의 광반사층에 있어서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각각 120 ㎚ 의 간격만큼 어긋나게 한 실시예 6 의 광반사 필름은, 반사율이 50 % 를 상회하는 반사대역이 289 ㎚ 이고, 인접하는 2 개의 광반사층에 있어서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각각 40 ㎚ 의 간격만큼 어긋나게 한 실시예 7 의 광반사 필름은, 반사율이 50 % 를 상회하는 반사대역이 189 ㎚ 인 데에 반해,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이 모두 동일한 광반사층을 적층한 비교예 4 의 광반사 필름은, 반사율이 50 % 를 상회하는 반사대역은 147 ㎚ 이고, 이것은 근적외광 영역에 있어서,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과 나선 피치가 서로 동일한 광반사층 (RPRL) 과 광반사층 (LPRL) 을, 단순히 2 층 적층시킨 경우와 동등한 반사대역의 폭 (약 147 ㎚) 이다. 따라서, 실시예 6 의 광반사 필름과 실시예 7 의 광반사 필름은, 근적외광 영역에 있어서, 반사율이 50 % 를 상회하는 반사대역이 150 ㎚ 이상이고, 50 % 를 상회하는 반사율을 넓은 파장대역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부터, 실시예 6 의 광반사 필름과 실시예 7 의 광반사 필름은, 비교예 4 의 광반사 필름과 비교하여, 높은 반사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 모두 우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이 고정화된 광반사층만으로 적층한 비교예 5 의 광반사 필름은, 최대 반사율은 46.5 % 로 50 % 이하이고, 게다가, 반사율이 50 % 를 상회하는 반사대역은 0 ㎚ 로, 실용성이 부족하였다.
본 발명의 광반사 필름은, 높은 반사 성능, 나아가서는 낮은 헤이즈값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주로 건재나 차재용 등의 차열 필름, 휘도 향상 필름이나 컬러 필터 등의 광학 부재, 아이웨어 (선글라스나 고글, 헬멧용 바이저 등) 의 적용에 바람직하다.
1 : 광반사 필름
2 : 광반사층
3 : 광반사층
4 : 광반사층
5 : 접착층
6 : 접착층
7 : 기판
8 : 적층체

Claims (5)

  1. 우원편광 반사능을 갖는 우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이 고정화된 적어도 1 층의 광반사층 (RPRL) 과, 좌원편광 반사능을 갖는 좌향 권회 나선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이 고정화된 적어도 1 층의 광반사층 (LPRL) 을 포함하고,
    상기 광반사층 (RPRL) 과 상기 광반사층 (LPRL) 을 합계로 3 층 이상 적충하고, 적층된 상기 광반사층 (RPRL) 및 상기 광반사층 (LPRL) 은,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광반사층 사이에서 모두 10 ㎚ 이상 160 ㎚ 이하의 간격만큼 어긋난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입사광에 대해 50 % 초과 95 % 이하의 광을 반사하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헤이즈값 (㎐) 이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광반사층의 두께가 0.5 ㎛ 이상 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반사 필름과 기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KR1020177012108A 2014-12-19 2015-12-14 광반사 필름 및 이것을 갖는 적층체 KR201700982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57300 2014-12-19
JP2014257300 2014-12-19
PCT/JP2015/084952 WO2016098732A1 (ja) 2014-12-19 2015-12-14 光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有する積層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212A true KR20170098212A (ko) 2017-08-29

Family

ID=5612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108A KR20170098212A (ko) 2014-12-19 2015-12-14 광반사 필름 및 이것을 갖는 적층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70285235A1 (ko)
EP (1) EP3236298A4 (ko)
JP (1) JP6689755B2 (ko)
KR (1) KR20170098212A (ko)
CN (1) CN107111031B (ko)
TW (1) TWI676827B (ko)
WO (1) WO20160987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9755B2 (ja) 2014-12-19 2020-04-28 日本化薬株式会社 光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有する積層体
JP2018161815A (ja) * 2017-03-27 2018-10-1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操作パネル用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300726A (zh) * 2017-07-17 2017-10-27 南方科技大学 一种全固态反射膜及其制备方法
US11726246B2 (en) 2017-10-20 2023-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lm and polarizing beam splitter
CN108663867A (zh) * 2018-04-11 2018-10-16 华南师范大学 一种染料掺杂的激光防护膜
JP6841981B1 (ja) * 2019-03-28 2021-03-10 日本化薬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アイウェア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A (en) * 1841-03-16 Clamp for crimping leather
US4683327A (en) 1985-06-24 1987-07-28 Celanese Corporation Anisotropic heat-curable acrylic terminated monomers
JPH01272551A (ja) 1988-04-22 1989-10-31 Dainippon Printing Co Ltd 重合性2官能アクリレートモノマー
JP3228348B2 (ja) 1992-07-03 2001-11-12 キヤノン株式会社 高分子液晶化合物、液晶組成物および液晶素子
JP3513888B2 (ja) 1993-08-16 2004-03-31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DE69422256D1 (de) 1993-10-15 2000-01-27 Merck Patent Gmbh Reaktive Flüssigkristallverbindungen
DE4405316A1 (de) 1994-02-19 1995-08-24 Basf Ag Neue polymerisierbare flüssigkristalline Verbindungen
DE4408170A1 (de) 1994-03-11 1995-09-14 Basf Ag Neue polymerisierbare flüssigkristalline Verbindungen
US6573961B2 (en) * 1994-06-27 2003-06-03 Reveo, Inc. High-brightness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employing light recycling therein
DE19532408A1 (de) 1995-09-01 1997-03-06 Basf Ag Polymerisierbare flüssigkristalline Verbindungen
GB2306470B (en) 1995-10-05 1999-11-03 Merck Patent Gmbh Reactive liquid crystalline compound
DE19649056A1 (de) 1996-11-27 1998-05-28 Basf Ag Polymerisierbare Oligomesogene
CN1213989C (zh) 1997-05-22 2005-08-10 罗列克股份公司 新的可聚合的液晶化合物
JP3963035B2 (ja) 1997-09-05 2007-08-22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液晶性(メタ)アクリレート化合物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異方体
JP3599089B2 (ja) 1998-11-11 2004-12-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多色表示装置
JP4309072B2 (ja) 2000-03-13 2009-08-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重合性液晶化合物および光学異方性素子
JP2002179668A (ja) 2000-12-15 2002-06-26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活性化合物、液晶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ー、光学フイルム及び記録媒体
CN1144084C (zh) * 2001-09-29 2004-03-31 赵静安 胆甾相液晶反射式立体显示设备
JP3981638B2 (ja) 2002-01-23 2007-09-2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位相差フィルムならびに偏光板
JP2003294948A (ja) * 2002-04-08 2003-10-15 Nitto Denko Corp 帯域フィルタ及びこ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4133839B2 (ja) 2003-01-10 2008-08-13 日東電工株式会社 広帯域コレステリック液晶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060031993A (ko) 2004-10-11 2006-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평판형광램프및 표시장치
US20080317977A1 (en) * 2007-06-22 2008-12-25 Chiefway Engineering Co., Ltd. Light-regulation membrane
JP2011154215A (ja) 2010-01-27 2011-08-11 Fujifilm Corp 赤外光反射板、合わせガラス用積層中間膜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合わせガラス
JP5451672B2 (ja) 2011-03-25 2014-03-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反射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3064890A (ja) 2011-09-16 2013-04-11 Fujifilm Corp 重合体および赤外線反射フィルム
JP5709710B2 (ja) * 2011-09-27 2015-04-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赤外光反射層及び赤外光反射板並びにガラス用積層中間膜シート及び合わせガラスとそれらの製造方法
CN102354010B (zh) * 2011-10-18 2014-02-19 凯鑫森(上海)功能性薄膜产业有限公司 一种节能型玻璃膜及使用节能型玻璃膜的装置
JP5961498B2 (ja) * 2012-09-18 2016-08-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熱線カッ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合わせガラス並びに熱線カット部材
JP6159081B2 (ja) * 2012-12-17 2017-07-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コレステリック液晶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コレステリック液晶積層体の組合せ体
US9122091B2 (en) * 2013-03-25 2015-09-01 Fujifilm Corporation Phase difference plate for circularly polarizing plat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pparatus
JP6193471B2 (ja) * 2014-02-20 2017-09-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映像表示用部材および投映像表示用部材を含む投映システム
WO2016088707A1 (ja) * 2014-12-01 2016-06-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機能付きミラー
JP6689755B2 (ja) 2014-12-19 2020-04-28 日本化薬株式会社 光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有する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16709B2 (en) 2020-10-27
CN107111031A (zh) 2017-08-29
WO2016098732A1 (ja) 2016-06-23
JP6689755B2 (ja) 2020-04-28
EP3236298A1 (en) 2017-10-25
US20170285235A1 (en) 2017-10-05
EP3236298A4 (en) 2018-08-29
JPWO2016098732A1 (ja) 2017-09-28
TWI676827B (zh) 2019-11-11
US20190324180A1 (en) 2019-10-24
TW201636650A (zh) 2016-10-16
CN107111031B (zh)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6709B2 (en) Light reflection film and laminate having the light reflection film
JP6739337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学積層体
JP6840733B2 (ja) アイウェア用光学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積層体およびアイウェア
JP2011154215A (ja) 赤外光反射板、合わせガラス用積層中間膜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合わせガラス
US20220004028A1 (en) Optical film and eyewear
JP2010286644A (ja) 赤外光反射板、赤外光反射性合わせガラス、並びにコレステリック液晶層を有する積層体及び合わせガラス
US20200033638A1 (en) Light-shielding function equipped optical film for eyewear, and optical laminate and light-shielding function equipped eyewear including the light-shielding function equipped optical film for eyewear
JP6840734B2 (ja) アイウェア用光学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積層体およびアイウェア
WO2023167293A1 (ja) 液晶組成物、光反射層、光学積層体、及びアイウェア
WO2023145683A1 (ja) 光学フィルム及びアイウェア
US20200063033A1 (en) Ultraviolet-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blue light blocking film and blue light blocking film including the composition
WO2022025052A1 (ja) 多層光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たアイウェア
WO2021206024A1 (ja) 光学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有する光学積層体およびアイウェア
JP2013076958A (ja) 電磁波反射フィルム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