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6726A - 음향파 필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향파 필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6726A
KR20170096726A KR1020160018316A KR20160018316A KR20170096726A KR 20170096726 A KR20170096726 A KR 20170096726A KR 1020160018316 A KR1020160018316 A KR 1020160018316A KR 20160018316 A KR20160018316 A KR 20160018316A KR 20170096726 A KR20170096726 A KR 20170096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ming layer
trimming
layer
resonator
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8798B1 (ko
Inventor
정원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8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798B1/ko
Priority to US15/286,182 priority patent/US10211810B2/en
Priority to CN201610916340.8A priority patent/CN107094004B/zh
Publication of KR2017009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462Microelectro-mechanical filters
    • H03H9/467Post-fabrication trimming of parameters, e.g. center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5Plasma etching; Reactive-ion etching
    • H01L41/09
    • H01L41/22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temperature coeffici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007Details of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244Details of micro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393Post-fabrication trimming of parameters, e.g. resonance frequency, Q fac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20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multiple reson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58Multiple crystal filters
    • H03H9/582Multiple crystal filters implemented with thin-film techniques
    • H03H9/586Means for mounting to a substrate, i.e. means constituting the material interface confining the waves to a volume
    • H03H9/587Air-gap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03H2003/0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for obtaining desired values of other parame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temperature coefficient
    • H03H2003/0414Resonance frequency
    • H03H2003/0421Modification of the thickness of an el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temperature coefficient
    • H03H2003/0414Resonance frequency
    • H03H2003/0421Modification of the thickness of an element
    • H03H2003/0428Modification of the thickness of an element of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2009/02165Tuning
    • H03H2009/02173Tuning of film bulk acoustic resonators [FB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Abstract

복수개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기판과, 상기 공간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공진기 및 상기 공간부 중 적어도 나머지 하나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공진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진기에는 제1 트리밍(trimming)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공진기에는 상기 제1 트리밍층과 다른 식각률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트리밍층이 형성되는 음향파 필터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음향파 필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Acoustic wave filte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향파 필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성능의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 사양을 맞추기 위해서 밴드 폭(band width) 사양이 급속도로 높아지면서 정밀한 트리밍(trimming)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트리밍 공정은 이온빔 식각(Ion beam etching)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밴드(band)의 오른쪽 주파수를 결정하는 직렬 공진기(Series resonator)와 왼쪽 주파수를 결정하는 병렬 공진기(Shunt resonator)를 각각 따로 수행한다. 또는 직렬 공진기와 병렬 공진기를 동시에 트리밍 공정을 수행한 후 병렬 공진기만을 트리밍 공정을 수행하는 두 가지 공정으로 트리밍 공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트리밍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직렬 공진기와 병렬 공진기 중 한쪽만 개방할 수 있는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추가적인 포토(photo) 공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구조물 상에 추가적인 포토 마스크(photo mask) 공정과, 사진식각 공정(Photolithography) 등 제조공정(Fabrication Process)를 수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율 및 정밀도에 큰 악영향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72576호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음향파 필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음향파 필터 장치는 복수개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기판과, 상기 공간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공진기 및 상기 공간부 중 적어도 나머지 하나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공진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진기에는 제1 트리밍(trimming)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공진기에는 상기 제1 트리밍층과 다른 식각률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트리밍층이 형성된다.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파 필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음향파 필터 장치의 기판을 성형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음향파 필터장치의 제1,2 하부전극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음향파 필터장치의 제1,2 압전체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음향파 필터장치의 제1,2 상부전극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음향파 필터장치의 제1 트리밍층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음향파 필터장치의 제2 트리밍층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음향파 필터장치의 제1 트리밍층의 평탄화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음향파 필터장치의 제2 트리밍층의 평탄화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파 필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파 필터 장치(100)는 일예로서, 기판(120), 제1 공진기(140) 및 제2 공진기(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판(120)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공간부(122)가 형성된다. 일예로서, 공간부(122)는 기판(120)의 상면으로부터 형성되는 홈에 의해 형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간부(122)는 기판(1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홀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공간부(122)가 기판(120)에 6개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공간부(122)의 갯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공간부(1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판(120)은 통상의 실리콘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판(120)의 가장자리에는 비아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판(120)의 상면에는 기판(120)과 직렬 공전기(140) 및 제2 공진기(160)를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한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은 이산화규소(SiO2)나 산화알루미늄(Al2O2)을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RF Magnetron Sputtering)법, 또는 에바포레이션(Evaporation) 법으로 기판(120) 상에 증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진기(140)는 공간부(122)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배치된다. 한편, 제1 공진기(140)는 직렬 공진기(Series resonator)일 수 있다. 또한, 제1 공진기(140)는 벌크 음향파 필터(bulk acoustic wave filter)일 수 있다. 일예로서, 제1 공진기(140)는 제1 하부전극(142), 제1 압전체(144), 제1 상부전극(146) 및 제1 트리밍층(14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하부전극(142)은 공간부(122)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제1 압전체(144)에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1 하부전극(142)은 망간(Mo), 금(Au),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한편, 제1 하부전극(142)은 스퍼터링법이나 CVD 등의 박막 형성 공정으로 기판(120)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포토리소그래피 기술 등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다.
또한, 제1 하부전극(142)은 제1 공진기(14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벌크 음향파 공진자(BAW resonator)가 필요한 공진 특성을 발휘하기 위해 제1 하부 전극(144)의 두께는 재료의 고유 음향 임피던스나 밀도, 음속, 파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하부전극(142)은 공간부(122)를 밀폐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전체(144)는 제1 하부전극(142) 상면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산화아연(ZnO), 질화 알루미늄(AlN), 티탄산 지르콘산 연(PZT) 등의 압전체 재료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압전체(144)는 제1 하부전극(142) 및 제1 상부전극(146)에 의해 인가된 고주파 전압에 따라 신축해, 전기적인 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압전체(144)도 스퍼터링법이나 CVD법 등의 박막 형성 공정으로 제1 하부전극(142)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포토리스그래피 기술 등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다. 나아가, 제1 압전체(144)의 두께도 고유 음향 임피던스나 밀도, 음속, 파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상부전극(146)은 제1 압전체(144)의 상면에 형성되며, 제1 하부전극(142)과 함께 제1 압전체9146)에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상부전극(146)은 망간(Mo), 금(Au),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한편, 제1 상부전극(146)은 스퍼터링법이나 CVD 등의 박막 형성 공정으로 기판(120)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포토리소그래피 기술 등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다.
또한, 제1 상부전극(146)은 전극으로서의 기능과 동시에 공진부를 구성하는 기능도 가진다. 이에 따라, 제1 상부전극(146)의 두께는 고유 음향 임피던스나 밀도, 음속, 파장 등을 고려하여 정밀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제1 트리밍층(148)은 제1 상부전극(146) 상면에 형성된다. 일예로서, 제1 트리밍층(148)은 제1 상부전극(146)의 형성 후 스퍼터링법이나 CVD법 등의 박막 형성 공정으로 제1 상부전극(146)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다.
한편, 제1 트리밍층(148)의 재료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박막 형성 공정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고려할 때, 망간(Mo), 금(Au),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금속 재료 및 산화규소 등의 절연체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트리밍층(148)은 주파수 조정을 위해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 이온빔 식각(Ion beam Etching)에 의해 평탄화 공정을 거친다.
즉, 제1 트리밍층(148)을 전면적으로 식각하여 원하는 목적(Target) 주파수 근처까지 조정한다. 평탄화 공정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공진기(160)는 공간부(122) 중 적어도 나머지 하나에 상부에 배치된다. 한편, 제2 공진기(160)는 병렬 공진기(Shunt resonator)일 수 있다. 제2 공진기(160)는 벌크 음향파 필터(bulk acoustic wave filter)일 수 있다. 일예로서, 제2 공진기(160)는 제2 하부전극(162), 제2 압전체(164), 제2 상부전극(166) 및 제2 트리밍층(16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하부전극(162)은 공간부(122)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제2 압전체(164)에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2 하부전극(162)은 망간(Mo), 금(Au),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한편, 제2 하부전극(162)은 스퍼터링법이나 CVD 등의 박막 형성 공정으로 기판(120)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포토리소그래피 기술 등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다.
또한, 제2 하부전극(162)은 제2 공진기(16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벌크 음향파 공진자(BAW resonator)가 필요한 공진 특성을 발휘하기 위해 제2 하부 전극(164)의 두께는 재료의 고유 음향 임피던스나 밀도, 음속, 파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하부전극(162)은 제1 하부전극(142)의 형성 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하부전극(162)의 두께와 제1 하부전극(142)의 두께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하부전극(162)은 제1 하부전극(142)과는 별도의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하부전극(162)은 공간부(122)를 밀폐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압전체(164)는 제2 하부전극(162) 상면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산화아연(ZnO), 질화 알루미늄(AlN), 티탄산 지르콘산 연(PZT) 등의 압전체 재료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압전체(164)는 제2 하부전극(162) 및 제2 상부전극(166)에 의해 인가된 고주파 전압에 따라 신축해, 전기적인 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압전체(164)도 스퍼터링법이나 CVD법 등의 박막 형성 공정으로 제1 하부전극(164)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포토리스그래피 기술 등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다. 나아가, 제2 압전체(164)의 두께도 고유 음향 임피던스나 밀도, 음속, 파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압전체(164)는 제1 압전체(144)와 동시에 성형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공정에 의해 성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압전체(164)의 두께도 제1 압전체(144)와 동일할 수도 있으며, 다른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제2 상부전극(166)은 제2 압전체(164)의 상면에 형성되며, 제2 하부전극(162)과 함께 제2 압전체(164)에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상부전극(166)은 망간(Mo), 금(Au),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한편, 제2 상부전극(166)은 스퍼터링법이나 CVD 등의 박막 형성 공정으로 기판(120)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포토리소그래피 기술 등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다.
또한, 제2 상부전극(166)은 전극으로서의 기능과 동시에 공진부를 구성하는 기능도 가진다. 이에 따라, 제2 상부전극(166)의 두께는 고유 음향 임피던스나 밀도, 음속, 파장 등을 고려하여 정밀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한편, 제2 상부전극(166)도 제1 상부전극(146)과 함께 동시에 성형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공정에 의해 성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상부전극(166)의 두께도 제1 상부전극(146)과 동일할 수 있으며, 다른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제2 트리밍층(168)은 제2 상부전극(166) 상면에 형성된다. 일예로서, 제2 트리밍층(168)은 제2 상부전극(166)의 형성 후 스퍼터링법이나 CVD법 등의 박막 형성 공정으로 제2 상부전극(166)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다.
한편, 제2 트리밍층(168)의 재료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박막 형성 공정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고려할 때, 망간(Mo), 금(Au),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금속 재료 및 산화규소 등의 절연체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2 트리밍층(168)은 제1 트리밍층(148)과 식각률이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트리밍층(168)과 제1 트리밍층(148)은 둘 중 어느 하나의 식각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나머지 하나가 식각되지 않을 수 있는 식각률의 차이를 가진다.
일예로서, 제1 트리밍층(148)의 평탄화 공정 중 제2 트리밍층(168)의 평탄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도록 제1,2 트리밍층(148,168)의 식각률이 차이가 난다.
한편, 제2 트리밍층(168)은 제1 트리밍층(148)을 전면적으로 식각하여 원하는 목적(Target) 주파수 근처까지 조정하는 평탄화 공정 후 목적(Target) 주파수를 이동시켜 밴드폭(Bandwidth)을 맞추는 밴드폭 평탄화 공정에 의해 평탄화된다.
그리고, 제2 트리밍층(168)의 평탄화 공정은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 이온빔 식각(Ion beam Etching)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트리밍층(148)과 제2 트리밍층(168)의 평탄화 공정 시 제1 트리밍층(148)과 제2 트리밍층(168)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식각률의 차이를 제1,2 트리밍층(148,168)이 가지므로, 추가적인 포토 마스크(photo mask) 공정과, 사진식각 공정(Photolithography) 등 제조공정(Fabrication Process)를 수반하지 않을 수 있다.
결국,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파 필터 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음향파 필터 장치의 기판을 성형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판(120) 상에 복수개의 공간부(122)를 형성한다. 한편, 기판(120)은 통상의 실리콘 기판일 수 있으며, 공간부(122)는 식각(etching)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공간부(1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공간부(122)는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공간부(122)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간부(122)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음향파 필터장치의 제1,2 하부전극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하부전극(142)은 제1 리플렉터(142)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2 하부전극(162)은 제2 리플렉터(162)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1,2 하부전극(142,162)은 망간(Mo), 금(Au),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한편, 제1,2 하부전극(142,162)은 스퍼터링법이나 CVD 등의 박막 프로세스로 기판(120)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포토리소그래시 기술 등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다.
한편, 제1,2 하부전극(142,162)은 제1,2 공진기(140,16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벌크 음향파 공진자(BAW resonator)가 필요한 공진 특성을 발휘하기 위해 제1,2 하부 전극(144,164)의 두께는 재료의 고유 음향 임피던스나 밀도, 음속, 파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2 하부전극(142,162)가 동시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1,2 하부전극(142,162)은 서로 다른 공정을 통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2 하부전극(142,162)의 재질이 서로 다른 경우 제1 하부전극(142)의 형성 후 별도로 제2 하부전극(162)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제2 하부전극(162)의 형성 후 별도로 제1 하부전극(142)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음향파 필터장치의 제1,2 압전체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압전체(144)은 제1 하부전극(142)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2 압전체(164)는 제2 하부전극(162)의 상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2 압전체(144,164)는 산화아연(ZnO), 질화 알루미늄(AlN), 티탄산 지르콘산 연(PZT) 등의 압전체 재료로 구성된다.
제1,2 압전체(144,164)도 스퍼터링법이나 CVD법 등의 박막 프로세스로 제1,2 하부전극(142,162)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포토리스그래피 기술 등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다. 나아가, 제1,2 압전체(144,164)의 두께도 고유 음향 임피던스나 밀도, 음속, 파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2 압전체(144,164)가 동시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1,2 압전체(144,164)는 서로 다른 공정을 통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2 압전체(144,164)의 재질이 서로 다른 경우 제1 압전체(144)의 형성 후 별도로 제2 압전체(164)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더하여, 제2 압전체(146)의 형성 후 별도로 제1 압전체(166)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음향파 필터장치의 제1,2 상부전극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상부전극(146)은 제1 압전체(144) 상에 형성되며, 제2 상부전극(166)은 제2 압전체(164) 상에 형성된다. 제1,2 상부전극(146,166)은 망간(Mo), 금(Au),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한편, 제1,2 상부전극(146,166)은 스퍼터링법이나 CVD 등의 박막 프로세스로 제1,2 압전체(148,168)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포토리소그래시 기술 등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2 상부전극(146,166)가 동시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1,2 상부전극(146,166)은 서로 다른 공정을 통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2 상부전극(146,166)의 재질이 서로 다른 경우 제1 상부전극(146)의 형성 후 별도로 제2 상부전극(166)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제2 상부전극(166)의 형성 후 별도로 제1 상부전극(146)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음향파 필터장치의 제1 트리밍층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트리밍층(148)은 제1 상부전극(146) 상면에 형성된다. 일예로서, 제1 트리밍층(148)은 제1 상부전극(146)의 형성 후 스퍼터링법이나 CVD법 등의 박막 프로세스로 제1 상부전극(146)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다.
한편, 제1 트리밍층(148)의 재료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박막 프로세스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고려할 때, 망간(Mo), 금(Au),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금속 재료 및 산화규소 등의 절연체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음향파 필터장치의 제2 트리밍층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트리밍층(148)의 형성 후 제2 트리밍층(168)은 제2 상부전극(166) 상면에 형성된다. 일예로서, 제2 트리밍층(168)은 제2 상부전극(166)의 형성 후 스퍼터링법이나 CVD법 등의 박막 프로세스로 제2 상부전극(166)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다.
한편, 제2 트리밍층(168)의 재료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박막 프로세스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고려할 때, 망간(Mo), 금(Au),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금속 재료 및 산화규소 등의 절연체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2 트리밍층(168)은 제1 트리밍층(148)과 식각률이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트리밍층(168)과 제1 트리밍층(148)은 둘 중 어느 하나의 평탄화공정(식각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나머지 하나가 식각되지 않을 수 있는 식각률의 차이를 가진다.
일예로서, 제1 트리밍층(148)의 평탄화 공정 중 제2 트리밍층(168)의 평탄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도록 제1,2 트리밍층(148,168)의 식각률이 차이가 난다.
도 8은 음향파 필터장치의 제1 트리밍층의 평탄화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음향파 필터장치(100)의 제1 트리밍층(148)은 주파수 조정을 위해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 또는 이온빔 식각(Ion beam Etching)에 의해 평탄화 공정을 거친다.
즉, 제1 트리밍층(148)을 전면적으로 식각하여 원하는 목적(Target) 주파수 근처까지 조정한다.
이때, 제2 트리밍층(168)에는 포토 마스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식각률의 차이가 나므로 제2 트리밍층(168)의 식각을 방지하기 위한 포토 마스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음향파 필터장치의 제2 트리밍층의 평탄화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트리밍층(168)은 제1 트리밍층(148)을 전면적으로 에칭하여 원하는 목적(Target) 주파수 근처까지 조정하는 평탄화 공정 후 목적(Target) 주파수를 이동시켜 밴드폭(Bandwidth)을 맞추는 밴드폭 평탄화 공정에 의해 평탄화된다.
그리고, 제2 트리밍층(168)의 평탄화 공정은 일예로서,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 또는 이온빔 식각(Ion beam Etching)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트리밍층(168)의 평탄화 공정 시 제1 트리밍층(148)에는 포토 마스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트리밍층(148)과 제2 트리밍층(168)의 평탄화 공정 시 제1 트리밍층(148)과 제2 트리밍층(168)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식각률의 차이를 제1,2 트리밍층(148,168)이 가지므로, 추가적인 포토 마스크(photo mask) 공정과, 사진식각 공정(Photolithography) 등 제조공정(Fabrication Process)를 수반하지 않을 수 있다.
결국,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음향파 필터 장치
120 : 기판
140 : 제1 공진기
160 : 제2 공진기

Claims (16)

  1. 복수개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기판;
    상기 공간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공진기; 및
    상기 공간부 중 적어도 나머지 하나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공진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진기에는 제1 트리밍(trimming)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공진기에는 상기 제1 트리밍층과 다른 식각률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트리밍층이 형성되는 음향파 필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기는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하부전극;
    상기 제1 하부전극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압전체;
    상기 제1 압전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상부전극; 및
    상기 제1 상부전극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트리밍층;
    을 포함하는 음향파 필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진기는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하부전극;
    상기 제2 하부전극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압전체;
    상기 제2 압전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상부전극; 및
    상기 제2 상부전극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2 트리밍층;
    을 포함하는 음향파 필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부측이 넓고 하부측이 깔때기 형상을 가지는 음향파 필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하부전극은 상기 공간부를 밀폐하는 크기를 가지는 음향파 필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밍층과 제2 트리밍층은 상기 제1,2 트리밍층 중에 어느 하나의 식각공정의 수행 중 나머지 하나가 식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각률의 차이를 가지는 음향파 필터 장치.
  7. 기판 상에 복수개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1,2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2 하부전극 상에 제1,2 압전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2 압전체 상에 제1,2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상부전극 상에 제1 트리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상부전극 상에 제2 트리밍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리밍층과 상기 제2 트리밍층은 서로 다른 식각률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는 음향파 필터 장치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리밍층을 형성하는 단계 후 상기 제1 트리밍층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향파 필터 장치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밍층을 평탄화하는 단계는 식각공정에 의해 수행되는 음향파 필터 장치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밍층을 평탄화하는 단계는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과 이온빔 식각(ion beam etching)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음향파 필터 장치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밍층을 평탄화하는 단계 후 상기 제2 트리밍층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향파 필터 장치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리밍층을 평탄화하는 단계는 식각공정에 의해 수행되는 음향파 필터 장치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리밍층을 평탄화하는 단계는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과 이온빔 식각(ion beam etching)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음향파 필터 장치의 제조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밍층과 제2 트리밍층은 상기 제1,2 트리밍층 중에 어느 하나의 식각공정의 수행 중 나머지 하나가 식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각률의 차이를 가지는 음향파 필터 장치 제조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밍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트리밍층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트리밍층을 식각을 통해 평탄화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음향파 필터 장치 제조방법.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리밍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트리밍층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트리밍층을 식각을 통해 평탄화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음향파 필터 장치 제조방법.
KR1020160018316A 2016-02-17 2016-02-17 음향파 필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88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316A KR102588798B1 (ko) 2016-02-17 2016-02-17 음향파 필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5/286,182 US10211810B2 (en) 2016-02-17 2016-10-05 Acoustic wave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1610916340.8A CN107094004B (zh) 2016-02-17 2016-10-20 声波滤波器和制造该声波滤波器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316A KR102588798B1 (ko) 2016-02-17 2016-02-17 음향파 필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726A true KR20170096726A (ko) 2017-08-25
KR102588798B1 KR102588798B1 (ko) 2023-10-13

Family

ID=5956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316A KR102588798B1 (ko) 2016-02-17 2016-02-17 음향파 필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11810B2 (ko)
KR (1) KR102588798B1 (ko)
CN (1) CN1070940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6174A (zh) * 2018-04-17 2018-09-21 武汉大学 预设空腔防护墙型薄膜体声波谐振器及制备方法
DE102018109974B3 (de) * 2018-04-25 2019-09-12 RF360 Europe GmbH Elektroakustisches Filter, Multiplex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akustischen Filters
CN111355460B (zh) * 2018-12-20 2021-09-2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三研究所 谐振器制作方法
WO2021003699A1 (zh) * 2019-07-10 2021-01-14 开元通信技术(厦门)有限公司 体声波滤波器及其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9276B1 (en) * 1999-11-01 2002-01-15 Agere Systems Guardian Corp. Incremental tuning process for electrical resonators based on mechanical motion
KR20050072576A (ko) 2004-01-07 2005-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박막 용적 탄성파 공진기 필터 및 그 제조방법
US20060006965A1 (en) * 2004-07-06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F filt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7275292B2 (en) * 2003-03-07 2007-10-02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Method for fabricating an acoustical resonator on a substrat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7447B1 (en) * 1999-11-01 2001-10-23 Agere Systems Guardian Corp. Tuning mechanical resonators for electrical filter
US6483229B2 (en) * 2001-03-05 2002-11-19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providing differential frequency adjusts in a thin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filter and apparatus embodying the method
DE10124349A1 (de) * 2001-05-18 2002-12-05 Infineon Technologies Ag Piezoelektrische Resonatorvorrichtung mit Verstimmungsschichtfolge
JP4039322B2 (ja) * 2002-07-23 2008-01-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複合圧電共振器および通信装置、並びに、圧電フィルタの周波数調整方法
US6943648B2 (en) * 2003-05-01 2005-09-13 Intel Corporation Methods for forming a frequency bulk acoustic resonator with uniform frequency utilizing multiple trimming layers and structures formed thereby
JP4367161B2 (ja) * 2004-02-10 2009-11-18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836748B2 (ja) 2006-10-27 2011-12-14 京セラ株式会社 バルク音響波共振子及びフィルタ装置並びに通信装置
JP5054491B2 (ja) * 2007-11-21 2012-10-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圧電振動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41136A (ja) 2009-08-17 2011-02-24 Taiyo Yuden Co Ltd 弾性波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1099381A1 (ja) * 2010-02-09 2011-08-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デバイス、圧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8895338B2 (en) * 2010-03-29 2014-11-25 Corporation For National Research Initiatives Method of fabricating MEMS, NEMS, photonic, micro- and nano-fabricated devices and systems
KR20120071233A (ko) 2010-12-22 2012-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파수 튜닝이 가능한 공진기 필터 및 이러한 필터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튜닝하는 방법
GB2521138B (en) * 2013-12-10 2019-01-02 Flexenable Ltd Source/Drain Conductors for Transistor Devi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9276B1 (en) * 1999-11-01 2002-01-15 Agere Systems Guardian Corp. Incremental tuning process for electrical resonators based on mechanical motion
US7275292B2 (en) * 2003-03-07 2007-10-02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Method for fabricating an acoustical resonator on a substrate
KR20050072576A (ko) 2004-01-07 2005-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박막 용적 탄성파 공진기 필터 및 그 제조방법
US20060006965A1 (en) * 2004-07-06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F filt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37411A1 (en) 2017-08-17
CN107094004B (zh) 2020-07-07
KR102588798B1 (ko) 2023-10-13
US10211810B2 (en) 2019-02-19
CN107094004A (zh) 2017-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8422B2 (en) Single-chip multi-frequency film bulk acoustic-wave resonators
US10720900B2 (en)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JP4223428B2 (ja) 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88411B2 (ja) 音響共振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688070B2 (ja) 圧電薄膜共振子、圧電薄膜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40932B2 (ja) 薄膜圧電共振器、薄膜圧電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00849B2 (ja) 弾性波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10121915A1 (en) Passivation layers in acoustic resonators
JP2003050584A (ja) バルク音響波共振器およびフィルタをウェハレベルで同調す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
WO2021077714A1 (zh) 体声波谐振器及其频率调整方法、滤波器、电子设备
KR20160086552A (ko) 음향 공진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96726A (ko) 음향파 필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2311959A (ja) バルク音響共振器およびフィルタのウェハレベル同調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70097348A (ko) 음향 공진기 및 그 제조 방법
WO2021135012A1 (zh) 体声波谐振器及其封装方法、滤波器、电子设备
JP4395892B2 (ja) 圧電薄膜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820982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upled resonator device
KR102449355B1 (ko) 음향 공진기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7129776A (ja) 薄膜圧電共振器、薄膜圧電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11392A (ja) 共振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899918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vice on a substrate
KR102117460B1 (ko) 체적 음향 공진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88800B1 (ko) 음향파 필터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TWI838524B (zh) 聲波裝置及其製造方法
US20220376673A1 (en) Baw resonator arrangement with resonators having different resonance frequencies and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