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3994A - 도어를 갖는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를 갖는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3994A
KR20170093994A KR1020177021682A KR20177021682A KR20170093994A KR 20170093994 A KR20170093994 A KR 20170093994A KR 1020177021682 A KR1020177021682 A KR 1020177021682A KR 20177021682 A KR20177021682 A KR 20177021682A KR 20170093994 A KR20170093994 A KR 20170093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sensing
sensing devi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6192B1 (ko
Inventor
김진성
권홍식
김민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7003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3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93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D5/28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deflection of beams of light, e.g. for direct optical ind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7/00Lighting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7/001Lighting arrangements on the external side of the refrigerator, freezer or cooling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및 냉장고 도어 개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가 손이 아닌 다른 신체 일부를 이용하여 자동 개방 및 추가 개방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를 갖는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도어를 갖는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통상 도어에는 닫힌 상태에서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스켓이 구비되며, 가스켓과 캐비닛의 밀착력이 강할수록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효과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가스켓의 밀착력 향상을 위해 가스켓의 내부에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게 되면 상기 가스켓이 스틸소재의 상기 캐비닛에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자석을 사용하여 상기 가스켓을 밀착시키게 되는 경우, 자력으로 인해 상기 도어의 개방시 자력의 크기만큼 힘이 더 들게 되며, 사용자는 더 큰 힘으로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상기 도어의 개방을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도어 개방장치가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구동되어 상기 도어를 보다 적은 힘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2011-0040030호에는 냉장고 도어에 도어 핸들이 구비되고 도어 핸들에는 조작부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상기 조작부 조작시 상기 캐비닛에 구비된 도어 개방장치가 구동되어 상기 도어를 밀어서 개방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에서는, 도어의 개방을 위해서 밀어주는 위치가 힌지축과 먼 거리에 위치하게 되어 도어의 개방시 로드의 길이가 매우 길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도어의 개방을 위해서 상기 도어 핸들의 조작부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물건을 들고 있어 양손의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 손 대신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개방되는 도어를 갖는 냉장고, 및 상기 냉장고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하는 상이 상기 냉장고에 가까운 위치에 투사되고 상기 사용자가 대응 영역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냉장고, 상기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상(image)의 투사 및 사용자 조작의 감지시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 및 상기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인식 가능한 상이 상기 냉장고의 전방의 바닥면 상에 투사되게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팩트한 구성을 갖는 센싱어셈블로 인해 도어의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사장치 및 감지장치가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고, 따라서 생산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의 인식률을 향상시키고 상기 도어가 오인식으로 인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갖는 저장실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는 도어 플레이트 및 상기 저장실을 향하여 상기 도어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실 도어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의 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서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는 그 상단에 상부 플레이트, 및 그 하단에 하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그 하단에 일체형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도어의 배면을 향하여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그것의 길이를 따라 경사된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경사부 및 좌우 측면부는 일체형 구조를 갖기 위해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판상의 소재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 및 상기 저장실 도어 라이너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 및 상기 저장실 도어 라이너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고가 배치되는 바닥면 상에 하나 이상의 광 패턴을 투사하도록 구성되는 센서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어셈블리는 도어 개방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어셈블리는 상기 경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도어의 전면에 대해 대략 20° 내지 30°의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스테인레스 강판을 원소재로 제공하는 단계; 도어 플레이트가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하단에서 경사면 안으로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도어의 좌우 측면 안으로 형성되는 좌우 측면부를 갖도록 상기 상기 스테인레스 강판를 블랭킹 가공하여 상기 도어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도어의 좌우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면부에 대해 상기 좌우 측면부를 절곡하는 1차 벤딩 가공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면부에 대해 상기 경사부를 절곡하는 2차 벤딩 가공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저장실 도어 라이너,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를 상기 도어 플레이트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경사부 및 상기 측면부가 서로 나누어지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하단의 일부분에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센싱어셈블리의 삽입을 위해 상기 경사부에 장착홀을 형성하는 블랭킹 가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함몰부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가 서로 나누어지는 상기 도어의 상단의 일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도어의 전면에 대해 대략 20° 내지 30°의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절곡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저장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싱어셈블리;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센싱어셈블리가 동작되는 경우 구동되고,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냉장고가 장착되는 바닥면 상에 소정의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장치; 및 상기 투사장치에 의해 상기 바닥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영상의 영역에 빛을 조사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투사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가 일체형 케이스에 수용되는 모듈형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투사장치의 상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되도록 상기 도어의 하단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데코는 상기 도어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로어 데코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외형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투사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빛이 투과되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고, 상기 도어의 전면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하방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투사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투사부, 및 상기 투사부의 상방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감지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도어의 내측에 경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사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방되는 피시비 홀이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를 구속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결합되는 후크 구속부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전면에 형성되는 장착홀에 구속되고 상기 센싱어셈블리가 고정 장착되게 할 수 있는 커버 고정 후크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의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도어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전면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데코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양측으로부터 결합되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는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투사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는 그 안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투사장치는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가 장착되는 LED 피시비, 상기 LED로부터의 빛이 투과되고 투사될 문자가 형성되도록 상기 LED 피시비의 전방에 구비되는 필름, 및 상기 영상이 상기 바닥면 상에 형성되도록 초점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필름의 전방에 구비되는 다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이 삽입되는 필름 슬롯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 상에 형성되는 상기 문자는 그 상방의 폭이 그 하방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문자의 상기 상방 및 상기 하방의 상기 폭의 비율은 지면에 대해 상기 투사장치의 기울기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상에 형성되는 상기 문자는 상기 필름 상에 인화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는 사용자의 접근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센싱장치(position sensing device(PSD))일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바닥면 상에 형성되는 상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상기 적외선이 반사되어 수신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의 외부 사이를 구획하는 베리어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는 상기 감지장치가 수용되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냉장실이 상방에 배치되고, 냉동실이 하방에 배치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을 개방하기 위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냉동실 도어; 상기 냉동실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시어셈블리; 및 상기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센싱어셈블리가 동작되는 경우 구동되고,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냉장고가 장착될 수 있는 바닥면 상에 소정의 상을 투사하는 투사장치; 및 상기 투사장치에 의해 상기 바닥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상의 영역에 빛을 조사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제 1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 2 감지장치는 상기 냉동실 도어의 측면과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는 냉장실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장치 및 상기 제 2 감지장치는 동일한 연장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장치 및 상기 제 2 감지장치는 상기 냉장실 도어 및 상기 냉동실 도어의 힌지와 떨어진 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장치의 감지 거리는 상기 제 2 감지장치의 감지 거리보다 더 길 수 있다.
상기 투사장치는 감지 신호가 상기 제 2 감지장치로부터 감지되는 경우 온 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상기 제 1 감지장치 및 상기 제 2 감지장치 둘 다로부터 감지되는 경우 온 될 수 있다.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되도록 상기 냉동실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는 경사면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바닥면을 향하여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빛 및 광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와 함께 회전되는 스위치 자석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장착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냉장실 도어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 자석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는 리드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자석과 마주보든 상기 냉장실 도어의 힌지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리드 스위치가 오프인 동안에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다른 측면은 제 2 감지장치가 구비되는 냉장실 도어, 및 상기 냉장실 도어의 하방에 구비되고 투사장치 및 제 2 감지장치가 구비되는 냉장실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감지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 2 감지장치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투사장치를 온 시키고, 바닥면 상에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하기 위한 상을 투사하는 단계; 상기 제 1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바닥면 상에 투사되는 상기 상의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 1 감지장치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투사장치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구동되고, 상기 캐비닛을 밀고,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장치는 상기 냉장실 도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 자석은 상기 냉장실 도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냉장실 도어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 자석에 의해 온/오프되는 리드 스위치는 상기 냉장실 도어의 힌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투사장치 및 상기 제 1 감지장치는 상기 리드 스위치가 오프되는 동안에 오프될 수 있다.
상기 투사장치가 온 되는 동안 상기 제 1 감지장치가 설정 기간 동안에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지 않는 경우, 상기 투사장치는 오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개방 방법은, 제 2 감지장치가 사람을 검출하는 단계; 냉장고가 놓인 바닥면으로 센싱어셈블리가 광 패턴을 투사하는 단계; 상기 제 2 감지장치에서 사람이 검출된 시점 또는 상기 광 패턴이 투사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 1 감지장치가 도어 개방 신호를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감지장치가 도어 개방 신호를 검출하였다고 판단되면, 도어 개방장치가 냉장고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 패턴의 투사에 의해서 상기 바닥면에 가상 스위치가 생성되며, 상기 도어 개방 신호는, 사람의 발을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 위치시키는 것 또는 사람의 발이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서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움직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장치에서 사람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중에 상기 제 1 감지장치가 도어 개방 신호를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냉장고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감지장치에서 사람이 검출된 시점 또는 상기 광 패턴이 투사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제 1 감지장치가 도어 개방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통한 광 패턴의 투사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감지장치가 사람을 검출하였고 따라서 상기 광 패턴이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통해 투사중인 동안에 상기 제 2 감지 장치가 기준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사람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통해 광 패턴의 투사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더 다른 측면은 제 2 감지장치가 사람을 검출하는 단계; 냉장고가 놓인 바닥면으로 하나 이상의 센싱어셈블리가 하나 이상의 광 패턴을 투사하는 단계; 제 1 감지장치가 다수의 도어 중 하나 이상의 도어의 개방을 위한 개방 신호를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감지장치가 도어 개방 신호를 검출하였다고 판단되면, 도어 개방장치가 다수의 도어 중 하나 이상의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광 패턴을 투사하는 단계는 하나의 센싱어셈블리가 다수의 광 패턴을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수의 광 패턴은 각각 바닥면 상에 다수의 가상 스위치를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가상 스위치 중 하나 이상의 가려지는 가상 스위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광 패턴을 투사하는 단계는, 다수의 센싱어셈블리 각각이 다수의 광 패턴을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수의 광 패턴은 각각 바닥면 상에 다수의 가상 스위치를 형성하며, 다수의 가상 스위치 중 하나 이상의 가려지는 가상 스위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광 패턴을 투사하는 단계는, 센싱어셈블리가 하나의 광 패턴을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광 패턴은 바닥면 상에 가상 스위치를 형성하며, 상기 가상 스위치의 가려짐 패턴에 따라 다수의 도어 중 개방될 도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장치가 사람을 검출하는 단계는, 다수의 도어 중 둘 이상의 도어에 각각 설치된 제 2 감지장치들 중 하나 이상이 사람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전히 더 다른 측면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며, 상기 냉장실을 개폐할 수 있고, 일부 또는 전부는 제 1 도어와 제 2 도어를 포함하는 다수의 냉장실 도어;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냉장실 도어의 하방에서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다수의 냉동실 도어; 상기 다수의 냉장실 도어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며,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감지장치; 상기 다수의 도어 들 중 하나 이상의 도어 또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도어 개방장치; 상기 다수의 냉동실 도어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광 패턴을 투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싱어셈블리; 상기 광 패턴에 의해서 바닥면에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가상 스위치의 가려짐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감지장치; 및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감지장치에 의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스위치의 가려짐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다수의 도어 들 중 하나 이상의 도어를 개방시키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전히 더 다른 측면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며,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 도어의 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 상기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며,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감지장치; 상기 도어 들 중 하나 이상의 도어 또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도어 개방장치; 상기 도어 들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광 패턴을 투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싱어셈블리; 상기 하나 이상의 광 패턴에 의해서 바닥면에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가상 스위치의 가려짐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감지장치; 및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감지장치에 의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스위치의 가려짐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도어 들 중 하나 이상의 도어를 개방시키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전히 더 다른 측면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며,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 도어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 상기 냉동실 도어에 구비되며,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감지장치; 상기 도어 들 중 하나 이상의 도어 또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도어 개방장치; 상기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광 패턴을 투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싱어셈블리; 상기 광 패턴에 의해서 바닥면에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가상 스위치의 가려짐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감지장치; 및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감지장치에 의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스위치의 가려짐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도어 들 중 하나 이상의 도어를 개방시키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바닥면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냉장실 도어 및 상기 냉동실 도어 중 하나 이상의 도어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감지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높이의 1/2 이상의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을 정의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 상기 도어는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개방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냉장고의 함몰부에 구비되는 센서어셈블리, -상기 함몰부는 상기 냉장고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됨 -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어셈블리는 일정 거리 내의 사용자의 존재에 대한 제 2 센서에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센서, 및 상기 냉장고의 전방의 지면에 상을 투사하도록 구성되는 투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고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일정 거리 내의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에 대한 상기 제 1 센서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본 측면에 따른 실시 예는 다음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사된 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센서의 감지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제 2 센서보다 수직으로 더 낮은 위치에서 상기 냉장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도어 내에 위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캐비닛 상에 미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상단 저장실 및 하단 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는 상기 상단 저장실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상단 저장실 도어 및 상기 하단 저장실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하단 저장실 도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상단 저장실 도어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센서는 상기 상단 저장실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냉장고의 전면으로부터 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어셈블리는 상기 경사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냉장고의 전면에 대해 대략 20° 내지 3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지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하단 저장실 도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하단 저장실 도어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사부는 상기 경사면 상에서 상기 제 1 센서보다 수직으로 더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일부분이 상기 투사된 상 및 상기 제 1 센서 사이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의 일부분이 상기 위치센싱장치의 감지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위치센싱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 1 센서는 제 1 위치센싱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위치센싱장치의 감지 범위는 15 cm 미만이다. 상기 제 2 센서는 제 2 위치센싱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위치센싱장치의 감지 범위는 대략 15와 100 cm 사이이다. 일부 경우에서, 상기 도어는 사용자에 의한 회동시에 설정된 수동 범위로 회동 가능하게 개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한 회동시에 상기 설정된 수동 범위 미만인 설정된 자동 범위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자동 범위는 대략 25°이다. 상기 설정된 수동 범위는 대략 180°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투사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한 도어의 개방 이전 또는 설정시간의 경과에 기초하여, 상기 지표면 상에 상기 상을 투사하는 것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사된 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냉장고의 전면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의 상세들은 아래의 첨부 도면들 및 설명에 진술된다. 다른 특징들은 명세서 및 도면들, 그리고 청구범위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 제안된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에서, 다음의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상기 센싱어셈블리의 감지를 통해 구동되므로, 상기 도어는 상기 사용자가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개방되어, 상기 사용자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냉장고가 위치되는 바닥면 상에 상을 투사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하고, 상기 조작이 상기 감지 장치를 통해 상기 투사되는 상의 영역에서 수행되는지를 감지하고, 따라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구동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용이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도어 개방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하방에 구비되는 상기 냉동실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투사되는 상은 상기 냉장고에 가까이 위치됨으로써, 상기 투사되는 상의 품질 및 감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를 지나가는 동물, 아이 또는 다른 것들로 인한 오인이 방지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도어가 우연히 개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들이 상기 경사면의 상기 하방을 향하여 투사되고, 상기 조작 이 자유로운 사용자의 발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도어를 개방하는 조작이 사용자가 냉장고에 근접하여 있는 동안에 간단히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접근이 상기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는 상기 제 2 감지장치에 의해 주로 감지되고, 그 다음 상기 투사장치가 턴 온 되므로, 상기 투사장치의 불필요한 조작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상기 제 2 감지장치의 감지 후에 상기 제 1 감지장치의 감지에 의해 개방되므로, 상기 도어 개방 조작이 신뢰할 수 있게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오인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있지만, 상기 리드 스위치가 스위치 오프되고, 상기 투사장치 및 상기 제 1 감지장치가 활성화되지 않고, 따라서, 상기 불필요한 도어 개방 조작이 상기 도어가 이미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수행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비구면 렌즈가 제거되고, 초점을 조절하는 렌즈의 수가 감소되지만, 상기 투사장치는 상기 필름의 배치 및 상기 투사 거리의 조절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상의 품질을 투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사장치의 전체 길이는 단축될 수 있고, 상기 투사장치는 단열재로 인해 제한된 폭을 갖는 상기 냉동실 도어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경사면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의 내부에서 지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제한된 폭을 갖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효과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사장치의 상기 필름에 형성되는 상기 문자는 프린딩에 의해 형성되고, 고 해상도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바닥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영상 상의 문자는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필름 상에 형성되는 상기 문자가 프린트되는 경우, 폭의 비율은 상기 바닥면 상에 경사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이미지의 형상을 고려하여 조정되고, 따라서 상기 이미지는 경사된 방향으로 투사되는 경우에도 명확하고 선명하게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는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어셈블리에서, 상기 센싱어셈블리 및 상기 투사장치 는 하나의 모듈로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조립 작업이 단순화 될 수 있어서, 이것에 의해 조립성을 개선한다.
또한, 최소 용적을 갖는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제한된 공간을 갖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공간 배치가는 효과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단열재 성능이 열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전체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도어 개방장치의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의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도어가 열렸을 때의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서브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서브 도어의 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서브 도어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동실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냉동실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a 내지 15e는 상기 냉동실 도어의 아웃 플레이트의 성형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상기 냉동실 도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로어 데코 및 커버링 부재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로어 데코 및 커버링 부재의 결합 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3의 19-19' 단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냉동실 도어의 로어 데코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로어 데코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로어 데코의 센싱어셈블리 장착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의한 센싱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일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상기 센싱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도 28a 내지 28c는 상기 센싱어셈블리의 장착 과정을 차례로 보인 도면이다.
도 29는 상기 센싱어셈블리의 투사장치를 통해 상의 조사 상태를 나태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29의 A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1은 상기 센싱어셈블리에 의한 상 조사 영역과 감지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33a 및 33b는 상기 메인 도어의 개방 조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5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초기운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6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대기운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7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열림운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8은 상기 열림 운전시의 FG Pulse Count에 따른 Duty 변화를 보인 도면이다.
도 39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열림 후 정지운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0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복귀운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1은 상기 복귀운전시의 FG Pulse Count에 따른 Duty 변화를 보인 도면이다.
도 42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긴급 복귀운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3은 상기 긴급 복귀운전시의 FG Pulse Count에 따른 Duty 변화를 보인 도면이다.
도 44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44의 냉장고의 측면도이다.
도 46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블럭도이다.
도 47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8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9는 음식물을 양손에 든 사람이 냉장고에 접근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0은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 발이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1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2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3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4는 제 5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5는 제 6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6은 제 7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7은 제 8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8은 제 9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9는 제 10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개념을 당업자에게 완전히 전달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전체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1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에는 냉장실(12)을 밝히기 위한 메인 라이팅 유닛(8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은 냉동실(13)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냉장고(1) 내의 내측 벽면 어느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상기 냉동실(13)로 인출입 가능한 서랍 형상의 냉동실 수납부재(131)가 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 냉동실 수납부재(131)는 냉동실 도어(30)의 개방에 연동하여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냉동실 도어(30) 전면에는 사용자의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제 1 감지장치(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장치(9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각각 냉장실(12)과 냉동실(13)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스켓은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냉장고 내에 구비되는 수납부재들(121,131)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동실이 하방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하나의 공간을 나란히 배치된 한쌍의 도어가 회동되면서 개폐하는 프렌치 타입의 도어가 적용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금속 소재로 외관이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1)가 전체적으로 금속 질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우측(도 1에서 볼 때)의 도어는 이중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40)와, 상기 메인 도어(4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좌측(도 1에서 볼 때)의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 힌지(401) 및 미들 힌지(40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2)의 일부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개구부(403)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비롯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404)이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403)를 통해서 상기 메인 도어(40)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도어 바스켓(404)에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403)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둘레 일부를 제외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403)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는 적어도 일부가 유리와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투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씨스루 도어라 불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은 빛의 투과율과 반사율이 조절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의 선택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 상부에는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와 상기 서브 도어(50)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아무런 조작을 하지 않게 되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 및 메인 라이팅 유닛(85)은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냉장고(1) 외측의 빛이 상기 서브 도어(40)의 전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서브 도어(50)는 불투명한 블랙 색상 또는 거울면과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수납 공간 및 상기 냉장실(12)의 내부 공간을 가시화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냉장고의 외관이 미려한 거울과 같은 질감을 가지도록 하여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외관은 상기 메인 도어(40) 및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들의 금속 질감과 조화되어 한층 더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줄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메인 도어(40)와 상기 서브 도어(50)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조작을 통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 또는 메인 라이팅 유닛(85)이 온(ON) 된다.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 또는 메인 라이팅 유닛(85)이 온 된 상태에서는 냉장고(1)의 내측이 더 밝아지게 되며 냉장고(1) 내측의 빛이 상기 서브 도어(50)를 투과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한 상태가 되면 상기 메인 도어(40)의 수납 공간 및 냉장실(12)의 내부 공간이 가시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메인 도어(40) 및 서브 도어(50)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메인 도어(40)의 수납 공간 및 냉장실(12)의 내부 공간의 식품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한 상태가 될 경우 상기 서브 도어(50) 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60) 또한 가시화 상태가 되어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도어(4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도어 라이너(42) 그리고, 도어 캡데코(45,46)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41)는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과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42)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42)는 상기 개구부(403)와 연통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둘레에는 상기 도어 바스켓(404)이 장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도어 다이크 및 요철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42)의 배면 둘레에는 리어 가스켓(4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 가스켓(44)은 상기 캐비닛(10)의 둘레와 밀착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와 캐비닛(10) 사이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어퍼 캡데코(45)와 로어 캡데코(46)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어퍼 캡데코(45)와 로어 캡데코(46)에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 장착부(45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4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기 메인 힌지(401)와 미들 힌지(40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면 즉, 상기 로어 캡데코(46)에는 도어 핸들(462)이 함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도어 핸들(462)에 손을 넣어 상기 메인 도어(40)를 회동 조작하여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상기 도어 라이너(42)의 사이에는 도어 프레임(43)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403)의 둘레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도어 라이너(42), 도어 프레임(43) 및 상기 캡데코(45,46)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도어(40)의 내부 공간에는 발포액이 충전되어 단열재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개구부(403)의 둘레 영역에는 단열재가 배치되어 냉장고(1) 내의 공간과 냉장고(1) 외의 공간을 단열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43)의 양측에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장착을 위한 서브 힌지(51,52)가 장착되는 힌지 홀(4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홀(433)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측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서브 힌지(51,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서브 힌지(51,52)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장착되는 어퍼 힌지(51)와 로어 힌지(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어퍼 힌지(51)와 로어 힌지(52)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서브 힌지(51,52)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힌지(51)와 로어 힌지(52)는 상기 힌지 홀(433)을 향하여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내측에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 사이의 틈새에 상기 서브 힌지(51,52)의 간섭 구조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외관이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은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동시 메인 도어(40)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힌지(51)의 상방에는 상기 어퍼 힌지(51)를 차폐하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선이 상기 메인 도어(40)를 향하도록 전선 출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힌지 커버(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구부(403)에는 디스플레이 유닛(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은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표시 및 조작을 위한 것으로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한 상태가 되었을 때 외부에서 사용자가 상기 서브 도어(50)를 통해서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은 상기 서브 도어(50)가 불투명한 상태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투명한 상태에서는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에는 상기 냉장고(1)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61)와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설정을 위한 각종 조작 버튼(62)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버튼(62)의 조작에 의해 상기 냉장고(1)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은 상기 개구부(403)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점검 또는 수리가 필요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60)은 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조립 후 별도 모듈로 조립된 디스플레이 유닛(60)을 간단하게 장착하여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의 사양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 유닛(60)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탈착을 위해서 상기 개구부(403)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 측면의 디스플레이 가이드(634)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착돌기(43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403)의 하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연결부(4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의 상단에는 상기 어퍼 캡데코(45)가 구비되며, 상기 어퍼 캡데코(45)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개방장치 수용부(452)(도 5에서)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장치 수용부(452)는 캡데코 커버(453)에 의해 차폐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도어 개방장치의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도어(40)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45)에는 상기 개방장치 수용부(4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장치 수용부(452)의 내측에는 도어 개방장치(7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장치 수용부(452)의 개구된 상면은 캡데코 커버(453)에 의해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장치 수용부(452)의 내측면에는 상기 캐비닛(10)을 향하여 개구되는 로드 홀(45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7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자동 개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개방장치 수용부(452)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캡데코 커버(45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70)는, 외형을 형성하는 어퍼 케이스(71)와 로어 케이스(72)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 케이스(71)와 로어 케이스(72)에는 구동모터(73)와 다수의 기어들이 장착되며, 다수의 기어들에 의해 이동되는 푸쉬로드(77)가 상기 캐비닛(10)을 밀어 상기 메인 도어(4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70)가 상기 메인 도어(4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 개방장치(70)는 서브 도어(50)와 냉동실 도어(3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와 냉동실 도어(30)를 자동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어퍼 케이스(71)와 로어 케이스(72)는 각각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의 상부와 하부의 외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케이스(71)와 로어 케이스(72)는 결합에 의해 내부에 다수의 기어들과 푸쉬로드(77)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케이스(72)의 외측에는 다수의 마운팅 링(722)이 장착되는 링 장착부(721)가 형성된다. 상기 마운팅 링(722)은 상기 로어 케이스(72)가 상기 개방장치 수용부(452)의 내측에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마운팅 링(722)은 상기 개방장치 수용부(452) 내측의 링 보스(454)에 의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케이스(71)를 관통하는 스크류가 상기 링 보스(454)에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어퍼 케이스(71)와 로어 케이스(72)가 서로 결합은 물론 상기 로어 케이스(72)가 상기 개방장치 수용부(452)의 내측에 고정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73)는 상기 로어 케이스(72)의 하면에 장착된다. 상기 구동모터(73)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BLDC타입의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타입의 액 추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3)는 BLDC타입의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FG(frequency generating)신호를 카운팅하여 상기 구동모터(73)의 속도를 가변 제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의 동작시 속도 조절을 통해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폐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긴급 상황시, 상기 푸쉬로드(77)의 긴급 복귀 등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3개의 홀센서가 구비되어 1회전시 3 FG가 카운팅될 수 있도록 구성된 BLDC모터가 사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73)는 상기 로어 케이스(72)의 하면에서 장착되며, 상기 구동모터(73)의 회전축(731)은 상기 로어 케이스(72)의 내측으로 관통되며, 상기 구동모터(73)의 회전축(731)에는 모터 피니언(732)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 피니언(732)은 상기 로어 케이스(72)의 내측 공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감속기어(75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케이스(72)의 하면에는 개방장치 피시비(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방장치 피시비(74)는 상기 로어 케이스(72)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푸쉬로드(77)의 하방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개방장치 피시비(74)는 상기 구동모터(73)의 제어를 위한 것으로, 상기 개방장치 피시비(74)에는 제 1 홀센서(741)와 제 2 홀센서(7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센서(741)는 상기 푸쉬로드(77)가 완전히 인입되었을 때 상기 푸쉬로드(77)에 구비되는 자석(774)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홀센서(742)는 상기 푸쉬로드(77)가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 상기 푸쉬로드(77)에 구비되는 자석(774)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73)는 상기 제 1 홀센서(741)와 제 2 홀센서(742)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개방장치 피시비(7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케이스(72)의 내부에는 다수의 기어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샤프트(723)에 의해 상기 로어 케이스(72)와 어퍼 케이스(71)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기어는 감속기어(75) 및 더미기어(76)를 포함한다. 상기 감속기어(75)는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푸쉬로드(77)의 구동을 위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더미기어(76)는 상기 푸쉬로드(77)의 인출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더미기어(76)의 조합에 의해 상기 푸쉬로드(77)와의 접점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모터 피니언(732)은 제 1 감속기어(751)와 결합된다. 상기 제 1 감속기어(751)는 가장 회전속도가 높은 모터 피니언(732)과 결합되는 기어로 소음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다. 따라서, 상기 모터 피니언(732)과 제 1 감속기어(751)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탄성회복률 그리고 높은 내열성을 가지는 엘라스토머(Elastomer)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 피니언(732)과 제 1 감속기어(751)에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를 만족하면서도 상기 모터 피니언(732)과 제 1 감속기어(751) 사이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그외 나머지 기어들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POM)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속기어(751)는 제 2 감속기어(752)와 연결되며, 제 2 감속기어(752)는 제 3 감속기어(753)와, 제 3 감속기어(753)는 제 4 감속기어(754)와 차례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어(75)들은 일반적인 감속기어와 같이 입력측과 출력측이 상하 2단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웃하는 기어와 입력측과 출력측이 접하여 감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다수개의 감속기어(75)들의 조합을 통해서 회전수가 조절될 수 있으며, 회전수의 조절을 통해 상기 푸쉬로드(77)로 전달되는 힘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감속기어(75)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4 감속기어(754)에는 제 1 더미기어(761)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더미기어(761)와 상기 푸쉬로드(77)는 제 2 더미기어(76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더미기어(76)는 일반적인 평기어 형상으로 상기 제 4 감속기어(754)의 힘을 상기 푸쉬로드(77)로 단순 전달하되, 상기 푸쉬로드(77)와의 접점 거리를 조정하여 상기 푸쉬로드(77)의 최대 인출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더미기어(76)는 크기가 다른 복수의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캡데코(45) 내부에 제공되는 상기 로어 케이스(72)의 구조의 특성상 상기 로어 케이스(72)의 폭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상기 로어 케이스(72) 내부에 배치되는 감속기어(75)들의 크기 또한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더불어 상기 푸쉬로드(77)의 길이 또한 상기 로어 케이스(72)의 내부에서 인출입되어야 하는 구조의 특성상 그 길이가 제한적이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감속기어(75)들은 감속을 위해 입력측과 출력측의 2단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그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제한되며 상기 제 4 감속기어(754)가 상기 푸쉬로드(77)와 직접 연결될 경우 상기 제 4 감속기어(754)의 직경으로 인하여 상기 제 4 감속기어(754)와 푸쉬로드(77)와의 접점은 상기 메인 도어(40)와 먼 지점에 위치되고, 상기 푸쉬로드(77)의 충분한 인출거리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상기 푸쉬로드(77)로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접점의 위치는 최대한 상기 푸쉬로드(77)의 인출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하며,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과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4 감속기어(754)와 상기 푸쉬로드(77)의 사이에는 더미기어(76)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한된 공간에서 상기 더미기어(76)가 커지게 될 경우 상기 푸쉬로드(77)와의 접점의 위치가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과 멀어지게 되므로 크기가 작은 복수의 더미기어(76)를 사용하여 상기 제 4 감속기어(754)의 동력을 상기 푸쉬로드(77)로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더미기어(761)와 제 2 더미기어(762)를 이용하여 상기 제 4 감속기어(754)의 동력을 상기 푸쉬로드(77)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쉬로드(77)와 접하는 제 2 더미기어(762)의 크기는 제 1 더미기어(761)의 크기보다 더 작게 형성하여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과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푸쉬로드(77)와 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더미기어(762)가 위치되는 상기 로어 케이스(72)의 일부가 외측으로 함몰되도록 하여 상기 제 2 더미기어(762)의 위치를 최대한 상기 캐비닛(10) 측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푸쉬로드(77)는 상기 캐비닛(10)을 밀어서 상기 메인 도어(40)를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드(77)는 상기 로어 케이스(72)의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더미기어(762)와 결합될 수 있도록 외측면에 랙(77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더미기어(7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랙(771)은 상기 로드 홀(4511)을 통과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푸쉬로드(77)는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의 인출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드(77)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쉬로드(77)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회동되는 상황에서도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의 일정 지점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메인 도어(40)의 회동시에도 상기 푸쉬로드(77)가 슬립되지 않고 상기 캐비닛(10)의 일지점을 밀어 상기 메인 도어(40)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푸쉬로드(77)의 전단에는 로드 캡(7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캡(78)은 고무 또는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과 접촉되어 상기 푸쉬로드(77)와 캐비닛(10)의 접촉시 소음을 방지하고 접지력을 향상시켜 상기 푸쉬로드(77)가 밀어주는 힘을 상기 캐비닛(10)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푸쉬로드(77)의 외측면의 크기는 상기 로드 홀(4511)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쉬로드(77)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로드 캡(78)이 상기 로드 홀(4511)을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쉬로드(77)의 상면과 하면에는 가이드 홈(7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772)은 상기 푸쉬로드(77)의 연장된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푸쉬로드(77)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케이스(72)와 어퍼 케이스(71)에는 상기 가이드 홈(772)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714,72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714,724) 또한 상기 푸쉬로드(77)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상기 푸쉬로드(77)의 인출입시 상기 푸쉬로드(77)는 상기 가이드 돌기(714,724)를 따라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푸쉬로드(77)의 인출입시 상기 가이드 돌기(714,724)가 상기 가이드 홈(77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푸쉬로드(77)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드(77)는 유동이 방지되어 인출입 동작 중에도 상기 제 2 더미기어(762)와 안정적인 기어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푸쉬로드(77)의 후단에는 상기 자석(774)이 수용되는 자석 장착부(773)가 형성된다. 상기 자석 장착부(773)의 위치는 상기 푸쉬로드(77)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홀센서(741)의 수직 상방이 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드(77)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자석 장착부(773)는 상기 제 2 홀센서(742)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쉬로드(77)의 인출입시 상기 개방장치 피시비(74)의 제 1 홀센서(741)와 제 2 홀센서(742)를 통해서 상기 푸쉬로드(77)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개방장치 수용부(452)에는 스위치 자석(455)이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 자석(455)은 상기 힌지 장착부(451)와 접하는 상기 개방장치 수용부(452)의 내측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장착부(451)에 장착되는 메인 힌지(401)에는 리드 스위치(40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위치(4011)가 장착되는 메인 힌지(401)는 상기 메인 도어(40)를 실질적으로 고정하는 금속 소재의 힌지는 물론 상기 메인 힌지(401)를 차폐하는 힌지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리드 스위치(4011)는 상기 메인 힌지(401)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회동에도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자석(455)은 상기 메인 도어(40)의 회동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리드 스위치(4011)가 상기 스위치 자석(455)에 의해 온 되고, 상기 메인 도어(40)가 개방되는 순간 상기 스위치 자석(455)이 멀어지게 되어 상기 리드 스위치는 오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리드 스위치(4011)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리드 스위치(4011)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오프되므로, 상기 메인 도어(40)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의 개방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구동모터(73)가 동작되지 않도록 한다.
도 8은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의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 자석(455)은 상기 리드 스위치(4011)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리드 스위치(4011)는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드(77)는 완전히 인입된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자석(774)은 상기 제 1 홀센서(741)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홀센서(741)가 온 상태가 된다. 즉,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리드 스위치(4011)와 제 1 홀센서(741)가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73)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드(77)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로드 캡(78)이 상기 로드 홀(4511)을 차폐하는 상태가 되며, 상기 푸쉬로드(77)의 단부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과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실시하게 되면,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구동모터(73)는 정회전하면서 구동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73)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힘은 상기 감속기어(75)와 더미기어(76)들에 의해 상기 푸쉬로드(77)로 전달되고, 상기 푸쉬로드(77)는 상기 캐비닛(10)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푸쉬로드(77)의 이동에 의해 상기 푸쉬로드(77)의 단부는 상기 캐비닛(10)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드(77)는 상기 캐비닛(10)과 접하는 상태로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푸쉬로드(77)가 상기 캐비닛(10)을 밀어 상기 메인 도어(40)가 점차 개방된다.
도 9는 상기 도어가 열렸을 때의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푸쉬로드(77)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자석(774)이 제 2 홀센서(742)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 2 홀센서(742)가 온 되면 상기 개방장치 피시비(74)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설정 각도만큼 회동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모터(73)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소정의 각도, 또는 결정된 자동 범위로 개방되며, 사용자의 팔꿈치를 넣어서 상기 메인 도어(40)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어 손으로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팔꿈치 또는 신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도어(40)를 설정된 수동 범위로 추가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메인 도어(40)의 후면과 이웃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 전면 사이의 간격(D)이 대략 70mm ~ 90mm가 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도어의 회전 각도는 24°내지 26°, 예를 들어 25°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로부터 더 멀리 서있으면 상기 메인 도어(40)의 상기 자동 회전 각도는 26°이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수동 개방 조작 동안에, 상기 도어는 전체 수동 범위, 예를 들어 180°이상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개방된 상기 메인 도어(40)는 식품의 수납 완료 후에 닫힐 수 있다. 인출된 상태의 상기 푸쉬로드(77)는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구동모터(73)가 역회전하여 자동으로 복귀하게 되어 다시 도 8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시 장애물이 감지되거나, 상기 메인 도어(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구동모터(73)는 역회전하여 상기 푸쉬로드(77)가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도어(40)가 개방된 후 사용자가 상기 메인 도어(40)를 추가 개방하여 상기 리드 스위치(4011)가 오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설정시간의 경과 이전에 다시 상기 메인 도어(40)를 닫을 수 있으므로 상기 푸쉬로드(77)를 빠르게 복귀시켜 상기 푸쉬로드(77)가 상기 캐비닛(10)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서브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서브 도어의 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서브 도어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개구부(403)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힌지(51,52)에 의해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403)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복수의 유리가 일정 간격으로 적층 구성되는 패널 어셈블리(54)가 구비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통해 냉장고(1)의 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복수 유리가 서로 이격 배치되어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유리층 중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을 형성하는 유리는 하프 글래스 소재로 형성되어 냉장고(1) 내의 선택적인 투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둘레에는 단열재가 형성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 외측의 영역을 단열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양측방에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55, 56)이 구비된다. 어느 하나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56)에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손잡이(561)가 함몰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사이드 프레임(55)에는 상기 서브 힌지(51,52)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상하방에는 서브 캡데코(57,58)가 구비된다. 상기 서브 캡데코(57,58)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55,56)과 결합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둘레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도어(50) 상단과 하단의 상기 서브 캡데코(57,58)에는 각각 서브 힌지(51,52)가 장착된다.
상기 서브 도어 하면을 형성하는 서브 캡데코(58)에는 제 2 감지장치(81)와 노크 감지장치(82)가 장착되는 감지장치 수용부(582)가 형성되며,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는 수용부 커버(58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캡데코(58)에 장착되는 제 2 감지장치(81)는 사용자의 근접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서브 도어(50)의 노크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와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541)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 둘레를 따라서 베젤(54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541)의 하단에 형성된 베젤(5411)에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와 노크 감지장치(82)가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1)의 외측에서 볼 때, 상기 제 2 감지장치(81)와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가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배치되는 부분은 상기 베젤(5411)의 일부가 제거되어 적외선의 송수신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상기 제 1 감지장치(92)와 동일 연장선상에서 상하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설치되는 높이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으로 일반적인 성인의 경우 감지가 가능하지만 키가 작은 유아 또는 동물 기타 상기 제 2 감지장치(81)의 높이보다 낮은 다른 물건의 경우 감지를 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피에스디(Position Sensing Device)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발광부(811)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빛의 각도를 수광부에서 측정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에스디에 의해 검출 가능한 근접 거리는 설정 가능하며,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감지 가능 거리를 1m 이내, 예를 들어 15 cm와 100 cm 사이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 전면의 1m 거리 이내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가 조작을 위해 상기 냉장고(1)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의 장착 위치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와 마찬가지로 상방에 위치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에 해당하며, 이 위치는 지면으로부터 대략 1m 정도 상방의 높이에 해당하므로 키가 작은 유아 또는 높이가 낮은 다른 물건들이 감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의 후방에는 가압부재(8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813)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에 고정 장착됨은 물론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상기 전면 패널(541)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사용자가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패널(541)을 노크 조작하였는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에 의해 감지되는 노크 조작에 의해 상기 냉장고(1)의 특정 동작을 지시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사용자의 노크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점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게 되지만, 사용자의 노크 조작의 유효 입력 부분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진동 자체가 아닌 진동에 의한 음파를 감지하는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노크 조작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 매질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어느 위치를 노크 조작하더라도 연속되는 동일 매질을 통해 음파가 전달되어 유효하게 감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위치는 전선의 배치와 상기 서브 도어(50)의 가시화 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일단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가하는 영역은 전면 패널(541)의 전면이 정의하는 영역 모두일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상기 전면 패널(541)의 대부분은 실질적으로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되는 시스루 영역으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배치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전면 패널(541) 중 상기 베젤(5411) 영역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면 패널(541)의 좌우양측 보다는 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상기 전면 패널(541) 좌우 양측과 상단의 베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베젤(5411)의 형상에 의해 상기 시스루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노크 감지장치(82)가 사용자의 시선이 상대적으로 많이 가지 않는 전면 패널(541)의 하단부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시스루 영역이 보다 넓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베젤(5411)의 영역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지만, 상기 전면 패널(541)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어느 위치를 노크 하더라도 사용자의 노크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노크 조작 외에도 전면 패널(541)의 전면에 진동을 가하는 환경 요소는 매우 많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 및 서브 도어(50)의 열고 닫음에 따른 충격, 외부의 강한 소음 등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 전면이 진동할 수 있고, 이러한 외부 환경에 의한 입력을 노크 신호로 판단될 여지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는 사용자가 서브 도어(50) 전면을 복수 회 두드리는 것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서브 도어(50)의 전면을 복수 회(예를 들어 2회) 두드리는 것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커버(583)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부 커버(583)를 상기 서브 캡데코(58)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가 체결되는 케이스 고정부(58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 커버(583)의 다른 일측에는 주입구 커버부(5831)가 더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 커버부(5831)는 상기 서브 캡데코(58) 상에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501) 성형을 위해 충전되는 발포액이 주입되는 제 1 주입구(5824)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 커버(583)를 상기 서브 캡데코(58)에 장착하게 되면,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를 차폐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상기 제 1 주입구(5824)까지 차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로어 힌지(52)와 인접하는 상기 서브 캡데코(58)의 일측에는 발포액이 주입되는 제 2 주입구(584)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 2 주입구(584)는 별도의 주입구 커버(5841)에 의해 차폐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가 체결되는 제 1 보스(5821)와,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고정을 위한 제 2 보스(5822)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일면에는 전선 홀(5823)이 형성된다.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 및 상기 제 2 감지장치(81), 노크 감지장치(82)와 연결된 전선(L)은 상기 전선 홀(5823)을 통해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둘레를 경유하여 상기 힌지 커버(53)를 통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동실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냉동실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되며, 상기 냉동실(13)을 회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30) 중 우측(도 1에서 볼 때)의 냉동실 도어(30)에는 센싱어셈블리(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센싱어셈블리(90)외 다른 구조는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우측의 냉동실 도어(30)에 관하여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도어 플레이트(31)와, 상기 냉동실 도어 라이너(32) 그리고 어퍼 데코(33)와 로어 데코(34)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채워진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31)는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전면 및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고,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싱어셈블리(90)가 장착되는 경사면(35)은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전면의 하단에 있을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싱어셈블리(90)는 상기 전면의 후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가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하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상기 함몰부는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다른 부분 또는 상기 냉장고의 임의의 다른 도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냉장고의 캐비닛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 라이너(32)는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배면을 형성한다. 상기 냉동실 도어 라이너(32)는 수지재로 사출 형성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배면에 수납을 위한 부재가 장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 라이너(32)와 상기 도어 플레이트(31)와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어퍼 데코(33)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1) 및 상기 냉동실 도어 라이너(32)와 결합되어 상기 냉동실 도어의 상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어퍼 데코(33)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냉동실 도어 손잡이(3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데코(33)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1)와 동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데코(34)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1) 및 상기 냉동실 도어 라이너(32)와 결합되어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하면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전면과 양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1)는 판상의 소재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냉동실 도어(30) 전면의 하단에 경사면(35)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경사면(35)의 형성을 위해서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1)는 판상의 소재가 다수회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31)는 상기 경사면(35)을 형성하면서도 외관에 주름이 발생되거나 난반사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15e는 상기 냉동실 도어의 아웃 플레이트의 성형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a 내지 15e를 참조하여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어 플레이트(31)의 성형을 해서는 원소재가되는 스테인레스 강판을 블랭킹 가공하게 된다. 상기 강판의 블랭킹 가공에 의해 상기 도어 플레이트(31)는 도 15a와 같은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 플레이트(31)는 블랭킹 가공에 의해 상기 냉동실 도어(30)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311), 그리고 상기 전면부(311) 하단에서 상기 경사면(35)을 형성하는 경사부(312),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313)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31)의 상단 중 상기 전면부(311)와 상기 측면부(313)가 나누어지는 부분에는 함몰부(314)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부(311)와 측면부(313)를 절곡하게 되면, 상기 함몰부(314)에 의해 상기 어퍼 데코(33)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31)의 하단 중 상기 경사부(312)와 상기 측면부(313)가 나누어지는 부분에는 절개부(315)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315)에 의해 상기 전면부(311)와 측면부(313) 그리고 경사부(312)를 절곡하게 될 때 경사부(312)와 측면부(313)가 형성하는 모서리 부분에 도어 슬릿(3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블랭킹 가공에 의해 상기 경사부(312)에 상기 센싱어셈블리(90)가 삽입되는 장착홀(351)이 형성될 수 있다.
블랭킹 가동된 상기 도어 플레이트(31)는 도 15B와 같이 포밍 가공에 의해 도어 플레이트(3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포밍부(316)가 절곡 형성된다. 상기 포밍부(316)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1) 중 상기 어퍼 데코(33) 및 로어 데코(34)와 결합되는 부분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 라이너(32)와 결합되는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315)를 형성하는 상기 경사부(312)와 측면부(313)의 일부는 포밍 가공되지 않는다.
포밍 가공된 상기 도어 플레이트(31)는 도 15C와 같이 상기 전면부(311)와 측면부(313)의 경계부분이 1차 벤딩 가공된다. 1차 벤딩 가공되는 부분은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전면과 측면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벤딩 가공될 수 있다. 상기 벤딩 가공시 상기 경사면(35)의 양측단, 즉 상기 절개부(315)와 접하는 부분까지 동일 곡률로 벤딩될 수 있다.
1차 벤딩 가공된 상기 도어 플레이트(31)는 도 15D와 같이 2차 벤딩 가공될 수 있다. 2차 벤딩 가동되는 부분은 상기 전면부(311)와 경사부(312)의 경계선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벤딩 가공될 수 있다. 2차 벤딩 가공에 의해서 상기 경사면(3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35)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경사면(35)은 상기 냉동실 도어(30) 전면과 대략 20°~ 30°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5)의 각도는 사용자의 조작 감지를 용이하게 하고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2차 벤딩 가공에 의해서 상기 경사면(35)의 측단과 상기 측면부(313)의 단부는 서로 인접하게 된다.
2차 벤딩 가공된 상기 도어 플레이트(31)는 도 15E와 같이 3차 벤딩 가공될 수 있다. 3차 벤딩 가공되는 부분은 절개부(315)를 형성하는 상기 측면부(313)의 일단에 해당하며,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벤딩된다. 3차 벤딩 가공에 의해 상기 도어 슬릿(36)이 정확한 간격으로 성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도어 플레이트(31)는 전체적인 형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도어 슬릿(36) 성형 구조에 의해 상기 경사면(35)을 성형하면서도 주름이 발생되지 않고 난반사가 발생되는 굴곡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성형 완료된 상기 도어 플레이트(31)는 상기 어퍼 데코(33) 및 로어 데코(34)와 결합되며, 상기 냉동실 도어 라이너(32)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내부에는 발포액이 충진되어 단열재를 성형하게 된다.
도 16은 상기 냉동실 도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동실 도어(30) 중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하단을 지지하는 바텀 힌지(37)와 가까운 측면에는 상기 도어 슬릿(36)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 슬릿(36)을 차폐하기 위해서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내측에는 커버링 부재(38)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 슬릿(36)은 상기 냉장고(1)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측면 즉, 상기 도어 플레이트(31)의 측면부(313)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슬릿(36)은 상기 경사면(35)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상기 경사면(35)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경사면(35)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슬릿(36)에 의해 상기 경사면(35)을 성형하게 되더라도 상기 도어 플레이트(31)에 주름이 생기거나 난반사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 슬릿(36)은 상기 경사면(35)의 길이와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도어(30) 측면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도어 슬릿(36)이 형성되는 위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경사면(35)과 측면의 모서리 부분, 또는 상기 경사면(35)의 일측 등 상기 경사면(35)의 벤딩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커버링 부재(38)는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링 부재(38)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1)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커버링 부재(38)의 리브부(383)가 상기 도어 슬릿(36)의 내측에 삽입된다.
상기 리브부(383)는 상기 도어 슬릿(36)과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슬릿(36)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측면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브부(383)가 상기 도어 슬릿(36)에 삽입되면 상기 도어 슬릿(36)을 채워 상기 도어 슬릿(36)이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링 부재(38) 또는 적어도 상기 리브부(383)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동일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슬릿(36)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리브부(383)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1)와 일체감을 가지게 된다.
도 17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로어 데코 및 커버링 부재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로어 데코 및 커버링 부재의 결합 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도 13의 19-19'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커버링 부재(38) 및 상기 커버링 부재(38)의 결합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로어 데코(34)는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하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로어 데코(34)의 전단과 좌우 양측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플레이트 삽입부(341)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삽입부(341)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1)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포밍부(316)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플레이트 삽입부(341)의 내측에는 상기 포밍부(316)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경사를 가지는 다수의 리브(34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데코(34)의 후단을 제외한 둘레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지지부(3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342)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1)와 접하여 상기 도어 플레이트(31)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데코(34)의 후단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라이너 지지부(3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지지부(343)는 상기 냉동실 도어 라이너(32)와 접하여 상기 냉동실 도어 라이너(32)의 하단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342) 및 라이너 지지부(343)에 의해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내부 공간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342)의 내측에 발포액이 충전되어 단열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데코(34)의 측단에는 상기 커버링 부재(38)의 하단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커버링 부재 삽입부(3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링 부재 삽입부(344)는 상기 로어 데코(34)의 측단에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31)와 상기 로어 데코(34)의 결합시 상기 커버링 부재 삽입부(344)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데코(34)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힌지 삽입부(345)와 전선 고정부(34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링 부재(38)는 상기 로어 데코(34)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바텀 힌지(37)가 장착되는 힌지 삽입부(345)와 인접하는 상기 냉동실 도어(30) 일측의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링 부재(38)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1)의 측면부(313)와 접하는 제 1 면(381)과, 상기 경사부(312) 및 전면부(311)과 접하는 제 2 면(38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면(381)과 제 2 면(382)이 서로 접하는 부분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31)의 절곡된 모서리 부분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면(381)의 하단은 상기 제 2 면(382)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커버링 부재 삽입부(344)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면(381)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리브부(383)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부(383)는 상기 도어 슬릿(36)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면(382)은 상기 경사면(35)과 전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35)과 대응하는 각도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면(382)의 하단은 상기 제 1 면(381)의 하단보다 더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342)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링 부재(38)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링 부재(38)의 외측면 전체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1)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접착제에 의해 상기 도어 플레이트(3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링 부재(38)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리브부(383)가 상기 도어 슬릿(36)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로어 데코(34)의 일측에는 상기 센싱어셈블리(90)가 장착되기 위한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는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342)의 외측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는 단열재가 형성되는 공간과 구획된 별도의 공간으로 단열재 성형을 위한 발포액의 주입 후 또는 주입 전에 상기 센싱어셈블리(90)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는 상기 냉동실 도어(30)를 지지하는 바텀 힌지(37)가 장착되는 부분과 반대되는 일단에 배치된다. 즉, 좌우 한쌍의 냉동실 도어(30)가 서로 인접하는 일단에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에 장착되는 상기 센싱어셈블리(90)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와 상하방향으로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의 전방에 상기 장착홀(35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는 전선 안내홀(348)에 의해 상기 로어 데코(34)의 상방에 형성되는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싱어셈블리(90)와 연결되는 전선(L)들은 상기 전선 안내홀(348)을 통해서 상기 로어 데코(34)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로어 데코(34)의 내측을 따라 상기 로어 데코(34)의 다른 일측에 형성된 데코 전선홀(347) 까지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로어 데코(34)의 내측면에는 전선의 배치 방향을 따라 전선 고정부(346)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선(L)은 상기 전선 고정부(346)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내측에 발포액이 주입되는 상황에서도 상기 전선(L)은 이탈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와 떨어진 상기 로어 데코(34)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힌지 삽입부(345)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 삽입부(345)는 상기 바텀 힌지(37)의 힌지축이 수용될 수 있도록 보스 형상으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삽입부(345)와 인접하는 상기 로어 데코(34)의 바닥면에는 데코 전선홀(347)이 형성된다. 상기 데코 전선홀(347)을 통해서 상기 센싱어셈블리(90)와 연결된 전선(L)은 상기 로어 데코(34)의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선(L)은 상기 바텀 힌지(37)측을 경유하여 상기 캐비닛(10)측으로 향하여 메인 제어부(2)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2는 상기 로어 데코의 센싱어셈블리 장착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는 상기 로어 데코(34)의 일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센싱어셈블리(9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최소의 깊이로 함몰 형성된다. 즉,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의 후방에는 단열재가 형성되어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단열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센싱어셈블리(90)는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의 내측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길이가 긴 상기 센싱어셈블리(90)가 제한된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내부에서 단열 공간을 유지하면서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342)가 형성되며,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는 좌측면과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로어 데코(34)의 사출 성형시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의 내부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는 어셈블리 수용부(391)와 커넥터 수용부(39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 수용부(391)는 상기 센싱어셈블리(90)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상기 로어 데코(34)의 일측단에 형성된다.
상기 어셈블리 수용부(391)는 지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상기 센싱어셈블리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싱어셈블리(90)가 장착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센싱어셈블리(90)의 후단은 상기 어셈블리 수용부(391)의 내측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어셈블리 수용부(391)의 바닥면에는 어셈블리 가이드(39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 가이드(394)는 다수의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간격으로 연속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어셈블리 가이드(394)들은 모두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어셈블리 수용부(391)의 내측면(393)과 상기 로어 데코(34)의 바닥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 가이드(394)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31)를 향하는 상기 어셈블리 가이드의 단부에는 가이드 경사부(39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경사부(395)는 상기 어셈블리 가이드(394)의 전단에서 상기 어셈블리 수용부(391)의 내측면(393)을 향하도록 점차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경사부(395)는 상기 어셈블리 가이드(394)의 전단에서부터 연장되는 제 1 경사부(3951)와 상기 제 1 경사부(3951)의 후단에서 상기 어셈블리 가이드(394)의 후단까지 연장되는 제 2 경사부(39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경사부(3951)는 제 2 경사부(3952)의 기울기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센싱어셈블리(90)의 장착시 상기 케이스(93,94)의 후단이 상기 제 1 경사부(3951)와 접하여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어셈블리 수용부(391)의 내측면(393)까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경사부(3952)의 기울기는 완전히 장착된 상태의 상기 센싱어셈블리(90)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싱어셈블리(90)의 장착시 상기 센싱어셈블리(90)의 하단은 상기 제 2 경사부(3952)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센싱어셈블리(90)는 상기 제 2 경사부(3952)를 따라 완전히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센싱어셈블리(90)가 완전히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센싱어셈블리(90)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센싱어셈블리(90)의 장착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커넥터 수용부(392)는 상기 어셈블리 수용부(391)의 측방에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수용부(392)는 상기 센싱어셈블리(90)와 메인 제어부(2)를 연결하기 위한 센싱어셈블리 커넥터(912,922)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수용부(392)는 상기 어셈블리 수용부(39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수용부(392)의 상방에는 전선 안내홀(348)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싱어셈블리(90)의 장착시 상기 센싱어셈블리(90)와 연결된 제 1 커넥터(912)와 상기 메인 제어부(2)와 연결된 제 2 커넥터(922)를 상기 냉동실 도어(30) 외측에서 먼저 연결한 후에 상기 센싱어셈블리(90)를 상기 어셈블리 수용부(391)에 삽입하게 되며, 이때 서로 연결된 상태의 제 1 커넥터(912)와 제 2 커넥터(922)를 상기 커넥터 수용부(392) 측으로 위치시키게 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센싱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5는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일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7은 상기 센싱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센싱어셈블리(90)는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하기 위한 상을 조사하는 투사장치(91)와, 상기 투사장치(91)에 의해 투사되는 상의 영역을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 1 감지장치(9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투사장치(91)와 상기 제 1 감지장치(92)는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센싱어셈블리(90)는 한쌍의 케이스(93,94)와, 상기 케이스(93,94)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는 케이스 커버(95)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93,94)의 내부에 상기 투사장치(91)와 제 1 감지장치(92)가 모두 장착된다.
이때, 상기 투사장치(91)와 제 1 감지장치(92)는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투사장치(91)가 상기 제 1 감지장치(92)의 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투사장치(91)가 하방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적정 위치에서 투사되는 상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투사장치(91)가 상기 제 1 감지장치(92)의 상방에 배치될 경우 상대적으로 투사 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오인식의 가능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투사되는 상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93,94)는 좌우 양측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93)와 제 2 케이스(9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93)와 제 2 케이스(94)는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투사장치(91)와 상기 제 1 감지장치(92)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케이스(93)와 제 2 케이스(94)는 결합 후크(941)와 후크 홈(931)에 의해 후면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후크(941)는 상기 후크 홈(93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후크(941) 및 상기 후크 홈(931)은 상기 제 1 케이스(93)와 제 2 케이스(94)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93)와 제 2 케이스(94)의 전면은 상기 케이스 커버(95)의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케이스(93)와 제 2 케이스(94)의 양측면에는 각각 사이드 후크(932,9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커버(95)에 구비되는 후크 구속부(951)에 삽입되어 서로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케이스(94)에는 스크류 또는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9431)가 삽입되는 결합 홀(943)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케이스(93)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부재(9431)가 체결되는 체결 보스(933)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93,94)의 배면에는 엘이디 피시비(911)와 감지장치 피시비(921)가 노출되는 제 1 피시비 홀(901)과 제 2 피시비 홀(90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피시비 홀(901)은 상기 엘이디 피시비(91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 피시비(911)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피시비 홀(901)을 통해서 상기 엘이디 피시비(911)와 연결되는 전선(L)이 출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피시비 홀(902)은 상기 제 1 감지장치(92)의 동작을 위한 감지장치 피시비(92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피시비 홀(902)을 통해서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921)와 연결되는 전선(L)이 출입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 피시비(911) 및 감지장치 피시비(921)의 전선(L)과 연결된 제 1 커넥터(912)는 상기 메인 제어부(2)와 연결된 제 2 커넥터(922)와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 수용부(392) 상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케이스(93)의 일측에는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된 실내의 바닥면에 투사될 상에 나타나는 문자 또는 그림이 형성되는 필름(913)이 삽입되는 필름 슬롯(934)이 형성된다. 상기 필름 슬롯(934)의 폭은 상기 필름(913)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93,94)의 외부에서 상기 필름(913)을 삽입하여 상기 케이스(93,94) 내부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필름(913)은 매우 얇은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93,94) 내부에 장착한 후 상기 제 1 케이스(93)와 제 2 케이스(94)를 조립하게 될 경우 상기 필름(913)이 눌려지게 되어 휘어지는 등 변형되거나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필름(913)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필름 슬롯(934)을 통해서 상기 케이스(93,94) 외측에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필름 슬롯(934)과 대응하는 상기 제 2 케이스(94)의 내측면에는 필름 홈(9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 홈(944)은 상기 제 2 케이스(94)의 내측면에서 상기 필름(9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름 홈(944)이 형성하는 틈과 같은 공간에 상기 필름(913)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름 홈(944)은 상기 필름(913)이 삽입되는 일단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름(913)은 일단의 모서리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SD카드와 같이 방향성을 가지고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름 홈(944)은 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름(913)은 일방향으로만 삽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필름(913)을 뒤집어서 장착하거나 정확하지 않은 위치에 장착되는 등 상기 필름(913)의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름(913)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필름(913)의 전면 또는 배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보강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은 빛의 투과가 가능한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름(913)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93,94)의 내부 중 하부에는 투사장치(91)가 배치된다. 상기 투사장치(91)의 배치를 위해 상기 케이스(93,94) 내부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투사부(9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사부(930)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투사장치(91)는 엘이디 피시비(911)와 상기 필름(913) 그리고 다수의 렌즈(914)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엘이디 피시비(911)는 상기 케이스(93,94)의 가장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엘이디 피시비(911)에 실장된 엘이디(9111)는 필름(913)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엘이디 피시비(911)의 고정을 위해서 상기 투사부(930)에는 피시비 고정부(935)가 형성된다. 상기 피시비 고정부(935)는 상기 엘이디 피시비(911)의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고정부(935)의 전방에는 상기 필름(913)이 삽입되는 필름 홈(9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 홈(944)은 상기 엘이디 피시비(911)와 상기 렌즈(91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 홈(944)의 위치는 상기 투사장치(91)에 의해 투사되는 상이 선명하게 맺힐 수 있도록 그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필름 홈(944)이 형성되는 상기 투사부(930)의 둘레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살빼기 홈(9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살빼기 홈(936)은 상기 투사부(93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93,94)의 사출 성형시 수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한다.
상기 필름 홈(944)의 전방에는 다수의 렌즈(914)가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렌즈(914)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914)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투사되는 상의 촛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렌즈(914)는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뚜렷한 상이 맺힐 수 있도록 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사부(930)에는 상기 렌즈(914)들이 장착되는 렌즈 홈(937)이 형성된다. 상기 렌즈 홈(937)의 간격에 따라서 상기 렌즈(914)의 간격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투사부(930)에 배치되는 렌즈(914)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나, 초점 거리와 제한적인 상기 어셈블리 수용부(391)의 공간을 고려할 때 3개의 렌즈(914)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 많은 렌즈(914)를 사용하여 바닥면에 투사되는 상을 보다 선명하게 할 수도 있으나, 렌즈(914) 수가 증가될 경우 상기 투사장치 자체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제한된 두께의 상기 냉동실 도어(30) 내부에 상기 센싱어셈블리(90)가 장착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투사부(930)의 전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사부(930)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케이스 커버(95)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9111)에서 조사되어 상기 필름(913)과 상기 렌즈(914)를 통과한 빛은 상기 케이스 커버(95)의 프로젝팅 홀(952)을 통과하여 바닥에 조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투사부(930)의 상방 즉 상기 케이스(93,94)의 상부에는 감지부(9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940)는 상기 제 1 감지장치(92)가 수용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 1 감지장치(9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장치(92)는 사용자의 발이 상기 투사장치(91)에 의해 투사된 상의 영역에 위치하였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감지장치(92)는 제 2 감지장치(81)와 마찬가지로 적외선을 발광 및 수광하는 피에스디(PSD)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제 1 감지장치(92)와 제 2 감지장치(81)는 그 설치 위치 및 감지 대상의 차이로 감지 거리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감지장치(92)는 상기 투사장치(91)에 의해 투사된 상이 형성되는 바닥면까지의 거리와 대응하도록 15 cm 미만의 감지 거리, 예를 들어 10cm ~ 15cm의 감지 거리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감지장치(92)는 발광부(923)와 수광부(924)가 상하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감지장치(92)와 상기 케이스 커버(95)의 사이에는 베리어(925)가 구비된다. 상기 베리어(925)는 양단이 각각 제 1 감지장치(92)의 전면과 상기 케이스 커버(95)의 배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925)는 상기 발광부(923)와 수광부(924)의 사이를 구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923)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이 상기 케이스 커버(95)에 반사되어 바로 수광부(924)로 향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경사면(35)에 상기 센싱어셈블리(90)가 장착되어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감지장치(92)는 상기 케이스(93,94)의 내측에 경사면(35)과 교차되는 기울기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감지장치(92)와 상기 케이스 커버(95)는 서로 이격되며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발광부(923)에서 조사되는 빛의 일부가 상기 케이스 커버(95)와 부딪히게 될 경우 상기 빛이 반사되어 나오게 되며 상기 수광부(924)로 들어갈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베리어(925)에 의해 상기 발광부(923)와 수광부(924)의 사이를 구획하게 될 경우 상기 발광부(923)에 의해 조사되는 적외선은 상기 케이스 커버(95)를 투과하게 되고, 바닥면 또는 사용자에 반사된 빛이 상기 케이스 커버(95)를 투과하여 상기 수광부(924)로 들어올 수 있게 된다.
상기 베리어(925)는 상기 케이스(93,94)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93,9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베리어(925)는 상기 제 1 감지장치(92) 또는 상기 케이스 커버(95)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감지부(940)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케이스 커버(95)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즉, 상기 투사부(930)와 상기 감지부(940)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케이스 커버(95)에 의해 모두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95)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투명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사부(930)와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프로젝팅 홀(95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팅 홀(952)의 둘레와 상기 감지부(940)와 대응하는 영역에는 돌출부(953)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커버(95) 배면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95)의 둘레를 따라서 테두리(954)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커버(95)의 양측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후크 구속부(951)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 구속부(951)에 의해 상기 케이스(93,94)에 형성된 사이드 후크(932)가 걸림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커버(95)의 양측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95)가 상기 장착홀(351)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 고정 후크(95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 후크(956)에 의해서 상기 센싱어셈블리(90)는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 커버(95)의 전면에는 데코 플레이트(96)가 부착된다. 상기 데코 플레이트(96)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1)와 동일한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플레이트(96)는 상기 케이스 커버(95)의 전면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커버(95)의 전면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 플레이트(96)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95)의 돌출부(953)가 삽입되는 플레이트 홀(961,96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코 플레이트(96)는 상기 케이스 커버(95)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90)의 장착시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경사면에 형성된 장착홀(351)을 통해 상기 데코 플레이트(96)가 노출되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31)와 일체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개구된 상기 프로젝팅 홀(952)에는 별도의 클리어 커버(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커버는 상기 프로젝팅 홀(952)을 차폐하여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투사장치(91)에서 투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프로젝팅 홀(952) 및 클리어 커버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투사장치(91)에서 투사되는 빛이 투명하게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 커버(95)를 투과하여 조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8a 내지 28c는 상기 센싱어셈블리의 장착 과정을 차례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센싱어셈블리(90)를 상기 냉동실 도어(3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8a에서와 같이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성형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제어부(2)측과 연결된 전선(L)에 구비된 제 2 커넥터(922)를 장착홀(351)을 통해 꺼내 상기 센싱어셈블리(90)와 연결된 제 1 커넥터(912)와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제 1 커넥터(912)와 제 2 커넥터(922)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된 상태의 제 1 커넥터(912)와 제 2 커넥터(922)를 상기 커넥터 수용부(392)의 내측으로 밀어 넣은 다음 상기 센싱어셈블리(90)를 상기 장착홀(351)에 삽입하게 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90)의 후면이 상기 장착홀(351)에 삽입되면 상기 케이스(93,94)의 하면이 상기 어셈블리 가이드(394)와 접하게 된다. 즉, 도 28b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93,94)의 하면은 상기 제 1 경사부(3951)와 접촉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90)를 지속적으로 후방으로 밀어 넣게 되면 상기 케이스(93,94)의 하단은 상기 제 2 경사부(3952)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케이스(93,94)의 후단이 상기 어셈블리 수용부(391)의 내측면(393)과 접하여 도 28c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90)가 완전히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경사부(3952)가 하방에서 상기 센싱어셈블리(90)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커버(95)의 커버 고정 후크(956)에 의해 상기 케이스 커버(95)는 상기 장착홀(351)상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센싱어셈블리(90)의 고정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스 커버(95) 또는 데코 플레이트(96)의 전면이 상기 경사면(35)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장착홀(351)을 차폐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센싱어셈블리(90)에 의한 상의 투사 방식 및 제 1 감지장치(92)의 감지 방식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9는 상기 센싱어셈블리의 투사장치를 통해 상의 조사 상태를 나태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0은 도 29의 A영역의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센싱어셈블리(90)의 투사장치(91)에 의해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된 바닥면에 소정의 상을 투사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된다.
상기 엘이디 피시비(911)의 엘이디(9111)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필름(913)을 통과하게 되며, 상기 필름(913)을 통과한 빛은 다수의 상기 렌즈(914)를 지나게 된다. 상기 렌즈(914)를 지나는 빛은 초점을 지나 바닥면에 상기 필름(913)에 표현된 문자(T)를 표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싱어셈블리(90)는 단열되는 냉동실 도어(30) 구조의 특성상 길이와 크기에 대한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사장치(91)에는 상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 빛이 일직선으로 상기 필름을 투과하도록 하는 비구면 렌즈를 생략하여 크기를 줄이게 된다. 상기 비구면 렌즈의 생략으로 상기 필름(913)면에 입사되는 빛의 세기가 일정하지 않게 되어 상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상기 필름(913)의 거리를 상기 엘이디(9111)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필름(913)에 입사되는 광도를 높이고, 상기 필름(913)상의 문자(t)를 고해상도의 인화방식으로 형성함으로서 바닥면에 표시되는 상의 문자가 보다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경사진 바닥면으로 상을 투사하게 될 경우, 전반부와 후반부의 투영거리 차이로 인한 광도차로 인해 바닥면에 표시되는 상의 균제도가 좋지 않게 된다.
상세히,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경사면(35)에서 바닥을 향하여 조사되는 빛의 특성상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과 가까운 쪽은 투영거리가 짧아 광도가 높지만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과 먼 쪽은 투영거리가 길어 광도가 낮게 된다. 따라서, 바닥면 표시되는 상에 의해 나타나는 문자(T)가 상기 냉동실 도어(30)와 가까운 쪽과 먼쪽의 상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광도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냉동실 도어(30)에 가까운 바닥면에 형성되는 문자(T)가 번지게 되거나, 상기 냉동실 도어(30)로부터 먼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는 문자(T)가 어두워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 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상대적으로 경사진 바닥면에 투영되더라도 정상적인 비율로 전체 문자(T)가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상기 필름(913)에 형성된 문자(T)를 보정하여 인쇄할 수 있다.
상세히, 도 30에서와 같이 필름(913)에 인화되는 문자(T)는 전체 문자 중 "Door" 부분의 면적이 넓고 "Open" 부분의 면적이 좁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문자로 설명을 하였으나 다른 문자, 그림 또는 도형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필름에 인화된 상기 그림 또는 도형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가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문자(T)가 인화된 필름(913)에 상기 엘이디(9111)에서 빛이 조사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경사진 바닥면에 나타나게 되는 상의 문자(T)는 투영거리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상하 폭의 비율이 동일한 문자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냉동실 도어(30)와 가까운 쪽과 먼쪽의 밝기와 선명도 또한 상대적으로 개선되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문자(T)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1은 상기 센싱어셈블리에 의한 상 조사 영역과 감지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센싱어셈블리(90)는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39)에 장착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90)는 상기 어셈블리 가이드(394)에 의해 경사지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어셈블리(90)의 전면은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경사면(35)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투사장치(91)에 의해 조사되는 빛에 의해 상기 냉장고(1) 전방의 바닥에 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위치를 상기 제 1 감지장치(92)에 의해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바닥면에 형성되는 상의 위치 및 상기 제 1 감지장치(92)에 의한 감지 위치는 모두 상기 경사면(35)의 각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경사면(35)은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전면을 기준으로 할 때 대략 20°~ 30°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5)의 각도가 20°보다 작게 되는 경우 상기 냉동실()로부터 너무 먼 거리로 상을 투사하게 되고, 따라서 바닥면에 형성되는 상의 형상 또한 그 형태가 매우 흐리거나 왜곡된 형상이 된다.
특히, 제 1 감지장치(92)에 의한 사용자의 조작 감지 거리가 너무 멀게 되어 사용자가 도어 개방 조작을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오인식에 의해 상기 도어 개방장치(70)가 동작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단순히 상기 냉장고(1) 앞을 사람이나 동물이 지나는 상황 또는 상기 냉장고(1) 앞에 다른 물체가 위치되거나 이동되는 상황에서 이를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 조작 상황으로 오인식하여 상기 도어 개방장치(70)를 구동시키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35)의 각도가 30°보다 더 크게 되면 상기 투사장치(91)에 의해 투사되는 상이 상기 냉장고(1)의 전면과 너무 가까운 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감지장치(92)에 의한 사용자의 조작 감지 위치 또한 상기 냉동실 도어(30)와 너무 가깝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메인 도어(40)의 조작을 위해 사용자가 냉장고(1)에 가까운 위치까지 접근해야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70)가 구동하게 될 경우, 상기 사용자는 자동 개방되는 상기 메인 도어(40)와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35)의 각도가 너무 크게 될 경우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하단에 구비되는 바텀 힌지(37) 또는 바텀 힌지(37)를 차폐하는 커버를 비롯한 다른 구성들이 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 하면에서 상기 캐비닛(10)을 지지하는 레그(14)가 노출될 수도 있게 되어 외관상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경사면은 대략 20°~ 30°의 각도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발이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전면으로부터 5cm ~ 10cm 정도의 거리에서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시 상기 메인 도어(40)와 사용자가 부딪히지 않는 정도의 위치에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경사면(35)에서 바닥으로 상이 투사되며, 사용자의 발을 경사면(35) 하방의 공간으로 가져가게 될 때 감지가 가능하게 되므로 오인식의 가능성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작용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2는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냉장고(1)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2)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리드 스위치(401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위치(4011)는 상기 메인 힌지(401)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와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20) 또는 메인 도어(40)의 개방시 냉장고(1) 내를 밝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과 연결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시 또는 노크 감지장치(82)의 신호의 입력시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디스플레이 유닛(60)과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을 통해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거나 각종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제 1 감지장치(92)와 제 2 감지장치(81), 노크 감지장치(82) 및 투사장치(91)와 직,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들에 의한 동작 신호를 수신하거나 동작의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도어 개방장치(70)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도어 개방장치(70)가 구동되어 상기 메인 도어(40)가 자동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3a와 33b는 상기 메인 도어의 개방 조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4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냉장고(1)는 초기운전을 통해서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을 위해 대기하는 상태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S100].
전원공급에 의해 초기운전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대기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대기운전에서는 상기 냉장고(1)는 사용자의 상기 메인 도어(40) 개방을 위한 조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대기하게 된다.
도 33a에서와 같이 상기 냉장고(1)가 대기운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두 손에 물건을 들고 상기 냉장고(1) 앞에 서게 되면, 상기 제 2 감지장치(81)에 의해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감지장치(81)에서 사용자가 감지 범위 내에 위치된 것으로 인식하게 되면 상기 투사장치(91)가 동작하여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된 바닥면에 상을 투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을 상기 냉동실 도어(30)에 형성된 경사면(35)의 하방으로 가져가게 되면 도 33b에서와 같이 바닥면에 투사된 상의 적어도 일부를 가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감지장치(92)는 상기 투사장치(91)에 의해 투사된 상의 영역에 사용자의 발이 위치된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S200].
대기운전 상태에서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의 구동이 시작되어 상기 메인 도어(40)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열림운전이 실시되며, 상기 메인 도어(40)는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다.
설정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의 메인 도어(40)는 이웃하는 상기 냉장실()의 전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개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팔꿈치를 개방된 공간으로 넣어 상기 메인 도어(40)를 추가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S300].
상기 메인 도어(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도어(40)는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열림 후 정지운전을 실시하여 상기 메인 도어(4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S400].
한편, 상기 메인 도어(40)가 열린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도어 개방장치(70)는 복귀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메인 도어(40)는 복귀운전시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냉장실(12)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냉장고(1)는 설치시 전면이 후면보다 다소 높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며 이는 상기 냉장고(1)의 메인 도어(40)를 포함한 도어의 개방 후 외력이 제거될 때 자중에 의해 상기 도어들이 닫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복귀운전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냉장고(1)는 다시 대기운전 상태가 되며, 다시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할 수 있도록 상기 냉장고(1)는 전원의 인가 후 대기운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S500].
한편, 상기 메인 도어(40)가 개방진행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메인 도어(40)가 추가 개방되면 긴급 복귀신호가 발생되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70)는 긴급 복귀운전을 실시하여 상기 푸쉬로드(77)를 빠르게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40)와 푸쉬로드(77)의 충돌을 방지하여 상기 푸쉬로드(77) 또는 도어 개방장치(7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S600].
이하에서는 각 운전 상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5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초기운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초기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냉장고(1)에 전원이 인가된다[S110].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 1 홀센서(741)가 온 상태인지를 확인하게 된다[S120]. 상기 제 1 홀센서(741)가 온 상태가 되면 상기 푸쉬로드(77)가 완전히 인입된 초기 상태로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홀센서(741)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73)는 동작되지 않고 상기 냉장고(1)는 대기운전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S130].
상기 제 1 홀센서(741)가 온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푸쉬로드(77)가 초기 위치에 위치되지 않은 것이므로 상기 구동모터(73)를 역회전시켜, 상기 제 1 홀센서(741)가 온 상태가 되도록 한다[S140].
한편, 상기 구동모터(73)의 역회전이 시작된 상태에서 설정시간(예를 들어 5초)이 경과되어도 상기 제 1 홀센서(741)가 온 상태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S150], 상기 구동모터(73)를 정지시키고 에러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S160]. 에러 신호의 발생에 따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에서 현재의 상태를 코드화하여 에러 코드를 출력하게 된다[S170].
도 36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대기운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기운전이 시작되면, 우선 상기 리드 스위치(4011)를 통해서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혀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리드 스위치(4011)가 온된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자동 개방이 가능하지만, 상기 리드 스위치(4011)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열려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도어 개방장치(70)가 동작되지 않도록 한다[S210].
상기 리드 스위치(4011)가 온 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감지장치(81)에서 먼저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지면으로부터 대략 1m정도의 높이에 위치되며, 감지 거리는 상기 냉장고(1) 전방 대략 1m 이내가 될 수 있다[S220].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온 되면, 상기 투사장치(91)가 온되어 상기 엘이디(9111)에서 빛을 조사하여 상기 경사면(35) 하방에 상을 투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전방의 바닥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두 손을 사용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을 움직여 상기 문자의 위치에 가져가게 된다[S230].
이때, 상기 제 1 감지장치(92)는 바닥면에 투사되는 상의 영역을 감지 거리에 포함되므로 사용자의 발이 상기 문자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장치(92)는 설정시간 동안 감지 상태를 지속하게 되며, 설정시간이 경과되는 경우[S240], 감지를 중단하고 투사장치 또한 오프시키게 된다[S280].
사용자가 상기 문자의 영역에 발을 위치시켜 상기 제 1 감지장치(92)에서 이를 감지하게 되면[S250], 상기 메인 제어부(2)에서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신호를 입력하게 된다[S260].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 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메인 도어(40)는 열림 운전을 실시하게 된다[S270].
도 37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열림운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38은 상기 열림 운전시의 FG Pulse Count에 따른 Duty 변화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열림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구동모터(73)가 정회전하게 된다[S310]. 상기 구동모터(73)의 정회전으로 초기위치에 위치되어 있던 상기 푸쉬로드(77)의 이동이 시작된다. 즉, 상기 제 1 홀센서(741)가 온 상태에서 상기 푸쉬로드(77)의 이동으로 제 2 홀센서(742)가 온 되는 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구동모터(73)가 정회전하게 된다[S310].
상기 구동모터(73)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푸쉬로드(77)는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을 밀어서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73)는 듀티를 줄여가면서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73)가 동일 속도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메인 도어(40)의 열림이 완료된 후 상기 메인 도어(40)가 정지되는 순간 상기 메인 도어(40)가 관성에 의해 흔들리게 된다. 하지만, 구동모터(73)의 속도를 상기 메인 도어(40)의 열림이 완료되기 전에 감속시키게 되면 상기 메인 도어(40)의 열림이 완료되는 순간 상기 메인 도어(40)의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모터(73)는 FG가 270이 되는 열림 1구간(O1)에서는 듀티가 200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73)는 FG가 300이 되는 열림 2구간(O2)에서는 듀티가 170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73)는 FG가 325가 되는 열림 3구간(O3)에서는 듀티가 135, FG가 340이 되는 마지막 열림 4구간(O4)에서는 듀티가 100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73)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개방되는 초기에는 가장 빠른 속도로 상기 구동모터(73)를 회전시켜 상기 메인 도어(40)의 열림이 빠르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메인 도어(40)의 열림이 진행될수록 상기 구동모터(73)의 회전 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속하여 상기 메인 도어(40)의 열림 완료시 상기 메인 도어(40)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73)의 정회전이 시작되고 난 후 설정시간(예를 들어 5초)이 경과 되어도 상기 제 2 홀센서(742)가 온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에 이상이 있으므로 에러 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해당되는 에러 코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열림운전의 지속적인 수행이 불가하게 된 상태이므로 복귀 운전을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73)의 정회전이 시작되고 난 후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열림 운전이 지속된다[S330]. 이때,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방 가까운 위치에 사람이나 물건이 위치된 경우 상기 메인 도어(40)가 개방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메인 도어(40)의 열림운전이 진행되는 도중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이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방해될 수 있다[S340].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정상적인 또는 설정된 회전 속도로 회전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제어부(2)에서는 상기 구동모터(73)의 FG카운터를 확인하여 각 열림 구간에서의 FG카운터 수가 설정횟수 미만일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에러 코드를 출력하게 된다[S350].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이 방해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복귀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40)의 회동에 의해 사용자에게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리한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도어 개방장치(7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홀센서(742)가 온 되는 위치까지 상기 푸쉬로드(77)가 이동하게 되면 열림 후 정지운전이 시작된다.
도 39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열림 후 정지운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열림 후 정지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구동모터(73)는 지속적으로 정회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73)는 정방향으로 일정 듀티를 유지하면서 동작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73)의 듀티는 12로 자중에 의해 상기 메인 도어(40)가 밀려 닫히지 않도록 상기 푸쉬로드(77)가 지지하는 정도로만 상기 메인 도어(40)측으로 힘을 가하게 될 뿐 실질적으로 상기 메인 도어(40)를 더 개방하지는 않게 된다[S410].
상기 구동모터(73)는 설정시간(예를 들어 3초) 동안 정회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복귀운전을 실시하게 된다[S420].
그리고,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사용자가 개방된 상태의 상기 메인 도어(40)를 닫기 위해 상기 메인 도어(40)를 누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40)에 외력이 가해지게 될 때 상기 도어 개방장치(70)를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복귀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 도어(4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모터(73)의 FG가 3 이상이 되어 상기 구동모터(73)가 1회전가량 역회전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외력감지 신호를 상기 메인 제어부(2)로 입력하게 된다.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외력감지 신호의 입력시 복귀운전을 시작하게 된다[S430].
도 40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복귀운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41은 상기 복귀운전시의 FG Pulse Count에 따른 Duty 변화를 보인 도면이다.
도어 복귀 운전이 시작되면, 우선 상기 구동모터(73)는 정회전 상태에서 순간적(예를 들어 10msec 동안)으로 정지된다[S510]. 상기 구동모터(73)의 정지 후 상기 푸쉬로드(77)의 복귀를 위해 상기 구동모터(73)는 역회전하게 된다[S520].
상기 메인 도어(40)를 포함하는 냉장실 도어(20)는 프렌치 도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히게 될 때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사이를 기밀하는 필러의 영향에 의해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닫히게 될 때 저항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히게 될 때 상기 필러에 의해 상기 메인 도어(40)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빠른 속도로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히는 순간에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닫히는 순간에는 감속시키게 된다.
도 4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도어(40)의 열림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73)의 FG는 340이 된다. 상기 구동모터(73)는 FG가 70이 되는 닫힘 1구간(C1)에서는 듀티가 200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73)는 FG가 45이 되는 닫힘 2구간(C2)에서는 듀티가 180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73)는 FG가 25가 되는 닫힘 3구간(C3)에서는 듀티가 140, FG가 0이 되는 마지막 닫힘 4구간(C4)에서는 듀티가 100으로 구동된다.
상기 구동모터(73)의 역회전으로 상기 푸쉬로드(77)가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 2 홀센서(742)가 오프되고 상기 제 1 홀센서(741)가 온 될 때까지 상기 구동모터(73)가 역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홀센서(741)가 온되어 상기 푸쉬로드(77)가 초기 위치로 복귀된 것으로 확인되면[S530], 상기 구동모터(73)는 정지되고 대기운전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S540].
한편, 상기 구동모터가 설정시간(예를 들어 5초) 이상 역회전 된 후에도 상기 제 1 홀센서(741)가 온 상태가 되지 않는 경우[S550],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므로 에러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을 통해 에러 코드를 표시하게 되며 대기운전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S560].
도 42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긴급 복귀운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43은 상기 긴급 복귀운전시의 FG Pulse Count에 따른 Duty 변화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70)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의 보호를 위해서 긴급하게 상기 푸쉬로드(77)를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열림운전 중 또는 열림 후 정지운전 중 또는 복귀운전 중에 사용자가 상기 메인 도어(40)를 추가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상기 메인 도어(40)를 개방한 후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메인 도어(40)를 닫을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메인 도어(40)를 빠른 속도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푸쉬로드(77)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기 전에 상기 메인 도어(40)와 부딪히게 될 수 있다. 상기 푸쉬로드(77)와 메인 도어(40)가 빠른 속도로 부딪히게 될 경우 상기 푸쉬로드(77) 또는 도어 개방장치(70) 자체가 손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열림운전 중 또는 열림 후 정지운전 중 또는 복귀운전 중에 상기 리드 스위치(4011)가 오프되면 상기 메인 도어(40)가 사용자에 의해 추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푸쉬로드(77)를 빠르게 복귀시키는 긴급 복귀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긴급 복귀 운전이 시작되면 우선 상기 구동모터(73)가 정회전 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610]. 상기 구동모터(73)가 정회전 상태인 경우 정회전 상태에서 순간적(예를 들어 10msec 동안)으로 정지된다[S620]. 상기 구동모터(73)의 정지 후 상기 푸쉬로드(77)의 복귀를 위해 상기 구동모터(73)는 역회전하게 된다[S630]. 한편, 상기 구동모터(73)가 상기 정회전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73)는 역회전이 시작됨과 동시에 일반적인 복귀 운전시 보다 더 큰 220의 듀티로 구동된다. 상기 구동모터(73)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히기 직전까지 속도를 유지하여 빠르게 닫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히기 직전인 FG가 25인 구간에서는 상기 구동모터(73)의 듀티를 100으로 낮추어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히는 순간의 충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3)의 역회전으로 상기 푸쉬로드(77)가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 2 홀센서(742)가 오프되고 상기 제 1 홀센서(741)가 온 될 때까지 상기 구동모터(73)가 역회전하게 된다[S640]. 그리고, 상기 제 1 홀센서(741)가 온되어 상기 푸쉬로드(77)가 초기 위치로 복귀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구동모터(73)는 정지되고 대기운전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S650].
한편, 상기 구동모터(73)가 설정시간(예를 들어 5초) 이상 역회전 된 후에도 상기 제 1 홀센서(741)가 온 상태가 되지 않는 경우[S660],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므로 에러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을 통해 에러 코드를 표시하게 되며 대기운전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S670].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어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사용자가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도어에 구비된 센싱어셈블리의 감지를 통해 도어 개방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도어가 자동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상기 도어가 적어도 사용자의 신체, 예를 들어 팔꿈치를 넣어서 개방할 수 있을 정도로 개방되도록 하여, 양손이 아닌 다른 신체의 일부를 개방된 틈새에 넣어서 용이하게 추가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양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완전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한층더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한쌍의 도어가 나란히 배치된 경우 자동 개방된 도어의 배면과 닫혀있는 도어의 전면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추가 개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에는 상기 푸쉬로드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FG 카운팅을 이용한 속도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푸쉬로드의 인출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의 개폐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시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상황에서 상기 푸쉬로드의 복귀 또는 긴급 복귀가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시 사용자의 충격 또는 도어 개방장치의 파손을 방지하는 등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자동 개방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상기 구동모터는 일정 속도로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전을 유지하여 상기 도어가 자중에 의해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추가작업을 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폐 과정에서 이상 상황이 발생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에러표시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에러 상황을 코드화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에러 상황을 용이하게 인지하고 적절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은 전술한 실시 예의 도어 개방장치의 다른 구조와 다양한 다른 제 1 감지장치 및 제 2 감지장치의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의 구성 중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4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45는 도 44의 냉장고의 측면도이며, 도 46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블럭도이다.
도 44 내지 도 46을 참조하면,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 공간은 냉장실(12)과 냉동실(1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은 냉장실 도어(2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고, 상기 냉동실(13)은 냉동실 도어(3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0)가 회동식 도어일 경우에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 자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프렌치 도어(french door)(203, 204)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프렌치 도어(203, 20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밀착되는 제 1 도어(201)와, 상기 제 1 도어(201)의 전면에서 상기 제 1 도어(20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도어(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30)가 회동식 도어일 경우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프렌치 도어(french door)(301, 302)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는 서랍식 도어인 경우에는 다수의 냉동실 도어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사람을 감지할 수 있는 제 2 감지장치(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에서 사람이 감지되면, 냉장고(1)가 놓인 바닥면으로 광 패턴을 투사하는 센싱어셈블리(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어셈블리(90)는 제 1 감지장치(92)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 1 감지장치(92)가 센싱어셈블리(90)와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냉장고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도어 개방장치(70')와, 상기 도어 개방장치(70') 및 상기 센싱어셈블리(90)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부(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고 도어 중 제 2 도어(202)를 도어 개방장치(70')가 자동으로 개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개방이 필요한 도어에 도어 개방장치(7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의 위치가 냉장고 도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캐비닛(10)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사람이 상기 냉장고(1)로 접근 또는 상기 냉장고(1)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하기 센서이다.
이때,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사람이 냉장고(1)의 도어를 열기 위하여 상기 냉장고(1)로 접근하거나 상기 냉장고(1)의 전방에 위치하는 의도를 감지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도어는 성인이 개방할 수 있으며, 아이에 의해서 냉장고 도어가 의도치 않게 개방되는 것이 방지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성인의 냉장고 도어 개방 의도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상기 냉장고(1)가 놓인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H1)에 위치될 필요가 있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의 높이(H1)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냉장고(1)(또는 캐비닛(10))의 높이(H2)의 1/2 이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냉장실 도어(2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4에는 일 예로 제 2 도어(202)에 배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제 2 도어(202)에 배치되는 경우, 키가 일정 크기 이상인 사람이 상기 냉장고(1)에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사람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아이 또는 집안 내의 동물 등을 감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사람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용량성 센서 또는 비용량성 센서일 수 있다.
용량성 센서는 검출 구역을 형성하는 전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자동차의 차체 상에 적합한 방식으로 배열되는 전극 또는 전극들의 세트일 수 있다.
특히, 전극(들)은 넓은 각도를 갖는 검출 구역을 생성하도록 개방될 개방 패널에 가까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이 냉장고(1)에 접근할 때, 넓은 접근 각도에 걸쳐 검출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람이 검출되기 위해 자신을 용량성 센서(들)에 실질적으로 대면하도록 할 필요가 없다.
검출은 사람의 신체의 일부분, 예를 들어 손, 머리 또는 그 밖에 부분이 이러한 검출 구역으로 들어갈 때 전자기장을 변경시킴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비용량성 센서는 광트랜지스터와 관련된 램프와 같은 광학 센서일 수 있으며, 그 종류에 제한은 없다.
상기 센싱어셈블리(90)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2 감지장치(81)의 높이(H1)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센싱어셈블리(90)는 상기 냉동실 도어(3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하측에는 경사면(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5)에 의해서, 상기 경사면(35)과 바닥면 사이에 사람의 발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하면이 평면으로서 수평한 경우에도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하면과 바닥면의 거리 일반적인 사람의 발 두께 보다 큰 경우에도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하방에 사람의 발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어셈블리(90)은 상기 경사면(35)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냉동실 도어(30)에 상기 센싱어셈블리(90)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센싱어셈블리(90)에서 조사된 광 패턴이 상기 경사면(35)을 투과할 수 있다.
도 47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7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도어(201)와 제 2 도어(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201)는 음식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201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도어(202)가 상기 개구(2011)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201)에는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201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12)의 내부 공간은 상기 냉장실(12)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12)에는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바스켓(20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70')는, 상기 제 2 도어(20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70')는, 케이스(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70')는, 상기 프레임(72') 내에 수용되는 구동모터(73’)와, 상기 구동모터(73’)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푸쉬로드(77’)와, 상기 푸쉬로드(77’)로 상기 구동모터(73’)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의 구성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구동모터(73’)에 의해서 회전되는 웜 기어(732')와, 상기 웜 기어(732')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73’)의 동력을 상기 푸쉬로드(77’)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피니언 기어(751', 752', 7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로드(77’)는 하나 이상의 피니어 기어(751', 752', 753')와 맞물릴 수 있는 랙 기어(77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73’)가 작동하면, 상기 푸쉬로드(77’)는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상기 푸쉬로드(77’)가 상기 제 1 도어(201)를 향하여 직선 운동하면, 상기 푸쉬로드(77’)가 상기 제 1 도어(201)와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제 1 도어(201)를 밀고, 상기 푸쉬로드(77’)가 상기 제 1 도어(201)를 미는 힘에 의해서 상기 제 2 도어(202)가 상기 제 1 도어(201)와 이격되어 상기 제 2 도어(202)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개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구동모터(73’)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푸쉬로드(77')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3’)가 일 예로 모터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도어(202)의 개방을 위하여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푸쉬로드(77')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를 위하여 모터가 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8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9는 음식물을 양손에 든 사람이 냉장고에 접근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0은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 발이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1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6, 도 48 내지 도 51을 참조하면,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은, 제 2 감지장치(81)가 사람을 검출하는 단계(S1); 상기 냉장고(1)가 놓인 바닥면으로 센싱어셈블리(90)가 광 패턴을 투사하는 단계(S2); 상기 제 2 감지장치(81)에서 사람이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제 1 감지장치(92)가 도어 개방 신호를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 및 상기 제 1 감지장치(92)가 도어 개방 신호를 검출하였다고 판단되면, 도어 개방장치(70')가 냉장고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는 단계 S1에서 제 2 감지장치(81)가 사람을 감지하는 즉시 또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사람을 감지하고, 감지 시간이 일정 시간 누적되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단계 S3는 센싱어셈블리(90)에서 광 패턴이 투사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과 전에 제 1 감지장치(92)가 도어 개방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단계 S3에서는, 상기 메인 제어부(2)가 도어 개방 신호의 검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싱어셈블리(90)에서 투사되는 광 패턴(T)은 임의의 형상, 특히 광의 원, 발의 움직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또는 십자가형일 수 있다.
상기 광 패턴(T)은 하나의 형상 또는 다수의 형상, 예를 들어 원 또는 화살표의 세트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광 패턴(T)은,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문자를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도어 열림"(door ope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패턴(T)은 임의의 색상, 특히 바닥면 상에서, 보일 수 있기 위한 녹색, 적색, 또는 백색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문자는 "도어 열림(Door Open)", "자동 도어(Auto Door)" 등으로 읽혀질 수 있다.
상기 센싱어셈블리(90)는 광 패턴(T)을 형성하는 빔을 생성하기 위해 레이저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를 가질 수 있다.
바닥면으로 투사된 광 패턴(T)은 가상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다. 냉장고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시키고자 하는 사람은 발을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 위치시키거나,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서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다.
사람 외의 물체나 동물 등에 의한 가상 스위치의 가림 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상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냉장고 도어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상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는 냉동실 도어(3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상 스위치가 상기 경사면(35)과 상기 바닥면 사이에 사람의 발을 위치시킴으로써 가려질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35)의 하방에 위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투사된 상은 상기 냉장고의 전면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투사된 상의 일부는 상기 냉장고의 전면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람의 발 외의 다른 물체나 동물 등이 가상 스위치를 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장치(92)가 감지하는 도어 개방 신호는, 일 예로 사람의 발을 가상 스위치 상에 위치시키는 것 또는 사람의 발이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서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움직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장치(92)는 가상 스위치의 가려짐으로부터 유래하는 임의의 광 변화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광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센서는 광 패턴(T)을 가리는 물체가 미리 결정된 치수 및 미리 결정된 기하학적 형상에 기초해 발의 형상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할 수 있다.
발에 의한 가상 스위치의 가려짐은 미리 결정된 기준 기간 동안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원하는 사람이 발을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 위치시키기 전에, 사람 이외의 물체, 타인의 발 또는 동물 등에 의해서 가상 스위치가 가려져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미리 결정된 방식은 발의 움직임 방향, 치수 및/또는 기하학적 형상의 세트, 및 발이 광 패턴(T)을 가리는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장치(92)가 발의 움직임 방향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발의 움직임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수단이 가상 스위치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안내 수단은 발을 위한 움직인 방향을 분명하게 하도록 가상 스위치 상에 중심을 둔 임의의 형상이거나 문구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안내 수단은 가상 스위치 상에 중심을 둔 원의 호(arc)일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기 위해서는 제 1 감지장치(92)가 도어 개방 신호를 감지할 때,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사람을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있어야 한다. 즉, 제 2 감지장치(81)에서 사람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중에, 제 1 감지장치(92)에서 도어 개방 신호가 감지되면, 냉장고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이는, 사람이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의도하지 않고 냉장고(1)로 잠시 접근한 후 냉장고(1)에서 멀어졌으나, 사람 이외의 물체, 타인의 발 또는 동물 등에 의해서 가상 스위치가 가려져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람이 냉장고 도어 개방 의도를 가지지 않고, 냉장고(1)에 접근하는 경우에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3에서 판단 결과, 제 2 감지장치(81)에서 사람이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 제 1 감지장치(92)가 도어 개방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센싱어셈블리(90)에서의 광 패턴(T)의 투사는 종료될 수 있다(S5).
또는, 제 2 감지장치(81)에서 사람이 검출되고, 센싱어셈블리(90)에서 광 패턴(T)이 투사되는 중에, 기준 시간의 경과 전에 제 2 감지장치(81)에서 사람이 미 검출되면 센싱어셈블리(90)에서의 광 패턴(T)의 투사는 종료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센싱어셈블리(90)의 투사 종료 전에 광 패턴(T)의 형태나 색상이 변화되거나 가상 스위치가 깜빡거릴 수 있다. 이는 사람으로 하여금 발을 가상 스위치 상으로 위치시키도록 환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52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2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센싱어셈블리의 개수 및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두 개의 냉장실 도어(203, 204) 중 어느 하나에 제 2 감지장치(81)가 배치되고, 두 개의 냉동실 도어(301, 302) 각각에 센싱어셈블리(90a, 90b)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좌측의 냉동실 도어(301)에 제 1 센싱어셈블리(90a)가 배치되고, 우측의 냉동실 도어(302)에 제 2 센싱어셈블리(90b)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두 개의 냉장실 도어(203, 204) 각각에 도어 개방장치(70')가 배치될 수 있다.
사람이 냉장고(1)에 접근하여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사람을 감지하면, 두 개의 센싱어셈블리(90a, 90b) 각각이 광 패턴(T)을 투사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에는 두 개의 가상 스위치가 생성될 수 있고, 사람은 개방이 필요한 상기 냉장실 도어(13,14)에 대응하는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 발을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면, 발이 위치된 가상 스위치와 대응되는 냉장실 도어(13,14)가 도어 개방장치(70')에 의해서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하나의 제 2 감지장치(81)를 사용하면서 개방될 냉장실 도어(13,14)를 선택할 수 있도록, 좌측의 냉동실 도어(301)에 배치되는 제 1 센싱어셈블리(90a)는 우측의 냉동실 도어(302)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우측의 냉동실 도어(302)에 배치되는 제 2 센싱어셈블리(90b)는 좌측의 냉동실 도어(301)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센싱어셈블리(90a)는 좌측의 냉동실 도어(301)를 좌우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가상의 선(L1)을 기준으로 좌측의 냉동실 도어(301)에서 우측의 냉동실 도어(302)와 인접한 쪽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센싱어셈블리(90b)는 우측의 냉동실 도어(302)를 좌우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가상의 선(L2)을 기준으로 우측의 냉동실 도어(302)에서 좌측의 냉동실 도어(301)와 인접한 쪽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센싱어셈블리(90a)와 제 2 센싱어셈블리(90b) 간의 거리는 각 냉동실 도어(301, 302)의 좌우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두 개의 가상 스위치 중 어느 하나의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 발이 위치할 수 있으나, 사람의 왼쪽 발이 어느 한 가상 스위치 상방에 위치되고, 오른쪽 발이 다른 하나의 가상 스위치 상방에 위치되는 경우, 두 개의 냉장실 도어(203, 204)가 함께 열릴 수 있다.
또한, 도 48에서 설명한 기준 시간 경과 전이라면, 한쪽 발을 어느 한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 위치시킨 후에, 다른 한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 위치시켜, 두 개의 냉장실 도어(203, 204)가 순차적으로 열리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2에서는 두 개의 냉장실 도어(13,14)가 도어 개방장치(70')에 의해서 개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두 개의 냉동실 도어(13,14)가 도어 개방장치(70')에 의해서 개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2에서 설명한 것과 달리, 다수의 냉동실 도어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다수의 냉동실 도어 중, 하측에 배치되는 냉동실 도어에 다수의 센싱어셈블리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다수의 센싱어셈블리 중 어느 한 센싱어셈블리에 대응하는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 발을 위치시키면, 해당 스위치와 대응되는 냉동실 도어 또는 냉장실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도 53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2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센싱어셈블리의 개수 및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두 개의 냉장실 도어(203, 204) 중 어느 하나에 제 2 감지장치(81)가 배치되고, 두 개의 냉동실 도어(301, 302) 각각에 센싱어셈블리(90c, 90d)가 배치될 수 있다.
좌측의 냉동실 도어(301)에 제 3 센싱어셈블리(90c)가 배치되고, 우측의 냉동실 도어(302)에 제 4 센싱어셈블리(90d)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센싱어셈블리(90c) 및 제 4 센싱어셈블리(90d)중 하나 이상은 다수의 광 패턴을 투사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센싱어셈블리에 의해서 두 개 이상의 가상 스위치가 생성될 수 있다.
다수의 가상 스위치는 개방될 도어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센싱 어셈블리(90d)에 의해서 생성된 두 개의 가상 스위치 중 제 1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 발을 위치시키면, 우측의 냉장실 도어(203)가 개방되고, 두 개의 가상 스위치 중 제 2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 발을 위치되면, 우측의 냉동실 도어(302)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 3 센싱어셈블리(90c)에 의해서 생성된 두 개의 가상 스위치 중 제 1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 발을 위치시키면, 좌측의 냉장실 도어(204)가 개방되고, 두 개의 가상 스위치 중 제 2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 발을 위치시키면, 좌측의 냉동실 도어(301)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사람이 다수의 가상 스위치를 확인한 후 개방될 도어를 용이하게 선택하기 위하여, 가상 스위치는 안내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안내 문구는 "upper"와 "lower"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모든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고, 사람이 쉽게 개방이 필요한 도어를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3에서 설명한 것과 달리, 냉동실 도어(301, 302)에 자동으로 개방될 도어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센싱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도 53과 같이 냉장고(1)가 4개의 도어를 포함하는 경우, 4개의 센싱어셈블리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하나의 센싱어셈블리가 하나의 광 패턴을 투사하되, 발의 움직임의 패턴(가상 스위치의 가려짐 패턴)에 따라 개방될 도어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이는 패턴으로 상측의 냉장실 도어를 선택할 수 있고, 발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패턴으로 하측의 냉동실 도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4는 제 5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2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냉장고의 종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a)는, 일 예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일 수 있다. 즉, 냉장고(1a)에서 냉동실 도어(30)와 냉장실 도어(20)가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상기 냉동실 도어(30) 중 어느 하나에는 제 2 감지장치(8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제 2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장고(1a)의 높이의 1/2 이상의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에는 제 1 센싱어셈블리(90a)가 배치되고,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제 2 센싱어셈블리(90b)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사람을 감지하면, 두 개의 센싱어셈블리(90a, 90b) 각각이 광 패턴을 투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냉동실 도어(30) 및 냉장실 도어(20) 각각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에는 두 개의 가상 스위치가 생성될 수 있고, 사람은 개방이 필요한 도어에 대응하는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 발을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면, 발이 위치된 가상 스위치와 대응되는 냉동실 도어(30) 또는 냉장실 도어(20)가 도어 개방장치(70')에 의해서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물론, 냉동실 도어(30)와 냉장실 도어(20) 중 어느 하나만이 개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자동 개방이 가능한 도어에 제 2 감지장치(81)와 센싱어셈블리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5는 제 6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5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 2 감지장치(81)의 개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a)의 경우, 냉동실 도어(30) 및 냉장실 도어(20) 각각에 제 2 감지장치(8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에 제 1 센싱어셈블리(90a)가 구비되고, 냉장실 도어(20)에 제 2 센싱어셈블리(90b)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30)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람은 냉동실 도어(30)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냉동실 도어(30)에 구비되는 제 2 감지장치(81)가 사람을 감지하고, 상기 제 1 센싱어셈블리(90a)가 광 패턴을 투사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냉장실 도어(20)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람이 냉장실 도어(20)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냉장실 도어(20)에 구비되는 제 2 감지장치(81)가 사람을 감지하고, 상기 제 2 센싱어셈블리(90b)가 광 패턴을 투사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 및 냉동실 도어(30) 각각에 배치되는 제 2 감지장치(81)가 동시에 사람을 감지하지 않도록, 두 개의 제 2 감지장치(81)의 이격 거리는 일정 거리 만큼 확보 되어야 한다. 일 예로 이격 거리는 일반적인 사람의 좌우 폭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두 개의 제 2 감지장치(81) 중 어느 한 센서가 사람을 감지하고, 그 이후에, 나머지 센서가 사람을 감지하여도 상기 나머지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는 무시할 수 있다.
도 56은 제 7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5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냉장실 도어의 형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b)의 경우, 냉장실 도어(20)가 홈바 도어(205)(또는 보조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냉장실 도어(20)가 제 1 도어와 홈바 도어인 제 2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홈바 도어(205)에는 제 2 감지장치(81)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냉장실 도어(12), 냉동실 도어(15) 및 홈바 도어(205)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에는 제 1 센싱어셈블리(90a)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제 3 센싱어셈블리(90c)가 배치될 수 있다.
사람이 냉장실 도어(20) 및 홈바 도어(205) 중 개방될 도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 3 센싱어셈블리(90c)는 두 개의 광 패턴을 투사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에 두 개의 가상 스위치가 생성될 수 있다.
사람이 두 개의 가상 스위치를 확인하고 개방될 도어를 용이하게 선택하기 위하여, 각 가상 스위치는 안내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안내 문구는 "홈바 도어"와 "냉장실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사람을 감지하면, 상기 제 1 센싱어셈블리(90a)에서 광 패턴이 투사되고, 상기 제 3 센싱어셈블리(90c)에서 두 개의 광 패턴이 투사될 수 있다.
즉, 바닥면에는 세 개의 가상 스위치가 생성될 수 있고, 사람은 세 개의 가상 스위치 중 어느 한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 발을 위치시킬 수 있다.
도 56에는 일 예로 홈바 도어(205)의 상하 길이가 냉장실 도어(20)의 상하 길이 보다 짧은 것이 도시되나, 홈바 도어(205)의 상하 길이가 냉장실 도어(20)의 상하 길이와 동일한 경우에도 도 55에서 설명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제 3 센싱어셈블리가 상기 홈바 도어(205)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냉동실 도어(30)가 홈바 도어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냉동실 도어(30) 또는 홈바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도 57은 제 8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7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 2 감지장치의 개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b)의 경우, 냉장실 도어(20)가 홈바 도어(205)(또는 보조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홈바 도어(205)에는 제 2 감지장치(8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 도어(30)에도 제 2 감지장치(8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에는 제 1 센싱어셈블리(90a)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제 2 센싱어셈블리(90b)가 배치될 수 있다
사람이 냉장실 도어(20) 및 홈바 도어(205) 중 개방될 도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센싱어셈블리(90b)는 두 개의 광 패턴을 투사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에 두 개의 가상 스위치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30)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람이 냉동실 도어(30)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냉동실 도어(30)에 구비되는 제 2 감지장치(81)가 사람을 감지하고, 상기 제 1 센싱어셈블리(90a)가 광 패턴을 투사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냉장실 도어(20) 또는 홈바 도어(205)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람이 냉장실 도어(20)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냉장실 도어(20) 또는 홈바 도어(205)에 구비되는 제 2 감지장치(81)가 사람을 감지하고, 상기 제 2 센싱어셈블리(90b)가 두 개의 광 패턴을 투사할 수 있다.
사람은 두 개의 가상 스위치 중 어느 한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 발을 위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홈바 도어(205) 또는 냉장실 도어(20)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 58은 제 9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2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냉장고의 종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c)는, 일 예로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일 수 있다. 즉, 냉장고(1c)에서 냉동실 도어(30)와 냉장실 도어(20)가 상하로 배치되되, 냉동실 도어(30)의 하방에 냉장실 도어(20)가 위치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냉동실 도어(30)와 냉장실 도어(20)가 각각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에 제 2 감지장치(81)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냉장실 도어(20)에 센싱어셈블리(90e)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냉동실 도어(30)와 냉장실 도어(20) 중 개방될 도어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센싱어셈블리(90e)는 두 개의 광 패턴을 투사할 수 있다.
도 59는 제 10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9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냉장고의 종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c)의 경우, 냉동실 도어(30)에 제 2 감지장치(81)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냉장실 도어(20)에 제 1 센싱어셈블리(90a) 및 제 2 센싱어셈블리(90b)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사람을 감지하면, 두 개의 센싱어셈블리(90a, 90b) 각각이 광 패턴을 투사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에는 두 개의 가상 스위치가 생성될 수 있고, 사람은 개방이 필요한 도어에 대응하는 가상 스위치 상에 발을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면, 발이 위치된 가상 스위치와 대응되는 냉동실 도어(30) 또는 냉장실 도어(20)가 도어 개방장치(70')에 의해서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물론, 냉동실 도어(30)와 냉장실 도어(20) 중 어느 하나만이 개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제 2 감지장치(81)는 냉동실 도어(30)에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센싱어셈블리(90a, 90b)는 냉장실 도어(20)에 배치되어, 개방될 도어 또는 캐비닛에 도어 개방장치(70')가 배치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들에서는 냉장고가 다수의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냉장고가 하나의 도어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에 제 2 감지장치, 도어 개방장치 및 센싱어셈블리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도어 개방장치는 캐비닛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냉장고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될 때, 도어의 자동 개방을 알리기 위한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시된 발명에 따르면, 사람의 조작 없이 개방될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사람이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도어 개방 동작 없이 냉장고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냉장고가 다수의 도어를 포함하는 경우, 다수의 도어 중에서 개방될 도어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원리 및 사상을 벗어나는 것 없이 이들 실시 예를 변경시킬 수 있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들의 등가에서 정의된다.
반면에, 상기 실시 예들은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고들에 제한되지만, 본 발명은 상기 냉장고들을 포함하는 개폐 가능한 도어들을 갖는 모든 전자 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냉장고들 이외의 다른 장치들 또는 기기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세탁기, 건조기, 오더 세탁-건조기(oder wash-dryer)와 같은 세탁물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몸체 및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고,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물 투입구를 구비한다. 상기 세탁물 투입구는 상기 몸체의 전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통해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세탁물 수용부는 상기 몸체 상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가 세탁물을 건조하는 역할을 하면, 상기 세탁물 수용부는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가 세탁물을 세탁하고 건조하는 역할을 하면, 상기 세탁물 수용부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그 안에 세탁수를 저장하는 통(tub), 및 상기 통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안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드럼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부(또는 힌지 모듈)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고 그 안에 세탁물 투입구를 갖는 도어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닫혀있는 상태로 상기 도어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고, 열려있는 상태로 상기 도어 수용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도어는 열려있는 상태로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되고,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상기 도어의 개방장치 수용부 내부에 구비되고 구동모터를 갖는 도어 개방장치 -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다수의 기어들, 및 상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에 대해 상기 다수의 기어들에 의해 이동 가능한 푸쉬로드를 포함함 -, 및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실(compartment door)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작동시킴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정의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하단에 형성되는 경사부 - 상기 경사부는 상기 냉장고가 배치되는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됨 -; 상기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센싱어셈블리 -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경사부에 형성되는 장착홀을 통해 노출됨 -;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 개방장치 -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상기 센싱어셈블리의 작동의 감지로 구동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함 -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냉장고가 배치되는 바닥면 상에 소정의 상을 투사하는 투사장치; 및 상기 투사장치에 의해 상기 바닥면 상에 투사되는 상기 상의 영역 상에 광 빔을 조사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그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데코를 구비하고,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로어 데코에 장착된다.
상기 로어 데코는 상기 센싱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센싱어셈블리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는 단열재가 형성되는 공간과 구획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는 상기 도어의 힌지와 떨어진 코너부에 형성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는, 센싱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어셈블리 수용부; 및 상기 어셈블리 수용부의 측방에 형성되는 커넥터 수용부 -상기 커넥터 수용부는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메인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함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수용부는 전선이 상기 로어 데코로 유입되는 전선 안내홀을 구비한다.
하방으로부터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힌지는 상기 로어 데코에 장착되고, 상기 힌지에 가깝게 있는 상기 로어 데코는 상기 전선이 상기 로어 데코의 외부로 안내되는 데코 전선홀을 구비한다.
전선을 고정시키는 전선 고정부는 상기 전선 안내홀과 상기 데코 전선홀 사이에서 상기 로어 데코의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의 내측은 경사지거나 둥글게 형성되고, 상기 센싱어셈블리의 후단을 지지한다.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어셈블리 가이드는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가이드 경사부는 상기 센싱어셈블리가 상기 도어의 내측에 경사되는 상태로 상기 센싱어셈블리가 고정되게 하기 위해 상기 어셈블리 가이드의 상단면에 있다.
상기 가이드 경사부는, 상기 어셈블리 가이드의 전단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경사부 - 상기 제 1 경사부는 상기 센싱어셈블리의 인입에서 상기 센싱어셈블리와 접촉함 -; 및 상기 제 1 경사부의 후단에서 상기 제 1 경사부보다 더 낮은 기울기를 갖도록 연장되는 제 2 경사부 - 상기 제 2 경사부 상기 센싱어셈블리의 장착이 완료되는 경우 하방으로부터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지지함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투사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가 케이스에 일체화되어 수용되는 모듈 상태로 상기 센싱어셈블리 장착부에 장착된다.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투사장치의 수직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도어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도어 플레이트 -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의 정면 및 측면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경사부를 형성하기 위해 절곡되는 하단을 가짐 -; 상기 도어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상기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데코; 및 상기 도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로어 데코 - 상기 로어 데코에는 상기 센싱어셈블리가 고정 장착됨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의 단부를 따라 절단되는 도어 슬릿은 상기 경사부가 형성되는 상기 도어의 코너부에 형성된다.
상기 도어 슬릿은 상기 경사부와 접촉하는 측면의 코너부에 형성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는 그 안에 형성된 커버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링 부재는 도어 라이너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 라이너의 배면과 밀착되고, 상기 도어 슬릿을 차폐하기 위해 상기 도어 슬릿으로 인입된다.
상기 커버링 부재는 상기 도어 슬릿을 채우기 위해 상기 도어 슬릿으로 삽입되는 리브부를 구비한다.
상기 리브부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동일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링 부재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제 1 면;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경사면 및 전면과 접촉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부 - 상기 리브부는 상기 도어 슬릿으로 삽입됨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데코는 단부에 형성되는 커버링 부재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링 부재 삽입부는 상기 커버링 부재의 하단에 고정 삽입되도록 함몰되게 형성된다.
냉장고를 제조하는 방법은: 금속 판형의 도어 플레이트를 복수 회 절곡함으로써 전면, 측면, 및 경사면을 형성하는 단계; 도어 라이너, 어퍼 데코, 및 로어 데코를 상기 도어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단계; 발포액을 주입함으로써 단열재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전면의 장착홀을 통해 도어의 외부에서 센싱어셈블리의 커넥터를 메인 제어부의 커넥터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커넥터 및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상기 장착홀을 통해 삽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상기 장착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냉장고를 제조하는 방법은: 원소재로서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판형의 도어 플레이트 상에 블랭킹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도어의 외형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냉장고의 상기 도어의 전면, 경사면, 및 양 측면이 형성됨 -;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포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발포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 플레이트를 복수 회 절곡함으로써 상기 경사면과 측면 사이에 도어 슬릿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블랭킹 가공이 수행되는 경우, 절개부는 상기 경사면과 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정의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 상기 도어는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개방되도록 구성됨 -; 상기 냉장고의 함몰부에 구비되는 센서어셈블리, -상기 함몰부는 상기 냉장고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센서어셈블리는 일정 거리 내의 사용자의 존재에 대한 제 2 센서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센서, 및 상기 냉장고의 전방의 지면에 상을 투사하도록 구성되는 투사부를 구비함 -; 및 상기 냉장고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일정 거리 내의 상기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에 대한 상기 제 1 센서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투사된 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센서의 감지 범위 내에 있다.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제 2 센서보다 수직으로 더 낮은 위치에서 상기 냉장고의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도어 내에 위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캐비닛 상에 미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장실은 상단 저장실 및 하단 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는 상기 상단 저장실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상단 저장실 도어 및 상기 하단 저장실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하단 저장실 도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상단 저장실 도어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센서는 상기 상단 저장실 도어에 구비된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냉장고의 전면으로부터 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어셈블리는 상기 경사면에 구비된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냉장고의 전면에 대해 대략 20° 내지 3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지향된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하단 저장실 도어에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하단 저장실 도어의 하단에 형성된다.
상기 투사부는 상기 경사면 상에서 상기 제 1 센서보다 수직으로 더 낮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일부분이 상기 투사된 상과 상기 제 1 센서 사이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의 일부분이 상기 위치센싱장치의 감지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위치센싱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 1 센서는 제 1 위치센싱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위치센싱장치의 감지 범위는 15 cm 미만이다.
상기 제 2 센서는 제 2 위치센싱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위치센싱장치의 감지 범위는 대략 15와 100 cm 사이이다.
상기 도어는 사용자에 의한 회동시에 설정된 수동 범위로 회동 가능하게 개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한 회동시에 상기 설정된 수동 범위 미만인 설정된 자동 범위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자동 범위는 대략 25°이다.
상기 설정된 수동 범위는 대략 180°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투사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한 도어의 개방 이전 또는 설정시간의 경과에 기초하여, 상기 지표면 상에 상기 상을 투사하는 것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사된 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냉장고의 전면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싱어셈블리;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센싱어셈블리가 동작되는 경우 구동되고,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냉장고가 장착되는 바닥면 상에 소정의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장치; 및 상기 투사장치에 의해 상기 바닥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영상의 영역에 빛을 조사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투사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가 일체형 케이스에 수용되는 모듈형 타입으로 형성된다.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투사장치의 상방에 구비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되도록 상기 도어의 하단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장착된다.
상기 도어의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데코는 상기 도어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로어 데코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외형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투사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빛이 투과되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고, 상기 도어의 전면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투사장치가 장착되는 투사부, 및 상기 투사부의 상방에 형성되고 상기 감지장치가 장착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도어의 내측에 경사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투사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방되는 피시비 홀이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를 구속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결합되는 후크 구속부가 상기 케이스 커버의 둘레에 형성된다.
상기 도어의 전면에 형성되는 장착홀에 구속되고 상기 센싱어셈블리가 고정 장착되게 할 수 있는 커버 고정 후크가 상기 케이스 커버의 둘레에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커버의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도어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전면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데코 플레이트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는 양측으로부터 결합되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는 서로 결합되고, 상기 투사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는 그 안에 수용된다.
상기 투사장치는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가 장착되는 LED 피시비, 상기 LED로부터의 빛이 투과되고 투사될 문자가 형성되도록 상기 LED 피시비의 전방에 구비되는 필름, 및 상기 상이 상기 바닥면 상에 형성되도록 초점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필름의 전방에 구비되는 다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이 삽입되는 필름 슬롯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다.
상기 필름 상에 형성되는 상기 문자는 그 상방의 폭이 그 하방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문자의 상기 상방 및 상기 하방의 상기 폭의 비율은 지면에 대해 상기 투사장치의 기울기에 비례한다.
상기 필름 상에 형성되는 상기 문자는 상기 필름 상에 인화된다.
상기 감지장치는 사용자의 접근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센싱장치(position sensing device(PSD))이다.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바닥면 상에 형성되는 상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상기 적외선이 반사되어 수신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의 외부 사이를 구획하는 베리어가 더 형성된다.
상기 베리어는 상기 감지장치가 수용되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냉장실이 상방에 배치되고, 냉동실이 하방에 배치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을 개방하기 위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냉동실 도어; 상기 냉동실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싱어셈블리; 및 상기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센싱어셈블리가 동작되는 경우 구동되고,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냉장고가 장착될 수 있는 바닥면 상에 소정의 상을 투사하는 투사장치; 및 상기 투사장치에 의해 상기 바닥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상의 영역에 빛을 조사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제 1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 2 감지장치는 상기 냉동실 도어의 측면과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는 냉장실 도어에 구비된다.
상기 제 1 감지장치 및 상기 제 2 감지장치는 동일한 연장선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감지장치 및 상기 제 2 감지장치는 상기 냉장실 도어 및 상기 냉동실 도어의 힌지와 떨어진 측단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감지장치의 감지 거리는 상기 제 2 감지장치의 감지 거리보다 더 길다.
상기 투사장치는 감지 신호가 상기 제 2 감지장치로부터 감지되는 경우 온 된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상기 제 1 감지장치 및 상기 제 2 감지장치 둘 다로부터 감지되는 경우 온 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되도록 상기 냉동실의 하단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바닥면을 향하여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빛 및 광선을 조사한다.
상기 냉장실 도어와 함께 회동되는 스위치 자석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장착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냉장실 도어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 자석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는 리드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자석과 마주보든 상기 냉장실 도어의 힌지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센싱어셈블리는 상기 리드 스위치가 오프인 동안에 구동되지 않는다.
제 2 감지장치가 구비되는 냉장실 도어, 및 상기 냉장실 도어의 하방에 구비되고 투사장치 및 제 2 감지장치가 구비되는 냉장실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감지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 2 감지장치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투사장치를 온 시키고, 바닥면 상에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하기 위한 상을 투사하는 단계; 상기 제 1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바닥면 상에 투사되는 상기 상의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 1 감지장치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투사장치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구동되고, 상기 캐비닛을 밀고,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장치는 상기 냉장실 도어의 일측에 구비된다.
스위치 자석은 상기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냉장실 도어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 자석에 의해 스위치 온/오프되는 리드 스위치는 상기 냉장실 도어의 힌지에 구비되고, 상기 투사장치 및 상기 제 1 감지장치는 상기 리드 스위치가 오프되는 동안에 오프된다.
상기 투사장치가 온 되는 동안에 상기 제 1 감지장치가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에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투사장치는 오프된다.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는 방법은 제 2 감지장치를 통해 사람을 감지하는 단계; 냉장고가 배치되는 바닥면 상에 센싱어셈블리를 통해 광 패턴을 투사하는 단계; 상기 제 2 감지장치가 사람을 검출하거나 상기 광 패턴이 투사되는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 1 감지장치가 도어 개방 신호를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감지장치가 상기 도어 개방 신호를 검출하였다고 판단되면 도어 개방장치를 통해 상기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가상 스위치는 광 패턴을 투사함으로써 상기 바닥면에 상에 생성되고, 상기 도어 개방 신호는 사람이 발을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사람이 발을 가상 스위치의 상방에서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움직이는 것 중 하나이다.
상기 도어 개방방지는 상기 제 2 감지장치에서 사람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동안에 상기 제 1 감지장치가 도어 개방 신호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감지장치가 사람을 검출하거나 상기 광 패턴이 투사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제 1 감지장치가 상기 도어 개방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통해 광 패턴의 투사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감지장치가 사람을 검출하였고 따라서 상기 광 패턴이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통해 투사중이지만 상기 제 2 감지장치가 상기 기준 시간 전에 사람을 검출하지 못하면,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통해 광 패턴의 투사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는 방법은, 제 2 감지장치를 통해 사람을 검출하는 단계; 냉장고가 배치되는 바닥면 상으로 하나 이상의 센싱어셈블리를 통해 하나 이상의 광 패턴을 투사하는 단계; 제 1 감지장치가 다수의 도어 중 하나 이상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개방 신호를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감지장치가 상기 도어 개방 신호를 검출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통해 상기 다수의 도어 중 하나 이상의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광 패턴들을 투사하는 단계는 하나의 센싱어셈블리를 통해 다수의 광 패턴을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광 패턴은 바닥면 상에 다수의 가상 스위치를 형성하고, 다수의 가상 스위치 중 하나 이상의 가려지는 가상 스위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가 개방된다.
하나 이상의 광 패턴을 투사하는 단계는 다수의 센싱어셈블리를 통해 다수의 광 패턴을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광 패턴은 상기 바닥면 상에 다수의 가상 스위치를 형성하고, 다수의 가상 스위치 중 하나 이상의 가려지는 가상 스위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가 개방된다.
하나의 광 패턴은 상기 바닥면 상에 가상 스위치를 형성하고, 다수의 도어 중 개방될 도어는 상기 가상 스위치의 가려짐 패턴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제 2 감지장치를 통해 사람을 검출하는 단계는 다수의 도어 중 둘 이상의 도어에 각각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제 2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사람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고,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냉장실 도어 - 상기 다수의 냉장실 도어 중 전부 또는 일부는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를 포함함 -;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냉장실 도어의 하방에서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냉동실 도어; 상기 다수의 냉장질 도어 중 하나 이상의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고 사람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 2 감지장치; 상기 다수의 냉장실 도어 중 하나 이상의 냉장실 도어 또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고 구동모터를 갖도록 구성되는 도어 개방장치; 상기 다수의 냉동실 도어 중 하나 이상의 냉동실 도어에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광 패턴을 투사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싱어셈블리; 바닥면 상에 상기 하나 이상의 광 패턴에 의해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가상 스위치의 가려짐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 1 감지장치; 및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감지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스위치의 가려짐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냉장실 도어 및 냉동실 도어 중 하나 이상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작동시킨다.
상기 바닥면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냉장실 도어 및 상기 냉동실 도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들과 중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고,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 도어의 측방에 구비되고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냉동실 도어; 상기 냉장실 도어 및 상기 냉동실 도어 중 하나 이상의 도어들에 구비되고 사람을 감시하도록 구성되는 제 2 감지 장치; 상기 냉장실 도어 및 상기 냉동실 도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들에 구비되고 구동모터를 갖도록 구성되는 도어 개방장치; 상기 냉장실 도어 및 상기 냉동실 도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들에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광 패턴을 투사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싱어셈블리; 바닥면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광 패턴에 의해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가상 스위치의 가려짐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 1 감지장치; 및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감지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스위치의 가려짐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냉장실 도어 및 상기 냉동실 도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작동시킨다.
상기 바닥면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냉장실 도어 및 상기 냉동실 도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들과 중첩된다.
상기 제 1 감지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높이의 1/2보다 이상의 위치에 배치된다.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고,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 도어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냉동실 도어; 상기 냉동실 도어에 구비되고 사람을 감시하도록 구성되는 제 2 감지 장치; 상기 냉장실 도어 및 상기 냉동실 도어 중 하나 이상의 도어 또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고, 구동모터를 갖도록 구성되는 도어 개방장치; 상기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광 패턴을 투사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싱어셈블리; 바닥면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광 패턴에 의해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가상 스위치의 가려짐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 1 감지장치; 및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감지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스위치의 가려짐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냉장실 도어 및 상기 냉동실 도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작동시킨다.
바닥면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냉장실 도어 및 상기 냉동실 도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들과 중첩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그것에 의해 높은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달성한다.

Claims (12)

  1. 냉장고로서,
    저장 공간을 갖는 저장실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로 만든 도어 플레이트 및 상기 저장실을 향하여 상기 도어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실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의 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서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는 그 상단에 상부 플레이트, 및 그 하단에 하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그 하단에 일체형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도어의 배면을 향하여 상부로부터 하부로 그것의 길이를 따라 경사지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기 경사부 및 좌우 측면은 일체형 구조를 갖기 위하여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기 판상의 소재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되는 냉장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 및 상기 저장실 도어 라이너와 결합하고, 상기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 및 상기 저장실 도어 라이너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의 하면을 형성하는 냉장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고가 배치되는 바닥면 상에 하나 이상의 광 패턴을 투사하도록 구성되는 센서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어셈블리는 도어 개방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어셈블리는 상기 경사부에 구비되는 냉장고.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도어의 전면에 대해 대략 20° 내지 30°의 소정의 각도를 갖는 냉장고.
  7. 스테인레스 강판을 원소재로 제공하는 단계;
    도어 플레이트가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하단에서 경사면 안으로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도어의 좌우 측면 안으로 형성되는 좌우 측면부를 갖도록 상기 스테인레스 강판를 블랭킹 가공하여 상기 도어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도어의 좌우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면부에 대해 상기 좌우 측면부를 절곡하는 1차 벤딩 가공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면부에 대해 상기 경사부를 절곡하는 2차 벤딩 가공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저장실 도어 라이너,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를 상기 도어 플레이트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제조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 및 상기 측면부가 서로 나누어지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하단의 일부분에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제조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어셈블리의 삽입을 위해 상기 경사부에 장착홀을 형성하는 블랭킹 가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제조 방법.
  11. 제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함몰부가 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가 서로 나누어지는 상기 도어의 상단의 일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한 것인 냉장고 도어 제조 방법.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도어의 상기 전면에 대해 대략 20° 내지 30°의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절곡되는 냉장고 도어 제조 방법.
KR1020177021682A 2015-04-27 2016-04-27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제조 방법 KR102076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03441A KR102330350B1 (ko) 2015-04-27 2016-04-27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952 2015-04-27
KR20150058952 2015-04-27
KR1020160001260 2016-01-05
KR20160001259 2016-01-05
KR1020160001259 2016-01-05
KR20160001260 2016-01-05
PCT/KR2016/004426 WO2016175563A1 (en) 2015-04-27 2016-04-27 Refrigerator with door and refrigerator door manufacturing metho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441A Division KR102330350B1 (ko) 2015-04-27 2016-04-27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994A true KR20170093994A (ko) 2017-08-16
KR102076192B1 KR102076192B1 (ko) 2020-02-11

Family

ID=5719862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725A KR102431187B1 (ko) 2015-04-27 2016-04-27 냉장고
KR1020207003441A KR102330350B1 (ko) 2015-04-27 2016-04-27 냉장고
KR1020177021682A KR102076192B1 (ko) 2015-04-27 2016-04-27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725A KR102431187B1 (ko) 2015-04-27 2016-04-27 냉장고
KR1020207003441A KR102330350B1 (ko) 2015-04-27 2016-04-27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0578349B2 (ko)
EP (2) EP3617624A1 (ko)
KR (3) KR102431187B1 (ko)
CN (2) CN111306877B (ko)
WO (1) WO201617556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5978B2 (en) 2019-08-20 2021-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KR102255088B1 (ko) * 2020-04-08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287174B2 (en) 2019-04-15 202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402147B2 (en) 2019-04-15 2022-08-02 Samsung Electronic Co., Lt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689B1 (ko) 2015-07-08 202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0260797B2 (en) * 2015-07-30 2019-04-1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550258B1 (ko) * 2016-01-05 202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6016889A (zh) * 2016-05-20 2016-10-1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制造方法
KR101897356B1 (ko) * 2016-11-03 2018-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45097B1 (ko) 2016-11-29 2021-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327386A1 (en) * 2016-11-29 2018-05-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6761136B (zh) * 2016-12-27 2018-04-2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自动开门装置及具有该装置的冰箱
KR102385823B1 (ko) * 2017-01-03 202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0544983B2 (en) 2017-01-03 2020-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JP6872916B2 (ja) * 2017-01-31 2021-05-1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DE102017205184A1 (de) * 2017-03-28 2018-10-0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Gerätekomponente mit von oben greifbarer Mulde in einer schrägen Streifenfläche
KR102412060B1 (ko) 2017-04-26 2022-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31081B1 (ko) * 2017-05-17 2021-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N109387021A (zh) * 2017-08-04 2019-02-2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器具
CN109387020A (zh) * 2017-08-04 2019-02-2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器具
DE102018131788A1 (de) * 2018-04-03 2019-10-10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CN111809357B (zh) * 2019-04-12 2024-03-0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敲击控制机门的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USD1046931S1 (en) * 2019-06-05 2024-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210374267U (zh) * 2019-06-11 2020-04-21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2290319A (zh) * 2019-07-10 2021-01-2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组件和电器设备
CN110411110B (zh) * 2019-08-14 2023-11-14 海信冰箱有限公司 一种自动开关门冰箱以及控制方法
EP4048968B1 (en) * 2019-10-25 2024-07-10 Electrolux Do Brasil S.A. Household appliance
KR20210096950A (ko) * 2020-01-29 2021-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210157119A (ko) * 2020-06-19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157217A (ko) * 2020-06-19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57160A (ko) * 2020-06-19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22225A (ko) * 2020-08-18 2022-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02524B1 (ko) * 2020-09-22 2022-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30004004A (ko) * 2021-06-30 2023-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18766A (ko) * 2021-07-30 2023-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커버를 이용한 거리 측정 장치
KR20230071577A (ko) * 2021-11-16 202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
US20230243581A1 (en) 2022-01-28 2023-08-03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refrigerator
DE102022129298A1 (de) * 2022-11-07 2024-05-08 Emz-Hanauer Gmbh & Co. Kgaa Haushaltsgerät mit Lichtstrahlprojektionseinrichtung
WO2024143960A1 (ko) * 2022-12-30 2024-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WO2024143809A1 (ko) * 2022-12-30 2024-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381A (ko) * 2000-01-25 2001-08-04 구자홍 냉장고의 도어 자동 열림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1026817A2 (en) * 2009-09-01 2011-03-10 Arcelik Anonim Sirketi High - strength refrigerator door
KR20130034682A (ko) * 2011-09-29 2013-04-08 유장호 다도어 냉장고
KR20130139021A (ko) * 2012-06-12 2013-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도어의 제조방법, 금속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금속 판재의 가공방법, 금속 판재의 가공 장치
KR20140082961A (ko) * 2011-09-12 2014-07-03 발레오 시큐리티 하비태클 자동차의 가동형 패널을 개방하기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13658U1 (de) * 1993-09-09 1993-11-18 Nobilia-Werke J. Stickling GmbH & Co, 33415 Verl Frontplatte für Schrankelemente
JP3682743B2 (ja) * 1997-01-17 2005-08-1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自動ドアの開閉装置および不正入室防止方法
KR100603731B1 (ko) * 2004-07-09 2006-07-25 주식회사 대창 밀폐 기구용 두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457973B2 (ja) * 2005-05-27 2010-04-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US20070035521A1 (en) 2005-08-10 2007-02-15 Ping-Chang Jui Open virtual input and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7688179B2 (en) * 2005-12-12 2010-03-30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ands-free vehicle door opener
KR20080054174A (ko) * 2006-12-12 2008-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8104853B2 (en) 2006-12-19 2012-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thereof
CN201419904Y (zh) 2009-04-28 2010-03-10 吴小红 脚感应式垃圾桶
DE102009033737A1 (de) * 2009-07-17 2011-01-2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Anordnung von Sensoren für eine elektronische Betätigung einer Klappe eines Kraftfahrzeugs
KR101658668B1 (ko) 2009-10-13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CN201575653U (zh) 2010-01-08 2010-09-08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自动开门冰箱
US8092393B1 (en) * 2010-07-28 2012-01-10 Impact Sports Technologies, Inc. Monitoring device with an accelerometer, method and system
KR101311168B1 (ko) * 2011-09-11 2013-09-23 김준규 냉장고 자동문
JP5987288B2 (ja) 2011-09-28 2016-09-07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
DE102011116600B4 (de) * 2011-10-21 2017-11-23 Diehl Ako Stiftung & Co. Kg Vorrichtung zum Öffnen und/oder Schließen einer Tür
KR102102642B1 (ko) * 2013-01-30 2020-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냉장고 도어의 제조 방법 및 냉장고
KR20140102808A (ko) * 2013-02-15 2014-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121187A (ko) * 2013-04-05 201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04344658B (zh) * 2013-07-29 2018-09-25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冰箱门以及冰箱
CN203578467U (zh) * 2013-11-29 2014-05-07 滁州尚品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冰箱门板四角折弯设备
CN104061741B (zh) 2014-06-03 2016-08-17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的自动开门装置及具有它的冰箱
ES2561133B1 (es) * 2014-07-24 2016-12-01 Alejandro Rodriguez Barros Retrovisor exterior multifunción con dispositivo emisor laser incorporado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381A (ko) * 2000-01-25 2001-08-04 구자홍 냉장고의 도어 자동 열림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1026817A2 (en) * 2009-09-01 2011-03-10 Arcelik Anonim Sirketi High - strength refrigerator door
KR20140082961A (ko) * 2011-09-12 2014-07-03 발레오 시큐리티 하비태클 자동차의 가동형 패널을 개방하기 위한 방법
KR20130034682A (ko) * 2011-09-29 2013-04-08 유장호 다도어 냉장고
KR20130139021A (ko) * 2012-06-12 2013-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도어의 제조방법, 금속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금속 판재의 가공방법, 금속 판재의 가공 장치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7174B2 (en) 2019-04-15 202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402147B2 (en) 2019-04-15 2022-08-02 Samsung Electronic Co., Ltd. Refrigerator
US11320192B2 (en) 2019-04-15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815304B2 (en) 2019-04-15 202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768027B2 (en) 2019-04-15 202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287175B2 (en) 2019-08-20 202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1867450B2 (en) 2019-08-20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1480384B2 (en) 2019-08-20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0995978B2 (en) 2019-08-20 2021-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1340007B2 (en) 2019-08-20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1293687B2 (en) 2019-08-20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1397043B2 (en) 2019-08-20 2022-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1029079B1 (en) 2019-08-20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1333426B2 (en) 2019-08-20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1333427B2 (en) 2019-08-20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1280542B2 (en) 2020-04-08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313612B2 (en) 2020-04-08 202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280540B2 (en) 2020-04-08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428457B2 (en) 2020-04-08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210125408A (ko) * 2020-04-08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047613B1 (en) 2020-04-08 2021-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O2021112658A1 (en) * 2020-04-08 2021-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2255088B1 (ko) * 2020-04-08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940203B2 (en) 2020-04-08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06877B (zh) 2022-06-03
US11041670B2 (en) 2021-06-22
EP3169958B1 (en) 2019-07-31
US20200158420A1 (en) 2020-05-21
KR102330350B1 (ko) 2021-11-24
EP3617624A1 (en) 2020-03-04
EP3169958A4 (en) 2018-05-02
CN106796077B (zh) 2020-01-14
WO2016175563A1 (en) 2016-11-03
KR20210145302A (ko) 2021-12-01
CN106796077A (zh) 2017-05-31
US10578349B2 (en) 2020-03-03
US20210285715A1 (en) 2021-09-16
KR20200015847A (ko) 2020-02-12
US11852398B2 (en) 2023-12-26
KR102431187B1 (ko) 2022-08-10
KR102076192B1 (ko) 2020-02-11
EP3169958A1 (en) 2017-05-24
CN111306877A (zh) 2020-06-19
US20190086141A1 (en)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192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제조 방법
KR102678738B1 (ko) 냉장고
KR10201248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