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3696A - 3d 프린팅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3d 프린팅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3696A
KR20170093696A KR1020160180310A KR20160180310A KR20170093696A KR 20170093696 A KR20170093696 A KR 20170093696A KR 1020160180310 A KR1020160180310 A KR 1020160180310A KR 20160180310 A KR20160180310 A KR 20160180310A KR 20170093696 A KR20170093696 A KR 20170093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resin
magnetic
printing
printing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529B1 (ko
Inventor
안상범
이진규
정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70093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64Conditioning of enviro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008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70/10Composites of different types of material, e.g. mixtures of ceramics and polymers or mixtures of metals and biomaterials
    • C08K3/003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56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5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5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iron
    • C08K2003/2275Ferroso-ferric oxide (Fe3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Magnetic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3D 프린팅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형상에 관한 것으로서, 정밀하고 우수한 경화 안정성을 갖는 3차원의 입체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3D 프린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3D 프린팅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3 DIMENSIONAL PRINTING}
본 출원은 3D 프린팅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형상에 관한 것이다.
3차원 프린터는 물리적 객체를 3차원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3차원 프린팅 메커니즘을 갖는다. 이러한 3차원 프린터로 하여금 물리적 객체를 3차원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3차원 프린팅용 잉크로서, 3D 프린팅용 수지 조성물과 관련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기존의 3D 프린팅 방법은 원하는 패턴이나 입체 형상 구현을 열 또는 빛 등으로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방법 중 열경화 타입의 경우는 고분자 필라멘트를 열용융 압출해 지정된 지점에 한 방울씩 떨어뜨리며 한 층씩 적층하는 형태를 완성하는 비교적 제조 공정이 간단하지만, 정밀하지 못한 형상 및 열을 공급하는 장비에 의한 불균일한 경화 문제점, 조성물의 유기/무기 복합물질간 상분리 및 가열/냉각에 의한 열수축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광경화 타입의 경우는 정밀한 표현이 가능하지만, 장비의 크기, 보관 및 경화 후 낮은 경도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출원은 3D 프린터의 잉크로서 사용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정밀하고 우수한 경화 안정성을 갖는 3차원의 입체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3D 프린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3D 프린팅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3D 프린팅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3차원 물리적 객체를 프린팅을 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전자 장치를 실링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의 경화물은 마이크로 전자 장치, 예를 들어, 마이크로 배터리를 캡슐화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3D 프린팅용 조성물은 열경화성 화합물, 열가소성 수지 및 자성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열경화성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1 중량부 내지 34 중량부, 2 중량부 내지 28 중량부, 2 중량부 내지 17 중량부, 3 중량부 내지 13 중량부 또는 4 중량부 내지 9 중량부의 범위로 상기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특정 조성 및 함량 범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수지 조성물이 3D 입체 형상을 형성함에 있어서 목적하는 형태를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3D 입체 형상을 형성할 경우, 잉크 조성물은 3D 프린터에서 노즐을 통해 인쇄되는데, 이 경우 상기 잉크의 흐름성이 낮다면 목적하는 형태의 형성이 불가능하고, 너무 높다면 노즐을 통한 도포가 어렵다. 따라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3D 프린팅에 있어서, 적합한 정도의 흐름성을 가지면서도, 적층면에 대한 부착성, 경화 후 경화 균일성 및 형태 안정성을 가져야 한다. 본 출원은 상기 인쇄 작업에서 적합한 흐름성 및 부착성으로 입체 형상을 유지하면서, 경화된 후에는 우수한 경화 균일도를 갖는 3D 프린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3D 프린팅 조성물은 경화 전 표면 에너지가 20 mN/m 내지 50 mN/m, 22mN/m 내지 48mN/m, 22mN/m 내지 43mN/m 또는 23mN/m 내지 38mN/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조성물의 표면 에너지를 제어함으로써, 조성물 도포 시 흐름성이 조절되고 입체 형상의 적층면에 대한 부착력을 유지하여, 입체 형상의 형태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경화 전의 조성물에 대한 표면 에너지는 Kruss사의 Tensiometer K10ST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 에너지는 Wilhelmy plate method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공지의 둘레를 갖는 백금으로 생성된 수직판을 저울에 부착시키고, 젖음에 의한 힘은 상기 수직판이 성막 조성물로 내려올 때, 디지털 장력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아래에 잉크 조성물을 담아두는 용기가 있고, 위에서 수평으로 루프 타입의 백금 수직판이 천천히 내려와 두 계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젖음에 의한 힘으로 상기 표면 에너지를 측정한다.
또한,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상기 3D 프린팅 조성물은 경화 후 표면 에너지가 20 mN/m 내지 55 mN/m, 23mN/m 내지 52mN/m, 26mN/m 내지 48mN/m 또는 28mN/m 내지 43mN/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경화 후의 조성물의 표면 에너지를 제어함으로써, 우수한 표면 물성을 갖는 입체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 표면 에너지(γsurface, mN/m)는 γsurface = γdispersion + γpolar 로 계산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표면 에너지는 물방울형 분석기(Drop Shape Analyzer, KRUSS사의 DSA100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에너지는 측정하고자 하는 3D프린팅 조성물을 SiNx 기판에 약 50㎛의 두께와 4 cm2의 코팅 면적(가로: 2cm, 세로: 2cm)으로 도포하여 입체 형상을 형성한 후(스핀코터), 자기장을 인가하여 열경화시킨다. 경화 후 상기 막에 표면 장력(surface tension)이 공지되어 있는 탈이온화수를 떨어뜨리고 그 접촉각을 구하는 과정을 5회 반복하여, 얻어진 5개의 접촉각 수치의 평균치를 구하고, 동일하게, 표면 장력이 공지되어 있는 디요오드메탄(diiodomethane)을 떨어뜨리고 그 접촉각을 구하는 과정을 5회 반복하여, 얻어진 5개의 접촉각 수치의 평균치를 구한다. 그 후, 구해진 탈이온화수와 디요오드메탄에 대한 접촉각의 평균치를 이용하여 Owens-Wendt-Rabel-Kaelble 방법에 의해 용매의 표면 장력에 관한 수치(Strom 값)를 대입하여 표면 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조성물의 경화 전 또는 경화 후 표면 에너지를 제어함으로써, 조성물 도포 시 흐름성을 조절하고 입체 형상의 적층면에 대한 부착력을 유지시켜, 입체 형상의 형태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전술한 열경화성 화합물 및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경화 전 또는 경화 후 표면 에너지 범위를 만족하도록 그 화합물 또는 수지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상기 자성체 입자는 2 이상의 자구(Multi-Magnetic Domains)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 입자는 외부 자기장이 없을 때는 자구가 불규칙하게 배열되고 외부 교류 자기장에 의해 자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 자구가 불규칙하게 배열된다는 의미는 자구에 존재하는 자성 방향이 각각 상이하고 정렬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 경우 상온에서 자화의 net 값이 0으로서 자성이 없는 상태일 수 있다. 그러나, 외부 자기장이 인가될 경우, 자구의 자성 방향이 정렬되고 이로써 자성체 입자가 자화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 입자는 초상자성 입자(Super-paramagnetic particl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 따른 3D 프린팅 방법은, 상기 조성물을 입체적으로 도포하여 입체 형상을 형성시키고, 자기장 인가를 통해 상기 자성체 입자로부터 진동열을 발생시키며, 이에 따라 열경화성 화합물 전체를 균일하게 경화시킬 수 있다.
기존의 3D 프린팅 방법 중, 금속이나 전도성 물질(탄소, 카본 나노튜브)을 첨가하여 전자유도나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열을 발생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수지의 경화나 소결 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전자기유도의 경우는 접촉면과 내부의 온도 차가 발생하여 경화 후 수지의 물리적 특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마이크로파의 경우는 공정 중 교체 작업 시 인체에 피폭의 위험성이 있다.
본 출원은 전자기유도가열을 통한 자성체 입자의 자성 전환(Magnetization Reversal)으로 진동열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열로 상기 열경화성 화합물을 경화시킬 수 있다. 종래의 전자 유도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기술의 경우, 에디 커런트(eddy current)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것이고, 이는 금속이나 자성체의 히스테리시스 손실(hysteresis loss)에 의해 열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본 출원의 경우, 자성체의 입자가 작아져서 나노 사이즈로 되면서, 자성체 자체의 히스테리시스 손실이 작아지고 포화 자화 값(saturation magnetization value)만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본 출원은 에디 커런트가 아닌 자성체간의 진동에 의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본 출원은 외부 자기장 하에서 자성체 입자의 보자력(coercive force)에 의해 자성체 자체가 진동을 하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열경화성 화합물을 경화시킬 수 있으며 조성물의 속에서부터 경화가 진행이 되어 우수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은 균일하고 안정적인 경화를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자성체 입자는 2 이상의 자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자구(Magnetic Domain)」란 일반적으로 자성체 내부에 자화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나뉘어진 영역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2이상의 자구를 갖는 자성체 입자는 외부 교류 자기장에 의해 자구가 강하게 자화되어 진동열을 발생시키고, 자기장을 없애면 원래 상태의 자구로 돌아가며, 이로써 히스테리시스 손실의 잔류 자화가 낮은 자성체 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자성체 입자는 보자력이 1 내지 200 kOe, 10 내지 150kOe, 20 내지 120kOe, 30 내지 100kOe 40 내지 95kOe 또는 50 내지 95kOe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보자력」이란 자성체의 자화를 0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임계 자기장의 세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화된 자성체는 자기장을 제거해도 어느 정도의 자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렇게 자화된 자성체에 역방향의 자기장을 걸어 자화도를 0으로 만들 수 있는 자기장의 세기를 보자력이라고 한다. 자성체의 보자력은 연자성체 또는 경자성체를 구분하는 기준이 될 수 있고, 본 출원의 자성체 입자는 연자성체일 수 있다. 본 출원은 자성체 입자의 보자력을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자성체의 자성 전환을 보다 쉽게 구현하여 본 출원에서 목적하는 정도의 진동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수지의 균일한 경화로 목적하는 정도의 경화 물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에서 측정하는 물성 값에 대해서 측정 값이 온도에 의해서 변동되는 값인 경우, 그 측정 온도는 상온, 예를 들어, 25℃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시에서, 자성체 입자는 25℃에서 포화 자화 값이 20 내지 150 emu/g, 30 내지 130emu/g, 40 내지 100emu/g, 50 내지 90emu/g 또는 60 내지 85emu/g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은 자성체 입자의 포화 자화 값을 상대적으로 크게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에디 커런트가 아닌 자성체 입자간의 진동에 의한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수지의 균일한 경화로 경화 물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자성체 입자의 물성의 측정은 VSM(Vibrating Sample Magnetometer)의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VSM은 Hall probe에 의해서 가한 인가 자장을 기록하고 시료의 자화 값은 패러데이 법칙에 의해서 시료에 진동을 가할 때 얻어지는 기전력을 기록하여 시료의 자화 값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패러데이(Faraday)법칙은 만약 막대자석의 N극을 코일 쪽으로 향하게 하여 코일 쪽으로 밀면 검류계가 움직이며 코일에 전류가 흐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나타나는 전류를 유도전류라 하고 유도기전력에 의해 만들어졌다. VSM은 이러한 기본 작동 원리에 의하여 시료에 진동을 가할 시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을 search coil에서 검출하여 이 기전력에 의해 시료의 자화 값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재료의 자기적 특성을 자기장, 온도, 시간의 함수로 간단히 측정할 수 있으며, 최대 2 테슬라의 자력과 2 K 내지 1273K 온도범위의 빠른 측정이 가능하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자성체 입자의 평균 입경이 20nm 내지 300nm, 30nm 내지 250nm, 40nm 내지 230nm 또는 45nm 내지 220nm 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 입자의 자구의 평균 크기는 10 내지 50nm 또는 20 내지 30n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입경 범위 내에서, 자성체 입자의 자구의 수 및 보자력의 크기가 적정 범위로 제어됨으로써, 상기 조성물 안에서 수지의 균일한 경화를 진행할 수 있는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은 입자의 크기를 20nm 이상으로 제어함으로써, 낮은 보자력과 다수의 자구를 통해 경화 시 충분한 진동열을 발생시킬 수 있고, 300nm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자성체 자체의 히스테리시스 손실을 작게하면서 포화 자화 값(saturation magnetization value)만이 존재하도록 하고, 이로써 균일하고 안정적인 경화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자성체 입자는 전자기 유도가열을 통해 열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자성체 입자는 금속 산화물, 페라이트 또는 합금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자성체 입자는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화학식 1]
MXaOb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이고, X는 Fe, Mn, Co, Ni 또는 Zn을 포함하며, |a × c| = |b × d|을 만족하고, 상기 c는 X의 양이온 전하이고, 상기 d는 산소의 음이온 전하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M은 Fe, Mn, Mg, Ca, Zn, Cu, Co, Sr, Si, Ni, Ba, Cs, K, Ra, Rb, Be, Li, Y, B 또는 이들의 산화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XaOb가 Fe2O3인 경우 c는 +3이고, d는 -2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XaOb가 Fe3O4인 경우, 이는 FeOFe2O3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c는 각각 +2 및 +3이고, d는 -2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자성체 입자는 상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MFe2O3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3D 프린팅 조성물은 자성체 입자를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혼합물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무기물이 도핑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물은 1가 내지 3가의 양이온 금속 또는 이들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2종 이상의 복수의 양이온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자성체 입자는 입자 표면에 표면 처리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출원의 조성물은 상기 자성체 입자의 표면에, 금속, 금속 산화물,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표면 처리된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표면 처리를 통해, 공기 중 산화에 의해 상기 자성체 입자가 자성체의 보자력(coercive force)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면처리는 후술하는 필러, 분산제 유기 용매 등과의 상용성을 증가시키고, 조성물의 분산성 개선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표면 처리는 표면에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자성체 입자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모노머를 붙여서 표면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의 고분자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자성체 입자의 표면을 산 처리하여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고, 표면 처리할 수 있으며, 실리카 입자를 코팅하는 방법을 통해서도 표면 처리가 가능하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자성체 입자는 자성체 클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나노 입자 크기의 자성체는 나노 클러스트를 형성함으로써, 자성체간의 응집을 방지하고 분산성이 향상되며, 이로써 진동열에 의해 효과적으로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자성체 입자는 열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5 중량부, 0.1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15 중량부, 3 내지 13 중량부 또는 5 내지 1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간의 중량 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중량 비율로 자성체 입자의 함량을 제어함으로써, 본 출원은 3D 프린팅 시에 충분한 열을 통해 조성물을 경화할 수 있고, 조성물의 상분리 없이 균일하게 경화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3D 프린팅 조성물은 열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화합물은 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열경화성 화합물」는, 적절한 열의 인가 또는 숙성(aging) 공정을 통하여, 경화될 수 있는 수지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열경화성 화합물의 구체적인 종류는 전술한 특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에서, 열경화성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경화성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화되어 접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서, 에폭시기, 글리시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또는 아미드기 등과 같은 열경화 가능한 관능기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화성 화합물의 구체적인 종류에는,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에스테르 수지, 이미드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열경화성 화합물로서, 방향족 또는 지방족; 또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의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구현예에서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에폭시 당량이 180 g/eq 내지 1,000 g/eq인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에폭시 당량을 가지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경화물의 접착 성능 및 유리전이온도 등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폭시 수지의 예에는, 크레졸 노볼락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 4관능성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트리 페놀 메탄형 에폭시 수지, 알킬 변성 트리 페놀 메탄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또는 디시클로펜타디엔 변성 페놀형 에폭시 수지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들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분자 구조 내에 환형 구조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기(예를 들어, 페닐기)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 수지가 방향족기를 포함할 경우, 경화물이 우수한 열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향족기 함유 에폭시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 변성 페놀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계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자일록계 에폭시 수지, 다관능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 트리페놀메탄형 에폭시 수지 및 알킬 변성 트리페놀메탄 에폭시 수지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상기 경화성 화합물은 상기 조성물이 잉크로 적용되는 점을 고려하여, 경화성 관능기를 갖는 경화성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는 2 이상의 경화성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모노머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잉크 조성물의 인쇄 특성을 우수하게 하고, 경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화 후엔 우수한 경화 경도를 구현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경화성 모노머는 후술하는 2단계 이상의 멀티프로파일 경화 방식에서, 가경화를 통해 패턴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관능기는 에폭시기, 아크릴기 또는 티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는 예를 들어,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글리시딜 에테르를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모노머는 전술한 열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로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3D프린팅용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스티렌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옥시알킬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폴리우레탄, 셀룰로오스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스티렌 수지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ABS),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블록 공중합체(ASA),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계 단독 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올레핀 수지로는, 예를 들면, 고밀도폴리에틸렌계 수지, 저밀도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면, 에스터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이소부틸렌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폴리옥시에틸렌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탄화수소 수지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헥사트리아코탄(hexatriacotane) 또는 파라핀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는, 예를 들면, 나일론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소 수지로는, 폴리트리플루오로에틸렌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수지,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수지,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 폴리플루오린화비닐, 폴리플루오린화에틸렌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나열한 수지는, 예를 들면, 말레산무수물 등과 그라프트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나열된 다른 수지 내지는 수지를 제조하기 위한 단량체와 공중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그 외 다른 화합물에 의하여 변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화합물의 예로는 카르복실-말단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의 범위는 8,000 내지 100만, 9,000 내지 80만 또는 11,000 내지 30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로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에 대한 환산 수치를 의미한다. 본 출원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을 범위를 제어함으로써, 3D프린팅에 있어서 적합한 물성을 갖고 정밀한 입체 형상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며, 가공성을 개선시키고 경화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한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경화 전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50℃, 55℃ 내지 144℃, 64℃ 내지 138℃ 또는 72℃ 내지 123℃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범위를 제어함으로써, 3D 프린팅 공정의 도포 공정 또는 자기장 인가 공정에서, 입체 형상을 유지하여 정밀한 입체 형상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3D프린팅용 조성물은 열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경화성 화합물과 반응하여, 가교 구조 등을 형성할 수 있는 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화제는, 그 수지에 포함되는 관능기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한 종류가 선택 및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열경화성 화합물이 에폭시 수지인 경우, 경화제로는,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로서, 예를 들면, 아민 경화제, 이미다졸 경화제, 페놀 경화제, 인 경화제 또는 산무수물 경화제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경화제로는, 상온에서 고상이고, 융점 또는 분해 온도가 80℃ 이상인 이미다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2-메틸 이미다졸, 2-헵타데실 이미다졸, 2-페닐 이미다졸, 2-페닐-4-메틸 이미다졸 또는 1-시아노에틸-2-페닐 이미다졸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화제의 함량은, 조성물의 조성, 예를 들면, 열경화성 화합물의 종류나 비율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화제는, 열경화성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1 중량부 내지 10중량부 또는 1 중량부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중량 비율은, 열경화성 화합물의 관능기의 종류 및 비율, 또는 구현하고자 하는 가교 밀도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3D 프린팅 조성물은 필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러는 유기 필러, 무기 필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필러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유리섬유, 실리카, 합성고무, TiO2, 유/무기안료, 클레이, 또는 탈크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필러는 열경화성 화합물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100 중량부, 10 내지 80 중량부 또는 2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필러를 사용함으로써, 조성물이 경화된 후 기계적 물성(강성, 강화)을 확보할 수 있고, 나노 크기의 자성체와 유기물질과의 분산성 및 접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시에서 3D 프린팅 조성물은 상기 자성체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분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될 수 있는 분산제로는, 예를 들면, 자성체 입자의 표면과 친화력이 있고, 열경화성 화합물과 상용성이 좋은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분산제로서 산 또는 염기성기가 함유된 타입, 중량평균분자량 1만 이상의 고분자량 아크릴계 고분자 타입, 무기계 소다계 타입, 금속염계 타입의 분산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열경화성 화합물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10 중량부, 0.1 내지 8 중량부 또는 0.15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3D 프린팅용 조성물에는 상술한 구성 외에도 전술한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용도, 열경화성 화합물의 종류 및 후술하는 3D 프린팅 공정에 따라 다양한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커플링제, 가교제, 경화성 물질, 점착 부여제, 자외선 안정제 또는 산화 방지제 등을 목적하는 물성에 따라 적정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화성 물질은, 상술한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외에 별도의 포함되는 열경화성 관능기 및/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관능기를 가지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3D 프린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3D 프린팅 방법은 전술한 조성물을 입체적으로 도포하여, 입체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3D 프린팅 방법은, 상기 조성물을 입체적으로 도포하여 입체 형상을 형성시킨 후, 자기장 인가 단계를 통해 상기 자성체 입자로부터 진동열을 발생시키며, 이에 따라 열경화성 화합물을 균일하게 경화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자기장을 인가하는 단계 이전에, 열경화성 화합물 성분의 경화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서 30℃ 내지 100℃에서, 열경화성 화합물과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을 압출이나 사출로 몰드 성형하거나 노즐을 통해 입체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방법은 상기 몰드 또는 입체 형상을 냉각한 후, 교류 자기장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열경화성 화합물을 경화시켜, 열가소성 수지의 부족한 물리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비결정성을 갖는 염화비닐수지, 폴리스타이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ABS)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3D 프린팅 방법은,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열경화성 화합물과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을 직접적으로 교류 자기장 장치로 가열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열가소성 수지는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필러 역할을 할 수 있고, 또한, 자기장을 인가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한 수축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자기장을 인가하는 단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공지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장을 인가하는 단계는 100kHz 내지 1GHz의 주파수에서 50A 내지 500A, 80A 내지 450A 또는 120A 내지 430A의 전류로 20초 내지 60분, 30초 내지 30분 또는 30초 내지 200초간 자기장을 걸어줄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자기장을 인가하는 단계는 적어도 2단계 이상의 멀티프로파일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프로파일 방식은 100kHz 내지 1GHz의 주파수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멀티프로파일 방식은 10A 내지 80A의 전류로 20초 내지 10분 동안 자기장을 인가하는 제1단계, 80A 내지 130A의 전류로 20초 내지 10분 동안 자기장을 인가하는 제2단계 및/또는 150A 내지 500A의 전류로 5초 내지 5분 동안 자기장을 인가하는 제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을 인가하는 단계는 프로파일의 기울기차를 주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멀티프로파일 방식의 경우, 계단식으로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하여 인가하는 방식이지만, 상기 기울기차를 주는 것은 100 내지 200A로 자기장을 시간을 두어 순차적으로 올라가게 하는 방식으로 급격한 발열을 막을 수 있으며, 경화되는 수지의 특성에 따라 급격한 열을 가해주면 열 분해가 일어나 경화물의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열경화는 상기와 같이 자기장 인가로 진행할 수 있고, 자기장을 인가한 후 40℃ 내지 100℃로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추가로 열을 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기장 인가와 함께 열을 가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3차원 입체 형상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입체 형상은 전술한 3D 프린팅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마이크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마이크로 전자 장치는 전술한 조성물을 함유하는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물은 실링재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로 전자 장치는 마이크로 배터리, 바이오 센서 또는 액츄에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전술한 조성물을 실링재 등으로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몰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몰드는 전술한 3D 프린팅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드는 3D 프린팅용 조성물으로 전술한 3D 프린팅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몰드는 곡면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평면 형태 또는 곡면과 평면이 공존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출원은 정밀하고 우수한 경화 안정성을 갖는 3차원의 입체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3D 프린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3D 프린팅용 조성물에 대한 적층 인쇄성 평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열경화성 화합물로서 에폭시 수지(국도화학의 YD-128) 및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글리시딜 에테르(Trimethylolpropanetriglycidyl ether)을 각각 95:5의 중량 비율로 혼합 용기에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 용기에 상기 열경화성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성체 입자로서 연자성체(Soft Type)인 FeOFe2O3 입자(Multi-Magnetic Domains, 보자력 94kOe, 포화 자화 값 80emu/g, 입경 약 100n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측정(DLS이용)) 5 중량부, 열가소성 수지로서 아크릴계 수지(DOW Plaroid사의 B60) 5중량부 및 열경화제로서 삼신화성의 SI-B2A 경화제를 0.5중량부 투입하여 3D 프린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3D 프린팅용 조성물을 공급장치에서 노즐을 통과하여 지지대 위에 적층 후, 바로 외부교류자기장 발생장치에서 100A의 전류값 및 385kHz의 조건으로 1분간 자기장을 인가하였다. 자기장의 인가는 솔레노이드 코일(3turns, OD 50mm, ID 35mm)안에 조성물을 샘플 바이알(0.4mL 용기)에 넣고 자기장 발생 장치(Ambrell사 Easyheat 820)의 전류값 및 시간을 조절하여 자기장을 인가하였다. 상기 자기장의 인가를 통해 발생하는 진동열로 상기 조성물을 열경화시켜 패턴 또는 입체 형상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열가소성 수지로서 아크릴계 수지로서 DOW Plaroid사의 A14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D 프린팅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입체 형상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3
열가소성 수지로서 LG 화학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D 프린팅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입체 형상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4
열가소성 수지로서 멜라민 수지(동광, DM-30)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D 프린팅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입체 형상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5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 우레탄 수지(국도화학, KPU-100)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D 프린팅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입체 형상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6
열가소성 수지로서 아크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엘지화학)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D 프린팅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입체 형상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7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스티렌 수지(Sigma Aldrich, Mw 13,000)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D 프린팅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입체 형상을 형성시켰다.
비교예 1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D 프린팅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입체 형상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조성물 및 입체 형상의 물성은 하기의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1. 경화 전 표면 에너지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3D 프린팅용 조성물에 대한 표면 에너지는 Kruss사의 Tensiometer K10ST를 사용하여, Wilhelmy plate metho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공지의 둘레를 갖는 백금으로 생성된 수직판을 저울에 부착시키고, 젖음에 의한 힘은 상기 수직판이 성막 조성물로 내려올 때, 디지털 장력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아래에 잉크 조성물을 담아두는 용기가 있고, 위에서 수평으로 루프 타입의 백금 수직판이 천천히 내려와 두 계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젖음에 의한 힘으로 상기 표면 에너지를 측정한다.
2. 경화 후 표면 에너지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3D 프린팅용 조성물에 대한 표면 에너지는 물방울형 분석기(Drop Shape Analyzer, KRUSS사의 DSA100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3D 프린팅용 조성물을 SiNx 기판에 약 50㎛의 두께와 4 cm2의 코팅 면적(가로: 2cm, 세로: 2cm)으로 도포한 후(스핀코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전술한 방식으로 자기장을 인가하여 경화시킨다. 경화 후 상기 막에 표면 장력(surface tension)이 공지되어 있는 탈이온화수를 떨어뜨리고 그 접촉각을 구하는 과정을 5회 반복하여, 얻어진 5개의 접촉각 수치의 평균치를 구하고, 동일하게, 표면 장력이 공지되어 있는 디요오드메탄(diiodomethane)을 떨어뜨리고 그 접촉각을 구하는 과정을 5회 반복하여, 얻어진 5개의 접촉각 수치의 평균치를 구한다. 그 후, 구해진 탈이온화수와 디요오드메탄에 대한 접촉각의 평균치를 이용하여 Owens-Wendt-Rabel-Kaelble 방법에 의해 용매의 표면 장력에 관한 수치(Strom 값)를 대입하여 표면 에너지를 구하였다.
3. 적층 인쇄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3D 프린팅용 조성물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길이 a1, 세로 길이 b1 및 높이 c1의 크기로 1차 패턴을 적층하고, 외부교류자기장 발생장치에서 100A의 전류값 및 385kHz의 조건으로 1분간 자기장을 인가하여 경화시켰다. 동일한 방식으로, 가로 길이 a2, 세로 길이 b2 및 높이 c2의 크기로 2차 패턴을 적층하고 경화시켰으며, 또, 동일한 방식으로, 가로 길이 a3, 세로 길이 b3 및 높이 c3의 크기로 3차 패턴을 적층하고 경화시켰다.
상기에서, b를 1000㎛의 폭, c를 400㎛의 높이로 적층하였고, 상기 적층에서 b 및 c의 편차 값을 계산하였다.
1) b와 c의 편차값이 20㎛ 이하인 경우 우수, 적어도 하나 이상이 20㎛ 이하인 경우 양호, b와 c의 편차값이 모두 20㎛ 초과인 경우 개선 필요로 분류하였다.
2) b의 편차값 / c의 편차값을 계산하였다. b의 편차값을 c의 편차값으로 나눈 값이 0 내지 1의 경우 완벽, 1 초과, 2.0 이하의 경우 우수, 2.0 초과, 2.6 이하의 경우 양호, 2.6 초과, 3.0 이하의 경우 개선 필요 및 3.0 초과의 경우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1)과 2)의 평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가에서, 양호 이상이 나오는 경우 인쇄성 적합으로 분류하였다.
경화 전 표면에너지
(mN/m)
경화 후 표면에너지
(mN/m)
적층 인쇄성
(b의 편차값 및 c의 편차값)
실시예 1 35.4 37.6 7㎛, 4㎛
실시예 2 33.8 36.4 6㎛, 3㎛
실시예 3 24.1 28.7 18㎛, 12㎛
실시예 4 42.9 49.1 220㎛, 85㎛
실시예 5 32.1 35.4 4㎛, 2㎛
실시예 6 30.3 32.7 9㎛, 5㎛
실시예 7 27.4 29.5 15㎛, 8㎛
비교예 1 39.6 44.6 200㎛, 70㎛

Claims (21)

  1. 열경화성 화합물, 상기 열경화성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의 열가소성 수지 및 자성체 입자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경화 전 표면 에너지가 20 mN/m 내지 50 mN/m의 범위 내인 3D 프린팅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자성체 입자는 2 이상의 자구를 가지고, 외부 자기장이 없을 때는 자구가 불규칙하게 배열되고 외부 교류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3D 프린팅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자성체 입자는 보자력이 1 내지 200 kOe의 범위 내에 있는 3D 프린팅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자성체 입자는 25℃에서 포화 자화 값이 20 내지 150 emu/g의 범위 내에 있는 3D 프린팅용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자성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20 내지 300nm의 범위 내에 있는 3D 프린팅용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자구의 평균 크기는 10 내지 50nm의 범위 내에 있는 3D 프린팅용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자성체 입자는 금속 산화물, 페라이트 또는 합금 입자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자성체 입자는 열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3D 프린팅용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자성체 입자는 자성체 클러스트를 형성하는 3D 프린팅용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자성체 입자는 자성 전환에 의해 진동하는 3D 프린팅용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열경화성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경화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조성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열경화성 관능기는 에폭시기, 글리시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히드록시기, 카복실기 또는 아미드기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조성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스티렌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옥시알킬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폴리우레탄,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는 경화 전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50℃ 의 범위 내인 3D 프린팅용 조성물.
  16. 제 1 항에 있어서, 열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조성물.
  17. 제 1 항의 3D 프린팅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입체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도포된 조성물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3D 프린팅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자기장을 인가하는 단계는 100kHz 내지 1GHz의 주파수에서 50A 내지 500A의 전류로 20초 내지 60분간 자기장을 걸어주는 3D 프린팅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자기장을 인가하는 단계는 적어도 2단계 이상의 멀티프로파일 방식을 포함하는 3D 프린팅 방법.
  21. 제 1 항의 3D 프린팅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입체 형상.
KR1020160180310A 2016-02-05 2016-12-27 3d 프린팅용 조성물 KR102049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131 2016-02-05
KR20160015131 2016-02-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575A Division KR102126705B1 (ko) 2016-02-05 2019-11-21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696A true KR20170093696A (ko) 2017-08-16
KR102049529B1 KR102049529B1 (ko) 2019-11-28

Family

ID=594999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310A KR102049529B1 (ko) 2016-02-05 2016-12-27 3d 프린팅용 조성물
KR1020190150575A KR102126705B1 (ko) 2016-02-05 2019-11-21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575A KR102126705B1 (ko) 2016-02-05 2019-11-21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49009B2 (ko)
EP (1) EP3412715B1 (ko)
JP (1) JP2019506499A (ko)
KR (2) KR102049529B1 (ko)
CN (1) CN108699281B (ko)
WO (1) WO201713557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703A1 (ko) * 2019-07-11 2021-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충전 물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74804A (ko)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성체
WO2023192589A1 (en) * 2022-03-31 2023-10-05 Evolve Additive Solutions, Inc. Additive manufactur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forming polyamide par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6320B (zh) * 2015-09-25 2020-06-09 株式会社Lg化学 用于3d打印的组合物
US11872623B2 (en) 2016-11-04 2024-01-16 Lg Chem, Ltd. Thermosetting composition
CN108342050A (zh) * 2018-01-23 2018-07-31 复旦大学 一种能用于3d打印的abs改性材料
US11952477B2 (en) 2018-02-02 2024-04-09 Lg Chem, Ltd. Curable composition
US11267981B2 (en) 2018-04-03 2022-03-0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3-D printed devices formed with conductive inks and method of making
IT201800006546A1 (it) * 2018-06-21 2019-12-21 Contenitore isotermico
WO2020227093A1 (en) * 2019-05-06 2020-11-1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3-d printed devices formed with magnetic inks and methods of making graded index structures
CN110408163A (zh) * 2019-08-01 2019-11-05 南通理工学院 一种fdm打印用abs碳纤维复合材料的生产工艺
CN111138833A (zh) * 2019-12-20 2020-05-12 东莞深圳清华大学研究院创新中心 3d打印磁性热塑性聚氨酯弹性体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8284A (ko) * 2009-02-27 2010-09-06 (주)엘지하우시스 자성반응물질을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3213281A (zh) * 2013-04-09 2013-07-24 重庆绿色智能技术研究院 基于磁流变材料的3d打印快速成型装置及方法
KR20150077611A (ko) * 2013-12-28 2015-07-08 전자부품연구원 3d 프린팅용 이중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형상의 전도체 성형물의 제조방법
US20150344682A1 (en) * 2012-11-19 2015-12-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ositions for three-dimensional (3d) printi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9188A (ja) * 1992-04-15 1995-10-12 ソーン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速プロトタイプ3次元立体リソグラフィー
JP2000094530A (ja) * 1998-09-25 2000-04-04 Canon Inc 造形装置及び造形方法
US6964811B2 (en) * 2002-09-20 2005-11-15 Hitachi Maxell, Ltd. Magnetic powd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comprising the same
DE102005049136A1 (de) * 2004-12-01 2006-06-08 Degussa Ag Zubereitung, enthaltend ein polymerisierbares Monomer und/oder ein Polymer und darin dispergiert ein superparamagnetisches Pulver
DE102005034925B4 (de) * 2005-07-26 2008-02-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agnetorheologische Elastomerkomposite sowie deren Verwendung
GB0613583D0 (en) * 2006-07-05 2006-08-16 Sericol Ltd A printing ink
JP2008107567A (ja) * 2006-10-25 2008-05-08 Sanritsu Yugenkoshi 立体視覚効果印刷物の生産工程とその組成物
JP5535474B2 (ja) * 2008-12-26 2014-07-02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磁性光硬化樹脂およびそれを用いて作成した磁性立体構造物
US9384877B2 (en) * 2010-05-27 2016-07-05 University Of South Florida Magneto dielectric polymer nanocomposites and method of making
CN102408680A (zh) * 2011-09-01 2012-04-11 西北工业大学 一种在高频磁场中实现中高温加热并固化的热固性树脂及制备方法
WO2015120429A1 (en) * 2014-02-10 2015-08-13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Three-dimensional (3d) printed composite structure and 3d printable composite ink formulation
CN103854844B (zh) * 2014-03-19 2016-09-07 北京科技大学 一种利用3d打印技术制备复杂形状粘结磁体的方法
US9757880B2 (en) * 2015-01-13 2017-09-12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Spatial heat treatment of additively manufactured objects
CN104801704B (zh) 2015-03-26 2017-01-25 成都新柯力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三维打印的形状记忆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JP6641464B2 (ja) * 2015-09-25 2020-02-0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3dプリンティング用組成物
CN108026320B (zh) * 2015-09-25 2020-06-09 株式会社Lg化学 用于3d打印的组合物
KR102202909B1 (ko) * 2016-11-21 2021-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3d 프린팅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8284A (ko) * 2009-02-27 2010-09-06 (주)엘지하우시스 자성반응물질을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20150344682A1 (en) * 2012-11-19 2015-12-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ositions for three-dimensional (3d) printing
CN103213281A (zh) * 2013-04-09 2013-07-24 重庆绿色智能技术研究院 基于磁流变材料的3d打印快速成型装置及方法
KR20150077611A (ko) * 2013-12-28 2015-07-08 전자부품연구원 3d 프린팅용 이중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형상의 전도체 성형물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703A1 (ko) * 2019-07-11 2021-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충전 물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74804A (ko)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성체
WO2023192589A1 (en) * 2022-03-31 2023-10-05 Evolve Additive Solutions, Inc. Additive manufactur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forming polyamide pa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12715B1 (en) 2023-05-24
KR102049529B1 (ko) 2019-11-28
WO2017135576A1 (ko) 2017-08-10
EP3412715A1 (en) 2018-12-12
JP2019506499A (ja) 2019-03-07
CN108699281A (zh) 2018-10-23
CN108699281B (zh) 2021-07-16
EP3412715A4 (en) 2019-01-16
KR20190132337A (ko) 2019-11-27
US20190040248A1 (en) 2019-02-07
KR102126705B1 (ko) 2020-06-25
US11549009B2 (en)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705B1 (ko) 조성물
US11232891B2 (en) Composition for 3 dimensional printing
US11476019B2 (en) Composition
US11472971B2 (en) Composition for 3D printing
US11872623B2 (en) Thermosetting composition
KR102176233B1 (ko) 3d 프린팅용 조성물
KR102354937B1 (ko)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