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3503A -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3503A
KR20170093503A KR1020160014983A KR20160014983A KR20170093503A KR 20170093503 A KR20170093503 A KR 20170093503A KR 1020160014983 A KR1020160014983 A KR 1020160014983A KR 20160014983 A KR20160014983 A KR 20160014983A KR 20170093503 A KR20170093503 A KR 20170093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olt
coupled
closing device
automatic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0311B1 (ko
Inventor
박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창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창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창기업
Priority to KR1020160014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3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93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9/00Means for operating wings by hand rods not guided in or on the frame,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78Hand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은 창문과 결합되고 타측은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 창문 폐쇄장치에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창문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일측은 상기 자동 창문 폐쇄장치의 본체에 결합되어 출입가능한 체인의 단부에 마련된 체인블럭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본체와, 상기 볼트본체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에 결합시 수용되는 볼트머리를 구비한 체결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에 상기 체결볼트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손잡이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상하그루브와, 상기 상하그루브의 하측에 상기 볼트머리가 출입 가능하게 상기 상하그루브의 가로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볼트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창문과 자동 창문 폐쇄 장치의 높이 등이 상이하더라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체인 등을 자동 창문 폐쇄 장치에 결합한 상태에서 손잡이와 착탈을 할 수 있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 {Handle Connecting Device for Automatic Window open and close apparatus and Automatic Window open and close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창문과 자동 창문 폐쇄 장치를 결합하는 손잡이 구조를 개선한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고층건물, 공장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실내 가구나 내장재 등의 연소로 인하여 대량의 연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연기에는 유독가스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인적 피해는 열에 의한 피해보다는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에 의한 질식으로 인한 것이 대부분이다.
즉, 화재가 일어나게 되면 많은 양의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가 순간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유독한 연기가 피난 경로로 유출되면서 피난 경로를 통한 피난을 어렵게 하여 많은 사상자가 생겨날 뿐 아니라, 화재 진압 및 인명구조 작업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아파트 등에는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가 건물 전체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관련 법규에 의해 제연구역(전실)이 갖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보통 화재가 발생하면 제연구역의 도어와 창문은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며, 이와 함께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제연구역으로 유입하여 화재가 발생한 곳의 공기압보다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높여주도록 되어 있다. 이에, 연기를 포함한 유독가스가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피난 경로 내지 통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제연구역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평상시 개방되어 외부와 제연구역을 환기시켜주고 화재시 폐쇄되어 외부와 제연구역을 차단 가능하게 창문을 자동적으로 개폐하는 창문 폐쇄 장치와, 화재 발생시 외부의 공기를 유입 가능하게 통로를 개방하고 제연구역의 내압을 상승시키는 급기부와, 각 세대와 피난계단 사이에 설치되는 방화용 도어와, 이러한 각종 장치 내지 기구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아파트 등의 각 세대 중 어느 한 곳에서 센서 등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창문을 폐쇄하고, 급기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급기하여 제연구역의 내압을 상승시키는 한편, 방화용 도어를 폐쇄하여 화재 발생 구역과 피난계단 사이에 만들어져 있는 전실을 제연구역으로의 기능을 유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실내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제연구역은 밀폐된 상태로 조성됨과 더불어 급기부의 급기 작용에 의해 제연구역의 내압이 일정 압력(예를 들면, 40Pa ~ 60Pa)이상으로 상승된다. 이에, 실내공간의 화재 발생에 의해 발생된 유독가스가 제연구역 및 피난계단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동 창문 폐쇄 장치의 일예가 공개특허공보 제1995-0014520호 (1995. 06. 16) 및 본 발명자가 출원한 공개특허공보 제2015-88711 (2015.08.03), 등록특허공보 제10-1496614호 (2015.02.25), 등록특허공보 제10-1416074 (2014.07.07) 등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창문 폐쇄 장치와 창문을 결합하는 경우, 창문에 브래킷을 결합하고 창문틀에 결합된 자동 창문 폐쇄 장치를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체인의 돌출된 길이 등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손잡이와 결합되는 볼트 등을 함께 분해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과 자동 창문 폐쇄 장치의 높이 등이 상이하더라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체인 등을 자동 창문 폐쇄 장치에 결합한 상태에서 손잡이와 착탈을 할 수 있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한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장을 예방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은 창문과 결합되고 타측은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창문 폐쇄장치에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장치에 있어서, 창문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일측은 상기 자동 창문 폐쇄장치의 본체에 결합되어 출입가능한 체인의 단부에 마련된 체인블럭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본체와, 상기 볼트본체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에 결합시 수용되는 볼트머리를 구비한 체결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에 상기 체결볼트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손잡이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상하그루브와, 상기 상하그루브의 하측에 상기 볼트머리가 출입 가능하게 상기 상하그루브의 가로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볼트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창문 폐쇄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그루브의 후방에는 상기 볼트머리가 이동 가능하게 후면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머리의 폭은 상기 볼트머리의 길이보다 작아서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후면홈에 결합되어 창문이 개폐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볼트가 상하 방항으로 경사지더라도 상기 볼트머리가 상기 후면홈에 끼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트머리의 폭은 상기 볼트바디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트머리는 상기 후면홈을 향하여 돌출된 머리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홈에는 상기 머리걸림부와 맞물려 상하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머리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에 결합되어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 창문 폐쇄장치와; 창문과 상기 자동 창문 폐쇄장치를 결합하는 상기 제1항의 자동 창문 폐쇄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창문 폐쇄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과 자동 창문 폐쇄 장치의 높이 등이 상이하더라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체인 등을 자동 창문 폐쇄 장치에 결합한 상태에서 손잡이와 착탈을 할 수 있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하고, 고장을 예방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결합장치가 자동 창문 폐쇄 장치와 창문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인 손잡이 결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손잡이 결합장치의 측면도,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100, 이하에서 '손잡이 결합장치' 내지‘창문 폐쇄 장치’라 한다)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결합장치가 자동 창문 폐쇄 장치와 창문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인 손잡이 결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손잡이 결합장치의 측면도,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결합장치(170)는, 도 1 내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창문(15)과 결합되고 타측은 창문(15)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 창문 폐쇄장치(110)에 결합되며; 창문(15)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171)와; 일측은 상기 자동 창문 폐쇄장치(110)의 하우징(113)에 결합되어 출입가능한 체인(115)의 단부에 마련된 체인블럭(117)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171)에 결합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바디(179a)와, 상기 볼트바디(179a)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71)에 결합시 수용되는 볼트머리(179b)를 구비한 체결볼트(179);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171)에 상기 체결볼트(179)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손잡이(171)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상하그루브(175)와, 상기 상하그루브(175)의 하측에 상기 볼트머리(179b)가 출입 가능하게 상기 상하그루브(175)의 가로방향(좌우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볼트슬롯(177)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손잡이 결합장치(170)에 대하여 상기 상하그루브(175)의 후방에는 상기 볼트머리(179b)가 이동 가능하게 후면홈(173)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머리(179b)의 폭(도 2 및 도 3a의 'W1' 참조)은 상기 볼트머리(179b)의 길이(도 2 및 도 3b의 'W2' 참조)보다 작아서 상기 체결볼트(179)가 상기 후면홈(173)에 결합되어 창문(15)이 개폐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볼트(179)가 상하 방항으로 경사지더라도 상기 볼트머리(179b)가 상기 후면홈(173)에 끼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 창문 폐쇄장치(110)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본 발명자와 관련된 특허공보 내지 공개공보에 구체적인 구성인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모듈(미도시), 창문과 결합되는 손잡이 장치와, 자동 폐쇄장치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어 손잡이 장치와 결합되어 창문을 개폐하도록 하는 체인과, 구동모듈과 체인 사이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미도시된 동력전달모듈과,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하는 센서 등을 제어하고 모터 등이 구동을 제어하고 중앙제어반과 통신하여 화재신호 등을 주고 받은 제어부(미도시)와, 비상시 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체적인 구성은 하우징(113) 내부에 수용되어 창문틀(13)에 결합되며 이러한 공지의 기술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특징은 아니므로 이하에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아파트 등의 건축물에 부착된 창문(15)과, 창문(15)에 투명한 유리창(17)과, 창문을 지지하는 창문틀(13)이 건축물에 결합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재 발생시 아파트의 전실과 같이 사람이 다니는 공간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창문(15)을 자동 창문 폐쇄장치(110)가 화재 발생 등의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체인(115)은 하우징(113)으로부터 출입되고 외측 단부인 창문(15)측에 체인블럭(117)이 결합되어 체인블럭(117)의 볼트홀(117a)에 볼트바디(179a)가 결합되며, 체결볼트(179)가 일정한 위치 내지 높이가 되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체인블럭(117)측에 볼트고정너트(179c)가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171)는 통상의 주물 등으로 내부식성을 구비하도록 통상의 창문틀(13) 재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알루미늄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손잡이(171)가 창문틀(13)에 고정될 수 있는 체결수단인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구멍(171a)이 후면홈(173) 내지 상하그루브(175) 주위에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그루브(175)는 손잡이(171)의 상하 중심축선 중에서 전방에 볼트머리(179b)의 직경보다 크게 관통형성되어 체결볼트(179) 자동 창문 폐쇄장치(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창문(15)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볼트바디(179a)의 직경(미도시)보다 상하그루브(175)의 폭(도 3b에서 'W4' 참조)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하그루브(175)의 하측에 체결볼트(179)의 볼트머리(179b)가 손잡이(171)의 전후방으로 후면홈(173)에 출입할 수 있도록 볼트슬롯(177)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볼트슬롯(177)의 좌우방향(상하방향의 가로방향)의 길이(미도시)는 볼트머리(179b)의 좌우방향 길이(도 2 및 도 3b의 'W2' 참조)보다 크고, 볼트슬롯(177)의 폭(상하방향)(도 2 및 도 3a의 'W6' 참조)은 볼트머리(179b)의 폭(도 2의 'W1' 참조)보다 크게 형성되어 볼트슬롯(177)으로 체결볼트(179)의 특히 볼트머리(179b)가 출입되어 후면홈(173)에 수용될 수 있다.
후면홈(173)은 전방에 형성된 상하그루브(175)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의 판면으로부터 상하그루브(175)인 전방으로 갈수록 점점 더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후면홈(173)의 함몰된 좌우방향의 폭(도 2 및 도 3b의 'w7' 참조)은 볼트머리(179b)의 길이(W2)보다 크고, 전후방향의 깊이(도 3b의 'W5' 참조)는 볼트머리(179b)의 깊이(도 2 및 도 3b의 'W3' 참조) 보다 크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볼트머리(179b)가 후면홈(173)에 수용되어 체결볼트(179)가 창문(15)을 걔폐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사지는 경우에도 볼트머리(179b)는 용이하게 후면홈(173)에 끼지 않고 용이하게 작동(회전 등)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손잡이 결합장치(170)의 작동 과정을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에서는 자동 창문 폐쇄장치(110)가 창문(15)을 많이 개방한 경우(도 4의 상측 'θ' 각도 참조)에 체결볼트(179)의 머리 부분이 경사지게 되어 머리 부분의 크기(도 4의 상측 'K1' 참조)가 비교적 손잡이(171)의 후면홈(173)의 깊이(도 4의 상측 'W5' 참조)보다 더 커서 머리 부분이 약간만 경사가 져서 머리 부분이 후면홈(173)에 '끼인형상'이 발생하여 외력을 가하더라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창문 폐쇄장치(110)가 창문(15)을 많이 개방한 경우(도 4의 하측 'θ' 각도 참조)에 체결볼트(179)의 볼트머리(179b)가 경사지게 되어 볼트멀리의 크기(도 4의 하측 'W1' 참조)가 비교적 손잡이(171)의 후면홈(173)의 깊이(도 4의 하측 'W5' 참조)보다 더 작아 볼트머리(179b)가 경사가 지더라도 볼트머리(179b)는 후면홈(173)에서 자유로워 상하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경우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볼트머리(179b)가 하측으로 이동하더라도 하측의 볼트슬롯(177)까지 볼트머리(179b)가 이동하는 구조는 아니며 이러한 구조를 유지하기 위하여 체인(115)의 높이 손잡이(171)의 창문(15)에 부착하는 위치, 상하그루브(175)의 길이, 볼트슬롯(177)의 위치 등을 고려함은 물론이다.
다만, 필요에 따라 체인(115)이 하우징(113)에 수용된 상태에서 자동 창문 폐쇄장치(110)를 창문틀(13)에 설치하고 손잡이 결합장치(170)를 창문(15)에 결합하여 창문(15)을 닫은 상태에서 체인(115)의 길이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치 후 체인(115)이 최대한으로 하우징(113)측으로 이동하여 폐쇄상태가 되면 창문(15)이 창문틀(13)에 밀착되어 최대한 유격이 없고 공기의 누설이 없도록 하여야 하고 창문(15)과 자동 창문 폐쇄장치(110)의 틈새가 가능하면 적은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틈새가 크거나 많으면 그 사이에 이물이 끼이거나 사용자의 손 등의 끼이는 형상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설치 후 체결볼트(179)의 길이를 조절하여 창문(15) 및 창문틀(13) 사이의 밀착상태를 조절하기 위하여는 도 4의 하단이나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15)을 열어 자동 창문 폐쇄장치(110)의 체인(115)이 하우징(113)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 후 체인(115) 부분이나 체결볼트(179)를 하측으로 가압하면 볼트머리(179b)가 후면홈(173)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볼트슬롯(177)을 통해 볼트머리(179b)를 후면홈(173)으로부터 빼어낼 수 있다.
체결볼트(179)를 빼어낸 후 볼트고정너트(179c)를 푼 후 체결볼트를 회전시켜 원하는 거리만큼 조절할 후 볼트고정너트(179c)로 체결볼트(179)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체인블럭(117)측으로 고정시킨 후 분해한 역순으로 체결볼트(179)를 후면홈(173)에 결합시키고 창문(15)을 창문틀(13)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체결볼트(179)가 바로 체인블럭(117)에 결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체결볼트(179)와 체인블럭(117) 사이에 일정한 크기의 다른 지그가 있는 경우에도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과 자동 창문 폐쇄 장치의 높이 등이 상이하더라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체인 등을 자동 창문 폐쇄 장치에 결합한 상태에서 손잡이와 착탈을 할 수 있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하고, 고장을 예방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결합장치(1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를 실시예는 다른 구성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나 후면홈(173)과 볼트머리(179b)의 형상이 상호 상이하며 상호 맞물릴 수 있는 구조이다.
즉, 상기 볼트머리(179b)는 상기 후면홈(173)을 향하여 돌출된 머리걸림부(179f)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홈(173)에는 상기 머리걸림부(179f)와 맞물려 상하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머리물림부(171f)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체결볼트(179)가 후면홈(173)에 결합되더라도 체결볼트(179)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볼트고정너트(179c) 등이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3 : 창문틀 15 : 창문
17 : 유리창
110 : 자동 창문 폐쇄장치 113 : 하우징
115 : 체인
117 : 체인블럭 117a : 볼트홀
170 : 손잡이 결합장치 171 : 손잡이
171a : 볼트구멍 173 : 후면홈
175 : 상하그루브 177 : 볼트슬롯
179 : 체결볼트 179a : 볼트바디
179b : 볼트머리 179c : 볼트고정너트

Claims (5)

  1. 일측은 창문과 결합되고 타측은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 창문 폐쇄장치에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장치에 있어서,
    창문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일측은 상기 자동 창문 폐쇄장치의 본체에 결합되어 출입가능한 체인의 단부에 마련된 체인블럭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본체와, 상기 볼트본체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에 결합시 수용되는 볼트머리를 구비한 체결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에 상기 체결볼트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손잡이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상하그루브와, 상기 상하그루브의 하측에 상기 볼트머리가 출입 가능하게 상기 상하그루브의 가로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볼트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창문 폐쇄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그루브의 후방에는 상기 볼트머리가 이동 가능하게 후면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머리의 폭은 상기 볼트머리의 길이보다 작아서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후면홈에 결합되어 창문이 개폐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볼트가 상하 방항으로 경사지더라도 상기 볼트머리가 상기 후면홈에 끼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창문 폐쇄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머리의 폭은 상기 볼트바디의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창문 폐쇄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머리는 상기 후면홈을 향하여 돌출된 머리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홈에는 상기 머리걸림부와 맞물려 상하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머리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창문 폐쇄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5. 창문에 결합되어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 창문 폐쇄장치와;
    창문과 상기 자동 창문 폐쇄장치를 결합하는 상기 제1항의 자동 창문 폐쇄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창문 폐쇄장치.
KR1020160014983A 2016-02-05 2016-02-05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 KR101790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983A KR101790311B1 (ko) 2016-02-05 2016-02-05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983A KR101790311B1 (ko) 2016-02-05 2016-02-05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503A true KR20170093503A (ko) 2017-08-16
KR101790311B1 KR101790311B1 (ko) 2017-11-06

Family

ID=5975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983A KR101790311B1 (ko) 2016-02-05 2016-02-05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3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67088A (ja) * 2019-10-23 2021-04-30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開閉体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614B1 (ko) 2014-03-27 2015-02-25 박준우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67088A (ja) * 2019-10-23 2021-04-30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開閉体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0311B1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020B1 (ko) 시스템루버 구동 장치
KR101377300B1 (ko)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1789664B1 (ko) 구동부 및 감속부를 개선한 창문 폐쇄 장치
US20120023827A1 (en) Driving System for An Automatic Sliding Door
KR102277997B1 (ko)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유압식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
KR101192730B1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문 자동개폐제어방법
KR101997724B1 (ko)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KR101178111B1 (ko) 에어콘이 구비된 방음용 전화부스
KR101790311B1 (ko) 자동 창문 폐쇄 장치용 손잡이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폐쇄 장치
JP6182244B2 (ja) 空気調和機
KR101692149B1 (ko) 자동 폐쇄 장치
KR101828250B1 (ko) 건물의 외벽을 통한 화재확산 방지장치
KR100814745B1 (ko) 차압 배연창 자동개폐시스템
KR101416074B1 (ko) 소조립 모듈별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창문 개폐 장치
KR101051129B1 (ko) 구동부와 제어장치를 일체로 갖는 제연구역 출입문 자동폐쇄장치
KR101496614B1 (ko)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1824868B1 (ko)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US20030024167A1 (en) Central control for windows
KR101577915B1 (ko)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CN213483067U (zh) 实时监控自动报警的烟感探测器
KR20230040599A (ko)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자동개폐장치가 설치된 배연창
JP6335593B2 (ja) 非常解除型開放ストッパー装置付引戸装置
KR101985213B1 (ko) 공동주택의 고층 창호 구조물
KR101469409B1 (ko)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2409418B1 (ko) 창호용 조립식 환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