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918A -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918A
KR20170092918A KR1020160014195A KR20160014195A KR20170092918A KR 20170092918 A KR20170092918 A KR 20170092918A KR 1020160014195 A KR1020160014195 A KR 1020160014195A KR 20160014195 A KR20160014195 A KR 20160014195A KR 20170092918 A KR20170092918 A KR 20170092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main control
boom
arm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679B1 (ko
Inventor
서동국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67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25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붐 실린더와 제1 작동유 공급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붐 실린더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제1 메인 유압펌프; 상기 제1 작동유 공급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메인 유압펌프로부터 작동유를 제공받아 상기 붐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메인 컨트롤 밸브; 암 실린더와 제2 작동유 공급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암 실린더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제2 메인 유압펌프; 상기 제2 작동유 공급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메인 유압펌프로부터 작동유를 제공받아 상기 암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메인 컨트롤 밸브; 및 상기 제1 메인 컨트롤 밸브와 상기 제2 메인 컨트롤 밸브 사이에 마련되며, 붐과 암의 복합동작 시에 발생되는 복합동작 신호에 따라 작동유의 흐름을 개폐하는 합류 컨트롤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Hydraulic Oil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이나 토목 현장 등의 작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작업기계가 사용된다. 작업기계는 도로, 하천, 항만, 철도, 플랜트 등과 같은 공사별로 각각 그 특성에 적합한 기계구조 및 성능을 보유하게 된다. 즉 작업기계는 산업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다양성으로 인해, 굴삭장비, 적재장비, 운반장비, 하역장비, 다짐장비, 기초공사장비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굴삭기, 휠로더, 지게차, 불도저, 트럭, 롤러, 크레인 등과 같이 상당히 많은 종류의 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건설 현장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수행되는 작업은 굴삭이다. 산업 공사 시에는 지면을 일정 깊이로 굴착하여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또는 지면에 파이프 등을 매설하는 작업이 주로 수행되는데, 이때 작업기계로 굴삭기가 가장 많이 활용된다.
이러한 굴삭기는 주행체,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선회체, 선회체에 연결된 붐, 붐에 연결된 암 및 암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어태치먼트를 포함한다. 어태치먼트는 버켓, 브레이커, 크러셔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 용도에 따라 버켓, 브레이커 또는 크러셔를 암에 설치하게 된다. 굴삭기의 선회체, 붐, 암 및 어태치먼트는 유압 펌프에서 발생된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작동된다. 작동유는 메인 컨트롤 밸브(Main Control Valve: MCV)에 의해서 제어된다.
메인 컨트롤 밸브(MCV)는 MCV 블록, 스풀들, 우선 기능밸브들을 포함한다. MCV 블록은 작동유가 공급되는 작동 유로들을 갖는다. MCV 블록에는 각 작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스풀들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굴삭기의 조이스틱 조작신호에 따라 스풀을 움직여 제어 유로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러한 메인 컨트롤 밸브의 스풀은 붐, 암, 선회, 버켓, 주행용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작업기계에 붐용 스풀이 2개 설치되고, 암용 스풀이 2개, 주행 스풀이 2개 설치되며 선회, 버켓용 스풀이 각 1개씩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기존 작동유 제어 시스템에서 붐과 암이 서로 내부 합류를 통해서 압력 교차가 일어나기 때문에 특히 붐과 암을 동시에 사용하는 복합동작, 즉 레벨링 조건에서는 서로의 작업장치 압력 차 때문에 많은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서, 붐-업과 암-인 복합동작 시에는 붐측 유량이 암측으로 공급되는데, 이때 높은 압력인 붐-업 작업장치 압력에 의해 고압과 저압의 교축손실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붐-다운과 암-아웃 복합동작에서는 붐측 압력이 암-아웃 고압에 영향으로 붐-다운 시 불필요한 고압의 펌프 유량이 공급 됨으로써 에너지 손실이 과다 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1798호 (공개일: 2015년 10월 3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붐과 암을 동시에 사용하는 복합동작 시 교축손실 제거 및 에너지 손실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은, 붐 실린더와 제1 작동유 공급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붐 실린더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제1 메인 유압펌프; 상기 제1 작동유 공급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메인 유압펌프로부터 작동유를 제공받아 상기 붐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메인 컨트롤 밸브; 암 실린더와 제2 작동유 공급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암 실린더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제2 메인 유압펌프; 상기 제2 작동유 공급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메인 유압펌프로부터 작동유를 제공받아 상기 암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메인 컨트롤 밸브; 및 상기 제1 메인 컨트롤 밸브와 상기 제2 메인 컨트롤 밸브 사이에 마련되며, 붐과 암의 복합동작 시에 발생되는 복합동작 신호에 따라 작동유의 흐름을 개폐하는 합류 컨트롤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붐과 상기 암의 복합동작은, 붐-업과 암-인 동작 또는 붐-다운과 암-아웃 동작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류 컨트롤 밸브는, 상기 제1 메인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상기 제1 메인 컨트롤 밸브를 통해 상기 제2 메인 컨트롤 밸브로 유동 되거나, 상기 제2 메인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상기 제2 메인 컨트롤 밸브를 통해 상기 제1 메인 컨트롤 밸브로 유동 되도록 개방되는 양방향 관로; 및 상기 제1 메인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상기 제1 메인 컨트롤 밸브를 통해 상기 제2 메인 컨트롤 밸브로 유동되지 못하도록 폐쇄되는 차단 관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방향 관로는, 상기 복합동작 신호가 해제되면, 상기 제1 메인 컨트롤 밸브 및 상기 제2 메인 컨트롤 밸브의 작동유가 서로 유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 관로는, 상기 복합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작동유 공급라인과 상기 제2 작동유 공급라인이 연통되지 않도록 절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메인 컨트롤 밸브, 상기 제2 메인 컨트롤 밸브, 상기 합류 컨트롤 밸브는, 하나의 밸브 블록으로 제작되는 일체형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별개의 밸브 블록으로 제작되는 분리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은, 단독 동작 시에는 붐용인 제1 메인 컨트롤 밸브와 암용인 제2 메인 컨트롤 밸브 사이에 합류 컨트롤 밸브를 구비함으로써, 2개의 펌프에서 합류된 작동유를 공급받을 수 있고, 복합동작 시에는 붐 또는 암에 독립적으로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다. 붐-업과 암-인 복합동작 시 교축손실을 제거할 수 있고, 붐-다운과 암-아웃 복합동작 시 에너지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은, 붐용인 제1 메인 컨트롤 밸브의 스풀을 1개 사용하고 암용인 제2 메인 컨트롤 밸브의 스풀을 1개 사용하더라도 붐과 암의 독립동작 및 복합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2개의 붐용 스풀과 2개의 암용 스풀을 사용하는 기존과 대비하여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컨트롤 밸브의 추가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 제어 시스템이 적용되는 작업기계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 제어 시스템이 적용되는 작업기계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전에,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2를 참고하여 작동유 제어 시스템(100)이 적용되는 작업기계(1)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기계(1)는 작업장치(10), 선회체(20), 주행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기계(1)는,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크롤러 형태의 굴삭기일 수 있다. 물론 작업기계(1)는 굴삭기가 아닌 작동유 제어 시스템(100)이 적용되는 다양한 장비일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작업기계(1)가 크롤러 굴삭기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임을 밝힌다.
작업장치(10)는, 작업기계(1)의 일측에 구비되고, 붐(11), 암(13), 버켓(1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붐(11)이 2개의 붐 실린더(12)에 의해 작동되고 암(13)이 암 실린더(14)에 의해 작동됨으로써 버켓(15)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버켓(15)은 버켓 실린더(16)에 의해 세부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장치(10)에서, 붐(11)과 암(13)은 작업 조건에 따라 작동유 제어 시스템(100)에 의해 독립동작 또는 복합동작을 할 수 있다. 복합동작은, 예를 들어, 흙을 끌어오기 위해 붐-업과 암-인 동작을 동시에 하거나, 흙을 밀어내기 위해 붐-다운과 암-아웃 동작을 동시에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작동유 제어 시스템(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선회체(20)는, 앞부분에 작업장치(10)가 연결되며, 후술할 주행체(30)에 탑재되어 선회시스템에 의해 360도 회전할 수 있으며, 골조구조를 이루는 프레임(21)과, 프레임(21) 상에 배설되는 운전실(22), 엔진(23), 카운터 웨이트(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행체(30)는, 장비의 이동 역할을 하며, 트럭 또는 트랙 프레임(31)의 전 측에는 좌우 한 벌의 유동륜(3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 측에는 좌우 한 벌의 구동륜(3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동륜(32)과 구동륜(33)을 감싸는 무한궤도(34)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100)을 도 2를 다시 참고하고,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 제어 시스템(100)은, 건설 현장에서 작업기계(10)의 붐(11), 암(13), 버켓(15)을 작동시키기 위한 시스템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붐(11)과 암(13)을 작동시키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작동유 제어 시스템(100)은, 제1 메인 유압펌프(110), 제1 메인 컨트롤 밸브(120), 제2 메인 유압펌프(130), 제2 메인 컨트롤 밸브(140), 합류 컨트롤 밸브(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메인 유압펌프(110)는, 엔진(23)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제1 메인 유압펌프(110)와 후술할 제2 메인 유압펌프(130)는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제1 메인 유압펌프(110)은 붐 실린더(12)와 제1 작동유 공급라인(111)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작동유를 후술할 제1 메인 컨트롤 밸브(120)를 통해 붐 실린더(12)의 헤드 챔버 또는 로드 챔버에 공급하여, 붐(11)이 붐-업 또는 붐-다운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메인 컨트롤 밸브(120)는, 제1 메인 유압펌프(110)와 붐 실린더(12)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작동유 공급라인(111)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메인 유압펌프(110)로부터 작동유를 제공받아 붐 실린더(12)의 헤드 챔버 또는 로드 챔버에 공급하여 붐(1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메인 컨트롤 밸브(120)는, 붐(11)의 단독동작 시, 붐(11)의 붐-업 또는 붐-다운 동작에 필요한 유량의 작동유를 붐 실린더(12)에 공급하고, 나머지 유량의 작동유를 제2 메인컨트롤 밸브(14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후술할 합류 컨트롤 밸브(15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붐(1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메인 컨트롤 밸브(120)는, 후술할 합류 컨트롤 밸브(150)에 의해 후술할 제2 메인 컨트롤 밸브(140)와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 메인 유압펌프(110)는 붐 실린더(12)로 유량을 우선 공급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한 제1 메인 컨트롤 밸브(120)는 붐(11)의 작동에 사용되는 밸브라 정의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붐용 메인 컨트롤 밸브의 기본 구성인 MCV 블록, 스풀, 전자 비례 감압 밸브(EPPRV) 블록, 및 EPPRV 밸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 메인 컨트롤 밸브(120)의 기본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지, 본 실시예의 제1 메인 컨트롤 밸브(120)는 후술할 합류 컨트롤 밸브(15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작동유 공급라인(111)의 구성이 다를 뿐이다.
제2 메인 유압펌프(130)는, 엔진(23)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암 실린더(14)와 제2 작동유 공급라인(131)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작동유를 후술할 제2 메인 컨트롤 밸브(140)를 통해 암 실린더(14)의 헤드 챔버 또는 로드 챔버에 공급하여, 암(13)이 암-인 또는 암-아웃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메인 컨트롤 밸브(140)는, 제2 메인 유압펌프(130)와 암 실린더(14)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작동유 공급라인(131)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메인 유압펌프(130)로부터 작동유를 제공받아 암 실린더(14)의 헤드 챔버 또는 로드 챔버에 공급하여 암(1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암(1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메인 컨트롤 밸브(140)는, 후술할 합류 컨트롤 밸브(150)에 의해 제1 메인 컨트롤 밸브(1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 2 메인 유압펌프(130)는 암 실린더(14)로 유량을 우선 공급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한 제2 메인 컨트롤 밸브(140)는 암(13)의 작동에 사용되는 밸브라 정의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암용 메인 컨트롤 밸브의 기본 구성인 MCV 블록, 스풀, 우선 기능밸브, 및 EPPRV 밸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 메인 컨트롤 밸브(140)의 기본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지, 본 실시예의 제2 메인 컨트롤 밸브(140)는 후술할 합류 컨트롤 밸브(15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작동유 공급라인(131)의 구성이 다를 뿐이다.
합류 컨트롤 밸브(150)는, 제1 메인 컨트롤 밸브(120)와 제2 메인 컨트롤 밸브(140)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붐(11)과 암(13)의 복합동작 신호에 따라 작동유의 흐름을 개폐하도록, 양방향 관로(151), 차단 관로(152)를 포함하는 스풀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양방향 관로(151)는, 제1 메인 유압펌프(1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제1 메인 컨트롤 밸브(120)를 통해 제2 메인 컨트롤 밸브(140)로 유동되어 암 실린더(14)에 공급될 수 있고, 제2 메인 유압펌프(13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제2 메인 컨트롤 밸브(140)를 통해 제1 메인 컨트롤 밸브(120)로 유동되어 붐 실린더(12)로 공급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양방향 관로(151)는, 붐(11)과 암(13)의 복합동작 신호가 해제되면, 제1 메인 컨트롤 밸브(120)와 제2 메인 컨트롤 밸브(140)의 유로가 연결되어 작동유가 서로 유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차단 관로(152)는, 제1 메인 유압펌프(1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 및 제 2 메인 유압펌프(13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각각 제1 메인 컨트롤 밸브(120) 및 제2 메인 컨트롤 밸브(140)를 통하여 유동되지 못하도록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 관로(152)는, 붐(11)과 암(13)의 복합동작 신호에 따라, 제1 작동유 공급라인(111)과 제2 작동유 공급라인(131)이 연통되지 않도록 절환 됨으로써, 붐(11) 또는 암(13)이 독립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붐(11)과 암(13)의 붐-업과 암-인의 복합동작 시에는 합류 컨트롤 밸브(150)을 절환하여 차단관로(152)를 형성한다. 붐 실린더(12)에 제1 메인 유압펌프(110)은 고압 소유량의 작동유를 공급하며, 암 실린더(14)에 제2 메인 유압펌프(130)은 저압 대유량의 작동유를 개별적으로 공급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는 붐 실린더(12)와 암 실린더(14) 중에 필요한 작업장치만 고압의 작동유 공급이 가능하다.
상기한 제1 메인 컨트롤 밸브(120), 제2 메인 컨트롤 밸브(140), 합류 컨트롤 밸브(150)는, 하나의 밸브 블록(도시하지 않음)으로 제작되는 일체형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별개의 밸브 블록(도시하지 않음)으로 제작되는 분리형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단독동작 시에는 붐용인 제1 메인 컨트롤 밸브(120)와 암용인 제2 메인 컨트롤 밸브(140) 사이에 합류 컨트롤 밸브(150)를 구비함으로써, 붐(11) 또는 암(13)에 제1 메인 유압펌프(110)과 제2 메인 유압펌프(130)의 합류된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고, 복합 동작 시에는 붐(11)과 암(13) 측에 각 개별 펌프로 독립적인 작동유를 공급함으로써 붐-업과 암-인 복합동작 시 교축손실을 제거할 수 있고, 붐-다운과 암-아웃 복합동작 시 에너지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붐용인 제1 메인 컨트롤 밸브(120) 스풀을 1개 사용하고 암용인 제2 메인 컨트롤 밸브(140) 스풀을 1개 사용하더라도 붐(11)과 암(13)의 독립동작 및 복합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2개의 붐용 메인 컨트롤 밸브 스풀과 2개의 암용 메인 컨트롤 밸브 스풀을 사용하는 기존과 대비하여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컨트롤 밸브의 추가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작업기계 10: 작업장치
11: 붐 12: 붐 실린더
13: 암 14: 암 실린더
15: 버켓 16: 버켓 실린더
20: 선회체 21: 프레임
22: 운전실 23: 엔진
24: 카운터 웨이트 30: 주행체
31: 트럭 또는 트랙 프레임 32: 유동륜
33: 구동륜 34: 무한궤도
100: 작동유 제어 시스템 110: 제1 메인 유압펌프
111: 제1 작동유 공급라인 120: 제1 메인 컨트롤 밸브
130: 제2 메인 유압펌프 131: 제2 작동유 공급라인
140: 제2 메인 컨트롤 밸브 150: 합류 컨트롤 밸브
151: 양방향 관로 152: 차단 관로

Claims (6)

  1. 붐 실린더와 제1 작동유 공급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붐 실린더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제1 메인 유압펌프;
    상기 제1 작동유 공급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메인 유압펌프로부터 작동유를 제공받아 상기 붐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메인 컨트롤 밸브;
    암 실린더와 제2 작동유 공급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암 실린더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제2 메인 유압펌프;
    상기 제2 작동유 공급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메인 유압펌프로부터 작동유를 제공받아 상기 암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메인 컨트롤 밸브; 및
    상기 제1 메인 컨트롤 밸브와 상기 제2 메인 컨트롤 밸브 사이에 마련되며, 붐과 암의 복합동작 시에 발생되는 복합동작 신호에 따라 작동유의 흐름을 개폐하는 합류 컨트롤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과 상기 암의 복합동작은,
    붐-업과 암-인 동작 또는 붐-다운과 암-아웃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류 컨트롤 밸브는,
    상기 제1 메인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상기 제1 메인 컨트롤 밸브를 통해 상기 제2 메인 컨트롤 밸브로 유동 되거나, 상기 제2 메인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상기 제2 메인 컨트롤 밸브를 통해 상기 제1 메인 컨트롤 밸브로 유동 되도록 개방되는 양방향 관로; 및
    상기 제1 메인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상기 제1 메인 컨트롤 밸브를 통해 상기 제2 메인 컨트롤 밸브로 유동되지 못하도록 폐쇄되는 차단 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관로는,
    상기 복합동작 신호가 해제되면, 상기 제1 메인 컨트롤 밸브 및 상기 제2 메인 컨트롤 밸브의 작동유가 서로 유동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관로는,
    상기 복합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작동유 공급라인과 상기 제2 작동유 공급라인이 연통되지 않도록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컨트롤 밸브, 상기 제2 메인 컨트롤 밸브, 상기 합류 컨트롤 밸브는,
    하나의 밸브 블록으로 제작되는 일체형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별개의 밸브 블록으로 제작되는 분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 제어 시스템.
KR1020160014195A 2016-02-04 2016-02-04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 KR102142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195A KR102142679B1 (ko) 2016-02-04 2016-02-04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195A KR102142679B1 (ko) 2016-02-04 2016-02-04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918A true KR20170092918A (ko) 2017-08-14
KR102142679B1 KR102142679B1 (ko) 2020-08-07

Family

ID=60142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195A KR102142679B1 (ko) 2016-02-04 2016-02-04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6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125A1 (ko) * 2021-08-10 2023-02-16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유압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4423A (ja) * 1986-01-25 1987-07-31 Hitachi Constr Mach Co Ltd 土木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2008075746A (ja) * 2006-09-21 2008-04-03 Nabtesco Corp 電油システム
KR20150121798A (ko) 2014-04-22 2015-10-3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기계의 메인 컨트롤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4423A (ja) * 1986-01-25 1987-07-31 Hitachi Constr Mach Co Ltd 土木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2008075746A (ja) * 2006-09-21 2008-04-03 Nabtesco Corp 電油システム
KR20150121798A (ko) 2014-04-22 2015-10-3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기계의 메인 컨트롤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125A1 (ko) * 2021-08-10 2023-02-16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유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679B1 (ko)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8276B2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US7500360B2 (en) Hydraulic driving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ry
KR101425245B1 (ko) 유압 셔블의 유압 구동 장치
KR20090031817A (ko) 백호의 유압 시스템
JP4480565B2 (ja) バックホウの油圧回路構造
KR102142679B1 (ko) 작업기계의 작동유 제어 시스템
CN207959323U (zh) 一种挖掘装载一体机回转限位装置
JP4606004B2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KR101882528B1 (ko) 건설기계의 붐 플로팅 시스템
KR20170091933A (ko) 건설기계의 압유 제어 시스템
KR101882529B1 (ko) 건설기계의 붐 플로팅 시스템
KR20210136423A (ko) 건설기계의 압유 제어 시스템
KR101998308B1 (ko) 건설장비용 전자유압 밸브의 유량제어 시스템
KR20150030927A (ko) 건설기계의 선회 제어 시스템
JP2000336700A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KR20170101492A (ko) 건설기계의 붐 플로팅 시스템
KR101920088B1 (ko) 건설기계의 선회 제어 시스템
KR20150030928A (ko) 건설기계의 선회 제어 시스템
JP2014126103A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JPH116174A (ja) 建設車両のアクチュエータ作動回路
JP3337939B2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3119293B2 (ja) 作業機械の油圧回路
KR20150025125A (ko) 건설기계의 주행 조작 시스템
KR20160017318A (ko) 건설기계의 유압제어시스템
KR20150030094A (ko) 건설기계의 유압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