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781A -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781A
KR20170092781A KR1020160013874A KR20160013874A KR20170092781A KR 20170092781 A KR20170092781 A KR 20170092781A KR 1020160013874 A KR1020160013874 A KR 1020160013874A KR 20160013874 A KR20160013874 A KR 20160013874A KR 20170092781 A KR20170092781 A KR 20170092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hole
work
clamp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5959B1 (ko
Inventor
김부돌
Original Assignee
김부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부돌 filed Critical 김부돌
Priority to KR1020160013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9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1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을 위해 설치된 강관소재의 비계에 작업공간 및 보행로를 확보하기 위한 발판을 설치할 때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대응되게 동작하는 한 쌍의 집게로 된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고정되게 함으로써, 발판의 고정작업을 견고하고 신속하게 하여 작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즉, 강관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원호형으로 성형되어 서로 교차상태에서 대응되게 동작하는 한 쌍의 집게와, 상기 양측 집게의 상부에 핀공을 각각 형성하여 그 핀공이 교차된 상태에서 일체로 관통되게 핀축이 구비된 가동브라켓과, 상기 각 핀공에 인접된 일 측에 축공을 형성하여 그 축공을 관통되게 지지축이 양측에 구비되고 그 양측 지지축의 사이에 가동브라켓이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가동브라켓의 상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나선홀과, 상기 나선홀에 상부로부터 발판의 가장자리를 구속하는 버클과 코일 형태의 리턴스프링 및 한 쌍의 집게에 탄력을 가하는 가압스프링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지지봉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Clamp for scaffold boards}
본 발명은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소작업을 위해 설치된 강관소재의 비계에 작업공간 및 보행로를 확보하기 위한 발판을 설치할 때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대응되게 동작하는 한 쌍의 집게로 된 클램프를 사용하여 고정되게 함으로써, 발판의 고정작업을 견고하고 신속하게 하여 작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이나 건설 및 조선 등 산업현장에서 각종 장비와 자재를 고소로 운반하여 작업하기 위한 수단으로 임시 구조물인 비계(飛階)용 강관을 설치한 후 그 강관에 지지되게 판넬 형태로 제작된 작업발판을 거치하게 된 방법이 보편화되어 있다.
상기 강관비계에 설치된 작업발판은 작업 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구조물로서 성능검정시험에 합격된 강재를 소재로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되었고, 특히 조선분야와 고도가 높은 해양플랜트를 제작할 때 사용되는 작업발판은 안전기준에 대한 표준화를 통해 안전문화를 혁신하고 있다.
비계를 구성하고 있는 작업발판은 복수의 강관에 얹힌 상태로 고정설치되며, 이때 작업발판을 강관에 고정하기 위해 양측 부재를 철사로 묶었으나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근래에는 다양한 종류의 전용 고정기구를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등록특허 제10-1016274호는 한 쌍의 플레이트를 맞댄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상호 조립할 수 있게 한 족장발판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맛댄 부분의 공간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내부에 요홈부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결합공이 뚫어진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결합공을 통해 파이프를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프의 상단에 나사봉을 형성한 상태에서 결합한 다음 상부에 나사공이 뚫어진 원기둥 형상의 고정핀을 횡으로 결합하고, 상기 고정핀에는 편심공이 뚫어진 클램프핸들을 결합하여 작동공을 통해 클램프핸들을 작동함으로써, 편심공에 의해 클램프가 감싸고 있는 파이프를 당기게 되어 각 플레이트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구성한 족장발판용 고정지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파이프를 감싸게 되는 클램프가 하나의 후크(hook)로 되어 있으므로 클램프핸들을 작동시켜 파이프를 당기게 될 때 후크가 접촉된 부위에만 힘이 가해지게 됨으로써, 고정력을 발휘하는 부위가 제한되면서 견고성과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클램프핸들을 작동시켜 그 편심공에 결합된 고정핀을 기점으로 파이프를 감싸고 있는 클램프를 상향으로 당기게 될 때 하나의 후크 구조로 된 클램프에 편심응력이 가해지게 됨으로써,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가 취약해지면서 클램프에 변형이나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내구성을 상실되었음은 물론 강관으로부터 클램프가 이탈되어 안전성이 결여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강관비계에 발판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소작업을 위해 설치된 강관소재의 비계에 작업공간 및 보행로를 확보하기 위한 발판을 설치할 발판의 고정작업을 견고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관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원호형으로 성형되어 서로 교차상태에서 대응되게 동작하는 한 쌍의 집게와, 상기 양측 집게의 상부에 핀공을 각각 형성하여 그 핀공이 교차된 상태에서 일체로 관통되게 핀축이 구비된 가동브라켓과, 상기 각 핀공에 인접된 일 측에 축공을 형성하여 그 축공을 관통되게 지지축이 양측에 구비되고 그 양측 지지축의 사이에 가동브라켓이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가동브라켓의 상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나선홀과, 상기 나선홀에 상부로부터 발판의 가장자리를 구속하는 버클과 코일 형태의 리턴스프링 및 한 쌍의 집게에 탄력을 가하는 가압스프링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지지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는 서로 인접된 양측 발판 사이의 하부에 위치하는 강관을 향해 한 쌍의 집게의 개방된 부위를 밀어 넣게 됨으로써, 가압스프링의 탄력을 받고 있는 한 쌍의 집게가 확대되면서 원호형으로 된 양측의 홈 안으로 강관이 들어오는 순간 움츠러들면서 강관을 견고하게 감싸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부에 구미된 버클이 발판의 상부면 모서리를 구속 및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 것으로, 이에 따라 위험성이 상존하는 발판 가설작업을 원터치 동작에 의해 신속하고 간편하게 하여 작업의 안전성과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에 대한 분리사시도와 그 조립상태 사시도,
도 2a 및 2b는 상기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의 종단면과 그 측단면을 각각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측단면과 그 종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와 그 조립상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에 대한 분리상태와 그 조립상태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상기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의 종단면과 그 측단면을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장치에 대한 사용 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외벽공사를 하기 위해 임시로 설치하는 강관비계에 작업발판을 가설할 때 강관(P)의 상부에 안착 지지되는 발판(B)을 서로 대응되게 동작하는 한 쌍의 집게(10)로 된 고정장치에 의해 견고하고 신속하게 고정시키게 된 것이다.
상기 한 쌍의 집게(10)는 강관(P)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원호형으로 성형된 몸체의 상부에 서로 교차상태에서 일치되도록 핀공(11)이 각각 형성되어 가동브라켓(20)에 지지되는 핀축(21)에 의해 일체로 관통 결합되고, 상기 핀공(11)에 인접된 일측에는 축공(12)이 각각 격리되게 형성되어 고정브라켓(30)의 양측에 지지되는 지지축(31)에 의해 각각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30)의 중앙부에는 가이드홀(32)이 형성되어 가동브라켓(20)이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브라켓(20)의 상부면에는 나선홀(22)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집게(10)에 각각 형성된 핀공(11)을 서로 교차상태에서 일치되게 하여 가동브라켓(20)에 구비된 핀축(21)에 의해 동일축상에서 지지되게 한 후, 상기 핀공(11)의 일측에 형성된 각각의 축공(12)을 고정브라켓(30)의 양측에 구비된 지지축(31)에 의해 각각 유동 가능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30)의 중앙부에 형성된 가이드홀(32)을 통해 가동브라켓(20)을 수직으로 승강되게 함으로써, 가동브라켓(20)의 핀축(21)을 통해 서로 대응되게 결합된 한 쌍의 집게(10)에 힘이 가해질 때 그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따라 정지상태의 고정브라켓(30)에 구비된 양측 지지축(31)을 기점으로 상기 한 쌍의 집게(10)가 서로 대응되게 동작을 하면서 강관을 움켜쥐거나 강관으로부터 이탈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가동브라켓(20)에 형성된 나선홀(22)에는 상부로부터 발판(B)의 가장자리를 구속되게 날개(41)를 갖춘 버클(40)과 코일형태의 리턴스프링(50) 및 한 쌍의 집게(10)의 상부측에 각각 밀착되어 탄력을 가하는 가압스프링(60)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압박되게 걸림턱(71)을 갖춘 지지봉(70)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지지봉(70)의 상부에는 나사조임이나 분해가 용이하게 너트머리(72)가 결합되어 있다.
가동브라켓(20)의 나선홀(22)에 나사결합된 지지봉(70)은 나사조임 정도에 의해 그 사이에 개입 설치된 버클(40)과 리턴스프링(50) 및 가압스프링(60)의 압박 정도를 가감시키게 됨과 아울러 발판(B)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게 된다.
상기 가동브라켓(20)과 압박을 가하는 지지봉(70) 사이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압스프링(60)은 그 양측으로 연장된 탄성판이 원호형으로 된 한 쌍의 집게(10)의 상부 외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탄력을 가하게 되므로, 서로 대응되게 동작되는 한 쌍의 집게(10)를 항시 움츠러들도록 힘을 가하였다가 개방된 집게의 단부에 가압스프링(60)의 탄력에 비해 큰 힘이 가해질 때 확대되는 동작을 하며, 상기 가압스프링(60)과 버클(40)의 사이에 개입된 리턴스프링(50)은 가압스프링에 가해지는 장력보완하면서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측단면과 그 종단면도로서, 통상적인 시방 및 규정에 의거하여 강관(P)에 지지되게 발판(B)을 가설할 때 서로 인접된 양측 발판 사이의 하부에 위치하는 강관에 본 발명의 고정장치를 설치하게 되는데, 우선 발판(B)의 두께를 고려하여 이를 구속하는 버클(4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이어서, 양측 발판(B) 사이에 위치한 강관(P)을 향해 한 쌍의 집게(10)의 개방된 부위를 밀어 넣게 됨으로써, 가압스프링(60)의 탄력을 받고 있는 한 쌍의 집게(10)가 확대되면서 양측의 원호형 홈 안으로 강관이 들어오는 순간 움츠러들면서 강관을 견고하게 감싸게 되고, 상기 강관을 감싸는 동작과 동시에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버클(40)의 양측에 구비된 날개(41)가 발판(B)의 상부면 모서리를 구속 및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집게(10)를 원터치로 동작시키게 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한 동작에 의해 발판(B)을 강관(P)에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일차적인 고정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렌치 등의 전용공구를 사용하여 지지봉(70)의 상부에는 구비된 너트머리(72)를 조여주게 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와 그 조립상태 사시도로서, 위에서는 서로 인접된 양측 발판(B)을 동시에 강관(P)에 고정 설치하게 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발판의 경우 안전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한쪽의 발판만을 구속하게 일측 날개(41)를 제거하여 하부를 향하여 절곡되는 스커트(42)를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집게 11 : 핀공
12 : 축공 20 : 가동브라켓
21 : 핀축 22 : 나선홀
30 : 고정브라켓 31 : 지지축
32 : 가이드홀 40 : 버클
41 : 날개 42 : 스커트
50 : 리턴스프링 60 : 가압스프링
70 : 지지봉 71 : 걸림턱
72 : 너트머리(72)
P : 강관
B : 발판

Claims (2)

  1. 강관(P)의 상부에 안착 지지되는 발판(B)을 고정시키기 위해 강관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원호형으로 성형되어 서로 교차상태에서 대응되게 동작하는 한 쌍의 집게(10);
    상기 양측 집게(10)의 상부에 핀공(11)이 각각 형성되고 각 핀공(11)이 교차로 일치된 상태에서 일체로 관통되게 핀축(21)이 구비된 가동브라켓(20);
    상기 각 핀공(11)에 인접된 일 측에 축공(12)이 형성되어 이 축공(12)을 관통하는 지지축(31)이 양측에 구비되고, 양측 지지축(31)의 사이에 가동브라켓(20)이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홀(32)이 형성된 고정브라켓(30);
    상기 가동브라켓(20)의 상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나선홀(22); 및,
    상기 가동브라켓(20)의 나선홀(22)에 상부로부터 발판(B)의 가장자리를 구속하는 버클(40)과 코일 형태의 리턴스프링(50) 및 한 쌍의 집게(10)의 상부측에 각각 밀착되어 탄력을 가하는 가압스프링(6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지지봉(70)을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70)의 상부측에는 버클(40)을 압박하는 걸림턱(71)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나사조임과 분해가 용이하게 너트머리(72)가 결합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
KR1020160013874A 2016-02-04 2016-02-04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 KR10177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874A KR101775959B1 (ko) 2016-02-04 2016-02-04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874A KR101775959B1 (ko) 2016-02-04 2016-02-04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781A true KR20170092781A (ko) 2017-08-14
KR101775959B1 KR101775959B1 (ko) 2017-09-07

Family

ID=59925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874A KR101775959B1 (ko) 2016-02-04 2016-02-04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9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7682A (zh) * 2020-09-16 2021-01-15 飞帆集团有限公司 一种脚手架结构以及脚手架的搭设工艺
CN113338605A (zh) * 2021-05-27 2021-09-03 北京韬盛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爬架用防护网固定组件及固定方法
CN114622714A (zh) * 2022-03-17 2022-06-14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脚手架跳板紧固装置及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984B1 (ko) * 2014-12-29 2016-01-28 김현식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7682A (zh) * 2020-09-16 2021-01-15 飞帆集团有限公司 一种脚手架结构以及脚手架的搭设工艺
CN112227682B (zh) * 2020-09-16 2022-01-25 飞帆集团有限公司 一种脚手架结构以及脚手架的搭设工艺
CN113338605A (zh) * 2021-05-27 2021-09-03 北京韬盛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爬架用防护网固定组件及固定方法
CN114622714A (zh) * 2022-03-17 2022-06-14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脚手架跳板紧固装置及安装方法
CN114622714B (zh) * 2022-03-17 2023-12-12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脚手架跳板紧固装置及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959B1 (ko) 201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959B1 (ko) 강관비계용 작업발판 고정장치
EA029465B1 (ru) Комбинация усиливающего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элемента и устройства выравнивания колонн
KR101763077B1 (ko) 비계용 가설발판 고정장치
KR101505537B1 (ko) 배관 지지 구조체
KR200477671Y1 (ko) 설치가 용이한 안전 난간대
JP6440532B2 (ja) 組立柱の引き抜き装置および引き抜き方法
US11608845B2 (en) Detachable fastening system for two intersecting formwork beams
KR101340231B1 (ko) 파이프 연결 지그
JP6726597B2 (ja) レーザ加工機
KR200466760Y1 (ko) 가설물 고정 클램프
KR100897501B1 (ko) 거푸집 고정 장치
KR101489386B1 (ko) 거푸집을 포함하는 건축 자재 서포트용 소켓 및 이 소켓이 적용된 시스템 서포트
KR101775020B1 (ko) 그레이팅 판넬 고정장치
JP6689073B2 (ja) 足場板の固定装置
JP7173263B1 (ja) ナットの取り外し方法及びナットの取り付け方法
KR102436896B1 (ko)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및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
KR20130033633A (ko) 파이프 연결구
KR102379075B1 (ko) 배관 세팅용 지그장치
KR200481626Y1 (ko) 가스켓 분리장치
KR20090098034A (ko) 플랜지 볼트 연결을 위한 보조지그
KR200315513Y1 (ko) 끝단 맞춤용 치구
US2742065A (en) Screw actuated pivoted arm planking clamps
TWM521255U (zh) 變壓器鐵心加壓締緊裝置
KR101678151B1 (ko) 배관파이프 체결 장치
KR20160109598A (ko)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