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733A -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한방 약물 조성물 - Google Patents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한방 약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733A
KR20170092733A KR1020160013330A KR20160013330A KR20170092733A KR 20170092733 A KR20170092733 A KR 20170092733A KR 1020160013330 A KR1020160013330 A KR 1020160013330A KR 20160013330 A KR20160013330 A KR 20160013330A KR 20170092733 A KR20170092733 A KR 20170092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weight
respiratory diseas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명
서승률
Original Assignee
김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명 filed Critical 김동명
Priority to KR1020160013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2733A/ko
Publication of KR2017009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4Codonop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침, 천식, 기관지염, 아르레기성비염, 폐암등을 포함한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한, 신규의 한방 약물 조성물로서, 도라지 및 차가버섯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기타 한약 식품성분인 더덕, 배, 박하, 대추, 생밤, 생강, 청양고추, 건모과에서 선택되어지는 한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하여, 기침, 천식, 기관지염, 아르레기성비염 및 폐암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예방 개선할수 있는 신규의 한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한방 약물 조성물{A composition of oriental medical herbs for prevention and/or improving of respiratory diseases}
본 발명은 기침, 천식, 기관지염, 아르레기성비염, 페암등을 포함한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한, 신규의 한방 약물 조성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라지 및 차가버섯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기타 한약 식품성분인 더덕, 배, 박하, 대추, 생밤, 생강, 청양고추, 건모과에서 선택되어지는 한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하여, 기침, 천식, 기관지염, 아르레기성비염 및 폐암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예방 개선할수 있는 신규의 한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경제의 발전으로 환경 오염, 식생활의 변화로 호흡기 질환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실내생활의 증가와 대기중 미세먼지의 증가로 기침, 천식, 기관지염, 아르레기성비염은 만국민의 공통 만성 질환화 되어, 많은 시민들을 고통스럽게 하고 있다. 폐암의 발생도 급격하게 증가되어, 중국의 경우 1일 2,000명의 새로운 폐암환자가 발생하고 있다는 최근의 뉴스 보도가 있다.
호흡기 질환의 대표적이면서도 공통적으로 보이는 증상은 기침과 기관지 천식이 발생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거의 대부분의 호흡기질환의 치료 과정도 기침과 기관지 천식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개선시키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기침은 기도점막 자극에 의해 반사적으로 일어나는 방어기전이다. 이렇게 일어난 기침은 연수의 해소 중추를 억제하여 기침을 조정하거나 말초에있는 신장수용체를 조절하는 방법들이 의학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코데인은 연수의 해소중추를 억제하는 약물의 대표이고, 레보프로피진은 신장수용체를 조절하는 약물의 대표이다. 그러나, 이들 약물은 심근경색, 호흡억제 위장장애를 유발한다.
기관지 천식은 가장 대표적인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으로 기도로 흡인된 항원에 의해 생체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면역 세포로부터 인터루킨, 푸로스타그란딘, 루코트리엔, 히스타민등의 여러 종류의 면역대사물질이 생성 되고, 이 물질들로 인해 기관지가 급격하게 수축되는 염증반응이다.
이에 다라 기관지 확장을 목적으로 디소디움 크로모글리케이트등의 기관지 확장제나 이완제가 사용되지만 완전히 만족할만한 효과를 보이는 약물은 없고 오히려 독성이 강하고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문제점들이 노출되어, 최근에는 이의 대체 치료제로서 천연물에대한 소요증가가 급속도로 이루어 지고 있고, 실제로 많은 종류들이 실용화 되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47611호에는 서리태추출무ㄹ, 도라지 추출물, 박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기침, 가래예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674603호에는 도라지, 맥문동, 감초, 모과를 유효성분으로 한 호흡기 예방용 건강 음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075593호에는 도라지와 마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한 천식, 기관지염, 인후염등의 호흡기질환의 에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25654호에는 도라지와 솔잎, 더덕, 결명자, 유근피등을 유효성분으로 한 천식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종래 기술에서 공통적으로 이용되어 지는 전통약물은 도라지이다. 본 발명가는 도라지가 호흡기질환의 개선과 예방에 핵심적인 요소라는 점을 주목하고, 도라지의 약성을 더욱 증대시킬수 있는 약물의 조성물을 중점적으로 연구한 결과, 도라지와 차가버섯추출물을 조합시키었을 때, 기도내에 염증을 유발시키는데 관여하는 5-리폭시다제(5-LIPOXYGENASE)와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YCLOOXYGENASE-2)의 활성을 낮은 농도에서 억제시키고, 히스타민의 생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4611호(2013년 3월 20일등록)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75593호(2011년 7월 6일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74603(2007년 1월19일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25654호(2009년 10월30일)
본 발명은, 낮은 농도(0.01내지 0.1%)에서도 기관지 염증을 유의적으로 완화시켜, 결과적으로 기침, 천식, 기관지염, 아르레기성비염 및 폐암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예방 개선할수 있는 신규의 한방 조성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생도라지 40내지 60중량%, 생더덕 10내지 20중량, 차가버섯 1내지 10중량%, 배 10내지 20중량%, 박하잎 1내지 10중량%, 생대추 1내지 5중량%, 생밤 1내지 5중량%, 건모과 0.1내지 1중량%, 꿀 1내지 5중량%을,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한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추출물은 열수 추출, 주정+물 혼합 용매 추출물, 또는 증기에 의한 무가수 추출물로 제조 되어지는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한방 조성물일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추출물은, 섬유소분해효소, 탄수화물분해효소에 의한 효소 처리 추출물로 제조되어지는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한방 조성물일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바실러스, 효모, 유산균의 발효 추출물로 제조되어지는 추출물로 이루어진 한방 조성물일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액상 또는 음료 형태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진해활성, 거담활성 및 항히스타민 활성을 통한 기침 에방 및 치료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독성 및 부작용 없는 식품 및 생약 성분을 배합하여 편리하게 섭취하게 함으로서, 기침, 가래에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능을 얻을 수 있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과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의 농도에 다른 5-lipoxygenase 효소 활성 저해율을 나타낸 그래프도이고,
도면2는 본 발명에 다른 조성물과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의 농도에 다른 lipoxygenase-3 효소 활성 저해율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시 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물의 제조
서울 경동약재상에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약재들을 구입하여, 생도라지 520g, 생더덕 150g, 차가버섯 18g, 배 120g, 박하잎 90g, 생대추 30g, 생밤 30g, 건모과 1g, 꿀 27g을, 각각 계량한 후, 추출용기에 넣고, 100℃에서 12시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한후, 고형분 65Brix%농도로 진공 감압농축하여, 본 발명에 다른 한방조성물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47611호에 개시된 실시예 1의 방법에 다라 추출물을 얻고, 실시예2의 방법에 따라 기능성 조성물을 고형분 함량 65brix%로 제조 하였다.
[실험예 1] 조성물의 5-리폭시다제(5-LIPOXYGENASE)억제 효과
5-리폭시다제(5-LIPOXYGENASE)는 비만세포내에 존재하며 아라키돈산을 변형하여 류코트리엔류를 생성한다. 생성된 류코트리엔류는 기도내로 유입되어 염증세포를 활성화시키고 기도점막에서 점액분비를 축진시켜 염증반응 및 알레르기반응을 일으킨다.
5-리폭시다제(5-LIPOXYGENASE)억제 효과의 측정은 대한민국등록 특허 제 10-1247611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랐다.
그 결과는 IC50 값으로 나타내었다.
5-리폭시다제(5-LIPOXYGENASE)억제율(%)= ((대조군의초기반응속도-실험군의 초기반응속도/대조군의 초기반응속도)*100로 구하였고, IC50은 5-리폭시다제(5-LIPOXYGENASE) 활성이 50% 감소되는 농도이다.
그 셜과를 도면1에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5-리폭시다제(5-LIPOXYGENASE)IC50은 635ppm이였다. 이 값은 비교에의 1953ppm에 비하여 1/3수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비교예에 비하여 약 3배 활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2] 조성물의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YCLOOXYGENASE-2) 억제 효과
사이클로옥시다제는 1, 2형 두종류로 구분되며, 모두 아라키돈산을 분해하여 염증을 유발하는 프로스타그란딘류를 생성한다. 1형은 일정하게 발현되어 위장, 신장등 조직에서 생리적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 2형은 염증자극원에 의해 염증성세포에서 유도되며, 염증 및 알레르기 반응을 매개하는 프로스타그란딘류를 생성한다. 따라서, 2형 효소 활성에 억제 효과의 측정이 매우 유용하다 할수 있다. 시클로옥시다제-2의 효소 활성 평가는 대한민국 특허제 10-1247611호의 방법에 따라 평가 하고 그 결과를 도면 2에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다른 조성물의 사이클로옥시다제-2의 IC50 농도는 230ppm이였는데, 비교예는 967ppm이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교예의 24%농도에서 같은 저해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4배 강한 활성 억제능을 갖는다고 할수 있다.
[실험예 3] 조성물의 기침, 가래에방 및 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 실험
호흡기 질환 증증환자 15-70세, 피검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1회 5g, 1일 3회(오전 8시, 정오, 오후 6시)제공하여 일정 기간 복용케 하고, 섭취기간중 호전 상태를 조사하였다. 1주에서 4주간 섭취한 결과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4주 섭취시 모두 완쾌되었다.
Figure pat00001
상기한, 실시예와 비교예의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기침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고, 만성천식, 인후염, 기관지염등의 호흡기 질환에 대하여 우수한 에방,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4)

  1. 생도라지 40내지 60중량%, 생더덕 10내지 20중량, 차가버섯 1내지 10중량%, 배 10내지 20중량%, 박하잎 1내지 10중량%, 생대추 1내지 5중량%, 생밤 1내지 5중량%, 건모과 0.1내지 1중량%, 꿀 1내지 5중량%을, 추출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예방, 치료 효과를 갖는 한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한 추출물은 열수 추출, 주정+물 혼합 용매 추출물, 또는 증기에 의한 무가수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예방, 치료 효과를 갖는 한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추출물은, 섬유소분해효소, 탄수화물 분해효소에 의한 효소 처리 추출물로 제조되어지는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예방, 치료 효과를 갖는 한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추출물은, 바실러스, 효모, 유산균의 발효 추출물로 제조되어지는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예방, 치료 효과를 갖는 한방 조성물.
KR1020160013330A 2016-02-03 2016-02-03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한방 약물 조성물 KR20170092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330A KR20170092733A (ko) 2016-02-03 2016-02-03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한방 약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330A KR20170092733A (ko) 2016-02-03 2016-02-03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한방 약물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733A true KR20170092733A (ko) 2017-08-14

Family

ID=6014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330A KR20170092733A (ko) 2016-02-03 2016-02-03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한방 약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27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456A (ko) * 2018-09-04 2020-03-12 한국식품연구원 모과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AU2020260455B1 (en) * 2020-02-28 2021-04-01 Bareun Co., Ltd. Ingestible tablet or powder type oral cleaning composition
KR102550993B1 (ko) * 2022-10-12 2023-07-04 박건우 기관지 기능의 개선 또는 면역기능의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456A (ko) * 2018-09-04 2020-03-12 한국식품연구원 모과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AU2020260455B1 (en) * 2020-02-28 2021-04-01 Bareun Co., Ltd. Ingestible tablet or powder type oral cleaning composition
KR102550993B1 (ko) * 2022-10-12 2023-07-04 박건우 기관지 기능의 개선 또는 면역기능의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naee et al. Effects of long-term silymarin oral supplementation on the blood biochemical profile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JP4960458B2 (ja) コルジセピンを含有する肥満治療および予防用薬学組成物
TWI787950B (zh) 用於預防、緩解或治療冠狀病毒感染的包括杜英萃取物作為活性成分之藥物組成物以及食品組成物
WO2021164037A1 (zh) 一种治疗流行性感冒或传染病的药品
KR20170092733A (ko)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한방 약물 조성물
CN103028001A (zh) 一种用于平喘、镇咳、抗炎的中药组方、其制备方法及其用途
WO2018093734A1 (en) Method for treating hepatitis b
KR20120043426A (ko) 기침, 가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식품
KR102160672B1 (ko) 굼벵이의 가수분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0988923B1 (ko)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Ajith et al. Antidiabetic properties of medicinal mushrooms with special reference to Phellinus species: a review
CN113101331B (zh) 一种百里香药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83063B1 (ko) 황칠나무와 미나리를 이용한 천연발효식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간 및 신장 기능 보호, 개선 건강식품
WO2019014040A1 (en) METHOD OF TREATING HEPATIC STEATOSIS
KR102668792B1 (ko) 수면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되는 건강기능식품 및 약학 조성물
JP7407735B2 (ja) 白朮及び五味子の抽出物を含む、鎮咳去痰活性を有する組成物
CN108185245A (zh) 一种人参菜用大豆饮品的制备方法
JP2003171305A (ja) 糖尿病改善治療剤
CN107669890B (zh) 一种具有清咽化痰止咳作用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6421671A (zh) 基于五味消毒饮的清热解毒中药组合物、制剂及制备方法
Rachael et al. Comparative Effects of Fermented and Unfermented Parkia biglobosa Bean Seeds in Diabetic Induced Experimental Rats
CN1539426A (zh) 治疗和预防sars疾病的药物
WO2022126255A1 (en) Antioxidant nutritional supplement for immune system support
Jaiswal et al. ANTIMICROBIAL PROPERTIES OF ALLICIN FROM GARLIC AND PREDICTION OF ITS STUCTURE
JP2005194268A (ja) 軽度うつ病もしくはうつ状態の改善または予防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