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453A - 라프 키나제 및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vegfr2)를 저해하는 피리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라프 키나제 및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vegfr2)를 저해하는 피리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453A
KR20170092453A KR1020170004155A KR20170004155A KR20170092453A KR 20170092453 A KR20170092453 A KR 20170092453A KR 1020170004155 A KR1020170004155 A KR 1020170004155A KR 20170004155 A KR20170004155 A KR 20170004155A KR 20170092453 A KR20170092453 A KR 20170092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idin
purin
ylamino
benzamide
trifluoro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033B1 (ko
Inventor
조의환
신희종
기민효
권호석
이재웅
주정호
이근국
김종민
박용빈
강성현
조형민
김현태
안순길
홍성표
김성혜
Original Assignee
삼진제약주식회사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바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진제약주식회사,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바미켐 filed Critical 삼진제약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92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피리딘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리딘 유도체는 모든 라프 키나제(B-Raf, Raf-1, B-RafV600E)와 혈관형성에 관여하는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VEGFR2)를 저해함으로서, RAS 돌연변이에 의해 유도되는 흑색종, 대장암, 전립선암, 갑상선암, 폐암, 췌장암 또는 난소암 등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라프 키나제 및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VEGFR2)를 저해하는 피리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yridine Derivatives inhibiting Raf Kinases and VEGFR2,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티로신 키나제, 특히 모든 라프 키나제 및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VEGFR2)를 저해하는 피리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암은 전 세계적으로 성인사망의 중요한 원인의 하나가 되는 치명적인 질병으로 그 발생 빈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현재 다양한 약물들이 항암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약물은 세포독성을 통해 암을 치료하지만, 암세포에 대한 선택성이 낮아 정상세포에도 독성을 나타내는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항암제에 대한 내성발현은 항암치료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최근 인간의 게놈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새로운 분자 수준의 표적이 많이 발굴되었고, 이를 치료에 응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세포 자체를 공격하는 기존의 작용기전이 아닌 선택적으로 세포내의 표적에만 작용하는 항암제를 개발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세포 내에 존재하는 신호전달체계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잡한 메카니즘을 형성함으로써 세포의 증식, 성장, 전이, 사멸 등을 조절한다. 신호전달체계에서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는 세포 내의 조절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암세포 내에서는 이의 비정상적인 발현 및 변이가 많이 관찰된다.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는 ATP로부터 단백질 기질 상에 위치하는 티로신으로 인산기의 전달을 촉매하는 효소로서, 수많은 성장인자 수용체 단백질들은 티로신 키나제로 작용하며, 이 과정에서 이들은 세포신호전달을 수행한다. 성장인자와 이들 수용체간의 상호작용은 세포성장의 정상적인 조절에 필수적이나, 특정 조건 하에서 돌연변이 또는 과발현에 의해 이들 수용체에 의한 정상적인 신호조절이 불가능해지면 여러 질병들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 수용체는 세포의 원형질막을 통과하는 생화학적인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세포막 투과성 분자들은 특징적으로 원형질막에서 세포 안쪽의 티로신 키나제 도메인과 세포 바깥쪽에서 리간드 결합을 이루는 도메인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은 수용체와 세포 안쪽의 또 다른 분자사이에서 티로신 키나제 잔기의 인산화 작용이 일어나도록 자극하게 되고, 티로신의 인산화 작용으로 야기되는 변화는 다양한 세포반응을 통해 신호전달을 일으킨다.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는 성장인자와 관련하여 여러 패밀리로 분류되는데, 특히 VEGF와 관련된 신생혈관 성장인자 수용체 (VEGFR) 티로신 키나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VEGFR 티로신 키나제는 수용체 부분과 티로신 키나제 부분으로 구성되며, 세포막을 관통하는 단백질로서 세포 외부의 신호를 세포 내부로 전달한다. VEGFR 티로신 키나제는 VEGFR1, VEGFR2 및 VEGFR3으로 나뉘며, 신생혈관형성에 관여하는 주 VEGFR은 VEGFR2 (KDR)로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지 못한 병리학적인 신생혈관형성은 당뇨환자의 망막증, 건선, 암, 류마티스성 관절염, 아테롬, 카포시 육종, 혈관종 등의 질환과 관련되어 있다[Trends Pharmacol. Sci, 1995, 16, 57-66 및 Nature Medicine, 1995, 1, 27-31]. FGFs와는 정반대로 VEGF의 성장인자는 이들 수용체의 제한적인 발현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특정한 내피세포에서만 활성을 나타낸다. 최근에 VEGF가 정상적 및 병리학적인 신생혈관형성 [Jakeman et al., Endocrimology 133: 848-859, 1993; 및 Kolch et al.,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36: 139-155, 1995] 과 혈관의 전이 [Connolly et al., J. Biol. Chem. 264: 20017-20024, 1989]에 중요한 자극제로 작용한다는 것이 보고되었고, 항체를 이용한 VEGF의 제거로 인한 VEGF의 길항작용이 암세포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발표된 바 있다 [Nature, 1993, 362, 841-844].
종양 성장, 진행 및 전이에 관여하는 프로세스는 암세포에서 활성화되는 신호전달경로(signaling pathway)에 의해 매개된다. ERK 경로는 리간드-결합 세포 표면 티로신 키나제 수용체, 예를 들면, ErbB 계열, PDGF, FGF 및 VEGF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로부터의 세포와 신호를 중계함으로써 포유류 세포 성장을 조절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ERK 경로의 활성화는 Ras의 활성화로 개시되는 일련의 포스포릴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Ras의 활성화는 Raf, 세린-트레오닌 키나제의 점증 및 활성화를 유동한다. 이후에, 활성화된 Raf는 MEK1/2를 포스포릴화하여 활성화시키고, MEK1/2가 ERK1/2를 포스포릴화하여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되면, ERK1/2는 세포골격 변화 및 전사 활성화를 포함하는 다수의 세포 작용에 관여하는 몇 가지 다운스트림 표적(downstream target)을 포스포릴화한다. ERK/MAPK 경로는 세포 증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이며, RAF는 Ras-Raf-MEK-ERK 신호전달 경로에서 MEK 신호전달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종양형성 과정에서 주된 역할을 한다 [Nature 2002, 417, 949-954]. Raf 단백질에는 A-raf, B-raf, C-raf의 세 가지 이성질 형태(isoform)가 있는데[Biochim. Biophys. Acta., 2003, 1653,25~40], 그 중에서 B-raf와 C-raf가 Ras로부터 MEK로 신호전달을 연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각각의 Raf 이성질 형태(isoform)들은 매우 유사한 아미노산 배열을 하고 있지만, 생화학적 활성 및 생물학적 기능은 서로 구분이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Exp. Cell. Res. 1999, 253, 34~46]. 지금까지 B-raf의 가장 빈번한 돌연변이는 발린 600번이 글루탐산(V600E)으로 변이가 일어나는 것으로 인간 암의 90 % 이상에서 관찰되고 있다. 따라서, B-raf를 선택적으로 표적하는 항암제가 FDA 승인을 받아 악성 피부 흑색종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치료제들은 RAS 돌연변이를 가진 세포에서는 자기 모순적 활성화(paradoxical activation)에 의해 B-raf와 C-raf의 결합을 촉진시키고 결합된 RAF 이합체(dimer)를 활성화시켜 세포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Nature 2010, 464, 431-435 및 Cell, 2010, 140, 209-221]. 왜냐하면 RAS 돌연변이 암세포에서는 B-raf 뿐만 아니라 C-raf가 암세포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B-raf 하나만을 저해해서는 하위로의 신호를 억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Cancer Discov, 2011, 1, 128-136]. 임상 시험결과에서도 선택적인 B-raf 저해제는 RAS 돌연변이와 관련되어 있는 피부편평암(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이 보고되었고 [N. Engl. J. Med., 2011, 364, 2507-2516], 전임상 동물 시험에서도 선택적인 B-raf 저해제는 RAS 돌연변이를 가진 암의 성장과 전이를 오히려 촉진시키는 것이 보고 되어 있다 [Nature, 2010, 464, 431-435 및 Sci. Signal, 2014, 7, ra30].
따라서, RAS 돌연변이를 가진 암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모든 라프 키나제(B-raf, raf-1, B-raf V600E)를 저해해야 하고, in vivo에서 더욱 큰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VEGFR2)를 동시에 저해하여야만 한다.
국제특허공개 WO 2008/153947호 및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12-0060744호는 3-(9H-퓨린-6-일)-피리딘-2-일 아미노 유도체 골격의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고, 이들은 티로신 키나제 수용체 중 B-raf를 억제할 뿐이다.
국제특허공개공보 WO 2008/153947호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12-0060744호
이에, 본 발명은 피리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모든 라프 키나제(B-Raf, Raf-1, B-Raf V600E)와 혈관형성에 관여하는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VEGFR2)를 저해함으로써, RAS 돌연변이에 의해 유도되는 비정상 세포 성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리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피리딘 유도체 화합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 중,
X 는 탄소 또는 질소 원자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시아노, C1-6 알킬 또는 C1-6 알콕시이고 {여기서, 상기 C1-6 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음};
A는
Figure pat00002
또는
Figure pat00003
이며; 그리고
B 는 C1-8 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여기서,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F3, -NO2, -OH, -SH, -CN, -NR3R4, -NHC(O)OR5, -SO2R6 , C1-8 알콕시, C1-8 티오알콕시, C1-8 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3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5-8 아릴, 및 5 내지 8원의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1-8 알콕시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1-8 알킬 또는 C3-6 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C1-8 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3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N 또는 -C(O)NH2 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치환기들 중 3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C1-8 알킬 또는 -OH 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5-8 아릴 또는 5 내지 8원의 헤테로아릴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F3, -NO2, -OH, -SH, -CN, -NR3R4, -NHC(O)OR5, -C(O)NR3R4, C1-8 알콕시, C1-8 티오알콕시 또는 C1-8 알킬로 치환될 수 있으며,
R3, R4, R5 및 R6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 알킬이다 [여기서, 상기 C1-6 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음]}.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a 로 표시되는 피리딘 유도체일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pat00004
상기 식 중,
X 는 탄소 또는 질소 원자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6 알킬 또는 C1-6 알콕시이고 {여기서, 상기 C1-6 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음};
A는
Figure pat00005
또는
Figure pat00006
이며; 그리고
B 는 C1-8 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여기서,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F3, -NO2, -CN, -NR3R4, -NHC(O)OR5, -SO2R6, C1-8 알콕시, C1-8 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3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5-8 아릴, 및 5 내지 8원의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1-8 알콕시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1-8 알킬 또는 C3-6 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C1-8 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3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N 또는 -C(O)NH2 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치환기들 중 3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C1-8 알킬 또는 -OH 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5-8 아릴 또는 5 내지 8원의 헤테로아릴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F3, -NO2, -CN, -NR3R4, -NHC(O)OR5, -C(O)NR3R4, C1-8 알콕시 또는 C1-8 알킬로 치환될 수 있으며,
R3, R4, R5 및 R6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 알킬이다 {여기서, 상기 C1-6 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b 로 표시되는 피리딘 유도체일 수 있다.
[화학식 1b]
Figure pat00007
상기 식 중,
X 는 질소 원자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A 는
Figure pat00008
또는
Figure pat00009
이며; 그리고
B 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여기서,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F3 및 C1-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1-8 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CN 로 치환될 수 있음}.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X 는 질소 원자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4 알킬 또는 C1-4 알콕시이고 {여기서, 상기 C1-4 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음};
A는
Figure pat00010
또는
Figure pat00011
이며; 그리고
B 는 C1-8 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여기서,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F3, -NO2, -CN, -NR3R4, -NHC(O)OR5, -SO2R6, C1-4 알콕시, C1-4 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3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5-8 아릴, 및 5 내지 8원의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1-8 알콕시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1-4 알킬 또는 C3-6 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C1-4 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3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N 또는 -C(O)NH2 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치환기들 중 3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C1-8 알킬 또는 -OH 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5-8 아릴 또는 5 내지 8원의 헤테로아릴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또는 C1-4 알킬로 치환될 수 있음}.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X 는 탄소 원자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4 알킬 또는 C1-4 알콕시이고 {여기서, 상기 C1-4 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음};
A는
Figure pat00012
이며; 그리고
B 는 아릴이다
{여기서, 상기 아릴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F3, C1-4 알콕시 또는 C1-4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1-4 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CN 또는 -C(O)NH2 로 치환될 수 있음}.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할로겐'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알킬'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직쇄형, 고리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 잔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사이클로프로필 등을 포함한 환상 알킬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아릴'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페닐, 나프틸 등을 포함하는 방향족 그룹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O, N, 및 S 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모노사이클릭 또는 바이사이클릭 이상의 환상 알킬을 나타낸다. 모노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예로는 피페리딘일, 모폴린일, 티아모폴린일, 피롤리딘일, 이미다졸리딘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일, 피페라진일 및 이와 유사한 그룹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아릴'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O, N 및 S 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모노사이클릭 또는 바이사이클릭 이상의 방향족 그룹을 의미하고, 또한 환을 이루는 탄소 중 하나 이상의 탄소가 C=O로 치환된 방향족 그룹을 포함한다. 모노사이클릭 헤테로아릴의 예로는 티아졸릴, 옥사졸릴, 티오펜일, 퓨란일, 피롤릴, 이미다졸릴, 이소옥사졸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디아졸릴, 피리딘일, 피리다진일, 피리미딘일, 피라진일 및 이와 유사한 그룹을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의 예로는 인돌릴, 벤조티오펜일, 벤조퓨란일, 벤즈이미다졸릴, 벤즈옥사졸릴, 벤즈이속사졸릴, 벤즈티아졸릴, 벤즈티아디아졸릴, 벤즈트리아졸릴, 퀴놀린일, 이소퀴놀린일, 퓨린일, 퓨로피리딘일, 옥소크로멘, 디옥소이소인돌린 및 이와 유사한 그룹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피리딘 유도체는 하기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1)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4)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이소부틸아마이드;
5)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티오펜-2-카르복시아마이드;
6)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퓨란-2-카르복시아마이드;
7)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5-카르복시아마이드;
8)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싸이아졸-5-카르복시아마이드;
9)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10)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메틸피페라진-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1)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티오모포리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메틸피페리딘-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4)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티오모폴리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5)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4-메틸피페리딘-1-일)-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6)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7)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2,3-디하이드로벤조[b][1,4]디옥신-6-카복사마이드;
18)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모포리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9)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파이로리딘-1-일)-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20)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1-시아노시클로프로필)벤즈아마이드;
2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2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2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24)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클로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25)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26)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2-(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27)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28)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29)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30)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3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32)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33)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5-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
34)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나이트로벤즈아마이드;
35)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메톡시벤즈아마이드;
36)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5-(트리플로메틸)벤즈아마이드;
37)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시아노벤즈아마이드;
38)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39) N-(4-(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3-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40)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나이트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41)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클로로-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4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2-클로로-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4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5-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
44)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4,5-디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
45)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클로로벤즈아마이드;
46)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다이메틸아미노)벤즈아마이드;
47)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메틸벤즈아마이드;
48)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클로로벤즈아마이드;
49)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4-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50)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4-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51)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5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나이트로벤즈아마이드;
5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메톡시벤즈아마이드;
54)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아미노벤즈아마이드;
55) 메틸 3-(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카바모일)페닐카바메이트;
56)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피라진-2-카복스아마이드;
57)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벤즈아마이드;
58) N-{2,4-디플루오로-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59) 1-(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60) 1-(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61) 4-클로로-N-{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62) N-{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니트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63) N-{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64) N-{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6-메틸피리딘-2-일)벤즈아마이드 ;
65) N-{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66) N-{2-클로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67) N-{2-클로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68) N-{2-메틸-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69) N-{2-메톡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70) N-{4-메톡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71) N-{4-메틸-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72) N-{2,6-디플루오로-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73) 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마이드;
74) 1-(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우레아;
75) 1-{3-플루오로-4-[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76) N-{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아마이드;
77) N-(3-시아노메틸페닐)-4-플루오로-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벤즈아마이드;
78) N-{4-[(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3-플루오로페닐}-4-(시아노메틸)벤즈아마이드;
79) N-{4-[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80) N-{2-메톡시-4-[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81)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플루오로페닐)-2-옥소이미다졸리딘-1-카복사마이드;
82) N-(4-(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3-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미드;
83) N-(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84) N-(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85) N-(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86) N-(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87) 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 벤즈아마이드;
88) 3-플루오로-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 벤즈아마이드;
89) 4-클로로-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 벤즈아마이드;
90) 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 벤즈아마이드;
91) 3-(2-시아노프로판-2-일)-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벤즈아마이드;
92) 3-(2-시아노프로판-2-일)-5-플루오로-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벤즈아마이드;
93) 4-클로로-3-(2-시아노프로판-2-일)-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벤즈아마이드;
94) 3-(2-시아노프로판-2-일)-N-{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벤즈아마이드;
95) 3-(2-시아노프로판-2-일)-N-{4-플루오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벤즈아마이드;
96) 3-(2-시아노프로판-2-일)-N-{2,6-디플루오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벤즈아마이드;
97) N-{2-클로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98) 3-(2-시아노프로판-2-일)-N-{3-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벤즈아마이드;
99) 3-(2-시아노프로판-2-일)-N-{4-메틸-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벤즈아마이드;
100) 3-(2-시아노프로판-2-일)-N-{4-메톡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벤즈아마이드;
101) N-{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02) N-{2-플루오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03) N-{4-플루오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04) N-{2,4-디플루오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05) N-{2,6-디플루오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06) N-{2,4-디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07) N-{2-클로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08) N-{4-메틸-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09) N-{4-메톡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10) N-{3-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1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12) 5-[3-(9H-퓨린-6-일)아미노]-N-[3-(2-시아노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
113)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
114) 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N-(3,4-다이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
115) 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N-(3,5-다이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
116)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 (2-시아노프로판-2-일)-4-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
117)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클로로-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118) 1-{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119)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6-(2-시아노프로판-2-일)피콜린아마이드;
120)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2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2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23) 1-{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124)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클로로페닐}-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25)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메틸티오)벤즈아마이드;
126)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메틸설포닐)벤즈아마이드;
127)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클로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5-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
128)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29)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30)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2,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3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마이드;
132)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5-다이메톡시벤즈아마이드;
133)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34)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35)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36)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6-(트리플루오로메틸)피콜린아마이드;
137)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플루오로-3-메틸벤즈아마이드;
138)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39)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40)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마이드;
14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사이클로프로필벤즈아마이드;
142)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마이드;
143)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마이드;
144)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피콜린아마이드;
145)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메틸벤즈아마이드;
146)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클로로벤즈아마이드;
147)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마이드;
148)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아이소니코틴아마이드;
149)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틴아마이드;
150)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마이드;
15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트리플루오로메틸)아이소니코틴아마이드;
15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4-메톡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15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4-메틸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154)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55)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5-메틸벤즈아마이드;
156)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2-브로모-3-(2-시아노프로판-2-일)-5-메톡시벤즈아마이드;
157)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시아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및
158)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브로모-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합물들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나프탈렌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 형태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 개 이상의 비대칭 탄소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세미체, 라세믹 혼합물, 단일의 에난티오머, 부분입체이성체 혼합물 및 각각의 부분입체이성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성질체는 종래기술, 예를 들어 화학식 1 로 표시된 화합물은 관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HPLC 등의 분할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다. 또는,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 각각의 입체 이성질체는 공지된 배열의 광학적으로 순수한 출발 물질 및/또는 시약을 사용하여 입체 특이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따라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13
상기 반응식 1에서, X, A, B, R1 및 R2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Y는 할로겐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염기는 리튬(비스트리메틸실릴)아마이드이고 상기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과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용매인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넣고 녹인 후, 0 ℃에서 염기인 리튬(비스트리메틸실릴)아마이드를 천천히 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화학식 1의 피리딘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피리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RAS 돌연변이에 의해 유도되는 비정상 세포 성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4
상기 X, A, B, R1 및 R2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모든 라프 키나제(B-Raf, Raf-1, B-RafV600E)와 혈관형성에 관여하는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VEGFR2)를 저해하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라프 키나제(Raf Kinase)와 혈관형성에 관여하는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의 과도한 활동을 원인으로 하는 비정상 세포 성장 질환(비정상적 활성화에 기인된 질환), 즉 RAS 돌연변이에 의해 유도되는 비정상 세포 성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RAS 돌연변이에 의해 유도되는 비정상 세포 성장 질환은 위암, 폐암, 간암, 대장암, 소장암, 췌장암, 뇌암, 뼈암, 흑색종, 유방암, 경화성선종, 자궁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두경부암, 식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신장암, 육종, 전립선암, 요도암, 방광암, 백혈병, 다발성골수종, 혈액암, 림프종, 섬유선종, 염증, 당뇨, 비만, 건선, 류마티스성 관절염, 혈관종, 급성 또는 만성 신장병, 관상동맥 재협착증, 자가면역질환, 천식, 신경변성 질환, 급성감염 및 혈관 분열로 인한 안구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AS 돌연변이에 의해 유도되는 비정상 세포 성장 질환은 흑색종, 대장암, 전립선암, 갑상선암 및 난소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세포신호전달 억제제(cell signal transduction inhibitors), 유사분열 저해제(mitosis inhibitors), 알킬화제(alkylating agents), 대사길항제(antimetabolites), 항생제(antibiotics), 성장인자 저해제(growth factor inhibitors), 세포주기 저해제(cell cycle inhibitors), 토포이소머라아제 저해제(topoisomerase inhibitors), 생물학적 반응조절제(biological reaction modifiers), 항호르몬제(antihormonal agents), 항안드로겐제(antiandrogen), 세포 분화/증식/생존 저해제(cell differentiation/proliferation /survival inhibitors), 세포자살 저해제(apoptosis inhibitors), 염증 저해제(inflammation inhibitors) 및 P-당단백 저해제(P-glycoprotein inhibitor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약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제제화 하는 경우에는 상기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약제와 병용하거나 또는 복합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일일 투여량은 약 1 내지 1000 ㎎/㎏ 이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 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으며, 정제, 환제, 산제, 캅셀제, 시럽,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등의 다양한 경구 투여 형태 또는 근육 내, 정맥 내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경구 제형의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사용되는 첨가제 또는 담체의 예로는 셀룰로오스, 규산칼슘, 옥수수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스, 덱스트로스, 인산칼슘,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젤라틴, 탈크, 계면활성제, 현탁제, 유화제, 희석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주사제의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상기 첨가제 또는 담체로는 물, 식염수, 포도당 수용액, 유사 당수용액, 알콜, 글리콜, 에테르(예: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오일, 지방산, 지방산에스터, 글리세라이드, 계면활성제, 현탁제, 유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첨가제의 예로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AS 돌연변이에 의해 유도되는 비정상 세포 성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사용을 위한, 화학식 1의 피리딘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RAS 돌연변이에 의해 유도되는 비정상 세포 성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사용을 위한, 화학식 1의 피리딘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RAS 돌연변이에 의해 유도되는 비정상 세포 성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염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투여를 포함하는, RAS 돌연변이에 의해 유도되는 비정상 세포 성장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포유류, 특히 인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라는 용어는 RAS 돌연변이에 의해 유도되는 비정상 세포 성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효한 상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피리딘 유도체의 양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모든 라프 키나제(B-Raf, Raf-1, B-Raf V600E)와 혈관형성에 관여하는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VEGFR2)를 저해함으로써, RAS 돌연변이에 의해 유도되는 비정상 세포 성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21 및 실시예 30의 생체 내 항종양 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 33, 실시예 36 및 실시예 63의 생체 내 항종양 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3은 실시예 59, 실시예 60 및 비교예 1의 생체 내 항종양 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 65, 실시예 135, 실시예 139 및 실시예 154의 생체 내 항종양 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5는 농도별 실시예 135의 생체 내 항종양 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15
단계 1 : 2,6-디플루오로-3-니트로 벤조산의 제조
Figure pat00016
2,6-디플루오로 벤조산(1.4 g, 9 mmol)에 진한 황산(5 mL)을 넣고 0 ℃에서 포타슘 나이트레이트(1 g, 9.9 mmol)를 조금씩 첨가하였다. 반응물의 온도를 실온으로 올린 후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얼음물을 부은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고 잔여물을 감압 여과하여 얻은 고체를 디에틸에테르로 씻어주고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8.37 (td, J = 9.2, 5.6 Hz, 1H), 7.46 (t, J = 9.2 Hz, 1H)
단계 2: t-부틸 2,6-디플루오로-3-니트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17
디클로로메탄과 N,N-디메틸폼아마이드 혼합용매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2,6-디플루오로-3-니트로 벤조산(16 g, 79 mmol)을 넣고 옥살릴 클로라이드(14 mL, 158 mmol)를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농축한 후,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과 N,N-디메틸폼아미트로 묽히고 0 ℃로 온도를 낮추었다. 소듐아자이드(5.6 g, 87 mmol)를 조금씩 천천히 가하였다.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후 t-부탄올(40 mL)을 가하였다. 반응물을 3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고 반응 종료 후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후 잔여물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유기물을 농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8.00 (m, 1H), 7.08 (m, 1H), 6.46 (bs, 1H), 1.51 (s, 9H)
단계 3: t-부틸 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18
메탄올 용매에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t-부틸 2,6-디플루오로-3-니트로페닐카바메이트(1 g, 3.6 mmol)를 녹인 후 팔라듐 카본(100 mg)을 넣고 수소 압력 하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셀라이트 여과 후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6.74 (m, 1H), 6.59 (m, 1H), 5.95 (bs, 1H), 3.62 (bs, 2H), 1.51 (s, 9H)
단계 4: t-부틸 2,6-디플루오로-3-(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19
디클로로메탄 용매에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t-부틸 (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30 mg, 0.12 mmol)를 넣고 녹였다. 반응 용액에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19 μL, 0.13 mmol)와 트리에틸아민(25 μL, 0.18 mmol)을 넣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물을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8.25 (m, 1H), 8.16 (s, 1H), 8.07 (d, J = 7.6 Hz, 1H), 7.99 (s, 1H), 7.86 (d, J = 7.6 Hz, 1H), 7.68 (d, J = 8.0 Hz, 1H), 7.02 (td, J = 9.2, 1.6 Hz, 1H) 6.06 (s, 1H), 1.54 (s, 9H)
단계 5: 6-클로로-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의 제조
Figure pat00020
에틸아세테이트 용매에 6-클로로-9H-퓨린(500 mg, 3.2 mmol), 4-메탄술포닐산(12 mg, 0.07 mmol)과 3,4-디히드로-2H-피란(0.9 mL, 9.7 mmol)을 넣고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90 ℃에서 고체가 다 녹을 때까지 약 1 시간 가량 교반하였다. 용매를 농축 후 잔여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8.77 (s, 1H), 8.36 (s,1H), 5.80 (dd, J = 10.4, 2.8 Hz, 1H), 4.21 (m, 1H), 3.80 (m, 1H), 2.21-1.67 (m, 6H).
단계 6: 6-(2-플루오로피리딘-3-일)-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의 제조
Figure pat00021
에탄올과 물 혼합용매(5/1 v/v)에 상기 단계 5에서 제조한 6-클로로-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239 mg, 1 mmol), 2-플루오로피리딘-3-일 보론산(189 mg, 1.3 mmol), 포타슘 아세테이트(216 mg, 2.2 mmol)와 비스(디-t-부틸-(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핀)디클로로 팔라듐(14 mg, 0.02 mmol)을 넣고 반응물을 질소 압력 하에서 80 ℃에서 2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용액을 농축하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한 후 잔여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9.09 (s, 1H), 8.91 (s, 1H), 8.56 (m, 1H), 8.47 (m, 1H), 7.62 (m, 1H), 5.84 (dd, J = 10.8, 2.0 Hz, 1H), 4.04 (m, 1H), 3.76 (m, 1H), 2.38 (m, 1H), 2.03 (dd, J = 12.8, 2.6 Hz, 2H), 1.79-1.60 (m, 3H)
단계 7: N-(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22
에틸아세테이트 용매에 상기 단계 4에서 제조한 t-부틸-2,6-디플루오로-3-(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30 mg, 0.09 mmol)에 4 M 하이드로겐클로라이드 용액(4 M solution in 1,4-dioxane)을 가하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용매를 농축하고 감압 여과하여 N-(3-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를 얻었다.
얻어진 N-(3-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19 mg, 0.06 mmol)와 상기 단계 6에서 제조한 6-(2-플루오로피리딘-3-일)-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16 mg, 0.054 mmol)을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에 넣고 녹인 후 0 ℃에서 리튬(비스트리메틸실릴)아마이드(270 μL, 1.0 M solution in THF)를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반응 완료 후 물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1.66 (s, 1H), 9.68 (dd, J = 8.0, 2.0 Hz, 1H), 9.05 (s, 1H), 8.40 (s, 1H), 8.30 (dd, J = 4.8, 1.6 Hz, 1H), 8.23 (m, 1H), 8.19 (s, 1H), 8.07 (m, 2H), 7.84 (d, J = 7.6 Hz, 1H), 7.66 (t, J = 7.6 Hz, 1H), 7.09 (td, J = 9.2, 2.0 Hz, 1H), 6.98 (dd, J = 8.0, 4.8 Hz, 1H), 5.91 (dd, J = 10.8, 2.4 Hz, 1H), 4.25 (m, 1H), 3.86 (m, 1H), 2.24-1.61 (m, 6H)
단계 8: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23
상기 단계 7에서 제조한 N-(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20 mg, 0.034 mmol)에 1M 염산 수용액을 넣고 2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9.72 (bs, 1H), 9.04 (s, 1H), 8.55 (s, 1H), 8.31 (s, 1H), 8.26 (d, J = 7.2 Hz, 1H), 8.19 (dd, J = 4.0, 1.6 Hz, 1H), 7.93 (d, J = 7.6 Hz, 1H), 7.77 (t, J = 8.0 Hz, 1H), 7.63 (m, 1H), 7.15 (t, J = 9.6 Hz, 1H), 7.03 (dd, J = 8.0, 4.8 Hz, 1H)
실시예 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24
단계 1: t-부틸 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25
디클로로메탄 용매에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제조한 t-부틸-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30 mg, 0.12 mmol),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48 mg, 0.18 mmol),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35 mg, 0.18 mmol)와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15 mg, 0.12 mmol)을 넣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물을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MeOD): δ 8.42 (s, 1H), 8.28 (d, J = 1.6 Hz, 1H), 8.26 (s, 1H), 8.16 (s, 1H), 7.64 (d, J = Hz, 1H), 7.52 (s, 1H), 7.09 (td, J = Hz, 1H), 2.30 (s, 3H), 1.52 (s, 9H)
단계 2: N-(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26
에틸아세테이트 용매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30 mg, 0.06 mmol)에 하이드로겐클로라이드 용액(4 M solution in 1,4-dioxane)을 가하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용매를 농축하고 감압 여과하여 N-(3-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메틸-1H-피라졸-1-일)-5-(트리플로로메틸)벤즈아마이드를 얻었다.
얻어진 N-(3-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메틸-1H-피라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26 mg, 0.07 mmol)와 실시예 1의 단계 6에서 제조한 6-(2-플루오로피리딘-3-일)-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18 mg, 0.059 mmol)을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에 넣고 녹인 후 0 ℃에서 리튬(비스트리메틸실릴)아마이드(295 μL, 1.0 M solution in THF)를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반응 완료 후 물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1.69 (s, 1H), 9.67 (dd, J = 8.0, 2.0 Hz, 1H), 9.04 (s, 1H), 8.45 (s, 1H), 8.42 (s, 2H), 8.24 (dd, J = 4.8, 1.6 Hz, 1H), 8.10 (s, 1H), 8.02 (s, 1H), 7.87 (s, 1H), 7.76 (s, 1H), 7.10 (m, 2H), 6.95 (dd, J = 8.0, 4.8 Hz, 1H), 5.90 (m, 1H), 4.23 (m, 1H), 3.85 (m, 1H), 2.29 (s, 3H), 2.24-1.73 (m, 6H)
단계 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27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N-(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20 mg, 0.030 mmol)에 1M 염산 수용액을 넣고 2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9.65 (bs, 1H), 9.04 (s, 1H), 8.55 (s, 1H), 8.45 (s, 1H), 8.29 (s, 2H), 8.19 (d, J = 4.8 Hz, 1H), 8.17 (s, 1H), 7.67 (m, 1H), 7.53 (s, 1H), 7.16 (t, J = 9.2 Hz, 1H), 7.04 (dd, J = 7.6, 4.8 Hz, 1H), 2.30 (s, 3H).
실시예 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28
단계 1: t-부틸-3-(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29
디클로로메탄 용매에 실시예 1의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t-부틸-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30 mg, 0.12 mmol), 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50 mg, 0.18 mmol),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35 mg, 0.18 mmol)와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15 mg, 0.12 mmol)을 넣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물을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8.16-7.98 (s, 5H), 6.98 (t, J = 9.2 Hz, 1H), 6.33 (s, 1H), 3.74 (s, 2H), 2.57 (bs, 8H), 2.47 (q, J = 7.2 Hz, 2H), 1.52 (s, 9H), 1.12 (t, J = 7.2 Hz, 3H)
단계 2: N-(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30
에틸아세테이트 용매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t-부틸-3-(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30 mg, 0.06 mmol)에 하이드로겐클로라이드 용액(4 M solution in 1,4-dioxane)을 가하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용매를 농축하고 감압 여과하여 N-(3-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를 얻었다.
얻어진 N-(3-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22 mg, 0.05 mmol)와 실시예 1의 단계 6에서 제조한 6-(2-플루오로피리딘-3-일)-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14 mg, 0.05 mmol)을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에 넣고 녹인 후 0 ℃에서 리튬(비스트리메틸실릴)아마이드(225 μL, 1.0 M solution in THF)를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반응 완료 후 물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1.65 (s, 1H), 9.68 (dd, J = 8.0, 2.0 Hz, 1H), 9.05 (s, 1H), 8.41 (s, 1H), 8.31 (dd, J = 4.8, 1.6 Hz, 1H), 8.18 (s, 1H), 8.02 (m, 3H), 7.07 (td, J = 9.2, 1.6 Hz, 1H), 6.99 (dd, J = 8.0, 4.8 Hz, 1H), 5.91 (dd, J = 10.4, 2.4 Hz, 1H), 4.23 (m, 1H), 3.86 (m, 1H), 2.47 (m, 10H), 2.25-1.71 (m, 6H), 1.10 (t, J = 7.6 Hz, 3H)
단계 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31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N-(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20 mg, 0.03 mmol)에 1M 염산 수용액을 넣고 2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실온으로 온도를 내리고 생성된 고체를 감압여과한 후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씻어주고 실온에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0.50 (dd, J = 8.0, 1.6 Hz, 1H), 9.13 (bs, 1H), 8.71 (s, 1H), 8.39 (s, 1H), 8.31 (d, J = 8.4 Hz, 1H), 8.19 (dd, J = 8.0, 1.6 Hz, 1H), 7.87 (m, 1H), 7.49 (dd, J = 7.6, 6.4 Hz, 1H), 7.43 (t, J = 9.2 Hz, 1H), 4.15 (s, 2H), 3.54 (m, 2H), 3.26 (m, 6H), 2.80 (m, 2H), 1.39 (t, J = 7.6 Hz, 3H)
실시예 4.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이소부틸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32
단계 1: 벤질 t-부틸(2,4-디플루오로-1,3-페닐렌)디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33
디클로로메탄 용매에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제조한 t-부틸 2,6-디플루오로-3-아미노페닐카바메이트(305 mg, 1.25 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71 μL, 2.13 mmol)과 벤질 클로로포메이트(194 μL, 1.38 mmol)을 넣고 실온에서 5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감압 여과하여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7.94 (bs, 1H), 7.39 (m, 5H), 6.93 (td, J = 9.2, 1.6 Hz, 1H), 6.82 (bs, 1H), 5.98 (bs, 1H), 5.23 (s, 2H), 1.52 (s, 9H).
단계 2: 벤질 3-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34
에틸아세테이트 용매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벤질 t-부틸(2,4-디플루오로-1,3-페닐렌)디카바메이트(400 mg, 1.06 mmol)를 넣고 4 M 하이드로겐클로라이드 용액(4 M solution in 1,4-dioxane)을 가하고 실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용매를 농축하여 감압 여과한 고체를 디에틸에테르로 씻어주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7.40 (m, 6H), 6.80 (dd, J = 9.6, 2.0 Hz, 1H), 6.74 (bs, 1H), 5.23 (s, 2H), 3.76 (bs, 2H).
단계 3: 벤질-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35
무수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벤질 3-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100 mg, 0.32 mmol)과 실시예 1의 단계 6에서 제조한 6-(2-플루오로피리딘-3-일)-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86 mg, 0.29 mmol)를 넣고 녹인 후 0 ℃에서 리튬(비스트리메틸실릴)아마이드(1.0 M solution in THF, 1.45 mL)를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반응 완료 후 물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1.57 (s, 1H), 9.66 (dd, J = 8.0, 2.0 Hz, 1H), 9.02 (s, 1H), 8.39 (s, 1H), 8.28 (dd, J = 4.4, 1.6 Hz, 1H ), 7.92 (bs, 1H), 7.40 (m, 5H), 6.98 (m, 3H), 5.89 (dd, J = 10.4, 2.4 Hz, 1H), 5.24 (s, 2H), 4.22 (m, 1H), 3.84 (m, 1H), 2.23-1.68 (m, 6H)
단계 4: 2,6-디플루오로-N-(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벤젠-1,3-디아민의 제조
Figure pat00036
메탄올 용매에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벤질-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카바메이트(100 mg, 0.18 mmol)를 녹인 후 팔라듐 카본(50 mg)을 넣고 수소 압력 하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셀라이트 여과하고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1.49 (s, 1H), 9.63 (dd, J = 7.6, 1.6 Hz, 1H), 9.01 (s, 1H), 8.37 (s, 1H), 8.30 (dd, J = 4.8, 1.6 Hz, 1H ), 6.92 (m, 1H), 6.82 (td, J = 9.2, 2.0 Hz, 1H), 6.60 (td, J = 9.2, 5.2 Hz, 1H), 5.88 (dd, J = 10.4, 2.4 Hz, 1H), 4.23 (m, 1H), 3.83 (m, 1H), 3.49 (bs, 2H), 2.22-1.69 (m, 6H)
단계 5: N-(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이소부틸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37
디클로로메탄 용매에 상기 단계 4에서 제조한 2,6-디플루오로-N-(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벤젠-1,3-디아민(30 mg, 0.07 mmol), 이소부틸일 클로라이드(8 μL, 0.078 mmol)와 트리에틸아민(20 μL, 0.14 mmol)을 넣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물을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1.57 (s, 1H), 9.67 (dd, J = 8.0, 2.0 Hz, 1H), 9.03 (s, 1H), 8.40 (s, 1H), 8.28 (m, 1H), 7.42 (s, 1H), 6.99 (m, 2H), 5.90 (dd, J = 10.8, 2.4 Hz, 1H), 4.23 (m, 1H), 3.85 (m, 1H), 2.58 (m, 1H), 2.23-1.68 (m, 6H), 1.29 (d, J = 6.8 Hz, 6H)
단계 6: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이소부틸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38
상기 단계 5에서 제조한 N-(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이소부틸아마이드(20 mg, 0.040 mmol)에 1M 염산 수용액을 넣고 2시간 환류 교반한다. 반응 완료 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9 (s, 1H), 9.67 (m, 2H), 8.98 (s, 1H), 8.64 (s, 1H), 8.19 (dd, J = 4.8, 1.6 Hz, 1H), 7.63 (m, 1H), 7.14 (t, J = 9.2 Hz, 1H), 7.02 (dd, J = 7.6, 4.8 Hz, 1H), 2.71 (m, 1H), 1.10 (d, J = 6.8 Hz, 6H).
실시예 5.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티오펜-2-카르복시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39
단계 1: N-(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티오펜-2-카르복시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40
디클로로메탄 용매에 실시예 4의 단계 4에서 제조한 2,6-디플루오로-N-(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벤젠-1,3-디아민(30 mg, 0.07 mmol), 티오펜-2-카보닐 클로라이드(8.3 μL, 0.078 mmol)와 트리에틸아민(20 μL, 0.14 mmol)을 넣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물을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1.61 (s, 1H), 9.65 (m, 1H), 9.02 (d, J = 5.2 Hz, 1H), 8.37 (d, J = 6.8 Hz, 1H), 8.22 (m, 1H), 7.60 (m, 3H), 7.14 (m, 1H), 7.03 (m, 2H), 6.94 (m, 1H), 5.88 (m, 1H), 4.22 (m, 1H), 3.83 (m, 1H), 2.22-1.61 (m, 6H)
단계 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티오펜-2-카르복시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4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N-(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티오펜-2-카르복시아마이드(20 mg, 0.037 mmol)에 1M 염산 수용액을 넣고 2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5 (s, 1H), 10.26 (s, 1H), 9.68 (dd, J = 7.6, 1.6 Hz, 1H), 9.05 (s, 1H), 8.75 (s, 1H), 8.23 (dd, J = 4.8, 1.6 Hz, 1H), 8.03 (m, 1H), 7.88 (dd, J = 5.2, 1.2 Hz, 1H), 7.46 (m, 1H), 7.21 (m, 2H), 7.05 (m, 1H).
실시예 6.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퓨란-2-카르복시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42
단계 1: N-(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퓨란-2-카르복시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43
디클로로메탄 용매에 실시예 4의 단계 4에서 제조한 2,6-디플루오로-N-(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벤젠-1,3-디아민(30 mg, 0.07 mmol), 퓨란-2-카보닐 클로라이드(8 μL, 0.078 mmol)와 트리에틸아민(20 μL, 0.14 mmol)을 넣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물을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1.62 (s, 1H), 9.65 (m, 1H), 9.02 (s, 1H), 8.37 (s, 1H), 8.25 (m, 1H), 7.51 (s, 1H), 7.17 (d, J = 3.6 Hz, 1H), 6.94 (m, 2H), 6.48 (dd, J = 3.6, 1.6 Hz, 1H), 5.88 (m, 1H), 4.24 (m, 1H), 3.83 (m, 1H), 2.22-1.69 (m, 6H)
단계 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퓨란-2-카르복시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44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N-(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퓨란-2-카르복시아마이드(20 mg, 0.038 mmol)에 1M 염산 수용액을 넣고 2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내리고 생성된 고체를 감압 여과하고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씻어주고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6 (s, 1H), 11.61 (s, 1H), 10.10 (s, 1H), 9.69 (s, 1H), 9.05 (s, 1H), 8.74 (s, 1H), 8.22 (m, 1H), 7.95 (m, 1H), 7.35 (m, 4H), 7.05 (m, 1H), 6.70 (m, 1H)
실시예 7.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5-카르복시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45
단계 1: N-(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이소옥사졸-5-카르복시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46
디클로로메탄 용매에 실시예 4의 단계 4에서 제조한 2,6-디플루오로-N-(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벤젠-1,3-디아민(20 mg, 0.047 mmol), 이소옥사졸-5-카르보닐 클로라이드(5.0 μL, 0.052 mmol), 트리에틸아민(7.9 μL, 0.056 mmol)을 넣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물을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1.67 (s, 1H), 9.69 (dd, J = 7.6, 1.6 Hz, 1H), 9.05 (s, 1H), 8.46 (s, 1H), 8.42 (d, J = 1.6 Hz, 1H), 8.39 (s, 1H), 8.31 (dd, J = 4.8, 1.6 Hz, 1H), 8.22 (m, 1H), 7.08 (s, 2H), 7.00 (dd, J = 8.0, 4.8 Hz, 1H), 5.91 (dd, J = 10.8, 2.4 Hz, 1H), 4.25 (m, 1H), 3.86 (m, 1H), 2.25-1.74 (m, 6H).
단계 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5-카르복시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47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N-(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이소옥사졸-5-카르복시아마이드(20 mg, 0.039 mmol)에 1M 염산 수용액을 넣고 2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내리고 생성된 고체를 감압 여과하고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씻어주고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4 (s, 1H), 10.76 (s, 1H), 9.67 (s, 1H), 9.03 (s, 1H), 8.84 (d, J = 1.6 Hz, 1H), 8.72 (s, 1H), 8.22 (dd, J = 4.8, 2.0 Hz, 1H), 7.46 (m, 1H), 7.27 (m, 2H), 7.05 (dd, J = 8.0, 4.8 Hz, 1H)
실시예 8.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싸이아졸-5-카르복시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48
단계 1: N-(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싸이아졸-5-카르복시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49
디클로로메탄 용매에 실시예 4의 단계 4에서 제조한 2,6-디플루오로-N-(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벤젠-1,3-디아민(30 mg, 0.07 mmol), 싸이아졸-5-카르보닐 클로라이드(11 mg, 0.078 mmol), 트리에틸아민(11.8 μL, 0.084 mmol)을 넣고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물을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1.64 (s, 1H), 9.67 (dd, J = 8.0, 1.6 Hz, 1H), 9.52 (s, 1H), 9.04 (s, 1H), 8.83 (d, J = 2.0 Hz, 1H), 8.34 (m, 4H), 7.08 (td, J = 6.0, 2.0 Hz, 1H), 6.97 (dd, J = 8.0, 4.8 Hz, 1H), 5.90 (dd, J = 10.4, 2.4 Hz, 1H), 4.24 (m, 1H), 3.85 (m, 1H), 2.24-1.73 (m, 6H).
단계 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싸이아졸-5-카르복시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50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N-(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싸이아졸-5-카르복시아마이드(20 mg, 0.037 mmol)에 1M 염산 수용액을 넣고 2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내리고 생성된 고체를 감압 여과한 후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씻어주고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9 (s, 1H), 10.10 (s, 1H), 9.68 (dd, J = 8.0, 2.0 Hz, 1H), 9.29 (s, 1H), 9.06 (s, 1H), 8.76 (s, 1H), 8.55 (d, J = 2.0 Hz, 1H), 8.23 (dd, J = 4.8, 2.0 Hz, 1H), 7.76 (m, 1H), 7.24 (td, J = 9.2, 1.6 Hz, 1H), 7.07 (dd, J = 8.0, 4.8 Hz, 1H)
실시예 9.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51
단계 1: 3-(2-시아노프로판-2-일)-N-(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52
디클로로메탄 용매에 실시예 4의 단계 4에서 제조한 2,6-디플루오로-N-(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벤젠-1,3-디아민(40 mg, 0.095 mmol), 3-(2-시아노프로판-2-일)벤조산(20 mg, 0.11 mmol),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27 mg, 0.14 mmol)와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17 mg, 0.14 mmol)을 넣고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물을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1.64 (s, 1H), 9.68 (dd, J = 8.0, 2.0 Hz, 1H), 9.05 (s, 1H), 8.40 (s, 1H), 8.30 (dd, J = 4.8, 1.6 Hz, 1H), 8.22 (m, 2H), 7.77 (m, 2H), 7.55 (t, J = 7.8 Hz, 1H), 7.08 (td, J = 9.2, 1.6 Hz, 1H), 6.98 (dd, J = 8.0, 4.8 Hz, 1H), 5.91 (dd, J = 10.4, 2.4 Hz, 1H), 4.24 (m, 1H), 3.85 (m, 1H), 2.24-1.70 (m, 12H)
단계 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53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3-(2-시아노프로판-2-일)-N-(2,4-디플루오로-3-(3-(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벤즈아마이드(20 mg, 0.034 mmol)에 1M 염산 수용액을 넣고 2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2 (s, 1H), 10.32 (s, 1H), 9.67 (dd, J = 7.6, 1.6 Hz, 1H), 9.05 (s, 1H), 8.74 (s, 1H), 8.23 (dd, J = 4.8, 1.6 Hz, 1H), 8.11 (m, 1H), 7.97 (d, J = 7.6 Hz, 1H), 7.77 (m, 1H), 7.61 (t, J = 8.0 Hz, 1H), 7.49 (td, J = 8.4, 5.6 Hz, 1H), 7.24 (td, J = 10.4, 1.2 Hz, 1H), 7.06 (dd, J = 8.0, 4.8 Hz, 1H), 1.75 (s, 6H).
실시예 10.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메틸피페라진-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54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4-메틸피페라진-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11.67 (s, 1H), 9.74 (d, J = 6.8 Hz, 1H), 9.06 (s, 1H), 8.33 (m, 2H), 8.20 (m, 1H), 8.03 (d, J = 2.4 Hz, 1H), 7.61 (s, 1H), 7.46 (s, 1H), 7.08 (td, J = 7.6, 1.2 Hz, 1H), 7.00 (m, 1H), 3.38 (t, J = 4.8 Hz, 4H), 2.66 (s, 4H), 2.42 (s, 3H).
실시예 11.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티오모포리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55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티오모포리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2 (s, 1H), 10.36 (s, 1H), 9.67 (d, J = 6.4 Hz, 1H), 9.04 (s, 1H), 8.73 (s, 1H), 8.22 (dd, J = 2.8, 1.6 Hz, 1H), 7.72 (s, 1H), 7.61 (s, 1H), 7.48 (m, 1H), 7.39 (s, 1H), 7.24 (t, J = 9.2 Hz, 1H), 7.04 (dd, J = 4.8, 2.8 Hz, 1H), 3.72 (m, 4H), 2.70 (s, 4H).
실시예 1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56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MeOD): δ 9.53 (d, J = 7.2 Hz, 1H), 9.00 (s, 1H), 8.52 (s, 1H), 8.52 (dd, J = 3.2, 1.6 Hz, 1H), 7.75 (s, 1H), 7.62 (s, 1H), 7.58 (m, 1H), 7.36 (s, 1H), 7.10 (t, J = 9.2 Hz, 1H), 7.00 (dd, J = 4.8, 3.2 Hz, 1H), 3.74 (m, 3H), 3.07 (m, 2H), 2.00 (m, 2H), 1.65 (s, 2H)
실시예 1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메틸피페리딘-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57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4-메틸피페리딘-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11.67 (s, 1H), 9.74 (s, 1H), 9.06 (d, J = 6.8 Hz, 1H), 8.32 (m, 2H), 8.14 (m, 2H), 7.59 (s, 1H), 7.30 (m, 2H), 7.00 (m, 2H), 3.79 (d, J = 9.2 Hz, 2H), 2.84 (m, 2H), 1.77 (m, 2H), 1.68(m, 1H), 1.32 (m, 2H), 1.00 (s, 3H)
실시예 14.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티오모폴리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58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4-티오모폴리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11.67 (s, 1H), 9.74 (d, J = 6.8 Hz, 1H), 9.07 (s, 1H), 8.34 (s, 1H), 8.32 (dd, J = 3.2, 1.6 Hz, 1H), 8.17 (m, 2H), 8.04 (m, 2H), 7.40 (d, J = 8.4 Hz, 1H), 7.07 (m, 1H), 7.00 (m, 1H), 3.23 (t, J = 4.8 Hz, 4H), 2.82 (t, J = 4.8 Hz, 4H).
실시예 15.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4-메틸피페리딘-1-일)-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59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4-(4-메틸피페리딘-1-일)-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11.66 (s, 1H), 9.72 (d, J = 7.2 Hz, 1H), 9.06 (s, 1H), 8.32 (m, 2H), 8.17 (m, 2H), 7.97 (m, 2H), 7.32 (d, J = 8.8 Hz, 1H), 7.05 (m, 1H), 6.99 (m, 1H), 3.22 (d, J = 11.6 Hz, 2H), 2.77 (t, J = 11.2 Hz, 2H), 1.71 (d, J = 12.8 Hz, 2H), 1.53 (m, 1H), 1.47 (m, 2H), 1.01 (d, J = 6.0 Hz, 3H)
실시예 16.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60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기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9.63 (d, J = 7.2 Hz, 1H), 9.00 (s, 1H), 8.33 (d, J = 12.8 Hz, 2H), 8.20 (d, J = 3.2 Hz, 1H), 8.11 (d, J = 8.0 Hz, 1H), 7.77 (m, 1H), 7.65 (d, J = 8.4 Hz, 1H), 7.06 (t, J = 9.2 Hz, 1H), 7.00 (m, 1H)
실시예 17.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2,3-디하이드로벤조[b][1,4]디옥신-6-카복사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61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2,3-디하이드로벤조[b][1,4]디옥신-6-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11.64 (s, 1H), 9.74 (d, J = 7.2 Hz, 1H), 9.05 (s, 1H), 8.33 (s, 2H), 8.25 (d, J = 5.2 Hz, 1H), 7.92 (s, 1H), 7.46 (s, 1H), 7.40 (d, J = 10 Hz, 1H), 7.05 (m, 1H), 6.96 (m, 2H), 4.33 (m, 4H)
실시예 18.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모포리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62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모포리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11.68 (s, 1H), 11.55 (brs, 1H), 9.75 (d, J = 6.8 Hz, 1H), 9.06 (s, 1H), 8.32 (m, 2H), 8.19 (m, 1H), 8.05 (s, 1H), 7.62 (s, 1H), 7.50 (s, 1H), 7.27 (s, 1H), 7.08 (m, 1H), 7.00 (m, 1H), 3.90 (m, 4H), 3.29 (m, 2H)
실시예 19.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파이로리딘-1-일)-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63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4-(파이로리딘-1-일)-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11.64 (s, 1H), 9.73 (d, J = 6.4 Hz, 1H), 9.06 (s, 1H), 8.32 (m, 2H), 8.24 (m, 2H), 8.17 (d, J = 2.4 Hz, 1H), 7.85 (m, 2H), 7.06 (d, J = 7.2, 5.0 Hz, 1H), 7.00 (m, 1H), 6.90 (d, J = 8.8 Hz, 1H), 3.50 (m, 2H), 2.02 (m, 2H)
실시예 20.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1-시아노시클로프로필)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64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1-시아노시클로프로필)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9 (brs, 1H), 10.29 (s, 1H), 9.67 (d, J = 7.2 Hz, 1H), 9.01 (s, 1H), 8.67 (s, 1H), 8.21 (dd, J = 2.0, 2.8 Hz, 1H), 7.91 (m, 2H), 7.58 (m, 2H), 7.47 (m, 1H), 7.23 (t, J = 8.0 Hz, 1H), 7.03 (m, 1H), 1.82 (m, 2H), 1.62 (m, 2H)
실시예 2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65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t-부틸 (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아미노-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고,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2-시아노프로판-2-일)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68 (brs, 1H), 10.30 (s, 1H), 9.77 (brs, 1H), 9.11 (s, 1H), 8.69 (s, 1H), 8.36 (dd, J = 1.6, 2.8 Hz, 1H), 8.10 (m, 2H), 7.99 (d, J = 8.0 Hz, 1H), 7.78 (d, J = 8.0 Hz, 1H), 7.71 (m, 1H), 7.63 (t, J = 8.0 Hz, 1H), 7.29 (t, J = 9.6 Hz, 1H), 7.04 (m, 1H), 1.77 (s, 6H)
실시예 2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66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12.40 (brs, 1H), 11.67 (s, 1H), 9.71 (d, J = 7.2 Hz, 1H), 8.98 (s, 1H), 8.31 (s, 1H), 8.27 (dd, J = 1.6, 2.8 Hz, 1H), 8.24 (s, 1H), 8.14 (brs, 1H), 7.99 (s, 1H), 7.77 (d, J = 7.6 Hz, 1H), 7.61 (d, J = 8.4 Hz, 1H), 7.48 (t, J = 7.6 Hz, 1H), 7.04 (t, J = 9.2 Hz, 1H), 6.96 (m, 1H), 6.11 (brs, 1H), 5.53 (brs, 1H), 1.64 (s, 6H)
실시예 2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67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t-부틸 (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아미노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고,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2-시아노프로판-2-일)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29 (brs, 1H), 9.65 (brs, 1H), 8.85 (s, 1H), 8.33 (d, J = 2.8 Hz, 1H), 8.24 (s, 1H), 8.16 (s, 1H), 8.17 (s, 1H), 8.04 (s, 1H), 7.81 (d, J = 7.6 Hz, 1H), 7.70 (d, J = 7.6 Hz, 1H), 7.51 (t, J = 7.6 Hz, 1H), 7.40 (m, 1H), 7.30 (m, 2H), 6.90 (m, 1H), 1.78 (s, 6H)
실시예 24.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클로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68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t-부틸 (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아미노-4-클로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고,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2-시아노프로판-2-일)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6 (brs, 1H), 12.75 (brs, 1H), 10.26 (s, 1H), 9.75 (brs, 1H), 9.14 (s, 1H), 8.71 (s, 1H), 8.39 (dd, J = 2.0, 2.8 Hz, 1H), 8.15 (m, 2H), 8.01 (d, J = 7.6 Hz, 1H), 7.84 (dd, J = 2.8, 6.0 Hz, 1H), 7.80 (m, 1H), 7.63 (t, J = 8.0 Hz, 1H), 7.51 (d, J = 8.8 Hz, 1H), 7.08 (m, 1H), 1.77 (s, 6H)
실시예 25. N-(3-(3-(9H-퓨린-6-일)피리딘-2- 일아미노 )-2,6- 디플루오로페닐 )-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69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t-부틸 (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고,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2-시아노프로판-2-일)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02 (brs, 1H), 10.36 (s, 1H), 9.92 (brs, 1H), 8.92 (s, 1H), 8.59 (m, 2H), 8.37 (d, J = 2.8 Hz, 1H), 8.17 (s, 1H), 8.03 (d, J = 8.0 Hz, 1H), 7.82 (d, J = 8.4 Hz, 1H), 7.65 (t, J = 7.6 Hz, 1H), 7.23 (m, 1H), 7.09 (m, 1H), 1.78 (s, 6H)
실시예 26.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2-(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70
실시예 1의 단계 4에서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대신에 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3 (s, 1H), 10.45 (s, 1H), 9.67 (d, J = 7.6 Hz, 1H), 9.02 (s, 1H), 8.68 (s, 1H), 8.21 (dd, J = 2.0, 2.8 Hz, 1H), 7.80 (m, 4H), 7.61 (m, 1H), 7.22 (m, 1H), 7.03 (m, 1H)
실시예 27.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71
실시예 1의 단계 4에서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대신에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5 (brs, 1H), 11.60 (s, 1H), 10.44 (s, 1H), 9.68 (brs, 1H), 9.05 (s, 1H), 8.73 (s, 1H), 8.23 (dd, J = 1.6, 2.8 Hz, 1H), 8.18 (d, J = 8.0 Hz, 2H), 7.93 (d, J = 8.4 Hz, 2H), 7.50 (m, 1H), 7.24 (m, 1H), 7.04 (m, 1H)
실시예 28.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72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3 (brs, 1H), 10.54 (brs, 1H), 9.66 (d, J = 7.6 Hz, 1H), 9.03 (s, 1H), 8.71 (s, 1H), 8.22 (m, 2H), 8.12 (d, J = 9.2 Hz, 2H), 8.00 (d, J = 8.4 Hz, 1H), 7.51 (m, 1H), 7.25 (m, 1H), 7.03 (m, 1H)
실시예 29.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73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t-부틸 (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아미노-2-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고,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2-시아노프로판-2-일)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1 (brs, 1H), 10.29 (s, 1H), 9.66 (d, J = 6.0 Hz, 1H), 9.04 (s, 1H), 8.72 (s, 1H), 8.23 (dd, J = 2.0, 2.8 Hz, 1H), 8.11 (t, J = 1.6 Hz, 1H), 7.97 (m, 1H), 7.77 (m, 1H), 7.61 (t, J = 8.0 Hz, 1H), 7.49 (m, 1H), 7.23 (m, 1H), 7.03 (m, 1H), 1.76 (s, 6H)
실시예 30.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74
실시예 1의 단계 4에서 t-부틸 (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아미노-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76 (brs, 1H), 10.46 (s, 1H), 9.78 (d, J = 7.2 Hz, 1H), 9.04 (s, 1H), 8.59 (s, 1H), 8.33 (m, 3H), 8.12 (m, 1H), 8.01 (d, J = 7.6 Hz, 1H), 7.81 (t, J = 7.6 Hz, 1H), 7.72 (m, 1H), 7.29 (t, J = 9.6 Hz, 1H), 7.03 (m, 1H)
실시예 3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75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4에서 t-부틸 (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90 (brs, 1H), 12.88 (brs, 1H), 10.50 (s, 1H), 9.86 (brs, 1H), 9.07 (s, 1H), 8.80 (t, J = 8.4 Hz, 1H), 8.74 (s, 1H), 8.39 (dd, J = 2.0, 2.8 Hz, 1H), 8.36 (s, 1H), 8.31 (d, J = 7.6 Hz, 1H), 8.01 (d, J = 7.2 Hz, 1H), 7.82 (t, J = 7.6 Hz, 1H), 7.53 (t, J = 10.4 Hz, 1H), 7.11 (m, 1H)
실시예 32.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76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t-부틸 (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고,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2-시아노프로판-2-일)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9 (brs, 1H), 12.87 (s, 1H), 10.32 (s, 1H), 9.85 (brs, 1H), 9.05 (s, 1H), 8.78 (t, J = 8.4 Hz, 1H), 8.72 (s, 1H), 8.38 (dd, J = 2.0, 2.8 Hz, 1H), 8.13 (s, 1H), 7.99 (d, J = 7.6 Hz, 1H), 7.78 (m, 1H), 7.62 (t, J = 8.0 Hz, 1H), 7.52 (t, J = 10.0 Hz, 1H), 7.11 (m, 1H), 1.77 (s, 6H)
실시예 33.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5-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77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t-부틸 (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5-아미노-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고,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2-시아노프로판-2-일)-5-플루오로-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5 (s, 1H), 12.64 (brs, 1H), 10.38 (s, 1H), 9.78 (brs, 1H), 9.13 (s, 1H), 8.72 (s, 1H), 8.36 (dd, J = 1.6, 2.8 Hz, 1H), 8.12 (m, 1H), 8.02 (s, 1H), 7.81 (d, J = 8.4 Hz, 1H), 7.72 (m, 2H), 7.30 (t, J = 9.2 Hz, 1H), 7.06 (m, 1H), 1.78 (s, 6H)
실시예 34.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나이트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78
실시예 1의 단계 4에서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대신에 3-나이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7 (brs, 1H), 10.62 (s, 1H), 9.67 (brs, 1H), 9.03 (s, 1H), 8.23 (s, 1H), 8.70 (s, 1H), 8.50 (m, 3H), 8.22 (dd, J = 1.6, 3.2 Hz, 1H), 7.87 (m, 1H), 7.51 (m, 1H), 7.25 (t, J = 8.4 Hz, 1H), 7.04 (m, 1H)
실시예 35.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메톡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79
실시예 1의 단계 4에서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대신에 3-메톡시벤조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92 (brs, 1H), 11.65 (brs, 1H), 10.16 (s, 1H), 9.72 (brs, 1H), 9.05 (s, 1H), 8.73 (s, 1H), 8.23 (dd, J = 3.2, 1.6 Hz, 1H), 7.52 (m, 4H), 7.21 (m, 2H), 7.04 (m, 1H), 3.84 (s, 3H)
실시예 36.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80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t-부틸 (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아미노-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고,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7 (brs, 1H), 12.65 (brs, 1H), 10.55 (s, 1H), 9.79 (brs, 1H), 9.13 (s, 1H), 8.73 (s, 1H), 8.36 (dd, J = 2.8, 1.6 Hz, 1H), 8.24 (s, 1H), 8.15 (d, J = 9.2 Hz, 1H), 7.72 (m, 1H), 7.31 (t, J = 9.6 Hz, 1H), 7.05 (m, 1H)
실시예 37.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시아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81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시아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8 (brs, 1H), 11.64 (s, 1H), 10.43 (s, 1H), 9.71 (d, J = 6.8 Hz, 1H), 9.05 (s, 1H), 8.74 (s, 1H), 8.42 (s, 1H), 8.28 (d, J = 7.6 Hz, 1H), 8.23 (dd, J = 1.6, 2.8 Hz, 1H), 8.09 (d, J = 7.6 Hz, 1H), 7.77 (t, J = 8.0 Hz, 1H), 7.50 (m, 1H), 7.23 (m, 1H), 7.04 (m, 1H)
실시예 38.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82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4-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7 (brs, 1H), 11.63 (brs, 1H), 10.31 (s, 1H), 9.72 (brs, 1H), 9.05 (s, 1H), 8.74 (s, 1H), 8.29 (m, 2H), 8.23 (dd, J = 3.2, 1.6 Hz, 1H), 7.46 (m, 2H), 7.23 (t, J = 8.8 Hz, 1H), 7.04 (m, 1H), 3.99 (s, 3H)
실시예 39. N-(4-(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3-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83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t-부틸 (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아미노-2-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고,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2-시아노프로판-2-일)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8 (brs, 1H), 12.88 (s, 1H), 10.45 (s, 1H), 9.85 (d, J = 7.6 Hz, 1H), 9.02 (s, 1H), 8.67 (s, 1H), 8.62 (t, J = 9.2 Hz, 1H), 8.39 (dd, J = 2.8, 2.0 Hz, 1H), 8.07 (s, 1H), 7.96 (d, J = 7.6 Hz, 1H), 7.88 (dd, J = 11.6, 2.0 Hz, 1H), 7.77 (d, J = 7.6 Hz, 1H), 7.62 (t, J = 8.0 Hz, 1H), 7.52 (d, J = 8.8 Hz, 1H), 7.08 (m, 1H), 1.77 (s, 6H)
실시예 40.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나이트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84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나이트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7 (brs, 1H), 11.71 (brs, 1H), 10.83 (s, 1H), 9.74 (brs, 1H), 9.05 (m, 2H), 8.75 (m, 2H), 8.23 (dd, J = 1.6, 2.8 Hz, 1H), 7.55 (m, 1H), 7.27 (t, J = 9.2 Hz, 1H), 7.04 (m, 1H)
실시예 41.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클로로-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85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4-클로로-3-(2-시아노프로판-2-일)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9 (s, 1H), 10.38 (s, 1H), 9.66 (d, J = 8 Hz, 1H), 8.99 (s, 1H), 8.64 (S, 1H), 8.2 (m, 1H), 8.07 (s, 1H), 7.99 (d, J = 6.8 Hz, 1H), 7.74 (d, J = 8.4 Hz, 1H), 7.47 (m, 1H), 7.03 (dd, J = 7.8 Hz, 4.4Hz, 1H), 1.87 (S, 6H)
실시예 4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2-클로로-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86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2-클로로-3-(2-시아노프로판-2-일)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6 (s, 1H), 10.50 (s, 1H), 9.66 (d, J = 6.4 Hz, 1H), 9.00(s, 1H), 8.66 (s, 1H) 8.21(dd, J = 4.8 Hz, 1.6 Hz, 1H), 7.67 (m, 2H), 7.59 (m, 1H), 7.53 (m, 1H), 7.23 (m, 1H), 7.03 (dd, J = 7.6 Hz, 4.8 Hz, 1H), 1.84 (s, 6H)
실시예 4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5-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87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2-시아노프로판-2-일)-5-플루오로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4 (brs, 1H), 10.40 (s, 1H), 9.67 (brs, 1H), 9.03 (s, 1H), 8.71 (s, 1H), 8.22 (dd, J = 4.8 Hz, 1.6Hz, 1H), 7.99 (s, 1H), 7.79 (d, J = 8.8 Hz, 1H), 7.66 (m, 1H), 7.48 (m, 1H), 7.25 (t, J = 8.4 Hz, 1H), 7.04 (dd, J = 8 Hz, 4.8 Hz, 1H), 1.76 (s, 6H)
실시예 44.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4,5-디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88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2-시아노프로판-2-일)-4,5-디플루오로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8 (brs, 1H), 10.41 (s, 1H), 9.67 (brs, 1H), 9.01 (s, 1H), 8.68 (s, 1H), 8.21 (dd, J = 4.8 Hz, 1.6 Hz, 1H), 8.09 (m, 1H), 7.91 (d, J = 5.6 Hz, 1H), 7.46 (m, 1H), 7.24 (m, 1H), 7.03 (dd, J = 8 Hz, 4.8 Hz, 1H), 1.82 (s, 1H)
실시예 45.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클로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89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클로로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8 (brs, 1H), 11.61 (brs, 1H), 10.34 (s, 1H), 9.71 (brs, 1H), 9.05 (s, 1H), 8.74 (s, 1H), 8.23 (dd, J = 4.8 Hz, 2 Hz, 1H), 8.03 (m, 1H), 7.95 (d, J = 7.6 Hz, 1H), 7.69 (m, 1H), 7.58 (t, J = 7.6 Hz, 1H), 7.47 (m, 1H), 7.23 (m, 1H), 7.04 (dd, J = 4.8 Hz, 2 Hz, 1H)
실시예 46.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다이메틸아미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90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다이메틸아미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4 (brs, 1H), 10.05 (s, 1H), 9.68 (brs, 1H), 9.02 (s, 1H), 8.69 (s, 1H), 8.22 (dd, J = 4.6 Hz, 2 Hz, 1H), 7.45 (m, 1H), 7.28 (m, 5H), 7.03 (dd, J = 7.6 Hz, 4.2 Hz, 1H), 6.94 (m, 1H), 2.96 (s, 6H)
실시예 47.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91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7 (brs, 1H), 11.59 (brs, 1H), 10.13 (s, 1H), 9.67 (brs, 1H), 9.04 (s, 1H), 8.72 (s, 1H), 8.22 (dd, J = 4.6 Hz, 2 Hz, 1H), 7.81 (s, 1H), 7.78 (m, 1H), 7.45 (m, 3H), 7.21 (m, 1H), 7.04 (dd, J = 7.6 Hz, 4.8Hz, 1H), 2.40 (s, 3H)
실시예 48.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클로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92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t-부틸 (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아미노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고,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클로로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67 (brs, 1H), 10.35 (s, 1H), 9.77 (brs, 1H), 9.04 (s, 1H), 8.61 (s, 1H), 8.36 (m, 1H), 8.22 (s, 1H), 8.05 (s, 1H), 7.95 (m, 1H), 7.68 (m, 1H), 7.60 (m, 2H), 7.48 (m, 1H), 7.31 (t, J = 7.6 Hz, 1H), 7.04 (m, 1H)
실시예 49.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4-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93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t-부틸 (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5-아미노-2-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고,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2-시아노프로판-2일)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85 (brs, 1H), 10.39 (s, 1H), 9.84 (brs, 1H), 9.04 (s, 1H), 8.96 (m, 1H), 8.41 (m, 1H), 8.06 (m, 1H), 7.97 (d, J = 7.6 Hz, 1H), 7.76 (m, 1H), 7.61 (t, J = 7.6 Hz, 1H), 7.47 (m, 1H), 7.30 (dd, J = 8.8 Hz, 2.4 Hz, 1H), 7.11 (dd, J = 4.8 Hz, 2.8 Hz, 1H), 1.76 (s, 6H)
실시예 50.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4-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94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t-부틸 (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5-아미노-2-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고,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91 (brs, 1H), 10.55 (s, 1H), 9.84 (d, J = 8 Hz, 1H), 9.02 (s, 1H), 8.99 (dd, J = 7.6 Hz, 2.4 Hz, 1H), 8.68 (s, 1H), 8.42 (dd, J = 4.6 Hz, 1.6 Hz, 1H), 8.30 (m, 2H), 7.98 (d, J = 7.2 Hz), 7.80 (t, J = 8 Hz, 1H), 7.50 (m, 1H), 7.31 (m, 1H), 7.12 (dd, J = 8 Hz, 4.8 Hz, 1H)
실시예 51.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95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t-부틸 (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아미노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고,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61 (brs, 1H), 10.50 (s, 1H), 9.71 (brs, 1H), 9.10 (s, 1H), 8.72 (s, 1H), 8.39 (dd, J = 4.4 Hz, 2 Hz, 1H), 8.31 (m, 3H), 7.98 (d, J = 8 Hz, 1H), 7.80 (t, J = 7.6 Hz, 1H), 7.58 (m, 1H), 7.49 (m, 1H), 7.34 (m, 1H), 7.34 (t, J = 8 Hz, 1H), 7.06 (dd, J = 8 Hz, 4.8 Hz, 1H)
실시예 5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나이트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96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4-나이트로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0 (brs, 1H), 10.54 (s, 1H), 9.66 (brs, 1H), 9.03 (s, 1H), 8.71 (s, 1H), 8.38 (d, J = 8.8 Hz, 2H), 8.22 (m, 3H), 7.51 (m, 1H), 7.24 (t, J = 8.8 Hz, 1H), 7.04 (dd, J = 8 Hz, 4.4 Hz, 1H)
실시예 5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메톡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97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4-메톡시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1 (brs, 1H), 10.00 (s, 1H), 9.66 (brs, 1H), 9.03 (m, 1H), 8.70 (m, 1H), 8.21 (m, 1H), 7.97 (d, J = 9.2 Hz, 2H), 7.46 (m, 1H), 7.19 (t, J = 9.2 Hz, 1H), 7.04 (m, 3H), 3.84 (s, 3H)
실시예 54.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아미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98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아미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0 (s, 1H), 9.95(s, 1H), 9.66 (d, J = 6.8 Hz, 1H), 9.03 (s, 1H), 8.70 (s, 1H), 8.22 (dd, J = 4.8 Hz, 2 Hz, 1H), 7.43 (m, 1H), 7.15 (m, 4H), 7.03 (dd, J = 7.6 Hz, 3.2 Hz, 1H), 6.75 (d, J = 7.6 Hz, 1H), 5.32 (s, 2H)
실시예 55. 메틸 3-(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카바모일)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99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2 (s, 1H), 10.19 (s, 1H), 9.87 (s, 1H), 9.67 (brs, 1H), 9.03 (s, 1H), 8.71 (s, 1H), 8.22 (dd, J = 4.8 Hz, 1.6 Hz, 1H), 8.03 (s, 1H), 7.68 (d, J = 7.6 Hz, 1H), 7.61 (d, J = 8 Hz, 1H), 7.45 (m, 2H), 7.21 (t, J = 9.2 Hz, 1H), 7.03 (dd, J = 7.6 Hz, 4.8 Hz, 1H), 3.68 (s, 3H)
실시예 56.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피라진-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00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피라진-2-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5 (s, 1H), 11.63 (s, 1H), 10.51 (s, 1H), 9.68 (s, 1H), 9.31 (s, 1H), 9.05 (t, 1H), 8.97 (d, J = 2.4 Hz 1H), 8.84 (t, 1H), 8.73 (s, 1H), 8.24-8.23 (m, 1H), 7.75-7.70 (m, 1H), 7.26 (t, 1H), 7.06-7.03 (m, 1H)
실시예 57.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01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5 (s, 1H), 11.60 (s, 1H), 10.18 (s, 1H), 9.69 (s, 1H), 9.05 (d, J = 7.2 Hz, 1H), 8.73 (s, 1H), 8.24-8.22 (m, 1H), 8.00 (d, J = 7.2 Hz, 2H), 7.63-7.60 (m, 1H), 7.56-7.45 (m, 3H), 7.22 (t, 1H), 7.06-7.03 (m, 1H)
실시예 58. N-{2,4-디플루오로-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02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5 (s, 1H), 11.59 (s, 1H), 10.71 (s, 1H), 9.65 (s, 1H), 9.62 (d, 1H), 9.02 (s, 1H), 8.62 (s, 1H), 8.41 (s, 1H), 8.21 (q, 1H), 7.54-7.50 (m, 1H), 7.24 (t, 1H), 7.05-7.02 (m, 1H)
실시예 59. 1-(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Figure pat00103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이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6 (bs, 1H), 9.64 (d, J = 6.8 Hz, 1H), 9.53 (bs, 1H), 8.99 (s, 1H), 8.83 (s, 1H), 8.65 (s, 1H), 8.21 (s, 2H), 7.85 (m, 3H), 7.59 (s, 1H), 7.50 (s, 1H), 7.16 (t, J = 9.6 Hz, 1H), 7.03 (m, 1H), 2.17 (s, 3H)
실시예 60. 1-(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의 제조
Figure pat00104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2,6-디플루오로-[3-(3-(4-에틸피페라진-1-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이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58 (bs, 1H), 9.65 (d, J = 7.6 Hz, 1H), 9.61 (s, 1H), 9.04 (s, 1H), 8.75 (s, 1H), 8.73 (s, 1H), 8.22 (d, J = 3.6 Hz, 1H), 8.00 (s, 1H), 7.88 (m, 1H), 7.70 (d, J = 8.6 Hz, 1H), 7.62 (d, J = 8.6 Hz, 1H), 7.16 (m, 1H), 7.06 (m, 1H), 3.79 (s, 2H), 3.11 (m, 6H), 2.50 (m, 4H), 1.22 (t, J = 7.2 Hz, 3H).
실시예 61. 4-클로로-N-{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05
상기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3-(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4-플루오로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24 (s, 1H), 9.67 (dd, 1H), 9.52 (s, 1H), 9.15 (s, 1H), 8.96 (s, 1H), 8.66 (s, 1H), 8.41 (dd, 1H), 8.33 (dd, 1H), 8.09 (s, 1H), 7.66-7.61 (m, 2H), 7.50-7.46 (m, 1H), 7.22 (q, 1H), 7.03 (q, 1H)
실시예 62. N-{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니트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06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4-플루오로-3-(3-니트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59 (s, 1H), 10.81 (s, 1H), 9.73 (s, 1H), 9.11 (s, 1H), 9.07 (s, 1H), 8.79 (s, 1H), 8.74 (s, 1H), 8.71 (s, 1H), 8.35 (dd, 1H), 8.19 (dd, 2H), 7.73-7.69 (m, 1H), 7.32 (q, 1H), 7.04 (q, 1H)
실시예 63. N-{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07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4-플루오로-3-(3-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4 (s, 1H), 12.59 (s, 1H), 10.44 (s, 1H), 9.74 (s, 1H), 9.11 (s, 1H), 8.35 (dd, 1H), 8.10 (dd, 1H), 7.92 (s, 1H), 7.84 (s, 1H), 7.73-7.69 (m, 1H), 7.50 (s, 1H), 7.29 (t, 1H), 7.04(dd, 1H), 3.93 (s, 3H)
실시예 64. N-{2- 플루오로 -5-[3-(9H-퓨린-6-일)피리딘-2- 일아미노 )페닐}-(6-메틸피리딘-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08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4-플루오로-3-{6-메틸피리딘-2-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4 (brs, 1H), 12.48 (s, 1H), 10.38 (s, 1H), 9.11 (s, 1H), 8.72 (s, 1H), 8.64 (dd, 1H), 8.35 (q, 1H), 8.01-7.96 (m, 2H), 7.65-7.61 (m, 1H), 7.57 (dd, 1H), 7.32 (dd, 1H), 7.05(dd, 1H), 2.63 (s, 3H).
실시예 65. N-{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09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3-(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4-플루오로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3 (s, 1H), 12.51 (s, 1H), 10.71 (s, 1H), 9.68 (dd, 1H), 9.14 (s, 1H), 8.93 (s, 1H), 8.65 (s, 1H), 8.40 (s, 1H), 8.34 (dd, 1H), 8.17(dd, 1H), 7.73-7.69 (m, 1H), 7.30 (dd, 1H), 7.01 (dd, 1H)
실시예 66. N-{2-클로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10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5 (s, 1H), 12.75 (s, 1H), 10.46 (s, 1H), 9.75 (d, 1H), 9.12 (s, 1H), 8.70 (s, 1H), 8.39-8.36 (m, 2H), 8.31 (d, 1H), 8.00 (d, 1H), 7.86-7.80 (m, 2H), 7.50 (d, 1H), 7.08 (dd, 1H)
실시예 67. N-{2-클로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11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4-클로로-3-(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4 (s, 1H), 12.65 (s, 1H), 10.54 (s, 1H), 9.71 (dd, 1H), 9.19 (d, 1H), 8.96 (s, 1H), 8.39 (dd, 1H), 8.29 (s, 1H), 8.24 (s, 1H), 8.16-8.14 (m, 2H), 8.00 (d, 1H), 7.85 (dd, 1H), 7.50 (d, 1H), 7.08 (dd, 1H)
실시예 68. N-{2-메틸-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12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4-메틸-3-(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1 (s, 1H), 12.63 (s, 1H), 10.27 (s, 1H), 9.74 (brs, 1H), 9.11 (s, 1H), 8.36-8.31 (m, 3H), 7.98 (d, 1H), 7.89 (d, 1H), 7.80 (t, 1H), 7.66 (dd, 1H), 7.01 (dd, 1H), 2.19 (s, 1H)
실시예 69. N-{2-메톡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13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4-메톡시-3-(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61 (s, 1H), 9.99 (s, 1H), 9.86 (d, 1H), 9.11 (s, 1H), 8.77 (s, 1H), 8.31 (s, 1H), 8.27 (d, 1H), 8.21 (dd, 1H), 8.02 (d, 1H), 7.97 (d, 1H), 7.78 (t, 1H), 7.55 (dd, 1H), 7.18 (d, 1H), 3.87 (s, 3H)
실시예 70. N-{4-메톡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14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2-메톡시-5-(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98 (s, 1H), 10.50 (s, 1H), 9.83 (d, 1H), 9.12 (s, 1H), 8.81 (s, 1H), 8.76 (s, 1H), 8.35 (dd, 1H), 8.33 (s, 1H), 8.29 (d, 1H), 7.95 (d, 1H), 7.78 (t, 1H), 7.55 (dd, 1H), 7.14-7.11 (m, 2H), 3.97 (s, 3H)
실시예 71. N-{4-메틸-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15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2-메틸-5-(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34 (s, 1H), 10.46 (s, 1H), 9.77 (d, 1H), 9.06 (s, 1H), 8.70-8.65 (m, 2H), 8.34 (dd, 1H), 8.31 (s, 1H), 8.27 (d, 1H), 7.94 (d, 1H), 7.77 (t, 1H), 7.46 (dd, 1H), 7.23 (d, 1H), 7.02 (dd, 1H), 2.44 (s, 3H)
실시예 72. N-{2,6-디플루오로-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16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2,4-디플루오로-3-(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58 (s, 1H), 10.55 (s, 1H), 10.04 (dd, 1H), 8.72-8.67 (m, 2H), 8.39 (s, 1H), 8.33 (d, 1H), 8.28 (dd, 1H), 8.20 (s, 1H), 8.03 (d, 1H), 7.83 (t, 1H), 7.20 (t, 1H), 7.03 (dd, 1H)
실시예 73. 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17
단계 1: [4-플루오로-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바모일)페닐]카바모익산 t-부틸 에스터의 제조
Figure pat00118
DMF 용매에 5-(t-부톡시카보닐아미노)-2-플루오로벤조산(1 g, 4.6 mmol), (3-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0.74 g, 4.6 mmol),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1.3 g, 6.9 mmol), 1-하이드로시벤조트리아졸(1.9 g, 6.9 mmol)을 넣고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후 반응물을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400MHz, DMSO-d6): δ 9.87 (s, 1H), 8.23 (S, 1H), 8.14 (d, 1H), 7.69 (d, 1H), 7.55 (t, 1H), 7.37 (d, 1H), 6.58 (d, 2H), 4.25 (m, 1H), 1.55 (s, 9H)
단계 2: 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19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단계 1에서 제조한 [4-플루오로-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바모일)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98 (s, 1H), 10.81 (s, 1H), 9.80 (d, 1H), 8.99 (s, 2H), 8.49 (s, 1H), 8.33-8.31 (m, 1H), 8.25 (s, 1H), 8.15 (dd, 1H), 8.05-8.01 (m, 1H), 7.94 (d, 1H), 7.61 (t, 1H), 7.47 (d, 1H), 7.33 (t, 1H), 7.03 (dd, 1H)
실시예 74. 1-(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우레아의 제조
Figure pat00120
단계 1: {3-[3-(4-클로로-3-트리플루오로페닐)우레이도]-4-플루오로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의 제조
Figure pat00121
에틸아세테이트 용매에 (3-아미노-4-플루오로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1 g, 4 mmol), 1-클로로-4-이소시아네이토-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 g, 4.6 mmol)을 넣고 4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물을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400MHz, DMSO-d6): δ 9.06 (s, 1H), 8.79 (s, 1H), 8.37 (s, 1H), 8.32 (d, 1H), 7.77 (d, 1H), 7.56 (m, 1H), 7.07 (m, 1H), 6.92 (m, 1H), 4.22 (m, 1H), 1.55 (s, 9H)
단계 2: 1-(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우레아의 제조
Figure pat00122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단계 1에서 제조한 {3-[3-(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이도}-4-플루오로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5 (s, 1H), 10.81 (s, 1H), 12.40 (s, 1H), 9.97 (s, 1H), 9.73 (d, 1H), 9.09 (s, 1H), 8.85 (s, 1H), 8.73 (s, 1H), 8.39 (dd, 1H), 8.29 (dd, 1H), 8.09 (d, 1H), 7.67-7.61 (m, 2H), 7.61 (t, 1H), 7.47-7.43 (m, 1H), 7.25 (dd, 1H), 7.05 (dd, 1H)
실시예 75. 1-{3-플루오로-4-[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의 제조
Figure pat00123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2-플루오로-4-[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이도]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6 (s, 1H), 12.75 (s, 1H), 9.80 (s, 1H), 9.33 (s, 1H), 9.15 (s, 1H), 8.72 (s, 1H), 8.39 (dd, 1H), 8.12 (dd, 1H), 8.04 (s, 1H), 7.95 (t, 1H), 7.56-7.50 (m, 2H), 7.42 (d, 1H), 7.31 (d, 1H), 7.05 (dd, 1H)
실시예 76. N-{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24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4-플루오로-3-[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틸아미노]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2 (s, 1H), 12.37 (s, 1H), 10.04 (s, 1H), 9.68 (brs, 1H), 9.06 (s, 1H), 8.70 (s, 1H), 8.31-8.26 (m, 2H), 7.73 (s, 1H), 7.67-7.54 (m, 4H), 7.22 (dd, 1H), 7.01 (dd, 1H). 3.88 (s, 2H)
실시예 77. N-(3-시아노메틸페닐)-4-플루오로-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25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5-(3-시아노메틸페닐카바모일)-2-플루오로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97 (s, 1H), 10.38 (s, 1H), 9.68 (brs, 1H), 9.83 (d, 1H), 9.20 (dd, 1H), 9.05 (s, 1H), 8.72 (s, 1H), 8.44 (dd, 2H), 7.87 (s, 1H), 7.72 (d, 1H), 7.66-7.63 (m, 1H), 7.46 (dd, 1H). 7.38 (t, 1H), 7.14 (dd, 1H), 7.08 (d, 1H), 4.07 (s, 2H)
실시예 78. N-{4-[(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3-플루오로페닐}-4-(시아노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26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4-[4-(시아노메틸)벤즈아미도]-2-플루오로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9 (s, 1H), 13.00 (s, 1H), 10.68 (s, 1H), 10.35 (s, 1H), 9.87 (d, 1H), 9.22 (d, 1H), 9.07 (s, 1H), 8.75 (s, 1H), 8.46-8.44 (m, 2H), 8.02 (d, 1H), 7.91 (d, 1H), 7.79 (d, 2H), 7.68-7.62 (m, 1H). 7.52-7.46 (m, 1H), 7.32 (d, 1H), 7.14 (dd, 1H), 4.01 (s, 2H)
실시예 79. N-{4-[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27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4-(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6 (s, 1H), 12.66 (s, 1H), 10.45 (s, 1H), 9.78 (s, 1H), 9.13 (s, 1H), 8.71 (s, 1H), 8.36 (dd, 1H), 8.31 (s, 1H), 8.27 (d, 1H), 7.95 (d, 1H), 7.85 (d, 2H), 7.80-7.74 (m, 3H). 7.01 (dd, 1H)
실시예 80. N-{2-메톡시-4-[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28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3-메톡시-4-(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6 (s, 1H), 12.69 (s, 1H), 9.83 (s, 1H), 9.78 (d, 1H), 9.16 (s, 1H), 8.72 (s, 1H), 8.39 (dd, 1H), 8.31 (s, 1H), 8.26 (d, 1H), 7.95 (d, 1H), 7.77 (t, 2H), 7.51 (d, 1H). 7.40 (dd, 1H), 7.04 (dd, 1H)
실시예 81.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플루오로페닐)-2-옥소이미다졸리딘-1-카복사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29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2,6-디플루오로-3-{[3-(4-플루오로페닐)-2-옥소-이미다졸리딘-1-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1.64 (s, 1H), 10.60 (d, J=2.4Hz, 1H), 9.65 (brs, 1H), 8.72 (s, 1H), 8.24 (m, 1H), 8.01 (m, 1H), 7.63 (m, 2H), 7.28 (m, 3H), 7.25 (m, 1H), 3.96 (s, 4H)
실시예 82. N-(4-(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3-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30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4-[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미도]-2-플루오로페닐}카바믹산 t-부틸 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8 (brs, 1H), 12.88 (s, 1H), 10.45 (s, 1H), 9.85 (d, J = 7.6 Hz, 1H), 9.02 (s, 1H), 8.67 (s, 1H), 8.62 (t, J = 9.2 Hz, 1H), 8.39 (dd, J = 2.8, 2.0 Hz, 1H), 8.07 (s, 1H), 7.96 (d, J = 7.6 Hz, 1H), 7.88 (dd, J = 11.6, 2.0 Hz, 1H), 7.77 (d, J = 7.6 Hz, 1H), 7.62 (t, J = 8.0 Hz, 1H), 7.52 (d, J = 8.8 Hz, 1H), 7.08 (m, 1H), 1.77 (s, 6H).(m, 1H), 7.63 (m, 2H), 7.28 (m, 3H), 7.25 (m, 1H), 3.96 (s, 4H)
실시예 83. N-(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31
단계 1: 4-(2-플루오로피리딘-3-일)-7H-피롤로[2,3-d]피리미딘의 제조
Figure pat00132
디메톡시에탄과 물의 혼합용매에 4-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100 mg, 0.65 mmol), 2-플루오로피리딘-3-일보론산(119 mg, 0.846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30 mg, 0.026 mmol)와 탄산칼륨(179 mg, 1.3 mmol)을 넣고 100 ℃에서 6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감압 농축하고 잔여물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33 mg(수율: 23.9%) 얻었다.
1H NMR(400MHz, DMSO-d6): δ 12.33 (brs, 1H), 8.87 (s, 1H), 8.43 (d, J=3.6Hz, 1H), 8.38 (t, J=8.8Hz, 1H), 7.65 (d, J=4.6Hz, 1H),7.58 (t, J=5.5Hz, 1H), 6.55 (t, J=3Hz, 1H)
단계 2: 4-(2-플루오로피리딘-3-일)-7-(메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의 제조
Figure pat00133
N,N-디메틸폼아마이드 용매에 단계 1에서 제조한 4-(2-플루오로피리딘-3-일)-7H-피롤로[2,3-d]피리미딘(50 mg, 0.233 mmol)을 녹인 후 0 ℃로 온도를 낮추고 수소화나트륨(60 % dispersion in mineral oil, 14 mg, 0.3495 mmol)을 조금씩 천천히 넣어주었다. 0 ℃에서 30 분간 교반 후 클로로메틸에테르(0.02 mL, 0.2563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물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46 mg(수율: 73.7%) 얻었다.
1H NMR(400MHz, CDCl3): δ 9.02 (s, 1H), 8.40-8.36 (m, 2H), 7.44-7.40 (m, 2H), 6.72 (t, J=4.1Hz, 1H), 5.68 (s, 2H), 3.35 (s, 3H)
단계 3: 3-(2-시아노프로판-2-일)-N-(2,4-디플루오로-3-(3-(7-(메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34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에 N-(3-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30 mg, 0.1162 mmol)와 단계 2에서 제조한 4-(2-플루오로피리딘-3-일)-7-(메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0 mg, 0.1278 mmol)을 녹인 후 0 ℃로 온도를 낮추고, 리튬(비스트리메틸실릴)아마이드(1.0 M solution in THF, 0.581 mL, 0.3495 mmol)를 조금씩 천천히 넣어주었다. 0 ℃에서 20 분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1M 염산 수용액을 소량 첨가하여 남은 리튬(비스트리메틸실릴)아마이드를 제거한 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57 mg(수율: 89 %) 얻었다.
1H NMR(400MHz, CDCl3): δ 10.86 (brs, 1H), 8.99 (s, 1H), 8.31-8.28 (m, 2H), 8.24-8.19 (m, 1H), 8.00 (brs, 2H), 7.79-7.73 (m, 2H), 7.53 (t, J = 7.8 Hz, 1H), 7.48 (d, J = 3.5 Hz, 1H), 7.05 (t, J = 9.4 Hz, 1H), 6.95-6.91 (m, 2H), 5.07 (s, 2H), 3.35 (s, 3H), 1.78 (s, 6H)
단계 4: N-(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3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8 mL)과 물(0.2 mL)의 혼합액에 단계 3에서 제조한 3-(2-시아노프로판-2-일)-N-(2,4-디플루오로-3-(3-(7-(메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벤즈아마이드(50 mg, 0.0975 mmol)를 녹인 후 80 ℃에서 24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탄산수소나트륨 용액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5 mg(수율: 9.7 %) 얻었다.
1H NMR(400MHz, CDCl3): δ 10.88 (s, 1H), 9.80 (brs, 1H), 8.94 (s, 1H), 8.32 (d, J=7.5Hz, 1H), 8.28 (d, J=4.3Hz, 1H), 8.19 (brs, 1H), 8.02 (s, 1H), 7.96 (s, 1H), 7.73 (d, J=7.9Hz, 1H), 7.61 (d, J=7.9Hz, 1H), 7.50-7.45 (m, 2H), 7.04 (t, J=9Hz, 1H), 6.95-6.92 (m, 1H), 6.89 (brs, 1H), 5.57 (brs, 1H), 5.27 (brs, 1H), 1.64 (s, 6H)
실시예 84. N-(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36
단계 1: 4-(2-플루오로피리딘-3-일)-7H-피롤로[2,3-d]피리미딘의 제조
상기 실시예 83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2: N-(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37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에 단계 1에서 제조한 4-(2-플루오로피리딘-3-일)-7H-피롤로[2,3-d]피리미딘(20 mg, 0.0934 mmol)과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32 mg, 0.1027 mmol)을 녹인 후 0 ℃로 온도를 낮추고 리튬(비스트리메틸실릴)아마이드(1.0 M solution in THF, 0.467 mL, 0.467 mmol)를 조금씩 천천히 넣어주었다. 0 ℃에서 20 분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1M 염산 수용액을 소량 첨가하여 남은 리튬(비스트리메틸실릴)아마이드를 제거 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은 고체를 메탄올과 디클로로메탄의 혼합용액으로 씻어주어 표제 화합물을 18 mg(수율: 37.8 %) 얻었다.
1H NMR(400MHz, DMSO-d6): δ 12.48 (brs, 1H), 11.98 (s, 1H), 10.24 (s, 1H), 8.92 (s, 1H), 8.66 (t, J = 8.4 Hz, 1H), 8.49 (d, J = 7.8 Hz, 1H), 8.35-8.33 (m, 1H), 8.10 (s, 1H), 7.96 (d, J = 7.8 Hz, 1H), 7.77-7.74 (m, 2H), 7.60 (t, J = 7.9 Hz, 1H), 7.46 (t, J = 10.6 Hz, 1H), 7.09-7.05 (m, 1H), 6.94 (d, J = 3.6 Hz, 1H), 1.74 (s, 6H)
실시예 85. N-(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38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3-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400MHz, CDCl3):δ 10.91 (brs, 1H), 9.33 (brs, 1H), 8.97 (s, 1H), 8.33-8.28 (m, 2H), 8.25-8.19 (m, 1H), 8.00 (brs, 2H), 7.79-7.73 (m, 2H), 7.54 (t, J = 7.8 Hz, 1H), 7.46-7.45 (m, 1H), 7.08-7.03 (m, 1H), 6.96-6.93 (m, 1H), 6.91-6.90 (m, 1H), 1.78 (s, 6H)
실시예 86. N-(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39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3-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400MHz, DMSO-d6):δ 12.41 (brs, 1H), 12.01 (s, 1H), 10.26 (brs, 1H), 8.89 (s, 1H), 8.49-8.47 (m, 2H), 8.40-8.38 (m, 1H), 8.11 (s, 1H), 7.97 (d, J = 7.8 Hz, 1H), 7.77-7.74 (m, 2H), 7.60 (t, 1H), 7.19-7.13 (m, 2H), 7.11-7.08 (m, 1H), 6.93 (d, J = 3.6 Hz, 1H)
실시예 87. 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 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40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400MHz, DMSO-d6):δ 1H NMR(400MHz, DMSO-d6):δ 11.49 (s, 1H), 8.96 (s, 1H), 8.38 (dd, 1H), 8.26-8.34 (m, 3H), 7.98-8.03 (m, 2H), 7.77-7.82 (m, 1H), 7.72 (d, 1H), 7.61-7.65 (m, 1H), 7.23-7.27 (q, 1H), 7.01-7.04 (q, 1H), 6.87 (d, 1H)
실시예 88. 3-플루오로-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 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41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400MHz, DMSO-d6):δ 11.50 (s, 1H), 8.96 (s, 1H), 8.38 (dd, 1H), 8.32 (dd, 1H), 8.22 (s, 1H), 8.11 (d, 1H), 8.03 (dd, 1H), 7.98 (d, 1H), 7.72 (d, 1H), 7.25 (t, 1H), 7.03 (q, 1H), 6.87 (d, 1H)
실시예 89. 4-클로로-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 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42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5-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90. 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 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43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91. 3-(2-시아노프로판-2-일)-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44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400MHz, DMSO-d6):δ 12.44 (s, 1H), 11.49 (s, 1H), 10.25 (s, 1H), 8.96 (s, 1H), 8.38 (dd, 1H), 8.11 (s, 1H), 7.93-8.00 (m, 2H), 7.73-7.78 (m, 1H), 7.72 (d, 1H), 7.64-7.58 (m, 2H), 7.20-7.27 (m, 1H), 7.02(q, 1H), 6.87 (d, 1H), 1.75 (6H, s).
실시예 92. 3-(2-시아노프로판-2-일)-5-플루오로-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45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5-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5-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400MHz, DMSO-d6):δ 12.44 (brs, 1H), 11.50 (s, 1H), 10.25 (brs, 1H), 8.97 (s, 1H), 8.38 (dd, 1H), 8.32 (dd, 1H), 7.99-8.03 (m, 2H), 7.78-7.81 (m, 1H), 7.72 (d, 1H), 7.61-7.67 (m, 2H), 7.25 (q, 1H), 7.02(q, 1H), 6.87 (d, 1H), 1.75 (6H, s)
실시예 93. 4-클로로-3-(2-시아노프로판-2-일)-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46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5-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클로로-3-(2-시아노프로판-2-일)-5-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94. 3-(2-시아노프로판-2-일)-N-{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47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3-아미노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95. 3-(2-시아노프로판-2-일)-N-{4-플루오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48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3-아미노-4-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96. 3-(2-시아노프로판-2-일)-N-{2,6-디플루오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49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59>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97. N-{2-클로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50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5-아미노-2-클로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98. 3-(2-시아노프로판-2-일)-N-{3-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51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3-아미노-5-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99. 3-(2-시아노프로판-2-일)-N-{4-메틸-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52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3-아미노-4-메틸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00. 3-(2-시아노프로판-2-일)-N-{4-메톡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53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3-아미노-4-메톡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01. N-{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54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3-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02. N-{2-플루오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55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3-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03. N-{4-플루오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56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3-아미노-4-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04. N-{2,4-디플루오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57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3-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05. N-{2,6-디플루오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58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3-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06. N-{2,4-디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59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07. N-{2-클로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60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5-아미노-2-클로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08. N-{4-메틸-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61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3-아미노-4-메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09. N-{4-메톡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62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3-아미노-4-메톡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10. N-{3-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63
실시예 84의 단계 2에서 N-(5-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대신에 N-(3-아미노-5-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1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64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50 (s, 1H), 10.48 (s, 1H), 9.69 (dd, 1H), 9.16 (s, 1H), 8.95 (s, 1H), 8.43-8.32 (m, 3H), 8.11 (dd, 1H), 7.74-7.66 (m, 2H), 7.27 (dd, 1H), 7.02 (q, 1H)
실시예 112. 5-[3-(9H-퓨린-6-일)아미노]-N-[3-(2-시아노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65
실시예 73의 단계 2에서 t-부틸 [4-플루오로-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바모일)페닐]카바메이트대신에 t-부틸 {3-[(3-(2-시아노프로판-2-일)페닐)카바모일]-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73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4 (s, 1H), 12.59 (s, 1H), 9.77 (d, 1H), 9.12 (s, 1H), 8.71 (s, 1H), 8.34 (d, 3H), 7.89 (s, 1H), 7.73 (s, 1H), 7.28 (m, 4H), 7.03 (q, 1H), 6.95 (m, 1H), 1.44 (s, 6H)
실시예 113.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66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3-플루오로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2 (s, 1H), 12.50 (s, 1H), 10.27 (s, 1H), 9.75 (s, 1H), 9.10 (s, 1H), 8.69 (s, 1H), 8.34 (q, 1H), 8.08 (dd, 1H), 7.86 (d, 1H), 7.80 (dd, 1H), 7.69 (m, 1H), 7.58 (m, 1H), 7.47 (m, 1H), 7.28 (t, 1H), 7.02 (q, 1H)
실시예 114. 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N-(3,4-다이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67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3,4-다이플루오로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2 (s, 1H), 12.59 (s, 1H), 10.28 (s, 1H), 9.73 (d, 1H), 9.09 (s, 1H), 8.68 (s, 1H), 8.33 (q, 1H), 8.03 (m, 2H), 7.89 (q, 1H), 7.72-7.62 (m, 2H), 7.25 (t, 1H), 7.02 (q, 1H)
실시예 115. 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N-(3,5-다이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68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3,5-다이플루오로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5 (s, 1H), 12.60 (s, 1H), 10.36 (s, 1H), 9.76 (s, 1H), 9.11 (s, 1H), 8.34 (q, 1H), 8.09 (q, 1H), 7.69 (m, 3H), 7.53 (m, 1H), 7.26 (t, 1H), 7.03 (q, 1H)
실시예 116.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4-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69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3-(2-시아노프로판-2-일)-4-플루오로벤즈아미도]-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5 (s, 1H), 12.62 (s, 1H), 10.32 (s, 1H), 9.77 (d, 1H), 9.11(s, 1H), 8.71 (s, 1H), 8.34 (q, 1H), 8.12-8.07 (m, 3H), 7.68 (t, 1H), 7.48 (m, 1H), 7.26 (t, 1H), 7.02 (q, 1H), 1.81 (s, 6H)
실시예 117.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클로로-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70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3-(2-시아노프로판-2-일)-4-클로로벤즈아미도]-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55 (s, 1H), 10.38 (s, 1H), 9.73 (d, 1H), 9.12 (s, 1H), 8.71 (s, 1H), 8.34 (q, 1H), 8.13-8.10 (m, 2H), 8.01 (dd, 1H), 7.74 (d, 1H), 7.68 (t, 1H), 7.27 (t, 1H), 7.03 (q, 1H), 1.88 (s, 6H)
실시예 118. 1-{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의 제조
Figure pat00171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이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4 (s, 1H), 12.36 (s, 1H), 9.74 (d, 1H), 9.43 (s, 1H), 9.09 (s, 1H), 8.70 (s, 1H), 8.62 (s, 1H), 8.43 n(d, 1H), 8.32 (dd, 1H), 8.01 (s, 1H), 7.60-7.48 (m, 3H), 7.32 (d, 1H), 7.20 (q, 1H), 7.00 (q, 1H)
실시예 119.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6-(2-시아노프로판-2-일)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72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6-(2-시아노프로판-2-일)피콜린아미도]-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78 (t, 1H), 12.53 (s, 1H), 10.40 (s, 1H), 9.73 (s, 1H), 9.10(s, 1H), 8.69 (s, 1H), 8.67 (s, 1H), 8.64 (t, 1H), 8.35 (q, 1H), 8.22-8.15 (m, 2H), 7.93 (q, 1H), 7.67-7.63 (m, 1H), 7.30 (dd, 1H), 7.03 (q, 1H), 1.82 (s, 6H)
실시예 120.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73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0 (s, 1H), 12.55 (s, 1H), 10.41 (s, 1H), 9.72 (s, 1H), 9.08 (s, 1H), 8.67 (s, 1H), 8.33 (q, 1H), 8.29 (d, 1H), 8.09 (d, 1H), 8.01 (m, 1H), 7.70-7.61 (m, 2H), 7.26 (t, 1H), 7.02 (q, 1H)
실시예 12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74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2 (d, 1H), 12.52 (s, 1H), 10.47 (s, 1H), 9.72 (s, 1H), 9.10 (s, 1H), 8.69 (s, 1H), 8.34 (q, 1H), 8.27 (d, 1H), 8.02 (t, 1H), 7.96 (t, 1H), 7.66 (m, 1H), 7.53 (t, 1H), 7.26 (t, 1H), 7.04 (q, 1H)
실시예 12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75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2-플루오로-3-[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3 (d, 1H), 12.89 (s, 1H), 10.48 (s, 1H), 9.83 (s, 1H), 9.01 (s, 1H), 8.71 (s, 1H), 8.58 (m, 1H), 8.42 (q, 1H), 8.36 (s, 1H), 8.31 (d, 1H), 8.00 (d, 1H), 7.79 (t, 1H), 7.18 (m, 2H), 7.11 (q, 1H)
실시예 123. 1-{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의 제조
Figure pat00176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이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4 (s, 1H), 12.36 (s, 1H), 9.74 (d, 1H), 9.43 (s, 1H), 9.09 (s, 1H), 8.70 (s, 1H), 8.62 (s, 1H), 8.43 (d, 1H), 8.32 (dd, 1H), 8.01 (s, 1H), 7.60-7.48 (m, 3H), 7.20 (m, 2H), 7.00 (q, 1H)
실시예 124.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클로로페닐}-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77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클로로-3-[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3 (d, 1H), 12.73 (s, 1H), 10.70 (s, 1H), 9.73 (s, 1H), 9.12 (s, 1H), 8.71 (s, 1H), 8.66 (s, 2H), 8.42 (s, 1H), 8.38 (q, 1H), 8.17 (d, 1H), 7.84 (q, 1H), 7.51 (d, 1H), 7.07 (q, 1H)
실시예 125.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메틸티오)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78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3-(메틸티오)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2 (s, 1H), 12.56 (s, 1H), 10.19 (s, 1H), 9.73 (s, 1H), 9.10 (s, 1H), 8.68 (s, 1H), 8.34 (q, 2H), 8.07 (t, 1H), 7.86 (s, 1H), 7.75 (d, 1H), 7.68 (t, 1H), 7.45 (m, 2H), 7.24 (t, 1H), 7.02 (q, 1H), 2.60 (s, 3H)
실시예 126.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메틸설포닐)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79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3-(메틸설포닐)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2 (s, 1H), 12.56 (s, 1H), 10.50 (s, 1H), 9.75 (s, 1H), 9.10 (s, 1H), 8.68 (s, 1H), 8.54 (q, 2H), 8.32 (m, 2H), 8.17-8.12 (m, 2H), 7.83 (t, 1H), 7.70 (m, 1H), 7.27 (t, 2H), 7.03 (q, 1H), 1.35 (s, 3H)
실시예 127.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클로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5-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80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3-(2-시아노프로판-2-일)-5-플루오로벤즈아미도]-4-클로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5 (s, 1H), 12.70 (s, 1H), 10.39 (s, 1H), 9.73 (d, 1H), 9.14(s, 1H), 8.72 (s, 1H), 8.38 (q, 1H), 8.13 (d, 1H), 8.04 (s, 1H), 7.86-7.83 (m, 2H), 7.65 (d, 1H), 7.50 (d, 1H), 7.07 (q, 1H), 1.77 (s, 6H)
실시예 128.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81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2 (d, 1H), 12.43 (s, 1H), 10.56 (s, 1H), 9.71 (s, 1H), 9.10 (s, 1H), 8.70 (s, 1H), 8.33 (q, 1H), 8.28 (dd, 1H), 8.22 (d, 1H), 8.20 (s, 1H), 7.99 (d, 1H), 7.85 (m, 1H), 7.26 (t, 1H), 7.03 (q, 1H)
실시예 129.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82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3,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1 (d, 1H), 12.57 (s, 1H), 10.69 (s, 1H), 9.75 (s, 1H), 9.11 (s, 1H), 8.70 (s, 1H), 8.45 (d, 1H), 8.34 (dd, 1H), 8.26 (d, 1H), 8.16 (dd, 1H), 7.70 (m, 1H), 7.28 (t, 1H), 7.03 (q, 1H)
실시예 130.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2,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83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2,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4 (d, 1H), 12.45 (s, 1H), 10.58 (s, 1H), 9.72 (s, 1H), 9.10 (s, 1H), 8.71 (s, 1H), 8.33 (dd, 1H), 8.28 (d, 1H), 8.17 (s, 1H), 8.12 (s, 2H), 7.67 (m, 1H), 7.26 (t, 1H), 7.03 (q, 1H)
실시예 13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84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2 (d, 1H), 12.55 (s, 1H), 10.36 (s, 1H), 9.72 (s, 1H), 9.11 (d, 1H), 8.70 (s, 1H), 8.35 (dd, 1H), 8.09 (dd, 1H), 8.06 (d, 1H), 7.96 (s, 1H), 7.68 (t, 2H), 7.63 (d, 1H), 7.26 (t, 1H), 7.02 (q, 1H)
실시예 132.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5-다이메톡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85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3,5-다이메톡시벤즈아미도)-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2 (d, 1H), 12.54 (s, 1H), 10.12 (s, 1H), 9.73 (s, 1H), 9.12 (d, 1H), 8.72 (s, 1H), 8.34 (dd, 1H), 8.04 (dd, 1H), 7.67 (m, 1H), 7.26 (t, 1H), 7.17 (d, 2H), 7.04 (q, 1H), 6.72 (t, 1H), 3.83 (s, 6H)
실시예 133.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86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2 (s, 1H), 12.55 (s, 1H), 10.51 (s, 1H), 9.73 (s, 1H), 9.12 (d, 1H), 8.72 (s, 1H), 8.34 (dd, 1H), 8.12 (dd, 1H), 8.07 (d, 1H), 8.00 (m, 2H), 7.69 (m, 1H), 7.28 (t, 1H), 7.04 (q, 1H)
실시예 134.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87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4-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4 (s, 1H), 12.55 (s, 1H), 10.28 (s, 1H), 9.74 (s, 1H), 9.11 (d, 1H), 8.70 (s, 1H), 8.34 (dd, 1H), 8.30 (d, 2H), 8.08 (dd, 1H), 7.67 (m, 1H), 7.43 (d, 1H), 7.25 (t, 1H), 7.04 (q, 1H)
실시예 135.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88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3 (s, 1H), 12.58 (s, 1H), 10.56 (s, 1H), 9.73 (s, 1H), 9.11 (s, 1H), 8.70 (s, 1H), 8.36-8.34 (m, 2H), 8.31 (s, 2H), 8.13-8.17 (m, 2H), 7.69 (m, 1H), 7.27 (t, 1H), 7.03 (q, 1H)
실시예 136.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6-(트리플루오로메틸)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89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6-(트리플루오로메틸)피콜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3 (s, 1H), 12.53 (s, 1H), 10.30 (s, 1H), 9.72 (s, 1H), 9.11 (s, 1H), 8.70 (s, 1H), 8.46 (q, 1H), 8.44 (d, 1H), 8.40 (d, 1H), 8.38-8.35 (m, 1H), 8.22 (d, 1H), 7.66 (m, 1H), 7.30 (t, 1H), 7.03 (q, 1H)
실시예 137)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플루오로-3-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90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4-플루오로-3-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2 (s, 1H), 12.53 (s, 1H), 10.13 (s, 1H), 9.72 (s, 1H), 9.11 (d, 1H), 8.70 (s, 1H), 8.34 (dd, 1H), 8.07 (dd, 1H), 7.96 (d, 1H), 7.88 (m, 1H), 7.67 (m, 1H), 7.33-7.24 (m, 2H), 7.02 (q, 1H), 2.32 (s, 3H)
실시예 138.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91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4-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56 (s, 1H), 10.40 (s, 1H), 9.74 (d, 1H), 9.12 (d, 1H), 8.72 (s, 1H), 8.33 (dd, 1H), 8.30 (s, 1H), 8.18 (d, 1H), 8.08 (dd, 1H), 7.67 (m, 1H), 7.63 (d, 1H), 7.28 (t, 1H), 7.05 (q, 1H), 2.50 (s, 3H)
실시예 139.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92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3-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1 (s, 1H), 12.57 (s, 1H), 10.39 (s, 1H), 9.74 (s, 1H), 9.11 (s, 1H), 8.70 (s, 1H), 8.34 (q, 1H), 8.13-8.10 (m, 3H), 7.82 (s, 1H), 7.69 (m, 1H), 7.26 (t, 1H), 7.03 (q, 1H), 2.49 (s, 3H)
실시예 140.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93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3-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58 (s, 1H), 10.37 (s, 1H), 9.75 (d, 1H), 9.12 (s, 1H), 8.73 (s, 1H), 8.32 (q, 1H), 8.05 (t, 1H), 7.68 (t, 1H), 7.64 (s, 1H), 7.54 (s, 1H), 7.29 (t, 1H), 7.21 (s, 1H), 7.06 (q, 1H), 3.90 (s, 3H)
실시예 14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사이클로프로필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94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3-사이클로프로필벤즈아미도)-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56 (s, 1H), 10.13 (s, 1H), 9.74 (d, 1H), 9.12 (s, 1H), 8.73 (s, 1H), 8.32 (q, 1H), 8.04 (dd, 1H), 7.75 (d, 1H), 7.68-7.65 (m, 2H), 7.33 (d, 1H), 7.27 (t, 1H), 7.05 (q, 1H), 2.06-1.99 (m, 3H), 1.03-0.98 (m, 2H), 0.810-0.76 (m, 1H)
실시예 142.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95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미도]-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3 (s, 1H), 12.57 (s, 1H), 10.48 (s, 1H), 9.73 (s, 1H), 9.11 (s, 1H), 8.71 (s, 1H), 8.34 (q, 1H), 8.14 (s, 1H), 8.11 (dd, 1H), 7.94 (s, 1H), 7.88 (s, 1H), 7.69 (m, 1H), 7.27 (t, 1H), 7.03 (q, 1H)
실시예 143.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96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3 (s, 1H), 12.57 (s, 1H), 10.40 (s, 1H), 9.74 (s, 1H), 9.11 (s, 1H), 8.71 (s, 1H), 8.34 (q, 1H), 8.19-8.10 (m, 4H), 7.75-7.69 (m, 2H), 7.27 (t, 1H), 7.03 (q, 1H)
실시예 144.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97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4-(트리플루오로메틸)피콜린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3 (s, 1H), 12.53 (s, 1H), 10.50 (s, 1H), 9.72 (s, 1H), 9.10 (s, 1H), 9.06 (d, 1H), 8.70 (s, 1H), 8.52 (d, 1H), 8.39 (s, 1H), 8.35 (d, 1H), 8.13 (d, 1H), 7.66 (m, 1H), 7.30 (t, 1H), 7.03 (q, 1H)
실시예 145.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98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3-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3 (s, 1H), 12.53 (s, 1H), 10.10 (s, 1H), 9.72 (s, 1H), 9.11 (s, 1H), 8.70 (s, 1H), 8.34 (q, 1H), 8.07 (dd, 1H), 7.83 (s, 1H), 7.79 (t, 1H), 7.67 (m, 1H), 7.42 (d, 2H), 7.24 (t, 1H), 7.02 (q, 1H), 2.41 (s, 3H)
실시예 146.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클로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99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3-클로로벤즈아미도)-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54 (s, 1H), 10.38 (s, 1H), 9.74 (s, 1H), 9.11 (s, 1H), 8.71 (s, 1H), 8.34 (q, 1H), 8.09-8.06 (m, 2H), 7.97 (d, 1H), 7.72-7.68 (m, 2H), 7.56 (t, 1H), 7.26 (t, 1H), 7.03 (q, 1H)
실시예 147.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미도]-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57 (s, 1H), 10.46 (s, 1H), 9.72 (s, 1H), 9.11 (s, 1H), 8.70 (s, 1H), 8.34 (q, 1H), 8.14-8.08 (m, 3H), 7.91 (d, 1H), 7.69 (m, 1H), 7.27 (t, 1H), 7.03 (q, 1H)
실시예 148.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아이소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201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3-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아이소니코틴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6 (s, 1H), 12.54 (s, 1H), 10.72 (s, 1H), 9.76 (s, 1H), 9.11 (s, 1H), 8.75 (d, 1H), 8.72 (s, 1H), 8.36 (q, 1H), 8.34 (t, 1H), 8.11 (t, 1H), 7.65 (m, 1H), 7.29 (t, 1H), 7.04 (q, 1H)
실시예 149.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202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5-(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틴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57 (s, 1H), 10.70 (s, 1H), 9.74 (s, 1H), 9.42 (s, 1H), 9.21 (s, 1H), 9.11 (s, 1H), 8.75 (s, 1H), 8.71 (s, 1H), 8.34 (q, 1H), 8.17 (dd, 1H), 7.69 (m, 1H), 7.28 (t, 1H), 7.03 (q, 1H)
실시예 150.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203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4-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5 (s, 1H), 12.60 (s, 1H), 10.21 (s, 1H), 9.77 (s, 1H), 9.12 (s, 1H), 8.71 (s, 1H), 8.35 (q, 1H), 8.12-8.06 (m, 2H), 8.01 (s, 1H), 7.68 (m, 1H), 7.40 (d, 1H), 7.25 (t, 1H), 7.03 (q, 1H), 3.96 (s, 3H)
실시예 15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트리플루오로메틸)아이소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204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4-플루오로-3-[2-(트리플루오로메틸)아이소니코틴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3 (s, 1H), 12.58 (s, 1H), 10.72 (s, 1H), 9.72 (s, 1H), 9.11 (d, 1H), 9.01 (d, 1H), 8.70 (s, 1H), 8.41 (s, 1H), 8.34 (q, 1H), 8.23 (d, 1H), 8.18 (q, 1H), 7.70 (m, 1H), 7.29 (t, 1H), 7.03(q, 1H)
실시예 15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4-메톡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205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5-[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미도]-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5 (s, 1H), 12.89 (s, 1H), 10.22 (s, 1H), 9.72 (s, 1H), 9.10 (s, 1H), 9.03 (s, 1H), 8.69 (s, 1H), 8.40 (s, 1H), 8.60 (s, 1H), 7.94 (d, 1H), 7.73 (d, 1H), 7.55 (t, 1H), 7.37 (d, 1H), 7.03 (d, 2H), 4.01 (s, 3H), 1.74 (s, 6H)
실시예 15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4-메틸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206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5-[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미도]-2-메틸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5 (s, 1H), 12.31 (s, 1H), 10.27 (s, 1H), 9.81 (s, 1H), 9.08 (s, 1H), 9.03 (s, 1H), 8.72 (s, 1H), 8.63 (d, 1H), 8.33 (q, 1H), 8.04 (d, 1H), 7.94 (d, 1H), 7.73 (dd, 1H), 7.57 (t, 1H), 7.43 (dd, 1H), 7.23 (d, 1H), 7.03 (d, 2H), 2.49 (s, 3H), 1.75 (s, 6H)
실시예 154.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207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3-(2-시아노프로판-2-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2.58 (s, 1H), 10.57 (s, 1H), 9.74 (s, 1H), 9.12 (s, 1H), 8.71 (s, 1H), 8.44 (s, 1H), 8.36-8.35 (m, 2H), 8.13 (dd, 1H), 8.08 (s, 1H), 7.69 (m, 1H), 7.28 (t, 1H), 7.03 (q, 2H)
실시예 155.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5-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208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3-(2-시아노프로판-2-일)-5-메틸벤즈아미도]-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2 (s, 1H), 12.55 (s, 1H), 10.22 (s, 1H), 9.72 (s, 1H), 9.12 (s, 1H), 8.71 (s, 1H), 8.35 (dd, 1H), 8.09 (dd, 1H), 7.92 (s, 1H), 7.82 (s, 1H), 7.69 (m, 1H), 7.59 (s, 1H), 7.25 (t, 1H), 7.02 (q, 2H), 2.45 (s, 3H), 1.87 (s, 6H)
실시예 156.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2-브로모-3-(2-시아노프로판-2-일)-5-메톡시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209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2-브로모-3-(2-시아노프로판-2-일)-5-메톡시벤즈아미도]-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3 (s, 1H), 12.42 (s, 1H), 10.38 (s, 1H), 9.70 (s, 1H), 9.09 (d, 1H), 8.70 (s, 1H), 8.34 (dd, 1H), 8.27 (dd, 1H), 7.66 (m, 1H), 7.24 (t, 1H), 7.16 (d, 1H), 7.13 (d, 1H), 7.03 (q, 2H), 3.87 (s, 3H)
실시예 157.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시아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210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3-시아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3 (s, 1H), 12.58 (s, 1H), 10.56 (s, 1H), 9.73 (s, 1H), 9.11 (s, 1H), 8.70 (s, 1H), 8.36-8.34 (m, 2H), 8.31 (s, 2H), 8.13-8.17 (m, 2H), 7.69 (m, 1H), 7.27 (t, 1H), 7.03 (q, 1H)
실시예 158.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브로모-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211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t-부틸-2,6-디플루오로-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페닐카바메이트 대신에 t-부틸 {3-[3-브로모-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4-플루오로페닐}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84 (s, 1H), 12.59 (s, 1H), 10.57 (s, 1H), 9.74 (s, 1H), 9.10 (s, 1H), 8.68 (s, 1H), 8.36-8.34 (m, 2H), 8.30 (s, 2H), 8.13-8.17 (m, 2H), 7.68 (m, 1H), 7.27 (t, 1H), 7.02 (q, 1H)
실시예 1 내지 158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구조는 다음 표 1에 정리된 바와 같다.
[표 1]
Figure pat00212
Figure pat00213
Figure pat00214
Figure pat00215
Figure pat00216
Figure pat00217
Figure pat00218
Figure pat00219
Figure pat00220
Figure pat00221
실험예 1. VEGFR -2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활성 실험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VEGFR-2 티로신 키나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Promega에서 판매하는 ADP-GloTM kinase assay ki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Kinase와 기질 그리고 ATP를 넣어 반응시킨 뒤, ADP-GloTM 용액을 넣어, 생산되는 ADP를 남겨둔 체, ATP는 제거하고, kinase detection reagent를 이용하여, 남아있는 ADP를 ATP로 변환하고, 이 ATP를 luciferin 기질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luminescence를 측정하는 원리이다. 약물(5X)을 5 μl씩 각 well에 넣고, kinase enzyme을 10 μl 씩 각 well에 넣은 후, kinase의 substrate와 ATP용액을 1:1로 섞어 10 μl씩 각 well에 넣었다 (substrate 5 μg / 5 μl, ATP 20 μM / 5 μl). 빛을 차단하여 30 분 동안 반응기에서 반응(30 ℃ 800 RPM)하고 ADP-GloTM 용액을 25 μl씩 넣고, 빛을 차단하여 40 분 동안 반응하였다 (RT, 150 ~ 170 RPM). kinase detection reagent를 50 μl씩 넣고, 빛을 차단하여 30 분 동안 반응(RT, 150 ~ 170 RPM)한 다음, luminometer로 측정(Molecular Devices, LMax II 384)하여 IC50 값으로 변환하였다.
VEGFR-2 분석
- KDR : 50 ng
- Substrate : 5 μg
- ATP : 20 μM
- Tris-HCl : 40 mM
- MgCl2 : 20 mM
- DTT : 50 μM
- BSA : 0.1 mg/ml
- Reaction time: 30 min(30 ℃) / 40 min / 30 min
- Detection: LMaxII-384
실험 용매는 다음과 같이 분주 및 조성하였다.
- 2X Buffer : kit에 포함된 5X buffer 400 μl, DTT(0.1 M) 1 μl, DIW 599 μl를 섞어 1 ml의 volume으로 조성하였다.
- 1X Buffer : 2X buffer를 DIW 1:1로 섞어 조성하였다.
- Enzyme : kit에 포함된 10 μg/ 100 μl vial에 들어있는 enzyme을 4 μl(400 ng)씩 분주하여 -70 ℃에 보관하고, 사용 시 76 μl의 1X buffer를 넣어준 뒤 10 μl 씩 각 well에 넣었다.
- ATP 용액 : kit에 포함된 10 mM ATP를 25 μl 씩 분주하여 -70 ℃에 보관하고, 사용시 2X buffer로 희석하여 250 μM(5X)로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 Substrate: kit에 포함된 1mg/1ml vial 에 들어있는 substrate를 40ul(40ug)씩 분주하여 -70도에 보관하고, 사용 시 ATP 용액과 1:1로 섞어 10ul씩 well에 넣어 사용하였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12-0060744호의 실시예 18에 개시된 화합물을 합성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하고, 그 실험결과 값을 비교예 1로 나타냈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비교예 1의 VEGFR 저해 활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222
실험예 2. Raf 키나제 활성효과 시험
본 발명의 화합물들에 대한 Raf(B-Raf, C-Raf, B-RafV600E) 키나제 저해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1) 연쇄 신호전달 반응
원심분리튜브에 희석용매(20 mM MOPS, pH 7.2, 25 mM β-글리세롤포스페이트, 5 mM EGTA, 1 mM 나트륨 오르토바나드산염(sodium orthovanadate), 1 mM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20 ㎕와 Mg/ATP 혼합용액(500 μMATP, 75 mM 염화마그네슘) 10 ㎕을 넣고, 화학식 1의 유도체 화합물을 넣거나 대조군으로는 상기 실시예의 화합물을 넣지 않고, 활성화된 raf 1 ng, 비활성화된 MEK1 0.4 ng, 비활성화된 MAPK2 1 ㎍을 첨가하였다. 원심분리를 통해 튜브 안의 용액들을 바닥으로 모이게 한 다음, 30 ℃에서 30 분간 반응시키고, 이 혼합용액 4㎕를 취하여 다음 단계시험을 진행하였다.
(2) MAPK2에 의한 기질 단백질 MBP의 인산화 반응
상기 (1)에서 취한 4 ㎕의 혼합용액에 희석용매 10 ㎕와 기질로 쓰이는 MBP 20 ㎍, 희석된 [γ-32P]ATP(1 μCi/μL) 10 ㎕를 첨가하였다. 원심분리를 통해 튜브 안의 용액들을 바닥으로 모이게 한 다음, 30 ℃에서 10 분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25 ㎕를 조심스레 2 cm × 2 cm P81 여과지 중앙에 30 초간 올려놓았다. 이후, 상기 여과지를 0.75 % 인산용액(phosphoric acid)으로 10 분 단위로 3회, 아세톤으로 5 분간 1회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신틸레이션 바이알(scintillation vial)에 상기 여과지를 옮겨 넣고 5 ml의 신틸레이션 칵테일(scintillation cocktail)을 넣었다. 대조군과 비교하며 신틸레이션 카운터(scintillation counter)로 방사능을 읽음으로써 Raf 활성 억제율(IC50)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pat00223
실험예 3. MTT assay
MTT assay는 항암제의 민감도에 대한 1차 선별검사의 목적 및 세포독성을 확인하는 실험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암세포에 어떤 항암제를 농도 별로 일정시간 처리해서 세포의 사멸을 유도한 뒤 MTT를 처리하여 formazan의 형성을 측정하면 약 50 % 정도의 세포가 살아있는 농도를 결정할 수 있는데, 이 값을 IC50이라 부르며 IC50 값은 약물마다 다르기 때문에 그 약물의 고유한 특성이 될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증식에 대한 항암제의 효능을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시료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Promega사의 CellTiter 96 Non-radioactive Cell Proliferation Assay Kit를 이용하여 MTT assay를 진행하였다.
Cell suspension을 hematocytometer를 사용하여 counting한 다음, 96 well plate의 각 well에 원하는 적정농도의 (세포주에 맞게 세포량을 결정) cell 부유액 200 μL를 넣고, Cell seeding 후 37 ℃, CO2 incubator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하루간의 세포안정화 시기 후 원하는 농도 별로 약물을 처리하였다. 3 일간 37 ℃, CO2 incubator에서 배양한 후, 시료를 제거하고, 각 well에 MTT solution을 200 μL씩 첨가하였다. 2 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MTT 희석액을 조심스럽게 흔들어준 후, 각 well에 200 μL의 DMSO를 첨가하여 60 분간 plate shaker로 흔들어 주었다.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wave length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IC50 값을 구하였다(이 흡광도는 MTT가 세포에 의해 환원된 양을 나타내며 각 well에 존재하는 생존 세포수와 비례한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12-0060744호의 실시예 18에 개시된 화합물을 합성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하고, 그 실험결과 값을 비교예 1로 나타냈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at00224
Figure pat00225
[표 5]
Figure pat00226
실험예 4. 인간 대장암 LS513 세포주 xenograft에서의 항종양 효과
LS513 인간 대장암 종양 세포주(cell line)를 미국 ATCC로부터 구입하여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을 함유하는 RPMI-1640b배지로 37 ℃,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본 실험에서 Balb/c nu/nu 누드 마우스는 암컷 5 ~ 6 주령, 18 ~ 20 g의 체중을 가진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마우스는 ㈜나라바이오텍으로 부터 제공받았다. 모든 동물은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마우스 항온항습 사육선반(Individually Ventilated Cages System, LAB & BIO)에서 사육하였다.
각 케이지(길이 37.2cm x 너비 19.2cm x 높이 13.1cm)는 멸균 소독기로 소독하고, 케이지 당 8마리를 수용하여 낮/밤 12시간 주기로 온도(20 ~ 24 ℃) 및 습도(40 ~ 70 %)로 조절된 위생적인 환경에서 상기 마우스를 유지시켜 주었다. 상기 동물은 소독된 사료와 음료를 마음대로 섭취하게 하였다. 이러한 동물의 수용 및 처분은 삼진제약(주)의 동물실 사육관리 규정에 따라 수행되었다.
상기 마우스를 1 주일간 사육환경에 적응시킨 다음, 1 x 107 세포를 함유하는 세포 현탁액 0.1 mL를 마우스 오른쪽 측면 옆구리(frank)에 피하 주사하였다. 세포 이식 후 형성된 종양 크기를 측정하여 150 mm3 이상 종양이 형성된 마우스를 선별하여 시험 화합물 및 대조군 처리를 위해 임의적으로 그룹 당 7 ~ 8마리씩 나누었다. 대조군은 하루 두 번 비히클(Cremophor ELP / Dimetylacetamide / Hydroxypropyl-β-cyclodextrin / DW, 19.2 / 6.4 / 16 / 58.8, %, w/w, pH 3)을 경구 투여하였으며, 시험군은 시험 화합물들을 60 mg/kg 혹은 30 mg/kg의 농도로 하루 두 번 경구 투여하였다. 약물투여는 14 일간 지속하였다. 한편, 시험군 중에서 실시예 65, 실시예 135, 실시예 139 및 실시예 154는 시험 화합물들을 50 mg/kg의 농도로 하루 한 번 경구 투여하였고, 약물 투여는 13일간 지속하였다. 또한, 시험군 중에서 실시예 135는 12.5 mg/kg, 25 mg/kg 및 50 mg/kg으로 농도를 달리하여 하루 한 번 경구 투여하였고, 약물 투여는 21일간 지속하였다. 투여 시작일 부터 3일 간격으로 종양의 장축과 단축을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스로 측정하여 종양부피(Tumor Volume)를 하기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기록하였다.
종양부피(TV)= 장축 x 단축2/2
절대적 종양 부피를 위한 종양 성장 억제(Tumor Growth Inhibition)는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하기 식에서 V0는 약물투여 0 일째의 종양 부피이며, Vt는 최종 약물 투여후의 종양 부피이다.
종양 성장 억제(TGI)= [1-(Vt-V0)화합물처리군/(Vt-V0)비히클대조군] x 100 %
실시예 21 및 실시예 30의 생체 내 항종양 효과를 관찰한 결과, 두 화합물 모두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은 항종양 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복용 농도에 비례하여 나타났다. 실시예 21의 경우 30 mg/kg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약 66.7%(P<0.01) 항종양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60 mg/kg을 처리한 군에서는 90.3%(P<0.01)의 항종양 효과가 있었다. 마찬가지로 실시예 30의 경우 30 mg/kg 처리군에서는 76.9%(P<0.01), 60 mg/kg 처리한 군에서는 88.7%(P<0.01)의 항종양 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1).
실시예 33, 실시예 36 및 실시예 63 역시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하여 우수한 항종양 효과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33의 경우 96.0%(P<0.01), 실시예 36의 경우 78.5%(P<0.01), 실시예 63의 경우 57.9%(P<0.01)의 항종양 효과가 있었다(도 2).
실시예 59, 실시예 60 및 비교예 1(국제공개특허공보 제2012-0060744호의 실시예 18의 화합물)의 생체 내 항종양 효과를 비교 관찰한 결과, 비히클 대조군에 비하여 비교예 1은 3.82%(P>0.05), 실시예 59는 83.51%(P<0.01), 실시예 60은 69.06%(P<0.01)의 항종양 효과가 관찰되었다(도 3).
실시예 65, 실시예 135, 실시예 139 및 실시예 154의 생체 내 항종양 효과를 비교 관찰한 결과, 비히클 대조군에 비하여 실시예 65는 95.42%(P<0.01), 실시예 135는 92.66%(P<0.01), 실시예 139는 91.04%(P<0.01), 실시예 154는 83.19%(P<0.01)의 항 종양 효과가 관찰되었다(도 4).
실시예 135의 농도별 생체 내 항종양 효과를 비교 관찰한 결과, 비히클 대조군에 비하여 12.5mg/kg의 실시예 135는 52.36%, 25mg/kg의 실시예 135는 74.73%, 50mg/kg의 실시예 135는 86.85%의 항 종양 효과가 관찰되었다(도 5).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pat00227

    상기 식 중,
    X 는 탄소 또는 질소 원자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시아노, C1-6 알킬 또는 C1-6 알콕시이고 {여기서, 상기 C1-6 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음};
    A 는
    Figure pat00228
    또는
    Figure pat00229
    이며; 그리고
    B 는 C1-8 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여기서,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F3, -NO2, -OH, -SH, -CN, -NR3R4, -NHC(O)OR5, -SO2R6, C1-8 알콕시, C1-8 티오알콕시, C1-8 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3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5-8 아릴, 및 5 내지 8원의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1-8 알콕시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1-8 알킬 또는 C3-6 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C1-8 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3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N 또는 -C(O)NH2 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치환기들 중 3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C1-8 알킬 또는 -OH 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5-8 아릴 또는 5 내지 8원의 헤테로아릴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F3, -NO2, -OH, -SH, -CN, -NR3R4, -NHC(O)OR5, -C(O)NR3R4, C1-8 알콕시, C1-8 티오알콕시 또는 C1-8 알킬로 치환될 수 있으며,
    R3, R4, R5 R6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 알킬이다 [여기서, 상기 C1-6 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음]}.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a 로 표시되는 것인 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a]
    Figure pat00230

    상기 식 중,
    X 는 탄소 또는 질소 원자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6 알킬 또는 C1-6 알콕시이고 {여기서, 상기 C1-6 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음};
    A는
    Figure pat00231
    또는
    Figure pat00232
    이며; 그리고
    B 는 C1-8 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여기서,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F3, -NO2, -CN, -NR3R4, -NHC(O)OR5, -SO2R6, C1-8 알콕시, C1-8 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3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5-8 아릴, 및 5 내지 8원의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1-8 알콕시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1-8 알킬 또는 C3-6 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C1-8 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3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N 또는 -C(O)NH2 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치환기들 중 3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C1-8 알킬 또는 -OH 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5-8 아릴 또는 5 내지 8원의 헤테로아릴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F3, -NO2, -CN, -NR3R4, -NHC(O)OR5, -C(O)NR3R4, C1-8 알콕시 또는 C1-8 알킬로 치환될 수 있으며,
    R3, R4, R5 R6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 알킬이다 [여기서, 상기 C1-6 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음]}.
  3.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b 로 표시되는 것인 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b]
    Figure pat00233

    X 는 질소 원자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A 는
    Figure pat00234
    또는
    Figure pat00235
    이며; 그리고
    B 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여기서,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F3 및 C1-8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1-8 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CN 로 치환될 수 있음}.
  4. 제1항에 있어서,
    X 는 질소 원자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4 알킬 또는 C1-4 알콕시이고 {여기서, 상기 C1-4 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음};
    A는
    Figure pat00236
    또는
    Figure pat00237
    이며; 그리고
    B 는 C1-8 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인;
    {여기서,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F3, -NO2, -CN, -NR3R4, -NHC(O)OR5, -SO2R6, C1-4 알콕시, C1-4 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3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5-8 아릴, 및 5 내지 8원의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1-8 알콕시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1-4 알킬 또는 C3-6 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C1-4 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3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N 또는 -C(O)NH2 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치환기들 중 3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C1-8 알킬 또는 -OH 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5-8 아릴 또는 5 내지 8원의 헤테로아릴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또는 C1-4 알킬로 치환될 수 있음}
    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 제1항에 있어서,
    X 는 탄소 원자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4 알킬 또는 C1-4 알콕시이고 {여기서, 상기 C1-4 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음};
    A는
    Figure pat00238
    이며; 그리고
    B 는 아릴인;
    {여기서, 상기 아릴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F3, C1-4 알콕시 또는 C1-4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기들 중 C1-4 알킬의 하나 이상의 수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CN 또는 -C(O)NH2 로 치환될 수 있음}
    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6.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4)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이소부틸아마이드;
    5)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티오펜-2-카르복시아마이드;
    6)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퓨란-2-카르복시아마이드;
    7)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5-카르복시아마이드;
    8)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싸이아졸-5-카르복시아마이드;
    9)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10)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메틸피페라진-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1)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티오모포리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메틸피페리딘-1-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4)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티오모폴리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5)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4-메틸피페리딘-1-일)-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6)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7)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2,3-디하이드로벤조[b][1,4]디옥신-6-카복사마이드;
    18)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모포리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9)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파이로리딘-1-일)-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20)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1-시아노시클로프로필)벤즈아마이드;
    2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2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2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24)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클로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25)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26)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2-(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27)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28)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29)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30)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3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32)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33)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5-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
    34)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나이트로벤즈아마이드;
    35)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메톡시벤즈아마이드;
    36)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5-(트리플로메틸)벤즈아마이드;
    37)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시아노벤즈아마이드;
    38)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39) N-(4-(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3-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40)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나이트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41)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클로로-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4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2-클로로-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4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5-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
    44)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4,5-디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
    45)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클로로벤즈아마이드;
    46)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다이메틸아미노)벤즈아마이드;
    47)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메틸벤즈아마이드;
    48)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클로로벤즈아마이드;
    49)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4-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50)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4-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51)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5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나이트로벤즈아마이드;
    5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4-메톡시벤즈아마이드;
    54)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아미노벤즈아마이드;
    55) 메틸 3-(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카바모일)페닐카바메이트;
    56)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피라진-2-카복스아마이드;
    57)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벤즈아마이드;
    58) N-{2,4-디플루오로-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59) 1-(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3-(4-메틸-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60) 1-(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61) 4-클로로-N-{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62) N-{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니트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63) N-{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64) N-{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6-메틸피리딘-2-일)벤즈아마이드 ;
    65) N-{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66) N-{2-클로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67) N-{2-클로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68) N-{2-메틸-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69) N-{2-메톡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70) N-{4-메톡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71) N-{4-메틸-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72) N-{2,6-디플루오로-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73) 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마이드;
    74) 1-(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우레아;
    75) 1-{3-플루오로-4-[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76) N-{2-플루오로-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아마이드;
    77) N-(3-시아노메틸페닐)-4-플루오로-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벤즈아마이드;
    78) N-{4-[(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3-플루오로페닐}-4-(시아노메틸)벤즈아마이드;
    79) N-{4-[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80) N-{2-메톡시-4-[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81)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4-플루오로페닐)-2-옥소이미다졸리딘-1-카복사마이드;
    82) N-(4-(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3-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미드;
    83) N-(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84) N-(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85) N-(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86) N-(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87) 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 벤즈아마이드;
    88) 3-플루오로-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 벤즈아마이드;
    89) 4-클로로-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 벤즈아마이드;
    90) 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 벤즈아마이드;
    91) 3-(2-시아노프로판-2-일)-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벤즈아마이드;
    92) 3-(2-시아노프로판-2-일)-5-플루오로-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벤즈아마이드;
    93) 4-클로로-3-(2-시아노프로판-2-일)-N-{2-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벤즈아마이드;
    94) 3-(2-시아노프로판-2-일)-N-{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벤즈아마이드;
    95) 3-(2-시아노프로판-2-일)-N-{4-플루오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벤즈아마이드;
    96) 3-(2-시아노프로판-2-일)-N-{2,6-디플루오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 벤즈아마이드;
    97) N-{2-클로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98) 3-(2-시아노프로판-2-일)-N-{3-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벤즈아마이드;
    99) 3-(2-시아노프로판-2-일)-N-{4-메틸-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벤즈아마이드;
    100) 3-(2-시아노프로판-2-일)-N-{4-메톡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벤즈아마이드;
    101) N-{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02) N-{2-플루오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03) N-{4-플루오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04) N-{2,4-디플루오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05) N-{2,6-디플루오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06) N-{2,4-디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07) N-{2-클로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08) N-{4-메틸-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09) N-{4-메톡시-3-[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10) N-{3-플루오로-5-[3-(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리딘-2-일아미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1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12) 5-[3-(9H-퓨린-6-일)아미노]-N-[3-(2-시아노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
    113)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
    114) 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N-(3,4-다이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
    115) 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N-(3,5-다이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
    116)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 (2-시아노프로판-2-일)-4-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
    117)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클로로-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118) 1-{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119)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6-(2-시아노프로판-2-일)피콜린아마이드;
    120)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2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2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23) 1-{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124)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클로로페닐}-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25)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메틸티오)벤즈아마이드;
    126)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메틸설포닐)벤즈아마이드;
    127)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클로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5-플루오로벤즈아마이드;
    128)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29)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30)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2,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3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마이드;
    132)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5-다이메톡시벤즈아마이드;
    133)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34)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35)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36)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6-(트리플루오로메틸)피콜린아마이드;
    137)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플루오로-3-메틸벤즈아마이드;
    138)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39)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40)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마이드;
    14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사이클로프로필벤즈아마이드;
    142)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마이드;
    143)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마이드;
    144)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피콜린아마이드;
    145)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메틸벤즈아마이드;
    146)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클로로벤즈아마이드;
    147)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마이드;
    148)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아이소니코틴아마이드;
    149)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틴아마이드;
    150)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4-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마이드;
    151)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2-(트리플루오로메틸)아이소니코틴아마이드;
    152)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4-메톡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153) N-{3-[(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4-메틸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154)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155)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2-시아노프로판-2-일)-5-메틸벤즈아마이드;
    156)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2-브로모-3-(2-시아노프로판-2-일)-5-메톡시벤즈아마이드;
    157)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시아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및
    158) N-{5-[(3-(9H-퓨린-6-일)피리딘-2-일)아미노]-2-플루오로페닐}-3-브로모-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드.
  7. 하기 반응식 1에 따라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pat00239

    상기 반응식 1에서, X, A, B, R1 및 R2 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Y는 할로겐이다.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RAS 돌연변이에 의해 유도되는 비정상 세포 성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RAS 돌연변이에 의해 유도되는 비정상 세포 성장 질환은 위암, 폐암, 간암, 대장암, 소장암, 췌장암, 뇌암, 뼈암, 흑색종, 유방암, 경화성선종, 자궁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두경부암, 식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신장암, 육종, 전립선암, 요도암, 방광암, 백혈병, 다발성골수종, 혈액암, 림프종, 섬유선종, 염증, 당뇨, 비만, 건선, 류마티스성 관절염, 혈관종, 급성 또는 만성 신장병, 관상동맥 재협착증, 자가면역질환, 천식, 신경변성 질환, 급성감염 및 혈관 분열로 인한 안구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RAS 돌연변이에 의해 유도되는 비정상 세포 성장 질환은 흑색종, 대장암, 전립선암, 갑상선암 및 난소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약학적 조성물.
KR1020170004155A 2016-02-03 2017-01-11 라프 키나제 및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vegfr2)를 저해하는 피리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31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13643 2016-02-03
KR1020160013643 2016-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453A true KR20170092453A (ko) 2017-08-11
KR102031033B1 KR102031033B1 (ko) 2019-11-18

Family

ID=5949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155A KR102031033B1 (ko) 2016-02-03 2017-01-11 라프 키나제 및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vegfr2)를 저해하는 피리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844062B2 (ko)
EP (1) EP3412670B1 (ko)
JP (1) JP6768838B2 (ko)
KR (1) KR102031033B1 (ko)
CN (1) CN109071543B (ko)
AU (1) AU2017215928A1 (ko)
BR (1) BR112018015980A2 (ko)
CA (1) CA3013569A1 (ko)
CL (1) CL2018002095A1 (ko)
PH (1) PH12018501645A1 (ko)
RU (1) RU2018131437A (ko)
SG (1) SG11201806596TA (ko)
WO (1) WO20171355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690A (ko) * 2020-02-03 2021-08-1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치환된 다이아릴우레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8256A1 (en) * 2021-02-18 2022-08-25 Black Diamond Therapeutics, Inc. 6-substituted-9h-purine derivatives and related uses
WO2023183444A1 (en) * 2022-03-24 2023-09-28 Vibliome Therapeutics, Llc Modulators of protein kinases
WO2023218245A1 (en) * 2022-05-13 2023-11-16 Voronoi Inc. Heteroaryl derivative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3947A2 (en) 2007-06-07 2008-12-18 Amgen Inc. Heterocyclic compounds as raf kinase modulators
KR20120060744A (ko) 2010-12-02 2012-06-12 주식회사 유아이 신규한 퓨리닐피리디닐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 설폰아미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Raf키나제의 저해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Y32582A (es) 2009-04-28 2010-11-30 Amgen Inc Inhibidores de fosfoinositida 3 cinasa y/u objetivo mamífero
CN103102349B (zh) * 2011-11-14 2017-03-15 北京赛林泰医药技术有限公司 蛋白激酶抑制剂及其组合物和用途
CA2855950C (en) * 2011-11-14 2017-05-09 Centaurus Biopharma Co., Ltd. Kinase modulating compounds,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nd use thereof
CN103387576A (zh) * 2013-08-09 2013-11-13 中国药科大学 基于嘌呤结构的芳酰胺类Raf激酶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3947A2 (en) 2007-06-07 2008-12-18 Amgen Inc. Heterocyclic compounds as raf kinase modulators
KR20120060744A (ko) 2010-12-02 2012-06-12 주식회사 유아이 신규한 퓨리닐피리디닐아미노-2,4-디플루오로페닐 설폰아미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Raf키나제의 저해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sign,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bis-aryl ureas and amides as DFG-out B-Raf kinase inhibitors, E. J. Med. Chem. 2015, 89, pp.581-59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690A (ko) * 2020-02-03 2021-08-1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치환된 다이아릴우레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8131437A3 (ko) 2020-03-03
CN109071543B (zh) 2021-07-16
EP3412670A1 (en) 2018-12-12
US20190300531A1 (en) 2019-10-03
CN109071543A (zh) 2018-12-21
RU2018131437A (ru) 2020-03-03
JP2019509334A (ja) 2019-04-04
KR102031033B1 (ko) 2019-11-18
EP3412670B1 (en) 2022-03-09
EP3412670A4 (en) 2019-07-17
WO2017135589A1 (ko) 2017-08-10
AU2017215928A1 (en) 2018-08-23
JP6768838B2 (ja) 2020-10-14
SG11201806596TA (en) 2018-09-27
US10844062B2 (en) 2020-11-24
CA3013569A1 (en) 2017-08-10
CL2018002095A1 (es) 2019-01-11
PH12018501645A1 (en) 2019-05-27
WO2017135589A9 (ko) 2017-10-19
BR112018015980A2 (ko)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42024B1 (en) AMINOBENZAMIDE DERIVATIVES AS GLYCOGEN SYNTHASE KINASE 3$g(b) INHIBITORS
KR101294830B1 (ko) 할로아릴 치환된 아미노퓨린, 그것의 조성물 및 그것을이용한 치료 방법
TWI546286B (zh) 做為ttx-s阻斷劑的芳醯胺衍生物
AU2019395338A1 (en) 2-oxoquinazoline derivatives as methionine adenosyltransferase 2A inhibitors
KR102031033B1 (ko) 라프 키나제 및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vegfr2)를 저해하는 피리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20100317643A1 (en) Janus kinase inhibitor compounds and methods
AU2014367283B2 (en) Maleimide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WNT pathway
JP6692354B2 (ja) 1,4−ジ置換イミダゾール誘導体
US9475817B2 (en) Pyrazole substituted imidazopyrazines as casein kinase 1 d/e inhibitors
WO2017146128A1 (ja) イミダゾリルアミド誘導体
US20220315606A1 (en) Dual atm and dna-pk inhibitors for use in anti-tumor therapy
US9388165B2 (en) Isoquinoline-5-carboxamide derivative having inhibitory activity for protein kinase
JP2023551365A (ja) ピリミジン化合物、その組成物、及びそれらの医薬用途
ES2915583T3 (es) Novedoso derivado de fenilpiridina y composición farmacéutica que contiene el mismo
TW202220987A (zh) 經取代雜環化合物及其治療用途
WO2015187094A1 (en) Phthalimide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wnt pathway
OA19646A (en) Pyridine derivative Inhibiting Raf kinase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 method for preparing sam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use thereof.
JP2021504434A (ja) プロテインキナーゼに対する阻害活性を有するチエノ[3,2−d]ピリミジン化合物
US9540348B2 (en) Imidazole-1-yl pyrimidine derivatives, or pharmac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pharmaceu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KR20150001353A (ko) Fms 키나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피리미딘 유도체
JPWO2012121314A1 (ja) ジピリジルアミン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