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246A -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246A
KR20170092246A KR1020160013346A KR20160013346A KR20170092246A KR 20170092246 A KR20170092246 A KR 20170092246A KR 1020160013346 A KR1020160013346 A KR 1020160013346A KR 20160013346 A KR20160013346 A KR 20160013346A KR 20170092246 A KR20170092246 A KR 20170092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battery pack
thermoplastic resin
battery
battery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2071B1 (ko
Inventor
이범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13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071B1/ko
Priority to TW106103768A priority patent/TWI709266B/zh
Priority to JP2017564903A priority patent/JP6604636B2/ja
Priority to PCT/KR2017/001168 priority patent/WO2017135718A1/ko
Priority to CN201780002477.5A priority patent/CN108602219B/zh
Priority to EP17747763.5A priority patent/EP3321058B1/en
Priority to US15/737,998 priority patent/US10675796B2/en
Publication of KR20170092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8G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7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96/00Use of specified macromolecular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001/00 - B29K2095/00,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68Batteries, accumulator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단자들이 상호 대면하도록 평면 배열된 판상형 전지셀들로 구성된 전지팩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PCB(Protection Circuit Board)의 전극단자 접속부에 전지셀들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 (b) 열가소성 수지의 사출구들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금형 내에, PCB와 연결된 전지셀들을 안착시키는 과정; (c) 사출구들을 통해 열가소성 수지를 주입하여, PCB 및 전지셀들의 외주변에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몰딩 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 및 (d) 몰딩 프레임을 고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Method for Preparing Battery Pack Having Fixing Structure Made of Thermoplastic Resin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에 대해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위를 나타내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전지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리튬 이차전지에는 각종 가연성 물질들이 내장되어 있어서, 과충전, 과전류, 기타 물리적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발열, 폭발 등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안전성에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에는 과충전, 과전류 등의 비정상인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안전소자로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 보호회로 모듈(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등이 전지셀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이차전지의 전지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다는 등의 이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와 같은 파우치형 전지셀은 케이스에 전지셀을 장착한 상태에서 전지셀의 전극에 PCM을 연결하여 고정하고, 케이스의 외면에 라벨을 부착하여 완성하며, 상기 케이스는 예를 들어, 전지셀의 외면을 감싸는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의 조립 구조, 또는 전지셀의 모서리 부위를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 부재 등이 사용되었다.
또한, 상기 전지셀을 적용 제품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프레임을 사용하여 전지셀을 수납하여 외부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형화 및 고성능화 추세에 따라 사용되는 전지팩 또한 소형화 및 고용량화가 요구되고 있는 바, 동일 크기에서 큰 용량을 제공할 수 있는 전지팩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전지팩의 제조 단계를 단순화 하여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정성이 향상된 전지팩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전지셀들로 구성되는 전지팩의 제조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몰딩 프레임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조립 구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지팩의 조립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정성이 향상되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의 제조방법은, 전극 단자들이 상호 대면하도록 평면 배열된 판상형 전지셀들로 구성된 전지팩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PCB(Protection Circuit Board)의 전극단자 접속부에 전지셀들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
(b) 열가소성 수지의 사출구들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금형 내에, PCB와 연결된 전지셀들을 안착시키는 과정;
(c) 사출구들을 통해 열가소성 수지를 주입하여, PCB 및 전지셀들의 외주변에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몰딩 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 및
(d) 몰딩 프레임을 고화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 제조방법은, PCB 및 전지셀들의 외주변에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몰딩 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바, 종래에 전지팩을 조립하거나 외부 디바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조립 구조를 필요로 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몰딩 프레임의 형성 과정은 짧은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지팩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소정의 탄성을 갖기 때문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전지팩을 보호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판상형 전지셀은 전지셀의 외형을 고려할 때 파우치형 이차전지 또는 각형 이차전지일 수 있으나, 추가적인 고정부재가 없이 몰딩 프레임만으로 조립 및 고정이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지팩은, PCB의 양측면에 위치한 2개의 전지셀들 각각의 전극단자들이 상기 PCB의 전극단자 접속부에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전극단자들이 상호 대면한 상태로, 판상형 전지셀들이 평면 배열된 구조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지셀의 개수는 2개 이상일 수 있으며, PCB를 중심으로 양측면에 대칭인 구조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짝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사출구를 통해 주입된 후 전지셀들의 외주변으로 이동하여 몰딩 프레임을 형성하는 바, 전지셀들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교적 높지 않은 온도에서 유동성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조건의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polyolefin-based) 수지, 폴리염화비닐계(polyvinylchloride-based) 수지,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based)계 수지, 및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금형에 형성된 사출구들의 개수가 적을 경우, 열가소성 수지의 이동성이 떨어져, 몰딩 프레임의 두께 및 형상에 대한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출구들은, 전지셀들의 외주 엣지들(edges)에 대응되는 부위 및 전지셀들의 외주변들에 대응되는 부위 각각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PCB가 별도의 케이스에 탑재되지 않은 상태로 몰딩 프레임에 의해 전지셀 본체에 고정되는 경우로서, 상기 금형에는 PCB에 대응되는 부위에 사출구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과정(c)에서, 상기 사출구를 통해 PCB 상에도 열가소성 수지가 주입되어 PCB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PCB는 PCB와 전지셀 본체와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PCB 케이스에 탑재된 상태에서 과정 (b)가 수행될 수 있는 바, 상기 PCB 케이스는 PCB가 수납되는 하부 케이스 및 PCB가 안착된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PCB의 전극단자 접속부에 연결된 전극단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PCB 케이스 내부로 주입되어야 하는 바, 상기 PCB 케이스는 양측 끝단부들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열가소성 수지가 PCB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PCB에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위한 외부 입출력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PCB 케이스에는 외부 입출력 단자를 인출하기 위한 개구가 상부 케이스 내지 하부 케이스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가 PCB 케이스 내부를 빈 틈 없이 채우기 위하여, PCB 케이스의 개방된 끝단 뿐 아니라, PCB 케이스의 중심부에서도 주입될 필요가 있는 바,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에는 열가소성 수지의 주입을 위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금형에서 사출된 열가소성 수지가 PCB 케이스 내부로 정확하게 주입되어 고정부재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구는 금형에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의 사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PCB 케이스 내부로 열가소성 수지를 주입하기 위하여,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관통구의 개수는 2개일 수 있으며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상기 PCB가 PCB 케이스에 탑재된 상태에서 금형 내에 안착되는 경우로서, 상기 금형에서 사출된 열가소성 수지가 PCB 케이스 내부로 정확하게 주입되기 위하여, 상기 금형에는 상기 PCB 케이스의 개방된 끝단부 및 관통구에 대응되는 부위 각각에 사출구들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몰딩 프레임은 PCB를 포함하는 전지셀들의 외주변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전지셀들의 외주변에 형성될 뿐 아니라 전지셀들 사이에 위치하는 PCB 내지 PCB 케이스 내에도 주입되기 때문에, 전지셀들과 PCB 내지 PCB 케이스를 고정할 수 있고, 전지팩을 디바이스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몰딩 프레임은 전지셀들의 상면 및 하면의 외주 단부를 포함하여 전지셀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몰딩 프레임이 전지셀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우, 전지셀들의 외주변에서 인가되는 충격으로부터 전지팩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전지팩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호 결합되는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PCB를 포함하는 전지셀들의 외형에 대응하는 구조가 각인되어 있고, 상기 금형에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입할 수 있는 사출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지팩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금형에 형성되어 있는 사출구의 개수가 적은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가 금형 내에서 골고루 퍼지기 어려워 불량률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를 주입할 때 높은 압력이 필요하게 되어, 고압 성형시 전지셀에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금형은, 전지셀들의 외주 엣지들에 대응되는 부위 및 전지셀들의 외주변들에 대응되는 부위들 각각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사출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전지셀들 사이에 PCB가 위치하는 경우, 한 개의 전지셀에서 PCB 방향을 제외한 3개의 외주변, 및 PCB가 위치한 반대편의 2개의 외주 엣지부 각각에 1개 이상의 사출구들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열가소성 수지의 이동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할 수 있는 바, 몰딩 프레임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상기 금형에는 PCB에 대응되는 부위 또는 PCB 케이스에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의 관통구에 대응되는 부위에 사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는 바, 전지셀에 대한 PCB의 장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 프레임은 PCB를 포함하는 전지셀들의 상면 및 하면의 외주 단부를 포함하여 전지셀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몰딩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금형은, 전지셀들의 상면 및 하면의 외주 단부로부터 전지셀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된 몰딩 프레임이 형성되도록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방법들로 제조된 전지팩 및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팩은 고온 안전성 및 긴 사이클 특성과 높은 레이트 특성 등이 요구되는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바이스의 상세한 예로는, 모바일 전자기기, 전지 기반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력저장용 시스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전지팩의 제조장치는 복수의 전지셀들로 구성되는 전지팩에 별도의 조립 구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지팩의 조립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고용량의 전지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몰딩 프레임이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에 안착된 PCB와 연결된 전지셀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에 안착된 PCB와 연결된 전지셀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PCB 케이스에 탑재된 PCB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몰딩 프레임이 형성된 전지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및
도 5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몰딩 프레임이 형성된 전지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전지팩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금형에 PCB와 연결된 전지셀들이 안착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금형(100)에는 PCB(120)를 사이에 두고 양 옆에 배치된 판상형 전지셀들(101, 102)이 평면 배열된 상태로 안착되어 있다. 전지셀들(101, 102)의 전극단자들(103, 104)은 PCB의 전극단자 접속부(121)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PCB는 별도의 부재 없이 전극단자 접속부를 통해 전지셀들과 연결되어 있다.
금형(100)에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복수의 사출구들(111, 112)이 형성되어 있는 바, 전지셀들의 외주변들에 대응되는 부위들 각각에 사출구들(112)이 형성되어 있고, 전지셀의 외주 엣지(113)들에 대응되는 부위에 사출구들(111)이 형성되어 있다. 도1은 전지셀들의 외주변들 각각에 1개의 사출구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각각의 외주변들 마다 2개 또는 2개 이상의 사출구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PCB의 전극단자 접속부에 전지셀들(101, 102)의 전극단자가 접속되는 형태 내지 방법을 본 명세서에서 특정하지는 않지만, 하나의 전극단자 접속부에 연결되는 전극단자들의 전극이 동일한 구조가 되도록, 전극단자의 방향을 달리하는 전지셀들을 사용하거나, 전지셀의 배치 내지 설계 등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PCB(220)를 중심으로 양 측에 배치된 2개의 전지셀들(201, 202)이 PCB에 연결된 상태에서 금형(200)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바, 도 1의 금형(100)과 비교할 때, PCB(220)에 대응되는 부위에 사출구들(223)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PCB와 대응되는 부위에 사출구들을 더 형성하는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를 PCB 중심부까지 이동시켜 PCB와 전지셀 간에 안정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PCB(220)가 상부 케이스(230) 및 하부 케이스(240)로 이루어진 PCB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PCB 케이스(250)는 PCB(220)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 케이스(230) 및 PCB(220)의 하면에 위치하는 하부 케이스(2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가소성 수지가 PCB 케이스 내부로 주입되기 위하여 PCB 케이스(250)의 양 끝단은 개방된 구조(242)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단자 접속부를 포함하는 PCB는 전극단자들이 전극단자 접속부(221)에 결합된 상태에서 PCB 케이스에 탑재된 상태에서 금형 내에 안착될 수 있는 바, 상부 케이스(230)에는 전극단자 접속부(221)와 연결된 외부 입출력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인출하기 위한 개구(2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케이스(230) 및 하부 케이스(240)에는 열가소성 수지의 주입을 위한 관통구(231)들이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몰딩 프레임이 형성된 전지팩의 평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지팩(300)은 PCB 또는 PCB 케이스(320)와 연결된 2개의 전지셀들(301, 302)의 외주변에 몰딩 프레임(360)이 형성되어 있다. 몰딩 프레임(360)은 PCB의 전극단자 연결부와 연결된 전극단자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전지셀에 대한 PCB의 안정적인 장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바, PCB의 상면 및 하면을 둘러싸면서 전지셀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열가소성 수지가 PCB 케이스 외주변을 둘러싸면서 PCB 케이스 내부 공간에도 빈틈 없이 주입될 수 있다.
전지팩(400)은, 전지팩(300)과 같이, 전지셀들(401, 402)의 상면 및 하면의 외주 단부를 둘러싸도록 몰딩 프레임(460)이 형성되어 있으며, 더 나아가, 전지셀들의 상면 및 하면의 외주 단부로부터 전지셀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전지셀의 중심 방향으로 몰딩 프레임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지셀들 및 PCB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몰딩 프레임이 형성된 부분은 외부 충격을 완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전지팩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1)

  1. 전극 단자들이 상호 대면하도록 평면 배열된 판상형 전지셀들로 구성된 전지팩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PCB(Protection Circuit Board)의 전극단자 접속부에 전지셀들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
    (b) 열가소성 수지의 사출구들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금형 내에, PCB와 연결된 전지셀들을 안착시키는 과정;
    (c) 사출구들을 통해 열가소성 수지를 주입하여, PCB 및 전지셀들의 외주변에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몰딩 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 및
    (d) 몰딩 프레임을 고화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형 전지셀은 파우치형 이차전지 또는 각형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들이 상호 대면한 상태로, 2개의 판상형 전지셀들이 평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올레핀계(polyolefin-based) 수지, 폴리염화비닐계(polyvinylchloride-based) 수지,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based)계 수지, 및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에 형성된 사출구들은, 전지셀들의 외주 엣지들(edges)에 대응되는 부위 및 전지셀들의 외주변들에 대응되는 부위 각각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에는 PCB에 대응되는 부위에 사출구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과정(c)에서, 상기 사출구를 통해 PCB 상에도 열가소성 수지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CB는 PCB 케이스에 탑재된 상태에서 과정 (b)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PCB 케이스는 PCB가 수납되는 하부 케이스 및 PCB가 안착된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PCB 케이스는 양측 끝단부들이 개방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제조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PCB 케이스에는 외부 입출력 단자를 인출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제조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에는 열가소성 수지의 주입을 위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는 금형에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의 사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는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제조방법.
  14. 제 7 항에 있어서, 금형에는 상기 PCB 케이스의 개방된 끝단부 및 관통구에 대응되는 부위 각각에 사출구들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프레임은 PCB를 포함하는 전지셀들의 외주변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프레임은 전지셀들의 상면 및 하면의 외주 단부를 포함하여 전지셀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팩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호 결합되는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PCB를 포함하는 전지셀들의 외형에 대응하는 구조가 각인되어 있고,
    상기 금형에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입할 수 있는 사출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제조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전지셀들의 외주 엣지들에 대응되는 부위 및 전지셀들의 외주변들에 대응되는 부위들 각각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사출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제조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에는 PCB에 대응되는 부위 또는 PCB 케이스에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의 관통구에 대응되는 부위에 사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제조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21. 제 20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60013346A 2016-02-03 2016-02-03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092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346A KR102092071B1 (ko) 2016-02-03 2016-02-03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TW106103768A TWI709266B (zh) 2016-02-03 2017-02-02 電池組、用於製造彼之方法和裝置及含有彼之行動裝置
JP2017564903A JP6604636B2 (ja) 2016-02-03 2017-02-03 熱可塑性樹脂による固定構造を含む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PCT/KR2017/001168 WO2017135718A1 (ko) 2016-02-03 2017-02-03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201780002477.5A CN108602219B (zh) 2016-02-03 2017-02-03 用于制造具有由热塑性树脂制成的固定结构的电池组的方法和设备
EP17747763.5A EP3321058B1 (en) 2016-02-03 2017-02-03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having fixing structure made from thermoplastic resin
US15/737,998 US10675796B2 (en) 2016-02-03 2017-02-03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having fixing structure made from thermoplastic res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346A KR102092071B1 (ko) 2016-02-03 2016-02-03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246A true KR20170092246A (ko) 2017-08-11
KR102092071B1 KR102092071B1 (ko) 2020-04-14

Family

ID=5950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346A KR102092071B1 (ko) 2016-02-03 2016-02-03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75796B2 (ko)
EP (1) EP3321058B1 (ko)
JP (1) JP6604636B2 (ko)
KR (1) KR102092071B1 (ko)
CN (1) CN108602219B (ko)
TW (1) TWI709266B (ko)
WO (1) WO201713571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835A (ko) * 2018-01-31 2019-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탑 커버, 이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N110299477A (zh) * 2018-03-22 2019-10-0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池模块以及电池模块的制造方法
WO2020166998A1 (ko) * 2019-02-13 2020-08-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그 제조 방법 및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WO2020171626A1 (ko) * 2019-02-21 2020-08-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11791517B2 (en) 2018-08-31 2023-10-17 Lg Energy Solution, Ltd. Pouch,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9466A1 (de) * 2018-11-14 2020-05-14 Audi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tromführungseinrichtung, Anschlussdose für eine Fahrzeugbatterie und Kraftfahrzeug
CN112335094B (zh) * 2019-02-13 2024-01-26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模块、其制造方法和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
WO2022261302A1 (en) * 2021-06-09 2022-12-15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isola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3629A1 (ja) * 2009-09-16 2011-03-24 三菱重工プラスチック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射出成形方法
KR20110110760A (ko) * 2009-01-26 2011-10-07 바르타 미크로바테리 게엠베하 단순 디자인을 가진 배터리
KR101255240B1 (ko) * 2013-01-08 2013-04-16 주식회사 에이티앤씨 통신단말기용 안테나 모듈 제조방법
WO2015050988A1 (en) * 2013-10-01 2015-04-09 Nike Innovate C.V. Battery overmolding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2290B2 (ja) 2001-06-28 2011-06-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
JP3929839B2 (ja) * 2001-06-28 2007-06-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及び電池パック
JP2004362874A (ja) * 2003-06-03 2004-12-24 Hitachi Maxell Ltd 電池パック
KR20050059891A (ko)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 에스엠시 휴대폰 및 모바일기기 강도보강용 2차 전지 배터리 팩
KR100686814B1 (ko) 2005-04-26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리머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US20100294344A1 (en) 2005-09-28 2010-11-25 Sipix Chemical Inc. Decoration film and decoration device
KR100980104B1 (ko) 2005-09-28 2010-09-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제조장치
US20070069418A1 (en) 2005-09-28 2007-03-29 Chih-Yuan Liao In mold manufacturing of an object comprising a functional element
US20100196651A1 (en) 2005-09-28 2010-08-05 Sipix Chemical Inc. Mold manufacturing of an object comprising a functional element, transfering process and object
KR20070108756A (ko) 2006-05-08 2007-11-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KR100824875B1 (ko) 2006-08-31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JP5504554B2 (ja) * 2006-11-06 2014-05-28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及び電池パック
JP5031606B2 (ja) * 2008-01-30 2012-09-19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82801B1 (ko) 2009-07-24 2012-09-13 엔피텍주식회사 배터리 프레임 제조용 사출 금형장치
US8597807B2 (en) 2009-08-11 2013-12-0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thermally insulating sheet having a recess for receiving a thermal fuse
KR101278978B1 (ko) 2010-01-25 2013-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209461B1 (ko) 2010-02-01 2012-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2012119290A (ja) * 2010-11-12 2012-06-21 Sony Corp 電池パック、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パック製造用の金型
KR20140100085A (ko) 2013-02-05 2014-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KR101634769B1 (ko) 2013-12-27 2016-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화성 물질 분사 수단을 구비한 전지셀 제조 장치
KR102161628B1 (ko) * 2014-03-14 2020-10-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보호회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팩
EP3161899A4 (en) 2014-06-30 2017-12-27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for a cordless power tools
KR102355326B1 (ko) 2014-07-24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11158915B2 (en) * 2014-09-30 2021-10-26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KR101872308B1 (ko) 2015-04-15 2018-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핫 멜팅 고정 구조를 이용한 내장형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지팩
KR101872307B1 (ko) * 2015-04-15 2018-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핫 멜팅 고정 구조를 이용한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지팩
JP2017112478A (ja) * 2015-12-16 2017-06-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静電気保護回路、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760A (ko) * 2009-01-26 2011-10-07 바르타 미크로바테리 게엠베하 단순 디자인을 가진 배터리
WO2011033629A1 (ja) * 2009-09-16 2011-03-24 三菱重工プラスチック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射出成形方法
KR101255240B1 (ko) * 2013-01-08 2013-04-16 주식회사 에이티앤씨 통신단말기용 안테나 모듈 제조방법
WO2015050988A1 (en) * 2013-10-01 2015-04-09 Nike Innovate C.V. Battery overmold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835A (ko) * 2018-01-31 2019-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탑 커버, 이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N110299477A (zh) * 2018-03-22 2019-10-0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池模块以及电池模块的制造方法
CN110299477B (zh) * 2018-03-22 2022-05-0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池模块以及电池模块的制造方法
US11791517B2 (en) 2018-08-31 2023-10-17 Lg Energy Solution, Ltd. Pouch,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econdary battery
WO2020166998A1 (ko) * 2019-02-13 2020-08-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그 제조 방법 및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WO2020171626A1 (ko) * 2019-02-21 2020-08-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04636B2 (ja) 2019-11-13
CN108602219B (zh) 2020-12-11
CN108602219A (zh) 2018-09-28
US10675796B2 (en) 2020-06-09
JP2018524770A (ja) 2018-08-30
EP3321058A4 (en) 2018-10-03
TW201740591A (zh) 2017-11-16
US20180304504A1 (en) 2018-10-25
TWI709266B (zh) 2020-11-01
EP3321058B1 (en) 2022-05-04
WO2017135718A1 (ko) 2017-08-10
KR102092071B1 (ko) 2020-04-14
EP3321058A1 (en)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4636B2 (ja) 熱可塑性樹脂による固定構造を含む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9178192B2 (en)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KR20190071454A (ko)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20130004799A1 (en) Battery cell assembly of novel structur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KR101678525B1 (ko) 단자 가이드부를 포함한 배터리 팩
KR20150122517A (ko) 배터리 팩
EP2706588B1 (en) Lead tab, battery pack having the lead tab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ead tab
US20130230746A1 (en) Secondary battery
KR101872308B1 (ko) 핫 멜팅 고정 구조를 이용한 내장형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지팩
KR101172230B1 (ko) 이차전지 및 그의 패킹 방법
KR20140013273A (ko) 파우치형 전지셀이 내장되어 있는 각형화된 전지셀
KR20180104927A (ko) 보호 필름이 부착된 파우치형 전지셀
KR102207296B1 (ko) 형상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KR20160125644A (ko)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고정 프레임을 전지모듈 상에 형성하는 방법
KR101384919B1 (ko) 이차전지
KR101770330B1 (ko) 접속용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팩
JP2004303625A (ja) パック電池とその製造方法
KR101872307B1 (ko) 핫 멜팅 고정 구조를 이용한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지팩
KR101709563B1 (ko) 열가소성 수지를 적용한 교체형 전지팩 및 전지팩 제조 방법
KR101902447B1 (ko) 탄성 외장 부재를 포함하는 유닛모듈
CN115136384A (zh) 电池模块、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及该电池模块的制造方法
KR101692822B1 (ko) 단일 프레임 구조의 전지팩
KR20130084070A (ko) 프레임을 갖는 배터리 셀 및 그 제조 방법
KR101278978B1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10760A (ko) 단순 디자인을 가진 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