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666A - 베인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베인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666A
KR20170091666A KR1020177017502A KR20177017502A KR20170091666A KR 20170091666 A KR20170091666 A KR 20170091666A KR 1020177017502 A KR1020177017502 A KR 1020177017502A KR 20177017502 A KR20177017502 A KR 20177017502A KR 20170091666 A KR20170091666 A KR 20170091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il supply
hole
passag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나가노
타츠시 모리
쿠니히사 마츠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70091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04C18/3441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8Means for improving or restricting lubricant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5Fastening means, e.g. bo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6Lubricant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동력 손실의 저감을 확실하게 실현하면서,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실현 가능한 베인형 압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는,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에 토출실(9a)과 각 배압실(49a, 49b)을 연통하는 배압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배압 유로는,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에 형성된 제1 통로(5d)와, 제1 통로(5d)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57)의 간극(57c)으로 이루어진다. 간극(57c)은, 제1 통로(5d)의 내주면 및 삽입 부재(57)의 외주면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급유홈에 의해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베인형 압축기{VANE 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베인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3에 종래의 베인형 압축기(이하, 압축기라고 함)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압축기는, 하우징과, 회전축과, 로터와, 복수의 베인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에는, 흡입압 영역, 실린더실 및 토출압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은 하우징 내에서 축심(軸心)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로터는, 실린더 실 내에서 회전축과 동기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로터에는, 복수개의 베인홈이 형성되어 있다. 각 베인은, 각각 베인홈에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들 압축기에서는, 실린더실의 일면, 실린더실의 내주면, 실린더실의 타면, 로터의 외주면 및 각 베인에 의해 복수개의 압축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베인의 저면과 각 베인홈의 사이가 배압실로 되어 있다. 하우징에는, 각 배압실과 토출압 영역을 연통하는 배압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압 유로에는 체크 밸브, 압력 조정 밸브 또는 플러그 내에 형성된 소공(小孔)에 의해 배압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압축기에서는, 로터가 실린더실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각 압축실이 용적을 확대한 후에 축소한다. 이에 따라, 압축실이 흡입압 영역 내의 냉매 가스를 흡입하고, 압축하여, 토출압 영역에 토출한다. 그리고, 토출압 영역 내의 윤활유가 배압 유로를 거쳐 각 배압실로 이동하고, 각 배압실이 가압된다. 그 결과, 각 베인이 실린더실의 내주면에 탄성 지지되어, 압축실이 적합하게 밀봉된다. 이에 따라, 이들 압축기에서는, 압축 효율의 향상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윤활유는 회전축 등의 윤활에 제공된다.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소63-36677호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소52-35513호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소60-131687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압축기에서는, 배압 유로가 체크 밸브, 압력 조정 밸브 또는 플러그 내에 형성된 소공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배압 유로의 연통(communication) 면적이 충분히 작지 않고, 동력 손실의 저감의 점에 있어서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다. 다른 한편, 동력 손실의 저감을 위해 배압 유로의 연통 면적을 보다 작게 하면, 배압 유로에 과도하게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게 되어, 생산성이 나빠지고,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의 저렴화가 어려워짐과 함께, 배압 유로에 이물이 막히기 쉬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동력 손실의 저감을 확실하게 실현하면서, 제조 비용의 저렴화 및 신뢰성의 향상을 실현 가능한 베인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는, 토출압 영역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사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된 실린더실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실린더실 내에서 상기 회전축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복수개의 베인홈이 형성된 로터와,
상기 각 베인홈에 각각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인을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실의 일면, 상기 실린더실의 내주면, 상기 실린더실의 타면, 상기 로터의 외주면 및 상기 각 베인에 의해 복수개의 압축실이 형성되고,
상기 각 베인의 저면과 상기 각 베인홈의 사이가 배압실로 되고,
상기 토출압 영역 내에는, 상기 압축실로부터 토출되는 냉매 가스로부터 윤활유를 분리하는 유(油) 분리부와, 분리된 윤활유를 저류하는 저유부(貯油部)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저유부와 상기 각 배압실을 연통하는 배압 유로가 형성된 베인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배압 유로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유부로 개구하는 급유공과, 상기 급유공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의 간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급유공의 내주면 및 상기 삽입 부재의 외주면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급유홈에 의해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토출압 영역과 각 배압실을 연통하는 배압 유로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한정된 스페이스에 있어서 배압 유로의 길이를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선 형상의 급유홈이 윤활유로 채워짐으로써, 냉매 가스가 급유홈을 유통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이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토출압 영역과 각 배압실의 사이에서 냉매 가스가 배압 유로를 통하여 유통하는 것에 의한 동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급유공과 삽입 부재의 간극으로 이루어지는 배압 유로는, 상기 종래의 베인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체크 밸브, 압력 조정 밸브 또는 플러그 내에 형성된 소공의 배압 유로와 비교하여,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대량으로 제작 가능하다. 또한, 배압 유로의 연통 면적을 과도하게 작게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배압 유로에 이물이 막히기 어려워, 베인형 압축기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토출압 영역 내에는, 압축실로부터 토출되는 냉매 가스로부터 윤활유를 분리하는 유 분리부와, 분리된 윤활유를 저류하는 저유부가 형성되어 있다. 배압 유로는, 저유부와 각 배압실을 연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급유홈이 윤활유로 채워지기 쉬워져, 동력 손실을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는, 동력 손실의 저감을 확실하게 실현하면서, 제조 비용의 저렴화 및 신뢰성의 향상을 실현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인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장기의 정지 후에 흡입압 영역, 각 압축실 및 토출압 영역이 균압화(均壓化)하는 점에서, 그 상태로 기동이 행해지면, 각 베인이 실린더실의 내주면에 적합하게 탄성 지지되지 않고 진동하는 소위 채터링(chattering)을 발생시키기 쉽다. 이 때문에, 많은 종류의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배압 유로와는 상이한 유로에 의해, 기동시에 배압 유로를 거치지 않는 토출 압력의 윤활유나 냉매 가스를 배압실로 도입하여, 채터링을 방지하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점,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기동시에는, 나선 형상의 급유홈 내를 토출 압력의 냉매 가스가 재빠르게 통과하여, 채터링을 방지한다. 그리고, 기동 후, 나선 형상의 급유홈이 윤활유로 채워지면, 급유홈 내에 있어서의 윤활유의 점성에 의해 토출 압력이 감압되어, 각 배압실이 가압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채터링을 방지하는 기구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보다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배압 유로를 형성함에 있어서, 하우징의 형상을 대폭으로 변경할 필요도 없고, 압축기가 대형화할 일도 없다. 이 때문에, 압축기의 소형화를 실현하여, 차량 등으로의 높은 탑재성을 실현할 수 있다.
급유공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 부재는, 수나사산과 수나사홈을 갖는 나사 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급유홈은, 급유공의 내주면과 수나사홈의 간극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급유공의 형성이 용이하고, 보다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실현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는, 실린더실을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와, 제1 플레이트와 맞닿아지고, 급유공이 형성된 제2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실린더실을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를 경질의 것으로 하거나, 제2 플레이트를 연질의 것으로 하여 제2 플레이트로의 급유공의 형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상이한 재질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나사 부재는 볼나사용의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나사홈이 정밀도가 높은 원통 형상인 점에서, 이물이 급유홈 내에 막히기 어렵고, 압축기가 높은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급유공에 삽입 부재를 압입하면, 압입대(press fit allowance)의 관리를 엄격하게 하지 않으면, 급유공과 삽입 부재의 간극이 불규칙하게 되고, 즉 배압 유로의 연통 면적이 불규칙하게 되어, 베인형 압축기의 품질이 안정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압입대의 관리보다도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급유공에 삽입 부재를 극간 끼움에 의해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급유공에 삽입 부재를 극간 끼움에 의해 삽입하는 경우라도, 급유공과 삽입 부재의 간극에 아직 어느 정도의 불균일을 발생시켜, 품질의 안정성에 더 한층의 향상의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기동시에는, 토출 압력의 냉매 가스가 급유홈을 재빠르게 통과하여, 채터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점에서, 급유공과 삽입 부재의 간극이 비교적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한편, 기동 후, 운전을 계속하고 있는 동안은, 급유공과 삽입 부재의 간극이 작아져, 동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때문에,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사이드 플레이트는 급유공이 형성된 구멍 형성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멍 형성부는 토출압 영역 내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 부재의 열팽창 계수는 구멍 형성부의 열팽창 계수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급유공과 삽입 부재의 사이에는, 구멍 형성부의 열팽창 계수보다도 열팽창 계수가 큰 간극 조정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 형성부가 토출압 영역 내로 돌출되어 있으면, 운전의 계속에 의해 토출압 영역이 서서히 고압이 되면, 구멍 형성부가 그 고압에 의해 축경(縮徑)되어, 급유공과 삽입 부재의 간극을 기동시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삽입 부재의 열팽창 계수가 구멍 형성부의 열팽창 계수보다도 크면, 운전의 계속에 의해 토출압 영역이 서서히 고온이 됨으로써, 삽입 부재가 구멍 형성부보다도 크게 팽창하여, 급유공과 삽입 부재의 간극을 기동시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급유공과 삽입 부재의 사이에 간극 조정 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면, 운전의 계속에 의해 토출압 영역이 서서히 고온이 됨으로써, 간극 조정 부재가 구멍 형성부 및 삽입 부재에 대하여 팽창하여, 급유공 내의 간극 조정 부재와 삽입 부재의 간극을 기동시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이들의 경우에는, 품질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한다. 이 때문에, 베인형 압축기가 높은 양산성을 발휘한다. 또한, 이들의 경우, 기동시의 채터링의 방지와, 동력 손실의 저감을 양립할 수도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 플레이트가 구멍 형성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플레이트를 연질의 것으로 하여 구멍 형성부가 고압에 의해 축경되기 쉽게 하거나, 제2 플레이트를 열팽창 계수가 작은 것으로 하여 삽입 부재가 구멍 형성부보다도 크게 팽창하기 쉽게 하거나 하여, 상기 작용 효과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에만 도금을 형성하여, 고품질의 베인형 압축기의 제조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토출압 영역과 구멍 형성부에 있어서의 급유공의 사이의 두께는, 토출압 영역 내의 냉매 가스의 압력에 의해 급유공이 소경(小徑)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냉매 가스의 압력에 의해 급유공과 삽입 부재의 간극을 확실하게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는, 동력 손실의 저감을 확실하게 실현하면서,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실현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 1의 전동 베인형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전동 베인형 압축기의 축 직각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전동 베인형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전동 베인형 압축기의 더 한층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전동 베인형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3의 전동 베인형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4의 전동 베인형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5의 전동 베인형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6의 전동 베인형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7의 전동 베인형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7의 전동 베인형 압축기의 주요부를 나타내고, 도 10의 화살표 ⅩⅠ에서 절단하여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8의 전동 베인형 압축기의 주요부를 나타내고, 도 11과 동일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9의 전동 베인형 압축기의 주요부를 나타내고, 도 11과 동일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10의 전동 베인형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10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전동 베인형 압축기(이하, 간단히 압축기라고 함)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1)과, 모터 기구(3)와, 제1, 2 사이드 플레이트(4, 5)와, 실린더 블록(7)과, 커버(9)와, 압축 기구(13)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도 1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1)측을 전방으로 하고, 커버(9)측을 후방으로 한다.
모터 하우징(1)은, 전단측에서 후단측까지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단측이 저벽(1a)에 의해 폐색되어 있음과 함께 후단측에 개구(1b)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모터 하우징(1)은 내부에 흡입압 영역을 겸하는 모터실(1c)을 형성하고 있다. 모터 하우징(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이루는 원통부(1d)와, 원통부(1d)로부터 외측으로 팽출한 팽출부(1e)를 갖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1)에는 외부와 모터실(1c)을 연통하는 흡입구(1f)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1f)에는 배관(6)에 의해 차량용 공조 장치의 증발기(6a)가 접속되어 있다. 증발기(6a)는 배관(6)에 의해 팽창 밸브(6b)에 접속되고, 팽창 밸브(6b)는 배관(6)에 의해 응축기(6c)에 접속되어 있다.
모터 기구(3)는, 모터실(1c) 내에 있어서, 스테이터(15) 및 모터 로터(17)를 갖고 있다. 스테이터(15)는 모터 하우징(1)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1)의 팽출부(1e)에는, 모터실(1c)을 기밀(氣密)하게 유지 가능한 기밀 단자(16)가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기밀 단자(16)의 외단은 도시하지 않는 급전 장치와 접속되어 있고, 각 기밀 단자(16)의 내단은 클러스터 블록(2)을 통하여 리드선(16a)에 의해 스테이터(15)에 접속되어 있다. 모터 로터(17)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9)을 삽입 통과하고 있고, 스테이터(15) 내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1)의 저벽(1a)에는 축 지지부(1g)가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축 지지부(1g)에는 베어링 장치(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모터 하우징(1)의 후단에는 커버(9)가 복수의 도시하지 않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커버(9)는, 후단측이 저벽(9d)에 의해 폐색되어 있음과 함께 전단측에 개구(9e)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모터 하우징(1)의 개구(1b)에 커버(9)의 개구(9e)가 맞닿아, 모터 하우징(1) 및 커버(9)가 폐색되어 있다. 커버(9)의 개구(9e)측에는, 축 방향과 직교하는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제1 사이드 플레이트(4)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제1 사이드 플레이트(4)의 외주면과 커버(9)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O링(2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사이드 플레이트(4)에는, 회전축(19)을 삽입 통과시키는 축공(4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축공(4a)에는, 회전축(19)을 적합하게 슬라이딩시키는 도시하지 않는 도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9)의 거의 중앙에는, 축 방향과 직교하는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제2 사이드 플레이트(5)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의 외주면과 커버(9)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O링(2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에는, 회전축(19)을 삽입 통과시키는 축공(5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축공(5a)에는, 회전축(19)을 적합하게 슬라이딩시키는 도시하지 않는 도금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9)의 후단부는 축공(5a)에 의해 축 지지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회전축(19)은, 제1 사이드 플레이트(4)의 축공(4a)과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의 축공(5a)에 의해 축 지지되어, 적합하게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사이드 플레이트(4)와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의 사이에는, 실린더 블록(7)이 복수 라인의 볼트(25)(도 2 참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7)은, 축 방향으로 통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7)은, 제1, 2 사이드 플레이트(4, 5)와 고정됨으로써, 제1, 2 사이드 플레이트(4, 5)와 함께 내부에 실린더실(31)을 형성하고 있다. 실린더실(3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진원(眞円)이다. 실린더실(31)의 축심은 축심(O)으로부터 편심하고 있다. 실린더실(31)의 전단측의 전면(前面), 내주면 및 후단측의 후면에는, 로터(45)나 베인(47a, 47b)을 적합하게 슬라이딩시키는 도시하지 않는 도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사이드 플레이트(4)에는, 축 방향으로 개구하여 모터실(1c)에 연통하는 흡입 통로(33a)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7)에는 흡입 통로(33a)와 연통하는 흡입 통로(33b)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통로(33b)는, 실린더실(31)의 외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흡입 포트(33c)에 의해 실린더실(31)에 연통하고 있다.
실린더 블록(7)에는, 외주측으로 개구하는 토출 공간(37)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토출 공간(37)은, 실린더실(31)의 내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토출 포트(37a)에 의해 실린더실(31)에 연통하고 있다. 토출 공간(37) 내에서는, 토출 포트(37a)를 개폐하는 토출 리드 밸브(39)와, 토출 리드 밸브(39)의 개도(開度)를 규제하는 리테이너(41)가 볼트(43)에 의해 실린더 블록(7)에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실(31) 내에서는, 로터(45)가 회전축(1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로터(45)는 회전축(19)에 압입 또는 키 연결되어 있다. 로터(45)는 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진원이다. 로터(45)의 축심은 축심(O)과 일치하고 있다. 로터(45)에는, 2개의 베인홈(45a, 45b)이 형성되어 있다. 베인홈(45a, 45b)은, 축심(O)을 포함하는 가상의 기준면과 평행이다. 각 베인홈(45a, 45b)에는, 평판 형상의 베인(47a, 47b)이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베인(47a, 47b)의 저면과 각 베인홈(45a, 45b)의 사이는 각각 배압실(49a, 49b)로 되어 있다. 로터(45) 및 베인(47a, 47b)이 압축 기구(13)(도 1 참조)를 구성하고 있다. 실린더실(31)의 전면, 실린더실(31)의 내주면, 실린더실(31)의 후면 및 로터(45)의 외주면 및 각 베인(47a, 47b)에 의해 2개의 압축실(50a, 50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사이드 플레이트(4)의 후면에는, 환상홈(4b)이 축심(O) 주위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의 전면에는, 환상홈(4b)과 전후로 대면하는 환상홈(5p)이 축심(O) 주위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커버(9)와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의 사이에는 토출압 영역인 토출실(9a)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9)에는 외부와 토출실(9a)을 연통하는 토출구(9b)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9b)에는 배관에 의해 차량용 공조 장치의 응축기(6c)가 접속되어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에 블록(35)이 고정되어 있다.
블록(35)에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어 축심(O)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 분리부(35a)가 형성되어 있다. 유 분리부(35a)에는 원통 형상의 통 부재(53)가 고정되어 있다. 통 부재(53)의 상단은 토출실(9a)로 개구하고 있고, 유 분리부(35a)의 하단은 유 배출구(35b)에 의해 토출실(9a)로 개구하고 있다. 이들 유 분리부(35a) 및 통 부재(53)에 의해 오일 세퍼레이터가 구성되어 있다. 토출실(9a)의 하부는, 유 분리부(35a)에서 분리된 윤활유를 저류하는 저유부(35c)로 되어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5) 및 블록(35)에는, 토출 공간(37)을 유 분리부(35a)에 연통하는 토출 통로(5b, 35e)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와 블록(35)의 사이에는, 축공(5a)과 연통하는 급유실(5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9)의 저부에는 토출실(9a)과 연통하는 유 홈(9c)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에는, 유 홈(9c)과 연통하여 축심(O)에 접근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통로(5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에는, 급유실(55)과 제1 통로(5d)의 상단을 연통하는 제2 통로(5e)와, 급유실(55)과 환상홈(5p)을 연통하는 제3 통로(5f)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통로(5d)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통로(5d)가 본 발명의 급유공에 상당한다. 제1 통로(5d) 내에는, 삽입 부재(57)가 압입 또는 극간 끼움에 의해 삽입되어 있다. 극간 끼움의 경우, 삽입 부재(57)와 제1 통로(5d)의 내주면의 사이는, 윤활유에 의해 시일되어 있다. 삽입 부재(57)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이 제1 통로(5d)의 상단에 맞닿아진 상태로, 하단이 서클립(58)에 의해 빠짐방지되어 있다. 삽입 부재(57)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나사산(57a)과 수나사홈(57b)을 갖는 볼나사용의 나사 부재이다.
삽입 부재(57)가 제1 통로(5d)에 삽입됨으로써, 삽입 부재(57)의 수나사산(57a)의 정면(頂面)이 제1 통로(5d)의 내주면에 맞닿아, 삽입 부재(57)의 수나사홈(57b)과 제1 통로(5d)의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57c)이 확보되어 있다. 수나사홈(57b)이 본 발명의 급유홈에 상당한다. 서클립(58)의 틈은 간극(57c)을 저유부(35c)에 연통시키고 있다. 제1 통로(5d)에 있어서의 간극(57c), 제2 통로(5e), 급유실(55) 및 제3 통로(5f)가 본 발명의 배압 유로에 상당한다.
이 압축기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스테이터(15)에 급전이 행해지면, 모터 기구(3)가 작동하고, 회전축(19)이 축심(O) 주위에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압축 기구(13)가 작동하고, 로터(45)가 실린더 블록(7) 내에서 회전한다. 이에 따라, 각 압축실(50a, 50b)이 용적의 확대와 축소를 반복한다. 이 때문에, 각 압축실(50a, 50b)은, 모터실(1c)로부터 흡입 통로(33a, 33b) 및 흡입 포트(33c)를 거쳐 저압의 냉매 가스를 흡입하는 흡입 행정을 행한다. 또한, 흡입 행정 후, 각 압축실(50a, 50b) 내에서 냉매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 행정을 행한다. 또한, 압축 행정 후, 각 압축실(50a, 50b) 내의 고압의 냉매 가스를 토출 포트(37a), 토출 공간(37), 토출 통로(5b, 35e)를 거쳐 토출실(9a)에 토출하는 토출 행정을 행한다. 이렇게 하여, 차실 내의 공조가 행해진다.
이 사이, 토출 통로(5b, 35e)로부터 유 분리부(35a)에 토출된 고압의 냉매 가스로부터 원심력에 의해 윤활유가 분리된다. 윤활유는 토출실(9a)의 하방의 저유부(35c)에 저류된다. 그리고, 윤활유는, 토출실(9a) 내가 고압이기 때문에, 유 홈(9c), 제1 통로(5d)의 간극(57c), 제2 통로(5e), 급유실(55), 제3 통로(5f)를 거쳐 환상홈(5p)에 공급된다. 환상홈(5p)은 각 배압실(49a, 49b)에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베인(47a, 47b)에 배압을 부여한다. 이 때문에, 베인(47a, 47b)이 실린더실(31)의 내주면에 적합하게 탄성 지지되어, 높은 압축 효율로 일이 행해진다.
여기에서, 이 압축기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실(9a)과 각 배압실(49a, 49b)을 연통하는 배압 유로가 간극(57c)을 갖고, 그 간극(57c)이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압축기에서는, 제1 통로(5d)의 상하 방향(압축기의 지름 방향)의 길이가 비록 동일하더라도, 삽입 부재(57)의 길이를 변경하거나, 삽입 부재(57)에 있어서의 수나사산(57a)과 수나사홈(57b)의 피치를 변경하거나, 나사의 조수(條數)를 변경하거나 함으로써, 배압 유로의 조임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정된 스페이스에 있어서 간극(57c)에 의한 배압 유로의 연통 면적을 억제하면서, 배압 유로의 경로의 전체 길이를 용이하게 길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서는, 토출실(9a) 내의 하부에 저유부(35c)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극(57c)이 윤활유로 채워지기 쉽고, 냉매 가스가 간극(57c)을 유통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토출실(9a)과 각 배압실(49a, 49b)의 사이에서 냉매 가스가 배압 유로를 통하여 유통하는 것에 의한 동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로(5d)와 삽입 부재(57)의 간극(57c)은, 공지의 압축기에 있어서의 체크 밸브, 압력 조정 밸브 또는 플러그 내에 형성된 소공의 배압 유로와 비교하여,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대량으로 제작 가능하다.
또한, 이 압축기가 장시간 정지한 후에 기동될 때, 압축기와 배관(6)으로 연결되는 차량용 공조 장치의 냉매 회로가 균압으로 되어 있어, 저유부(35c)로부터 윤활유가 고갈된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그 상태에 있어서는, 나선 형상의 간극(57c) 내를 토출 압력의 냉매 가스가 재빠르게 통과하여 배압실(49a, 49b)의 압력을 재빠르게 상승시켜, 채터링을 방지한다. 그리고, 기동 후, 냉매 회로 내의 윤활유가 냉매 가스와 함께 흡입되고, 토출실(9a)까지 이르면, 나선 형상의 간극(57c)이 윤활유로 채워지고, 간극(57c)에 있어서의 윤활유의 점성에 의해 토출 압력이 감압되어, 각 배압실(49a, 49b)이 가압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채터링을 방지하는 기구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나선 형상의 간극(57c)은, 연통 면적을 작게 억제하면서 긴 거리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냉매 가스에 대해서는 재빠르게 통과시킬 수 있음과 함께, 윤활유에 대해서는 조임으로서 기능시키는 데에 최적이다.
따라서, 이 압축기는, 동력 손실의 저감을 확실하게 실현하면서,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실현 가능하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급유공을 형성하는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모터 하우징(1), 커버(9) 등의 형상을 대폭으로 변경할 필요도 없고, 압축기가 대형화할 일도 없다. 이 때문에, 압축기의 소형화를 실현하여, 차량 등으로의 높은 탑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제1 통로(5d)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 부재(57)가 나사 부재이기 때문에, 급유공의 형성이 용이하고, 보다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이 압축기에서는, 삽입 부재(57)가 볼나사용의 나사 부재이기 때문에, 수나사홈(57b)이 정밀도가 높은 원통 형상이다. 이 때문에, 이물이 간극(57c) 내에 막히기 어려워, 압축기가 높은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압축기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극(257c)은 제1 통로(5d)와 삽입 부재(257)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삽입 부재(257)는 수나사산(257a)과 수나사홈(257b)을 갖는 체결용의 나사 부재이다. 삽입 부재(257)의 하단면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홈(257d)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홈(257d)은 간극(257c)을 저유부(35c)에 연통시키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압축기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나사홈(5g)을 갖는 제1 통로(35d)에 대하여, 수나사산(357a)과 수나사홈(357b)을 갖는 삽입 부재(357)를 나사 맞춤하고 있다. 삽입 부재(357)도 체결용의 나사 부재이다. 간극(357c)은 제1 통로(35d)와 삽입 부재(357)의 수나사홈(357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압축기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나사홈(5h)을 갖는 제1 통로(45d)에 대하여, 수나사산(457a)과 수나사홈(457b)을 갖는 삽입 부재(457)를 나사 맞춤하고 있다. 삽입 부재(457)도 체결용의 나사 부재이다. 간극(457c)은 제1 통로(45d)와 삽입 부재(457)의 수나사홈(457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5의 압축기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나사산(5i) 및 암나사홈(5j)을 갖는 제1 통로(55d)에 대하여, 수나사산(557a)과 수나사홈(557b)을 갖는 삽입 부재(557)를 나사 맞춤하고 있다. 삽입 부재(557)도 체결용의 나사 부재이다. 간극(557c)은 제1 통로(55d)의 암나사홈(5j)과 삽입 부재(557)의 수나사산(557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6의 압축기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나사산(5k) 및 암나사홈(5l)을 갖는 제1 통로(65d)에 대하여, 수나사산(657a)과 수나사홈(657b)을 갖는 삽입 부재(657)를 나사 맞춤하고 있다. 삽입 부재(657)도 체결용의 나사 부재이다. 간극(657c)은 제1 통로(65d)의 암나사홈(5l)과 삽입 부재(657)의 수나사산(657a)에 의해 형성되고, 간극(657d)은 제1 통로(65d)의 수나사산(5k)과 삽입 부재(657)의 수나사홈(657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실시예 7)
실시예 7의 압축기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사이드 플레이트(61)를 채용하고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61)는, 실린더실(31)을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62)와, 제1 플레이트(62)와 맞닿아지는 제2 플레이트(63)로 이루어진다.
제1 플레이트(62)는, 실린더실(31)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제2 플레이트(63)보다도 경질의 것이다. 제1 플레이트(62)의 전면에는 도금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플레이트(63)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재하는 기둥 형상의 구멍 형성부(63a)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 형성부(63a)의 양측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홈(63b, 63c)이 형성되고, 구멍 형성부(63a)는 그 전면(前面)을 제외한 전체가 토출실(9a)로 돌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 형성부(63a)에는, 유 홈(9c)과 연통하여 축심(O)에 근접하듯이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의 제1 통로(5s)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플레이트(63)는, 연질의 것이기 때문에, 제1 통로(5s)의 형성이 용이하다. 제1 통로(5s)는 전면보다도 약간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통로(5s) 내에는, 삽입 부재(57)가 극간 끼움에 의해 삽입되어 있다. 삽입 부재(57)의 열팽창 계수는 구멍 형성부(63a)의 열팽창 계수보다도 크다. 제2 플레이트(63)에는, 유 분리부(35a)가 형성되어 있어, 실시예 1의 블록(35)의 기능을 겸용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의 압축기와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서는, 제1 통로(5s)에 삽입 부재(57)를 극간 끼움에 의해 삽입하고 있기 때문에, 압입대의 관리보다도 용이한 관리하, 간극(57c)의 불균일을 작게 하여, 안정적인 품질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제1 통로(5s)에 삽입 부재(57)를 극간 끼움에 의해 삽입하고 있기 때문에, 기동시에는, 토출 압력의 냉매 가스가 간극(57c)을 재빠르게 통과하여, 채터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한편, 이 압축기에서는, 구멍 형성부(63a)가 토출실(9a)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의 계속에 의해 토출실(9a)이 서서히 고압이 되면, 구멍 형성부(63a)가 그 고압에 의해 축경(縮徑)된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삽입 부재(57)의 열팽창 계수가 구멍 형성부(63a)의 열팽창 계수보다도 크기 때문에, 운전의 계속에 의해 토출실(9a)이 서서히 고온이 됨으로써, 삽입 부재(57)가 구멍 형성부(63a)보다도 크게 팽창한다. 이렇게 하여, 이 압축기에서는, 간극(57c)을 기동시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제2 플레이트(63)는, 연질의 것이기 때문에, 구멍 형성부(63a)가 고압에 의해 축경되기 쉽다. 또한, 제1 통로(5s)가 전면보다도 약간 후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실(9a)과 구멍 형성부(63a)에 있어서의 제1 통로(5s)의 사이의 두께는, 토출실(9a) 내의 냉매 가스의 압력에 의해 제1 통로(5s)가 확실하게 소경이 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압축기에서는, 품질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하고, 높은 양산성을 발휘한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기동시의 채터링의 방지와, 동력 손실의 저감을 양립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62)에만 도금을 형성하여, 고품질의 베인형 압축기의 제조 용이성을 높이고 있다. 다른 작용 효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8)
실시예 8의 압축기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64)를 채용하고 있다. 제2 플레이트(64)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는 구멍 형성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 형성부(64a)는 제1 플레이트(62)의 후단면과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7과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 있어서도, 실시예 7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원기둥 형상의 구멍 형성부(64a)의 전체 둘레에 걸쳐, 토출실(9a) 내의 냉매 가스의 압력을 균등하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치우침 없이 제1 통로(5s)를 소경으로 하여, 안정적인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9)
실시예 9의 압축기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66)를 채용하고 있다. 제2 플레이트(66)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사각기둥 형상으로 연장되는 구멍 형성부(66a)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7과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 있어서도, 실시예 7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9의 압축기에 있어서는, 구멍 형성부(66a)의 양측의 홈(63a, 63b)은,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다. 홈(63a, 63b)이 있으면, 후면과 양측면으로부터 토출실(9a) 내의 냉매 가스의 압력이 작용하여, 보다 적합하게 제1 통로(5s)를 소경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의 압축기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통로(5s)와 삽입 부재(57)의 사이에 원통 형상의 간극 조정 부재(67)가 형성되어 있다. 간극 조정 부재(67)는, 구멍 형성부(63a)의 열팽창 계수보다도 열팽창 계수가 크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7과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서는, 제1 통로(5s)와 삽입 부재(57)의 사이에 간극 조정 부재(6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의 계속에 의해 토출실(9a)이 서서히 고온이 됨으로써, 간극 조정 부재(67)가 구멍 형성부(63a) 및 삽입 부재(57)에 대하여 팽창하고, 제1 통로(5s) 내의 간극 조정 부재(67)와 삽입 부재(57)의 간극(57c)을 기동시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작용 효과는 실시예 7과 동일하다.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 1∼10에 따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1∼10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삽입 부재(57)로서, 전조(轉造)에 의해 제조한 볼나사용의 나사 부재를 채용했지만, 절삭 등에 의해 제조한 볼나사용의 나사 부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삽입 부재나 나사 부재는, 금속제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제 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 1∼10에서는, 제1 통로(5d, 35d, 45d, 55d, 65d, 5s)를 급유공으로 했지만, 제2, 3 통로(5e, 5f)를 급유공으로 하여, 급유홈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회전축(19)과 축공(4a, 5a)의 사이에는, 도금의 외에, 미끄러짐 베어링이나 구름 베어링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실린더실(31)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은 진원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차량용의 공조 장치 등에 이용 가능하다.
31 : 실린더실
9a : 토출압 영역(토출실)
1, 4, 7, 5, 9 : 하우징(1 : 모터 하우징, 4 : 제1 사이드 플레이트, 7 : 실린더 블록, 5, 61 : 제2 사이드 플레이트, 9 : 커버)
O : 축심
19 : 회전축
45a, 45b : 베인홈
45 : 로터
47a, 47b : 베인
50a, 50b : 압축실
49a, 49b : 배압실
5d, 57c, 5e, 5f : 배압 유로(5d, 35d, 45d, 55d, 65d, 5s : 제1 통로, 급유공, 57c, 257c, 357c, 457c, 557c, 657c, 657d : 간극, 급유홈, 5e : 제2 통로, 5f : 제3 통로)
57 : 삽입 부재
35a : 유 분리부
57a, 257a, 357a, 457a, 557a, 657a : 수나사산
57b, 257b, 357b, 457b, 557b, 657b : 수나사홈
62 : 제1 플레이트
63, 64, 66 : 제2 플레이트
63a, 64a 66a : 구멍 형성부
67 : 간극 조정 부재

Claims (10)

  1. 토출압 영역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사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된 실린더실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실린더실 내에서 상기 회전축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복수개의 베인홈이 형성된 로터와,
    상기 각 베인홈에 각각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인을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실의 일면, 상기 실린더실의 내주면, 상기 실린더실의 타면, 상기 로터의 외주면 및 상기 각 베인에 의해 복수개의 압축실이 형성되고,
    상기 각 베인의 저면과 상기 각 베인홈의 사이가 배압실로 되고,
    상기 토출압 영역 내에는, 상기 압축실로부터 토출되는 냉매 가스로부터 윤활유를 분리하는 유(油) 분리부와, 분리된 윤활유를 저류하는 저유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저유부와 상기 각 배압실을 연통하는 배압 유로가 형성된 베인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배압 유로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유부로 개구하는 급유공과, 상기 급유공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의 간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급유공의 내주면 및 상기 삽입 부재의 외주면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급유홈에 의해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인형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공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 부재는, 수나사산과 수나사홈을 갖는 나사 부재이고,
    상기 급유홈은, 상기 급유공의 내주면과 상기 수나사홈의 상기 간극인 베인형 압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실린더실을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맞닿아지고, 상기 급유공이 형성된 제2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베인형 압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부재는 볼나사용의 것인 베인형 압축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급유공이 형성된 구멍 형성부를 갖고,
    상기 구멍 형성부는 상기 토출압 영역 내로 돌출되어 있는 베인형 압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실린더실을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맞닿아지고, 상기 급유공이 형성된 제2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구멍 형성부를 갖는 베인형 압축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급유공이 형성된 구멍 형성부를 갖고,
    상기 삽입 부재의 열팽창 계수는 상기 구멍 형성부의 열팽창 계수보다도 큰 베인형 압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실린더실을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맞닿아지고, 상기 급유공이 형성된 제2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상기 구멍 형성부를 갖는 베인형 압축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급유공이 형성된 구멍 형성부를 갖고,
    상기 급유공과 상기 삽입 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구멍 형성부의 열팽창 계수보다도 열팽창 계수가 큰 간극 조정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베인형 압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실린더실을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맞닿아지고, 상기 급유공이 형성된 제2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구멍 형성부를 갖는 베인형 압축기.
KR1020177017502A 2014-11-28 2015-11-26 베인형 압축기 KR201700916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41920 2014-11-28
JP2014241920 2014-11-28
PCT/JP2015/083162 WO2016084874A1 (ja) 2014-11-28 2015-11-26 ベーン型圧縮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666A true KR20170091666A (ko) 2017-08-09

Family

ID=5607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502A KR20170091666A (ko) 2014-11-28 2015-11-26 베인형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16084874A1 (ko)
KR (1) KR20170091666A (ko)
CN (1) CN107002677A (ko)
DE (1) DE112015005352T5 (ko)
WO (1) WO20160848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7092A1 (ko) * 2021-03-19 2022-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3792A (ja) * 2016-07-07 2018-01-11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電動コンプレッサ
JP6760836B2 (ja) * 2016-12-27 2020-09-23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ベーン型圧縮機の給油構造
KR102522994B1 (ko) * 2021-10-28 2023-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8185U (ja) * 1982-04-16 1983-10-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ロ−タリベ−ン型圧縮機
JPS5954793A (ja) * 1982-09-21 1984-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圧縮機
JPS60107384U (ja) * 1983-12-22 1985-07-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ベ−ン圧縮機
JP2006226117A (ja) * 2005-02-15 2006-08-31 Calsonic Compressor Inc 気体圧縮機
CN101469705A (zh) * 2007-12-26 2009-07-01 上海三电贝洱汽车空调有限公司 旋叶压缩机
JP6135126B2 (ja) * 2012-12-26 2017-05-3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スクロール型圧縮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7092A1 (ko) * 2021-03-19 2022-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5005352T5 (de) 2017-08-10
WO2016084874A1 (ja) 2016-06-02
CN107002677A (zh) 2017-08-01
JPWO2016084874A1 (ja)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2316B2 (en) Scroll compressor
US10527041B2 (en) Compressor having oil recovery means
EP3754199B1 (en) Scroll compressor
JP5765379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170091666A (ko) 베인형 압축기
CN111412140B (zh) 压缩机及具有该压缩机的冷冻循环装置
KR101971819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1861005B1 (ko) 베인형 압축기
CN111550404B (zh) 涡旋压缩机
JP2003013858A (ja) 圧縮機
WO2011105085A1 (ja) ロータリー圧縮機
US20100233008A1 (en) Rotary fluid machine
CN113294340A (zh) 一种内置油分的压缩机
KR101880857B1 (ko) 압축기
KR102163622B1 (ko) 마찰 손실을 저감한 로터리 압축기
EP3546758B1 (en) Single-screw compressor
US10767651B2 (en) Two-cylinder hermetic compressor
US20130236346A1 (en) Two step compressor unit and compressor system having the same
WO2020105171A1 (ja) ロータリ式圧縮機
JP2019056314A (ja) ベーン型圧縮機
KR20200026413A (ko) 차량 장착용 회전식 압축기의 오일 급유구조
JP4929951B2 (ja) 回転式圧縮機
JP2018165507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20180030833A1 (en) Gas compressor
KR20180105419A (ko) 사판식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