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647A -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 및 단일 형태의 수용체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구비하는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 및 단일 형태의 수용체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구비하는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647A
KR20170091647A KR1020177017189A KR20177017189A KR20170091647A KR 20170091647 A KR20170091647 A KR 20170091647A KR 1020177017189 A KR1020177017189 A KR 1020177017189A KR 20177017189 A KR20177017189 A KR 20177017189A KR 20170091647 A KR20170091647 A KR 20170091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stretch
food material
upper filter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959B1 (ko
Inventor
지오바니 아쿠르시
Original Assignee
카피탈리 시스템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피탈리 시스템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카피탈리 시스템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70091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55Means for influencing the liquid flow inside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1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2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49Details of the inlet
    • B65D2081/00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ack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제조용 컵형태의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1)에 대한 것으로, 상기 수용체는, 바닥벽(3)보다 상부 테두리(5)에 더 가까운 영역에,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를 구비하는 측벽(4)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8)는 중앙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중앙축을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는 고정 부재(8)와 바닥벽(3) 사이에 언더컷 시이트(9)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또 본 발명은 상기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수용체(1)를 사용하여 다른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포함하고, 상부 필터 부재(16)를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 결합되도록 위치하거나 뚜껑(15)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 및 단일 형태의 수용체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구비하는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NTAINMENT BODY FOR MAKING A CAPSULE FOR MAKING BEVERAGES AND METHOD FOR MAKING CAPSULES WITH DIFFERENT QUANTITIES OF POWDERED FOOD SUBSTANCE USING A SINGLE TYPE OF CONTAINMENT BODY }
본 발명은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 및 단일 형태의 수용체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구비하는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것이다.
캡슐이 적절한 장치의 추출실에 삽입된 후에, 온수가 통과하게 되는 분말 식품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분야에서, 근래에 상당한 기술적 진보가 있었는데, 여러 가지 형태의 다른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의 개발에 이르고 있다.
종래 기술의 캡슐에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분말 식품 재료가 용해성이어서 추출수와 함께 완전히 녹아 나오는 방식이 있고, 분말 식품 재료가 비용해성(적어도 완전히는 아님)이어서 온수를 사용하여 분말 식품 재료로부터 향미를 추출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방식이 있다.
후자의 방식에는 에스프레소 커피나 미국식 커피(분명히 용해성은 아님)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이 포함된다.
모든 제조업자가 자체의 캡슐과 관련 장치를 개발하였다는 사실은 별개로 하고, 수년에 걸쳐, 같은 제조 업자가 제조될 음료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캡슐을 제조하여야 하기도 하였다. 특히, 다른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포함하기 위한 다른 용적의 캡슐을 제조하여야 하는 필요성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사실, 다른 음료를 제조하는 것은 다른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약 8 g의 커피 분말을 사용하여 양질의 에스프레소 커피를 제조할 수 있는 한편, 약 11 g의 커피 분말을 사용하여 양질의 미국식 커피를 제조할 수 있다. 더욱 일반적으로는, 제한된 분량의 음료(에스프레소 커피와 같은 "짧은 용기(short)" 음료)의 최적의 준비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의 사용이 필요하고, 대량의 음료(미국식 커피나, 뜨거운 초콜렛, 차 등과 같은 "긴 용기(long)" 음료)의 최적의 준비를 위해서는 통상 대량의 분말 식품재료의 사용이 필요하다.
수년에 걸쳐, 이러한 문제는 음료 제조에 대하여 시장에 평행 시스템을 가져왔는데, 어떤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캡슐이 적절한 기계에서 사용되고, 다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큰 캡슐이 전용화된 다른 기계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캡슐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러한 발명에 대하여 관심을 받는 구조는 상부에서 뚜껑으로 밀폐되는 컵 형태의 수용체(하나 이상의 부품으로 제조되는)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체 내부에는, 분말 식품재료 외에, 분말 식품재료와 수용체의 바닥 사이 또는 분말 식품재료와 뚜껑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필터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캡슐 내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 여기서는 통상 뚜껑에서 바닥으로 또는 그 역으로, 상기 필터 부재가 분말 식품재료에서 물 분배기로서 작용하거나, 분말 식품재료가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밖으로 나오는 음료에 대하여 필터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현재의 시장 상황은 몇 가지 분명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단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과, "장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을 시장에 제공하고자 하는 어떠한 회사라도 캡슐과 기계장치를 위한 두 가지 생산 라인을 구비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최종 수요자는 각각의 타입에 대한 기계장치를 모두 구매하여야 한다.
유럽특허 EP1344722호
여기서,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이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기술적 목적은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를 제조하기 위한 것과, 단일 형태의 수용체를 사용하여 다른 분량의 분말 식품재료를 갖는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목적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와, 단일 형태의 수용체를 사용하여 다른 분량의 분말 식품재료를 갖는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 장점은,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와, 단일 형태의 수용체를 사용하여 다른 분량의 분말 식품재료를 갖는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몇 가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대한 자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며, 상기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와, 단일 형태의 수용체를 사용하여 다른 분량의 분말 식품재료를 갖는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수용체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용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용체의 제1 캡슐의 축방향 단면도(명확성을 위하여 분말 식품재료는 제외함)이다.
도 4는 도 3의 캡슐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조립된 도 4의 캡슐을 나타낸다.
도 6은 조립된 도 3의 캡슐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수용체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수용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수용체의 제2 캡슐의 축방향 단면도(명확성을 위하여 분말 식품재료는 제외함)이다.
도 10은 도 9의 캡슐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조립된 도 10의 캡슐을 나타낸다.
도 12는 조립된 도 9의 캡슐을 나타낸다.
도 13과 14는 도 5와 6의 캡슐의 변형례를 각각 나타낸다.
도 15와 16은 도 11와 12의 캡슐의 변형례를 각각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도면부호 1은,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2)을 위한 수용체를 나타낸다.
사실, 적어도 2 가지 다른 분량의 분말 식품재료를 균등하게 함유할 수 있는 수용체(1)를 제공한다는 사실이 본 발명의 핵심이고, 어떤 경우에도 분말을 정확히 함유한다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이하에는 수용체(1)의 제1 실시예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몇 가지 다른 캡슐(2)과, 이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수용체나 캡슐의 어느 하나에 대한 설명은 다른 것에 대해서도 유효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수용체(1)는 바닥벽(3)과, 상기 바닥벽(4)의 주변부에서 상기 바닥벽에 연결된 측벽(4), 및 상기 바닥벽(3)의 반대쪽에서 상기 측벽(4)에 연결된 상부 테두리(5)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벽(3)과 측벽(4)은 상기 수용체(1)에 대하여 컵 형태를 부여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바닥벽(3)과 측벽(4) 및 상부 테두리(5)는 전체로서 또는 개별적으로 단일체 재료로 또는 복수의 다른 재료(예를 들어, 파손에 덜 내성을 갖는 영역을 제조하기 위하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상기 측벽(4)과 상부 테두리(5),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벽(3)도 적어도 절반 이상이 열가소성 재료의 열성형으로 제조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산소에 벽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열가소성 재료(EVOH수지와 같은)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상부 테두리(5)는 상기 수용체(1)의 내부 공간(7)으로 접근이 가능하게 하는 접근 개구(6)를 구획이 정해진다. 상기 내부 공간(7)은 상부에서는 상기 접근 개구(6)에 의하여 구획이 정해지고, 하부에서는 상기 바닥벽(3)에 의하여 구획되며, 측면에서는 상기 측벽(4)에 의하여 구획된다. 사용 시에는, 음료를 제조하기 분말 식품 재료와 하나 이상의 필터 요소가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상기 수용체(1)에는, 중앙축이 확인될 수 있는데, 상기 바닥벽(3)의 중앙점과 상기 접근 개구(6)의 중앙점 사이를 연장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하부와 상부라는 용어는, 상기 수용체(1)에서 바닥쪽의 바닥벽(3)과 상부에서 상기 접근 개구(6) 방향을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된다. 어떤 경우에도, 상기 용어는 사용 중인 캡슐의 배치방향과 관련이 없다는 점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벽(4)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가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 부재는 중앙축 쪽으로 돌출하고 상기 중앙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평면에 놓인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가 상기 중앙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평면에 놓인다고 하는 정의는, 모든 고정 부재가 상기 측벽(4)의 동일한 환형 부분에 놓인다는 의미이고, 상기 환형 부분은 가상의 디스크형 부재의 측면 위에서 상기 중앙축 주위로 연장하며, 상기 가상의 디스크형 부재의 주면(main faces)은 실질적으로 상기 중앙축에 수직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는, 이들 고정 부재들에 근접한 상기 측벽(4)의 부분에 대하여 (상기 중앙축에 평행한 선을 따라) 상기 내부 공간(7)을 (상기 중앙축 쪽으로 수직하게) 좁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고정 부재들은 이들 고정 부재와 상기 바닥벽(3) 사이에 상기 중앙축의 연장선에 대하여 언더컷 시이트(9, undercut seat)를 형성한다. 이하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듯이, 상기 언더컷 시이트(9)는, 사용 중에, 상기 캡슐(2)에 삽입된 상부 필터 부재의, 상기 접근 개구(6) 쪽으로의 이동 가능성을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는, 상기 바닥벽(3)에 대해서보다 상기 상부 테두리(5)에 더 가까운 상기 측벽(4)의 영역에 만들어진다.
상기 측벽(4)이, (상기 중앙축에 중심을 둔 완전한 링을 따라 연장하는 또는 그러한 링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단일의 고정 부재(8)를 구비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벽(4)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축 주위에서, 상기 중앙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상기 평면에서 고르게 분포하는 다수의 고정 부재(8)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부재(8)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연속하는 두 개의 고정 부재 사이에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측벽(4) 부분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8)는 상기 수용체(1)의 제조와 동시에 열성형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측벽(4)은, 상기 바닥벽(3)에서 상기 상부 테두리(5)를 향하여, 제1 부분(10)과, 다른 형상들을 갖는 제2 부분(11)를 포함한다.
사실, 상기 제1 부분(10)은 제2 부분(11)을 향하여 더 큰 베이스를 갖고 적어도 주된 형상에서 원뿔대 형상으로 되어 있는 한편, 제2 부분(11)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더욱이, 제2 부분(11)은 제1 부분(10)의 최대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다. 궁극적으로, 상기 제1 부분(10)과 제2 부분(11) 사이의 연결영역에서, 상기 측벽(4)은, 내부 공간(7)에, 사용 시에 상기 바닥벽(3)을 향하여 상부 필터 부재의 이동 가능성을 제한하는 방사상 어깨부(12)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와 언더컷 시이트(9)은 모두 제2 부분(11)에 형성된다. 도 1과 도 7을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듯이,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와 언더컷 시이트(9)의 중앙축에 평행한 선을 따르는 위치는,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 삽입될 필터 부재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측벽이,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다층재료로 구성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부분(10)은 다수의 보강 프로파일(13)을 포함한다.
더욱이,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접근 개구(6)보다 바닥벽(3)에 더 가까운 영역에, 상기 측벽(4)은, 사용 시에 캡슐(2)에 삽입된 하부 필터 부재의 정확한 고정 위치를 가능하게 하는 후킹 시이트(14, hooking seat)도 포함한다. 공지된 방식으로 상기 후킹 시이트(14)는, 상기 중앙축으로부터 떨어져서 또는 중앙축을 향하여 돌출하는 측벽(4)의 부분에 의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체(1)를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 다른 캡슐(2)에 관하여, 몇 가지 실시예가 첨부 도면에 나타나 있는데, 도 3 내지 도 6 및 도 13과 도 14는 각각 다른 2 개의 캡슐(2)을 보여주는데, 도 1의 수용체(1)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이고, 필터 부재와 뚜껑도 동일한 것이 사용되었다. 비슷하게 도 9 내지 도 12 및 도 15과 도 16는 각각 다른 2 개의 캡슐(2)을 보여주는데, 도 7의 수용체(1)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이고, 여기서도 필터 부재와 뚜껑도 동일한 것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캡슐(2)들 중에 도 3 내지 도 6 및 도 9 내지 도 12에 보인 캡슐(2)들만 혁신적인 것인데, 본 발명에 따른 수용체(1)의 차별화된 특징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 13 내지 도 16의 캡슐은, 도 3 내지 도 6 및 도 9 내지 도 12에 보인 수용체(1)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있지만, 종래의 캡슐(2)에 상응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사실, 앞에서 밝혔듯이, 본 발명의 추가적으로 혁신적인 점은, 위에 설명한 수용체(1)로 인하여, 동일한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다른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캡슐(2)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졌다는 사실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사용할 때는 종래의 캡슐과 유사한 캡슐(2)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고, 대신에 소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사용할 때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2)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용체(1)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캡슐(2)은 또한, 내부 공간(7)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 테두리(5)에 고정되는 뚜껑(15)과, 상기 수용체(1)의 내부 공간(7)에 수용되는 분말 식품 재료, 및 상기 뚜껑(15)과 분말 식품 재료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필터 부재(16)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음료가 바닥벽(3)을 통하여 캡슐(2)을 빠져나와야 하는 경우에, 첨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하부 필터 부재(17)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는 상기 측벽(4)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외주 테두리(18)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공간(7)을 분할하되,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와 상기 바닥벽(3) 사이에서 구획되는 메인 체임버(19)와,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와 상기 뚜껑(15) 사이에서 구획되는 보조 체임버(20)로 분할된다. 위에서 지적되었듯이, 상기 분말 식품 재료는 상기 메인 체임버(19)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의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는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 결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는, 적어도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와 상호작용하면서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가 상기 뚜껑(15) 방향으로의 최대 이동을 제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의 환형 외주 테두리(18)가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 삽입되는 것은 스냅 방식으로 실행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에 스냅 방식으로 걸리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부재(8) 및/또는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 간섭적으로 체결(interference fit)되어, 상기 수용체(1)와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 사이에서 유체밀봉을 증가시키도록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는, 상기 중앙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방사상 돌출부(21)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보인 캡슐(2)은,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가 상기 중앙축 둘레에 링을 형성하는 단일의 방사상 돌출부(21)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첨부된 도면에서 하부 필터 부재(17)도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것에 유의).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는 상기 중앙축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나가는 축방향 부분(22)을 포함하고, 여기에 상기 방사상 돌출부(21)가 고정된다.
도 9 내지 도 12에 보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는 외부 고정부(23)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상기 중앙축을 통과하는 단면 평면에서, 상기 중앙축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내부 제1 스트레치(24)(위에서 설명한 축방향 부분(22)과 유사)와, 이 내부 제1 스트레치(24) 위로 굽는 외부 제2 스트레치(25)를 포함하고 이들은 함께 V자 형상을 형성한다.
적어도 제2 스트레치(25)에서, 상기 고정부(23)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제2 스트레치(25)가 상기 제1 스트레치(24)에 가까이 밀려날 수 있다. 이러한 형상 때문에, 상기 고정부(23)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상기 제2 스트레치(25)가 상기 제1 스트레치(24) 가까이로 밀려지게 되어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서 상기 측벽(4)에 결합된다. 사실은,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고정부(23)의 탄성 특성이 상기 제2 스트레치(25)를 상기 측벽(4)에 대하여 눌러 상기 수용체(1)와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 사이에서 유체 밀봉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부(23)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그 자체의 제2 스트레치(25)에서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 삽입된다.
첨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되는 상부 필터 부재(16)의 구조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의 축방향 위치와 상기 수용체(1)의 상기 언더컷 시이트(9)의 축방향 위치는 변한다.
마지막으로,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와 상기 하부 필터 부재(17)는 모두, 상기 중앙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적어도 대부분 뻗어있고, 관통 구멍(28, 29)과 돌출부(30, 31, 분말 식품 재료와 접촉하는 측면과 반대 측면에 있는)를 구비하는 내부 영역(26, 27)을 포함하고, 내부 영역의 중앙부에 상기 뚜껑(15)이나 상기 바닥벽(3)을 각각 향하는 측면에 오목부(34, 35)를 형성하는 돌출 부재(32, 33)를 구비한다. 상기 오목부(34, 35)는 캡슐(2)의 사용 도중에 상기 뚜껑(15)과 상기 바닥벽(3)을 통하여 적절한 관통 스파이크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의 오목부(34)는 상기 캡슐(2)이 제2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함유할 때 대체로 유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와 하부 필터 부재(17)는 성형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부 필터 부재(16)의 경우에,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는 상기 내부 영역(26)으로부터 외팔보 식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마지막 실시예는, 단일 형태의 수용체(1)를 사용하여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단일 형태의 상부 필터 부재(16)를 사용하여) 소량 또는 대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함유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캡슐(2)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가 뚜껑(15)을 향한 상부 필터 부재(16)의 최대 이동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수용체(1)와, 수용체(1)의 언더컷 시이트(9)에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외주 테두리(18)를 포함하는 상부 필터 부재(16)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가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은 내부 공간(7)을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와 바닥벽(3) 사이에 구획되는 메인 체임버(19)와,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와 접근 개구(6) 사이에 구획되는 보조 체임버(20)로 분할한다.
그 점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형성되는 캡슐(2)의 형태에 따라 두 가지 대안을 포함한다:
- 상기 메인 체임버(19)의 용적보다 크지 않은 용적을 차지하는 제1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나,
- 또는, 각각, 상기 메인 체임버(19)의 용적보다 크고, 상기 메인 체임버(19) 용적과 보조 체임버(20) 용적의 합의 용적보다 크지 않은 용적을 차지하는 제2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분말 식품 재료에 의해 점유되는 용적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점유되거나 압축된 상태에서 점유될 수 있다. 압축된 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체(1)에 삽입된 상기 분말 식품 재료를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은 상기 분말 식품 재료를 삽입하면서 또는 삽입한 후에 실행된다.
상기 방법은 제1 분량의 또는 제2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상기 접근 개구(6)를 통하여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를 접근 개구(6)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7)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는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가 상기 측벽(4)을 향하면서, 상기 분말 식품 재료 위에 놓이게 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캡슐(2)에 삽입된 분말 식품 재료의 분량이 상기 제1 분량과 같을 때,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는 상기 수용체(1)에 삽입되어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가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 결합된다. 이와 반대로, 캡슐(2)에 삽입된 분말 식품 재료의 분량이 상기 제2 분량과 같을 때,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는 상기 접근 개구(6)에 근접하여 내부 공간(7)에 위치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방법은 뚜껑(15)을 상부 테두리(5)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접근 개구(6)를 밀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구비하는 캡슐(2)을 제조하기 위하여 또 제2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구비하는 캡슐(2)을 제조하기 위하여 동일한 형태의 필터 부재가 사용된다.
특히, 이미 설명하였듯이, 사용되는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하고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방사상 돌출부(21)를 포함하는 환형 외주 테두리(18)를 포함하거나, 외부 고정부(23)를 포함하는 환형 외주 테두리(18)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고정부(23)는 상기 중앙축을 관통하는 단면 평면에서 내부 제1 스트레치(24)와 이에 대하여 굽혀져 있는 외부 제2 스트레치(25)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레치(24)와 제2 스트레치(25)는 V자 형상을 이룬다. 더욱이, 상기 제1 스트레치(24)와 제2 스트레치(25)가 V자 형상을 이루는 환형 외주 테두리(18)에서는, 적어도 제2 스트레치(25)에서 상기 고정부(23)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레치(25)가 상기 제1 스트레치(24) 가까이로 이끌릴 수 있게 된다. 사실, 이런 식으로,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를 상기 내부 공간(7)에 삽입한 후에 상기 캡슐(2)이 제1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함유할 때,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서 상기 측벽(4)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 스트레치(25)가 상기 제1 스트레치(24) 가까이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상기 캡슐(2)이 제2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함유하더라도,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를 상기 내부 공간(7)에 삽입한 후에, 상기 고정부(23)는, 이 고정부(23)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상기 제2 스트레치(25)가 상기 제1 스트레치(24) 가까이로 이끄리면서, 상기 측벽(4)에 결합된다.
추가로, 상기 캡슐(2)에 삽입된 분말 식푸 재료의 분량이 상기 제1 분량과 같을 때,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체(1)에 삽입되어,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가 스냅 방식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에 걸리게 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이점을 가져온다.
사실, 본 발명에 의하여, 항상 동일한 구성요소를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분말 식품 재료의 분량을 다양화하면서 캡슐(2)의 제조를 표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수용체와 방법이 정의되어 있는데, 최적 품질의 "긴 용기"와 "짧은 용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단일 시스템의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제조하기에 비교적 용이하고, 본 발명의 실행에 관련된 비용도 아주 높지 않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개념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로 개량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부분은 기술적으로 균등한 다른 부재와 재료로 대체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여러 구성요소의 형상이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1: 수용체 2: 캡슐
3: 바닥벽 4: 측벽
5: 상부 테두리 6: 접근 개구
7: 내부 공간 8: 고정 부재
9: 언더컷 시이트 15: 뚜껑
16: 상부 필터 부재 17: 상부 필터 부재
18: 환형 외주 테두리 19: 메인 체임버
20: 보조 체임버 21: 돌출부
23: 고정부 24: 제1 스트레치
25: 제2 스트레치

Claims (18)

  1.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로서,
    바닥벽(3);과
    상기 바닥벽(3)의 주변부에서 바닥벽(3)에 연결된 측벽(4); 및
    상기 바닥벽(3)에 대하여 반대쪽 측면에서 상기 측벽(4)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체(1)의 내부 공간(7)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개구(6)를 한정하는 상부 테두리(5);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공간(7)은 바닥에서 상기 바닥벽(4)으로 구획되고 측방향으로 상기 측벽(4)에 의하여 구획되며, 사용 시에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분말 식품 재료와 하나 이상의 필터 부재가 상기 내부 공간(7)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체(1)의 중앙축이 상기 바닥벽(3)의 중앙점과 상기 접근 개구(6)의 중앙점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측벽(4)은, 상기 바닥벽(3)보다 상기 상부 테두리(5)에 더 가까운 영역에, 상기 중앙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상기 중앙축을 향하여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는 이 고정 부재(8)와 상기 바닥벽(3) 사이에 상기 중앙축의 연장선에 대하여 언더컷 시이트(9)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4)에는, 상기 중앙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상기 평면에서 상기 중앙축 둘레로 분포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고정 부재(8)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4)은, 상기 바닥벽(3)으로부터 상기 상부 테두리(5)를 향하여, 제1 부분(10)과 제2 부분(1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10)은 적어도 주요부분이 원뿔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 부분(11)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부분(11)은 상기 제1 부분(10)의 최대 내부 직경보다 큰 내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8)와 상기 언더컷 시이트(9)는 모두 상기 제2 부분(11)에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10)은 다수의 보강 프로파일(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6)보다 상기 바닥벽(3)에 더 가까운 위치의 수용체 영역에, 상기 측벽(4)은 상기 중앙축을 향해 및/또는 중앙축에서 먼쪽으로 돌출하는 측벽의 부분에 의하여 형성된 후킹 시이트(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주요 부분이 열성형 다층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
  7. 온수를 분말 식품 재료에 통과시킴으로써 음료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분말 식품 재료를 수용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수용체(1);와
    상기 수용체(1)의 내부 공간(7)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 테두리(5)에 고정된 뚜껑(15);을 포함하되,
    상기 분말 식품 재료는 상기 수용체(1)의 내부 공간(7)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수용체(1)의 측벽(4)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외주 테두리(18)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필터 부재(16)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필터 부재(18)는 내부 공간(7)을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와 바닥벽(3) 사이에 구획되는 메인 체임버(19)와,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와 상기 뚜껑(15) 사이에 구획되는 보조 체임버(20)로 분할하도록 되어 있는 음료 제조용 캡슐에 있어서,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는 언더컷 시이트(9)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가 상기 뚜껑(15)을 향하여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의 최대 이동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는 상기 고정 부재(8) 및/또는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 간섭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는, 상기 중앙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하고,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방사상 돌출부(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는, 외부 고정부(23)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고정부(23)는 상기 중앙축을 통과하는 단면 평면에서, 상기 중앙축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내부 제1 스트레치(24)와, 상기 내부 제1 스트레치(24) 위로 굽는 외부 제2 스트레치(25)를 포함하고 이들은 함께 V자 형상을 형성하고, 적어도 제2 스트레치(25)에서, 상기 고정부(23)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제2 스트레치(25)가 상기 제1 스트레치(24)에 가까이 밀려날 수 있고, 상기 고정부(23)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상기 제2 스트레치(25)가 상기 제1 스트레치(24) 가까이로 밀려지게 되어, 상기 고정부(23)가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3)는 적어도 상기 제2 스트레치(25)에서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에 스냅 방식으로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
  13. 단일 형태의 수용체(1)를 사용하여, 온수를 분말 식품 재료에 통과시킴으로써 음료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 분량 또는 상기 제1 분량보다 많은 제2 분량의 적어도 하나의 분말 식품 재료를 수용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수용체(1)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수용체(1)의 측벽(4)에 구비된 언더컷 시이트(9)에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외주 테두리(18)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필터 부재(16)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수용체(1)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가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의 뚜껑으로 향하는 최대 이동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고, 환형 외주 테두리(18)가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는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와 상기 수용체(1)의 바닥벽(3) 사이에서 구획되는 메인 체임버(19)와,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와 상기 수용체(1)의 접근 개구(6) 사이에서 구획되는 보조 체임버(20)로 분할하도록 된, 상부 필터 부재(16)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인 체임버(19)의 용적보다 크지 않은 용적을 차지하는 제1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나, 또는, 각각, 상기 메인 체임버(19)의 용적보다 크고, 상기 메인 체임버(19) 용적과 보조 체임버(20) 용적의 합의 용적보다 크지 않은 용적을 차지하는 제2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제1 분량의 또는 각각 제2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상기 접근 개구(6)를 통하여 삽입하는 단계;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가 상기 측벽(4)을 향하도록,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를 상기 분말 식품 재료 위에 놓이게 하여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를 접근 개구(6)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7)에 삽입하는 단계; 및
    뚜껑(15)을 상부 테두리(5)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접근 개구(6)를 밀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2)에 삽입된 분말 식품 재료의 분량이 상기 제1 분량과 같을 때,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는,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가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 결합되도록, 상기 수용체(1)에 삽입되고,
    상기 캡슐(2)에 삽입된 분말 식품 재료의 분량이 상기 제2 분량과 같을 때,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는 상기 접근 개구(6)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갖는 캡슐(2)을 제조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제2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갖는 캡슐(2)을 제조하기 위하여 동일한 형태의 필터 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하고,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방사상 돌출부(21)를 포함하는 환형 외주 테두리(18)를 구비하는 상부 필터 부재(16)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환형 외주 테두리(18)를 구비하는 상부 필터 부재(16)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는 외부 고정부(23)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고정부(23)는 상기 중앙축을 통과하는 단면 평면에서, 내부 제1 스트레치(24)와, 상기 내부 제1 스트레치(24) 위로 굽는 외부 제2 스트레치(25)를 포함하고 이들은 함께 V자 형상을 형성하고, 적어도 제2 스트레치(25)에서, 상기 고정부(23)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제2 스트레치(25)가 상기 제1 스트레치(24)에 가까이로 밀릴 수 있고, 상기 캡슐(2)이 상기 제1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함유하는 경우, 그리고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를 상기 내부 공간(7)에 삽입하고 난 후에, 상기 고정부(23)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제2 스트레치(25)가 상기 제1 스트레치(24) 가까이로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부(23)가 상기 언더컷 시이트(9)에서 상기 측벽(4)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2)이 상기 제2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함유하는 경우, 그리고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를 상기 내부 공간(7)에 삽입하고 난 후에, 상기 고정부(23)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제2 스트레치(25)가 상기 제1 스트레치(24) 가까이로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부(23)가 상기 측벽(4)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2)에 삽입된 분말 식품 재료의 분량이 상기 제1 분량과 동일할 때, 상기 환형 외주 테두리(18)가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8)에 스냅 방식으로 걸리도록 상기 상부 필터 부재(16)가 상기 수용체(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177017189A 2014-12-03 2015-11-20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 및 단일 형태의 수용체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구비하는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504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VR2014A000302 2014-12-03
ITVR20140302 2014-12-03
PCT/IB2015/059015 WO2016087981A1 (en) 2014-12-03 2015-11-20 Containment body for making a capsule for making beverages and method for making capsules with different quantities of powdered food substance using a single type of containment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647A true KR20170091647A (ko) 2017-08-09
KR102504959B1 KR102504959B1 (ko) 2023-03-02

Family

ID=5244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189A KR102504959B1 (ko) 2014-12-03 2015-11-20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 및 단일 형태의 수용체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구비하는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10370182B2 (ko)
EP (1) EP3227204B1 (ko)
JP (1) JP6684796B2 (ko)
KR (1) KR102504959B1 (ko)
CN (1) CN107000928B (ko)
AU (1) AU2015356727B2 (ko)
BR (1) BR112017011917B1 (ko)
CA (1) CA2967210C (ko)
CO (1) CO2017005413A2 (ko)
ES (1) ES2776451T3 (ko)
MX (1) MX2017006993A (ko)
MY (1) MY180521A (ko)
PL (1) PL3227204T3 (ko)
PT (1) PT3227204T (ko)
RU (1) RU2683663C2 (ko)
SG (1) SG11201704052QA (ko)
WO (1) WO2016087981A1 (ko)
ZA (1) ZA2017034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2755B2 (en) * 2007-07-13 2023-12-05 Adrian Rivera Brewing material container for a beverage brewer
US10722066B2 (en) * 2010-12-04 2020-07-28 Adrian Rivera Windowed single serving brewing material holder
DK3521207T3 (da) * 2010-07-22 2020-04-27 K Fee System Gmbh Portionskapsel med stregkode
ITUA20163400A1 (it) 2016-05-12 2017-11-12 Alberto Rolla Sistema di riconoscimento ottico di capsule per la produzione di bevande calde
CN110139811B (zh) * 2016-12-29 2021-03-12 诺威德尔塔咖啡贸易工业有限公司 具有密封保持的胶囊和基于所述胶囊的可食用产品制备系统
BR112019012895A2 (pt) * 2016-12-29 2019-11-26 Novadelta - Comércio E Indústria De Cafés, S.A. cápsula com apoio de vedação e sistema de preparação de produtos comestíveis com base em cápsulas
WO2018124898A1 (pt) * 2016-12-29 2018-07-05 Novadelta - Comércio E Indústria De Cafés, S.A. Cápsula com via de passagem em recesso e sistema de preparação de produtos edíveis
US11447329B2 (en) * 2016-12-29 2022-09-20 Novadelta—Comércio E Indústria De Cafés S.A. Capsule with optimized weakened material region and system for preparing edible products including said capsules
PT109815B (pt) * 2016-12-29 2021-08-31 Novadelta Comercio E Ind De Cafes Lda Cápsula com projeção de atuação e sistema de preparação de produtos edíveis com base em cápsulas
IT201700023326A1 (it) * 2017-03-02 2018-09-02 Faps Eng Sa Capsula per la distribuzione di bevande.
EP3470350A1 (de) * 2017-10-16 2019-04-17 Tchibo GmbH Portionenkapsel
IT201800003319A1 (it) * 2018-03-06 2019-09-06 Sarong Spa Capsul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USD874264S1 (en) * 2018-07-31 2020-02-04 Caffitaly System S.P.A. Cartridge for coffee machines
IT201800008071A1 (it) * 2018-08-13 2020-02-13 Gruden Spa Capsula per preparazione di bevande.
US20220363468A1 (en) * 2019-10-03 2022-11-17 Pka Solutions S.R.L.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by injection
US20230098835A1 (en) 2020-01-27 2023-03-30 Weadd, Lda Capsule for a nutritional substance with enhanced flow distribution means
EP3957579A1 (de) 2020-08-19 2022-02-23 Tchibo GmbH Portionenkapselgrundkörper und portionenkapsel für eine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und zugehörige verfahren
US11805934B1 (en) * 2020-10-21 2023-11-07 Adrian Rivera Brewing material lid and container for a beverage brewer
USD1028595S1 (en) * 2022-04-12 2024-05-28 Tower Coffee, Inc. Coffee pod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44722A1 (de) 2002-03-14 2003-09-17 René Schifferle Portionenkapsel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JP2004500199A (ja) * 2000-02-18 2004-01-08 コリグ インク 飲料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
US20110142996A1 (en) * 2009-12-16 2011-06-16 Krueger Marc Portion capsule and use of a portion capsule
WO2013060656A1 (en) * 2011-10-24 2013-05-02 Nestec S.A. Modular capsule kit with variable volume
WO2013068242A1 (en) * 2011-11-07 2013-05-16 Nestec S.A.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with enhanced sealing means
US8505440B2 (en) * 2003-07-22 2013-08-13 The Coca-Cola Company System for varying coffee intensity
WO2014029884A1 (en) * 2012-08-24 2014-02-27 Nestec S.A. A capsule for use with a food preparation machine
WO2014118731A1 (en) * 2013-02-04 2014-08-07 Caffitaly System S.P.A. Capsule for making beverag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47523A (en) * 1972-01-31 1974-05-21 Pierre E. Van Damme Filtre a cafe
PT8987U (pt) * 1994-03-11 1997-08-29 Briel Electrodomesticos Filtro de contra-pressao, para cafe creme
JP2000262405A (ja) * 1999-03-18 2000-09-26 Soc Prod Nestle Sa 飲料抽出用密封カートリッジ
DE102005058336A1 (de) * 2005-12-02 2007-06-06 Tchibo Gmbh Portionskapsel
PE20090882A1 (es) * 2007-07-19 2009-08-03 Takeda Pharmaceutical Preparacion solida que comprende alogliptina y clorhidrato de metformina
AT507834B1 (de) * 2009-01-29 2011-03-15 System Gmbh K Portionskapsel
DE102009041633A1 (de) * 2009-09-17 2011-06-01 Krüger Gmbh & Co. Kg Portionskapsel und Verwendung einer Portionskapsel
IT1399104B1 (it) 2010-03-26 2013-04-05 Coffee Star S A Capsula contenente una dose di una sostanza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e metodo per preparazione di una bevanda utilizzante tale capsula.
ITBO20110101A1 (it) * 2011-03-02 2012-09-03 Macchiavelli Srl Capsula intercambiabile per la preparazione di una infusione di caffe', e procedimento per l'ottenimento di una infusione di tale caffe'
ITVR20120044A1 (it) 2012-03-14 2013-09-15 Coffee Star S A Sistema per la produzione di bevande
MY185181A (en) 2013-02-04 2021-04-30 Caffitaly System Spa Capsule for making beverage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0199A (ja) * 2000-02-18 2004-01-08 コリグ インク 飲料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
EP1344722A1 (de) 2002-03-14 2003-09-17 René Schifferle Portionenkapsel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KR20030074403A (ko) * 2002-03-14 2003-09-19 레네 쉬펄레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1인 용량의 미립 물질을 포함하는카트리지
US8505440B2 (en) * 2003-07-22 2013-08-13 The Coca-Cola Company System for varying coffee intensity
US20110142996A1 (en) * 2009-12-16 2011-06-16 Krueger Marc Portion capsule and use of a portion capsule
WO2013060656A1 (en) * 2011-10-24 2013-05-02 Nestec S.A. Modular capsule kit with variable volume
WO2013068242A1 (en) * 2011-11-07 2013-05-16 Nestec S.A.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with enhanced sealing means
WO2014029884A1 (en) * 2012-08-24 2014-02-27 Nestec S.A. A capsule for use with a food preparation machine
WO2014118731A1 (en) * 2013-02-04 2014-08-07 Caffitaly System S.P.A. Capsule for making bever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67210C (en) 2023-06-13
MX2017006993A (es) 2017-08-14
PL3227204T3 (pl) 2020-06-01
JP6684796B2 (ja) 2020-04-22
JP2018500081A (ja) 2018-01-11
CA2967210A1 (en) 2016-06-09
ES2776451T3 (es) 2020-07-30
MY180521A (en) 2020-12-01
AU2015356727A1 (en) 2017-06-01
ZA201703479B (en) 2018-11-28
RU2017123028A (ru) 2019-01-09
BR112017011917A2 (pt) 2018-01-16
EP3227204B1 (en) 2020-01-15
BR112017011917B1 (pt) 2022-03-03
SG11201704052QA (en) 2017-06-29
RU2683663C2 (ru) 2019-04-01
US20170320658A1 (en) 2017-11-09
PT3227204T (pt) 2020-03-26
CO2017005413A2 (es) 2017-08-18
CN107000928A (zh) 2017-08-01
RU2017123028A3 (ko) 2019-01-28
US10370182B2 (en) 2019-08-06
KR102504959B1 (ko) 2023-03-02
CN107000928B (zh) 2019-11-05
AU2015356727B2 (en) 2020-08-20
EP3227204A1 (en) 2017-10-11
WO2016087981A1 (en)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1647A (ko) 음료 제조용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체 및 단일 형태의 수용체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분량의 분말 식품 재료를 구비하는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RU2639077C2 (ru) Капсула с уплотнительным элементом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AU2015325097B2 (en) Coffee pod
KR101696958B1 (ko) 1회분 캡슐과 1회분 캡슐의 이용
AU2013315749B2 (en) Cartridges, systems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beverages
CN103998354B (zh) 用于制备饮料的包囊
CN107592796B (zh) 适用于制备浸泡饮料机器的一次性胶囊
CN102821660A (zh) 用于在饮料制造设备中通过离心分离制备饮料的胶囊和系统
EP3007994A1 (en) Cartridge for soluble products with sealing member
CN110382373A (zh) 具有一体形成密封构件的用于饮料制备的胶囊
US20130220142A1 (en) Beverage container for brewing apparatus
GB2448694A (en) Stackable cup with insert containing food product
GB2569618A (en) Beverage or food product cartridge
RU221419U1 (ru) Кольцевая часть гнезда двух капсул с внутренним выступом и соединяемым двойным прокалывателем
WO2019171287A1 (en)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