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397A -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397A
KR20170091397A KR1020160012361A KR20160012361A KR20170091397A KR 20170091397 A KR20170091397 A KR 20170091397A KR 1020160012361 A KR1020160012361 A KR 1020160012361A KR 20160012361 A KR20160012361 A KR 20160012361A KR 20170091397 A KR20170091397 A KR 20170091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signal
electronic devi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455B1 (ko
Inventor
심우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2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455B1/ko
Priority to CN201680080376.5A priority patent/CN108605377B/zh
Priority to US16/071,771 priority patent/US10772156B2/en
Priority to EP16889535.7A priority patent/EP3389334B1/en
Priority to PCT/KR2016/014152 priority patent/WO2017135557A1/ko
Publication of KR20170091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9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by using a location-limited connec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or limited proximity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76/0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3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using wearable devices, e.g. using a smartwatch or smart-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04W12/43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using shared identity modules, e.g. SIM 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에 있어,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통신부를 통해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여, 연결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부를 통해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기에 있어,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AP에 안전하게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ELECTRONIC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무선 엑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도록 하기 위한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무선기술의 발달로 사람들이 사용하는 유선 네트워크가 무선 네트워크로 대체되고 있다. 유선 네트워크가 가지는 이동성 제약을 무선 기술로 해결할 있게 되므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많은 기술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경우,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스마트 폰 등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 외에 많은 사물인터넷 기기(IoT, Internet of Things)에서도 와이파이(Wi-Fi) 기능을 가지게 되었고, 예컨대, CCTV, 로봇청소기, 전자오븐, 에어컨, 세탁기, 스피커 등의 전자제품에서 대부분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사물인터넷 기기의 특성상, 디스플레이 및 입력기기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등 장치적인 제약으로 무선 AP에 접속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기기를 무선 AP에 접속시킴에 있어, 사용자에게 별도의 등록 과정이 요구되거나,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다른 허브장치에 접속하는 등의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안전하게 연결하도록 하기 위한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단말기 및 전자기기 간 통신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하도록 하기 위한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기기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손쉬운 연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기기에 있어,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통신부를 통해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여, 연결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부를 통해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기에 있어,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AP에 안전하게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기기에 있어, 통신의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 및 무선 AP와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2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기에 있어, 첫번째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가장 신호세기가 강한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고, 두번째 사용자 입력에 의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지정된 무선 AP와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쉬운 조작만으로 사용자단말기를 연결하고, 사용자단말기에서 연결시키고자 하는 무선 AP의 연결정보, 예컨대 SS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무선 AP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신호세기보다 강한 제3신호세기의 제3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반복적인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기에 있어, 사용자의 제1입력에 의해 가장 신호세기가 강하지만 의도하지 않은 장치에 연결되는 경우, 반복적인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다음으로 신호세기가 강한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가 사물인터넷 기기에 근접하는 경우, 가장 강한 신호세기로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는, 상기 통신중계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로부터 AP에 연결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무선 AP에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외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기에 있어, 버튼 입력만으로 신호세기에 따라 사용자단말기 및 무선 AP를 순차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와이파이 모듈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기에 있어, 와이파이 또는 NFC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근접한 위치의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 통신부를 통해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와; 연결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부를 통해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기에 있어,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AP에 안전하게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기기에 있어, 통신의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 및 무선 AP와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1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제2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기에 있어, 첫번째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가장 신호세기가 강한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고, 두번째 사용자 입력에 의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지정된 무선 AP와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쉬운 조작만으로 사용자단말기를 연결하고, 사용자단말기에서 연결시키고자 하는 무선 AP의 연결정보, 예컨대 SS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무선 AP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신호세기보다 강한 제3신호세기의 제3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반복적인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기에 있어, 사용자의 제1입력에 의해 가장 신호세기가 강하지만 의도하지 않은 장치에 연결되는 경우, 반복적인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다음으로 신호세기가 강한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가 사물인터넷 기기에 근접하는 경우, 가장 강한 신호세기로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는, 상기 통신중계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SSID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로부터 AP에 연결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무선 AP에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 디스플레이부와;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저장부와; 통신부를 통해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하고, 연결된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전자기기와 연결하고, 연결된 전자기기로 저장된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단말기에 있어, 무선 AP와의 연결정보를 사물인터넷 기기로 제공함에 의해 사물인터넷 기기가 무선 AP와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에 있어, 근접한 기기만이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의 약한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기기와 연결하여 안전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통신중계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어플리케이션은, Soft-AP(Software enabled Access Point)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를 사물인터넷 기기에 근접시키는 경우, 무선 AP 역할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절대적으로 약한 신호세기로 사물인터넷 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즉, 근접한 위치에서 사용자단말기가 전송하는 절대적으로 약한 신호세기의 신호를 사물인터넷 기기가 수신하면, 상대적으로 강한 신호세기가 되어 사물인터넷 기기와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와이파이 모듈 및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있어, 와이파이 또는 NFC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근접한 위치의 사물인터넷 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NFC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를 사물인터넷 기기에 근접시키는 경우, NFC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절대적으로 약한 신호세기로 사물인터넷 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는, 상기 통신중계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SSID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서 무선 AP와의 연결정보를 저장해두고, 저장한 연결정보를 사물인터넷 기기로 제공하여 사물인터넷 기기가 무선 AP에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 통신부를 통해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하는 단계와; 연결된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전자기기와 연결하는 단계와; 연결된 전자기기로 저장된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단말기에 있어, 무선 AP와의 연결정보를 사물인터넷 기기로 제공함에 의해 사물인터넷 기기가 무선 AP와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에 있어, 근접한 기기만이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의 약한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기기와 연결하여 안전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통신중계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어플리케이션은, Soft-AP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를 사물인터넷 기기에 근접시키는 경우, 무선 AP 역할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절대적으로 약한 신호세기로 사물인터넷 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는, 상기 통신중계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SSID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서 무선 AP와의 연결정보를 저장해두고, 저장한 연결정보를 사물인터넷 기기로 제공하여 사물인터넷 기기가 무선 AP에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단말기 및 전자기기 간 통신의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안전하게 연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기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손쉬운 연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 상에서 무선 AP에 연결 된 상태를 도시한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튼 폰 상에서 Soft-AP를 실행하여 주변 장치를 연결하는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에 있어 사물인터넷 기기와 연결하여 무선 AP와의 연결정보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있어, 스마트 폰으로부터 제공받은 무선 AP와의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AP에 연결하는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있어, 순차적인 버튼 푸쉬에 따라 스마트 폰 및 무선 AP를 연결하는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있어, 순차적인 버튼 푸쉬에 따라 스마트 폰 및 무선 AP를 연결하는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1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의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는 사용자입력부(11), 제어부(12) 및 통신부(13)를 포함하고, 예컨대 와이파이 기능을 가진 CCTV, 로봇청소기, 전자오븐, 에어컨, 세탁기, 스피커 등의 가전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기기(10)는 와이파이, NFC 등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14)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4)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예컨대 사용자의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태블릿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기기(10)는 와이파이 등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중계장치(15)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중계장치(15)는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중계장치(15)는 무선 랜(LAN)을 구성하는 장치 중 하나로, 라우팅 및 NAT 기능을 포함하고, 예컨대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유선 랜과 연결하는 중계 역할을 할 수 있다. 통신중계장치(15)는 예컨대 무선 공유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10)에 포함되는 구성은 앞서 기재된 일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추가적인 다른 구성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자기기(10)는 통신부(13)을 통해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14)와 연결한다. 전자기기(10)는 연결된 사용자단말기(14)로부터 통신중계장치(15)와의 연결정보를 수신한다. 전자기기(10)는 수신된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부(13)를 통해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15)와 연결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란 전자기기(10)는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단말기(14)를 이용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안전하게 연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기기(10) 및 사용자단말기(14) 간 통신의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전자기기(10)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통신부(13)는 외부장치와 통신한다. 통신부(13)는 사용자단말기(14) 및 통신중계장치(15)와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13)는 와이파이(Wi-Fi) 모듈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와이파이 또는 NFC 통신방식으로 외부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부(13)는 외부장치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6LoWPAN(Low 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3)는 외부장치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외부장치와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여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1)는 전자기기(1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한다. 예로서, 사용자입력부(11)는 전자기기(10)의 외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입력부(11)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전자기기(10)의 외측에 구비된 입력패널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부(11)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서, 전자기기(10)는 저장부(미도시)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이전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중계장치(15)와의 연결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는 사용자단말기(14)를 이용하여 연결했던 통신중계장치(15)의 SSID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사용자단말기(14)로부터 수신한 통신중계장치(15)의 SSID 및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SSID(Service Set Identifier)는 무선 랜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들의 각 헤더에 붙는 고유 식별자로서, 하나의 무선 랜을 다른 무선 랜으로부터 구분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통신중계장치(15)는 SSID를 이용하여 식별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통신부(13)를 통해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14)와 연결한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2)는 사용자단말기(14)가 전자기기(10)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14)와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전자기기(10)는 사용자단말기(14)와 근접하여 위치하므로, 사용자단말기(14)로부터 전송되는 제1신호세기를 다른 장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가장 강한 신호세기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4)를 전자기기(10)에 근접시킨 후 가상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Soft-AP(Software enabled Access Point)를 실행하면, 사용자단말기(14)는 가상 액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하게 되고, 전자기기(10)는 와이파이 통신방식으로 사용자단말기(14)와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부(13)가 NFC 모듈을 포함하고, 전자기기의 외측에 NFC 태그를 부착한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4)를 전자기기(10)에 근접시키면, 전자기기(10)는 NFC 통신방식으로 사용자단말기(14)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연결된 사용자단말기(14)로부터 통신중계장치(15)와의 연결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부(13)를 통해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통신중계장치(15)와의 연결정보는, 통신중계장치(15)에 접속하기 위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포함한다. 예로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4)를 전자기기(10)에 근접시켜 사용자단말기(14) 및 전자기기(10)가 와이파이 또는 NFC 통신방식으로 연결되면, 전자기기(10)는 사용자단말기(14)로부터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SSID 및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중계장치(15)에 접속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2)는 사용자의 제1입력에 기초하여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14)와 연결하고, 사용자의 제2입력에 기초하여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15)와 연결할 수 있다. 예로서, 전자기기(10)에 있어, 외측에 마련되는 버튼을 푸쉬하여 전자기기(10)와 근접한 거리에서 가장 강한 신호세기로 인식되는 사용자단말기(14)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버튼을 또다시 푸쉬하여 그 다음으로 강한 신호세기로 인식되는 통신중계장치(15)와 연결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10)에서 순차적인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신호세기가 강한 기기에서 약한 기기의 순서로 전자기기(10)와 차례로 연결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2)는 사용자의 제1입력에 기초하여 제1신호세기보다 강한 제3신호세기의 제3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반복적인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14)와 연결할 수 있다. 예로서, 전자기기(10)에 있어, 외측에 마련되는 버튼을 푸쉬하여 전자기기(10)의 위치에서 가장 강한 신호세기로 인식된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연결된 장치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장치인 경우, 사용자는 버튼을 다시 푸쉬하여 그 다음으로 강한 신호세기로 인식되는 사용자단말기(14)와 연결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10)에서 사용자의 단순한 조작에 의해 신호세기가 강한 기기에서 약한 기기의 순서로 연결하여, 사용자단말기(14)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전자기기(10)는 사용자단말기(14)로부터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무선 AP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4)를 전자기기(10)에 근접시키는 동작만으로, 사용자는 전자기기(10)를 원하는 무선 AP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20)는 신호수신부(21), 신호처리부(22), 디스플레이부(23), 사용자입력부(24), 제어부(25), 저장부(26) 및 통신부(27)를 포함하고, 예컨대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태블릿 등의 사용자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20)는 와이파이 등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중계장치(29)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중계장치(29)는 액세스 포인트(AP)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중계장치(29)는 예컨대 무선 공유기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20)는 와이파이 또는 NFC 등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전자기기(28)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기기(28)는 예컨대 와이파이 기능을 가진 CCTV, 로봇청소기, 전자오븐, 에어컨, 세탁기, 스피커 등의 가전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20)에 포함되는 구성은 앞서 기재된 일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추가적인 다른 구성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20)는 통신부(27)를 통해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29)와 연결하고, 연결된 통신중계장치(29)와의 연결정보를 저장한다. 디스플레이장치(20)는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자기기(28)로 전송하여 전자기기(28)와 연결한다. 디스플레이장치(20)는 연결된 전자기기(28)로 저장된 통신중계장치(29)와의 연결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단말기에 있어, 무선 AP와의 연결정보를 사물인터넷 기기로 제공함에 의해 사물인터넷 기기가 무선 AP와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에 있어, 절대적으로 약한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21)는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수신부(21)는 수신하는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2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나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신호수신부(21)는 디스플레이장치(20)와 연결된 외부장치, 예컨대 DVD 장치, USB 장치 등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신호수신부(2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현 형태로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22)는 신호수신부(21)에서 수신된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신호처리부(22)에서 수행하는 신호처리 프로세스의 예로써,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 (de-interlacing), 스케일링(scaling),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인핸스먼트(detail enhancement) 등이 있으며,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신호처리부(22)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 구성들이 장착된 영상처리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은 신호처리부(22)에서 처리된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3)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디스플레이부(23)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24)는 디스플레이장치(2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한다. 예로서, 사용자입력부(24)는 디스플레이장치(20)에 마련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 및 터치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은 직접 터치(real-touch) 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직접 터치라 함은, 화면에 실제로 사용자의 신체(예컨대, 손가락), 또는 터치 도구로서 마련되는 터치펜(예컨대, 포인팅 디바이스, 스타일러스(stylus), 햅틱 펜(haptic pen), 전자펜 등)이 터치된 경우를 말한다. 또한, 근접 터치라 함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도구가 화면에 실제로 터치는 되지 않고,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접근된 경우(예를 들어, 검출 가능한 거리가 30mm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입력부(24)는 디스플레이장치(20)와 연결되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장치(20)의 외측에 구비된 입력패널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7)는 외부장치와 통신한다. 통신부(27)는 전자기기(28) 및 통신중계장치(29)와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27)는 와이파이(Wi-Fi) 모듈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와이파이 또는 NFC 통신방식으로 외부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부(27)는 외부장치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6LoWPAN(Low 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7)는 외부장치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외부장치와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26)는 이전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중계장치(29)와의 연결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26)는 이전에 연결했던 통신중계장치(29)의 SSID 및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SSID(Service Set Identifier)는 무선 랜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들의 각 헤더에 붙는 고유 식별자로서, 하나의 무선 랜을 다른 무선 랜으로부터 구분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통신중계장치(29)는 SSID를 이용하여 식별될 수 있다.
제어부(25)는 통신부(27)를 통해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29)와 연결하고, 연결된 통신중계장치(29)와의 연결정보를 저장부(26)에 저장한다. 통신중계장치(29)와의 연결정보는, 통신중계장치(29)에 접속하기 위한 SSID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스마트 폰 상에서 와이파이 네트워크 설정을 통해 가장 강한 신호세기로 인식되는 무선 AP에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폰은 연결된 무선 AP의 SSID 및 비밀번호를 저장해두고, 이후에 무선 AP가 연결 가능한 영역 내에서 감지되는 경우 별도의 설정 없이 기 연결되었던 무선 AP에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25)는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자기기(28)로 전송하여 전자기기(28)와 연결한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25)는 전자기기(28)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통신중계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자기기(28)로 전송한다. 여기서, 소정 어플리케이션은 가상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Soft-AP로 구현될 수 있고, 예컨대 테더링(Tethering) 또는 모바일 핫스팟(Hot Spot) 등의 기능을 설정하는 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소정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장치(20)가 전자기기(28)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진입하면 자동으로 실행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 폰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20)를 전자기기(28)에 근접시킨 후 Soft-AP를 실행하면, 디스플레이장치(20)는 가상 액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하게 되고, 전자기기(28)는 와이파이 통신방식으로 디스플레이장치(20)와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20)는 통신중계장치(29)와 연결하는 경우의 신호세기보다 약한 신호세기로 전자기기(28)와 연결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20)는 Soft-AP를 실행하되, 신호세기를 근접한 전자기기(28)만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약한 신호세기로 설정하여, 근접한 전자기기(28)만 접속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25)는 전자기기(28)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NFC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자기기(28)로 전송할 수 있다. 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20)의 통신부(27)가 NFC 모듈을 포함하고, 전자기기(28)의 외측에 NFC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20)를 전자기기(28)에 근접시키면, 디스플레이장치(20)는 NFC 통신방식으로 전자기기(28)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25)는 연결된 전자기기(28)로 저장부(26)에 저장된 통신중계장치(29)와의 연결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7)를 제어한다. 예로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20)를 전자기기(28)에 근접시켜 디스플레이장치(20) 및 전자기기(28)가 와이파이 또는 NFC 통신방식으로 연결되면, 디스플레이장치(20)는 기 저장되어 있는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로서 SSID 및 비밀번호를 전자장치(28)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20)는 전송한 SS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전자기기(28)가 통신중계장치(29)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20)는 사용자가 전자기기(28)로 근접시키는 손쉬운 동작만으로 전자기기(28)를 연결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연결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기기(28)가 안전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 상에서 무선 AP에 연결 된 상태를 도시한 예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30)은 네트워크 설정화면(31)에서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설정 상태를 표시한다. 예로서, 네트워크 설정화면(31)은 사용자가 다양한 장소에서 연결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서, 집에서 사용하는 AP_home1(32) 및 AP_home2(33)와, 직장에서 사용하는 AP_office(34)가 등록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또한, 네트워크 설정화면(31)은 현재 AP_home1(32)에 연결된 상태이고, AP_home2(33) 및 AP_office(34)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임을 표시한다.
일실시예로서, 스마트 폰(30)은 AP_home1(32), AP_home2(33) 및 AP_office(34) 각각에 접속하기 위한 연결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 폰(30)이 각각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 가능한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저장되어 있는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곧바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정보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한 SSID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튼 폰 상에서 Soft-AP를 실행하여 주변 장치를 연결하는 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40)을 사물인터넷 기기, 예컨대 CCTV(43)로 근접시키면, 스마트 폰(40)은 가상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으로서, Soft-AP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Soft-AP는 예컨대 테더링(Tethering) 또는 모바일 핫스팟(Hot Spot) 등의 기능을 설정하는 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마트 폰(40)을 CCTV(43)로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Soft-AP를 직접 실행시킴에 의해, 스마트 폰(40)이 가상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스마트 폰(40)의 네트워크 설정화면(41)은 예컨대 모바일 핫스팟 기능을 실행한 상태를 표시한다. 즉, 모바일 핫스팟 기능을 실행하면, 스마트 폰(40)은 Hotspot1111(42)과 같은 가상 AP를 생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Hotspot1111(42)에 대한 주변의 장치들의 연결을 허용하게 된다. 이 때, 스마트 폰(40)은 가상 AP인 Hotspot1111(42)를 설정함에 있어, 근접한 위치에 있는 CCTV(43)만 연결될 수 있도록 신호세기를 소정 크기 미만으로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폰(40)은 와이파이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CCTV(43)와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에 있어 사물인터넷 기기와 연결하여 무선 AP와의 연결정보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 폰(50)을 CCTV(53)에 근접시키고 스마트 폰(50)의 네트워크 설정화면(51)에서 예컨대 모바일 핫스팟 기능을 설정하게 되면, 스마트 폰(50)은 Hotspot1111(52)과 같은 가상 AP를 생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Hotspot1111(52)에 대한 주변의 장치들의 연결을 허용하게 된다. 이 때, 스마트 폰(50)은 가상 AP인 Hotspot1111(52)를 설정함에 있어, 근접한 위치에 있는 CCTV(53)만 연결될 수 있도록 신호세기를 소정 크기 미만으로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폰(50)은 CCTV(53)와 근접한 위치에서 작은 신호세기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스마트 폰(50)은 모바일 핫스팟 기능을 설정함에 있어, CCTV(53)만이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의 작은 신호세기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폰(50)을 CCTV(53)에 근접시키는 손쉬운 동작만으로 스마트 폰(50)이 CCTV(53)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폰(50)을 CCTV(53)와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도, 사용자가 스마트 폰(50)을 연결하고자 하는 CCTV(53)에 근접시키고 Soft-AP를 자동 혹은 수동으로 실행시키는 동작을 통해 안전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스마트 폰(50)과 CCTV(53)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되면, 스마트 폰(50)은 연결된 CCTV(53)와 보안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폰(50)은 보안 채널을 통해 CCTV(53)로 정보들을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다. 예로서, 스마트 폰(50)은 CCTV(53)와 형성된 보안 채널을 통해 CCTV(53)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50)은 현재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된 적이 있는 무선액세스 포인트의 SSID 및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CCTV(53)로 안전하게 전송하고, 이를 이용하여 CCTV(53)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마트 폰(50)은 저장되어 있거나, 다른 기기로부터 제공받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SSID 및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CCTV(53)로 안전하게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또는 입력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사물인터넷 기기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를 사물인터넷 기기에 근접시키고 사물인터넷 기기와 약한 신호세기로 통신함에 의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있어, 스마트 폰으로부터 제공받은 무선 AP와의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AP에 연결하는 예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61)과 CCTV(60)가 가상 AP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Soft-AP를 이용하여 소정 크기 미만의 약한 신호세기로 연결되면, 스마트 폰(61)과 CCTV(60) 간에 보안 채널을 형성하고, 스마트 폰(61)은 보안 채널을 통해 CCTV(60)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사용자가 CCTV(60)를 복수의 무선 AP(62, 63, 64) 중 무선 AP(62)에 연결시키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 폰(61)에서 보안 채널을 통해 CCTV(60)로 무선 AP(62)의 SSID 및 비밀번호를 전송하고, CCTV(60)는 전송된 SS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무선 AP(62)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CCTV(60)를 복수의 무선 AP 중 사용자가 원하는 무선 AP에 연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있어, 순차적인 버튼 푸쉬에 따라 스마트 폰 및 무선 AP를 연결하는 예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TV(70)의 외측에 구비된 버튼을 푸쉬하여, 와이파이 통신방식으로 연결 가능한 장치들 중 가장 강한 신호세기로 감지되는 스마트 폰(71)과 연결할 수 있다. CCTV(70)가 스마트 폰(71)과 연결되면, CCTV(70)는 연결된 스마트 폰(71)으로부터 무선 AP(72)와의 연결정보, 예컨대 무선 AP(72)의 SSID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CCTV(70)에 있어 또다시 버튼을 푸쉬하면, 이번에는 가장 강한 신호세기 다음으로 강한 신호세기로 감지되는 무선 AP(72)와 연결할 수 있고, 연결 시 스마트 폰(71)으로부터 수신한 SS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버튼 푸쉬에 의해 CCTV(70)가 스마트 폰(71)과 연결되면, CCTV(70)는 연결된 스마트 폰(71)으로부터 무선 AP(72)와의 연결정보를 수신하고, 추가적인 버튼 푸쉬 없이 수신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바로 무선 AP(72)와 연결하도록 할 수도 있다.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물인터넷 기기에 있어, 첫번째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가장 신호세기가 강한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고, 두번째 사용자 입력에 의해 사용자단말기에서 지정된 무선 AP와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쉬운 조작만으로 신호세기에 따라 사용자단말기 및 무선 AP를 연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있어, 순차적인 버튼 푸쉬에 따라 스마트 폰 및 무선 AP를 연결하는 예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TV(80)의 외측에 구비된 버튼을 푸쉬하여, 와이파이 통신방식으로 연결 가능한 장치들 중 가장 강한 신호세기로 감지되는 무선 AP(83)과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무선 AP(83)가 사용자가 연결시키고자 하는 기기가 아닌 경우, CCTV(80)의 버튼을 다시 푸쉬하여 그 다음으로 강한 신호세기로 감지되는 스마트 폰(81)과 연결할 수 있다. 두 번의 버튼 푸쉬에 의해 CCTV(80)가 스마트 폰(81)과 연결되면, CCTV(80)는 연결된 스마트 폰(81)으로부터 무선 AP(82)와의 연결정보, 예컨대 무선 AP(82)의 SSID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바로 무선 AP(82)와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CCTV(80)에서 두 번의 버튼 푸쉬에 의해 스마트 폰(81)과 연결하여 무선 AP(82)와의 연결정보를 수신하고, 이후 세 번째로 버튼을 푸쉬하면, 스마트 폰(81)으로부터 수신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AP(82)와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물인터넷 기기에 있어, 순차적인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감지되는 신호세기가 강한 기기에서 약한 기기의 순서로 차례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쉬운 조작만으로 사용자단말기 및 사용자가 연결시키고자 하는 무선 AP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90에서,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연결된다. 동작 S90은, 와이파이 및 NFC 통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와 연결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S91에서, 연결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는, 통신중계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작 S92에서, 수신된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물인터넷 기기에 있어,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AP에 안전하게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의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무선 AP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안전하게 전달받을 수 있고, 이에 의해 무선 AP에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100에서, 사용자의 제1입력에 기초하여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한다. 다음으로, 동작 S101에서, 연결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는, 통신중계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작 S102에서, 사용자의 제2입력에 기초하여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제1입력 및 사용자의 제2입력은 전자기기의 외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이용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제1입력 및 사용자의 제2입력은 전자기기의 외측에 마련되는 입력패널을 이용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고, 전자기기는 그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TV(70)의 외측에 구비된 버튼을 푸쉬하여, 와이파이 통신방식으로 연결 가능한 장치들 중 가장 강한 신호세기로 감지되는 스마트 폰(71)과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CCTV(70)는 연결된 스마트 폰(71)으로부터 무선 AP(72)의 SSID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CCTV(70)에 있어 또다시 버튼을 푸쉬하면, 이번에는 가장 강한 신호세기 다음으로 강한 신호세기로 감지되는 무선 AP(72)와 연결할 수 있고, 연결 시 스마트 폰(71)으로부터 수신한 SS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110에서, 사용자단말기가 전자기기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한다. 일실시예로서, 전자기기와 근접한 위치에서 사용자단말기는 가상 AP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Soft-AP를 실행하고, 신호세기를 근접한 전자기기만이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의 약한 신호세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전자기기는 사용자단말기를 근접한 위치에서 가장 강한 신호세기로 감지하여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전자기기와 사용자단말기가 연결되면 상호간에 보안 채널을 형성할 수 있고, 보안 채널을 통해 데이터 및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기기 및 사용자단말기 각각이 NFC 모듈을 포함하고, 전자기기에 NFC 태그(tag)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단말기를 전자기기에 근접시키면, NFC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전자기기와 사용자단말기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전자기기와 사용자단말기 상호간에 NFC 채널을 형성할 수 있고, NFC 채널을 통해 데이터 및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S111에서, 연결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수신한다.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는, 통신중계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는, 사용자단말기가 현재 연결중인 무선 AP의 연결정보 혹은 사용자단말기에 기 등록되어 있는 무선 AP의 연결정보일 수 있다. 그 외에도,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는, 사용자단말기가 다른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무선 AP의 연결정보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동작 S112에서, 수신된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한다. 즉, 전자기기는 가장 강한 신호세기로 감지되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무선 AP의 SSID 및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그 다음으로 강한 신호세기로 감지되는 무선 AP에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물인터넷 기기에 있어, 사용자단말기를 근접시킴에 의해 가장 강한 신호세기로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여 무선 AP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안전하게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AP에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120에서,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한다. 다음으로, 동작 S121에서, 연결된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저장한다.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는, 상기 통신중계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30)은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설정 상태를 보여주는 네트워크 설정화면(31)에서 등록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중 현재 AP_home1(32)는 연결된 상태이고, AP_home2(33) 및 AP_office(34)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현재 연결되어 있는 AP_home1(32)에 대한 연결정보로서, AP_home1(32)의 SSID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등록되어 있는 다른 AP_home2(33) 및 AP_office(34)에 대해서도 각각의 연결을 위한 SSID 및 비밀번호를 저장해둘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S122에서,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연결한다. 이 때,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를 설정하기 위해 전자기기와 근접한 위치에서 Soft-AP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전자기기만이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전송하는 제2통신신호를 감지하도록 하여 연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작 S123에서, 연결된 전자기기로 저장된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단말기에 있어, 무선 AP와의 연결정보를 사물인터넷 기기로 제공함에 의해 사물인터넷 기기가 무선 AP와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에 있어, 근접한 기기만이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의 약한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기기와 연결하여 안전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130에서, 전자기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연결한다. 이 때 소정 어플리케이션은, Soft-AP(Software enabled Access Point)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 폰(50)을 CCTV(53)에 근접시키고 스마트 폰(50)의 네트워크 설정화면(51)에서 예컨대 모바일 핫스팟 기능을 설정하게 되면, 스마트 폰(50)은 Hotspot1111(52)과 같은 가상 AP를 생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Hotspot1111(52)에 대한 주변의 장치들의 연결을 허용하게 된다. 이 때, 스마트 폰(50)은 가상 AP인 Hotspot1111(52)를 설정함에 있어, 근접한 위치에 있는 CCTV(53)만 연결될 수 있도록 신호세기를 소정 크기 미만으로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폰(50)은 CCTV(53)와 근접한 위치에서 작은 신호세기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동작 S131에서, 연결된 전자기기로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전송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 전자기기
11: 사용자입력부
12: 제어부
13: 통신부
14: 사용자단말기
15: 통신중계장치
20: 디스플레이장치
21: 신호수신부
22: 신호처리부
23: 디스플레이부
24: 사용자입력부
25: 제어부
26: 저장부
27: 통신부
28: 전자기기
29: 통신중계장치

Claims (22)

  1. 전자기기에 있어,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여, 상기 연결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2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하는 전자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신호세기보다 강한 제3신호세기의 제3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반복적인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는 전자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는 전자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는, 상기 통신중계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외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와이파이 모듈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8.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
    통신부를 통해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연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1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제2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신호세기보다 강한 제3신호세기의 제3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반복적인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는, 상기 통신중계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SSID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13.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
    디스플레이부와;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저장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전자기기와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전자기기로 상기 저장된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통신중계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어플리케이션은, Soft-AP(Software enabled Access Point)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와이파이 모듈 및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NFC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는, 상기 통신중계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SSID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9.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
    통신부를 통해 제1신호세기의 제1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통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중계장치와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된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1신호세기보다 약한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전자기기와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된 전자기기로 상기 저장된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통신중계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2신호세기의 제2통신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어플리케이션은, Soft-AP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중계장치와의 연결정보는, 상기 통신중계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SSID 및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012361A 2016-02-01 2016-02-01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102470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361A KR102470455B1 (ko) 2016-02-01 2016-02-01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CN201680080376.5A CN108605377B (zh) 2016-02-01 2016-12-05 电子设备、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6/071,771 US10772156B2 (en) 2016-02-01 2016-12-05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6889535.7A EP3389334B1 (en) 2016-02-01 2016-12-05 Electronic devic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6/014152 WO2017135557A1 (ko) 2016-02-01 2016-12-05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361A KR102470455B1 (ko) 2016-02-01 2016-02-01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397A true KR20170091397A (ko) 2017-08-09
KR102470455B1 KR102470455B1 (ko) 2022-11-24

Family

ID=5950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361A KR102470455B1 (ko) 2016-02-01 2016-02-01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72156B2 (ko)
EP (1) EP3389334B1 (ko)
KR (1) KR102470455B1 (ko)
CN (1) CN108605377B (ko)
WO (1) WO201713555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741A (ko) * 2017-09-18 2019-03-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단말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아이오티장치
KR20200142975A (ko)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서버, IoT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0318B2 (ja) * 2018-08-09 2020-04-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機通信システム、空調機通信システムの接続確認方法、無線lanアダプタ、及び、空調機通信システムの接続確認プログラム
JP2021072573A (ja) * 2019-10-31 2021-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KR20210111539A (ko) * 2020-03-03 2021-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통신 방식들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678290B2 (en) * 2020-11-25 2023-06-13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Wireless connection monitoring, classification, and priority
CN114326426A (zh) * 2021-12-28 2022-04-12 艾拉物联网络(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全屋通讯控制方法
CN117221853A (zh) * 2022-06-02 2023-12-12 灵动科技(北京)有限公司 用于机器人自动组网的方法和系统以及计算机程序产品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55563A1 (en) * 2010-02-10 2011-08-1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Method for automatic pairing to a wireless network
KR20130013238A (ko) * 2011-07-27 2013-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20130080487A (ko) * 2011-12-28 2013-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설정 방법
KR20130107968A (ko) * 2012-03-23 2013-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구비한 디바이스 및 그 ap 연결 방법
WO2014178605A1 (ko) * 2013-04-30 2014-11-0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스마트 가전 장치 및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EP2814273A1 (en) * 2013-06-10 2014-12-1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connecting an appliance to a WIFI network
KR20150070813A (ko) * 2013-12-17 2015-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73057A (ko) * 2013-12-20 201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홈 디바이스를 위한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92873A (ko) * 2014-02-06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4680B2 (en) * 2011-02-16 2013-11-26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 private and efficient geolocation system
KR101833825B1 (ko) * 2011-11-11 2018-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4272849A (zh) * 2012-03-29 2015-01-07 英特尔公司 用于无线通信的双模式系统
AU2013278102A1 (en) * 2012-06-20 2015-02-05 HugeFlow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ing same
KR101974820B1 (ko) * 2012-09-10 2019-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기기
US8917708B2 (en) * 2012-09-28 2014-12-23 Intel Corporation Discovery and operation of hybrid wireless wide area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JP6044392B2 (ja) * 2013-02-28 2016-12-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機能実行装置
US9521614B2 (en) 2013-09-23 2016-12-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efficient method for Wi-Fi home automation
WO2015093906A1 (ko) 2013-12-20 2015-06-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홈 디바이스를 위한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US10159079B2 (en) * 2014-05-21 2018-12-18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social-aware cooperativ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CN104793587B (zh) * 2015-03-02 2017-08-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家用电器的远程控制设备、系统、方法及装置
US9832630B2 (en) * 2015-11-23 2017-11-28 Intel IP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wireless peer-to-peer discovery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55563A1 (en) * 2010-02-10 2011-08-1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Method for automatic pairing to a wireless network
KR20130013238A (ko) * 2011-07-27 2013-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20130080487A (ko) * 2011-12-28 2013-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설정 방법
KR20130107968A (ko) * 2012-03-23 2013-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구비한 디바이스 및 그 ap 연결 방법
WO2014178605A1 (ko) * 2013-04-30 2014-11-0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스마트 가전 장치 및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EP2814273A1 (en) * 2013-06-10 2014-12-1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connecting an appliance to a WIFI network
KR20150070813A (ko) * 2013-12-17 2015-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73057A (ko) * 2013-12-20 201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홈 디바이스를 위한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92873A (ko) * 2014-02-06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741A (ko) * 2017-09-18 2019-03-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단말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아이오티장치
KR20200142975A (ko)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서버, IoT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29069A1 (en) 2019-01-24
EP3389334A4 (en) 2018-11-14
CN108605377B (zh) 2022-04-15
EP3389334B1 (en) 2020-07-22
KR102470455B1 (ko) 2022-11-24
EP3389334A1 (en) 2018-10-17
WO2017135557A1 (ko) 2017-08-10
US10772156B2 (en) 2020-09-08
CN108605377A (zh)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455B1 (ko)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US10912136B2 (en)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based on wireless ranging
CN113163379B (zh) 一种发现及配网的方法和电子设备
TWI481213B (zh) 促進無線通信的系統與方法
EP3192218B1 (en) Terminal for internet of thing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US20130178163A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KR20160021046A (ko) 통신 태그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사용자 단말기, 디바이스, 및 시스템
US107791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ther electronic device in electronic device
KR20170105566A (ko) 중간 디바이스를 통한 로컬 제어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20110053187A (ko)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프로그램 및 무선 통신 방법
US11032862B2 (e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multiple devices
JP5891383B2 (ja) 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携帯端末、家庭電気機器、及び家庭電気機器の動作設定システム
CN108702625B (zh) 一种建立无线局域网连接的方法、装置和终端
EP26687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nsumer electronics device by using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US20240080789A1 (en) Simple and assisted mechanism for registering an internet-of-things (iot) device
KR20160149562A (ko) 이동 로봇 주행 시스템, 자율 주행 로봇, 및 로봇 이동 제어 방법
JP2021192521A (ja) ホットスポット接続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端末デバイス
KR20180114466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211325B (zh) 用于寻找室内电子设备的方法和装置
US11482095B2 (en) Wireless control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a power switch
CN107534958B (zh) 信号传输方法、基站及用户设备
WO2017033609A1 (ja)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244540A (zh) 权限控制方法、设备、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454133B (zh) 一种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2004088299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