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741A - 사용자단말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아이오티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단말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아이오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741A
KR20190031741A KR1020170119528A KR20170119528A KR20190031741A KR 20190031741 A KR20190031741 A KR 20190031741A KR 1020170119528 A KR1020170119528 A KR 1020170119528A KR 20170119528 A KR20170119528 A KR 20170119528A KR 20190031741 A KR20190031741 A KR 20190031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relay
relay apparatus
pattern signal
user terminal
pa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2270B1 (ko
Inventor
안은영
이준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9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270B1/ko
Priority to US16/128,987 priority patent/US10694563B2/en
Priority to CN201811080802.2A priority patent/CN109526038B/zh
Publication of KR20190031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중계장치를 매개로 처리되는 사용자단말과 아이오티장치 간 페어링(Pairing) 절차를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 설정(Configuration) 과정이 최소화됨에 따라 아이오티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아이오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자단말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아이오티장치{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IOT APPARATUS}
본 발명은 무선중계장치를 매개로 처리되는 사용자단말과 IoT 기기(이하, '아이오티장치'라 칭함) 간 페어링(Pairing)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 전반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아이오티장치의 도입이 일반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심지어 고객 관점의 충성도 확보와 새로운 구매 경험의 제공을 위해 단순히 버튼 입력만으로 상품의 즉시 구매를 가능케 하는 온라인 구매 분야에까지 아이오티장치가 도입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아이오티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한 버튼 입력만으로도 특정 상품에 대한 온라인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등 공통적으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지만, 실제 아이오티장치를 사용하기까지 요구되는 페어링(Pairing) 등의 전처리 과정에 불편함이 따르는 것이 현실이다.
다시 말해, 아이오티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무선중계장치(예: AP)를 매개로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과 아이오티장치 간 페어링(Pairing) 페어링이 처리되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단말에서의 복잡한 사용자 설정 과정이 요구되어 오히려 아이오티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 불편을 야기하게 된다.
결국, 이처럼 아이오티장치를 사용하는데 야기되는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선 사용자단말과 아이오티장치 간 페어링(Pairing) 절차를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 설정(Configuration) 과정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무선중계장치를 매개로 처리되는 사용자단말과 아이오티장치 간 페어링(Pairing) 절차를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 설정(Configuration) 과정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은, 아이오티장치와의 페어링을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이용하여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에 상기 아이오티장치가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확인명령; 상기 아이오티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가 상기 아이오티장치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달명령; 및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중계장치에 접속한 상기 아이오티장치와의 페어링을 처리하도록 하는 처리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인명령은, 상기 패턴신호를 무선중계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상기 아이오티장치가 상기 패턴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아이오티장치로부터 상기 패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상기 아이오티장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신호는, 기 설정된 개수만큼 반복되는 특정 바이너리 값을 포함하도록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달명령은,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를 상기 무선중계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상기 아이오티장치로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명령은, 상기 무선중계장치에 접속한 상기 아이오티장치로부터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수신되는 페어링 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상기 아이오티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아이오티장치와의 페어링을 처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아이오티장치는, 사용자단말과의 페어링을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 상에서 기 정의된 패턴신호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패턴신호를 송출하여 사용자단말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송출명령; 상기 패턴신호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단말이 전송하는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를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로부터 획득하도록 하는 획득명령; 및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중계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과의 페어링을 처리하도록 하는 처리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중계장치에 대한 접속이 불가한 경우, 접속이 불한 상태를 경보하도록 하는 경보명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동작 방법은,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이용하여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에 상기 아이오티장치가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아이오티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가 상기 아이오티장치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달단계; 및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중계장치에 접속한 상기 아이오티장치와의 페어링을 처리하는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패턴신호를 무선중계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상기 아이오티장치가 상기 패턴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아이오티장치로부터 상기 패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상기 아이오티장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신호는, 기 설정된 개수만큼 반복되는 특정 바이너리 값을 포함하도록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달단계는,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를 상기 무선중계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상기 아이오티장치로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무선중계장치에 접속한 상기 아이오티장치로부터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수신되는 페어링 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상기 아이오티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아이오티장치와의 페어링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아이오티장치에 의하면, 무선중계장치를 매개로 처리되는 사용자단말과 아이오티장치 간 페어링(Pairing) 절차를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 설정(Configuration) 과정이 최소화됨에 따라 아이오티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 페어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 페어링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 페어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 페어링 시스템은 사용자단말(10), 무선중계장치(20), 및 아이오티장치(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단말(10)은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을 처리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에 기반한 사용자 설정(Configuration) 과정을 통해서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단말(10)은 예컨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 텔레비전(Television), 3D 텔레비전, 홈 시어터(Home Theater) 시스템,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서블 단말(Flexible Terminal)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무선중계장치(20)는 사용자단말(10)과 아이오티장치(30)에 대해 무선접속환경(예: WIFI)을 제공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AP(Access Point)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아이오티장치(30)는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도입된 IoT Device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온라인 구매 서비스와 관련하여 버튼 입력 등의 사용자 요청(상품 즉시 구매 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서비스서버(도시 안됨)와의 연동을 통해서 상품 선택, 결제 수단 선택, 및 배송지 입력 등의 사용자 개입 없이도, 설정된 상품의 즉시 구매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장치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참고로, 서비스서버(도시안됨)는 아이오티장치(30)로부터 요구되는 상품의 즉시 구매 서비스를 처리하는 서버를 일컫는 것으로서, 아이오티장치(30)로부터의 상품 즉시 구매 요청에 따라, 예컨대, 아이오티장치(30)의 장치식별정보(예: MAC, Serial)에 매핑 설정된 상품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결제 및 배송을 별도의 사용자 개입 없이 처리할 수 잇다.
다만, 상품 즉시 구매 처리를 위해서는, 아이오티장치(30)의 장치식별정보(예: MAC, Serial)에 대해, 특정 상품, 결제 수단, 배송지 정보 등의 정보가 서비스서버(도시 안됨)에 사전에 매핑 등록되어 있어야 함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이러한 서비스서버(도시 안됨)는 예컨대,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 내 각 구성 간의 연결은, 데이터가 임의의 해커 또는 다른 제3자에 의한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안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 페어링 시스템은 전술한 구성을 기반으로 아이오티장치(30)가 무선중계장치(20)로 접속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의 사용자단말(10)과 아이오티장치(30) 간 페어링이 처리될 수 있다.
이때, 아이오티장치(30)와 무선중계장치(20) 간 접속은 TCP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사용자단말(10)과 아이오티장치(30) 간 페어링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단말(10)에서는 복잡한 사용자 설정 과정이 요구되어 사용자 불편을 야기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단말(10)과 아이오티장치(30) 간 페어링(Pairing) 절차를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 설정(Configuration)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아이오티 페어링 시스템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10)은 아이오티장치(30)를 확인하는 확인부(11),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를 전달하는 전달부(12), 및 페어링을 처리하는 처리부(1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확인부(11), 전달부(12), 및 처리부(13)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1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사용자단말(10) 내에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기반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사용자단말(1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10)은 전술한 구성 이외에, 무선중계장치(20)를 통해서 아이오티장치(30)와의 실질적인 통신을 지원하는 RF 모듈인 통신부(14)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4)는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통신부(1310)의 구성과 대응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10)은 확인부(11), 전달부(12), 및 처리부(13)를 포함하는 핵심 구성을 통해서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을 처리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사용자단말(10) 내 핵심 구성 각각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사용자단말(10)은 무선중계장치(20)와 접속중인 상태임을 전제하기로 한다.
확인부(11)는 아이오티장치(30)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11)는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 처리가 요구되는 경우,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확인부(11)는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이용하여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신호는 기 설정된 개수만큼 반복되는 특정 바이너리 값을 포함하도록 정의될 수 있는데, 물론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신호에 특정 패턴을 지정할 수 있는 방식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즉, 확인부(11)는 패턴신호를 무선중계장치(20)로 전송하여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위치하고 있는 아이오티장치(30)가 패턴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패턴신호를 인식한 아이오티장치(30)로부터 동일한 패턴신호가 송출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무선중계장치(30)의 커버리지에 페어링 상대방인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이오티장치(30)는 사용자단말(10)이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무선중계장치(20)로 전송함에 따라,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로부터 패턴신호가 인식되는 경우, 인식된 패턴신호를 송출(예: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사용자단말(10)에서 송출된 패턴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전달부(12)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달부(12)는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를 포함한 접속메시지가 아이오티장치(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전달부(12)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무선중계장치(20)로 전달함으로써, 이처럼 전달되는 메시지가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아이오티장치(30)로 함께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무선중계장치(20)로 전달되는 접속메시지에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 이외에, 사용자단말(10)의 접속정보(예: IP, Port)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시지는 사용자단말(10)과 아이오티장치(30) 간 약속된 임의의 암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된 상태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이오티장치(30)는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를 통해서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가 전달되는 경우, 전달된 접속정보(예: SSID/PW)를 이용하여 무선중계장치(20)에 접속하게 되며, 만약 전달된 접속정보(예: SSID/PW)를 이용한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이 불가한 경우에는, 예컨대, 구비된 I/O 수단(예: 엘이디, 디스플레이, 스피커, 부져 등)을 통해 접속이 불한 상태를 경보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무선중계장치(20)에 대한 접속 불가는, 접속정보(예: SSID/PW) 내 패스워드 정보가 틀린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단말(10)에서 처리되는 사용자 설정 과정에서 사용자가 패스워드정보를 잘못 입력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무선중계장치(20)는 자신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사용자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해당 메시지를 삭제하거나 또는 무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처리부(13)는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3)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를 이용하여 무선중계장치(20)에 접속한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을 처리하게 된다.
이때, 처리부(13)는 아이오티장치(30)로부터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수신되는 페어링 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아이오티장치(30)로 전송함으로써,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오티장치(30)로 수신되는 페어링 메시지에는, 아이오티장치(30)의 장치식별정보(예: MAC, Serial)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응답메시지에는 아이오티장치(30)가 접속해야 할 서비스서버(도시 안됨)의 접속정보(IP, Port)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아이오티장치(30)는 무선중계장치(30)에 접속 완료한 이후,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를 통해서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와 함께 전달되는 사용자단말(10)의 접속정보(예: IP, Port)를 이용하여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페어링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UDP(User Datagram Protocol) 기반의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따르는 기존 방식에서보다 페어링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사용자단말(1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실제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10)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서술될 내용은 앞서 설명한 사용자단말(10) 내 각 구성을 하드웨어 시스템(1000)으로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1000)은 프로세서부(1100),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1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부(1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200)를 통해 메모리부(1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부(1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부(1210)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사용자단말(10) 내 핵심 구성인 확인부(11), 전달부(12), 및 처리부(13)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OS)가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부(1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1300)는 프로세서부(1100)와 주변장치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주변장치의 경우,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부(1310), 및 입출력부(132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WAN(Wide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제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부(1320)는 기타 하드웨어 시스템과 연동되는 I/O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역할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321)에 대해 페어링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UI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21)는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예컨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결국, 위 구성에 따라 메모리부(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단말(1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부(110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의 형태로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1300)를 매개로 통신부(1310), 및 입출력부(1320)와의 연동을 수행함으로써,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앞선 도 3을 참조하여 사용자단말(10)의 각 구성을 하드웨어 시스템(1000)과 연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확인부(11)는 아이오티장치(30)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11)는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 처리가 요구되는 경우,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전달부(12)로 전달한다.
이때, 확인부(11)는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통신부(1310)를 통해 무선중계장치(20)로 전송하여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위치하고 있는 아이오티장치(30)가 패턴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패턴신호를 인식한 아이오티장치(30)로부터 동일한 패턴신호가 송출되는 것이 통신부(1310)를 통해서 확인되는 경우, 무선중계장치(30)의 커버리지에 페어링 상대방인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이오티장치(30)는 사용자단말(10)이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무선중계장치(20)로 전송함에 따라,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로부터 패턴신호가 인식되는 경우, 인식된 패턴신호를 송출(예: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사용자단말(10)에서 송출된 패턴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전달부(12)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달부(12)는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를 포함한 접속메시지가 아이오티장치(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전달부(12)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통신부(1310)를 통해서 무선중계장치(20)로 전달함으로써, 이처럼 전달되는 메시지가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아이오티장치(30)로 함께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무선중계장치(20)로 전달되는 접속메시지에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 이외에, 사용자단말(10)의 접속정보(예: IP, Port)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시지는 사용자단말(10)과 아이오티장치(30) 간 약속된 임의의 암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된 상태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이오티장치(30)는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를 통해서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가 전달되는 경우, 전달된 접속정보(예: SSID/PW)를 이용하여 무선중계장치(20)에 접속하게 되며, 만약 전달된 접속정보(예: SSID/PW)를 이용한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이 불가한 경우에는, 예컨대, 구비된 I/O 수단(예: 엘이디, 디스플레이, 스피커, 부져 등)을 통해 접속이 불한 상태를 경보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무선중계장치(20)는 자신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사용자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해당 메시지를 삭제하거나 또는 무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처리부(13)는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3)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를 이용하여 무선중계장치(20)에 접속한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을 처리하게 된다.
이때, 처리부(13)는 아이오티장치(30)로부터 통신부(1310)를 통해서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수신되는 페어링 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마찬가지로 통신부(1310)를 통해서 아이오티장치(30)로 전송함으로써,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오티장치(30)로 수신되는 페어링 메시지에는, 아이오티장치(30)의 장치식별정보(예: MAC, Serial)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응답메시지에는 아이오티장치(30)가 접속해야 할 서비스서버(도시 안됨)의 접속정보(IP, Port)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아이오티장치(30)는 무선중계장치(30)에 접속 완료한 이후,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를 통해서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와 함께 전달되는 사용자단말(10)의 접속정보(예: IP, Port)를 이용하여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페어링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UDP(User Datagram Protocol) 기반의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따르는 기존 방식에서보다 페어링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10)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아이오티장치(30)에 대한 설명을 이어가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장치(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장치(30)는 패턴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31), 접속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32), 페어링을 처리하는 처리부(33), 및 접속 불가 상태를 경보하는 경보부(3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송출부(31), 획득부(32), 처리부(33), 및 경보부(34)를 포함하는 아이오티장치(3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아이오티장치(30) 내에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기반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아이오티장치(3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장치(3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무선중계장치(20)를 통해서 사용자단말(10)과의 실질적인 통신을 지원하는 RF 모듈인 통신부(35)과, 접속 불가 상태가 출력되는 출력부(36)를 더 포함할 수 잇다.
여기서, 통신부(35)와 출력부(36)는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통신부(2310)와, 출력부(2321)의 구성과 각각 대응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장치(30)는 송출부(31), 획득부(32), 처리부(33), 및 경보부(34)를 포함하는 핵심 구성을 통해서 사용자단말(10)과의 페어링을 처리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아이오티장치(30) 내 핵심 구성 각각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송출부(31)는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출부(31)는 사용자단말(10)이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무선중계장치(20)로 전송함에 따라,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로부터 패턴신호가 인식되는 경우, 인식된 패턴신호를 송출(예: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사용자단말(10)에서 송출된 패턴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단말(10)에서는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이 요구됨에 따라,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무선중계장치(20)로 전송하여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위치하고 있는 아이오티장치(30)가 패턴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패턴신호를 인식한 아이오티장치(30)로부터 동일한 패턴신호가 송출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무선중계장치(30)의 커버리지에 페어링 상대방인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획득부(32)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획득부(32)는 사용자단말(10)이 전송하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를 무선중계장치(30)의 커버리지로부터 획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단말(10)에서는 패턴신호의 수신에 따라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를 포함한 접속메시지가 아이오티장치(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단말(10)은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무선중계장치(20)로 전달함으로써, 아이오티장치(30)로 하여금 이처럼 전달되는 메시지를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로부터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무선중계장치(20)로 전달되는 접속메시지에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 이외에, 사용자단말(10)의 접속정보(예: IP, Port)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시지는 사용자단말(10)과 아이오티장치(30) 간 약속된 임의의 암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된 상태로 전달될 수 있다.
처리부(33)는 사용자단말(10)과의 페어링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33)는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를 통해서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가 획득되는 경우, 접속정보(예: SSID/PW)를 이용하여 무선중계장치(20)로 접속하여 사용자단말(10)과의 페어링을 처리하게 된다.
이때, 처리부(33)는 사용자단말(10)에 대해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페어링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사용자단말(1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단말(10)과의 페어링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페어링 메시지에는 아이오티장치(30)의 장치식별정보(예: MAC, Serial)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응답메시지에는 아이오티장치(30)가 접속해야 할 서비스서버(도시 안됨)의 접속정보(IP, Port)가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처리부(33)는 무선중계장치(30)에 접속 완료한 이후,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를 통해서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와 함께 전달되는 사용자단말(10)의 접속정보(예: IP, Port)를 이용하여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페어링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UDP(User Datagram Protocol) 기반의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따르는 기존 방식에서보다 페어링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경보부(34)는 접속 불가 상태를 경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보부(34)는 접속정보(예: SSID/PW)를 이용한 무선중계장치(20)로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예컨대, 구비된 I/O 수단(예: 엘이디, 디스플레이, 스피커, 부져 등)을 통해 접속이 불한 상태를 경보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무선중계장치(20)에 대한 접속 불가는, 접속정보(예: SSID/PW) 내 패스워드 정보가 틀린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단말(10)에서 처리되는 사용자 설정 과정에서 사용자가 패스워드정보를 잘못 입력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이상 설명한 아이오티장치(30) 내 각 구성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실제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장치(30) 내 각 구성을 구현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장치(3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은 프로세서부(2100),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2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부(2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200)를 통해 메모리부(2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부(2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부(2210)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아이오티장치(30) 내 핵심 구성인, 송출부(31), 획득부(32), 처리부(34), 및 경보부(35)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부(2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2300)는 프로세서부(2100)와 주변장치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주변장치의 경우,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부(2310), 및 입출력부(232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WAN(Wide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제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부(2320)는 기타 하드웨어 시스템과 연동되는 I/O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역할 수행하게 되는데, 출력부(2321)에서 무선중계장치(20)에 대한 접속 불가 상태를 출력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2321)는 예컨대, 엘이디, 디스플레이, 스피커, 부져 등의 I/O 수단으로 구현될 있다.
결국, 메모리부(2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단말(2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부(210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의 형태로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1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2300)를 매개로 통신부(231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단말(10)과의 페어링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앞선 도 5을 참조하여, 아이오티장치(30)의 각 구성을 하드웨어 시스템(2000)과 연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송출부(31)는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출부(31)는 사용자단말(10)이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무선중계장치(20)로 전송함에 따라,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 내에서 패턴신호가 통신부(2310)를 통해 수신되어 인식되는 경우, 마찬가지로 인식된 패턴신호를 통신부(2310)를 통해 송출(예: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사용자단말(10)에서 송출된 패턴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단말(10)에서는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이 요구됨에 따라,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무선중계장치(20)로 전송하여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위치하고 있는 아이오티장치(30)가 패턴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패턴신호를 인식한 아이오티장치(30)로부터 동일한 패턴신호가 송출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무선중계장치(30)의 커버리지에 페어링 상대방인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획득부(32)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획득부(32)는 사용자단말(10)이 전송하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를 통신부(2310)를 통해서 무선중계장치(30)의 커버리지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접속정보(예: SSID/PW)를 처리부(33)로 전달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단말(10)에서는 패턴신호의 수신에 따라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를 포함한 접속메시지가 아이오티장치(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단말(10)은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무선중계장치(20)로 전달함으로써, 아이오티장치(30)로 하여금 이처럼 전달되는 메시지를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로부터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무선중계장치(20)로 전달되는 접속메시지에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 이외에, 사용자단말(10)의 접속정보(예: IP, Port)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시지는 사용자단말(10)과 아이오티장치(30) 간 약속된 임의의 암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된 상태로 전달될 수 있다.
처리부(33)는 사용자단말(10)과의 페어링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33)는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를 통해서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가 수신되는 경우, 접속정보(예: SSID/PW)를 이용하여 무선중계장치(20)로 접속하여 사용자단말(10)과의 페어링을 처리하게 된다.
이때, 처리부(33)는 사용자단말(10)에 대해 통신부(2310)를 통해 유니캐스트 방식의 페어링 메시지를 전송하고, 마찬가지로 그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통신부(2310)를 통해 사용자단말(1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단말(10)과의 페어링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페어링 메시지에는 아이오티장치(30)의 장치식별정보(예: MAC, Serial)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응답메시지에는 아이오티장치(30)가 접속해야 할 서비스서버(도시 안됨)의 접속정보(IP, Port)가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처리부(33)는 무선중계장치(30)에 접속 완료한 이후,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를 통해서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와 함께 전달되는 사용자단말(10)의 접속정보(예: IP, Port)를 이용하여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페어링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UDP(User Datagram Protocol) 기반의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따르는 기존 방식에서보다 페어링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경보부(34)는 접속 불가 상태를 경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보부(34)는 접속정보(예: SSID/PW)를 이용한 무선중계장치(20)로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출력부(2321)를 통해 접속이 불한 상태를 경보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무선중계장치(20)에 대한 접속 불가는, 접속정보(예: SSID/PW) 내 패스워드 정보가 틀린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단말(10)에서 처리되는 사용자 설정 과정에서 사용자가 패스워드정보를 잘못 입력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 페어링 시스템 내 각 구성에 따르면, 무선중계장치(20)를 매개로 처리되는 사용자단말(10)과 아이오티장치(30) 간 페어링(Pairing) 절차를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 설정(Configuration) 과정이 예컨대, 무선중계장치(20)의 패스워드정보 입력 정도로 최소화됨에 따라 아이오티장치(30)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 페어링 시스템, 및 시스템 내 각 구성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 페어링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사용자단말(10)은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이 요구됨에 따라, 단계 S11에서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무선중계장치(20)로 전송하여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위치하고 있는 아이오티장치(30)가 패턴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해, 아이오티장치(30)는 단계 S12에 따라서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 내에서 사용자단말(10)이 전송한 패턴신호가 인식되는 경우, 단계 S13을 통해 인식된 패턴신호를 송출(예: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사용자단말(10)에서 송출된 패턴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사용자단말(10)은 단계 S14 및 S15에 따라 패턴신호를 인식한 아이오티장치(30)로부터 동일한 패턴신호가 송출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무선중계장치(30)의 커버리지에 페어링 상대방인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단말(10)은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계 S16에 따라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를 포함한 접속메시지가 아이오티장치(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단말(10)은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무선중계장치(20)로 전달함으로써, 이처럼 전달되는 메시지가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아이오티장치(30)로 함께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무선중계장치(20)로 전달되는 접속메시지에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 이외에, 사용자단말(10)의 접속정보(예: IP, Port)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시지는 사용자단말(10)과 아이오티장치(30) 간 약속된 임의의 암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된 상태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아이오티장치(30)는 단계 S17에 따라 사용자단말(10)이 전송하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를 무선중계장치(30)의 커버리지로부터 획득한다.
나아가, 아이오티장치(30)는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를 통해서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가 획득되는 경우, 단계 S18 및 S19에 따라 접속정보(예: SSID/PW)를 이용하여 무선중계장치(20)로 접속하여 사용자단말(10)과의 페어링을 처리한다.
이때, 아이오티장치(30)는 사용자단말(10)에 대해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페어링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사용자단말(1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단말(10)과의 페어링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페어링 메시지에는 아이오티장치(30)의 장치식별정보(예: MAC, Serial)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응답메시지에는 아이오티장치(30)가 접속해야 할 서비스서버(도시 안됨)의 접속정보(IP, Port)가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무선중계장치(30)에 접속 완료한 이후,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를 통해서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와 함께 전달되는 사용자단말(10)의 접속정보(예: IP, Port)를 이용하여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페어링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 UDP(User Datagram Protocol) 기반의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따르는 기존 방식에서보다 페어링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 페어링 시스템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스마트오더장치(1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10)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확인부(11)는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 처리가 요구되는 경우, 단계 S21 내지 S23을 통해서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확인부(11)는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이용하여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신호는 기 설정된 개수만큼 반복되는 특정 바이너리 값을 포함하도록 정의될 수 있는데, 물론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신호에 특정 패턴을 지정할 수 있는 방식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즉, 확인부(11)는 패턴신호를 무선중계장치(20)로 전송하여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위치하고 있는 아이오티장치(30)가 패턴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패턴신호를 인식한 아이오티장치(30)로부터 동일한 패턴신호가 송출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무선중계장치(30)의 커버리지에 페어링 상대방인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이오티장치(30)는 사용자단말(10)이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무선중계장치(20)로 전송함에 따라,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로부터 패턴신호가 인식되는 경우, 인식된 패턴신호를 송출(예: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사용자단말(10)에서 송출된 패턴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전달부(12)는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계 S24에 따라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를 포함한 접속메시지가 아이오티장치(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전달부(12)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무선중계장치(20)로 전달함으로써, 이처럼 전달되는 메시지가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아이오티장치(30)로 함께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무선중계장치(20)로 전달되는 접속메시지에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 이외에, 사용자단말(10)의 접속정보(예: IP, Port)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시지는 사용자단말(10)과 아이오티장치(30) 간 약속된 임의의 암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된 상태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이오티장치(30)는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를 통해서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가 전달되는 경우, 전달된 접속정보(예: SSID/PW)를 이용하여 무선중계장치(20)에 접속하게 되며, 만약 전달된 접속정보(예: SSID/PW)를 이용한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이 불가한 경우에는, 예컨대, 구비된 I/O 수단(예: 엘이디, 디스플레이, 스피커, 부져 등)을 통해 접속이 불한 상태를 경보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무선중계장치(20)에 대한 접속 불가는, 접속정보(예: SSID/PW) 내 패스워드 정보가 틀린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단말(10)에서 처리되는 사용자 설정 과정에서 사용자가 패스워드정보를 잘못 입력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무선중계장치(20)는 자신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사용자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해당 메시지를 삭제하거나 또는 무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후, 처리부(13)는 단계 S25 및 S26에 따라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를 이용하여 무선중계장치(20)에 접속한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을 처리한다.
이때, 처리부(13)는 아이오티장치(30)로부터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수신되는 페어링 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아이오티장치(30)로 전송함으로써,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오티장치(30)로 수신되는 페어링 메시지에는, 아이오티장치(30)의 장치식별정보(예: MAC, Serial)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응답메시지에는 아이오티장치(30)가 접속해야 할 서비스서버(도시 안됨)의 접속정보(IP, Port)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1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이하에서는 아이오티장치(3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장치(30)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송출부(31)는 사용자단말(10)이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무선중계장치(20)로 전송함에 따라, 단계 S31에서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로부터 패턴신호가 인식되는 경우, 단계 S32에 따라서 인식된 패턴신호를 송출(예: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사용자단말(10)에서 송출된 패턴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단말(10)에서는 아이오티장치(30)와의 페어링이 요구됨에 따라,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무선중계장치(20)로 전송하여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위치하고 있는 아이오티장치(30)가 패턴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패턴신호를 인식한 아이오티장치(30)로부터 동일한 패턴신호가 송출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무선중계장치(30)의 커버리지에 페어링 상대방인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획득부(32)는 단계 S33에 따라 사용자단말(10)이 전송하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를 통신부(2310)를 통해서 무선중계장치(30)의 커버리지로부터 획득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단말(10)에서는 패턴신호의 수신에 따라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아이오티장치(30)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를 포함한 접속메시지가 아이오티장치(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단말(10)은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무선중계장치(20)로 전달함으로써, 아이오티장치(30)로 하여금 이처럼 전달되는 메시지를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로부터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무선중계장치(20)로 전달되는 접속메시지에는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 이외에, 사용자단말(10)의 접속정보(예: IP, Port)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시지는 사용자단말(10)과 아이오티장치(30) 간 약속된 임의의 암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된 상태로 전달될 수 있다.
나아가, 처리부(33)는 단계 S34에 따라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를 통해서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가 수신되는 경우, 단계 S34 내지 S37에 따라서 접속정보(예: SSID/PW)를 이용하여 무선중계장치(20)로 접속하여 사용자단말(10)과의 페어링을 처리하게 된다.
이때, 처리부(33)는 사용자단말(10)에 대해 통신부(2310)를 통해 유니캐스트 방식의 페어링 메시지를 전송하고, 마찬가지로 그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통신부(2310)를 통해 사용자단말(1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단말(10)과의 페어링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페어링 메시지에는 아이오티장치(30)의 장치식별정보(예: MAC, Serial)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응답메시지에는 아이오티장치(30)가 접속해야 할 서비스서버(도시 안됨)의 접속정보(IP, Port)가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처리부(33)는 무선중계장치(30)에 접속 완료한 이후, 무선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를 통해서 무선중계장치(20)의 접속정보(예: SSID/PW)와 함께 전달되는 사용자단말(10)의 접속정보(예: IP, Port)를 이용하여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페어링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UDP(User Datagram Protocol) 기반의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따르는 기존 방식에서보다 페어링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경보부(34)는 단계 S35에서 접속정보(예: SSID/PW)를 이용한 무선중계장치(20)로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단계 S38에 따라서 구비된 I/O 수단(예: 엘이디, 디스플레이, 스피커, 부져 등)을 통해 접속이 불한 상태를 경보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무선중계장치(20)에 대한 접속 불가는, 접속정보(예: SSID/PW) 내 패스워드 정보가 틀린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단말(10)에서 처리되는 사용자 설정 과정에서 사용자가 패스워드정보를 잘못 입력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 페어링 시스템 내 각 구성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무선중계장치(20)를 매개로 처리되는 사용자단말(10)과 아이오티장치(30) 간 페어링(Pairing) 절차를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 설정(Configuration) 과정이 예컨대, 무선중계장치(20)의 패스워드정보 입력 정도로 최소화됨에 따라 아이오티장치(30)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부,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부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부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아이오티장치에 따르면, 무선중계장치를 매개로 처리되는 사용자단말과 아이오티장치 간 페어링(Pairing) 절차를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 설정(Configuration)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사용자단말
11: 확인부 12: 전달부
13: 처리부
20: 무선중계장치
30: 아이오티장치
31: 송출부 32: 획득부
33: 처리부 34: 경보부

Claims (12)

  1. 아이오티장치와의 페어링을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이용하여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에 상기 아이오티장치가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확인명령;
    상기 아이오티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가 상기 아이오티장치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달명령; 및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중계장치에 접속한 상기 아이오티장치와의 페어링을 처리하도록 하는 처리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명령은,
    상기 패턴신호를 무선중계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상기 아이오티장치가 상기 패턴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아이오티장치로부터 상기 패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상기 아이오티장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신호는,
    기 설정된 개수만큼 반복되는 특정 바이너리 값을 포함하도록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명령은,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를 상기 무선중계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상기 아이오티장치로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명령은,
    상기 무선중계장치에 접속한 상기 아이오티장치로부터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수신되는 페어링 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상기 아이오티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아이오티장치와의 페어링을 처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
  6. 사용자단말과의 페어링을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 상에서 기 정의된 패턴신호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패턴신호를 송출하여 사용자단말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송출명령;
    상기 패턴신호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단말이 전송하는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를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로부터 획득하도록 하는 획득명령; 및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중계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과의 페어링을 처리하도록 하는 처리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오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중계장치에 대한 접속이 불가한 경우, 접속이 불한 상태를 경보하도록 하는 경보명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오티장치.
  8. 기 정의된 패턴신호를 이용하여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에 상기 아이오티장치가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아이오티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가 상기 아이오티장치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달단계; 및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중계장치에 접속한 상기 아이오티장치와의 페어링을 처리하는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패턴신호를 무선중계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상기 아이오티장치가 상기 패턴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아이오티장치로부터 상기 패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상기 아이오티장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의 동작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신호는,
    기 설정된 개수만큼 반복되는 특정 바이너리 값을 포함하도록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의 동작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단계는,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를 상기 무선중계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상기 아이오티장치로 상기 무선중계장치의 접속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의 동작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무선중계장치에 접속한 상기 아이오티장치로부터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수신되는 페어링 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상기 아이오티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아이오티장치와의 페어링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의 동작 방법.
KR1020170119528A 2017-09-18 2017-09-18 사용자단말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아이오티장치 KR102392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28A KR102392270B1 (ko) 2017-09-18 2017-09-18 사용자단말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아이오티장치
US16/128,987 US10694563B2 (en) 2017-09-18 2018-09-12 User terminal,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service device
CN201811080802.2A CN109526038B (zh) 2017-09-18 2018-09-17 用户终端、操作该用户终端的方法及服务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28A KR102392270B1 (ko) 2017-09-18 2017-09-18 사용자단말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아이오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741A true KR20190031741A (ko) 2019-03-27
KR102392270B1 KR102392270B1 (ko) 2022-04-29

Family

ID=6572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528A KR102392270B1 (ko) 2017-09-18 2017-09-18 사용자단말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아이오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94563B2 (ko)
KR (1) KR102392270B1 (ko)
CN (1) CN1095260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270B1 (ko) * 2017-09-18 2022-04-2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단말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아이오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31B1 (ko) * 2004-02-13 2007-12-21 노키아 코포레이션 단거리 무선 접속 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향상된 능력들을나타내는 프로토콜
KR20080045989A (ko) * 2006-11-21 2008-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및 그 장치
KR20140100171A (ko) * 2013-02-05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및 무선 통신 연결 방법
KR20170091397A (ko) * 2016-02-01 201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US20170245276A1 (en) * 2016-02-24 2017-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operating channel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5049B2 (en) * 1997-08-05 2002-06-11 Symbol Technologies, Inc. Portable data terminal and cradle
GB0616476D0 (en) * 2006-08-18 2006-09-27 Fujitsu Ltd Communication systems
CN101389124B (zh) * 2007-09-11 2012-05-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中继网络小区切换过程中的多天线模式选择方法
CN101483888B (zh) * 2008-01-07 2013-06-12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无线接入系统的数据传输方法及基站、中继站和无线接入系统
US8342407B2 (en) * 2008-07-21 2013-01-01 Gilbarco, Inc.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a bluetooth device with a point-of-sale terminal
US8548383B2 (en) * 2008-08-27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pectrum density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s
JP4586089B2 (ja) * 2008-10-10 2010-11-2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通信システム、ホスト装置及び端末装置
JP5669110B2 (ja) * 2010-09-16 2015-02-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20130215821A1 (en) * 2010-10-12 2013-08-22 Panasoni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3340008B (zh) * 2010-11-24 2017-02-15 黑莓有限公司 管理短距离无线数据传输
US9894597B2 (en) * 2011-01-07 2018-02-13 Intel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access network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communication system
US9130935B2 (en) * 2011-05-05 2015-09-08 Good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credentials
EP2552134B1 (en) * 2011-07-29 2016-03-16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 for a de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787832B2 (en) * 2011-10-11 2014-07-22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access point
CN103260214B (zh) * 2012-02-17 2017-02-15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设备接入方法、接入点和接入设备
US9026053B2 (en) * 2013-02-17 2015-05-05 Fitbit,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device pairing
US9585038B2 (en) * 2013-03-13 2017-02-28 Futurewei Technologies, Inc. Forward traffic announcements for enhanced resource reservation in high speed mobile relays
CN103701857A (zh) * 2013-12-06 2014-04-02 周良文 基于移动控制终端的感知家电控制系统及方法
CN103945438B (zh) * 2014-04-16 2018-02-09 中国人民解放军信息工程大学 一种无线访问接入点ap、通信系统及通信方法
CN203942528U (zh) * 2014-05-06 2014-11-12 深圳市云海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覆盖增强设备
EP3099117A4 (en) * 2014-06-27 2017-07-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Energy saving method and wake-up method for wireless ap, related device and system
JP6298389B2 (ja) * 2014-09-16 2018-03-20 株式会社東芝 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中継方法
CN104363262A (zh) * 2014-10-21 2015-02-18 上海动盟网络技术有限公司 无线接入设备、服务器、服务信息推送系统及方法
US9832173B2 (en) * 2014-12-18 2017-11-28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connecting network devices
CN105992238B (zh) * 2015-01-30 2021-02-26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和方法
KR20160132302A (ko) * 2015-05-09 2016-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물리적 접근 제한을 이용한 장치들 사이의 키 공유 방법
WO2016192387A1 (zh) * 2015-05-29 2016-12-08 乐鑫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安全低功耗代理设备的物联网配置方法及系统
CN105246126A (zh) * 2015-08-28 2016-01-13 深圳市唯传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设备接入方法、装置以及系统
US20170090866A1 (en) * 2015-09-25 2017-03-30 Robert L. Vaughn Universal sensor and/or sensor cluster to provide a detection pattern
US10237351B2 (en) * 2015-11-23 2019-03-19 Dojo-Labs Ltd Sub-networks based security method, apparatus and product
US10609581B2 (en) * 2016-06-03 2020-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up of wireless communication
CN106255176A (zh) * 2016-08-04 2016-12-21 深圳键桥通讯技术股份有限公司 将智能设备接入无线网络的方法
US10238867B2 (en) * 2016-10-17 2019-03-26 Orthofix Inc.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tissue stimulation treatment and compliance monitoring
CN106375945A (zh) * 2016-10-18 2017-02-0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自动连接无线网络的方法及系统
KR102608996B1 (ko) * 2016-12-16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탐색 대상 기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6647313A (zh) * 2017-02-14 2017-05-10 长沙零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控制界面的显示方法及显示设备
KR102392270B1 (ko) * 2017-09-18 2022-04-2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단말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아이오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31B1 (ko) * 2004-02-13 2007-12-21 노키아 코포레이션 단거리 무선 접속 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향상된 능력들을나타내는 프로토콜
KR20080045989A (ko) * 2006-11-21 2008-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및 그 장치
KR20140100171A (ko) * 2013-02-05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및 무선 통신 연결 방법
KR20170091397A (ko) * 2016-02-01 201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US20170245276A1 (en) * 2016-02-24 2017-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operating channel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26038A (zh) 2019-03-26
US10694563B2 (en) 2020-06-23
KR102392270B1 (ko) 2022-04-29
CN109526038B (zh) 2023-03-28
US20190090294A1 (en)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1857B2 (en) Electronic stamp system for security intensification,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10623274B2 (en) Mechanism and apparatus for set-top box power off to internet of things device status display
US106167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l data monitoring and actuator control in an internet of things network
US20140038556A1 (en) Mobility Device Security
EP2806613A1 (en) Wireless routing device, mobile terminal,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0972194B2 (en) Proximate communication with a target device
KR20180123296A (ko) 스마트오더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단말
US2018026306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742810B2 (en) Network node security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US20180167283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6470425B2 (ja) デバイスコンテンツプロビジョニングシステム
US20200187001A1 (en) Simplified wi-fi and/or cloud enrollment for wi-fi devices
JP2019125855A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385611B (zh) 一种智能电视的账户登录方法、智能电视及终端设备
JP652026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接続仲介装置、接続仲介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31741A (ko) 사용자단말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아이오티장치
JP5571860B1 (ja) 二者間通信開始方法
US20200404491A1 (en) Method for wearable device to work as net disk of mobile phone to protect users private data
US20210195423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203858601U (zh) 传送装置与接收装置
TW201531144A (zh) 無線雙向式資料傳輸系統及其傳輸方法
KR20170005709A (ko) 랜딩 페이지로의 접속을 제어하는 광고 송출 서비스 제공 장치, 사용자 장치, 로그 저장 및 랜딩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광고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112241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359958B1 (ko) 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단말
JP6790864B2 (ja) 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