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813A -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0813A
KR20150070813A KR1020130157442A KR20130157442A KR20150070813A KR 20150070813 A KR20150070813 A KR 20150070813A KR 1020130157442 A KR1020130157442 A KR 1020130157442A KR 20130157442 A KR20130157442 A KR 20130157442A KR 20150070813 A KR20150070813 A KR 20150070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information
communication
tag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6543B1 (ko
Inventor
이동익
김대동
김희동
박인호
엄충용
이양돈
황동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7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543B1/ko
Priority to EP17178229.5A priority patent/EP3247143B1/en
Priority to EP14195769.6A priority patent/EP2887718B1/en
Priority to US14/557,921 priority patent/US9509515B2/en
Publication of KR20150070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7Graphical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장치는 휴대용 단말과 기기 간 통신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휴대용 단말에 상기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서명 정보에 대한 인증 성공 시에 서버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전송되는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상기 제1 장치의 장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장치의 서버 등록에 필요한 사용자 입력을 최소화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인증 시간이 단축된다.

Description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DEVICE CAPABLE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TO SERVER}
본 발명은 기기 간 통신(D2D: device-to-device)이 가능한 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서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을 이용하여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전 제품 등의 장치가 서버에 등록하여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서버로부터 미리 인증(Validation)을 받을 것이 요구된다. 장치의 사용자는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기 위해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PIN code)를 장치에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장치에 입력된 정보는 장치로부터 직접 서버로 전송되거나 다른 장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장치에 입력된 정보가 다른 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 정보가 입력된 장치는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서 페어링(Pai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실수 또는 다른 장치의 간섭 등에 의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장치가, 정보가 입력된 장치와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장치간의 페어링에 관여할 위험이 있다. 한편 사용자가 서버에 전송할 장치 정보 및 디지털 서명 정보를 수동으로 직접 입력하는 것은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device-to-device)이 가능한 제1 장치가 서버에 등록(register)하는 방법은, 상기 기기 간 통신을 통해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에 상기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digital signature information)를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서명 정보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 성공 시에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전송되는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server public encryption information)를 상기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상기 제1 장치의 장치 정보(device information)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제1 장치는, 휴대용 단말과 기기 간 통신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휴대용 단말에 상기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서명 정보에 대한 인증 성공 시에 서버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전송되는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상기 제1 장치의 장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이 제1 장치의 서버 등록을 지원(support)하는 방법은,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서명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서명 정보에 대한 인증 성공 시에 상기 서버로부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은, 제1 장치 또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서명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서명 정보에 대한 인증 성공 시에 상기 서버로부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장치가 기기 간 통신을 위해 필요한 정보 및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태그에 저장되고, 상기 정보가 필요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이 상기 태그의 정보를 읽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한다. 또한 서버 및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부터 각각 받은 공개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들을 송수신하므로 보안성이 강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제1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제1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제1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이 제1 장치의 서버 등록을 지원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제1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포함하는"은 다른 요소들 또는 동작들을 배제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단수 명사는 달리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다면 복수 명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은 하나의 입력을 가리킬 수도 있고 2 종류 이상의 입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제1, 제2"는 유사한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반드시 순차적 또는 연대순으로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것은 아니다.
"휴대용 단말(portable terminal)"은 다른 장치 또는 기지국 등과 통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은 기기 간 통신을 통해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은, 예를 들면, IMS(IP Multimedia Subsystem) 단말, 태블릿(Tablet)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용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mobile phone), 디지털 액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기 간 통신(D2D: Device to Device)은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기기 간 통신"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무선 단말들이 인터넷 연결 또는 무선 AP(Access Point) 없이도 직접 기기 간 통신으로 피어 투 피어(Peer-to-Peer) 전송을 구현하는 기술로, 무선 피어 투 피어 통신 방법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의되고 있는 통신 표준 방식이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일명 와이파이 피투피(P2P) 라 부르기도 한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애드혹(adhoc)이 아닌 인프라 스트럭처의 형태를 가지며, 단말들 간의 직접 통신을 지원하여 애드혹에 비해 세큐리티가 강화되고, 인터넷 서비스 지원이 더 용이해지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간략화되거나 생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이 상술한 예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구성들의 형태 변경이나, 추가적인 기능들까지도 포함할 수 있다. 도면들에서, 일부 요소들의 크기는 예시를 위해 확대될 수 있으며, 크기에 비례하여 도시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제1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장치의 서버 등록을 위한 시스템은 서버(110), 휴대용 단말(120), 제1 장치(130) 및 제2 장치(14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장치를 인증(authenticate)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장치를 등록(register)하며, 인증된 장치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10)는 가전 기기(home appliances)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120)은 다른 장치 또는 서버(110)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장치(130)는 기기 간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로서 텔레비전, 냉장고, 에어컨, 선풍기, 헤드폰, 진공청소기, 세탁기, 가습기, 가스레인지, 정수기, 오븐 등의 가전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130)는 반드시 가전 제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기 간 통신 기능을 지원하고 서버(110)와 통신할 수 있는 장치는 가전 제품이 아닌 경우라도 제1 장치(130)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장치(130)는 기기 간 통신에 의해 제2 장치(140) 또는 휴대용 단말(1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장치(130)는 제1 장치에 대응되는 태그(예를 들어 QR 코드, NFC 태그,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에 대응되는 태그는 제1 장치에 부착(attached)되거나, 내장(built in)되거나, 무늬형태(pattern form)로 표시될 수 있다. 제1 장치에 대응되는 태그는 제1 장치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장치 주변의 벽, 다른 장치 또는 제1 장치의 사용설명서(User manual)에 부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장치(13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기 간 통신 기능을 활성화(activate)시키거나 비활성화(deactivate)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장치(130)의 특정 버튼을 누름에 따라 제1 장치(130)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을 활성화(activate)시키거나 비활성화(deactivate)시킬 수 있다. 제2 장치(140)는 서버(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제1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장치(13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저장부(230), 태그(240) 및 제어부(25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다른 장치와 기기 간 통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기 간 통신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이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하여 제1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이션 모드(station mode)에 있는 제1 장치(130)는,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 제2 장치(140)에 와이파이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
제1 장치(130)는 입력부(22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제1 장치(130)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20)는 제1 장치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활성화 및 서버 인증 절차의 개시(initiation)을 위한 등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록 버튼은 소프트 키 또는 하드 키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캐시메모리, D램, S램, 플래쉬메모리, 자기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광디스크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제1 장치(130)의 장치 정보, 제1 장치(130)의 디지털 서명 정보,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server public encryption information), 제1 장치의 비밀 암호화 정보(private encryption information) 또는 제1 장치의 공개 암호화 정보(public encryption information)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태그(240)는 제1 장치(130)에 대응되며, 제1 장치(130)에 부착되는 형태로 제1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태그(240)는 QR(Quick Response) 코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바코드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240)는 휴대용 단말(120)이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제1 장치(130)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휴대용 단말이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제1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장치의 맥 주소(Mac Address), 제1 장치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에 필요한 SSID, Password 및 Secure Option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240)는 서버의 URI, 제1 장치의 공개 암호화 정보, CA Signature, 제1 장치의 장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의 공개 암호화 정보는 제1 장치의 공개 키(public key)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휴대용 단말(120)에 제1 장치(130)의 디지털 서명 정보를 전송하고, 디지털 서명 정보에 대한 인증 성공 시에 서버(110)에 의해 휴대용 단말(120)에 전송되는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휴대용 단말(120)로부터 수신하고,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제1 장치(130)의 장치 정보를 서버(110)에 전송하여 등록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입력부(220)에 의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기기 간 통신을 활성화(activate)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제1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제1 장치의 입력부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면 제어부는 통신부를 제어하여 기기 간 통신을 활성화한다(S31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장치의 서버 등록 버튼을 누르면, 제1 장치가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개시한다(AP mode). 휴대용 단말은 제1 장치에 대응되는 태그로부터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제1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에는 제1 장치의 장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장치에 대응되는 태그는, QR 코드, NFC 태그, RFID 태그, 바코드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은 태그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제1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은 제1 장치의 맥 주소(Mac Address), 제1 장치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에 필요한 SSID, Password 및 Secure Option을 이용하여 제1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제1 장치는 기기 간 통신을 통해 휴대용 단말에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20). 휴대용 단말은 제1 장치의 장치 정보 및 디지털 서명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에서는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를 인증하여 그 결과를 휴대용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에서는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에 대한 인증 성공 시에 휴대용 단말에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은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제1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수신한 제1 장치는 암호화한 제1 장치의 장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우선 제1 장치는 기기 간 통신을 비활성화시키고(S340), 제2 장치에 와이파이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S350). 기기 간 통신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종료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Station mode) 제2 장치는 서버에 접속 가능하며, 제1 장치는 제2 장치를 통하여 암호화한 제1 장치의 장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36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120)은 통신부(410), 입력부(420), 카메라부(430), 저장부(440), 표시부(450), 감지부(460) 및 제어부(47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및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영상이나 메시지 등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등을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제1 장치 또는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입력부(420)는 휴대용 단말(120)의 사용자로부터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2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수단으로서, 터치 패널, 마이크, 버튼, 마우스, 리모콘, 조그 휠 또는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20)는 제1 장치(130)에 대응되는 태그(240)를 인식(recognize), 리드(read) 또는 캡쳐(capture)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부(430)는 촬영 또는 화상 통화모드 등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캡쳐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표시부(45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태그(240)에 포함된 정보를 통신부(410) 또는 카메라부(430)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태그는, QR(Quick Response) 코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바코드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40)는 캐시메모리, D램, S램, 플래쉬메모리, 자기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광디스크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40)는 태그(240)로부터 획득한 정보, 제1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1 장치의 검증 결과 또는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440)는 카메라부(430)가 촬영한 QR 코드의 화상 프레임 또는 제어부(470)가 이를 분석하여 얻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4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450)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이미지, 포인터 이미지, 객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450)는 제1 장치(130)에 대응되는 태그(240)를 인식(recognize), 리드(read) 또는 캡쳐(capture)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감지부(460)는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기 위해 여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460)는 예를 들어 지자기 센서, 온도 센서, 기압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속도 센서, 중력 센서, 기울기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디지털 신호처리부(DSP) 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제1 장치(130)로부터 제1 장치(130)의 디지털 서명 정보를 수신하고, 디지털 서명 정보를 서버(110)에 전송하고, 디지털 서명 정보에 대한 인증 성공 시에 서버(110)로부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수신하고,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제1 장치(130)에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70)는 제1 장치(130)에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전송할 때 제2 장치(140)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카메라부(430)가 촬영한 QR 코드의 화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얻고 이를 저장하도록 저장부(4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이 제1 장치의 서버 등록을 지원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휴대용 단말은 제1 장치에 대응되는 태그로부터,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제1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10).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제1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제1 장치의 공개 암호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에 대응되는 태그는 QR 코드, NFC 태그, RFID 태그, 바코드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은 제1 장치에 대응되는 태그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제1 장치에 접속한 휴대용 단말은,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제1 장치로부터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20).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은 수신한 디지털 서명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530).
서버에서는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를 인증하여 그 결과를 휴대용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은 디지털 서명 정보에 대한 인증 성공 시에 서버로부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40). 휴대용 단말은 제1 장치의 공개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S550). 휴대용 단말은 암호화한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제1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S560).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제1 장치에 전송할 때에 제2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제2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제2 장치의 SSID, Password, Secure Option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제1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사용자가 제1 장치의 등록 버튼을 누르면, 제1 장치는 모드 전환을 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AP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S605).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제1 장치에 대응되는 태그의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용 단말의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제1 장치에 부착된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S610). 태그의 정보를 읽는 것은 QR 코드의 스캔만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휴대용 단말의 통신부를 이용하여 제1 장치에 부착된 NFC 태그를 리드(read)하는 것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장치에 대응되는 태그를 리드하여 획득할 수 있는 정보는 제1 장치의 장치 정보 및 제1 장치의 공개 암호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615). 제1 장치의 장치 정보는 제1 장치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의 공개 암호화 정보는 제1 장치의 공개 키(public key)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에 대응되는 태그를 리드하여 획득할 수 있는 정보는 제1 장치와의 기기 간 통신에 필요한 SSID, Password 그리고 Secure Option, 서버의 URI, CA Signatur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등록 버튼을 누르고 QR 코드를 스캔하는 두 가지 동작에 의해 제1 장치의 인증 절차가 트리거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은, 제1 장치의 인증 절차가 트리거되면, 제1 장치에 대응되는 태그로부터 읽어들인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은 태그로부터 읽어들인 SSID, Password 그리고 Secure Option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WiFi를 통해 제1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S620). 제1 장치는 제1 장치의 비밀 키(Private Key)로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Digital Signature Information)를 암호화하고 WiFi를 통해 암호화한 디지털 서명 정보를 휴대용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625). 상기 디지털 서명 정보는 장치 서명(Device Signatur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은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3G/LTE 등의 이동통신망이 사용될 수 있고(S630), 서버와 휴대용 단말이 보안 채널(Secure Channel)로 연결될 수 있다. 서버에 접속한 휴대용 단말은 제1 장치의 장치 정보 및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635).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는, 예를 들어 CA Signature와 장치 서명(Device Signatur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의 장치 정보 및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를 수신한 서버는 상기 정보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S640). 제1 장치의 장치 정보 및 제1 장치의 서버 정보를 수신한 서버는 검증 결과를 휴대용 단말에 전송한다. 만약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에 대한 인증이 성공하면, 검증 결과(Validation Result)와 함께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전송한다(S645).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는 서버 공개 키(server public key)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CA Signature, 제1 장치의 검증 결과 그리고 서버 공개 키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은 제2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제1 장치의 공개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encrypt)한 후 제1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S650). 제2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SSID, Password, Secure Option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로부터 암호화된 정보를 수신한 제1 장치는 제1 장치의 비밀 암호화 정보(private encrypt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수신한 정보를 복호(Decrypt)할 수 있다. 제1 장치의 비밀 암호화 정보는 제1 장치의 비밀 키(private key)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복호한 제1 장치는 기기 간 통신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치는 모드 전환을 하여 스테이션(Station)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S655). 모드 전환 후 제1 장치는, 제2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S660). 제2 장치에 접속한 제1 장치는,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로 암호화한 제1 장치의 장치 정보를 제2 장치를 통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665). 암호화한 제1 장치의 장치 정보를 수신한 서버는 수신한 정보를 복호(decrypt)하여 제1 장치를 등록한다(S670). 제1 장치를 등록한 서버는 제1 장치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가 가전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고 제1 장치가 가전 기기인 경우, 상기 서버는 제1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상태를 보고받고 그에 상응하는 명령(command)을 제1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110 : 서버 120 : 휴대용 단말
130 : 제1 장치 140 : 제2 장치
210 : 통신부 220 : 입력부
230 : 저장부 240 : 태그
250 : 제어부 410 : 통신부
420 : 입력부 430 : 카메라부
440 : 저장부 450 : 표시부
460 : 감지부 470 : 제어부

Claims (20)

  1. 기기 간 통신(device-to-device)이 가능한 제1 장치가 서버에 등록(register)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통신을 통해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에 상기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digital signature information)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서명 정보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 성공 시에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전송되는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server public encryption information)를 상기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상기 제1 장치의 장치 정보(device information)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제1 장치의 서버 등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서명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기기 간 통신을 활성화(activat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제1 장치의 서버 등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통신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제1 장치의 서버 등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제1 장치에 대응되는 태그로부터, 상기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장치에 접속(connect)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제1 장치의 서버 등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바코드(barcode)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제1 장치의 서버 등록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암호화한 상기 제1 장치의 장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 간 통신을 비활성화(deactivate)하는 단계;
    상기 제2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및
    암호화한 상기 제1 장치의 장치 정보를 상기 제2 장치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제1 장치의 서버 등록 방법.
  7.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제1 장치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과 기기 간 통신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휴대용 단말에 상기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서명 정보에 대한 인증 성공 시에 서버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전송되는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상기 제1 장치의 장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기기 간 통신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제1 장치에 대응되는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이 상기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제1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상기 태그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QR(Quick Response) 코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바코드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장치.
  11. 휴대용 단말이 제1 장치의 서버 등록을 지원(support)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서명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서명 정보에 대한 인증 성공 시에 상기 서버로부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등록 지원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서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장치에 대응되는 태그로부터, 상기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등록 지원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QR 코드, NFC 태그, RFID 태그, 바코드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등록 지원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제1 장치와 각각 통신할 수 있는 제2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상기 제1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등록 지원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공개 암호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장치의 상기 공개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등록 지원 방법.
  16. 휴대용 단말에 있어서,
    제1 장치 또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장치의 디지털 서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서명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서명 정보에 대한 인증 성공 시에 상기 서버로부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제1 장치에 대응되는 태그로부터 상기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QR(Quick Response) 코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바코드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전송할 때, 상기 서버 및 상기 제1 장치와 각각 통신할 수 있는 제2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제1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공개 암호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전송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장치의 상기 공개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공개 암호화 정보를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KR1020130157442A 2013-12-17 2013-12-17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36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442A KR102136543B1 (ko) 2013-12-17 2013-12-17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EP17178229.5A EP3247143B1 (en) 2013-12-17 2014-12-02 Registering a device capable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server
EP14195769.6A EP2887718B1 (en) 2013-12-17 2014-12-02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devices capable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server
US14/557,921 US9509515B2 (en) 2013-12-17 2014-12-02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devices capable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ser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442A KR102136543B1 (ko) 2013-12-17 2013-12-17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813A true KR20150070813A (ko) 2015-06-25
KR102136543B1 KR102136543B1 (ko) 2020-08-13

Family

ID=5201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442A KR102136543B1 (ko) 2013-12-17 2013-12-17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09515B2 (ko)
EP (2) EP3247143B1 (ko)
KR (1) KR1021365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1397A (ko) * 2016-02-01 201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WO2023120885A1 (ko) * 2021-12-20 2023-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외선 송신을 통한 기기 인증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6390B (zh) * 2013-10-30 2020-03-03 三星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网络中执行设备到设备通信的方法和装置
CN106488379A (zh) * 2015-08-24 2017-03-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接入无线网络的设备及方法
CN105246128B (zh) * 2015-10-20 2017-07-2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的组网方法及装置
GB2559085B (en) * 2015-12-07 2021-02-17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secure wireless connection for a provisioning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JP6827773B2 (ja) * 2016-01-18 2021-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04738B2 (ja) * 2016-01-26 2020-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425450B2 (en) * 2016-02-27 2019-09-24 Ofinno, Llc Mission critical communications
EP3253095B1 (en) * 2016-05-31 2020-04-08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An iot-enabled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ot device
KR102314690B1 (ko) 2017-04-11 2021-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US10547613B1 (en) * 2017-05-17 2020-01-28 Amazon Technologies, Inc. Simplified association of devices with a network using unique codes on the devices and side channel communication
CN109905877B (zh) 2017-12-08 2020-11-1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通信网络系统的消息验证方法、通信方法和通信网络系统
CN108055284B (zh) * 2018-01-05 2021-06-04 上海大学 一种基于Wi-Fi Direct的D2D链路上的数据转发方法
US11777715B2 (en) * 2019-05-15 2023-10-03 Amir Keyvan Khandani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hared secrets
US11197071B2 (en) * 2019-10-24 2021-12-07 Sling Media Pvt Ltd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media device communications configuration
US20220311881A1 (en) * 2021-03-24 2022-09-29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1774A1 (en) * 2005-01-14 2006-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between device with small computational resources and device using public key
KR20090065336A (ko) * 2007-12-17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바이스 인증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12439A (ko) * 2008-07-29 2010-02-08 주식회사 케이티 스마트 카드 인증서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00043082A (ko) * 2007-08-21 2010-04-27 소니 주식회사 홈 시스템 오디오-비디오 장치의 니어 필드 등록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131B1 (ko) * 2004-12-09 200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위한 보안장치 및 그의 보안 설정 방법
KR100740197B1 (ko) * 2005-02-18 200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태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위치 인식 시스템 및 홈 서버
US20110150266A1 (en) 2009-12-22 2011-06-23 Dirk Hohndel Automated security control using encoded security information
US8224246B2 (en) * 2010-05-10 2012-07-17 Nokia Corporation Device to device connection setup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
US20120203695A1 (en) 2011-02-09 2012-08-09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secure transactions
US20130046695A1 (en) 2011-08-19 2013-02-2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Energy Management Between a Utility Provider and a Consumer
KR101844211B1 (ko) * 2011-12-28 201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설정 방법
US9232391B2 (en) * 2012-05-07 2016-01-0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uthentication system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authentication method therefor
WO2014011453A2 (en) * 2012-07-09 2014-01-16 Jvl Ventures, Ll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ntegrating third party services with a mobile wall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1774A1 (en) * 2005-01-14 2006-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between device with small computational resources and device using public key
KR20100043082A (ko) * 2007-08-21 2010-04-27 소니 주식회사 홈 시스템 오디오-비디오 장치의 니어 필드 등록
US20130145163A1 (en) * 2007-08-21 2013-06-06 Sony Corporation Near field registration of home system audio-video device
KR20090065336A (ko) * 2007-12-17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바이스 인증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12439A (ko) * 2008-07-29 2010-02-08 주식회사 케이티 스마트 카드 인증서 관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1397A (ko) * 2016-02-01 201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WO2023120885A1 (ko) * 2021-12-20 2023-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외선 송신을 통한 기기 인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87718B1 (en) 2017-06-28
KR102136543B1 (ko) 2020-08-13
US9509515B2 (en) 2016-11-29
US20150172061A1 (en) 2015-06-18
EP3247143B1 (en) 2018-08-29
EP3247143A1 (en) 2017-11-22
EP2887718A1 (en)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543B1 (ko)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JP6211011B2 (ja)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のセンサベースの設定および制御
KR102524542B1 (ko) 자동 무선 네트워크 인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467422B2 (ja) ユーザデバイスの制御権限を決定する方法、装置及び端末デバイス
KR101502249B1 (ko) 디바이스 통신
KR101769895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방법, 이를 수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79422B1 (ko) 와이파이 핫스팟 연결 방법 및 단말
KR20120096787A (ko) 모바일 장치 인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모바일 장치 인증 시스템
JP5030681B2 (ja) 機器設定装置、ネットワーク機器、機器名設定方法および機器名設定プログラム
CN104869612A (zh) 接入网络的方法及装置
WO2015027712A1 (zh) 移动终端连接网络的方法、移动终端与终端设备
US20180020492A1 (en) Dynamic provisioning of unique identifier for establishing peer-to-peer connection
JP2014060623A (ja) 無線接続システム
KR20150126495A (ko)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80165671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accessing access point of wireless lan
US100098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electronic device having hot spot function
KR101395289B1 (ko) 인터넷을 통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의 서버 인증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증장치
JP2013085050A (ja) 無線接続方法ならびに装置および端末
KR20090063459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인증 방법과 이를 이용한단말기 및 시스템
KR10239088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
KR20160139141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이용 방법.
EP2926520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ccessing a server
KR20230072205A (ko) 가전 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JP6064709B2 (ja)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28456A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