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296A -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296A
KR20170090296A KR1020160010971A KR20160010971A KR20170090296A KR 20170090296 A KR20170090296 A KR 20170090296A KR 1020160010971 A KR1020160010971 A KR 1020160010971A KR 20160010971 A KR20160010971 A KR 20160010971A KR 20170090296 A KR20170090296 A KR 20170090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walking
course
information
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원
박유진
Original Assignee
김세원
박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원, 박유진 filed Critical 김세원
Priority to KR1020160010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0296A/ko
Publication of KR20170090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4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에 적합한 산책코스를 추천받아 산책시킬 수 있게 하는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애완동물 정보에 대응되는 활동량 정보와, 활동량에 대응되는 애완동물 산책코스를 포함한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서버에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지리적 위치 획득수단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20)에서 사전에 애완동물 정보를 상기 서버(10)에 등록한 후,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시에 상기 서버(10)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 또는 스마트 단말기(20)의 사용자가 지정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사전 등록한 애완동물 정보에 대응되는 활동량을 줄 수 있는 주변 산책코스를 추천받아 전자지도 상에 표출 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MANAGEMENT SYSTEM AND APPLICATION FOR WALKING PET}
본 발명은 애완동물에 적합한 산책코스를 추천받아 산책시킬 수 있게 하는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은 사람과 함께 살며 애정을 갖고 키워 가족의 일원으로 생각하는 반려동물로서, 최근 1일 가구의 증가에 따라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도 활성화되고 있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애완동물 건강관리를 소홀히 하는 사람이 많다.
특히, 애완동물을 키울 시에 집에 혼자 두는 시간이 많아, 과체중 및 비만이 문제되어 건강을 해치는 경우가 있다.
대한애견협회에 따르면, 현재 국내 반려건 중에 비만견의 비중이 30%로 추정되어 약 450만 마리에 이르며, 그 수치도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고 한다.
이에, 애완동물의 체중 관리를 위시한 건강관리 방법이 요구되지만,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대부분 건강관리 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애완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여만 하였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애완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도 개발되었다.
그렇지만, 종래기술들은 단순 정보 공유, 건강 상담, 활동량 측정, 유실 방지 등에 치우치고 있고, 실질적으로 체중 관리 즉 다이어트를 위해 필수적인 산책 관리 서비스에 대한 기술은 누락되었다.
더욱이, 애완동물을 산책시키기에 적합한 산책코스가 실제 현실에서는 매우 제한적인 상황에서, 애완동물의 종류, 품종, 나이 또는 현재 체중에 적합한 산책코스를 정하는 것은 개개인 입장에서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에, 애완동물 체중 관리를 위해 적합한 산책코스를 보다 쉽게 찾아 산책시킬 수 있게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KR 10-2015-0115028 A 2015.10.14. KR 10-2015-0133978 A 2015.12.01.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애완동물에 맞는 주변 산책코스를 보다 쉽게 제공받아 애완동물을 산책시켜 건강관리에 만전을 기할 수 있는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종류, 품종, 나이 및 체중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완동물 정보에 대응되는 활동량 정보와, 활동량에 대응되는 애완동물 산책코스를 포함한 산책코스 관련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며, 스마트 단말기(20)의 요청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20)의 주변에 대응되는 산책코스를 추천하는 서버(10); 지리적 위치 획득수단을 구비하며, 사전에 애완동물 정보를 상기 서버(10)에 등록한 후,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시에 상기 서버(10)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 또는 스마트 단말기(20)의 사용자가 지정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사전 등록한 애완동물 정보에 대응되는 활동량을 줄 수 있는 주변 산책코스를 추천받아 전자지도 상에 표출하는 스마트 단말기(2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10)는 산책 이후 애완동물 마사지 방법 또는 요가 방법을 포함하는 산책 후 조치를 알려주는 산책 후 조치 동영상이 애완동물 정보에 대응되게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20)는 산책 종료를 상기 서버(10)에 통지하여 사전 등록한 애완동물 정보에 대응되는 산책 후 조치 동영상을 다운받아 화면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20)는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시의 산책코스, 산책코스에 대한 산책 소요시간 및 사용자 메모를 포함하는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시에 획득하여 상기 서버(10)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10)는 기존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20)로부터 전송받은 산책코스 관련 정보에 따라 신설, 수정 또는 갱신함을 특징으로 한다.
애완동물에 착용되어 애완동물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애완동물 단말기(30)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20)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애완동물 단말기(30)로부터 산책 이전 활동량을 수신한 후, 산책 이전 활동량을 감안하여 필요 활동량에 대응되는 산책코스를 상기 서버(10)로부터 추천받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20)는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시의 산책코스, 산책시킬 시의 애완동물 활동량, 및 산책 소요시간을 산책코스 관련 정보로 하여 산책시킬 시에 획득한 후 상기 서버(10)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10)는 전송받은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산책코스를 추천할 시에 활동량에 근거하여 추천함을 특징으로 한다.
산책코스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20)는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시에 구간별 산책 소요시간과, 구간별 애완동물 활동량과, 구간별 산책로 유형, 구간별 위험요소 유무, 구간별 위험요소 유형 및 구간별 체류 추천 여부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간별 사용자 메모를 포함한 구간별 정보를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시에 획득하여 산책코스 관련 정보에 포함시키며, 상기 서버(10)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20)로부터 전송받은 구간별 정보에 따라 각각의 구간을 상호 연계시켜 활동량에 맞는 산책코스를 획득 및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추천한 산책코스 중에 선택된 산책코스의 각 구간에 대응되는 구간별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20)에 전송하여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시에 안내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드웨어인 스마트 단말기(20)와 결합되어 애완동물 산책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정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상기 산책 관리 방법은 종류, 품종, 나이 및 체중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완동물 정보를 서버(10)에 등록하는 등록 요청 단계; 애완동물 활동량을 측정하는 애완동물 단말기(30)와 근거리 무선통신하여 산책 이전 활동량을 획득하는 활동량 체크 단계; 산책 이전 활동량에 근거한 필요 활동량에 대응되며 스마트 단말기(20)의 주변에 있는 산책코스를 서버(10)로부터 추천받는 코스 요청/선택 단계;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시에 이동 경로에 따라 산책코스를 획득하고, 산책코스의 구간별 애완동물 활동량 및 소요시간과, 구간별 산책로 유형, 구간별 위험요소 유무, 구간별 위험요소 유형 및 구간별 체류 추천 여부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사용자 메모를 포함하는 구간별 정보를 획득하는 산책 모니터링 단계; 및 산책 이후, 구간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10)에서 각각의 구간을 상호 연계시킨 산책코스를 획득 및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게 하는 결과 등록 요청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애완동물 정보 및 적정 활동량에 맞는 주변 산책코스를 추천받아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수 있으므로, 인간과 의사소통하지 못하는 애완동물이라서 상태 파악이 어렵더라도 건강관리, 특히, 체중관리에 적합한 코스를 쉽고 간편하게 추천받아 산책시킬 수 있으며, 이에, 무리한 산택에 의해 건강을 해치는 일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로 애완동물을 산책시킨 코스에 대한 정보를 상호 공유하여, 시스템 운용을 계속할수록 더욱 적합한 산책코스를 추천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애완동물 산책 관리 방법의 동작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애완동물'은 반려동물이라고도 할 수 있고, 통상의 애완동물 중에 산책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로 한정되며, 개(또는 강아지)를 예로 들 수 있고, 다른 예로 고양이도 될 수 있다. 또한, '산책'이라 함은 애완동물의 주인이 애완동물과 동행하여 산책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하는 도면이며, 도 1에는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은 전자지도 상에 표출할 수 있는 애완동물 산책코스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스마트 단말기(20)의 요청에 응답하여 산책코스를 추천하는 서버(10)와, 서버(10)에 접속하여 주변의 산책코스를 추천받아 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후 추천받은 산책코스를 전자지도 상에 표출한 화면을 터시스크린에 출력하여 스마트 단말기(20) 소유자에게 보여주고 추천 산책코스를 따라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애완동물 산책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애완동물에 착용시켜 애완동물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애완동물 단말기(30)를 더욱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20)는 애완동물의 활동량에 따라 적정 산책코스를 추천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기(10)를 휴대한 소유자가 자신의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시에 이동경로에 따른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서버(10)는 스마트 단말기(20)에서 획득한 산책코스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산책코스를 신설, 갱신 또는 수정할 수 있고, 산책 이후 수행할 마무리 정보도 스마트 단말기(20)에게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애완동물 단말기(30)는 예들 들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완동물의 목줄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스마트 단말기(20)와 근거리 무선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33)과,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32)와, 감지한 움직임에 따라 애완동물의 활동량을 산정 및 누적하여 스마트 단말기(20)로부터 조회 요청받을 시에 누적 활동량을 스마트 단말기(20)에게 전송하도록 제어 동작하는 마이컴(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33)은 후술하는 스마트 단말기(20)의 근거리 통신모듈(25)과 무선 연결하기 위한 것이면 되며, 스마트 단말기(20)는 근거리 통신모듈(25)로서 통상적으로 블루투스 통신모듈로 구성되므로, 애완동물 단말기(30)의 근거리 통신모듈(33)도 블루투스 통신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32)는 통상적으로 스마트 단말기(20)에 구비되는 가속도센서 또는 자이로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마이컴(31)은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32)로 감지한 애완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애완동물의 활동량을 산정 및 누적할 시에, 활동량 조회 요청을 받음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20)에게 누적 활동량을 전송한 이후 누적 산정량을 "0"으로 초기화하고 누적을 재시작하여서, 이전 전송 시점부터 현재 전송 시점까지의 기간을 누적 산정기간으로 한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애완동물 단말기(30)는 동작에 필요한 전원(예를 들어, 1차전지 또는 2차전지)를 구비한다.
도면에는 스마트 단말기(20)를 1개만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애완동물 산책 관리 서비스를 받기 원하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20)일 수 있고, 각 스마트 단말기(20)에는 애완동물 단말기(30)가 적어도 하나씩 매칭되며, 하나의 스마트 단말기(20)에 복수개 애완동물 단말기(30)가 매칭된 경우, 애완동물별로 구분하여 등록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20)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사용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통신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 통신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연계된 상기 서버(10)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예로 들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로서, 터치 입력과 화면 출력으로 사용자인터페이스(UI)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스크린(22), 음향신호를 공기 중 음파로 출력하는 스피커(23), 각종 정보, 데이터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미도시),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는 지리적 위치 획득수단(24),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미도시),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모듈(26),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25), 시간 체크 수단(미도시) 등의 자원을 구비하며, 구비된 자원을 활용하여 통신망을 통한 통화 기능 및 무선 인터넷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시에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도 구비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산책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실행되는 구성요소로서 애플리케이션 실행부(21)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통상적인 스마트 단말기처럼, 상기 지리적 위치 획득수단(24)은 GPS, WiFi, 또는 통신망 기지국을 통해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부(21)에서 실행시킬 애완동물 산책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하드웨어인 스마트 단말기(20)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애플리케이션 설치 방식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20)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후 애플리케이션 실행부(21,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읽어들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애완동물 산책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후술하는 등록 요청 단계, 활동량 체크 단계, 코스 요청/선택 단계, 산책 모니터링 단계, 결과 등록 요청 단계 및 마무리 조치 단계를 포함한 애완동물 산책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언어를 이용하여 작성된 프로그램이고,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 단말기(20)와 결합되어 각 단계의 실행을 위해 필요한 스마트 단말기(20)의 자원을 활용하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도 3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상기 서버(10)는 스마트 단말기(20)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요청하는 바에 따라 동작하는 서버로서, 등록 요청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20)의 소유자가 키우는 애완동물의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관리부(11),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2), 스마트 단말기(20)의 코스 추천/선택 단계에 따라 산책코스를 요청받을 시에 저장부(12)의 산책코스 관련 정보 중에 적합한 산책코스를 추천하는 코스 추천부(13), 스마트 단말기(20)의 모니터링 단계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생성된 산책 결과를 전송받아 회원별 산책이력을 관리하는 산책이력 관리부(14), 스마트 단말기(20)의 산책 결과에 따라 저장부(12)의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갱신, 수정 또는 신설하는 코스 갱신부(15)를 포함한다.
상기 등록 관리부(11)에 의해 등록 관리하는 애완동물 정보는 애완동물의 종류, 품종, 성별, 나이, 체중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예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2)의 산책코스 관련 정보는 전자지도 상에 표출 가능한 지역별 산책코스, 산책코스의 길이, 산책코스를 완주하는 데 소요되는 소요시간, 산책코스를 완주할 시의 애완동물 활동량, 및 각 산책코스에 대한 구간별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산책코스는 미리 정한 길이, 방향 전환 또는 산책로 유형(보도블록, 비포장 인도, 오솔길, 잔디, 공원, 골목길, 광장 등) 변화 등의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뉜다.
그리고, 상기 구간별 정보는 구간의 길이, 그 구간을 산책할 시의 소요시간, 그 구간을 산책할 시의 애완동물 활동량, 산책로 유형, 위험요소 유무, 위험요소 유형, 체류 추천 여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산책코스 관련 정보는 스마트 단말기(20)에 의해 신설, 수정 또는 갱신되고, 산책로 유형, 위험요소 유무, 위험요소 유형, 체류 추천 여부는 서버를 구축할 시에 현장 답사하여 정할 수 있으나, 스마트 단말기(20)에서 소유자가 입력하는 사용자 메모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2)에는 애완동물 정보에 맞는 활동량(예를 들어 일일동안 추천하는 활동량)도 애완동물 정보에 대응되게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다. 즉, 애완동물 정보가 지정될 시에 해당되는 애완동물에 필요한 활동량을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한 데이터 테이블에 근거하여 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산책코스는 활동량이 대응되게 데이터베이화되어 있어, 정한 활동량에 대응되는 산책코스를 검색할 수 있다.
애완동물은 양질의 음식을 제공하면서 활동량이 적으면 과체중 또는 비만에 이르게 되므로, 종류, 품종, 성별, 나이, 체중 등에 따라 일일 활동량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애완동물 정보에 맞는 적정 활동량을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애완동물 정보에 맞는 활동량을 선정한 후 선정한 활동량에 맞는 산책코스를 정하게 한다.
한편, 산책 이후 애완동물 마시지 방법 또는 요가 방법을 포함하는 산책 후 조치를 알려주는 동영상, 즉, 산책 후 조치 동영상도 애완동물 정보에 대응되게 데이터베이화된다.
상기 코스 추천부(13)는 스마트 단말기(20)의 위치 또는 스마트 단말기(20) 소유자가 지정한 위치의 주변에 있는 산책코스 중에 필요한 활동량에 맞는 산책코스를 검색 및 추천한다.
상기 산책이력 관리부(14)는 스마트 단말기(20)로부터 결과 등록 요청을 받을 시에 산책 결과를 회원의 애완동물에 매칭시켜 이력 관리한다.
상기 코스 갱신부(15)는 스마트 단말기(20)로부터 전송받는 산책 결과에 근거하여 저장부(12)의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수정 또는 갱신하거나 새로운 산책코스 관련 정보로 신설한다.
이하, 스마트 단말기(20), 애완동물 단말기(30) 및 서버(10)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며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지는 애완동물 산책 관리 방법의 동작 순서도로서, 스마트 단말기(20)에서 설치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순서(애완동물 산택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사용 순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애완동물 산책 관리 방법은 등록 요청 단계(S11), 활동량 체크 단계(S21), 코스 요청/선택 단계(S31, S33), 산책 모니터링 단계(S41), 결과 등록 요청 단계(S51) 및 마무리 조치 단계(S62)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등록 요청 단계(S11)는 스마트 단말기(20)의 소유자가 키우는 애완동물의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서버(10)에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는 단계이다. 이때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는 애완동물 정보는 종류, 품종, 나이 및 체중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활동량 체크 단계(S21)는 애완동물 단말기(30)에게 활동량의 전송(S22)을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요청하여 애완동물의 활동량을 획득하는 단계이다.
이때, 애완동물 단말기(30)는 움직임 감지센서(32)를 이용하여 실시간 측정하여 누적한 활동량을 전송하되, 누적 활동량을 전송한 이후 곧바로 누적량을 '0'으로 셋팅하고 다시 누적한다. 즉, 이전 활동량 전송 요청을 수락하는 시점부터 현재 활동량 전송 요청을 수락하는 시점까지 누적한 활동량을 전송하고, 활동량 체크 단계(S21)는 산책시키기 전에 수행하는 것이므로, 이때 획득하는 활동량은 실질적으로 산책 이전 활동량이 된다. 한편, 애완동물 산책은 당일에 1회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으므로, 날짜 변경하는 시점에 누적 활동량을 '0'으로 초기화 셋팅하는 것도 좋다.
코스 요청/선택 단계(S31, S33)는 산책 이전 활동량 및 스마트 단말기(20)의 위치를 상기 서버(10)에 전송하면서 산책코스의 추천을 요청한 이후, 상기 서버(10)에서 검색하여 추천한 산책코스를 전송받아(S32), 추천받은 산책코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S33).
여기서 추천받는 산책코스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필요 활동량에 근접할수록 또는 거리적으로 근접할수록 우선순위를 주는 것이 좋다.
그리고, 산책코스를 선택하면 선택한 산책코스에 대응되는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상기 서버(10)로부터 받게 되며, 이에, 산책코스 관련 정보에 포함된 산책코스를 전자지도 상에 표출하고 총 소요시간 및 총 활동량을 보여주는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산책코스 관련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간별 정보를 포함하므로, 구간별 정보를 화면에 추가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 서버(10)에서 검색 및 추천하는 산책코스는 스마트 단말기(20)의 위치(지리적 위치 획득수단으로 획득한 현재 위치 또는 소유자가 지정한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에 존재하는 산책코스 중에 검색한 것이며, 동시에, 사전 등록한 애완동물 정보에 매칭되고, 산책 이전 활동량에 근거한 필요 활동량에 대응되는 것이다. 즉, 사전 등록한 애완동물 정보에 대응되는 활동량에서 산책 이전 활동량을 감산하여 산책 이전 활동량을 감안한 필요 활동량을 얻고, 산책할 시에 필요 활동량이 발생하는 산책코스를 추천한다.
산책 모니터링 단계(S41)는 스마트 단말기(20)의 소유자가 자신의 애완동물, 즉, 사전 등록한 애완동물을 동행하며 산책하는 중에 산책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산책하는 산책코스는 서버로부터 추천받아 선택한 산책코스가 아닐 수도 있으며, 만약 추천받아 선택한 산책코스일 경우 산책코스 관련 정보에 따라 길안내를 한다. 예를 들어, 산책코스를 따라 산책할 시에 지리적 위치 획득수단(24)으로 위치 확인하여 산책코스의 각 구간의 시작점 또는 통과시점에 맞춰 해당되는 구간정보를 터치스크린 또는 스피커로 안내(내비게이션)하며, 이에, 위험요소 유무, 위험요소 유형, 체류 추천 여부 등을 인지하며 산책시킬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 단말기(20)의 소유자는 추천받아 선택한 산책코스를 이용하지 아니할 수 있다. 즉, 선택한 산택코스에 대응되는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참조하기만 하고, 실제 산책코스는 소유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책 모니터링 단계(S41)는 추천받아 선택한 산책코스이든 아니면 소유자가 선택한 임의의 산책코스이든, 산책 시작 및 산책 종료를 선택하는 입력키 조작을 터치스크린으로 하게 한다.
그리고, 애완동물을 산책시키는 중에 지리적 위치 획득수단(24)으로 위치 파악하여 이동 경로에 따라 산책코스(전자지도에 표출 가능한 전자적 지리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산책코스)를 획득하고, 동시에, 산책코스에 대한 구간별 산책 소요시간 및 구간별 애완동물 활동량을 획득하며, 산책로 유형, 위험요소 유무, 위험요소 유형 및 체류 추천 여부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간별 사용자 메모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될 시에 이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둔다.
즉, 산책시키고 있는 산책코스에 대해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생성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애완동물 단말기(30)는 애완동물 활동량을 누적 적산하고, 전송 요청을 받는 시점까지 적산한 활동량을 전송하되, 전송과 동시에 적산량을 초기화하므로, 구간이 끝나는 시점마다 활동량을 요청하면 구간별 활동량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구간별 사용자 메모는 산책 중에 사람이 확인하여 입력하는 것이므로, 산책코스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공사중 또는 장애물 놓임 등으로 상황 변화가 있을 시에 이를 반영할 수도 있으며, 산책로로서 회피할 구간으로 지정되도록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선호하는 구간 또는 애완 동물을 한동안 뛰어 놀도록 체류시키기에 적합한 구간으로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산책 모니터링 단계(S41)는 산책 종류를 터치스크린에 입력할 시에 종료된다.
결과 등록 요청 단계(S51)는 산책 종료 시점에서, 산책코스 전구간에 대한 총 소요시간 및 총 활동량을 구간별 정보에 근거하여 산정함으로써,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완성하고, 이때 완성한 산책코스 관련 정보로 이루어지는 산책 결과를 서버(10)에 전송하여 회원 등록정보에 매칭시켜 등록하게 하며(S52), 아울러, 데이터베이스화된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게 한다(S53).
즉, 서버(10)는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전송받으면 대응되는 사전 등록된 회원의 애완동물 정보에 매칭시켜 이력 관리한다. 물론, 산책 이력은 스마트 단말기(20)에서 조회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서버(10)는 산책코스 관련 정보에 포함된 산책코스, 총 소요시간, 총 활동량 및 구간별 정보를 그대로 반영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20)로부터 획득한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산책코스 추천 시에 활동량 및 위치에 근거하여 추천할 수 있게 한다. 즉, 공용으로 활용한다.
한편, 전송받은 산책코스 관련 정보의 산책코스가 기존에 데이터베이화되어 있으면, 총 소요시간, 총 활동량 및 구간별 정보를 갱신 또는 수정한다. 예를 들어 소요시간 및 활동량은 전송받은 값과 기존 값과의 평균으로 바꾼다.
또한, 서버(10)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20)로부터 전송받게 되는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취합하여 각각 산책코스를 구간별로 분리한 후 구간별 정보에 따라 각각의 구간을 상호 연계시켜 활동량이 다른 새로운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획득한 후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얻는다. 즉, 복수의 구간별 정보를 얻었으므로, 서로 이어지는 구간끼리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새로운 산책코스를 생성한다. 물론, 상호 연계시킨 구간에 대한 구간별 정보는 인계되어 새롭게 생성하는 산책코스 관련 정보에 포함된다.
여기서, 상호 연계시키는 구간은 위험 구간 또는 회피 구간으로 된 구간을 제외하고, 체류 추천 구간 또는 선호 구간을 우선적으로 채택하여 새로 획득하는 각 산택코스 관련 정보의 산책코스에 포함되게 한다.
한편, 서로 다른 산책코스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구간에 대해서는, 구간별 정보를 평균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송받은 구간별 정보의 구간이 기존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면, 구간별 소요시간, 구간별 활동량 및 사용자 메모를 갱신 또는 수정한다. 예를 들어 구간별 소요시간 및 구간별 활동량은 전송받은 값과 기존 값과의 평균으로 바꾼다.
다른 한편으로, 전송받은 산책코스 관련 정보 또는 복수의 구간을 연계하여 새롭게 생성한 산책코스 관련 정보는 사전 등록한 애완동물 정보와 매칭시켜, 대응되는 애완동물 정보에 대한 산책코스의 추천에 사용되게 한다.
마무리 조치 단계(S62)는 서버(10)에 의해 안내받는(S61) 산책 후 마무리 조치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산책 후 마무리는 애완동물 마사지 또는 요가로 이루어지며, 이에, 서버(10)는 사전 등록한 애완동물 정보에 맞는 마시지 방법을 알려주는 동영상 또는 요가시키는 방법을 알려주는 동영상을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기(20)는 전송받는 동영상을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서버
11 : 회원 관리부 12 : 저장부
13 : 코스 추천부 14 : 산책이력 관리부
15 : 코스 갱신부
20 : 스마트 단말기
21 :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22 : 터치스크린
23 : 스피커 24 : 지리적 위치 획득수단
25 : 근거리 통신모듈 26 : 통신모듈
30 : 애완동물 단말기
31 : 마이컴 32 : 움직임 감지센서
33 : 근거리 통신모듈

Claims (7)

  1. 종류, 품종, 나이 및 체중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완동물 정보에 대응되는 활동량 정보와, 활동량에 대응되는 애완동물 산책코스를 포함한 산책코스 관련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며, 스마트 단말기(20)의 요청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20)의 주변에 대응되는 산책코스를 추천하는 서버(10);
    지리적 위치 획득수단을 구비하며, 사전에 애완동물 정보를 상기 서버(10)에 등록한 후,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시에 상기 서버(10)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 또는 스마트 단말기(20)의 사용자가 지정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사전 등록한 애완동물 정보에 대응되는 활동량을 줄 수 있는 주변 산책코스를 추천받아 전자지도 상에 표출하는 스마트 단말기(2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0)는 산책 이후 애완동물 마사지 방법 또는 요가 방법을 포함하는 산책 후 조치를 알려주는 산책 후 조치 동영상이 애완동물 정보에 대응되게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20)는 산책 종료를 상기 서버(10)에 통지하여 사전 등록한 애완동물 정보에 대응되는 산책 후 조치 동영상을 다운받아 화면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는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시의 산책코스, 산책코스에 대한 산책 소요시간 및 사용자 메모를 포함하는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시에 획득하여 상기 서버(10)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10)는 기존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20)로부터 전송받은 산책코스 관련 정보에 따라 신설, 수정 또는 갱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애완동물에 착용되어 애완동물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애완동물 단말기(30)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20)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애완동물 단말기(30)로부터 산책 이전 활동량을 수신한 후, 산책 이전 활동량을 감안하여 필요 활동량에 대응되는 산책코스를 상기 서버(10)로부터 추천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는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시의 산책코스, 산책시킬 시의 애완동물 활동량, 및 산책 소요시간을 산책코스 관련 정보로 하여 산책시킬 시에 획득한 후 상기 서버(10)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10)는 전송받은 산책코스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산책코스를 추천할 시에 활동량에 근거하여 추천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산책코스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20)는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시에 구간별 산책 소요시간과, 구간별 애완동물 활동량과, 구간별 산책로 유형, 구간별 위험요소 유무, 구간별 위험요소 유형 및 구간별 체류 추천 여부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간별 사용자 메모를 포함한 구간별 정보를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시에 획득하여 산책코스 관련 정보에 포함시키며,
    상기 서버(10)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20)로부터 전송받은 구간별 정보에 따라 각각의 구간을 상호 연계시켜 활동량에 맞는 산책코스를 획득 및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추천한 산책코스 중에 선택된 산책코스의 각 구간에 대응되는 구간별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20)에 전송하여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시에 안내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7. 하드웨어인 스마트 단말기(20)와 결합되어,
    종류, 품종, 나이 및 체중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완동물 정보를 서버(10)에 등록하는 등록 요청 단계;
    애완동물 활동량을 측정하는 애완동물 단말기(30)와 근거리 무선통신하여 산책 이전 활동량을 획득하는 활동량 체크 단계;
    산책 이전 활동량에 근거한 필요 활동량에 대응되며 스마트 단말기(20)의 주변에 있는 산책코스를 서버(10)로부터 추천받는 코스 요청/선택 단계;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시에 이동 경로에 따라 산책코스를 획득하고, 산책코스의 구간별 애완동물 활동량 및 소요시간과, 구간별 산책로 유형, 구간별 위험요소 유무, 구간별 위험요소 유형 및 구간별 체류 추천 여부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사용자 메모를 포함하는 구간별 정보를 획득하는 산책 모니터링 단계; 및
    산책 이후, 구간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10)에서 각각의 구간을 상호 연계시킨 산책코스를 획득 및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게 하는 결과 등록 요청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완동물 산책 관리 애플리케이션.
KR1020160010971A 2016-01-28 2016-01-28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KR20170090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971A KR20170090296A (ko) 2016-01-28 2016-01-28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971A KR20170090296A (ko) 2016-01-28 2016-01-28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296A true KR20170090296A (ko) 2017-08-07

Family

ID=5965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971A KR20170090296A (ko) 2016-01-28 2016-01-28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0296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9676A (zh) * 2017-11-28 2018-05-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宠物的路线规划方法及装置
CN110235800A (zh) * 2018-03-08 2019-09-17 全宰贤 伴侣动物用颈带装置及包括其的系统
CN110677488A (zh) * 2019-09-30 2020-01-10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物联网系统的路径规划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20200069959A (ko) 2018-12-07 2020-06-17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애견돌봄서비스 및 애견돌봄이 매칭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1577A (ko) 2019-01-23 2020-07-31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애견돌봄서비스 및 애견돌봄이 매칭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1239A (ko) 2019-07-22 2021-02-01 윤규 반려 동물 산책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27902A (ko) * 2019-09-03 2021-03-11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8043A (ko) * 2019-12-18 2021-06-2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반려동물 산책경로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시스템
JP2021168612A (ja) * 2020-04-15 2021-10-28 株式会社Pontely ペットの散歩内容自動記録システム及びペットの散歩内容自動記録方法
KR102341953B1 (ko) 2020-06-22 2021-12-22 (주)스몰티켓 반려동물 위치추적 기반 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7882A (ko) 2020-10-30 2022-05-09 (주)스몰티켓 온라인 펫보험상품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7033A (ko) *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미리본 반려 동물의 산책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22807A (ko) 2021-08-09 2023-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펫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90552B1 (ko) * 2023-06-27 2023-10-17 왕형선 반려동물을 위한 용품을 추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4106806A1 (ko) * 2022-11-14 2024-05-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9676A (zh) * 2017-11-28 2018-05-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宠物的路线规划方法及装置
CN108009676B (zh) * 2017-11-28 2024-01-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宠物的路线规划方法及装置
CN110235800A (zh) * 2018-03-08 2019-09-17 全宰贤 伴侣动物用颈带装置及包括其的系统
KR20200069959A (ko) 2018-12-07 2020-06-17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애견돌봄서비스 및 애견돌봄이 매칭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1577A (ko) 2019-01-23 2020-07-31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애견돌봄서비스 및 애견돌봄이 매칭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1239A (ko) 2019-07-22 2021-02-01 윤규 반려 동물 산책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27902A (ko) * 2019-09-03 2021-03-11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677488B (zh) * 2019-09-30 2022-06-14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物联网系统的事件规划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0677488A (zh) * 2019-09-30 2020-01-10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物联网系统的路径规划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20210078043A (ko) * 2019-12-18 2021-06-2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반려동물 산책경로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시스템
JP2021168612A (ja) * 2020-04-15 2021-10-28 株式会社Pontely ペットの散歩内容自動記録システム及びペットの散歩内容自動記録方法
KR102341953B1 (ko) 2020-06-22 2021-12-22 (주)스몰티켓 반려동물 위치추적 기반 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7033A (ko) *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미리본 반려 동물의 산책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57882A (ko) 2020-10-30 2022-05-09 (주)스몰티켓 온라인 펫보험상품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230022807A (ko) 2021-08-09 2023-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펫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4106806A1 (ko) * 2022-11-14 2024-05-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590552B1 (ko) * 2023-06-27 2023-10-17 왕형선 반려동물을 위한 용품을 추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0296A (ko)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US20120317066A1 (en) Interest level measurement system, interest level measurement device, interest level measurement method, and interest level measurement program
JP2015164353A5 (ja) 情報取得システム、サーバ、携帯型端末、及び情報取得プログラム
JP2019036012A (ja) 情報通知装置、情報通知システム、情報通知方法、情報通知プログラム
JP2012070133A5 (ko)
US11605141B2 (en) Facility rating device and facility rating method
JP2013171067A (ja) 広告システムおよび広告方法
KR20150008534A (ko) 운동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JP6070249B2 (ja) 目的地推薦システムおよび目的地推薦方法
JP2019036049A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制御装置、デジタルサイネージ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6484698B2 (ja) 計測装置及び計測システム
JP2018047254A (ja) コース作成支援装置、プログラム、コース作成支援方法、コース作成支援システム、端末及びサーバー
US20120225674A1 (en) Measurement system, moving-object-mounted terminal and data processing apparatus
JPWO2019059137A1 (ja) 情報分析装置及び情報分析方法
US20120095681A1 (en) Multi-user relationship-based navigation apparatus and navig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1031063B1 (ko) 위치기반 경로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제공 방법
KR20160140109A (ko) 병원 관리 시스템 및 비콘 기반의 환자 정보 관리 방법
KR101223140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스케쥴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링 방법
JP2016157372A (ja) 交通流制御装置、交通流制御システム、携帯型記録装置、交通流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43536B1 (ko)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음식점 검색 시스템
JP202002734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20197458A (ja) 外出プラン提案システム
US20200342336A1 (en) Visiting-facility recommending device and visiting-facility recommending method
US89588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a program recorded thereon for executing the method
JP6936462B2 (ja) 広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