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807A - 펫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펫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807A
KR20230022807A KR1020220097393A KR20220097393A KR20230022807A KR 20230022807 A KR20230022807 A KR 20230022807A KR 1020220097393 A KR1020220097393 A KR 1020220097393A KR 20220097393 A KR20220097393 A KR 20220097393A KR 20230022807 A KR20230022807 A KR 20230022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tag
data
serv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우
박홍민
김동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22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8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01K11/008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incorporat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펫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태그에서 펫의 활동데이터를 측정하고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데이터를 측정하여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수신된 활동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펫의 이동경로 및 활동정보를 지도에 나타낸다. 그리고 서버는 사용자단말로 지도를 전송하면 사용자단말은 지도를 화면에 출력한다. 여기서 태그는 통신모듈이 오프된 상태에서 활동데이터를 측정하여 버퍼에 저장하고, 이후에 통신모듈이 온되면 버퍼에 저장된 활동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로써 태그의 전원소모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펫 관리 시스템 및 방법{P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펫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펫(pet)은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한 가족처럼 사람과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반려동물을 의미한다. 펫과 생활하는 가구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펫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최근 펫의 산책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7-0011102호(선행문헌 1)는 펫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펫의 생체정보와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런데, 선행문헌 1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펫의 생체정보와 위치정보를 모두 측정하므로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어 외부에 머무르는 시간이 제한적이다.
공개특허 제10-2017-0090296호(선행문헌 2)와 등록특허 제10-2299479호(선행문헌 3)에는 애완동물의 산책코스를 추천받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하지만, 선행문헌 2,3은 펫이 산책하기 위한 산책코스를 사전에 제공받는 것이어서 산책시 발생하는 실제 활동 정보를 받는 것이 아니다.
이에,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외무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되고 펫이 외부에서 실제 활동할 때의 정보를 측정하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선행문헌 001)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1102호 (선행문헌 002)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0296호 (선행문헌 003) 등록특허 제10-2299479호
본 발명은 펫의 활동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펫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펫의 이동경로와 활동량을 사용자의 단말에 동시에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 펫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펫에 착용되어 펫의 활동정보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기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펫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펫의 활동정보와 펫의 위치정보를 다른 장치에서 독립적으로 측정하도록 하는 펫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각기 다른 장치에서 측정된 펫의 활동정보와 위치정보를 서버에서 병합하여 함께 제공하는 펫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펫의 정보를 측정하여 외부기관에 건강상태를 문의할 수 있도록 하는 펫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펫의 이동경로 및 활동정보를 지도에 표시하여 사용자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펫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펫 관리 시스템은 펫의 활동데이터를 측정하는 태그, 자신의 위치데이터를 측정하는 사용자단말, 상기 활동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펫의 이동경로 및 활동정보를 지도에 표시하도록 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서버는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을 통해 상기 지도를 확인하도록 상기 지도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한다.
서버는 태그로부터 활동데이터 및 사용자단말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활동데이터 및 위치데이터를 병합하여 병합데이터를 생성하고 병합데이터를 지도에 적용하여 펫의 이동경로 및 활동정보를 지도에 나타낸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을 휴대한 채로 펫을 데리고 이동하므로 펫의 이동경로는 사용자단말의 위치데이터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태그는 펫의 위치를 측정하지 않고 펫의 활동데이터만 측정하므로 태그에서 펫의 위치측정으로 인한 전원소모를 예방할 수 있다.
태그는 내부에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측정된 펫의 활동데이터를 통신모듈에 의해 연결된 통신방식으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태그는 통신모듈이 오프된 상태에서 펫의 활동데이터를 측정한다. 통신모듈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활동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없으므로 측정된 활동데이터는 내부의 버퍼에 저장된다. 이후에 통신모듈이 온되면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활동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는 것이다.
태그의 통신모듈은 일례로 와이파이 통신모듈이 될 수 있다. 와이파이 통신모듈은 펫이 활동함에 따라 펫의 활동데이터를 측정하는 도중에도 와이파이 통신연결을 위해 AP장치를 실시간 또는 설정주기로 탐색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배터리의 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펫의 외부에서 활동하는 중에는 AP장치를 탐색하지 못하게 통신모듈을 오프시켜 배터리의 전력소모를 막도록 한다.
사용자단말은 복수의 동작모드 중 제1모드가 사용자조작에 의해 입력되면 제1모드 시작명령을 태그로 전송하고, 이에 태그는 제1모드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통신모듈을 오프시키고 펫의 활동데이터를 측정하는 것이다.
펫의 활동데이터는 해당 활동데이터가 측정된 시점을 나타내는 제1타임스탬프를 포함하고, 사용자단말의 위치데이터는 해당 위치데이터가 측정된 시점을 나타내는 제2타임스탬프를 포함한다.
서버는 이러한 제1,2타임스탬프를 이용하여 병합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서버는 제1타임스탬프 및 제2타임스탬프를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시점 또는 가장 가까운 시점의 제1,2타임스탬프를 쌍으로 매핑하여 펫의 위치 기반의 활동정보에 대응하는 병합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펫의 관리방법에서는 태그에서 펫의 활동데이터를 측정하고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데이터를 측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태그는 활동데이터만 측정하고 펫의 이동경로는 사용자단말에서 측정되는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하도록 한다. 이에, 태그는 활동데이터의 측정 외에 태그의 위치데이터를 측정하는 종래기술의 태그에 비해 배터리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펫의 관리방법에서는 서버에서 태그로부터 활동데이터와 사용자단말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활동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병합하여 펫의 위치 기반의 활동정보에 대응하는 병합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서버에서는 병합데이터를 지도에 적용하여 펫의 이동경로 및 활동정보를 지도에 나타내고 상기 지도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된 지도를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 펫의 관리방법에서도 태그는 내부의 통신모듈을 오프시킨 후 상기 펫의 활동데이터를 측정하여 측정된 활동데이터를 내부의 버퍼에 저장하고 통신모듈이 온되면 버퍼에 저장된 활동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단말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제1모드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단말은 태그로 제1모드 시작명령을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단말의 위치데이터를 측정하여 서버로 전송한다.
태그에는 제1모드 시작명령가 수신되면 내부의 통신모듈을 오프시킨 후 펫의 활동데이터를 측정하여 버퍼에 저장한다. 이 경우 태그는 통신모듈이 오프된 상태이므로 측정된 활동데이터를 서버로 바로 전송할 수 없으며, 측정된 활동데이터를 버퍼에 일시 저장하는 것이다. 이후에, 통신모듈이 온되면 버퍼에 저장된 활동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에서 수신된 활동데이터 및 위치데이터를 병합하여 펫의 위치 기반의 활동정보에 대응하는 병합데이터를 생성하고, 병합데이터를 지도에 적용하여 펫의 이동경로 및 활동정보를 지도에 나타낸 후 사용자단말로 지도를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단말은 지도를 화면에 출력한다.
태그는 활동데이터의 측정시점 순서대로 버퍼에 저장한다.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지도에는 펫의 이동경로가 표시되고 이동경로는 펫이 머무르는 시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그 지도에 표시되는 이동경로 상에는 펫의 배변활동 및 펫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펫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하나 이상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펫의 상태정보를 실시간 및 누적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펫의 건강상태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펫의 이동경로와 활동량을 사용자의 단말에 동시에 보여줄 수 있으므로 펫의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펫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에서는 활동정보만 측정하기 때문에 웨어러블 기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웨어러블 기기의 전력소모가 최소화되면 펫이 외부에서 머무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펫의 활동정보와 펫의 위치정보를 각각 다른 장치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웨어러블 기기의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펫의 이동정보와 활동정보를 기초로 외부기관에 건강상태를 문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시스템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의 태그 착용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그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 사용자단말 및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타임스탬프와 제2 타임스탬프 간의 매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방법에 참조되는 사용자단말의 화면 예시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방법에서 펫의 산책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화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펫(pet)의 이동경로와 활동데이터를 지도에 적용하여 사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하는 펫 관리 시스템 및 펫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펫의 이동경로는 사용자단말의 위치데이터로부터 얻을 수 있다. 사용자단말은 위치데이터를 측정하고 펫에 착용된 태그는 펫의 활동데이터를 측정한다. 서버에서 상기 활동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병합한 후 지도에 표시함으로써 펫의 위치 기반의 활동 정보를 지도에 표시하도록 한다. 태그는 펫의 위치를 측정하지 않고 활동데이터만 측정하므로 태그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펫 관리 시스템은 펫(pet)(10)에 착용되고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사용자단말(200) 및 서버(500)와 통신하거나 네트워크(400)에 접속할 수 있는 태그(100)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100)는 펫(10)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고 사용자단말(200)과 서버(500)와 통신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200)과 서버(50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태그(100) 및 서버(500)와 통신하거나 네트워크(400)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태그(100)와 서버(500)로부터 펫(10)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펫(10)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펫(10)과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단말(200)에서 자체적으로 수집된 정보와 태그(100) 및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될 수 있다.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이 구비하는 통신모듈은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은 다른 종류의 통신모듈을 구비하거나 복수의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은 NFC 통신모듈, 지그비(zigbee) 통신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10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복수의 통신모듈을 각각 온/오프시킬 수 있다.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은 일례로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통해 서버(500)와 연결가능하고, 원격 모니터링, 원격 제어 등 스마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예컨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등 휴대가능한 이동단말기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한 사용자단말(200)을 이용하여 태그(100)와 서버(500)와 통신하여 펫(10)과 관련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00)을 이용하여 태그(100)를 제어하거나 서버(5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태그(100)를 제어 및 동작시키고 서버(5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하 전용앱이라 한다)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전용앱을 실행하여 태그(100)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태그(100)로부터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전용앱을 실행하여 서버(500)에서 제공하는 펫 관리를 위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펫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사물인터넷(IoT) 기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버(500)에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를 구성하는 통신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은 액세스포인트(AP)장치(300)를 통하여 통신 연결이 될 수 있다.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은 AP장치(300)를 통해 네트워크(400)에 접속할 수 있다.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은 AP장치(300) 및/또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버(500)와 통신할 수 있다.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은 다이렉트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단말(200)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를 통해 태그(100)와 다이렉트로 통신할 수 있다.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은 댁내(1)와 댁외(2)으로 이동될 수 있다.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은 댁내(1)에 있는 경우 AP장치(300)를 통해 네트워크(400)에 접속하거나 서버(500)와 통신할 수 있다.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은 댁외(2)에 있는 경우 네트워크(400)에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버(500)에 접속할 수 있다.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은 댁내(1)와 댁외(2)를 오갈 때 AP장치(300)와 네트워크(400)의 접속이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컨대,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이 댁내(1)에 있을 때는 AP장치(300)에 접속하고, 댁외(2)로 나가면 자동으로 AP장치(300)와의 통신연결이 차단되고 네트워크(400)에 접속될 수 있다.
반대로,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이 댁외(2)에 있을 때는 네트워크(400)에 직접 접속되고, 댁내(1)로 들어오면 자동으로 네트워크(400)와의 통신연결이 차단되고 AP장치(300)에 접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은 접속가능한 AP장치(300)를 실시간 검색하고 접속가능한 AP장치(300)가 검색되면 해당 AP장치(300)와 우선 연결할 수 있다. 만약, 접속가능한 AP장치(300)가 검색되지 않으면 네트워크(400)에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AP장치(300)와 네트워크(400)로의 연결 및 차단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태그(100)는 펫(10)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200)은 태그(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태그(10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태그(100)는 서버(500)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서버(500)는 태그(100)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자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500)는 태그(100) 및/또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정보 및 데이터를 가공 및 처리하여 사용자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서버(500)가 하나인 경우를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2개 이상의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서버(500)는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거나 태그(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태그(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500)는 태그(100) 및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축적하여 저장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다.
서버(500)는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펫(10)과 관련된 분석 리포트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500)는 펫(10)의 실내/외 활동량, 이동경로, 건강상태, 이벤트 정보 등을 리포트 형식으로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태그(100)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여 펫(10)의 활동과 관련된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태그(100)는 센싱된 데이터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AP장치(300)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WAP) 장치가 될 수 있다.
AP장치(300)는 무선장치를 유선장치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이 서버(50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AP장치(300)는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이 네트워크(400)에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의 태그 착용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그(100)는 본체(10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1)는 태그(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센서, 통신모듈, IC 칩 등의 각종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본체(101)는 목줄(102) 또는 하네스 등으로 펫(10)의 목, 가슴 등의 다양한 신체 부위에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다.
태그(100)는 펫(10)의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미도시) 및/또는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체(101)의 내부에 구성된 복수의 센서부를 통해 펫(10)의 활동데이터가 측정될 수 있다.
태그(100)는 측정된 활동데이터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태그(100)는 펫(10)의 상태 및 동작을 센싱하는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펫(10)의 활동에 관련된 데이터(이하 활동데이터라 한다)를 센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부(110)는 일례로 가속도센서 및/또는 자이로센서를 구비하여 펫(10)의 활동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는 펫(10)이 움직일 때 회전방향과 회전각을 검출할 수 있고 가속도센서는 펫의 활동에 대응하는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 및/또는 자이로센서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를 기초로 펫(10)의 활동데이터가 산출될 수 있다.
상기 활동데이터는 펫의 이동방향, 이동거리, 이동량, 활동량, 이동속도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부(110)는 펫(10)의 체온, 맥박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다른 센서들도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110)에 의해 센싱되는 활동데이터는 그 센싱되는 시점에서의 타임스탬프(time stamp)를 포함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는 어느 시점에 활동데이터가 존재했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하여 특정 위치에 표시하는 시각(time)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는 센싱시점을 나타내는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센싱시점이 2022년 6월 30일 오전 11시 45분 12초이면 20220630114512로 표시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실시간 또는 설정주기로 활동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주기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센서부(110)에서의 활동데이터는 후술하는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태그제어부(150)는 센서부(110)에서의 활동데이터를 기초로 펫(10)의 활동량을 산출할 수 있다.
태그(100)는 다양한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태그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통신부(120)는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100) 및 서버(500)와 각각 통신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태그통신부(12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셀룰러 네트워크(LTE, 5G 등), 지그비, IR 등의 통신이 가능한 모듈 중 2 이상의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태그통신부(120)는 댁내/댁외(1,2)의 각 통신환경에 맞는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댁내(1)에서는 와이파이(wi-fi) 통신으로 AP장치(300)에 접속할 수 있다.
태그통신부(120)는 실시간 또는 설정주기로 주변의 AP장치(300)를 탐색하고, AP장치(300)가 탐색되면 자동으로 AP장치(3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에, 펫(10)이 댁외(2)에서 댁내(1)로 들어오면 태그(100)는 자동으로 AP장치(300)를 탐색하여 AP장치(300)와 자동으로 접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펫(10)이 댁내(10)에서 댁외(2)로 나가면 태그통신부(120)는 AP장치(300)가 탐색되지 않으므로 AP장치(300)와의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펫(10)이 댁외(2)에 있는 경우라도 사용자 조작에 따라 태그통신부(120)가 다른 AP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태그통신부(120)는 다른 통신모듈을 통해 다른 AP장치(300)와 연결되거나 네트워크(4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태그(100)는 펫(10)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태그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저장부(130)는 펫(10)의 정보, 태그(100)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 태그(100)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펫(10)의 정보는 펫(10)의 이름, 종, 나이, 성별, 성향, 건강 상태, 거주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저장부(130)는 센서부(110)에서 센싱된 활동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태그저장부(130)는 활동데이터를 기초로 산출된 펫(10)의 활동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태그저장부(130)는 센서부(110)에서의 활동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퍼(buffer)(131)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131)에는 활동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또는 설정주기로 저장될 수 있다. 활동데이터에는 센싱시점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가 포함될 수 있다.
버퍼(131)에는 센싱시점이 빠른 순서대로 저장될 수 있다.
태그(1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여 태그(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는 태그(100)의 구성요소들에 구동전원과 동작전원을 공급하며 전원의 잔량이 부족하면 충전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태그(100)는 배터리의 전압상태를 감지하는 전압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제어부(150)는 전압감지부와 연결되어 배터리의 잔량과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태그제어부(150)는 활동데이터를 사용자단말(200) 및/또는 서버(500)로 전송하도록 태그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태그제어부(150)는 센서부(110)에서의 활동데이터를 태그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버퍼(131)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태그제어부(15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동작모드 중 제1모드가 수신되면 센서부(110)에서 활동데이터를 센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로써, 센서부(110)는 연속적으로 활동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1모드가 수신되는 경우만 활동데이터를 센싱할 수도 있다.
태그제어부(150)는 활동데이터를 사용자단말(200) 및/또는 서버(500)로 전송하도록 태그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태그제어부(150)는 특정 환경이나 조건에서만 활동데이터를 사용자단말(200) 및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태그제어부(150)는 태그통신부(120)가 AP장치(300)에 연결되는 경우에만 사용자단말(200) 및/또는 서버(500)로 활동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태그제어부(150)는 태그통신부(120)가 AP장치(300)와의 연결이 끊어지면 활동데이터를 사용자단말(200) 및/또는 서버(500)로 활동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태그제어부(150)는 태그통신부(120)가 AP장치(300)와 연결되면 자동으로 활동데이터를 사용자단말(200)와 서버(500)로 전송하도록 하고, 태그통신부(120)가 AP장치(300)와의 연결이 끊기면 활동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할 수 있다.
태그제어부(150)는 태그통신부(120)가 AP장치(300)와 연결이 끊어진 후 재연결되면 사용자단말(200)과 서버(500)로 활동데이터를 이어서 계속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부(110)는 활동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버퍼(131)에 센싱시간의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다.
태그제어부(150)는 태그통신부(120)가 AP장치(300)와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연결된 상태이면 버퍼(131)에 활동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버퍼(131)에 활동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면 태그제어부(150)는 그 저장된 활동데이터를 서버(50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버퍼(131)에 활동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기저장된 활동데이터가 서버(500)로 모두 전송이 완료된 경우 태그제어부(150)는 센서부(110)에서 센싱되는 활동데이터만 버퍼(131)에 저장하지 않고 바로 서버(50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태그(100)는 태그통신부(120)가 AP장치(300)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센서부(110)의 활동데이터를 버퍼(131)에 저장하다가 태그통신부(120)가 AP장치(300)에 연결되면 그 동안 버퍼(131)에 저장했던 활동데이터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태그(100)는 버퍼(131)에 활동데이터가 없으면 센싱되는 활동데이터만 버퍼(131)에 저장하지 않고 바로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태그(100)가 와이파이에 접속되지 않으면 활동데이터를 버퍼(131)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와이파이에 접속되면 그 동안 버퍼(131)에 저장해두었던 활동데이터를 서버(500)로 전송한다.
태그제어부(150)는 전원공급부(140)의 사용량을 최적화하기 위해 복수의 통신모듈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필요에 따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은 주변에 AP장치가 있는지 주기적으로 탐색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전원이 소모된다. 와이파이 접속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오프시켜 와이파이 탐색에 필요한 전원의 소모를 막을 수 있다.
태그(100)는 펫(10)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가 될 수 있으며, 목걸이, 하네스 등으로 제작되어 펫(10)의 목, 가슴 등 신체에 착용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태그(100)와 서버(500)와 통신하는 단말통신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통신부(210)는 태그(100) 및 서버(5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사용자단말(200)은 사용자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는 측위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위부(220)는 예컨대 GPS 모듈, GNNS 모듈, GPX 모듈 등 적어도 하나의 위치측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측위부(220)에서 측위된 위치데이터는 해당 위치가 측위되는 측위시점에서의 타임스탬프(time stamp)를 포함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는 어느 시점에 위치가 측위되었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하여 특정 위치에 표시하는 시각(time)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는 위치데이터의 측위시점을 나타내는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측위시점이 2022년 6월 30일 오전 11시 45분 12초이면 20220630114512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측위부(220)의 측위시점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는 상술한 센서부(110)의 센싱시점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와 동일한 형식이 될 수 있다.
측위부(220)는 실시간 또는 설정주기로 측위할 수 있다. 물론 측위주기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단말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저장부(230)는 사용자의 정보, 사용자단말(200)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태그(100)와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저장부(230)는 측위부(220)에서 측위된 위치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저장부(230)는 사용자단말(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단말저장부(230)에는 본 발명의 펫 관리를 위한 전용앱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40)를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태그(100)의 동작모드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태그(100)의 통신모듈의 온/오프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펫(10)과 태그(200)와 관련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출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240)와 출력부(250)는 일체형 또는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40)는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식 입력수단은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동작명령을 입력하는 장치로서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출력부(250)와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을 형성하는 경우 출력부(250)는 입력부(240)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필름, 터치시트, 터치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40)를 통해 태그(200)의 동작모드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의 동작들을 제어하는 단말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260)는 입력부(240)를 통해 태그(100)의 동작모드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단말통신부(220)를 통해 태그(100)로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태그(100)는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되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모드 중 제1모드는 산책모드가 될 수 있다.
단말제어부(260)는 입력부(240)를 통해 태그(100)의 통신모듈의 온/오프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태그(100)로 상기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제어부(260)는 측위부(220)에서 측위된 위치데이터를 통신부(210)를 통해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위치데이터에는 측위시점을 나타낸 타임스탬프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제어부(260)는 태그(200)와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출력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260)는 서버(500) 또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전용앱을 다운받아 단말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단말(20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단말제어부(260)는 입력부(2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전용앱을 실행하여 서버(500)에서 제공하는 펫 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서버(5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태그(100)와 사용자단말(200)과 통신하는 서버통신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통신부(510)는 태그(100)로부터 펫(10)의 활동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사용자단말(200)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500)는 태그(100)로부터 수신된 펫(10)의 활동데이터와 더불어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단말(200)의 위치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 기반의 펫 활동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부(520)는 수신된 활동데이터 및 위치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누적 저장하여 사용자의 위치 기반의 펫(10)의 활동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서버제어부(530)는 서버(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서버제어부(530)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펫(10)의 이동경로 및 활동 정보를 지도에 표시하여 서버통신부(510)를 통해 사용자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사용자단말(200)을 휴대하여 펫(10)과 함께 이동하므로 사용자의 위치는 사용자단말(200)의 위치가 될 수 있고 펫(10)의 이동경로는 사용자단말(200)의 이동경로가 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단말(200)은 출력부(250)에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펫(10)의 이동경로와 활동 정보가 표시된 지도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서버(500)는 데이터베이스(DB)(530)를 포함할 수 있다.
DB(530)는 사용자단말(200)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전용앱을 저장할 수 있고, 태그(100) 및 사용자단말(20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DB(530)는 서버(500)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지만 외부에 별개로 구축되어 서버(500)와 연동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그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보듯이, 태그(100)는 펫(10)의 활동데이터를 연속으로 센싱할 수 있다. 이때, 활동데이터는 실시간 또는 설정주기에 따라 연속으로 센싱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다르게, 도 5에 보듯이, 태그(10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1모드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펫(10)의 활동데이터를 센싱하고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1모드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센싱을 중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태그(100)는 센서부(110)에서 펫(10)의 활동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설정주기로 센싱할 수 있다(S101).
상기 활동데이터는 펫(10)의 활동량 정보를 산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활동데이터는 센싱시점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100)는 AP장치(300)에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02).
태그(100)가 AP장치(300)에 연결된 상태이면 버퍼(131)에 저장된 활동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3).
태그(100)는 버퍼(131)에 저장된 활동데이터가 없으면 센서부(110)에서 센싱되는 활동데이터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104).
태그(100)는 버퍼(131)에 저장된 활동데이터가 있으면 버퍼(131)의 활동데이터와 센서부(110)의 활동데이터를 함께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105).
다른 실시예에서, 태그(100)는 AP장치(300)에 연결된 경우라도 활동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일시 저장했다가 저장용량이 설정용량이 되면 서버(500)로 활동데이터를 한번에 전송할 수도 있다.
만약, S102 단계에서 태그(100)가 AP장치(300)에 연결된 상태가 아니면 활동데이터를 저장부(130)의 버퍼(131)에 저장할 수 있다(S106).
태그(100)가 AP장치(300)에 연결될 때까지 태그(100)는 활동데이터를 계속해서 센싱하여 버퍼(131)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에 태그(100)가 AP장치(300)에 연결되면 버퍼(131)에 저장된 활동데이터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태그(10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1모드의 시작명령이 수신되면(S201), 센서부(110)에서 펫(10)의 활동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설정주기로 센싱할 수 있다(S202).
상기 활동데이터는 펫(10)의 활동량을 산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활동데이터는 센싱시점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100)는 AP장치(300)에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203).
태그(100)가 AP장치(300)에 연결된 상태이면 버퍼(131)에 저장된 활동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204).
태그(100)는 버퍼(131)에 저장된 활동데이터가 없으면 센서부(110)의 활동데이터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205).
태그(100)는 버퍼(131)에 저장된 활동데이터가 있으면 버퍼(131)의 활동데이터와 센서부(110)의 활동데이터를 함께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206).
다른 실시예에서, 태그(100)는 AP장치(300)에 연결된 경우라도 활동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일시 저장했다가 저장용량이 설정용량이 되면 서버(500)로 활동데이터를 한번에 전송할 수도 있다.
만약, S203 단계에서 태그(100)가 AP장치(300)에 연결된 상태가 아니면 활동데이터를 저장부(130)의 버퍼(131)에 저장할 수 있다(S207).
이러한 동작은 태그(100)가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1모드의 종료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태그(100)가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1모드 종료명령이 수신되면(S208), 센서부(110)에서 활동데이터의 센싱을 중지할 수 있다(S209).
태그(100)가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1모드의 종료명령을 수신하거나 또는 AP장치(300)에 연결시까지 태그(100)는 활동데이터를 계속 센싱하여 버퍼(131)에 계속 저장할 수 있다.
이후에 태그(100)가 AP장치(300)에 연결되면 버퍼(131)에 저장된 활동데이터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이후에, 태그(100)가 제1모드의 종료명령이 수신되면 센서부(110)에서 활동데이터의 센싱을 중지할 수 있다.
센싱이 중지된 후, 태그(10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1모드의 시작명령이 수신되면 S201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200)은 입력부(240)를 통해 제1모드의 시작명령이 입력되면(S301), 태그(100)로 제1모드의 시작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S302).
제1모드의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단말(200)은 측위부(220)에서 사용자단말(200)의 위치를 실시간 또는 설정주기에 따라 측위할 수 있다(S303).
사용자단말(200)은 측위된 위치데이터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304). 상기 위치데이터는 측위시점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위된 위치데이터는 단말저장부(2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데이터의 측위 및 전송은 사용자단말(200)에 제1모드의 종료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반복해서 진행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제1모드의 종료명령이 수신되면(S305), 측위부(220)에 의한 측위가 중지될 수 있다(S306).
다른 실시예에서, 측위부(220)에서의 위치데이터는 서버(500)로 바로 전송될 수도 있고 단말저장부(230)에 일정시간 또는 일정용량까지 저장된 후 서버(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 서버(500)는 태그(100)로부터 펫(10)의 활동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사용자단말(200)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401).
서버(500)는 활동데이터 및 위치데이터를 DB(530)에 저장할 수 있다(S402).
서버(500)는 활동데이터 및 위치데이터를 병합하여 펫(10)의 위치 및 활동에 대한 병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403).
서버(500)는 병합 데이터를 지도에 표시함으로써 펫(10)의 이동경로에 따른 활동 정보가 지도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404).
그리고, 서버(500)는 펫(10)의 이동경로에 따른 활동 정보가 표시된 지도를 사용자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S405).
이로써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된 지도를 확인할 수 있다.
지도에는 펫(10)의 이동경로와 활동 정보(예:활동량)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 사용자단말 및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태그(100)는 센서부(110)에 의해 센싱된 펫(10)의 활동데이터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측위부(22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단말(200)의 위치데이터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펫(10)의 활동데이터와 사용자단말(200)의 위치데이터를 서로 다른 장치에서 별개로 측정하도록 하여 서버(500)로 전송한다.
상기 활동데이터와 위치데이터는 각각의 타임스탬프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서버(500)는 각 타임스탬프를 이용하여 활동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병합하여 타임스탬프 기반의 병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펫(10)의 위치 기반의 활동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서버(500)는 병합 데이터를 지도에 적용하여 병합 데이터 기반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타임스탬프를 이용하여 활동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병합할 때 위치데이터에 포함된 타임스탬프와 활동데이터에 포함된 타임스탬프를 서로 비교하고, 두 타임스탬프 간에 동일한 시간 또는 가장 가까운 시간의 타임스탬프를 매핑하여 병합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병합데이터를 지도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단말(200)의 위치에 대응하는 펫(10)의 활동 정보를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펫(10)의 위치와 그에 대응하는 활동을 시간적으로 동기화하기 위해서는 위치데이터와 활동데이터 간의 타임스탬프 간에는 동일한 시간 또는 가장 가까운 시간을 서로 매핑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펫(10)의 이동위치에서의 활동 정보를 시간적으로 일치시키기 위해 위치데이터와 활동데이터 간의 시간적인 동기화가 필요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태그(100)에서 센싱되는 펫(10)의 활동데이터에 포함된 타임스탬프(제1 타임스탬프라 한다)와 사용자단말(200)에서 측정되는 사용자단말(200)의 위치데이터에 포함된 타임스탬프(제2 타임스탬프라 한다)를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 시간 또는 가장 가까운 시간의 제1,2타임스탬프끼리 쌍으로 매핑하도록 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타임스탬프와 제2 타임스탬프 간의 매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타임스탬프와 제2 타임스탬프는 동일한 시간간격을 가질 수도 있고, 다른 시간간격을 가질 수도 있다.
도 9a의 일례에는 제1 타임스탬프와 제2 타임스탬프가 시간순으로 기록된다.
서버(500)는 산책모드 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제1 타임스탬프와 동일한 제2 타임스탬프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타임스탬프와 동일한 제2 타임스탬프가 존재하면 이들을 서로 매핑하여 하나의 타임스탬프 쌍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타임스탬프끼리 서로 매핑하여 다른 타임스탬프 쌍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서버(500)는 이러한 타임스탬프 쌍을 이용하면 펫(10)의 위치와 활동량이 동기화될 수 있는 것이다.
도 9b의 다른 예를 보면, 제1 타임스탬프와 동일한 제2 타임스탬프가 존재하지 않으면, 타임스탬프의 측정 시간간격이 작은 타임스탬프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타임스탬프끼리 매핑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1 타임스탬프의 측정 시간간격을 6초라 하고 제2 타임스탬프의 시간간격을 2초라고 하면, 제2 타임스탬프의 시간간격이 제1 타임스탬프의 시간간격보다 작다.
이 경우, 산책모드 시작 후 제2 타임스탬프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제1 타임스탬프를 찾아 매핑하여 제1,2 타임스탬프 쌍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b의 일례에서 제2 타임스탬프를 기준으로 20220630114522초에 가장 가까운 제1 타임스탬프는 20220630114521초이므로, 이들 두 개의 타임스탬프를 쌍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후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1,2 타임스탬프를 쌍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동일한 타임스탬프가 있으면, 그 둘을 쌍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서버(500)는 이러한 타임스탬프 쌍을 이용하면 펫(10)의 위치와 활동량이 동기화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10를 참조하여 펫(10)을 산책시키기 위한 산책모드에 따른 펫 관리방법을 일례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펫(10)의 산책시 사용자단말(100)에 산책모드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해 산책모드가 입력되면(S501), 태그(100)로 산책모드 시작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S502).
태그(100)는 산책모드 시작명령이 수신되면 내부 통신모듈 중 제1 통신모듈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S503).
이하에는 편의상 제1 통신모듈은 와이파이 통신모듈인 것으로 설명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산책시 댁외(2)로 나가야 하는데 댁외(2)에서 와이파이 탐색을 위해 탐색신호를 계속 전송함으로써 소모되는 전원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오프시킴으로써 댁외(2)에서의 산책시 와이파이 통신에 필요한 전원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태그(100)의 태그제어부(150)는 산책모드 시작명령이 입력되거나 또는 와이파이 통신모듈이 오프(OFF)되면 펫(10)의 산책모드가 시작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태그(100)는 펫(10)의 활동데이터를 센싱하여(S504), 버퍼(131)에 센싱된 활동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505).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태그(100)는 와이파이 통신이 불가능하므로 센싱되는 활동데이터를 서버(500)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해질 때까지 센싱되는 활동데이터를 버퍼(131)에 일시 저장하는 것이다.
활동데이터는 버퍼(131)에 센싱순서에 따라 차례로 저장될 수 있다.
활동데이터에는 실시간 또는 설정주기에 따라 센싱될 수 있으며, 각각 센싱되는 활동데이터마다 타임스탬프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도 단말제어부(260)에서 태그(100)에게 산책모드 시작명령을 전송하면 펫(10)의 산책모드가 시작됨을 인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단말(200)은 자신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S506).
태그(100)에서의 S503~S505 단계와 사용자단말(200)에서의 S506 단계는 서로 독립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에서 측위된 위치데이터마다 타임스탬프가 포함될 수 있다.
태그(100)에서의 활동데이터의 센싱과 사용자단말(200)에서의 위치데이터의 측위는 산책모드 시작명령의 송수신과 함께 동시에 시작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측정된 위치데이터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507).
서버(500)는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DB(530)에 저장할 수 있다(S508).
한편, 태그(100)에서의 활동데이터 센싱 및 사용자단말(200)에서의 위치데이터 측위, 그리고 서버(500)로의 전송 등 일련의 과정들은 산책모드가 종료될 때까지 계속 반복하여 진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00)에 산책모드의 종료를 위해 산책모드 종료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00)은 산책모드 종료가 입력되면(S509), 태그(100)로 산책모드 종료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S510).
태그(100)는 산책모드 종료명령이 수신되면 산책모드 종료명령에 따라 내부의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온(ON)시킬 수 있다(S511).
태그(100)는 와이파이 통신모듈이 온 되면 와이파이 통신을 연결하고(S512),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버퍼(131)에 저장되어 있던 활동데이터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513).
서버(500)는 상기 활동데이터 및 위치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DB(530)에 저장할 수 있다(S514).
서버(500)는 활동데이터를 이용하여 펫(10)의 활동량을 산출할 수 있다.
서버(500)는 활동데이터 및 위치데이터를 병합하여 병합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515). 즉, 이러한 병합데이터는 펫(10)의 활동데이터와 사용자단말(200)의 위치데이터가 합쳐진 새로운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서버(500)는 상기 병합데이터를 지도에 적용함으로써 지도에 펫(10)의 위치 기반의 활동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S516).
이는 사용자가 사용자단말(200)을 소지한 채 펫(10)과 이동한다는 가정하에 사용자단말(200)의 위치데이터는 펫(10)의 위치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데이터를 누적하면 펫(10)의 이동경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서버(500)에서 사용자단말(200)의 위치데이터와 펫(10)의 활동데이터를 실시간 누적해서 DB(530)에 저장하고 사용자단말(200)의 위치데이터를 기초로 펫(10)의 이동경로에 대응하는 펫(10)의 활동 정보가 지도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어서, 서버(500)는 펫(10)의 위치 기반의 활동 정보가 나타난 지도를 사용자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S517).
사용자단말(200)은 펫(10)의 이동경로와 활동정보를 나타낸 지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S518).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방법에 참조되는 사용자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사용자단말(300)은 펫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전용앱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에 전용앱이 실행되면 회원가입과 로그인 화면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진행할 수 있다(도 11 참조). 회원가입시에는 사용자의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
회원가입 및 로그인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사용자단말(100)에서 실행된 전용앱을 통해 펫(10)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도 12 참조).
도 13에는 일례로 등록된 펫(10)의 정보를 보여준다.
사용자는 태그(100)를 등록할 수 있다(도 14 참조). 도 14는 일례로 펫(10)의 신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등록하는 화면을 보여준다. 물론, 펫(10)과 관련된 다른 기기들도 추가로 등록할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태그(100)에서 센싱된 활동데이터를 기초로 펫(10)의 활동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도 15 참조).
도 15의 예시와 같이 화면에는 태그(10)에 포함된 센서부(11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펫(10)의 활동량을 비롯하여 식사 정보, 음료 정보, 휴식/잠 정보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방법에서 펫의 활동 중 산책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16을 보면,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00)에서 전용앱을 실행하여 산책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에 의해 산택모드가 선택되면 산책할 펫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161)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산책할 펫을 선택한 후 산책시작을 선택하는 UI(162)를 터치하여 산책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에 의해 산책시작 UI(162)가 터치되어 산책모드가 시작되면 사용자단말(200)에서 태그(100)로 산책모드 시작명령이 전송될 수 있다.
태그(100)는 산책모드 시작명령에 따라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오프시켜 산책시 와이파이 탐색을 위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태그(100)는 산책모드 시작명령에 따라 내부의 CPU, 프로세서 등을 슬립모드로 전환하여 전력소모를 더 최소화할 수도 있다.
도 17의 일례에는 사용자단말(100)이 서버(500)로부터 지도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화면(171)의 예가 도시된다.
화면(171)에는 펫(10)의 이동경로(172)가 표시될 수 있다. 펫(10)의 이동경로는 사용자단말(200)에서 측정된 위치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펫(10)의 이동경로(172)는 복수의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동경로의 색상은 펫(10)이 머무는 시간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펫(10)이 머무는 시간이 평균이면 초록색으로 표시하고 펫(10)이 머무는 시간이 평균시간보다 길면 주황색, 평균시간보다 아주 길면 빨간색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면(171)에는 펫(10)의 이동경로(172) 상에 펫(10)의 음수에 대한 이미지(173), 펫(10)의 대변활동에 대한 이미지(174), 펫(10)의 소변활동에 대한 이미지(175), 펫(10)과의 교감에 대한 이미지(176)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펫(10)과 관련된 다른 이미지들도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8에는 산책모드가 종료되면 표시되는 화면이 도시된다.
산책모드가 종료되면 펫(10)이 산책했던 지도를 나타낸 화면(181), 펫(10)이 산책한 거리와 시간을 나타내는 화면(182), 산책시 펫(10)의 상태와 교감횟수 등의 정보를 나타낸 화면(183)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화면들은 일례이며 다양한 UI 및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태그 110 : 센서부
120 : 태그통신부 130 : 태그저장부
140 : 전원공급부 150 : 태그제어부
200 : 사용자단말 210 : 단말통신부
220 : 측위부 230 : 단말저장부
240 : 입력부 250 : 출력부
260 : 단말제어부 300 : AP장치
400 : 네트워크 500 : 서버
510 : 서버통신부 520 : 데이터처리부
530 : DB 540 : 서버제어부

Claims (20)

  1.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펫에 착용되어 펫의 활동데이터를 측정하는 태그;
    자신의 위치데이터를 측정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태그로부터 상기 활동데이터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위치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활동데이터 및 위치데이터를 병합하여 병합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병합데이터를 지도에 적용하여 상기 펫의 이동경로 및 활동정보를 상기 지도에 나타내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펫의 이동경로 및 활동정보를 나타낸 상기 지도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펫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통신모듈이 오프(OFF)되면 상기 펫의 활동데이터를 측정하는 펫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통신모듈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측정된 활동데이터를 내부의 버퍼에 저장하는 펫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통신모듈이 오프된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면 상기 버퍼에 저장된 활동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펫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제1모드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모드 시작명령을 상기 태그로 전송하고, 상기 태그는 상기 제1모드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통신모듈을 오프시키는 펫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동데이터는 상기 활동데이터가 측정된 시점을 나타내는 제1타임스탬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데이터는 상기 위치데이터가 측정된 시점을 나타내는 제2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펫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1타임스탬프 및 제2타임스탬프 간에 동일한 시점 또는 가장 가까운 시점의 제1,2타임스탬프를 쌍으로 매핑하여 상기 펫의 위치 기반의 활동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병합데이터를 생성하는 펫 관리 시스템.
  8. 태그에서 펫의 활동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태그로부터 상기 활동데이터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위치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활동데이터 및 위치데이터를 병합하여 상기 펫의 위치 기반의 활동정보에 대응하는 병합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병합데이터를 지도에 적용하여 상기 펫의 이동경로 및 활동정보를 상기 지도에 나타내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상기 지도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지도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펫 관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내부의 통신모듈을 오프시킨 후 상기 펫의 활동데이터를 측정하는 펫 관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측정된 활동데이터를 내부의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모듈이 온되면 상기 버퍼에 저장된 활동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펫 관리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활동데이터는 상기 활동데이터가 측정된 시점을 나타내는 제1타임스탬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데이터는 상기 위치데이터가 측정된 시점을 나타내는 제2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펫 관리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1타임스탬프와 제2타임스탬프 간에 동일한 시점 또는 가장 가까운 시점의 제1,2타임스탬프를 쌍으로 매핑하여 상기 펫의 위치 기반의 활동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병합데이터를 생성하는 펫 관리 방법.
  13. 사용자 조작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제1모드 시작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태그로 상기 제1모드 시작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데이터를 측정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태그에서 상기 제1모드 시작명령가 수신되면 내부의 통신모듈을 오프시키는 단계;
    상기 태그에서 상기 통신모듈이 오프되면 펫의 활동데이터를 측정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활동데이터 및 위치데이터를 병합하여 상기 펫의 위치 기반의 활동정보에 대응하는 병합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병합데이터를 지도에 적용하여 상기 펫의 이동경로 및 활동정보를 상기 지도에 나타내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상기 지도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지도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펫 관리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통신모듈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활동데이터를 측정하여 내부의 버퍼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통신모듈이 온되면 상기 버퍼에 저장된 활동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펫 관리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활동데이터의 측정시점 순서대로 상기 활동데이터를 상기 버퍼에 저장하는 펫 관리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활동데이터는 상기 활동데이터가 측정된 시점을 나타내는 제1타임스탬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데이터는 상기 위치데이터가 측정된 시점을 나타내는 제2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펫 관리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1타임스탬프와 제2타임스탬프 간에 동일한 시점 또는 가장 가까운 시점의 제1,2타임스탬프를 쌍으로 매핑하여 상기 펫의 위치 기반의 활동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병합데이터를 생성하는 펫 관리 방법.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도에는 상기 펫의 이동경로가 표시되고 상기 이동경로는 상기 펫이 머무르는 시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펫 관리 방법.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도에 표시되는 상기 펫의 이동경로 상에는 상기 펫의 배변활동 및 상기 펫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미지가 표시되는 펫 관리 방법.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데이터로부터 상기 펫의 이동경로를 산출하는 펫 관리 방법.
KR1020220097393A 2021-08-09 2022-08-04 펫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228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04489 2021-08-09
KR1020210104489 2021-08-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807A true KR20230022807A (ko) 2023-02-16

Family

ID=85326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393A KR20230022807A (ko) 2021-08-09 2022-08-04 펫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28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10534A1 (ko) * 2023-04-04 2024-10-10 주식회사 웰케어스 전자 태그 기반의 iot 기기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102A (ko) 2015-07-21 2017-02-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즈 교환식 안저 카메라
KR20170090296A (ko) 2016-01-28 2017-08-07 김세원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KR102299479B1 (ko) 2019-12-18 2021-09-06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반려동물 산책경로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102A (ko) 2015-07-21 2017-02-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즈 교환식 안저 카메라
KR20170090296A (ko) 2016-01-28 2017-08-07 김세원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KR102299479B1 (ko) 2019-12-18 2021-09-06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반려동물 산책경로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10534A1 (ko) * 2023-04-04 2024-10-10 주식회사 웰케어스 전자 태그 기반의 iot 기기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59753B (zh) 无线便携式生物计量设备同步
US116900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US9265015B2 (en) Detecting interaction among entities via proximity
KR102209523B1 (ko) 전자 장치 및 그 측위 방법
CN107113564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非暂态计算机可读介质
CN107069883A (zh) 一种无线充电管理系统及无线电能发射端
US20210373919A1 (en) Dynamic user interface
US108059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riving location
US2013001377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CN105075355A (zh) 位置估计设备、位置估计方法、目标终端、通信方法、通信终端、记录介质以及位置估计系统
KR20230022807A (ko) 펫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5690A (ko) 비콘을 이용한 보안관제시스템
CN110139213A (zh) 一种基于手环的双模式定位系统及实现方法
KR20160034732A (ko) 사물인터넷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센서 노드의 배터리 교체 방법
Clougherty et al. Home automation and personalization through individual location determination
CN109417679A (zh) 控制系统
US8754767B2 (en) Geographic localization system
US10643450B1 (en) Magnetic sensor batteries
JP2011197768A (ja)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組織行動情報収集方法、組織行動分析サーバ及び携帯用センサノード
JP7072353B2 (ja) 位置探索システムおよび位置探索方法
JP2011018956A (ja) センシングデータ管理装置、センシング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及びセンシングデータ管理システム
KR20180003890A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101805838B1 (ko) Ble를 이용한 실시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3120209A1 (ja) 位置検索システムおよび位置検索方法
CN108618757A (zh) 一种医疗保健双用的无线体征监测系统及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