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481A -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카세트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481A
KR20170089481A KR1020160009748A KR20160009748A KR20170089481A KR 20170089481 A KR20170089481 A KR 20170089481A KR 1020160009748 A KR1020160009748 A KR 1020160009748A KR 20160009748 A KR20160009748 A KR 20160009748A KR 20170089481 A KR20170089481 A KR 20170089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ide frame
panel
groove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주) 하이테크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하이테크시스템 filed Critical (주) 하이테크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09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9481A/ko
Publication of KR20170089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01L51/5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마주보는 형태로 나란히 설치된 사이드프레임을 구비하고, 사이드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된 상단연결판의 양측으로 형성된 상단고정부삽입구멍과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하단연결판에 양측으로 형성된 하단고정부삽입구멍의 내부로 사이드프레임을 이동하고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인 패널지지로드를 삽입하여 설치하며,
하단연결판의 상부면과 패널지지로드의 중심부 하단에 형성된 단차면 사이에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패널지지로드가 상부로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되,
상단연결판의 하부면에 고정핀수용홈을 형성하여, 패널지지로드의 상부에 위치한 상단고정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삽입된 고정핀이 고정핀수용홈의 내부로 수용되면, 상기 상단고정부가 위치고정가이드에 형성된 고정부설치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패널지지로드의 하부에 형성된 하단고정부는 위치고정가이드에 형성된 고정부설치홈의 내부로 삽입고정되어 사이드프레임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패널지지로드를 파지한 채 잡아내려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한 뒤 회전시키면, 고정핀수용홈에서 이탈된 고정핀이 고정핀수용홈의 위치에서 벗어나 손을 놓더라도 고정핀의 상부면이 상단연결판의 하부면에 걸쳐지게 되어 상단고정부가 고정부설치홈의 하부로 이탈되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되고, 고정부설치홈의 하부로 하단고정부가 이탈됨과 동시에 하단고정부의 상부에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조절부가 고정부설치홈의 내부로 수용되며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되어 사이드프레임을 자유롭게 유동하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카세트{Display panels for cassette loading}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 형태의 각종 디스플레이를 적재할 때 패널의 크기에 따라 패널 지지로드의 위치를 패널의 크기에 맞도록 이동시킬 때 신속하거 간편하게 이동시키고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널 형태의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평판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생산과정에서 각 공정으로 운반되어야 하는데, 점차 대형화 추세로 이어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성상 별도의 도구 없이 운반하는 것은 매우 위함하고 힘든 작업이므로, 작업자의 피로를 증가시키고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운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패널 적재용 카세트를 이용하게 되는데,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가 다양하게 제조되고 있고 그에 따라 패널 적재용 카세트가 다양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면,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 패널 적재용 카세트가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공장 많이 배치되어야 하고 사용하지 않고 있는 크기에 패널 적재용 카세트는 공장의 실내 활용도를 떨어지게 하고 패널 적재용 카세트 구입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 많은 단점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 사용되는 패널 적재용 카세트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패널을 받쳐주는 패널받침판이 복수개 설치된 패널적재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패널 적재용 카세트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패널 적재용 카세트는 패널적재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하는 지지샤프트를 파지하고 들어올린 채 패널적재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 불편함을 야기함과 동시에 지지샤프트를 파지하여 들어올린 상태에서 패널적재부재가 고정되어야 할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힘들어 작업의 능률을 떨어뜨리게 되는 등 구조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77593호(수납공간 가변형 액정 패널 적재 카세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이드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지지로드를 파지한 채로 있지 않아도 위치고정가이드에서 위치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힘들이지 않고 사이드프레임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쉽고 빠르게 사이드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마주보는 형태로 나란히 설치된 사이드프레임을 구비하고, 사이드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된 상단연결판의 양측으로 형성된 상단고정부삽입구멍과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하단연결판에 양측으로 형성된 하단고정부삽입구멍의 내부로 사이드프레임을 이동하고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인 패널지지로드를 삽입하여 설치하며,
하단연결판의 상부면과 패널지지로드의 중심부 하단에 형성된 단차면 사이에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패널지지로드가 상부로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되,
상단연결판의 하부면에 고정핀수용홈을 형성하여, 패널지지로드의 상부에 위치한 상단고정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삽입되어 고정된 고정핀이 고정핀수용홈의 내부로 수용되면, 상기 상단고정부가 위치고정가이드에 형성된 고정부설치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패널지지로드의 하부에 형성된 하단고정부는 위치고정가이드에 형성된 고정부설치홈의 내부로 삽입고정되어 사이드프레임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패널지지로드를 파지한 채 잡아내려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한 뒤 회전시키면, 고정핀수용홈에서 이탈된 고정핀이 고정핀수용홈의 위치에서 벗어나 손을 놓더라도 고정핀의 상부면이 상단연결판의 하부면에 걸쳐지게 되어 상단고정부가 고정부설치홈의 하부로 이탈되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되고, 고정부설치홈의 하부로 하단고정부가 이탈됨과 동시에 하단고정부의 상부에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조절부가 고정부설치홈의 내부로 수용되며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되어 사이드프레임을 자유롭게 유동하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패널지지로드를 파지하지 않고도 사이드프레임이 이동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힘들이지 않고 사이드프레임의 간격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쉽고 빠르게 사이드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패널의 크기에 맞출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이드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이드프레임과 패널지지로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이드프레임이 메인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핀이 고정핀수용홈에서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이드프레임이 메인프레임에서 자유롭게 유동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카세트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첨부된 도면에는 표현하고자 하는 형상이 가려지지 않고 보여질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받쳐주기 위한 패널받침판(27)의 도시를 가급적 생략하였다.
본 발명은 장방향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의 지지부재로써의 역할을 하는 메인프레임(10)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전·후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전·후면이 모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는, 투입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프레임(20)이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고정가이드(11)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고정가이드(11)에는 패널지지로드(30)에 형성된 상단고정부(31)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원의 형상이 일정간격으로 겹쳐지는 형상으로 관통된 고정부설치홈(1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설치홈(12)은 상단고정부(31)와 동일한 직경을 갖고 있으므로, 상단고정부(31)가 고정부설치홈(12)의 내부로 삽입되면 패널지지로드(30)가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하부에는 패널지지로드(30)의 하부에 형성된 하단고정부(33)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0) 상부에 설치된 위치고정가이드(11)와 평행하게 위치고정가이드(11')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메인프레임(10)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차곡히 쌓아 둘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프레임(20)이 마주보는 형태로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프레임(20)의 지지부재가 되는 지지기둥(26)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프레임(20)의 상부에 지지기둥(26)의 상단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상단연결판(21)이 설치되며, 하부에는 지지기둥(26)의 하단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하단연결판(24)이 설치되어 사이드프레임(20)의 골격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지지기둥(26)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받쳐주도록하는 패널받침판(27)이 높이방향으로 복수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프레임(20)의 양측에는 사이드프레임(20)을 이동하고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인 패널지지로드(30)가 설치되는데, 상단연결판(21)의 양측으로 상단고정부(31)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상단고정부삽입구멍(22)이 형성되고, 하단연결판(24)에는 양측으로 하단고정부(33)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하단고정부삽입구멍(25)이 형성되어 패널지지로드(3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패널지지로드(30)는 상·하부의 직경은 작게 형성하고, 중심부의 직경은 상·하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단을 이루도록 하고 있어 상기 패널지지로드(30)가 사이드프레임(2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패널지지로드(30)의 중심부의 길이는 상단연결판(21)과 하단연결판(24) 사이의 간격에 비해 짧게 형성하여 상기 패널지지로드(30)가 상·하로 일정거리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하단연결판(24)의 상부면과 패널지지로드(30)의 중심부 하단에 형성된 단차면 사이에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패널지지로드(30)가 상부로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단고정부(31)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삽입된 고정핀(34)이 상단연결판(31)의 하부면에 형성된 고정핀수용홈(23)의 내부로 수용되면, 하단고정부(33)의 상부에 하단고정부(3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단을 형성하고 있는 조절부(32)는 하단고정부삽입구멍(25)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이드프레임(20)은 메인프레임(10)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유동할 수 없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패널지지로드(30)를 파지하고 하강시켜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하면 고정핀수용홈(23)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던 고정핀(34)이 외부로 노출되는데, 상기 고정핀(34)이 외부로 노출되면 하단고정부삽입구멍(25) 내부에 위치하고 있던 조절부(32) 또한 하부로 노출되어 메인프레임(10) 하부에 설치된 위치고정가이드(11')의 고정부설치홈(12)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프레임(10) 상부에 설치된 위치고정가이드(11)의 고정부설치홈(12)에 삽입되어 있던 패널지지로드(30)의 상단고정부(31)는 고정핀(34)이 노출됨에 따라 고정부설치홈(12)의 하부로 이탈되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사이드프레임(20)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고정핀(34)이 노출된 상태에서 패널지지로드(30)를 비틀어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핀(34)이 고정핀수용홈(23)의 위치를 벗어나게 되어 고정핀수용홈(2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없게 되고, 패널지지로드(30)를 누르고 있던 손을 떼면 스프링이 복귀하며 패널지지로드(30)를 들어올리게 되는데 상기 고정핀(34)의 상부면이 상단연결판(21)의 하부면에 걸쳐지게 되므로 패널지지로드(30)의 상단고정부(31)는 고정부설치홈(12)에서 이탈된 상태를, 조절부(32)는 고정부설치홈(1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패널지지로드(30)를 누르지 않고 사이드프레임(20)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카세트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맞추어 사이드프레임(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패널지지로드(30)를 양손으로 잡아내린다.
상기 패널지지로드(30)를 잡아내리게 되면 패널지지로드(30)의 단차면과 하단연결판(24)의 상부면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패널지지로드(30)가 하강하며 고정핀수용홈(23)에 수용된 고정핀(34)을 이탈시키게 되는데, 이때, 위치고정가이드(11)에 형성된 고정부설치홈(12)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상단고정부(31)가 고정부설치홈(12)의 하부로 이탈되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위치고정가이드(11')에 형성된 고정부설치홈(12)에 삽입되어 있던 하단고정부(33)가 상기 하단고정부(33)의 하부로 이탈되며 고정부설치홈(12)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갖는 조절부(32)가 고정부설치홈(12)의 내부로 수용되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힘들이지 않고 사이드프레임(20)이 유동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잡아내리고 있던 패널지지로드(30)를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핀(34)이 고정핀수용홈(23)의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는데, 이때, 패널지지로드(30)를 파지하고 있던 손을 놓으면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려고 하던 패널지지로드(30)가 상단연결판(21)의 하부면과 맞닿은 고정핀(34)의 상부면에 의해 더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현재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단고정부(31)와 하단고정부(33)가 고정부설치홈(12)의 내부로 수용될 수 없게 되므로 사이드프레임(20) 사이의 간격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간격 조절이 완료되면 패널지지로드(30)를 원래대로 회전시켜 고정핀(34)이 고정핀수용홈(23)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면, 상단고정부(31)와 하단고정부(33)가 각각 고정부설치홈(12)의 내부로 삽입되어 사이드프레임(20)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메인프레임 11,11' : 위치고정가이드
12 : 고정부설치홈 20 : 사이드프레임
21 : 상단연결판 22 : 상단고정부삽입구멍
23 : 고정핀수용홈 24 : 하단연결판
25 : 하단고정부삽입구멍 26 : 지지기둥
27 : 패널받침판 30 : 패널지지로드
31 : 상단고정부 32 : 조절부
33 : 하단고정부 34 : 고정핀

Claims (1)

  1.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카세트에 있어서,
    메인프레임(10)의 내부에 마주보는 형태로 나란히 사이드프레임(20)이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프레임(20)의 상부에 구비된 상단연결판(21)의 양측으로 형성된 상단고정부삽입구멍(22)과 하부에 구비된 하단연결판(24)에 양측으로 형성된 하단고정부삽입구멍(25)에는 사이드프레임(20)을 이동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패널지지로드(30)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하단연결판(24)의 상부면과 패널지지로드(30)의 중심부 하단에 형성된 단차면 사이에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패널지지로드(30)가 상부로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되,
    상단연결판(21)의 하부면에 고정핀수용홈(23)을 형성하여, 패널지지로드(30)의 상부에 위치한 상단고정부(3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삽입된 고정핀(34)이 고정핀수용홈(23)의 내부로 수용되면, 상기 상단고정부(31)가 위치고정가이드(11)에 형성된 고정부설치홈(12)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패널지지로드(30)의 하부에 형성된 하단고정부(33)는 위치고정가이드(11')에 형성된 고정부설치홈(12)의 내부로 삽입고정되어 사이드프레임(2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패널지지로드(30)를 파지한 채 잡아내려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한 뒤 회전시키면, 고정핀수용홈(33)에서 이탈된 고정핀(34)이 고정핀수용홈(33)의 위치에서 벗어나 손을 놓더라도 고정핀(34)의 상부면이 상단연결판(21)의 하부면에 걸쳐지게 되어 상단고정부(31)가 고정부설치홈(12)의 하부로 이탈되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되고, 고정부설치홈(12)의 하부로 하단고정부(33)가 이탈됨과 동시에 하단고정부(33)의 상부에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조절부(32)가 고정부설치홈(12)의 내부로 수용되며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되어 사이드프레임(20)을 자유롭게 유동하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카세트.
KR1020160009748A 2016-01-27 2016-01-27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카세트 KR20170089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748A KR20170089481A (ko) 2016-01-27 2016-01-27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카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748A KR20170089481A (ko) 2016-01-27 2016-01-27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카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481A true KR20170089481A (ko) 2017-08-04

Family

ID=59654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748A KR20170089481A (ko) 2016-01-27 2016-01-27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카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948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4964A (zh) * 2017-12-21 2018-04-0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具有升降功能的基板装载装置
CN109581000A (zh) * 2018-12-26 2019-04-05 中山市明阳电器有限公司 一种可用于开发设备的试验装置
CN110201961A (zh) * 2019-06-06 2019-09-06 山东潍氢动力科技有限公司 双极板清洗架
WO2021071042A1 (ko) * 2019-10-11 202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운반 장치
KR20210115268A (ko)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이노켐 디스플레이 패널·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하부 프레임 체결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4964A (zh) * 2017-12-21 2018-04-0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具有升降功能的基板装载装置
CN109581000A (zh) * 2018-12-26 2019-04-05 中山市明阳电器有限公司 一种可用于开发设备的试验装置
CN110201961A (zh) * 2019-06-06 2019-09-06 山东潍氢动力科技有限公司 双极板清洗架
WO2021071042A1 (ko) * 2019-10-11 202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운반 장치
CN114341008A (zh) * 2019-10-11 2022-04-12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运输设备
CN114341008B (zh) * 2019-10-11 2023-12-22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运输设备
KR20210115268A (ko)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이노켐 디스플레이 패널·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하부 프레임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9481A (ko)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카세트
KR101212889B1 (ko) 기판 적재용 카세트
JP2014114504A (ja) 薄膜蒸着用マスク組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58187B1 (ko) 기판 보관용 카세트 시스템
KR101317543B1 (ko) 에칭기의 카세트 지그
CN100363242C (zh) 基板载具
TWI315002B (en) Substrate cassette
KR101986494B1 (ko)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
TWI420436B (zh) 用於接附基板之設備
JP2010050845A (ja) 移動具及び支持具
CN211386566U (zh) 用于钣金件开角成型的冲压模具
KR101337491B1 (ko) 기판 정렬장치 및 정렬방법
KR20140115484A (ko) Oled 증착을 위한 기판 정렬장치
KR101076241B1 (ko) 평판디스플레이장치용 스탠드
JP2014223881A (ja) 車両のドア着脱装置
KR101349740B1 (ko) 표시장치용 샤시를 위한 부분 도색 장치
KR20180027683A (ko) 글래스 더미 제거 장치
WO2021110069A1 (zh) 一种小零件供给器
KR101466118B1 (ko) 양방향 로봇이송장치
CN214694413U (zh) 工件固定装置
CN107571590B (zh) 自动贴膜装置
JP4885107B2 (ja) 蒸着装置
JP2010258269A (ja) 高密度基板収納装置
KR101904928B1 (ko) 와이어 자동 고정장치
KR101694198B1 (ko) 평면디스플레이용 기판 핸들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