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133A -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133A
KR20170089133A KR1020160009145A KR20160009145A KR20170089133A KR 20170089133 A KR20170089133 A KR 20170089133A KR 1020160009145 A KR1020160009145 A KR 1020160009145A KR 20160009145 A KR20160009145 A KR 20160009145A KR 20170089133 A KR20170089133 A KR 20170089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main body
water
crushing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9553B1 (ko
Inventor
권미환
이영기
Original Assignee
권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미환 filed Critical 권미환
Priority to KR1020160009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553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02B3/023Removing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하천·호수와 같은 수중에서의 퇴적물·쓰레기 및 오염물과 같은 수중 쓰레기 등을 무한궤도로 이동하는 제거장치의 흡입구에서 모아 분쇄함과 동시에 흡입하여 압축수단으로 이송하고, 이송된 쓰레기에서 물과 쓰레기를 분리한 후 여과하여 배출토록 함으로써, 강·하천·호수를 깨끗이 정화할 수 있도록 한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이나 호수의 바닥 또는 하상에 적층되어 있는 수중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 쓰레기 제거장치에 있어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하단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본체(10)를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20)과; 상기 본체(10)와 이동수단(20) 사이에 설치되어 본체(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구(22)와; 상기 이동수단(20)의 전면에 지지대(21)를 통해 연결 설치되며, 수중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30)과 분쇄된 쓰레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수단(40)을 갖는 분쇄판(31)과; 상기 본체(10) 상단에 설치되어 흡입수단(40)을 통해 흡입된 쓰레기에서 물과 쓰레기를 분리하며, 분리된 물은 여과하여 배출하고, 쓰레기는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수단(5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APPARATUS FOR SUCKING AND REMOVING THE UNDERWATER WASTE}
본 발명은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 ·하천·호수와 같은 수중에서의 퇴적물·오염물과 같은 수중 쓰레기 등을 무한궤도로 이동하는 제거장치의 흡입구에서 모아 분쇄함과 동시에 흡입하여 압축수단으로 이송하고, 이송된 쓰레기에서 물과 쓰레기를 분리하여 배출토록 함으로써 강· 하천·호수를 깨끗이 정화할 수 있도록 한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륙의 호수 또는 담수호·하천에는 비가 올 경우에 지상의 나뭇잎·나무·생활쓰레기, 각종 오·폐수 등이 빗물에 휩쓸려 내려가 담수호에 유입되거나 인위적인 오물 투척에 의해 슬러지(sludge)가 쌓이게 된다.
특히 저수지 또는 하천은 물이 항상 고여 있는 상태이거나 흐름이 빠르지 않기 때문에 하상에는 뻘이나 부유물 등의 침전물이 쌓이게 되며, 이러한 침전물은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부패하여 수질을 오염시켜 악취를 발생시키고, 부영양화로 인하여 어류가 생존할 수 없는 상태된다.
이와 같이 쓰레기가 유입되거나 쌓이는 슬러지는 하천을 오염시킴과 아울러 자연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게 됨에 따라 이를 제거하고 물을 정화하는 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등 경제적으로 큰 피해가 발생하게 되어 수중에서의 쓰레기를 쉽고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7954호(2015.09.30.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강·하천·호수와 같은 수중에서의 오물·침전물과 같은 수중 쓰레기 등을 흡입구에서 모아 분쇄함과 동시에 흡입하여 압축수단으로 이송하고, 이송된 쓰레기에서 물과 쓰레기를 분리하여 배출토록 함으로써, 강·하천·호수를 깨끗이 정화할 수 있도록 한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강이나 호수의 바닥 또는 하상에 적층되어 있는 수중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 쓰레기 제거 장치에 있어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하단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본체를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과;
상기 본체와 이동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구와;
상기 이동수단의 전면에 지지대를 통해 연결 설치되며, 수중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과 분쇄된 쓰레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수단을 갖는 분쇄판과;
상기 본체 상단에 설치되어 흡입수단을 통해 흡입된 쓰레기에서 물과 쓰레기를 분리하며, 분리된 물은 여과하여 배출하고, 쓰레기는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박스 형상의 본체는 물에 떠 있을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거나 본체 외주면에 부력체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이동수단은 점도가 있는 지형에서도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무한궤도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분쇄판의 전·후방 양측에는 분쇄판의 전·후진이 원활하도록 바퀴가 설치된다.
또 상기 분쇄수단은 분쇄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그 구동모터와 벨트으로 연결 설치되는 스프로켓, 구동모터 및 벨트, 스프로켓 상부를 마감하는 덮개, 분쇄판 하단에서 상기 스프로켓와 축결합되는 복수 개의 분쇄날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분쇄판은 수중 쓰레기가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역삼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분쇄판의 하단에서 상기 스프로켓와 축결합되는 복수 개의 분쇄날은 각기 다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분쇄날의 배열은 진입되는 쓰레기를 쉽게 분쇄할 수 있도록 진행 방향의 전면에서부터 큰 크기의 분쇄날이 설치되도록 배열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흡입수단은 분쇄판의 후면에 관통 형성되는 흡입공과, 상기 본체 상단에 설치되는 흡입펌프, 상기 흡입펌프와 흡입공 사이에 설치되어 분쇄수단을 통해 분쇄된 쓰레기를 흡입하는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이때 파이프는 수중에서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또 흡입수단을 통해 흡입된 쓰레기에서 물과 쓰레기를 분리하며, 분리된 쓰레기는 압축하여 배출하고, 물은 여과하여 배출하는 상기 압축수단은 흡입공과 파이프를 통해 연결 설치되며 흡입펌프의 구동에 따라 흡입되는 쓰레기를 일시 저장하는 저장통과, 그 저장통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흡입되는 쓰레기에서 물을 배출하는 거름망과, 저장통 상부 일 측에 형성되며, 거름망을 통과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물 배출구와, 거름망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물과 분리된 쓰레기를 압축하는 압축 스크류와, 저장통 하단에 형성되며, 압축 스크류를 통해 압축된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로 이루어진다.
이때 흡입되는 쓰레기를 일시 저장하는 저장통은 거름망을 통과한 물을 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강·하천·호수와 같은 수중에서의 오물·침전물과 같은 수중 쓰레기 등을 흡입구에서 모아 분쇄함과 동시에 흡입하고, 흡입을 통해 이송된 쓰레기에서 물과 쓰레기를 분리한 후 여과하여 배출토록 함으로써, 강·하천·호수를 깨끗이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장치를 보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장치에서 분쇄부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장치에서 압축수단을 보인 분리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강이나 호수의 바닥 또는 하상에 적층되어 있는 수중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 하단에는 본체(10)를 수중에서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20)을 본체(1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박스 형상의 본체(10)는 물에 떠 있을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거나 본체(10) 외주면에 부력체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본체(10)를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20)은 점도가 있는 지형에서도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무한궤도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본체(10)와 이동수단(20) 사이에는 수심(水深)에 따라 본체(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구(22)를 설치한다.
이어 상기 이동수단(20)의 진행 방향 전면에는 수중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30)과 분쇄된 쓰레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수단(40)을 갖는 분쇄판(31)을 지지대(21)를 통해 연결 설치한다.
이때 수중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30)은 분쇄판(31)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34)와, 구동모터(34)와 벨트(35)로 연결 설치되는 스프로켓(36)과, 구동모터(34) 및 벨트(35), 스프로켓(36)가 설치되는 분쇄판(31)의 상부를 마감하는 덮개(33)와, 분쇄판(31)의 하단에서 상기 스프로켓(36)과 축결합되는 복수 개의 분쇄날(37a)(37b)(37c)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분쇄판(31)은 수중 쓰레기가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역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분쇄판(31)의 하단에서 상기 스프로켓(36)과 축결합되는 복수 개의 분쇄날(37a)(37b)(37c)은 각기 다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분쇄날(37a)(37b)(37c)의 배열은 진입되는 쓰레기를 쉽게 분쇄할 수 있도록 진행 방향의 전면에서부터 큰 크기의 분쇄날(37a)(37b)(37c)이 설치되도록 배열함이 바람직하다.
또 분쇄판(31)의 전·후방 양측에는 분쇄판(31)의 전·후진이 원활하도록 바퀴(32)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쇄수단(30)을 통해 분쇄된 쓰레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수단(40)은 분쇄판(31)의 후면에 관통 형성되는 흡입공(41)과, 상기 본체(10) 상단에 설치되는 흡입펌프(43), 상기 흡입펌프(43)와 흡입공(41) 사이에 설치되어 분쇄수단(30)을 통해 분쇄된 쓰레기를 흡입하는 파이프(4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파이프(42)는 수중에서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플렉시블한(flexible) 재질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본체(10) 상단에는 흡입수단(40)을 통해 흡입된 쓰레기에서 물과 쓰레기를 분리하고, 분리된 쓰레기는 압축하여 배출하고, 물은 여과하여 배출하는 압축수단(50)을 설치한다.
이때 흡입수단(40)을 통해 흡입된 쓰레기에서 물과 쓰레기를 분리하며, 분리된 쓰레기는 압축하여 배출하고, 물은 여과하여 배출하는 상기 압축수단(50)은 흡입공(41)과 파이프(42)를 통해 연결 설치되며 흡입펌프(43)의 구동에 따라 흡입되는 쓰레기를 일시 저장하는 저장통(51)과, 그 저장통(51)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흡입되는 쓰레기에서 물을 배출하는 거름망(53)과, 저장통(51) 상부 일 측에 형성되며, 거름망(53)을 통과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물 배출구(52a)와, 거름망(53)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모터(54)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물과 분리된 쓰레기를 압축하는 압축 스크류(55)와, 저장통(51) 하단에 형성되며, 압축 스크류(55)를 통해 압축된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2b)로 이루어진다.
또 흡입되는 쓰레기를 일시 저장하는 저장통(51)은 거름망(53)을 통과한 물을 물 배출구(52a)를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물 배출구(52a)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에 의하면,
수중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거 장치(1)를 수중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것으로 제거 장치(1)를 구동시키게 되면, 본체(10) 하단에 설치되는 이동수단(20)을 통해 수중에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이동수단(20) 전면에 지지대(21)를 통해 연결 설치되는 분쇄판(31)은 전·후방 양측에 설치되는 바퀴(32)를 통해 전·후진 이동되게 된다.
이때 높낮이 조절구(22)를 이용하여 본체(10)의 높낮이를 수심(水深)에 따라 조절토록 한다.
상기 작동을 통해 이동 중 쓰레기와 같은 제거 대상을 발견하게 되면, 분쇄수단(30)이 작동하여 쓰레기를 분쇄하게 된다.
즉 분쇄판(31)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34)가 구동하게 되면, 구동모터(34)와 벨트(35)로 연결 설치되는 스프로켓(36)이 연동하여 회전됨에 따라 분쇄판(31)의 하단에서 상기 스프로켓(36)과 축결합되는 복수 개의 분쇄날(37a)(37b)(37c)도 연동하여 회전되게 되면서 분쇄판(31)으로 진입되는 쓰레기를 잘게 분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분쇄판(31)이 수중 쓰레기가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전면이 넓고 후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평면에서 볼 때 역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분쇄판(31)의 하단에 설치되는 각기 다른 크기의 복수 개의 분쇄날(37a)(37b)(37c) 역시 분쇄판(31)으로 진입되는 부피가 큰 쓰레기부터 쉽게 분쇄할 수 있도록 진행 방향의 전면에서부터 큰 크기의 분쇄날(37a)(37b)(37c)이 설치되도록 배열됨에 따라 분쇄판(31)으로 진입된 쓰레기를 걸림 없이 쉽고도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쇄수단(30)의 작동으로 분쇄된 수중 쓰레기는 본체(10) 상단에 설치되는 흡입펌프(43)의 작동에 따라 분쇄판(31) 후면에 관통 형성되는 흡입공(41)을 통해 분쇄와 동시에 흡입하게 되며, 흡입공(41)에 설치되는 파이프(42)를 통해 본체(10) 상부에 설치되는 저장통(51)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 분쇄수단(30)과 흡입수단(40)의 작동을 통해 분쇄된 상태로 흡입되는 쓰레기가 저장통(51)에 저장되게 되면, 흡입된 쓰레기에서 물과 쓰레기를 분리한 다음 분리된 쓰레기는 압축하여 부피를 줄인 상태로 배출토록 하고, 물은 외부로 배출토록 한다.
즉 흡입펌프(43)의 구동에 따라 파이프(42)를 통해 흡입되는 쓰레기가 저장통(51)의 거름망(53) 내부에 일시 저장되게 되면, 거름망(53)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압축 스크류(55)가 모터(54)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거름망(53) 내부의 쓰레기를 압축하게 되고, 이때 압축되는 과정에서 쓰레기에서의 물이 거름망(5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배출된 물은 저장통(51)에 담겨진 상태로 있다가 일정 수위가 되면, 저장통(51)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구(5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압축 스크류(55)를 통해 압축되어 부피가 줄어든 쓰레기는 저장통(51) 하단에 형성되는 배출구(52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1 ; 제거장치 10 ; 본체
20 ; 이동수단 21 ; 지지대
22 ; 높낮이 조절구 30 ; 분쇄수단
31 ; 분쇄판 32 ; 바퀴
33 ; 덮개 34 ; 구동모터
35 ; 벨트 36 ; 스프로켓
37a, 37b, 37c ; 분쇄날 40 ; 흡입수단
41 ; 흡입공 42 ; 파이프
43 ; 흡입펌프 50 ; 압축수단
51 ; 저장통 52a, 52b ; 배출구
53 ; 거름망 54 ; 모터
55 ; 압축스크류

Claims (5)

  1. 강이나 호수의 바닥 또는 하상에 적층되어 있는 수중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 쓰레기 제거 장치에 있어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하단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본체(10)를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20)과;
    상기 본체(10)와 이동수단(20) 사이에 설치되어 본체(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구(22)와;
    상기 이동수단(20)의 전면에 지지대(21)를 통해 연결 설치되며, 수중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30)과 분쇄된 쓰레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수단(40)을 갖는 분쇄판(31)과;
    상기 본체(10) 상단에 설치되어 흡입수단(40)을 통해 흡입된 쓰레기에서 물과 쓰레기를 분리하며, 분리된 물은 여과하여 배출하고, 쓰레기는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수단(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판(31)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4) 및 그 구동모터(34)와 벨트(35)로 연결 설치되는 스프로켓(36), 구동모터(34) 및 벨트(35), 스프로켓(36)이 설치되는 분쇄판(31)의 상부를 마감하는 덮개(33), 상기 분쇄판(31) 하단에서 상기 스프로켓(36)과 축결합되는 복수 개의 분쇄날(37a)(37b)(37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판(31)은 수중 쓰레기가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역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분쇄판(31)의 하단에서 스프로켓(36)과 축결합되는 복수 개의 분쇄날(37a)(37b)(37c)은 각기 다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분쇄날(37a)(37b)(37c7)의 배열은 진입되는 쓰레기를 쉽게 분쇄할 수 있도록 진행 방향의 전면에서부터 큰 크기의 분쇄날(37a, 37b, 37c)이 설치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40)은 분쇄판(31)의 후면에 관통 형성되는 흡입공(41)과, 상기 본체(10) 상단에 설치되어 분쇄된 쓰레기를 흡입하는 흡입펌프(43)와, 상기 흡입펌프(43)와 흡입공(41) 사이에 설치되어 분쇄수단(30)을 통해 분쇄된 쓰레기를 흡입하는 파이프(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수단(50)은 흡입공(41)과 파이프(42)를 통해 연결 설치되며 흡입펌프(43)의 구동에 따라 흡입되는 쓰레기를 일시 저장하는 저장통(51)과, 그 저장통(51)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흡입되는 쓰레기에서 물을 배출하는 거름망(53)과, 저장통(51) 상부 일 측에 형성되며, 거름망(53)을 통과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물 배출구(52a)와, 거름망(53)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모터(54)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물과 분리된 쓰레기를 압축하는 압축 스크류(55)와, 저장통(51) 하단에 형성되며, 압축 스크류(55)를 통해 압축된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2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
KR1020160009145A 2016-01-26 2016-01-26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 KR101809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145A KR101809553B1 (ko) 2016-01-26 2016-01-26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145A KR101809553B1 (ko) 2016-01-26 2016-01-26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133A true KR20170089133A (ko) 2017-08-03
KR101809553B1 KR101809553B1 (ko) 2017-12-15

Family

ID=5965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145A KR101809553B1 (ko) 2016-01-26 2016-01-26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5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7015B (zh) * 2017-09-21 2018-10-16 竺裕东 一种垃圾处理装置
CN110562337A (zh) * 2019-09-27 2019-12-13 安徽华晟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粮食加工用全履带机器人
CN113231399A (zh) * 2021-04-30 2021-08-10 江苏春林风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循环的高效大型工业吸扫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856B1 (ko) 2020-10-30 2022-06-0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쓰레기 제거시스템
KR102569005B1 (ko) * 2021-09-03 2023-08-22 주식회사 신정이노텍 밀폐공간의 고형물 무인 언로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3914A (ja) * 2006-08-21 2008-02-28 Kurita Water Ind Ltd 汚泥濃縮装置
CN204826027U (zh) * 2015-06-10 2015-12-02 河南工业大学 污泥输送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7015B (zh) * 2017-09-21 2018-10-16 竺裕东 一种垃圾处理装置
CN110562337A (zh) * 2019-09-27 2019-12-13 安徽华晟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粮食加工用全履带机器人
CN113231399A (zh) * 2021-04-30 2021-08-10 江苏春林风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循环的高效大型工业吸扫站
CN113231399B (zh) * 2021-04-30 2023-08-29 江苏春林风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循环的高效大型工业吸扫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553B1 (ko)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553B1 (ko)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
CN110559736B (zh) 一种环保型河道淤泥清理处理方法
KR100930602B1 (ko) 친환경 준설선
KR101479179B1 (ko) 수면의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부유물 제거장치 및 부유물 제거방법
JP4290221B2 (ja) 工作機械用クーラント液浄化装置
KR102207360B1 (ko)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나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수중발생 오염물의 재활용 방법 및 오염물여과장치
CN101385917A (zh) 一种可分层控制吸污的移动式抽吸过滤装置
JP6247663B2 (ja) 浚渫システム
WO2019085419A1 (zh) 一种淤泥抽除设备
US4113616A (en) Fish manure removal method
KR200393717Y1 (ko)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CN211972103U (zh) 一种污水处理池淤泥处理装置
CN112299563A (zh) 一种人工湿地用杂物清理装置
CN102240473A (zh) 一种垃圾分离装置
KR101444401B1 (ko) 준설사업 중 배출되는 배출수 여과장치
KR101381111B1 (ko) 그리스트랩 청소기
CN115403180A (zh) 一种带有回收可浮粗煤粒的煤泥水处理工艺
JP2016125277A (ja) 浚渫システム
JP6391559B2 (ja) 浮遊物回収装置
KR20230148477A (ko) 수중 오염물의 신속분리를 위한 고액분리장치 및 그 이용방법
RU227892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дна водоемов
JP6004529B2 (ja) 泥土処理システム
KR102258861B1 (ko)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기 위한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
CN220047391U (zh) 一种二沉池出水堰除藻装置
CN201817312U (zh) 一种磁种式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