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861B1 -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기 위한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기 위한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861B1
KR102258861B1 KR1020190062216A KR20190062216A KR102258861B1 KR 102258861 B1 KR102258861 B1 KR 102258861B1 KR 1020190062216 A KR1020190062216 A KR 1020190062216A KR 20190062216 A KR20190062216 A KR 20190062216A KR 102258861 B1 KR102258861 B1 KR 102258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utant
water
drum screen
screen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557A (ko
Inventor
김원태
김현승
김현설
Original Assignee
김원태
김현승
김현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태, 김현승, 김현설 filed Critical 김원태
Priority to KR1020190062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86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02B3/023Removing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05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conveying material from the underwater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6Delivery chutes or screening plants or mixing plants mounted on dredgers or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원은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제거하기 위해 오염물수집장치와 2종의 오염물여과장치가 현장여건에 따라 함께 연계되어 적용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및 제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본원은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제거하기 위해 오염물수집장치와 오염물여과장치가 연결되어 적용되는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기술로, 구동수단이 구비된 오염물수집장치의 후면에 부착되어 오염물수집장치의 이동에 의해 넓은 면적에 분포된 오니혼탁물을 후속 처리하기 위한 오염물여과장치가 A타입 드럼스크린과 B타입 드럼스크린으로 제공되고, 상기 오염물여과장치를 이동시키는 오염물수집장치에 부설된 오염물제거펌핑장치로 수중의 수초나 침적물을 탈리시켜 오염물여과장치로 펌핑되는 구성을 이루고,
상기 오염물제거펌핑장치에서 펌핑되는 수초 및 침적물이 오염물여과장치의 드럼스크린입구부로 보내져서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나 오니혼탁물을 제거하는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수단 관련 기술이다.

Description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기 위한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Removing method of water plant and bottom sludge using brush and it's apparatus}
본원은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기 위한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 관련 기술이다.
본원은 구동수단이 구비된 오염물수집장치의 후면에 부착되어 오염물수집장치의 이동에 의해 넓은 면적에 분포된 오니혼탁물을 후속 처리하기 위한 오염물여과장치가 드럼스크린 내부에서 걸러지는 퇴적협잡물이 배출구쪽으로 이동되도록 나선익편이 형성되고 출구에 퇴적협잡물 등을 배출하는 배출슈트가 각각 형성되거나 또는 나선익편 대신 드럼스크린 내부에 횡형 지지바 및 회전되는 드럼스크린 외측에는 분사노즐이 설치되고 드럼스크린 내측에는 분사노즐의 대응위치에 경사면을 이룬 탈리물받이가 설치되는 구성의 변형드럼스크린이 설치되고, 오염물수집장치는 운전제어부와 구동부 및 컷터형 브러쉬가 부착된 오염물제거펌핑장치를 갖추고 운전제어부는 운전석과 콘트롤제어부를 갖고 운전석에서 사람이 직접 운전하거나 또는 깊은 수역에서는 로봇이 수행하도록 별도의 바지선이나 육상에서 원격제어 콘트롤 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을 이루며 오염물제거펌핑장치는 반원형 버켓하우징 외연으로 혼탁물이 비산하지 않도록 비산방지패드가 설치되고 버켓하우징 내부에는 회전되는 브러쉬에 의해 수중의 수초나 침적물을 탈리시켜 외부로 펌핑되는 구성의 오염물제거펌핑장치에서 펌핑되는 수초 및 침적물이 오염물여과장치의 드럼스크린입구부로 보내져서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나 오니혼탁물을 제거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강이나 인공호수나 하천에는 육지로부터 각종 오염물이 유입되거나 낙엽 등이 수중의 바닥면에 쌓이고 적층되는데, 이러한 오니퇴적물 들은 수심에서 50~150㎝ 크기로 자란 수초 사이에 쌓여 적체되고 이들 수중의 오니퇴적물을 제 때에 제거하여 주지 않으면, 하절기에 녹조, 적조의 현상을 발생시키게 되고 수중에 산소가 결핍되어 수중의 생태계가 파괴되고 수중의 생물, 벌레, 물고기 등이 사멸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수중 오니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갖고 제안된 출원인의 선출원 및 등록된 특허기술로 제0543778호, 제0729843호, 제1106770호, 제1301527호 등의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최근에는 수중 오니 제거작업의 어려운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인공 로봇을 이용하여 오니제거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바,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64473호에서는 하수관, 하천, 저수조, 호수 또는 해수수로 등에 투입되어 슬러지, 침전물, 토사 또는 퇴적물 등을 효율적으로 청소 내지 준설하는 다목적 수중 청소로봇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 로봇 몸체와 상기 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와 상기 주행부를 구동시키는 제1 모터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퇴적물을 흡입하는 흡입호퍼와 상기 흡입호퍼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흡입된 퇴적물을 외부로 송출하는 토출배관과 상기 흡입호퍼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퇴적물을 분쇄하는 분쇄스크류와 상기 분쇄스크류를 구동시키는 제2모터 및 상기 몸체에 탑재되고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를 구동시키며 원격에서 제어 가능하게 구성된 유압발생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중청소로봇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133091호에서는 저수조의 무인 청소가 가능하도록 청소로봇으로 로봇 본체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를 주행시키는 주행구동부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저수조에 쌓인 침전물을 포함하는 오염수를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흡입부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가 주행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흡입부를 회동시키는 틸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인 청소로봇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194580호에는 수중 청소로봇이 수중구조체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고 복수의 주행모듈을 구비한 주행부와 로봇 본체와 복수의 주행모듈을 주행부의 이동방향인 제1방향 및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로봇 본체와 연결되는 본체연결부와 수중구조체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모듈을 구비한 청소헤드부와 청소헤드부를 제1방향 및 제1방향에 수직한 평면상의 한 축 방향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로봇 본체에 연결하는 헤드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중 청소로봇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에 제시된 무인 수중로봇은 아직은 온갖 악조건이 산재해 있는 수중 밑바닥의 불균형 및 작업환경 악화로 현장에 적용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갖고 여전히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단계에 머물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종래에 개시된 기술은 도 1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수중에 50㎝ 내지 150㎝ 크기로 자란 수초 사이에 왕복이동을 할 때 수시로 엉키고 설켜서 고장이 발생하고 정상운행이 되지 않지 않아서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별도의 오수처리시설 및 오수배관이 설치된 지역에서는 수중발생 퇴적물 중 크게 오염되지 않은 여과수를 오수배관을 통해 오수처리시설로 흘려 볼낼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물 폐기량이 너무 많아 문제이고 오수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지역에서는 수집된 오염퇴적물을 여과공정을 거치지 않고 다시 원류로 환원시키는 경우 청소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원 기술사상은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기 위해 오염물수집장치와 오염물여과장치가 함께 연계되어 사용되는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제거하기 위해 오염물수집장치와 2종의 오염물여과장치가 현장여건에 따라 함께 연계되어 적용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및 제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 기술사상은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기 위한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로서, 본원에서는 오염물수집장치와 오염물여과장치가 연결되어 적용되는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오염물수집장치 및 오염물여과장치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오염물수집장치의 후면에 부착되어 오염물수집장치의 이동에 의해 넓은 면적에 분포된 오니혼탁물을 후속 처리하도록 적용되는바,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오염물여과장치는 외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도록 안착된 드럼스크린의 입구에 혼탁수와 퇴적협잡물이 함께 투입되는 유입관을 갖고 드럼스크린 내부에서 걸러지는 퇴적협잡물이 배출구쪽으로 이동되도록 나선익편이 형성되고 출구에 퇴적협잡물 등을 배출하는 배출슈트가 각각 형성되며, 드럼스크린 저부로는 물받이가 구비된 구성을 이루며, 드럼스크린 상부 외측에는 분사노즐에서 고압으로 분사되는 공기와 물에 의하여 스크린망 내측에 부착된 협잡물을 탈리시키는 구성의 드럼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오염물여과장치를 이동시키는 오염물수집장치는 운전제어부와 구동부 및 컷터형 브러쉬가 부착된 오염물제거펌핑장치를 갖추고 운전제어부는 운전석과 콘트롤제어부를 갖고 운전석에서 사람이 직접 운전하도록 적용되거나 또는 깊은 수역에서는 로봇이 수행하도록 별도의 바지선이나 육상에서 원격제어 콘트롤 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을 이루며 오염물제거펌핑장치는 반원형 버켓하우징 외연으로 혼탁물이 비산하지 않도록 비산방지패드가 설치되고 버켓하우징 내부에는 회전되는 브러쉬에 의해 수중의 수초나 침적물을 탈리시켜 외부로 펌핑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형태의 오염물수집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은 상기 오염물제거펌핑장치에서 펌핑되는 수초 및 침적물이 오염물여과장치의 드럼스크린입구부로 보내져서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나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는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에서 상기 오염물제거펌핑장치에서 오염물여과장치인 드럼스크린으로 직접 펌핑되지 않고 중간단계에 경사스크린이 설치되어 거대 협잡물이 경사스크린을 거쳐 제거된 후 드럼스크린 유입부로 유입되도록 복합여과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오염물여과장치 또는 복합여과장치가 수중의 부력체나 바지선 상부에 설치되어 오염물수집장치에 안내되며 사용되도록 적용되거나 또는 상기 오염물여과장치 또는 복합여과장치가 육상에 설치되고 오염물수집장치의 배출호스로부터 이송되는 수초나 침적물을 처리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에서 상기 오염물제거펌핑장치에서 오염물여과장치인 드럼스크린으로 직접 펌핑되지 않고 중간단계에 경사스크린이 설치되어 거대 협잡물이 경사스크린을 거쳐 제거된 후 드럼스크린 유입부로 유입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오염물여과장치에서 일측으로 유입되어 타측으로 배출되는 드럼스크린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또 다른 실시양태의 변형구조 오염물여과장치로 적용될 수 있는바, 회전되는 드럼스크린 내부에는 횡형지지바가 설치되고 드럼스크린 외측 상부에는 분사노즐이 고정 설치되며 고정된 분사노즐의 대응 위치에서 드럼스크린 내측에는 경사면을 이룬 탈리물받이가 고정 설치되는 구성을 이루며 경사면을 이룬 탈리물받이의 일측 하향경사면이 배출슈트로 기능하도록 제공되고 오염물수집장치에서 펌핑되는 오니혼탁물이 회전하는 드럼스크린의 입구부에 유입되어 여과되면서 맑은 물은 스크린을 통과하여 저부로 흐르고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은 고형 협잡물은 회전되는 횡형지지바에 얹혀진 상태로 회전될 때 드럼스크린 외측에 고정된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공기 또는 물에 의하여 협잡물이 스크린망에서 탈리되어 경사면을 이룬 탈리물받이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오염물여과장치로 적용될수 있는 기술사상을 포함한다.
본원 기술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에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원은 바닷물을 공급받거나 또는 일반 강물을 공급받는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함께 안전하게 제거하면서 깨끗한 수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원은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제거하기 위해 오염물수집장치와 오염물여과장치가 함께 연계되어 사용되는 새로운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수단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 본원 기술의 적용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현장상태 사진도.
도 2 : 본원 기술이 현장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작업 실시양태 사진도.
도 3 : 본원 기술의 적용원리를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실시양태 예시도.
도 4 : 본원 기술에 적용가능한 오염물수집장치의 적용예시도
도 5 : 본원 기술에 적용가능한 예비여과장치의 적용예시도
도 6 : 본원 기술에 적용가능한 오염물여과장치의 적용예시도.
본원은 강물이나 바닷물을 유입시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관리형 하천이나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관련 기술로서 실제의 현장 적용예를 현장사진도로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기 위한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수단에 관련한 발명인 바, 이의 구체적 적용예를 도면을 제시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 제시된 도면은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원 기술이 적용되기 위한 현장의 생태환경을 나타낸 사진도로서, 수심 바닥면에서부터 올라온 수초(1) 상부에 오니부유물(2)이 더운 날씨에 떠올라 엉겨 붙어있고, 오니부유물이 전체 수역으로 퍼지지 않도록 확산방지망(3)이 휀스형태로 설치된 현장 사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원 기술이 현장에 적용되는 경우 작업과정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 도 2a에서는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제거하기 위해 오염물제거펌핑장치(30)가 부설된 오염물수집장치(100)와 오염물여과장치(200)가 함께 연결되어 사용되는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고, 도 2b에서는 도 2a의 상태에서 오염물수집장치(100)와 오염물여과장치(200) 사이에 수초 등 큰 이물질을 분류해 내기 위한 예비여과장치(150)가 추가되어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원 기술에 적용되는 드럼스크린(200)이 A타입 드럼스크린(200a)과 B타입 드럼스크린(200b)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히 개요도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 도 3a에서는 도 2b에서 제시되는 예비여과장치(150)와 오염물여과장치(200)가 A타입 드럼스크린(200a)으로 적용되어 수상의 부유체 또는 바지선(300) 상부에서 고정프레임(250)에 의해 드럼스크린 및 예비여과장치(150)가 고정되어 적용될 수 있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바지선(300)은 도 2의 오염물수집장치(100)의 후단에 연결되어 예인되며 수초 및 오니퇴적물 등의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작업에 적용될 수 있는바, 도 3a에 제시되는 실시양태는 오염물수집장치(100)에서 수초 등과 같이 큰 이물질이 포함된 ㅍ드럼스크펌핑물에 대하여 굵은 망이 사용되어 경사면 형태로 설치되는 예비여과장치(150)을 처치면 수초 등의 큰 이물질이 먼저 걸러져서 큰 그물형태의 건조망 등에 남고 여액은 저부로 빠져 제거작업 중 수초, 가시파래류 등을 건조시키도록 적용되고 예비여과장치(150)을 통과한 혼탁물은 화살표 방향과 같이 A타입 드럼스크린(200a)의 유입부(210)로 들어와서 회전되는 드럼스크린(200a) 내부에서 걸러지는 여과된 물은 스크린을 통해 저부로 빠지고 드럼스크린(200a)을 통과하지 못한 퇴적협잡물은 드럼스크린 내부에 설치된 나선익편(220)에 의해 배출구(230)쪽으로 이동되고 배출구(230)를 통한 배출물은 별도의 퇴적물보관용기에 담겨 외부로 반출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본원 기술에 적용되는 드럼스크린(200)이 B타입 드럼스크린(200b)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도 3b에 제시되는 드럼스크린(200b)은 회전되는 드럼스크린의 필터몸체(240) 내부에서 횡형으로 길게 드럼스크린을 지지하는 보강지지바(250)가 설치되고 드럼스크린의 필터몸체(240) 외부의 상부 일측에는 분사노즐(260)이 고정 설치되며, 고정된 분사노즐(260)의 필터몸체(240) 반대편 대응 위치에는 경사면을 이룬 탈리물받이(270)가 고정 설치되는 구성을 이루며 경사면으로 형성된 탈리물받이(270)의 일측 하향경사면이 배출구(230)로 기능하도록 제공되어 오염물수집장치(100)의 오염물제거펌핑장치(30)에서 보내지는 오니혼탁물이 회전하는 드럼스크린(200b)의 입구부(210)로 유입되어 여과되면서 맑은 물은 스크린을 통과하여 저부로 흐르고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은 고형협잡물(250a)은 회전되는 보강지지바(250)에 얹혀진 상태로 회전될 때 드럼스크린(200b) 외측에 고정된 분사노즐(260)에서 분사되는 공기 또는 물에 의하여 고형협잡물(250a)이 스크린망에서 탈리되어 경사면을 이룬 탈리물받이(27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원 기술에 적용가능한 오염물수집장치(100)의 일 적용예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원 기술에 적용가능한 예비여과장치(150)의 일 적용예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원 기술에 적용가능한 오염물여과장치의 일 적용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제시되는 오니물수집장치(100)는 운전제어부(60)와 구동부(70)와 오염물제거펌핑장치(30)로 구분될 수 있는바, 운전제어부(60)는 운전석(61)과 콘트롤러부(62)를 갖고 운전석에서 운전하도록 적용되거나 또는 별도의 바지선이나 육상에서 원격조절 콘트롤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원의 오니물수집장치(100)는 수중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심에 따라 운전제어부(6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부재(63) 및 부력부재(64)를 사용하여 수심에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운전부하우징(65) 내부로는 유압펌프나 유압엔진을 구비하여 유압을 구동부(70)나 오염물제거펌핑장치(30)의 유압모터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적용되며 슬라이딩 부재(63)의 하단부는 구동부(70)와 연결되어 고정되고, 구동부(70)는 슬라이딩 부재(63)로 운전제어부(60)와 연결되고 전면부에는 오염물제거펌핑장치(30)와 연결되며, 구동부하우징(71) 양 측으로 무한궤도(72)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반 바퀴로 수중에서 안전하게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충족하는 조건이면 타 종류의 구동수단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며, 구동부 하우징(71) 내부로는 유압모터가 설치되어 무한궤도(72)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며, 운전부하우징(65)의 전면부에는 이동축(73a)를 갖고 오염물제거펌핑장치(30)의 연결축(73)의 외연을 감싼 상태로 수심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운전제어부의 유압펌프나 유압엔진에서 구동부의 유압모터로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유압관이 구비되며, 슬라이딩 부재 내부로 유압호스를 이용하여 압력을 전달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오니물수집장치(100)에서 운전제어부(60) 또는 구동부(70)에 관련한 구성은 출원인의 선출원 등록특허 제0543778호, 제0729843호, 제1106770호, 제1301527호 등에서 상세히 제시되어 있고 또한 타 특허 기술에서도 유사하게 준용되어 적용되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구성은 생략하며 오니작업선(100)의 전면부에서 오염물제거펌핑장치(30)가 좌.우 일정 폭으로 <-> 왕복하며 바닥면적을 쓸어주며 퇴적물을 분리시키고, 브러쉬 캡(31) 내부에 내장된 배출관(34) 및 배출호스(35)와 펌핑장치(40)가 연결되어 펌핑장치(40)에서 수초 등의 큰 이물질이 없는 경우 도 2a에 제시된 바와 같이 오염물여과장치(200)로 직접 펌핑되도록 적용되거나 또는 수초 등의 큰 이물질이 있는 경우 도 2b에 제시된 바와 같이가 예비여과장를(150)를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수초 등의 큰 이물질이 많은 경우에 적용가능한 예비여과장치(150)의 일 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원의 오니물수집장치(100)의 오염물제거펌핑장치(30)에서 보내지는 수초 등 협잡물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로 예비여과장치(150)의 상부에 형성된 투입호퍼(151)로 투입되고 투입호퍼(151)를 통해 투입된 퇴적물은 회전하는 로터리 드럼스크린(160)의 판재(plate) 사이에 수초나 비닐조각 등의 대형이물질이 걸러지고 로터리드럼스크린(160)에 가시파래 등이 끼워지게 되면 회전하는 로터리드럼스크린(160)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고정레이크(170)를 통해서 가시파래 등의 협잡물을 걸러내고 하부로 모인 협잡물은 일측으로 압착하여 배출하는 스크류프레스(180)를 갖는 구성으로 예비여과장치(150)가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는 본원 기술이 적용되어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작업을 수행할 때 A타입 드럼스크린(200a)이 적용되어 오염물여과작업을 수행하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에 제시된 A타입 드럼스크린(200a)은 고정프레임(250)에 의해 지지되어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하도록 안착된 드럼스크린(200a)의 화살표 방향 입구부에 혼탁수와 퇴적협잡물이 함께 투입되는 유입관(210)을 갖고 드럼스크린(200a) 내부에서 걸러지는 퇴적협잡물이 배출구(230) 쪽으로 이동되도록 나선익편(220)이 형성되고 출구에 퇴적협잡물 등을 배출하는 배출슈트 형성되는 구성을 이루며 드럼스크린(200a)을 통과한 맑은 물은 저류조(240)에 모여 응집조로 보내지거나 또는 원류로 방류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는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고정프레임(250) 안쪽 위치에서 드럼스크린(200a)의 표면외부로 고압공기나 고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위치가 표시되지 않았으나 도 3b에서 제시된 실시양태로 드럼스크린(200a)의 외연쪽에서 고압공기나 고압수를 분사시켜 스크린의 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퇴적물을 탈리시키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포함되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 : 오염물제거펌핑장치 60 : 운전제어부
70 : 구동부 100 : 오염물수집장치
150 : 예비여과장치 151 : 투입호퍼
160 : 로터리 드럼스크린 170 : 고정레이크
180 : 스크류프레스 200 : 오염물여과장치
200a : A타입 드럼스크린 200b : B타입 드럼스크린
210 : 스크린 유입부 220 : 나선익편
230 : 배출구 240 : 필터몸체
250 : 보강지지바 260 : 분사노즐
270 : 탈리물받이

Claims (6)

  1.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동시 제거하기 위해 오염물수집장치와 오염물여과장치가 연결되어 적용되는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에 있어서
    오염물여과장치를 이동시키는 오염물수집장치는 운전제어부와 구동부 및 컷터형 브러쉬가 부착된 오염물제거펌핑장치를 갖추고 운전제어부는 운전석과 콘트롤제어부를 갖고 운전석에서 사람이 직접 운전하도록 적용되거나 또는 깊은 수역에서는 로봇이 수행하도록 별도의 바지선이나 육상에서 원격제어 콘트롤 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오염물제거펌핑장치는 반원형 버켓하우징 외연으로 혼탁물이 비산하지 않도록 비산방지패드가 설치되고 버켓하우징 내부에는 회전되는 브러쉬에 의해 수중의 수초 및 침적물을 탈리시켜 경사스크린으로 보내주는 구성을 이루고,
    상기 오염물제거펌핑장치에서 펌핑된 수초 및 침적물 중 수초 및 거대 협잡물이 경사스크린을 거치며 제거된 후 오니혼탁물이 드럼스크린 유입부로 보내지도록 적용되고
    상기 오염물수집장치의 후면에 부착되어 오염물수집장치의 이동에 의해 넓은 면적에 분포된 오니혼탁물을 후속 여과 처리하기 위한 오염물여과장치는 외부프레임 내부에 회전하도록 안착된 원형 드럼스크린의 입구에 혼탁수와 퇴적협잡물이 함께 투입되는 유입관을 갖고 드럼스크린 내부에서 걸러지는 퇴적협잡물이 배출구쪽으로 이동되도록 나선익편이 형성되고 출구에 퇴적협잡물 등을 배출하는 배출슈트가 각각 형성되며, 회전되는 드럼스크린 외측에는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분사노즐로부터 고압으로 분사되는 공기 또는 물의 분사압에 의하여 스크린망에 부착된 협잡물을 탈리시키는 구성의 드럼스크린이 설치되는 구성과 연계되어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동시 제거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여과장치가 수중의 부력체나 바지선 상부에 설치되어 오염물수집장치에 안내되며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여과장치가 육상에 설치되고 오염물제거펌핑장치의 배출호스로부터 이송되는 수초나 침적물을 처리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항에 적용되는 오염물여과장치가 변형 드럼스크린(200b)으로 적용되되, 변형 드럼스크린(200b)은 필터몸체(240) 안쪽으로 횡형으로 길게 필터몸체를 지지하는 보강지지바(250)가 설치되고 보강지지바(250) 외연을 필터몸체(240)가 감싼 구조로 드럼스크린 형태를 이루며 드럼스크린의 외측 상부 일측에는 분사노즐(260)이 설치되며, 고정된 분사노즐(260)의 필터몸체(240) 반대편 대응 위치에는 경사면을 이룬 탈리물받이(270)가 고정 설치되는 구성을 이루며 경사면으로 형성된 탈리물받이(270)의 일측 하향 경사면이 배출구(230)로 기능하는 구성을 이루고 오염물제거펌핑장치(30)에서 펑핑된 수중 발생퇴적물이 횡형으로 회전하는 드럼스크린(200b)의 입구부(210)로 유입되어 여과되면서 맑은 물은 필터몸체(240)를 통과하여 저부로 흐르고 필터몸체(240)를 통과하지 않은 고형협잡물(250a)은 회전되는 보강지지바(250)에 얹혀진 상태로 회전되다가 드럼스크린(200b) 외측에 고정된 분사노즐(260)에서 분사되는 공기 또는 물의 분사압에 의하여 고형협잡물(250a)이 스크린망에서 탈리되어 경사면을 이룬 탈리물받이(270)로 떨어져 외부로 배출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6. 삭제
KR1020190062216A 2019-05-28 2019-05-28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기 위한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 KR102258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216A KR102258861B1 (ko) 2019-05-28 2019-05-28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기 위한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216A KR102258861B1 (ko) 2019-05-28 2019-05-28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기 위한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557A KR20200136557A (ko) 2020-12-08
KR102258861B1 true KR102258861B1 (ko) 2021-05-31

Family

ID=7377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216A KR102258861B1 (ko) 2019-05-28 2019-05-28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기 위한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86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962B1 (ko) * 2003-12-04 2006-01-23 임종순 미세목 스크린형 협잡물처리장치
KR101089549B1 (ko) * 2011-06-21 2011-12-06 서정태 양어장용 무진동 및 무소음형 드럼스크린장치
KR101702266B1 (ko) * 2016-03-21 2017-02-13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수질개선 및 준설토 처리를 위한 준설장치
KR101739783B1 (ko) * 2015-09-23 2017-06-05 김원태 횡으로 이동하는 부러쉬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KR101769772B1 (ko) * 2017-02-08 2017-08-24 주식회사 정문이엔이 유기성 폐기물의 협잡물 처리장치 및 협잡물 제거방법
KR101815701B1 (ko) 2017-03-27 2018-01-30 김원태 수초 컷터가 부착된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초 제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143B1 (ko) * 2013-05-16 2017-02-22 김원태 수중 오염원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769407B1 (ko) * 2015-10-20 2017-08-18 (주)에코코 수초 제거용 보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962B1 (ko) * 2003-12-04 2006-01-23 임종순 미세목 스크린형 협잡물처리장치
KR101089549B1 (ko) * 2011-06-21 2011-12-06 서정태 양어장용 무진동 및 무소음형 드럼스크린장치
KR101739783B1 (ko) * 2015-09-23 2017-06-05 김원태 횡으로 이동하는 부러쉬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KR101702266B1 (ko) * 2016-03-21 2017-02-13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수질개선 및 준설토 처리를 위한 준설장치
KR101769772B1 (ko) * 2017-02-08 2017-08-24 주식회사 정문이엔이 유기성 폐기물의 협잡물 처리장치 및 협잡물 제거방법
KR101815701B1 (ko) 2017-03-27 2018-01-30 김원태 수초 컷터가 부착된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초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557A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143B1 (ko) 수중 오염원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2207360B1 (ko)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나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수중발생 오염물의 재활용 방법 및 오염물여과장치
KR101815701B1 (ko) 수초 컷터가 부착된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초 제거방법
JP2017516935A (ja) 水底上に沈積した可塑性の泥状物質の収集および除去用装置
KR102207358B1 (ko) 타원형 회전구조를 이루며 수중의 수초나 오니퇴적물을 제거하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KR101479179B1 (ko) 수면의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부유물 제거장치 및 부유물 제거방법
KR101809553B1 (ko) 수중 쓰레기 흡입 제거 장치
US68638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ediation and prevention of fouling of recirculating water systems by detritus and other debris
US200501613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ediation and prevention of fouling of recirculating water systems by detritus and other debris
KR200393717Y1 (ko)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WO2016097380A1 (fr) Système de prélèvement de sédiments sur un fond d&#39;un milieu liquide
JP4041901B2 (ja) 湖沼水の浚渫方法及び浚渫システム
KR101161857B1 (ko) 해조류인 가시파래 수초의 절단/제거 장치 및 그 제거방법
KR101106770B1 (ko) 오니제거작업선과 오니여과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KR102258861B1 (ko)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기 위한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
KR100729843B1 (ko) 이중 브러시를 이용한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KR100451031B1 (ko)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1117776B1 (ko) 협잡물 제거장치
KR20230148477A (ko) 수중 오염물의 신속분리를 위한 고액분리장치 및 그 이용방법
KR101893392B1 (ko) 수초 컷터형 회전부러쉬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KR20230116454A (ko) 깊은 수심에서의 친환경 수중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수중퇴적물 제거방법
KR101208990B1 (ko)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0490920B1 (ko) 환경오염 방제선
KR102476975B1 (ko) 담수호 수중에 발생하는 수초나 부유물의 제거장치 및 그 이용방법
CN212119276U (zh) 一种混凝土废液再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