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031B1 -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031B1
KR100451031B1 KR1020040036154A KR20040036154A KR100451031B1 KR 100451031 B1 KR100451031 B1 KR 100451031B1 KR 1020040036154 A KR1020040036154 A KR 1020040036154A KR 20040036154 A KR20040036154 A KR 20040036154A KR 100451031 B1 KR100451031 B1 KR 100451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housing
adsorption
sediment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태
Original Assignee
김원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태 filed Critical 김원태
Priority to KR1020040036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28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cleaning watercourses or other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93Component parts of suction heads, e.g. edges, strainers for preventing the entry of ston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06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adapted for working ground under 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원은 등록특허 제 378,981호 발명의 개량특허에 관한 것으로 인공호수나 하천의 수중 바닥면을 작업자가 이동하며 수중 오니 적층물을 손쉽게 제거하기 위한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오니흡입장치를 이동시키거나 운전하면서 수중바닥의 적층오니를 연속적으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포터블 오니흡입 제거장치를 제공하고 이 포터블 오니흡입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수중바닥의 오니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수의 바닥 또는 하상의 오니를 흡입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오니흡입수단과 흡입된 오니를 이송시키기 위한 펌핑수단과 배출된 오니를 처리하기 위한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방법에 있어서, 본원의 흡입수단은 흡착부와 운전부를 갖는 포터블 오니흡입 제거장치로서 흡착부는 반원형 캡타입으로 하우징을 이루고 하우징 둘레로는 오니혼탁방지패드가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로는 유압회전모터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부러쉬가 설치되어 저속으로 수중바닥의 침전물을 닦고 쓸며 오니침적물을 하우징 중심부의 배출구쪽으로 밀어내는 구조이고, 운전부는 오염물 흡착장치 후단에 설치되되 1.5 - 5.0 미터의 수심에서는 운전실이 승.하강 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부력부재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수심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부력부재 상에서 흡착부의 운전조건을 제어하는 구조이며, 수심 1.5 미터 이내의 얕은 수심에서는 운전부가 흡착부의 부러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갖는 운반손잡이가 구비된 구조의 포터블 흡입수단이고, 펌핑수단은 오니흡착장치 배출구에서의 오니침적물을 오니저류배출시설로 펌핑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별도로 수상에 떠 있는 부유선체상에 유압모터와 연계된 준설오니펌프가 설치되어 이 준설오니펌프를 중심으로 흡입수단과 배출수단 사이에 프렉시블호스가 프라스틱통 등의 부구로 수상에 연결되어 펌핑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저류된 오니혼탁물은 기존의 여과처리나 약품처리, 오폐수 정화처리시설로 연계되어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니 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Removing method of sludge deposit & it's apparatus}
일반적으로 호수나 강의 하상에는 육지에 놓여 있던 각종 오염물이 우천 시 빗물에 쓸려 들어가거나, 또 인위적으로 오염수를 배출하거나 정화되지 않은 하수물이 혼합되어 배출되거나, 오염물 투척 등에 의해 호수나 해안가의 바닥 면에 오니가 쌓이게 되고 또한 많은 통행 차량에서 내뿜는 공해 부유물질, 각종 분진 등이 대기 중에 부유하다가 수중에 낙하되어 부유물을 형성하다가 가라앉게 되는데, 이러한 오니 및 부유물들로 인해 수질오염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주변 경관을 해치면서 생태계가 파손되어 가고 있는 현실이어서 이에 대한 수질 보존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부유물이나 하상오니 등이 방치되고 하절기 기온이 높아 수온이 상승하게 되면 녹조, 적조의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고 수중의 생태계를 파괴시켜 결국 산소결핍 현상으로 수중 생물, 곤충, 물고기 등을 사멸시키게 된다.
따라서 강이나 호수, 해안가의 수질을 항상 우수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수중에 적층되는 오니 등의 침전물을 일정주기로 조기에 제거해주지 않으면 수질오염을 피할 길이 없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수중의 오니 침적물을 제거시키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선출원 되어 공개된 특허공개번호 제 2000-5095 호 수중 오니의 청소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댐의 특정된 어느 한 장소에 대해서만 오니를 수거하기에는 적합할 수도 있으나, 댐 전체에 걸쳐 골고루 오니를 수거하기에는 부적합하여 하상오니 제거에 효율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고 또한 종래 기술의 다른 예로서 하상을 갈퀴질로 뒤집어 퇴적 오니를 부상시키고, 이 오니가 포함된 물을 흡입하여 정화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실시되고 있으나 이 공법은 오히려 바닥면을 뒤집어 놓는 결과가 초래되어 침적오니 제거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으며 ,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수중 바닥 면에 침전되어 고착된 유기물 및 무기물, 이물질 및 수질오염을 높이는 부식이끼 등은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들의 종래기술의 한계점과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출원인의 선 출원으로 등록특허 제 378,981호가 개시되어 수중 바닥 면을 솔질작업을 통하여 오니 및 이끼를 닦아내고 바닥면의 자갈을 굴려주면서 거기에 낀 이끼를 닦아내게 되어 수중바닥이 깨끗이 청소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여 수면을 따라 이동하는 오니준설선에 수거장치가 설치되고 수심이 깊은 댐이나 바다 그리고 강 등에서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자가 선체에서 컨트롤부를 조작하여 붐을 수중으로 하강시켜 수거장치를 수중바닥 면에 밀착시키면서 부러쉬로 쓸어내어 침적오니를 제거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특허 및 실용신안 등록을 받은바 있으며 실제로 출원기술의 오니제거작업 준설선을 제작, 건조하여 하상오니제거 작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수중 오니제거장치는 수거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커다란 오니준설선이 직접 움직이며 작업자가 오니준설선에 설치된 컨트롤판넬을 통하여 육중한 붐을 수중 바닥 면에 하강시키고 이를 좌. 우로 움직이며 오니제거 작업을 실시하는 기술로서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상관이 없으나 수심이 얕은 수면의 가장자리 부위에서는 선체를 움직이며 작업하기 어렵고 또한 육중한 선체와 붐을 움직이면서 오히려 가라앉은 오니 침전물을 휘저어 침적물을 수중에 분산시키는 역효과도 발생됨을 확인하고 이의 개선책을 찾고자 노력하였으며 본원의 포터블 오니흡입장치가 무혼탁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오니침적물을 제거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상기의 종래 오니흡입수단에는 준설오니펌프의 회전유압모터가 직접 내장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모터의 자체하중이 있을 뿐 아니라 얕은 수심 바닥 면에서 오니제거 작업을 수행 시 모터의 진동이 발생하여 무혼탁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함을 확인하고 이를 위한 개선대책이 필요하였다.
또한 수중에는 움푹 패인 굴곡부가 있고 그 굴곡부에는 더 많은 침전물이 쌓여 적층되어 있는 것을 길이가 2-3미터에 이르는 획일적인 일자형 부러쉬 만으로는 굴곡부에 쌓여 있는 퇴적 침전물을 모두 제거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함을 깨닫고 이의 개선책을 찾고자 노력하였던바 부러쉬를 2단으로 나누어 설치함으로 오니제거장치의 회전도 자유롭게하고 굴곡부의 오니적층물 제거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하였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강이나 호수, 하상에서 주로 수심이 얕은 바닥 면을 작업자가 눈으로 관찰하면서 이동하고 오염 퇴적물을 무혼탁 상태에서 회전부러쉬로 솔질작업을 통하여 오니 및 이끼를 닦아내고 특히 바닥면의 자갈을 굴려주면서 거기에 낀 이끼를 닦아내며 퇴적오니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흡입수단을 호수나 하상의 수중에서 작업자가 손쉽게 운전하거나 이송할 수 있도록 수중이동 운전설비가 설치되거나 운반손잡이가 구비되는 독립된 포터블 오니퇴적물 수거장치를 개발하여 수중 오니침적물을 무혼탁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수중의 움푹 패인 굴곡부에 있는 적층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회전부러쉬를 2단으로 나눠 각각의 부러쉬 길이와 회전속도를 다르게 하여 굴곡부에 쌓여 있는 퇴적 침전물도 제거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에 따른 오니침적물의 제거작업 실시는 실제로 수중에서 작업이 이루어짐을 감안할 때 추운 겨울철에는 그 작업이 어렵고 주로 행락객이 많은 봄에서 이른 가을사이에 그 작업이 수행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행락객이나 주위환경에 방해를 주지 않고 오히려 도시미관을 살릴 수 있는 작업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제1도 종래의 오니준설장치 예시도.
제2도 본원의 오니처리 시스템 사용상태도.
제3도 본원의 포터블 오니제거장치 사시도.
제4도 본원의 포터블 오니제거장치 단면도.
제5도 본원의 포터블 오니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6도 본원의 포터블 오니제거장치 다른 실시예 사용상태도.
제7도 본원의 포터블 오니제거장치 다른 실시예 사시도.
제8도 본원의 포터블 오니제거장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면부호의 설명***
1 : 작업자 2 : 종래 오니준설선
2' : 부유선체 3 : 종래 오니수거장치
4 : 붐 5 : 기계실
6 : 부러쉬 7 : 준설오니펌프회전유압모터
8 : 배출구 9 : 콘트롤부
10 : 포터블 오니흡입장치1 10' : 포터블 오니흡입장치2
11 : 운전실 12 : 하우징
13 : 오니혼탁방지패드 14 : 유압회전모터
15 : 바퀴 16 : 슬라이딩축
17 : 부력부재 18 : 부러쉬지지프레임
19 : 부러쉬지지축 20 : 바퀴프레임
21 : 바퀴지지축 22 : 운전실지지프레임
23 : 凹부 24 : 凸부
25 : 프렉시블배출호수 26 : 간격지지구
27 : 운반손잡이 100 : 오니저류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수나 강, 하천의 바닥 또는 하상의 오니를 흡입 수거하기 위하여 흡입수단과 펌핑수단과 배출수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중 오염물 제거방법에 있어서 흡입수단을 호수나 하상의 수중에서 작업자가 손쉽게 운전하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수중이동 운전설비를 갖거나 운반손잡이가 구비되는 독립된 포터블 오니흡입수단을 자유롭게 이동시키며 수중의 오니 및 퇴적물을 무혼탁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은 수중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운전. 이동할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오니를 흡입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흡착부와 운전부를 독립적으로 갖는 포터블 오니흡입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오니흡입 제거장치의 흡착부는 반원형 캡 타입으로 하우징을 이루고 하우징 둘레로는 오니혼탁방지패드가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로는 유압회전모터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부러쉬가 설치되어 저속으로 수중바닥의 침전물을 닦고 쓸며 오니침적물을 하우징 중심부의 흡입구쪽으로 밀어내는 구조를 이루고, 운전부는 오염물 흡착장치 후단에 설치되되 1.5-5.0 미터의 중간수심에서는 운전대가 승.하강 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부력부재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수심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부력부재 상에서 흡착부의 운전조건을 제어 할 수 있는 구조이며, 수심 1.5 미터 이내의 얕은 수심에서는 운전부가 흡착부의 부러쉬 또는 바퀴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갖는 운반손잡이가 구비된 간단한 구조의 포터블 흡입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펌핑수단은 오니흡착장치 배출구에서의 오니침적물을 오니저류배출시설로 펌핑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별도로 수상에 떠 있는 부유선체상에 유압모터와 연계된 준설오니펌프가 설치되어 이 준설오니펌프를 중심으로 흡입수단과 배출수단 사이에 프렉시블호스가 프라스틱 통 등의 부구로 수상에 연결되어 펌핑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저류된 오니혼탁물은 기존의 여과처리나 약품처리, 오폐수 정화처리시설로 연계되어 배출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은 흡입수단의 하우징 내부에 유압회전모터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부러쉬는 1개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그 부러쉬를 2개로 나누어 설치하고 그 각각의 부러쉬 회전속도를 다르게 조정하여 줌으로 흡입장치를 원활히 회전시키며 굴곡부의 적층오니도 제거시키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의 포터블 흡입장치는 강가나 호수공원을 구경하는 관객들에게 시각적으로 혐오감을 주지 않고 수중에서 서서히 움직이며 작업을 실시하므로 하상의 관광객들에게 수질보호의 필요성을 더욱 느끼게하여 담배꽁초를 버리는 버리는 등의 나쁜습관을 없애는 계몽효과도 주며 또한 흡입수단과 배출시설 사이에 설치되는 프렉시블호스나 파이프 이를 지지하는 부유구들을 칼라풀한 재료를 선별사용 및 배열하므로 강이나 호수를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장식하는 효과도 고양할 수 있는 오니제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 실시를 위하여 제시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원의 제1도는 출원인의 선등록특허 제 378,981호의 오니준설선 개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오니준설선(2)은 선상에 기계실(5)과 운전실(11)을 갖추고 기계실에는 동력원인 엔진을 비롯하여 엔진에 의하여 작동되는 펌프, 유압콘트롤러, 유압탱크 등의 기계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콘트롤러는 운전자가 운전실에서 운전 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오니제거장치에 장착된 유압장치 각각에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 및 회수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니준설선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작업자(1)가 수중 오니제거작업을 하고자 하는 위치로 오니준설선선체(2)를 직접 이동시키며 수중에서 오니제거작업을 수행시, 수중 수거장치(3)와 붐(4)을 제어하는 컨트롤부(5)에서 붐(4)을 수중으로 하강시켜 수거장치(3)를 수중바닥면에 위치시키고, 수거장치(3)는 브러시(6)와 준설오니펌프회전유압모터(7)와 배출구로 구성되어 브러쉬(6)는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수중바닥면에 쌓여 있는 오니침적물을 내측으로 이동시키 부유케하고 준설오니펌프 회전유압모터(7)는 부유오니를 흡입구에 연결된 배출호스(9)를 통해 정화처리시설(100)로 배출시키는 방법에 의해 수중오니제거작업이 이루어지는 일괄시스템의 것 이었다.
제2도 본원의 오니처리 시스템 계통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1도에서와 같이 종래의 오니준설선이 육중한 붐(4)과 수거장치(3)와 부유선체(2)가 일체로되어 선체(2)가 수면을 직접 이동하며 붐(4)을 통해 수중의 오니를 제거하던 일괄작업이 아니고, 부유선체(2')에는 제1도 에서의 기계실(5)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여 동력원인 엔진을 비롯하여 엔진에 의하여 작동되는 펌프, 유압콘트롤러, 유압탱크 등의 기계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콘트롤러는 운전자가 운전실에서 운전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오니제거장치에 장착된 유압장치 각각에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 및 회수 하는 기능을 담당하도록 유지되되 운전실(11)은 포터블 오니흡입장치(10)에 만들어 지도록 구조가 변경되고, 또한 종래의 수거장치에 부착되었던 오니침적물을 펌핑하기 위한 준설오니펌프회전유압모터(7)가 호수의 표면에 자유롭게 부유하는 부유선체(2')에 적재시키는 구조로 변경시킨 것으로, 작업자(1)는 포터블 오니흡입장치(10)의 운전실(11)에서 제어부(5)를 통하여 수중 오니흡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포터블 오니흡입장치(10)를 나타내고 있다.
제2도를 제1도와 대비하여 보면 제1도에서의 오니준설작업은 오니준설선(2)에 오니수거장치(3)와 붐(4)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작업하고자 하는 위치에 오니준설선(2)이 직접 이동하여 오니준설선(2)의 운전실에서 운전자(1)가 제어부(5)를 조작하여 오니수거장치(3)가 연결된 붐(4)을 하강시켜 수중의 오니를 흡착시켜 흡착오니를 외부의 오니저류조(100)로 펌핑 배출시키는 시스템이나 제2도에서는 부유선체(2')와 포터블 오니흡입장치(10)가 독립적으로 만들어저 프렉시블호스(9)로 연결되어 있고 오니흡입장치(10)후단에는 수심에 따라 운전대가 승.하강 될 수 있는 슬라이딩 부력부재(17)로 운전실(11)이 마련되어 작업자(1)가 수심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부력부재(17)상의 운전실(11)에서 원하는 오니제거작업을 콘트롤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포터블 오니흡입장치(10)를 나타내고 있다.
제3도는 본원의 포터블 오니흡입장치(10)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고 제4도는 본원의 포터블 오니흡입장치(10)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3도 및 제4도의 포터블 오니흡입장치(10)는 흡착부(A)와 운전부(B)로 구성되고 흡착부(A)는 반원형 캡타입으로 하우징(12)을 이루고 하우징(12) 둘레로는 오니혼탁방지패드(13)가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로는 유압회전모터(14)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부러쉬(6)가 설치되어 저속으로 수중바닥의 침전물을 닦고 쓸며 오니침적물을 하우징 중심부의 배출구(8)쪽으로 밀어내는 구조이고, 운전부(B)는 오염물 흡착장치 후단에 설치되되 바닥으로는 바퀴(15)가 양쪽으로 설치되고 상부로는 운전실(11)을 승.하강 시키는 슬라이딩 축(16)이 설치되어 약 1.5 - 5 미터의 중간수심에서 수위의 높이에 따라 운전실(11)이 승.하강 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부력부재(17)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수심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부력부재상의 운전석에서 흡착부의 운전조건을 제어 할 수 있는 구조이다.
제5도는 본원의 포터블 오니흡입장치(1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포터블 오니흡입장치(10)의 흡착부(A)는 반원형 캡타입으로 하우징(12)을 이루고 하우징(12) 둘레로는 오니혼탁방지패드(13)가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로는 유압 회전모터(14)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부러쉬(6)가 부러쉬지지프레임(18)과 부러쉬지지축(19)으로 지지되는 구조이며, 또한 부러쉬를 2개로 나눠 설치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바, 오니흡입장치(10)의 하우징(12) 내부에 유압회전모터(14)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부러쉬(6)는 1개로도 바닥면의 청소기능은 능히 할 수 있는 것이나 부러쉬를 2개로 나누어 설치하고 각각의 회전속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줌으로 오니흡입장치의 회전을 원활히 행할 수 있고 수중 굴곡부의 오니제거작업도 원활히 할 수 있으며, 부러쉬 간의 지지프레임(18)은 간격지지구(19)에 의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체인으로 연결되는 구조임을 나타내고 있다. 운전부(B)는 바닥쪽으로 바퀴(15)가 바퀴프레임(20) 과 바퀴지지축(21)으로 지지되는 구조이고 상부로는 운전실(11)을 승.하강 시키는 슬라이딩 축(16)이 설치되어 슬라이딩 축의 홈이파인 凹부(23)와 수위의 높이에 따라 운전실(11)이 승.하강 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부력부재(17)로 지지되는 운전실의 지지프레임(22)에 만들어진 凸부(24)가 수위에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로서 작업자가 수심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부력부재(17)상의 운전실(11)에서 흡착부의 운전조건을 제어 할 수 있는 구조임을 나타내고 있다.
본원의 포터블 오니흡입장치(10)의 하우징(12)을 이루는 소재는 스텐레스제, 철재나 플라스틱제가 필요에따라 이용될 수 있으며 하우징(12) 외곽 둘레로는 고무재 오니혼탁방지패드(13)가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수심에따라 약간의 부력을 가진 채 수중바닥면에 사뿐히 가라앉는 상태로 운전이 아루어 지도록 사용소재가 선택되어 질 수 있으며, 본원의 오니흡입장치는 하우징 내부의 부러쉬가 수중 자갈이나 모래로 이루어진 바닥면을 쓸고 닦아주도록 회전하면서 전면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이루므로 바퀴가 필수구성요소로 꼭 설치 될 필요는 없는 것이라 하겠으나 바퀴가 설치되므로 오니흡입장치(10)의 원활한 운전과 부러쉬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원의 제6도는 포터블 오니제거장치를 이루는 다른 실시예의 사용도이며 제7도는 포터블 오니제거장치를 이루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제8도는 포터블 오니제거장치를 이루는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인공호수나 강가의 수심이 1.5 미터 이내의 얕은 수심에서 사용되는 간편 오니흡입장치(10')로서 하우징(12) 내부에 부러쉬회전모터(13)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부러쉬(14)가 수중 바닥면을 쓸고 닦아주도록 회전하면서 전면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이루는 흡착부의 기능은 동일하나 얕은 수심에서 수위의 높이에 따라 운전실(11)이 승.하강되는 운전부가 필요치 않을 경우 단순히 부러쉬 또는 바퀴의 회전속도를 콘트롤할 수 있는 제어부를 갖는 운반손잡이가 구비되는 단순구조의 오니흡입장치(10')로 얕은 물가에서 무혼탁 상태에서 오니를 제거하고자 하는 본원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하는 간편 오니흡입장치(10')이다.
기타 본원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부대시설로 유압회전모터의 작동구조 및 오일펌프 등의 세부 기술내용이 필요할 수 있을 것이나, 출원인의 선 등록특허 제 378,981호에 유압회전모터의 연결구조 및 유압회로, 워터펌프하우징, 유압회전모터의 작동구조, 오일펌프 등의 기본개념, 기타 본원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타의 기술내용이 충분히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세부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강이나 호수(기타 댐이나 바다)의 어느 장소에서 든 수중 바닥 면을 따라 수거장치를 간단하게 이동시키면서 브러시를 이용하여 솔질로 바닥을 닦아내면서 오니와 수중퇴적물을 연속적으로 제거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게 하는 오니흡입장치가 제공된다.
또 다른 효과로는 흡입장치 하우징 내부에 유압회전모터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부러쉬를 2개로 구분 나누어 설치하고 각각의 회전속도와 위치를 다르게 조정설치하므로 수중에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굴곡부의 침전물도 제거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수중 오염물 제거에 사각영역을 없이하여 보다 향상된 오니 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원의 포터블 흡입장치는 강가나 호수공원을 구경하는 관객들에게 지장을 주지 않고 수중에서 서서히 움직이며 작업을 실시하므로 하상의 관광객들에게 수질보호의 필요성을 느끼게 해주며 또한 흡입장치와 배출시설 사이에 설치되는 프렉시블 파이프와 이를 지지하는 부유구들을 칼라풀한 재료를 선별사용 및 배열하므로 강이나 호수를 아름답게 장식하는 시각적 효과도 고양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강이나 호수의 바닥 또는 하상의 적층오니를 흡입 제거하기 위하여 흡입수단과 펌핑수단과 배출수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방법에 있어서,
    오니퇴적물 흡착수단은 흡착부와 운전부로 구분되어 설치되되, 흡착부는 반원형 캡타입으로 하우징을 이루고 하우징 둘레로는 오니혼탁방지패드가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로는 유압회전모터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부러쉬가 설치되어 저속으로 수중바닥의 침전물을 닦고 쓸어주며 오니퇴적물을 하우징 중심부의 배출구쪽으로 밀어내는 구조이고, 운전부는 오니퇴적물 흡착장치 후단에 설치되되 수심에 따라 운전대가 승.하강 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부력부재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수심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부력부재 상에서 흡착부의 운전조건을 제어하는 구조이며, 펌핑수단은 흡입수단에서 발생하는 오니침적물을 배출시설로 펌핑시키는 기능을 위해 별도로 수상에 떠 있는 부유선체상에 유압모터와 연계되어 준설오니펌프가 설치되되 이 준설오니펌프를 중심으로 흡입수단과 배출수단 사이에 프렉시블호스가 프라스틱통 등의 부구로 수상에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배출수 처리수단은 기존의 여과처리나 약품처리, 오폐수 정화처리시설로 연계되어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2. 강이나 호수의 바닥 또는 하상의 오염물을 흡입 제거하기 위한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오니퇴적물 흡착제거 장치가 흡착부와 운전부로 구분되되, 흡착부는 반원형의 캡타입 하우징을 이루고 하우징 내부에는 유압회전모터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부러쉬가 설치되며 하우징 둘레로는 오니혼탁방지패드가 부설되고 하우징 일측에는 배출호스와 연결되는 흡입구가 설치되는구조이고, 운전부는 오니흡입장치 후단에 설치되되 수심에 따라 운전대가 승.하강 될 수 있는 슬라이딩 부력부재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수심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부력부재 상에서 부러쉬와 바퀴의 회전속도를 콘트롤할 수 있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퇴적물 흡착제거 장치.
  3. 강이나 호수의 바닥 또는 하상의 오염물을 흡입 제거하기 위한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오니퇴적물 흡착제거 장치가 흡착부와 운전부로 구분되되, 흡착부는 반원형의 캡타입 하우징을 이루고 하우징 내부에는 유압회전모터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부러쉬가 설치되며 하우징 둘레로는 오니혼탁방지패드가 부설되고 하우징 일측에는 배출호스와 연결되는 흡입구가 설치되는구조이고, 운전부는 오니흡입장치 후단에 설치되되 부러쉬 또는 바퀴의 회전속도를 콘트롤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반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퇴적물 흡착제거 장치.
  4. 제2항 및 제3항에 있어서,
    흡착부의 하우징 내부에 유압회전모터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부러쉬를 2개로나누어 설치하고 각각의 부러쉬에 회전모터가 설치되어 회전속도를 다르게 조절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퇴적물 흡착제거 장치.
KR1020040036154A 2004-05-20 2004-05-20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0451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154A KR100451031B1 (ko) 2004-05-20 2004-05-20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154A KR100451031B1 (ko) 2004-05-20 2004-05-20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1031B1 true KR100451031B1 (ko) 2004-10-06

Family

ID=3736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154A KR100451031B1 (ko) 2004-05-20 2004-05-20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03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843B1 (ko) 2005-12-07 2007-06-18 김원태 이중 브러시를 이용한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KR101017317B1 (ko) 2009-05-11 2011-02-28 김현설 이종(異種)의 오니흡착부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CN102021894A (zh) * 2010-11-23 2011-04-20 章大初 转轮式海底平整器
KR101106770B1 (ko) 2011-09-06 2012-01-18 김원태 오니제거작업선과 오니여과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KR101161858B1 (ko) 2009-10-29 2012-07-03 김원태 교량의 우물통 청소장치 및 청소방법
KR200463485Y1 (ko) 2010-09-09 2012-11-06 이경숙 호수나 연못의 바닥면에 침적된 오니류의 흡착 분리장치
KR101250333B1 (ko) 2010-07-23 2013-04-03 김현승 호수나 연못 바닥면에 침적된 오니류의 흡착/분리방법 및 그 장치
CN108104186A (zh) * 2017-12-14 2018-06-01 芜湖润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河道污染淤泥打捞装置
KR101920880B1 (ko) 2017-12-20 2018-11-21 류성석 정화대상 수역의 저면 오염물 제거장치
CN111945804A (zh) * 2020-07-26 2020-11-17 权周 一种给排水快速清淤装置及其使用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843B1 (ko) 2005-12-07 2007-06-18 김원태 이중 브러시를 이용한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KR101017317B1 (ko) 2009-05-11 2011-02-28 김현설 이종(異種)의 오니흡착부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KR101161858B1 (ko) 2009-10-29 2012-07-03 김원태 교량의 우물통 청소장치 및 청소방법
KR101250333B1 (ko) 2010-07-23 2013-04-03 김현승 호수나 연못 바닥면에 침적된 오니류의 흡착/분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463485Y1 (ko) 2010-09-09 2012-11-06 이경숙 호수나 연못의 바닥면에 침적된 오니류의 흡착 분리장치
CN102021894A (zh) * 2010-11-23 2011-04-20 章大初 转轮式海底平整器
KR101106770B1 (ko) 2011-09-06 2012-01-18 김원태 오니제거작업선과 오니여과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CN108104186A (zh) * 2017-12-14 2018-06-01 芜湖润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河道污染淤泥打捞装置
KR101920880B1 (ko) 2017-12-20 2018-11-21 류성석 정화대상 수역의 저면 오염물 제거장치
CN111945804A (zh) * 2020-07-26 2020-11-17 权周 一种给排水快速清淤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143B1 (ko) 수중 오염원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JP5822644B2 (ja) 海水の浸透取水におけるろ過層の洗浄装置
KR100451031B1 (ko)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1732896B1 (ko) 해상 유출기름 회수장치
KR102418093B1 (ko) 녹조 및 부유물 회수장치
KR102066976B1 (ko) 스크류 바퀴를 구비한 수륙양용 준설로봇
KR200393717Y1 (ko)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KR100729843B1 (ko) 이중 브러시를 이용한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KR100658440B1 (ko) 하천 바닥 오염물 준설장치
KR101920880B1 (ko) 정화대상 수역의 저면 오염물 제거장치
KR20140050940A (ko) 수중 퇴적물 제거장치
WO1993023338A1 (fr) Appareil purificateur
CN207786032U (zh) 一种便于清除污泥的污水沉淀池
KR101208990B1 (ko)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0437861Y1 (ko) 물 공기 분사기를 이용한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KR20090121421A (ko) 사이펀원리를 이용한 슬러지처리장치
CN209940668U (zh) 一种微型水面生物清理收集装置
CN113431118A (zh) 一种景观水体水下行走清淤装置及其方法
JP2004218211A (ja) フロート式スクリーン
JP2001214423A (ja) 除塵装置
KR101898396B1 (ko) 수중 저면 청소 시스템
CN211523332U (zh) 清淤装置
KR101017317B1 (ko) 이종(異種)의 오니흡착부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KR200301737Y1 (ko) 오니 수거장치
KR102258861B1 (ko)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기 위한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