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392B1 - 수초 컷터형 회전부러쉬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수초 컷터형 회전부러쉬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392B1
KR101893392B1 KR1020160111154A KR20160111154A KR101893392B1 KR 101893392 B1 KR101893392 B1 KR 101893392B1 KR 1020160111154 A KR1020160111154 A KR 1020160111154A KR 20160111154 A KR20160111154 A KR 20160111154A KR 101893392 B1 KR101893392 B1 KR 101893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udge
brush
uni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631A (ko
Inventor
김원태
김현승
김현설
Original Assignee
김원태
김현승
김현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태, 김현승, 김현설 filed Critical 김원태
Priority to KR1020160111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39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2Removal of the filter cakes
    • B01D25/38Removal of the filter cakes by moving parts, e.g. scrapers, contacting stationary filter elements sprayers
    • B01D25/383Brus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원은 오니퇴적물 제거장치가 캡 형태의 하향 하우징을 이루고 하우징의 상단에는 부러쉬 회전모터가 설치되고 하우징 내부로는 컷터형 다단 부러쉬가 하향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회전모터에 의해 다단 부러쉬가 횡으로 회전되며 전진하여 수중의 수초를 절단함과 동시에 바닥면을 쓸어주고 하우징의 일측으로는 부유된 오니퇴적물이 펌핑될 수 있는 배출관이 마련되어 배출호스 및 펌핑장치에 의해 오니퇴적물 및 수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술이다.
본원은 수중 이동 오니퇴적물 제거장치에서, 오니제거 작업선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설치되어 수중을 이동하는 수중 이동 오니퇴적물 제거장치가 캡 형태의 하향 하우징 구조를 이루고 하우징의 상단에는 부러쉬 회전모터가 설치되고 하우징 내부로는 수초 컷터(cutter)형 부러쉬가 하향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회전모터에 의해 컷터(cutter)형 부러쉬가 횡으로 회전 및 전진하여 수중의 수초를 절단함과 동시에 바닥면을 쓸어주도록 기능하고 하우징의 내 측벽에는 부유된 오니퇴적물 및 수초가 펌핑될 수 있는 흡입배출관이 마련되어 배출호스 및 펌핑장치와 연결되어 하우징 내부의 오니퇴적물을 수초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수초 컷터형 회전부러쉬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니퇴적물 제거방법{Removing method of sludge deposit using brush and it's apparatus}
본 발명은 수초 컷터형 회전부러쉬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니퇴적물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공호수나 하천의 수중 바닥면에 자란 수초를 효율적으로 컷팅하며 수중 바닥면에 적층되어 있는 오니 슬러지층을 함께 빗질하듯이 쓸어내어 제거하는 공법으로 오니 슬러지 제거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강이나 인공호수나 하천에는 육지로부터 각종 오염물이 유입되거나 낙엽 등이 수중의 바닥면에 쌓이고 적층되는데, 이러한 오니퇴적물 들은 수심에서 50~150㎝ 크기로 자란 수초 사이에 쌓여 적체되고 이들 수중의 오니퇴적물을 제 때에 제거하여 주지 않으면, 하절기에 녹조, 적조의 현상을 발생시키게 되고 수중에 산소가 결핍되어 수중의 생태계가 파괴되고 수중의 생물, 벌레, 물고기 등이 사멸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수중 오니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갖고 제안된 출원인의 선출원 및 등록된 특허기술로 제0543778호, 제0729843호, 제1106770호, 제1301527호 등의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수중 오니 제거작업의 어려운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인공 로봇을 이용하여 오니제거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바,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64473호에서는 하수관, 하천, 저수조, 호수 또는 해수수로 등에 투입되어 슬러지, 침전물, 토사 또는 퇴적물 등을 효율적으로 청소 내지 준설하는 다목적 수중 청소로봇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 로봇 몸체와 상기 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와 상기 주행부를 구동시키는 제1 모터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퇴적물을 흡입하는 흡입호퍼와 상기 흡입호퍼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흡입된 퇴적물을 외부로 송출하는 토출배관과 상기 흡입호퍼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퇴적물을 분쇄하는 분쇄스크류와 상기 분쇄스크류를 구동시키는 제2모터 및 상기 몸체에 탑재되고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를 구동시키며 원격에서 제어 가능하게 구성된 유압발생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중 청소로봇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133091호에서는 저수조의 무인 청소가 가능하도록 청소로봇으로 로봇 본체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를 주행시키는 주행구동부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저수조에 쌓인 침전물을 포함하는 오염수를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흡입부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가 주행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흡입부를 회동시키는 틸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인 청소로봇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194580호에는 수중 청소로봇이 수중구조체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고 복수의 주행모듈을 구비한 주행부와 로봇 본체와 복수의 주행모듈을 주행부의 이동방향인 제1방향 및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로봇 본체와 연결되는 본체연결부와 수중구조체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모듈을 구비한 청소헤드부와 청소헤드부를 제1방향 및 제1방향에 수직한 평면상의 한 축 방향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로봇 본체에 연결하는 헤드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중 청소로봇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에 제시된 무인 수중로봇은 아직은 온갖 악조건이 산재해 있는 수중 밑바닥의 불균형 및 작업환경 악화로 현장에 적용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갖고 여전히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단계에 머물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종래에 개시된 기술은 도 1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수중에 50㎝ 내지 150㎝ 크기로 자란 수초 사이에 왕복이동을 할 때 수시로 엉키고 설켜서 고장이 발생하고 정상운행이 되지 않지 않아서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원은 오니제거 작업선의 전면 또는 후면에 수초 제거형 회전부러쉬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를 제공하여 수중 오니제거작업의 작업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오니퇴적물 제거장치가 캡 형태의 하향 하우징을 이루고 하우징의 상단에는 부러쉬 회전모터가 설치되고 하우징 내부로는 컷터형 다단 부러쉬가 하향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회전모터에 의해 다단 부러쉬가 횡으로 회전되며 전진하여 수중의 수초를 절단함과 동시에 바닥면을 쓸어주고 하우징의 일측으로는 부유된 오니퇴적물이 펌핑될 수 있는 배출관이 마련되어 배출호스 및 펌핑장치에 의해 오니퇴적물 및 수초를 선체나 바지선 또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의 오니 퇴적물 제거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 출원인은 강이나 하천, 호수의 바닥에 적층되어 있는 오니제거 작업을 사람 또는 로봇이 수행하도록 적용되는 기술을 통하여 환경부 신기술 호로 등록되어 2015년도에서 일산 호수공원과 세종 호수공원, 인천의 청라지구 및 송도지구의 호수공원 수중 퇴적물 제거작업 수행자로 선정되어 수중 이동 오니퇴적물 제거작업을 수행하여 오면서 그동안 축적된 기술에 작업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을 찾는 과정에서 본원의 출원기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원에서 새롭게 개시되는 수중 이동 오니 퇴적물 제거수단은 강이나 하천, 호수의 바닥에 적층되어 있는 오니제거 작업을 사람 또는 로봇이 수행하도록 적용되는 수중 이동 오니퇴적물 제거장치에서, 오니제거 작업선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설치되어 수중을 이동하는 수중 이동 오니퇴적물 제거장치가 캡 형태의 하향 하우징을 이루고 하우징의 상단에는 부러쉬 회전모터가 설치되고 하우징 내부로는 컷터형 다단 부러쉬가 하향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회전모터에 의해 다단 부러쉬가 횡으로 회전되며 전진하여 수중의 수초를 절단함과 동시에 바닥면을 쓸어주도록 적용되고 하우징의 내 측벽에는 부유된 오니퇴적물 및 수초가 펌핑될 수 있는 배출관이 마련되어 오니제거 작업선이나 바지선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펌핑장치에 의해 오니퇴적물을 배출시키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도 1에 제시되는 바와 같은 수초가 엉켜 있는 구역에서도 오니제거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상기 오니퇴적물 제거장치의 회전모터 및 부러쉬가 설치된 하우징은 부력체와 연결선으로 체결되고 부력체와 하우징 사이의 연결선 길이가 조절되며 하우징의 높낮이 작업위치가 조절되도록 적용되어 예를 들면 회전모터 및 부러쉬가 설치된 하우징이 수심바닥면으로 5~10㎝ 깊이로 굴착을 하며 효율적인 오니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하우징의 전면부에는 고압수 분사구가 설치되어 필요할 때 수중바닥면 또는 다단 부러쉬 바닥면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구성이 추가되어 적용되거나 또는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하우징의 전면부에는 굴착로터가 설치되어 필요할 때 수중바닥면의 표면 자갈을 뒤집어 굴착 또는 세척하는 구성이 추가되어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니퇴적물 제거장치에 설치되는 컷터형 다단 부러쉬는 합성수지 중간캡에 다단으로 철사형태의 철심이 엮여진 구조를 이루고 중간캡 상부에서 회전모터의 축과 연결되는 상부캡을 갖는 컷터형 다단 브러쉬가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였다.
본원의 기술사상은 강이나 하천, 호수의 바닥에 적층되어 있는 오니퇴적물 및 수초를 함께 제거하기 위한 수중 오니 퇴적물 제거방법에서, 오니제거 작업선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설치되는 수중 이동 오니퇴적물 제거장치가 하향으로 캡 형태의 하우징이 씌어지는 구조를 이루고 하우징의 상단에는 부러쉬 회전모터가 설치되고 하우징 내부로는 컷터형 다단 부러쉬가 하향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회전모터에 의해 다단 부러쉬가 횡으로 회전되며 전진하여 수중의 수초를 절단하면서 바닥면을 쓸어주는 구조로 적용되고 하우징의 전면부에는 고압수 분사구가 설치되어 필요할 때 수중바닥면 또는 다단 부러쉬 바닥면으로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으며, 하우징의 내 측벽에는 부유된 오니퇴적물 및 수초가 펌핑될 수 있는 배출관이 마련되어 오니제거 작업선이나 바지선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펌핑장치에 의해 오니퇴적물 및 수초를 배출시키는 구성을 포함하여 적용되는 수중 오니 퇴적물 제거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강이나 호수(기타 댐이나 바다) 등의 수초가 우거진 장소에서 종래의 오니제거 작업선이 바퀴나 궤도에 의해 앞으로 전진하며 전면을 부러쉬로 쓸어주는 형태로 적용하는 경우 수초에 감겨 오니제거 작업선이 전진하지 못하고 잦은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 본원의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가 적용되는 현장사진 예시도.
도 2 : 본원에서 개시된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예시도.
도 3 : 본원에서 개시되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의 부분확대 예시도.
도 4 : 본원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에 사용되는 컷터형 부러쉬 예시도
도 5 : 본원 출원인의 신기술 인증서 사본(환경부 발행)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기 위한 발명의 일 적용예를 도면을 제시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 제시된 도면은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구조의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로 적용이 어려운 현장임을 나타내는 현장사진도로서, 수심 바닥면에서부터 올라온 수초(1) 상부에 오니부유물(2)이 더운 날씨에 떠올라 엉겨 붙어있고, 오니부유물이 전체 수역으로 퍼지지 않도록 확산방지망(3)이 설치된 현장 사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수역 환경조건에 적용하기 위해 본원의 기술사상이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공되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의 일 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에서는 오니퇴적물 제거장치의 일 적용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상기 도 2a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나, 도 2a에서는 캡 형태의 왕복흡입부(30)의 하우징(31)을 그대로 나타내어 내부에 설치된 부러쉬(20)가 보이지 않는 상태이나 도 2b에서는 하우징(31)의 측면을 생략하고 그 내부에 설치되는 부러쉬(20)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100)는 운전제어부(60)와 구동부(70)와 왕복흡입부(30)로 구분하여 설명될 수 있는바, 강이나 호수, 하천 등의 수중 바닥면에 적층되어 있는 오니찌꺼기 제거작업을 사람 또는 로봇이 수행하도록 적용될 때, 운전제어부(60) 및 구동부(70)는 종래부터 사용되어 오는 기술이 준용되어 적용되고 본원에서 새롭게 개시되는 부분은 왕복흡입부(30)라 할 수 있다.
도 2에 제시되는 실시양태에서 먼저 운전제어부(60)는 운전석(61)과 콘트롤러부(62)를 갖고 운전석에서 운전하도록 적용되거나 또는 별도의 바지선이나 육상에서 원격조절 콘트롤 하며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수심에 따라 운전제어부(6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부재(63) 및 부력부재(64)를 사용하여 수심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적용되며, 운전부하우징(65) 내부로는 유압펌프나 유압엔진을 구비하여 유압을 구동부(70)나 왕복흡입부(30)의 유압모터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적용되며 슬라이딩 부재(63)의 하단부는 구동부(70)와 연결되어 고정되고, 구동부(70)는 슬라이딩 부재(63)로 운전제어부(60)와 연결되고 전면부에는 오니흡입 및 배출부(30)와 연결되며, 구동부하우징(71) 양 측으로 무한궤도(72)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반 바퀴로 수중에서 안전하게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충족하는 조건이면 타 종류의 구동수단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동부 하우징(71) 내부로는 유압모터가 설치되어 무한궤도(72)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며, 운전제어부의 유압펌프나 유압엔진에서 구동부의 유압모터로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유압관이 구비되며, 슬라이딩 부재 내부로 유압호스를 이용하여 압력을 전달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운전제어부(60) 또는 구동부(70)에 관련한 구성은 출원인의 선출원 등록특허 제0543778호, 제0729843호, 제1106770호, 제1301527호 등에서 상세히 제시되어 있고 또한 타 특허 기술에서도 유사하게 준용되어 적용되는 기술이고, 본원에서 새롭게 개시되는 부분은 왕복흡입부(30)에 관한 기술로써, 왕복흡입부(30)가 오니작업선(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바닥면적을 쓸어주며 퇴적물을 분리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적용된다.
본원에서 새롭게 개시되는 왕복흡입부(30)는 하향으로 캡 형태의 하우징(31)을 이루고, 하우징의 상단에는 부러쉬(20)와 연동되는 회전모터(10)가 설치되며, 하우징(31) 내부로는 컷터형 부러쉬(20)가 하향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회전모터(10)에 의해 부러쉬(20)가 횡으로 회전 및 전진하며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서 서식한 수초(1)를 다단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바닥면을 쓸어주도록 적용되고, 하우징(31)의 내 측벽에는 부유된 오니퇴적물 및 절단된 수초(1)가 펌핑될 수 있는 흡입배출관(32)을 갖고 흡입배출관(32)에 연결된 배출호스(33)가 오니 흡입펌프(40)와 연결되어 외부로 펌핑되는 구성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오니 흡입펌프(40)는 별도로 제공되는 오니제거 작업선이나 바지선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펌핑장치에 의해 오니퇴적물을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는 도 1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이 수중에서 100~150㎝ 높이로 자란 수초를 그냥 밀고 지나갈 경우에는 수초가 오니제거 작업선에 엉겨붙어 작업선의 진행을 방해함은 물론이고 오니퇴적물을 온 수중바닥면으로 분산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오니제거 작업의 의미가 없게 되므로 본원에서는 도 2 및 도 3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은 하향으로 캡 형태를 이룬 하우징(31)의 전면부(31b)의 중앙부의 아랫부분에 수초유입부(31c)가 마련되어 하우징(31) 내부로 유입되는 수초를 횡형 브러쉬가 회전되며 수조를 절단하고 절단된 수초 및 오니퇴적물과 함께 흡입배출관(32) 및 배출호스(3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우징(31)의 하단부에 3~6㎜두께 정도의 고무판이 하우징의 하단부에 10~30㎝ 높이로 부착되는 구조를 이루고 하우징의 전면부(31b) 중앙부 아랫부분에 수초유입부에는 고무판이 부착되지 않는 구조로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를 통하여 하우징(31) 내부로 수초를 유입시키며 횡형브러쉬가 회전되면서 절단된 수초 및 바닥면에 적층되어 있던 오니퇴적물이 외부로 확산되어 퍼지지 않고 흡입배출관(32) 및 배출호스(3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횡형 브러쉬는 금속사인 스텐레스사나 철사줄 형태의 철심으로 제공되어 회전모터에 의해 횡형브러쉬를 회전시켜 수조를 잘게 절단하여 오니토적물과 함께 흡입배출관(32) 및 배출호스(3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적용되는데 도 2 및 도 3에서는 2개의 브러쉬가 병열로 설치된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브러쉬는 3~4개 정도로 다수개로 이루어진 횡형 브러쉬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상기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하우징(31)의 전면부에 고압수 분사구(34)가 다수 개 설치되어 수중바닥면에 형성된 오목홈 등에 오니적층물이 쌓여 브러쉬가 안되는 부분이 있을 때 수중 바닥이나 또는 부러쉬 바닥면으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오니퇴적물 제거작업의 효율을 높이는 구성이 추가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에서는 도 2a의 실시양태에서 운전제어부(60) 및 구동부(70)는 동일형태로 적용되고 왕복흡입부(30)에서 오니퇴적물 제거장치의 하우징(31) 좌우 측면부에 부력체(35)가 설치되어 회전모터(10) 및 부러쉬(20)가 장착된 하우징(31)이 일정 범위의 수심 깊이에서 예를 들면 수심 바닥면 환경에 따라 바닥면에서 5㎝ 깊이로 뻘흙 속에 가라앉아 있는 오니침적물을 파 헤치면서 바닥면의 침적물을 부유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작업이 수행 가능하도록 회전모터(10) 및 부러쉬(20)가 장착된 하우징(31)의 중량체가 수심 바닥면 5~10㎝ 정도에 위치되도록 하우징(31) 높낮이 위치를 조절 기능을 부여하는 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하우징(31)의 양 측면부에 걸고리(31d)가 마련되고 부력체(35)와 연결된 줄(35a)이 걸고리(31d)에 적절한 길이로 고정되도록 줄 길이 조절구(35b)가 마련되어 회전모터(10) 및 부러쉬(20)가 장착된 하우징(31)이 적정 수심 위치(예를 들면 수심 5~10㎝ 깊이)로 침투하여 오니퇴적물을 파 내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도 3b는 본원의 오니퇴적물 제거장치(100) 하우징(31)의 전면부에 파쇄로타(37)가 설치되어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면 수중 바닥면에 흙덩이나 뻘에 돌이나 나뭇잎 등이 혼재되어 묻혀 있는 경우에 굴착 로터를 작동시켜 흙덩이나 뻘을 뒤집어서 오니퇴적물이나 나뭇잎 등을 굴착해내고 또한 세척하는 작업이 수시로 필요하게 되므로 하우징(31)의 양 측면에 회전모터(36)가 설치되어 파쇄로타(37)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는바, 파쇄로터(37)의 설치기술은 출원인의 선등록 실용신안 20-393717호 기술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어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4는 본원 오니퇴적물 제거장치에 적용되는 컷터형 부러쉬(20)의 일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에서는 컷터형 부러쉬(20)의 내부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4b에서는 컷터형 부러쉬(20)가 결합된 구조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중간캡(22)이 3단(22a,22b,22c)으로 제공되고 각 중간캡 사이의 연결 리브(23a,23b,23c)의 에 철사가 지그재그 형태로 엮여져서 철사(21a,21b,21c)의 단부가 하향진 구조를 이루고 중간캡(22) 상부에서 회전모터의 축과 연결되는 중심연결공(24a)과 중간캡(22)과 연결되는 체결구(24b)로 이루어진 상부캡(24)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브러쉬를 이루는 철사형태의 철심(21a,21b,21c)은 동일한 길이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나 서로 다른 길이로 다층구조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원 출원인이 2015년 6월 19일자로 환경부장관으로부터 받은 신기술인증서로서, 관리형 하천이나 습지, 인공호수 등에서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회전브러쉬의 회전속도 운전조건을 조절하여 저 혼탁구조로 퇴적오염물을 제거하는 친환경 기술로 신기술지정을 받았으며, 앞으로도 더 우수한 기술을 개발하여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도 친환경 기술을 보급하고자 하는 꿈을 갖고 연구중이다.
본원은 최근 이상 기온으로 호수공원의 수온이 상승하여 수초가 무성하게 자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구성으로 컷터형 회전부러쉬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니퇴적물 제거방법에 관한 기술로, 인공호수나 하천의 수중 바닥면에 자란 수초를 효율적으로 컷팅하며 수중 바닥면에 적층되어 있는 오니 슬러지층을 함께 빗질하듯이 쓸어내며 수초 및 오니 슬러지 제거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기술사상의 발명으로 본원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출원인의 선 등록된 특허기술로 제0543778호, 제0729843호, 제1106770호, 제1301527호 등에서 수중오니 제거작업을 수행하는 여러 기술이 상세히 제시되어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피하고자 하였으며,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제시된 기술사상의 기술은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다양하게 변형 및 개조되거나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나,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원의 기술사상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균등론적으로 해석되어 보호되어야 할 것이다.
1 : 수초 2 : 오니부유물
3 : 확산저지망 10 : 회전모터
11 : 모터 축 20 : 브러쉬
21 : 철심 22 : 중간캡
23 : 연결 리브 24 : 상부캡
30 : 왕복흡입부 31 : 하우징
32 : 흡입배출관 33 : 배출호스
34 : 고압수분사구 35 : 부유체
36 : 로터용 모터 37 : 파쇄로타
40 : 펌핑장치 50 : 여과배출수단
60 : 운전제어부 61 : 운전석
62 : 콘트롤부 63 : 슬라이딩 부재
64 : 부력부재 65 : 운전부하우징
70 : 구동부 71 : 구동부하우징
72 : 무한궤도 73 : 수직고정축
100 : 오니제거 작업선

Claims (6)

  1. 강이나 하천, 호수의 바닥에 적층되어 있는 오니제거와 수초제거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운전제어부(60) 몸체와 구동부(70)와 왕복흡입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는 수중 이동 오니퇴적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수중 이동 오니퇴적물 제거장치의 운전제어부(60) 몸체는 구동부(70) 몸체에 고정된 슬라이딩부재(63)를 따라 부력부재(64)가 수반된 운전부하우징(65)가 수심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고,
    구동부(70)는 구동부하우징(71)의 상부로는 펌핑장치(40)와 여과배출장치(50)가 설치되고 구동부하우징(71)의 양 측부로는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앞,뒤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을 이루며
    왕복흡입부(30)는 캡 형태의 하향 하우징 구조를 이루고 하우징 상단에는 부러쉬회전모터가 설치되고 하우징 내부로는 금속사인 스텐레스사나 철사 줄 형태의 철심으로 제공되는 수초 컷터(cutter)형 브러쉬가 하향으로 설치되어 회전모터에 의해 수초컷터형 브러쉬가 횡으로 회전 및 전진하여 수중의 수초를 절단함과 동시에 바닥면을 쓸어주도록 기능하고 상기 왕복흡입부(30)의 하우징(31)에는 부유된 오니퇴적물 및 절단된 수초가 펌핑될 수 있는 흡입배출관(32)이 배출호스(33) 및 펌핑장치와 연결되어 하우징 내부의 오니퇴적물이 수초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이루고,
    상기 왕복흡입부(30)의 하우징(31)에는 부력체(35)와 길이조절구(35b)로 연결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하우징(31)과 부력체(35) 사이에 길이조절구(35b)를 조절하며 왕복흡입부(3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하우징의 전면부에는 고압수 분사구가 설치되어 필요할 때 수중바닥면 또는 다단 부러쉬 바닥면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하우징의 전면부에는 굴착로터가 설치되어 필요할 때 수중바닥면의 표면 자갈을 뒤집어 굴착 또는 세척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니퇴적물 제거장치에 설치되는 컷터형 부러쉬는 합성수지 중간캡에 다단으로 철사가 엮여진 구조를 이루고 중간캡 상부에서 회전모터의 축과 연결되는 상부캡을 갖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6. 강이나 하천, 호수의 바닥에 적층되어 있는 오니제거와 수초제거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운전제어부(60) 몸체와 구동부(70)와 왕복흡입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는 수중 이동 오니퇴적물 제거장치를 이용하는 수중 오니 퇴적물 제거방법에 있어서,
    수중 이동 오니퇴적물 제거장치의 운전제어부(60) 몸체는 구동부(70) 몸체에 고정된 슬라이딩부재(63)를 따라 부력부재(64)가 수반된 운전부하우징(65)가 수심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고,
    구동부(70)는 구동부하우징(71)의 상부로 펌핑장치(40)와 여과배출장치(50)가 설치되고 구동부하우징(71)의 양 측부로는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앞,뒤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을 이루며
    왕복흡입부(30)는 캡 형태의 하향 하우징 구조를 이루고 하우징 상단에는 부러쉬회전모터가 설치되고 하우징 내부로는 금속사인 스텐레스사나 철사 줄 형태의 철심으로 제공되는 수초 컷터(cutter)형 브러쉬가 하향으로 설치되어 회전모터에 의해 수초컷터형 브러쉬가 횡으로 회전 및 전진하여 수중의 수초를 절단함과 동시에 바닥면을 쓸어주도록 기능하고 상기 왕복흡입부(30)의 하우징(31)에는 부유된 오니퇴적물 및 절단된 수초가 펌핑될 수 있는 흡입배출관(32)이 배출호스(33) 및 펌핑장치와 연결되어 하우징 내부의 오니퇴적물이 수초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이루고,
    상기 왕복흡입부(30)의 하우징(31)에는 부력체(35)와 길이조절구(35b)로 연결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하우징(31)과 부력체(35) 사이에 길이조절구(35b)를 조절하며 왕복흡입부(3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중 이동 오니퇴적물 제거장치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니 퇴적물 제거방법.
KR1020160111154A 2016-08-30 2016-08-30 수초 컷터형 회전부러쉬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KR101893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154A KR101893392B1 (ko) 2016-08-30 2016-08-30 수초 컷터형 회전부러쉬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154A KR101893392B1 (ko) 2016-08-30 2016-08-30 수초 컷터형 회전부러쉬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631A KR20180024631A (ko) 2018-03-08
KR101893392B1 true KR101893392B1 (ko) 2018-10-04

Family

ID=61726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154A KR101893392B1 (ko) 2016-08-30 2016-08-30 수초 컷터형 회전부러쉬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8395A (zh) * 2020-08-25 2020-12-04 河南衡鼎计量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水污染物处理装置
FR3123346A1 (fr) * 2021-05-28 2022-12-02 Nge Amélioration de la qualité de l’eau et production d’hydrogè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170B2 (ja) * 1989-07-18 2000-05-29 大和塗料販売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レ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170B2 (ja) * 1989-07-18 2000-05-29 大和塗料販売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レ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631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701B1 (ko) 수초 컷터가 부착된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초 제거방법
KR101709143B1 (ko) 수중 오염원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DK3008253T3 (en) Device for collecting and removing plastic, sludge-like materials deposited on the bottom of water bodies
US67365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pollution of boat harbors
KR102207358B1 (ko) 타원형 회전구조를 이루며 수중의 수초나 오니퇴적물을 제거하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US9345993B2 (en) Cleaning apparatus for filtration layer in seawater infiltration intake
JP2009018299A (ja) 総合海中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US10094091B1 (en) Sediment suction sink and method for sediment control in rivers, streams, and channels
KR101893392B1 (ko) 수초 컷터형 회전부러쉬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JP2006223154A (ja) 蓮根掘取装置
KR102037793B1 (ko) 수중 청소장치 및 방법
KR200393717Y1 (ko)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CN107438689A (zh) 用于对液体介质底部上的沉积物进行取样的系统
KR101739783B1 (ko) 횡으로 이동하는 부러쉬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US9816240B1 (en) Sediment suction sink and method for sediment control in rivers, streams, and channels
KR100729843B1 (ko) 이중 브러시를 이용한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US20160184748A1 (en) Floating Filtration Apparatus Transfers Seawater without Harm to Marine Life,
KR101208990B1 (ko)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0437861Y1 (ko) 물 공기 분사기를 이용한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JP2008248570A (ja) 沿岸構造物
JP6138594B2 (ja) 海水浸透取水における移動式懸濁物質回収装置
KR102258861B1 (ko)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기 위한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
KR101017317B1 (ko) 이종(異種)의 오니흡착부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CN218712597U (zh) 一种自动收污的水利插板桩
JP7224933B2 (ja) 浚渫装置および浚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