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616A - 접이식 마스트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마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616A
KR20170088616A KR1020160008718A KR20160008718A KR20170088616A KR 20170088616 A KR20170088616 A KR 20170088616A KR 1020160008718 A KR1020160008718 A KR 1020160008718A KR 20160008718 A KR20160008718 A KR 20160008718A KR 20170088616 A KR20170088616 A KR 20170088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frame
hinge
fixing groove
mas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1025B1 (ko
Inventor
황선규
김헌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볼츠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볼츠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볼츠윙
Priority to KR1020160008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0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15/0083Masts for sailing ships or 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15/02Staying of masts or of other superstructures
    • B63B35/795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2015/0016Masts characterized by mast configuration or construction
    • B63B2035/795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63B274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마스트를 컴팩트하게 접을 수 있어 선박의 운반/보관 및 유지보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선체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측방향으로 개구된 고정홈부가 형성된 마스트 베이스부; 돛이 연결되며 일단부가 상기 고정홈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되, 상기 일단부의 종방향으로 힌지슬롯홀이 형성된 마스트 프레임부; 및 상기 고정홈부의 개구측 테두리 상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의 일단부가 힌지 회전됨에 의해 상기 고정홈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힌지슬롯홀을 관통하는 힌지축이 구비된 힌지회전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마스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마스트장치{folding mast apparatus}
본 발명은 접이식 마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트를 컴팩트하게 접을 수 있어 선박의 운반/보관 및 유지보수성이 개선된 접이식 마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수면 위로 부유되며 사람 또는 물자를 싣고 이동할 수 있는 구조물로서, 크게 선체(hull), 마스트(mast) 및 돛(sail)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마스트는 상기 선체의 중심선상의 갑판에 수직으로 세운 기둥으로서, 보통 돛대라고도 한다. 이러한 상기 마스트는 상기 돛을 다는데 필요한 기둥으로 사용되었으며, 단마스트(single mast), 이각마스트(bipod mast), 삼각마스트(tripod mast) 등으로 구분하며 현재는 주로 레저용 세일링 요트(sailing yacht) 등에 사용되고 있다.
한편, 여가 문화의 확산과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역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해양 스포츠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세일링 요트와 같은 레저용 소형 선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에도 요트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때, 상기 소형 선박에는 별도의 모터가 구비되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수면 위를 주행할 수도 있으나 상기 마스트에 연결된 돛에 가해지는 풍력에 의해 주행될 수 있다.
상세히, 도 1은 종래의 세일링 요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세일링 요트(1)는 선체(h)의 상면 적소에 상기 마스트(m)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마스트(m)에 상기 돛(s)을 달아 상기 마스트(m)로 중심을 잡아가면서 상기 요트(1)를 주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마스트(m)는 요트 등과 같은 풍력을 이용하는 주행하는 선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종래의 요트(1)는 상기 선체(h) 상면에 고정되는 상기 마스트(m)의 길이가 통상적으로 상기 선체(h)의 길이보다 긴 길이와 무거운 중량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상기 선체(h)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육상으로의 운송 및 보관이 실질적으로 어려우므로 해상에 계류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해상계류는 육상계류에 비해 과도한 계류비용이 소요되어 많은 사람들이 요트를 직접 소유하기에는 경제적으로 부담스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해상계류시 수중에 잠기는 선저부에 해조류 및 패류의 부착에 의해 상기 선체의 외면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손상된 상기 선체 외면을 수리하기 위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수리를 한 후에도 여전히 해상에 계류된 상태로 보관되므로 반복적인 선체 수리작업으로 인한 과도한 비용발생 및 선체의 내구성 저하로 인한 요트의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해상계류시 기상 악화에 따른 풍랑에 의해 상기 선체가 인접한 선체 내지 구조물에 부딪혀 파손되는 문제점 또한 발생하였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497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스트를 컴팩트하게 접을 수 있어 선박의 운반/보관 및 유지보수성이 개선된 접이식 마스트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체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측방향으로 개구된 고정홈부가 형성된 마스트 베이스부; 돛이 연결되며 일단부가 상기 고정홈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되, 상기 일단부의 종방향으로 힌지슬롯홀이 형성된 마스트 프레임부; 및 상기 고정홈부의 개구측 테두리 상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의 일단부가 힌지 회전됨에 의해 상기 고정홈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힌지슬롯홀을 관통하는 힌지축이 구비된 힌지회전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마스트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힌지슬롯홀을 관통하되 상기 힌지회전부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슬롯홀은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의 일단부가 상기 고정홈부로부터 상향 분리시 상기 힌지축이 구속되어 일측방향으로의 힌지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단부와, 상기 일단부가 상기 고정홈부에 하향 삽입시 상기 힌지축이 수용되는 제2단부 사이 간격에 대응하여 길게 개구되되,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외곽 테두리 사이 간격은 상기 고정홈부의 개구된 상측폭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는 종방향 일면에 평탄부가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평탄부가 마주보게 밀착됨에 의해 내측에 수용홈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평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몰부가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바와, 상기 한 쌍의 프레임바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는 길이방향 중앙부가 분할되되 힌지접철부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대향단부에 각각 고정홀이 횡방향으로 관통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힌지 연결 부위를 동시에 커버한 상태에서 수직구속수단이 선택적으로 관통 체결되도록 상기 고정홀과 각각 연통되는 한 쌍의 구속공이 다단 형성된 중공형 조인트부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의 일단부 모서리는 힌지회전부를 중심으로 힌지 회전되는 반경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마스트 베이스부와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의 일단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마스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의 일단부에 길게 형성된 힌지슬롯홀에 상기 마스트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돌설된 힌지회전부에 고정된 힌지축이 관통되는 구조를 통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가 상승 및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접철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선박의 부피가 컴팩트화되어 보관성이 현저히 개선됨과 아울러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가 실질적으로 힌지회전부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분실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는 평탄부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구비되되 상기 평탄부에 함몰부가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바를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고, 상기 함몰부로부터 형성된 수용홈부에 돛과 상기 돛을 조작할 수 있는 로프를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는 힌지접철부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분할되어 다단 접철되므로 상기 선박이 더욱 컴팩트화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를 세울 때 분할된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수직 구속할 수 있는 조인트부가 더 구비되므로 사용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일링 요트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마스트장치가 적용된 선박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A-B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마스트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마스트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마스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마스트장치가 적용된 선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A-B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마스트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마스트장치(100)는 세일링 요트와 같이 풍력을 이용하여 수면을 주행하는 선박(2)의 선체(h) 일측에 수직으로 상향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접이식 마스트장치(100)는 종방향을 따라 돛(sail,s)이 연결되며, 마스트 베이스부(10), 마스트 프레임부(20) 및 힌지회전부(30)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스트 베이스부(10)는 상기 선체(h)의 바닥면 일측에 기설정된 높이로 돌설되어 구비되며, 돌설된 몸체부 내측에는 상측방향으로 개구된 고정홈부(1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스트 베이스부(10)는 상기 선체(h)를 제조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별도로 제조된 상기 마스트 베이스부(10)가 상기 선체(h)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가 선택적으로 삽입 및 고정되어 상기 선체(h)의 수직방향으로 직립되도록, 상기 고정홈부(11)는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의 홈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가 상기 고정홈부(11)에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풍력 내지 외부 충격에 의한 요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돛(s)이 연결된다. 이때,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와 타단부에는 상기 돛(s)과, 상기 돛(s)을 펴거나 접기 위해 구비되는 로프가 권취되는 풀링부(furling)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는 일면이 마주보게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바(20a)와, 상기 한 쌍의 프레임바(20a)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20f)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바(20a)는 종방향의 일면에 평탄부(20b)가 형성되도록 고강도 재료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강도 재료라 함은 섬유강화플라스틱 내지 페놀수지와 같은 경화성 고강도 합성수지 재질 또는 철 내지 비철금속 재질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화성 고강도 합성수지 재질은 경량이며 가공성이 용이하면서도 강도는 유지되므로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 수분 및 화학약품 등에 대학 내식성 및 내염성이 우수하여 선박이 주로 주행되는 담수 내지 해수환경에 대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물론,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의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바를 제조할 수도 있으며 선박의 부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재질의 고강도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바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바(bar)형상의 경우, 상기 프레임바(20a)의 횡단면형상에 대응하는 금형을 제조하여 인발 내지 압출가공하면 원하는 형태의 단면을 가진 봉 내지 관 형상으로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필요로 하는 길이로 간편하게 절단한 후 좌우가 대칭되게 조립하여 설치하면 되므로 생산성 및 설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프레임바(20a)는 기설정된 금형 내부에 주입하여 사출성형되거나 절삭 내지 절곡가공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제조방법은 해당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일면부가 평탄부(20b)로 형성되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바(20a)는 상기 평탄부(20b)가 마주보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20f)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바(20a)의 외면부는 도면에서는 반타원형으로 라운드지게 도시하였으나, 사각형 내지 다각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평탄부(20b)가 마주보게 밀착됨에 따라 좌우 대칭되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바(20a)의 외면이 연속적으로 이루는 단면형상이 원형, 타원형, 사각형 및 다각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20f)를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프레임바(20a)를 일체로 체결한 상태에서 내측에 수용홈부(e1,e2)가 형성되도록, 상기 평탄부(2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몰부(20c,20d)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함몰부(20c,20d)는 상기 평탄부(20b)의 내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내측형 함몰부(20d)로 형성되거나 상기 평탄부(20b)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프레임바(20a)의 외면을 아울러 개구된 개구형 함몰부(20c)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형 함몰부(20c)의 경우 상기 한 쌍의 프레임바(20a)의 평탄부(20b)가 마주보게 밀착되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측으로 개구(c)가 형성된 개구형 수용홈부(e1)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내측형 함몰부(20d)의 경우, 상기 한 쌍의 프레임바(20a)의 평탄부(20b)가 마주보게 밀착되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내측에 중공형 수용홈부(e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평탄부(20b)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되 상기 평탄부(20b)에 내측형(20d) 내지 개구형 함몰부(20c)가 형성된 상기 한 쌍의 프레임바(20a)를 상기 체결부재(20f)를 이용하여 체결하면, 내측에 수용홈부(e1,e2)가 형성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를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한 쌍의 프레임바(20a)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되 외측 관통단부가 내측 관통단부보다 크게 형성된 체결홈부(20e)에 상기 체결부재(20f)를 체결하면, 상기 체결부재(20f)의 단차진 헤드부가 상기 체결홈부(20e)의 외측 관통단부에 걸림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프레임바(20a)를 손쉽게 조립하여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홈부(e1,e2)에는 상기 돛(s)과, 상기 돛(s)을 접거나 펼칠 수 있는 로프가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레임바(20a)의 일측으로 개구(c)가 형성된 상기 개구형 수용홈부(e1)에는 상기 돛(s)을 접어서 상기 개구(c)를 통하여 수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돛(s)을 보관하는데 별도의 보관용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보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돛(s)을 상기 마스트장치(100)와 함께 실질적으로 일체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쉽게 돛(s)을 찾아 사용할 수 있으며 돛(s)과 같은 부품의 분실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형 수용홈부(e2)에는 상기 로프가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람 등의 외부요인에 의한 상기 로프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 및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체결부재(20f)를 분리하기만 하면 간편하게 상기 한 쌍의 프레임바(20a)가 분리되므로 내부에 수용된 상기 로프를 교체하거나 수선하기 용이하다.
이때, 상기 함몰부(20c,20d)는 상기 프레임바(20a)의 평탄부(20b)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두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경우 일측은 개구형 함몰부(20c)로 형성되고 타측은 내측형 함몰부(20d)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개구형 수용홈부(e1)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중공형 수용홈부(e2)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함몰부(20c,20d)는 복수개 모두 개구형 함몰부(20c)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마스트 베이스부(10)의 상단부에는 상기 힌지회전부(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힌지회전부(30)는 상기 고정홈부(11)의 개구측 테두리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에 형성된 힌지슬롯홀(22)을 관통하는 힌지축(3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가 상기 고정홈부(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회전부(30)의 힌지축(31)과 상기 힌지슬롯홀(22)은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이동경로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31)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힌지회전부(30) 사이에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축(31)과 힌지 체결되는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 역시 상기 한 쌍의 힌지회전부(30) 사이에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를 회전 접철하기 위해 상기 일단부(21)가 상기 고정홈부(11)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상기 마스트 베이스부(10)에 실질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 및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돛(s)과 같은 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31)을 중심으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가 상기 고정홈부(11)로부터 상향 분리되거나 선택적으로 하향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가 상기 고정홈부(11)에 삽입되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는 상기 선체(h)와 실직적으로 수직상태로 직립될 수 있으며 상기 돛(s)을 연결하여 상기 선박이 주행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가 상기 고정홈부(11)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는 상기 힌지축(31)을 중심으로 상기 선체(h)의 상면에 인접하도록 접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선체(h)가 차지하는 부피가 컴팩트화되므로 육상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다. 이를 통해, 천장이 낮은 창고 등에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외부 환경에 의한 파손 또한 방지되므로 보관 및 수리에 소요되던 과도한 비용이 방지되어 경제적이다.
한편, 상기 힌지축(31)은 상기 힌지슬롯홀(22)을 관통하여 체결되되, 그의 양단부는 상기 힌지회전부(3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힌지축(31)이 상기 힌지회전부(30)에 고정된다 함은 상기 힌지축(31)은 실질적으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힌지 회전을 가이드하는 힌지축 역할에 한정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를 들어올리거나 상기 고정홈부(11)에 집어넣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슬롯홀(22)의 위치가 가변됨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선박(2)의 주행을 위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는 상기 선체(h)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일단부(21)가 상기 고정홈부(1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가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홈부(11)는 기설정된 깊이의 홈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부(11)의 깊이는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전체 길이의 8~15%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홈부(11)의 깊이가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전체 길이의 8%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가 풍력 및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고정홈부(11)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홈부(11)의 깊이가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단면 폭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더욱 쉽게 회전 분리되어 주행 중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가 쓰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고정홈부(11)의 깊이가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전체 길이의 15%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안정적인 고정상태는 유지될 수 있으나 상기 고정홈부(11)가 형성되는 상기 마스트 베이스부(10)의 부피가 커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선체에서 상기 마스트 베이스부(10)가 차지하는 부피가 불필요하게 커져 선박(2)에 사람 내지 물품의 수용효율이 저하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홈부(11)의 깊이가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전체 길이의 8~15% 범위로 설정됨으로써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가 수직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도 선체(h)의 수용효율이 유지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선박(2)을 컴팩트하게 접어 보관하기 위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가 상기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되어 상기 고정홈부(11)로부터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가 상기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되어 상기 고정홈부(11)로부터 분리되기 위해서는 상기 힌지축(31)과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 외곽테두리(21a) 사이 간격(w1)은 상기 고정홈부(11)의 횡방향폭(w2)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힌지슬롯홀(22)은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가 상기 고정홈부(11)로부터 힌지 회전되어 분리되는 상태에서는 일측 단부에 상기 힌지축(31)이 위치하고, 상기 고정홈부(1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타측 단부에 상기 힌지축(31)이 위치되도록 종방향으로 길게 개구된 장공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힌지슬롯홀(22)은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측 단부인 제1단부(22a)와,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타단부측 단부인 제2단부(22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단부(22a)와 상기 제2단부(22b) 사이에 간격(L)에 대응하여 연장된 슬라이딩홈부(22c)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를 상기 고정홈부(11)로에 밀어넣거나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축(31)의 위치가 상기 힌지슬롯홀(22)의 제1단부(22a) 내지 제2단부(22b)측으로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축(31)의 위치가 가변된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 위치가 변경됨에 의해 상기 힌지축(31)과 대응되는 상기 힌지슬롯홀(22)의 위치가 가변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단부(22a)는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가 상기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되어 상기 고정홈부(11)로부터 회전 분리될 수 있는 회전반경 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 외곽테두리(21a)와 상기 제1단부(22a) 사이 간격(w1)이 상기 고정홈부(11)의 개구된 횡방향폭(w2)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축(31)이 상기 제1단부(22a)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가 힌지 회전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가 상기 고정홈부(11)의 개구부에 걸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 분리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단부(22a)에는 상기 힌지축(31)이 구속되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힌지 회전을 더욱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31)의 회전반경을 따라 돌설된 회전가이드단턱(22d)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31)이 상기 제1단부(22a)와 상기 회전가이드단턱(22d) 사이에 끼워져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31)이 상기 제1단부(22a)와 상기 회전가이드단턱(22d) 사이에 끼워지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하중에 의해 상기 힌지축(31)의 위치가 상기 제2단부(22b)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한정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를 들어올리기 위해 과도한 힘을 들이지 않더라도 상기 회전가이드단턱(22d)에 끼움 구속되어 상기 힌지축(31)이 상기 제1단부(22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힌지축(31)을 중심으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30)가 안정적으로 힌지 접철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 모서리(21b)는 상기 힌지회전부(30)의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되는 반경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회전 작동을 더욱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부(11)로부터 상기 일단부(21)가 회전 분리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는 상기 선체(h)의 상면측으로 접철됨에 따라 상기 선박(2)의 세로측으로 차지하는 공간면적이 현저히 컴팩트화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는 후술되는 힌지접철부(27)를 중심으로 다단 접철되므로 실질적으로 상기 선체(h)자체의 부피에 대응하는 공간만 확보된다면 협소한 장소에도 보관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종래의 해상계류에 비해 경제적이면서도 수리 보수가 용이하고 외부 환경 및 충격에 의한 변형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육상에 상기 선박(2)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 및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단부(22b)는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가 상기 고정홈부(11)에 하향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회전부(30)에 고정된 상기 힌지축(31)이 수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홈부(11)는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를 안정적으로 삽입 구속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깊이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힌지축(31)을 중심으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가 회전 분리되는데 제약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슬롯홀(22)은 상기 힌지회전부(30)에 고정된 상기 힌지축(31)에 의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가 상기 고정홈부(11)에 삽입되는데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길게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가 상기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되어 상기 고정홈부(11)로부터 손쉽게 회전 분리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접이식 마스트장치(100)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는 길이방향의 중앙부가 분할되되 힌지접철부(27)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3)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3)의 대향단부(23a,24a)에는 각각 고정홀(25,26)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24)과 상기 하부 프레임(23)을 선택적으로 수직 구속할 수 있는 조인트부(28)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부(28)는 상기 상부 프레임(24)과 상기 하부 프레임(23)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형 조인트부(28)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24)과 상기 하부 프레임(23)의 힌지 연결 부위를 동시에 커버한 상태에서 수직구속수단(29)이 선택적으로 관통 체결되도록 상기 고정홀(25,26)과 각각 연통되는 한 쌍의 구속공(28a)이 다단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중공형 조인트부(28)는 상기 하부 프레임(23)과 상기 상부 프레임(24)의 길이방향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24)과 상기 하부 프레임(23)이 상기 힌지접철부(27)에 의해 연결된 힌지 연결 부위를 동시에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프레임(23)과 상기 상부 프레임(24)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직선형 바(bar)형태로 구속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상부 프레임(24)과 상기 하부 프레임(23)의 대향단부(23a,24a)가 상기 중공형 조인트부(28)로 커버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구속수단(29)이 상기 고정홀(25,26) 및 이와 연통된 상기 구속공(28a)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공형 조인트부(28)가 상기 힌지 연결 부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구속수단(29)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수직상태로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형 조인트부(28)가 상기 힌지 연결 부위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24) 내지 상기 하부 프레임(23)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힌지접철부(27)를 중심으로 힌지 접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를 다단으로 접철하여 상기 선박(2) 부피가 더욱 컴팩트해지므로 보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프레임(24)과 상기 하부 프레임(23)의 각 대향단부(23a,24a)에는 지지단턱(23b,24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힌지접철부(27)는 상기 하부 프레임(23)의 단부에 힌지 체결되는 제1힌지단(27a)과 상기 상부 프레임(24)의 단부에 체결되는 힌지 체결되는 제2힌지단(27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스트장치(100)가 회전 접철시 부피가 최소화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힌지단(27a)과 상기 제2힌지단(27b)을 중심으로 회전 접철된 상기 상부 프레임(24)과 상기 하부 프레임(23)의 길이방향 대향면이 최대한 인접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힌지단(27a)과 상기 제2힌지단(27b) 사이 간격은 상기 상부 프레임(24)와 상기 하부 프레임(23)의 횡방향 단면 간격 및 상기 조인트부(28)의 단면 두께를 고려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인트부(28)의 단면 두께가 고려되어 상기 제1힌지단(27a)과 상기 제2힌지단(27b) 사이 간격이 설정된 경우, 상기 상부 프레임(24)와 상기 하부 프레임(23)이 수직상태로 힌지 회전되면 각 대향단부(23a,24a)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격공간을 보완하도록 상기 지지단턱(23b,24b)이 돌설됨에 따라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수직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단턱(23b,24b)은 상기 각 대향단부(23a,24a)에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이격공간을 지지할 수도 있다.
한편, 마스트 베이스부(10)와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를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부재(35)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가 상기 고정홈부(11)에 하향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35)가 상기 마스트 베이스부(10)와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를 동시에 관통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가 수직으로 직립되고 상기 돛(s)이 연결된 상태에서 풍력이 가해지더라고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가 상기 고정홈부(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5)는 상기 마스트 베이스부(10)와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로부터 탈착가능한 볼트 및 너트와 같은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선박을 보관시에는 상기 고정부재(35)를 분리하기만 하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를 접철시켜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마스트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힌지회전부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마스트 베이스부(10)에는 상기 고정홈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부(11)의 개구된 일측에는 상기 힌지회전부(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회전부(130)에 구비된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가 선택적으로 힌지 회전되어 접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회전부(130)와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 사이에는 가이드힌지부(1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힌지부(133)의 일단부는 상기 힌지회전부(130)에 구비된 제1힌지축(131)과 힌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힌지부(133)의 타단부에는 상기 힌지슬롯홀(22)에 관통되는 제2힌지축(132)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는 상기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힌지회전부(도 2의 30)에 구비된 상기 힌지축(도 2의 31)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변형예와 같이 상기 힌지회전부(130)와 상기 마스트 프레임(20) 사이를 매개하는 별도의 상기 가이드힌지부(13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변형예에서 상기 가이드힌지부(131)의 각 힌지축(131,132)을 중심으로 하여 다단 회전 접철되므로, 상기 힌지회전부(130)의 회전중심과 상기 힌지슬롯홈(22)이 동일한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아도 손쉬운 회전 접철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회전부(130)의 회전중심이라 함은 상기 제1힌지축(131)의 중심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슬롯홈(22)의 단부와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 사이 간격이 상기 고정홈부(11)의 개구된 폭과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상기 가이드힌지부(131)가 다단 회전 접철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손쉽게 삽입 및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회전부(130)는 별도로 구비되며 베이스부(130a)가 상기 마스트 베이스부(10)의 상면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상술한 일실시예와 같이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마스트장치(100)는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일단부(21)에 길게 형성된 힌지슬롯홀(22)에 상기 마스트 베이스부(10)의 상측으로 돌설된 힌지회전부(30)에 고정된 힌지축(31)이 관통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가 상승 및 상기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전 접철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선박의 부피가 컴팩트화되어 보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가 실질적으로 힌지회전부(30)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의 분실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는 평탄부(20b)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구비되되 상기 평탄부(20b)에 함몰부(20c,20d)가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바(20a)를 체결부재(20f)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20c,20d)로부터 형성된 수용홈부(e1,e2)에 돛(s)과 상기 돛(s)을 조작할 수 있는 로프를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는 힌지접철부(27)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3)으로 분할되어 다단 접철되므로 상기 선박(2)이 더욱 컴팩트화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20)를 세울 때 분할된 상기 상부 프레임(24)과 하부 프레임(23)을 수직 구속할 수 있는 조인트부(28)가 더 구비되므로 사용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마스트 베이스부 11 : 고정홈부
20 : 마스트 프레임부 20a : 프레임바
20f : 체결부재 21 : 일단부
22 : 힌지슬롯홀 23 : 하부 프레임
24 : 상부 프레임 27 : 힌지접철부
28 : 조인트부 30 : 힌지회전부
31 : 힌지축 35 : 고정부재
100 : 접이식 마스트장치

Claims (5)

  1. 선체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측방향으로 개구된 고정홈부가 형성된 마스트 베이스부;
    돛이 연결되며 일단부가 상기 고정홈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되, 상기 일단부의 종방향으로 힌지슬롯홀이 형성된 마스트 프레임부; 및
    상기 고정홈부의 개구측 테두리 상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의 일단부가 힌지 회전됨에 의해 상기 고정홈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힌지슬롯홀을 관통하는 힌지축이 구비된 힌지회전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마스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힌지슬롯홀을 관통하되 상기 힌지회전부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슬롯홀은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의 일단부가 상기 고정홈부로부터 상향 분리시 상기 힌지축이 구속되어 일측방향으로의 힌지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단부와, 상기 일단부가 상기 고정홈부에 하향 삽입시 상기 힌지축이 수용되는 제2단부 사이 간격에 대응하여 길게 개구되되,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외곽 테두리 사이 간격은 상기 고정홈부의 개구된 상측폭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마스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는 종방향 일면에 평탄부가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평탄부가 마주보게 밀착됨에 의해 내측에 수용홈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평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몰부가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바와,
    상기 한 쌍의 프레임바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마스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는
    길이방향 중앙부가 분할되되 힌지접철부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대향단부에 각각 고정홀이 횡방향으로 관통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힌지 연결 부위를 동시에 커버한 상태에서 수직구속수단이 선택적으로 관통 체결되도록 상기 고정홀과 각각 연통되는 한 쌍의 구속공이 다단 형성된 중공형 조인트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마스트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의 일단부 모서리는 힌지회전부를 중심으로 힌지 회전되는 반경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마스트 베이스부와 상기 마스트 프레임부의 일단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마스트장치.
KR1020160008718A 2016-01-25 2016-01-25 접이식 마스트장치 KR101811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718A KR101811025B1 (ko) 2016-01-25 2016-01-25 접이식 마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718A KR101811025B1 (ko) 2016-01-25 2016-01-25 접이식 마스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616A true KR20170088616A (ko) 2017-08-02
KR101811025B1 KR101811025B1 (ko) 2017-12-20

Family

ID=59651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718A KR101811025B1 (ko) 2016-01-25 2016-01-25 접이식 마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0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773A (ko) * 2017-10-19 2019-04-29 류대희 접이식 모듈화 부스
CN109703695A (zh) * 2019-01-30 2019-05-03 江苏省镇江船厂(集团)有限公司 人力放倒或竖起的船用桅杆装置
CN113071645A (zh) * 2021-04-12 2021-07-06 重庆交通大学 一种基于仿生蝙蝠理念的可伸缩桅杆风帆
KR102392878B1 (ko) * 2020-11-12 2022-04-29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요트용 절첩식 세일
CN114761320A (zh) * 2019-11-28 2022-07-15 Cws莫雷尔 移动载具的推进翼及包括此种推进翼的移动载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795B1 (ko) * 2019-10-10 2021-01-26 한국전력공사 비출입형 맨홀 검사장치
KR102392876B1 (ko) * 2020-11-12 2022-04-29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상 로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9720B2 (en) * 2007-10-19 2014-06-03 The Florida State Univerity Technology Transfer Office Storable, sickle-shaped sailboat mast
CN102452450A (zh) * 2010-10-27 2012-05-16 威海中复西港船艇有限公司 玻璃钢船折叠式桅杆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773A (ko) * 2017-10-19 2019-04-29 류대희 접이식 모듈화 부스
CN109703695A (zh) * 2019-01-30 2019-05-03 江苏省镇江船厂(集团)有限公司 人力放倒或竖起的船用桅杆装置
CN114761320A (zh) * 2019-11-28 2022-07-15 Cws莫雷尔 移动载具的推进翼及包括此种推进翼的移动载具
KR102392878B1 (ko) * 2020-11-12 2022-04-29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요트용 절첩식 세일
CN113071645A (zh) * 2021-04-12 2021-07-06 重庆交通大学 一种基于仿生蝙蝠理念的可伸缩桅杆风帆
CN113071645B (zh) * 2021-04-12 2022-05-27 重庆交通大学 一种基于仿生蝙蝠理念的可伸缩桅杆风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025B1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025B1 (ko) 접이식 마스트장치
US5829376A (en) Outrigger watercraft
US4998498A (en) Knockdown sailboat
US8789487B2 (en) Personal watercraft
KR20110105727A (ko) 범주선
US11046398B2 (en) Rotational molded narrow beam catamaran with modular attachments
US4530301A (en) Variable camber air-foil for a vessel
KR20110118140A (ko) 기계화된 돛 설치 장치
US8757459B2 (en) Boat accessory platform
NL1031707C2 (nl) Schip en kielconstructie voor een schip en werkwijze voor het in hoofdzaak horizontaal houden van de romp.
JPH0764310B2 (ja) 幅員を可変とする浮舟渠
US9334021B1 (en) Pontoon boat having extendable underwater platform
KR102019916B1 (ko)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US3370560A (en) Sailing vessels
US20180079469A1 (en) Boat-in-a-box
US3318277A (en) Shroud guard
JP2007282682A (ja) ヨット玩具
JP2018177173A (ja) 多胴船
KR20130070316A (ko) 선체 고정 장치
CN209037792U (zh) 爬梯
US5617805A (en) Trimaran
KR101881885B1 (ko) 노 보트의 러더 모듈
KR20120002056A (ko) 거주구를 이용한 선박용 돛 장치
US11801921B2 (en) Motorized floating picnic table
CN109703725A (zh) 一种大型帆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