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342A -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 및 상기 부재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 및 상기 부재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342A
KR20170088342A KR1020177013217A KR20177013217A KR20170088342A KR 20170088342 A KR20170088342 A KR 20170088342A KR 1020177013217 A KR1020177013217 A KR 1020177013217A KR 20177013217 A KR20177013217 A KR 20177013217A KR 20170088342 A KR20170088342 A KR 20170088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curved
surface layer
connection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9655B1 (ko
Inventor
프레드리크 안데르손
라르스 파울 안데르손
Original Assignee
이케아 서플라이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케아 서플라이 아게 filed Critical 이케아 서플라이 아게
Publication of KR20170088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2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keyhole-shaped slots and p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47B47/042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2Joints between panels and corner p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12/46Non-metal corner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66Formed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125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mortise and tenon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26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snap-a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67Rigid angl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제1 연결 구조물(93) 및 제2 연결 구조물(97)을 구비한 굽은 모서리 중앙 섹션(89)을 포함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 부재(18)는 제1 및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26, 28)를 구비한 목재 프레임(36)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연결 부재들(30, 32)은 제1 및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들(26, 28)을 연결시킨다. 제1 연결 부재(30)에는 제1 가구 부재에의 연결을 위한 제1 연결 구조물(93)이 제공되고, 제2 연결 부재(32)에는 제2 가구 부재에의 연결을 위한 제2 연결 구조물(97)이 제공된다. 상기 목재 프레임(36)의 볼록 부분(74) 상에는 굽은 외측 표면층(64)이 배치되고, 상기 목재 프레임(36)의 오목 부분(82) 상에는 굽은 내측 표면층(66)이 배치된다.

Description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 및 상기 부재의 제작방법{BENT CORNER FURNITURE CONNECTING PIECE AND A METHOD OF MAKING SUCH PIECE}
본 발명은 굽은 모서리 중앙 섹션, 굽은 모서리 중앙 섹션의 제1 단부에 배치되고 제1 가구 부재에의 연결을 위하여 구성된 제1 연결 구조물, 및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있는 굽은 모서리 중앙 섹션의 제2 단부에 배치되고 제2 가구 부재에의 연결을 위하여 구성된 제2 연결 구조물을 포함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책장, 선반, 캐비넷과 같은 가정용 가구는 종종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둘 이상의 가구 패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평의 부재가 수직의 측부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가정용 가구의 수평 부재와 수직 부재는 종종 예각의 모서리에서 서로 연결되는데, 이 경우에는 해당되는 집에서 거주하는 사람들한테 상해를 유발할 수 있다. 수직의 부재와 수평의 부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상해의 위험이 실질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US 2006/0207957 에는 둥근 모서리 프로파일(rounded corner profile) 내에 들어 맞는 선반들을 구비한, 사용자에 의해 재구성가능한 디스플레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둥근 모서리 프로파일들은 압출된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은 공지된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보다 적은 무게를 갖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굽은 모서리 중앙 섹션(central bent corner section); 상기 굽은 모서리 중앙 섹션의 제1 단부에 배치되고, 제1 가구 부재에 연결되는, 제1 연결 구조물(first connecting arrangement); 및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있는 굽은 모서리 중앙 섹션의 제2 단부에 배치되고, 제2 가구 부재에 연결되며, 제1 연결 구조물에 대해 25° 내지 140° 사이의 각도(α1)로 배치되는, 제2 연결 구조물(second connecting arrangement);을 포함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에 의하여 달성되는바, 상기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는 제1 만곡 단부 섹션 부재(first curved end section piece) 및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를 구비한 목재 프레임(wooden frame)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제1 만곡 단부 섹션 부재와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를 그들 각각의 제1 단부에서 연결하고, 제1 연결 부재에 대해 평행한 제2 연결 부재는 제1 만곡 단부 섹션 부재와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를 그들 각각의 제2 단부에서 연결하며, 상기 제2 단부들은 상기 만곡 단부 섹션 부재들의 상기 제1 단부들의 반대측에 있고, 상기 제1 연결 부재에는 제1 가구 부재에의 연결을 위한 제1 연결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공되며, 상기 제2 연결 부재에는 제2 가구 부재에의 연결을 위한 제2 연결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의 볼록 부분(convex part)에 굽은 외측 표면층이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오목 부분(concave part)에 굽은 내측 표면 층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연결 부재들 두 개 모두가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를 위한 프레임의 일부를 형성하고, 또한 이들에는 제1 및 제2 연결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공되어서, 상기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가 효과적인 방식으로 가구의 구조적 요소가 되며 제1 가구 부재와 제2 가구 부재를 연결시킨다는 것이다. 상기 목재 프레임은 상기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에 높은 강도와 낮은 무게를 제공하며,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를 낮은 가격에 제작함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 구조물은 제1 가구 부재에 대한 스냅-인-연결을 위해 구성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제1 가구 부재에 대한 연결 구조물의 효율적이고 신속한 장착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연결 구조물이 제2 가구 부재에 대한 스냅-인-연결을 위해서도 구성된다. 이것은 제2 가구 부재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장착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 구조물은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연결 부재 안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도구(first connecting 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구조물은 적어도 일부분이 제2 연결 부재 안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도구를 포함한다. 연결 도구들은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에 대한 가구 부재들의 효율적인 장착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의 제1 연결 도구들은 각각 제1 및 제2 가구 부재들에 대한 스냅-인-연결을 위하여 구성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상기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가 가구의 간편하고 신속한 장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비전문가가 가구를 쉽고 신속히 장착함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 구조물과 제2 연결 구조물은 각각 제1 가구 부재와 제2 가구 부재에 대한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하여 구성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가구가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는 것인데, 이것은 예를 들어 가구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가구를 다른 형태로 재조립하는 때에 유리한 장점이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 도구는 그 전체가 상기 제1 연결 부재 안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제1 연결 도구가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해 특히 강력하게 연결된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 도구는 그 전체가 상기 제2 연결 부재 안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제1 연결 도구가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해 특히 강력하게 연결된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는 로드 형상의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의 형태를 갖는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로드 형상의 연결 부재들이 강력하고 경량인 프레임을 형성하는데에 특히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의 제1 연결 구조물 및 제2 연결 구조물 각각이 암수 연결 구조물의 일 부분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암수 연결 구조물들이 손쉬운 장착을 제공하며, 비전문가도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가 어떻게 제1 가구 부재와 제2 가구 부재에 연결되어야 하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는 점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의 적어도 제1 연결 구조물이 적어도 하나의 암컷 부분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연결 구조물의 효율적인 구조를 제공하며, 상기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가 상대적으로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간편한 부재로 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연결 구조물도 적어도 하나의 암컷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는 더 향상된 효율과 적은 공간 요건을 충족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 구조물과 제2 연결 구조물은 암컷 부분만을 포함한다. 이것은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에 필요한 공간을 특히 더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의 적어도 제1 연결 구조물은 키이 및 키이 홀 연결 구조물의 일 부분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비전문가도 가구가 어떻게 장착되어야 하는 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기계적으로 강력한 부착이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2 연결 구조물도 키이 및 키이 홀 연결 구조물의 일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더 향상된 장착 용이성과 향상된 기계적 강도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목재 프레임은 전체적으로 요람 받침대의 형상을 갖는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목재 프레임이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게 되고, 목재 프레임에 내측 표면 층과 외측 표면 층을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방식으로 적용하기가 쉽게 된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표면 층 침 외측 표면 층은 목재나, 칩보드 재료, 입자 보드 재료, MDF 보드 재료, HDF 보드 재료와 같은 목재 기반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가 전체적으로 목재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어서, 높은 기계적 강도, 낮은 무게, 낮은 비용의 조합을 갖춘 가구를 제공하고 또한 내구성에 관한 요건을 충족시킨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 구조물과 제2 연결 구조물은 서로 25 내지 90°의 각도(α1)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범위의 각도(α1)는 대부분의 가구 적용예들에 적합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는 적어도 50mm 의 내측 반경(Ri)을 갖는다. 50mm 미만의 내측 반경(Ri)은 연결 부재의 강도 감소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고, 또한 목재 프레임에 내측 층과 외측 층을 적절히 고정시키는 데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는 150 mm 미만의 내측 반경(Ri)을 갖는다. 150 mm 초과의 내측 반경(Ri)은 굽은 모서리 연결 부재에 많은 양의 내부 보강재를 필요로 하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써 무게와 비용 증가로 귀결되는 경향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는 15 내지 50 mm 의 총 두께(Ttot)를 갖는다. 15 mm 미만의 총 두께(Ttot)는 연결 부재가 상대적으로 낮은 기계적 강도를 갖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50 mm 초과의 총 두께(Ttot)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결 부재에 많은 내부 보강재를 필요로 하게 됨으로써 연결 부재의 무게 및 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는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상기 모서리 연결 부재의 무게 및 비용이 감소된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연결 구조물이 각각의 연결 부재를 따라서 볼 때에 서로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된 적어도 제1 연결 도구와 제2 연결 도구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각각의 가구 부재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연결이 얻어진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들은 바나나 형상을 갖는다. 상기 바나나 형상은 제작면에서 효율적이고,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를 위한 프레임을 형성하는 효율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제1 가구 부재 및 제2 가구 부재에 대한 연결을 위하여 구성된 굽은 모서리 연결 부재를 형성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가구의 조립에 있어서 제1 가구 부재와 제2 가구 부재에 대한 연결을 위하여 구성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를 형성하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되는바, 상기 방법은: 제1 연결 부재를 제1 만곡 단부 섹션 부재 및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 각각의 제1 단부에서 연결시키고, 제2 연결 부재를 제1 만곡 단부 섹션 부재 및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 각각의 제2 단부에서 연결시킴으로써 목재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목재 프레임의 볼록 부분 상에 외측 표면 층을 적용하는 단계; 상기 목재 프레임의 오목 부분 상에 내측 표면 층을 적용하는 단계; 제1 가구 부재에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구조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연결 부재 안에 배치하는 단계; 및 제2 가구 부재에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구조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연결 부재 안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의 장점은, 높은 기계적 강도 및 낮은 무게를 갖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가 낮은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 표면 층 및 내측 표면 층은 상기 목재 프레임에 접착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가 신속히 그리고 낮은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고, 또한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연결 부재가 높은 강도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목재 프레임의 볼록 부분 상에 외측 표면 층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목재 프레임의 오목 부분 상에 내측 표면 층을 적용하는 단계에는, 외측 표면 층과 내측 표면 층 사이에 목재 프레임을 개재시키는 단계와, 이로써 얻어진 개재된 구조물을 다이(die)와 스탬프(stamp)를 포함하는 가압용 구조물에서 가압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가압 단계에서 요망되는 곡면이 얻어지기 때문에, 편평한 표면 층들을 특정의 곡률로 미리 성형할 필요없이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진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가 제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재된 구조물을 가압하는 단계는 상기 개재된 구조물을 50 내지 20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상기 편평한 표면 층들의 목재 프레임 주위에 대한 굽힘이 효율적으로 얻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이 범위의 온도는 표면 층들을 목재 프레임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임의의 접착제를 신속히 경화시키는데에도 효율적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재된 구조물을 가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목재 프레임 및/또는 외측 표면 층 및/또는 내측 표면 층 상에 접착층이 적용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상기 목재 프레임에 맞도록 상기 표면 층들을 적합한 곡률로 굽힘과 접착제를 경화시킴이 한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음으로 인하여,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의 제작이 보다 효율적으로 된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목재 프레임이 과잉의 치수를 가진 외측 표면 층과 내측 표면 층 사이에 개재된 이후에, 상기 외측 표면 층과 내측 표면 층이 목재 프레임에 맞도록 기계가공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목재 프레임과 표면 층들을 서로에 대해 배치시키는 것이 덜 까다롭게 되고, 여전히 제1 연결 도구들의 위치에 있어서 높은 정밀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가구 부재에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구조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연결 부재 안에 배치하는 단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연결 부재 안에 적어도 하나의 암컷 부분을 밀링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별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상기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에 연결 구조물들이 효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형태에 따르면 소비자에 의해 장착될 수 있는 가구가 제공되는바, 상기 가구는: 전술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 및/또는 전술된 어느 한 방법에 따라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의 제1 연결 구조물에 연결가능한 제1 가구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제2 연결 구조물에 연결가능한 제2 가구 부재;를 포함한다. 이 가구의 장점은, 가구 장착에 있어서 비전문가인 소비자가 상대적으로 복잡한 가구의 부재들도 장착함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가구 부재와 제2 가구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가구의 위치를 변경하는 때에 소비자에 의해 장착될 수 있는 가구를 분해함을 가능하게 한다.
가구의 장착을 보다 쉽게 만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 소비자에 의해 장착가능한 가구의 예에는, 책장, 벽 선반, 서랍장, 텔레비전 받침대, 캐비넷, 사이드보드, 테이블, 보관용 가구, 의자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및 특징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아래에서는 아래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에는 가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 에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의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의도된 부재들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b 에는 연결 부재의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c 에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를 형성하는 때의 가압용 구조물(pressing arrangement)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d 에는 연결 부재를 형성하는 때의 가압용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e 에는 가압용 구조물 안에 형성된 이후의 연결 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도 2f 에는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연결 구조물들의 암컷 부분들을 구비한 연결 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에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를 가구의 측부 부재와 가구의 저부 부재에 연결함으로써 가구를 장착하는 제1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b 에는 연결 부재의 암컷 부분 안에 삽입된 수컷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3c 에는 연결 부재의 암컷 부분 안에 잠겨진(locked) 수컷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는 소비자가 장착할 수 있는 가구(1)가 도시되어 있다. "소비자가 장착할 수 있는 가구"는 소비자가 상점에서 가구의 부분들로 이루어진 키트를 구매한 다음에 소비자가 그 키트의 부분들을 자신의 집에서 서로 장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가구를 의미한다. 소비자는 평균적인 개인의 기술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상정되며, 공구가 사용된다면 대부분의 개인 가정에 갖추어져 있는 보통의 공구만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점에서 해당 키트가 판매될 때에 함께 제공되는 공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정된다. 그러한 보통의 공구의 예들에는, 스크류 드라이버와 육각 키이(hex key)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구(1)는 책장이며, 상기 책장은 다리부(4)들 상에 장착되는 캐비넷 부분(cabinet part; 2)을 포함하며, 상기 캐비넷 부분(2)은 책들, 장식물들, 직물류 등과 같은 다양한 물건(9)을 보관하도록 구성된 제1 선반(6) 및 제2 선반(8)을 지지한다.
캐비넷 부분(2)은 수평의 저부 부분(10), 수평의 상부 부분(12), 및 제1 측벽(14)과 제2 측벽(16)을 포함한다. 제1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는 수평의 저부 부분(10)을 제1 측벽(14)에 연결시키고, 제2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20)는 제1 측벽(14)을 수평의 상부 부분(12)에 연결시키며, 제3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22)는 수평의 상부 부분(12)을 제2 측벽(16)에 연결시키고, 제4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24)는 제2 측벽(16)을 수평의 저부 부분(10)에 연결시킨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소비자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들(18, 20, 22, 24), 저부 부분(10), 상부 부분(12), 제1 측벽(14), 제2 측벽(16), 선반들(6, 8), 및 다리부(4)들을 별도의 부분들로서 포함하는 키트를 구매한 다음에, 이들을 서로에 대해 장착함으로써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가구(1)를 형성한다. 다리부(4)들 및 선반들(6, 8)은 공지된 방식과 같이 장착될 수 있는 한편, 캐비넷 부분(2)과 여기에 포함된 특정 부재들을 장착하는 방법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a 에는 도 1 에 도시된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들(18, 20, 22, 24) 각각에 사용되는 유형의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부재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 부재들에는 전체적으로 바나나의 형상을 갖는 제1 만곡 단부 섹션 부재(26), 이것의 반대측에 있고 전체적으로 바나나의 형상을 갖는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28)가 포함된다. 또한 로드 형상의(rod-shaped) 제1 연결 부재(30)는 제1 만곡 단부 섹션 부재(26)로부터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28)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로드 형상의 제2 연결 부재(32)는 제1 연결 부재(30)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만곡 단부 섹션 부재(26)로부터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28)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부 섹션 부재들(26, 28) 및 연결 부재들(30, 32) 각각은 목재 기반의 재료, 예를 들어 순수 목재, 또는 예를 들어 칩보드 재료, 입자 보드 재료, MDF 보드 재료, HDF 보드 재료와 같은 목재 기반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선택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바나나 형상의 지지 부재(34)들이 제1 만곡 단부 섹션 부재(26) 및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28)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단부 부재들(26, 28) 사이에 배치되어서, 제1 연결 부재(30) 및 제2 연결 부재(32)를 제1 만곡 단부 섹션 부재(26)와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28) 사이의 적어도 일 위치에서 연결시켜서 상기 프레임의 보강부를 형성한다.
도 2b 에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를 형성하도록 의도된 조립된 프레임(36)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바나나 형상의 제1 만곡 단부 섹션 부재(26)의 제1 원위 단부(first distal end; 38)는 로드 형상의 제1 연결 부재(30)의 제1 원위 단부(40)에 연결된다. 바나나 형상의 제1 만곡 단부 섹션 부재(26)의 제2 원위 단부(42)(제2 원위 단부(42)는 제1 원위 단부(38)의 반대측에 있음)는 로드 형상의 제2 연결 부재(32)의 제1 원위 단부(44)에 연결된다. 또한, 바나나 형상의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28)의 제1 원위 단부(46)는, 로드 형상의 제1 연결 부재(30)의 제1 원위 단부(40)의 반대측에 있는 제2 원위 단부(48)에 연결된다. 바나나 형상의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28)의 제2 원위 단부(50)(제2 원위 단부(50)는 제1 원위 단부(46)의 반대측에 있음)는 로드 형상의 제2 연결 부재(32)의 제1 원위 단부(44)의 반대측에 있는 제2 원위 단부(52)에 연결된다. 바나나 형상의 단부 섹션 부재들(26, 28) 및 로드 형상의 연결 부재들(30, 32) 간의 연결들 각각은, 예를 들어 접착, 및/또는 나사 체결, 및/또는 다른 부착 수단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b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로드 형상의 제1 및 제2 연결 부재들(30, 32)은 바나나 형상의 단부 섹션 부재들(26, 28) 사이에 수용된다. 다른 구성, 예를 들어 바나나 형상의 단부 섹션 부재들(26, 28)이 로드 형상의 제1 및 제2 연결 부재들(30, 32) 사이에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선택적으로는, 상기 바나나 형상의 지지 부재(34)가 로드 형상의 연결 부재들(30, 32)에 연결되어 프레임(36)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력이 얻어질 수 있다.
이로써 만들어진 프레임(36)은 전체적으로 요람 받침대(cradle undercarriage)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도 2c 에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가압용 구조물(54)이 도시되어 있다. 가압용 구조물(54)은 스탬프(stamp; 56) 및 다이(die; 58)를 포함한다. 스탬프(56)는 볼록 외측면(54)을 구비하고, 다이(58)는 매칭되는 오목한 요부(62)를 구비한다.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를 형성하는 때에, 프레임(36), 외측 표면 층(64), 및 내측 표면 층(66)은 가압용 구조물(54) 안으로 도입된다. 외측 표면 층(64)과 내측 표면 층(66) 각각은 목재, 또는 칩보드 재료, 입자 보드 재료, MDF 보드 재료, HDF 보드 재료와 같은 목재 기반의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표면 층(64)은 다이(58)의 오목한 요부(62)의 상부에 배치된다. 외측 표면 층(64)의 외측면(68)은 오목한 요부(62)를 대면한다. 외측면(68)에 대해 반대측에 있는 외측 표면 층(64)의 내측면(70)에는 접착제 층(72)이 제공될 수 있다. 접착제 층(72)은 예를 들어 열 고화 접착제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적합한 접착제일 수 있다.
프레임(36)은 외측 표면 층(64)의 상부에 위치하고, 프레임(36)의 볼록 부분(74)은 외측 표면 층(64)의 내측면(70)을 대면한다.
내측 표면 층(66)은 프레임(36)의 상부에 위치한다. 내측 표면 층(66)의 외측면(76)은 스탬프(56)의 볼록한 외측면(60)을 대면한다. 외측면(76)의 반대측에 있는 내측 표면 층(66)의 내측면(78)에는 접착제 층(80)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면(78)은 프레임(36)의 오목 부분(82)을 대면한다. 접착제 층(80)은 열 고착 접착제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적합한 접착제일 수 있다.
따라서, 요람 받침대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36)은 외측 표면 층(64)과 내측 표면 층(66) 사이에 개재된다. 선택적으로는, 프레임(36)의 볼록 부분(74) 및/또는 오목 부분(82)에 각각의 접착제 층(84) 및 접착제 층(86)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접착제 층들(84, 86)은 외측 표면 층(64) 및 내측 표면 층(66)의 접착제 층(72, 80)과 조합하여 또는 그 대신에 제공될 수 있다.
가압용 구조물(54)에는 가열 블록(88)으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가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가열 시스템에 의해서 가압 공정 동안에 예를 들어 50-200℃의 온도까지의 가열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d 에는 스탬프(56)로 내측 표면 층(66), 프레임(36), 및 외측 표면 층(64)을 오목한 요부(62) 안으로 하향 가압함으로써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를 형성하는 때의 가압용 구조물(54)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로써 외측 표면 층(64) 및 내측 표면 층(66)이 프레임(36) 주위로 굽혀진다. 스탬프(56)는 접착제가 고화될 때까지 도 2d 의 위치를 유지한 다음에 후퇴하는바, 이로써 외측 표면 층(64) 및 내측 표면 층(66) 사이에서 외측 표면 층(64) 및 내측 표면 층(66)에 연결된 프레임(36)이 가압용 구조물(54)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도 2e 에는 프레임(36)이 가압용 구조물(54)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외측 표면 층(64)과 내측 표면 층(66)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표면 층(64) 및 내측 표면 층(66)은 프레임(36)에 비하여 더 큰 치수를 갖기 때문에 프레임(36)을 넘어서 연장된다. 절단 단계어서, 외측 표면 층(64), 내측 표면 층(66), 및 프레임(36)이 기계가공되어 미려하게 형성된 연결 표면들이 얻어지는바, 이에 대해서는 도 2f 를 참조로 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2f 에는 제작된 제1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가 도시되어 있다. 제1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의 굽은 모서리 중앙 섹션(89)의 대향된 단부들에서, 프레임(36)의 로드 형상의 제1 연결 부재(30)에는 기계가공된 제1 연결 표면(90)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36)의 로드 형상의 제2 연결 부재(32)에는 기계가공된 제2 연결 표면(9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연결 표면(90) 및 제2 연결 표면(92)은 작은 공차로 기계가공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에 대해 90°인 각도(α1)를 이룬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정확히 90°가 아닌 굽은 모서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면, 상기 각도(α1)가 예를 들어 25-140°와 같은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작된 제1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가 50 내지 150 mm의 내측 반경(Ri)과 15-50 mm의 총 두께(Ttot)를 갖는다. 이와 같은 치수들은 높은 강도 및 적은 무게의 조합을 제공한다.
상기 만들어진 제1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는 중공의 내부 공간(IS)을 구비하는데, 상기 내부 공간은 프레임(36), 외측 표면 층(64), 및 내측 표면 층(66)에 의하여 형성된다. 내부 공간(IS)은 프레임(36)과 조합되어 적은 무게를 갖는 제1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를 제공하면서도, 여전히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유지한다.
로드 형상의 제1 연결 부재(30)의 기계가공된 제1 연결 표면(90)에는 제1 연결 구조물(93)이 제공되며, 상기 제1 연결 구조물(93)은 제1 및 제2 암컷 부분들(94, 96)의 형태를 갖는 제1 및 제2 연결 도구들을 포함하고, 이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형상의 제1 연결 부재(30)를 따라서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암컷 부분들(94, 96)은 밀링(milling)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연결 구조물(93)은 굽은 모서리 중앙 섹션(89)의 제1 단부(95)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암컷 부분들(94, 96)은 전체적으로 키이 홀의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암컷 부분들(94, 96)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대응되는 수컷 부분들에 대한 스냅-인-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컷 부분들(94, 96)은 US 2014/0205373의 도 14a 내지 도 14h 에 개시된 유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유사하게, 로드 형상의 제2 연결 부재(32)의 기계가공된 제2 연결 표면(92)에는 제2 연결 구조물(97)이 제공되며, 상기 제2 연결 구조물(97)은 제1 및 제2 암컷 부분들(98, 100)의 형태를 갖는 제1 및 제2 연결 도구들을 포함하고, 이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형상의 연결 부재(32)를 따라서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제2 연결 구조물(97)은 제1 단부(95)의 반대측에 있는 굽은 모서리 중앙 섹션(89)의 제2 단부(99)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암컷 부분들(98, 100)은 암컷 부분들(94, 96)과 유사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의 표면들(64, 66)은 페인트로 칠해지거나, 또는 엠보싱 처리되거나, 또는 여기에 베니어판(veneers)이나 포일(foil)이 제공됨으로써, 제1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의 요망되는 시각적 외관이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제3, 및 제4 연결 부재들(20, 22, 24) 모두가 연결 부재(18)와 유사한 설계 형태를 갖는다.
도 3a 에는 도 1 에 도시된 가구(1)를 장착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 에는, 제1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가 어떻게 제1 측벽(14)에 연결되는지가 도시되어 있으며, 다른 연결 부재들(20, 22, 24), 제2 측벽(16), 저부 부분(10), 및 상부 부분(12)이 유사한 원리에 따라서 조립되어 가구(1)가 형성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가구의 이와 같은 조립 원리에 따르면, 제1 측벽(14)은 기계가공된 연결 표면(102)을 구비한다. 제1 측벽(14)의 기계가공된 연결 표면(102)에는 제1 및 제2 수컷 부분들(104, 106)이 제공되며, 이들은 암컷 부분들(94, 96)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컷 부분들(104, 106)은 키이 홀 형태의 암컷 부분와의 협력을 위하여 구성된, 전체적으로 볼 때 키이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컷 부분들(104, 106)은 대응되는 암컷 부분들(94, 96)에 대한 스냅-인-연결을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수컷 부분들(104, 106)은 US 2014/0205373 의 도 14a 내지 도 14h 에 개시된 유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a 의 확대 부분에는, 수컷 부분(106)이 어떻게 제1 측벽(14)의 기계가공된 연결 표면(102) 안에 배치되는지와, 암컷 부분(96)이 어떻게 연결 부재(18)의 제1 연결 표면(90)에 배치되는지가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암컷 부분(96)은 상대적으로 더 큰 단부(108)가 구비되는데, 여기에는 제1 측벽(14)을 연결 부재(18)에 연결시키는 제1 단계에서 수컷 부분(106)이 삽입된다. 암컷 부분(96)의 상대적으로 작은 단부(110)에는 융기부(112)들이 제공되는바, 이들은 제1 측벽(14)을 연결 부재(18)에 연결하는 제2 단계에서 수컷 부분(106)의 홈(114)들과 협력하되, 바람직하게는 스냅-인-연결 방식으로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3b 에는 제1 측벽(14)의 수컷 부분(106)이 어떻게 암컷 부분(96)의 큰 단부(108) 안으로 삽입되고, 후속하여 화살표(A)의 방향으로 암컷 부분(96)의 작은 단부(110)를 향하여 움직여서 암컷 부분(96)의 작은 단부(110)의 융기부(112)들이 수컷 부분(106)의 홈(114)들과 - 바람직하게는 스냅-인-연결 방식으로 - 협력하여 잠겨지는가의 모습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c 에는 수컷 부분(106)이 어떻게 암컷 부분(96)의 작은 단부(110) 내측에서 잠금 위치에 있게 되고, 이로써 제1 측벽(14)이 제1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에 잠겨지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저부 부분(10), 상부 부분(12), 제1 측벽(14), 및 제2 측벽(16)이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들(18, 20, 22, 24)에 연결됨으로써 도 1 에 도시된 최종 캐비넷(2)이 얻어진다.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전술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형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위에서는 예를 들어 도 2f 를 참조로 하여 제1 및 제2 연결 구조물(93, 97)이 서로 90°인 각도(α1)로 배치된다는 점이 설명되었다. 이것은 서로 90°로 배치되어야 하는 제1 가구 부재(14)와 제2 가구 부재(1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에 적합한 각도이다. 만일 예를 들어 제1 가구 부재와 제2 가구 부재가 서로 135°의 각도로 되어야 한다면, 제1 연결 구조물(93)과 제2 연결 구조물(97)은 서로 45°인 각도(α1)로 배치될 것이다. 따라서, 제1 연결 구조물(93)과 제2 연결 구조물(97)은 서로 25° 내지 140° 사이의 각도(α1)로 배치될 수 있다. 많은 가구의 적용예들에서, 제1 가구 부재(14)와 제2 가구 부재(10)는 서로 직각 또는 둔각의 관계로 배치된다. 따라서, 각도(α1)는 25° 내지 90°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는 제1 연결 구조물(93)과 제2 연결 구조물(97) 각각이 두 개의 연결 도구(94, 96; 98, 1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제1 연결 구조물과 제2 연결 구조물이 필요한 안정성에 따라서 다른 갯수의 연결 도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제1 연결 구조물과 제2 연결 구조물 각각은 1 내지 6개의 연결 도구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연결 도구를 포함한다.
위에서는 도 2f 를 참조로 하여 제1 연결 구조물(93)의 제1 연결 도구(94)와 제2 연결 도구(96)가 완전히 상기 로드 형상의 제1 연결 부재(30) 안에 형성되고, 제2 연결 구조물(97)의 제1 연결 도구(98)와 제2 연결 도구(100)가 완전히 상기 로드 형상의 제2 연결 부재(32) 안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연결 구조물(93, 97)에 포함된 연결 도구들(94, 96, 98, 10) 중 하나 이상이 각각의 로드 형상의 연결 부재(30, 32) 안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부분적으로는 다른 물건, 예를 들어 각각의 단부 섹션 부재(26, 28)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구조물(93, 97)에 포함되는 연결 도구들(94, 96, 98, 100)은 각각의 로드 형상의 연결 부재(30, 3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위에서는 소비자에 의해 장착가능한 가구가 책자인 것으로 설명되었다. 본 발명 예를 들어 옷장, 벽 선반, 서랍장, 텔레비젼 장식장, 캐비넷, 사이드보드, 테이블, 보관용 가구, 의자, 등을 포함하는 다른 가구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요약하면, 제1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는 제1 연결 구조물(93) 및 제2 연결 구조물(97)을 구비한 굽은 모서리 중앙 섹션(89)을 포함한다. 제1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는 제1 및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26, 28)를 구비한 목재 프레임(36)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연결 부재들(30, 32)은 제1 및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들(26, 28)을 연결한다. 제1 연결 부재(30)에는 제1 가구 부재에의 연결을 위한 제1 연결 구조물(93)이 제공되고, 제2 연결 부재(32)에는 제2 가구 부재에의 연결을 위한 제2 연결 구조물(97)이 제공된다. 상기 프레임(36)의 볼록 부분(74)에는 굽은 외측 표면층(64)이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36)의 오목 부분(82)에는 굽은 내측 표면 층(66)이 배치된다.

Claims (18)

  1. 굽은 모서리 중앙 섹션(central bent corner section; 89); 상기 굽은 모서리 중앙 섹션(89)의 제1 단부(95)에 배치되고, 제1 가구 부재(14)에 연결되는, 제1 연결 구조물(first connecting arrangement; 93); 및 상기 제1 단부(95)의 반대측에 있는 굽은 모서리 중앙 섹션(89)의 제2 단부(99)에 배치되고, 제2 가구 부재(10)에 연결되며, 제1 연결 구조물(93)에 대해 25° 내지 140° 사이의 각도(α1)로 배치되는, 제2 연결 구조물(second connecting arrangement; 97);을 포함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로서,
    상기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는 제1 만곡 단부 섹션 부재(first curved end section piece; 26) 및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28)를 구비한 목재 프레임(wooden frame; 3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30)는 제1 만곡 단부 섹션 부재(26)와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28)를 그들 각각의 제1 단부(38, 46)에서 연결하고, 제1 연결 부재(30)에 대해 평행한 제2 연결 부재(32)는 제1 만곡 단부 섹션 부재(26)와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28)를 그들 각각의 제2 단부(42, 50)에서 연결하며, 상기 제2 단부들(42, 50)은 상기 만곡 단부 섹션 부재들(26, 28)의 상기 제1 단부들(38, 46)의 반대측에 있고, 상기 제1 연결 부재(30)에는 제1 가구 부재(14)에의 연결을 위한 제1 연결 구조물(93)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공되며, 상기 제2 연결 부재(32)에는 제2 가구 부재(10)에의 연결을 위한 제2 연결 구조물(97)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36)의 볼록 부분(convex part; 74)에 굽은 외측 표면층(64)이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36)의 오목 부분(concave part; 82)에 굽은 내측 표면 층(66)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연결 구조물(93)은 제1 가구 부재(14)에 대한 스냅-인-연결(snap-in-connection)을 위해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제2 연결 구조물(97)이 제2 가구 부재(10)에 대한 스냅-인-연결을 위해 구성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
  3.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구조물(93)은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연결 부재(30) 안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도구(first connecting device; 94, 96)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구조물(97)은 적어도 일부분이 제2 연결 부재(32) 안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도구(98, 100)를 포함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의 제1 연결 도구들(94, 96, 98, 100)은 각각 제1 및 제2 가구 부재들(14, 10)에 대한 스냅-인-연결을 위하여 구성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
  5.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구조물(93)과 제2 연결 구조물(97)은 각각 제1 가구 부재(14)와 제2 가구 부재(10)에 대한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하여 구성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
  6.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의 제1 및 제2 연결 구조물들(93, 97) 각각은 암수 연결 구조물(female-and-male connecting arrangement; 94, 96, 98, 100, 104, 106)의 일 부분(94, 96, 98, 100)을 포함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의 적어도 제1 연결 구조물(93)은 적어도 하나의 암컷 부분(female part; 94, 96)을 포함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
  8.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의 적어도 제1 연결 구조물(93)은 키이 및 키이 홀 연결 구조물(key and key hole connecting arrangement; 94, 96, 104, 106)의 일 부분(94, 96)을 포함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
  9.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측 표면 층(66) 및 외측 표면 층(64)은 목재, 또는 칩보드 재료(chipboard material), 입자 보드 재료(particle board material), MDF 보드 재료(MDF board material), HDF 보드 재료(HDF board material)와 같은 목재 기반의 재료로 만들어지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
  10.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는 50 내지 150 mm 의 내측 반경(Ri)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가 15 내지 50 mm의 총 두께(Ttot)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가 중공의 내부 공간(IS)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들(26, 28)이 바나나 형상을 갖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
  11. 가구(1)의 조립에 있어서 제1 가구 부재(14)와 제2 가구 부재(10)에 대한 연결을 위하여 구성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제1 연결 부재(30)를 제1 만곡 단부 섹션 부재(26) 및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28) 각각의 제1 단부(38, 46)에서 연결시키고, 제2 연결 부재(32)를 제1 만곡 단부 섹션 부재(26) 및 제2 만곡 단부 섹션 부재(28) 각각의 제2 단부(42, 50)에서 연결시킴으로써 목재 프레임(36)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목재 프레임(36)의 볼록 부분(74) 상에 외측 표면 층(64)을 적용하는 단계;
    상기 목재 프레임(36)의 오목 부분(82) 상에 내측 표면 층(66)을 적용하는 단계;
    제1 가구 부재(14)에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구조물(9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연결 부재(30) 안에 배치하는 단계; 및
    제2 가구 부재(10)에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구조물(97)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연결 부재(32) 안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의 형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표면 층(64) 및 내측 표면 층(66)은 상기 목재 프레임(36)에 접착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의 형성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프레임(36)의 볼록 부분(74) 상에 외측 표면 층(64)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목재 프레임(36)의 오목 부분(82) 상에 내측 표면 층(66)을 적용하는 단계에는, 외측 표면 층(64)과 내측 표면 층(66) 사이에 목재 프레임(36)을 개재시키는 단계와, 이로써 얻어진 개재된 구조물을 다이(die; 62)와 스탬프(stamp; 56)를 포함하는 가압용 구조물(54)에서 가압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의 형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된 구조물을 가압하는 단계는 상기 개재된 구조물을 50 내지 20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의 형성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된 구조물을 가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목재 프레임(36) 및/또는 외측 표면 층(64) 및/또는 내측 표면 층(66) 상에 접착층(72, 80, 84, 86)이 적용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의 형성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프레임(36)이 과잉의 치수를 가진 외측 표면 층(64)과 내측 표면 층(66) 사이에 개재된 이후에, 상기 외측 표면 층(64)과 내측 표면 층(66)이 목재 프레임(36)에 맞도록 기계가공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의 형성 방법.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구 부재(14)에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구조물(9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연결 부재(30) 안에 배치하는 단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연결 부재(30) 안에 적어도 하나의 암컷 부분(94, 96)을 밀링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의 형성 방법.
  18. 소비자에 의해 장착될 수 있는 가구로서,
    상기 가구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 및/또는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18);
    상기 연결 부재(18)의 제1 연결 구조물(93)에 연결가능한 제1 가구 부재(14); 및
    상기 연결 부재(18)의 제2 연결 구조물(97)에 연결가능한 제2 가구 부재(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KR1020177013217A 2014-11-11 2015-11-11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 및 상기 부재의 제작방법 KR102439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451350A SE540563C2 (en) 2014-11-11 2014-11-11 Bent corner furniture connecting piece and a method of making such piece
SE1451350-1 2014-11-11
PCT/SE2015/051198 WO2016076783A1 (en) 2014-11-11 2015-11-11 Bent corner furniture connecting piece and a method of making such pie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342A true KR20170088342A (ko) 2017-08-01
KR102439655B1 KR102439655B1 (ko) 2022-09-02

Family

ID=5595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217A KR102439655B1 (ko) 2014-11-11 2015-11-11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 및 상기 부재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65822B2 (ko)
EP (1) EP3217839B1 (ko)
KR (1) KR102439655B1 (ko)
CN (1) CN106998906B (ko)
PL (1) PL3217839T3 (ko)
SE (1) SE540563C2 (ko)
WO (1) WO20160767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2567B1 (nl) * 2014-10-31 2016-06-07 Unilin Bvba Meubel
SE538638C2 (en) * 2015-02-20 2016-10-04 Ikea Supply Ag Furniture parts comprising a male part and a female part of a joint
WO2019117777A1 (en) * 2017-12-11 2019-06-20 Ikea Supply Ag Furniture and assembly method
SE542344C2 (en) * 2018-08-02 2020-04-14 Ikea Supply Ag A connection arrangment and a method of providing a furniture part with recesses
US11530716B2 (en) 2018-08-24 2022-12-20 Mcs Industries, Inc. Wall hanging system
US11378116B2 (en) * 2018-08-24 2022-07-05 Mcs Industries, Inc. Furniture assembly
NL2032485B1 (en) * 2022-07-14 2024-01-25 Galstaun Holding B V Snap-on furniture i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6512A (en) * 1918-12-17 1920-12-02 Walther Puritz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urniture panels and frames
US3688458A (en) * 1970-05-22 1972-09-05 Us Plywood Champ Papers Inc Structural joint
US3985083A (en) * 1971-11-05 1976-10-12 Ufficio Tecnico Ing. A. Mannucci Support structure
KR20020070235A (ko) * 2002-08-10 2002-09-05 유신메라민공업주식회사 곡면가구재 제조공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곡면가구재
US20040217678A1 (en) * 2003-05-02 2004-11-04 Uma Team Enterprise Co., Ltd. Cabinet assembly
US20130239509A1 (en) * 2012-03-13 2013-09-19 Jian Wang Invisible butt joint fasten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89788A1 (fr) * 1975-10-24 1976-05-28 Giaiotti Divisione Legno Giaio Element de raccordement universel pour parois horizontales ou verticales
US6557955B2 (en) * 2001-01-13 2003-05-06 Darren Saravis Snap together modular storage
US20060207957A1 (en) 2005-03-18 2006-09-21 Jack Chen User configurable stackable display
PL2802240T3 (pl) * 2012-01-13 2021-05-31 Inter Ikea Systems B.V. Złącze meblow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6512A (en) * 1918-12-17 1920-12-02 Walther Puritz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urniture panels and frames
US3688458A (en) * 1970-05-22 1972-09-05 Us Plywood Champ Papers Inc Structural joint
US3985083A (en) * 1971-11-05 1976-10-12 Ufficio Tecnico Ing. A. Mannucci Support structure
KR20020070235A (ko) * 2002-08-10 2002-09-05 유신메라민공업주식회사 곡면가구재 제조공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곡면가구재
US20040217678A1 (en) * 2003-05-02 2004-11-04 Uma Team Enterprise Co., Ltd. Cabinet assembly
US20130239509A1 (en) * 2012-03-13 2013-09-19 Jian Wang Invisible butt joint fas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217839T3 (pl) 2020-09-21
KR102439655B1 (ko) 2022-09-02
CN106998906A (zh) 2017-08-01
EP3217839B1 (en) 2020-04-08
CN106998906B (zh) 2019-09-24
EP3217839A4 (en) 2018-06-27
SE540563C2 (en) 2018-10-02
US10865822B2 (en) 2020-12-15
WO2016076783A1 (en) 2016-05-19
US20180283431A1 (en) 2018-10-04
EP3217839A1 (en) 2017-09-20
SE1451350A1 (en)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8342A (ko) 굽은 모서리 가구 연결 부재 및 상기 부재의 제작방법
EP3047160B1 (en) An assembled furniture product
US9179767B2 (en) Connector piece for connecting multiple legs
US20140251934A1 (en) Modular shelving assembly with universal design ratio
JP2021142416A (ja) スチール製側面体を持つ複合箱状家具
WO2011058348A1 (en) Reinforced cellular structure
CN106175133A (zh) 型材柜
KR101535243B1 (ko) Diy용 다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diy용 가구
EP3300630B1 (en) Method for joining panels, in particular for furniture or trolleys
CN203182363U (zh) 一种实木拼板的柜子
WO2011116487A2 (es) Proceso industrial para la obtención de piezas de madera reforzada para su aplicación en bienes muebles, mueblería y accesorios de estos
WO2009051565A1 (en) Coffin and assembly jig
NO315683B1 (no) Konstruksjonselement for möbler
JP3161706U (ja) 組立式家具
KR200430359Y1 (ko) 조립식가구
JP3233408U (ja) 組立家具およびフレームセット
KR200481983Y1 (ko) 조립식 가구
CN216059697U (zh) 一种可拼装储物柜
CN212318458U (zh) 实木家具的稳固组装榫卯结构
WO2007040644A2 (en) Orthogonal compression technology
KR20090068071A (ko) 한옥기법을 이용한 원목가구 제작방법
US8590975B2 (en) Furniture construction
CN112826232A (zh) 一种可拼装储物柜
JP2003225126A (ja) 組立式収納棚
KR20170000304U (ko) 다양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책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