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247A -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247A
KR20170088247A KR1020160008392A KR20160008392A KR20170088247A KR 20170088247 A KR20170088247 A KR 20170088247A KR 1020160008392 A KR1020160008392 A KR 1020160008392A KR 20160008392 A KR20160008392 A KR 20160008392A KR 20170088247 A KR20170088247 A KR 20170088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information
passengers
ride
notif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1170B1 (ko
Inventor
김종명
오준석
박병주
Original Assignee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8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1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탑승객들로 인한 버스 안의 혼잡도와 다양한 승차 정보를 버스 이용객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미 만원인 상태의 버스는 하차 승객이 없는 경우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곧바로 통과하여 교통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버스 이용객들에게는 혼잡도에 따라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를 미리 선택하여 탑승할 수 있도록 하여 버스의 운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바쁜 출·퇴근 시간대에 버스 정류장의 혼잡으로 인해 낭비될 수 있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은, 버스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에게 버스 승차 정보를 알리기 위한 버스 승차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문에 장착되어 버스에 탑승하고 하차하는 승객 수를 측정하는 승하차감지센서가 구비된 승객 측정부와; 버스 내에 탑승한 승객들에 대한 탑승인원정보를 포함하는 버스내부정보를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들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승하차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승차인원 및 하차인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정보처리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INFORMATION SYSTEM FOR BUS}
본 발명은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탑승객들로 인한 버스 안의 혼잡도와 다양한 승차 정보를 버스 이용객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미 만원인 상태의 버스는 하차 승객이 없는 경우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곧바로 통과하여 교통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버스 이용객들에게는 혼잡도에 따라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를 미리 선택하여 탑승할 수 있도록 하여 버스의 운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바쁜 출·퇴근 시간대에 버스 정류장의 혼잡으로 인해 낭비될 수 있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직장인들의 출·퇴근이나 학생들의 통학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대중교통수단으로 버스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은 해당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에서 대기하여 버스가 도착하면 승차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 교통정체나 배차 시간 등에 따라 특히 출·퇴근 시간대에는 버스가 도착하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고, 그로 인해 승객이 기다리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었다.
이에, 오래전부터 소위 '버스정보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이 제안되어, 버스의 운행정보를 승객에게 통지할 수 있게 하려는 노력이 있어 왔던 것이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44074호(2006. 05. 16 공개) 'GPS를 이용하여 버스 운행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버스에 장착된 GPS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버스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이용하여 버스 정보를 산출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승차하는 시간보다 훨씬 이전에 버스 정보를 조회하도록 함으로써 실제 버스 도착 시간과의 오차 범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종래의 기술을 비롯한 종래의 버스 정보 시스템의 예들을 살펴보면, 승객의 입장에서 현재 운행중인 버스의 특정 정류장 도착 시간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버스 도착 등의 운행 정보를 일방적으로 버스 이용자들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은, 실제 도로에서는 그 실용가치가 현저히 낮으며, 버스들이 좁은 정류장 공간에 한꺼번에 도착하는 경우에는 승객이 원하는 버스로 가기 위하여 우왕좌왕하게 되는 문제점 등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출퇴근 시간 때에 버스를 탑승하여야 하는 승객들은 시간적으로 급한 사람이나 여유있는 사람 모두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에 탑승객이 어느 정도인지를 미리 알지 못하기 때문에 일단 자신의 노선에 해당하는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하는 경우 우선 차도로 나와 버스의 출입문으로 접근하여 버스 내의 혼잡 여부를 육안으로 보고 판단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이 도심에서 바쁜 출퇴근 시간대에 많은 승객들이 버스 출입문 쪽으로 일시적으로 몰리게 되어 혼잡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은 상황에서 어린이나 노약자가 다치게 되는 등의 문제 또한 발생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버스 운전자도 이미 승객이 만원인 상태에서 버스 정류장에 하차하는 승객이 없더라도 버스 정류장을 그냥 지나치게 되는 경우 대기중인 승객들로부터 민원이 발생될 수 있는 이유로 일단 버스 정류장에 정차를 하여 승차 대기중인 승객들에게 혼잡 상태를 알리거나, 이미 버스 내부가 만원인 상태에서 불가피하게 승객들을 더 태워야 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이와 같이 눈치를 보며 버스 정류장에 정차해야 할지 말지를 항상 결정하여야 하는 고충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 내의 혼잡정도에 따라 구체적인 승차 정보는 물론, 혼잡 정보를 한적, 원활, 혼잡, 만원 등으로 간편하게 표시하여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들에게 버스내부정보를 알릴 수 있어 버스 이용객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교통 흐름의 원활을 도모할 수 있는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GPS를 이용한 버스의 도착 정보와 접목하여 활용된 경우 승객별로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도착시간과 버스내부정보를 쉽게 인식하여 개인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배차에 따른 버스의 승차인원이 분산되는 등 버스의 이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은, 버스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에게 버스 승차 정보를 알리기 위한 버스 승차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문에 장착되어 버스에 탑승하고 하차하는 승객 수를 측정하는 승하차감지센서가 구비된 승객 측정부와; 버스 내에 탑승한 승객들에 대한 탑승인원정보를 포함하는 버스내부정보를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들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승하차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승차인원 및 하차인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정보처리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은, 상기 승객 측정부는, 버스의 실내공간 내에서 일정 영역별로 승객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여 빈 공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공간비율정보를 생성시키는 다수의 공간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정보처리 생성부는, 상기 승하차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승차인원 및 하차인원 정보와 상기 다수의 공간감지센서에 의해 생성된 공간비율정보를 이용하여 연산하고, 연산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버스의 전방에 설치되는 안내판과,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는 전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상기 안내판과 상기 전광판에 각각 표시하도록 상기 정보처리 생성부와 상기 전광판을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은, 상기 버스내부정보는, 상기 탑승인원정보와, 잔여좌석정보와, 탑승가능정보 및 실내혼잡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이고, 상기 정보처리 생성부는, 상기 탑승인원정보와, 잔여좌석정보 및 탑승가능정보를 이용하여 연산하고, 연산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실내혼잡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안내판 및 상기 전광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은, 상기 안내판에 출력되는 정보를 초기화하거나 상기 버스내부정보의 출력 정보 메뉴를 설정할 수 있도록 버스의 운전석에 설치되는 컨트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은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들로 하여금 버스내부정보를 알릴 수 있어 버스 이용객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교통 흐름의 원활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은 승객 개인마다 혼잡도에 따른 탑승 여부를 미리 알고 탑승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버스 승하차를 위한 버스 정류장의 혼잡을 줄이는 것은 물론, 버스 승하차 시간을 단축시켜 버스의 배차 시간 및 운행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어 버스의 운행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의 혼잡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의 혼잡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은, 버스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에게 버스 승차 정보를 알리기 위한 버스 승차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승객 측정부(10), 디스플레이부(20), 정보처리 생성부(30), 무선 통신부(40) 및 컨트롤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객 측정부(10)는 버스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는 출입문에 장착되는 승하차감지센서(11)가 구비되어 버스에 승차 및 하차하는 탑승객의 수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승하차감지센서(11)는 버스의 출입문이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출입문 주변에 설치되어 버스에 승·하차하는 승객들의 수를 감지 및 측정하게 된다.
즉, 승하차감지센서(11)는 버스의 앞과 중앙으로 두 개의 출입문이 설치된 경우 앞문으로 승차하는 인원과 중앙의 뒷문으로 하차하는 인원 수에 따라 가감하여 현재 버스 내에서 운전자를 제외한 탑승객 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승하차감지센서(11)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광센서, 접촉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승객 측정부(10) 즉, 상기 승하차감지센서(11)를 통해 측정된 버스 내의 탑승 승객들에 대한 탑승인원정보를 포함하는 버스내부정보를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들에게 표시한다.
상기 정보처리 생성부(30)는 상기 승객 측정부(10)에서 측정된 데이터 즉, 탑승객에 대한 승차 정보를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승하차감지센서(11)에서 감지된 승차인원 및 하차인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정보처리 생성부(30)는 상기 생성된 버스내부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버스에 설치되는 안내판(21)과,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는 전광판(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판(21)은 상기 버스의 실내에서 전방 유리면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으로,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안내판(21)은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이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광판(22)은 상기 안내판(21)에서 제공되는 버스내부정보를 상기 버스 정류장 내에서 표시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후술되는 상기 무선통신부(40)를 통해 버스 정류장에 접근하는 버스에 탑재될 수 있는 상기 정보처리 생성부(3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버스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이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더욱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0) 즉, 상기 안내판(21) 및 전광판(22)에서 표시되는 버스내부정보는, 탑승인원정보와, 잔여좌석정보와, 탑승가능정보 및 실내혼잡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탑승인원정보는 상기 승객 측정부(10)를 통해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잔여좌석정보는 상기 정보처리 생성부(30)에서 수용 가능한 좌석의 수가 미리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승차인원 및 하차인원의 가감에 따른 잔여좌석을 연산하여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탑승가능정보 및 실내혼잡정보는 버스 내의 빈 공간에 입석 가능한 승객 수가 미리 설정된 상태에서 일정 수만큼 승객이 늘어난 경우, 그 수용 가능 승객수를 표시하거나, 문자와 램프의 색상을 통해 혼잡, 원활, 한적, 만원 등으로 표시하여 버스 대기 승객들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 내의 승차인원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선통신부(40)는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상기 안내판(21)과 상기 전광판(22)에서 연동하여 표시되거나, 필요한 정보만을 따로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정보처리 생성부(30)와 상기 전광판(22)을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무선통신부(40)는 지그비(ZigBee) 방식이나 와이파이(WI-FI)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무선통신 방식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을 것이며, 다양한 방식이 무선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후술되는 상기 무선통신부(40)를 통해 버스 정류장에 접근하는 버스에 탑재될 수 있는 상기 정보처리 생성부(3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버스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이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더욱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부(50)는 버스의 상기 안내판(21)에 출력되는 정보를 초기화하거나 상기 버스내부정보의 출력 정보 메뉴를 설정할 수 있도록 버스의 운전석에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부(50)는 버스 운전자에 의해 상기 안내판(21)에 표시되는 각종 메뉴를 설정하거나, 숫자 등의 표시 오류가 발생된 경우 이를 수작업으로 수정할 수 있도록 하고, 운행시간이 아닌 경우 빈 차로 이동할 때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상기 안내판(21)에 표시될 수 있는 정보를 운전자가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은 상기 승객 측정부(10)는, 버스의 실내공간 내에서 일정 영역별로 승객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여 빈 공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공간비율정보를 생성시키는 다수의 공간감지센서(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보처리 생성부(30)는, 상기 승하차감지센서(11)에서 측정된 상기 승차인원 및 하차인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버스내부정보와 상기 다수의 공간감지센서(13)에 의해 생성된 공간비율정보를 이용하여 연산하고, 연산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버스 내부에서의 승차 정보가 더욱 구체적이고 높은 정확도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도 2를 참조하면 다수의 공간감지센서(13)는 버스의 천장 등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된 다수의 공간감지센서(13)는 각각 정해진 일정 영역에서의 승객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정보처리 생성부(30)는 이와 같이 감지된 데이터를 토대로 버스 내의 빈 공간에 대한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상기 버스내부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은 상기 승객 측정부(10)는 상기 버스의 출입문에 설치될 수 있는 출입구감지센서(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입구감지센서(15)는 상기 승하차감지센서(11) 및 상기 다수의 공간감지센서(13) 만으로 버스 내의 혼잡 상태를 감지하는데에 한계가 있으므로, 버스에 승객이 거의 만원인 상태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버스 내에 탑승한 승객이 많은 경우 입석으로 탑승한 승객이 버스의 출입구 부분까지 채워진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정보처리 생성부(30)에서는 이와 같은 데이터 즉, 만원버스로 인식되는 정보를 상기 버스내부정보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출입구감지센서(15)는 출입문의 주변에 설치되어 정해진 영역에 접근하여 일정 시간동안 머물고 있는 승객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은 상기 출입구감지센서(15)로는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승객 측정부(10)의 구체적인 구성요소의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들로 하여금 버스내부정보를 매우 정확하게 알릴 수 있어 버스 이용객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교통 흐름의 원활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대기 승객 개인마다 혼잡도에 따른 탑승 여부를 미리 알고 탑승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버스 정류장의 혼잡을 줄이는 것은 물론, 바쁜 출퇴근 시간대에 승하차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어 버스의 운행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 또한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승객 측정부
11 승하차감지센서
13 공간감지센서
15 출입구감지센서
20 디스플레이부
21 안내판
22 전광판
30 정보처리 생성부
40 무선통신부
50 컨트롤부

Claims (5)

  1. 버스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에게 버스 승차 정보를 알리기 위한 버스 승차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문에 장착되어 버스에 탑승하고 하차하는 승객 수를 측정하는 승하차감지센서가 구비된 승객 측정부와;
    버스 내에 탑승한 승객들에 대한 탑승인원정보를 포함하는 버스내부정보를 버스 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들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승하차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승차인원 및 하차인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정보처리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측정부는, 버스의 실내공간 내에서 일정 영역별로 승객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여 빈 공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공간비율정보를 생성시키는 다수의 공간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정보처리 생성부는, 상기 승하차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승차인원 및 하차인원 정보와 상기 다수의 공간감지센서에 의해 생성된 공간비율정보를 이용하여 연산하고, 연산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버스에 설치되어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표시하는 안내판과,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어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표시하는 전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스내부정보를 상기 안내판과 상기 전광판에 각각 표시하도록 상기 정보처리 생성부와 상기 전광판을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내부정보는, 상기 탑승인원정보와, 잔여좌석정보와, 탑승가능정보 및 실내혼잡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이고,
    상기 정보처리 생성부는, 상기 탑승인원정보와, 잔여좌석정보 및 탑승가능정보를 이용하여 연산하고, 연산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실내혼잡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안내판 및 상기 전광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에 출력되는 정보를 초기화하거나 상기 버스내부정보의 출력 정보 메뉴를 설정할 수 있도록 버스의 운전석에 설치되는 컨트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
KR1020160008392A 2016-01-22 2016-01-22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 KR101781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392A KR101781170B1 (ko) 2016-01-22 2016-01-22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392A KR101781170B1 (ko) 2016-01-22 2016-01-22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247A true KR20170088247A (ko) 2017-08-01
KR101781170B1 KR101781170B1 (ko) 2017-09-22

Family

ID=5965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392A KR101781170B1 (ko) 2016-01-22 2016-01-22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17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8828A (zh) * 2017-08-23 2018-02-13 武汉大学 一种基于手机传感器的公交车拥挤程度估测方法
CN108877263A (zh) * 2018-07-11 2018-11-2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无人驾驶公交车的控制方法、装置和调度系统
CN110473397A (zh) * 2019-07-09 2019-11-19 北京交大微联科技有限公司 车站及其调度方法与装置
CN110992860A (zh) * 2019-12-02 2020-04-10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站客流动态引导系统和方法
KR20200091763A (ko) * 2019-01-23 2020-07-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석안내 시스템 및 좌석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
KR20210076787A (ko) * 2019-12-16 2021-06-24 재단법인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버스 혼잡도 및 승객 인원 수 알림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8828A (zh) * 2017-08-23 2018-02-13 武汉大学 一种基于手机传感器的公交车拥挤程度估测方法
CN107688828B (zh) * 2017-08-23 2020-11-03 武汉大学 一种基于手机传感器的公交车拥挤程度估测方法
CN108877263A (zh) * 2018-07-11 2018-11-2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无人驾驶公交车的控制方法、装置和调度系统
KR20200091763A (ko) * 2019-01-23 2020-07-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석안내 시스템 및 좌석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
CN110473397A (zh) * 2019-07-09 2019-11-19 北京交大微联科技有限公司 车站及其调度方法与装置
CN110473397B (zh) * 2019-07-09 2020-11-13 北京交大微联科技有限公司 车站及其调度方法与装置
CN110992860A (zh) * 2019-12-02 2020-04-10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站客流动态引导系统和方法
CN110992860B (zh) * 2019-12-02 2022-07-19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站客流动态引导系统和方法
KR20210076787A (ko) * 2019-12-16 2021-06-24 재단법인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버스 혼잡도 및 승객 인원 수 알림 시스템
WO2021125663A1 (ko) * 2019-12-16 2021-06-24 재단법인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버스 혼잡도 및 승객 인원 수 알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170B1 (ko) 2017-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170B1 (ko)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
US10388126B2 (en) Method for guiding passengers
CN108016958B (zh) 移动设备上的电梯轿厢到达指示
US10414627B2 (en) Elevator system comprising a destination control system
KR20160093205A (ko) 장애인을 위한 저상버스 탑승 알림장치
KR20140121500A (ko) 주차유도 시스템
JP2015113205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358513B1 (ko) 버스 혼잡도 및 승객 인원 수 알림 시스템
JP2019108206A (ja) エレベータ装置の表示装置
CN110553613A (zh) 乘客输送机停止距离测定装置
WO2020145312A1 (ja) 乗り物情報提供装置及び乗り物情報提供方法
KR101757750B1 (ko) 열차 혼잡도 정보의 통합 안내 방법
KR101701232B1 (ko) 버스 승객 수 카운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92775A (ko) 버스정보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정보 운용 방법
US11919742B2 (en) Mobile car operating panel
JP5994526B2 (ja) 運転支援装置
US7841452B2 (en) Conveyor passenger interface system
US8674849B2 (en)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KR101994171B1 (ko) 버스 도착 알림 시스템
JP2020086744A (ja) 停止位置制御装置、停止位置制御方法、及び停止位置制御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968017B1 (ko)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KR102282909B1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JP2020095460A (ja) 交通管理装置、交通管理システム、交通管理方法、及び交通管理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30020547A (ko) 차량도착안내방법, 차량도착안내장치, 및 기록매체
KR102216977B1 (ko) 택시 호출서비스를 활용한 택시 등 자동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