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315A -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315A
KR20170087315A KR1020160007142A KR20160007142A KR20170087315A KR 20170087315 A KR20170087315 A KR 20170087315A KR 1020160007142 A KR1020160007142 A KR 1020160007142A KR 20160007142 A KR20160007142 A KR 20160007142A KR 20170087315 A KR20170087315 A KR 20170087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porous
inorganic particles
bind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정민
김진우
윤수진
김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0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7315A/ko
Publication of KR20170087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686
    • H01M2/145
    • H01M2/1653
    • H01M2/16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리막은 열 또는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가교된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하므로 무기물 입가간 접착력이 우수하고 입자간 인터스티셜 볼륨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다공성 코팅층은 상기 가교 바인더에 의해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원 발명은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무기물 입자간 인터스티셜 볼륨에 의한 안정적인 기공 구조를 구비함과 아울러 기계적 및 열적 강도가 개선된 복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양극/음극/분리막/전해액을 기본으로 구성되어 화학에너지와 전기에너지가 가역적으로 변환되면서 충방전이 가능한 에너지 말도가 높은 에너지 저장체로, 휴대폰, 노트북 등의 소형 전자 장비에 폭넓게 사용된다. 최근에는 환경문제, 고유가, 에너지 효율 및 저장을 위한 대응으로 복합 전기 자동차(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s, HEV), 플러그 전기 자동차(Plug-in EV), 전기자전거(e-bike)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으로의 응용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의 제조 및 사용에 있어서 이의 안전성 확보은 중요한 해결과제이다. 특히 전기 화학 소자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리막(separator)은 그의 재료적 특성 및 제조 공정상의 특성으로 인하여 고온 등의 상황에서 극심한 열 수축 거동을 보임으로써 내부 단락 등의 안정성 문제를 갖고 있다. 최근 이차 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수지의 혼합물을 이차 전지 분리막용 다공성 기재에 코팅하여 다공성 코팅층을 형성한 유기-무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이 제안되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4-0070096 참조).
통상적으로 다공성 코팅층은 바인더 수지를 유기 용제와 혼합한 후 여기에 무기물 입자를 투입하여 다공성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조성물을 다공성 기재상에 도포 및 건조하여 제조되었다. 그러나 바인더 수지를 유기 용제와 혼합하여 다공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전해액에 의해 바인더 수지가 팽윤될 수 있고 이에 다라 무기물 입자의 탈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지의 과충전이나 단락 형성에 의해 전지 내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경우 바인더 수지가 용융되어 다공성 코팅층이 소실되어 분리막의 내열성이 담보되지 않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었다.
본원 발명은 다공성 코팅층에서 무기물 입자의 탈리로 인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고 기계적 및 열적 강도가 개선된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복합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재되는 수단 또는 방법, 및 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상기 복합 분리막은 다공성 고분자 기재; 및 바인더 수지 및 복수의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적어도 일측 표면상에 형성된 다공성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 수지는 열 및/또는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화학적 가교 반응이 진행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코팅층은 상기 무기물 입자들이 바인더 수지를 매개로 하여 서로 결착되고 집적되어 층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입자 사이의 인터스티셜 볼륨(interstitial volume)에 기인한 다공성 구조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상기 제1 또는 제2 측면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코팅층이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제3 측면에 있어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은 무기물 입자 100중량부 대비 0.1 내지 5중량부의 범위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제1 내지 제4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가 하기 a) 내지 e) 중 어느 하나인 것이다:
a) 고분자 수지를 용융/압출하여 성막한 다공성 필름,
b) 상기 a)의 다공성 필름이 2층 이상 적층된 다층막,
c) 고분자 수지를 용융/방사하여 얻은 필라멘트를 집적하여 제조된 부직포 웹,
d) 상기 b)의 부직포 웹이 2층 이상 적층된 다층막,
e) 상기 a) 내지 d)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복합 다공성 기재.
본 발명의 제6 측면은, 제1 내지 제5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가 전기화학소자의 작동 전압 범위인 0~5V(Li/Li+)에서 산화 및/또는 환원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7 측면은, 제6 측면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이온 전달 능력이 있는 무기물 입자 및/또는 유전율 상수가 5 이상인 고유전율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8 측면은, 제1 내지 제7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의 함량이 상기 다공성 코팅층 100중량부 대비 50 내지 99.9중량부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9 측면은, 제1 내지 제8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위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0 측면은, 제9 측면에 있어서, 상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는 단위체가 알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체 및/또는 다관능성(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1 측면은, 제10 측면에 있어서,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위체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2는 수소이거나 메틸기이고, R3는 탄소수 2 내지 14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제12 측면은, 제10 측면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가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3 측면은, 제10 측면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는 2관능형 내지 6관능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4 측면은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의 다공성 코팅층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이며, 상기 조성물은 무기물 입자, 바인더 수지 및 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열 및/또는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5 측면은, 제14 측면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및/또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6 측면은, 제15 측면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7 측면은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S1)고분자 다공성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S2) 무기물 입자, 바인더 수지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다공성 코팅층 제조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S3) 상기 고분자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측 표면에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S4) (S3)에서 도포된 조성물을 가열하거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바인더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8 측면은, 제17 측면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9 측면은, 제18 측면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가 50mW/cm2 내지 1000mW/cm2이고 광량이 50mJ/cm2 내지 1000mJ/cm2의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0 측면은, 제17 측면에 있어서, 상기 (S2)의 조성물이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발명에 따른 복합 분리막은 열 또는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가교된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하므로 무기물 입가간 접착력이 우수하고 입자간 인터스티셜 볼륨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다공성 코팅층은 상기 가교 바인더에 의해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으로, 발명의 범위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수록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축척 또는 비율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리막을 제조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하는 전기화학 소자용 복합 분리막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바인더 수지로서 열 가교성 및/또는 활성 에너지에 의한 가교성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교성 바인더 수지는 전해액에 의해 팽윤되는 정도가 일반 바인더 수지에 비해 낮아 다공성 코팅층에서 무기물 입자의 탈리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교성 고분자 수지가 포함된 다공성 코팅층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내열 효과가 우수하여 복합 분리막의 내구성이 개선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합 분리막은 음극과 양극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차단하면서 이온을 통과시키는 이온 전도성 배리어(porous ion-conducting barrier)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1. 다공성 기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합 분리막은 고분자 소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고분자 기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는 음극 및 양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단락을 방지하면서 리튬 이온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유기 용매에 대한 내성이 높고 기공의 직경이 미세한 다공질막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로는 통상적으로 전기화학소자의 분리막 소재로 사용 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염화비닐) 및 이들의 혼합물 혹은 공중합체 등의 수지를 포함하거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올레핀,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폴리아라미드, 폴리시클로올레핀, 나일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다공성 코팅층용 슬러리의 도포성이 우수하고, 2 차 전지용 분리막의 두께를 얇게 하여 전지 내의 전극 활물질층의 비율을 높여 체적당 용량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는 고분자 수지를 용융하여 성막한 시트 형태의 다공성 필름이나 고분자 수지를 용융방사하여 얻은 필라멘트를 집적시킨 부직포 형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분자 수지를 용융/성형 하여 시트 형태로 제조된 다공성 기재인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는 하기 a) 내지 e) 중 어느 하나인 것이다.
a) 고분자 수지를 용융/압출하여 성막한 다공성 필름
b) 상기 a)의 다공성 필름이 2층 이상 적층된 다층막,
c) 고분자 수지를 용융/방사하여 얻은 필라멘트를 집적하여 제조된 부직포 웹,
d) 상기 b)의 부직포 웹이 2층 이상 적층된 다층막,
e) 상기 a) 내지 d)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다공성 복합막.
본원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두께는 0.5 내지 50 ㎛일 수 있다. 다공성 기재의 범위가 특별히 전술한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전지 내의 다공성 기재에 의한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만일 두께가 전술한 하한보다 지나치게 얇은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전지 사용 중 분리막이 쉽게 손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다공성 기재는 강도나 경도, 열수축률을 제어하는 목적에서 비도전성 입자나 섬유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는 표면 상에 내열층을 적층시킬 때에, 밀착성을 향상시키거나, 전해액과의 표면 장력을 낮춰 액의 함침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에서, 미리 저분자 화합물이나 고분자 화합물로 표면을 피복 처리하거나 자외선 등의 전자선 처리, 코로나 방전·플라즈마 가스 등의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특히, 전해액의 함침성이 높고 내열층과의 밀착성을 얻기 쉬운 점에서, 카르복실산기, 수산기 및 술폰산기 등의 극성기를 함유하는 고분자 화합물로 피복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다공성 기재에 존재하는 기공 크기 및 기공도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각각 0.01 내지 50 ㎛ 및 10 내지 95%일 수 있다.
2. 다공성 코팅층
(1)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리막은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코팅층은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코팅층은 복수의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표면이 무기물 입자로 피복됨으로써 분리막의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다공성 코팅층은 무기물 입자간 인터스티셜 볼륨(interstitial volume)에 의한 미세 다공성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다공성 코팅층의 물리적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일종의 스페이서(spacer) 역할을 겸하게 된다. 상기 인터스티셜 볼륨은 인접한 무기물 입자들이 실질적으로 면접하여 한정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무기물 입자는 일반적으로 200℃ 이상의 고온이 되어도 물리적 특성이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형성된 세라믹 다공성 코팅층에 의해 복합 분리막은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코팅층은 두께가 1㎛ 내지 50㎛, 또는 2㎛ 내지 30㎛인 또는 2㎛ 내지 20㎛이다.
상기 다공성 코팅층에서, 상기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수지의 함량비는 최종 제조되는 본 발명의 다공성 코팅층의 두께, 기공 크기 및 기공도를 고려하여 결정하되, 중량비를 기준으로 무기물 입자가 50 내지 99.9 중량% 또는 70 내지 99.5 중량%, 고분자 수지가 0.1 내지 50중량% 또는 0.5 내지 30중량% 인 것이다. 상기 무기물 입자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일 경우 고분자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게 되어 무기물 입자들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의 감소로 인한 기공 크기 및 기공도가 감소되어 최종 전지 성능 저하가 야기될 수 있다. 반면, 99.9 중량%를 초과할 경우 고분자 함량이 너무 적기 때문에 무기물 사이의 접착력 약화로 인해 최종 다공성 코팅층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한편, 다공성 코팅층의 기공 크기 및 기공도는 주로 무기물 입자의 크기에 의존하는데, 예컨대 입경이 1㎛ 이하인 무기물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형성되는 기공 역시 1㎛ 이하가 된다. 이와 같은 기공 구조는 추후 주액되는 전해액으로 채워지게 되고, 이와 같이 채워진 전해액은 이온 전달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공의 크기 및 기공도는 다공성 무기 코팅층의 이온 전도도 조절에 중요한 영향 인자이다. 본원 발명의 다공성 무기 코팅층의 기공 크기 및 기공도(porosity)는 각각 0.001 내지 10㎛이고, 5 내지 95%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2) 무기물 입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코팅층의 무기물 입자 크기는 제한이 없으나, 균일한 두께의 코팅층 형성 및 적절한 공극률을 위하여, 가능한 한 0.001 내지 1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무기물 입자 크기가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분산성이 유지되어 분리막의 물성을 조절하기가 용이하고, 다공성 코팅층의 두께가 증가하는 현상을 피할 수 있어 기계적 물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또한 지나치게 큰 기공 크기로 인해 전지 충·방전시 내부 단락이 일어날 확률이 적다.
상기 무기물 입자는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기만 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무기물 입자는 적용되는 전기화학소자의 작동 전압 범위(예컨대, Li/Li+ 기준으로 0~5V)에서 산화 및/또는 환원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이온 전달 능력이 있는 무기물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전기화학소자 내의 이온 전도도를 높여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무기물 입자로서 유전율이 높은 무기물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액체 전해질 내 전해질 염, 예컨대 리튬염의 해리도 증가에 기여하여 전해액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이유들로 인해, 상기 무기물 입자는 유전율 상수가 5 이상, 또는 10 이상인 고유전율 무기물 입자,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율 상수가 5 이상인 무기물 입자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BaTiO3, Pb(Zr,Ti)O3 (PZT), Pb1-xLaxZr1-yTiyO3 (PLZT, 여기서, 0 < x < 1, 0 < y < 1임), Pb(Mg1/3Nb2/3)O3-PbTiO3 (PMN-PT), 하프니아(HfO2), SrTiO3, SnO2, CeO2, MgO, NiO, CaO, ZnO, ZrO2, Y2O3, Al2O3, SiC, TiO2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고유전율 무기물 입자와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들을 혼용할 경우 이들의 상승 효과는 배가될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리튬포스페이트(Li3PO4), 리튬티타늄포스페이트(LixTiy(PO4)3, 0 < x < 2, 0 < y < 3), 리튬알루미늄티타늄포스페이트(LixAlyTiz(PO4)3, 0 < x < 2, 0 < y < 1, 0 < z < 3), 14Li2O-9Al2O3-38TiO2-39P2O5 등과 같은 (LiAlTiP)xOy 계열 glass (0 < x < 4, 0 < y < 13), 리튬란탄티타네이트(LixLayTiO3, 0 < x < 2, 0 < y < 3), Li3.25Ge0.25P0.75S4등과 같은 리튬게르마니움티오포스페이트(LixGeyPzSw, 0 < x < 4, 0 < y < 1, 0 < z < 1, 0 < w < 5), Li3N 등과 같은 리튬나이트라이드(LixNy, 0 < x < 4, 0 < y < 2), Li3PO4-Li2S-SiS2 등과 같은 SiS2 계열 glass(LixSiySz, 0 < x < 3, 0 < y < 2, 0 < z < 4), LiI-Li2S-P2S5등과 같은 P2S5 계열 glass(LixPySz, 0 < x < 3, 0 < y < 3, 0 < z < 7)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3) 바인더 수지
다공성 코팅층에 포함되는 바인더 수지는 무기물 입자간 점착을 안정하게 고정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다공성 코팅층의 기계적 물성 저하 방지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성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 및/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경화성 수지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모노머의 가교 및 경화를 위해 열을 가하거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照射)하여 얻은 고분자 수지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은 자외선 또는 전자선을 의미한다.
상기 열경화성 또는 에너지선 경화성 바인더 수지는 고분자 중합체들의 가교도가 높아 전해액에 용해되는 정도가 낮아서 이에 의해 다공성 코팅층 내에서 무기물 입자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탈리를 방지한다. 이에 따라 다공성 코팅층의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복합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분리막은 다공성 코팅층의 바인더로서 이러한 경화성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바인더 수지가 가지고 있는 열적 및 기계적 불안정성을 극복하고 고온 및 특정 압력 하에서 안정한 다공성 코팅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수지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 중합체는 저장 탄성률이 10 내지 1000MPa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 탄성률이 10 MPa 미만인 경우에는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낮다. 반면에 저장 탄성률이 상기 범위를 지나치게 초과하는 경우에는 바인더 수지의 유연 특성이 저하된다. 상기 (메타)아크릴 중합체는 모노머로서 알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다관능성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알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2는 수소이거나 메틸기이고, R3는 탄소수 2 내지 14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인 것이다. 알킬의 탄소수가 상기 범위 이외이면 가열 또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 후 유리전이 온도가 높아지거나 바인더 특성의 조절이 어렵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너머로는, 예를 들면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다관능성(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는 2관능형 내지 6관능형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사이클로펜테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올 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스톨 트리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티롤 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옥시 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티롤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스티롤 펜타 (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티롤 헥사 메타 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펜타 에리스티롤 헥사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와 트리메티올 프로판 트리 아크릴레이트와 반응시킨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 중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50 ∼ 98 중량% 인 것 이 바람직하고, 60 ∼ 97.5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 95 중량%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알킬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또는 다관능성(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에 더하여 임의의 단량체 단위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임의의 단량체 단위로는, 산성기를 갖는 비닐모노머의 단량체 단위, 가교성기를 갖는 모노머의 단량체 단위 등을 들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하는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상기 서술한 단량체의 단위 이외에, 이들과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의 단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는,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 원자 함유 단량체;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부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메틸비닐케톤, 에틸비닐케톤, 부틸비닐케톤, 헥실비닐케톤, 이소프로페닐비닐케톤 등의 비닐케톤류;N-비닐피롤리돈, 비닐피리딘, 비닐이미다졸 등의 복소 고리 함유비닐 화합물;아크릴아미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트)아크릴 중합체에서 상기 임의의 단량체 단위 및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0.1 ∼ 2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1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임의의 단량체 단위 및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포함되면 다공성 코팅층의 구조적 안정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3. 다공성 코팅층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코팅층은 분산매에 전술한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수지를 혼합하여 다공성 코팅층용 조성물을 준비하고 이를 다공성 기재상에 도포한 후 가열하거나 활성 에너지선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복합 분리막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복합 분리막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우선 다공성 기재를 준비한다(S1). 상기 다공성 기재는 전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해 기술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다공성 코팅층용 조성물을 준비한다(S2). 상기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무기물 입자 및 가교 반응 개시제를 혼합하여 준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교 반응 개시제로는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 아미노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 프로판-1-온, 1-히드록시 사이클로 헥실 페닐 케톤, 2-메틸-1-(4- 메틸티오페닐)-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 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 잔톤(xantone), 2-에틸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타르(tar),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에스테르,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가능하며, 이의 함량은 (메타)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 대비 0.2 내지 20중량부인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실란 커플링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를 첨가함으로써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수지의 상호간 밀착성 및 접착 안정성을 접착을 높일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베타-시아노기 또는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세토아세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아세토아세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베타-시아노아세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또는 베타-시아노아세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 내에서 실란 커플링제는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또는 0.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목적하는 물성을 효과적으로 다공성 코팅층에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혼합된 성분들의 균일한 분산을 위해 적절한 분산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점도 및 코팅성 향상을 위해 유기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등의 고리형 지방족 탄화수소류;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아세톤, 에틸메틸케톤, 디이소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메틸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 등의 케톤류;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 염소계 지방족 탄화수소;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 부틸, γ-부티로락톤, ε-카프로락톤 등의 에스테르류;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의 아실로니트릴류;테트라하이드로푸란,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알코올류;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류를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이들을 2 종 이상 혼합하여 혼합 용매로서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비점이 낮고 휘발성이 높은 용매를, 단시간에 또한 저온에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아세톤, 톨루엔,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시클로헥산, 자일렌, 혹은 N-메틸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혼합 분산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S1)과 (S2)는 어느 것을 먼저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상기 조성물을 준비된 다공성 기재의 표면에 도포한다(S3).
상기 슬러리를 다공성 기재 상에 도포하여 다공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제한이 없으며, 딥(Dip) 코트법, 다이(Die) 코트법, 롤(roll) 코트법, 콤마(comma) 코트법, 닥터 블레이드 코트법, 리버스롤 코트법, 다이렉트롤 코트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만일 조성물에 유기 용매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다음 공정을 수행하기 전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 단계를 보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냉풍 또는 열풍 건조 등에 의한 방법으로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리막 제조방법은 종래 용제형 바인더를 이용한 다공성 코팅층을 제조하는 경우에 비해 용매를 사용하지 않거나 소량의 용매를 사용하므로 건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이후, 슬러리가 도포된 다공성 기재를 가열하거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바인더 수지를 경화시킨다(S4).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바인더 수지의 경화는 가열이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자외선 조사는 예를 들어 고압 수은 램프, 무전극 램프, 또는 크세논 램프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 방식에서 조사량은 다공성 코팅층의 제반 물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충분한 경화가 이루어지는 정도로 제어된다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는 조도가 50mW/cm2 내지 1000mW/cm2이고 광량이 50mJ/cm2 내지 1000mJ/cm2의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복합 분리막은 전기화학소자의 분리막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전기 화학 소자는 전기 화학 반응을 하는 모든 소자를 포함하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모든 종류의 1차, 2차 전지, 연료 전지, 태양 전지 또는 캐퍼시터(capacitor) 등이 있다. 특히, 상기 2차 전지 중 리튬 금속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또는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 전지 등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술한 분리막을 개재(介在)시켜 전극 조립체를 준비하고 이를 전지 케이스에 장입한 후 전해액을 주입함으로써 이차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의 전극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 적인 방법에 따라 전극 활물질을 전극 전류집전체에 접착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활물질 중 양극 활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종래 전기 화학 소자의 양극에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양극 활물질이 사용가능하며, 특히 리튬망간산화물, 리튬코발트산화물, 리튬니켈산화물, 리튬철산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복합산화물 등과 같은 리튬흡착물질(lithium intercalation material) 등이 바람직하다. 음극 활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종래 전기 화학 소자의 음극에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음극 활물질이 사용 가능하며, 특히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 탄소, 석유코크(petroleum coke), 활성화 탄소(activated carbon), 그래파이트(graphite) 또는 기타 탄소류 등과 같은 리튬 흡착물질 등이 바람직하다. 양극 전류집전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알루미늄, 니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이 있으며, 음극 전류집전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구리, 금, 니켈 또는 구리 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해액은 A+B-와 같은 구조의 염으로서, A+는 Li+, Na+, K+와 같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을 포함하고 B-는 PF6 -, BF4 -, Cl-, Br-, I-, ClO4 -, AsF6 -, CH3CO2 -, CF3SO3 -, NCF3SO2)2 -, CCF2SO2)3 -와 같은 음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을 포함하는 염이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디프로필카보네이트(DPC),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N-메틸-2-피롤리돈(NMP),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감마 부티로락톤 (γ-부티로락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유기 용매에 용해 또는 해리된 것이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해액 주입은 최종 제품의 제조 공정 및 요구 물성에 따라, 전지 제조 공정 중 적절한 단계에서 행해질 수 있다. 즉, 전지 조립 전 또는 전지 조립 최종 단계 등에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를 전지로 적용하는 공정으로는 일반적인 공정인 권취(winding) 이외에도 분리막과 전극의 적층(lamination, stack) 및 접음(folding) 공정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아세톤에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디펜타에리스톨 헥사 아크릴레이트=95:5)를 약 8 중량비로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여기에 Al2O3 와 BaTiO3의 혼합분말(9:1 중량비), UV 개시제(1-히드록시클로헥실 페닐 키톤, Ciba Irgacure 500) 및 실란 커플링제(M812, LG 화학) 를 90:9: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다공성 코팅층용 슬러리를 준비하였다. 상기 무기물 입자와 모너머는 90:10의 중량비가 되도록 하였으며, 무기물 분말은 볼밀법을 이용하여 300nm 크기로 파쇄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딥 코팅법으로 두께 2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다공성 기재(기공도 60%)에 코팅하였다. 이때 코팅 두께는 약 10㎛으로 조절하였다. 이를 70℃의 오븐에서 약 30초간 건조시킨 후 여기에 대해 조도 600mW/cm2 및 광량 150mJ/cm2로 10초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여 화학 가교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화학 가교된 것을 80℃의 진공 오븐에서 24시간 이상 건조하여 복합 분리막을 수득하였다.

Claims (20)

  1. 다공성 고분자 기재; 및
    바인더 수지 및 복수의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적어도 일측 표면상에 형성된 다공성 코팅층;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열 및/또는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화학적 가교 반응이 진행된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코팅층은 상기 무기물 입자들이 바인더 수지를 매개로 하여 서로 결착되고 집적되어 층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입자 사이의 인터스티셜 볼륨(interstitial volume)에 기인한 다공성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코팅층은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은 무기물 입자 100중량부 대비 0.1 내지 5중량부의 범위인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는 하기 a) 내지 e)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a) 고분자 수지를 용융/압출하여 성막한 다공성 필름,
    b) 상기 a)의 다공성 필름이 2층 이상 적층된 다층막,
    c) 고분자 수지를 용융/방사하여 얻은 필라멘트를 집적하여 제조된 부직포 웹,
    d) 상기 b)의 부직포 웹이 2층 이상 적층된 다층막,
    e) 상기 a) 내지 d)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복합 다공성 기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전기화학소자의 작동 전압 범위인 0~5V(Li/Li+)에서 산화 및/또는 환원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이온 전달 능력이 있는 무기물 입자 및/또는 유전율 상수가 5 이상인 고유전율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의 함량은 상기 다공성 코팅층 100중량부 대비 50 내지 99.9중량부인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위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는 단위체는 알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체 및/또는 다관능성(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위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2는 수소이거나 메틸기이고, R3는 탄소수 2 내지 14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는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는 2관능형 내지 6관능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14. 무기물 입자, 바인더 수지 및 개시제를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 수지는 열 및/또는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의 다공성 코팅층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및/또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의 다공성 코팅층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의 다공성 코팅층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17. (S1)고분자 다공성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S2) 무기물 입자, 바인더 수지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다공성 코팅층 제조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S3) 상기 고분자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측 표면에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S4) (S3)에서 도포된 조성물을 가열하거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바인더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는 50mW/cm2 내지 1000mW/cm2이고 광량이 50mJ/cm2 내지 1000mJ/cm2의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S2)의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복합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60007142A 2016-01-20 2016-01-20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70087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142A KR20170087315A (ko) 2016-01-20 2016-01-20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142A KR20170087315A (ko) 2016-01-20 2016-01-20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315A true KR20170087315A (ko) 2017-07-28

Family

ID=5942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142A KR20170087315A (ko) 2016-01-20 2016-01-20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7315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820A3 (ko) * 2017-08-25 2019-04-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다공성 복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841780A (zh) * 2017-11-24 2019-06-0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隔板及其制造方法和含有此隔板的锂离子电池
WO2020256313A1 (ko) 2019-06-19 2020-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코팅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31131A1 (ko) * 2020-08-07 2022-02-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N115521640A (zh) * 2022-03-03 2022-12-27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一种抗原子氧微纳多孔涂层及其制备方法
WO2023090980A1 (ko) * 2021-11-22 2023-05-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단면 전극, 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단면 전극 제조 방법
KR102558668B1 (ko) * 2022-10-26 2023-07-27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분리막용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11718723B2 (en) 2018-07-26 2023-08-08 Lg Chem, Ltd. Crosslinked polyolefin sepa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23153657A1 (ko) * 2022-02-14 2023-08-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820A3 (ko) * 2017-08-25 2019-04-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다공성 복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841780A (zh) * 2017-11-24 2019-06-0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隔板及其制造方法和含有此隔板的锂离子电池
US11718723B2 (en) 2018-07-26 2023-08-08 Lg Chem, Ltd. Crosslinked polyolefin sepa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20256313A1 (ko) 2019-06-19 2020-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코팅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44717A (ko) 2019-06-19 2020-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코팅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651368A (zh) * 2019-06-19 2022-06-21 株式会社Lg新能源 用于二次电池的涂覆隔板及其制造方法
WO2022031131A1 (ko) * 2020-08-07 2022-02-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3090980A1 (ko) * 2021-11-22 2023-05-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단면 전극, 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단면 전극 제조 방법
WO2023153657A1 (ko) * 2022-02-14 2023-08-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CN115521640A (zh) * 2022-03-03 2022-12-27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一种抗原子氧微纳多孔涂层及其制备方法
KR102558668B1 (ko) * 2022-10-26 2023-07-27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분리막용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4091010A1 (ko) * 2022-10-26 2024-05-02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분리막용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7315A (ko)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EP3444866A1 (en) Separator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101002161B1 (ko)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세퍼레이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102028113B1 (ko) 전해액 함침성이 향상된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상기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1637477B1 (ko) 높은 전극 접착력을 갖는 세퍼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1810B1 (ko)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EP3764427A1 (en)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same
JP2015092487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CN110622339B (zh) 非水系二次电池用隔膜、非水系二次电池及非水系二次电池的制造方法
KR102351490B1 (ko)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160126343A (ko) 전극 결착성 및 전해액 젖음성이 우수한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1943502B1 (ko) 이차 전지용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분리막
KR102258828B1 (ko)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200036803A (ko) 개선된 전극접착력 및 저항 특성을 갖는 리튬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210109478A (ko) 리튬 이차 전지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52336A (ko) 개선된 전극접착력 및 저항 특성을 갖는 리튬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상기 리튬이차전지용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200102957A (ko) 리튬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EP383275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KR20160130715A (ko) 전극 접착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전극 조립체
KR20200143087A (ko)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210061137A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160133276A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14535B1 (ko)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US20220320683A1 (en) Porous Separator and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006242A (ko)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