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284A - 물성이 개선된 알긴산 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물성이 개선된 알긴산 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284A
KR20170087284A KR1020160007069A KR20160007069A KR20170087284A KR 20170087284 A KR20170087284 A KR 20170087284A KR 1020160007069 A KR1020160007069 A KR 1020160007069A KR 20160007069 A KR20160007069 A KR 20160007069A KR 20170087284 A KR20170087284 A KR 20170087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ginate
aqueous solution
foam
alginate foa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7465B1 (ko
Inventor
김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온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온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온엘
Priority to KR1020160007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4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87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3Carbohydrates
    • A61L2300/232Monosaccharides, disaccharides, polysaccharides, lipopolysacchar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성이 개선된 알긴산 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알긴산 폼의 제조시 동결과정에서 급속 냉각방식으로 수행되는 것과는 달리, 다단계의 온도구배로 단계별 동결되도록 수행하여 제조방법을 최적화함으로써, 의료용 및 조직공학용으로 사용 가능한 수준으로 물성이 개선된 알긴산 폼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알긴산 폼은 표면 및 내부구조가 치밀하고 일정기공을 균일하게 가지며 흡수율이 우수하고, 높은 생산수율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성이 개선된 알긴산 폼 및 그의 제조방법{ALGINATE FOAM WITH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물성이 개선된 알긴산 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알긴산 폼의 제조시 동결과정에서 급속 냉각이 수행되는 것과는 달리, 다단계의 온도구배로 단계별로 서서히 동결되도록 수행함으로써, 의료용 및 조직공학용으로 사용 가능한 수준으로 표면 및 내부구조가 치밀하고 일정기공을 균일하게 가지며, 우수한 흡수율 및 생산수율이 달성된 알긴산 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긴산(alginic acid)은 육지식물의 셀룰로오스에 상당하는 해양식물의 다당류로서, α-(1→4)-L-글루론산(guluronic acid)와 β-(1→4)-D-만뉴론산(Mannuronic acid)으로 구성된 직쇄 공중합체이다.
일반적으로 알긴산은 해양생물 중 가장 생산성이 높은 대형조류인 우뭇가사리 등의 갈조류의 세포막과 세포막간에 존재하는 주요 구성물질로 상업적으로 라미나리아, 자이안트 켈프 등에서 얻고 있으며, 산업적으로는 수용성 알긴산 나트륨 염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수용성 알긴산 염은 높은 점성, 열적 안정성, 생분해성, 무독성의 특성을 가지며, 또한 다가 금속이온(예를 들어 Ca2 +)의 처리에 의한 용이한 겔 형성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식품, 제약, 섬유공업 등에서 증점제, 안정제, 유화제, 염료이행 방지제, 마이크로 캡슐 재료 등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성 알긴산 염은 백색의 분말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를 물에 용해하면 점성의 투명액체가 된다. 2가 이상의 다(多)가 양이온(예; Ca2 +) 등이 포함된 용액과 만나면 칼슘화 알긴산이 되는데. 이를 동결건조하면 마치 스펀지 같은 생분해성 재료가 된다.
이러한 알긴산의 생분해성, 흡습성, 지혈작용, 생체 친화성 등의 특성을 활용하여 의료용 상처 피복제, 국소 지혈제 등의 분야에 알긴산을 이용한 제품들이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다.
그 일례로는 칼토스타트(Kaltostat, 미국 Convatec사), 소르브산(영국, Bertek사), 뉴뎀(Nu-DERM, 미국 Johnson&Johnson사), 테가겐(Tegagen, 미국 3M사)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직포 형태의 알긴산 상처 피복재는 이들의 물성이 거칠고, 체액 등의 흡수력이 약하며, 피부 손상 부위에 붙인 후 떼어낼 때 부직포에서 떨어진 단섬유가 오히려 염증반응을 초래하고,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어렵기 때문에 특정한 성형이 요구되는 조직배양 분야에 있어 활용하기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알긴산을 이용한 상처 피복재, 국소 지혈제 및 조직공학의 고분자 지지체에 있어서 알긴산 부직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특허 제5,718,916호, 미국특허 제4,948,575호 등은 알긴산 스폰지를 제조할 때 알긴산 수용액의 조성에 가교제를 함께 첨가하여 알긴산 가교 겔을 제조한 후, 성형하고 동결건조하여 알긴산 스폰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 의한 알긴산 스폰지는 표면이 거칠어 부착 감촉이 나쁘고, 스폰지의 구조가 치밀하지 못하여 동일한 상처 침출물을 흡수할 경우 구조가 치밀한 스폰지와 비교하여 두께가 커지거나 자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스폰지의 구조가 성글어 유연성이 낮으며 상처 부위에 대한 밀착성이 떨어지고, 부서지기 쉬워 취급상 어려움이 있으며, 겔 상태의 수화물을 성형함으로써 유동성이 낮아 가공성이 저하되어 부직포 형태의 상처 피복재에 비해 현재 거의 상용화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유연성, 구조치밀성, 흡수성, 가공성 등이 우수하여 의료용 또는 조직공학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알긴산 폼에 대해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특허 제984184호에서는 알긴산 수용액을 성형하고 동결건조하여 제조한 알긴산 스폰지 중간재를 가교제 수용액에 침지하여 가교시킨 후, 세정 및 건조하여 의료용 및 조직공학용으로 가용 가능한 물성, 즉 최대 굽힘 각도(유연성)가 90°이상이고, 겉보기 밀도(구조치밀성)가 0.006∼0.1g/㎤이고, 식염수 흡수율이 150∼700%를 가지는 알긴산 스폰지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7-70278호에는 알긴산 또는 알긴산 알칼리 금속염을 일정 농도로 용해시켜 형성된 수화겔을 동결건조하여 알긴산 스폰지를 제조한 후 압출하여 시트형으로 제조한 시트형 알긴산 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지의 방법들로 수행한 경우, 알긴산 수용액을 -10℃ 이하의 온도에서 급속히 냉동하는 방법으로 수행하거나 두 번의 동결건조에 의해 제조됨으로써, 생산공정시간 지체와 두 번의 동결에 따른 표면층 및 내부층의 크랙 발생으로 구조가 불규칙하고 치밀하지 못해 부정형으로 잘 부서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알긴산을 이용한 의료용 및 조직공학용으로서 적용 가능할 수준의 구조치밀성, 흡수성, 유연성, 가공성 등의 물성을 충족한 알긴산 폼을 얻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종래 알긴산 폼의 제조시 동결과정에서 수행되는 급속 냉각이 아닌, 다단계의 온도구배로 단계별 동결이 진행되도록 수행하여, 표면구조가 균일하면서 치밀하고 스폰지 내부에 일정기공을 균일하게 가지며 흡수율이 우수하고 생산수율이 높은 알긴산 폼을 제공하고, 알긴산 용액 농도의 다변화가 가능하고, 최종 용도에 맞추어 알긴산 폼의 공극크기를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구조특성, 흡수성 및 생산수율이 우수한 알긴산 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료용 및 조직공학용으로 적용 가능한 수준으로 물성이 개선된 알긴산 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평균 공극크기 100 내지 200㎛이고 표준편차 10 내지 30㎛인 표면구조 특성을 가지는 알긴산 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알긴산 폼은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의 혼합수용액 흡수율 2500 내지 4500%를 가지는 의료용 및 조직공학용으로 적합한 알긴산 폼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은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제조 후 0 내지 12℃의 저온으로 유지하는 전처리 공정; 상기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2 내지 -50℃ 범위에서 적어도 2 내지 최대 10개 구간의 온도 구배로 서서히 냉각시키는 1차 동결공정; 및 상기 동결된 알지네이트를 가교제 수용액과 가교 반응시킨 후 2차 동결건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알긴산 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처리 공정은 알지네이트 수용액이 담긴 용기 내 감압처리로 탈포공정이 수행되면서 저온이 유지된다.
상기 1차 동결공정에서 온도 구배가 -2∼-5℃ 단계에서부터 -7∼-12℃ 단계 및 -20℃ 이하로 단계별 냉각되는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2 내지 -50℃ 범위에서 알지네이트 수용액의 초기 높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온도를 조정하여 동결을 마무리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1차 동결공정의 단계별 냉각 후 전 단계 온도보다 적어도 -10℃ 낮은 온도에 알지네이트를 노출되도록 한다.
이후, 가교제 수용액과의 가교 반응시킨 후 2차 동결건조하는데, 상기에서 가교 반응은 가교제 수용액에 침지 또는 가교제 수용액을 분무 후 초음파를 이용한 가교에 의해 완성된다.
이상의 알긴산 폼의 제조방법은 공정수율 90% 이상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의료용 및 조직공학용으로 사용 가능한 수준으로 물성이 개선된 알긴산 폼으로서, 표면 및 내부구조가 치밀하고 일정기공을 균일하게 가지며 흡수율 및 생산수율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알긴산 폼의 제조시 수행되는 동결과정에서 급속 냉각이 아닌, 다단계의 온도구배로 단계별 동결되도록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알긴산 폼의 우수한 표면 및 내부구조특성(구조치밀성), 높은 흡수성 및 생산수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알긴산 폼에 대한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30배율로 확대한 표면사진이고,
도 2는 종래 알긴산 폼에 대한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30배율로 확대한 표면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평균 공극크기 100 내지 200㎛이고 표준편차 10 내지 30㎛인 표면구조 특성을 가지는 알긴산 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알긴산 폼에 대한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30배율로 확대한 표면사진으로서, 평균 공극크기 121㎛이고 표준편차 17㎛로서 표면구조가 치밀하고 일정기공을 균일하게 가진다. 반면, 도 2는 종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알긴산 폼에 대한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30배율로 확대한 표면사진으로서, 평균 공극크기는 351㎛이고, 표준편차 118㎛로 관찰된다.
또한, 이러한 표면구조특성과 더불어 본 발명의 알긴산 폼은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의 혼합수용액 흡수율 2500 내지 4500%를 나타낸다.
이상으로부터 종래 의료용 및 조직공학용 알긴산 폼은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급속 냉각한 후 가교제 수용액과의 가교반응하고 동결건조하는 공정으로 수행되어 얻어지고, 이때의 물성대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알긴산 폼의 물성개선은 현저하다.
이하, 본 발명은 알긴산 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제조 후 0 내지 12℃의 저온으로 유지하는 전처리 공정;
상기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2 내지 -50℃ 범위에서 적어도 2 내지 최대 10개 구간의 온도 구배로 서서히 냉각시키는 1차 동결공정; 및
상기 동결된 알지네이트를 가교제 수용액와 가교 반응시킨 후 2차 동결건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알긴산 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종래 알긴산 폼의 제조시 수행되는 동결과정에서 급속 냉각이 아닌, 온도를 서서히 다단계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전처리 공정은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제조한 후 0 내지 12℃,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범위의 저온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로 수행하여 동결공정 이전에 알지네이트 수용액의 저온으로 조절한다.
이때, 전처리공정 시 온도가 0℃보다 낮으면, 동결이 국부적으로 불균일하게 시작될 수 있어서 효과가 미흡하고, 12℃를 초과하면, 후속 공정시간이 길어지거나 부분 동결이 진행될 수 있는 문제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전처리 공정시 상기 범위의 저온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알지네이트 수용액이 담긴 수용액의 용기 압력을 감압처리하여 기포를 없애는 탈포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감압처리하는 탈포공정시 알지네이트 수용액이 담긴 용기 내 압력은 0 내지 300mTorr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60 mTorr로 수행한다. 이러한 상태로 거품이 나지 않을 때까지 유지한다.
상기에서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담는 용기는 금속이나 유리 재질보다 플라스틱과 같은 열전도성이 낮은 재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알지네이트 수용액은 알긴산 또는 알긴산 알칼리 금속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용성이 우수한 알긴산 나트륨염, 알긴산 칼륨염, 또는 알긴산 암모늄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알긴산 나트륨염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알지네이트 수용액에 함유되는 알긴산의 농도는 0.5 내지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알긴산의 농도가 0.5 중량% 미만이면, 낮은 생산성으로 제조비용이 높아져 상업성이 없게 되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져 용액 내 기포 제거가 어렵고, 유동성이 저하되어 정밀한 성형이 어려우며 생산신뢰성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전처리 공정 이후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1차 동결공정을 수행하는데, 급속 동결방법이 아닌, 수용액을 -2 내지 -50℃ 범위에서 적어도 2 내지 최대 10 개 구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개 구간의 온도 구배로 서서히 과냉각시킴으로써, 최종적인 알긴산 폼에 마이크로 포어를 형성하도록 하여 표면구조를 치밀하게 한다.
이때, 온도 구배는 -2∼-5℃ 단계에서부터 -7∼-12℃ 단계 및 -20℃ 이하로 단계별 냉각되는 하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2 내지 -50℃ 범위에서 알지네이트 수용액의 초기 높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온도 및 그에 따라 시간을 조정하여 동결을 마무리한다.
상기에서 과냉각이라 함은 빙점 이하이나 아직 얼지 않은 상태로서, 매우 불안정하여 외부 충격을 가하면 순간적으로 얼게 되는 상태이며, 상기 1차 동결공정의 단계별 과냉각에 도달된 후 전 단계 온도보다 적어도 -10℃ 낮은 온도, 바람직하게는 -13℃ 더 낮은 온도에 동결된 알지네이트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후,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에서 동결된 알지네이트를 가교제 수용액과의 가교 반응시킨 후 2차 동결건조하는 공정으로 수행한다.
상기에서 가교 반응은 가교제 수용액에 침지에 의하거나 가교제 수용액을 분무 후 초음파를 이용한 가교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가교제 수용액에 함유되는 가교제는 2가 금속염 또는 공유결합능을 가지는 유기계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가 금속염은 염화칼슘, 염화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공유결합능을 가지는 유기계 가교제는 글루타알데히드, 디시클로헥실 카보디이미드, 또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 수용액에 함유되는 가교제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최종 제품인 알긴산 폼의 요구 성능 및 외관에 따라 다양한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알긴산 폼은 공정수율 90% 이상의 높은 생산수율로 얻어진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전처리 공정: 정제수에 소듐 알지네이트를 용기에 용해시켜 알지네이트(1 중량%)의 수용액을 준비하고 상기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4℃로 유지하면서 알지네이트 수용액이 담긴 용기내의 압력을 60mTorr로 감압처리하여 기포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이 상태로 거품이 나지 않을 때까지 유지하였다.
1차 동결공정: 상기 전처리 공정을 거친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2℃에서 30분, -7℃에서 1시간, -10℃에서 3시간, -20℃에서 10시간 동안 동결시켰다. 이후 동결건조기(일신바이오베이스사의 LP20R)을 이용하여 동결건조를 진행하였다.
2차 동결공정: 이후 상기 동결건조된 알지네이트를 염화칼슘 수용액에 15분간 침지하여 가교 반응시킨 후 2차 동결건조하여 알긴산 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전처리 공정: 정제수에 소듐 알지네이트를 용기에 용해시켜 알지네이트(1 중량%)의 수용액을 준비하고 상기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4℃로 유지하면서 알지네이트 수용액이 담긴 용기내의 압력을 60mTorr로 감압처리하여 기포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이 상태로 거품이 나지 않을 때까지 유지하였다.
1차 동결공정: 상기 전처리 공정을 거친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5℃에서 30분, -10℃에서 4시간, -20℃에서 10시간 동안 동결시켰다. 이후 동결건조기(일신바이오베이스사의 LP20R)을 이용하여 동결건조를 진행하였다.
2차 동결공정: 이후 상기 동결건조된 알지네이트에 염화칼슘 수용액을 분무기로 충분히 뿌린 후 초음파장치에 넣어 3분간 처리하여 균일한 가교반응을 수행한 후 2차 동결건조하여 알긴산 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전처리 공정: 정제수에 소듐 알지네이트를 용기에 용해시켜 알지네이트(1 중량%)의 수용액을 준비하고 상기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0℃로 냉각하였다.
1차 동결공정: 상기 전처리 공정을 거친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10℃에서 3시간, -20℃에서 10시간 동안 동결시켰다. 이후 동결건조기(일신바이오베이스사의 LP20R)을 이용하여 동결건조를 진행하였다.
2차 동결공정: 이후 상기 동결건조된 알지네이트에 염화칼슘 수용액을 분무기로 충분히 뿌린 후 초음파장치에 넣어 3분간 처리하여 균일한 가교반응을 수행한 후 2차 동결건조하여 알긴산 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전처리 공정: 정제수에 소듐 알지네이트를 용기에 용해시켜 알지네이트(1 중량%)의 수용액을 준비하였다.
1차 동결공정: 상기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10℃에서 급속 동결시켰다. 이후에 동결건조기(일신바이오베이스사의 LP20R)을 이용하여 동결건조를 진행하였다.
2차 동결공정: 이후 동결건조된 알지네이트를 염화칼슘 수용액에 15분간 침지시켜 가교한 후 2차 동결건조를 진행하여 알긴산 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공정수율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알긴산 폼의 공정수율을 산출하고 종래 방법인 비교예 1의 경우와 대비하였다.
Figure pat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비교예 1 대비 3배 이상의 우수한 공정수율을 보였다.
< 실험예 2> 흡수율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알긴산 폼의 흡수울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고 비교예 1과 대비하였다.
염화나트륨 8.298g과 염화칼슘 이수화물(CaCl2ㆍ2H2O) 0.368g을 1000㎖의 정제수에 용해시킨 수용액에, 알긴산 폼이 스폰지 형상이 유지되도록 유의하여 질량이 0.2g이 되도록 자르고 질량 Wi를 정확히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그 후 37℃로 데운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의 혼합수용액 약 8㎖에 분석용 시료인 알긴산 폼을 침지시킨 후, 30분간 37℃에서 침지된 상태로 방치하였다. 이후 핀셋을 이용하여 한쪽 끝을 잡고 30초간 들어올리고, 그 후에 검체의 질량 Wf를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이후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알긴산 폼의 흡수율을 산출하였다.
수학식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비교예 1 대비 1.9배 이상의 우수한 흡수율을 보였다.
< 실험예 3> 알긴산 폼의 공극크기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알긴산 폼의 시료를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SU8010, HITACHI사)을 이용하여 공극크기를 시료당 10회 측정하여 평균 공극크기와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이에,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알긴산 폼에 대한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30배율로 확대한 표면사진이고, 도 2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알긴산 폼에 대한 동일 배율로 확대한 표면사진이다.
Figure pat00004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알긴산 폼은 평균 공극크기 121㎛이고 표준편차 17㎛로서 우수한 구조치밀성을 보인 반면에,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알긴산 폼의 평균 공극크기는 351㎛이고, 표준편차 118㎛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알긴산 폼은 종래 급속냉각시켜 얻는 경우보다 공극크기가 훨씬 작고 균일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표면구조가 치밀하고 일정기공을 균일하게 가지며 흡수율 및 생산수율이 우수한 알긴산 폼을 제공함으로써, 의료용 및 조직공학용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알긴산 폼의 제조시 동결과정에서 급속 냉각이 아닌, 다단계의 온도구배로 단계별로 서서히 냉각되도록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알긴산 폼의 우수한 표면구조특성, 흡수성과 높은 생산수율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1. 평균 공극크기 100 내지 200㎛이고 표준편차 10 내지 30㎛인 표면구조 특성을 가지는 알긴산 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 폼이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의 혼합수용액 흡수율 2500 내지 450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긴산 폼.
  3.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제조 후 0 내지 12℃의 저온으로 유지하는 전처리 공정;
    상기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2 내지 -50℃ 범위에서 적어도 2 내지 최대 10개 구간의 온도 구배로 서서히 냉각시키는 1차 동결공정; 및
    상기 동결된 알지네이트를 가교제 수용액와 가교 반응시킨 후 2차 동결건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알긴산 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공정에서 수용액 내 감압처리로 탈포공정이 수행되면서 저온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긴산 폼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동결공정에서 온도 구배가 -2∼-5℃ 단계에서부터 -7∼-12℃ 단계 및 -20℃ 이하로 단계별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긴산 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별 냉각 후 전 단계 온도보다 적어도 -10℃ 낮은 온도에 알지네이트가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긴산 폼의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동결공정에서 가교 반응이 가교제 수용액에 침지 또는 가교제 수용액의 분무 이후 초음파를 이용한 가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긴산 폼의 제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 폼의 제조시 공정수율 9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루어진 알긴산 폼의 제조방법.
KR1020160007069A 2016-01-20 2016-01-20 물성이 개선된 알긴산 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97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069A KR101797465B1 (ko) 2016-01-20 2016-01-20 물성이 개선된 알긴산 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069A KR101797465B1 (ko) 2016-01-20 2016-01-20 물성이 개선된 알긴산 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284A true KR20170087284A (ko) 2017-07-28
KR101797465B1 KR101797465B1 (ko) 2017-11-15

Family

ID=5942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069A KR101797465B1 (ko) 2016-01-20 2016-01-20 물성이 개선된 알긴산 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4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679B1 (ko) * 2019-08-20 2020-04-28 김현기 해조류를 이용한 흡수제품용 흡수제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679B1 (ko) * 2019-08-20 2020-04-28 김현기 해조류를 이용한 흡수제품용 흡수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465B1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29374B (zh) 一种高强度取向型聚乙烯醇水凝胶的制备方法及应用
CN101502669B (zh) 丝素蛋白多孔三维材料及其制备方法
EP2418239B1 (en) Method for producing porous silk fibroin material
WO2017022750A1 (ja) 人工血管、人工血管の製造方法、及び、多孔質組織再生基材の製造方法
TWI279404B (en) Alginate spong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797465B1 (ko) 물성이 개선된 알긴산 폼 및 그의 제조방법
RU2509784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ристых, пленочных материалов на основе карбоксиметилцеллюлозы
KR102110860B1 (ko) 다공질 복합체, 골 재생 재료, 및 다공질 복합체의 제조 방법
JP5076141B2 (ja) 組織再生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スキャフォールド
CN117551302A (zh) 一种高吸水性耐水解多糖基多孔材料的制备方法
CN107057108B (zh) 一种结构和性能可控的壳聚糖材料及其制备方法
TWI770299B (zh) 化妝料用成形物及其製造方法
JP2507885B2 (ja) 絹フィブロインハイドロゲル
JP2004107503A (ja) カルボキシメチルセルロース架橋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728527B2 (ja) 架橋ヒアルロン酸スポンジの製造方法
CN107899088B (zh) 一种用于预防去除内固定物后再骨折的多孔生物支架及其制备
KR20110017522A (ko) 의료용 다공성 스펀지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288841A (zh) 一种具有弹性的多孔壳聚糖海绵的制备方法
JP6432967B2 (ja) 溶解性コラーゲン線維多孔体
KR20170047531A (ko) 겔화특성이 우수한 마스크팩재용 알지네이트 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3525186B2 (ja) 高分子多孔質体の製造方法
CN113144294A (zh) 三维多孔胶原支架的制备方法及三维多孔胶原支架、双层胶原支架及制备方法和应用
RU235658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ристых губок на основе хитозана для заполнения костных дефектов
RU256492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икротрубок из хитозана (варианты)
Cho et al. Controlling microstructure of three-dimensional scaffolds from regenerated silk fibroin by adjusting p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