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778A - 하체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하체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6778A
KR20170086778A KR1020160006200A KR20160006200A KR20170086778A KR 20170086778 A KR20170086778 A KR 20170086778A KR 1020160006200 A KR1020160006200 A KR 1020160006200A KR 20160006200 A KR20160006200 A KR 20160006200A KR 20170086778 A KR20170086778 A KR 20170086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user
unit
footres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8999B1 (ko
Inventor
이용구
김영우
김정기
황동환
정지욱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06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9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86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02Palet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22Abdomen moving torso an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2Paint cans; Brush holders; Containers for storing residual pai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하체운동기구는 지지부, 발판부 및 링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하부에 형성되어 양끝단이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발판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발바닥과 밀착하며,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발판부와 결합하고 상부로 연장되며 복수의 로드들이 관절들을 통해 서로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는 지지대와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 및 상기 링크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들 각각은 상기 지지대의 표면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홈을 형성하며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하체운동기구{APPARATUS FOR EXERCISING LOWER BODY}
본 발명은 하체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하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운동을 수행하여 하체의 근력을 증가시키는 하체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체를 위한 운동기구는 트레드밀, 계단밟기형, 스윙형 및 벤치프레스형 등의 운동기구를 사용한다. 이러한 운동기구들은 하체의 근력을 강화하거나 전신 유산소운동을 위한 것으로, 주로 대퇴직근이나 외내측광근 등의 외회전성향의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운동들은 장시간 이용하거나 잘못된 방식으로 이용 시 무릎이나 발목 등의 관절에 손상을 가져오고 근육통증이나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고령자들이 사용하는데 제약이 따르게 되므로 관절이나 발목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다리근육을 강화하거나 재활시킬 수 있는 운동기구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특허등록 제10-1476989호는 사용자가 한쪽 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쪽 발을 좌우 이동이 가능한 구동발판에 올려놓고 다른 쪽 발을 발명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특허등록 제10-1347402호는 사용자가 수평발판에 발을 올려 걷는 동작을 전후로 수행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으나, 고령자나 관절이나 발목의 손상 위험이 있는 사용자들을 위한 하체운동기구 발명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관절과 발목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하체운동이 가능한 하체운동기구의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체 운동을 보조하여 운동 중 인가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운동 효과를 향상시키면서도 운동으로 발생하는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하체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운동기구는 지지부, 발판부 및 링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하부에 형성되어 양끝단이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발판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발바닥과 밀착하며,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발판부와 결합하고 상부로 연장되며 복수의 로드들이 관절들을 통해 서로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는 지지대와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 및 상기 링크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들 각각은 상기 지지대의 표면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홈을 형성하며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체운동기구는 착석부 및 관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석부는 상기 링크부의 상부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고, 상기 관절부는 상기 발판부와 상기 착석부 사이에 형성되어 급격한 회전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링크부는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양쪽 발들이 상기 발판부를 밟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앉았다 일어섰다를 반복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다리가 앞뒤로 벌려지거나 오무려지도록 유도되며 상기 발판부가 상기 지지부의 표면 상에서 왕복이동하고 사용자의 하중이 상기 링크부에 가해지면 상기 링크부가 펼쳐지거나 구부러지며 상기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판부는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들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에 각각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부는 제1 링크유닛 및 제2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유닛은 상기 제1 발판과 상기 착석부 사이에 서로 관절을 통해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유닛은 상기 제2 발판과 상기 착석부 사이에 서로 관절을 통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링크유닛 및 상기 제2 링크유닛 각각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펼쳐지며 상기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링크유닛과 상기 제2 링크유닛의 끝단은 상기 착석부와 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1 링크유닛과 상기 제2 링크유닛이 상기 착석부를 축으로 회전하여 서로 이격될수록 탄성복원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체운동기구는 상기 링크부의 타단과 다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부의 측면에 로드 형태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부 끝단이 상기 링크부의 타단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측면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체운동기구는 지지부에 제1 가이드레일 및 제2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하체운동기구의 균형을 유지시키고 슬라이딩 운동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하체운동기구는 해당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배치되어 해당 사용자가 앉았다 일어섰다의 동작을 하는 동안 착석부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링크부와 관절부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관절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체운동기구는 링크부가 서로 분리가 되어 휴대성이 증가하고 해당 사용자의 다리 사이 공간이 증가하여 운동 중 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링크부의 위치는 발판부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어 해당 사용자의 운동취향이나 신체적 조건에 따라서 링크부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하체운동기구는 링크부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측면지지부가 형성되어 관절에 문제가 있는 환자나 노약자들이 운동하는 동안 측면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체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체운동기구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들은 도 1의 하체운동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체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체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체운동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체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체운동기구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하체운동기구(100)는 지지부(200), 발판부(300), 링크부(400), 관절부(500) 및 착석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하체운동기구(100)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하체운동기구(100)의 중량을 지지하고, 사용자가 상기 하체운동기구(100)를 사용하여 운동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20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하체운동기구(100)가 소정의 거리 안에서 동작하도록 제한하여 해당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00)의 표면에는 상기 지지부(200)의 일단 및 타단을 가로지르는 홈들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발판부(30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200)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홈들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해당 사용자가 발을 위치할 수 있도록 평평하고 마찰력이 높은 구조를 가진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해당 사용자의 발등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판부(300)의 측면에는 상기 링크부(400)의 일단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링크부(4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로드(rod)의 구조를 형성하고 해당 사용자의 다리와 접촉을 피하기 위해 얇은 두께를 가지게 된다.
상기 링크부(400)는 복수의 상기 로드들의 결합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로드들 사이에는 상기 관절부(500)가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300)가 상기 지지부(200) 상에서 이동하면 상기 관절부(500)를 축으로 상기 로드들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관절부(500)는 내부에 스프링을 배치하거나 전기모터를 배치하여 상기 관절부(500)를 축으로 상기 로드들이 접혀질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400)의 일단과 상기 발판부(300)가 결합하는 위치에 상기 관절부(500)가 배치되어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 또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착석부(600)는 상기 링크부(400)의 상단에 결합되고, 해당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여 상기 하체운동기구(100)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도중에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해당 사용자의 운동자세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하체운동기구(100)는 해당 사용자의 발을 상기 발판부(30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한쪽발은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다른쪽발은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운동이 계속될 경우 피로에 의한 사고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착석부(600)가 해당 사용자의 넘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부(400) 및 상기 관절부(500)는 해당 사용자가 일정한 고도에서 운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해당 사용자의 상체의 중량이 가하는 압력을 분산시켜 운동 중 관절의 손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200)는 지지대(210), 제1 가이드레일(220), 제2 가이드레일(230), 제1 경사면(240) 및 제2 경사면(250)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300)는 제1 발판(310) 및 제2 발판(320)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400)는 제1 링크유닛(410) 및 제2 링크유닛(420)을 포함하며, 상기 관절부(500)는 제1 관절(510), 제2 관절(520), 제3 관절(530), 제4 관절(540) 및 제5 관절(550)을 포함하며, 상기 착석부(600)는 시트프레임(610), 시트쿠션(620) 및 손잡이(6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링크유닛(410)은 제1 링크(411) 및 제3 링크(4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유닛(420)은 제2 링크(421) 및 제4 링크(42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00)의 표면에는 상기 지지부(200)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가로지르는 홈형태의 상기 제1 가이드레일(220)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23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가이드레일(220)과 상기 제2 가이드레일(230)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0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는 상기 제1 경사면(240) 및 상기 제2 경사면(25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경사면(240)은 상기 지지부(200)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00)의 중앙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로 경사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경사면(240)은 상기 지지부(200)의 중앙부 표면에서 서서히 곡면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상기 제2 경사면(250)은 상기 지지부(200)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00)의 중앙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경사면(250)은 상기 지지부(200)의 중앙부 표면에서 서서히 곡면을 이루면서 상부로 상승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 발판(310)은 타원형의 얇은 플레이트 형태를 형성하고, 하부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220)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 발판(320) 역시 타원형의 얇은 플레이트 형태를 형성하고, 하부는 상기 제2 가이드레일(230)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 발판(310)에는 해당 사용자의 왼발바닥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2 발판(320)에는 해당 사용자의 오른발바닥이 위치하게 된다. 해당 사용자가 왼쪽발을 전방인 제1 방향으로 움직임과 동시에 오른발을 후방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1 발판(310) 및 상기 제2 발판(320) 각각은 왼쪽발 및 오른쪽발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링크유닛(410)은 일단이 상기 제1 발판(310)과 결합하고 타단은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착석부(600)와 결합한다. 상기 제2 링크유닛(420)은 상기 제2 발판(320)과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제1 링크유닛(410)과 평행하게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착석부(600)와 결합한다.
상기 제1 발판(310)과 상기 제1 링크(411)는 상기 제1 관절(510)을 통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발판(320)과 상기 제2 링크(421)는 상기 제2 관절(520)을 통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 링크(411)의 일단은 상기 제1 관절(51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부를 향해 로드 형태로 연장되어 타단은 상기 제3 관절(53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 링크(421)의 일단은 상기 제2 관절(52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부를 향해 로드 형태로 연장되며 타단은 상기 제4 관절(54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3 링크(412)의 일단은 상기 제3 관절(53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부를 향해 로드 형태로 연장되어 타단은 상기 제5 관절(55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4 링크(422)의 일단은 상기 제4 관절(54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4 링크(422)의 타단은 상기 제5 관절(55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3 링크(412)의 타단 및 상기 제4 링크(422)의 타단은 상기 제5 관절(550)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5 관절(550)에 의해 상기 제1 발판(310)의 상부에 상기 제1 링크(411) 및 상기 제3 링크(412)가 이루는 좌측링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발판(320)의 상부에 상기 제2 링크(421) 및 상기 제4 링크(422)가 이루는 우측링크가 형성되며, 상기 좌측링크와 상기 우측링크 상단이 서로 연결되어 균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발판(310) 및 상기 제2 발판(32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상기 제5 관절(550)을 통해 균형이 유지되므로 해당 사용자가 운동 중일지라도 상기 하체운동기구(100)가 측면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레일(220)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230)을 통해 상기 제1 발판(310) 및 상기 제2 발판(320)이 이동경로가 한정되고 안정적이므로 해당 사용자가 운동 중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하체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제5 관절(550)의 상부에는 상기 착석부(600)가 결합되어 해당 사용자의 상체 중량을 지탱하게 된다. 상기 시트프레임(610)은 상기 제5 관절(55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시트쿠션(620)은 상기 시트프레임(610)의 상부에 배치되어 해당 사용자가 안락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한다.
상기 하체운동기구(100)는 사용자가 앉았다 일어섰다를 반복하면서 동시에 발을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상체의 균형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전신운동효과가 있고, 칼로리 소모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관절의 부담이 작아지기 때문에 다리근육 강화를 위한 장시간의 운동이 가능하고, 그로인해 폐활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손잡이(630)는 해당 사용자가 운동 중일 경우 해당 사용자의 후방 허리를 지지하여 올바른 자세로 운동할 수 있도록 자세를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하체운동기구(100)를 상기 지지부(200)와 탈착시켜 보관하거나 이동할 경우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들은 도 1의 하체운동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3 내지 도 5들을 참조하면, 해당 사용자는 왼쪽발을 상기 제1 발판(310) 상에 배치하고, 오른쪽 발은 상기 제2 발판(320)에 고정시키게 된다. 해당 사용자의 왼쪽발과 오른쪽 발이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서로 이격되고, 해당 사용자의 상체는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링크(411)는 상기 제1 경사면(240)쪽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2 링크(421)는 상기 제2 경사면(250)쪽으로 펼쳐지게 된다. 상기 제3 링크(412) 및 상기 제4 링크(422)도 서로 이격되고, 상기 착석부(600)는 상기 링크부(400)가 벌어지면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의 다리가 벌어지면, 상기 제1 링크(411)와 상기 제3 링크(412)간의 각도가 늘어나서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 펼쳐지고, 상기 제2 링크(421)와 상기 제4 링크(422) 역시 서로 간의 각도가 늘어나서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 펼쳐진다.
또한, 해당 사용자의 다리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관절부(500)는 상기 제1 링크(411)와 상기 제3 링크(412) 그리고 상기 제2 링크(421)와 상기 제4 링크(422)가 서로 일정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해당 사용자의 상체가 하강하게 되면서, 해당 사용자의 엉덩이, 허벅지 및 종아리 등의 하체 전반의 근육을 자극하여 에너지 소모가 증가하게 된다. 다시, 상기 제1 발판(310) 및 상기 제2 발판(320)을 상기 지지부(200)의 중앙으로 이동시키면서 발들을 모아주면 하체운동의 1사이클(cycle)이 완료된다.
상기 착석부(600)는 해당 사용자의 다리가 벌려지고 앉는 동작을 하는 동안에 해당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고, 관절이나 하체의 힘이 부족한 사람들이 균형을 잡고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관절부(500)는 해당 사용자의 관절과 인대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리를 벌리고 앉고 일어서는 동작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진행하지 않도록 상기 관절부(500)의 회전속도를 일정 속도 이하로 제한하게 된다.
상기 제1 경사면(240) 및 상기 제2 경사면(250)은 해당 사용자의 다리가 크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인대 및 근육파열을 예방한다. 상기 제1 발판(310) 및 상기 제2 발판(320)이 각각 상기 제1 경사면(240) 및 상기 제2 경사면(250)에 도달하는 경우 경사를 통해 자연스럽게 하강 하도록한다.
따라서, 상기 제1 경사면(240) 및 상기 제2 경사면(250)까지 도달한 다리들은 경사에 의해 하강하는 힘으로 다시 모이게 되고, 해당 사용자는 이러한 반동을 사용하여 리듬을 타면서 운동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체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하체운동기구(120)는 고정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과 상기 제5 관절(550) 및 상기 착석부(600)가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하체운동기구(1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체운동기구(120)는 고정부(7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700)는 제1 고정부(710) 및 제2 고정부(7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710)는 해당 사용자의 왼쪽 허벅지와 상기 제3 링크(412)를 고정시키며, 왼쪽 허벅지를 감싸는 환의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 고정부(710)는 상기 제3 링크(412)의 타단에 결합된다.
상기 제2 고정부(720)는 해당 사용자의 오른쪽 허벅지와 상기 제4 링크(422)를 고정시키며, 오른쪽 허벅지를 감싸는 환의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부(710)는 상기 제3 링크(412)의 타단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70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해당 사용자의 허벅지가 아닌 허리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700)가 허리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부(710) 및 상기 제2 고정부(720)는 서로 연결되어 해당 사용자가 균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해당 사용자는 양쪽 발바닥들을 각각 상기 제1 발판(310) 및 상기 제2 발판(320)에 위치시키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앉았다 일어섰다의 동작을 수행하며 하체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가 앉았다 일어섰다의 동작을 수행하며, 왼쪽 발바닥을 상기 제1 발판(310)과 함께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오른쪽 발바닥을 상기 제2 발판(320)과 함께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상기 제1 발판(310)과 상기 제2 발판(320)이 상기 지지부(200) 상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다리를 모아주면 제1 사이클(cycle)의 운동이 완료된다.
반대로, 해당 사용자가 앉았다 일어섰다의 동작을 수행하며, 왼쪽 발바닥을 상기 제1 발판(310)과 함께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오른쪽 발바닥을 상기 제2 발판(320)과 함께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다시 다리를 모아주면 제2 사이클(cycle)의 운동이 완료되며, 상기 제1 사이클과 상기 제2 사이클을 번갈아서 진행하여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앉았다 일어섰다의 동작을 반복하여 운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하체운동기구(120)를 사용하여 장시간의 운동에 의한 관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부피가 작고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구조의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해당 사용자의 신체와 분리하여 분해하거나 접을 경우 휴대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400) 및 상기 관절부(500)가 해당 사용자의 다리 측면에 배치되어 해당 사용자가 상기 하체운동기구(120)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동안 상기 링크부(400)의 접촉이 최소화 되어 장시간 운동 시 편의성을 증가시켜준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체운동기구(120)는 상기 링크부(400) 및 상기 관절부(500)를 탈착하여 상기 발판부(300)의 다른 측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부(400) 및 상기 관절부(500)는 해당 사용자의 다리 사이, 즉 다리의 안쪽에 각각 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링크부(400)의 높이는 해당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적합한 착용감을 찾기위해 상기 링크부(400) 및 상기 관절부(500)를 탈착하여 상기 발판부(300)의 측면뿐만아니라 전방 및 후방에 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링크부(400)의 일단이 상기 발판부(300)의 전방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링크부(400) 및 상기 관절부(500)는 해당 사용자의 다리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링크부(400)의 일단이 상기 발판부(300)의 후방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링크부(400) 및 상기 관절부(500)가 해당 사용자의 다리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부(400) 및 상기 관절부(500)는 해당 사용자의 다리 주위에 해당 사용자의 착용감이나 운동효과에 따라 위치를 조정하면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링크(411) 및 상기 제3 링크(412)가 형성하는 구조물과 상기 제2 링크(421) 및 상기 제4 링크(422)가 형성하는 구조물이 서로 분리되어 각각이 서로 다른 다리를 지탱하므로 해당 사용자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체운동기구(120)는 상기 링크부(400)가 서로 분리되므로 해당 사용자의 신체 및 상기 발판부(300)와 분리되면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장점이 있어 휴대성이 증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체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하체운동기구(140)는 측면지지부(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유닛(410) 및 상기 제2 링크유닛(420)의 다리와 결합하는 위치를 제외하고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하체운동기구(12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체운동기구(140)는 측면지지부(8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측면지지부(800)는 제1 로드(810) 및 제2 로드(820)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지지부(800)는 상기 링크부(400)의 양쪽 측면에 상기 지지부(200)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링크부(400)의 일단은 상기 발판부(30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링크부(400)의 타단은 상기 측면지지부(800)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로드(810)는 상기 지지부(200)에서 상부로 로드 형태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로드(810)의 끝단은 상기 제2 링크(421)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로드(820)는 해당 사용자의 신체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로드(810)와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링크(412)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 링크유닛(410)은 해당 사용자의 오른쪽 다리 바깥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로드(82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2 링크유닛(420)은 해당 사용자의 왼쪽 다리 바깥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로드(81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하체운동기구(140)는 상기 링크부(400)를 상기 측면지지부(800)에 탈착하는 것으로 설치가 완료될 수 있어 휴대성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400)가 상기 측면지지부(800)와 결합하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발판부(300)의 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400)의 타단이 상기 측면지지부(80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해당 사용자의 상체가 하부로 주저앉는 것을 방지하므로 노약자나 재활운동을 하는 사용자들이 운동 중 피로나 사고에 의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하체운동기구(100)는 상기 지지부(200)에 상기 제1 가이드레일(220)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230)이 형성되어 상기 하체운동기구(100)의 균형을 유지시키고 슬라이딩 운동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하체운동기구(100)는 해당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배치되어 해당 사용자가 앉았다 일어섰다의 동작을 하는 동안 상기 착석부(60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링크부(400)와 상기 관절부(500)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관절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체운동기구(120)는 상기 링크부(400)가 서로 분리가 되어 휴대성이 증가하고 해당 사용자의 다리 사이 공간이 증가하여 운동 중 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400)의 위치는 상기 발판부(300)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어 해당 사용자의 운동취향이나 신체적 조건에 따라서 상기 링크부(40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체운동기구(140)는 상기 링크부(400)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기 측면지지부(800)가 형성되어 관절에 문제가 있는 환자나 노약자들이 운동하는 동안 측면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체운동기구는 가정, 헬스장 및 병원에서 운동을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0, 120, 140: 하체운동기구 200: 지지부
300: 발판부 400: 링크부
500: 관절부 600: 착석부
700: 고정부 800: 측면지지부

Claims (10)

  1. 하부에 형성되고 양끝단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발바닥과 밀착하는 발판부; 및
    일단이 상기 발판부와 결합하고 상부로 연장되며 복수의 로드들이 관절들을 통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 및 링크부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각각이 상기 지지대의 표면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홈을 형성하며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의 상부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착석부; 및
    상기 발판부와 상기 착석부 사이에 형성되어 급격한 회전 및 충격을 흡수하는 관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링크부는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양쪽 발들이 상기 발판부를 밟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앉았다 일어섰다를 반복하도록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다리가 앞뒤로 벌려지거나 오무려지도록 유도되며 상기 발판부가 상기 지지부의 표면 상에서 왕복이동하고 사용자의 하중이 상기 링크부에 가해지면 상기 링크부가 펼쳐지거나 구부러지며 상기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들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에 각각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 발판과 상기 착석부 사이에 서로 관절을 통해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1 링크유닛; 및
    상기 제2 발판과 상기 착석부 사이에 서로 관절을 통해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2 링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유닛 및 상기 제2 링크유닛 각각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펼쳐지며 상기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유닛과 상기 제2 링크유닛의 끝단은 상기 착석부와 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1 링크유닛과 상기 제2 링크유닛이 상기 착석부를 축으로 회전하여 서로 이격될수록 탄성복원력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의 타단과 다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의 측면에 로드 형태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부 끝단이 상기 링크부의 타단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측면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기구.
KR1020160006200A 2016-01-19 2016-01-19 하체운동기구 KR101768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200A KR101768999B1 (ko) 2016-01-19 2016-01-19 하체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200A KR101768999B1 (ko) 2016-01-19 2016-01-19 하체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778A true KR20170086778A (ko) 2017-07-27
KR101768999B1 KR101768999B1 (ko) 2017-08-16

Family

ID=59427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200A KR101768999B1 (ko) 2016-01-19 2016-01-19 하체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9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814B1 (ko) * 2021-03-18 2022-01-14 최석봉 워킹 운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1675A1 (en) * 2000-05-30 2001-12-06 Firma Ortopedyczna 'medort' S.A. Rehabilitation device for persons with paresis of lower limps enabling them to walk
KR200322633Y1 (ko) * 2003-04-25 2003-08-14 이종대 신체 운동기구
JP5165535B2 (ja) * 2008-11-05 2013-03-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KR101566338B1 (ko) * 2014-11-11 2015-11-05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기구적 메커니즘을 이용한 웨어러블 로봇의 재활기구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814B1 (ko) * 2021-03-18 2022-01-14 최석봉 워킹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999B1 (ko)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7163B2 (en) Leg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US10149999B2 (en) Lower body exercise equipment with upper body pedal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5071119A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CA2254012C (en) Physical exercise device using t-shaped bar
CN101820957B (zh) 下半身锻炼装置
US8007414B2 (en) Exercise machine to train the hamstring group of muscles
US20070275833A1 (en) Tibialis Anterior Strength Training Machine
KR101875338B1 (ko) 무릎관절을 보호하는 안전 스쿼트 운동기구
JP3112700U (ja) 脚部用運動器具
TWI632936B (zh) 蹲立健身器
KR101525225B1 (ko)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
KR101768999B1 (ko) 하체운동기구
US6733429B2 (en) Multi-mode exerciser
US8162810B2 (en) Saddle for exercise equipment and exercise equipment using the same
KR200478393Y1 (ko) 복합 운동기구
JP3179684U (ja) スクワット用運動用具
KR20210018741A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CN107198853B (zh) 深蹲辅助装置
KR101817790B1 (ko) 하체운동보조기구
KR20180093846A (ko) 하지운동기구
KR200477862Y1 (ko) 조절 가능한 스쿼트 운동 기구
CN117482470B (zh) 一种可调式肢体活动康复训练装置
KR102352271B1 (ko) 로잉머신
KR102615717B1 (ko) 자동 및 반자동 기능이 결합된 운동용 침대
KR20210000815U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