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815U -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815U
KR20210000815U KR2020210001075U KR20210001075U KR20210000815U KR 20210000815 U KR20210000815 U KR 20210000815U KR 2020210001075 U KR2020210001075 U KR 2020210001075U KR 20210001075 U KR20210001075 U KR 20210001075U KR 20210000815 U KR20210000815 U KR 202100008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gh
user
arm
seating portion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비
Original Assignee
김은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비 filed Critical 김은비
Priority to KR2020210001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815U/ko
Publication of KR202100008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7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35One or both ends being anchored to a rotat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63B21/2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by overcoming gyroscopic forces, e.g. by turning the spin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08For a single arm or le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42Lying dow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대퇴근 및 둔근을 강화시키는 운동 방법 및 운동장치에 있어서, 운동 동작중에 사용자가 앉거나 눕거나 또는 엎드리는 자세를 취함으로써 반대편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인다. 또한, 아암부의 하단을 발목이나 발바닥이 아닌 허벅지에 두고 다리를 움직임으로써 무릎과 발목 관절로 전달되는 하중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고관절의 가동범위 및 움직이는 방향을 확대시킴으로써 대퇴근과 둔근을 강화하는 운동의 효과를 높인다.

Description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Exercise method and device to preserve ankle and knee joint while exercising upper leg and hip}
*본 고안은 토탈 힙(total hip), 힙 어덕너(Hip adducter), 이너타이(Inner Thigh), 실외용 자전거와 같은 대퇴근 및 둔근 운동에 적합한 운동을 무릎 및 발목 관절을 보호하면서 시행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 아암의 하단을 허벅지에 두고 다리를 움직임으로써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면서 대퇴근 및 둔근을 강화하는 운동 방법 및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운동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의 양쪽 다리 중에 운동을 하지 않는 다리 의 힙 또는 허벅지는 받춰주며 운동하는 다리의 힙 또는 허벅지는 받춰주지 않도록 운동하지 않는 다리의 힙 또는 허벅지에 대응하여 구성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20)에 사용자의 운동하지 않는 다리의 힙 또는 허벅지를 위치시키고 상기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 위에 운동하는 허벅지를 위치시키고 가슴쪽으로 당겨진 시작자세 지점으로부터 운동하는 허벅지를 사용자의 뒤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착석부(20)가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운동 장치는, 착석부(20)와 아암부(10)의 각도를 조절하는 착석부 각도고정장치(116)를 추가로 포함하여 평면도에서 봤을 때 착석부가 아암부를 축으로 수직으로로 조절되었있을 경우,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20)에 앉거나 엎드리거나 등을 기대고 누운 자세에서 상기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 위에 사용자의 허벅지를 위치시키고 사용자의 운동하는 하지가 내전 및 외전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 또는 양쪽 다리를 모았다가 벌리거나 벌렸다가 모으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착석부 각도고정장치(116)가 평면도에서 봤을 때 프레임을 축으로 아암부가 수평으로 조절될 경우 사용자가 상기 운동장치의 착석부(20)에 앉거나 엎드리거나 등을 기대고 누운 자세에서 상기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 위에 사용자의 허벅지를 위치시키고 가슴쪽으로 당겨진 시작자세 지점으로부터 허벅지를 아래로 내리고 뒤로 차는 동작을 시행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를 포함한다.
대퇴근 및 둔근은 우리 몸에 있는 근육의 1/3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서 이 부위의 근육을 늘리면 당뇨병 등의 위험을 줄고 비만을 막으며 중년 이후의 건강을 증진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신체를 미적으로 가꾸고 운동선수의 스포츠 능력 향상에 이바지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대퇴근 및 둔근을 강화하는 운동은 발목과 무릎관절에 하중이 가해져 무릎 퇴행성관절염, 연골연화증 등은 근력 운동자에게 흔한 질환이다. 또한, 고연령층 및 비만 인구 등 무릎 및 발목관절이 약한 운동자가 실시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무릎 및 관절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면서 대퇴 및 둔근을 단련할 수 있는 운동장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대퇴근 및 둔근을 강화하는 운동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를 골반을 축으로 하여 가슴 쪽으로 당겼다가 바깥으로 미는 방향으로 실시된다. 그러나 기존 운동 방법 및 운동장치는 발목 또는 무릎에 하중이 그대로 전달되므로 무릎 관절과 발목 관절에 손상을 줄 수 있고 무릎 관절 및 발목 관절이 약한 사용자가 실행하기에 부적합하고 가동 범위 및 움직이는 방향이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중량체(weight)와 연결된 운동기구의 발판 또는 발걸이대를 운동하는 다리의 허벅지에 위치시키고 사용자가 앉거나 눕거나 엎드린 자세에서 운동하는 다리를 가슴쪽으로 들었다가 뒤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함으로써 무릎과 발목으로 전달되는 힘이 감소하도록 구성하고 하지의 가동범위 및 움직이는 방향을 확대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대퇴근 및 둔근은 고관절의 신전(extension) 뿐 아니라 외전(abductionn), 내전(adduction) 운동을 모두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운동 기구는, 하지의 운동 방향을 사용자가 변환하는 프레임과 착석부 지지부 각도조절장치(34), 아암연결부와 프레임 각도조절장치(39), 착석부와 착석부지지부 각도조절장치(40) (이하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사용자의 하지가 신전되는 방향(20a)으로 회전이 가능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도 각도조절장치는 사용자의 하지가 내전 및 외회전의 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하도록(20b)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특허 제 10-1969283호, 특허 제 10-1952412호, 특허 제 10-2000626, 미국 특허공보 US5746688호, 특허공보 US5135457, 미국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1/0301002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6481호,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4478208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266958호는 관련 기술분야의 운동기구에 대한 종래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퇴근 및 둔근을 강화하는 운동은 도 1과 같이 골반을 축으로 하여 다리를 가슴 쪽으로 당겼다가 바깥으로 미는 방향으로 실시된다. 이때 운동 강도를 높일 경우 무릎관절 및 발목관절에 부담이 가게된다. 그러나 기존 운동 기구는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아암부와 일체로 형성된 발걸이대가 발목 또는 발바닥에 위치하고 있어 퇴행성 무릎질환 등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고, 무릎관절 및 발목 관절이 약한 사용자는 운동기구를 이용하기에 부적합하였다.
또한, 일반 자전거의 경우,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고관절 가동범위가 자전거 페달과 연결된 크랭크가 회전하는 원의 이동반경으로 제한되어 있어 사용자의 고관절 가동범위에 비교하여 비교적 적은 구간에서만 운동이 의 반복으로 이루어져 대퇴근 및 둔근의 활용면에서 운동 효율성이 제한적이라고 볼 수 있다.
본 고안은 대퇴근 및 둔근을 강화시키는 운동 방법 및 운동장치에 있어서, 운동 동작중에 사용자가 앉거나 눕거나 또는 엎드리는 자세를 취함으로써 반대편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인다. 또한, 아암부의 하단을 발목이나 발바닥이 아닌 허벅지에 두고 다리를 움직임으로써 무릎과 발목 관절로 전달되는 하중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고관절의 가동범위 및 움직이는 방향을 확대시킴으로써 대퇴근과 둔근을 강화하는 운동의 효과를 높인다.
무릎관절이나 발목관절이 약한 사용자 또는 이러한 관절의 무리 없이 대퇴근 및 둔근을 강화하고자 하는 운동자가 이 사건 출원고안의 운동장치로 대퇴근 및 둔근 강화 운동을 할 경우, 상기 근육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는 당뇨병 등의 위험을 줄이며 비만을 막고 중년 이후의 건강을 증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운동장치에 의하면, 신체를 미적으로 가꾸는데 도움을 주고 운동선수가 무릎 및 발목 관절에 무리 없이 스포츠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이바지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시상면 고관절 가동범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자전거 크랭크 가동범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착석부 손잡이(12)가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설명도;
도 4는 사용자가 좌측 하지를 내전 및 모으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착석부(20)를 평면도에서 봤을 때 아암부와 수직인 상태로 조정하고 아암부의 시작 구간을 좌측으로 설정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설명도;
도 5는 사용자가 우측 하지를 내전 및 모으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착석부(20)를 평면도에서 봤을 때 아암부와 수직인 상태로 조정하고 아암부의 시작 구간을 우측으로 설정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설명도;
도 6은 사용자가 좌측 하지를 신전 및 아래로 내리고 뒤로 차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착석부(20)를 평면도에서 봤을 때 아암부와 평행인 상태로 조정하고 아암부의 시작 구간을 좌측으로 설정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설명도;
도 7은 사용자가 상기 운동장치의 상기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에 사용자의 등을 위치시키고 누운 자세에서 상기 허벅지걸이대를 골반 위에 위치시키고 무릎은 구부려 양 발을 지면에 부착하고 허리를 90도로 구부린 시작자세에서 180도로 펴는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착석부(20) 와 아암연결부의 높이가 조절되고, 착석부가 아암부와 수직상태로 조절된 모습을 보여주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운동장치의 설명도;
도 8은 착석부 고정 장치가 마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설명도.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또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고안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대퇴근 및 둔근 운동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일반적인 시상면 고관절 가동범위와 자전거 크랭크 가동범위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착석부 손잡이(12)가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사용자가 좌측 하지를 내전 및 모으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착석부(20)를 평면도에서 봤을 때 아암부와 수직인 상태로 조정하고 아암부의 시작 구간을 좌측으로 설정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사용자가 우측 하지를 내전 및 모으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착석부(20)를 평면도에서 봤을 때 아암부와 수직인 상태로 조정하고 아암부의 시작 구간을 우측으로 설정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사용자가 좌측 하지를 신전 및 아래로 내리고 뒤로 차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착석부(20)를 평면도에서 봤을 때 아암부와 평행인 상태로 조정하고 아암부의 시작 구간을 좌측으로 설정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사용자가 상기 운동장치의 상기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에 사용자의 등을 위치시키고 누운 자세에서 상기 허벅지걸이대를 골반 위에 위치시키고 무릎은 구부려 양 발을 지면에 부착하고 허리를 90도로 구부린 시작자세에서 180도로 펴는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착석부(20) 와 아암연결부의 높이가 조절되고, 착석부가 아암부와 수직상태로 조절된 모습을 보여주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운동장치의 설명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는 사용자가 앉거나 눕거나 또는 엎드리는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착석부(20), 아암연결부(33), 시상면(신체를 좌우로 나누는 면: sagittal)에서 볼 때, 아암(100)의 회동축(44)으로서 착석부의 후방 하단에 배치되는 아암부의 회동축(44), 상기 아암연결부(3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아암부(32), 및 상기 아암부(32)의 하단부근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채 사용자의 허벅지에 걸쳐지는 허벅지 걸이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장치는 상기 착석부(20)에 사용자의 몸을 위치시키고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허벅지걸이대(56)를 허벅지 뒤에 위치시키고 사용자가 다리를 아래로 내리고 뒤로 차는 동작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무릎관절 및 발목관절을 보호하며 대퇴근과 둔근을 단련하도록 것이다. 자세한 구성은 도면에 도시되고 있으며,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설명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는, 상기 아암부(32)의 회동에 대하여 저항력을 생성하는 저항력 생성부와 저항력 생성부를 프레임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도 3, 4, 5,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저항력 생성부는 하중블록(71)을 구비할 수 있다. 아암부의 회동에 대하여 저항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하중블록(71)은 아암(100)의 회동에 따라 회동축(4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회전 롤러 및 상기 롤러를 지지하며 둘러싸고 있는 롤러 베이스를 구비하는 아암 연결부(33)에 와이에 의해 연결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는, 도 3, 4, 5,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에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를 구비한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된 상기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는 사용자가 허벅지를 내전 또는 외전 또는 도 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슴쪽으로 당겨진 시작자세 지점으로부터 운동하는 허벅지를 사용자의 뒤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할 때 사용하지 않는 다리의 발을 받쳐주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운동장치의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에 사용자의 등을 위치시키고 누운 자세에서 상기 허벅지걸이대를 골반 위에 위치시키고 무릎은 구부려 양 발을 지면에 부착하고 허리를 90도로 구부린 시작자세에서 180도로 펴는 동작(힙 브릿지)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등을 받춰주도록 마련된다. 이에 더하여, 도 3, 4, 5, 6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는 상기 착석부(20)의 방향을 평면도에서 봤을 때 아암부와 평행 하게 또는 수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착석부 각도 고정창치(116)가 선택적으로 마련된다.
상기 착석부 각도 고정장치(116)는 상기 착석부(20) 일단에 마련된 롤러, 프레임에 연결된 롤러 베이스, 고정스크루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우측 하지를 신전 및 아래로 내리고 뒤로 차는 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의 회전에의해 상기 착석부(20)를 좌측 하지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으로 회전시키고 고정스크루로 고정하여 사용자가 좌측 하지를 상기 착석부에 위치시키고 앉거나 눕거나 엎드린 자세에서 우측하지를 가슴쪽으로 당긴 시작 자세에서 아래로 내리고 뒤로 차는 동작을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좌측하지를 신전 및 아래로 내리고 뒤로 차는 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 상기 롤러의 회전에의해 상기 착석부(20)가 사용자의 우측 하지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아암부와 평행되게 회전시키고 고정스크루로 고정하여 사용자가 우측 하지를 상기 착석부에 위치시키고 앉거나 눕거나 엎드린 자세에서 좌측하지를 가슴쪽으로 당긴 시작 자세에서 아래로 내리고 뒤로 차는 동작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 각도 고정장치(116)는 상기 착석부 각도고정장치(116)가 상기 아암부(32)와 상기 착석부(20)의 각도를 평면도에서 봤을 때 착석부를 축으로 수직로 조절되어있을 경우,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20)에 앉거나 엎드리거나 등을 기대고 누운 자세에서 상기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 위에 사용자의 허벅지를 위치시키고 사용자의 운동하는 하지가 내전 및 외전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 또는 양쪽 다리를 모았다가 벌리거나 벌렸다가 모으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도 3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 각도고정장치(116)가 상기 아암부(32)와 상기 착석부(20)의 각도가 평면도에서 봤을 때 착석부를 축으로 평행하게 조절되어있을 경우 사용자가 상기 운동장치의 착석부(20)에 앉거나 엎드리거나 등을 기대고 누운 자세에서 상기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 위에 사용자의 허벅지를 위치시키고 가슴쪽으로 당겨진 시작자세 지점으로부터 허벅지를 아래로 내리고 뒤로 차는 동작을 시행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더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는 상기 착석부 각도고정장치(116)가 상기 아암부(32)와 상기 착석부(20)의 각도를 평면도에서 봤을 때 착석부를 축으로 수직로 조절되었있을 경우, 사용자가 상기 운동장치의 상기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에 사용자의 등을 위치시키고 누운 자세에서 상기 허벅지걸이대를 골반 위에 위치시키고 무릎은 구부려 양 발을 지면에 부착하고 허리를 90도로 구부린 시작자세에서 180도로 펴는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아암의 회동의 시작 구간을 고정하는 아암 시작 구간 고정수단(45)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좌측 하지를 운동할 경우 우측으로 시작 구강이 조정되고, 사용자가 우측 하지를 운동하고자 할 경우, 아암 회동의 시작구간이 좌측으로 설정되며 사용자가 운동시작 구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도3, 4,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의 높이및 아암연결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착석부 높이 조절장치(24)와 아암연결부 높이 조절장치(115)가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운동장치의 상기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에 사용자의 등을 위치시키고 누운 자세에서 상기 허벅지걸이대를 골반 위에 위치시키고 무릎은 구부려 양 발을 지면에 부착하고 허리를 90도로 구부린 시작자세에서 180도로 펴는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착석부의 높이 및 아암연결부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조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아암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아암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아암길이 고정수단(52)가 추가적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착석부(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의 좌측과 우측 단면에 사용자의 허벅지의 양 옆에 대응하여 패드를 추가로 구성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 하지를 내전하거나 모으는 동작을 하고자하는 경우 상기 착석부의 좌측 단면에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응하여 구성된 패드를 사용하며; 사용자가 좌측하지를 외전하거나 벌리고자 하는 경우 상기 착석부의 우측 단면에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응하여 구성된 패드를 사용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우측 하지를 내전하거나 모으는 동작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착석부의 좌측 단면에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응하여 구성된 패드를 사용하며; 사용자가 우측 하지를 외전하거나 벌리는 동작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착석부의 좌측 단면에 허벅지에 대응하여 구성된 패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착석부의 좌측 과 우측 단면에 사용자의 허벅지 양 옆에 대응하여 패드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착석부의 좌측 과 우측에 사용자의 허벅지 양 옆에 대응하여 구성된 패드는 접었다가 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길이 및 높이 조절장치는 슬라이딩부, 베이스프레임 및 고정스크루로 구성될 수 있다.
10 : 프레임
12 : 착석부 손잡이
14 : 지면 지지대
17 : 착석부 지지부
20 : 착석부
20aa: 착석부의 좌측하지 내전모드
20ab: 착석부의 좌측하지 외전모드
20ac: 착석부의 우측하지 내전모드
20ad: 착석부의 우측하지 외전모드
20ba: 착석부의 우측하지 신전모드
20bb: 착석부의 좌측하지 신전모드
20c: 착석부의 힙브릿지모드
21: 착석부 베이스
22 : 착석부 슬라이딩부
23 : 착석부 고정 스크류
24 : 착석부 높이 조절 장치
25 : 착석부 걸이대
31: 착석부 좌우 조절장치
32 : 아암부
33 : 아암 연결부
38 : 착석부 고정수단
41 : 착석부 아암 연결대
42 : 아암 고정부
45 : 아암회동시작구간 조절수단
46 : 아암베이스와 일체의 회전판
47 : 아암 고정부와 일체의 케이싱
52 : 아암 길이 고정 수단
53 : 아암 베이스프레임
54 : 아암 슬라이딩부
55 : 아암 고정 스크류
57 : 허벅지 걸이대
64 :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
65 :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 방향 조절 장치
66 :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 높이 고정수단
71 : 하중블록
114 : 전면부 손잡이
115 : 아암연결부 높이 조절장치
116: 착석부 각도 고정장치

Claims (2)

  1.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운동장치에서,
    프레임(10);
    사용자가 앉거나 엎드리거나 등을 기대고 누울 수 있는 자세를 제공하는 착석부(20);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착석부를 지지하는 착석부 지지부(17);
    상기 착석부지지부(17)에 연결된 아암연결부(33);
    상기 아암연결부(3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아암부(32);
    상기 아암부(3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채 사용자의 허벅지 후면에 걸쳐지는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및
    상기 착석부(20)와 상기 아암부(32)의 각도를 조절하는 착석부 각도고정장치(116)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착석부 각도고정장치(116)가 상기 아암부(32)와 상기 착석부(20)의 각도를 평면도에서 봤을 때 착석부를 축으로 수직로 조절되었있을 경우,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20)에 앉거나 엎드리거나 등을 기대고 누운 자세에서 상기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 위에 사용자의 허벅지를 위치시키고 사용자의 운동하는 하지가 내전 및 외전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 또는 양쪽 다리를 모았다가 벌리거나 벌렸다가 모으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착석부 각도고정장치(116)가 상기 아암부(32)와 상기 착석부(20)의 각도가 평면도에서 봤을 때 착석부를 축으로 평행하게 조절되어있을 경우 사용자가 상기 운동장치의 착석부(20)에 앉거나 엎드리거나 등을 기대고 누운 자세에서 상기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 위에 사용자의 허벅지를 위치시키고 가슴쪽으로 당겨진 시작자세 지점으로부터 허벅지를 아래로 내리고 뒤로 차는 동작을 시행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는
    상기 착석부 각도고정장치(116)가 상기 아암부(32)와 상기 착석부(20)의 각도를 평면도에서 봤을 때 착석부를 축으로 수직로 조절되었있을 경우,
    사용자가 상기 운동장치의 상기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에 사용자의 등을 위치시키고 누운 자세에서 상기 허벅지걸이대를 골반 위에 위치시키고 무릎은 구부려 양 발을 지면에 부착하고 허리를 90도로 구부린 시작자세에서 180도로 펴는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등을 받춰주도록 마련된 허벅지 또는 등 걸이대(64)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KR2020210001075U 2021-04-05 2021-04-05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008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075U KR20210000815U (ko) 2021-04-05 2021-04-05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075U KR20210000815U (ko) 2021-04-05 2021-04-05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870A Division KR20210018741A (ko) 2016-12-05 2019-08-09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15U true KR20210000815U (ko) 2021-04-14

Family

ID=75464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075U KR20210000815U (ko) 2021-04-05 2021-04-05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81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0131A (en) Back muscle exercising and stretching apparatus
US10149999B2 (en) Lower body exercise equipment with upper body pedal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625113B2 (en) Upper leg and hip exercise method and device to preserve knee and ankle joint while exercising
US8905906B2 (en) Adaptor for converting conventional office chair into a multifunctional office/fitness chair
TW200841905A (en) Exercise machine
KR20230001757U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190141099A (ko) 다리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US6432029B1 (en) Exercise assembly
KR20210018741A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00815U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11660499B2 (en) Upper leg and hip exercise method and device to preserve knee and ankle joint while exercising
JPWO2007144945A1 (ja) エクササイズ装置
KR20100049462A (ko) 다기능 실버용 복합 운동기구
KR101768999B1 (ko) 하체운동기구
CN201500415U (zh) 俯卧式健身器
KR102107943B1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02751U (ko)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11660498B2 (en) Upper leg and hip exercise method and device to preserve knee and ankle joint while exercising
KR20210035699A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200142649A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01877U (ko)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200119437A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100137038A (ko) 하체운동을 통한 고관절의 근력 및 근지구력과 유연성을 향상시켜 잘못된 자세로 인한 몸의 불균형을 바로 잡아주는 방법.
US20230381581A1 (en) Exercise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