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5942A -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 실드 판, 및 실드 유닛 - Google Patents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 실드 판, 및 실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5942A
KR20170085942A KR1020160141848A KR20160141848A KR20170085942A KR 20170085942 A KR20170085942 A KR 20170085942A KR 1020160141848 A KR1020160141848 A KR 1020160141848A KR 20160141848 A KR20160141848 A KR 20160141848A KR 20170085942 A KR20170085942 A KR 20170085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hield
chamber
cylinder
pressur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954B1 (ko
Inventor
히로키 하레마키
?지 오타니
šœ지 오타니
세이코 기노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기노 마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기노 마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기노 마신
Publication of KR20170085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atch coating of substrate
    • C23C2/00322Details of mechanisms for immersing or removing substrate from molten liquid bath, e.g. basket or lifting mechanis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04Cleaning containers having tubular shape, e.g. casks, barrels, drums
    • B08B9/0813Cleaning containers having tubular shape, e.g. casks, barrels, drum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32Shielding elements, i.e. elements preventing overspray from reaching areas other than the object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6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specially designed for treat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 B05B13/0627Arrangements of nozzles or spray head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 B05B13/0636Arrangements of nozzles or spray head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by means of rotatable spray head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7/00Methods preventing fou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18After-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2200/00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7/0043Arrangements of mechanical drive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ating By Spraying Or Cast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다기통 엔진의 크랭크실의 내면에 부착된 과잉 용사 피막을 제거하기 위한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로서, 제1의 소실에 삽입되어서, 제1의 소실과 연통하는 실린더 보어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고압수를 선단 방향으로 분사하는 회전 가능한 노즐과, 제1의 소실과 서로 이웃하는 제2의 소실에 연통구멍을 면하도록 하여 삽입되고, 제2의 소실과 연통하는 실린더 보어의 내면에 용사된 용사 피막을 고압수로부터 보호하는 실드를 구비하고, 실드는, 연통구멍에 면하는 영역에, 노즐로부터 분사되고 연통구멍을 통과한 고압수를 막는 차단부를 가진다.

Description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 실드 판, 및 실드 유닛{EXCESS SPRAYED COATING REMOVAL DEVICE, SHIELD PLATE, AND SHIELD UNIT}
본 발명은, 엔진의 크랭크실 내에 부착된 과잉의 용사 피막을 제거하는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와 이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의 일부로서 이용되는 실드 판 및 실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실린더 보어(cylinder bore)에 철계 용사 피막을 형성한 알루미늄제의 실린더 블록이 알려져 있다. 실린더 보어에 용사 피막을 형성할 때에 크랭크실 내에도 용사 피막이 부착된다. 크랭크실 내에 부착된 용사 피막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이 용사 피막(이하, 과잉 용사 피막이라고 한다)을 제거하는 것이 요구된다. 크랭크실 내에 부착된 과잉 용사 피막을 물 분사 노즐로부터의 물 분사에 의해서 제거하는 방법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물 분사 노즐은, 선단측에 마련하고 있는 저압 분사의 제1의 분사구와, 고압 분사의 제2의 분사구를 각각 구비하고, 제1의 분사구로부터의 저압 분사에 의해 워터 커튼(water curtain)을 형성하고, 제2의 분사구로부터의 고압 분사에 의해 과잉 피막을 제거하는 구성이다.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저압 분사의 워터 커튼에 의해 고압 분사의 물이 실린더 보어에 형성된 용사 피막으로 향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용사 피막의 박리가 방지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303439호
그런데, 실린더 블록의 크랭크실의 내면에는 요철이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고압수를 노즐의 축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수평 방향)으로 분사하는 구성에서는, 크랭크실의 오목부에 대해서 고압수가 닿지 않는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서는 크랭크실의 오목부에 부착되어 있는 과잉 용사 피막을 제거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수의 방향을, 수평 방향보다 약간 선단(先端) 방향으로 경사시키면 좋지만, 노즐의 분사 방향을 수평 방향보다 선단 방향으로 경사시키면, 다음에 말하는 새로운 과제가 발생한다.
즉, 크랭크실은, 예를 들면 실린더 보어마다 격벽에 의해서 구획된 복수의 소실(小室, 작은 방)이 형성되어 있고, 격벽에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시에 크랭크실 내의 압력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연통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즐의 분사 방향을 선단 방향으로 경사시킨 경우,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수가 연통구멍을 통과하여 이웃하는 실린더 보어에 충돌하는 것에 의하여, 근처의 실린더 보어에 형성된 용사 피막이 박리되어 버리는 등의 새로운 과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실린더 보어에 형성된 용사 피막의 박리를 방지하면서, 엔진의 크랭크실 내에 부착된 과잉 용사 피막을 보다 확실히 제거할 수 있는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와, 이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의 일부로서 이용되는 실드 판 및 실드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대표적인 본 발명은, 직렬로 또는 수평 대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와, 상기 실린더 보어마다 실내가 격벽으로 구획되어서 복수의 소실이 형성된 크랭크실을 가지고, 상기 격벽에 마련된 연통구멍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는 상기 소실이 연통하도록 구성된 다기통 엔진의 상기 크랭크실의 내면에 부착된 과잉 용사 피막을 제거하기 위한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소실 중 제1의 소실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의 소실과 연통하는 상기 실린더 보어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고압수를 선단 방향으로 분사하는 회전 가능한 노즐과, 상기 복수의 소실 중 상기 제1의 소실과 서로 이웃하는 제2의 소실에 상기 연통구멍을 면하도록 하여 삽입되고, 상기 제2의 소실과 연통하는 상기 실린더 보어의 내면에 용사된 용사 피막을 고압수로부터 보호하는 실드를 구비하고, 상기 실드는, 상기 연통구멍에 면하는 영역에,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고 상기 연통구멍을 통과한 고압수를 막는 차단부(block portion)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린더 보어에 형성된 용사 피막의 박리를 방지하면서, 엔진의 크랭크실 내에 부착된 과잉 용사 피막을 보다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과제, 구성 및 효과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서 명백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는, 직렬 다기통 엔진의 크랭크실 내에 부착한 과잉 피막을 제거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10)의 노즐(30)을 도립(倒立)시킨 실린더 블록(100)에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의, 노즐(30)의 회전축(22)을 통과하는 단면으로 절단한 종(縱)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선단측」은 도 1에 있어서의 하측을 가리키고, 「기단측(基端側)」은 도 1의 상측을 가리킨다.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10)는, 크랭크실(107)의 격벽(101)으로 구획된 각각의 공간(소실)(108)에, 노즐(30)을 삽입하고, 노즐(30)의 분사구(35)로부터 분출되는 분류(噴流)(J1)에 의해서, 크랭크실(107)에 부착하는 과잉 용사 피막(미도시)을 제거한다.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10)는, 터릿(turret)식의 세정 장치의 일부로서 적용할 수 있다. 터릿식의 세정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3011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58479호에 개시되어 있는 세정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10)는, 직교 3축형 이동 장치(미도시)에 마련된 터릿(주축대)(11)을 구비하고 있다. 직교 3축형 이동 장치는, 예를 들면 수치제어 장치에 의해서 제어된다. 터릿(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주축(12)이 마련되어 있다. 주축(12)은,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주축(12)의 선단부에, 수용부(12a)가 마련된다. 수용부(12a)는, 도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ㄷ자 형상 단면의 홈 형상을 이루고 있다. 수용부(12a)는 후술하는 노즐 지지 부재(16)의 걸어맞춤부(16a)와 걸어맞춤하고, 노즐 지지 부재(16)와 주축(12)을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가진다.
터릿(11)에, 회전축(22)을 중심으로 원통 형상의 하우징(13)이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3)은, 원통 구멍(13b)을 구비한다. 원통 구멍(13b)에, 베어링(14), 후술하는 패킹(15)과 노즐 지지 부재(16)가 삽입된다. 노즐 지지 부재(16)는, 베어링(14)으로 하우징(1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노즐 지지 부재(16)는, 서로 다른 지름의 부재인 걸어맞춤부(16a), 축(16b), 플랜지(16c)를 동일축 상에 일체적으로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걸어맞춤부(16a)는, 이중 모따기(double chamfered) 또는 키(key)이며, 그 양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16a)의 양 평면이 약간의 간극을 가지고 수용부(12a)에 끼워져 지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주축(12)의 회전에 수반하여, 노즐 지지 부재(16)가 회전한다. 플랜지(16c)는 원판 형상을 이루고, 수용부(16d)와 나사 구멍(16e)을 가진다. 수용부(16d)는, 노즐(30)의 돌기부(33b)와 끼워맞춤되는 원통 구멍이다.
원통 구멍(13b)에는, 패킹(15)이 마련되어 있다. 패킹(15)은, 중공(中空) 원통 형상을 이루고, 그 외주 중앙부에 직사각형 단면의 원주 홈(15a)이 마련되어 있다. 패킹(15)의 내주 중앙부에도 직사각형 단면의 원주 홈(15c)이 마련되어 있다. 패킹(15)에는, 원주 홈(15a)과 원주 홈(15c)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15b)이 적어도 1개 마련되어 있다. 패킹(15)은, 하우징(13)과 노즐 지지 부재(16)의 사이를 밀봉하고, 또한, 후술하는 유로(19)와 유로(24)를 연통한다. 패킹(15)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혹은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세정액 공급 장치(17)는, 10 ~ 80 MPa, 바람직하게는 30 ~ 50 MPa의 세정액을 공급한다. 세정액 공급 장치(17)는, 피스톤 펌프를 선택할 수 있다. 세정액 공급 장치(17)는, 도시하지 않은 세정액 탱크에 저장되는 세정액을 토출한다. 세정액은, 알칼리성 또는 중성의 수용성 세정액, 또는 유성(油性) 세정액을 이용할 수 있다.
밸브(18)는, 세정액 공급 장치(17)로부터 공급된 세정액을 터릿(11)으로 송액할지, 차단할지를 전환시킨다. 밸브(18)는, 예를 들면 전자 개폐식의 실린더 밸브를 이용할 수 있다. 밸브(18)의 개폐는, 예를 들면 수치제어 장치에 의해서 자동 제어 된다. 밸브(18)는, 세정액을 차단할 때에, 세정액을 세정액 탱크로 되돌리는 유로 전환 밸브로서 구성할 수 있다.
유로(19)는, 터릿(11)과 하우징(13)을 통해서 마련된다. 유로(19)는, 패킹(15)의 원주 홈(15a)에 연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유로(24)는, T자 형상을 이루고, 노즐 지지 부재(16)의 내부에 마련된다. 유로(24)의 한쪽단은, 수용부(16d)로 관통하고 있다. 유로(24)의 다른쪽단은, 패킹(15)의 원주 홈(15c)으로 개구하고 있다. 유로(19)와 유로(24)는, 원주 홈(15a, 15c)과 관통 구멍(15b)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원주 홈(15a, 15c)은 세정액을 원주 방향으로 분배한다.
노즐(30)은, 플랜지(33a)와, 축체(軸體)(33)를 구비한다. 플랜지(33a)는, 원판 형상을 이룬다. 플랜지(33a)에는, 관통 구멍(32a)과, 돌기부(33b)가 마련된다. 노즐(30)은, 관통 구멍(32a)에 삽입된 볼트(21)에 의해서 노즐 지지 부재(16)의 플랜지(16c)에 고정된다. 플랜지(33a)에 마련된 돌기부(33b)는, 노즐 지지 부재(16)의 수용부(16d)에 끼워맞춤되어 삽입된다. 노즐(30)은, 돌기부(33b)가 수용부(16d)에 끼워맞춤되고, 플랜지(33a)와 플랜지(16c)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정확하게 노즐 지지 부재(16)에 고정된다.
또한, 노즐(30)은, 상술한 구성 대신에, 플랜지(33a)를 구비하지 않는 봉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 지지 부재(16)는 플랜지(16c) 대신에 콜릿(collet)을 구비한다. 그리고 봉 형상의 노즐(30)은, 콜릿에 의해서 노즐 지지 부재(16)에 고정해도 좋다.
축체(33)는 회전축(22)을 따라서 연장된 봉 형상체며, 바람직하게는 가늘고 긴 원기둥 형상을 이룬다. 축체(33)의 중심에 유로(34)가 마련되어 있다. 유로(34)는 축체(33)의 선단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유로(34)는 노즐 지지 부재(16)의 유로(24)와 접속한다.
축체(33)의 선단부에는, 경사 선단 방향으로 기울어져 분사구(35)가 마련된다. 분사구(35)는, 유로(34)와 연통하고 있다. 노즐(30)의 분사 각도, 즉 분사구(35)의 중심축(31)과 노즐(30)의 회전축(22)과 직교하는 수평축(32) 사이의 각도(θ1)는, 10°이상 25°이하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분사 각도(θ1)를 이 범위로 설정한 것은, 크랭크실(107) 내의 실린더 보어(104)측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10) 및 오일 제트 장치 장착 시트(111)의 주위 등의 단차부(112)(도 2 참조)에 부착한 과잉 용사 피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실린더 보어(104) 내에 형성된 용사 피막(105)의 박리를 방지하는데 적합한 각도이기 때문이다. 또한, 분사구(35)로부터 분출되는 분류(J1)는, 중심축(31)을 따라서 원통 형상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축체(33)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사각형 등이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축체(33)의 중심(重心)이 회전축(22)과 동일축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터릿(11)에는, 회전축(22)에 대해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한 쌍의 격벽 실드(실드)(71, 72)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터릿(11)이 이동하면, 격벽 실드(71, 72)도 터릿(11)과 일체로 이동한다. 따라서, 노즐(3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그 이동에 수반하여 격벽 실드(71, 72)도 이동한다.
격벽 실드(71)는, 노즐(30)의 분사구(35)로부터의 분류(J1)를 막아내는 실드 판(71a)과, 실드 판(71a)을 보강하는 보강판(71b, 71c)으로 이루어진다. 실드 판(71a)은, 실린더 블록(100)의 좌우 방향(도 1의 지면(紙面)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역 L자 형상으로 절곡된 판으로서, 연통구멍(103)의 가로폭(D)보다 큰 단변(Y1)(도 2 참조)과 노즐(30)의 길이를 초과하는 장변(X1)을 가지는 형상을 이루고, 노즐(30)의 수평축(32)을 따라서 노즐(30)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실드 판(71a)의 선단부에는, 노즐(30)의 방향을 향하도록 굴곡된 굴곡 선단부(71a1)가 마련되고, 이 굴곡 선단부(71a1)의 약간 기단측(상측)에 분류(J1)와 충돌하여 분류(J1)를 막는 차단부(71a2)가 형성된다. 이 차단부(71a2)는, 실드 판(71a) 중 연통구멍(103)과 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실드 판(71a)은, 노즐(30)이 실린더 보어(104)의 보어 중심(106)을 따라서 하단 부근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격벽(101)에 마련된 연통구멍(103)을 공간(108)의 이웃 공간(108a)측으로부터 덮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요구되는 분류(J1)의 압력 등의 조건 여하에 따라서는, 굴곡 선단부(71a1, 72a1)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실드 판(71a)의 중앙부는, 차단부(71a2) 이외의 부분이 비어있어도 좋다. 비어있는 경우, 실드 판(71a)의 경량화가 도모된다.
차단부(71a2)는, 실드 판(71a) 또는 실드 판(72a)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차단부(71a2)는, 분류의 충돌에 의해서 침식된다. 차단부(71a2)는, 평판 형상 외에, 평면에서 보아 중앙부가 노즐(30)의 방향으로 향하여 융기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선단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노즐(30)로부터 멀어지도록 차단부(71a2)의 표면을 경사시켜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차단부(71a2)에 충돌한 분류는, 노즐(30)의 선단 방향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차단부(71a2)의 마모량이 분산되고, 차단부(71a2)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차단부(71a2)는, 예를 들면 볼트에 의해서 실드 판(71a)에 고정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실드 판(71a)은, 차단부(71a2)의 지지 부재로서 작용한다. 이 경우, 지지 부재인 실드 판(71a)은, 노즐(30)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2개의 빔(beam)이라도 좋다. 보강판(71b, 71c)은 마련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차단부(71a2)는 또한, 실드 판(71a)보다 두께를 가지고 구성할 수 있다. 차단부(71a2)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재로 구성해도 좋다.
보강판(71b)은, 실드 판(71a)의 상부의 절곡부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한다. 보강판(71c)은, 실드 판(71a)의 외측에, 노즐(30)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보강판(71b), 보강판(71c)은 실드 판(71a)의 가로폭 중앙에 마련되어서, 분류(J1)의 동압(動壓)을 받아서 실드 판(71a)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격벽 실드(실드)(72)는, 실드 판(72a), 보강판(72b, 72c)을 구비하고, 실드 판(72a)에는, 굴곡 선단부(72a1), 차단부(72a2)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것들의 구성은 격벽 실드(71)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10)의 사용 방법 및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린더 블록(100)은, 직렬 다기통 엔진의 실린더 블록이다. 실린더 블록(100)은, 실린더 헤드 조립면(미도시)이 연직 방향 하향이 되도록, 도립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00)은, 복수의 실린더 보어(104)를 구비한다. 크랭크실(107)은, 실린더 보어(104)마다 격벽(101)에 의해서 공간(소실)(108)으로 구획되어 있다. 격벽(101)에는, 저널(journal)구멍(102), 연통구멍(103)이 마련되어 있다. 연통구멍(103)은, 이른바 통기구멍이다. 실린더 블록(100)의 실린더 보어(104)는, 용사 피막(105)을 제막(製膜)한다. 이 때 크랭크실(107)의 내면의 거의 전체면에, 과잉 용사 피막이 부착된다.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10)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최초에 세정액 공급 장치(17)를 운전시킨다. 그리고 주축(12)을 회전시킨다. 주축(12)의 회전과 함께, 노즐 지지 부재(16)와 노즐(30)이 회전한다. 노즐(30)의 회전축(22)을 실린더 보어(104)의 보어 중심(106)의 연장 상에서, 크랭크실(107) 상에 간격을 마련하여 위치 결정 한다. 수치제어 장치는, 밸브(18)를 전환하여 터릿(11)에 세정액을 공급한다. 세정액은, 세정액 공급 장치(17)로부터, 밸브(18), 유로(19), 유로(24), 유로(34)를 통과하여 분사구(35)에 공급된다. 세정액은, 분사구(35)로부터 분류(J1)로서 분출된다.
터릿(11)을 보어 중심(106)을 따라서 하향으로 이동시키면, 노즐(30)이 공간(108)(제1의 소실)에 삽입되고, 분류(J1)가 공간(108)을 구획하는 스커트(109), 격벽(101)의 내면에 충돌하여, 이들의 내면에 부착하고 있는 과잉 용사 피막을 박리한다. 이 때 실린더 블록(100)에는 크랭크 캡이 장착되어 있어도 좋고, 장착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터릿(11)이 계속 하강하면, 분류(J1)가 연통구멍(103)을 통과하여 근처의 실린더 보어(104a, 104b)로 향한다. 그런데, 격벽 실드(71, 72)가 공간(108)과 격벽(101)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서로 이웃하는 공간(108a, 108b)(제2의 소실)에 삽입되어서 연통구멍(103)을 면하도록 하여 덮고 있어, 분류(J1)는 격벽 실드(71, 72)의 차단부(71a2, 72a2)에 충돌한다.
차단부(71a2, 72a2)에 충돌한 분류(J1)는, 실드 판(71a, 72a)의 표면을 따르도록 흐름 방향을 변경하고, 굴곡 선단부(71a1, 72a1)에 의해 다시 운동 에너지가 감쇠된다. 이 때문에, 분류(J1)는 근처의 실린더 보어(104a, 104b)의 내면에 형성된 용사 피막(105a, 105b)을 박리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1개의 공간(108) 내의 과잉 용사 피막이 제거되면,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10)는, 노즐(30)을 끌어올려, 마찬가지의 순서를 반복하여 모든 크랭크실(107)의 공간(108)에 부착한 과잉 용사 피막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분류(J1)는, θ1이 10°이상 25°이하의 범위에서 수평축(32)보다 약간 선단 방향으로 경사되어서 분사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고압수를 수평축(32)을 따르는 방향으로 분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크랭크실(107)의 내면의 오목부(110)나 오일 제트 장치 장착 시트(111)의 주위 등의 단차부(112)에도 분류(J1)가 적확하게 닿기 때문에, 오목부(110)나 단차부(112)에 부착한 과잉 용사 피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연통구멍(103)을 통과한 분류(J1)는, 격벽 실드(71, 72)에 의해서 막히기 때문에, 분류(J1)에 의해서 실린더 보어(104)의 근처의 실린더 보어(104a, 104b)에 형성된 필요한 용사 피막(105a, 105b)을 박리하는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즐(30) 외에, 축선 방향 하향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직사 노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와 축부의 선단부로부터 축선과 수직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구를 구비하는 L형 노즐 등을, 터릿면마다 터릿(11)에 장착하여, 이들 노즐을 적절하게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실린더 블록(100)에 부착하는 과잉 용사 피막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10)는, 직렬 다기통 엔진의 실린더 블록(100) 외에, 수평 대향형 다기통 엔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순서에 의해 과잉 용사 피막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실린더 블록(100)을 도립시킨 상태로 설명했지만, 실린더 블록(100)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10)는, 터릿식의 세정 장치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터릿을 구비하지 않은 세정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40)의 노즐(30)을 도립시킨 실린더 블록(200)에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의, 노즐(30)의 회전축(22)을 통과하는 단면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V-V선 단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의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40)는, V형 다기통 엔진의 실린더 블록(200)에 적용된다. 실린더 블록(200)의 크랭크실(207)은, 위상을 어긋나게 한 2개의 뱅크(201, 202) 내에 각각 마련된 실린더 보어(203, 204)를 2기통씩 수납하는 공간(소실)(208)에, 격벽(101)으로 구획되어 있다. 각각의 실린더 보어(203, 204)는 전후 방향으로 그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마련되어 있다.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40)는, 터릿(주축대)(11)에 한 쌍의 격벽 실드(제1의 실드)(71, 72)와 뱅크 실드(제2의 실드)(41)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한 쌍의 격벽 실드(71, 72)와 뱅크 실드(41)에 의해 본 발명의 실드 유닛이 구성된다. 한 쌍의 격벽 실드(71, 72) 및 뱅크 실드(41)는, 터릿(11)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터릿(11)과 일체로 이동한다. 따라서, 노즐(3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그것에 수반하여, 격벽 실드(71, 72), 뱅크 실드(41)도 이동한다. 격벽 실드(71)와 격벽 실드(72)는 노즐(30)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180°피치로 배치된다. 또한, 뱅크 실드(41)는, 격벽 실드(72)로부터 노즐(30)의 회전 방향으로 90°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도 5 참조).
격벽 실드(71)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며, 실드 판(제1의 실드 판)(71a)과, 실드 판(71a)을 보강하는 보강판(71b, 71c)으로 이루어진다. 실드 판(71a)의 선단부에는 분류(J1)를 막는 차단부(제1의 차단부)(71a2)가 형성되고, 이 차단부(71a2)보다 선단측에 굴곡 선단부(71a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격벽 실드(72)도 격벽 실드(71)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40)는, 실린더 블록(200)을 요동(搖動)시키는 요동 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그 외의 부분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요동 장치는, 한쪽의 뱅크(201)의 실린더 보어(203)가 연직 방향 하향, 또는 다른쪽의 뱅크(202)의 실린더 보어(204)가 연직 방향 하향이 되도록, 실린더 블록(200)을 요동시킨다. 요동 장치는, 공지의 요동 장치(예를 들면 회전 테이블)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뱅크 실드(41)는, 노즐(30)의 분사구(35)로부터의 분류(J1)를 막아내는 실드 판(제2의 실드 판)(41a)과 실드 판(41a)을 보강하는 보강판(41b, 41c)으로 이루어진다. 실드 판(41a)은, 실린더 블록(200)의 전후 방향(도 3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역 L자 형상으로 절곡된 판으로서, 실린더 보어(204)(다른쪽의 실린더 보어)의 직경의 3분의 1 이상, 실린더 보어(204)의 직경 미만의 단변(Y2)(도 4 참조)과, 노즐(30)의 길이를 초과하는 장변(X2)을 가지는 형상을 이루고, 노즐(30)의 수평축(32)을 따라서 노즐(30)로부터 실린더 보어(203)의 대략 반경과 동일한 거리만큼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된다.
노즐(30)이 보어 중심(106)을 따라서 삽입되었을 때에, 엔진의 전후 방향 중 실린더 보어(204)가 마련되지 않은 측(도 5의 하향 방향)의 실드 판(41a)의 단부는, 적어도, 보어 중심(106)과 실린더 보어(204)의 접선(48)(도 5 참조)에 도달하도록 그 단변(Y2)의 길이가 정해진다.
이 구성에 의해, 노즐(30)이 보어 중심(106)에 삽입되었을 때에, 실드 판(41a)은, 뱅크(201, 202)의 경계선(K)(한쪽의 실린더 보어(203)와 다른쪽의 실린더 보어(204)와의 경계선)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그리고, 노즐(30)이 최하단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약간의 간극을 가지고 실드 판(41a)이 실린더 블록(200)에 접촉하지 않도록, 실드 판(41a)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실드 판(41a)의 선단부에 분류(J1)를 막는 차단부(제2의 차단부)(41a2)가 형성된다. 또한, 실드 판(41a)의 중앙부는, 차단부(41a2) 이외의 부분이 비어 있어도 좋다.
차단부(41a2)는, 실드 판(41a)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차단부(41a2)는, 분류의 충돌에 의해서 침식된다. 차단부(41a2)는, 평판 형상 외에, 평면에서 보아서 중앙부가 노즐(30) 방향으로 향하여 융기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선단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노즐(30)로부터 멀어지도록 차단부(41a2)의 표면을 경사시켜서 구성할 수 있다. 차단부(41a2)는, 예를 들면 볼트에 의해서 실드 판(41a)에 고정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실드 판(41a)은, 차단부(41a2)의 지지 부재로서 작용한다. 이 경우, 보강판(41b, 41c)은 마련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차단부(41a2)는 또한, 실드 판(41a)보다 두께를 가지고 구성할 수 있다. 차단부(41a2)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재로부터 구성해도 좋다.
보강판(41b)은, 실드 판(41a)의 상부의 절곡부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한다. 보강판(41c)은, 실드 판(41a)의 외측에, 노즐(30)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서 마련되어 있다. 보강판(41b, 41c)은 각각 실드 판(41a)의 가로폭 중앙에 마련되어서(도 5 참조), 분류(J1)의 동압을 받아서 실드 판(41a)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도 5를 참조하여, 실드 판(41a)의 전후 방향의 일단 중, 뱅크(202)의 실린더 보어(204)가 마련되어 있는 측에는, 노즐(30)의 방향으로 절곡된 굴곡측부(41a1)가 마련되어 있다. 노즐(30)이 실린더 보어(203)의 보어 중심으로 위치 결정 되었을 때에, 평면에서 보아서 굴곡측부(41a1)는, 적어도, 실린더 보어(203)의 보어 중심(106)을 지나는 실린더 보어(204)의 접선(47)에 도달하는 높이를 가진다. 이 때에, 바람직하게는, 굴곡측부(41a1)는 가능한 한 격벽(101)에 가까워지도록 마련된다. 굴곡측부(41a1)는, 분류(J1)가 실린더 보어(204)의 내면에 마련된 용사 피막(105)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굴곡측부(41a1)의 선단부는, 차단부(41a2)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요구되는 분류(J1)의 압력 등의 조건 여하에 따라서는, 굴곡측부(41a1)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40)의 사용 방법 및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요동 장치는, 실린더 보어(203)가 하향으로 되도록 실린더 블록(200)을 요동시킨다. 그리고, 세정액을 분사하면서 회전하고 있는 노즐(30)을 공간(208)(제1의 소실)에 삽입하고, 뱅크(201)에 속하는 모든 실린더 보어(203)(한쪽의 실린더 보어)의 보어 중심(106)을 따라서 노즐(30)을 하강시키면서 공간(208)의 내면에 부착된 과잉 용사 피막을 제거한다. 이 때, 뱅크 실드(41)가 공간(208)과 연통하는 다른 실린더 보어(204)(다른쪽의 실린더 보어)의 개구에 면하도록 위치하고, 실드 판(41a)의 선단부에 형성된 차단부(41a2)가 분류(J1)를 막아서, 분류(J1)가 실린더 보어(204)의 내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벽 실드(71)는 공간(208)과 서로 이웃하는 공간(208a)(제2의 소실)에 삽입되고, 격벽 실드(72)는 공간(208)과 서로 이웃하는 공간(208b)(제2의 소실)에 삽입되어 있어, 제1 실시형태에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격벽 실드(71, 72)에 의해 연통구멍(103)을 통과한 분류(J1)가 차단되고 있다.
다음에, 요동 장치는, 실린더 보어(204)가 하향으로 되도록 실린더 블록(200)을 요동시킨다. 이 때, 뱅크 실드(41)의 터릿(11)에 대한 장착 위치를 노즐(30)의 회전 방향으로 180°만큼 이동시킨다. 혹은, 도 5에 있어서 뱅크 실드(41)를 180°회전시킨 구성의 것을 다른 터릿(11)에 미리 준비해 두고, 실린더 보어(203)가 하향으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과잉 용사 피막을 제거할 경우에는 도 5의 구성의 터릿(11)을 이용하고, 실린더 보어(204)가 하향으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과잉 용사 피막을 제거할 경우에는 뱅크 실드(41)가 도 5와 반대의 위치에 장착된 다른 터릿(11)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세정액을 분사하면서 회전하고 있는 노즐(30)을 공간(208)에 삽입하고, 뱅크(202)에 속하는 모든 실린더 보어(204)의 보어 중심을 따라서 노즐(30)을 하강시키면 공간(208)에 아직 남아 있는 과잉 용사 피막을 제거한다. 이 때, 뱅크 실드(41)가 분류(J1)를 막아서, 실린더 보어(203)의 내면의 용사 피막(105)의 박리를 방지한다. 이렇게 하여,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40)는, V형 다기통 엔진에 대해서도 실린더 보어에 형성된 용사 피막(105)을 박리하는 일 없이, 크랭크실(207) 내의 과잉 용사 피막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뱅크(201, 202)에 대해서, 뱅크 실드(41)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적용한 예, 혹은 뱅크(201)용의 터릿(11)과 뱅크(202)용의 터릿(11)을 미리 준비해 두고, 터릿(11)을 나누어 사용하는 예를 들었지만, 이것 대신에, 실린더 블록(200)을 평면에서 보아서 180°선회하는 선회 장치를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선회 전의 실린더 보어(203)에 대한 실린더 보어(204)의 위치와 실린더 블록(200)을 180°선회하여 실린더 블록(200)을 요동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실린더 보어(204)에 대한 실린더 보어(203)의 위치가, 동일하게 된다. 이 때문에, 노즐(30)과 뱅크 실드(41)와의 조합을, 뱅크(201) 및 뱅크(202)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를 2대 마련하고, 1대는 한쪽의 뱅크(예를 들면 우측)측을, 다른 1대는 다른쪽의 뱅크(예를 들면 왼쪽 뱅크)측을 처리해도 좋다. 또한, 1개의 터릿(11)에 180°피치로 한 쌍의 뱅크 실드(41)를 장착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50)의 노즐(60)을 도립시킨 실린더 블록(100)에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의, 노즐(60)의 회전축(22)을 통과하는 단면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제3 실시형태는, 자동 공구 교환식의 세정기를 이용하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의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10)와 다르다. 자동 공구 교환식의 세정기는, 대체로 머시닝 센터와 마찬가지의 구조이다. 단, 머시닝 센터는 절삭에 이용되지만, 자동 공구 교환식의 세정기는 세정 또는 분류에 의한 버(burr) 제거에 이용된다. 그리고, 주축에는 10 내지 80 MPa의 고압 세정액이 공급된다. 이 때문에, 머시닝 센터와 자동 공구 교환식의 세정기는, 주로 정밀도·기계 강성·방청 성능이 다르지만, 주된 구성은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전제에 근거하여, 이하의 설명은, 제1 실시형태와 다른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행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50)는, 직교 3축 이동 장치에 마련된 주축 헤드(주축대)(52)에, 생크(shank) 구멍(51a)을 구비한 주축(51)이 베어링(53)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주축 헤드(52)에는, 생크 구멍(51a)과 서로 이웃하도록 회전방지 구멍(56)이 마련되어 있다. 주축 헤드(52)에는, 회전방지 구멍(56)으로 개구하는 유로(55)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방지 구멍(56)에는, 삽입부(62)의 사이를 밀봉하는 패킹(미도시)이 마련된다.
노즐(60)은, 도시하지 않은 자동 공구 교환 장치에 의해서 교환된다. 노즐(60)은, 보디(61)와, 보디(61)에 축지지된 회전체(65)와, 회전방지 구멍(56)으로부터 회전체(65)의 내부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유로(67, 68)을 구비한다.
보디(61)는, 그 대부분이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그 복부(腹部)에 돌기부(61a)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부(61a)는, 회전방지 구멍(56)에 삽입되는 삽입부(62)를 구비하고 있다. 노즐(60)이 주축(51)에 장착되었을 때에, 삽입부(62)는, 회전방지 구멍(56)에 끼워맞춤하여 삽입된다. 보디(61)의 중앙부에는 단차가 형성된 관통 구멍인 원통 구멍(64)이 마련되어 있다. 원통 구멍(64)의 양단에 베어링(63)이 마련되어 있다.
회전체(65)는, 테이퍼 생크(taper shank: 65a)와, 플랜지(65b)와, 원통부(65c)와, 축체(65d)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테이퍼 생크(65a)는 생크 구멍(51a)과 밀착하는 원뿔면을 구비한다. 테이퍼 생크(65a)와 생크 구멍(51a)이 밀착하는 것으로써 노즐(60)이 주축(51)에 장착된다. 이 때, 삽입부(62)가 회전방지 구멍(56)에 삽입되기 때문에, 보디(61)는 회전하지 않는다. 플랜지(65b)는, 원판 형상을 이룬다. 원통부(65c)는, 원통 구멍(64)과 슬라이딩하는 원통면(65c1)을 구비하고 있다. 원통면(65c1)에는, 원주 홈(65c2)이 마련되어 있다. 원통부(65c)의 양 단부는 베어링(63)에 지지된다. 축체(65d)는, 제1 실시형태의 노즐(30)에 대응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보디(61)의 삽입부(62)로부터 원통 구멍(64)의 사이에는 유로(67)가 마련되어 있다. 유로(67)는, 회전체(65)의 원주 홈(65c2)으로 개구하고 있다. 유로(68)는, 회전체(65)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유로(68)는 T자 형상을 이루고, 원주 홈(65c2)으로 양단이 개구되는 관통 구멍과, 축체(65d)의 중심축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세로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유로(67)와 유로(68)는, 원주 홈(65c2)을 개재하여 연통하고 있다. 원주 홈(65c2)은, 유로(67)로부터 공급된 세정액을 원주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급하고, 회전체(65)의 회전 방향이 변화되어도 연속적으로 분사구(35)에 세정액을 공급한다. 분사구(35)는 유로(68)에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노즐(60)이 주축(51)에 장착되었을 때에, 유로(67)는, 유로(55)와 연통한다. 세정액 공급 장치(17)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은, 유로(55, 67, 68)를 통하여 분사구(35)로부터 분류(J1)로서 분출된다.
격벽 실드(71, 72)는, 노즐(60)의 보디(61)에 고정된다. 자동 공구 교환 장치에 의해서 노즐(60)이 교환되었을 때에, 격벽 실드(71, 72)는 노즐(60)과 함께 세정 영역으로부터 탈거된다. 이 때문에, 노즐(60)과 다른 노즐이 주축(51)에 장착되었을 때에, 격벽 실드(71, 72)가, 교환된 노즐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격벽 실드(71, 72)는 주축 헤드(52)에 고정되어도 좋다. 격벽 실드(71, 72)를 주축 헤드(52)에 고정할 때는, 격벽 실드(71, 72)의 장착부의 구조는, 자동 공구 교환시에 노즐, 교환 아암과 간섭하지 않도록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실린더 보어(104)에 형성된 용사 피막(105)을 보호하면서, 크랭크실(107)의 내면에 부착된 과잉 용사 피막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이 때에 있어서, 격벽 실드(71, 72)를 수시로, 교환 아암, 노즐과 간섭하지 않는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더 마련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항의 모두가 본 발명의 대상이 된다. 상기 실시형태는, 적합한 예를 나타낸 것이지만,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명시된 내용으로부터, 각종 대체예, 수정예, 변형예 혹은 개량예를 실현할 수 있고, 이것들은 첨부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뱅크 실드(41)의 실드 판(41a)이나 격벽 실드(71, 72)의 실드 판(71a, 72a)의 형상은 플랫한 판 형상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하프 파이프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해도 좋고,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거나 파형(波形)으로 형성하거나 해도 좋다. 또한, 뱅크 실드(41)와 격벽 실드(71, 72)를 터릿(11)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대체하고, 각 실드를 터릿(11)의 동작과 연동하는 다관절 아암 등에 고정하여, 노즐(3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터릿(11)의 이동에 직교 3축 이동 장치를 이용했지만, 이것 대신에 수직 다관절 로봇, 패러럴 링크 로봇을 이용해도 좋다.
10, 40, 50: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
11: 터릿(주축대)
30, 60: 노즐
41: 뱅크 실드(bank shield: 제2의 실드)
41a: 실드 판(제2의 실드 판)
41a1: 굴곡측부
41a2: 차단부(제2의 차단부)
52: 주축 헤드(주축대)
71, 72: 격벽 실드(실드, 제1의 실드)
71a, 72a: 실드 판(실드 판, 제1의 실드 판)
71a1, 72a1: 굴곡 선단부
71a2, 72a2: 차단부(제1의 차단부)
100, 200: 실린더 블록
103: 연통구멍
104, 104a, 104b, 203, 204: 실린더 보어
107: 크랭크실
108: 공간(소실)
J1: 분류(噴流)
K: 경계선
θ1: 분사 각도

Claims (9)

  1. 직렬로 또는 수평 대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와, 상기 실린더 보어마다 실내가 단수 또는 복수의 격벽으로 구획되어서 복수의 소실(小室)이 형성된 크랭크실을 가지고, 상기 격벽에 마련된 연통구멍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는 상기 소실이 연통하도록 구성된 다기통 엔진의 상기 크랭크실의 내면에 부착된 과잉 용사 피막을 제거하기 위한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소실 중 제1의 소실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의 소실과 연통하는 상기 실린더 보어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고압수를 선단 방향으로 분사하는 회전 가능한 노즐과,
    상기 복수의 소실 중 상기 제1의 소실과 서로 이웃하는 제2의 소실에 상기 연통구멍을 면하도록 하여 삽입되고, 상기 제2의 소실과 연통하는 상기 실린더 보어의 내면에 용사된 용사 피막을 고압수로부터 보호하는 적어도 1개의 실드를 구비하고,
    상기 실드는, 상기 연통구멍에 면하는 영역에,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고 상기 연통구멍을 통과한 고압수를 막는 차단부(block portion)를 가지는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축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실드는 상기 주축대에 고정되고, 상기 노즐과 일체로 상기 노즐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는, 상기 노즐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노즐로부터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선단측에 상기 차단부가 형성된 실드 판을 가지고,
    상기 실드 판은, 상기 차단부보다 선단측에 상기 노즐을 향하는 방향으로 굴곡된 굴곡 선단부를 가지는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
  4. V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와, V형을 구성하는 한 쌍의 상기 실린더 보어마다 실내가 단수 또는 복수의 격벽으로 구획되어서 복수의 소실이 형성된 크랭크실을 가지고, 상기 격벽에 마련된 연통구멍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는 상기 소실이 연통하도록 구성된 다기통 엔진의 상기 크랭크실의 내면에 부착된 과잉 용사 피막을 제거하기 위한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소실 중 제1의 소실에 삽입되고, 상기 제1의 소실과 연통하는 상기 실린더 보어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고압수를 선단 방향으로 분사하는 회전 가능한 노즐과,
    상기 복수의 소실 중 상기 제1의 소실과 서로 이웃하는 제2의 소실에 상기 연통구멍을 면하도록 하여 삽입되고, 상기 제2의 소실과 연통하는 상기 한 쌍의 실린더 보어의 각 내면에 용사된 용사 피막을 고압수로부터 보호하는 적어도 1개의 제1의 실드와,
    상기 제1의 소실과 연통하는 상기 한 쌍의 실린더 보어 중 상기 노즐이 면하는 한쪽의 실린더 보어와는 다른쪽의 실린더 보어를 면하도록 하여 상기 제1의 소실에 삽입되고, 상기 다른쪽의 실린더 보어의 내면에 용사된 용사 피막을 고압수로부터 보호하는 제2의 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실드는, 상기 연통구멍에 면하는 영역에,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고 상기 연통구멍을 통과한 고압수를 막는 제1의 차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2의 실드는,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수를 막는 제2의 차단부를 가지는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축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실드 및 상기 제2의 실드는 상기 주축대에 고정되고, 상기 노즐과 일체로 상기 노즐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실드는, 상기 노즐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노즐로부터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선단측에 상기 제1의 차단부가 형성된 제1의 실드 판을 가지고,
    상기 제2의 실드는, 상기 노즐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노즐로부터 간격을 두고, 또한 상기 제1의 실드로부터 상기 노즐의 회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선단측에 상기 제2의 차단부가 형성된 제2의 실드 판을 가지고,
    상기 제2의 실드 판은, 상기 엔진의 전후 방향 중, 상기 한쪽의 실린더 보어로부터 상기 다른쪽의 실린더 보어를 향하는 방향의 측방 단부에, 상기 노즐을 향하는 방향으로 굴곡된 굴곡측부를 가지고, 상기 한쪽의 실린더 보어와 상기 다른쪽의 실린더 보어와의 경계선에 배치되는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분사 각도는, 상기 노즐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선단 방향으로 10°이상 25°이하인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
  8. 직렬로 또는 수평 대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와, 상기 실린더 보어마다 실내가 격벽으로 구획되어서 복수의 소실이 형성된 크랭크실을 가지고, 상기 격벽에 마련된 연통구멍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는 상기 소실이 연통하도록 구성된 다기통 엔진의 상기 크랭크실의 내면에 부착된 과잉 용사 피막을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소실에 삽입되어서 고압수를 선단 방향으로 분사하는 노즐과 조합하여 이용되는 실드 판으로서,
    상기 실드 판은, 상기 연통구멍의 직경보다 큰 단변과, 상기 노즐의 길이를 초과하는 장변을 가지는 형상을 이루고, 상기 노즐이 삽입되는 소실과 상기 격벽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는 소실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고 상기 연통구멍을 통과한 고압수를 막아서, 상기 실린더 보어의 내면에 용사된 용사 피막을 고압수로부터 보호하는 실드 판.
  9. V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와, V형을 구성하는 한 쌍의 상기 실린더 보어마다 실내가 단수 또는 복수의 격벽으로 구획되어서 복수의 소실이 형성된 크랭크실을 가지고, 상기 격벽에 마련된 연통구멍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는 상기 소실이 연통하도록 구성된 다기통 엔진의 상기 크랭크실의 내면에 부착된 과잉 용사 피막을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소실에 삽입되어서 고압수를 선단 방향으로 분사하는 노즐과 조합하여 이용되고, 복수의 실드 판을 가지는 실드 유닛으로서,
    상기 복수의 실드 판 중 1개인 제1의 실드 판은, 상기 연통구멍의 직경보다 큰 단변과, 상기 노즐의 길이를 초과하는 장변을 가지는 형상을 이루고, 그 선단부에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수를 막는 제1의 차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실드 판 중 다른 1개인 제2의 실드 판은, 상기 실린더 보어의 직경의 3분의 1 이상, 상기 실린더 보어의 직경 미만의 단변과, 상기 노즐의 길이를 초과하는 장변을 가지는 형상을 이루고, 그 선단부에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수를 막는 제2의 차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실드 판은, 상기 노즐이 삽입되는 소실과 상기 격벽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는 소실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고 상기 연통구멍을 통과한 고압수를 막아서, 상기 서로 이웃하는 소실과 연통하는 상기 한 쌍의 실린더 보어의 각 내면에 용사된 용사 피막을 고압수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제2의 실드 판은, 상기 노즐이 삽입되는 소실과 연통하는 상기 한 쌍의 실린더 보어 중 상기 노즐이 면하는 한쪽의 실린더 보어와는 다른쪽의 실린더 보어를 면하도록 상기 노즐이 삽입되는 소실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수를 막아서, 상기 다른쪽의 실린더 보어의 내면에 용사된 용사 피막을 고압수로부터 보호하는 실드 유닛.
KR1020160141848A 2016-01-15 2016-10-28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 실드 판, 및 실드 유닛 KR101967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06588 2016-01-15
JP2016006588A JP6420778B2 (ja) 2016-01-15 2016-01-15 余剰溶射被膜除去装置、シールド板、およびシールド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942A true KR20170085942A (ko) 2017-07-25
KR101967954B1 KR101967954B1 (ko) 2019-04-10

Family

ID=56888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848A KR101967954B1 (ko) 2016-01-15 2016-10-28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 실드 판, 및 실드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69312B2 (ko)
EP (1) EP3192892B1 (ko)
JP (1) JP6420778B2 (ko)
KR (1) KR101967954B1 (ko)
CN (1) CN1069756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21131B2 (ja) * 2017-09-07 2020-07-08 株式会社Ihi 筒体塗装装置
CN108355864A (zh) * 2018-03-12 2018-08-03 苏州易昇光学材料有限公司 一种便携的太阳能涂料检修喷涂装置
JP6958816B2 (ja) * 2018-03-29 2021-11-02 VEEma株式会社 井戸洗浄装置の噴射ノズル
CN108906388B (zh) * 2018-04-27 2024-01-23 上海发那科机器人有限公司 一种防爆滑撬遮蔽顶升护板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9000A (ja) * 2006-03-07 2007-09-20 Nissan Motor Co Ltd 溶射皮膜のマスキング装置及び溶射皮膜のマスキング方法
JP2008303439A (ja) 2007-06-08 2008-12-18 Nissan Motor Co Ltd 余剰溶射皮膜除去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該装置に使用する液体噴射ノズル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71365A5 (ko) * 1974-07-22 1976-01-15 Fischer Ag Georg
US3994310A (en) * 1975-11-11 1976-11-30 Brandon John H Duct cleaning apparatus
JPH0665711A (ja) * 1992-08-25 1994-03-08 Toyota Motor Corp シリンダブロック溶射用マスク方法
US5468295A (en) * 1993-12-17 1995-11-21 Flame-Spray Industr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rmal spray coating interior surfaces
US5573814A (en) * 1995-10-30 1996-11-12 Ford Motor Company Masking cylinder bore extremities from internal thermal spraying
US5691004A (en) * 1996-07-11 1997-11-25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treating light metal cylinder bore walls to receive thermal sprayed metal coatings
US5707693A (en) * 1996-09-19 1998-01-13 Ingersoll-Ran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spraying cylindrical bores
US5796064A (en) * 1996-10-29 1998-08-18 Ingersoll-Ran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coat thermal spraying cylindrical bores
JP3856256B2 (ja) * 1997-12-15 2006-12-13 スズキ株式会社 マスキング治具及びシリンダの溶射方法
US6395090B1 (en) * 1999-08-16 2002-05-2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asking for engine blocks for thermally sprayed coatings
DE50102898D1 (de) * 2000-05-03 2004-08-26 Sulzer Metco Ag Wohlen Anordnung zum Schutz von Zylinderwandungen von Motorblöcken
EP1258540B1 (de) * 2001-05-15 2012-03-07 Sulzer Metco AG Maske zum Aufsetzen auf einen Motorblock beim thermischen Beschichten von darin eingelassenen Zylinderbohrungen sowie Verfahren unter Verwendung der Maske
US6719847B2 (en) * 2002-02-20 2004-04-13 Cinetic Automation Corporation Masking apparatus
DE102004038176A1 (de) * 2004-08-06 2006-03-16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r Fluidstrahlung von später thermisch zu beschichtenden Zylinderlaufflächen
JP4497086B2 (ja) * 2005-01-28 2010-07-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シリンダブロックの溶射マスキング方法および同マスキング装置ならびに気体噴出ノズル
JP4650371B2 (ja) * 2005-12-09 2011-03-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溶射皮膜形成方法および溶射皮膜形成装置
EP2075074B1 (de) * 2006-07-24 2011-10-19 Sulzer Metco AG Maskierungssystem zur Maskierung eines Kurbelraums einer Brennkraftmaschine
ATE529193T1 (de) * 2006-07-24 2011-11-15 Sulzer Metco Ag Maskierungssystem zur maskierung eines kurbelraums einer brennkraftmaschine
JP4992409B2 (ja) * 2006-12-19 2012-08-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溶射マスキング部材および溶射マスキング方法
EP2019151B1 (en) * 2007-07-27 2012-09-12 Nissan Motor Co., Ltd. Thermally sprayed film forming method and device
JP4983645B2 (ja) * 2008-02-26 2012-07-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溶射シリンダブロック洗浄方法及び装置
EP2540402A3 (en) * 2008-07-16 2017-07-19 VLN Advanced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ping surfaces with a high-frequency forced pulsed waterjet
JP5432943B2 (ja) 2010-04-05 2014-03-05 株式会社スギノマシン 洗浄装置
JP5490610B2 (ja) * 2010-05-24 2014-05-14 昭和電工株式会社 洗浄方法
JP5704997B2 (ja) * 2010-09-10 2015-04-22 株式会社スギノマシン タレット式洗浄装置
US9168547B2 (en) * 2011-07-01 2015-10-27 Comau, Inc. Thermal metal spraying apparatus
DE102011080852A1 (de) * 2011-08-11 2013-02-14 Dürr Ecoclean GmbH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s pulsierenden mit Druck beaufschlagten Fluidstrahls
JP6147623B2 (ja) * 2013-09-17 2017-06-14 株式会社スギノマシン タレット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9000A (ja) * 2006-03-07 2007-09-20 Nissan Motor Co Ltd 溶射皮膜のマスキング装置及び溶射皮膜のマスキング方法
JP2008303439A (ja) 2007-06-08 2008-12-18 Nissan Motor Co Ltd 余剰溶射皮膜除去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該装置に使用する液体噴射ノズ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75624B (zh) 2019-11-01
EP3192892B1 (en) 2019-04-03
EP3192892A1 (en) 2017-07-19
CN106975624A (zh) 2017-07-25
JP6420778B2 (ja) 2018-11-07
US10569312B2 (en) 2020-02-25
JP2017125487A (ja) 2017-07-20
US20170203339A1 (en) 2017-07-20
KR101967954B1 (ko)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9749A (ko) 랜스 노즐 및 그것을 구비한 과잉 용사 피막 제거장치
KR101967954B1 (ko) 과잉 용사 피막 제거 장치, 실드 판, 및 실드 유닛
KR100450099B1 (ko) 공작 기계의 가공 헤드에 의해 생성된 칩을 제거하기 위한 칩 제거 장치
CN102844124B (zh) 一种高压液体射流去毛刺的方法及其相应的工业装置
KR100676245B1 (ko) 칩커팅기계가공용 기계 및 상기 기계용 커팅툴
US7415958B2 (en) Process for processing cylinder crankcases having sprayed cylinder barrels
JP6338333B2 (ja) 工作機械の機内洗浄装置
US115480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machines
US20060026827A1 (en) Process for the chip-forming machining of thermally sprayed cylinder barrels
US20060026831A1 (en) Process for preparing a cast cylinder bore for thermal coating
CN102151989A (zh) 使用激光束机加工工件的装置和方法
MX2013014713A (es) Aparato para el tratamiento de piezas de trabajo.
CN105290020A (zh) 进给台装置、及对象物驱动装置
US20060026828A1 (en) Process for preparing cylinder bearing surfaces which are to be thermally sprayed
JP5029153B2 (ja) 余剰溶射皮膜除去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該装置に使用する液体噴射ノズル
US20060027206A1 (en) Process for the thermal spraying of cylinder bearing surfaces in multi-line engines
US20060026830A1 (en) Process for the fluid blasting of cylinder bearing surfaces which are subsequently to be thermally coated
KR20180097696A (ko) 제거될 표면층을 가진 몸체를 클리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533911B1 (de) Verfahren zum abtragen von overspray thermischer spritzschichten
JP2019126890A (ja) ツール洗浄装置及びマシニングセンタ
KR20210029163A (ko) 레이저-분사액 빔 자생 연마립 유동 복합가공헤드 및 작동방법
JP2013096161A (ja) 作業機械
JP2009297831A (ja) 3次元アブレシブジェット加工用治具
KR20140000853U (ko) 블라스팅 노즐 안전장치
KR20170042990A (ko) 분사 형태 조절이 가능한 쿨런트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