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648A - 반응기를 가지는 형광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 Google Patents

반응기를 가지는 형광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648A
KR20170084648A KR1020160003932A KR20160003932A KR20170084648A KR 20170084648 A KR20170084648 A KR 20170084648A KR 1020160003932 A KR1020160003932 A KR 1020160003932A KR 20160003932 A KR20160003932 A KR 20160003932A KR 20170084648 A KR20170084648 A KR 20170084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acrylic sheet
fluorescent dye
composit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승호
문병식
권영호
Original Assignee
(주)아이씨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씨비 filed Critical (주)아이씨비
Priority to KR1020160003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4648A/ko
Publication of KR20170084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09B57/12Perinones, i.e. naphthoylene-aryl-imid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08K5/3437Six-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기를 가지는 형광 색소를 이용해 제작된 형광 아크릴 시트에 관한 것으로, 내열 및 내광성이 크게 향상된 형광 아크릴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형광 색소는 아크릴 모노머와 공중합될 수 있는 반응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형광 색소가 아크릴 고분자 사슬에 화학결합된 형태로 존재하여 형광 아크릴 시트의 문제점인 변색 현상이 현저히 개선된 고내구성 형광 아크릴 시트가 제공된다. 또한 가시광은 투과시키면서 410nm 이하의 영역을 완벽히 차단하는 반응형 염료를 동시에 사용하여 내광성이 현저히 개선된 형광 아크릴 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응기를 가지는 형광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Functionalized fluorescent dye and fluorescent acrylic shee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열 및 내광 특성이 우수한 형광 아크릴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410nm 이하의 자외선 영역이 차단될 뿐만 아니라, 투입되는 모든 염료가 아크릴 수지에 화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반응기를 포함하므로 아크릴 고분자에 직접 결합되어 형광 아크릴 시트의 가장 큰 문제점인 변색 현상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는 고내구성 형광 아크릴 시트를 제공한다.
형광 착색제가 포함된 플라스틱 제품들은 시인성이 높아 각종 간판이나 도로표시 또는 차량표시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테리어 제품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형광 제품들은 실내에 사용되는 경우 큰 문제가 없지만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옥외간판 등에 적용될 경우 색이 급격히 변색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염료들은 높은 색순도를 가지고 있는 반면 내열, 내습 및 내자외선 특성이 현저히 떨어지는데, 이는 유기염료 자체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이유도 있지만 플라스틱 수지 특성과도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예를 들면 유기염료가 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질 경우 표면으로의 이동(migration) 또는 염료끼리의 응집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낮을 경우 유기염료의 이동도(mobility)가 커져 유기염료의 변색정도를 촉진시킬 수도 있다[Mol. Crys. Liq. Cryst. 2009, 514, 289].
통상적으로 이러한 유기염료들의 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UV 흡수제층을 별도로 두거나 산화방지제 및 광안정제 등을 수지에 혼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조치만으로는 형광 염료들의 안정성을 충분히 향상시키지 못하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투입된 산화방지제나 안정제 등이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석출되거나 또는 표면으로 이동하여 제품의 품질 특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수분에 의한 형광체의 변질을 억제하기 위해서 무수말레산 성분을 폴리올레핀공중합체에 함유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고[한국 특허출원 제10-2013-7034963호], 다층 필름층을 이용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형광 필름을 제조하는 기술도 제안되었지만[한국 특허출원 제10-2011-7029622호], 형광 시트의 안정성을 충분히 증가시키기에는 부족할 뿐만 아니라, 제품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는 단점도 있다.
한국 특허출원 제10-2013-7034963호 한국 특허출원 제10-2011-702962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온 변색 현상을 현저히 개선시킨 고내구성 형광 아크릴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선 아크릴 모노머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기를 가지는 형광 색소를 합성하고 이를 아크릴 시트 성형 시에 투입하여 형광 색소들이 아크릴 고분사 사슬에 화학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탁월한 형광 아크릴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아크릴 캐스팅 공정 중에 410nm 이하의 자외선 영역을 완벽히 차단하는 나프탈이미드 계열의 화합물을 사용하는데 이때 나프탈이미드계 화합물 또한 아크릴 모노머와 화학반응을 할 수 있는 반응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형광 색소는 아크릴 모노머와 공중합될 수 있는 반응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형광 색소가 아크릴 고분자 사슬에 화학결합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따라서 형광 아크릴 시트의 문제점인 변색 현상을 현저히 개선한 고내구성 형광 아크릴 시트가 제공된다.
또한 가시광은 투과시키면서 410nm 이하의 영역을 완벽히 차단하는 반응형 염료를 동시에 사용하여 내광성이 현저히 개선된 형광 아크릴 시트를 제공한다.
한편 사용된 형광 염료 및 410nm 이하의 영역을 흡수하는 나프탈이미드계 화합물 모두 아크릴 고분자 주사슬과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들 저부자량 화합물들이 석출되거나 표면으로 이동하는 현상 등을 완전히 없앨 수 있어, 품질이 매우 우수한 형광 아크릴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Orange 형광 시트의 투과도 스펙트럼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 제1 반응기를 포함하는 형광 염료; (b) 제2 반응기를 포함하기 나프탈이미드 계열 화합물; (c) 라디칼 중합 단량체; 및 (d) 개시제를 포함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반응기와 상기 제2 반응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비닐기, 하이드록실기, 카르복실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하기 화학식 1a, 1b, 1c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형광 염료; (b) 하기 화학식 2의 나프탈이미드 화합물; (c) 라디칼 중합 단량체; 및 (d) 개시제를 포함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a]
Figure pat00001
[화학식 1b]
Figure pat00002
[화학식 1c]
Figure pat00003
[화학식 2]
Figure pat00004
.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a) 성분은 상기 (c)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내지 0.05 중량부로 포함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03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함량이 0.005 중량부보다 적으면 형광 색감 발현이 낮아지며, 0.03 중량부보다 커지면 색상이 너무 진해져 형광 시트의 투과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성분은 상기 (c)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함량이 0.05 중량부보다 적으면 자외선 차단에 의한 내광성 향상 효과가 없으며, 1.5 중량부보다 커지면 석출되거나 이동에 의한 헤이즈가 발생하여 형광 시트의 투과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성분은 스티렌, 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비닐톨루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또한, 상기 개시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메틸에틸케톤 퍼옥사이드, 큐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e) 다관능성 가교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e) 성분은 디비닐 벤젠,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a) 상기 화학식 1a, 1b, 1c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형광 염료, (b) 상기 화학식 2의 나프탈이미드 화합물, (c) 라디칼 중합 단량체, 및 (d) 개시제를 포함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제조용 조성물에 대해서 중합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른 형광 아크릴 시트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형광 아크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 및 측면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설명에 의해서 본 발명의 범위 및 내용이 제한될 수 없다.
일반적으로 형광 아크릴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형광 색소를 다양한 고분자 제품에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혼합해서 제품화한다. 이때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경우 압출 방식에 의해 연속 작업으로 시트를 성형하는 반면, 아크릴 수지의 경우 캐스팅 방법에 의해 한 장 단위로 생산한다.
왜냐하면 형광 염료의 경우 수 내지 수백 ppm의 소량만 첨가되어도 색이 충분히 발현되는데, 압출과 같은 연속 작업의 경우 염료 간의 색 혼합에 의한 품질 불량 현상이 생겨 다양한 색상의 제품을 소량 생산하기에는 부적합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유리판 사이에 아크릴 모노머와 열반응 개시제 등을 투입한 후 뜨거운 물속에서 경화시키는 캐스팅 방식의 경우에는 소량 다품종 생산에 적합하므로 착색 시트를 생산하기에 매우 적합한 방식이다.
한편 형광 염료의 경우 BASF 사에서 시판중인 Lumogen F 시리즈의 형광 염료가 대표적인데 일반적인 형광 염료에 비해 매우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 또한 옥외용 형광 제품에 직접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선 아크릴 모노머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기를 가지는 형광 색소 및 410nm 이하의 자외선 영역을 완벽히 차단하는 반응기를 가지는 나프탈이미드 계열의 화합물을 합성하고, 이를 아크릴 시트 성형 시에 투입하여 고분사 사슬에 화학결합시킬 경우 내구성이 탁월한 형광 아크릴 시트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아크릴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학반응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라디칼 중합 단량체는 비닐계 가교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것으로 특별한 제한은 없다. 라디칼 중합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예는 스티렌, 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비닐톨루엔과 같은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상기 단량체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머 사슬 간의 가교를 위해 다관능성 가교 단량체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디비닐 벤젠,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 할 수 있다.
개시제는 자유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벤조일 퍼옥사이드, 메틸에틸케톤 퍼옥사이드, 큐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이드록시 또는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아크릴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라이시딜 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기를 가지는 형광 염료의 경우 비닐기, 하이드록실기 또는 카르복실기 등을 가지는 형광 염료이면 아무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형광 염료의 함량은 전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05 중량부 사이가 적당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005 내지 0.03 중량부 사이가 좋은데, 형광 염료의 함량이 0.005 중량부보다 적으면 형광 색감 발현이 낮아지며, 0.03 중량부보다 커지면 색상이 너무 진해져 형광 시트의 투과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가시광은 투과시키면서 410nm 이하의 영역은 흡수하는 화합물의 경우 나프탈이미드 계열 화합물이 적합한데, 이 화합물 역시 비닐기, 하이드록실기 또는 카를복실기 등을 가지는 나프탈이미드 계열 화합물이면 아무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함량은 전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 사이가 적당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05 내지 1.5 중량부 사이가 좋은데, 형광 염료의 함량이 0.05 중량부보다 적으면 자외선 차단에 의한 내광성 향상 효과가 없으며, 1.5 중량부보다 커지면 석출되거나 이동에 의한 헤이즈가 발생하여 형광 시트의 투과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실시예
제조예 1: 반응기를 가지는 Orange 형광 염료의 제조
페릴렌-3,4,9,10-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0g, 4-브로모-2,6-디이소프로필아닐린 16.67g 과 Quinoline 250mL를 아르곤 하에서 210℃까지 가열하였고, 이 온도에서 17시간 동안 두었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메탄올을 이용하여 결정을 석출시켰고, 이를 필터링한 후 건조하였다. 건조된 파우더 10g을 K2CO3 10g과 함께 메탄올 100mL와 혼합한 후 80℃까지 승온시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을 이용하여 결정을 석출시켰고, 이를 필터링한 후 건조하였다. 건조된 파우더 10g을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0.72g, 디옥세인 30g과 함께 혼합한 후 100℃에서 3시간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을 이용하여 결정을 석출시켰고, 이를 필터링한 후 건조하여 하기 화학식 1a의 구조를 갖는 Orange 형광체를 얻었다.
[화학식 1a]
Figure pat00005
제조예 2: 반응기를 가지는 Red 형광 염료의 제조
1,6,7,12-테트라클로로페릴렌-3,4,9,10-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0g, 디이소프로필아닐린 16.67g과 프로피온산 250mL를 아르곤 하에서 80℃까지 가열하였고, 이 온도에서 17시간 동안 두었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을 이용하여 결정을 석출시켰고, 이를 필터링한 후 건조하였다. 건조된 파우더 5g을 4-히드록시페닐에틸 알코올 8.14g 및 K2CO3 4.07g과 함께 DMF 100mL와 혼합한 후 120℃까지 승온시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메탄올을 이용하여 결정을 석출시켰고, 이를 필터링한 후 건조하였다. 건조된 파우더 2.7g을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0.72g, 디옥세인 30g과 함께 혼합한 후 100℃에서 3시간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을 이용하여 결정을 석출시켰고, 이를 필터링한 후 건조하여 하기 화학식 1b의 구조를 갖는 Red 형광체를 얻었다.
[화학식 1b]
Figure pat00006
제조예 3: 반응기를 가지는 Yellow-Green 형광 염료의 제조
3,9-페릴렌디카르복실산 10g을 메틸렌클로라이드 50mL에 녹인 후 NBS (N-bromosuccinimide) 10g을 투입하여 1시간 교반하였다. 메탄올을 이용하여 결정을 석출시켰고, 이를 필터링한 후 건조하였다. 건조된 파우더 5g을 CuCN 1.5g과 함께 DMF 50mL와 혼합한 후 120℃까지 승온시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메탄올을 이용하여 결정을 석출시켰고, 이를 필터링한 후 건조하였다. 건조된 파우더 2.7g을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0.72g, 디옥세인 30g 과 함께 혼합한 후 100℃에서 3시간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을 이용하여 결정을 석출시켰고, 이를 필터링한 후 건조하여 하기 화학식 1c의 구조를 갖는 Yellow-Green 형광체를 얻었다.
[화학식 1c]
Figure pat00007
제조예 4: 반응기를 가지는 나프탈이미드 염료의 제조
4-브로모-1,8-나프탈산 무수물 10g을 2-에틸헥실아민 5g 및 에탄올 100g과 혼합한 후 80℃까지 승온시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을 이용하여 결정을 석출시켰고, 이를 필터링한 후 건조하였다. 건조된 파우더 10g을 K2CO3 10g과 함께 메탄올 100mL와 혼합한 후 80℃까지 승온시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을 이용하여 결정을 석출시켰고, 이를 필터링한 후 건조하였다. 건조된 파우더 10g을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0.72g, 디옥세인 30g과 함께 혼합한 후 100℃에서 3시간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을 이용하여 결정을 석출시켰고, 이를 필터링한 후 건조하여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나프탈이미드계 화합물을 얻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8
실시예 1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50g, 개시제인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g, 제조예 1에서 합성한 Orange 형광 염료 0.03g, 그리고 제조예 4에서 합성한 나프탈이미드계 화합물 1.5g을 혼합한 후 유리판 사이에 부어 60℃에서 20시간 동안 중합시켜 형광 아크릴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조예 1에서 합성한 Orange 형광 염료 대신 제조예 2에서 합성한 Red형광 염료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형광 아크릴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조예 1에서 합성한 Orange 형광 염료 대신 제조예 3에서 합성한 yellow-green 형광 염료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형광 아크릴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나프탈이미드계 화합물 1.5g을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형광 아크릴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나프탈이미드계 화합물 대신에 벤조트리아졸 계열의 UV 흡수제 (T-928, BASF 사) 1.5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형광 아크릴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제조예 1에서 합성한 Orange 형광 염료 대신 Lumogen F Orange-240 (BASF 사) 0.03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형광 아크릴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제조예 1에서 합성한 Orange 형광 염료 대신 Lumogen F Orange-240 (BASF 사) 0.03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형광 아크릴 시트를 제조하였다.
평가예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한 형광 시트를 스펙트로 포토미터(Lamda 950 spectrophotometer, Perkin-Elmer사 제품)를 이용하여 가시광 영역에서의 투과도(T)를 측정하였는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Orange 형광 시트의 스펙트럼을 도 1에 나타내었다.
한편 상기 시트들의 내광성은 QUV Tester(Q-Lab사 제품)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는데(60℃, 100시간, UVA 340 lamp), 그 결과들을 아래 표 1에 정리 하였다. 내광성 시험 전후의 투과도 차이(ΔT)가 2% 미만인 경우, 2 내지 3%인 경우, 그리고 3%를 초과하는 경우를 각각 O, △, X로 표기하였다.
Figure pat00009
위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응형 형광 염료 및 반응형 나프탈이미드 계열 화합물을 함유한 형광 아크릴 시트의 경우 우수한 내광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반응형 나프탈 이미드 화합물이 없는 경우(비교예 1), 일반적인 비반응계 UV 흡수제를 사용한 경우(비교예 2)에는 내광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비반응형 형광 염료를 사용한 경우에는(비교예 3와 4) UV 흡수제의 형태에 무관하게 내광성이 현저히 저함됨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a, 1b, 1c 중에서 선택된 구조를 갖는 형광 염료:
    [화학식 1a]
    Figure pat00010
    ;
    [화학식 1b]
    Figure pat00011
    ;
    [화학식 1c]
    Figure pat00012
    .
  2. (a) 제1 반응기를 포함하는 형광 염료;
    (b) 제2 반응기를 포함하기 나프탈이미드 계열 화합물;
    (c) 라디칼 중합 단량체; 및
    (d) 개시제를 포함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제조용 조성물로서;
    상기 제1 반응기와 상기 제2 반응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비닐기, 하이드록실기, 카르복실기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제조용 조성물.
  3. (a) 하기 화학식 1a, 1b, 1c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형광 염료;
    (b) 하기 화학식 2의 나프탈이미드 화합물;
    (c) 라디칼 중합 단량체; 및
    (d) 개시제를 포함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제조용 조성물:
    [화학식 1a]
    Figure pat00013
    ;
    [화학식 1b]
    Figure pat00014
    ;
    [화학식 1c]
    Figure pat00015
    ;
    [화학식 2]
    Figure pat00016
    .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성분은 상기 (c)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내지 0.0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제조용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은 상기 (c)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제조용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성분은 스티렌, 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비닐톨루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d) 성분은 벤조일 퍼옥사이드, 메틸에틸케톤 퍼옥사이드, 큐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제조용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e) 다관능성 가교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e) 성분은 디비닐 벤젠,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제조용 조성물.
  8. (A) (a) 하기 화학식 1a, 1b, 1c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형광 염료, (b) 하기 화학식 2의 나프탈이미드 화합물, (c) 라디칼 중합 단량체, 및 (d) 개시제를 포함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제조용 조성물에 대해서 중합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제조방법:
    [화학식 1a]
    Figure pat00017
    ;
    [화학식 1b]
    Figure pat00018
    ;
    [화학식 1c]
    Figure pat00019
    ;
    [화학식 2]
    Figure pat00020
    .
  9. 제8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형광 아크릴 시트.
KR1020160003932A 2016-01-12 2016-01-12 반응기를 가지는 형광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KR20170084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932A KR20170084648A (ko) 2016-01-12 2016-01-12 반응기를 가지는 형광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932A KR20170084648A (ko) 2016-01-12 2016-01-12 반응기를 가지는 형광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648A true KR20170084648A (ko) 2017-07-20

Family

ID=59443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932A KR20170084648A (ko) 2016-01-12 2016-01-12 반응기를 가지는 형광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46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357A (ko) * 2018-12-14 2020-07-07 문승호 형광 염료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WO2021010700A1 (ko) * 2019-07-18 2021-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형광 수지 조성물, 색변환 필름,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357A (ko) * 2018-12-14 2020-07-07 문승호 형광 염료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WO2021010700A1 (ko) * 2019-07-18 2021-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형광 수지 조성물, 색변환 필름,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061B1 (ko) 적층체
CN106103597B (zh) 花青系着色组合物
CN106433609B (zh) 变色制品、其制备方法及其应用
CN104185801B (zh) 具有优异紫外线阻挡性质的光学膜和含有该光学膜的偏振片
KR20170084648A (ko) 반응기를 가지는 형광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CN105393145B (zh) 具有优异紫外线阻挡性质的光学膜和含有该光学膜的偏振片
KR101215426B1 (ko) Tft-lcd용 층간 유기 절연막용 아크릴계 공중합체수지의 제조방법
KR20170084652A (ko) 자외선을 흡수하는 반응형 형광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형광 아크릴 시트
KR101753012B1 (ko) 색온도 조절 가능한 확산시트판이 구비된 led 조명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05619A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광학 재료용 조성물
JP4506342B2 (ja) 透明性樹脂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ム
WO2002041042A1 (fr) Composition pour materiau optique, materiau optique et lentilles
US8277700B2 (en) Process for preparing a photochromic polymeric composition, thus obtained polymeric composition and use thereof
JP2002194070A (ja) 芳香族ポリエステル共重合体
KR101958080B1 (ko) 청색광 차단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청색광 차단 시트
JP7258155B2 (ja) 重合性組成物、化合物、重合体、樹脂組成物、紫外線遮蔽膜及び積層体
JP6729776B1 (ja) 紫外線吸収材料、およびその組成物
KR101682859B1 (ko) 색온도 조절 가능한 확산시트판이 구비된 led 조명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338222A (ja) 蛍光持続性の改良された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
KR102526413B1 (ko) 고에너지 가시광 차단 수지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 차단 시트
KR101037858B1 (ko) 광변색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제조된 물품
KR100855216B1 (ko) 반응형 나프토피란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광변색성폴리아크릴 코팅액 조성물, 광변색성 폴리아크릴 및 이를포함하는 광변색성 광학제품
KR101523756B1 (ko) 내열성, 내약품성이 향상을 위하여 공유결합이 유도된 컬러필터용 유기 염료 및 이의 조성물
KR100860264B1 (ko) 반응형 스피로나프톡사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광변색성폴리아크릴 코팅액 조성물, 광변색성 폴리아크릴 및 이를포함하는 광변색성 광학제품
JP5972697B2 (ja) 塗料及び赤外線カット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