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542A - 편광판 매엽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판 매엽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542A
KR20170082542A KR1020177013678A KR20177013678A KR20170082542A KR 20170082542 A KR20170082542 A KR 20170082542A KR 1020177013678 A KR1020177013678 A KR 1020177013678A KR 20177013678 A KR20177013678 A KR 20177013678A KR 20170082542 A KR20170082542 A KR 20170082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polarizer
polarizing plate
adhesive layer
long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6908B1 (ko
Inventor
오키타카 이시카와
야스노리 가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2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32B2038/045Sli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편광자 및 그 적어도 한쪽의 면 상에 적층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며, 장변과 단변을 갖는 사각형 형상의 편광판 매엽체로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변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파형 결함을 갖는 제1 편광판 매엽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제1 편광판 매엽체에 있어서의 파형 결함을 갖는 장변을 포함하는 단부를 슬릿 제거하여, 제2 편광판 매엽체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판 매엽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편광판 매엽체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ATION PLATE SHEE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파형 결함이 저감된 편광판 매엽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보호 필름을 접합한 적층 구조를 가지고 있고, 장척형의 편광자 및 장척형의 보호 필름을 이용하여, 롤·투·롤 방식에 의해 장척물(편광판 롤)로서 제조된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34190호 공보(특허문헌 1)〕. 얻어진 장척형의 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소정 사이즈의 매엽체로 재단되고, 점착제층 등을 이용하여 액정 셀 등의 화상 표시 소자에 접합 적층되어, 화상 표시 장치에 삽입된다.
특허문헌 1에는, 편광판에 생기는 역컬 및 웨이브 컬이라고 불리는 문제점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장척형의 편광자와 장척형의 보호 필름을 접착제를 통해 중합시켜 적층체를 얻고, 이어서, 이 적층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된 볼록 곡면에 그 적층체를 밀착시키면서 접착제를 중합 경화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34190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르면, 적어도 장척형의 편광판을 제조한 직후 또는 이것을 매엽체로 재단한 직후에 있어서, 상기 문제점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매엽체에 재단된 편광판(편광판 매엽체)은, 초기에 있어서 상기 문제점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그 보관 환경에 따라서는, 흡습에 따라 보관 중에 파형 결함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파형 결함」이란, 편광판 매엽체의 적어도 1변 및 그것을 포함하는 단부 영역이 웨이브형으로 물결치는 변형 결함을 말한다. 편광판 매엽체에 파형 결함이 생겨 있으면,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점착제층을 통해 편광판 매엽체와 액정 셀을 접합할 때에, 점착제층과 액정 셀의 접합 계면, 특히 접합 계면의 단부 영역 및 그 근방에 기포가 혼입하기 쉬워진다. 이 기포가 액정 패널의 화상 표시 영역 내에 생기면, 점등 시에 휘점이 되어 액정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파형 결함의 개수 또는 높이가 저감된 편광판 매엽체의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편광판 매엽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편광자 및 그 적어도 한쪽의 면 상에 적층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며, 장변과 단변을 갖는 사각형 형상의 편광판 매엽체로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변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파형 결함을 갖는 제1 편광판 매엽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제1 편광판 매엽체에 있어서의 상기 파형 결함을 갖는 장변을 포함하는 단부를 슬릿 제거하여, 제2 편광판 매엽체를 얻는 공정,
을 포함하는, 편광판 매엽체의 제조 방법.
[2] 상기 제1 편광판 매엽체를 준비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변에 있어서 갖는 파형 결함이 4개 이상인, [1]에 기재된 제조 방법.
[3] 상기 제1 편광판 매엽체를 준비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변에 있어서 갖는 파형 결함의 높이가 2 ㎜를 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제조 방법.
[4] 상기 제2 편광판 매엽체를 얻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판 매엽체에 있어서의 상기 파형 결함을 갖는 장변을 포함하는 단부를 65 ㎜ 이상의 폭으로 슬릿 제거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5] 상기 제1 편광판 매엽체는, 상기 편광자와, 그 한쪽의 면 상에 제1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되는 제1 보호 필름과, 다른쪽의 면 상에 제2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되는 제2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6] 상기 제1 보호 필름과 상기 제2 보호 필름은, 온도 40℃, 상대 습도 90%에서의 투습도가 30 g/(㎡·24 hr) 이상 상이한, [5]에 기재된 제조 방법.
[7] 상기 제1 접착제층 및 상기 제2 접착제층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5] 또는 [6]에 기재된 제조 방법.
[8] 상기 제1 편광판 매엽체는, 하기 (a) 및 (b):
(a) 상기 보호 필름 상에 적층되는 프로텍트 필름,
(b) 상기 편광자 상 또는 상기 보호 필름 상에 적층되는 점착제층과, 그 외면에 적층되는 세퍼레이트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더 포함하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파형 결함의 개수 또는 높이가 저감된 편광판 매엽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파형 결함이 더욱 생겨, 4개 이상, 또는 그 높이가 2 ㎜를 넘는 파형 결함을 갖는 편광판 매엽체에 대해서도 충분한 정도까지 파형 결함을 저감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편광판 매엽체의 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매엽체의 제조 방법은, 다음 공정:
(1) 편광자 및 그 적어도 한쪽의 면 상에 적층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며, 장변과 단변을 갖는 사각형 형상의 편광판 매엽체로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변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파형 결함을 갖는 제1 편광판 매엽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2) 제1 편광판 매엽체에 있어서의 상기 파형 결함을 갖는 장변을 포함하는 단부를 슬릿 제거하여, 제2 편광판 매엽체를 얻는 공정,
을 포함한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제1 편광판 매엽체를 준비하는 공정
제1 편광판 매엽체는, 파형 결함이 진행되고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기포 혼입이나 그에 따른 시인성 저하의 문제를 수반하기 쉬운 값싼 편광판 매엽체이며,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변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파형 결함을 갖는 편광판 매엽체이다. 제1 편광판 매엽체는, 파형 결함이 더욱 생긴 결과,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변에 있어서 높이가 2 ㎜를 넘는 파형 결함을 갖거나,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변에 있어서 4개 이상의 파형 결함을 갖는 편광판 매엽체여도 좋고, 제1 편광판 매엽체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변에 있어서 4개 이상의 파형 결함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들 파형 결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높이가 2 ㎜를 넘는 파형 결함이어도 좋다.
파형 결함의 높이란, 제1 편광판 매엽체를 평면대에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평면대로부터 파형 결함 꼭대기부까지의 높이이며, 이때, 제1 편광판 매엽체는, 화상 표시 소자(예컨대 액정 셀)에 접합되는 측의 면을 위로 하여 평면대에 배치된다. 파형 결함의 높이는, 제1 편광판 매엽체의 변(단부)에 있어서 측정된다. 또한, 파형 결함의 수는, 실질적으로 파형 결함으로 인정되는 수이며, 구체적으로는, 제1 편광판 매엽체를 평면대에 배치하였을 때에 상기 높이가 평면대로부터 0.5 ㎜ 이상인 파형 결함의 수이다. 파형 결함의 수도 또한, 제1 편광판 매엽체의 변(단부)에 있어서 측정된다.
제1 편광판 매엽체는, 장변과 단변을 갖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전형적으로는 직사각형이다. 장변 및 단변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제1 편광판 매엽체의 장변은 700 ㎜ 이상이며, 단변은 400 ㎜ 이상이다. 파형 결함은, 제1 편광판 매엽체의 사이즈가 클수록, 파형의 높이나 생기는 수에 있어서 현저해지기 쉽다. 사이즈(장변 및/또는 단변)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파형 결함의 문제 그 자체가 생기기 어렵다. 제1 편광판 매엽체는, 장척물로서 제조된 편광판을 재단한 후, 어떠한 조건 하에서 보관, 운반하는 등의 과정에서 상기와 같은 파형 결함이 생긴 편광판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높이가 2 ㎜를 넘는 파형 결함 또는 4개 이상의 파형 결함을 어느 하나의 장변에 갖는 제1 편광판 매엽체는, 그 장변에 대향하는 장변에도 같은 정도의 파형 결함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높이가 2 ㎜를 넘는 파형 결함 또는 4개 이상의 파형 결함을 어느 하나의 장변에 갖는 제1 편광판 매엽체는, 2개의 단변에도 파형 결함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단, 2개의 단변에 생기는 파형 결함은, 그 높이 및/또는 수에 있어서, 장변에 생기는 파형 결함에 비해서 작은 경향에 있고, 또한, 단변에 있어서의 파형 결함은, 장변의 파형 결함에 비해서 기포 혼입의 문제를 발생시키기 어려운 경향에 있다. 따라서, 기포 혼입이나 그에 따른 시인성 저하의 문제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특별히 장변에 생겨 있는 파형 결함을 저감하는 것이 긴요하다.
제1 편광판 매엽체의 층 구성은, 편광자와, 그 적어도 한쪽의 면 상에 적층 접합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고,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이 적층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보호 필름은 통상, 접착제층을 통해 편광자 상 에 적층 접합된다.
제1 편광판 매엽체는, 편광자 및 보호 필름 이외의 층(또는 필름)을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장척물로서 제조되는 편광판 및 이것을 재단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 매엽체는, 화상 표시 소자(예컨대 액정 셀)에 접합하기 위한 점착제층을 편광판 외면에 미리 적층한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판으로서 시장 유통되는 경우도 많지만, 제1 편광판 매엽체도 또한, 이러한 점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경우, 통상은, 그 표면(외면)을 보호하기 위한 세퍼레이트 필름(세퍼레이터)이 점착제층 외면에 적층된다.
또한, 장척물로서 제조되는 편광판은 통상, 이것을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 롤로서 보관 또는 유통되지만, 권취 시, 외측의 보호 필름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그 보호 필름 상에 프로텍트 필름(표면 보호 필름)을 마련해 두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 경우, 그 편광판을 재단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 매엽체도 또한, 프로텍트 필름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와 같이 제1 편광판 매엽체는, 보호 필름 상에 적층되는 프로텍트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제1 편광판 매엽체가 갖는 보호 필름은, 그 외면(편광자와는 반대측의 면)에, 하드 코트층, 방현층, 반사 방지층, 대전 방지층, 방오층과 같은 표면 처리층(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제1 편광판 매엽체는, 편광자 이외의 다른 광학기능을 갖는 층 또는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일례는 위상차 필름이다.
제1 편광판 매엽체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제1 편광판 매엽체(1)는, 편광자(10); 편광자(10)의 한쪽의 면에 접합되는 제1 보호 필름(20); 편광자(10)의 다른쪽의 면에 접합되는 제2 보호 필름(30); 제2 보호 필름(30)의 외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40); 점착제층(40)의 외면에 적층되는 세퍼레이트 필름(50); 제1 보호 필름(20)의 외면에 적층되는 프로텍트 필름(60)을 포함한다. 편광자(10) 및 보호 필름[제1 보호 필름(20), 제2 보호 필름(30)]에 더하여, 점착제층(40)과 세퍼레이트 필름(50)을 갖는 층 구성, 프로텍트 필름(60)을 갖는 층 구성, 또는 점착제층(40), 세퍼레이트 필름(50) 및 프로텍트 필름(60)을 갖는 층 구성은, 제1 편광판 매엽체의 바람직한 층 구성의 예이다. 점착제층(4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보호 필름(20) 및 제2 보호 필름(30) 중 어느 한쪽을 생략하여, 편광자(10) 상에 직접 적층할 수도 있다.
편광자(10)는, 광학축에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흡수하고, 광학축에 직교하는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광학 필름이며, 예컨대, 일축 연신되어,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일 수 있다. 이색성 색소로서는, 요오드나 이색성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편광자(10)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초산비닐의 비누화물인 폴리비닐알코올 외에, 초산비닐과 그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예컨대 에틸렌이나 불포화 카르복실산 등)의 공중합체의 비누화물인 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여도 좋다. 편광자(10)의 두께는 통상, 5 ㎛∼40 ㎛ 정도이다.
편광자(10)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의 염색은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필름을 침지함으로써,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는 붕산 수용액에 필름을 침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일축 연신은, 이색성 색소의 염색 전, 염색과 동시, 또는 염색 후에 행할 수 있다. 일축 연신을 염색 후에 행하는 경우, 이 일축 연신은, 붕산 처리 전 또는 붕산 처리 중에 행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복수의 단계에서 일축 연신을 행하여도 좋다.
제1 및 제2 보호 필름(20, 30)은, 투광성을 갖는(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 가소성 수지 필름일 수 있다. 열 가소성 수지의 구체예는, 쇄형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 (메타)아크릴계 수지(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 등); 셀룰로오스계 수지(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초산셀룰로오스계 수지 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초산비닐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공중합물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보호 필름(20, 30)의 두께는, 예컨대 5 ㎛∼200 ㎛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10 ㎛∼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100 ㎛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을 의미한다.
도 1에 표시되는 제1 편광판 매엽체(1)와 같이, 편광자(10)의 한쪽의 면 상에 제1 보호 필름(20)을 구비하고, 다른쪽의 면 상에 제2 보호 필름(30)을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1 보호 필름(20)과 제2 보호 필름(30)은, 동종의 열 가소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이종의 열 가소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이종의 열 가소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등, 양면에 접합되는 보호 필름의 투습도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흡습성의 차이에 의해 파형 결함이 특히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은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면에 접합되는 보호 필름의 투습도의 차가 30 g/(㎡·24 hr) 이상, 더욱 50 g/(㎡·24 hr) 이상, 또한 더욱 100 g/(㎡·24 hr) 이상, 특히 더욱 300 g/(㎡·24 hr) 이상이어도, 파형 결함이 저감되어, 기포 혼입이나 그에 따른 시인성 저하의 문제를 발생시키기 어려운 편광판 매엽체를 얻을 수 있다. 통상, 양면에 접합되는 보호 필름의 투습도의 차는, 900 g/(㎡·24 hr) 이하이다.
상기 투습도는, 온도 40℃, 상대 습도 90%에서의 투습도이며, JIS Z 0208에 규정되는 컵법에 따라 측정된다. 온도 40℃, 상대 습도 90%에서의 투습도의 차가 30 g/(㎡·24 hr) 이상인 보호 필름의 조합으로서는, 예컨대,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TAC 필름 등)과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조합,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TAC 필름 등)과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조합,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양면에 접합되는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열 가소성 수지가 동종이어도, 그 위에 적층되는 표면 처리층의 유무나 종류의 상위에 의해, 투습도에 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편광자(10)와, 제1 보호 필름(20) 및 제2 보호 필름(30)은, 접착제층을 통해 접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는, 수계 접착제, 즉, 접착제 성분을 물에 용해한 것 또는 물에 분산시킨 것이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의 접착제 성분은,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일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예컨대, 에폭시계 화합물이나 (메타)아크릴계 화합물 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과,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일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무용제형의 접착제일 수 있지만, 유기 용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용제형의 접착제를 이용하면, 용제를 제거하기 위한 건조 처리가 불필요해진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층을 통해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 가시광선, 자외선, X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킨다. 따라서, 이 경우, 제1 편광판 매엽체에 있어서의 접착제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의 경화물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내는 제1 편광판 매엽체(1)와 같이, 편광자(10)의 한쪽의 면 상에 제1 보호 필름(20)을 구비하고, 다른쪽의 면 상에 제2 보호 필름(30)을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1 보호 필름(20)을 접합하는 제1 접착제층과 제2 보호 필름(30)을 접합하는 제2 접착제층은, 동종의 접착제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이종의 접착제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제조 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동종의 접착제로 형성된다.
제1 접착제층 및 제2 접착제층 중 적어도 어느 한쪽(바람직하게는 쌍방)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흡습에 기인하는 파형 결함이 특히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은 특히 유리하다.
화상 표시 소자(예컨대 액정 셀)에 접합하기 위한 점착제층(40)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예컨대 (메타)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폴리에테르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점착력, 신뢰성, 리워크성 등의 관점에서, (메타)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점착제층(40)의 두께는 통상, 2 ㎛∼40 ㎛이다.
세퍼레이트 필름(50) 및 프로텍트 필름(60)은 각각, 편광판을 보관·운반하거나, 검사하거나 할 때에, 점착제층(40), 제1 보호 필름(20)을 가보호할 목적으로 마련된다. 점착제층(40)을 보호하는 세퍼레이트 필름(50)은, 후술하는 제2 편광판 매엽체가 실용에 제공되기(예컨대 액정 셀과 같은 화상 표시 소자에 접합되기) 직전에 박리 제거된다. 또한, 프로텍트 필름(60)은 통상, 제2 편광판 매엽체가 실용에 제공된(예컨대 액정 셀과 같은 화상 표시 소자에 접합된) 후에, 그 점착제층마다 박리 제거된다.
세퍼레이트 필름(50)은 통상, 편면에 이형 처리가 실시된 열 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고, 그 이형 처리면이 점착제층(40)에 접합된다. 또한, 프로텍트 필름(60)은 통상, 열 가소성 수지 필름의 편면에 점착제층을 마련하여 구성된다. 세퍼레이트 필름(50) 및 프로텍트 필름(60)을 구성하는 열 가소성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일 수 있다. 프로텍트 필름(60)이 갖는 점착제층에 대해서는, 전술한 점착제층(40)에 대한 기술이 인용된다.
제1 편광판 매엽체의 층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층 구성일 수도 있다.
〔a〕 점착제층(40), 세퍼레이트 필름(50) 및 프로텍트 필름(6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생략한 구성,
〔b〕 제1 보호 필름(20) 및 제2 보호 필름(30) 중 어느 한쪽을 생략한 구성,
〔c〕 제2 보호 필름(30)으로서 위상차 필름과 같은 광학 보상 필름을 이용하는 구성,
〔d〕 제1 보호 필름(20) 및 제2 보호 필름(30)에 더하여, 위상차 필름과 같은 광학 보상 필름을 갖는 구성.
상기 〔b〕의 일례는 제2 보호 필름(30)을 생략한 구성이며, 그 적합한 구체예는, 편광자(10)에 있어서의 제1 보호 필름(20)과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층(40)을 직접 적층하여, 프로텍트 필름(60)/제1 보호 필름(20)/편광자(10)/점착제층(40)/세퍼레이트 필름(50)의 층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c〕의 적합한 구체예는, 프로텍트 필름(60)/제1 보호 필름(20)/편광자(10)/위상차 필름[제2 보호 필름(30)]/점착제층(40)/세퍼레이트 필름(50)의 층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d〕의 적합한 구체예는, 프로텍트 필름(60)/제1 보호 필름(20)/편광자(10)/제2 보호 필름(30)/위상차 필름/점착제층(40)/세퍼레이트 필름(50)의 층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경우, 제2 보호 필름(30)과 위상차 필름은, 예컨대 점착제층을 통해 접합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은, 일축 또는 이축 등의 광학 이방성을 갖는 광학 필름이며, 예컨대 열 가소성 수지의 연신 필름일 수 있다. 열 가소성 수지는, 제1 및 제2 보호 필름(20, 30)에 대해서 위에서 예시한 것일 수 있는 것 외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액정 폴리에스테르, 아세틸셀룰로오스,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폴리염화비닐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연신 배율은 통상, 1.01배∼6배정도이다.
(2) 제2 편광판 매엽체를 얻는 공정
본 공정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변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파형 결함을 갖는 제1 편광판 매엽체의 장변 단부(그 파형 결함을 갖는 장변을 포함하는 단부)를 슬릿 제거하여, 그 파형 결함이 저감된 제2 편광판 매엽체를 얻는 공정이다. 슬릿에는, 쉬어 커터 등의 종래 공지의 재단(절단)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편광판 매엽체가 보호 필름 상에 적층되는 프로텍트 필름(60)을 갖거나, 및/또는 편광자(10) 혹은 보호 필름 상에 적층되는 점착제층(40)과 그 외면에 적층되는 세퍼레이트 필름(50)을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단부(특히 상기 장변 단부)에 파형 결함을 발생시키고 있는 제1 편광판 매엽체는, 그 단부의 색조가 거무스름해지는 외관 불량을 수반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외관 불량은, 파형 결함이 생길 때의 응력에 의해 프로텍트 필름(60)을 구성하는 열 가소성 수지 필름과 점착제층의 계면, 혹은 세퍼레이트 필름(50)과 점착제층(40)의 계면에 어긋남이 생겨 점착제층 표면이 거칠어지는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점착제층(40)의 표면에 거칠음이 생긴 경우에는, 액정 셀과 같은 화상 표시 소자에 접합한 후에 있어서도 외관 불량이 남을 우려가 있다.
본 공정에 의해, 상기 외관 불량 부분이 제거되도록 슬릿 제거를 행하면, 색조의 면에서도 외관 품질이 양호한 편광판 매엽체를 얻을 수 있다.
슬릿 제거는, 상기 파형 결함을 갖는 장변 단부에 대해서 행한다. 특히, 높이가 2 ㎜를 넘는 파형 결함 또는 4개 이상의 파형 결함을 어느 하나의 장변에 갖는 제1 편광판 매엽체는, 그 장변에 대향하는 장변에도 같은 정도의 파형 결함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형적으로는, 양방의 장변 단부에 대해서 슬릿 제거가 행해진다.
슬릿 제거되는 장변 단부의 폭(W1)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변에 있어서 높이가 2 ㎜를 넘는 파형 결함 또는 4개 이상의 파형 결함을 갖는 편광판 매엽체의 경우, 파형 결함의 저감 효과의 관점에서, 한쪽 단부당 6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목해야 할 것은, 제1 편광판 매엽체가 전술한 통상의 사이즈(장변 700 ㎜ 이상, 또한 단변 400 ㎜ 이상)인 한, 그 사이즈에 상관없이, 장변 단부를 바람직하게는 65 ㎜ 이상의 슬릿폭(W1)으로 제거함으로써, 양호한 파형 결함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파형 결함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슬릿폭(W1)은, 한쪽 단부당,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이고,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40 ㎜ 이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단변에 생길 수 있는 파형 결함은, 그 높이 및/또는 수에 있어서, 장변에 생기는 파형 결함에 비해서 작은 경향에 있고, 또한, 단변에 있어서의 파형 결함은, 장변의 파형 결함에 비해서 기포 혼입의 문제를 발생시키기 어려운 경향에 있기 때문에, 단변 단부를 슬릿 제거할 필요는 반드시 없지만, 단변에 있어서의 파형 결함을 저감시키기 위해, 파형 결함이 생기고 있는 장변 단부에 더하여, 파형 결함이 생기고 있는 단변 단부(한쪽 단부 또는 양단부)를 슬릿 제거하여도 좋다. 단변 단부의 슬릿폭(W2)은, 한쪽 단부당, 예컨대 35 ㎜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 이상이다.
또한, 단변 단부에 파형 결함이 생겨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단변 단부의 한쪽 또는 양방을 슬릿 제거하여, 제1 편광판 매엽체로부터 사이즈 다운된 제2 편광판 매엽체를 얻어도 좋다. 사이즈 다운의 구체예로서는, 46인치 사이즈(장변 1031 ㎜×단변 585 ㎜)의 제1 편광판 매엽체의 장변 단부 및 단변 단부를 슬릿 제거하여, 39인치 사이즈(장변 860 ㎜×단변 490 ㎜)의 제2 편광판 매엽체를 얻는 경우나, 39인치 사이즈(장변 860 ㎜×단변 490 ㎜)의 제1 편광판 매엽체의 장변 단부 및 단변 단부를 슬릿 제거하여, 32인치 사이즈(장변 700 ㎜×단변 400 ㎜)의 제2 편광판 매엽체를 얻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사이즈 다운을 위한 슬릿 제거에 있어서는, 높이가 2 ㎜를 넘는 파형 결함을 갖거나, 또는 4개 이상의 파형 결함을 갖는 편광판 매엽체의 경우, 장변 단부를, 한쪽 단부당 65 ㎜ 이상의 슬릿폭(W1)으로 제거하는 한, 2개의 장변 단부의 한쪽만을 슬릿 제거하여도 좋고, 쌍방의 장변 단부를 슬릿 제거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2개의 단변 단부의 한쪽만을 슬릿 제거하여도 좋고, 쌍방의 단변 단부를 슬릿 제거하여도 좋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예에 있어서, 파형 결함의 수 및 높이는, 다음 측정 방법에 따랐다.
(파형 결함의 수 및 높이)
세퍼레이트 필름(50)측을 상향으로 하여, 편광판 매엽체를 평면대에 배치하고, 편광판 매엽체의 2개의 장변에 있어서의 파형 결함의 수(전술한 바와 같이, 높이가 평면대로부터 0.5 ㎜ 이상인 파형 결함에 한함) 및 파형 결함의 평면대로부터의 높이를 각각 측정하였다. 표 1에는, 2개의 장변 중, 보다 많은 파형 결함을 갖는 장변에 있어서의 파형 결함의 수 및 높이를 기재하고 있다. 표 1에 기재된 파형 결함의 높이는, 복수의 파형 결함을 갖는 경우에는, 가장 높은 파형 결함의 높이이다.
<실험예 1>
〔1〕 제1 편광판 매엽체의 제작
도 1에 나타내는 층 구성을 갖는 장척형의 편광판을 준비하였다. 이 편광판의 층 구성은, 두께 53 ㎛의 프로텍트 필름(60)((메타)아크릴계 점착제층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짐)/두께 60 ㎛의 제1 보호 필름(20)(TAC 필름)/두께 25 ㎛의 편광자(10)(요오드가 흡착 배향하고 있는 일축 연신 폴리비닐알코올 필름)/두께 52 ㎛의 제2 보호 필름(30)(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두께 20 ㎛의 점착제층(40)((메타)아크릴계 점착제층)/두께 38 ㎛의 세퍼레이트 필름(50)(편면에 이형 처리가 실시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다. 제1 보호 필름(20) 및 제2 보호 필름(30)은 모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카치온 중합성의 에폭시계 화합물인 경화성 화합물과 광 카치온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인 (주)ADEKA 제조의 「KR-70T」)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통해 편광자(10)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1 보호 필름(20) 및 제2 보호 필름(30)의 40℃, 상대 습도 90%에 있어서의 투습도는, 각각, 560 g/(㎡·24 hr), 5 g/(㎡·24 hr)였다.
상기 장척형의 편광판으로부터, 46인치 사이즈(장변 1031 ㎜×단변 585 ㎜)의 직사각형의 편광판 매엽체를 절취한 후, 30℃ 상대 습도 80%의 환경 하에서 3일간 보관하여, 상기 측정 방법에 따른 파형 높이가 3.5 ㎜이며, 파형 결함의 수가 5개인 장변을 갖는 제1 편광판 매엽체를 얻었다.
〔2〕 제2 편광판 매엽체의 제작(장변 단부의 슬릿 제거)
위에서 얻어진 제1 편광판 매엽체에 있어서의, 파형 높이가 3.5 ㎜이며, 파형 결함의 수가 5개인 장변 단부를, 쉬어 커터를 이용하여 10 ㎜의 폭으로 슬릿 제거하고, 슬릿 후의 제2 편광판 매엽체의 장변에 있어서의 파형 결함의 높이 및 수를 측정하였다. 이 조작을 토탈의 슬릿폭[슬릿폭(W1)]이 170 ㎜가 될 때까지 반복하여, 슬릿폭(W1)과 파형 결함 저감 효과의 관계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실험예 2>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파형 높이가 3.5 ㎜이며, 파형 결함의 수가 4개인 장변을 갖는 46인치 사이즈(장변 1031 ㎜×단변 585 ㎜)의 제1 편광판 매엽체에 있어서의 2개의 장변 단부를, 쉬어 커터를 이용하여, 한쪽 단부당 85.5 ㎜씩 슬릿 제거하며, 2개의 단변 단부를, 한쪽 단부당 47.5 ㎜씩 슬릿 제거함으로써, 39인치 사이즈(장변 860 ㎜×단변 490 ㎜)로 사이즈 다운된 제2 편광판 매엽체를 얻었다. 이 제2 편광판 매엽체에 대해서, 파형 높이가 3.5 ㎜이며, 파형 결함의 수가 4개인 제1 편광판 매엽체의 장변에 상당하는 장변에 있어서의 파형 결함의 높이 및 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다음에, 위에서 얻어진 39인치 사이즈의 제2 편광판 매엽체에 있어서의 2개의 장변 단부를, 쉬어 커터를 이용하여, 한쪽 단부당 80.0 ㎜씩 슬릿 제거하며, 2개의 단변 단부를, 한쪽 단부당 45.0 ㎜씩 슬릿 제거함으로써, 32인치 사이즈(장변 700 ㎜×단변 400 ㎜)로 사이즈 다운된 제2 편광판 매엽체를 얻었다. 이 제2 편광판 매엽체에 대해서, 위에서 파형 결함의 높이 및 수를 측정한 39인치 사이즈의 제2 편광판 매엽체의 장변에 상당하는 장변에 있어서의 파형 결함의 높이 및 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1 제1 편광판 매엽체, 10 편광자, 20 제1 보호 필름, 30 제2 보호 필름, 40 점착제층, 50 세퍼레이트 필름, 60 프로텍트 필름.

Claims (8)

  1. 편광자 및 그 적어도 한쪽의 면 상에 적층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며, 장변과 단변을 갖는 사각형 형상의 편광판 매엽체로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변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파형 결함을 갖는 제1 편광판 매엽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제1 편광판 매엽체에 있어서의 상기 파형 결함을 갖는 장변을 포함하는 단부를 슬릿 제거하여, 제2 편광판 매엽체를 얻는 공정
    을 포함하는, 편광판 매엽체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판 매엽체를 준비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변에 있어서 갖는 파형 결함이 4개 이상인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판 매엽체를 준비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변에 있어서 갖는 파형 결함의 높이가 2 ㎜를 넘는 것인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광판 매엽체를 얻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판 매엽체에 있어서의 상기 파형 결함을 갖는 장변을 포함하는 단부를 65 ㎜ 이상의 폭으로 슬릿 제거하는 것인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판 매엽체는, 상기 편광자와, 그 한쪽의 면 상에 제1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되는 제1 보호 필름과, 다른쪽의 면 상에 제2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되는 제2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필름과 상기 제2 보호 필름은, 온도 40℃, 상대 습도 90%에서의 투습도가 30 g/(㎡·24 hr) 이상 상이한 것인 제조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층 및 상기 제2 접착제층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인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판 매엽체는, 하기 (a) 및 (b):
    (a) 상기 보호 필름 상에 적층되는 프로텍트 필름,
    (b) 상기 편광자 상 또는 상기 보호 필름 상에 적층되는 점착제층과, 그 외면에 적층되는 세퍼레이트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KR1020177013678A 2014-11-05 2015-10-30 편광판 매엽체의 제조 방법 KR102256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25034 2014-11-05
JP2014225034 2014-11-05
PCT/JP2015/080677 WO2016072359A1 (ja) 2014-11-05 2015-10-30 偏光板枚葉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542A true KR20170082542A (ko) 2017-07-14
KR102256908B1 KR102256908B1 (ko) 2021-05-28

Family

ID=5590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678A KR102256908B1 (ko) 2014-11-05 2015-10-30 편광판 매엽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256908B1 (ko)
CN (1) CN107003459B (ko)
TW (1) TWI666475B (ko)
WO (1) WO2016072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32580B2 (ja) * 2016-07-22 2020-07-29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と光学表示パネルの製造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639A (ko) * 2003-10-24 2005-04-2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보호필름
JP2006251224A (ja) * 2005-03-09 2006-09-21 Fuji Photo Film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08275722A (ja) * 2007-04-26 2008-11-13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製品の梱包方法
JP2009134190A (ja) 2007-11-30 2009-06-18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2017A (en) * 1980-08-08 1982-03-27 Sharp Corp Tacky-polarizing-plate defective removing device automatic tacky-polarizing-plate sticking machine
JPH09197394A (ja) * 1996-01-23 1997-07-31 Hitachi Ltd 偏光板剥がし装置
JP3710368B2 (ja) * 2000-09-25 2005-10-26 シャープ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5326531A (ja) * 2004-05-13 2005-11-24 Nitto Denko Corp 保護フィルム付き偏光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4808106B2 (ja) * 2006-08-23 2011-11-0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切断方法
JP2008180765A (ja) * 2007-01-23 2008-08-07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112268B2 (ja) * 2007-12-06 2013-01-09 日東電工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446732B2 (ja) * 2009-10-30 2014-03-1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5519330B2 (ja) * 2010-02-26 2014-06-11 日東電工株式会社 切断情報決定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帯状偏光シートの製造方法、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方法、帯状偏光シート及び偏光シート原反
JP2011232625A (ja) * 2010-04-28 2011-11-17 Nitto Denko Corp ロール原反および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JP6033722B2 (ja) * 2013-03-27 2016-11-30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639A (ko) * 2003-10-24 2005-04-2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보호필름
JP2006251224A (ja) * 2005-03-09 2006-09-21 Fuji Photo Film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08275722A (ja) * 2007-04-26 2008-11-13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製品の梱包方法
JP2009134190A (ja) 2007-11-30 2009-06-18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03459A (zh) 2017-08-01
CN107003459B (zh) 2019-04-05
TWI666475B (zh) 2019-07-21
TW201621365A (zh) 2016-06-16
KR102256908B1 (ko) 2021-05-28
WO2016072359A1 (ja)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17572B (zh) 带有保护膜的偏振板及包含它的层叠体
JP6154099B2 (ja)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6120779B2 (ja)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2009251213A (ja) 偏光板ロールの製造方法
KR101608528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2436860B1 (ko) 광학 필름 세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117591A (ko) 편광판
TW201842362A (zh) 附保護膜之偏光板及液晶面板
KR102535072B1 (ko)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80103050A (ko)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642673B1 (ko) 적층체
JP2008275722A (ja) 偏光板製品の梱包方法
CN110000863B (zh) 单片膜的制造方法
TWI694272B (zh) 附保護膜之偏光板的製造方法
KR101645124B1 (ko) 편광판의 보관 방법, 편광판이 갖는 물결 결함의 해소 또는 저감 방법,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WO2016072358A1 (ja) プロテクトフィルム付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10113310A (ko)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6712B1 (ko)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과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
KR20170072923A (ko) 편광판 롤
KR20170082542A (ko) 편광판 매엽체의 제조 방법
KR20170072922A (ko) 편광판 롤
KR102221340B1 (ko) 편광판 매엽체의 제조 방법
KR102356930B1 (ko) 매엽상의 광학 필름
JP7016729B2 (ja) 枚葉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60028874A (ko) 표면보호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