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437A - 쉴드룸용 차폐도어 - Google Patents

쉴드룸용 차폐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437A
KR20170081437A KR1020160000479A KR20160000479A KR20170081437A KR 20170081437 A KR20170081437 A KR 20170081437A KR 1020160000479 A KR1020160000479 A KR 1020160000479A KR 20160000479 A KR20160000479 A KR 20160000479A KR 20170081437 A KR20170081437 A KR 20170081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door body
pneumatic cylinder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9025B1 (ko
Inventor
최우성
Original Assignee
최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우성 filed Critical 최우성
Priority to KR102016000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0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pneumatic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800/11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폐도어는, 출입구를 갖는 사각틀 형상의 도어프레임; 폭방향 일측이 상기 도어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의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몸체; 상기 도어프레임의 전방면 중 상기 도어몸체의 폭방향 타측과 대응되는 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공압실린더; 상기 승강프레임 중 상기 도어몸체의 폭방향 타단과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측이 개방된 삽입슬릿을 구비하는 체결브라켓; 상기 승강프레임 승강 시 상기 삽입슬릿 내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도어몸체의 폭방향 타단에 구비되는 삽입돌부; 상기 도어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잠금가압판; 상기 도어몸체가 상기 도어프레임의 출입구를 덮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될 때, 상기 잠금가압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공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쉴드룸용 차폐도어 {SHIELDING DOOR FOR ELECTROMAGNETIC SHIELDING CHAMBER}
본 발명은 쉴드룸의 출입구를 차폐시키기 위한 차폐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도어 본체를 닫는 조작만으로 쉴드룸의 출입구를 완벽하게 차폐시킬 수 있으며, 비정상 상태인 경우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쉴드룸용 차폐도어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혹은 전자파가 인체 혹은 다른 전자기기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을 전자파 시험 혹은 전자 정합성(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테스트라고 한다.
전자기기가 점점 더 디지털화되고 고속화되면서 전자기기의 회로 내에서 순환하는 전류들이 많아지게 되었고 전자기기들은 좀더 많은 노이즈와 전자파를 일으킬 개연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적 노이즈 혹은 전자파에 대해 규제가 강화되고 있고, 전자기기가 이러한 규제를 만족하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전자파 시험 시스템들이 제시되고 있다.
전자파 시험 시스템들 중에는 전도성 노이즈(Conducted Emissions)를 측정하는 시스템이 있고, 방사성 노이즈(Radiated Emissions)를 측정하는 시스템이 있다.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혹은 전자파는 전원과 같은 유선을 통해 다른 전자기기로 전파될 수 있다. 이렇게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있는 유선을 통해 다른 전자기기로 전파되는 노이즈를 측정하는 것을 전도성 노이즈 측정이라고 한다. 이와 달리, 전자기기는 회로 내에서의 전자기적 에너지의 흐름에 따라 노이즈 혹은 전자파를 공중으로 방사할 수 있는데, 이렇게 공중으로 방사되는 노이즈 혹은 전자파를 측정하는 것을 방사성 노이즈 측정이라고 한다.
한편, 전도성 노이즈와 방사성 노이즈는 하나의 전자기기에서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어느 하나만의 노이즈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른 노이즈의 간섭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자파 시험 시스템은 외부의 다른 노이즈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전자파 차폐 도어를 구비해야 하는데, 전자파 차폐도어의 구조는 크게 사이드로 슬라이딩시켜 개폐하는 슬라이딩식 차폐도어와, 힌지축을 기준으로 도어를 회전시켜 차폐룸의 출입구를 여닫는 스윙식 차폐도어로 구분되며, 슬라이딩식 차폐도어는 대용량 차폐룸에 적합하고 스윙식 차폐도어는 소용량 쉴드룸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다.
이중에 스윙식 차폐도어는 힌지축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몸체와 도어 프레임의 밀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할 수 있는데, 최근 들어서는 도어몸체가 도어프레임에 완벽하게 밀착될 수 있는 스윙식 차폐도어가 제안된 바 있다.
이때, 종래의 차폐도어는 도어몸체가 도어프레임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어 차폐력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도어몸체에 많은 부품이 실장되는바 도어몸체의 자중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몸체가 처지는 현상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폐도어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조작해야만 도어몸체가 도어프레임에 압착되므로 차폐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아니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될 수 있고, 고장 및 정전,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차폐도어의 개폐가 불가하게 되어 각종 상해가 유발된다는 단점이 있다.
KR 10-1518793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도어몸체가 매우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도어프레임에 압착될 수 있고, 비상 상황 발생 시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하여 상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몸체를 경량화시킴으로써 도어몸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쉴드룸용 차폐도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폐도어는, 출입구를 갖는 사각틀 형상의 도어프레임; 폭방향 일측이 상기 도어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의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몸체; 상기 도어프레임의 전방면 중 상기 도어몸체의 폭방향 타측과 대응되는 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공압실린더; 상기 승강프레임 중 상기 도어몸체의 폭방향 타단과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측이 개방된 삽입슬릿을 구비하는 체결브라켓; 상기 승강프레임 승강 시 상기 삽입슬릿 내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도어몸체의 폭방향 타단에 구비되는 삽입돌부; 상기 도어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잠금가압판; 상기 도어몸체가 상기 도어프레임의 출입구를 덮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될 때, 상기 잠금가압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공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프레임의 중단에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방면 중 상기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지점을 덮도록 위치되며, 회전축이 상기 가이드슬롯을 관통하도록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는 피니언;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피니언과 기어결합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방면에 결합되는 래크; 일측이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 상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동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압실린더 내의 공기압력을 해제시키는 해제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해제버튼은 쉴드룸의 내부 및 외부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쉴드룸의 폐쇄를 알리는 조명유닛; 상기 도어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조명가압판; 상기 도어몸체가 상기 도어프레임의 출입구를 완전히 차폐시키도록 닫혔을 때, 상기 조명가압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조명유닛을 작동시키는 조명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삽입슬릿은,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도어프레임의 전방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공압실린더 내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압실린더 내의 압력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공압실린더 내의 공기압력을 해제시키는 압력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정전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정전 발생 시 상기 공압실린더 내의 공기압력을 해제시키는 정전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쉴드룸 주변의 화재발생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쉴드룸 주변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공압실린더 내의 공기압력을 해제시키는 화재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쉴드룸용 차폐도어는, 도어몸체가 매우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도어프레임에 압착될 수 있어 차폐 신뢰성이 향상되고, 비상 상황 발생 시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하여 각종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몸체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도어몸체의 처짐이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쉴드룸용 차폐도어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삽입돌부와 체결브라켓의 체결구조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3은 공압실린더 작동에 연관된 각 구성요소의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삽입돌부가 체결브라켓에 체결되었을 때의 차폐도어 정면도 및 부분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쉴드룸용 차폐도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쉴드룸용 차폐도어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삽입돌부와 체결브라켓의 체결구조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쉴드룸용 차폐도어는 쉴드룸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출입구를 갖는 사각틀 형상의 도어프레임(100)과, 폭방향 일측이 상기 도어프레임(10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몸체(200)를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상기 도어몸체(200)가 완전히 닫혔을 때 도어프레임(100)과 도어몸체(200) 사이를 통해 전자파가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도어프레임(100)에는 한 쌍의 핑거가스켓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몸체(200)에는 한 쌍의 핑거가스켓 사이로 압입되는 나이프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도어프레임(100)과 도어몸체(200) 간의 차폐구조는 종래의 차폐도어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쉴드룸용 차폐도어는,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전방면 중 상기 도어몸체(200)의 폭방향 타측과 대응되는 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승강프레임(300)과, 상기 승강프레임(300)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프레임(300)을 승강시키는 공압실린더(400)와, 상기 승강프레임(300) 중 상기 도어몸체(200)의 폭방향 타단과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측이 개방된 삽입슬릿(312)을 구비하는 체결브라켓(310)과, 상기 승강프레임(300) 승강 시 상기 삽입슬릿(312) 내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도어몸체(200)의 폭방향 타단에 구비되는 삽입돌부(110)를 구비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돌부(110)가 체결브라켓(310)의 삽입슬릿(312) 상측에 위치하도록 도어몸체(200)가 일정 수준 닫힌 상태에서 승강프레임(300)이 상승하면, 승강프레임(300)을 일측에 결합된 체결브라켓(310) 역시 승강프레임(300)과 일체로 상승하는바, 상기 삽입돌부(110)는 승강프레임(300)의 삽입슬릿(312)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승강프레임(300)은 도어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삽입돌부(110)는 도어몸체(200)에 결합되어 있는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삽입돌부(110)가 삽입슬릿(312)에 삽입되면 도어몸체(200)는 도어프레임(100)에 압착된 상태 즉, 차폐 가능하도록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몸체(200)를 도어프레임(100)에 압착시키기 위해서는 승강프레임(300)과 공압실린더(400), 체결브라켓(310), 삽입돌부(110) 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도어몸체(200)에는 비교적 중량이 가벼운 삽입돌부(110)만이 구비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어프레임(100)에 구비되는바, 상기 도어몸체(200)의 자중이 가벼워지고 이에 따라 도어몸체(200)의 처짐이 발생되지 아니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쉴드룸용 차폐도어는, 사용자가 도어몸체(200)를 일정 수준 닫았을 때 도어몸체(200)가 도어프레임(100)에 완전히 압착되어 차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쉴드룸용 차폐도어는, 상기 도어몸체(200)의 가장자리(본 실시예에서는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잠금가압판(210)과, 상기 도어몸체(200)가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출입구를 덮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될 때 상기 잠금가압판(21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승강프레임(300)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공압실린더(400)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130)를 구비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잠금가압판(210)이 작동스위치(130)를 가압하는 정도로만 도어몸체(200)를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승강프레임(300)이 자동으로 상승하여 도어몸체(200)가 도어프레임(100)에 압착되는바, 본 발명에 의한 차폐도어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쉴드룸 차폐 신뢰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폐도어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공압실린더(400) 내의 공기압력을 해제시키는 해제버튼(410)이 구비된다. 사용자가 해제버튼(410)을 조작하여 공압실린더(400) 내의 공기압력이 해제되면, 승강프레임(300)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삽입돌부(110)가 삽입슬릿(312)으로부터 인출되는바, 차폐도어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쉴드룸의 내부에서도 차폐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고 쉴드룸의 외부에서도 차폐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해제버튼(410)은 쉴드룸의 내부 및 외부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쉴드룸용 차폐도어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쉴드룸용 차폐도어는, 자전 가능한 구조로 도어프레임(100)에 장착되는 피니언(120)과,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피니언(120)과 기어결합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300)의 전방면에 결합되는 래크(320)와, 일측이 상기 피니언(120)의 회전축 상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피니언(120)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동손잡이(3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300)의 중단에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슬롯(302)이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120)은 승강프레임(300)의 전방면 중 상기 가이드슬롯(302)이 형성된 지점을 덮도록 위치되되 회전축이 상기 가이드슬롯(302)을 관통하여 도어프레임(100)에 결합된다.
따라서 공압실린더(400)의 압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동손잡이(330)를 회전시켜 피니언(120)을 회전시키면, 피니언(120)과 기어결합되어 있던 래크(320)는 피니언(1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래크(320)가 고정결합되어 있는 승강프레임(300) 역시 상승 또는 하강하는바, 도어몸체(200)의 잠금 및 해정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폐도어는, 도어몸체(200)가 도어프레임(100)에 압착되었을 때 쉴드룸의 차폐 여부를 알리는 조명유닛(50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어몸체(200)가 완전히 닫혔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유닛(500)이 자동으로 점등 및 소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차폐도어는, 상기 도어몸체(200)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조명가압판(220)과, 상기 도어몸체(200)가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출입구를 완전히 차폐시키도록 닫혔을 때 상기 조명가압판(22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조명유닛(500)을 점등시키는 조명스위치(14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물론, 도어몸체(200)가 개방되어 조명가압판(220)이 조명스위치(140)를 가압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조명유닛(500)은 소등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조명가압판(220)과 조명스위치(140)가 구비되면, 도어몸체(200)의 개폐 여부에 따라 조명유닛(500)이 자동으로 점멸되는바, 쉴드룸의 차폐여부가 보다 안정적으로 공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공압실린더(400) 작동에 연관된 각 구성요소의 블록도이다.
차폐도어의 도어몸체(200)가 공압실린더(400)의 작동에 의해서만 잠금 및 잠금 해제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승강프레임(300)이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공압실린더(400)의 작동 불량이 발생되었을 때 승강프레임(300) 하강이 불가해지므로 도어몸체(200)를 열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공압실린더(400)가 팽창된 상태에서 작동 이상이 발생되어 해제버튼(410)을 누르더라도 공압실린더(400) 내의 공기압력이 해제되지 아니하면, 사용자가 수동손잡이(330)에 회전력을 인가하더라도 공압실린더(400)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어 있는 승강프레임(300)을 하강시킬 수 없으므로, 쉴드룸 내에서 작업하던 사람이 장시간 갇히는 등의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차폐도어는 공압실린더(400)의 작동 이상이 발생되는 즉시 공압실린더(400) 내의 압축공기를 방출시켜 즉, 공압실린더(400) 내의 공기압력이 강제적으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승강프레임(300)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차폐도어는, 상기 공압실린더(400) 내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압실린더(400) 내의 압력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공압실린더(400) 내의 공기압력을 해제시키는 압력감지센서(61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감지센서(610)가 구비되면, 공압실린더(400)에 이상이 발생될 때 공압실린더(400) 내의 압축공기가 강제로 방출되므로 사용자는 수동으로 승강프레임(300)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폐도어는 정전이나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도어몸체(200)의 개폐가 수동방식으로 전환되어, 각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차폐도어는, 정전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정전 발생 시 상기 공압실린더(400) 내의 공기압력을 해제시키는 정전감지센서(620)나, 상기 쉴드룸 주변의 화재발생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쉴드룸 주변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공압실린더(400) 내의 공기압력을 해제시키는 화재감지센서(6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전이나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는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정전감지센서(620)나 화재감지센서(630)의 내부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정전감지센서(620)나 화재감지센서(630)가 추가로 구비되면, 사용자는 수동으로 도어몸체(200)를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인명피해 등과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도 5는 삽입돌부(110)가 체결브라켓(310)에 체결되었을 때의 차폐도어 정면도 및 부분사시도이다.
도 1 및 및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승강프레임(300)이 상승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브라켓(310)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삽입돌부(110)가 삽입슬릿(312)에 삽입됨으로써 도어몸체(200)가 잠긴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삽입슬릿(312)은 하단으로 갈수록 도어프레임(100)의 전방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바, 삽입돌부(110)가 삽입슬릿(312)의 끝단으로 갈수록 도어몸체(200)는 도어프레임(100)과 더욱 가까워지게 되고, 상기 삽입돌부(110)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슬릿(312)에 끝까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도어몸체(200)와 도어프레임(100)은 완전히 차폐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차폐도어는, 잠금가압판(210)이 작동스위치(130)를 가압하는 정도까지만 사용자가 도어몸체(200)를 닫더라도, 상기 도어몸체(200)는 차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완전히 닫히게 되는바, 쉴드룸의 차폐신뢰성이 매우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어몸체(200)가 도어프레임(100)에 완벽하게 압착되도록 도어몸체(200)를 끝까지 닫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도어프레임 110 : 삽입돌부
120 : 피니언 130 : 작동스위치
140 : 조명스위치 200 : 도어몸체
210 : 잠금가압판 220 : 조명가압판
300 : 승강프레임 302 : 가이드슬롯
310 : 체결브라켓 312 : 삽입슬릿
320 : 래크 330 : 수동손잡이
400 : 공압실린더 410 : 해제버튼
500 : 조명유닛 610 : 압력감지센서
620 : 정전감지센서 630 : 화재감지센서

Claims (8)

  1. 출입구를 갖는 사각틀 형상의 도어프레임;
    폭방향 일측이 상기 도어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의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몸체;
    상기 도어프레임의 전방면 중 상기 도어몸체의 폭방향 타측과 대응되는 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공압실린더;
    상기 승강프레임 중 상기 도어몸체의 폭방향 타단과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측이 개방된 삽입슬릿을 구비하는 체결브라켓;
    상기 승강프레임 승강 시 상기 삽입슬릿 내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도어몸체의 폭방향 타단에 구비되는 삽입돌부;
    상기 도어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잠금가압판;
    상기 도어몸체가 상기 도어프레임의 출입구를 덮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될 때, 상기 잠금가압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공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룸용 차폐도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의 중단에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방면 중 상기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지점을 덮도록 위치되며, 회전축이 상기 가이드슬롯을 관통하도록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는 피니언;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피니언과 기어결합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방면에 결합되는 래크;
    일측이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 상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동손잡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룸용 차폐도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압실린더 내의 공기압력을 해제시키는 해제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해제버튼은 쉴드룸의 내부 및 외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룸용 차폐도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쉴드룸의 폐쇄를 알리는 조명유닛;
    상기 도어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조명가압판;
    상기 도어몸체가 상기 도어프레임의 출입구를 완전히 차폐시키도록 닫혔을 때, 상기 조명가압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조명유닛을 작동시키는 조명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룸용 차폐도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슬릿은,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도어프레임의 전방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룸용 차폐도어.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압실린더 내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압실린더 내의 압력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공압실린더 내의 공기압력을 해제시키는 압력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룸용 차폐도어.
  7. 청구항 2에 있어서,
    정전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정전 발생 시 상기 공압실린더 내의 공기압력을 해제시키는 정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룸용 차폐도어.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쉴드룸 주변의 화재발생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쉴드룸 주변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공압실린더 내의 공기압력을 해제시키는 화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룸용 차폐도어.
KR1020160000479A 2016-01-04 2016-01-04 쉴드룸용 차폐도어 KR101799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479A KR101799025B1 (ko) 2016-01-04 2016-01-04 쉴드룸용 차폐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479A KR101799025B1 (ko) 2016-01-04 2016-01-04 쉴드룸용 차폐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437A true KR20170081437A (ko) 2017-07-12
KR101799025B1 KR101799025B1 (ko) 2017-12-20

Family

ID=5935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479A KR101799025B1 (ko) 2016-01-04 2016-01-04 쉴드룸용 차폐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0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1645A (zh) * 2022-07-01 2022-09-02 福建省铭时门业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隔音及防水功能的电子安全门
KR20230130888A (ko) * 2022-03-04 2023-09-12 주식회사 제이에스기술 로드리스 실린더를 이용한 스윙식 전자파 차폐도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03B1 (ko) * 2006-12-19 2007-12-27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구 출입문용 잠금장치
KR101024571B1 (ko) * 2010-12-10 2011-03-31 이붕희 랙 피니언과 캠블럭을 이용한 실드룸용 풀 오토 실드 도어
KR101057020B1 (ko) * 2010-12-23 2011-08-16 주식회사 쉴드텍 반자동 전자파 차폐 스윙식 도어
KR101518793B1 (ko) * 2013-12-27 2015-05-11 주식회사 이레테크 전자파 차폐룸의 차폐 도어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888A (ko) * 2022-03-04 2023-09-12 주식회사 제이에스기술 로드리스 실린더를 이용한 스윙식 전자파 차폐도어
CN114991645A (zh) * 2022-07-01 2022-09-02 福建省铭时门业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隔音及防水功能的电子安全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025B1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4914B2 (en) Anti-trapp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vehicle door
CN1936256B (zh) 一种用于辐射成像检查系统的自动防护屏蔽门装置
KR101799025B1 (ko) 쉴드룸용 차폐도어
JP2008514110A (ja) 静電容量センサシステム
US10746411B2 (en) Cooking apparatus
EP1914190A1 (en) Foldable apron for car of a lift system
CN106454016A (zh) 带机械锁闭装置的墙面摄像头
CN105569446A (zh) 防误操作自动锁装置和有该装置的推拉平开门窗五金系统
JP2010181107A (ja) 引出し型加熱調理器
CN108556733B (zh) 防止乘员伸出车窗口的防护装置、车窗以及具有其的车辆
KR200372458Y1 (ko) 배전반
JP2962340B2 (ja) パワーウインドウ装置
JP5509604B2 (ja) X線分析装置
JPH07974B2 (ja) 扉開閉状態識別機構
KR20160071493A (ko) 손끼임방지 전자파 차폐도어
DE102012008086A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Vorrichtung eines Fahrzeugs
KR102120481B1 (ko)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
JP3989442B2 (ja) 自動車のトランクフード
CN2893096Y (zh) 用于辐射成像检查系统的自动防护屏蔽门装置
KR20140115221A (ko) 손가락 끼임 방지수단을 갖는 안전 도어
KR101630348B1 (ko) 전자기파 차폐룸
CN205476885U (zh) 防误操作自动锁装置和有该装置的推拉平开门窗五金系统
KR910001120Y1 (ko) 자동문의 개폐장치
KR20170004348U (ko) 외부요인에 의한 잠금 해제가 방지되는 디지털 도어락
CN109215265A (zh) 一种全方位多角度安防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