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369A - 외장형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외장형 렌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369A
KR20170081369A KR1020160000316A KR20160000316A KR20170081369A KR 20170081369 A KR20170081369 A KR 20170081369A KR 1020160000316 A KR1020160000316 A KR 1020160000316A KR 20160000316 A KR20160000316 A KR 20160000316A KR 20170081369 A KR20170081369 A KR 20170081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roup
fixed
optical axis
aligned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3240B1 (ko
Inventor
박환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0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240B1/ko
Priority to US15/370,175 priority patent/US20170192199A1/en
Priority to CN201621432410.4U priority patent/CN206369853U/zh
Priority to CN201611206655.XA priority patent/CN106940465A/zh
Publication of KR20170081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1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adapted to interchang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75Arrays characterized by non-optical structures, e.g. having integrated holding or alignment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고정 구비되고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고정 렌즈군; 및 상기 내부공간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 렌즈군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 렌즈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계의 구성이 고정 렌즈군과 적어도 하나의 유동 렌즈군을 포함하고, 유동 렌즈군은 외장형 렌즈 모듈이 포터블 카메라(디지털 카메라 등) 또는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경우에 고정 렌즈군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여 사용자의 휴대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외장형 렌즈 모듈 {ATTACHABLE LENS MODULE}
본 발명은 외장형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가 대중화되면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의 휴대단말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이 포터블 카메라(디지털 카메라 등)을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사용자들은 휴대단말에 높은 사양의 카메라가 장착되는 것을 당연시하고 있다.
그런데, 휴대단말의 박형화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장착할 공간이 부족하여 충분한 매수의 광학계를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에 내장할 수 없어, 카메라의 화소를 높이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포터블 카메라(디지털 카메라 등) 뿐만 아니라 휴대단말에도 착탈이 가능한 외장형 렌즈 모듈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외장형 렌즈 모듈은 포터블 카메라(디지털 카메라 등) 또는 휴대단말과는 별개로 사용자가 항상 별도로 휴대하고 다녀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에게는 새로운 불편함이 야기되므로, 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충분한 광학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의 휴대가 편리한 외장형 렌즈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고정 구비되고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고정 렌즈군; 및 상기 내부공간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 렌즈군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 렌즈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계의 구성이 고정 렌즈군과 적어도 하나의 유동 렌즈군을 포함하고, 유동 렌즈군은 외장형 렌즈 모듈이 포터블 카메라(디지털 카메라 등) 또는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경우에 고정 렌즈군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여 사용자의 휴대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은 충분한 광학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의 휴대가 편리한 외장형 렌즈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렌즈군 들이 수평으로 나란하게 정렬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렌즈 모듈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외형을 갖게 되므로 사용자의 휴대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외장형 렌즈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을 도시한 내부 투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장형 렌즈 모듈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의 렌즈 군들이 광축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내부 투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외장형 렌즈 모듈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을 도시한 내부 투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외장형 렌즈 모듈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이 휴대단말에 결합되는 형상을 도시한 결합 전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이 휴대단말에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외장형 렌즈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외장형 렌즈 모듈(10)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형 렌즈 모듈(10)은,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11) 및 하우징(11)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 장착되어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1 내지 제3 렌즈군(12, 13, 14)을 포함한다. 그리고, 하우징(11)은 광축 방향으로 빛이 수광되고 내보내도록 물체측 개구(11a)와 상측 개구(12a)를 광축 방향으로 각각 구비한다.
여기서, 하우징(11)은 일반적으로 외장형 렌즈 모듈에서 경통에 해당하고, 내부공간에 다수의 렌즈군을 구비하도록 길이가 긴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이유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과 렌즈 배치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외장형 렌즈 모듈(10)은 광학 성능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렌즈군이 적층되어야 하므로 광축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구비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휴대 편의성을 저하하는 요소로 작용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을 도시한 내부 투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장형 렌즈 모듈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100)이 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100)은,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110) 및 하우징(110)의 내부공간(110a)에 고정 구비되고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고정 렌즈군(120); 및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113, 114)을 따라 고정 렌즈군(120)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이동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 렌즈군(130);을 포함한다. 물론, 유동 렌즈군(130)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광축 방향과 나란하게 정렬된 상태로 구비된다.
하우징(110)은 외장형 렌즈 모듈(100)에서 통상 지칭하는 경통에 해당하고, 내부공간(110a)에 다수의 렌즈군을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빛이 수광되어 다수의 렌즈를 거쳐 나갈 수 있도록 물체 측면에 제1 개구부(110b)와 상 측면에 제2 개구부(110c)를 구비한다. 그리고, 외장형 렌즈 모듈의 휴대시에는 제1 개구부(110b) 및 제2 개구부(110c)를 각각 덮도록 제1 덮개(111) 및 제2 덮개(112)를 구비한다. 제1 덮개(111) 및 제2 덮개(112)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어 제1 개구부(110b) 및 제2 개구부(110c)에 압입 또는 후크 걸림 결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외장형 렌즈 모듈(1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 렌즈군(120)과 유동 렌즈군(130, 140)은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대략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외장형 렌즈 모듈(100)을 포터블 카메라(디지털 카메라 등) 또는 휴대단말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유동 렌즈군(130, 140)을 이동하여 고정 구비되는 고정 렌즈군(120)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렌즈군(120)은 하우징(110)의 내부공간(110a)에 위치하도록 고정 장착되고, 유동 렌즈군(130, 140)은 하우징(110)의 내부공간(110a)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110)에는 가이드 레일(113, 114)이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즉,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대략 중앙에 고정 렌즈군(120)이 고정 구비되고, 일측의 제1 유동 렌즈군(130)과 타측의 제2 유동 렌즈군(140)이 길이 방향으로 고정 렌즈군(120)과 대략 나란한 상태에서, 제1 유동 렌즈군(130)은 고정 렌즈군(120)을 기준으로 물체 측면으로, 제2 유동 렌즈군(140)은 상 측면 이동할 수 있다.
이에, 하우징(110)은 대략 중앙에 고정 렌즈군(120)과 일측과 타측에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을 내부공간(110a)에 구비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고 납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은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이 내부공간(110a)에서 유동 가능한 경로를 제공하도록 가이드레일(113, 114)을 구비한다. 가이드레일은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이 각각 가이드되도록 하우징(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113, 114)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113, 114)은 광축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구비되는 사선레일(113a, 114a))과, 고정 렌즈군(120) 쪽의 단부에 사선레일(113a, 114a)과 연결되게 구비되는 제1 직선레일(113b, 114b)과, 고정 렌즈군(120)의 반대쪽 단부에 사선레일(113a, 114a)과 연결되게 구비되는 제2 직선레일(113c, 114c)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은 제1 직선레일(113b, 114b)에 위치하는 경우 고정 렌즈군(120)과 평행하게 정렬되고,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의 렌즈들과 고정 렌즈군(120)의 렌즈들이 광축 방향으로 정렬된다. 나아가, 하우징(110)은 광축 방향으로 내부공간(110a)을 외부와 연통하는 제1 및 제2 개구부(110b, 110c)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은 고정 렌즈군(120)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경우 제1 및 제2 개구부(110b, 110c)를 통하여 각각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제1 유동 렌즈군(130)은 제1 개구부(110b)로, 제2 유동 렌즈군(140)은 제2 개구부(110c)로 노출됨, 도 5 및 도 6 참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과 경우 고정 렌즈군(120)이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하우징(110)의 공간 활용도는 높일 수 있다. 또한, 외장형 렌즈 모듈(1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도 고정 렌즈군(120)과 함께 하우징(110)의 내부공간(110a)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 사용시에 렌즈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10)이 납작한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종래 경통의 형상인 둥근 원통형보다 휴대가 훨씬 편리함은 자명하다.
또한,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은 제2 직선레일(113c, 114c)에 위치하는 경우 고정 렌즈군(120)과 평행하게 정렬된다. 즉, 길이방향으로 나란하면서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113, 114)은 하우징(110)의 내측 면에 홈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은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113, 114)의 홈에 끼움되어 이동하는 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및 제2 유동 가이드부(134, 144)일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113, 114)은 하우징(110)의 내측 면에 돌기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은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113, 114)의 돌기 형상이 끼움되어 이동 가능한 홈 형상으로 구비되는 유동 가이드부(미도시)일 수도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제1 및 제2 렌즈배럴(131, 141)과 제1 및 제2 렌즈배럴(131, 141)에 구비되고 고정 렌즈군(120)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경우 제1 및 제2 개구부(110b, 110c)을 막아주는 제1 및 제2 케이스(132, 142)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케이스(132, 142)에는 하우징(110)의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113, 114)을 통해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 유동 가이드부(134, 14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케이스(132, 142)는 고정 렌즈군(120)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경우 고정 렌즈군(120) 측에 치우치게 구비되고 제1 및 제2 렌즈배럴(131, 141)은 제1 및 제2 개구부(110b, 110c)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나아가, 고정 렌즈군(120)도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배럴(121)과 렌즈배럴(121)에 구비되고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연결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122)는 돌기 등의 형상을 구비하여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홈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외부면은, 고정 렌즈군(120)이 구비되는 부분에서 유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이 고정 렌즈군(120)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은 경우에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이 위치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단차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113, 114)을 타고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의 이동 경로를 고려하여 하우징(110)의 공간의 최대한 활용하면서 하우징(110)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이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113, 114)을 타고 이동 가능하도록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이동핀(미도시)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동핀(미도시)는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의 제1 및 제2 케이스(132, 142)에 구비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히는, 제1 및 제2 유동 가이드부(134, 144)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의 렌즈 군들이 광축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내부 투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외장형 렌즈 모듈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100)에서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이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113, 114)을 타고 이동하여 고정 렌즈군(120)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가 도시되며, 광축 방향 정렬 전에는 하우징(110)의 내부공간(110a)에 있던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이 제1 및 제2 개구부(110b, 110c)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제1 및 제2 유동 렌즈군(130, 140)의 이동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며, 다양한 방식의 기구물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은 고정 렌즈군(120)과 적어도 하나의 유동 렌즈군(130, 140)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고정 렌즈군(120)과 2개의 유동 렌즈군(130, 140)이 구비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하나의 고정 렌즈군(120)과 하나의 유동 렌즈군(130)이 구비되는 실시예(200)를 개시한다. 나아가, 도 7 및 도 8의 도시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기준으로 볼 때, 고정 렌즈군(120)과 물체 측면으로 유동되는 하나의 유동 렌즈군(130)이 구비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는 고정 렌즈군(120)과 상 측면으로 유동되는 하나의 유동 렌즈군(140)이 구비되는 것도 포함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을 도시한 내부 투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외장형 렌즈 모듈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200)이 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200)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100)과는 달리 하나의 고정 렌즈군(120)과 하나의 유동 렌즈군(130) 만을 포함한다. 그 외에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도 7 및 도 8의 도시에서는 하나의 고정 렌즈군(120)과 일측에 하나의 유동 렌즈군(130) 만을 포함하는 실시예만 도시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할 때, 하나의 고정 렌즈군(120)과 타측에 하나의 유동 렌즈군(14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이 휴대단말에 결합되는 형상을 도시한 결합 전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이 휴대단말에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100)이 휴대단말(300)에 결합되는 형상이 도시된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렌즈 모듈(100)은 휴대단말(300)에 집게, 고리, 후크, 자석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에서는 자석을 이용하여 외장형 렌즈 모듈(100) 고정하는 구조를 예시로 설명한다.
외장형 렌즈 모듈(100)의 하우징(110)에는 자석(116)이 구비되고, 이에 상응하는 휴대단말(300)에는 자석 또는 메탈(106)이 구비될 수 있다. 휴대단말(300)의 케이스가 메탈인 경우에는 별도의 자석 또는 메탈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외장형 렌즈 모듈(100)에 메탈(106) 파트가 구비되고, 이에 상응하는 휴대단말(300)에는 자석(106)이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외장형 렌즈 모듈(100)과 휴대단말(300)의 카메라 모듈(301)은 광축 방향 정렬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를 가이드하는 구성이 요구된다. 이에, 외장형 렌즈 모듈(100)의 하우징(110)에는 돌기 형상의 위치가이드(118)가 적어도 2개 구비되고, 휴대단말(300)에는 위치가이드(118)가 끼움될 수 있는 홈 형상의 위치가이드(305)가 적어도 2개 구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외장형 렌즈 모듈
110: 하우징
120: 고정 렌즈군
130, 140: 제1 및 제2 유동렌즈군

Claims (16)

  1.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고정 구비되고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고정 렌즈군;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고정 렌즈군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이동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 렌즈군;을 포함하는 외장형 렌즈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렌즈군은 상기 고정 렌즈군과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광축 방향으로 정렬될 상태로 이동 가능한 외장형 렌즈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렌즈군은 상기 고정 렌즈군과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렌즈군의 물체측 방향 또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 렌즈군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외장형 렌즈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광축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구비되는 사선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유동 렌즈군은 상기 고정 렌즈군과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광축 방향으로 정렬될 상태로 이동 가능한 외장형 렌즈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사선레일의 상기 고정 렌즈군 쪽의 단부에 제1 직선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유동 렌즈군은 상기 제1 직선레일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고정 렌즈군과 평행하게 정렬되는 외장형 렌즈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사선레일의 상기 고정 렌즈군 쪽의 반대쪽 단부에 제2 직선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유동 렌즈군은 상기 제2 직선레일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고정 렌즈군과 평행하게 정렬되는 외장형 렌즈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면에 홈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유동 렌즈군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끼움되어 이동하는 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유동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외장형 렌즈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면에 돌기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유동 렌즈군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돌기 형상이 끼움되어 이동 가능하한 홈 형상으로 구비되는 유동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외장형 렌즈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광축 방향으로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동 렌즈군은 상기 고정 렌즈군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외장형 렌즈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유동렌즈군이 상기 고정 렌즈군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경우 상기 유동 렌즈군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의해 막히는 외장형 렌즈 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마감하고 탈착 가능한 덮개를 더 구비하는 외장형 렌즈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렌즈군은 상기 고정 렌즈군의 양 쪽에 한 쌍이 구비되는 외장형 렌즈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렌즈군은 상기 고정 렌즈군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경우,
    상기 유동 렌즈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 렌즈군을 기준으로 물체 측에, 다른 하나는 상기 고정 렌즈군을 기준으로 상 측에 배치되는 외장형 렌즈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은, 상기 고정 렌즈군이 구비되는 부분에서 상기 유동 렌즈군이 상기 고정 렌즈군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유동 렌즈군이 위치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단차지게 구비되는 외장형 렌즈 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렌즈군은 상기 고정 렌즈군의 일 측에 구비되는 외장형 렌즈 모듈.
  16.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고정 구비되고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고정 렌즈군; 및
    상기 내부공간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 렌즈군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 렌즈군;을 포함하는 외장형 렌즈 모듈.
KR1020160000316A 2016-01-04 2016-01-04 외장형 렌즈 모듈 KR101843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316A KR101843240B1 (ko) 2016-01-04 2016-01-04 외장형 렌즈 모듈
US15/370,175 US20170192199A1 (en) 2016-01-04 2016-12-06 Attachable lens module
CN201621432410.4U CN206369853U (zh) 2016-01-04 2016-12-23 可拆卸镜头模块
CN201611206655.XA CN106940465A (zh) 2016-01-04 2016-12-23 可拆卸镜头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316A KR101843240B1 (ko) 2016-01-04 2016-01-04 외장형 렌즈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369A true KR20170081369A (ko) 2017-07-12
KR101843240B1 KR101843240B1 (ko) 2018-03-28

Family

ID=59235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316A KR101843240B1 (ko) 2016-01-04 2016-01-04 외장형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192199A1 (ko)
KR (1) KR101843240B1 (ko)
CN (2) CN20636985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240B1 (ko) * 2016-01-04 2018-03-28 삼성전기주식회사 외장형 렌즈 모듈
CN107508938B (zh) * 2017-09-06 2020-06-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相机模组及电子装置
US11039117B2 (en) * 2019-08-27 2021-06-15 Htc Corporation Dual lens imaging module and capturing method thereof
CN112526801B (zh) * 2019-09-03 2022-01-25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双镜头成像模块及其提取方法
CN112230413B (zh) * 2020-10-30 2022-07-19 深圳市劢科隆科技有限公司 自动校准光学轴的微型显微结构及校准方法
CN112702493B (zh) * 2020-12-28 2021-12-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5061A (en) * 1962-08-13 1965-05-25 Leonard F Westphalen Multifocal camera
CN100582849C (zh) * 2007-07-19 2010-01-20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可使镜群退避的薄型化变焦镜头
CN101493560B (zh) * 2008-01-23 2011-01-19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镜头退避结构
JP2013156611A (ja) * 2012-02-01 2013-08-15 Hoya Corp 退避光学要素を備えたレンズ鏡筒の退避装置
KR101843240B1 (ko) * 2016-01-04 2018-03-28 삼성전기주식회사 외장형 렌즈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240B1 (ko) 2018-03-28
CN106940465A (zh) 2017-07-11
CN206369853U (zh) 2017-08-01
US20170192199A1 (en)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240B1 (ko) 외장형 렌즈 모듈
EP3454542B1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10901172B2 (en) Camera lens assembly
US7605991B2 (en)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WO2017046973A1 (ja) 携帯端末機取付アダプタ
KR102527790B1 (ko) 카메라 모듈
JP2014130381A (ja) レンズモジュール
US20190137853A1 (en) Optical projection device and projector
KR102418995B1 (ko) 카메라 모듈
WO2018164374A1 (ko) 모바일 기기 슬라이딩 장치
JP2020027282A (ja) レンズモジュール
US11106020B2 (en)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JP6735056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
KR102052791B1 (ko) 카메라 모듈
US10877236B2 (en) Lens barrel and camera
US7736074B2 (en) Cartridge type attachment lens for a digital camera
JP2006338026A (ja) マクロ機能付き携帯端末機用レンズ組立体
CN107402492B (zh) 相机模块
US8411371B2 (en) Compact zoom lens
KR20230088315A (ko) 카메라 모듈
US7019913B1 (en) Zoom lens barrel
JP2020027295A (ja) レンズモジュール
JP2020027294A (ja) レンズモジュール
KR101511065B1 (ko) 렌즈 구동용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조립체
US7974026B2 (en) Lens moving device and installatio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