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340A - 차량, 전동 테일 게이트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전동 테일 게이트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340A
KR20170081340A KR1020160000269A KR20160000269A KR20170081340A KR 20170081340 A KR20170081340 A KR 20170081340A KR 1020160000269 A KR1020160000269 A KR 1020160000269A KR 20160000269 A KR20160000269 A KR 20160000269A KR 20170081340 A KR20170081340 A KR 20170081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tacle
electrode
tail gate
do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관식
구자성
권민석
신성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0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1340A/ko
Publication of KR20170081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the weight or other physical contact of a person or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05Y2400/53Wing impact prevention or reduction
    • E05Y2400/54Obstruction or resistance de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차량은 차체; 상기 차체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거나 외부와 연통시키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전동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게이트는, 상기 도어에 근접한 장애물 및 상기 도어에 접촉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및 상기 도어가 폐쇄 중에 상기 장애물 감지부가 상기 장애물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의 폐쇄를 중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전동 테일 게이트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POWER TAIL GAT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개시된 내용은 차량, 전동 테일 게이트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에 장애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전동 테일 게이트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화석 연료, 전기 등을 동력원으로 하여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운송 장치를 의미한다.
최근 차량 이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차량의 도어 또는 테일 게이트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의 도어 또는 테일 게이트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물체가 차체와 도어 또는 테일 게이트 사이에 끼임으로 인하여 안전 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 또는 테일 게이트의 폐쇄 중에 장애물을 비접촉식으로 감지할 수 있는 차량, 전동 테일 게이트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비접촉식으로 감지할 수 없는 장애물은 접촉식으로 감지할 수 있는 차량, 전동 테일 게이트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체; 상기 차체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거나 외부와 연통시키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전동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게이트는, 상기 도어에 근접한 장애물 및 상기 도어에 접촉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및 상기 도어가 폐쇄 중에 상기 장애물 감지부가 상기 장애물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의 폐쇄를 중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장애물 감지부는, 상기 도어의 좌측 엣지 부분 및 하측 엣지 좌반분에 마련되는 제1 안티 피치 스트립; 및 상기 도어의 우측 엣지 부분 및 하측 엣지 우반분에 마련되는 제2 안티 피치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안티 피치 스트립 및 제2 안티 피치 스트립 각각은, 상기 도어에 근접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 및 상기 도어에 접촉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저항식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는 서로 이격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도어에 장애물이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이 기준값보다 작아지면 상기 도어에 장애물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과 접지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도어에 장애물이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과 접지 사이의 정전용량이 기준값보다 커지면 상기 도어에 장애물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저항식 접촉 센서는 서로 이격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저항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도어에 장애물이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저항이 기준값보다 작아지면 상기 도어에 장애물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 테일 게이트는 차량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거나 외부와 연통시키는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구동부; 상기 테일 게이트에 근접한 장애물 및 상기 테일 게이트에 접촉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및 상기 테일 게이트가 폐쇄 중에 상기 장애물 감지부가 상기 장애물을 감지하면 상기 테일 게이트의 폐쇄를 중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장애물 감지부는, 상기 테일 게이트의 좌측 엣지 부분 및 하측 엣지 좌반분에 마련되는 제1 안티 피치 스트립; 및 상기 테일 게이트의 우측 엣지 부분 및 하측 엣지 우반분에 마련되는 제2 안티 피치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안티 피치 스트립 및 제2 안티 피치 스트립 각각은, 상기 테일 게이트에 근접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 및 상기 테일 게이트에 접촉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저항식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는 서로 이격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이 기준값보다 작아지면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과 접지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과 접지 사이의 정전용량이 기준값보다 커지면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저항식 접촉 센서는 서로 이격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저항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저항이 기준값보다 작아지면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 테일 게이트의 제어 방법은 차량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거나 외부와 연통시키는 테일 게이트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테일 게이트의 폐쇄 중에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근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테일 게이트의 폐쇄 중에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촉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테일 게이트에 상기 장애물이 근접하거나 접촉하면, 상기 테일 게이트의 폐쇄를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근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서로 이격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촉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서로 이격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저항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어 또는 테일 게이트의 폐쇄 중에 장애물을 비접촉식으로 감지할 수 있는 차량, 전동 테일 게이트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비접촉식으로 감지할 수 없는 장애물은 접촉식으로 감지할 수 있는 차량, 전동 테일 게이트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차체를 도시한다.
도 2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전동 게이트 시스템에 의한 테일 게이트의 개폐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 게이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 게이트 시스템에 포함된 안티 피치 스트립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 게이트 시스템에 포함된 안티 피치 스트립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 게이트 시스템에 포함된 안티 피치 스트립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 게이트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첨부한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차체를 도시한다. 도 2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전동 게이트 시스템에 의한 테일 게이트의 개폐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2) 및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3)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2)는 후드(hood) (4), 프런트 범퍼(front bumper) (5), 루프 패널(roof panel) (6), 도어(door) (7), 테일 게이트(tail gate) (8), 라디에이터 그릴(radiator grille) (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체(10)의 내부에는 동력 생성 장치(power system), 동력 전달 장치(power train), 조향 장치(steering system), 제동 장치(brake system), 현가 장치(suspension system)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동력 생성 장치는 차륜(3)의 회전력을 생성하며, 엔진, 연료 공급 장치, 냉각 장치, 배기 장치, 점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력 전달 장치는 동력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회전력을 차륜(20)으로 변속 전달하며, 클러치, 변속기, 차동 장치, 구동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향 장치는 차량(1)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며, 조향 휠, 조향 기어, 조향 링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동 장치는 차륜(3)의 회전을 정지시키며,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 마스터 실린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가 장치는 차량(1)의 진동을 감쇄시키며,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 내에는 다양한 전자 장치(10)들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 내에는 AVN (Audio/Video/Navigation) 장치(11), 입출력 시스템(12), 엔진 제어 시스템(engine control system, ECS) (13), 동력 전달 제어 시스템(powertrain control module: PCM) (14), 전자 제동 장치(electronic braking system, EBS) (15), 전동 조향 장치(electric power steering, EPS) (16), 능동 현가 장치(Active Suspension) (17), 전동 테일 게이트 시스템(100)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는 차량(1)에 포함된 전자 장치의 일부에 불과하며 차량(1)에는 더욱 다양한 전자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1)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전자 장치는 생략될 수 있다.
차량(1) 포함된 각종 전자 장치(10)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는 최대 24.5Mbps(Mega-bits per second)의 통신 속도를 갖는 모스트(MOST,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최대 10Mbpas의 통신 속도를 갖는 플렉스레이(FlexRay), 125kbps(kilo-bits per second) 내지 1Mbps의 통신 속도를 갖는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20kbps의 통신 속도를 갖는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등의 통신 규약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는 모스트, 플렉스레이, 캔, 린 등 단일의 통신 규약을 채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통신 규약을 채용할 수도 있다.
AVN 장치(11)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음악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AVN 장치(11)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거나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입출력 시스템(12)은 버튼을 통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입출력 시스템(12)는 대시 보드에 마련되어 차량 속도, 엔진 회전 속도, 주유량 등을 표시하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및 조향 휠에 설치되는 휠 버튼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엔진 제어 시스템(13)는 연료분사 제어, 연비 피드백 제어, 희박 연소 제어, 점화 시기 제어 및 공회전수 제어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엔진 제어 시스템(13)은 단일의 장치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장치들일 수도 있다.
동력 전달 제어 시스템(14)는 변속 제어, 댐퍼 클러치 제어, 마찰 클러치 온/오프 시의 압력 제어 및 변속 중 엔진 토크 제어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력 전달 제어 시스템(14)은 단일의 장치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장치들일 수도 있다.
전자 제동 장치(15)는 차량(1)의 제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안티락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 AB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동 조향 장치(16)는 저속 주행 또는 주차 시에는 조향력을 감소시키고 고속 주행 시에는 조향력을 증가시키는 등 사용자의 조향 조작을 보조할 수 있다.
능동 현가 장치(17)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차량(1)의 주행, 노면의 굴곡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차량(1)의 흔들림을 제어하거나, 차량(1)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차륜(3)의 수직하중을 적절히 분배할 수 있다.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으로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차량(1)에 구비된 입출력 시스템(13) 또는 차량(1)과 분리되어 마련된 스마트 키(미도시)를 이용하여 테일 게이트(8)의 개방 명령을 입력하면,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은 자동으로 테일 게이트(8)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1)에 구비된 입출력 시스템(13) 또는 차량(1)과 분리되어 마련된 스마트 키(미도시)를 이용하여 테일 게이트(8)의 폐쇄 명령을 입력하면,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은 자동으로 테일 게이트(8)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의 폐쇄 중에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은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의 인근에 위치한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으며, 장애물이 검출되면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의 폐쇄를 중단하거나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 게이트(8)의 폐쇄 중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차체(2)와 테일 게이트(8) 사이에 끼인 경우,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은 테일 게이트(8)의 폐쇄를 중단할 수 있다. 테일 게이트(8)의 폐쇄를 중단한 이후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은 테일 게이트(8)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의 인근에 위치한 장애물을 검출하기 위하여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은 장애물과의 접촉을 통하여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는 접촉식 센서와 장애물과의 접촉 없이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된다.
다만,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은 테일 게이트(8)를 구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이 테일 게이트(8)를 구동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1)의 도어(7) 또는 선루프(sun roof) 등을 구동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 게이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은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20), 테일 게이트(8)의 인근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130), 테일 게이트(8)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구동부(140), 차량(1)에 포함된 다른 전자 장치(10, 도 2 참조)와 통신하는 통신부(150) 및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의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테일 게이트(8)의 개방 명령 또는 테일 게이트(8)의 폐쇄 명령을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모듈(121)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모듈(121)은 테일 게이트(8)의 개방 여부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테일 게이트(8)의 개방 명령 또는 테일 게이트(8)의 폐쇄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일 게이트(8)가 폐쇄된 상태에서 버튼 모듈(121)는 사용자로부터 테일 게이트(8)의 개방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테일 게이트(8)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 모듈(121)을 누르면 테일 게이트(8)가 폐쇄될 수 있다.
또한, 테일 게이트(8)가 개방된 상태에서 버튼 모듈(121)는 사용자로부터 테일 게이트(8)의 폐쇄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테일 게이트(8)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 모듈(121)을 누르면 테일 게이트(8)가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모듈(121)은 차량(1) 내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모듈(121)은 차량(1)의 스티어링 휠 상에 마련되거나, 도어(7)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버튼 모듈(121)은 테일 게이트(8)의 내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버튼 모듈(121)은 사용자의 가압을 감지하는 푸시 스위치(push switch)와 멤브레인 스위치(membrane) 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스위치(touch swit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애물 감지부(130)는 장애물(사용자의 신체 일부 등)과의 접촉을 통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접촉식 감지 모듈(131)와 장애물과의 접촉 없이 장애물을 감지하는 비접촉식 감지 모듈(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식 감지 모듈(131)는 테일 게이트(8)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 등의 장애물과 테일 게이트(8)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식 감지 모듈(131)는 장애물과의 접촉에 의한 압력 또는 장애물과의 접촉에 의한 전하의 이동 등을 이용하여 장애물과의 접촉을 감지하고, 장애물과의 접촉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식 감지 모듈(131)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장애물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전극이 서로 접촉되면 한 쌍의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저항이 변화한다. 따라서, 접촉식 감지 모듈(131)는 한 쌍의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저항의 변화에 따라 테일 게이트(8)와 장애물과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접촉식 감지 모듈(131)는 하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전극이 장애물과의 접촉하면 전극의 전위가 변화한다. 따라서, 접촉식 감지 모듈(131)는 전극의 전위의 변화에 따라 테일 게이트(8)와 장애물과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비접촉식 감지 모듈(133)는 테일 게이트(8)에 마련되어 테일 게이트(8)로의 사장애물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접촉식 감지 모듈(133)는 전기장, 자기장, 광 또는 음파 등을 매개로 장애물의 근접을 감지하고, 장애물의 근접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접촉식 감지 모듈(133)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장애물이 접근하면 한 쌍의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한다. 따라서, 비접촉식 감지 모듈(133)는 한 쌍의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 테일 게이트(8)로의 장애물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비접촉식 감지 모듈(133)는 광을 발신하는 발광 모듈과 발광 모듈로부터 발신된 광을 수신하는 수신하는 수광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장애물이 접근하면 수광 모듈이 광을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비접촉식 감지 모듈(133)는 수광 모듈의 수광 여부에 따라 테일 게이트(8)로의 장애물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장애물 감지부(130)는 접촉식 감지 모듈(131)와 비접촉식 감지 모듈(133)를 포함함으로 인하여 장애물과의 접촉 또는 장애물의 접근에 따라 테일 게이트(8)의 인근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접촉식 감지 모듈(131)와 비접촉식 감지 모듈(133)을 포함하는 장애물 감지부(130)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구동부(140)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테일 게이트(8)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40)는 테일 게이트(8)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터(143) 및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143)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회로(14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143)는 구동 회로(141)로부터 구동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구동 전력을 회전력을 변환한다. 또한, 테일 게이트(8)는 변환된 회전력에 의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모터(143)에 의하여 생성된 회전력은 기어 등을 통하여 테일 게이트(8)에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 모터(143)는 기어 등을 통하여 테일 게이트(8)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 모터(143)에 의하여 생성된 회전력은 유체와 피스톤 등을 통하여 테일 게이트(8)에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 모터(143)는 피스톤 등을 통하여 테일 게이트(8)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구동 회로(141)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143)에 테일 게이트(8)를 개방하기 위한 구동 전력을 공급하거나, 테일 게이트(8)를 폐쇄하기 위한 구동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141)는 테일 게이트(8)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동 모터(143)에 양의 구동 전류를 공급하고, 테일 게이트(8)를 개방하기 위하여 구동 모터(143)에 음의 구동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회로(141)는 구동 모터(143)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거나 구동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릴레이 등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거나, 테일 게이트(8)의 개방 속도 또는 폐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차량(1) 내 전자 장치(10, 도 2 참조)와 통신하는 캔 통신 모듈(151)을 포함할 수 있다.
캔 통신 모듈(151)은 차량 통신 네트워크(NT, 도 2 참조)를 통하여 차량(1)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10, 도 2 참조)로부터 송신된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차량(1)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10, 도 2 참조)로 통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캔 통신 모듈(151)은 입출력 시스템(12)으로부터 테일 게이트(8)의 개방 명령 또는 폐쇄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캔 통신 모듈(151)은 차량 통신 네트워크(NT, 도 2 참조)와 캔 통신 모듈(151)을 연결하는 통신 포트(communication port),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transceiver), 통신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amplifier), 통신 신호를 차량 네트워크(NT)의 통신 규약에 따른 통신 신호로 변조하거나 복조하는 변조/복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20)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 장애물 감지부(130)의 감지 결과, 통신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통신 데이터에 따라 테일 게이트(8)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동부(1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 또는 기억하는 메모리(113), 메모리(113)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연산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3)는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고, 사용자 입력부(120)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 장애물 감지부(130)의 감지 결과, 통신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통신 데이터 등을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13)는 S램(S-RAM), D랩(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휘발성 메모리는 사용자 입력부(120)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 장애물 감지부(130)의 감지 결과, 통신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통신 데이터 등을 임시로 기억할 수 있으며, 전원이 차단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상실한다.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는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입력부(120)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 장애물 감지부(130)의 감지 결과, 통신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테일 게이트(8)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동부(140)에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입력부(120) 또한 통신부(150)를 통하여 수신된 개방 명령에 따라 테일 게이트(8)를 개방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사용자 입력부(120) 또한 통신부(150)를 통하여 수신된 폐쇄 명령에 따라 테일 게이트(8)를 폐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테일 게이트(8)의 폐쇄 중에 장애물 감지부(130)로부터 장애물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테일 게이트(8)의 폐쇄를 중단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테일 게이트(8)를 개방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11)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 회로(Arithmetic and Logic Unit, ALU), 연산될 데이터 또는 연상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회로(memorial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와 메모리(113)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은 자동으로 테일 게이트(8)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으며, 접촉식 감지 모듈(131) 및 비접촉식 감지 모듈(133)의 감지 결과에 따라 테일 게이트(8)의 폐쇄를 중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접촉식 감지 모듈(131) 및 비접촉식 감지 모듈(133)를 포함하는 장애물 감지부(130)의 구체적인 예가 설명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 게이트 시스템에 포함된 안티 피치 스트립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 게이트 시스템에 포함된 안티 피치 스트립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 게이트 시스템에 포함된 안티 피치 스트립의 단면을 도시한다.
장애물 감지부(130)는 테일 게이트(8)의 인근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제1 안티 피치 스트립(200a)와 제2 안티 피치 스트립(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티 피치 스트립(200a)와 제2 안티 피치 스트립(200b)은 장애물과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애물의 접근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안티 피치 스트립(200a)와 제2 안티 피치 스트립(200b)는 장애물과의 접촉 및 장애물의 접근 중에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면 제어부(110)으로 장애물 감지 신호(접촉 감지 신호 또는 접근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안티 피치 스트립(200a)와 제2 안티 피치 스트립(200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 게이트(8)의 엣지 부분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안티 피치 스트립(200a)는 테일 게이트(8)의 좌측 엣지 부분 및 하측 엣지 좌반분(左半分)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안티 피치 스트립(200a)는 라인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테일 게이트(8)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테일 게이트(8)의 좌측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안티 피치 스트립(200b)는 테일 게이트(8)의 우측 엣지 부분 및 하측 우반분(右半分)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안티 피치 스트립(200b)는 라인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테일 게이트(8)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테일 게이트(8)의 우측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안티 피치 스트립(200a)는 테일 게이트(8)의 좌측 부분에 접촉한 장애물을 감지하거나 테일 게이트(8)의 좌측 부분에 접근한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안티 피치 스트립(200b)는 테일 게이트(8)의 우측 부분에 접촉한 장애물을 감지하거나 테일 게이트(8)의 우측 부분에 접근한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티 피치 스트립(200a)는 제1 저항형 접촉 센서(210a)와 제1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220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안티 피치 스트립(200b)는 제2 저항형 접촉 센서(210b)와 제2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1 안티 피치 스트립(200a)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안티 피치 스트립(200b)의 구조는 제1 안티 피치 스트립(200a)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제2 안티 피치 스트립(200b)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제1 안티 피치 스트립(200a)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1 안티 피치 스트립(200a)는 절연성의 본체(201a), 본체(201a) 내부에 마련되어 장애물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1 저항형 접촉 센서(210a) 및 본체(201a) 내부에 마련되어 장애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항형 접촉 센서(210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제1 접촉 감지 전극(211a) 및 제2 접촉 감지 전극(212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접촉 감지 전극(211a) 및 제2 접촉 감지 전극(212a) 사이의 전기적 저항의 변화에 따라 장애물과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애물과 접촉되지 않는 경우 제1 접촉 감지 전극(211a)과 제2 접촉 감지 전극(212a)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1 접촉 감지 전극(211a)과 제2 접촉 감지 전극(212a) 사이에는 전기가 도통되지 않는다. 즉, 제1 접촉 감지 전극(211a)과 제2 접촉 감지 전극(212a) 사이의 전기적 저항은 매우 크다.
반면, 장애물과 접촉된 경우 장애물과의 접촉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제1 접촉 감지 전극(211a)과 제2 접촉 감지 전극(212a)이 서로 접촉되며, 제1 접촉 감지 전극(211a)과 제2 접촉 감지 전극(212a) 사이에는 전기가 도통될 수 있다. 즉, 접촉 감지 제1 전극(211a)과 제2 접촉 감지 전극(212a) 사이의 전기적 저항은 매우 작아진다.
이처럼, 제1 저항형 접촉 센서(210a)는 제1 접촉 감지 전극(211a)과 제2 접촉 감지 전극(212a)의 전기적 저항의 변화를 기초로 장애물과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장애물과의 접촉이 감지되면 제1 저항형 접촉 센서(210a)는 제어부(110)에 접촉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220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제1 접근 감지 전극(221a) 및 제2 접근 감지 전극(222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접근 감지 전극(221a) 및 제2 접근 감지 전극(222a)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 장애물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애물이 근접하지 않은 경우, 제1 접근 감지 전극(221a)과 제2 접근 감지 전극(222a) 사이에는 일정한 값의 정전용량이 측정된다. 예를 들어, 제1 접근 감지 전극(221a)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면 제1 접근 감지 전극(221a)으로부터 제2 접근 감지 전극(222a)으로 향하는 전기장이 생성되고, 제1 접근 감지 전극(221a)과 제2 접근 감지 전극(222a) 사이의 정전용량은 미리 정해진 값을 갖는다.
반면, 장애물이 근접하는 경우, 제1 접근 감지 전극(221a)과 제2 접근 감지 전극(222a)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화한다. 예를 들어, 제1 접근 감지 전극(221a)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면 제2 접근 감지 전극(221a)으로부터 향하는 전기장의 일부가 장애물로 향하게 되며, 제1 접근 감지 전극(221a)과 제2 접근 감지 전극(222a) 사이의 정전용량은 감소한다.
이처럼, 제1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220a)는 제1 접근 감지 전극(221a)과 제2 접근 감지 전극(222a)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초로 장애물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장애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제1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220a)는 제어부(110)에 접근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제1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220a)는 2개의 접근 감지 전극(221a, 222a)을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220a)는 하나의 접근 감지 전극(22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220a)가 하나의 제3 접근 감지 전극(223a)을 포함하는 제1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220a)는 접지와 접근 감지 전극(221a)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라 장애물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애물이 근접하지 않은 경우, 제3 접근 감지 전극(223a)과 접지 사이에는 일정한 값의 정전용량이 측정된다. 예를 들어, 제3 접근 감지 전극(223a)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면 제3 접근 감지 전극(223a)으로부터 접지로 향하는 전기장이 생성되고, 제3 접근 감지 전극(223a)과 접지 사이의 정전용량은 미리 정해진 값을 갖는다.
반면, 장애물이 근접하는 경우, 제3 접근 감지 전극(223a)과 접지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화한다. 예를 들어, 제3 접근 감지 전극(223a)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면 제3 접근 감지 전극(223a)으로부터 장애물을 통하여 접지로 향하는 전기장이 추가로 생성되며, 제1 접근 감지 전극(221a)과 접지 사이의 정전용량은 증가한다.
이처럼, 제1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220a)는 제3 접근 감지 전극(223a)과 접지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초로 장애물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장애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제1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220a)는 제어부(110)에 접근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장애물 감지부(130)는 테일 게이트(8)의 좌측 인근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제1 안티 피치 스트립(200a)와 테일 게이트(8)의 우측 인근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제2 안티 피치 스트립(20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안티 피치 스트립(200a)와 제2 안티 피치 스트립(200b)는 각각 테일 게이트(8)와 접촉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저항식 접촉 센서(210a, 210b)와 테일 게이트(8)에 근접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220a, 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장애물 감지부(130)의 구체적인 예가 설명되었다.
이하에서는 장애물 감지부(130)를 포함하는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의 동작이 설명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 게이트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0과 함께,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의 장애물 감지 동작(1000)이 설명된다.
우선,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는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가 폐쇄 중인지 판단한다(1010).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은 다양한 방법으로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가 폐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하여 폐쇄 명령이 입력되거나 통신부(150)를 통하여 폐쇄 명령이 수신되면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를 폐쇄하도록 구동부(140)에 폐쇄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40)는 제어부(110)의 폐쇄 신호에 따라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를 폐쇄할 수 있다.
이처럼, 구동부(14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면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가 폐쇄되므로, 제어부(110)는 구동부(140)에 폐쇄 신호를 전달한 이후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가 폐쇄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의 폐쇄 또는 잠금이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의 폐쇄가 종료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가 폐쇄 중이 아니면(1010의 아니오),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은 진행 중이던 동작을 계속하거나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대기할 수 있다.
또한,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가 폐쇄 중이면(1010의 예),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은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에 장애물이 접근하는지 판단한다(1020).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의 구동부(140)는 제어부(110)의 폐쇄 신호에 따라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를 폐쇄할 수 있다.
이처럼,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의 폐쇄 중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 등의 장애물이 차체(2)와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 사이에 끼이면, 사용자가 상처를 입거나 장애물이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의 폐쇄 중에 제어부(110)는 장애물 감지부(130)를 통하여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에 근접한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제1 및 제2 안티 피치 스트립(200a, 200b)에 포함된 제1 및 제2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220a, 220b)를 이용하여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에 장애물이 접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220a, 220b)이 각각 제1 접근 감지 전극(221a) 및 제2 접근 감지 전극(222a)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1 접근 감지 전극(221a) 및 제2 접근 감지 전극(222a) 사이의 정전용량이 기준값보다 작아지면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에 장애물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220a, 220b)이 각각 제3 접근 감지 전극(223a)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3 접근 감지 전극(223a)와 접지 사이의 정전용량이 기준값보다 커지면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에 장애물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에 근접한 장애물이 감지되면(1020의 예),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은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의 폐쇄를 중단한다(1040).
제1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220a) 또는 제2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220b)로부터 접근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의 폐쇄를 중단하도록 구동부(140)에 폐쇄 중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40)는 제어부(110)의 폐쇄 중단 신호에 따라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의 폐쇄를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은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를 개방한다(1050).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의 폐쇄를 중단한 이후 제어부(110)는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를 개방하도록 구동부(140)에 개방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에 근접한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으면(1020의 아니오),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은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에 장애물이 접촉하는지 판단한다(1030).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안티 피치 스트립(200a, 200b)이 제1 및 제2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220a, 220b)을 포함하는 경우, 일부 물체는 제1 및 제2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220a, 220b)에 의하여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220a, 220b)에 의하여 감지되지는 장애물이 존재한다.
따라서,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220a, 220b)에 의하여 감지되지는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는 접촉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장애물 감지부(130)를 통하여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과 장애물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제1 및 제2 안티 피치 스트립(200a, 200b)에 포함된 제1 및 제2 저항식 접촉 센서(210a, 210b)를 이용하여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에 장애물이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저항식 접촉 센서(210a, 210b)이 각각 제1 접촉 감지 전극(211a) 및 제2 접촉 감지 전극(212a)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1 접촉 감지 전극(211a)과 제2 접촉 감지 전극(212a) 사이에 전기가 도통하거나, 제1 접촉 감지 전극(211a)과 제2 접촉 감지 전극(212a) 사이의 전기적 저항이 기준값보다 작아지면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에 장애물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에 접촉한 장애물이 감지되면(1030의 예),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은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의 폐쇄를 중단한다(1040). 또한,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은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를 개방한다(1050).
반면,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에 접촉한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장애물의 접근 감지와 장애물의 접촉 감지를 반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동 게이트 시스템(100)는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의 폐쇄 중에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에 접근하거나 접촉한 장애물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의 폐쇄를 중단하고, 도어(7) 또는 테일 게이트(8)의 폐쇄를 개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개시된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 없이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을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개시된 발명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될 수 없다.
1: 차량 2: 차체
7: 도어 8: 테일 게이트
100: 전동 게이트 시스템 110: 제어부
120: 사용자 입력부 130: 장애물 감지부
140: 구동부 150: 통신부
200a: 제1 안티 피치 스트립 200b: 제2 안티 피치 스트립
210a: 제1 저항형 접촉 센서 210b: 제2 저항형 접촉 센서
211a: 제1 접촉 감지 전극 212a: 제2 접촉 감지 전극
220a: 제1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220b: 제2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221a: 제1 접근 감지 전극 222a: 제2 접근 감지 전극
223a: 제3 접근 감지 전극

Claims (20)

  1. 차체;
    상기 차체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거나 외부와 연통시키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전동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게이트는,
    상기 도어에 근접한 장애물 및 상기 도어에 접촉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및
    상기 도어가 폐쇄 중에 상기 장애물 감지부가 상기 장애물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의 폐쇄를 중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부는,
    상기 도어의 좌측 엣지 부분 및 하측 엣지 좌반분에 마련되는 제1 안티 피치 스트립; 및
    상기 도어의 우측 엣지 부분 및 하측 엣지 우반분에 마련되는 제2 안티 피치 스트립을 포함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안티 피치 스트립 및 제2 안티 피치 스트립 각각은,
    상기 도어에 근접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 및
    상기 도어에 접촉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저항식 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는 서로 이격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도어에 장애물이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이 기준값보다 작아지면 상기 도어에 장애물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과 접지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도어에 장애물이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과 접지 사이의 정전용량이 기준값보다 커지면 상기 도어에 장애물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식 접촉 센서는 서로 이격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저항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도어에 장애물이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저항이 기준값보다 작아지면 상기 도어에 장애물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
  10. 차량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거나 외부와 연통시키는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구동부;
    상기 테일 게이트에 근접한 장애물 및 상기 테일 게이트에 접촉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및
    상기 테일 게이트가 폐쇄 중에 상기 장애물 감지부가 상기 장애물을 감지하면 상기 테일 게이트의 폐쇄를 중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동 테일 게이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부는,
    상기 테일 게이트의 좌측 엣지 부분 및 하측 엣지 좌반분에 마련되는 제1 안티 피치 스트립; 및
    상기 테일 게이트의 우측 엣지 부분 및 하측 엣지 우반분에 마련되는 제2 안티 피치 스트립을 포함하는 전동 테일 게이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안티 피치 스트립 및 제2 안티 피치 스트립 각각은,
    상기 테일 게이트에 근접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 및
    상기 테일 게이트에 접촉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저항식 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전동 테일 게이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는 서로 이격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전동 테일 게이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이 기준값보다 작아지면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전동 테일 게이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과 접지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전동 테일 게이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과 접지 사이의 정전용량이 기준값보다 커지면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전동 테일 게이트.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식 접촉 센서는 서로 이격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저항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전동 테일 게이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저항이 기준값보다 작아지면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는 전동 테일 게이트.
  19. 차량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거나 외부와 연통시키는 테일 게이트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테일 게이트의 폐쇄 중에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근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테일 게이트의 폐쇄 중에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촉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테일 게이트에 상기 장애물이 근접하거나 접촉하면, 상기 테일 게이트의 폐쇄를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동 테일 게이트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근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서로 이격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촉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서로 이격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저항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애물이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동 테일 게이트의 제어 방법.
KR1020160000269A 2016-01-04 2016-01-04 차량, 전동 테일 게이트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81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269A KR20170081340A (ko) 2016-01-04 2016-01-04 차량, 전동 테일 게이트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269A KR20170081340A (ko) 2016-01-04 2016-01-04 차량, 전동 테일 게이트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340A true KR20170081340A (ko) 2017-07-12

Family

ID=5935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269A KR20170081340A (ko) 2016-01-04 2016-01-04 차량, 전동 테일 게이트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134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2844A (zh) * 2018-05-25 2018-08-24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动尾门系统及车辆
KR20190033959A (ko) * 2017-09-22 2019-04-01 김태윤 물체 접근 감지용 웨더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물체 접근 감지 장치
CN109594880A (zh) * 2017-09-30 2019-04-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控制车辆后备箱的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车辆
KR20210034143A (ko) * 2019-09-19 2021-03-30 황성공업 주식회사 물체접근감지장치
KR20210142431A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지엔피컴퍼니 비접촉 근접 물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파워 윈도우 개폐 장치의 기능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2164251A1 (ko) *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비토넷에이피 비접촉식 끼임 방지 장치
KR20220109999A (ko) * 2021-01-29 2022-08-05 주식회사 경신 테일게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894206B2 (en) 2021-09-30 2024-02-0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ntrolling automatic operation of a tailgate responsive to an applied load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959A (ko) * 2017-09-22 2019-04-01 김태윤 물체 접근 감지용 웨더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물체 접근 감지 장치
CN109594880A (zh) * 2017-09-30 2019-04-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控制车辆后备箱的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车辆
CN109594880B (zh) * 2017-09-30 2020-08-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控制车辆后备箱的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车辆
CN108442844A (zh) * 2018-05-25 2018-08-24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动尾门系统及车辆
KR20210034143A (ko) * 2019-09-19 2021-03-30 황성공업 주식회사 물체접근감지장치
KR20210142431A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지엔피컴퍼니 비접촉 근접 물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파워 윈도우 개폐 장치의 기능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142562A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지엔피컴퍼니 비접촉 근접 물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파워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의 기능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142563A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지엔피컴퍼니 비접촉 근접 물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파워 테일게이트 개폐 장치의 기능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2164251A1 (ko) *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비토넷에이피 비접촉식 끼임 방지 장치
KR20220109999A (ko) * 2021-01-29 2022-08-05 주식회사 경신 테일게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894206B2 (en) 2021-09-30 2024-02-0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ntrolling automatic operation of a tailgate responsive to an applied loa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1340A (ko) 차량, 전동 테일 게이트 및 그 제어 방법
US10059332B2 (en) Controlling a motor vehicle
US8886414B2 (en) Method for detecting an actuating motion for an actuator of a motor vehicle equipment element and actuator of a motor vehicle equipment element
US201301444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door control
KR20190040550A (ko) 차량에서의 장애물 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126014A (ja) 車両用衝突判定装置
WO2017002669A1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CN105163977A (zh) 用来运行无接触式充电装置、用来无干扰运行无线闭锁系统的方法和设备
US2019000979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driver interaction system
US20150084849A1 (en) Vehicle operation device
CN104828066A (zh) 车辆及其倒车保护控制方法
US20190359210A1 (en) A sensing arrangement for determining a displacement of a vehicle with respect to an electrical road system
CN102285350B (zh) 碰撞判定装置、碰撞判定方法和乘员保护装置
KR20210008260A (ko) 자율주행차량의 거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457071B1 (ko) 자동차의 트렁크 자동 개폐 장치
KR20150022030A (ko) 홀 센서를 이용한 파워 트렁크 또는 파워 테일게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340203A (zh) 停车操作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261960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 방법 및 그 제어기
US20090093933A1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vehicles
CN109812166A (zh) 门夹物探测装置和门开闭装置
KR20190058909A (ko) 자율주행자동차의 제어 모드 전환을 위한 압력 감지 이중 페달 장치
KR102457512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07719134A (zh) 电动车辆的风力发电方法、装置及系统
KR20140118401A (ko) 주차차량 이동시 차량사고 방지장치 및 그 방법
CN109057480B (zh) 一种机械式立体停车库的车辆停车姿态自动识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