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9479A - 단열방수시트 - Google Patents

단열방수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9479A
KR20170079479A KR1020150190102A KR20150190102A KR20170079479A KR 20170079479 A KR20170079479 A KR 20170079479A KR 1020150190102 A KR1020150190102 A KR 1020150190102A KR 20150190102 A KR20150190102 A KR 20150190102A KR 20170079479 A KR20170079479 A KR 20170079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sity polyethylene
heat insulating
layer
low density
hd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2483B1 (ko
Inventor
이보영
태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닉스
Priority to KR102015019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4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9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granule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powder or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2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4Sealing l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8Membranes multi-layered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방수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학가교 또는 전자선가교에 의해 발포된 배율이 10배 내지 30배의 폴리에틸렌폼(Polyethylen form)으로 이루어진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 상부에 형성되며,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신율에 대한 방향성이 없는 다층무연신 무방향필름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보호필름층과; 상기 단열층 하부에 형성되며, 저점도 고점착성으로 형성되는 컴파운드층을 포함한다.
따라서, 압축경도 값이 작아서 유연성 및 압축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열치수 안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기공이 많이 형성되어 단열성이 향상되고, 경량화된 단열성 폴리에틸렌폼과, 그 상부에 폴리에틸렌폼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층은 인열강도가 향상되고, 내한성이 우수하며, 질기고 강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신율에 대하여 무방향성을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체의 거동방향에 관계없이 순응함으로써, 단열층 및 컴파운드층이 깨지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시공 후 단열성능과 방수성능이 오랫동안 유지되게 하는 단열방수시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열방수시트{WATER-PROOF SHEET HAVING INSULATION}
본 발명은 단열방수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경도 값이 작아서 유연성 및 압축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열치수 안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기공이 많이 형성되어 단열성이 향상되고, 경량화된 단열성 폴리에틸렌폼과, 그 상부에 폴리에틸렌폼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층은 인열강도가 향상되고, 내한성이 우수하며, 질기고 강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신율에 대하여 무방향성을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체의 거동방향에 관계없이 순응함으로써, 단열층 및 컴파운드층이 깨지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시공 후 단열성능과 방수성능이 오랫동안 유지되게 하는 단열방수시트을 제공한다
종래의 방수 공법은 도막을 형성하는 도막 방수, 방수시트를 이용하는 시트 방수, 방수시트와 도막층을 형성하는 복합 방수 등으로 분류되며, 도막 방수를 이용할 경우 소정 두께의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막방수제의 분할 도포, 양생 등으로 장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아스팔트계 시트나 합성고분자계 시트를 깔고, 그 위에 고무 아스팔트계,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등과 같은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열층 또는 방수단열층을 병행하여 형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수층 및 단열층 또는 방수단열층들은 시트 간 이음매를 밀봉재, 열융착, 연결재, 테이프 또는 리벳 등을 이용하여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밀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 간 이음매를 이질적인 재료로 결합하기 때문에 접착성이 좋지 않아서 누수 결함이 발생하거나, 방수층이 바탕면에 순응하지 못하고 바탕면이 외기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 거동함에 따라 균열하는 경우에, 파열되거나 들뜨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방수를 확실하게 하는 경우에도, 내 외부 온도차에 의하여 생기는 결로현상으로 곰팡이가 생기고 오염이 될 수 있고 방수하자로 오인되어 방수를 재시공하게 되므로 현장상황에 따라 누수보다 더 문제가 될 수 있었다.
한편, 상기한 방수시트가 바탕면의 상부에 시공되거나, 단열시트가 방수층의 상부에 시공되거나 방수단열시트가 바탕면의 상부에 시공될 경우에는 방수시트, 단열시트, 방수단열시트가 누수원인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배수구, 관통파이프, 파라펫(굴곡부위), 조인트 등 굴곡부위에 대하여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들은 시공 시에는 육안으로 식별이 되지 않으나 시공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시트의 특성상 제작 시 운송 및 관리를 위하여 권취된 롤(Roll)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롤링된 상태의 완곡한 형상으로 복원되려하므로 부착시공 후 끝단이 들뜨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울러, 상기한 방수시트 또는 단열시트가 방수시공 또는 단열시공된 후 바탕면이 거동함에 따라 표면필름지가 바탕면의 거동에 대하여 어느 방향에서는 신율이 우수하여 바탕면의 거동에 순응하나 또 다른 방향에서는 신율이 만족할 만한 신율이 확보되지 못하기 때문에 그 힘을 견디지 못하고 파단되거나 찢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방수시트가 방수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내열성이 낮을 경우 방수시트 또는 단열시트의 표면에서 주름이 발생함으로써, 방수시트 또는 단열시트가 들뜨게 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을 다층 공압출 공냉방식으로 필름을 성형하여 다층의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열성을 향상시키면서 무방향 신율이 확보되게 함과 동시에 인장강도를 보강하고 저온에서의 깨짐현상을 방지하여 단열재를 보호하게 하고, 고배율의 화학가교 또는 전자적가교에 의하여 더욱 많은 기공이 보유된 폴리에틸렌폼을 채택하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고배율에 따른 신율향상과 밀도를 낮추어 경량화에 따른 취급을 용이하게 하며, 특히, 시공 후 형상복원 억제력을 갖도록 박막의 알루미늄층을 폴리에틸렌폼 하부에 부착시킴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시공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단열방수시트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화학가교 또는 전자선가교에 의해 발포된 배율이 10배 내지 30배의 폴리에틸렌폼(Polyethylen form)으로 이루어진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 상부에 형성되며,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신율에 대한 방향성이 없는 다층무연신 무방향필름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보호필름층과; 상기 단열층 하부에 형성되며, 저점도 고점착성으로 형성되는 컴파운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수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무방향필름은, 다층 공압출 공냉방식으로 형성되며,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제1표층이 상부에 형성되고,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으로 이루어진 코어층이 중심에 형성되며,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제2표층이 하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표층과 제2표층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이 50 중량% ~ 80 중량% : 20 중량% ~ 50 중량%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다.
아울러, 상기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은, 밀도가 0.92 g/10min 이상, 용융점은 116℃ 이상, 인장강도(MD/TD)가 580/460 ㎏/㎠ 이상, 인열강도(MD/TD) 124/127 ㎏/㎠ 이상, 신율(MD/TD) 580/620% 이상, VICAT 연화점 74℃ 이상인 물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은, 밀도가 0.95 g/10min 이상, 용융점은 125℃ 이상, 파단점 응력 320 ㎏/㎠ 이상, 파단신율 500% 이상, VICAT 연화점 74℃ 이상인 물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표층과 제2표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코로나방전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폴리에틸렌폼(Polyethylen form)은 1mm ~ 10m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화학가교 또는 전자선가교에 의해 발포된 배율이 10배 내지 30배의 폴리에틸렌폼(Polyethylen form)으로 이루어진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 상부에 형성되며,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신율에 대한 방향성이 없는 다층무연신 무방향필름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보호필름층과; 상기 단열층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폴리에틸렌폼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고열을 차열 또는 열을 분산시키고, 시공 후 폴리에틸렌폼의 부착된 상태의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된 박막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층과; 상기 알루미늄층 하부에 형성되며, 저점도 고점착성으로 형성되는 컴파운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수시트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무방향필름은, 다층 공압출 공냉방식으로 형성되며,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제1표층이 상부에 형성되고,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으로 이루어진 코어층이 중심에 형성되며,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제2표층이 하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표층과 제2표층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이 50 중량% ~ 80 중량% : 20 중량% ~ 50 중량%로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은, 밀도가 0.92 g/10min 이상, 용융점은 116℃ 이상, 인장강도(MD/TD)가 580/460 ㎏/㎠ 이상, 인열강도(MD/TD) 124/127 ㎏/㎠ 이상, 신율(MD/TD) 580/620% 이상, VICAT 연화점 74℃ 이상인 물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은, 밀도가 0.95 g/10min 이상, 용융점은 125℃ 이상, 파단점 응력 320 ㎏/㎠ 이상, 파단신율 500% 이상, VICAT 연화점 74℃ 이상인 물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표층과 제2표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코로나방전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에틸렌폼(Polyethylen form)은 1mm ~ 10m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알루미늄층은 9㎛ ~ 60㎛의 두께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과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을 다층 공압출 공냉방식으로 필름을 성형하여 다층의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열성을 향상시키면서 무방향 신율이 확보되게 함과 동시에 인장강도를 보강하여 저온에서의 깨짐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단열재를 보호하게 하면서 바탕면의 거동에 대하여 순응할 수 있게 시트의 찢어짐 파괴현상을 방지하고, 고배율의 화학가교 또는 전자적가교에 의하여 더욱 많은 기공이 보유된 폴리에틸렌폼으로 단열성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신율향상과 밀도를 낮추어 경량화에 따른 취급을 용이하게 하며, 특히, 시공 후 형상복원 억제력을 갖도록 박막의 알루미늄층을 폴리에틸렌폼 하부에 부착시킴으로써, 시공 후 시트가 들뜨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시공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층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시트의 제1실시예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시트의 제2실시예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시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보호필름층, 단열층, 컴파운드층으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와 보호필름층, 단열층, 알루미늄층, 컴파운드층으로 이루어진 제2실시예로 제시된다.
<제1실시예>
먼저,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방수층의 보호필름층은,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신율에 대한 방향성이 없는 다층무연신 무방향필름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다.
여기서, 상기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다층무연신 무방향필름은 하술하게 될 단열층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바탕면의 거동에 대하여 신축적으로 순응함으로써, 하부 단열층 또는 컴파운드층의 크랙발생이나 파단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호필름층의 무방향필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이 50 중량% ~ 80 중량% : 20 중량% ~ 50 중량%로 혼합되어 압출기의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에 투입되고,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을 제3스크류에 투입하여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에서 혼합공급되는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이 다이스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표층과 제2표층으로 성형되게 하면서 그 중심에는 제3스크류에서 공급되는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이 코어층으로 형성되게 한 것이다.
상기한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의 혼합비를 살펴보면, 고밀도폴리에틸렌이 5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결정화속도가 너무 지연될 뿐만 아니라, 고가의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이 50 중량%를 초과하므로, 원가가 상승하며, 고밀도폴리에틸렌의 함량이 80 중량%를 초과하면 결정화속도가 너무 빨라지므로 필름생산 시 기계반대방향으로 찢기는 현상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양질의 필름생산이 곤란하며,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이 20 중량% 미만 혼합 시 결정화속도가 너무 빨라지므로 필름생산 시 찢기는 현상이 발생하고, 50 중량% 초과시 상기한 바와 같이 원가가 상승하므로,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의 혼합비율은 소망하는 물성에 따라 50 중량% ~ 80 중량% : 20 중량% ~ 50 중량%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은, 밀도가 0.95 g/10min 이상, 용융점은 125℃ 이상, 파단점 응력 320 ㎏/㎠ 이상, 파단신율 500% 이상, VICAT 연화점 74℃ 이상인 물성을 가지며, 상기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은, 밀도가 0.92 g/10min 이상, 용융점은 116℃ 이상, 인장강도(MD/TD)가 580/460 ㎏/㎠ 이상, 인열강도(MD/TD) 124/127 ㎏/㎠ 이상, 신율(MD/TD) 580/620% 이상, VICAT 연화점 74℃ 이상인 물성을 가진다.
상기한 VICAT 연화점은 바늘(Needle)이 시편 표면을 뚫고 1mm 들어갔을 때의 온도를 말하며, MD와 TD는 컨베이어벨트로 흐르는 방향을 MD라 하고 흐르는 방향에 수직방향을 TD라고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층은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만 필름을 생산할 때 결정화 속도가 빨라 기계 반대방향으로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을 혼합함으로써, 결정화 속도를 지연조절됨으로써, 기계 반대방향으로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제1표층과 제2표층은 밀도가 높아 경도가 우수하고, 저온 충격성과 신율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코어층을 형성하는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은 밀도가 낮고 분자량의 분포가 좁아 결정화 속도가 낮으므로, 필름 생산 시 고분자로 이루어진 고체 물질 속에서, 구성단위인 미세 결정이나 고분자 사슬이 일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배향성이 적으므로 인장강도가 우수하다.
결국, 상기 제1표층과 제2표층은 고밀도폴리에틸렌에 의해 인장강도와 내열성이 향상되고,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에 의하여 고신율에 따른 방향성이 배제되는 기능을 가지게 되며, 코어층의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에 의하여 고신율에 따른 방향성이 배제됨으로써, 고신율의 무방향 필름을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층간 내열성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설계자 또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필름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압출방식으로 성형된 다층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압출기에서 상향으로 필름이 10 ~ 20 m/min 속도로 압출되면서 일정거리 이송되는 과정에서 공냉방식으로 냉각된다.
상기한 공냉방식으로 일정거리 상향으로 이송되면서 냉각된 필름은 다수 개의 인장롤러 및 냉각롤러를 경유하고, 커팅공정과 권취공정을 통해 생산되며, 상기 제1표층과 제2표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코로나방전가공을 함으로써, 접착력을 향상된다.
한편, 상기한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은 무극성 소재에 극성을 부여함으로써, 제1표층과 제2표층에는 극성이 부여되고, 이러한 극성의 부여는 접착력을 유지시키고자 하는 접착유지력을 향상시켜 컴파운드와의 접착유지력이 향상되어 박리현상 또는 탈락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 필름의 신율(TD/MD)이 800/300%인데 반하여 본 발명의 다층필름은 신율(TD/MD)이 850/820%이므로, 콘크리트 구조체에 의해 어느 방향에서 거동력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무방향 고신율에 의하여 찢김, 파단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주름발생이 방지되어 하부의 단열층과 컴파운드층을 탄력적이고 신축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실시에에 따른 단열방수층의 단열층은, 화학가교 또는 전자선가교에 의해 발포된 배율이 10배 내지 30배의 폴리에틸렌폼(Polyethylen form)으로 이루어진다.
전자선가교 발포에 의한 폴리에틸렌폼은 고배율의 연신이 가능해서, 초박판 형태로의 제조가 가능하고, 압축경도 값이 작아서 유연성 및 압축율이 우수하며, 기존의 폴리에틸렌폼에 비해 가열치수 안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고배율의 화학가교에 의한 폴리에틸텐폼은 기공이 더욱 많이 형성됨으로써, 단열성이 향상되고, 0.025 g/cm3내지 0.500 g/cm3의 비교적 작은 밀도를 나타냄으로써 경량화가 이루어져 취급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시트가 전체적으로 경량화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틸렌폼(Polyethylen form)은 1mm ~ 10mm의 두께로 형성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면서 그 하부의 컴파운드층을 보호하는 보호재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단열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저점도 고점착성의 컴파운드층은, 부틸 컴파운드, 아스팔트 컴파운드 수용성 고무화 아스팔트 컴파운드 등 통상적으로 방수시트에서 채택되는 모든 종류의 컴파운드 중 선택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시트의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단열층 하부면에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박막의 알루미늄층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즉, 제2실시예의 단열방수시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필름층, 단열층, 알루미늄층, 컴파운드층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보호필름층, 단열층, 컴파운드층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알루미늄층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알류미늄층은, 상기 단열층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폴리에틸렌폼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고열을 차열 또는 열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특히, 단열방수시트를 시공한 후 단열층 또는 폴리에틸렌폼이 부착된 상태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하기 위한 박막의 알루미늄 소재로서, 9㎛ ~ 60㎛의 두께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단열시트 또는 단열방수시트가 시공된 후에는, 단열시트 또는 단열방수시트가 최초 생산시 롤타입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오랫동안 보관되거나 운송되어지는 종래의 단열시트 또는 단열방수시트는 롤타입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둥그렇게 말아올려지려고 하는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탕면 등에 시공된 후 부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려고 하는 속성보다 자체적인 복원력에 의해 들어올려지거나 말아올려지려고 하는 복원력이 작용하여 들뜨게 됨으로써, 하자발생의 원인이 되면서 시공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시트는, 단열층의 하부에 박막의 알루미늄층을 형성함으로써, 바탕면 또는 바탕기재 등의 절곡부위에 단열방수시트를 부착시킬 때, 작업자가 단열방수시트를 절곡시킨 후 또는 편평하게 펼친상태에서 부착시공을 하게 하면, 단열층 하부에 형성된 알루미늄층이 부착될 때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려고 하는 속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단열층, 보호필름층이 복원되려하는 힘에 저항하여 컴파운드층이 바탕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100 : 단열방수시트
102 : 보호필름층 104 : 단열층
106 : 알루미늄층 108 : 컴파운드층

Claims (15)

  1. 화학가교 또는 전자선가교에 의해 발포된 배율이 10배 내지 30배의 폴리에틸렌폼(Polyethylen form)으로 이루어진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 상부에 형성되며,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신율에 대한 방향성이 없는 다층무연신 무방향필름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보호필름층과;
    상기 단열층 하부에 형성되며, 저점도 고점착성으로 형성되는 컴파운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수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방향필름은,
    다층 공압출 공냉방식으로 형성되며,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제1표층이 상부에 형성되고,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으로 이루어진 코어층이 중심에 형성되며,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제2표층이 하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수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층과 제2표층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이 50 중량% ~ 80 중량% : 20 중량% ~ 50 중량%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수시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은,
    밀도가 0.92 g/10min 이상, 용융점은 116℃ 이상, 인장강도(MD/TD)가 580/460 ㎏/㎠ 이상, 인열강도(MD/TD) 124/127 ㎏/㎠ 이상, 신율(MD/TD) 580/620% 이상, VICAT 연화점 74℃ 이상인 물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수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은,
    밀도가 0.95 g/10min 이상, 용융점은 125℃ 이상, 파단점 응력 320 ㎏/㎠ 이상, 파단신율 500% 이상, VICAT 연화점 74℃ 이상인 물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수시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층과 제2표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코로나방전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수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폼(Polyethylen form)은 1mm ~ 10mm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수시트.
  8. 화학가교 또는 전자선가교에 의해 발포된 배율이 10배 내지 30배의 폴리에틸렌폼(Polyethylen form)으로 이루어진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 상부에 형성되며,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신율에 대한 방향성이 없는 다층무연신 무방향필름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보호필름층과;
    상기 단열층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폴리에틸렌폼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고열을 차열 또는 열을 분산시키고, 시공 후 폴리에틸렌폼의 부착된 상태의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된 박막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층과;
    상기 알루미늄층 하부에 형성되며, 저점도 고점착성으로 형성되는 컴파운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수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방향필름은,
    다층 공압출 공냉방식으로 형성되며,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제1표층이 상부에 형성되고,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으로 이루어진 코어층이 중심에 형성되며,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제2표층이 하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수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층과 제2표층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과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이 50 중량% ~ 80 중량% : 20 중량% ~ 50 중량%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수시트.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로센 저밀도폴리에틸렌(M.PE, Methallaocene Low Density Polyethylen)은,
    밀도가 0.92 g/10min 이상, 용융점은 116℃ 이상, 인장강도(MD/TD)가 580/460 ㎏/㎠ 이상, 인열강도(MD/TD) 124/127 ㎏/㎠ 이상, 신율(MD/TD) 580/620% 이상, VICAT 연화점 74℃ 이상인 물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수시트.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은,
    밀도가 0.95 g/10min 이상, 용융점은 125℃ 이상, 파단점 응력 320 ㎏/㎠ 이상, 파단신율 500% 이상, VICAT 연화점 74℃ 이상인 물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수시트.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층과 제2표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코로나방전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수시트.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폼(Polyethylen form)은 1mm ~ 10mm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수시트.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층은 9㎛ ~ 60㎛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수시트.
KR1020150190102A 2015-12-30 2015-12-30 단열방수시트 KR101772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102A KR101772483B1 (ko) 2015-12-30 2015-12-30 단열방수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102A KR101772483B1 (ko) 2015-12-30 2015-12-30 단열방수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479A true KR20170079479A (ko) 2017-07-10
KR101772483B1 KR101772483B1 (ko) 2017-09-12

Family

ID=5935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102A KR101772483B1 (ko) 2015-12-30 2015-12-30 단열방수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4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8896A (zh) * 2019-07-12 2019-11-12 同济大学 混凝土桥面用聚氨酯橡胶排水铺面结构及其施工方法
CN111042310A (zh) * 2019-12-14 2020-04-21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一种地下室底板构造及其施工方法
KR20200111636A (ko) 2019-03-19 2020-09-29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흡연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119B1 (ko) * 2021-10-06 2022-08-10 주식회사 한양엔티 방수용 복합 시트 및 이의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869B1 (ko) * 2009-06-05 2010-01-27 (주) 에프앤티코리아 고밀도폴리에틸렌 쉬트를 이용한 방수 쉬트 보호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0968714B1 (ko) 2009-11-27 2010-07-06 이상홍 다층필름을 이용한 점접착식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195591B1 (ko) * 2012-01-06 2012-10-29 태경건영(주) 방수 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 구조, 및 방수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636A (ko) 2019-03-19 2020-09-29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흡연 지그
KR20230012090A (ko) 2019-03-19 2023-01-25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전자 담배 기구
CN110438896A (zh) * 2019-07-12 2019-11-12 同济大学 混凝土桥面用聚氨酯橡胶排水铺面结构及其施工方法
CN111042310A (zh) * 2019-12-14 2020-04-21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一种地下室底板构造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483B1 (ko) 201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483B1 (ko) 단열방수시트
CA2280070C (en) Insulated foam board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KR101013827B1 (ko) 열팽창성 난연 폴리올레핀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난연성 복합패널
US9724901B2 (en) Biaxially oriented metallocen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method and resin composition for same
US20150174865A1 (en) Repeelable foam laminate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in foam and foam material
EP2923815B1 (en) Method for preparing an adhesive polyolefin, adhesive polyolefin, use thereof, and manufactured article
CN103842419A (zh) 树脂发泡体片以及树脂发泡复合体
JP6832260B2 (ja) 間紙
JP6633908B2 (ja) 高強度を有するポリエチレンシーラント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包装体
KR101772485B1 (ko) 방수시트용 무방향 다층무연신필름
US11376833B2 (en) Process to form a tile using low temperature heat lamination
CA2841988C (en) A multilayer film with high tear propagation resistance and low shrinkage
US20020155274A1 (en) Polyolefin film/foam/film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KR20110082484A (ko) 구조적 신뢰성을 제공하는 단열재 및 이로부터 제조된 건축부재 및 복합체
JP4865518B2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架橋発泡体
KR20200096425A (ko) 적층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압출된 적층 발포 시트
KR100969299B1 (ko)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계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36690B1 (ko) 아스팔트 방수 시트용 다층 공압출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87233B1 (ko)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KR101015481B1 (ko) 고무화 아스팔트계 자착식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TWI379765B (ko)
JP7256434B2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多層発泡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149692A1 (en) Tape, tape backing film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7288762B2 (ja) 積層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
RU2248378C2 (ru) Сверхгибкая изоляция для тру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