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119B1 - 방수용 복합 시트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방수용 복합 시트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119B1
KR102431119B1 KR1020210132103A KR20210132103A KR102431119B1 KR 102431119 B1 KR102431119 B1 KR 102431119B1 KR 1020210132103 A KR1020210132103 A KR 1020210132103A KR 20210132103 A KR20210132103 A KR 20210132103A KR 102431119 B1 KR102431119 B1 KR 102431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ing
composite sheet
layer
adhesive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성
박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양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양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양엔티
Priority to KR1020210132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수용 복합 시트는, 고분자 방수층; 및 상기 고분자 방수층의 일면 위에 위치하는 점착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자착식 콤파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자착식 콤파운드는, 폴리부텐(PB) 10wt% 내지 20wt%, 부틸고무 71wt% 내지 86wt%, 석유수지 2wt% 내지 4wt%, 폴리이소부틸렌(PIB) 1wt% 내지 3wt%, 카본 1wt% 내지 2wt% 및 탄산칼슘 1wt% 내지 2wt%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수용 복합 시트 및 이의 시공 방법{SHEET FOR PREVENTION OF WATER AND ROOT,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수용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건축 및 토목 비노출용 자착식 방수 복합시트에 관한 것으로 고강도 폴리에틸렌 방수층에 Butyl Rubber 또는 개질 아스팔트 점착층을 코팅하고 하부에 박리지를 부착한 복합 구조로서, 시공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하자 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한 설계로 방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완벽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방수용 복합 시트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 구조물은 강수 등으로부터 누수를 방지하며 구조물의 균열이나 내구성의 저하를 막기 위한 방수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아스팔트 방수, 시멘트 액체방수, 도막방수 등을 이용하여 방수작업이 시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건축하거나 토목 구조물을 구축하는 데, 건축물 및 구조물들의 각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의 방수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방수공법의 일례를 설명하면, 이 방수공법은 각종 바탕기재층 위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이 시멘트 모르타르층 위에 프라이머를 코팅하며, 이 프라이머층 위에 일반 시트 방수층 또는 일반 도막 방수층을 코팅하여 방수구조를 형성한다.
이 방수 시공이 완료되면, 이 방수층을 보호할 목적으로 방수층 위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보호 모르타르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보호 모르타르층 위에 시멘트, 모래, 자갈로 구성되는 레미콘(read mixed concrete)을 타설하여 보호 누름층을 형성한다. 이 보호 누름층은 바탕기재층과 방수층과의 들뜸을 방지한다.
이때, 바탕기재층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목재, 벽돌, 철골,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판 등으로 형성된다. 프라이머는 아스팔트계, 우레탄계, 탄성무기질계 및 아크릴계 프라이머 등이 많이 사용된다. 일반 시트 방수층은 주로 아스팔트계 시트가 사용되고, 일반 도막 방수층은 주로 우레탄방수나 무기질탄성도막방수 등이 사용된다.
이 방수공법에 적용되는 일반 시트 방수층 및 일반 도막 방수층은 바탕기재층 및 바탕기재층을 통과한 물에 대한 방수성능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 일차적으로 바탕기재층은 여러 특수한 물리적, 화학적인 외부 환경조건에 노출되어 각 구조물에 직접, 또는 간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대부분의 현대식 건축물 및 토목 구조물은 철근과 콘크리트 소재를 사용한 구조물이므로 각종 강우에 의한 단기적인 수분영향과 지하수에 의한 장기적인 수분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강우와 지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산, 알카리, 염소, 오일 성분 등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 촉진과 철근의 부식에 따른 내구성능 저하를 일으키고, 이차적으로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의 내구연한을 저하시킨다.
일반 시트 방수층은 바탕기재층에 부착되어 시공되므로 바탕기재층의 변형 또는 균열시, 이 균열에 이어져 파단되어, 견고한 방수 구조를 형성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구조체 거동에 완벽하게 대응하고, 균열과 크랙 부위로 방수재가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체화된 구조로 생산함으로써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고, 품질기준 이상의 높은 품질을 확복할 수 있으며, 공정의 단순화로 공사 기간 및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하자 부위의 확인 및 선별적 보수가 용이하며, 상온 및 저온에서의 부착성이 우수하고, 구조물로부터 방수층 이탈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방수용 복합 시트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수용 복합 시트인 자착식 방수 복합시트는 고분자 방수층; 및 상기 고분자 방수층의 일면 위에 위치하는 점착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자착식 콤파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자착식 콤파운드는, 폴리부텐(PB) 10wt% 내지 20wt%, 부틸고무 71wt% 내지 86wt%, 석유수지 2wt% 내지 4wt%, 폴리이소부틸렌(PIB) 1wt% 내지 3wt%, 카본 1wt% 내지 2wt% 및 탄산칼슘 1wt% 내지 2w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방수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 위에 위치하는 이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수용 복합 시트의 제조방법은 바탕면을 정리하는 바탕면 정리 공정; 상기 바탕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 공정; 상기 프라이머 위에 고분자 방수층; 및 상기 고분자 방수층의 일면 위에 위치하는 점착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자착식 콤파운드를 포함하는 방수용 복합 시트를 접합부를 가지도록 겹쳐서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방수용 복합 시트의 접합부를 접합하는 접합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자착식 콤파운드는, 폴리부텐(PB) 10wt% 내지 20wt%, 부틸고무 71wt% 내지 86wt%, 석유수지 2wt% 내지 4wt%, 폴리이소부틸렌(PIB) 1wt% 내지 3wt%, 카본 1wt% 내지 2wt% 및 탄산칼슘 1wt% 내지 2w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용 복합 시트의 접합부를 접합하는 접합 단계에서 상기 접합부는 50 mm 폭을 가지는 겹침과 80mm 이중 겹침 방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용 복합 시트 및 이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구조체 거동에 완벽하게 대응하고, 균열과 크랙 부위로 방수재가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체화된 구조로 생산함으로써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고, 품질기준 이상의 높은 품질을 확복할 수 있으며, 공정의 단순화로 공사 기간 및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하자 부위의 확인 및 선별적 보수가 용이하며, 상온 및 저온에서의 부착성이 우수하고, 구조물로부터 방수층 이탈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방수 작업을 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방수용 복합 시트를 설치하는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 시트를 이용한 시공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 시트를 이용한 시공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 시트를 이용한 시공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 시트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 시트를 이용한 시공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 시트(100)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를 베이스 물질로 포함하는 고분자 방수층(10), 고분자 방수층(10)의 일면 위에 위치하는 고점도 고점착 합성석유슈지 컴파운드(20) 과 이형필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고분자 방수층(10)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를 베이스 물질로 포함하여 우수한 방수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우수한 내구성 및 장기 신뢰성을 가지면서, 원하는 형상으로 쉽게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방수층(10)은 우수한 방수 특성을 가져, 단일층인 고분자 방수층(10)으로 구성하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즉,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우수한 강도 및 경도를 가져 고분자 방수층(1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분자 방수층(10)은 고밀도 폴리에틸렌고밀도 폴리에틸렌, 기타 다양한 첨가제 등을 혼합하여 균일한 두께로 압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고분자 방수층(10)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방수층(10)의 위(도면에서의 하부)에 위치하는 자착식 콤파운드(20)는 방수용 복합 시트(100)를 구조물에 부착하는 점착층 또는 접착층의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착식 콤파운드(20)는 전면으로 균일하게 처리 또는 일정한 면적 및 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되거나,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평면 형상의 층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착식 콤파운드(20)는 폴리부텐(PB) 10wt% 내지 20wt%, 부틸고무 71wt% 내지 86wt%, 석유수지 2wt% 내지 4wt%, 폴리이소부틸렌(PIB) 1wt% 내지 3wt%, 카본 1wt% 내지 2wt% 및 탄산칼슘 1wt% 내지 2wt%를 포함하여, '고점착', '연질'의 특성을 갖고 있어서 콘크리트 바탕면에 안정적으로 고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탕면에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콤파운드의 우수한 신장력으로 인해 시트가 파단되지 않고 방수층(10)을 유지되게 된다.
여기서, 폴리부텐(PB)은 등급이 여러가지 있으며 어느 한 가지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자착식 콤파운드(20)에서 폴리부텐(PB)은 접착성을 부여하는 성분으로 기능하며, 10wt% 내지 20wt% 범위로 사용되는 데, 그 사용량이 10중량% 미만이 되면 점착제로서의 효과가 미비하여 충분한 접착강도 등의 물성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며, 20중량%를 초과하면 사용량이 필요 이상으로 많아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여 가격 경쟁력을 약화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부틸고무는 내후성이 탁월하여 -30℃의 저온에서도 물리적 성질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서 겨울철과 같은 저온의 환경에서도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부틸고무는 본 발명의 콤파운드에 사용된 다른 재료와 혼합되어 내산화성, 내오존성, 낮은 수분투과성, 저온 유연성의 물리적 성질을 나타내므로 동절기 시공이 가능하고, 콘크리트 표면에 시트를 접착시킬 때에도 접착제나 열기구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자착식 시트의 접착력만으로 시공이 가능하다.
자착식 콤파운드에서 부틸고무는 71wt% 내지 86wt% 범위로 사용되는 데, 그 사용량이 71중량% 미만이 되면 내후성 등의 신뢰성 관련 물성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며, 86중량%를 초과하면 사용량이 필요 이상으로 많고, 다른 접착 성분 등의 조성비가 감소하여 제품의 가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접착성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석유수지는 접착력을 보강하고, 인장강도, 내열성 및 도막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석유수지는 석유화학의 나프타(Naphtha)를 열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방족계 올레핀, 디올레핀 등의 불포화 탄화수소를 중합해서 얻어지는 담황색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종래의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와 비교해 볼 때 취기가 거의 없으며, 밝은 색상과 열안정성, 내후성이 우수하며, 대부분 지방족,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에 쉽게 용해하는 특징을 갖고 있어 접착부여제, 도료용 페인트 접착제, 핫멜트(Hot Melt) 접착제, 고무배합 접착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석유수지는 접착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혼합화합물로서, 석유수지가 첨가되면 겔상태로 되지 않고, 액상으로 유지된다.
자착식 콤파운드에서 석유수지는 2wt% 내지 4wt% 범위로 사용되는데 그 사용량이 2wt%이하로 첨가될 경우, 인장강도와 도막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4wt%이상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강도가 너무 커서 크랙의 발생 가능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폴리이소부틸렌(PIB)은 접착력을 증대시키며, 아스팔트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자착식 콤파운드에서 폴리이소부틸렌(PIB)은 1wt% 내지 3wt% 범위로 사용되는 데, 그 사용량이 1중량% 미만이 되면 첨가효과가 거의 없어 요구하는 특성을 발현하기 어려우며, 3중량%를 초과하면 접착효과는 우수하나 다른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자착식 콤파운드 카본 1wt% 내지 2wt% 및 탄산칼슘 1wt% 내지 2wt%로 이루어진 첨가제를 더 혼합한다.
카본은 교반됨으로써, 자착식 콤파운드가 -30도씨 내지 70도씨에서도 겔(GEL)같은 끈적임, 초기 점착력, 응집력 및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기능한다.
또한, 탄산칼슘은 분쇄크기에 따라 경탄과 중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탄산칼슘이 분쇄된 입자 크기가 약 325 메쉬(mesh) 정도로 작아 비중이 작은 것을 경탄이라고 하고, 입자의 크기가 약 150 메쉬(mesh) 정도로서 비중이 큰 것을 중탄이라고 하며, 자착식 콤파운드에서 충진재로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체 면에 자착식 콤파운드가 위치할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자착식 콤파운드(20)는 위(도면에서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형층(30)이 이형 특성을 가지는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고분자 방수층(10)의 두께가 다른 층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이는 고분자 방수층(10)이 방수 특성을 향상하는 층이므로 방수 특성을 충분하게 구현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수용 복합 시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층의 두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용 복합 시트는, 방수 특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며 습식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건식화 구조를 가져 시공을 단순화하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조방법
이하에서는 상술한 방수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고분자 방수층(10)을 형성한다. 이때, 고분자 방수층(10)은 상술한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균일한 두께로 압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특수 HDPE 필름 방수층(10)의 일면에 조인트 보강용 메시와 T-DIE를 통한 부틸 컴파운드 압출하여 성형하고, 이후 이형필름을 합지하여 완제품을 생산한다. 여기서, 전체 두께는 2.0mm, 시트폭 1000mm, 하부접착부 50mm 연장 조인트접착부 형성, 완제품 폭은 1050mm로 생산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펠렛 형태의 상술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산화 방지제, 분산제 등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가열하고 티-다이(T-DIE)를 통하여 겔 형태의 합성 고분자를 일정한 두께로 압출하여 합성 고분자 물질층(또는 고분자 방수층(10))을 형성한다. 이러한 합성 고분자 물질층을 성형 롤러(성형기)에 투입시키면서 시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적층 시트는 냉각기를 통해 일정한 온도로 냉각시킨다.
이어서, 적층 시트 위에 자착 물질을 도포하여 자착식 콤파운드(20)를 형성하고 이 위에 이형층(30)이 합치되어 권취되어 포장될 수 있다.
방수용 복합 시트의 설치 공정 시에는 이형층(30)을 제거한 상태에서 자착식 콤파운드(20)가 구조물(200)의 바탕면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시공되는 위치 및 시공 목적에 따라 다양한 시공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건물 옥상부 등의 인공 지반 녹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구조물(200)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바탕면 정리 공정, 프라이머(210)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 공정, 방수용 복합 시트를 설치하는 설치 공정, 방수용 복합 시트의 접합부를 간접 열풍으로 융착하는 융착 공정, 경계물을 설치하고 토양을 포설하여 식재 기반층을 형성하는 공정, 식재를 시공하는 공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구조물의 방수가 요구되는 부위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구조물(200)의 바탕면(210)을 정리하는 바탕면 정리 공정, 프라이머(210)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 공정, 방수용 복합 시트를 설치하는 설치 공정, 방수용 복합 시트의 접합부 겹침 접착공정, 보호층 설치 및 누름 콘크리트 타설 공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압착 공정에서는 이웃한 두 개의 방수용 복합 시트의 접합부들이 다양한 적층 구조를 가지도록 압착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한 두 개의 방수용 복합 시트의 접합부(110)를 겹침 처리하여 서로 접합할 수 있다. 겹침 처리 시에는 접합부가 50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하나의 방수용 복합 시트의 접합부 위에 다른 방수용 복합 시트의 접합부를 겹치고, 이웃한 두 개의 방수용 복합 시트의 접합부가 서로 접착된다. 또한, 접합부의 겸침 영역의 덧댐처리로 점/접착층을 가지는 보강용 테이프(230)를 추가로 적용할 수 있고, 현장에서 방수용 복합 시트를 덮는 보호층(240)을 추가로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착식 콤파운드의 접착층(20)은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보강메쉬 구조(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20)은 일정한 단면(일 예로, 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길게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접착층(20)이 평면 상에서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서로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접착층(20)이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평면형상의 층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접착층(2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는 내부에 격자 사이의 공간(개구부)을 가지도록 서로 교차하는 보강메쉬 구조(40)를 가지며, 이러한 보강메쉬 구조(40)가 접합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상태이므로, 접착층(20)이 보강메쉬 구조(4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접합부에 밀착되어 고정 안정성이 좀 더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한 두 개의 방수용 복합 시트(100)의 접합부를 이중 겹침 처리하여 서로 접합할 수 있다. 이중 겹침 처리 시에는 접합부가 80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서로 중첩되는 이웃한 두 개의 방수용 복합 시트(100)의 접합부의 일부분에 접착층(20)이 위치시킨 후에 접착층(20)이 접착된다.
이때, 접합부의 전체 폭에서 접착층(20)이 위치한 부분의 폭이 접착층(20)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도 4(b)에서는 접합부의 전체 폭에서 접착층(20)이 위치한 부분의 폭이 50mm, 접착층(20)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폭이 30mm로 형성되는 것을 보였다. 이에 의하여 접합부의 폭을 너무 넓히지 않으면서도 이웃한 두 개의 방수용 복합 시트(100) 사이에 위치한 접착층(20)에 의하여 접착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하여 제시한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분자 방수층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의 제조
두께가 0.1mm ~ 0.5 mm인 특수 HDPE 필름 방수층의 일면에 조인트 보강용 메시와 T-DIE를 통한 부틸 컴파운드 압출하여 성형하고, 이후 이형필름을 합지하여 완제품을 생산한다. 여기서, 전체 두께는 1.5mm 또는 2.0mm, 시트폭 1000mm, 하부접착부 50mm 연장 조인트접착부 형성, 완제품 폭은 1050mm 로 생산한다.
시트 층 위에 점착층을 전체 면에 균일하게 처리한 다음 단면 실리콘 처리된 이형필름을 합지하여 권취기로 이동한 다음 절단 및 포장한다.
본 발명의 제조예의 따라 제조된 2.0mm 두께의 방수용 복합시트에 대한 물성평가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Figure 112021114351080-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 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 시트의 물성평결과 KS F 4934의 품질 요구 성능(인장강도, 신장율, 인열강도, 벗김저항성능, 점착성능)을 충분히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및 산화 방지제와 분산제를 포함하는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균일한 두께로 합출하여 형성된 고분자 방수층; 및
    상기 고분자 방수층의 일면 위에 위치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점착층은 자착식 콤파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자착식 콤파운드는, 폴리부텐(PB) 10wt% 내지 20wt%, 부틸고무 71wt% 내지 86wt%, 석유수지 2wt% 내지 4wt%, 폴리이소부틸렌(PIB) 1wt% 내지 3wt%, 카본 1wt% 내지 2wt% 및 탄산칼슘 1wt% 내지 2wt%를 포함하는 고점착 및 연질의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복합 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위에 위치하는 이형층을 더 포함하는 방수용 복합 시트.
  4. 바탕면을 정리하는 바탕면 정리 공정;
    상기 바탕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 공정;
    상기 프라이머 위에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및 산화 방지제와 분산제를 포함하는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균일한 두께로 합출하여 형성된 고분자 방수층 및 상기 고분자 방수층의 일면 위에 위치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방수용 복합 시트를 접합부를 가지도록 겹쳐서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방수용 복합 시트의 접합부를 접합하는 접합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점착층은 자착식 콤파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자착식 콤파운드는, 폴리부텐(PB) 10wt% 내지 20wt%, 부틸고무 71wt% 내지 86wt%, 석유수지 2wt% 내지 4wt%, 폴리이소부틸렌(PIB) 1wt% 내지 3wt%, 카본 1wt% 내지 2wt% 및 탄산칼슘 1wt% 내지 2wt%를 포함하는 고점착 및 연질의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복합 시트를 이용한 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용 복합 시트의 접합부를 접합하는 접합 단계에서 상기 접합부는 50mm의 폭을 가지는 겹침 방식 의하여 형성되는, 방수용 복합 시트를 이용한 시공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용 복합 시트의 접합부를 접합하는 접합 단계에서 상기 접합부는 80mm의 폭을 가지는 이중 겹침 방식에 의하여 형성되는, 방수용 복합 시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10132103A 2021-10-06 2021-10-06 방수용 복합 시트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431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103A KR102431119B1 (ko) 2021-10-06 2021-10-06 방수용 복합 시트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103A KR102431119B1 (ko) 2021-10-06 2021-10-06 방수용 복합 시트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119B1 true KR102431119B1 (ko) 2022-08-10

Family

ID=8284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103A KR102431119B1 (ko) 2021-10-06 2021-10-06 방수용 복합 시트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1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884B1 (ko) * 2009-10-08 2010-05-20 한폴 주식회사 부틸합성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공법.
KR101107629B1 (ko) * 2011-04-01 2012-01-25 이경아 다층구조 복합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140128215A (ko) * 2013-11-21 2014-11-05 김영신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 및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겹침 이음 구조와 그 방법
KR101772483B1 (ko) * 2015-12-30 2017-09-12 이병일 단열방수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884B1 (ko) * 2009-10-08 2010-05-20 한폴 주식회사 부틸합성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공법.
KR101107629B1 (ko) * 2011-04-01 2012-01-25 이경아 다층구조 복합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140128215A (ko) * 2013-11-21 2014-11-05 김영신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 및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겹침 이음 구조와 그 방법
KR101772483B1 (ko) * 2015-12-30 2017-09-12 이병일 단열방수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9761B2 (en) Roofing membrane with a functional layer
KR100958065B1 (ko)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CN101575486B (zh) 无溶剂粘合剂、防水片材、其制法和使用它的建筑方法
US20110183100A1 (en) Solvent-free adhesive for waterproof sheet, waterproof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aterproof sheet using the solvent-free adhesiv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waterproof sheet
KR102006275B1 (ko) 아스팔트 자착식 방수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KR10128657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방수를 위한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및 펠트 시트 복합 방수재
KR101600072B1 (ko) 아스팔트 우레탄 방수 도막재와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이중복합 방수시트
KR101859999B1 (ko) 박막 방수층이 포함된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KR102088103B1 (ko) 복합 방수층
KR100744727B1 (ko) 건축 구조물의 도막 및 시트 이중 노출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CN203527998U (zh) 带砂面的预铺防水卷材
KR102327868B1 (ko) 자가치유 고무아스팔트 복합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120138496A (ko) 복합형 방수방근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시공 방법
KR101812175B1 (ko) 방수 및 방근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근 공법
KR100952689B1 (ko) 점접착제를 이용한 방수시트 및 방수시트의 제조 방법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1805764B1 (ko) 도로 균열부의 보수 및 방수 시공용 자착식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41747B1 (ko) 교면용 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70001937A (ko) 방수 도막재와 방수시트가 포함된 복합 방수시트
KR20090014480A (ko) 건축용 방수 및 방근 시공방법
KR100879077B1 (ko) 아스팔트계 점착성 다층 시트와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방수공법
KR10087993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3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966832B1 (ko) 재활용이 가능한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2431119B1 (ko) 방수용 복합 시트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92819B1 (ko) 방근성이 강화된 복합방수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35974B1 (ko) 폴리염화비닐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