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793A - 보철 구조물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보철 구조물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793A
KR20170076793A KR1020177017097A KR20177017097A KR20170076793A KR 20170076793 A KR20170076793 A KR 20170076793A KR 1020177017097 A KR1020177017097 A KR 1020177017097A KR 20177017097 A KR20177017097 A KR 20177017097A KR 20170076793 A KR20170076793 A KR 20170076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ention
rim
insert
holding
holding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9659B1 (ko
Inventor
티투스 피슬러
엘리사베트 피슬러
마틴 바흘러
취리히 바흘러
롤란드 샤프너
Original Assignee
포룸 이모빌리엔 아게
엘리사베트 피슬러
티투스 피슬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38469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07679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포룸 이모빌리엔 아게, 엘리사베트 피슬러, 티투스 피슬러 filed Critical 포룸 이모빌리엔 아게
Publication of KR20170076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30Securing inlays, onlays or crowns
    • A61C5/35Pins; Mounting tools or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2Tools for fastening artificial teeth; Holders, clamps, or stands for artifici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61C13/2656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7Clasp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polymer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보철 구조물과 임플란트 구조물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는 홀딩 쉘과 리텐션 인서트를 포함한다. 리텐션 인서트는 말단면 및 이로부터 돌출되는 실질적으로 고리 모양인 리텐션 림을 포함한다. 홀딩 쉘은 말단면 및 이로부터 돌출되는 실질적으로 고리 모양인 홀딩 림을 포함한다. 홀딩 쉘의 홀딩 림 및 말단면은 리테이너를 형성하며 여기에 리텐션 인서트가 배열되어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이 홀딩 쉘의 홀딩 림의 내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또한, 리텐션 인서트가 홀딩 쉘의 리테이너에 배열될 때, 그리고 본질적으로 방사상 힘이 홀딩 쉘의 홀딩 림 및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에 작용하지 않을 때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은 홀딩 쉘의 홀딩 림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되고 인접된다. 본질적으로 방사상 힘이 홀딩 쉘의 홀딩 림 및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에 작용하지 않을 때 리텐션 림의 인접 외부 표면 및 홀딩 림의 내부 표면은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서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연결 장치가 임플란트 구조물에 아직 놓이지 않을 때 리텐션 인서트가 홀딩 쉘과 비교적 느슨하게 연결되는 것이 성취될 수 있다. 이런 느슨한 연결은 리텐션 인서트가 실질적으로 변형되거나 어떠한 방식으로도 압박을 받지 않고 홀딩 쉘로부터 비교적 쉽게 제거되고 삽입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리텐션 인서트를 부드럽게 삽입하고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연결 장치의 유연성과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철 구조물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연결 장치{CONNECTION OF A PROSTHESIS STRUCTURE WITH AN IMPLANT STRUCTURE}
본 발명은 연결 장치뿐만 아니라 상응하는 리텐션 인서트, 상응하는 방법 및 상응하는 장착 도구에 관한 것이다. 홀딩 쉘(holding shell) 및 리텐션 인서트(retention insert)를 포함하는 이런 종류의 연결 장치는 치아 보철 구조물과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 또는 씌운 이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홀딩 쉘은 말단면 및 이로부터 돌출되는 실질적으로 고리 모양인 홀딩 림(holding rim)을 가지며 리텐션 인서트는 말단면 및 이로부터 돌출되는 실질적으로 고리 모양인 리텐션 림(retention rim)을 가지며, 홀딩 쉘의 홀딩 림 및 말단면은 리테이너(retainer)를 형성하며 여기에 리텐션 인서트가 배열되어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이 홀딩 쉘의 홀딩 림의 내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치과의술에서, 오늘날 손상되거나 질환이 있는 치아는 인공 틀니로 정기적으로 대체된다. 이런 틀니는 하나의 치아, 함께 복수의 치아 또는 전체 틀니를 위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런 틀니는 주로 임플란트 구조물과 보철 구조물을 포함한다. 보철 구조물은 운반 재료로서 합성 보철 재료 및 이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치아 왕관을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 구조물은 한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여러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두 부품 구조물은 통상적으로 각각 치아 임플란트 및 연결기 또는 접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임플란트 구조물은 또한 여러 치아 임플란트와 턱뼈가 가로질러 연결된 웹(web)을 포함할 수 있다. 치아 임플란트 또는 전체 임플란트 구조물은 환자의 턱뼈의 목표 위치에 치아의 인공 뿌리로서 합체된다. 이를 위해서, 예를 들어, 뼈 물질이 형성(골접합)되거나 인공 조직으로 대체되고 및/또는 드릴 구멍이 턱뼈의 목표 위치에 제공되기 때문에 턱뼈는 미리 부분적으로 처리된다. 그런 후에, 치아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구조물은, 예를 들어, 에노살 치아 임플란트(enossal dental implant)로서 나사실을 통해 일반적으로 턱뼈 속에 연결되거나 그냥 턱뼈 속에 넣어진다. 통상적으로 3월 내지 6월 내에, 치아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구조물 및 주변 턱뼈는 단단하고 강한 운반 장치를 형성하도록 결합한다. 이런 과정은 골유착으로 불린다. 치아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구조물은 통상적으로 티타늄 또는 세라믹 재료로 제조된다. 치아 임플란트에 대한 대안으로, 씌운 치아가 보철 구조물과 연결되는 것이 가능한 경우, 이 말단에 치아 또는 치아의 나머지에 캡이 부착된다. 이하에서, 씌운 치아는 내용을 단순화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언급되지 않으나, 언급된 임플란트 구조물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오늘날 복수의 다른 연결 장치가 보철 구조물을 합체된 임플란트 구조물에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편안하고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해서, 특히 스냅-결합 구조물(snap-engagement structure)이 사용되며, 임플란트 구조물은 암 부품 또는 수 부품을 포함하며 보철 구조물은 상응하는 수 부품 또는 암 부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WO 2010/025034 A1은 이런 연결 장치로서 스냅-결합 시스템을 기술한다. 이에 의해, 임플란트 구조물은, 예를 들어, 한 부품으로 형성되며 평평한 말단 및 외부로 부풀어 오른 인접하는 부분을 가진 헤드를 포함한다. 또한, 평면의 방향으로 개방된 홀더가 헤드의 중앙에 제공된다. 보철 구조물은 합성 재료로 제조된 리텐션 부품 및 티티늄으로 제조된 캡을 포함한다. 리텐션 부품은 실질적으로 컵 모양이며, 이의 림의 내부면은 임플란트 구조물의 헤드의 부풀어 오른 부분과 일치하게 형성된다. 또한 리텐션 부품은 헤드의 홀더에 상응하는 중앙 기둥을 포함한다. 따라서, 캡 또한 실질적으로 컵 모양이며, 이의 림의 내부면은 리텐션 부품의 림의 외부면과 일치하게 형성된다. 보철 구조물을 임플란트 구조물과 연결하기 위해서, 보통 먼저 리텐션 부품이 캡 속을 압축되고, 리텐션 부품의 림은 내부로 변형되어 리테션 부품이 캡에 배열될 때 다시 확장된다. 그런 후에, 리텐션 부품과 함께 캡이 임플란트 구조물의 헤드 속에 압축되며, 리텐션 부품의 림과 기둥 모두가 변형되고 보철 구조물이 임플란트 구조물의 헤드 상에 배열될 때 가능한 한 많이 확장된다.
인공 틀니에서 요즘 주로 발생하는 한 문제는 치아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구조물의 위치가 다양한 인자, 예를 들어, 턱뼈의 상태, 가능한 골결합의 과정 및 특히 정확한 삽입에 의존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요즘 임플란트 구조물을 원하는 표적 장소 및 원하는 표적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임플란트 구조물을 보철 구조물과 연결하는 것이 반드시 가능하지 않다. 이런 문제는, 예를 들어, 복수의 치아를 대체하며 가능한 한 많이 평행하게 된 복수의 임플란트 구조물을 통해 환자의 턱뼈와 연결되는 보철 구조물과 더 관련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철 구조물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확실한 연결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한 연결 장치는 벗어나는 심어진 임플란트 구조물에 대한 보상을 어느 정도 허용하도록 부분적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기술된 스냅-결합 시스템의 리텐션 부품은 통상적으로 비교적 부드럽고 탄성이 있어서 평행하지 않은 방식으로 심어진 임플란트 구조물의 축 방향 벗어남을 어느 정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때때로 다른 경도를 가진 재료들로 제조된 유사한 리텐션 부품들의 세트가 판매되어 보철 구조물을 맞추는 동안 임플란트 구조물의 비평행 정도에 따라 적절한 리텐션 부품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철 구조물의 맞춤 동안 리텐션 부품의 이런 선택과 적응을 위해서, 리텐션 부품의 다른 경도를 검사하는 것이 주로 필요하며, 이것은 어렵고 힘들 수 있다. 그러나, 상응하는 캡에 장착되고 이로부터 분리될 때, 리텐션 부품은 또한 리텐션 부품의 큰 소비를 유도할 수 있는 상기한 변형 때문에 압착되고 손상된다. 또한, 보철 구조물의 매일 사용 동안 및 상기한 보상 기능의 결과로서, 리텐션 바디는 변형뿐만 아니라 보철 구조물의 비-균일 장착 및 분리에 의해 많이 압박을 받아 정기적으로 교체되어야 하며, 이는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먼지 입자가 리텐션 부품의 변형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모일 수 있으며, 이는 대부분적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철 구조물과 임플란트 구조물 또는 씌운 치아뿐만 아니라 상응하는 리텐션 인서트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보철 구조는 환자의 입에 비교적 쉽고 편리하게 장착되고 분리될 수 있고, 특정 조건에 비교적 쉽게 적응할 수 있고 리텐션 인서트는 비교적 쉽고 부드럽게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런 목적은 독립 청구항 1에 정의된 연결 장치, 독립 청구항 13에 정의된 리텐션 인서트, 독립 청구항 14에 정의된 방법 및 독립 청구항 15에 정의된 장착 도구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태양은 아래에 기술된다.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이다: 보철 구조물과 임플란트 구조물 또는 씌운 치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는 홀딩 쉘 및 리텐션 인서트를 포함한다. 리텐션 인서트는 말단면 및 이로부터 돌출되는 실질적으로 고리 모양인 리텐션 림을 포함하며 홀딩 쉘은 말단면 및 이로부터 돌출되는 실질적으로 고리 모양인 홀딩 림을 포함한다. 홀딩 쉘의 홀딩 림 및 말단면은 리테이너를 형성하며 여기에 리텐션 인서트가 배열되어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이 홀딩 쉘의 홀딩 림의 내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리텐션 인서트가 홀딩 쉘의 리테이너에 배열될 때, 그리고 본질적으로 방사상 힘이 홀딩 쉘의 홀딩 림 및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에 작용하지 않을 때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은 홀딩 쉘의 홀딩 림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인접한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이와 관련하여, "방사상 힘"이란 용어는 홀딩 림 및/또는 리텐션 림에 대해 방사상으로 작용하는 힘을 의미하며 그 결과 홀딩 림은 리텐션 림의 방향을 압축되고 및/또는 특히 리텐션 림은 홀딩 림의 방향으로 압축된다. 최초 상황에 따라, 임플란트 구조물 및 씌운 치아는 서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씌운 치아는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씌운 치아는 임플란트 구조물이 언급될 때 대안으로 구성된다. 특히, 이하에서 이와 관련하여 "임플란트 구조물"이란 용어는 또한 씌운 치아를 포함한다.
연결 장치는 특히 스냅-결합 연결의 암 부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연결 장치는 약 9mm 내지 약 3mm 또는 약 7mm 내지 약 4mm 또는 약 6mm 내지 약 5mm 및 특히 약 5.5mm의 전체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 장치는 약 1mm 내지 약 3mm 또는 약 1.5mm 내지 약 2.5mm 및 특히 약 2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 및 홀딩 림의 내부 표면은 임의의 적절한 모양,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평면 모양 또는 실질적으로 굽은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보철 구조물은 특히 복수의 치아를 위한 보철일 수 있다. 연결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홀딩 쉘은 보철 구조물과 단단히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보철 구조물은 합성 보철 재료로 주조될 수 있다. 보철 구조물과 적절한 연결을 허용하기 위해서, 홀딩 쉘은 또한 이의 외부 표면상에 하나 이상의 v자형 벤 자리(notches)와 같은 적절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 구조물은 하나 이상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임플란트 구조물은, 예를 들어, 나사 모양인 임플란트 바디 및 그 위에 배열된 연결장치 또는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는 스냅-결합 연결의 수 부분을 가진 헤드를 가질 수 있다. 홀딩 쉘 및 리텐션 인서트는 실질적으로 컵 모양일 수 있으며 임플란트 구조물의 수 부분과 연결되는데 특히 적절하다. 홀딩 쉘과 리텐션 인서트의 말단면은 실질적으로 원판 모양일 수 있으며 개구부를 갖거나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 홀딩 림은 홀딩 쉘의 말단면의 둘레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방사상 힘이 홀딩 쉘의 홀딩 림 및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에 작용하지 않을 때 리텐션 림의 인접 외부 표면 및 홀딩 림의 내부 표면은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서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연결 장치가 임플란트 구조물에 아직 놓이지 않을 때 리텐션 인서트가 홀딩 쉘과 비교적 느슨하게 연결되는 것이 성취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런 느슨한 연결은 홀딩 쉘에 리텐션 인서트를 고정하는데 충분하여 편안한 처리를 허용한다. 이런 느슨한 연결은 리텐션 인서트가 실질적으로 변형되거나 어떠한 방식으로도 압박을 받지 않고 홀딩 쉘로부터 비교적 쉽게 제거되고 삽입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리텐션 인서트를 부드럽게 삽입하고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연결 장치의 유연성과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연결 장치가 의도한 대로 임플란트 구조물과 연결되어, 예를 들어 수 헤드가 리텐션 바디에 삽입되거나 탁 잠길 때, 방사상 힘이 헤드로부터 리텐션 바디의 리텐션 림에 작용할 수 있다. 이런 힘은 홀딩 림의 홀딩 림의 방향으로 리텐션 림을 압축할 수 있어서 리텐션 림은 홀딩 림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리텐션 림은 상당히 압착되거나 유사하게 변형되지 않고 홀딩 림의 방향으로 탄성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보철 구조물이 연결 장치에 의해 임플란트 구조물과 연결될 때 리텐션 바디는 홀딩 쉘과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 동시에, 스프링력이 이동된 리텐션 림으로부터 헤드 상에 작용할 수 있어서 연결 장치는 헤드 상에 고정된다. 또한 리텐션 바디의 리텐션 림은 보철 구조물이 임플란트 구조물로부터 제거되어 리텐션 바디가 비교적 덜 압박을 받은 후 최초 위치로 탄성력으로 되돌아갈 수 있고 비교적 긴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리텐션 림은 홀딩 림의 방향으로 둘레를 따라 균일하지 않은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임플란트 구조물의 부정확한 위치 및 특히 비평형은 리텐션 바디가 실질적으로 압착되거나 유사하게 변형되지 않고 보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장치에서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은 홀딩 쉘의 홀딩 림의 내부 표면보다 연결 장치의 중앙축의 방향으로 더 현저하게 기울어지기 때문에 홀딩 쉘의 홀딩 림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인접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이와 관련하여, "중앙축"은 개개의 밀단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홀딩 쉘 또는 리텐션 인서트의 중앙축 또는 세로축 또는 회전축에 해당하며, 중앙축은 개개의 말단면의 중앙을 통해 특히 수직으로 연장되며 이 경우 이런 말단면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원판 모양이다. 이와 관련하여, "연결 장치의 중앙축의 방향으로 기울어진"이란 용어는 상응하는 말단면에 대한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 또는 홀딩 림의 내부 표면의 기울기를 의미한다. 이런 기울기는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 또는 홀딩 림의 내부 표면 및 상응하는 말단면 사이의 각과 관련이 있으며, 이 경우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 및 상응하는 말단면 사이의 각은, 본 발명에 따라, 홀딩 림의 내부 표면 및 상응하는 말단면 사이의 각보다 더 작다. 홀딩 림의 내부 표면의 기울기와 비교하여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의 상기 더 강한 기울기는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 및 홀딩 림의 내부 표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까지 이를 수 있으며, 상기 공간은 크기가 상응하는 말단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리텐션 림의 인접한 외부 표면 및 홀딩 림의 내부 표면은 리텐션 인서트가 홀딩 쉘의 리테이너에 배열될 때, 그리고 본질적으로 방사상 힘이 홀딩 쉘의 홀딩 림 및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에 작용하지 않을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접촉하지 않고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연결 장치의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은 유리하게는 리텐션 인서트의 말단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리텐션 림의 말단 상에서 시작하여 리텐션 인서트의 말단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포함한다. 리텐션 림은 또한 둘레 방향으로 교차하는 박막 및 홈을 가질 수 있다. 이런 홈은 변형성 또는 탄성을 측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소정 재료에 대한 리텐션 인서트의 경도 등급을 측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유사한 리텐션 인서트에 다른 수의 홈이 제공될 수 있으며, 리텐션 인서트의 경도는 홈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한다. 동일한 종류의 리텐션 인서트의 경도의 다른 등급은 다르게 착색된 리텐션 인서트에 의해 쉽게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장치의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에 있는 홈은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폭의 적어도 약 50%, 바람직하게는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폭의 적어도 약 70% 및 특히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폭의 적어도 약 80%에 걸쳐 연장된다. 이런 홈은 리테이너 사이에 배열된 박막의 적절한 탄성 이동성을 허용할 수 있다.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은 바람직하게는 3개, 4개, 5개, 6개 또는 그 이상의 홈을 포함한다. 이런 수의 홈은 둘레방향으로 규칙적 배열을 허용하며 리텐션 인서트가 비교적 쉽게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수반한다.
유리하게는, 연결 장치의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은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홀딩 쉘의 홀딩 림은 홀딩 쉘의 홀딩 림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상응하는 홈을 포함한다. 돌출부 및 홈은 특히 실질적으로 리텐션 림 또는 홀딩 림의 전체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런 돌출부 및 이런 홈에 의해 리텐션 인서트가 홀딩 쉘의 리테이너에 배열될 때, 그리고 방사상 힘이 홀딩 쉘의 홀딩 림 및/또는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에 작용할 때, 홀딩 쉘과 단단히 연결되는 것을 비교적 쉽게 성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리텐션 인서트가 홀딩 쉘의 리테이너에 배열될 때, 그리고 본질적으로 방사상 힘이 홀딩 쉘의 홀딩 림 및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에 작용하지 않을 때, 리텐션 인서트가 홀딩 쉘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홀딩 쉘의 홀딩 림의 홈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돌출부는 본질적으로 방사상 힘이 홀딩 쉘의 홀딩 림 및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에 작용하지 않을 때 홈에 단지 부분적으로 배열될 수 있어서 리텐션 인서트는 홀딩 쉘 안에 고정되기 위해 충분히 단단히 홀딩 쉘에 고정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홀딩 쉘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홀딩 쉘에 충분히 느슨하게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돌출부 지지 표면을 포함하며 홀딩 쉘의 홀딩 림의 홈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홈 지지 표면을 포함하며, 돌출부 지지 표면의 한 부분은 리텐션 인서트가 홀딩 쉘의 리테이너에 배열될 때, 그리고 본질적으로 방사상 힘이 홀딩 쉘의 홀딩 림 및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에 작용하지 않을 때, 홈 지지 표면의 한 부분과 접촉하며, 홈 지지 표면은 리텐션 인서트를 대면하는 이의 말단 쪽으로 둥글며 및/또는 돌출부 지지 표면은 홀딩 쉘을 대면하는 이의 말단을 향해 둥글다. 특히, 홈 지지 표면은 돌출부 지지 표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둥글 수 있고 돌출부 지지 표면은 홈 지지 표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둥글 수 있다. 리텐션 인서트의 돌출부의 돌출부 지지 표면은 특히 리텐션 인서트의 말단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떨어져 대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홀딩 쉘의 홈의 홈 지지 표면은 실질적으로 홀딩 쉘의 말단면을 향해 대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런 둥근 홈 지지 표면 및/또는 돌출부 지지 표면에 의해, 리텐션 인서트 및 홀딩 쉘 사이의 적절하게 지지하나 그럼에도불구하고 쉽게 분리가능한 연결이 구현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돌출부는 홀딩 쉘의 홀딩 림의 홈에 배열될 수 있어서 리텐션 인서트가 홀딩 쉘의 리테이너에 배열될 때, 그리고 방사상 힘이 홀딩 쉘의 홀딩 림의 방향으로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 및/또는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방향으로 홀딩 쉘의 홀딩 림에 작용할 때 리텐션 인서트는 홀딩 쉘과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힘이 리텐션 림의 방향으로 홀딩 림에 작용할 때 및/또는 특히 힘이 홀딩 림의 방향으로 리텐션 림에 작용할 때, 홀딩 림 및 리텐션 림은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어서 돌출부가 홈에 추가로 또는 전적으로 배열되고 따라서 리텐션 인서트는 홀딩 쉘과 영구적으로 또는 단단히 연결된다. 방사상 힘은 리텐션 림에 가해질 수 있거나 임플란트 구조물의 헤드의 수 부품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연결 장치의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은 바람직하게는 외부 표면과 반대쪽의 내부 표면을 포함하며, 내부 표면은 리텐션 인서트의 말단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말단을 향해 둥글다. 이런 둥근 모양의 리텐션 림에 의해, 한편으론, 연결 장치가 스냅-결합 연결의 수 부품 또는 임플란트 구조물의 헤드 상에 놓일 때 중앙에 위치하며, 다른 한편으론, 이런 배치 동안 힘이 홀딩 림의 방향으로 리텐션 림에 연속적으로 가해진다. 이 힘은 배치가 완료된 후에도 유지되어 리텐션 림이 압축되고 홀딩 림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리텐션 인서트와 홀딩 쉘 사이에 영구적 또는 단단한 연결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리텐션 인서트 및/또는 홀딩 쉘은 생체적합성 폴리머 재료, 특히 폴리에터에터케톤으로 제조된다. 이에 관하여, 폴리에터에터케톤은 입에 적어도 30일 동안의 머무름을 위해 공식 관청에 의해 승인된 폴리에터에터케톤일 수 있다. 이런 폴리에터에터케톤은 추가로 적절하게 착색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생체적합성 재료는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산 아마이드와 같은 폴리아마이드이다. 이런 종류의 연결 장치는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특히 옅은 색, 바람직하게는 잇몸 색 재료의 홀딩 쉘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연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입에서 쉽게 볼 수 없다. 또한, 이런 연결 장치는 전인적 의학(holistic medicine)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전인적 의학에서 사용될 재료에 대한 특정한 필요조건이 존재하며 특히 티타늄의 사용이 허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홀딩 쉘은 또한 티타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홈은 상기 리텐션 인서트의 상기 리텐션 림의 상기 외부 표면상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텐션 인서트의 상기 리텐션 림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된다. 이런 결합 홈은 장착 도구와 같은 적절한 도구에 의해 리텐션 인서트가 효율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예를 들어, 이것은 홀딩 쉘로부터 리텐션 인서트의 간단하고 효율적인 분리를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양태는 상기한 대로 보철 구조물을 임플란트 구조물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의 리텐션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리텐션 인서트는 말단면 및 이로부터 돌출하는 실질적으로 고리 모양인 리텐션 림을 포함하며 홀딩 쉘의 홀딩 림 및 말단면에 의해 형성된 홀딩 쉘에 있는 리테이너에 배열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은 홀딩 쉘의 홀딩 림의 내부 표면에 인접한다. 리텐션 인서트가 홀딩 쉘의 리테이너에 배열될 때, 그리고 본질적으로 방사상 힘이 홀딩 쉘의 홀딩 림 및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에 작용하지 않을 때,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은 홀딩 쉘의 홀딩 림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되고 인접하도록 리텐션 인서트가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은 홀딩 쉘의 홀딩 림의 내부 표면보다 연결 장치의 중앙축의 방향으로 더 현저하게 기울어지기 때문에 연결 장치에서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은 홀딩 쉘의 홀딩 림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되고 인접되도록 리텐션 인서트가 구성된다.
리텐션 림은 바람직하게는 말단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말단상에서 시작하여 말단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포함한다. 따라서 리텐션 림에 있는 홈은 유리하게는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폭의 적어도 약 50%, 바람직하게는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폭의 적어도 약 70% 및 특히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폭의 적어도 약 80%에 걸쳐 연장된다. 리텐션 림은 바람직하게는 3개, 4개 또는 6개의 홈을 포함한다.
리텐션 림은 유리하게는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돌출부는 홀딩 쉘의 홀딩 림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홈과 상응하도록 구성된다. 리텐션 림의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리텐션 인서트가 홀딩 쉘의 리테이너에 배열될 때, 그리고 본질적으로 방사상 힘이 홀딩 쉘의 홀딩 림 및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에 작용하지 않을 때 홀딩 쉘의 홀딩 림의 홈에 배열에 배열될 수 있어서 리텐션 인서트가 홀딩 쉘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돌출부 지지 표면을 포함하며, 돌출부 지지 표면의 한 부분은 리텐션 인서트가 홀딩 쉘의 리테이너에 배열될 때, 그리고 본질적으로 방사상 힘이 홀딩 쉘의 홀딩 림 및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에 작용하지 않을 때 홀딩 쉘의 홀딩 림의 홈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홈 지지 표면의 한 부분과 접촉하며, 돌출부 지지 표면은 홀딩 쉘을 대면하는 이의 말단을 향해 둥글다. 리텐션 림의 돌출부는 홀딩 쉘의 홀딩 림의 홈에 배열될 수 있어서 리텐션 인서트가 홀딩 쉘의 리테이너에 배열될 때, 그리고 방사상 힘이 홀딩 쉘의 홀딩 림의 방향으로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 및/또는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방향으로 홀딩 쉘의 홀딩 림에 작용할 때, 리텐션 인서트는 홀딩 쉘과 영구적으로 연결되도록 유리하게 구성된다.
리텐션 림은 바람직하게는 외부 표면과 반대쪽의 내부 표면을 포함하며, 내부 표면은 리텐션 인서트의 말단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말단을 향해 둥글다. 바람직하게는, 리텐션 인서트는 생체적합성 폴리머 재료, 특히 폴리에터에터케톤으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홈은 상기 리텐션 인서트의 상기 리텐션 림의 상기 외부 표면상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텐션 인서트의 상기 리텐션 림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양태는 상기한 대로 연결 장치에 의해 보철 구조물과 임플란트 구조물을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연결 장치의 홀딩 쉘은 보철 구조물에 단단히 장착되며 임플란트 구조물은 스냅-결합 연결을 위해 구성된 헤드를 포함한다. 연결 장치에 대해 논의한 대로, 이와 관련하여 "임플란트 구조물"이란 용어는 또한 씌운 치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리텐션 인서트가 홀딩 쉘에 배열될 때까지 연결 장치의 리텐션 인서트를 연결 장치의 홀딩 쉘 속에 축 방향으로 삽입하는 단계; 임플란트 구조물의 헤드가 연결 장치의 리텐션 인서트와 접촉하도록 임플란트 구조물에 보철 구조물을 배열하는 단계; 및 리텐션 인서트가 임플란트 구조물의 헤드 상에 축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임플란트 구조물 상에 보철 구조물을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방사상 힘이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에 작용하여 리텐션 림은 홀딩 쉘의 홀딩 림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한다. 이런 방법에 의해, 보철 구조물은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임플란트 구조물 상에 비교적 쉽고, 편안하고 그리고 확실하게 놓이거나 닫힐 수 있다. 동시에, 리텐션 인서트는 비교적 적게 압박을 받아 비교적 쉽게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다른 양태는 상기한 대로 연결 장치의 홀딩 쉘로부터 리텐션 인서트를 분리하기 위한 장착 도구에 관한 것이다. 장착 도구는 리텐션 인서트가 홀딩 쉘의 리테이너에 배열될 때,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 및 홀딩 쉘의 홀딩 림의 내부 표면 사이에 배열될 수 있는 슬리브-모양인 분리 헤드를 포함한다. 이런 장착 도구는 리텐션 인서트를 손상시키지 않고 홀딩 쉘로부터 리텐션 인서트의 단순하고 효율적인 분리를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분리 헤드의 내부 표면은 원뿔이어서 장착 도구의 분리 헤드가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의 외부 표면 및 홀딩 쉘의 홀딩 림의 내부 표면 사이에 배열될 때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이 연결 장치의 중앙축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런 장착 도구에 의해, 리텐션 림은 이런 탄성 방식으로 내부로 또는 중앙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리텐션 인서트는 고정 쉘에 더 이상 고정되지 않고 따라서 어려움 없이 리텐션 쉘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특히, 리텐션 인서트의 돌출부는 본질적으로 홀딩 쉘의 홈 밖으로 완전히 이동할 수 있어서 리텐션 인서트는 홀딩 쉘과 더 이상 연결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장착 도구의 분리 헤드의 먼 말단은 끝이 가늘어지는 모양을 가진다. 분리 헤드의 이런 끝이 가늘어지는 모양은 분리 헤드가 리텐션 림과 홀딩 림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고 쉽게 삽입되게 한다. 상기 분리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텐션 인서트의 상응하는 결합 홈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한다. 이런 결합부는 리텐션 인서트와 장착 도구 사이에 고정력을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여 리텐션 인서트가 홀딩 쉘로부터 편리하게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착 도구는 상기 리텐션 인서트의 상기 리텐션 림 및 상기 리텐션 인서트의 말단면에 의해 형성된 리테이너에 배열가능한 삽입부를 가진 장착 헤드를 포함하여, 상기 리텐션 인서트는 상기 장착 헤드에 고정된다. 이런 장착 도구는 특히 적절한 장착과 동시에 특히 적절한 분리를 허용한다. 특히, 삽입부는 리텐션 인서트의 리테이너와 상응하는 모양을 가질 수 있어서 리텐션 인서트는 장착 도구에 의해 본질적으로 형태에 맞는 방식(form-fit manner)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 헤드의 상기 삽입부의 방사상 외부 표면은 볼록하게 휜다. 바람직하게는, 장착 도구는 신장된 기본 형태를 가지며 상기 장착 헤드는 이의 세로 말단의 하나에 배열되며 상기 분리 헤드는 이의 세로 말단의 다른 하나에 배열된다. 장착 도구의 이런 배열이 장착 도구를 적절한 콤팩트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 본 발명에 따른 리텐션 인서트,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도구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태양들을 기초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의 제 1 실시태양의 본 발명에 따른 리텐션 인서트의 제 1 실시태양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리텐션 인서트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리텐션 인서트의 라인 A-A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연결 장치의 제 1 실시태양의 홀딩 쉘의 제 1 실시태양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연결 장치의 제 1 실시태양의 저면도를 도시하며, 도 1의 리텐션 인서트는 도 4의 홀딩 쉘에 배열된다.
도 6은 도 5의 연결 장치의 라인 A-A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연결 장치의 세부 B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의 제 2 실시태양의 발명에 따른 리텐션 인서트의 제 2 실시태양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의 제 3 실시태양의 발명에 따른 리텐션 인서트의 제 3 실시태양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도구의 제 1 실시태양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홀딩 쉘의 제 2 실시태양 및 리텐션 인서트의 제 4 실시태양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의 제 2 실시태양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의 연결 장치의 라인 A-A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도구의 제 2 실시태양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장착 도구를 결합하기 전, 도 11의 연결 장치의 리텐션 인서트의 장착 동안 도 13의 장착 도구의 일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장착 도구를 결합한 후, 도 11의 연결 장치의 리텐션 인서트의 장착 동안 도 13의 장착 도구의 일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장착 도구를 도 11의 연결 장치의 홀딩 쉘에 삽입하기 전, 도 11의 연결 장치의 리텐션 인서트의 장착 동안 도 13의 장착 도구의 일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장착 도구를 도 11의 연결 장치의 홀딩 쉘에 삽입한 후, 도 11의 연결 장치의 리텐션 인서트의 장착 동안 도 13의 장착 도구의 일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1의 연결 장치의 단면으로 도시된 홀딩 쉘에 도 11의 연결 장치의 리텐션 인서트를 장착 한 후 도 13의 장착 도구의 일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장착 도구를 결합하기 전 도 11의 연결 장치의 단면으로 도시된 홀딩 쉘로부터 도 11의 연결 장치의 리텐션 인서트의 분리 동안 도 13의 장착 도구의 다른 일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장착 도구를 결합한 후 도 11의 연결 장치의 단면으로 도시된 홀딩 쉘로부터 도 11의 연결 장치의 리텐션 인서트의 분리 동안 도 13의 장착 도구의 다른 일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도 11의 연결 장치의 단면으로 도시된 홀딩 쉘로부터 도 11의 연결 장치의 리텐션 인서트의 분리 동안 도 13의 장착 도구의 다른 일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다음 설명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실용적인 이유로 사용되며 제한적인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오른쪽", "왼쪽", "하부" 및 "상부"라는 용어는 참조하는 도면에서 방향을 의미한다. "내부로" 및 "외부로"라는 용어는 연결 장치 및 이의 명명된 부품의 기하학적 중심을 향하거나 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용어는 분명하게 위에 언급한 용어, 이의 변형 및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텐션 인서트(1)의 제 1 실시태양을 도시한다. 실질적으로 컵 모양인 리텐션 인서트(1)는 실질적으로 원판 모양인 밀폐된 말단면(12) 및 말단면 주변에서 비스듬히 돌출하는 실질적으로 고리 모양인 리텐션 림(11)을 포함한다. 리텐션 림(11)은 외부 표면(114), 둘레 방향으로 서로 불균일하게 이격된 3개의 홈(111)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박막 부분(112)을 포함한다. 홈(111)은 말단면(12)으로부터 멀어지는 리텐션 림(11)의 말단으로부터 시작되어 리텐션 림(11)의 80% 이상으로 말단면(12)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박막 부분(112)은 외부 표면(114)을 마주보는 리텐션 림(11)의 내부 표면을 그리는 내부 표면을 포함한다. 박막 부분(112)의 내부 표면은 리텐션 인서트(1)의 개방 말단을 향해, 즉, 말단면(12)으로부터 멀어지는 리텐션 인서트(1)의 말단을 향해 외부로 만곡되며 따라서 상응하게 만곡된 부분(113)을 포함한다.
전체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계단(14)은 말단면(12)의 주변 상부 림에 형성된다. 대략 리텐션 림(11)의 중심에 리텐션 림(11)의 외부 표면(114)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리텐션 림(11)의 박막 부분(112)의 전체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막대 모양 돌출부(13)가 제공된다. 돌출부(13)는 평면 방사상 외부면, 이에 대해 직각에 있으며 말단면(12)을 대면하는 평면 상부면 및 이에 대해 직각에 있으며 말단면(12)으로부터 멀어져서 돌출부 지지 표면(131)을 그리는 평면 바닥면을 포함한다. 리텐션 인서트(1)는 폴리에터에터케톤으로 전적으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다른 생체적합성 폴리머 또는 비-폴리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전체 추가 묘사를 위해서, 다음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 도면이 도면의 명확화를 위해 참조 번호를 포함하고 이런 참조 번호가 묘사의 직접 상응하는 내용에서 언급되지 않은 경우, 도면의 이전 묘사에서 이의 설명을 참조한다. 또한, 참조 번호가 도면과 직접 관련한 묘사의 내용에서 언급되고 이런 참조 번호가 상응하는 도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이전 도면을 참조한다.
도 2는 바닥으로부터 또는 개방면으로부터의 리텐션 인서트(1)를 도시한다. 돌출부(13)는 방사상으로 바깥으로 리텐션 인서트(1)의 나머지로부터 돌출되어, 도 2를 보면 돌출부의 돌출부 지지 표면(131)이 완전히 보이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3개의 홈(111)이 서로에 대해 약 120°의 각도로 둘레 맞은편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도 1과 조합해서, 리텐션 림(11)의 박막 부분(112)은 실질적으로 원판 모양의 말단면(12)으로부터 시작한다. 이의 내부 표면 각각은 만곡부의 양의 반경으로 내부로 굽으며 만곡부의 음의 반경으로 외부로 굽는 부분(113)으로 변환하는 상부 부분을 가진다.
도 3은 리텐션 인서트(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계단(14)은 서로에 대해 직각으로 배열되는 두 표면을 포함하며, 이런 표면들의 하나는 외부로 향하고 다른 하나는 상부로 향한다. 리텐션 림(11)의 외부 표면(114)은 말단면(12)에 대해 각을 이루어서 리텐션 인서트(1)의 중앙축(15)의 방향에서 안으로 기울어진다. 외부 표면(114)과 말단면(12)은 82°내지 85°또는 83°내지 84°, 바람직하게는 약 83.3°의 예각을 둘러싼다.
도 4는 실질적으로 원판 모양인 밀폐 말단면(22) 및 둘레에서 각을 이루는 방식으로 밀폐 말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실질적으로 고리 모양인 홀딩 림(21)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컵 모양인 홀딩 쉘(2)의 실시태양을 도시한다. 홀딩 림(21)은 내부 표면(212) 및 외부로 부풀어 오른 외부면에 형성된 3개 v자형 벤 자리(211)를 포함하며, 상기 v자형 벤 자리는 다른 높이로 배열되며 홀딩 림(21)의 전체 둘레를 따라 연장된다. 홀딩 림(21)의 내부 표면(212)은 말단면(22)에 대해 직각에 있으며, 이것은 홀딩 쉘(2)의 바닥 개방 말단을 향해 외부로 기울어진 부분(213)으로 변한다. 말단면(22)과 홀딩 림(21) 사이의 변화에 중앙축(25)을 대면하는 평면 내부면 및 이에 대해 직각이며 홀딩 쉘(2)의 바닥 개방 말단을 대면하는 평면 바닥면을 가진 계단(24)이 제공된다. 홀딩 림(21)의 내부 표면(212)으로부터, 홀딩 림(21)에 홈(23)이 형성되며, 상기 홈은 내부 표면, 이에 대해 직각에 있으며 말단면(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바닥 표면 및 이에 대해 직각에 있으며 말단면(22)을 대면하는 홈 지지 표면(231)을 포함한다. 홀딩 쉘(2)은 폴리에터에터케톤으로 전적으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다른 생체적합성 폴리머 또는 비-폴리머 재료, 예를 들어, 티타늄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3)의 제 1 실시태양을 도시하며, 리텐션 인서트(1)와 홀딩 쉘(2)을 포함한다. 리텐션 인서트(1)는 리텐션 인서트(1)의 계단(14)이 홀딩 쉘(2)의 계단(24)과 접촉할 때까지 이의 말단면(12)으로 시작하여, 홀딩 쉘(2)의 개방면을 통해 홀딩 쉘(2)까지 삽입된다. 이런 삽입 동안, 홀딩 림(21)의 내부 표면(212)의 기울어진 부분(213)이 홀딩 쉘(2)에 대해 리텐션 인서트(1)를 중심에 오도록 맞추어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리텐션 인서트(1)의 중앙축(15) 및 홀딩 쉘(2)의 중앙축(25)은 같은 위치에 놓이며 함께 연결 장치(3)의 중앙축을 형성한다.
홀딩 쉘(2)의 홀딩 림(21)의 내부 표면(212)을 홀딩 쉘(2)의 말단면(22)에 대해 직각으로 기울어진 방식으로 형성하고 리텐션 인서트(1)의 리텐션 림(11)의 외부 표면(112)을 중앙축(15,25)의 방향으로 예각으로 기울어진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바닥을 향해 또는 연결 장치(1)의 개방면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공간이 홀딩 림(21)의 내부 표면(212) 및 리텐션 림(11)의 외부 표면(112) 사이에 형성된다. 이 공간이 리텐션 인서트(1)의 돌출부(13)가 홀딩 쉘(2)의 홈(2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이게 한다. 따라서, 리텐션 인서트(1)는 홀딩 쉘(2)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며 연결 장치(1)는 유닛(unit)을 형성한다.
도 7은 연결 장치(3)의 세부내용을 도시하며, 특히 홀딩 쉘(2)에서 홈(23) 및 리텐션 인서트의 돌출부(13)의 배열이 홀딩 쉘(2)의 홀딩 림(21) 및 리텐션 인서트(1)의 리텐션 림(11)에 대해 본질적으로 방사상 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상세하게 도시된다. 홈(23)의 홈 지지 표면(231)은 중앙축(15,25)의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휜다. 이런 만곡부가 부드럽고 비교적 적은 힘이 요구되는 상태로 홈(23)으로부터 돌출부(13)가 제거되게 한다. 따라서, 리텐션 인서트(1)는 홀딩 쉘 (2)로부터 부드럽고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도 7은 또한 홈(23)이 돌출부(13)보다 높은 것을 도시한다. 이런 모양 때문에, 리텐션 림(11)의 외부로의 회전 운동이 홈(23)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데 이는 이런 회전 운동 동안 돌출부(13)가 외부로뿐만 아니라 약간 위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연결 장치(3)를 사용함으로써, 홀딩 쉘(2)이 보철 구조물에 단단히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홀딩 쉘은 합성 보철 재료로 주조될 수 있으며, 홀딩 림(21)의 v 자형 벤 자리(211)는 홀딩 쉘(2)과 보철 구조물 사이에 확실하게 단단한 연결에 기여한다. 또한, 스냅-결합(snap-engagement) 연결을 위해 설계된 헤드를 구비한 임플란트 구조물이 의도한 대로 턱뼈에 합체된다. 보철 구조물을 임플란트 구조물과 연결하기 전에, 리텐션 인서트(1)는 리텐션 인서트(1)가 홀딩 쉘(2)에 배열되거나 고정될 때까지 홀딩 쉘(2) 속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리텐션 인서트(1)는 계단(14) 및 홀딩 쉘의 계단(24)과 홈 지지 표면(231) 사이의 돌출부 지지 표면(131)에 의해 꽉 죄어져 리텐션 인서트(1)가 홀딩 쉘(2)과 보철 구조물에 고정된다.
그런 후에 보철 구조물이 임플란트 구조물에 배열되어 임플란트 구조물의 헤드는 연결 장치(3)의 리텐션 인서트(1)와 접촉한다. 그런 후에, 보철 구조물이 임플란트 구조물상에 압축되어 리텐션 인서트(1)가 임플란트 구조물의 헤드 상에 축 방향으로 압축된다. 연결 장치(3)는 리텐션 림(11)의 외부로 굽은 부분(113)에 의해 중심에 위치된다. 또한, 이런 외부로 굽은 부분(113)을 따라 증가하는 방사상 힘이 리텐션 림(11)에 작용하여 리텐션 림(11)이 홀딩 림(21)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특히, 리텐션 림(11)의 외부 표면(114) 및 리텐션 인서트(1)의 말단면(12) 사이의 예각은 리텐션 림(11)의 박막 부분(112)을 탄성력 있게 외부로 굽힘으로써 둔각이 된다. 외부로 이동하는 리텐션 림(11)에 의해, 돌출부(13)가 이런 홈(23)에 배열되어 리텐션 인서트(1)는 홀딩 쉘(2)과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보철 구조물이 임플란트 구조물상에 놓일 때, 임플란트 구조물의 헤드는 연결 장치(3)에 탁 잠긴다. 헤드는 리텐션 인서트(1)의 리텐션 림(11)의 내부 표면(112)의 부분에 둘러싸이며 이 부분은 만곡부의 양의 반경으로 내부로 휘며, 헤드는 중앙축의 방향으로 작용하며 리텐션 림(11)의 이동에 의해 유발되는 리텐션 림(11)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헤드는 이런 탄성력이 크면 클수록 더 현저하게 고정된다. 이런 탄성력은 리텐션 인서트(1)가 제조되는 재료 및 리텐션 림(11)의 홈(111)의 수와 크기에 의존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텐션 인서트(19)의 제 2 실시태양을 도시하며, 이 리텐션 인서트는 4개 홈(1119)을 가진 리텐션 림(119)을 포함하는 사실을 제외하고, 상기한 리텐션 인서트(1)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설계된다. 특히, 리텐션 인서트(19)는 말단면(129)뿐만 아니라 외부 표면(1149)을 가진 리텐션 림(119)을 포함하며, 둘레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균일하게 이격된 4개 홈(1119)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배열된 박막 부분(1129)을 포함한다. 홈(1119)은 서로에 대해 약 90°각을 가진다. 이들은 말단면(129)으로부터 멀어지는 리텐션 림(119)의 말단으로부터 시작하여 리텐션 림(119)의 80% 이상으로 말단면(129)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박막 부분(1129)의 내부 표면은 굽은 부분(1139)을 가진다. 리텐션 인서트(19)는 계단(149) 및 돌출부 지지 표면(1319)을 가진 돌출부(139)를 더 포함한다. 리텐션 인서트(19)는 폴리에터에터케톤으로 전적으로 이루어진다. 리텐션 인서트(19)는 상기한 리텐션 인서트(1)보다 하나 많은 홈(1119)을 갖기 때문에, 따라서 더 부드럽다. 이런 다른 단단함을 나타내기 위해, 리텐션 인서트(19)는 리텐션 인서트(1)의 색과 다른 색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텐션 인서트(18)의 제 3 실시태양을 도시하며, 이 리텐션 인서트는 6개 홈(1118)을 가진 리텐션 림(118)을 포함하는 사실을 제외하고, 상기한 리텐션 인서트(1 및 19)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설계된다. 특히, 리텐션 인서트(18)는 말단면(128)뿐만 아니라 외부 표면(1148)을 가진 리텐션 림(118)을 포함하며, 둘레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균일하게 이격된 6개 홈(1118)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배열된 박막 부분(1128)을 포함한다. 홈(1118)은 서로에 대해 약 60°각을 가진다. 이들은 말단면(128)으로부터 멀어지는 리텐션 림(118)의 말단으로부터 시작하여 리텐션 림(118)의 80% 이상으로 말단면(128)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박막 부분(1128)의 내부 표면은 굽은 부분(1138)을 가진다. 리텐션 인서트(18)는 계단(148) 및 돌출부 지지 표면(1318)을 가진 돌출부(138)를 더 포함한다. 리텐션 인서트(18)는 폴리에터에터케톤으로 전적으로 이루어진다. 리텐션 인서트(18)는 상기한 리텐션 인서트(1 및 19)보다 많은 홈(1118)을 갖기 때문에, 따라서 더 부드럽다. 이런 다른 단단함을 나타내기 위해, 리텐션 인서트(18)는 상기한 리텐션 인서트(1 및 19)의 색과 다른 색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도구(5)의 제 1 실시태양을 도시하며, 세로축(55)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이다. 장착 도구(5)는 자루 모양인 원통 제 1 부분(53) 및 자루 모양인 원통 제 2 부분(54)을 포함하며, 이들은 그립(5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립(51)으로부터 멀어지는 말단에서, 제 2 부(54)는 슬리브 모양인 헤드(52)로 변한다. 헤드(52)는 내부면(521)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을 포함한다. 내부면(521)은 원뿔이어서 빈 공간이 제 2 부분(54)의 방향으로 감소한다. 제 2 부분(54)으로부터 멀어지는 헤드(52)의 먼 말단(522)은 끝이 가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의 홀딩 쉘로부터 리텐션 인서트를 제거하기 위해서, 헤드(52)의 먼 말단(522)이 리텐션 인서트의 리텐션 림과 홀딩 쉘의 홀딩 림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헤드(52)의 내부면(521)의 원뿔 모양 때문에, 리텐션 림이 더욱더 내부로 이동하여 리텐션 인서트는 홀딩 쉘에 점점 약하게 고정된다. 헤드(52)가 분리를 위한 적절한 방식으로 연결 장치에 삽입될 때, 리텐션 인서트는 홀딩 쉘로부터 비교적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홀딩 쉘(27)의 제 2 실시태양 및 리텐션 인서트(17)의 제 4 실시태양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37)의 제 2 실시태양을 도시한다. 실질적으로 컵 모양인 리텐션 인서트(17)는 실질적으로 원판 모양인 밀폐 말단면(127) 및 이의 둘레에서 각을 가지고 돌출되는 실질적으로 고리 모양인 리텐션 림(17)을 포함한다. 리텐션 림(117)은 외부 표면(1147), 둘레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균일하게 이격된 3개 홈(1117) 및 그 사이에 배열된 박막 부분(1127)을 포함한다. 홈(1117)은 말단면(127)으로부터 멀어지는 리텐션 림(117)의 말단으로부터 시작하여 리텐션 림(117)의 80% 이상으로 말단면(127)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박막 부분(1127)은 외부 표면(1147)에 반대인 리텐션 림(117)의 내부 표면을 그리는 내부 표면을 포함한다. 박막 부분(1127)의 내부 표면은 리텐션 인서트(17)의 개방 말단을 향해, 즉 말단면(127)으로부터 멀어지는 리텐션 인서트(17)의 말단을 향해 외부로 만곡되며 따라서 상응하는 굽은 부분(1137)을 포함한다.
계단(147)이 전체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말단면(127)의 주변 상부 림에 형성된다. 대략 리텐션 림(117)의 중앙에 리텐션 림(117)의 외부 표면(1147)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고 박막 부분(1127)의 전체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막대 모양인 돌출부(137)가 제공된다. 돌출부(137)는 평면 방사상 외부면, 이에 대해 직각에 있으며 말단면(127)을 대면하는 평면 상부면 및 이에 대해 직각에 있으며 말단면(127)으로부터 멀어져서 돌출부 지지 표면(1317)을 그리는 평면 바닥면을 포함한다. 돌출부(137) 아래에 리텐션 림(117)의 외부 표면(1147)상에 결합 홈(1157)이 배열된다. 리텐션 인서트(17)는 폴리에터에터케톤으로 전적으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다른 생체적합성 폴리머 또는 비-폴리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컵 모양인 홀딩 쉘(27)은 실질적으로 원판 모양인 말단면(227) 및 둘레에서 각을 이루는 방식으로 밀폐 말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실질적으로 고리 모양인 홀딩 림(217)을 포함한다. 홀딩 림(217)은 내부 표면(2127) 및 다른 높이로 배열된 외부면에 형성되고 고정 림(217)의 전체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2개 v자형 벤 자리(2117)를 포함한다. 홀딩 림(217)의 내부 표면(2127)은 말단면(227)에 대해 직각에 있으며, 이것은 홀딩 쉘(27)의 바닥 개방 말단을 향해 외부로 기울어진 부분(2137)으로 변한다. 말단면(227)과 홀딩 림(217) 사이의 변화에 중앙축(257)을 대면하는 평면 내부면 및 이에 대해 직각이며 홀딩 쉘(27)의 바닥 개방 말단을 대면하는 평면 바닥면을 가진 계단(247)이 제공된다. 홀딩 림(217)의 내부 표면(2127)으로부터, 홀딩 림(217)에 홈(237)이 형성되며, 상기 홈은 내부 표면, 이에 대해 직각에 있으며 말단면(227)으로부터 멀어지는 바닥 표면 및 이에 대해 직각에 있으며 말단면(227)을 대면하는 홈 지지 표면(2317)을 포함한다. 홀딩 쉘(27)은 폴리에터에터케톤으로 전적으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다른 생체적합성 폴리머 또는 비-폴리머 재료, 예를 들어, 티타늄이 사용될 수 있다.
리텐션 인서트(17)는 리텐션 인서트(17)의 계단(147)이 홀딩 쉘(27)의 계단(247)과 접촉할 때까지 이의 말단면(127)으로 시작하여, 홀딩 쉘(27)의 개방면을 통해 홀딩 쉘(27)까지 삽입된다. 이런 삽입 동안, 홀딩 림(217)의 내부 표면(2127)의 기울어진 부분(2137)이 홀딩 쉘(27)에 대해 리텐션 인서트(17)를 중심에 오도록 맞추어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것이 홀딩 림(217)과 리텐션 림(117) 사이에 적절한 수단을 삽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리텐션 인서트(17)의 중앙축(157) 및 홀딩 쉘(27)의 중앙축(257)은 같은 위치에 놓이며 함께 연결 장치(37)의 중앙축을 형성한다. 홀딩 쉘(27)의 홀딩 림(217)의 내부 표면(2127)을 홀딩 쉘(27)의 말단면(227)에 대해 직각으로 기울어진 방식으로 형성하고 리텐션 인서트(17)의 리텐션 림(117)의 외부 표면(1127)을 중앙축(157,257)의 방향으로 예각으로 기울어진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바닥을 향해 또는 연결 장치(17)의 개방면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공간이 홀딩 림(217)의 내부 표면(2127) 및 리텐션 림(117)의 외부 표면(1127) 사이에 형성된다. 이 공간이 리텐션 인서트(17)의 돌출부(137)가 홀딩 쉘(27)의 홈(237)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이게 한다. 따라서, 리텐션 인서트(17)는 홀딩 쉘(27)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며 연결 장치(17)는 유닛(unit)을 형성한다. 또한, 돌출부(137) 아래 리텐션 인서트(17)의 리텐션 림(117)의 외부 표면(1127)이 상기 돌출부(137) 위에 예각 이상으로 배열되며 이것이 홀딩 림(217)과 리텐션 림(117) 사잉에 적절한 수단의 더욱 향상된 편리한 삽입을 허용한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리텐션 인서트(17)를 장착하고 분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도구(59)의 제 2 실시태양을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장착 도구(5)가 세로축(559) 주위에 실질적으로 회전대칭인 것에 따라 장착 도구(59)는 이의 한 세로 말단에서 장착 헤드(569)로 변하며 이의 다른 세로 말단에서 그립(519)으로 변하는 자루 모양의 원통 제 1 부분(539)을 포함한다. 장착 헤드(569)는 원통 중간 부분(5629)으로 변하는 기부의 원뿔 부분(5619)을 가진다. 중간 부분(5629)에 인접하여, 장착 헤드(569)는 중간 부분(5629)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진 원통의 추가 부분(5639)을 포함하며 중간 부분(5629) 및 추가 부분(5639)은 함께 경계선 멈추개를 형성한다. 장착 헤드(569)의 먼 말단을 향해, 추가 부분(5639)은 볼록하게 굽은 방사상 외부 표면을 가진 본질적으로 원통인 삽입 부분(5649)으로 변한다.
장착 도구(59)는 이의 한 세로 말단에서 분리 헤드(529)로 변하며 이의 다른 세로 말단에서 그립(519)으로 변하는 자루 모양의 원통 제 2 부분(549)을 포함한다. 분리 헤드(529)는 먼 방향으로 개방되는 속이 빈 내부를 가진다. 분리 헤드(529)의 속이 빈 내부는 외부로 원뿔모양으로 넓어지는 제 1 부분(5219), 원통형 제 2 중간 부분(5229)뿐만 아니라 외부로 및 개구부의 방향으로 좁아지는 결합 부분(5239)에 의해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된 대로, 장착 도구(59)는 리텐션 인서트(17)의 장착을 위해 리텐션 인서트(17)의 개방면을 대면하고 개방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이의 장착 헤드(569)와 배열된다. 그 후, 도 15에 도시된 대로, 삽입 부분(5649) 및 적어도 대부분 장착 헤드(569)의 다른 부분(5639)이 리텐션 인서트(17)의 고정 장치 속으로 압축된다. 이에 의해, 리텐션 인서트(17)의 리텐션 림(117)의 홈(1117)이 장착 헤드(569)의 삽입 부분(5649)의 탄성 수용을 허용한다. 리텐션 인서트(17)의 오목형 굽은 박막 부분(1127)에 적합하게 되는 삽입 부분(5649)의 방사상 외부 표면을 볼록하게 굽힘으로써, 리텐션 인서트(17)는 본질적으로 리텐션 인서트(17)의 리텐션 림(117)에 작용하는 방사상 힘이 없고 이를 외부로 이동시키거나 변형시키지 않고 장착 도구(59)의 장착 헤드(569)에 고정된다.
다음에서, 리텐션 인서트(17)는 장착 도구(59) 근처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거나 이와 함께 적절하게 위치될 수 있다. 특히, 도 16에 도시된 대로, 리텐션 인서트(17)는 연결 장치(37)의 홀딩 쉘(27)의 개방면에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도 17에 도시된 대로, 리텐션 인서트(17)는 장착 도구(59)에 의해 홀딩 쉘(27) 속으로 압축된다. 그 안에서, 리텐션 인서트(17)의 돌출부(137)는 홀딩 쉘(27)의 홈(237) 내부에 부분적으로 놓인다. 이 위치에서 리텐션 인서트(17)는 한편으론 장착 도구(59)의 장착 헤드(569)의 삽입 부분(5649)과 상호작용하는 리텐션 인서트(17)의 박막 부분(1127) 및 다른 한편으론 홀딩 쉘(27)의 홈(237)에 부분적으로 놓이는 리텐션 인서트(17)의 돌출부(137)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의해, 홀딩 쉘(27)과 리텐션 인서트(17) 사이의 고정력은 장착 도구(59)와 리텐션 인서트(17) 사이의 고정력보다 크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대로, 장착 도구(59)는 리텐션 인서트(17)로부터 편리하게 빠져나올 수 있고 리텐션 인서트(17)는 홀딩 쉘(27)에 남아있는다. 이 위치에서, 리텐션 인서트(17)는 홀딩 쉘(27)에 장착된다.
도 19에 도시된 대로, 리텐션 인서트(17)의 분리를 위해서, 장착 도구(59)는 리텐션 인서트(17)의 개방면을 대면하고 이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이의 분리 헤드(529)와 배열된다. 그 후에, 도 20에 도시된 대로, 결합 부분(5239)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분리 헤드(529)의 중간 부분(5229)은 홀딩 쉘(27)의 홀딩 림(217) 및 리텐션 인서트(17)의 리텐션 림(117)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에 의해 결합 부분(5239)은 리텐션 림(117)의 결합 홈(1157) 속에 결합되어 리텐션 인서트가 장착 도구(59)에 고정된다. 이 위치에서 리텐션 인서트(17)는 한편으론 홀딩 쉘(27)의 홈(237)에 부분적으로 놓이는 리텐션 인서트(17)의 돌출부(137) 및 다른 한편으론 결합 홈(1157) 속에 결합되는 결합 부분(5239)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의해, 홀딩 쉘(27)과 리텐션 인서트(17) 사이의 고정력은 장착 도구(59)와 리텐션 인서트(17) 사이의 고정력보다 작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된 대로, 리텐션 인서트(17)와 함께 장착 도구(59)는 홀딩 쉘(27)로부터 편리하게 빠져나올 수 있다. 이 위치에서, 리텐션 인서트(17)는 홀딩 쉘(27)로부터 분리된다.
비록 본 발명은 도면과 상응하는 설명을 기초로 예시되고 기술되지만, 이런 예시 및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이며 설명적인 것으로 이해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전문가들은 다음 청구항들의 범위와 요점을 벗어나지 않고 변화 및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특히, 본 발명은 또한 다른 실시태양과 함께 위에서 또는 아래에서 언급되거나 도시된 특징들의 임의의 조합을 가진 실시태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비록 개별적 특징들이 다른 특징들과 연결되어 도시되며 그리고/또는 위에서 또는 아래에서 언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도면의 개별적 특징들을 포함한다. 도면에 기술된 실시태양 및 이의 설명과 개별적 특징은 본 발명의 주제로부터 배제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라는 용어 및 이의 변형은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게다가, 부정관사 및 이의 변형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항에서 언급된 여러 특징의 기능은 합동으로 실현될 수 있다. 특징 또는 특히 수치와 함께 "실질적으로", "약", "대략" 등은 정확하게 이런 특징 또는 정확하게 이런 수치를 정의한다. 청구항에서 모든 참조 부호는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Claims (21)

  1. 보철 구조물과 임플란트 구조물 또는 씌운 치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3;37)로서,
    상기 연결 장치(3;37)는 홀딩 쉘(2;27) 및 리텐션 인서트(1;17;18;19)를 포함하며,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는 말단면(12;127;128;129) 및 이로부터 돌출되는 실질적으로 고리 모양인 리텐션 림(11;117;118;119)을 포함하며,
    상기 홀딩 쉘(2;27)은 말단면(22;227) 및 이로부터 돌출되는 실질적으로 고리 모양인 홀딩 림(21;217)을 포함하며,
    상기 홀딩 림(21;217) 및 상기 홀딩 쉘(2;27)의 상기 말단면(22;227)은 리테이너를 형성하며 여기에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가 배열되어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의 외부 표면(114;1147;1148;1149)이 상기 홀딩 쉘(2;27)의 상기 홀딩 림(21;217)의 내부 표면(212;2127)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가 상기 홀딩 쉘(2;27)의 리테이너에 배열되고, 그리고 방사상 힘이 상기 홀딩 쉘(2;27)의 상기 홀딩 림(21;217) 상에 및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 상에 본질적으로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의 상기 외부 표면(114;1147;1148;1149)은 상기 홀딩 쉘(2;27)의 상기 홀딩 림(21;217)의 내부 표면(212;2127)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되고 인접하는 것인 연결 장치(3;37).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의 상기 외부 표면(114;1147;1148;1149)은 상기 홀딩 쉘(2;27)의 상기 홀딩 림(21;217)의 상기 내부 표면(212;2127)보다 상기 연결 장치(3;37)의 중앙축(15,25;157,257)의 방향으로 더 현저하게 기울어지므로,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의 상기 외부 표면(114;1147;1148;1149)은 상기 홀딩 쉘(2;27)의 상기 홀딩 림(21;217)의 상기 내부 표면(212;2127)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되고 인접하는 것인 연결 장치(3;37).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은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의 말단에서 시작하며,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말단면(12;127;128;129)으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말단면(12;127;128;129)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111;1117;1118;1119)을 포함하는 것인 연결 장치(3;37).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에 있는 상기 홈(111;1117;1118;1119)은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의 폭의 적어도 약 50%,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의 폭의 적어도 약 70% 및 특히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의 폭의 적어도 약 80%에 걸쳐 연장되는 것인 연결 장치(3;37).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은 3개, 4개, 5개 또는 6개 홈(111;1117;1118;1119)을 포함하는 것인 연결 장치(3;37).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은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의 상기 외부 표면(114;1147;1148;1149)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137;138;139)를 포함하며, 상기 홀딩 쉘(2;27)의 상기 홀딩 림(21;217)은 상기 홀딩 쉘(2;27)의 상기 홀딩 림(21;217)의 상기 내부 표면(212;2127)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상응하는 홈(23;237)을 포함하는 것인 연결 장치(3;37).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가 상기 홀딩 쉘(2;27)의 리테이너에 배열될 때, 그리고 방사상 힘이 상기 홀딩 쉘(2;27)의 상기 홀딩 림(21;217) 상에, 및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 상에 본질적으로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의 상기 돌출부(13;137;138;139)는 상기 홀딩 쉘(2;27)의 상기 홀딩 림(21;217)의 상기 홈(23;237)에 배열될 수 있어서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가 상기 홀딩 쉘(2;27)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인 연결 장치(3;37).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의 상기 돌출부(13;137;138;139)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돌출부 지지 표면(131;1317;1318;1319)을 포함하며, 상기 홀딩 쉘(2;27)의 상기 홀딩 림(21;217)의 상기 홈(23;237)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홈 지지 표면(231;2317)을 포함하며,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가 상기 홀딩 쉘(2;27)의 리테이너에 배열될 때, 그리고 방사상 힘이 상기 홀딩 쉘(2;27)의 홀딩 림(21;217) 및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에 본질적으로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돌출부 지지 표면(131;1317;1318;1319)의 한 부분은 상기 홈 지지 표면(231;2317)의 한 부분과 접촉하며, 상기 홈 지지 표면(231;2317)은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를 대면하는 이의 말단 쪽으로 둥글며 및/또는 상기 돌출부 지지 표면(131;1317;1318;1319)은 상기 홀딩 쉘(2;27)을 대면하는 이의 말단을 향해 둥근 것인 연결 장치(3;37).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가 상기 홀딩 쉘(2;27)의 리테이너에 배열될 때, 그리고 방사상 힘이 상기 홀딩 쉘(2;27)의 상기 홀딩 림(21;217)의 방향으로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 및/또는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의 방향으로 상기 홀딩 쉘(2;27)의 상기 홀딩 림(21;217)에 작용할 때,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의 상기 돌출부(13;137;138;139)가 상기 홀딩 쉘(2;27)의 상기 홀딩 림(21;217))의 상기 홈(23;237)에 배열될 수 있어서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는 상기 홀딩 쉘(2;27)과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연결 장치(3;37).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은 상기 외부 표면(114;1147;1148;1149)과 반대쪽의 내부 표면(112,113;1127,1137;1128,1138;1129,1139)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표면(112,113;1127,1137;1128,1138;1129,1139)은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말단면(12;127;128;129)으로부터 멀어지는 말단을 향해 둥근 것인 연결 장치(3;37).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 및/또는 상기 홀딩 쉘(2;27)은 생체적합성 폴리머 재료, 특히 폴리에터에터케톤으로 제조되는 것인 연결 장치(3;37).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홈(1157)은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의 상기 외부 표면(114;1147;1148;1149) 상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되는 것인 연결 장치(3;37).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철 구조물과 임플란트 구조물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3;37)의 리텐션 인서트(1;17;18;19).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장치(3;37)에 의해 보철 구조물과 임플란트 구조물을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연결 장치(3;37)의 상기 홀딩 쉘(2;27)은 보철 구조물에 단단히 장착되며 임플란트 구조물은 스냅-결합 연결에 적합한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가 상기 홀딩 쉘(2;27)에 배열될 때까지 상연결 장치(3;37)의 상기 홀딩 쉘(2;27) 속에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임플란트 구조물은 보철 구조물에 배열되어 임플란트 구조물의 헤드가 상기 연결 장치(3;37)의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와 접촉하고,
    보철 구조물은 임플란트 구조물 상에 압축되어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가 임플란트 구조물의 헤드 상에 축 방향으로 압축되며, 방사상 힘이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에 작용하여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은 상기 홀딩 쉘(2;27)의 상기 홀딩 림(21;217)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되는 것인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장치(3;37)의 홀딩 쉘(2;27)에 리텐션 인서트(1;17;18;19)를 장착하고 홀딩 쉘(2;27)로부터 리텐션 인서트(1;17;18;19)를 분리하기 위한 장착 도구(5;59)로서,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는 상기 홀딩 쉘(2;27)의 리테이너에 배열될 때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의 외부 표면(114;1147;1148;1149) 및 상기 홀딩 쉘(2;27)의 홀딩 림(21;217)의 내부 표면(212;2127) 사이에 배열될 수 있는 슬리브 모양인 분리 헤드(52;529)를 포함하는 것인 장착 도구(5;59).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헤드(52;529)의 내부 표면은 원뿔이어서 상기 장착 도구(5;59)의 상기 분리 헤드(52;529)가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의 외부 표면(114;1147;1148;1149) 및 상기 홀딩 쉘(2;27)의 홀딩 림(21;217)의 내부 표면(212;2127) 사이에 배열될 때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이 상기 연결 장치(3;37)의 중앙축(15,25;157,257)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인 장착 도구(5;59).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헤드(52;529)의 먼 말단은 끝이 가늘어지는 것인 장착 도구(5;59).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헤드(52;529)는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응하는 결합 홈(1157)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5239)를 포함하는 것인 장착 도구(5;59).
  19.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상기 리텐션 림(11;117;118;119) 및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의 말단면(12;127;128;129)에 의해 형성된 리테이너에 배열될 수 있는 삽입부(5649)를 갖는 장착 헤드(569)를 포함하여, 상기 리텐션 인서트(1;17;18;19)가 상기 장착 헤드(569)에 고정되는 것인 상기 장착 도구(5;59).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헤드(569)의 상기 삽입부(5649)의 방사상 외부 표면은 볼록하게 굽은 것인 장착 도구(5;59).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신장된 기본 형태를 가지며 상기 장착 헤드(569)는 이의 세로 말단의 하나에 배열되고 상기 분리 헤드(52;529)는 이의 세로 말단의 다른 하나에 배열되는 것인 장착 도구(5;59).
KR1020177017097A 2010-07-02 2010-12-28 보철 구조물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연결 장치 KR101849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68364 2010-07-02
EP10168364.7 2010-07-02
PCT/IB2010/003380 WO2011027229A2 (en) 2010-07-02 2010-12-28 Connection of a prosthesis structure with an implant structur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097A Division KR101754312B1 (ko) 2010-07-02 2010-12-28 보철 구조물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793A true KR20170076793A (ko) 2017-07-04
KR101849659B1 KR101849659B1 (ko) 2018-05-31

Family

ID=433846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097A KR101849659B1 (ko) 2010-07-02 2010-12-28 보철 구조물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연결 장치
KR1020137002097A KR101754312B1 (ko) 2010-07-02 2010-12-28 보철 구조물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연결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097A KR101754312B1 (ko) 2010-07-02 2010-12-28 보철 구조물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20003606A1 (ko)
EP (2) EP2588022B2 (ko)
JP (2) JP5679382B2 (ko)
KR (2) KR101849659B1 (ko)
CN (2) CN103118623B (ko)
BR (1) BR112012033581B8 (ko)
ES (2) ES2557292T5 (ko)
WO (1) WO201102722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07113D0 (en) * 2008-04-18 2008-05-21 Neoss Ltd Locking ring
DE102011103027A1 (de) * 2010-11-08 2012-05-10 Peter NEUMEIER Verbundkrone/Verbundbrück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2489326A3 (de) * 2011-02-18 2012-09-12 BoneCare Biomechanics d.o.o. Verbindungsanordnung zwischen einer Zahnprothese und einem Implantatpfosten
DE102011081208B4 (de) * 2011-08-18 2016-06-23 Rainer Hahn Retentionsmatrize und Dentalimplantatsystem
DE102011081214B4 (de) * 2011-08-18 2016-01-07 Rainer Hahn Retentionsmatrize, Dentalimplantatsystem und Dentalwerkzeug
US8747112B2 (en) 2011-12-30 2014-06-10 Nobel Biocare Services Ag Abutment position locator
EP2626035A1 (de) 2012-02-07 2013-08-14 Titus Fischler Vorrichtungen und Verfahren zur Verbindung einer dentalen Prothesenkonstruktion mit einem Kieferknochen
EP2636386A1 (de) 2012-03-08 2013-09-11 Titus Fischler Vorrichtungen und Verfahren zur Verbindung einer dentalen Prothesenkonstruktion mit einem Kieferknochen
EP2664297A1 (de) * 2012-05-15 2013-11-20 Cendres + Métaux SA Verbindungssatz, Patrizenteil und Matrizenteil zur lösbaren Befestigung eines Zahnersatzes
EP2666437A1 (de) 2012-05-21 2013-11-27 Bächler, Jürg Retentionseinsatz und Verbindungsvorrichtung für dentale Applikationen
EP2606848A1 (de) 2013-01-24 2013-06-26 Titus Fischler Implantatbohrungspositioniervorrichtung
CN105451950B (zh) 2013-08-15 2019-03-12 哈利伯顿能源服务公司 支撑剂的加成制造
JP5872743B2 (ja) * 2013-09-02 2016-03-01 株式会社T・U・M 義歯システムに用いる係合ピース、義歯システム用のキット、義歯床および入れ歯の作成方法
EP2862542B1 (de) * 2013-10-15 2016-05-25 ZL Microdent-Attachment GmbH & Co. KG Retentionsmatrize und Dentalimplantatsystem
DE202014002752U1 (de) 2014-03-31 2015-07-02 Si-Tec Gmbh Dental-Spezialartikel Vorrichtung zur temporären Halterung von herausnehmbarem Zahnersatz an festsitzendem Zahnersatz
US10588721B2 (en) * 2014-05-20 2020-03-17 Panthera Dental Inc. Attachment system for removable dental prosthesis and dental implant abutment
CH710130A1 (de) 2014-09-19 2016-03-31 Cendres & Métaux Sa Matrizenteil zur Bildung einer lösbaren Verbindung mit einem im Mund befestigbaren Patrizenteil.
ES2775427T3 (es) * 2014-09-19 2020-07-27 Cendres Metaux Sa Instrumento para la manipulación de una pieza dental
US20180271627A1 (en) * 2015-03-10 2018-09-27 Kainos Medentect Inc. Ball-type attachment device for overdentures, and method of producing overdentures to which ball-type attachment is applied
ES2597153B1 (es) * 2015-07-15 2018-02-27 Terrats Medical, S.L. Aditamento dental para la retención de prótesis dentales removibles sobre implantes y conjunto de aditamento y elemento de retención
DE102015121667B4 (de) 2015-12-11 2022-06-15 Bredent Gmbh & Co. Kg Kappe aus elastischem Material und Verwendung sowie Verfahren zur Befestigung dieser Kappe
US20180098828A1 (en) 2016-10-07 2018-04-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eramic dental restoration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US11730571B2 (en) * 2017-02-24 2023-08-22 Rhein 83 S.R.L. Dental technology kit
ES2722698A1 (es) * 2018-02-13 2019-08-14 Createch Medical S L Sistema de anclaje dental para la fijacion de protesis
EP3793473B8 (en) 2018-05-16 2024-01-03 Institut Straumann AG Gingiva former, arrangement and dental healing system
US11311354B2 (en) 2018-10-09 2022-04-26 Smart Denture Conversions, Llc Screw-attached pick-up dental coping system and methods
KR20200130080A (ko) * 2019-05-09 2020-11-18 주식회사 덴플렉스 덴쳐용 어태치먼트
EP4199855A1 (en) 2020-08-18 2023-06-28 Institut Straumann AG Dental connection assembly, dental replacement part kit and intermediate insert
CN113425432B (zh) * 2021-06-23 2023-05-26 浙江中医药大学 一种可促进骨结合的种植体周围炎治疗装置
US11957538B2 (en) 2021-12-23 2024-04-16 Smart Denture Conversions, Llc Screw-attached pick-up dental coping system, methods and accessories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3A (en) * 1852-06-15 Improvement in mills for crushing quartz
US3328879A (en) * 1964-04-15 1967-07-04 Bax Arthur Means for resiliently mounting artificial teeth
US3787975A (en) * 1972-09-18 1974-01-29 M Zuest Anchor for attaching dental partial or full artificial denture
US3797114A (en) * 1972-09-21 1974-03-19 L Wiland Detachable mount for a dental cap and prosthodontic procedure utilizing the same
US4362509A (en) * 1980-11-20 1982-12-07 Sulc Josef M Dental attachment structure
CH651462A5 (fr) * 1983-02-23 1985-09-30 Helmut Hader Partie femelle d'un accouplement pour la fixation en bouche d'une prothese dentaire.
US4540367A (en) * 1984-05-02 1985-09-10 Sulc Josef M Dental attachment structure
US5195891A (en) * 1990-12-06 1993-03-23 Sulc Josef M Adjustable dental implant system
SE469159B (sv) * 1991-03-27 1993-05-24 Nobelpharma Ab Cylinder avsedd att anvaendas i en temporaer, implantatstoedd tandbro/tandprotes
CH685188A5 (fr) * 1991-05-28 1995-04-28 Metaux Precieux Sa Dispositif d'accouplement pour prothèse dentaire.
US5520540A (en) 1992-06-19 1996-05-28 Rhein 83 S.N.C. Di Nardi Ezio & C. Zago, 10 Quick coupling device for dental prosthesis
US5417570A (en) * 1994-01-03 1995-05-23 Zest Anchors, Inc. Dental anchor assembly
US5556280A (en) * 1994-05-31 1996-09-17 Pelak; Mark S.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ance mounting
US5658146A (en) * 1995-04-19 1997-08-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Dental implant
SE505898C2 (sv) * 1996-01-04 1997-10-20 Nobel Biocare Ab Anordning vid åtdragning av ett skruvförband i ett benförankrat tandimplantat
FR2744905B3 (fr) 1996-02-15 1998-04-24 Claude Segura Attachement extracoronaire pour prothese dentaire
DK0867154T3 (da) 1997-03-27 2003-03-03 Cendres & Metaux Sa Indretning til aftagelig fastgørelse af tandproteser
IT1294936B1 (it) 1997-07-16 1999-04-23 Denni Rondini Dispositivo di ancoraggio per una protesi mobile
EP0894480B1 (de) 1997-07-29 2005-12-07 Cendres Et Metaux S.A. Verankerung für die Dentalprothetik
US6030219A (en) * 1998-10-13 2000-02-29 Zest Anchors, Inc. Dental attachment assembly
US6299447B1 (en) * 1998-10-13 2001-10-09 Zest Anchors, Inc. Dental attachment assembly
EP1348399A1 (en) * 1999-01-21 2003-10-01 Alessandro Cattaneo Connection for dental prostheses
ATE363241T1 (de) 1999-01-22 2007-06-15 Cendres & Metaux Sa Verankerung für dentalprothetik
US6193516B1 (en) * 1999-06-18 2001-02-27 Sulzer Calcitek Inc. Dental implant having a force distribution shell to reduce stress shielding
US6776617B2 (en) * 2002-05-21 2004-08-17 Steven Lax Dental post with countersink
US6981871B2 (en) * 2002-07-05 2006-01-03 Zest Anchors, Inc.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
EP1561434B1 (en) * 2003-09-05 2009-11-11 Aichi Steel Corporation Denture attachment, dentur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1623679B1 (en) * 2004-08-05 2009-01-07 Straumann Holding AG Dental implant system
DE102005027400A1 (de) * 2005-06-13 2006-12-14 Heraeus Kulzer Gmbh Verfahren zur Aufnahme eines medizinischen Elements an einer Handhabungsvorrichtung, Handhabungsvorrichtung für ein medizinisches Element und medizinisches Implantat
US20070141533A1 (en) * 2005-12-20 2007-06-21 Ford Christopher W Polymeric dental implant assembly
ATE526900T1 (de) 2006-06-21 2011-10-15 Cendres & Metaux Sa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r zahnprothese an einer stegpatrize
US7704076B2 (en) * 2006-12-20 2010-04-27 Zest Ip Holdings Llc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
EP1943980A1 (de) * 2007-01-12 2008-07-16 ZL Microdent-Attachment GmbH & Co. KG Schraubwerkzeug und Halteelement für ein Schraubwerkzeug
US8038442B2 (en) * 2007-04-23 2011-10-18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and dental component connection
US8033826B2 (en) * 2007-11-15 2011-10-11 Biomet 3I, Llc Two-piece dental abutment system
US9314318B2 (en) 2008-08-26 2016-04-19 Zest Ip Holdings, Llc Dental anchor apparatus and method
DE202008015854U1 (de) * 2008-12-01 2009-02-19 Alphadent N.V. Zahntechnische Kupplungsanordnung zur Herstellung einer Rastkupplung
CA2766156C (en) * 2009-06-24 2017-07-11 Zest Ip Holdings Llc O-ring insertion tool and method
US8317515B2 (en) * 2009-07-16 2012-11-27 Rodo Medical, Inc. Shape memory dental reten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02322A (zh) 2016-08-31
EP2588022B2 (en) 2023-07-26
KR101754312B1 (ko) 2017-07-06
WO2011027229A3 (en) 2011-11-10
EP2853228B1 (en) 2018-08-29
JP2013530003A (ja) 2013-07-25
EP2853228A1 (en) 2015-04-01
WO2011027229A2 (en) 2011-03-10
EP2588022B1 (en) 2015-10-07
KR101849659B1 (ko) 2018-05-31
EP2588022A2 (en) 2013-05-08
ES2557292T3 (es) 2016-01-25
US20120003606A1 (en) 2012-01-05
US8944817B2 (en) 2015-02-03
ES2699427T3 (es) 2019-02-11
CN103118623A (zh) 2013-05-22
CN105902322B (zh) 2019-06-14
ES2557292T5 (es) 2024-02-27
US20130101960A1 (en) 2013-04-25
BR112012033581B1 (pt) 2020-01-14
JP2015091360A (ja) 2015-05-14
JP5991720B2 (ja) 2016-09-14
JP5679382B2 (ja) 2015-03-04
KR20130044310A (ko) 2013-05-02
BR112012033581A2 (pt) 2016-11-29
BR112012033581B8 (pt) 2023-03-14
CN103118623B (zh)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312B1 (ko) 보철 구조물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연결 장치
US9993318B2 (en) Retention insert and connection device for dental applications
CA3008744A1 (en) Dental fitting attachable to a dental component and dental assembly comprising the dental fitting
WO2013027199A1 (en) Dental implants - replicas of customized abutment and implant analogs
KR102107991B1 (ko) 틀니체결용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조방법
US20090263763A1 (en) Denture Abutment & Retention System
KR20200020784A (ko) 치아 복원용 조립체
US8926326B2 (en) Denture retention system
US20090263762A1 (en) Denture abutment & retention system
US9414898B2 (en) Dental implants—replicas of customized abutment and implant analogs
US10687921B2 (en) Connection of a prosthesis structure with an implant structure
US20090263761A1 (en) Denture abutment and retention system
KR102226751B1 (ko)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유닛
WO2023156929A1 (ko)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CN113710193A (zh) 用于牙科植体的制模装置
EP3402437A1 (en) Dental fitting attachable to a dental component and dental assembly comprising the dental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