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621A - 다극형 퓨저블 링크에 부착되는 하우징, 퓨즈, 및 퓨즈 박스 - Google Patents

다극형 퓨저블 링크에 부착되는 하우징, 퓨즈, 및 퓨즈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621A
KR20170076621A KR1020167035813A KR20167035813A KR20170076621A KR 20170076621 A KR20170076621 A KR 20170076621A KR 1020167035813 A KR1020167035813 A KR 1020167035813A KR 20167035813 A KR20167035813 A KR 20167035813A KR 20170076621 A KR20170076621 A KR 20170076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housing
fusible link
multifocal
mis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5410B1 (ko
Inventor
마사히로 키무라
후미유키 카와세
Original Assignee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6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45Mounting means or insulating parts of the base, e.g. covers,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5Electric connections to contacts on the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4Means for preventing insertion of incorrect fu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비용을 절감하면서,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판별 및 오조립 방지를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 퓨즈, 및 퓨즈 박스를 제공한다.
퓨즈 박스(400)의 수용부(410)에 수용되는 다극형 퓨저블 링크(200)에 부착되는 하우징(300)으로서, 다극형 퓨저블 링크(200)의 종류에 따라, 제거할 수 있는 오조립 방지 돌기(330)를 구비하고,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의 위치는 다극형 퓨저블 링크(200)가 수용되어야 할 수용부(410)에 형성된,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413)의 위치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극형 퓨저블 링크에 부착되는 하우징, 퓨즈, 및 퓨즈 박스{HOUSING ATTACHED TO MULTI-POLE FUSIBLE LINK, FUSE, AND FUSE BOX}
본원 발명은, 주로 자동차용 전기 회로 등에 접속되는 다극형 퓨저블 링크에 부착되는 하우징, 다극형 퓨저블 링크에 상기 하우징을 부착한 퓨즈, 및 상기 퓨즈를 수용하는 차량 탑재용의 퓨즈 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다극형 퓨저블 링크는 자동차 등에서 배터리와 각종 전장품 사이에 과전류가 흐른 경우에 각종 전장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다극형 퓨저블 링크는 주로 배터리 전원 등이 접속되는 입력 단자부, 상기 입력 단자부로부터 입력된 전류가 흐르는 버스바(busbar)부, 상기 버스바부에 가용체부를 통하여 접속된 다수의 출력 단자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다극형 퓨저블 링크에는 버스바부와 가용체부를 덮도록 하여 하우징이 부착되어 있다. 이 하우징은 절연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버스바부나 가용체부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보호하여, 다극형 퓨저블 링크를 퓨즈 박스 등에 안전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퓨즈 박스에는 종류가 다른 다수의 다극형 퓨저블 링크가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소정의 장소에 소정의 다극형 퓨저블 링크를 제대로 조립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종류는 차단하고자 하는 과전류의 크기에 따라, 가용체부의 저항값을 변경한 것이나, 입력 단자부의 형상을 변경한 것 등,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이것들을 변경한 다극형 퓨저블 링크는 그 전체 형상이 유사하여, 사용자가 눈으로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다수의 다극형 퓨저블 링크 중에서, 특정의 다극형 퓨저블 링크를 선택하여, 퓨즈 박스의 소정의 장소에 제대로 조립하는 것이 어렵고, 잘못된 장소에 조립시켜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종류에 따른 표적을 하우징에 인자하여,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종류를 용이하게 판별 가능하게 하여, 잘못된 장소에 조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나, 또한,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종류에 따라 하우징 자체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다극형 퓨저블 링크를 잘못된 장소에 조립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하우징에 인자한 것만으로는, 사용자가 인자를 오인하여 다극형 퓨저블 링크를 잘못된 장소에 부착하는 것은 방지하지 못하고, 또한,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종류에 따라 하우징 자체의 형상을 변경하게 되면, 하우징 성형용의 몰드 등을 새로 준비해야 하게 되어, 그만큼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비용을 절감하면서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판별 및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하우징, 퓨즈, 및 퓨즈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하우징은 퓨즈 박스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다극형 퓨저블 링크에 부착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종류에 따라, 제거할 수 있는 오조립 방지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오조립 방지용 돌기의 위치는 상기 다극형 퓨저블 링크가 수용되어야 할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상기 오조립 방지용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의 위치와 대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르면,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종류에 따라 오조립 방지용 돌기를 제거함으로써,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종류를 오조립 방지용 돌기의 유무에 따라 형상적으로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조립 방지용 돌기의 위치는 다극형 퓨저블 링크가 수용되어야 할 퓨즈 박스의 오목부의 위치와 대응하고 있으므로, 잘못된 장소에 다극형 퓨저블 링크가 수용될 것 같이 되어도, 오조립 방지용 돌기가 퓨즈 박스의 수용부의 일부에 접촉하여 수용되지 않고, 물리적으로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형상이 유사한 이종(異種)의 다극형 퓨저블 링크에 공통으로 부착할 수 있는 공통 부품이며, 사후적으로, 각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종류에 따라, 오조립 방지용 돌기를 제거하여, 각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판별 및 오조립 방지가 가능하다. 이것은 종래와 같이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종류에 따라 하우징 자체의 형상을 변경하기 위해, 하우징 성형용의 몰드 등을 새로 준비하는 것에 비하면, 훨씬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하우징은 오조립 방지용 돌기를 다수 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르면, 오조립 방지용 돌기가 다수 있으므로,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종류에 따라, 제거하는 오조립 방지용 돌기를 선택할 수 있고, 그 결과, 형상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수가 증가한다. 따라서, 형상이 유사한 이종의 다극형 퓨저블 링크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에, 각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판별 및 오조립 방지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하우징은 다수의 다극형 퓨저블 링크에 부착할 수 있는 공통 부품이기 때문에, 종래와 비교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더욱 현저하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퓨즈는 다극형 퓨저블 링크와 상기 본원 발명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일부에 상기 하우징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르면, 이종의 다극형 퓨저블 링크를 구비한 각 본원 발명의 퓨즈를, 퓨즈 박스 등에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퓨즈의 판별 및 오조립 방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퓨즈 박스는 상기 본원 발명의 퓨즈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한 퓨즈 박스로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퓨즈의 하우징에 제공된 오조립 방지용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르면, 이종의 다극형 퓨저블 링크를 구비한 본원 발명의 퓨즈를 조립하는 경우에, 상기 퓨즈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하우징, 퓨즈, 및 퓨즈 박스에 의하면, 비용을 절감하면서,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판별 및 오조립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
도 1(a)은 본원 발명에 따른 퓨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은 본원 발명에 따른 퓨즈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나타내는 퓨즈의 정면도, 도 2(b)는 상기 퓨즈의 평면도이다.
도 3(a)은 본원 발명에 따른 퓨즈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b)은 도 3(a)에 나타내는 퓨즈와는 종류가 다른 퓨즈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a)는 본원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의 전체 사시도, 도 4(b)는 상기 퓨즈 박스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퓨즈의 평면도, 도 5(b) 및 도 5(c)는 도 4에 나타내는 퓨즈 박스에 퓨즈를 부착한 평면도이다.
도 6(a)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하우징 및 퓨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b)은 상기 퓨즈에 대응한 퓨즈 박스의 평면도이다.
<실시형태 1>
이하에,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의 다극형 퓨저블 링크, 퓨즈, 및 퓨즈 박스의 각 부재의 형상이나 재질 등은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퓨즈(100)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퓨즈(100)는 다극형 퓨저블 링크(200)와 하우징(300)으로 이루어진다. 이 다극형 퓨저블 링크(200)는 배터리 전원 등이 접속되는 접속 구멍(211)을 구비한 입력 단자부(210), 버스바부(220), 버스바부(220)에 접속된 다수의 가용체부(230), 가용체부(230)를 통하여 접속된 다수의 출력 단자부(240)로 이루어진다. 또한, 버스바부(220)에는 다수의 제1 관통 구멍(221)이, 각 출력 단자부(240)에는 제2 관통 구멍(241)이 형성된다.
또한, 다극형 퓨저블 링크(200)는 두께가 균일한 구리 등의 도전성 금속판을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뚫어, 입력 단자부(210), 버스바부(220), 가용체부(230), 및 출력 단자부(240)를 일체적으로 성형한다. 또한, 입력 단자부(210), 버스바부(220), 가용체부(230), 및 출력 단자부(240)를 개별적으로 준비하고, 이것들을 용접하는 등 하여, 다극형 퓨저블 링크(200)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하우징(300)은 배면측 하우징(310)과 전면측 하우징(3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면측 하우징(310)은 내면에 다수의 제1 연결 돌기(311)와 제2 연결 돌기(312)를 구비하고, 전면측 하우징(320)은 내면에서 외면까지 관통하는 제1 연결 구멍(321)과 제2 연결 구멍(322)을 구비한다. 또한, 제 2 연결 구멍(322)에 인접한 위치에, 총 3개의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가 전면측 하우징(3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면측 하우징(310)과 전면측 하우징(3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극형 퓨저블 링크(200)를 끼우도록 덮어,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배면측 하우징(310) 및 전면측 하우징(320)은 절연성의 합성 수지 등을 이용하여,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된다.
도 1(a)을 참조하여, 퓨즈(100)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배면측 하우징(310)의 제1 연결 돌기(311)이 버스바부(220)의 제1 관통 구멍(221)을, 제2 연결 돌기(312)가 제2 관통 구멍(241)을 각각 관통하도록, 배면측 하우징(310)을 다극형 퓨저블 링크(200)의 배면측에서 댄다. 다음에, 다극형 퓨저블 링크(2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배면측 하우징(310)의 제1 연결 돌기(311)의 선단이 전면측 하우징(320)의 제1 연결 구멍(321)을, 제2 연결 돌기(312)의 선단이 제2 연결 구멍(322)을 관통하도록, 전면측 하우징(320)을 다극형 퓨저블 링크(200)의 전면측에서 댄다. 그러면, 도 1(b)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상기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극형 퓨저블 링크(200)의 버스바부(220)와 가용체부(230)는 하우징(300)에 의하여 덮이고, 입력 단자부(210)와 출력 단자부(240)는 외부의 단자 등과 접속하도록, 하우징(30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전면측 하우징(320)의 표면에서 돌출한 제1 연결 돌기(311)와 제2 연결 돌기(312)의 선단을 가열하여 녹이고, 배면측 하우징(310)과 전면측 하우징(320)을 서로 강고하게 결합하여, 다극형 퓨저블 링크(200)와 하우징(300)을 일체화시킨다. 그러면,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100)의 하우징(300)의 하단측에 형성된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만이 하우징(3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300)에는 투명창(W)이 부착되어 가용체부(230)를 외부에서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퓨즈(100)에는 유사한 형상을 한 다른 종류가 다수 존재하여, 예를 들면, 다극형 퓨저블 링크(200)의 가용체부(230)의 저항값을 변경한 것이나, 입력 단자부(210)의 형상을 변경한 것이 있다. 그리고, 이렇게 변경을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다극형 퓨저블 링크(200)의 전체 형상은 크게 바뀌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300)은 다른 종류의 각 다극형 퓨저블 링크(200)에 문제 없이 부착할 수 있어 공통 부품으로서 이용된다.
여기서, 이 하우징(300)의 이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후술하는 퓨즈 박스에는, 일반적으로, 다른 종류의 다수의 퓨즈가 삽입되어 수용된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다른 종류의 퓨즈(100A)와 퓨즈(100B)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퓨즈(100A)와 퓨즈(100B)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방법으로 공통의 하우징(300)을 부착한 것이지만,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입력 단자부(210A)와 입력 단자부(210B)의 길이가 다른 이종의 것이다. 따라서, 이것들을 구별하기 위해, 퓨즈(100A)와 퓨즈(100B)에 부착된 각 하우징(300)의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퓨즈(100A)의 하우징(300)의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는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남기고, 한쪽의 퓨즈(100B)의 하우징(300)의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는 모두 가열하여 제거하였다(또한, 도 3(b)에는,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를 제거한 후의 제거흔(331)을 나타낸다.).
또한, 이 제거 작업은, 도 1(b)을 참조하여 설명한, 배면측 하우징(310)과 전면측 하우징(320)을 서로 결합하도록, 전면측 하우징(3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연결 돌기(311)와 제2 연결 돌기(312)를 가열하여 녹이는 작업과 연속하여 행하면 작업 효율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를 가열하여 제거하였지만, 상기 방법 이외에도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를 물리적으로 절단하는 방법 등,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에, 본원 발명의 퓨즈 박스(400)을 나타낸다. 이 퓨즈 박스(400)는 도 3에 나타내는 퓨즈(100A)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410A)와 퓨즈(100B)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410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용부(410A)는 상방으로부터 퓨즈(100A)를 삽입할 수 있도록, 퓨즈(100A)의 하우징(300)을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 수용부(412A), 제거하지 않고 남긴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413), 및 퓨즈(100A)의 입력 단자부(210A)를 수용할 수 있는 단자 수용부(414A)를 구비한다. 또한, 수용부(410B)는 퓨즈(100B)의 하우징(300)을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 수용부(412B)와 퓨즈(100B)의 입력 단자부(210B)를 수용할 수 있는 단자 수용부(414B)를 구비한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퓨즈(100A)와 퓨즈(100B)가 이 퓨즈 박스(400)에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원래의 올바른 조립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퓨즈(100A)는 수용부(410A)에 수용되고, 퓨즈(100B)는 수용부(410B)에 수용되는 것이 맞다. 그러나 사용자는 각 퓨즈(100)를 어느 수용부(410)에 맞게 조립하면 좋은지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용부(410A)와 수용부(410B)는 양쪽이 서로 유사한 형상이며, 서로 인접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에게는 퓨즈(100A)를 어느 쪽에 수용해야할 것인지 제대로 판단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수용부(410B)에는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413)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퓨즈(100A)의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가 수용부(410B)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접촉하여 수용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잘못하여 퓨즈(100A)를 수용부(410B)에 수용하려고 해도, 퓨즈(100A)의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로 인하여 물리적으로 수용 불가능하고, 오조립이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는 하우징(300)의 임의의 장소에 형성할 수 있다. 단,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는 하우징(300)의 하단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퓨즈(100A)를 수용부(410B)의 안쪽까지 삽입하기 전 빠른 단계에서,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가 수용부(410B)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접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잘못된 장소에 수용하려고 하고 있는 것을 조기에 인식시킬 수 있다.
한편, 수용부(410A)에는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41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100A)를 수용부(410A)에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퓨즈(100A)는 수용부(410A)에만 수용 가능하므로,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한쪽의 퓨즈(100B)는 수용부(410B)에 수용해야 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퓨즈(100A)와 퓨즈(100B)는 각각 소정의 올바른 수용부에 수용되어 잘못된 장소에 조립하는 일이 없다.
또한, 이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를 구비한 하우징(300)은 퓨즈(100A)와 퓨즈(100B)의 양쪽 모두에 부착할 수 있는 공통 부품이며, 사후적으로,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를 필요에 따라 제거하여, 양자를 구별 가능하게 하고, 오조립 방지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것은, 종래와 같이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종류에 따라 하우징 자체의 형상을 변경하기 위해, 하우징 형성용의 몰드 등을 새로 준비하는 것에 비하면, 훨씬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퓨즈(100A)와 퓨즈(100B)를 조립하는 순서는, 퓨즈(100B)가 수용부(410B)에 수용된 후에, 퓨즈(100A)가 수용부(410A)에 수용되는 것이 맞다. 또한, 퓨즈(100A)의 입력 단자부(210A)는 퓨즈(100B)의 입력 단자부(210B)에 중첩하여 수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퓨즈(100B)의 입력 단자부(210B)는 퓨즈(100A)의 입력 단자부(210A)에 중첩하면, 입력 단자부(210B)가 퓨즈(100A)의 하우징(300)의 상단부에 접촉한다. 따라서, 퓨즈(100B)의 입력 단자부(210B)는 퓨즈(100A)의 입력 단자부(210A)에 중첩하여 수용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이 순서를 잘못 인식하여, 퓨즈(100A)부터 먼저 퓨즈 박스(400)에 수용하려고 시도했다고 하자.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퓨즈(100A)는 수용부(410B)에 물리적으로 수용할 수 없기 때문에, 수용부(410A)에 수용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가 퓨즈(100B)를 수용부(410B)에 수용하려고 시도한다. 그러나, 퓨즈(100B)의 입력 단자부(210B)는 먼저 수용부(410A)에 수용된 퓨즈(100A)의 하우징(300)의 상단부에 접촉하므로, 물리적으로 수용부(410B)에는 수용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퓨즈(100A)와 퓨즈(100B)를 수용하는 순서가 잘못된 것을 눈치채게 된다.
<실시형태 2>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하우징(700)의 구성은 하우징(700)의 오조립 방지용 돌기(731)와 오조립 방지용 돌기(732)가 도 1에 나타내는 하우징(300)의 오조립 방지용 돌기(330)의 수 및 위치와 다르지만, 다른 점에서는 하우징(300)과 공통되므로, 그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다극형 퓨저블 링크(600A), 및 다극형 퓨저블 링크(600B)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다극형 퓨저블 링크(200)와 가용체부(230)의 저항값이 다르지만, 다른 점에서는 다극형 퓨저블 링크(200)와 공통되므로, 그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극형 퓨저블 링크(600A), 및 다극형 퓨저블 링크(600B) 각각은 서로 가용체부의 저항값이 다른 이종의 것이지만, 전체 형상은 유사하기 때문에, 하우징(700)은 다극형 퓨저블 링크(600A) 및 다극형 퓨저블 링크(600B)의 양쪽 모두에 부착할 수 있는 공통 부품이다.
그리고, 퓨즈(500A)에서는, 다극형 퓨저블 링크(600A)의 종류에 따라 오조립 방지용 돌기(732)만을 제거한다. 다음에, 퓨즈(500B)에서는, 다극형 퓨저블 링크(600B)의 종류에 따라 오조립 방지용 돌기(731)만을 제거한다.
여기서, 각 다극형 퓨저블 링크(600)의 형상은 유사하기 때문에, 각 다극형 퓨저블 링크(600)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이 어려워, 그 종류에 따라 오조립 방지용 돌기(731) 또는 오조립 방지용 돌기(732) 중 어느 쪽을 선택하여 제거해야 할 것인지 판단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그 경우는, 하우징(70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입력 단자부와 출력 단자부를 이용하여 다극형 퓨저블 링크(600)의 종류를 판별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다극형 퓨저블 링크(600)는 가용체부의 저항값이 다르기 때문에, 입력 단자부와 출력 단자부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하면, 입력 단자부와 출력 단자부 사이에 위치하는 가용체부의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각 다극형 퓨저블 링크(600)의 가용체부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각 다극형 퓨저블 링크(600)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종류에 따라, 오조립 방지용 돌기(731) 또는 오조립 방지용 돌기(732)를 선택하여 제거한다.
또 상기 방법 이외에도, 가용체부의 저항값을 눈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가용체부 주변에 표적을 붙여 두면, 하우징(700)의 투명창(W)으로부터 그 표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표적에 의하여, 각 다극형 퓨저블 링크(600)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종류에 따라, 오조립 방지용 돌기(731) 또는 오조립 방지용 돌기(732)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다음에, 퓨즈 박스(800)에 대하여,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500A)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810A)와 퓨즈(500B)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810B)를 구비한다. 수용부(810A)는 퓨즈(500A)의 오조립 방지용 돌기(731)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813A)를 오조립 방지용 돌기(73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한다. 또한, 수용부(810B)는 퓨즈(500B)의 오조립 방지용 돌기(732)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813B)를 오조립 방지용 돌기(73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각 수용부(810)는 자신에게 수용되어야 할 퓨즈(500)의 오조립 방지용 돌기에 대응한 위치에만 오목부(813)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6(a) 및 도 6(b)을 참조하여, 퓨즈(500A)와 퓨즈(500B)가 이 퓨즈 박스(800)에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퓨즈(500A)를 잘못하여 수용부(810B)에 수용하려고 시도했다고 하자. 그러나, 수용부(810B)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퓨즈(500A)의 오조립 방지용 돌기(731)이 접촉하여, 물리적으로 수용할 수 없다. 즉, 퓨즈(500A)는 수용부(810A)에만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퓨즈(500A)를 수용부(810A) 이외의 잘못된 장소에 조립하는 경우가 없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퓨즈(500B)를 잘못하여 수용부(810A)에 수용하려고 시도했다고 하자. 그러나, 수용부(810A)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퓨즈(500B)의 오조립 방지용 돌기(732)가 접촉하여, 물리적으로 수용할 수 없다. 즉, 퓨즈(500B)는 수용부(810B)에만 수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퓨즈(500B)를 수용부(810B) 이외의 잘못된 장소에 조립하는 경우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퓨즈(500A)는 수용부(810A)에만 수용 가능하고, 퓨즈(500B)는 수용부(810B)에만 수용 가능하므로, 퓨즈(500A)와 퓨즈(500B)는 서로 잘못 조립되는 일이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오조립 방지용 돌기(731) 및 오조립 방지용 돌기(732)를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2 종류의 퓨즈(500A) 및 퓨즈(500B)를 형상적으로 구별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퓨즈(500A)는 수용부(810A)에만 수용 가능하고, 퓨즈(510B)는 수용부(810B)에만 수용 가능하므로, 2개의 각 퓨즈(500)는 각각 올바른 수용부에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2와 같이, 2개의 오조립 방지용 돌기(731)와 오조립 방지용 돌기(732)를 이용하는 것 외에도, 오조립 방지용 돌기를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늘리면, 형상적으로 3개 이상의 종류의 퓨즈를 구별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이 3개 이상의 종류의 퓨즈간에서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하우징, 퓨즈, 및 퓨즈 박스는 상기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실시형태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예, 조합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예, 조합도 그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원 발명의 하우징, 퓨즈, 및 퓨즈 박스의 용도는 자동차용 전기 회로용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용도의 전기 회로에 퓨즈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도 본원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100 : 퓨즈
200 : 다극형 퓨저블 링크
300 : 하우징
330 : 오조립 방지용 돌기
400 : 퓨즈 박스
413 : 오목부

Claims (4)

  1. 퓨즈 박스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다극형 퓨저블 링크에 부착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종류에 따라, 제거할 수 있는 오조립 방지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다극형 퓨저블 링크가 수용되어야 할 상기 수용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조립 방지용 돌기의 위치는 상기 오조립 방지용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오목부의 위치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2. 제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오조립 방지용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3. 다극형 퓨저블 링크와, 제1 항 또는 제2 항에 기재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다극형 퓨저블 링크의 일부에 상기 하우징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4. 제3 항에 기재된 퓨즈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한 퓨즈 박스로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퓨즈의 하우징에 형성된 오조립 방지용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박스.
KR1020167035813A 2014-10-30 2015-09-15 다극형 퓨저블 링크에 부착되는 하우징, 퓨즈, 및 퓨즈 박스 KR102355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21187 2014-10-30
JP2014221187A JP2016091624A (ja) 2014-10-30 2014-10-30 多極型ヒュージブルリンクに取り付けられるハウジング、ヒューズ、及びヒューズボックス
PCT/JP2015/076115 WO2016067778A1 (ja) 2014-10-30 2015-09-15 多極型ヒュージブルリンクに取り付けられるハウジング、ヒューズ、及びヒューズボック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621A true KR20170076621A (ko) 2017-07-04
KR102355410B1 KR102355410B1 (ko) 2022-01-25

Family

ID=5585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813A KR102355410B1 (ko) 2014-10-30 2015-09-15 다극형 퓨저블 링크에 부착되는 하우징, 퓨즈, 및 퓨즈 박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96984B2 (ko)
JP (1) JP2016091624A (ko)
KR (1) KR102355410B1 (ko)
CN (1) CN106663576B (ko)
WO (1) WO2016067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5469B (zh) * 2017-09-22 2022-05-06 力特保险丝公司 集成熔断器模块
US11165227B2 (en) * 2018-03-21 2021-11-02 Volvo Truck Corporation Power distribution unit, such as a fuse box for a vehicle
US11211220B1 (en) * 2020-07-16 2021-12-2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Fuse array and junction box with fuse arr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826A (ja) * 1993-09-30 1995-04-21 Shusaku Umeda ヒューズ、ヒューズ箱及び感温弁
KR20000063070A (ko) * 1999-03-31 2000-10-25 야자키 야스히코 압접 조인트 커넥터
JP2004186006A (ja) * 2002-12-04 2004-07-02 Yazaki Corp ヒュージブルリンク及び該ヒュージブルリンク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9739A (en) * 1992-02-21 1993-07-20 Littelfuse, Inc. Automotive high current fuse
JP2001250466A (ja) * 2000-03-03 2001-09-14 Taiheiyo Seiko Kk ヒューズ素子及びヒューズ取付装置
JP3815709B2 (ja) * 2000-03-31 2006-08-30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
JP3242095B2 (ja) * 2000-05-16 2001-12-25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
JP2002329453A (ja) * 2001-04-27 2002-11-15 Yazaki Corp 連鎖型ヒューズ組立体およびそのレイアウト方法
JP4917927B2 (ja) * 2007-03-15 2012-04-18 太平洋精工株式会社 車両用多連型ヒューズ装置
JP5207533B2 (ja) * 2008-09-05 2013-06-12 矢崎総業株式会社 複合型ヒュージブルリンク、ヒューズボ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5513952B2 (ja) * 2010-03-26 2014-06-04 矢崎総業株式会社 ホルダ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826A (ja) * 1993-09-30 1995-04-21 Shusaku Umeda ヒューズ、ヒューズ箱及び感温弁
KR20000063070A (ko) * 1999-03-31 2000-10-25 야자키 야스히코 압접 조인트 커넥터
JP2004186006A (ja) * 2002-12-04 2004-07-02 Yazaki Corp ヒュージブルリンク及び該ヒュージブルリンク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63576B (zh) 2019-07-02
US20170324233A1 (en) 2017-11-09
US10096984B2 (en) 2018-10-09
JP2016091624A (ja) 2016-05-23
WO2016067778A1 (ja) 2016-05-06
CN106663576A (zh) 2017-05-10
KR102355410B1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3794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EP2124239B1 (en) Multiple fuse device for vehicle
CN108695125B (zh) 表面安装熔断器
US20070241857A1 (en) Fusible link unit accommodated in in-vehicle electrical connection box
EP2706627A1 (en) Power cord
KR20170076621A (ko) 다극형 퓨저블 링크에 부착되는 하우징, 퓨즈, 및 퓨즈 박스
JP2001250466A (ja) ヒューズ素子及びヒューズ取付装置
WO2006047231A2 (en) Fuse linked relay
JP4009793B2 (ja) レアショート判断機能付きヒューズ素子、同ヒューズ及び同ヒューズの製造方法
JP2009123565A (ja) ヒューズの取付構造及びその装着ケースの形成方法
JP2018088418A (ja) 多極型ヒュージブルリンクに取り付けられるハウジング、ヒューズ、及びヒューズボックス
US6784365B2 (en) Cavity structure of electric junction box
US20080272877A1 (en) Fuse Device
JP6445891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及びヒュー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2644817B1 (ko) 퓨즈, 및 상기 퓨즈의 제조 방법
JP3083059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
JP2009129671A (ja) ヒューズ、及び、ヒューズの取付構造
JP5923076B2 (ja) ヒューズ、ヒューズボックス、及びヒューズ装置
KR20150072314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21002441A (ja) 電流遮断構造
KR20160008664A (ko) Usb 커넥터 조립체
JP5711991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JP2017004875A (ja) コネクタユニット
KR20060115202A (ko) 전류 차단기 및 그를 구비한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