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685A -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위한 타이로드 신축관 - Google Patents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위한 타이로드 신축관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685A
KR20170075685A KR1020170073798A KR20170073798A KR20170075685A KR 20170075685 A KR20170075685 A KR 20170075685A KR 1020170073798 A KR1020170073798 A KR 1020170073798A KR 20170073798 A KR20170073798 A KR 20170073798A KR 20170075685 A KR20170075685 A KR 20170075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lange
edge
tie rod
t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승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지화이어
권승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지화이어, 권승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지화이어
Priority to KR1020170073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5685A/ko
Publication of KR20170075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16L51/025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with several corrug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 F16L27/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1차측과 2차측을 연결하는 타이로드 신축관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로드 신축관은 펌프에 연결되는 1차측 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에 소방수를 직접 공급하는 2차측 배관을 연결하는 타이로드 신축관으로서, 각 단 가장 자리를 관통하는 제1 직경의 제1 관통홀(100)을 구비하는 1차측 플랜지(10)와, 상기 제1 관통홀(100)에 끼워지는 것으로 파이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외경은 제1 직경에 해당하고 내경은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인 고무 와셔(11)와, 각 단 가장 자리를 관통하는 제2 직경의 제2 관통홀(120)을 구비하는 2차측 플랜지(12)와, 상기 1차측 플랜지(10)의 제1 관통홀(100)과 상기 2차측 플랜지(12)의 제2 관통홀(120)을 관통하여 너트(140)에 의하여 장력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타이로드(14), 및 1차측 플랜지(10)와 2차측 플랜지(12)의 내경을 관통하여 'U'형상으로 그 내주연에 용접 및 세팅볼트에 의해 견실히 고정되도록 내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판을 다겹 압축하여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주름관(16);을 포함하며, 2차측 플랜지(12)의 제2 관통홀(120)의 가장자리와 타이로드(14)의 가장자리는 용접에 의하여 유격이 없이 고정되고 1차측 플랜지(10)의 가장자리와 타이로드(14)의 가장 자리 사이에는 고무 와셔(11)에 의하여 일정한 정도로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위한 타이로드 신축관{Tie rod connector for fire fighting springkler system}
본 발명은 타이로드 신축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적용할 때 진동에 의한 손상 가능성을 줄인 타이로드 신축관에 관한 것이다.
배관과 배관 사이를 연결하여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것으로 동력설비의 운전시 발생되는 진동 및 이상압력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 신축성 및 강도를 구유한 타이로드(Tie rod) 신축관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타이로드 신축관은 주름관과, 이를 보호하기 위한 슬리브 및 배관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외측에 강성을 갖고 고정되어 추력으로부터 신축관을 보호하기 위한 타이 로드(tie rod)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음관인 신축관은 축 방향의 힘, 즉 2차원의 힘만을 받는 것이 아니라 유체의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축직각방향의 힘 및 유체의 맥동에 의한 진동 등 3차원적인 힘을 받게 된다. 즉, 신축관의 타이로드는 추력으로부터 주름관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으나 동력설비의 운전, 정지시 발생하는 수격현상이나 배관상에서 발생하는 이상압력에 의한 반복하중이 상기 타이로드에 누적되어 피로로 작용하게 되므로 초기에 발생하는 진동 및 이상압력에는 대응할 수 있으나 계속되는 피로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게 되며, 이로 인해 주름관의 형상변화와 신축관에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없게 되어 신축관의 기능 상실, 설비의 가동중단, 주변설비의 연쇄파손 등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타이로드 신축관이 2000년09월15일자로 공고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97257호에는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 실용신안에 개시된 종래의 타이로드 신축관은 1차측 펌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2차측으로 전달되어 민원의 소지가 발생될 수 있고 2차측의 손상 발생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하여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1차측의 플랜지에 타이로드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2차측의 플랜지 부분에서 유격을 제공하므로 주름관에서 뒤틀림이 발생하는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타이로드 신축관이 파손되는 위험성이 적은 타이로드 신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2차측 플랜지에 결합되는 타이로드 상단부에서 보다 유연하게 유격을 제공함에 의하여 1차측 플랜지와 2차측 플랜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틀어지는 가능성을 해소함으로써 타이로드 신축관의 주름관이 파손되는 위험성을 현저하게 줄인 타이로드 신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타이로드 신축관은,
펌프에 연결되는 1차측 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에 소방수를 직접 공급하는 2차측 배관을 연결하는 타이로드 신축관으로서,
각 단 가장 자리를 관통하는 제1 직경의 제1 관통홀(100)을 구비하는 1차측 플랜지(10)와;
상기 제1 관통홀(100)에 끼워지는 것으로 파이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외경은 제1 직경에 해당하고 내경은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인 고무 와셔(11)와;
각 단 가장 자리를 관통하는 제2 직경의 제2 관통홀(120)을 구비하는 2차측 플랜지(12)와;
상기 1차측 플랜지(10)의 제1 관통홀(100)과 상기 2차측 플랜지(12)의 제2 관통홀(120)을 관통하여 너트(140)에 의하여 장력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타이로드(14); 및
1차측 플랜지(10)와 2차측 플랜지(12)의 내경을 관통하여 'U'형상으로 그 내주연에 용접 및 세팅볼트에 의해 견실히 고정되도록 내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판을 다겹 압축하여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주름관(16);을 포함하며,
2차측 플랜지(12)의 제2 관통홀(120)의 가장자리와 타이로드(14)의 가장자리는 용접에 의하여 유격이 없이 고정되고 1차측 플랜지(10)의 가장자리와 타이로드(14)의 가장 자리 사이에는 고무 와셔(11)에 의하여 일정한 정도로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타이로드 신축관은,
펌프에 연결되는 1차측 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에 소방수를 직접 공급하는 2차측 배관을 연결하는 타이로드 신축관으로서,
각 단 가장 자리를 관통하는 제1 직경의 제1 관통홀(100)을 구비하는 1차측 플랜지(10)와;
상기 제1 관통홀(100)에 끼워지는 것으로 파이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외경은 제1 직경에 해당하고 내경은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인 고무 와셔(11)와;
각 단 가장 자리를 관통하는 제2 직경의 제2 관통홀(120)을 구비하는 2차측 플랜지(12)와;
상기 1차측 플랜지(10)의 제1 관통홀(100)과 상기 2차측 플랜지(12)의 제2 관통홀(120)을 관통하여 너트(140)에 의하여 장력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타이로드(14); 및
1차측 플랜지(10)와 2차측 플랜지(12)의 내경을 관통하여 'U'형상으로 그 내주연에 용접 및 세팅볼트에 의해 견실히 고정되도록 내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판을 다겹 압축하여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주름관(16);을 포함하며,
2차측 플랜지(12)의 제2 관통홀(120)의 가장자리와 타이로드(14)의 가장자리는 용접에 의하여 유격이 없이 고정되고 1차측 플랜지(10)의 가장자리와 타이로드(14)의 가장 자리 사이에는 고무 와셔(11)에 의하여 일정한 정도로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타이로드(14)는,
상기 타이로드(14)의 상면으로부터 관통되고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윤활유 저장부(150); 및
상기 윤활유 저장부(15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타이로드(14) 외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윤활유 공급홀(1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이로드 신축관은 주기적으로 윤활유를 추가 공급하거나 풀어서 윤활유를 추가 보충할 수 있도록 상기 윤활유 저장부(150) 상부에 끼워지는 무두 볼트(15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로드 신축관은 1차측의 플랜지에 타이로드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2차측의 플랜지 부분에서 유격을 제공하므로 주름관에서 뒤틀림이 발생하는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타이로드 신축관이 파손되는 위험성이 적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2차측 플랜지에 결합되는 타이로드 상단부에서 보다 유연하게 유격을 제공함에 의하여 1차측 플랜지와 2차측 플랜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틀어지는 가능성을 해소함으로써 타이로드 신축관의 주름관이 파손되는 위험성은 현저하게 줄어든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로드 신축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타이로드 신축관의 주요 부분을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1차측 플랜지에 타이로드가 용접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정단면도,
도 5는 도 1의 플랜지 부분을 나타낸 상면도, 및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로드 신축관에 적용되는 주요 부분을 나타낸 정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로드 신축관의 구조를 사시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로드 신축관의 구조를 사시도로써 도시하였고, 도 2에는 도 1에 나타낸 타이로드 신축관의 주요 부분을 확대 도시하였으며, 도 4에는 도 1의 정단면도를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로드 신축관은 펌프에 연결되는 1차측 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에 소방수를 직접 공급하는 2차측 배관을 연결하는 타이로드 신축관으로서,
각 단 가장 자리를 관통하는 제1 직경의 제1 관통홀(100)을 구비하는 1차측 플랜지(10)와,
상기 제1 관통홀(100)에 끼워지는 것으로 파이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외경은 제1 직경에 해당하고 내경은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인 고무 와셔(11)와,
각 단 가장 자리를 관통하는 제2 직경의 제2 관통홀(120)을 구비하는 2차측 플랜지(12)와,
상기 1차측 플랜지(10)의 제1 관통홀(100)과 상기 2차측 플랜지(12)의 제2 관통홀(120)을 관통하여 너트(140)에 의하여 장력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타이로드(14), 및
1차측 플랜지(10)와 2차측 플랜지(12)의 내경을 관통하여 'U'형상으로 그 내주연에 용접 및 세팅볼트에 의해 견실히 고정되도록 내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판을 다겹 압축하여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주름관(16)을 포함하며,
2차측 플랜지(12)의 제2 관통홀(120)의 가장자리와 타이로드(14)의 가장자리는 용접에 의하여 유격이 없이 고정되고 1차측 플랜지(10)의 가장자리와 타이로드(14)의 가장 자리 사이에는 고무 와셔(11)에 의하여 일정한 정도로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이루어진다. 1차측 플랜지(10)와 2차측 플랜지(12)는 도 5에 도시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관통홀의 크기는 1차측 플랜지(10)의 관통홀의 크기는 2차측 플랜지(12)의 관통홀의 크기에 비하여 작다.
상기와 같은 타이로드 신축관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로드(14)의 하단부는 용접에 의하여 1차측 플랜지(10)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타이로드(14)의 상단부는 고무 와셔(11)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1차측의 플랜지(10)에 타이로드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2차측의 플랜지(12) 부분에서 유격을 제공하므로 주름관(16)에서 뒤틀림이 발생하는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타이로드 신축관이 파손되는 위험성이 적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로드 신축관에 적용되는 주요 부분을 정단면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로드 신축관에 적용되는 타이로드(14)는 상기 타이로드(14)의 상면으로부터 관통되고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윤활유 저장부(150), 및 상기 윤활유 저장부(15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타이로드(14) 외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윤활유 공급홀(15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윤활유 저장부(140) 상부에 끼워지는 무두 볼트(154)를 더 포함하여 주기적으로 윤활유를 추가 공급하거나 풀어서 윤활유를 추가 보충할 수 있다.
타이로드(14)의 하단부는 용접에 의하여 1차측 플랜지(10)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타이로드(14)의 상단부는 고무 와셔(11)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1차측의 플랜지(10)에 타이로드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2차측의 플랜지(12) 부분에서 유격을 제공하므로 주름관(16)에서 뒤틀림이 발생하는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타이로드 신축관이 파손되는 위험성이 적다.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는 2차측 플랜지에 결합되는 타이로드 상단부에서 고무와셔와 타이로드(14) 상단부 사이에 윤활유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보다 유연하게 유격을 제공함에 의하여 1차측 플랜지와 2차측 플랜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틀어지는 가능성을 해소함으로써 타이로드 신축관의 주름관이 파손되는 위험성은 현저하게 줄어든다는 효과가 있다.
10 : 1차측 플랜지
100 : 제1 직경의 제1 관통홀
11 : 고무 와셔
12 : 2차측 플랜지
120 : 제2 직경의 제2 관통홀 140 : 너트
14 : 타이로드
150 : 윤활유 저장부 152 : 윤활유 공급홀
154 : 무두 볼트 156 : 단턱부
16 : 주름관

Claims (4)

  1. 펌프에 연결되는 1차측 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에 소방수를 직접 공급하는 2차측 배관을 연결하는 타이로드 신축관에 있어서,
    각 단 가장 자리를 관통하는 제1 직경의 제1 관통홀(100)을 구비하는 1차측 플랜지(10);
    상기 제1 관통홀(100)에 끼워지는 것으로 파이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외경은 제1 직경에 해당하고 내경은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인 고무 와셔(11);
    각 단 가장 자리를 관통하는 제2 직경의 제2 관통홀(120)을 구비하는 2차측 플랜지(12);
    상기 1차측 플랜지(10)의 제1 관통홀(100)과 상기 2차측 플랜지(12)의 제2 관통홀(120)을 관통하여 너트(140)에 의하여 장력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타이로드(14); 및
    1차측 플랜지(10)와 2차측 플랜지(12)의 내경을 관통하여 'U'형상으로 그 내주연에 용접 및 세팅볼트에 의해 견실히 고정되도록 내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판을 다겹 압축하여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주름관(16);을 포함하며,
    2차측 플랜지(12)의 제2 관통홀(120)의 가장자리와 타이로드(14)의 가장자리는 용접에 의하여 유격이 없이 고정되고 1차측 플랜지(10)의 가장자리와 타이로드(14)의 가장 자리 사이에는 고무 와셔(11)에 의하여 일정한 정도로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로드 신축관.
  2. 펌프에 연결되는 1차측 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에 소방수를 직접 공급하는 2차측 배관을 연결하는 타이로드 신축관에 있어서,
    각 단 가장 자리를 관통하는 제1 직경의 제1 관통홀(100)을 구비하는 1차측 플랜지(10);
    상기 제1 관통홀(100)에 끼워지는 것으로 파이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외경은 제1 직경에 해당하고 내경은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인 고무 와셔(11);
    각 단 가장 자리를 관통하는 제2 직경의 제2 관통홀(120)을 구비하는 2차측 플랜지(12);
    상기 1차측 플랜지(10)의 제1 관통홀(100)과 상기 2차측 플랜지(12)의 제2 관통홀(120)을 관통하여 너트(140)에 의하여 장력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타이로드(14); 및
    1차측 플랜지(10)와 2차측 플랜지(12)의 내경을 관통하여 'U'형상으로 그 내주연에 용접 및 세팅볼트에 의해 견실히 고정되도록 내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판을 다겹 압축하여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주름관(16);을 포함하며,
    2차측 플랜지(12)의 제2 관통홀(120)의 가장자리와 타이로드(14)의 가장자리는 용접에 의하여 유격이 없이 고정되고 1차측 플랜지(10)의 가장자리와 타이로드(14)의 가장 자리 사이에는 고무 와셔(11)에 의하여 일정한 정도로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타이로드(14)는,
    상기 타이로드(14)의 상면으로부터 관통되고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윤활유 저장부(150); 및
    상기 윤활유 저장부(15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타이로드(14) 외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윤활유 공급홀(1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로드 신축관.
  3. 제2항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윤활유를 추가 공급하거나 풀어서 윤활유를 추가 보충할 수 있도록 상기 윤활유 저장부(150) 상부에 끼워지는 무두 볼트(15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로드 신축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플랜지의 제2 관통홀 하측에는 윤활유 공급홀(152)로부터 공급되어 타이로드(14)를 타고 흘러내리는 윤활유를 저장하는 단턱부(15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로드 신축관.
KR1020170073798A 2017-06-13 2017-06-13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위한 타이로드 신축관 KR20170075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798A KR20170075685A (ko) 2017-06-13 2017-06-13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위한 타이로드 신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798A KR20170075685A (ko) 2017-06-13 2017-06-13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위한 타이로드 신축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234U Division KR20190001780U (ko) 2019-05-30 2019-05-30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위한 타이로드 신축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685A true KR20170075685A (ko) 2017-07-03

Family

ID=5935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798A KR20170075685A (ko) 2017-06-13 2017-06-13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위한 타이로드 신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56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3082A1 (zh) * 2021-05-07 2022-11-10 东南大学 一种可调节波纹管支撑装置
CN117146088A (zh) * 2023-10-16 2023-12-01 山东巨辉石油科技有限公司 一种热采井口用防泄漏式补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3082A1 (zh) * 2021-05-07 2022-11-10 东南大学 一种可调节波纹管支撑装置
CN117146088A (zh) * 2023-10-16 2023-12-01 山东巨辉石油科技有限公司 一种热采井口用防泄漏式补偿装置
CN117146088B (zh) * 2023-10-16 2023-12-22 山东巨辉石油科技有限公司 一种热采井口用防泄漏式补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2427B2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CN110775434B (zh) 管道管口防变形装置
WO2015170407A1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KR20170075685A (ko)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위한 타이로드 신축관
JP2008111530A (ja) 管継手
US9672968B2 (en) Rupture resistant system
KR100889060B1 (ko)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KR20190001780U (ko)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위한 타이로드 신축관
KR101391341B1 (ko) 익스펜션 조인트의 타이로드
JP4704770B2 (ja) 防塵キャップ
CN107013753A (zh) 一种抗震隔振支架
CN205504277U (zh) 法兰螺栓防崩的保护装置
CH701273B1 (de) Vorrichtung zur Verstärkung einer Leitungsanordnung eines Kernsprühsystems eines Reaktors und Kernsprühsystemleitung mit einer solchen.
JP3217571U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KR102215643B1 (ko) 내진성을 갖는 소방용 배관 이음장치
CN204062271U (zh) 加紧式海洋静态软管弯曲加强器
KR102436126B1 (ko)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배관 연결 구조
KR100722246B1 (ko) 익스팬션죠인트의 벨로우즈 보강용 콘트롤링
KR200459679Y1 (ko) 관 연결 조인트
JP3663671B2 (ja) 油圧ダンパ連結構造
CN211232050U (zh) 一种超高层泵送管道抗震支架
KR200487144Y1 (ko) 소방 배관 연결구조
CN210472864U (zh) 一种带抗震支架的消防喷淋系统管道
CN210344678U (zh) 一种复式拉杆轴向型金属波纹膨胀节
CN216201561U (zh) 一种可拆卸维护型弹性管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