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465A -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 - Google Patents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465A
KR20170075465A KR1020150185150A KR20150185150A KR20170075465A KR 20170075465 A KR20170075465 A KR 20170075465A KR 1020150185150 A KR1020150185150 A KR 1020150185150A KR 20150185150 A KR20150185150 A KR 20150185150A KR 20170075465 A KR20170075465 A KR 20170075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shaft
handle
coupled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호
Original Assignee
이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호 filed Critical 이대호
Priority to KR102015018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5465A/ko
Publication of KR20170075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62B5/028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with excentrically mounte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1/00Units comprising multiple wheels arranged side by side; Wheels having more than one rim or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 F16H9/1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40Articles of daily use
    • B60B2200/43Carts
    • B60B2200/434Wheel barr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의 상하층 간에 중량물을 이동할 때 승강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계단을 통해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로 운반할 수 있고, 배터리와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핸들 회전에 의해 동력을 얻을 수 있으며, 보조바퀴에 의해 평지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100); 제1 구동 스프라켓(308)과 제1 종동 스프라켓(314)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 벨트(316)를 수용하는 하우징(301), 하우징(301)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회전력을 전달하는 핸들(302), 제1 구동 스프라켓(308)의 양측에 결합되어 핸들(302)의 회전동력을 제1 구동 스프라켓(308)에 전달하는 제1 연결부재(304)와 제2 연결부재(306), 제1 연결 벨트(316)를 통해 제1 구동 스프라켓(308)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종동 스프라켓(314), 제1 종동 스프라켓(314)의 양측에 결합되어 제1 종동 스프라켓(314)의 회전력을 감속기(320)로 전달하는 제3 연결부재(310)와 제4 연결부재(312), 핸들(302)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기(320), 감속기(320)를 통해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 구동 스프라켓(340), 제2 연결 벨트(345)를 통해 제2 구동 스프라켓(34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 종동 스프라켓(350), 제2 구동 스프라켓(340)의 회전축에 해당하는 구동축(330), 제2 종동 스프라켓(350)의 회전축에 해당하는 종동축(360),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의 회전을 보장하도록 지지하는 축 지지 부재(370)를 포함하여, 프레임(100)의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는 구동력 공급부(300); 및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양 방향 회전 운동이 가능한 한 쌍의 바퀴 배열판(410)을 포함하고, 바퀴 배열판(410)은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회전 날개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며, 소정 이격 간격을 두고 내외 측 한 쌍으로 구성되어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의 각 양 결합 단부를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 단부 수용공(414)에 키 결합 방식으로 수용한 상태로 고정 결합하며, 프레임(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바퀴 회전부(400)를 포함하는,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omitted}
본 발명은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의 상하층 간에 중량물을 이동할 때 승강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계단을 통해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로 운반할 수 있고, 배터리와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핸들 회전에 의해 동력을 얻을 수 있으며, 보조바퀴에 의해 평지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계 장치 등의 중량물을 건물 내에서 상하층 간 이동할 경우 일반적으로 승강기나 리프트 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건물 내에 이러한 승강기나 리프트 기기가 없거나 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어쩔 수 없이 손수레나 핸드카 등에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로 계단을 이용하여 운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운반하는 과정에서 중량물이 낙하하여 파손되거나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KR실용신안등록공보 제0462793호(2012.9.28.공고)에 '핸드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축 및 회전판을 회전시키면, 회전판의 둘레부에 결합된 3개의 휠이 위성 운동을 하면서 계단을 올라갈 수 있으므로, 냉장고와 같은 무거운 물건을 적재한 상태로 층계를 손쉽게 올라갈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회전축의 회전 과정에서 휠이 상부 층계로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고정 상태가 아닌 회전 가능 상태에 있기 때문에 계단의 측면이나 상부면에 접촉되면서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상부 층계로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회전축 및 회전판을 고정시키더라도 휠이 자유롭게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모두 회전 가능한 이상, 밀림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핸드카가 계단을 실제로 올라가지 못하거나 밀림 현상에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중량물이 낙하하여 파손되거나 핸드카를 조정 중인 작업자가 부상을 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여전히 상존한다.
또한, 중량물의 넓은 아래면이 접촉하는 지지프레임이 이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서 있는 상태로 운반이 이루어져야 하는 특성상 자칫 밀림 현상에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핸드카가 전도되는 경우에는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3개의 휠이 위성운동을 하면서 이동하는 관계로 계단이 아닌 평지에서는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배터리와 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얻기 때문에 배터리 교체의 불편함, 장기간 미사용시 배터리 방전 가능성, 배터리와 모터에 의해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구동력으로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계단이 아닌 평지에서도 운행이 가능한 중량물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는 프레임(100); 제1 구동 스프라켓(308)과 제1 종동 스프라켓(314)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 벨트(316)를 수용하는 하우징(301), 하우징(301)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회전력을 전달하는 핸들(302), 제1 구동 스프라켓(308)의 양측에 결합되어 핸들(302)의 회전동력을 제1 구동 스프라켓(308)에 전달하는 제1 연결부재(304)와 제2 연결부재(306), 제1 연결 벨트(316)를 통해 제1 구동 스프라켓(308)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종동 스프라켓(314), 제1 종동 스프라켓(314)의 양측에 결합되어 제1 종동 스프라켓(314)의 회전력을 감속기(320)로 전달하는 제3 연결부재(310)와 제4 연결부재(312), 핸들(302)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기(320), 감속기(320)를 통해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 구동 스프라켓(340), 제2 연결 벨트(345)를 통해 제2 구동 스프라켓(34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 종동 스프라켓(350), 제2 구동 스프라켓(340)의 회전축에 해당하는 구동축(330), 제2 종동 스프라켓(350)의 회전축에 해당하는 종동축(360),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의 회전을 보장하도록 지지하는 축 지지 부재(370)를 포함하여, 프레임(100)의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는 구동력 공급부(300); 및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양 방향 회전 운동이 가능한 한 쌍의 바퀴 배열판(410)을 포함하고, 바퀴 배열판(410)은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회전 날개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며, 소정 이격 간격을 두고 내외 측 한 쌍으로 구성되어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의 각 양 결합 단부를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 단부 수용공(414)에 키 결합 방식으로 수용한 상태로 고정 결합하며, 프레임(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바퀴 회전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100)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602), 제1 고정부(602)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 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레버(606), 레버(606)를 제1 고정부(602)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604), 레버(606)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레버(606)의 회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전달부재(608), 제1 전달부재(608)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전달부재(612), 제2 전달부재(612)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제2 전달부재(612)가 제1 전달부재(608)의 상하이동에 의해 회동할 수 있도록 회전축 역할을 하는 보조바퀴 회전축(616), 보조바퀴 회전축(616)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여 보조바퀴 회전축(616)을 프레임(100)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610), 제2 전달부재(612)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보조바퀴(614)를 포함하는 보조 바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단을 이용한 중량물의 상층 또는 하층으로의 운반시 회전축의 회전 과정에서 회전바퀴인 휠에 일 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되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래칫부재가 추가로 마련되어, 상층으로의 이동시에는 이동방향에 반대방향, 하층으로의 이동시에는 이동방향으로의 밀림 현상을 각각 방지할 수 있어 손수비고 안전하게 계단을 승강할 수 있고, 밀림 현상으로 인한 충격으로 인해 중량물이 핸드카로부터 낙하하여 파손되거나 핸드카를 조정 중인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계단 운반 과정에서 중량물의 넓은 아래면이 접촉하는 적재판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적재판 각도 조절부를 이용하여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운반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전도에 의한 대형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와 모터 대신 수동식 핸들에 의해 동력을 얻음으로써 배터리 교체의 불편함, 장기간 미사용시 배터리 방전 가능성, 배터리와 모터에 의해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 내에서도 계단과 평지가 모두 존재함을 감안하여, 보조바퀴를 구비함으로써 계단과 평지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의 계단 모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5a 내지 도 6은 도 1에서 구동력 공급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a의 우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장치의 구동력 공급부와 바퀴 회전부 간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장치의 바퀴 회전부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의 평지 모드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
도 12는 도 10의 우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 중 보조 바퀴부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에 중량물을 적재한 후 계단을 통해 운반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의 계단 모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6은 도 1에서 구동력 공급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a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장치의 구동력 공급부와 바퀴 회전부 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장치의 바퀴 회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의 평지 모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 중 보조 바퀴부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에 중량물을 적재한 후 계단을 통해 운반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100), 손잡이부(200), 구동력 공급부(300), 바퀴 회전부(400), 적재판 각도 조절부(500), 및 보조 바퀴부(6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강도가 있는 금속 재질이나 합성수지 소재 등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사각형의 모서리를 이루는 상하부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이 결합된 형태로 마련되어 중량물의 계단 운반 장치의 기본 골격을 이룬다.
도 15를 참조하면, 적재판(150)은 일단이 프레임(100)의 상부 수평 프레임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어 회동을 통해 각도가 변경 가능하도록 상부 수평 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면에 운반이 요구되는 중량물을 적재한다.
손잡이부(200)는 상부 수평 프레임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적재판(150)에 적재된 중량물의 일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바(210), 작업자가 실제 파지를 하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수평 손잡이바(230) 및 수직 지지바(210)와 수평 손잡이바(23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220)를 포함한다.
구동력 공급부(300)는 프레임(100) 내부 및 주변에 배치되어 후술한 바퀴 회전부(400)에 회전력을 공급한다. 구동력 공급부(300)는 제1 구동 스프라켓(308)과 제1 종동 스프라켓(314)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기어로 대체 가능한 제1 연결 벨트(316)를 수용하는 하우징(301), 하우징(301)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회전력을 전달하는 핸들(302), 제1 구동 스프라켓(308)의 양측에 결합되어 핸들(302)의 회전동력을 제1 구동 스프라켓(308)에 전달하는 제1 연결부재(304)와 제2 연결부재(306), 제1 연결 벨트(316)를 통해 제1 구동 스프라켓(308)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종동 스프라켓(314), 제1 종동 스프라켓(314)의 양측에 결합되어 제1 종동 스프라켓(314)의 회전력을 감속기(320)로 전달하는 제3 연결부재(310)와 제4 연결부재(312), 핸들(302) 회전을 N:1의 감속비로 감속하는 감속기(320), 감속기(320)를 통해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 구동 스프라켓(340), 제2 연결 벨트(345)를 통해 제2 구동 스프라켓(34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 종동 스프라켓(350), 제2 구동 스프라켓(340)의 회전축에 해당하는 구동축(330), 제2 종동 스프라켓(350)의 회전축에 해당하는 종동축(360),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의 회전을 보장하도록 지지하는 축 지지 부재(370)를 포함한다.
회전축인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의 각 양 끝단에는 후술할 바퀴 회전부(400)의 중앙부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결합 키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단면을 기준으로 원형의 일부가 절단된 결합 단부(335, 36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달리 회전축인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의 각 양 끝단은 결합단부(335, 365)를 형성하지 않고 단면을 원형 형상 그대로 유지하고, 대신 공지의 볼트 너트 결합 형태로 바퀴 회전부(400)의 중앙부에 수용 결합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바퀴 회전부(400)는 총 4개가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바퀴 회전부(400)는 종래 기술과 같이 회전력을 전달받아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로 회전을 통해 계단을 오르거나 내릴 수 있도록 마련되되, 종래 기술과 달리 계단을 오를 때는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으며, 계단을 내려 갈 때에는 이동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바퀴 회전부(400)는 바퀴 배열판(410), 회전 바퀴(420), 래칫 부재(430, 440), 바퀴 고정핀(450), 바퀴 고정핀너트(455) 및 간격 지지편(470)을 포함한다.
바퀴 배열판(410)은 각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을 중심으로 3개의 회전날개(411)가 120°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삼각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되어 있다. 바퀴 배열판(410)은 소정 이격 간격을 두고 내외 측 한 쌍으로 구성되어 축 지지 부재(37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의 각 양 결합 단부(335, 365)를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 단부 수용공(414)에 키 결합 방식으로 수용한 상태로 고정 결합하고 있다.
바퀴 배열판(410)에는 120°각도를 가지도록 단부에 바퀴 고정핀 수용공(412)이 3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퀴 고정핀 수용공(412)과 결합 단부 수용공(414) 사이에 상호 소정 이격 간격을 두고 각각 120°각도를 가지도록 래칫폴 회전핀 수용공(416) 및 래칫폴 스토퍼 수용공(418)이 각각 3개씩 형성되어 있다.
회전 바퀴(420)는 한 쌍의 바퀴 배열판(410)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각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을 중심으로 상호 120°간격으로 3개가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바퀴 고정핀 수용공(422)과, 상기 바퀴 고정핀 수용공(412)에 차례대로 수용 결합된 바퀴 고정핀(450)과 바퀴 고정핀 너트(455)의 상호 결합에 의해 바퀴 배열판(410)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회전 바퀴(420)는 바퀴 고정핀 수용공(422)을 따라 마련된 베어링(미도시) 및 후술할 래칫 부재(430, 440)에 의해 일 방향으로는 자유 회전 가능하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자유 회전이 제한된다.
회전 바퀴(420)의 일측과 대응하는 하나의 바퀴 배열판(410)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하는 분리형 스페이서(425)가 개재되어 있다.
래칫 부재(430, 440)는 회전 바퀴(420)의 타측과 대응하는 다른 하나의 바퀴 배열판(410)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래칫 기어(430)와 걸림 부재(440)로 구성된다.
래칫 기어(430)는 상기 각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을 중심으로 상호 120°간격으로 3개가 마련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마찬가지로 바퀴 고정핀 수용공(432)이 형성되어 이에 수용 결합된 바퀴 고정핀(450)과 바퀴 고정핀 너트(455)의 상호 결합에 의해 회전 바퀴(420)의 타측과 대응하는 하나의 바퀴 배열판(410)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래칫 기어(430)는 외주면이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톱니 바퀴 형상의 톱날(434)이 마련되어 있으며, 바퀴 고정핀 수용공(432)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결합형 스페이서(435)가 개재되어 회전 바퀴(420) 및 대응하는 하나의 바퀴 배열판(410)과의 일정 간격이 유지된다.
걸림 부재(440)도 상기 각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을 중심으로 상호 120°간격으로 3개가 마련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래칫폴 회전핀 수용공(442)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서 1개의 바퀴 배열판(410)의 래칫폴 회전핀 수용공(416)에 수용 결합되는 래칫폴 회전핀(445) 및 래칫폴 회전핀 너트(44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바퀴 배열판(410)의 측면 및 래칫 기어(430)의 외주 바깥에 배치되어 있다.
걸림 부재(440)의 타단에는 일단보다 무게가 무거워 자중에 의한 회동 복원력이 제공되는 돌기 형상의 래칫폴(444)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날(434)의 일부에 맞물림 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걸림 부재(440)는 래칫폴(444)의 자중에 의한 회동 복원 대신 래칫폴 회전핀(445) 및 래칫폴 회전핀 너트(446) 사이에 추가로 개재 가능한 핀 스프링 등의 공지의 복원 수단에 의해서 회동 복원력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걸림 부재(440)는 래칫폴 스토퍼 수용공(418)에 고정 결합된 래칫폴 스토퍼(448)에 의해 톱날(43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소정 각도 이상의 회동이 제한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바퀴 배열판(410) 사이에는 상호간 간격을 유지하고 바퀴 회전부(400)의 전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간격 지지편(470)이 다른 구성 요소의 배치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추가로 결합되어 있다.
적재판 각도 조절부(5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프레임(100)의 수직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은 적재판(150)의 하부면 일부에 결합되어 프레임(10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 적재판(150)을 회동을 통해 각도를 조절하여 계단 이동시 적재판(15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실린더, 실린더에 대해 길이 수축 및 확장이 가능한 피스톤 로드, 프레임과의 일단이 연결되는 프레임 연결 부재 및 적재판(150)과의 일단이 연결되는 적재판 연결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적재판 각도 조절부(500)는 수동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유압식 쟈키로 마련되어 있으나, 배터리 등의 별도 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 가능한 유압식 쟈키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유압식 쟈키에 대응하는 다른 각도 조절 수단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의 계단 운반 장치가 중량물을 적재하고 계단을 올라갈 경우 제일 아래 계단에 근접할 때 까지는 손잡이부(200)를 이용하여 밀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바퀴 배열판(410)은 회전하지 않으며 4개의 바퀴 회전부(400) 각각에 마련된 3개의 회전 바퀴(420) 중 2개가 지면과 접촉한 상태로 이동을 하게 되며 래칫 부재(430, 440)는 정방향(시계 방향) 이동 시에는 회전 바퀴(420)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게 된다. 중량물의 계단 운반 장치가 실제로 계단을 올라 가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핸들(302)을 돌리면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연결된 바퀴 배열판(410)이 정회전 되면서 바퀴 배열판(410)의 둘레부에 구비된 회전 바퀴(420)가 바퀴 배열판(410) 둘레를 따라 위성 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부 계단의 측벽이나 상면에 접촉되는 회전 바퀴(420)의 경우 접촉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역방향(반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뒤로 밀릴 수 있으나 래칫 부재(430, 440)의 래칫 기어(430)와 적어도 하나의 걸림 부재(440)의 상호 맞물림 현상에 의해 역방향 회전이 제한되어 밀림 현상이 차단되게 된다.
한편, 이때 중량물은 중량물의 운반 장치가 기울어짐에 따라 적재판(150)과 함께 같이 기울어지게 되어 손잡이부(200)의 수직 지지바(210)에 과도한 하중을 가할 수 있어 중량물의 추락이나 중량물의 운반 장치의 전도의 위험이 발생한다.
따라서 계단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재판 각도 조절부(500)를 이용하여 도 15와 같이 적재판(150)이 수평이 되도록 상부 수평 프레임과 적재판(150)의 각도를 변경시킨 상태로 계단을 통한 중량물(10) 운반 작업을 계속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일 위 계단에 거의 다 올라간 상태에서는 다시 적재판 각도 조절부(500)를 이용하여 적재판(150)을 원위치 시키고 핸들(302) 회전을 정지하여 각 바퀴 회전부(400)의 3개의 회전 바퀴(420) 중 2개가 지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다시 손잡이부(200)를 이용하여 밀어서 이동하면 된다.
한편, 반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가 중량물을 적재하고 계단을 내려갈 경우에는 제일 위 계단에 근접할 때까지는 손잡이부(200)를 이용하여 밀어서 이동을 한 후 방향을 180° 변경한다. 밀어서 이동시에는 바퀴 배열판(410)은 회전하지 않으며 4개의 바퀴 회전부(400) 각각에 마련된 3개의 회전 바퀴(420) 중 2개가 지면과 접촉한 상태로 이동을 하게 되며 래칫 부재(430, 440)는 정방향 이동 시에는 회전 바퀴(420)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게 된다. 중량물의 계단 운반 장치가 실제로 계단을 내려 가기 위해서는 방향이 180°변경된 중량물의 계단 운반 장치를 작업자가 핸들(302)을 계단을 올라 갈 때와 반대로 회전시키면, 도 15와 같이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이 계단을 올라 갈 때와 반대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연결된 바퀴 배열판(410)이 역회전 하면서 바퀴 배열판(410)의 둘레부에 구비된 회전 바퀴(420)가 바퀴 배열판(410) 둘레를 따라 위성 운동하게 된다. 이때 하부 계단의 측벽이나 상면에 접촉되는 회전 바퀴(420)의 경우 접촉 충격에 의해 이동 방향인 아래 방향으로 밀릴 수 있으나 래칫 부재(430, 440)의 래칫 기어(430)와 적어도 하나의 걸림 부재(440)의 상호 맞물림 현상에 의해 역방향 회전이 제한되어 밀림 현상이 차단된다.
한편, 이때도 중량물은 중량물의 운반 장치가 기울어짐에 따라 적재판(150)과 함께 같이 기울어지게 되어 손잡이부(200)의 수직 지지바(210)에 과도한 하중을 가할 수 있어 중량물의 추락이나 중량물의 운반 장치의 전도의 위험이 발생한다.
따라서 계단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재판 각도 조절부(500)를 이용하여 도 15와 같이 적재판(150)이 수평이 되도록 상부 수평 프레임과 적재판(150)의 각도를 변경시킨 상태로 계단을 통한 운반 작업을 계속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일 아래 계단에 다 내려간 상태에서는 다시 적재판 각도 조절부(500)를 이용하여 적재판(150)을 원위치 시키고 핸들(302) 회전을 정지하여 각 바퀴 회전부(400)의 3개의 회전 바퀴(420) 중 2개가 지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다시 방향을 180° 변경하고 손잡이부(200)를 이용하여 밀어서 이동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바퀴 회전부(400)에 각각 구비된 3개의 회전 바퀴(420) 모두 총 12개에 모두 래칫 부재(430, 440)가 구비되도록 마련되었으나 앞쪽 또는 뒷쪽 2개의 바퀴회전부(400)에 각각 구비된 3개의 회전 바퀴(420) 총 6개에만 모두 래칫 부재(430, 440)가 구비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보조 바퀴가 펼쳐진 평지 모드를 도시하고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선행기술의 핸드카는 3개의 휠이 위성운동을 하면서 이동하는 관계로 계단이 아닌 평지에서는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조 바퀴부(600)를 구비하여 보조 바퀴(614)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계단과 평지의 운행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보조 바퀴부(600)는 프레임(100)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602), 제1 고정부(602)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 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레버(606), 레버(606)를 제1 고정부(602)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604), 레버(606)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레버(606)의 회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전달부재(608), 제1 전달부재(608)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전달부재(612), 제2 전달부재(612)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제2 전달부재(612)가 제1 전달부재(608)의 상하이동에 의해 회동할 수 있도록 회전축 역할을 하는 보조바퀴 회전축(616), 보조바퀴 회전축(616)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여 보조바퀴 회전축(616)을 프레임(100)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610), 제2 전달부재(612)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보조바퀴(614)를 포함한다.
계단을 승강할 경우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레버(606)의 일측 단부에 위치한 손잡이를 하부 방향으로 눌러 레버(606)의 타측 단부가 상승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제1 전달부재(608)가 상승하면서 제2 전달부재(612)를 접어 보조바퀴(614)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한다.
평지에서 운행할 경우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레버(606)의 일측 단부에 위치한 손잡이를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려 레버(606)의 타측 단부가 하강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제1 전달부재(608)가 하강하면서 제2 전달부재(612)를 펼쳐 보조바퀴(614)가 지면에 닿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프레임
200 - 손잡이부
300 - 구동력 공급부
400 - 바퀴 회전부
500 - 적재판 각도 조절부
600 - 보조 바퀴부

Claims (2)

  1. 프레임(100);
    제1 구동 스프라켓(308)과 제1 종동 스프라켓(314)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 벨트(316)를 수용하는 하우징(301), 하우징(301)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회전력을 전달하는 핸들(302), 제1 구동 스프라켓(308)의 양측에 결합되어 핸들(302)의 회전동력을 제1 구동 스프라켓(308)에 전달하는 제1 연결부재(304)와 제2 연결부재(306), 제1 연결 벨트(316)를 통해 제1 구동 스프라켓(308)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종동 스프라켓(314), 제1 종동 스프라켓(314)의 양측에 결합되어 제1 종동 스프라켓(314)의 회전력을 감속기(320)로 전달하는 제3 연결부재(310)와 제4 연결부재(312), 핸들(302)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기(320), 감속기(320)를 통해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 구동 스프라켓(340), 제2 연결 벨트(345)를 통해 제2 구동 스프라켓(34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 종동 스프라켓(350), 제2 구동 스프라켓(340)의 회전축에 해당하는 구동축(330), 제2 종동 스프라켓(350)의 회전축에 해당하는 종동축(360),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의 회전을 보장하도록 지지하는 축 지지 부재(370)를 포함하여, 프레임(100)의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는 구동력 공급부(300); 및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양 방향 회전 운동이 가능한 한 쌍의 바퀴 배열판(410)을 포함하고, 바퀴 배열판(410)은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회전 날개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며, 소정 이격 간격을 두고 내외 측 한 쌍으로 구성되어 구동축(330)과 종동축(360)의 각 양 결합 단부를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 단부 수용공(414)에 키 결합 방식으로 수용한 상태로 고정 결합하며, 프레임(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바퀴 회전부(400)
    를 포함하는,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100)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602), 제1 고정부(602)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 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레버(606), 레버(606)를 제1 고정부(602)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604), 레버(606)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레버(606)의 회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전달부재(608), 제1 전달부재(608)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전달부재(612), 제2 전달부재(612)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제2 전달부재(612)가 제1 전달부재(608)의 상하이동에 의해 회동할 수 있도록 회전축 역할을 하는 보조바퀴 회전축(616), 보조바퀴 회전축(616)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여 보조바퀴 회전축(616)을 프레임(100)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610), 제2 전달부재(612)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보조바퀴(614)를 포함하는 보조 바퀴부(600)
    를 더 포함하는,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
KR1020150185150A 2015-12-23 2015-12-23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 KR20170075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150A KR20170075465A (ko) 2015-12-23 2015-12-23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150A KR20170075465A (ko) 2015-12-23 2015-12-23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465A true KR20170075465A (ko) 2017-07-03

Family

ID=59357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150A KR20170075465A (ko) 2015-12-23 2015-12-23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546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8859A (zh) * 2019-05-10 2019-09-17 长沙学院 一种楼梯攀爬清洁机器人
WO2019182200A1 (ko) * 2018-03-21 2019-09-26 한국전력공사 체결 강도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결 강도 검사 시스템
CN111532316A (zh) * 2020-05-29 2020-08-14 江南大学 一种适应不同楼梯高度的手推车
WO2021247529A1 (en) * 2020-06-04 2021-12-09 Palumbo Jr Samuel Stair climber for casket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2200A1 (ko) * 2018-03-21 2019-09-26 한국전력공사 체결 강도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결 강도 검사 시스템
CN110238859A (zh) * 2019-05-10 2019-09-17 长沙学院 一种楼梯攀爬清洁机器人
CN111532316A (zh) * 2020-05-29 2020-08-14 江南大学 一种适应不同楼梯高度的手推车
WO2021247529A1 (en) * 2020-06-04 2021-12-09 Palumbo Jr Samuel Stair climber for caskets
US11691660B2 (en) 2020-06-04 2023-07-04 Samuel S. Palumbo Stair climber for caske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5782B2 (en) Stair traversing device
KR20170075465A (ko) 평지 운행이 가능한 핸들식 중량물 운반 장치
ES2388338T3 (es) Máquina elevadora sobre mástil
KR101083365B1 (ko) 휠체어 승강장치
JP5548171B2 (ja) ねじ駆動装置およびガス支柱を有するマストリフト
WO1986005752A1 (en) Stair climbing hand truck
KR101179804B1 (ko) 자동 핸드 카트
JP2009528951A (ja) 階段昇降用台車
KR101685615B1 (ko) 핸드 트럭
WO2009069144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stairs
KR101712728B1 (ko) 중량물의 계단 운반 장치
CN110641538B (zh) 一种电动负载爬楼机
CN211511671U (zh) 伸缩式楼梯楼道清扫机器人
WO2018052369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ving a load
CN104648458A (zh) 一种新型爬楼车
US6550787B1 (en) Conveying apparatus for ascending or descending stairways
CN210680882U (zh) 一种用于上下快速传输装置
KR200460971Y1 (ko) 손수레
KR102113506B1 (ko) 계단 승·하강용 카트
JP2007153478A (ja) 高所活動車
KR20170052043A (ko) 계단 이동이 가능한 운반수레
EP3567002A1 (en) Passenger hoist
KR0130937B1 (ko) 다기능 전동 손수레
KR200462793Y1 (ko) 핸드카
ITUD20100205A1 (it) Dispositivo per disabi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